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925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925B1
KR102127925B1 KR1020130047514A KR20130047514A KR102127925B1 KR 102127925 B1 KR102127925 B1 KR 102127925B1 KR 1020130047514 A KR1020130047514 A KR 1020130047514A KR 20130047514 A KR20130047514 A KR 20130047514A KR 102127925 B1 KR102127925 B1 KR 10212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creen
icon
area
exec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724A (ko
Inventor
이승훈
박지희
임채성
황지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25B1/ko
Priority to US14/207,241 priority patent/US20140325428A1/en
Priority to EP14163471.7A priority patent/EP2799972B1/en
Priority to CN201410177938.0A priority patent/CN104125332B/zh
Publication of KR2014012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분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분할된 화면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으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리스트영역을 경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pair) 아이콘이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되면, 상기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화면 분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출시되었고 하나의 단말에서 동시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miltitasking)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멀티태스킹 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분할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된 화면 영역 각각에서 동시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분할된 화면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으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리스트영역을 경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pair) 아이콘이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되면, 상기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 사전에 설정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객체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는 단계;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리스트영역을 경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c)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pair) 아이콘이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되면, 상기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할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객체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된 화면영역 각각에서 동시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텍스트나 파일 등의 객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리스트영역에 출력된 페어 아이콘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를 조절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화면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설정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특정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분할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분할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페어 아이콘에 포함된 아이콘의 배치에 따라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리스트영역에 출력되는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이 선정된 이유를 설명해주는 페이지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분할된 화면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이 선정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자동으로 분할 모드로 진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호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3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출시되었고 하나의 단말에서 동시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miltitasking)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멀티태스킹 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분할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화면 분할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는 단계(S410)가 진행된다.
이때, 분할 모드란 화면(151) 분할을 시작하기 위한 상태 또는 화면(151)이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된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키를 푸시 또는 터치하거나 특정한 제스쳐를 입력하면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back 키를 롱 푸시하거나 손가락으로 화면(151)을 가르는 제스쳐를 입력하는 경우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영역을 생성하여 리스트영역을 경계로 디스플레이부(151)를 제1 및 제2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30)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하는 단계(S44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리스트영역은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화면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는 특정 아이콘이나 마크, 화살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리스트영역의 인디케이터가 향하는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든 화면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50)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모든 화면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분할 모드가 종료된다. 만약,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화면영역이 있으면 아이콘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로 되돌아가게 된다.
앞서 설명한 S4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페어(pair) 아이콘이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6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페어 아이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하는 단계(S470)가 진행된다.
만약, 페어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아이콘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분할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a는 홈 화면에서 분할 모드로 진입 시 페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a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홈 화면에서 back 키를 롱 푸시하여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5a의 (b)를 참조하면,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으면 화면(151) 중앙으로부터 리스트영역(510)이 화면(151)의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리스트영역(510)을 경계로 화면(151)이 제1 및 제2 화면영역(520, 530)으로 분할된다.
이때, 리스트영역(510)이 생성되는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다양한 임의의 위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즉, 리스트영역(510)이 생성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화면영역(520, 530)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영역(510)이 펼쳐지는 과정에 애니메이션 효과(Animation effect)를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화면(151)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실시 예로, 홈 화면은 흐릿하게 출력되며, 그 위에 리스트영역(510)이 겹쳐진 채 서서히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며 생성될 수 있다.
도 5a의 (c)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510)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는 페어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512)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5a의 (d)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510)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여 리스트영역(510)은 바(bar)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리스트영역(510)은 도 5a의 (b)에서 생성되던 과정과 반대로 점차 그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면영역(520)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530)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각각의 화면영역은 제1 및 제2 아이콘이 페어 아이콘(512)에 배치된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5b는 단말(100)을 회전시킨 상태의 홈 화면에서 분할 모드로 진입 시 페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a의 경우와 비교하면, 단말(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바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영역(510)에 포함된 아이콘 및 페어 아이콘들이 회전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리스트영역(510)이 화면(151)의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며 생성된다. 즉, 기본적인 분할 방식은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5b에서와 같이 단말(100)이 회전된 상태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5c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분할 모드로 진입 시 페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c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back 키를 롱 푸시하여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5c의 (b)를 참조하면, 화면(151)의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며 생성된 리스트영역(510)을 경계로 화면(151)이 제1 및 제2 화면영역(520, 530)으로 분할된다. 이때,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리스트영역(510)의 하위 레이어에 흐릿한 이미지 효과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5c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512)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5c의 (d)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510)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여 리스트영역(510)은 바(bar)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면영역(520)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530)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분할 모드로 진입하여 페어 아이콘을 선택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페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된다.
한편, 분할 모드에서 페어 아이콘이 아닌 아이콘이 선택될 수도 있다.
도 5d는 홈 화면에서 분할 모드로 진입 시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d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back 키를 롱 푸시하여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영역(510), 제1 및 제2 화면영역(520, 530)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리스트영역(510)의 하위 레이어에 흐릿한 이미지 효과와 함께 출력될 수 있으며, 리스트영역(510)의 인디케이터(540)는 제2 화면영역(530)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514)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실행하고자 하는 화면영역으로 아이콘(514)을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d의 (c)를 참조하면, 제2 화면영역(530)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그 후, 인디케이터(540)가 향하는 방향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제1 화면영역(520)으로 전환된다.
이때, 사용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516)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5d의 (d)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510)은 바 형태로 전환되고, 제1 화면영역(520)에서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530)에서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스트영역의 인디케이터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화면영역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디케이터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여 인디케이터가 향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5e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분할 모드로 진입 시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e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back 키를 롱 푸시하여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영역(510), 제1 및 제2 화면영역(520, 530)이 생성될 수 있다.
도 5e의 (c)를 참조하면, 실행 중이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리스트영역(510)의 하위 레이어에 흐릿한 이미지 효과와 함께 출력되며, 인디케이터(540)는 제2 화면영역(530)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516)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5e의 (d)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510)은 바 형태로 전환되고, 제1 화면영역(520)에서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530)에서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는 분할 모드 진입 시 아이콘을 선택한 후 페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저 선택한 아이콘과 상관없이 페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페어 아이콘에 포함된 아이콘의 배치에 따라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 페어 아이콘(600)은 제1 및 제2 아이콘(610, 62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아이콘(610)에 대응하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아이콘(620)에 대응한다.
도 6a의 (a)를 참조하면, 페어 아이콘(600)에서 제1 아이콘(610)이 좌측 상단에 배치되고 제2 아이콘(620)이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의 (b)를 참조하면, 페어 아이콘(600)에서 제1 아이콘(610)이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제2 아이콘(620)이 하단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페어 아이콘(600)을 선택하면, 제1 화면영역(630)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화면영역(640)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페어 아이콘(600)에서 제1 아이콘(610)이 우측 하단에 배치되고 제2 아이콘(620)이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페어 아이콘(600)을 선택하면, 제1 화면영역(630)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화면영역(640)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페어 아이콘(600)에서 제1 아이콘(610)이 좌측 중앙에 배치되고 제2 아이콘(620)이 우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페어 아이콘(600)을 선택하면, 단말(10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와 같이 화면(151)이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면영역(650)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화면영역(660)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페어 아이콘(600)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아이콘(610, 620)의 위치를 변경하여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화면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도 6a의 (a)에서 제1 및 제2 아이콘(610, 620)을 동시에 터치한 후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아이콘(610, 620)은 도 6b에서와 같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영역이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b에서 제1 아이콘(610)을 드래그하여 페어 아이콘(600)의 좌측 상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2 아이콘(620)을 드래그하여 페어 아이콘(600)의 우측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아이콘(610, 620)은 도 6a의 (a)에서와 같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영역이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리스트영역에 포함되는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은 다양한 방식으로 선정될 수 있다.
도 7은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분할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10)이 리스트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 제1 화면영역에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화면영역에서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10)이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20)이 리스트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한 쌍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실행된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페어 아이콘(720)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 어플리케이션 및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실행된 횟수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실행된 횟수보다 많은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화 어플리케이션 및 주소록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22)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24)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0)이 리스트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보다 자주 사용된 경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2)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4)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0)이 리스트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제1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보다 자주 사용된 경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2)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4)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732)을 롱 터치 또는 숏 터치하여 선택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횟수가 가장 많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과 그 다음으로 함께 실행된 횟수가 많은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이 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팝업 창에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32-1)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및 사진첩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732-2)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와 같이 리스트영역에 출력되는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이 선정된 이유를 설명해주는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리스트영역에 출력되는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이 선정된 이유를 설명해주는 페이지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810)이 실행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키를 푸시하는 경우, 도 8의 (b) 내지 (d)와 같은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리스트영역에 출력된 아이콘들(81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던 정도(빈도 수)를 그래프로 표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제1 화면영역(82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정도를 도형으로 표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제1 화면영역(82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정도와 제2 화면영역(830)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정도를 도형으로 표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스트영역에 출력되는 페어 아이콘 및 아이콘이 선정된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분할된 화면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이 선정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체 화면(151)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분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화면영역(910)에는 전체 화면(151)에서 실행 중이던 제1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고, 제2 화면영역(920)에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이 가수가 노래하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80)는 재생되고 있는 노래나 방송 콘텐츠를 인식하거나 가수의 얼굴을 인식하는 등의 기법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제2 화면영역(9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화면영역(910)의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노래, 이 노래가 포함된 앨범 정보, 가수와 관련된 기사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여 제2 화면영역(9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화면영역(910)에 출력되는 가수가 여러 명인 경우, 사용자가 특정 가수의 얼굴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선택된 가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2 화면영역(920)에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화면영역(910)에서 노래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 제2 화면영역(920)에는 해당 노래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해당 노래를 다운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화면영역(910)에서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제2 화면영역(920)에는 해당 방송의 다음 회차 방송이나 동 시간대 방송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2 화면영역(920)에 추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디폴트(default)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 사전에 설정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실행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자동으로 분할 모드로 진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체 화면(151)에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대화창에 링크된 주소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링크된 주소를 클릭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화면(151)이 자동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back 키를 롱 푸시할 필요 없이 화면(151)이 분할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새로운 창이 화면(151)의 아래쪽에서부터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효과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새로운 창에 링크된 주소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체 화면(151)에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파일 첨부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도 10의 (d)를 참조하면,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파일 첨부 버튼을 터치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화면(151)이 자동적으로 분할되며, 출력된 새로운 창에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전체 화면(151)에서 실행 중인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에 전화하기(1110), A(사람이름,1120), 영화(1130) 및 신사역(1140)의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텍스트를 터치하여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화하기(1110) 텍스트를 터치하면, 앞서 설명한 분할 모드 진입의 경우처럼 화면이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면영역(1150)에는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이 그대로 실행되고 제2 화면영역(1160)에는 전화를 걸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화면영역(1150, 1160) 사이에 출력된 영역(리스트영역)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연락처를 터치나 드래그로 선택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메모장에 포함된 사람이름(A, 1120)을 터치하면 바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화(1130) 텍스트를 터치하면, 화면(151)이 자동으로 분할되고 새로운 화면영역(1160)에 영화를 예매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신사역(1140) 텍스트를 터치하면, 화면(151)이 자동으로 분할되고 새로운 화면영역(1160)에 지도를 검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신사역과 단말(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지도 검색 어플리케이션에 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텍스트 기반의 검색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화면(151)에서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신문 기사를 보는 중, 특정 영어 단어를 롱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영어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영어 사전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어 단어의 뜻을 자주 검색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화면(151)을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영역에 영어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한글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웹 검색이나 메모를 자주 실행하였음을 파악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분할된 화면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이미지 종류에 따라 추천하거나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식 이미지를 롱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당 음식을 만드는 방법 등이 분할된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인물 사진을 롱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당 인물의 프로필 등이 분할된 화면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제1 객체가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1 객체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3은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호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화면영역(1310)에서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화면영역(1320)에서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사진에 대응하는 썸 네일(1330)을 터치나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1330)은 제1 화면영역(1310)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 변화 효과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화면영역(1310)에서 실행 중인 SNS 어플리케이션이 별도의 사진 업 로드 제어 명령을 입력받지 않아도 전달된 사진(1330)이 자동으로 업 로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제2 화면영역(1320)에서 URL(장소포함)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1 화면영역(1310)에서 실행 중인 SNS 어플리케이션이 별도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지 않아도 전달된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업 로드할 수 있다.
그 결과, 선택된 객체의 종류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등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전달되는 객체 정보의 타입(type)은 전달받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타입으로 변경되어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전달받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이고 선택된 객체는 '사과'라는 텍스트 타입인 경우, 해당 객체의 타입을 이미지로 전환한 후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에는 사과 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전송받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이미지 파일과 텍스트 파일 간의 파일 변환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복수의 분할된 화면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으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리스트영역을 경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pair) 아이콘이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되면, 상기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 사전에 설정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영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객체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a)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모드로의 진입을 입력받는 단계;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리스트영역을 경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화면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c)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pair) 아이콘이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되면, 상기 페어 아이콘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각각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할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리스트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상기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영역에서 함께 실행된 횟수에 따라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화면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화면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객체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47514A 2013-04-29 2013-04-2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2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14A KR102127925B1 (ko) 2013-04-29 2013-04-2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4/207,241 US20140325428A1 (en) 2013-04-29 2014-03-1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14163471.7A EP2799972B1 (en) 2013-04-29 2014-04-03 Mobile terminal capable of dividing a scree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N201410177938.0A CN104125332B (zh) 2013-04-29 2014-04-29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14A KR102127925B1 (ko) 2013-04-29 2013-04-2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24A KR20140128724A (ko) 2014-11-06
KR102127925B1 true KR102127925B1 (ko) 2020-06-29

Family

ID=5077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14A KR102127925B1 (ko) 2013-04-29 2013-04-2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25428A1 (ko)
EP (1) EP2799972B1 (ko)
KR (1) KR102127925B1 (ko)
CN (1) CN1041253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1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출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5201B2 (en) * 2008-06-05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erministic control of foreground access of the user interface
US8902272B1 (en) 2008-11-24 2014-12-02 Shindig, Inc. Multiparty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that employ composite communications
US9401937B1 (en) 2008-11-24 2016-07-26 Shindi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amongst multiple users
US9344745B2 (en) 2009-04-01 2016-05-17 Shindig, Inc. Group portraits composed using video chat systems
US8779265B1 (en) 2009-04-24 2014-07-15 Shindig, Inc. Network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collectively generate sound
KR101957173B1 (ko) *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71010B2 (en) 2013-10-31 2019-04-23 Shindi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content
US9933922B2 (en) * 2014-03-27 2018-04-03 Sybase, Inc. Child container control of parent container of a user interface
US20150304376A1 (en) * 2014-04-17 2015-10-22 Shindi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mposite audience view
US9733333B2 (en) 2014-05-08 2017-08-15 Shindi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rticipant attentiveness within events and group assortments
KR20160041610A (ko)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6071B1 (ko) * 2014-12-12 202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D781891S1 (en) * 2014-12-17 2017-03-21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35373B1 (ko) * 2014-12-18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97330B1 (ko) * 2015-01-16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4536795B (zh) * 2015-01-23 2017-03-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装置
KR102355935B1 (ko) * 2015-02-27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입력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4735255B (zh) * 2015-03-27 2018-0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和系统
CN104731460B (zh) * 2015-04-02 2018-0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6161765A (zh) * 2015-04-24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启动方法及相应的移动终端
US20160349961A1 (en) * 2015-06-01 2016-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idy correlated icon depending on the favorite
US10353047B2 (en) 2015-06-19 2019-07-16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location determined by wireless signals
CN106293444B (zh) 2015-06-25 2020-07-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5245723B (zh) * 2015-10-28 2018-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信息更新装置及方法
CN105430168A (zh) * 2015-10-30 2016-03-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和分享文件的方法
US9571163B1 (en) * 2015-10-30 2017-0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earfield localization using phase and RSSI diversity
CN105320407A (zh) * 2015-11-12 2016-02-1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照片人物社交动态的方法及装置
CN105573597B (zh) * 2015-12-10 2018-12-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列表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7305457A (zh) * 2016-04-20 2017-10-31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应用处理方法、设备、界面系统、控制设备及操作系统
US10133916B2 (en) 2016-09-07 2018-11-20 Steven M. Gottlieb Image and identity validation in video chat events
US11334170B2 (en) * 2016-11-21 2022-05-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KR20180095197A (ko) * 2017-02-17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220040A (zh) * 2017-04-13 2017-09-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应用分屏分级显示装置及其方法
JP6885221B2 (ja) * 2017-06-30 2021-06-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2394718B1 (ko) * 2017-08-22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N107508990A (zh) * 2017-08-29 2017-12-22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的方法以及终端设备
CN107992257B (zh) * 2017-12-08 2021-1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屏方法及装置
KR102521734B1 (ko) * 2018-01-08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08563374A (zh) * 2018-03-05 2018-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6204088A (zh) * 2018-03-26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8762648A (zh) * 2018-04-28 2018-11-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操作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164950B (zh) 2018-07-04 2020-07-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系统界面设置方法、装置、介质和设备
CN109032448A (zh) * 2018-07-30 2018-1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599383B1 (ko) * 2018-10-26 2023-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9597546B (zh) * 2018-11-30 2021-06-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标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9618057A (zh) * 2018-12-28 2019-04-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01760B (zh) * 2019-01-21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1752508A (zh) * 2019-03-29 2020-10-0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投影多个车载屏幕的方法和车载投影系统
CN110333818A (zh) * 2019-05-24 2019-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456958A (zh) * 2019-07-19 2019-1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启动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0609724A (zh) * 2019-08-30 2019-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1075760A1 (en) * 2019-10-15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toggled application icon
CN111104043A (zh) * 2020-01-18 2020-05-05 深圳市瑞泰易生活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屏处理方法、分屏处理装置及烹饪机
WO2021225250A1 (ko) * 2020-05-07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343316B (zh) * 2020-05-25 2020-09-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折叠屏的终端
CN111638825B (zh) * 2020-05-27 2022-09-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17187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4296595A (zh) * 2021-12-29 2022-04-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4657A1 (en) * 1993-04-20 1994-10-27 Apple Computer Inc.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5754179A (en) * 1995-06-07 1998-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on facilitation on a graphical interface
US5838317A (en) * 1995-06-30 1998-11-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displayed graphical representations on a computer interface
US5745718A (en) * 1995-07-31 1998-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lder bar widget
US6088220A (en) * 1997-10-02 2000-07-11 Katz; Michael Pocket computer with full-size keyboard
US6415305B1 (en) * 1998-04-20 2002-07-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editable characters in a divided table cell
US6195094B1 (en) * 1998-09-29 2001-02-27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Window splitter bar system
US6842748B1 (en) * 2000-04-14 2005-01-11 Rightnow Technologies, Inc. Usage based strength between related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6661436B2 (en) * 2000-12-07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window snap control for a split screen computer program GUI
US20020103753A1 (en) * 2001-01-31 2002-08-01 Michael Schimmel Charge splitter application
US20040153973A1 (en) * 2002-11-21 2004-08-05 Lawrence Horwitz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oring and recalling application states based on application contexts
US20050005249A1 (en) * 2003-07-01 2005-01-06 Microsoft Corporation Combined content selection and display user interface
US7036088B2 (en) * 2003-07-24 2006-04-25 Sap Ag Multi-modal method for application swapping
CN1283125C (zh) * 2003-08-05 2006-11-0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话通信系统
US20060020903A1 (en) * 2004-07-26 2006-01-26 Shih-Yang Wang Window split system and method
US7581192B2 (en) * 2005-03-31 2009-08-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window grouping and management
US8593502B2 (en) * 2006-01-26 2013-11-26 Polycom, Inc. Controlling videoconference with touch screen interface
EP1895382A1 (en) * 2006-08-28 2008-03-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Three row qwerty keyboard layout for compact landscape portable handheld messaging devices
TW200823739A (en) * 2006-11-22 2008-06-01 Ulead Systems Inc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items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90019385A1 (en) * 2007-07-12 2009-01-15 Nvidia Corporation 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US8214760B2 (en) * 2008-01-16 2012-07-03 Microsoft Corporation Window minimization trigger
US8434019B2 (en) * 2008-06-02 2013-04-30 Daniel Paul Nels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windows on a display
ES2630408T3 (es) * 2008-12-01 2017-08-21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 un icono de ejecución de terminal móvil
US20100146431A1 (en) * 2008-12-09 2010-06-10 Microsoft Corporation Object picker with window splitter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01040B1 (ko) * 2009-05-1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77284B2 (en) * 2009-11-04 2014-03-18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contents in a user interface
US10788976B2 (en) *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20110252349A1 (en) * 2010-04-07 2011-10-13 Imran Chaudhri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8799815B2 (en) * 2010-07-30 2014-08-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an item in a folder
JP5333397B2 (ja) * 2010-09-27 2013-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583901A3 (en) * 2011-02-28 2020-01-15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analyte monitoring devic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KR101770269B1 (ko) * 2011-03-30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20304132A1 (en) *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032292B2 (en) * 2012-01-19 2015-05-12 Blackberry Limited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maximized applications o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s
US10180727B2 (en) * 2012-09-28 2019-01-15 Tesla, Inc. Method of launching an application and selecting the application target window
US9582133B2 (en) * 2012-11-09 2017-02-28 Sap Se File position shortcut and window arran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1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출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5332B (zh) 2016-05-11
EP2799972A2 (en) 2014-11-05
US20140325428A1 (en) 2014-10-30
EP2799972B1 (en) 2017-08-30
CN104125332A (zh) 2014-10-29
EP2799972A3 (en) 2015-04-22
KR20140128724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89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650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993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307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34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575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635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9786B1 (ko)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8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882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561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58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245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5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3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KR1021068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7962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45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