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746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746B1
KR102080746B1 KR1020130082377A KR20130082377A KR102080746B1 KR 102080746 B1 KR102080746 B1 KR 102080746B1 KR 1020130082377 A KR1020130082377 A KR 1020130082377A KR 20130082377 A KR20130082377 A KR 20130082377A KR 102080746 B1 KR102080746 B1 KR 10208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output
photographe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069A (ko
Inventor
이지은
이재화
남궁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746B1/ko
Priority to US14/304,325 priority patent/US9491354B2/en
Priority to EP21193336.1A priority patent/EP3934220A1/en
Priority to EP14175437.4A priority patent/EP2827574B1/en
Priority to CN201410332358.4A priority patent/CN104284088B/zh
Publication of KR2015000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5Record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e.g. burs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8Mobile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상기 제1 시점의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 설정한 특정조건에서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사람이나 사물 등 다양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 원하는 장면을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있는 이미지들, 예를 들면 동일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이나 일정 시간 내에 촬영한 이미지들을 한번에 모아서 보거나 이어서 보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촬영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상기 제1 시점의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 설정한 특정조건에서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한 특정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시간 내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가 사전에 설정한 일정 거리 내에서 촬영된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에 동일한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인접시켜 출력하며, 상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 사이에 상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를 연결해주는 링크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링크 객체에 인접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인접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여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b) 기 설정한 특정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상기 제1 시점의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한 특정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시간 내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가 사전에 설정한 일정 거리 내에서 촬영된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에 동일한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d1)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인접시켜 출력하며, 상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 사이에 상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를 연결해주는 링크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상기 링크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링크 객체에 인접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d2)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인접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여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터치하기 전후 일정 시간 동안에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있는 이미지들, 예를 들면 동일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이나 일정 시간 내에 촬영한 이미지들을 한번에 모아서 출력하거나 하나의 동영상처럼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출력될 이미지들을 선택하거나 이어서 출력되는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를 제외하는 등의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출력될 이미지들을 편집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재생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 도 9, 도 10a 및 도 10b는 연속적으로 재생될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재생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이미지에 포함된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텍스트가 출력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재생할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캡처한 이미지를 썸네일로 출력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3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사람이나 사물 등 다양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 원하는 장면을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있는 이미지들, 예를 들면 동일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이나 일정 시간 내에 촬영한 이미지들을 한번에 모아서 보거나 이어서 보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생성부,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우선,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카메라(121)의 촬영 버튼을 터치하여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키로 구현된 카메라(121)의 촬영 버튼을 푸시하여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과 제1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시간 동안 자동으로 촬영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21)의 촬영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서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촬영 버튼이 선택되기 전 일정 시간 동안 미리 자동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며, 촬영 버튼이 선택된 이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촬영 버튼이 선택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상기 제1 시점의 이후 시점인 제2 시점과 제2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시간 동안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와 S120 단계에서 생성한 이미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 설정한 특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기 설정한 특정 조건은 촬영 버튼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터치 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한 일정 거리 내에서 촬영 버튼이 연속적으로 터치 되는 경우, 촬영 버튼이 터치 되는 각각의 시점에서 생성한 이미지에 특정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촬영된 이미지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기 설정한 특정 조건 만족 시 자동으로 촬영된 이미지와 중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버튼이 제1 시점에서 선택되고 제1 시점으로부터 10초 이내인 제2 시점에서 촬영 버튼이 다시 선택되는 경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 버튼이 선택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에펠탑 주변에서 제1 이미지를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하고, 제1 이미지를 촬영한 지점으로부터 반경 1m 이내에서 다시 제2 이미지를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미지의 촬영 후 제2 이미지가 촬영되기 전 촬영 버튼이 선택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촬영 버튼을 눌러 움직이고 있는 아이의 모습인 제1 및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이미지의 촬영 후 제2 이미지가 촬영되기 전 촬영 버튼이 선택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 예에 있어서, 촬영 버튼이 터치 된 각각의 시점과 각각의 시점 전후로 촬영하여 생성한 복수의 이미지 중 일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촬영 버튼이 터치 되지 않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특정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촬영 버튼이 터치 되지 않아도 해당 촬영 모드를 해제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자동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특정 촬영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촬영 버튼이 터치 되지 않아도 상기 기 설정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자동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촬영 모드로 진입하거나 촬영 버튼이 터치 되지 않아도 항상 자동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60)의 용량을 고려하여 자동 촬영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이미지는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촬영 버튼이 터치 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전에 설정한 시간 간격마다 촬영하여 생성한 복수의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이어서, 카메라(121)의 촬영 버튼이 눌러진 제1 시점과 제1 시점 전후의 시간 동안 촬영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그 다음,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중, 생성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30)가 진행된다.
S230 단계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삭제하는 단계(S240)가 진행된다.
이어서, 카메라(121)의 촬영 버튼이 눌러진 제2 시점과 제2 시점 전후의 시간 동안 촬영하여 생성한 복수의 이미지와 S220 단계에서 생성한 복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 단계(S250)가 진행된다.
이때, S250 단계는 도 4a에서 설명한 S130 단계와 유사하게 진행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자동 촬영되는 이미지는 스틸(still) 이미지이거나 동영상일 수도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재생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진첩에 출력된 복수의 사진 이미지의 썸네일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썸네일에는 촬영 버튼이 터치 된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출력되며, 촬영 버튼이 터치 되기 전후 시간 동안 촬영한 이미지가 존재함을 나타내주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썸네일에 동영상의 재생 버튼(512)이나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미지의 수(514)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이미지의 썸네일(51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아래 겹쳐져 있는 다른 썸네일들을 출력하여 연속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도 5의 (a)에서 사용자가 썸네일(510)을 터치하면, 이에 대응하는 사진 이미지가 크게 출력될 수 있다. 현재 출력된 이미지에는 걸어가고 있는 사람(520)이 포함되어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도 5의 (b)에서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출력되어 있는 재생 버튼(530)을 터치하면, 촬영 버튼이 터치 되기 전 일정 시간 동안 촬영한 이미지들, 촬영 버튼이 터치 된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 촬영 버튼이 터치 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촬영한 이미지들이 촬영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동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b)에서 출력된 사람(520)이 전후 시점에서 연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에 의해 걸어가고 있는 동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시점에서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와 제2 시점에서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인접시켜 출력하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 사이에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를 연결해주는 링크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a의 (a)를 참조하면, 사진첩에 출력된 각각의 썸네일에는 촬영 버튼이 터치 된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출력되며, 각각의 썸네일을 이어주는 링크 객체도 함께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에서 촬영한 제1 이미지(610)를 포함하는 제1 썸네일과 제2 시점에서 촬영한 제2 이미지(620)를 포함하는 제2 썸네일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썸네일을 이어주는 연결 고리 모양의 링크 객체(630)도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객체(630)는 연결된 이미지들이 이어서 출력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링크 객체(630)는 사전에 설정한 일정 시간 내에 촬영된 이미지들,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들, 같은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이어줄 수 있다.
예를 들면, 같은 장소에서 10초 이내에 연속적으로 촬영된 제1 및 제2 이미지의 썸네일은 링크 객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이어진 하나의 동영상처럼 출력될 수 있다.
도 6a의 (b) 및 도 6b의 (a)를 참조하면, 도 6a의 (a)에서 사용자가 제1 썸네일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1 이미지(610)와 제1 이미지(61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이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링크 객체(630)로 연결된 제2 이미지(620)가 촬영되기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 제2 이미지(620), 제2 이미지(62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인 제2 복수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제2 이미지(620)가 또 다른 링크 객체로 제3 이미지와 이어지는 경우, 제3 이미지가 촬영되기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 제3 이미지, 제3 이미지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인 제3 복수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앞서 가정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2 썸네일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2 이미지(620), 제2 이미지(62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 제3 복수의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촬영한 이미지의 썸네일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링크 객체로 이어지는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6b의 (b)를 참조하면, 재생될 수 있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각각의 썸네일들이 재생 바(640) 위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640) 위에는 제1 이미지(610)가 촬영되기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 제1 이미지(610)의 썸네일, 제1 이미지(61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650, 660)의 썸네일, 링크 객체(630)로 연결된 제2 이미지(620)가 촬영되기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670)의 썸네일, 제2 이미지(620)의 썸네일, 제2 이미지(62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680)의 썸네일 등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바(640) 위에 출력되는 썸네일 중 촬영 버튼을 직접 눌러 촬영한 이미지(610, 620)에는 이를 나타내주는 객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썸네일의 프레임을 굵게 표시하거나 썸네일을 다른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전체 화면(151)에 촬영 버튼을 직접 눌러 촬영한 이미지(610, 620)가 재생되는 경우, 촬영 버튼이 눌러질 때 출력되는 것과 유사한 플래시 효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촬영 버튼이 눌러질 때 출력되는 '찰칵' 등의 음향 효과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링크 객체(630)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이미지(610, 620) 사이에는 중복되는 이미지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61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과 제2 이미지(620)가 촬영되기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 사이에는 공통된 이미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복되는 이미지는 하나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가 중복됨을 나타내주는 객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중복 이미지는 한 번만 출력하며, 출력된 이미지를 다른 색상으로 하여 중복됨을 나타내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바(640) 위에 출력된 이미지(660)의 썸네일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당 이미지(660)에 이어서 바(640) 위에 출력된 이미지들(670, 620, 680)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과 제1 시점의 전후 시간 동안 촬영하여 생성한 제1 복수의 이미지와,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2 시점과 제2 시점의 전후 시간 동안 촬영하여 생성한 제2 복수의 이미지는 인접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복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와 선택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도 7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이미지(710, 720)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썸네일을 연결해주는 링크 객체(730)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1 이미지(71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과 제2 이미지(720)가 촬영된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740)이 펼쳐질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들은 촬영된 시간순서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71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과 제2 이미지(720)가 촬영된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740)을 촬영된 시간 순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들(740)은 도 7a의 (a)와 같이 원래 화면에 출력되거나, 도 7a의 (b)에서와 같이 비어있는 공간이 생기도록 화면이 전환된 후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플리킹 입력으로 이어지는 썸네일들(740)을 넘겨 확인할 수 있다.
도 7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넘겨진 썸네일 중 하나(744)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당 썸네일의 이미지(744)부터 시간 순서에 따라 출력된 썸네일의 이미지들(746)과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한 이미지들(720)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썸네일의 이미지(744), 선택된 썸네일 이후 이어지는 썸네일의 이미지(746), 제2 이미지(720), 제2 이미지(720)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 제2 이미지(720)와 링크 객체로 연결된 제3 이미지가 촬영된 이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 제3 이미지, 제3 이미지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이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7b의 (b)에서, 각각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썸네일들이 재생 바(75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이미 재생된 이미지의 썸네일이나 선택받은 썸네일의 이미지보다 먼저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742)에는 흐릿한 이미지 효과가 더해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도 9, 도 10a 및 도 10b는 연속적으로 재생될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썸네일(810, 820)을 연결하는 링크 객체(830)를 롱 터치하거나 링크 객체(830)에 위에서 아래로의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링크 객체(830)가 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제1 썸네일(810)을 터치하면 제1 썸네일에 포함된 제1 이미지, 제1 이미지 이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만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된다. 즉, 제2 썸네일(820)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제2 썸네일에 포함된 제2 이미지, 제2 이미지 촬영 시점 전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이어서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링크 객체(830)를 끊어주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촬영 버튼을 눌러 직접 촬영하지 않은 자동 촬영 이미지들은 모두 삭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이미지 이외에 제1 및 제2 이미지의 전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 촬영된 이미지들은 삭제될 수 있다.
도 8b의 (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썸네일(810, 820)을 동시에 터치한 후 안쪽으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거나 썸네일의 위치를 바꿔주는 입력을 가하면, 썸네일(810, 820)의 위치가 교환된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출력되는 이미지들의 순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분리되어 있는 제1 및 제2 썸네일(910, 920)을 동시에 터치하거나 제1 및 제2 썸네일(910, 920)의 각각에 안쪽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제1 및 제2 썸네일(910, 920)이 링크 객체(930)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제1 썸네일(910)을 터치하면, 제1 썸네일(910)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제1 이미지가 촬영된 이후 시간 동안에 촬영된 이미지들, 링크 객체(930)로 연결된 제2 복수의 이미지들(제2 썸네일(920)에 포함된 제2 이미지, 제2 이미지 촬영 시점 전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가 촬영되기 이전 시간 동안에 촬영된 이미지들부터 재생하기 원하는 경우, 제1 썸네일(910)의 아래 겹쳐져 있는 썸네일(912)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복수의 이미지(제1 썸네일(910)에 포함된 제1 이미지, 제1 이미지 촬영 시점 전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와 제2 복수의 이미지들(제2 썸네일(920)에 포함된 제2 이미지, 제2 이미지 촬영 시점 전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촬영된 시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한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가 촬영되는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동안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추가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편집한 복수의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도 10a의 (a)를 참조하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썸네일(1030)을 제2 썸네일(1020)로 드래그하면, 해당 이미지가 제2 복수의 이미지들에 추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또는 제2 썸네일(1010, 1020)이 선택되면, 드래그 된 썸네일(1030)의 이미지가 추가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추가되는 이미지의 재생 순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되는 이미지는 제2 썸네일(1020)의 이미지 이전 또는 이후에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0a의 (b)를 참조하면, 링크 객체(1040)를 선택하면 제1 썸네일(1010)의 제1 이미지가 촬영된 이후 촬영된 이미지들과 제2 썸네일(1020)의 제2 이미지가 촬영되기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1050)이 펼쳐져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추가 이미지의 썸네일(1030)을 펼쳐진 썸네일(1050) 중 하나인 제3 썸네일(1052)로 드래그하면, 제3 썸네일(1052)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 이후 추가 이미지가 재생될 수 있다. 즉, 추가 이미지가 재생될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b의 (a)를 참조하면, 제2 썸네일(1020)을 화면(151)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드래그하거나 임의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2 이미지가 삭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이미지를 제외한 이미지들만이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에 이어서 촬영된 이미지의 썸네일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0b의 (b)를 참조하면, 링크 객체(1040)를 터치하여 펼쳐진 썸네일(1050) 중 삭제하고자 하는 것(1052)을 비어있는 공간이나 임의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삭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선택된 썸네일(1052)의 이미지를 제외한 이미지들만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10b의 (c)를 참조하면, 썸네일(1052)을 비어있는 공간으로 드래그하여 썸네일(1052)에 대응하는 이미지만을 별도의 공간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선택된 썸네일(1052)의 이미지를 제외한 이미지들만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된 이미지(1052)는 삭제되지 않으며 한 장의 이미지로 별로도 존재하게 된다.
도 11은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재생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및 제2 썸네일(1110, 1120)을 연결해주는 제1 링크 객체(1150)에 펼쳐진 썸네일 중 하나(1142)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썸네일(1142)의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들(1144, 1146)이 제1 링크 객체(1150)에 펼쳐진 썸네일 내부(1140)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제1 링크 객체(1150)에 펼쳐진 썸네일(1142, 1144, 1146)의 이미지들이 모두 출력된 후, 제2 및 제3 썸네일(1120, 1130)을 연결해주는 제2 링크 객체(1160)에 출력되는 썸네일(1170) 내부에 자동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썸네일(1120)의 제2 이미지, 제2 이미지 촬영 후 촬영된 이미지들과 제3 이미지 촬영 전 촬영된 이미지들, 제3 이미지, 제3 이미지 촬영 후 촬영된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제2 링크 객체(1160) 위의 썸네일(1170) 내부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이미지(1210)에 핀치 아웃 입력을 가하면, 제1 이미지(1210)와 제1 이미지 촬영 전후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중 일부(1220, 1230, 1240)가 펼쳐질 수 있다.
도 12b의 (a)를 참조하면, 도 12a의 (b)에서 사용자가 핀치 아웃 입력을 다시 가하면, 도 12a의 (b)에서 출력된 이미지들(1210, 1220, 1230, 1240)에 제1 이미지 촬영 전후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중 일부(1250, 1260, 1270, 1280)가 더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핀치 아웃 입력을 한번 가하면, 제1 이미지(1210)와 제1 이미지 촬영 0.5초 전에 촬영한 이미지(1220), 제1 이미지 촬영 후 0.5초 뒤에 촬영한 이미지(1230), 제1 이미지 촬영 후 1초 뒤에 촬영한 이미지(1240)가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다시 핀치 아웃 입력을 가하면, 앞서 출력된 이미지들(1210, 1220, 1230, 1240)과 함께 제1 이미지 촬영 1초 전과 1.5초 전에 촬영한 이미지들(1250, 1260), 제1 이미지 촬영 후 1.5초와 2초 뒤에 촬영한 이미지들(1270, 1280)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연속적인 핀치 아웃 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더 좁은 시간 간격으로 자동 촬영된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한 이미지에 처음 핀치 아웃 입력을 가하면, 16초 동안 자동 촬영된 이미지들 중 4초 간격으로 촬영한 4장의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출력된 4장의 이미지들에 다시 핀치 아웃 입력을 가하면, 2초 간격으로 촬영한 8장의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b의 (b)를 참조하면, 도 12b의 (a)에서 사용자가 출력된 이미지들 중 하나(1220)를 선택하면, 해당 이미지(1220)부터 시간순서대로 촬영된 이미지들(1210, 1230, 1240, 1270, 1280)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될 수 있는 이미지들의 썸네일(1220, 1210, 1230, 1240, 1270, 1280)이 재생 바(1290) 위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미 출력된 이미지의 썸네일이나 선택된 이미지 촬영 시점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에는 흐릿한 이미지 효과가 더해질 수 있다. 또는, 선택한 이미지의 썸네일(1220)부터 재생 바(1290) 위에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이미지(1220)의 재생 중 재생 바(1290) 위에 출력된 썸네일 중 하나(1240)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화면(151)이 전환되며 해당 썸네일(1240)에 대응하는 이미지부터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a의 (a)를 참조하면,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들이 펼쳐져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중 하나(1310)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제1 이미지의 썸네일(1310)을 더블 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3a의 (b)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1310)와 재생 바(1320)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재생 바(1320)의 위치를 드래그 입력으로 조절하여 재생 바(13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왼쪽으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제1 이미지(1310) 촬영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제1 이미지(1310) 촬영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긴 사진처럼 제공된 이미지 파일들을 좌우로 드래그하여 앞뒤 이미지들을 검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미지들의 재생 순서에 따라 하단의 재생 바(1320)에 재생할 이미지들의 썸네일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3a의 (b)에 출력된 이미지에 플리킹 입력을 가하여, 이미지들을 넘겨서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왼쪽으로 플리킹 입력을 가하면 제1 이미지(1310) 촬영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플리킹 입력을 가하면 제1 이미지(1310) 촬영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3b의 (a)를 참조하면,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아이콘들(1330, 1340)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한 장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위치 정보 아이콘(1340)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이미지에 음성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음성 정보 아이콘(1330)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1310)가 촬영된 장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1 이미지(1310)의 출력 시 위치 정보 아이콘(1340)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제1 이미지(1310) 이후 출력되는 이미지에 음성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출력되었던 위치 정보 아이콘(1340)은 사라지며 음성 정보 아이콘(1330)이 출력되어 진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위치 및 음성 정보 아이콘(1340, 1330)은 계속 출력되어 있으며, 출력되는 이미지에 음성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음성 정보 아이콘(1330)만을 크게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 강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음성 정보 아이콘(1330)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1 이미지(1310)가 지속적으로 출력된 채 음성만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151)에는 제1 이미지(1310)가 출력되고, 출력된 이미지(1310)의 전후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에 포함된 음성만이 송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자동으로 제1 이미지(1310)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동시에 이미지에 포함된 음성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재생 바(1320)에 가해지는 드래그 입력이나 이미지에 가해지는 플리킹 입력 없이 다음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출력될 수 있다.
도 13b의 (b)를 참조하면, 음성 정보 아이콘이 선택되면 음성이 출력되며, 음성 정보 아이콘(1330)이 텍스트 정보 아이콘(1350)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텍스트 정보 아이콘(1350)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음성 정보가 텍스트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가 화면(151)의 하단이나 가장자리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에 음성의 발화자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해당 발화자를 향하는 말풍선에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1310)에 포함된 발화자(1360)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후, 발화자를 향하는 말풍선(1370)에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성도 함께 송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자동으로 제1 이미지(1310)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동시에 이미지에 포함된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재생 바(1320)에 가해지는 드래그 입력이나 이미지에 가해지는 플리킹 입력 없이 다음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출력될 수 있다.
도 14는 이미지에 포함된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텍스트 정보 아이콘(1410)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화면이 넘어가는 동시에 이미지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전환한 텍스트(1420)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해당 텍스트의 음성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발화자 별로 발화자가 말한 텍스트를 담고 있는 말풍선(1420, 1430)이 출력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말풍선(1420, 1430)은 서로 다른 색상이나 모양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편집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말풍선(142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선택된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텍스트 편집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말풍선(1420)이 크게 출력되며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는 커서(1440)가 말풍선(1420) 내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후 음성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수정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즉, 텍스트의 수정으로 출력되는 음성 정보 또한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출력된 텍스트를 삭제하여 음성을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음성 정보 아이콘(1330)이 선택되면 음성 정보 아이콘(1330)이 텍스트 정보 아이콘(1350 또는 1410)으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아이콘(1330, 1350 또는 1410)이 별도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음성 및 텍스트 정보 아이콘(1330, 1350 또는 1410)이 각각 한번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5는 텍스트가 출력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이미지(1520)에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1510)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된 이미지(1520)를 롱 터치나 더블 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출력된 이미지(1520)의 저장 여부를 물어보는 메시지 창(1530)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 버튼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텍스트(1510)를 표시하고 있는 이미지(1520)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텍스트(1510)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이전 이미지 대신 텍스트(1510)를 표시하고 있는 이미지(1520)가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전 이미지의 전후 이미지 중 하나로 텍스트(1510)를 표시하고 있는 이미지(1520)가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텍스트(1510)를 표시하고 있는 이미지(1520)와 함께 해당 텍스트의 음성 파일도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4에서의 텍스트 편집 후 편집된 화면을 더블 탭하면, 도 15의 (b)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의 저장 여부를 물어보는 메시지 창(153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6은 이미지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위치 정보 아이콘(1620)을 터치하면 출력되는 이미지(1610)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1630)가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1610)가 촬영된 위치를 나타내주는 지도(1630)나 제1 이미지(1610)가 촬영된 곳의 지명(1630)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출력된 정보(1630)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선택된 위치 정보(1630)와 관련된 이미지나 동영상의 썸네일들(1640)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1610)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이나 제1 이미지(1610)가 촬영된 장소와 관련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에 따라 복수의 썸네일 목록이 넘겨지며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출력된 복수의 썸네일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당 썸네일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재생할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이미지들의 썸네일이 출력된 화면을 롱 터치하면, 각각의 이미지마다 체크 박스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체크 박스(1712, 1722, 1732, 1742)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체크 박스(1712, 1722, 1732, 1742)에 체크 표시가 출력된다. 이후, 사용자는 재생 버튼(175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7b의 (a)를 참조하면, 체크 박스가 체크 된 이미지들(1710, 1720, 1730, 1740)만이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될 수 있으며, 체크 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썸네일들(1710, 1720, 1730, 1740)이 재생 바(1760)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체크 되지 않은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썸네일들도 흐릿한 효과와 함께 재생 바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7b의 (b)를 참조하면, 체크 된 이미지들(1710, 1720, 1730, 1740)이 모두 재생된 후, 재생된 이미지들(1710, 1720, 1730, 1740)로 새로운 파일을 만들 것인지 여부를 물어보는 메시지 창(177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네'를 선택하여 재생된 이미지들(1710, 1720, 1730, 1740)을 새로운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캡처한 이미지를 썸네일로 출력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1810)의 썸네일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경우, 제1 이미지(1810)부터 제1 이미지(1810) 촬영 이후 촬영된 이미지들(1830, 1840, 1850, 1820)이 동영상처럼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버튼을 눌러 제1 이미지(1810)를 촬영한 이후 자동 촬영된 이미지들(1830, 1840, 1850)과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한 제2 이미지(1820)가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미지들(1810, 1830, 1840, 1850, 1820)의 썸네일은 재생 바 위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한 제1 및 제2 이미지들(1810, 1820)의 썸네일에는 자동 촬영된 이미지들(1830, 1840, 1850)의 썸네일과 구분되는 이미지 효과가 더해질 수 있다.
도 18b의 (a)를 참조하면, 재생되는 자동 촬영 이미지 중 하나(1830)를 캡처 버튼(1860)을 선택하여 캡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처 버튼(1860)은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버튼이나 푸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물리적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b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캡처 된 이미지(1830)의 썸네일은 제1 및 제2 이미지(1810, 1820)의 썸네일 사이에 링크 객체로 연결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18a의 (a)와 비교하는 경우 캡처한 이미지(1830)의 썸네일이 제1 및 제2 이미지(1810, 1820)의 썸네일 사이에 링크 객체로 연결되어 출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터치하기 전후 일정 시간 동안에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있는 이미지들, 예를 들면 동일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이나 일정 시간 내에 촬영한 이미지들을 한번에 모아서 출력하거나 하나의 동영상처럼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출력될 이미지들을 선택하거나 이어서 출력되는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를 제외하는 등의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출력될 이미지들을 편집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상기 제1 시점의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 설정한 특정조건에서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한 특정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시간 내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가 사전에 설정한 일정 거리 내에서 촬영된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에 동일한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및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인접시켜 출력하며, 상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 사이에 상기 인접된 복수의 이미지를 연결해주는 링크 객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링크 객체에 인접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자동으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인접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여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하여 출력된 이미지 중, 선택한 이미지부터 상기 선택한 이미지 이후에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a)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시점에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b) 기 설정한 특정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이미지 생성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상기 제1 시점의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d) 사용자의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점 사이에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한 특정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시간 내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가 사전에 설정한 일정 거리 내에서 촬영된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에 동일한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30082377A 2013-07-12 2013-07-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77A KR102080746B1 (ko) 2013-07-12 2013-07-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4/304,325 US9491354B2 (en) 2013-07-12 2014-06-1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193336.1A EP3934220A1 (en) 2013-07-12 2014-07-0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75437.4A EP2827574B1 (en) 2013-07-12 2014-07-0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10332358.4A CN104284088B (zh) 2013-07-12 2014-07-11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77A KR102080746B1 (ko) 2013-07-12 2013-07-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69A KR20150009069A (ko) 2015-01-26
KR102080746B1 true KR102080746B1 (ko) 2020-02-24

Family

ID=5113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377A KR102080746B1 (ko) 2013-07-12 2013-07-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91354B2 (ko)
EP (2) EP2827574B1 (ko)
KR (1) KR102080746B1 (ko)
CN (1) CN1042840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5260049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响应于用户接触来显示附加信息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53A1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CN106201316B (zh) 2012-05-09 2020-09-29 苹果公司 用于选择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EP3264252B1 (en) 2012-05-09 2019-11-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mode of operation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EP2939095B1 (en) 2012-12-29 2018-10-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WO2014105275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EP3435220B1 (en) 2012-12-29 2020-09-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KR102000253B1 (ko) 2012-12-29 2019-07-16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KR102001332B1 (ko) 2012-12-29 2019-07-17 애플 인크. 콘텐츠를 스크롤할지 선택할지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50173116A1 (en) * 2013-12-13 2015-06-18 Mediatek Inc. Communications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50215530A1 (en) * 2014-01-27 2015-07-30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capture
KR102230267B1 (ko) 2014-09-04 2021-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067653B2 (en) 2015-04-01 2018-09-0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CN105335458B (zh) * 2015-09-23 2019-03-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片预览方法及装置
KR101832966B1 (ko) * 2015-11-10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49593B1 (ko) 2016-01-15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89653A (ko) * 2016-01-27 2017-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331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661644B (zh) * 2016-09-23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压力触控方法及终端
US11209306B2 (en) 2017-11-02 2021-12-28 Fluke Corporation Portable acoustic imaging tool with scanning and analysis capability
US11965958B2 (en) 2018-07-24 2024-04-23 Fluk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achable and attachable acoustic imaging sensors
CN109216862B (zh) * 2018-10-24 2021-09-10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支撑结构和折叠阵列天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769A (ja) * 2010-02-25 2011-09-08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332A (en) * 1992-10-09 1994-11-22 Apple Computer, Inc. Digital camera with time bracketing feature
JPH11232440A (ja) * 1998-02-18 1999-08-27 Casio Comput Co Ltd 画像処理装置
US6538698B1 (en) * 1998-08-28 2003-03-25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images in an image capture unit to ease browsing access
JP3890246B2 (ja) * 2002-04-05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304425A (ja) * 2003-03-31 2004-10-2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
ATE371335T1 (de) * 2003-12-01 2007-09-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Kamera zur aufnahme einer bildsequenz
JP4935356B2 (ja) * 2004-10-13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KR101351091B1 (ko) * 2006-12-22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JP4375442B2 (ja) * 2007-06-04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2009038649A (ja) * 2007-08-02 2009-02-19 Panasonic Corp 信号処理回路、及び撮影装置
JP5083090B2 (ja) 2007-09-18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95380B1 (ko) * 2009-05-07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350928B2 (ja) * 2009-07-30 2013-11-2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769A (ja) * 2010-02-25 2011-09-08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4088A (zh) 2015-01-14
US9491354B2 (en) 2016-11-08
US20150015763A1 (en) 2015-01-15
EP2827574B1 (en) 2021-09-15
KR20150009069A (ko) 2015-01-26
EP2827574A3 (en) 2015-04-15
CN104284088B (zh) 2019-06-11
EP3934220A1 (en) 2022-01-05
EP2827574A2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27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3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89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8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510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575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882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47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58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5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46767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7052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25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102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770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353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136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8409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093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986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