KR102190641B1 -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641B1
KR102190641B1 KR1020180168111A KR20180168111A KR102190641B1 KR 102190641 B1 KR102190641 B1 KR 102190641B1 KR 1020180168111 A KR1020180168111 A KR 1020180168111A KR 20180168111 A KR20180168111 A KR 20180168111A KR 102190641 B1 KR102190641 B1 KR 102190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block
heat transfer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8851A (en
Inventor
김태환
김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8016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6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8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6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증착 소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소스는, 증착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크루시블과, 크루시블을 지지하며 크루시블을 가열하는 히팅유닛과, 히팅유닛을 지지하고 크루시블과 히팅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며 히팅유닛을 차폐하여 히팅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쿨링 자켓유닛과. 쿨링 자켓유닛에 지지되고 크루시블에 연결되며 크루시블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을 포함한다.The deposition source is started. The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cible in which a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crucible and heating the crucible, and a crucible and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heating unit. A cooling jacket unit that accommodates and shields the heating unit from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connected to the crucible, and transferring heat from the crucible to the cooling jacket unit.

Description

증착 소스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증착장치{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Deposition source and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착 소스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증착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충진된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착 소스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position source and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to a deposition source capable of preventing the deposition material filled therein from being denatured by heat, and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 받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flat panel displays are in the spotlight as display devices.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plasma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이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는 빠른 응답속도, 기존의 LCD보다 낮은 소비 전력, 경량성, 별도의 백라이트(back light) 장치가 필요 없어서 초박형으로 만들 수 있는 점, 고휘도 등의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각광받고 있다.Among them,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can be made ultra-thin because they have a fast response speed,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conventional LCDs, light weight, and do not need a separate back light device. It is in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 because it has very good advantages such as high brightness and high brightness.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양극 막, 유기 박막, 음극 막을 순서대로 입히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적당한 에너지의 차이가 유기 박막에 형성되어 스스로 발광하는 원리이다.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a principle that an anode film, an organic thin film, and a cathode film are sequentially coated on a substrate, and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so that an appropriate difference in energy is formed in the organic thin film and emit light by itself.

다시 말해,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며, 남는 여기 에너지가 빛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유기 물질의 도펀트의 양에 따라 발생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풀 칼라(full color)의 구현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and the remaining excitation energy is generated as light. At this time, since the wavelength of light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opant of the organic material can be adjusted, full color can be implemented.

도 1은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증착된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which organic and inorganic layers are alternately deposited.

이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소자(1, OLED)는 기판(2)과, 기판(2) 상에 적층되는 발광소자(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OLED) includes a substrate 2 and a light emitting device 3 stacked on the substrate 2.

기판(2)은 유리 기판 또는 플렉시블 기판이다. 발광소자(3)는 양극, 3층의 유기막(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음극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유기 분자는 에너지를 받으면(자, 여기 상태임), 원래의 상태(기저 상태)로 돌아오려고 하는데, 그때에 받은 에너지를 빛으로서 방출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발광소자(3)에서는 전압을 걸면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홀(+)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게 되고, 이때에 유기 분자를 여기해서 발광한다.The substrate 2 is a glass substrate or a flexible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device 3 has a stacked structure of an anode, a three-layer organic film (hole transport layer, light emitting layer,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When an organic molecule receives energy (now, it is in an excited state), it tries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ground state), and has the property of emitting the received energy as light. In the light-emitting device 3, when voltage is applied, holes (+) injected from the anode and electrons (-) injected from the cathode recombine in the emission layer, and at this time, organic molecules are excited to emit light.

이처럼 전압을 가하면 유기물이 빛을 발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OLED(1)인데, 발광소자(3) 상의 유기물에 따라 R(Red), G(Green), B(Blue)를 발하는 특성을 이용해 풀 칼라(Full Color)를 구현할 수 있다.OLED(1) displays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organic matter emits light when voltage is applied in this way, and it uses the characteristics of emitting R(Red), G(Green), and B(Blue) depending on the organic material on the light emitting device(3). Full color can be implemented.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3)는 대기 중의 기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수명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처럼 유기막과 무기막을 교대로 다수 층 적층함으로써 기체나 수분의 유입으로부터 발광소자(3)를 보호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previously described, 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3 can be easily damaged by gas or moisture in the atmosphere, a lifespan problem may arise. To solve this problem, the organic layer and the inorganic layer are alternately formed as shown in FIG. By stacking multiple layers, the light emitting device 3 is protected from the inflow of gas or moisture.

도 1에는 발광소자(3)로부터 제1 유기막, 제1 무기막, 제2 유기막, 제2 무기막 ‥ 제5 유기막, 제5 무기막이 순서대로 또한 층별로 증착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제1 무기막이 제1 유기막을 완전히 감싸는(봉지되는) 형태로, 이어 제2 유기막이 제1 무기막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어 제2 무기막이 제2 유기막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 등의 순서를 가지고 막이 증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FIG. 1, a first organic film, a first inorganic film, a second organic film, a second inorganic film… a fifth organic film, and a fifth inorganic film are sequentially deposi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3 to each layer.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first inorganic layer completely surrounds (encapsulates) the first organic layer, the second organic layer partially surrounds the first inorganic layer, and then the second inorganic layer completely surrounds the second organic layer. It can be seen that the film is deposited in order.

한편, 도 1과 같은 적층 구조, 특히 유기막의 적층 구조 구현을 위해 기판 증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기판 증착장치에는 유기물을 기판에 증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리니어 소스(Linear Source)가 마련된다. 이러한 리니어 소스는 내부에 충진된 유기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장치이다. Meanwhile,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may be used to implement the stacked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n particular, the stacked structure of an organic layer. In the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 plurality of linear sources are provided as a means for depositing an organic material on a substrate. This linear source is a device that heats and evaporates the organic matter filled therein.

한편, 리니어 소스에서 이루어지는 증발과정에 의해 리니어 소스 내부에 충진된 유기물이 점차적으로 소모되는데, 리니어 소스 내부에 마지막까지 남은 유기물은 장시간동안 열에너지를 받게 되어 분자구조가 변형(변성)된다. On the other hand, organic matter filled in the linear source is gradually consumed by the evapor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linear source, and the organic material remaining in the linear source receives thermal energy for a long time and the molecular structure is deformed (denatured).

이렇게 변형(변성)된 유기물이 기판에 증착되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기능(색변화, 수명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deformed (modified) organic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s (color change, lifetime, etc.)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LED) deteriora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3776호, (2008.08.1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13776, (2008.08.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에 수용된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착 소스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증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position source capable of preventing the deposition material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denatured by heat, and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착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크루시블; 상기 크루시블을 지지하며, 상기 크루시블을 가열하는 히팅유닛;상기 히팅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크루시블과 상기 히팅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히팅유닛을 차폐하여 상기 히팅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쿨링 자켓유닛; 및 상기 쿨링 자켓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열을 상기 쿨링 자켓유닛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증착 소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ucible in which a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therein;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crucible and heating the crucible;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heating unit and receiving the crucible and the heating unit therein, and shielding the heating unit to be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A cooling jacket unit that blocks heat from being radiated to the outside; And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and transferring heat from the crucible to the cooling jacket unit.

상기 쿨링 자켓유닛은,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쿨링블록; 및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측부 영역에 배치되는 측부 쿨링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jacket unit may include: a lower cooling block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crucible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And a side cooling block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disposed in a side area of the crucible.

상기 열전달유닛은,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켓 결합부; 및 상기 자켓 결합부와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는 열전달용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unit may include a jacket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a connection part for heat transfer connected to the jacket coupling part and the crucible.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spring member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ring member, a spring body; And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상기 자켓 결합부는, 다수개의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cke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on block suppor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for heat transfer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a block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connection block to the lower cooling block.

상기 자켓 결합부는,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를 상기 연결블록에 결합하는 연결부용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jacket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for a connection portion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for heat transfer to the connection block.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spring member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ring member, a spring body; And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상기 히팅유닛은,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가 장착되며, 상기 크루시블을 지지하는 히터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er unit for dissipating heat; And a heater frame portion mounted with the heater unit and supporting the crucib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서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수행되는 공정 챔버; 및 상기 공정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으로 증착 물질을 공급하는 증착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증착 소스는, 상기 증착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크루시블; 상기 크루시블을 지지하며, 상기 크루시블을 가열하는 히팅유닛; 상기 히팅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크루시블과 상기 히팅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히팅유닛을 차폐하여 상기 히팅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쿨링 자켓유닛; 및 상기 쿨링 자켓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열을 상기 쿨링 자켓유닛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기판 증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chamber in which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on a substrate; And a deposition source disposed inside the process chamber and supplying a deposition material to the substrate, wherein the deposition source includes: a crucible in which the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crucible and heating the crucible; A cooling jacket unit supporting the heating unit, accommodating the crucible and the heating unit therein, and shielding the heating unit from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to the outside; And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connected to the crucible, and transferring heat from the crucible to the cooling jacket unit.

상기 쿨링 자켓유닛은,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쿨링블록; 및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측부 영역에 배치되는 측부 쿨링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유닛은,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켓 결합부; 및 상기 자켓 결합부와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는 열전달용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jacket unit may include: a lower cooling block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crucible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And a side cooling block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disposed in a side region of the crucible, wherein the heat transfer unit includes: a jacket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a connection part for heat transfer connected to the jacket coupling part and the crucible.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spr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the spring member comprising: a spring body; And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상기 자켓 결합부는,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을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재; 및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를 상기 연결블록에 결합하는 연결부용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cket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nnection block supporting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 block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connection block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a coupling member for a connection part coupling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to the connection block, wherein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includes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Including, the spring member, the spring body; And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쿨링 자켓유닛에 지지되고 크루시블에 연결되어 크루시블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충진된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to transfer heat from the crucible to the cooling jacket unit, thereby preventing the deposition material filled inside from being denatured by heat. can do.

도 1은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증착된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증착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증착 소스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크루시블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which organic and inorganic layers are alternately deposited.
2 is a view showing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deposition source of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heat transfer unit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rucible of FIG. 2.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a function or configuration that i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 기술되는 기판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용 기판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ubstrate described below may be a substrat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증착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증착 소스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크루시블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eposition source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heat transfer unit of FIG.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rucible of FIG. 2.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증착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공정 챔버(CM)와, 공정 챔버(CM)의 일측에 마련되며 기판을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노즐(N)을 구비하는 증착 소스(100)을 포함한다.The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to 5,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process chamber CM in which a deposition process for a substrate is performed, and a process chamber CM, and is deposited toward a substrate. And a deposition source 100 having a nozzle N for spraying a material.

공정 챔버(CM)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공정 챔버(CM)는 기판에 대한 증착공정이 진행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판이 수평으로 배치된 후에 상방으로 향하는 증착물질에 의해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수평식 상향 증착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판을 비롯하여 마스크(미도시) 등의 구성들이 수직되게 혹은 비스듬하게 세워져 배치된 후에 증착되는 수직식 증착 방식이 적용되는 증착장치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process chamber (CM)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chamber CM forms a place where a deposition process for a substrate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horizontal upward deposition method is proposed in which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on a substrate by an upwardly facing deposition material after the substrate is disposed horizontally.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deposition apparatus to which a vertical deposition method is applied, in which configurations such as a substrate and a mask (not shown) are vertically or obliquely disposed.

공정 챔버(CM)의 내부는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신뢰성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진공 분위기를 형성한다.Inside the process chamber CM, a vacuum atmosphere is formed so that the deposition process for the substrate can be reliably performed.

이를 위해, 공정 챔버(CM)의 하부에는 공정 챔버(CM)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진공 펌프(미도시)가 연결된다. 진공 펌프(미도시)는 소위, 크라이오 펌프일 수 있다. To this end, a vacuum pump (not shown)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cess chamber CM a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inside of the process chamber CM in a vacuum atmosphere. The vacuum pump (not shown) may be a so-called cryo pump.

그리고, 공정 챔버(CM)의 측벽에는 기판이 출입되는 출입 게이트(T)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정 챔버(CM) 내의 상부 영역에는 기판을 파지하는 기판 지지부(미도시)가 마련된다.In addition, an entrance gate T through which a substrate enters and exits may be provided on a sidewall of the process chamber CM. In addition, a substrate support (not shown) for holding a substrate is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CM.

증착 소스(100)은 공정 챔버(CM)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증착 소스(100)은 기판을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한다. 이러한 증착 소스(100)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크루시블(130)과, 크루시블(130)을 지지하며 크루시블(130)을 가열하는 히팅유닛(110)과, 히팅유닛(110)을 지지하고 크루시블(130)과 히팅유닛(110)을 내부에 수용하며 히팅유닛(110)을 차폐하여 히팅유닛(11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쿨링 자켓유닛(120)과, 쿨링 자켓유닛(120)에 지지되고 크루시블(130)에 연결되며 크루시블(130)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140)을 포함한다.The deposition source 100 is disposed inside the process chamber CM. The deposition source 100 injects a deposition material toward the substrate. 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deposition source 100 supports the crucible 130 and the crucible 130 in which the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and heats the crucible 130. The heating unit 110 and the heating unit 110 are supported, the crucible 130 and the heating unit 110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heating unit 110 is shielded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110 is A cooling jacket unit 120 that blocks radiation to the outside, is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120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130, and transfers heat from the crucible 130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It includes a heat transfer unit 140.

크루시블(130)의 내부에는 증착물질이 충진된다. 크루시블(130)은, 도가니라 불리는 구조물로서, 내부에 충전되는 증착물질을 히팅유닛(110)의 작용으로 증발시켜 기판으로 분사시킨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증착 소스(100)에 적용되는 증착물질은 유기물일 수 있다. 크루시블(130)의 자세한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A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inside the crucible 130. The crucible 130 is a structure called a crucible, and evaporates the deposition material charged therein by the action of the heating unit 110 and sprays it onto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the deposition material applied to the deposition sour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organic material. A detailed structure of the crucible 130 will be described la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한편 히팅유닛(110)은, 크루시블(130)을 지지하며 크루시블(130)을 가열한다. 이러한 히팅유닛(110)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크루시블(130)을 가열하는 히터부(111)와, 히터부(111)에 장착되며 크루시블(130)을 지지하는 히터 프레임부(112)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110 supports the crucible 130 and heats the crucible 130. This heating unit 110,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2, is mounted on the heater 111 for heating the crucible 130, the heater 111 and supporting the crucible 130 It includes a heater frame part 112.

히터부(111)는 히터 프레임부(112)에 장착되며 열을 발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히터부(111)는 텅스텐 또는 탄탈럼 등의 고온 금속 와이어에 전압과 전류를 인가하는 저항 가열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고온 금속 와이어의 온도는 1000℃를 넘기 때문에 고온 금속 와이어는 외부에 노출된 누드 타입(nude type)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heater part 111 is mounted on the heater frame part 112 and emits heat. The heater 111 applied in this embodiment uses a resistance heating method in which voltage and current are applied to a high-temperature metal wire such as tungsten or tantalum.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metal wire exceeds 1000° C., the high-temperature metal wire may be applied as a nude type exposed to the outside.

히터 프레임부(112)는 쿨링 자켓유닛(120)에 지지되어 크루시블(130)을 지지한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프레임부(112)의 상단부에는 크루시블(130)이 결합되며, 히터 프레임부(112)의 하단부은 쿨링 자켓유닛(120)에 지지된다. 이러한 히터 프레임부(112)는 히터부(111)를 지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The heater frame part 112 is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120 to support the crucible 130. 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crucibl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ter frame part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heater frame part 112 is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120. The heater frame part 112 also serves to support the heater part 111.

한편, 쿨링 자켓유닛(120)은 증착 소스(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쿨링 자켓유닛(120)의 내부에는 크루시블(130)과 히팅유닛(110)이 수용된다. 이러한 쿨링 자켓유닛(120)은 내부의 크루시블(130)을 보호하는 한편 크루시블(130)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 밀폐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쿨링 자켓유닛(120)은 히팅유닛(110)을 차폐하여 히팅유닛(110)에서 발생된 열이 공정 챔버(CM) 내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Meanwhile, the cooling jacket unit 120 forms the exterior of the deposition source 100. A crucible 130 and a heating unit 110 are accommodated in the cooling jacket unit 120. The cooling jacket unit 120 has a closed structur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crucible 130 from lowering while protecting the crucible 130 inside. In addition, the cooling jacket unit 120 shields the heating unit 110 from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110 into the process chamber CM.

본 실시예에서 쿨링 자켓유닛(120)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크루시블(130)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며 크루시블(130)의 하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쿨링블록(121)과. 하부 쿨링블록(121)에 연결되며 크루시블(130)의 측부 영역에 배치되는 측부 쿨링블록(125)과, 하부 쿨링블록(121) 및 측부 쿨링블록(125)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쿨링블록(미도시)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jacket unit 120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rucible 13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130, as shown in detail in FIG. 2. Block 121 and. The side cooling block 125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disposed in the side area of the crucible 130, and the upper cooling block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the side cooling block 125 Includes (not shown).

본 실시예에서 쿨링 자켓유닛(120)은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부 쿨링블록(미도시)과 하부 쿨링블록(121)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4개의 측부 쿨링블록(125)이 상부 쿨링블록(미도시)과 하부 쿨링블록(121) 사이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jacket unit 120 is provid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The upper cooling block (not shown) and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ur side cooling blocks 125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oling block (not shown) and the lower cooling block 121.

하부 쿨링블록(121)은 크루시블(130)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쿨링블록(121)은 크루시블(130)의 하부면에 대해 소정의 이격공간(G)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The lower cooling block 121 is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crucible 130. 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lower cooling block 121 is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G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130.

상술한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과 크루시블(130)의 하부면 사이의 이격공간(G)은 크루시블(130)의 열팽창 시에 크루시블(130)이 기판 방향으로 열팽창되지 않고 하부 쿨링블록(121) 방향으로 열팽창되도록 유도한다.The space G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130 is thermally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when the crucible 130 is thermally expanded. And induces thermal expans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크루시블(130)의 노즐(N)과 기판 사이의 거리는 증착 품질의 영향을 끼치므로 증착공정 중에 크루시블(130)의 노즐(N)과 기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N of the crucible 130 and the substrate affects the deposition quality,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N of the crucible 130 and the substrate should be kept constant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그런데, 증착공정 중 크루시블(130)은 히팅유닛(110)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되는데, 크루시블(130)이 기판 방향으로 열팽창되면 크루시블(130)의 노즐(N)과 기판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By the way,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he crucible 130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110 and thermally expanded. When the crucible 130 is thermally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nozzle N of the crucible 130 and the substrate are The distance of can be changed.

이렇게 크루시블(130)이 기판 방향으로 열팽창되면 크루시블(130)의 노즐(N)과 기판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루시블(130)의 상부 영역이 히터 프레임부(112)에 결합되며 크루시블(130)의 하부면은 하부 쿨링블록(121)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격공간(G)을 두고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In this way, when the crucible 130 is thermally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in order to prevent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N of the crucible 130 and the substrate from being changed, the upper region of the crucible 130 is It is coupled to 1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13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is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with a space G.

이렇게 크루시블(130)의 하부면이 하부 쿨링블록(121)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격공간(G)을 두고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크루시블(130)의 열팽창 시 크루시블(130)은 하부 쿨링블록(121) 방향으로 열팽창되고 기판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아 노즐(N)과 기판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130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is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with a space G, thereby thermal expansion of the crucible 130 The crucible 130 thermally expand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does not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N and the substrate may be kept constant.

하부 쿨링블록(121)의 내벽에는 크루시블(130)을 가열하는 히팅 블록(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히팅 블록은 반사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A heating block (not shown) for heating the crucible 13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is heating block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or or the like.

또한, 하부 쿨링블록(121)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열전달유닛(140)이 결합되는 결합부용 결합홈(122)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lower cooling block 121 has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oupling groove 122 for a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heat transfer unit 140 is coupled is provided.

측부 쿨링블록(125)은 하부 쿨링블록(121)에 연결되며 크루시블(130)의 측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측부 쿨링블록(125)은, 크루시블(130)과의 사이에 히팅유닛(1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크루시블(130)에 대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side cooling block 125 is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is disposed in the side area of the crucible 130. The side cooling block 125 is spaced apart from the crucible 1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heating unit 1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rucible 130 and the crucible 130.

측부 쿨링블록(125)의 내벽에는 크루시블(130)을 가열하는 히팅 블록(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히팅 블록은 반사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A heating block (not shown) for heating the crucible 13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cooling block 125. This heating block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or or the like.

공정이 끝나거나 혹은 공정 제어를 위해 하부 쿨링블록(121), 측부 쿨링블록(125) 및 상부 쿨링블록(미도시)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된다.A cooling water flow path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is formed in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e side cooling block 125, and the upper cooling block (not shown) when the process is finished or for process control.

한편, 열전달유닛(140)은 쿨링 자켓유닛(120)에 지지되고 크루시블(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열전달유닛(140)은 크루시블(130)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전달한다. Meanwhile, the heat transfer unit 140 is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120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130. The heat transfer unit 140 transfers the heat of the crucible 130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열전달유닛(140)은 크루시블(130)의 내부에서 장시간 가열된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크루시블(130)에 충진된 증착물질은 히터부(111)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는데, 공정 초기에 증발되는 증착물질에 비해 공정 후기에 증발되는 증착물질은 열에너지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 열에 의해 분자구조가 변형(변성)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unit 140 prevents the deposition material heated for a long time inside the crucible 130 from being denatured by heat. That is, the evaporation material filled in the crucible 130 is continuously heated by the heater unit 111, and the evaporation material evaporated at the late stage of the process is exposed to thermal energy longer than the evaporation material evaporated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The molecular structure can be deformed (denatured) by heat.

이렇게 크루시블(130)에 충진된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형(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달유닛(140)이 크루시블(130)과 쿨링 자켓유닛(120)을 직접 연결하여 크루시블(130)의 열에너지를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이동시킨다.In order to prevent the deposition material filled in the crucible 130 from being deformed (denatured) by heat, the heat transfer unit 140 directly connects the crucible 130 and the cooling jacket unit 120 to be crucible. The thermal energy of 130 is transferred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본 실시예에서 열전달유닛(140)은 크루시블(130)의 하부에 연결되는데, 크루시블(130)의 내부공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증착물질은 상부에 위치되는 증착물질이 증발된 후에 증발되므로, 크루시블(130)의 내부공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증착물질은 상부에 위치된 증착물질에 비해 장시간 열에너지의 노출되며, 그에 따라 열에 의해 변형(변성)될 가능성이 상부에 위치되는 증착물질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rucible 130, and the deposition material located at the bottom in the inner space of the crucible 130 evaporates after the deposition material located at the top is evaporated. Therefore, the deposition material located at the bottom in the inner space of the crucible 130 is exposed to thermal energy for a long time compared to the deposition material located at the top, and accordingly, the deposition material located at the top is likely to be deformed (denatured) by heat. This is because it is higher tha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140)은 크루시블(130)의 하부에 직접 접촉되어 크루시블(130)의 열에너지를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크루시블(130)의 내부공간에서 하부에 위치된 증착물질이 장시간 가열에 의해 열변형(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rucible 130 to move the thermal energy of the crucible 130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so that the crucible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vaporation material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from being thermally deformed (denatured) by heating for a long time.

이러한 열전달유닛(140)은,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쿨링블록(1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켓 결합부(141)와, 자켓 결합부(141)와 크루시블(130)에 연결되는 열전달용 연결부(145)를 포함한다.This heat transfer unit 140, as shown in detail in Figures 2 to 4, the jacket coupling portion 141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e jacket coupling portion 141 and crucible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145 for heat transfer connected to (130).

자켓 결합부(141)는 하부 쿨링블록(1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켓 결합부(141)는 하부 쿨링블록(121)의 결합부용 결합홈(122)에 치합되는 결합용 볼트로 마련된다. The jacket coupling part 14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In this embodiment, the jacket coupling portion 14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lt that meshes with the coupling groove 122 for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열전달용 연결부(145)는 자켓 결합부(141)와 크루시블(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열전달용 연결부(145)는 상단부가 크루시블(13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SC, ST)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SC, ST)는 열전달률이 높은 금속 재질로 마련된다.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145 is connected to the jacket coupling part 141 and the crucible 130.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145 includes spring members SC and ST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130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ese spring members SC and ST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본 실시예서 스프링부재(SC, ST)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SC, ST)는, 도 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본체(SC)와, 스프링 본체(SC)에 연결되며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ST)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members SC and ST are provided in a leaf spring shape. These spring members (SC, ST), as shown in detail, the spring body (SC), the contact plate (ST)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SC)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Includes.

스프링 본체(SC)는 크루시블(130)의 열팽창 시 크루시블(130)의 가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크루시블(130)의 냉각에 의한 열팽창의 해소 시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원위치 된다.The spring body (SC) is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crucible 130 during thermal expansion of the crucible 130, and the original shape by elastic force when the thermal expansion is eliminated by cooling of the crucible 130. To the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140)은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스프링 본체(SC)를 구비함으로써, 크루시블(130)의 열팽창에 무관하게 크루시블(130)과 쿨링 자켓유닛(120)을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pring body SC tha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even if its shape is deformed, so that the crucible 130 is irrespective of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crucible 130 And the cooling jacket unit 120 can be connected.

접촉 플레이트(ST)는 스프링 본체(SC)에 연결된다. 이러한 접촉 플레이트(ST)는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플레이트(ST)는 하부 쿨링블록(121)으로의 열전달률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 본체(SC)의 단면적보다 큰 접촉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contact plate ST is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SC. This contact plate S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late ST is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contact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ring body SC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rate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접촉 플레이트(ST)는 결합용 볼트의 볼트 헤드에 가압되어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에 밀착된다.The contact plate ST is pressed against the bolt head of the coupling bol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전달유닛(140)은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에 넓은 접촉면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열전달률을 높이는 접촉 플레이트(ST)를 구비하는 함으로써, 크루시블(130)의 열을 하부 쿨링블록(121)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unit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tact plate ST that directly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with a wide contact area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rate, so that the heat of the crucible 130 Can be quickly mov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한편, 크루시블(130)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물질이 충전되는 크루시블 바디(131)와, 크루시블 바디(131)의 상부에 결합되는 크루시블 덮개(134)를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crucible 130 includes a crucible body 131 filled with a deposition material and a crucible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rucible body 131 ( 134).

크루시블 덮개(134)에는 크루시블 바디(131) 내의 증착물질이 기판으로 분사되는 다수의 노즐(N)이 형성된다. 노즐(N)의 내부에는 증착물질의 분사를 위한 플러그(133)가 마련된다. 플러그(133)는 착탈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nozzles N through which the deposition material in the crucible body 131 is sprayed onto the substrate are formed on the crucible cover 134. A plug 133 for spraying a deposition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nozzle 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g 133 has a detachable structure.

크루시블 바디(131) 내에는 다수의 통공(135a)이 형성되는 이너 플레이트(135, inner plate)가 마련된다. 이너 플레이트(135)는 증착물질의 양과 방향을 조절한다.An inner plate 135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5a is formed is provided in the crucible body 131. The inner plate 135 controls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증착장치의 동작을 열전달유닛(140)을 위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ocusing on the heat transfer unit 1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유닛(140)은 쿨링 자켓유닛(120)에 지지되고 크루시블(130)에 연결되어 크루시블(130)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전달한다. As shown in FIG. 2, the heat transfer unit 140 is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120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130 to transfer heat from the crucible 130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

상술한 크루시블(130)의 하부면은 하부 쿨링블록(121)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격공간(G)을 두고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므로, 크루시블(130)의 열팽창 시 크루시블(130)이 하부 쿨링블록(121) 방향으로 열팽창되어 스프링 본체(SC)를 가압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130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is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with a space G. During thermal expansion, the crucible 130 thermally expand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o press the spring body SC.

이러한 크루시블(130)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 본체(SC)의 형상이 변형된다. 이때, 스프링 본체(SC)는 크루시블(130)에 계속 연결된 상태이므로, 열전달유닛(140)은 크루시블(130)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이동시켜 크루시블(130) 내의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형(변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hape of the spring body SC is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crucible 130. At this time, since the spring body (SC)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rucible 130, the heat transfer unit 140 moves the heat of the crucible 130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so that the crucible 130 It prevents the deposition material inside from being deformed (denatured) by heat.

다음, 크루시블(130)의 냉각에 의한 열팽창의 해소 시 스프링 본체(SC)는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원위치 된다. 이때, 스프링 본체(SC)는 크루시블(130)에 계속 연결된 상태이다. Next, when the thermal expansion by cooling the crucible 130 is eliminated, the spring body SC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force. At this time, the spring body SC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rucible 13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140)은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고 외력 제거 시 탄성력에 의해 형상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스프링 본체(SC)를 구비함으로써, 크루시블(130)의 열팽창에 무관하게 크루시블(130)과 쿨링 자켓유닛(120)을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pring body SC whose shape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reby preventing thermal expansion of the crucible 130. Regardless, the crucible 130 and the cooling jacket unit 120 may be connec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증착장치는, 쿨링 자켓유닛(120)에 지지되고 크루시블(130)에 연결되어 크루시블(130)의 열을 쿨링 자켓유닛(120)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140)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증착물질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120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130 to transfer heat from the crucible 130 to the cooling jacket unit 120 By providing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vaporation material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denatured by heat.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크루시블(130)의 하단부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ST)가 추가되는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only has a difference in that a contact plate ST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130 is added, and in other configurat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2 to 5 Since it is the same a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따른 스프링부재(SC, ST)는, 스프링 본체(SC)에 연결되며 크루시블(130)의 하단부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ST')를 포함한다. The spring members SC and 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contact plate ST'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SC and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130.

본 실시예에서 접촉 플레이트(ST')는 크루시블(130)과의 열전달률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 본체(SC)의 단면적보다 큰 접촉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late ST' is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contact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ring body SC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rate with the crucible 130.

이와 같이 열전달유닛(140)은 크루시블(130)의 하단부에 넓은 접촉면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열전달률을 높이는 접촉 플레이트(ST')를 구비하는 함으로써, 크루시블(130)의 열을 하부 쿨링블록(121)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heat transfer unit 140 includes a contact plate ST' that directly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130 with a wide contact area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rate, thereby cooling the heat of the crucible 130 under the It can be quickly moved to block 121.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열전달용 연결부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for heat transfer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il spring, and in other configurations, i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For the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열전달용 연결부(345)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용 연결부(345)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서, 장기간 사용해도 변형이 적은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345 for heat transfer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il spr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portion 345 for heat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a coil spring shape, there is an advantage of less deformation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자켓 결합부(441)의 구조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is embodiment only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jacket coupling portion 441, and in other configurations, i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자켓 결합부(441)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열전달용 연결부(445)가 지지되며 하부 쿨링블록(121)에 연결되는 연결블록(442)과, 연결블록(442)을 하부 쿨링블록(121)에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재(443)와, 열전달용 연결부(445)를 연결블록(442)에 결합하는 연결부용 결합부재(444)를 포함한다.Jacket coupling portion 4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8,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connection portion 445 is support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e connection block 442, the connection A block coupling member 443 for coupling the block 442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a coupling member 444 for a connection portion coupling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445 to the connection block 442.

연결블록(442)에는 다수개의 열전달용 연결부(445)가 지지된다. 이러한 연결블록(442)은 하부 쿨링블록(121)에 직접 접촉되어 열전달용 연결부(445)를 통해 전달받은 크루시블(130)의 열을 하부 쿨링블록(121)으로 전달한다.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445 for heat transfer are supported on the connection block 442. The connection block 442 directly contacts the lower cooling block 121 and transfers the heat of the crucible 130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445 for heat transfer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본 실시예에서 연결블록(442)은 육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며, 연결블록(442)의 하부면은 하부 쿨링블록(121)의 상부면에 직접 접촉된다. 이러한 연결블록(442)에는 블록 결합부재(443)가 관통하는 관통공(442a)이 마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block 442 is provided in a hexahedral block shap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442 directly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e connection block 442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42a through which the block coupling member 443 passes.

또한, 연결블록(442)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연결부용 결합부재(444)가 결합되는 연결블록용 결합홈(442b)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lock 442 has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oupling groove 442b for a connection block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444 for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연결블록(442) 상에는 다수개의 열전달용 연결부(445)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connection portions 445 are disposed on the connection block 44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블록 결합부재(443)는 연결블록(442)을 하부 쿨링블록(121)에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켓 결합부(441)는 관통공(442a)을 관통하여 하부 쿨링블록(121)의 결합홈에 치합되는 결합용 볼트로 마련된다. The block coupling member 443 couples the connection block 442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In this embodiment, the jacket coupling portion 44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lt that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442a and meshes with the coupling groove of the lower cooling block 121.

연결부용 결합부재(444)는 열전달용 연결부(445)를 연결블록(442)에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용 결합부재(444)는 연결블록(442)의 연결블록용 결합홈(442b)에 치합되는 결합용 볼트로 마련된다. The coupling member 444 for the connection part couples the connection part 445 for heat transfer to the connection block 442.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444 for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lt that meshes with the coupling groove 442b for the connection block of the connection block 442.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SC, ST)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본체(SC)와, 스프링 본체(SC)에 연결되며 연결블록(442)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ST)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members (SC, ST),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8, the spring body (SC), the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SC)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442 Includes (ST).

접촉 플레이트(ST)는 스프링 본체(SC)에 연결된다. 이러한 접촉 플레이트(ST)는 연결블록(442)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플레이트(ST)는 연결블록(442)으로의 열전달률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 본체(SC)의 단면적보다 큰 접촉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contact plate ST is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SC. This contact plate (S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442).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late ST is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contact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ring body SC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rate to the connection block 442.

본 실시예에서 접촉 플레이트(ST)는 결합용 볼트의 볼트 헤드에 가압되어 연결블록(442)의 상부면에 밀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late ST is pressed against the bolt head of the coupling bol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44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증착장치는 다수개의 열전달용 연결부(445)를 지지하며 하부 쿨링블록(1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442)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블록(442)의 교체를 통해 사용수명이 종료한 열전달용 연결부(445)들을 한 번에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445 for heat transfer and includes a connection block 442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121, thereby replacing the connection block 442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is easy becaus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nnection portions 445 for heat transfer whose service life has ended at one tim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증착 소스 110: 히팅유닛
111: 히터부 112: 히터 프레임부
120: 쿨링 자켓유닛 121: 하부 쿨링블록
122: 결합부용 결합홈 125: 측부 쿨링블록
130: 크루시블 140: 열전달유닛
141, 441: 자켓 결합부
145, 245, 345, 445: 열전달용 연결부
442: 연결블록 442a: 관통공
442b: 연결블록용 결합홈 443: 블록 결합부재
444: 연결부용 결합부재 CM: 공정챔버
SC: 스프링 본체 ST: 접촉 플레이트
G: 이격공간
100: deposition source 110: heating unit
111: heater part 112: heater frame part
120: cooling jacket unit 121: lower cooling block
122: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portion 125: side cooling block
130: crucible 140: heat transfer unit
141, 441: jacket joint
145, 245, 345, 445: connection for heat transfer
442: connection block 442a: through hole
442b: coupling groove for connection block 443: block coupling member
444: coupling member for the connection part CM: process chamber
SC: Spring body ST: Contact plate
G: space

Claims (14)

증착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크루시블;
상기 크루시블을 지지하며, 상기 크루시블을 가열하는 히팅유닛;
상기 히팅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크루시블과 상기 히팅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히팅유닛을 차폐하여 상기 히팅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쿨링 자켓유닛; 및
상기 쿨링 자켓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열을 상기 쿨링 자켓유닛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 자켓유닛은,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쿨링블록; 및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측부 영역에 배치되는 측부 쿨링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유닛은,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켓 결합부; 및
상기 자켓 결합부와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는 열전달용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켓 결합부는,
다수개의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Crucible in which the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therein;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crucible and heating the crucible;
A cooling jacket unit supporting the heating unit, accommodating the crucible and the heating unit therein, and shielding the heating unit from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to the outside; And
And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and transferring heat from the crucible to the cooling jacket unit,
The cooling jacket unit,
A lower cooling block located in a lower area of the cruc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And
A side cooling block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disposed in a side area of the crucible,
The heat transfer unit,
A jacket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for heat transfer connected to the jacket coupling part and the crucible,
The jacket coupling portion,
A connection block suppor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for heat transfer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A deposition source comprising a block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connection block to the lower cooling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A deposition source comprising a spr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spring member,
Spring body; And
And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결합부는,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를 상기 연결블록에 결합하는 연결부용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증착 소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jacket coupling portion,
A deposition source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for a connection portion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for heat transfer to the connection blo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A deposition source comprising a spr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The method of claim 8,
The spring member,
Spring body; And
And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가 장착되며, 상기 크루시블을 지지하는 히터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unit,
A heater unit for dissipating heat; And
A deposition source including a heater frame portion mounted with the heater unit and supporting the crucible.
내부에서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수행되는 공정 챔버; 및
상기 공정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으로 증착 물질을 공급하는 증착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증착 소스는,
상기 증착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크루시블;
상기 크루시블을 지지하며, 상기 크루시블을 가열하는 히팅유닛;
상기 히팅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크루시블과 상기 히팅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히팅유닛을 차폐하여 상기 히팅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쿨링 자켓유닛; 및
상기 쿨링 자켓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열을 상기 쿨링 자켓유닛으로 전달하는 열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 자켓유닛은,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쿨링블록; 및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측부 영역에 배치되는 측부 쿨링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유닛은,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켓 결합부; 및
상기 자켓 결합부와 상기 크루시블에 연결되는 열전달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켓 결합부는,
다수개의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상기 하부 쿨링블록에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기판 증착장치.
A process chamber in which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And
It is disposed inside the process chamber and includes a deposition source for supplying a deposition material to the substrate,
The deposition source,
A crucible in which the deposition material is filled therein;
A heating unit supporting the crucible and heating the crucible;
A cooling jacket unit supporting the heating unit, accommodating the crucible and the heating unit therein, and shielding the heating unit from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to the outside; And
And a heat transfer unit supported by the cooling jacket unit and connected to the crucible, and transferring heat from the crucible to the cooling jacket unit,
The cooling jacket unit,
A lower cooling block located in a lower area of the cruc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rucible; And
A side cooling block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disposed in a side area of the crucible,
The heat transfer unit,
A jacket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Including a connection for heat transfer connected to the jacket coupling portion and the crucible,
The jacket coupling portion,
A connection block suppor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for heat transfer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oling block; And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comprising a block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connection block to the lower cooling block.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쿨링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판 증착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A spr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The spring member,
Spring body; And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oling bloc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결합부는,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를 상기 연결블록에 결합하는 연결부용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용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 본체; 및
상기 스프링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크루시블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판 증착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jacket coupl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for a connection portion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for heat transfer to the connection block,
The heat transfer connection part,
A spr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The spring member,
Spring body; And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act plate connected to the spring body and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a lower end of the crucib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KR1020180168111A 2018-12-24 2018-12-24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906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11A KR102190641B1 (en) 2018-12-24 2018-12-24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11A KR102190641B1 (en) 2018-12-24 2018-12-24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851A KR20200078851A (en) 2020-07-02
KR102190641B1 true KR102190641B1 (en) 2020-12-14

Family

ID=7159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111A KR102190641B1 (en) 2018-12-24 2018-12-24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6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962A (en) 1998-07-09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uttering device
JP2002298966A (en) 2001-03-30 2002-10-11 Takamasa Yoshimura High durability contact
KR101615913B1 (en) 2014-11-12 2016-05-13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Depositing device for thin film
CN106987807A (en) 2017-06-01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vapor deposition source, evaporation coating device and evaporation co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627A (en) * 1991-07-09 1993-01-22 Fujitsu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heat transfer mechanism
JPH09195037A (en) * 1996-01-09 1997-07-29 Ulvac Japan Ltd Heating and cooling device and vacuum tre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704873B1 (en) 2005-07-27 2007-04-10 김대겸 Fixing device of advertisement sign
KR101218262B1 (en) * 2010-12-01 2013-01-03 (주)알파플러스 Effusion cell
KR102168686B1 (en) * 2013-11-25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methods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962A (en) 1998-07-09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uttering device
JP2002298966A (en) 2001-03-30 2002-10-11 Takamasa Yoshimura High durability contact
KR101615913B1 (en) 2014-11-12 2016-05-13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Depositing device for thin film
CN106987807A (en) 2017-06-01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vapor deposition source, evaporation coating device and evaporation co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851A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897B1 (en) Deposition source and apparatus for organic layer deposition having the same
KR101940328B1 (en) Organic vapor jet printing device with a chiller plate
KR101191569B1 (en) Film forming device
KR101256193B1 (en) Thin layers deposition apparatus and linear type evaporator using thereof
KR102497653B1 (en) Deposition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6619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79942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and thin layers deposition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0761079B1 (en) Deposition source having a cooling means and deposi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5512881B2 (en) Vapor deposition processing system and vapor deposition processing method
KR20130035863A (en) Evaporation source and film forming apparatus
KR101662606B1 (en) Apparatus for deposition of organic thi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190641B1 (en)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97633A (en) Deposition apparatus
KR102560313B1 (en) De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85002A (en) Vapor deposition source, vapor deposition apparatus, organic e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 device
KR102160509B1 (en) Glass deposition apparatus
KR102076994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160508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252624B1 (en)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90640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339762B1 (en) Evaporation source and Apparatus for deposition having the same
KR102229161B1 (en) Glass deposition apparatus
KR102339763B1 (en) Box type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1649739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104307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