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379B1 -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 Google Patents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379B1
KR102108379B1 KR1020190139400A KR20190139400A KR102108379B1 KR 102108379 B1 KR102108379 B1 KR 102108379B1 KR 1020190139400 A KR1020190139400 A KR 1020190139400A KR 20190139400 A KR20190139400 A KR 20190139400A KR 102108379 B1 KR102108379 B1 KR 10210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capture
catcher
light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만호
Original Assignee
송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만호 filed Critical 송만호
Priority to PCT/KR2019/0148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96313A1/en
Priority to KR1020190139400A priority patent/KR102108379B1/en
Priority to US17/288,977 priority patent/US2021038604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A hornet capturing device installed in a beehive of honeybe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rnet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hornets; a hornet entrance unit for inducing hornets to enter the hornet capturing unit; a light transmitting unit which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or a mesh structure that light can pass through, and which surrounds the hornet capturing unit to provide a capturing space of the hornet capturing unit; and an open space forming unit which forms an open space in front of a honeybee entrance of the beehive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pac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hornet entrance unit. The hornet capturing device provides light into the open space by means of the light-transmitting unit, attracts hornets to the hornet entrance unit by using the light provided in the open space, and provides a space for upward flight of hornets and free flight of honeybees.

Description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 hive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본 발명은 말벌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p catc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p catcher installed on a bee hive.

말벌은 꿀벌을 주요 먹이로 하는 육식성 곤충이다. 말벌은 꿀벌을 잡아 유충에게 먹이로 주고 있다. 그래서 말벌은 꿀벌이 가장 두려워하는 천적이다. 또한, 말벌은 꿀벌을 키워서 꿀과 부산물을 얻는 양봉업자에게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곤충이다. Wasps are carnivorous insects whose main food is bees. The wasp catches the bees and feeds them to the larvae. So wasps are the natural enemies that bees fear most. In addition, wasps are the most damaging insects to beekeepers who grow honeybees to obtain honey and by-products.

말벌이 벌통에 접근하여 한두 시간 정도만 공격을 하더라도 벌통의 꿀벌은 교란되거나, 10개의 벌통이 1주일만에 폐사된다. 말벌은 매년 8월부터 9월사이 약 90일간 최대 군집을 이루며, 이 시기에는 하루에 수 천마리의 말벌 떼가 양봉장에 출현하여, 꿀벌들을 사냥해간다. 이러한 말벌의 공격으로부터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양봉업자들은 벌통에 접근하는 말벌을 잠자리채로 잡고 있다. 또한, 양봉업자들은 끈끈이를 벌통 주변에 놓거나, 말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그물망을 씌워서 말벌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Even if the wasp approaches the beehive and attacks it for only an hour or two, the bee in the beehive is disturbed, or 10 beehives die in a week. Wasps form the largest colony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every year for about 90 days, during which time thousands of wasps appear in the apiary every day, hunting for bees. To protect the bees from attack by these wasps, beekeepers are holding wasps approaching the hive. In addition, beekeepers are trying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wasps by placing sticky sticks around the beehives, or by putting a net on them to keep them awa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말벌의 피해를 막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말벌을 근본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유인액을 포획틀 안에 넣고 말벌을 유인하여 잡는 말벌 포획기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66750호에는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 포획 장치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937호에는 유인액으로 말벌을 유도하기 위한 상하부가 개방된 고깔 형상의 유도망을 구비한 말벌 포획기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are limited in preventing wasp damage.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undamentally eradicate wasps. One of them is the wasp catcher that attracts and catches wasps by putting the attractant into the trap.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66750 describes the wasp capture device equipped with an attractant inside the capture network.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0937 describes the wasp trapper having a guide system in the form of an open top and bottom for inducing wasps with attracted liquid.

그러나 종래의 유인액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는 유인액 성분이 공기 중에서 증발하기 때문에 유인액을 매번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잦은 유인액 교체로 인해 지속적인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더 근본적으로는 말벌의 극히 일부만이 포획된다는 가장 큰 취약점을 지니고 있어, 양봉농가에서는 보조적인 수단 외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이 되지 않고 있다.However, the wasp trapper using a conventional attractant has a problem of having to replace the attractant with a new one every time because the components of the attractant evaporate in the ai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osts continuously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the attractant. More fundamentally, it has the biggest vulnerability that only a small fraction of wasps are captured, so it is practically not used in beekeeping farms except as an auxiliary means.

유인액을 사용하지 않은 말벌 포획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18년 11월 5일에 출원되어 2019년 3월 29일에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966024호가 있다. 이 등록특허는 유인액을 사용하지 않고, 벌통 입구에 탐색비행실과 포획실을 형성하는 말벌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이 등록특허는 말벌이 꿀벌 사냥을 위해 탐색비행하며 탐색비행실 안으로 들어오고, 포획실하부의 입구를 통해 포획실에 갖혀 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wasp catcher that does not use the attractant has a registered patent No. 10-1966024 filed on November 5, 2018 by the applicant and registered on March 29, 2019. This registered patent relates to a wasp catcher that does not use an attractant and forms a search flight and capture chamber at the entrance to the beehive. This registered pa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p is searched for hunting for bees, enters the search flight room, and is captured and captured in the capture room through the entrance to the lower part of the capture room.

그러나 이 등록특허는 꿀벌들이 벌통 안으로 드나드는 소문 입구가 턱부를 기준으로 전면과 양측면이 외곽으로 둘러쌓인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등록특허는 소문 앞을 꽉 막고 있는 탐색비행실로 인해 벌통 내부에 있는 꿀벌들의 외부 활동이 심각하게 제약을 받는다. 그리고 탐색비행실이라는 장애물로 인해 벌통 속의 꿀벌들의 정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주고, 특히 여왕벌의 산란 (매일 2~3천개의 알을 낳음)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어, 말벌 피해 방지에 앞서, 정상적인 양봉을 할 수 없게 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is registered pa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both sides are surrounded by the outer side of the rumor, where the bees enter and exit the beehive. Therefore, this registration patent is severely restricted by the external activities of bees inside the beehive due to the search flight room blocking the front of the rumor. In addition, due to the obstacles of the search flight room, it affects the normal activity of bees in the beehive, and in particular, places severe stress on the spawning of the queen bee (laying 2 to 3,000 eggs every day). It has a fatal drawback that it cannot.

또한, 이 등록특허는 폐쇄된 구조의 탐색비행실로 인해 말벌을 탐색 공간으로 유도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서 말벌의 포획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꿀벌 뿐만 아니라, 말벌들에게도 소문 앞의 커다란 폐쇄된 공간 형태의 탐색비행실은 하나의 커다란 장애물로 인식되어, 말벌은 탐색비행실로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is registered patent has a difficulty in guiding wasps into the search space due to the closed flight search chamber, which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capture rate of wasps. In addition to bees, wasps are perceived as a large obstacle in the form of a large closed space in front of rumors, and the wasp does not enter the search room.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꿀벌의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고, 탐색비행실이라는 장애물로 인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며, 말벌을 포획 공간으로 쉽게 유도할 수 있는 말벌 포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activity of the bees, does not give stress due to obstacles such as the search flight room, can easily lead wasps into the capture space. In providing a wasp catch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는,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말벌 포획부; 상기 말벌 포획부로 말벌이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말벌 입구부;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빛이 통과되는 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말벌 포획부를 둘러싸서 상기 말벌 포획부의 포획 공간을 제공하는 빛 투과부; 및 상기 벌통의 꿀벌 출입구 앞에서 지면과 상기 말벌 입구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 거리를 유지함으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공간 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말벌 포획기는 상기 빛 투과부를 통해 상기 개방 공간에 빛을 제공하고, 상기 개방 공간에 제공된 빛을 이용하여 말벌을 상기 말벌 입구부로 유인하고, 상기 개방 공간을 통해 말벌의 상승 비행과 꿀벌의 자유 비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Wasp catcher installed on the bee hive of the b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p capture unit for capturing wasps; A wasp inlet that induces a wasp to enter the wasp catch; A light transmission unit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or formed of a network structure through which light passes, and surrounding the wasp capture unit to provide a capture space of the wasp capture unit; And an open space forming unit forming an open space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pac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wasp entrance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of the beehive. The wasp catcher provides light to the open space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ttracts a wasp to the wasp inlet using the light provided in the open space, and the flying of the wasp and the free flight of the bee through the open space. Provides space for.

실시 예로서, 상기 말벌 입구부는 말벌이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는 도중에 하강 비행하여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입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빛 투과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의 윗면을 이루는 포획 상면부; 상기 말벌 포획부의 측면을 이루는 포획 측면부; 및 상기 말벌 포획부의 아랫면을 이루는 포획 하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말벌 입구부는 상기 포획 하면부의 배치에 따라 위치나 크기가 결정된다.As an embodiment, the wasp inlet portion includes an induction guide portion for inducing a wasp to enter the wasp capture portion and preventing it from escaping and escaping while entering the wasp capture portio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e capture upper surfac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A capture side portion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And a capturing lower surface portion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wasp capturing portion, wherein the wasp inlet portion has a location or siz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apturing lower portion.

상기 포획 상면부는 슬롯 방식 또는 뚜겅 형식으로 구성하여, 상면부를 개방하여, 포획실 내부에 포획된 말벌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획 하면부는 서랍방식 또는 슬롯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포획 하면부를 제거함으로써 포획실에 쌓인 말벌 사체가 지면으로 떨어지게 하여, 포획된 말벌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The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is configured in a slot type or a hood type, and is configured to open the upper surface portion to remove wasps trapped inside the capture chamber.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may be configured in a drawer or slot method, and the wasp body accumulated in the capture chamber may be dropped to the ground by remov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thereby removing the captured wasps.

상기 말벌 포획부는 포획부 구분판에 의해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로 구분되고, 상기 말벌 입구부를 통해 상기 제 1 말벌 포획부에 들어온 말벌은 상기 포획 구분판과 상기 포획 측면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말벌 포획부로 진입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포획부 구분판은 슬롯 방식 또는 서랍식으로 상기 포획 측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는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한다.  The wasp capture par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wasp capture parts by a capture part divider, and a wasp entering the first wasp capture part through the wasp inlet passes through the capture divider and the capture side part, so that the first 2 Enter the wasp capture department. As an embodiment, the capture part divider plate is fastened through the capture side part in a slot or drawer type. The first and second wasp capture parts include a plurality of movement guides for capturing wasps.

상기 말벌 포획기는 포획 상면부에 연결되는 채집통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방공간 형성부는 상기 포획 측면부 중에서 상기 벌통과 접촉하는 배면 측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말벌 포획기를 상기 벌통에 고정하는 벌통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면 측면부는 상기 포획 하면부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배면 측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꿀벌 출입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꿀벌 출입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포획 측면부는 복수의 측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빛 투과부는 빛을 투과하는 동시에,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말벌이 벌통 주변을 비행할 때, 상기 말벌 포획기는 반짝거리는 물체로 인식되어 말벌을 유인할 수 있다. 상기 빛 투과부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고 꿀벌은 통과할 수 있는 정사각형, 원형모양을 포함하여,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구멍 또는 망 구조를 갖는다.The wasp catcher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bin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The open space form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ear side surface portion contacting the beehive among the capture side portions, and includes a beehive fixing portion that fixes the wasp trap to the beehive to form the open space. The rear side portion includes a support extending below the captured lower surface portion. I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rear sid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bee acc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bee entrance. The capture side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and reflects part of the light. When the wasps fly around the beehive, the wasp catcher is recognized as a shiny object and can attract wasp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has a rectangular or oval shaped hole or network structure, including a square and a circular shape, through which a wasp cannot pass and a bee can pass through.

본 발명에 의하면, 말벌의 상승 비행하는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꿀벌 출입구 앞에서 말벌의 상승 비행과 꿀벌의 자유 비행을 위한 개방 공간을 제공함으로, 말벌의 포획율을 높이고 꿀벌의 꿀 생성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sp can be captured using a habit of flying upward and a light-sensitive habit of the wasp. The wasp ca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atch rate of the wasps and increase the honey-producing properties of the bees by providing an open space for the wasp's upward flight and the bee's free flight in front of the entrance to the be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 및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빛에 의한 말벌 누적 포획 개체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실험 데이터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가 실제 제품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wasp capture of a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sp trap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sp catching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wasp catcher illustrated in FIG. 1.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wasp tra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wasp trap shown in FIG. 4 by way of exampl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wasp tra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wasp trap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wasp cat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wasp capture experiments of the wasp cat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and experimental data showing the change in the cumulative number of wasps captured by the light of the wasp cat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ctual product.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 및 구조I.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wasp catc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100)은 벌통(110) 및 말벌 포획기(120)를 포함한다. 벌통(110)에는 꿀벌이 출입할 수 있는 꿀벌 출입구(111)가 있다. 말벌 포획기(120)는 벌통(110)의 꿀벌 출입구(111)가 있는 면(이하, 벌통 입구면이라 함)에 부착되거나, 벌통 입구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wasp capture of a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asp capture system 100 includes a beehive 110 and a wasp catcher 120. The beehive 110 has a bee entrance 111 through which a bee can enter. The wasp catcher 120 may be attached to a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eehive entrance surface) having a bee entrance 111 of the beehive 110, or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eehive entrance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은 번식 싸이클에서 꿀벌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말벌은 에너지원인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벌통 입구면으로 모여든다. 말벌은 벌통 입구면의 꿀벌 출입구(111) 주위를 비행하면서 꿀벌을 사냥한다. 본 발명은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꿀벌 출입구(111) 주위을 비행하는 말벌의 독특한 비행 습성을 오랜 시간 동안 연구 관찰하고 수많은 포획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The wasp catch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pture wasps using the habit of wasps. Wasps use bees as their primary energy source in the breeding cycle. Wasps flock to the entrance to the hive to hunt bees, an energy source. The wasp hunts the bees while flying around the bee entrance 111 on the entrance surface of the beehive. The present invention was obtained through research and observation of a unique flight habit of a wasp flying around the bee entrance 111 for a long time to hunt for bees and through numerous capture experiments.

연구 관찰에 의하면, 말벌은 다음과 같은 비행 습성을 갖는다. 첫째로, 말벌은 꿀벌을 사냥할 때 탐색을 목적으로 상승 비행하는 습성을 갖는다. 도 1의 (A)는 말벌이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상승 비행하는 경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둘째로, 말벌은 빛을 향하여 이동하는 습성을 갖는다. 도 1의 (B)는 빛이 말벌 포획기(120) 내로 들어오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말벌은 꿀벌 출입구(111) 주위에서 비행하다가, 말벌 포획기(120) 내로 들어오는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빛을 향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120)는 이러한 말벌의 비행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According to research observations, wasps have the following flying habits. First, the wasp has the habit of flying upward for the purpose of exploration when hunting bees. FIG. 1 (A) shows an example of a path where a wasp is flying upward to hunt a bee. Second, the wasp has the habit of moving toward light. 1 (B) conceptually shows a state in which light enters the wasp trap 120. The wasp flies around the bee exit 111, and is sensitive to light entering the wasp trap 120 and moves toward the light. The wasp catch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pture wasps using the flight habits of these wasp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 포획부(121), 말벌 입구부(122), 그리고 빛 투과부(123)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의 상승 비행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sp trap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wasp trap 120 includes a wasp capture portion 121, a wasp inlet portion 122, and a light transmission portion 123. The wasp catcher 120 may capture wasps using the wasp's rising flight habit and light-sensitive habit.

말벌 포획부(121)는 말벌 입구부(122)를 통해 들어온 말벌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실시 예로서, 말벌 포획부(121)는 말벌은 밖으로 나가지 못하지만, 꿀벌은 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말벌 포획부(121)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지만, 꿀벌은 통과할 수 있는 망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말벌 포획부(121)의 망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이나 옆으로 긴 타원형 모양일 수 있다. 말벌 포획부(121)가 이러한 모양을 가지면, 몸통이 큰 말벌은 통과할 수 없으나, 몸통이 작은 꿀벌은 쉽게 통과할 수 있다.The wasp catching part 121 prevents the wasp entering through the wasp inlet part 122 from going out. As an embodiment, the wasp catching part 121 may not allow the wasp to go out, but the bee may be allowed to go out. To this end, the wasp catching part 121 may not pass through the wasp, but the bee may be made of a network structure capable of passing through. For example, the net of the wasp catching portion 121 may have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n oval shape long in the side. If the wasp catching portion 121 has this shape, a wasp with a large torso cannot pass, but a bee with a small torso can easily pass.

말벌 입구부(122)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로 들어가는 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2)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쉽게 진입하도록 말벌 포획부(121)와 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말벌 입구부(122)는 반드시 말벌 포획부(121)와 지면 사이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로 진입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말벌 포획부(121)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2)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로 진입하기 쉽도록 진입 유도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wasp inlet part 122 may provide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wasp flying upwards enters the wasp catch part 121. The wasp inlet 122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wasp catching part 121 and the ground so that the wasp flying upwards can easily enter. However, the wasp inlet 12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between the wasp catch 121 and the ground, a location where the wasp easily enters the wasp catch 121, for example, of the wasp catch 121 It can also be formed on the side. The wasp inlet 122 may be provided with an entry guide device so that the wasp can easily enter the wasp capture portion 121.

빛 투과부(123)는 빛에 민감한 말벌을 유인하여 말벌 포획부(121)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빛 투과부(123)는 빛이 말벌 포획부(121) 및 말벌 입구부(1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빛 투과부(123)는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조되거나, 빛이 잘 통과되도록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123 may attract wasps sensitive to light to enter the wasp catching unit 121.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23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the wasp catching portion 121 and the wasp entrance portion 122.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2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be easily transmitted, or may have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holes are transversely and / or vertically drilled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한편, 빛 투과부(123)는 빛을 투과하거나 통과하고, 또는 일부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빛 투과부(123)는 빛이 잘 통과하도록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되어 있고, 구멍 이외의 부분에서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말벌은 빛 투과부(123)에서 반사되는 빛을 따라 말벌 포획기(120)로 유인될 수 있다. 즉, 말벌은 빛 투과부(123)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반짝거림에 유혹되어 먼 곳에 있더라도 말벌 포획기(120)로 유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 포획율을 높일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23 may use a material that transmits or passes light or reflects some light.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23 has a perforated network structure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well, and can reflect light from portions other than the hole. The wasp may be attracted to the wasp catcher 120 alo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23. That is, the wasp may be attracted to the wasp catcher 120 even if it is in a distant place by being seduced by the twinkling of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23. Through this, the wasp catcher 120 can increase the wasp catch rate.

실시 예에 따라서, 말벌 포획부(121), 말벌 입구부(122), 그리고 빛 투과부(123)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조립식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포획실(124)은 말벌 포획부(121), 말벌 입구부(122), 그리고 빛 투과부(123)를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구성한 집합체를 의미한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wasp capture portion 121, the wasp inlet portion 122,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23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or may be configured as a prefabricated set. The capture chamber 124 refers to an aggregate consisting of a wasp capture portion 121, a wasp inlet portion 122,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123 integrally or prefabricated.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20)는 개방공간 형성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지면과 포획실(124) 사이에서 꿀벌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하, 개방 공간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개방 공간은 꿀벌 출입구(111)에 앞에 형성되며, 꿀벌이 벌통(도 1 참조, 110)에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2, the wasp catcher 120 may further include an open space forming unit 125.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form a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n space) in which a bee can move freely between the ground and the capture chamber 124. An open space is formed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and allows the bees to freely enter and exit the beehive (see FIG. 1, 110).

꿀벌은 꿀벌 출입구(111)를 통해 하루에도 수십번씩 벌통(110) 밖으로 나가 꿀을 얻는다. 그리고 꿀벌은 시각과 냄새를 통해 자신의 벌통(110)을 기억하고, 꿀벌 출입구(111)를 통해 벌통(110) 안으로 들어온다. 꿀벌이 벌통(110)에 들어올 때 꿀벌 출입구(111)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특히 시각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꿀벌은 꿀벌 출입구(111) 앞에 있는 장애물로 인해 벌통(110)에 들어오고 나갈 때, 심한 비행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꿀벌은 이러한 비행 스트레스로 인해 활동에 제한을 받고, 꿀벌의 생활 환경이나 꿀을 얻는 활동 및 여왕벌의 산란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The bees go out of the beehive 110 dozens of times a day through the bee entrance 111 to obtain honey. And the bee remembers his beehive 110 through vision and smell, and enters the beehive 110 through the bee entrance 111. When a bee enters the beehive 110, if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it may be particularly disturbed in vision. In addition, bees may experience severe flight stress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beehive 110 due to an obstacle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Bees are limited in their activities due to this misconduct stress, and can seriously affect the bee's living environment or honey-gathering activity and the queen bee's spawning.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꿀벌 출입구(111) 앞에 개방 공간을 형성함으로, 꿀벌이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말벌의 상승 비행 공간을 제공함으로, 보다 많은 말벌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꿀벌의 자유 비행과 말벌의 상승 비행을 고려하여, 포획실(124)과 지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 거리(D)를 갖도록 할 수 있다.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forms an open space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so that the bee can fly freely. In addition,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provides an upward flight space for the wasps, thereby allowing more wasps to be captured.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have a predetermined space distance D between the capture chamber 124 and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the free flight of the bees and the upward flight of the wasps.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소정의 공간 거리(D)를 갖도록 포획실(124)을 벌통(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말벌 입구부(122)는 꿀벌 입구부(11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포획실(124)을 벌통 입구면에 고정하면, 꿀벌 출입구(111) 앞에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는 완전한 개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form an open spac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fix the capture chamber 124 to the beehive 110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distance D. At this time, the wasp inlet 12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ee inlet 111. When the capture chamber 124 is fixed to the entrance surface of the beehive, a complete open space without any obstacle can be formed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have.

다른 예로서,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받침대를 통해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포획실(124)을 받침대 위에 올려 놓으면, 꿀벌 출입구(111) 앞에 개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공간 형성부(125)가 받침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꿀벌의 자유 비행과 말벌의 상승 비행을 최대한 보장하고, 말벌을 최대한 포획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other example,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form an open space through a pedestal. When the catching chamber 124 is placed on the pedestal, an open space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When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is composed of a pedestal,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ensuring the free flight of the bees and the flying of the wasps as much as possible, and capturing the wasps as much as possible. Do.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 및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20)는 벌통(110)의 꿀벌 출입구(111) 앞에서 말벌의 상승 비행(A)과 꿀벌의 자유 비행(C)을 위한 개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말벌 포획기(120)는 개방공간 형성부(125)를 통해 개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공간 거리(도 2 참조, D)을 두고, 포획실(124)를 설치함으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공간 형성부(125)는 포획실(124)을 벌통(110)에 고정함으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sp catching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wasp catcher illustrated in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wasp catcher 120 may have an open space for the ascent flight (A) of the wasp and the free flight (C) of the bee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of the beehive 110. The wasp catcher 120 may secure an open space through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form an open space by installing a capture chamber 124 at a predetermined space distance (see FIG. 2, D) from the ground. 3, the open space forming unit 125 may form an open space by fixing the capture chamber 124 to the beehive 1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의 상승 비행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120)는 꿀벌 출입구(111) 앞에서 말벌의 상승 비행과 꿀벌의 자유 비행을 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함으로, 말벌의 포획율을 높이고 꿀벌의 꿀 채집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말벌 포획기(120)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가 설명될 것이다.The wasp catcher 12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pture a wasp using a rising flight habit of the wasp and a light-sensitive habit. The wasp catcher 120 forms an open space for the wasp's upward flight and the bee's free flight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111, thereby increasing the wasp's catch rate and increasing the honey collection rate of the bee.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wasp trap 12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I. 말벌 포획기의 실시 예 및 변형 예II. Examples and modifications of wasp catcher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000)는 말벌 포획부(1100), 말벌 입구부(1200), 그리고 빛 투과부(13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1000)는 말벌의 상승 비행(A)과 빛 민감성(B)을 이용하여 말벌을 말벌 포획부(1100) 내에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1000)는 꿀벌의 자유 비행(C)을 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wasp tra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wasp catcher 1000 includes a wasp catching part 1100, a wasp inlet part 1200,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1300. The wasp catcher 1000 may capture the wasp in the wasp capture unit 1100 using the wasp's upward flight (A) and light sensitivity (B).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1000 may form an open space for the free flight (C) of the bee.

말벌 포획부(1100)는 말벌 입구부(1200)를 통해 들어온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00)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100)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00)는 말벌이 상승 비행할 때 말벌 포획부(1100)로 진입하기 좋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벌 입구부(1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 포획부(1100)의 아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00)는 말벌 포획부(1100)의 아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wasp catching part 1100 may capture wasps entering through the wasp inlet part 1200. The wasp entrance portion 1200 may allow the wasp flying upward to enter the wasp catching portion 1100. The wasp entrance portion 1200 may be located in a good place to enter the wasp catching portion 1100 when the wasp is flying upward. For example, the wasp inlet portion 120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wasp catching portion 1100 as shown in FIG. 4. The wasp inlet part 1200 may be formed at both edges below the wasp catching part 1100.

말벌 입구부(1200)는 제 1 및 제 2 진입 유도부(1210, 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진입 유도부(1210)는 말벌 입구부(1200)의 중앙에서 양쪽 가장 자리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져서, 전체적으로 V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진입 유도부(1220)는 제 1 진입 유도부(1210)의 위쪽에 위치하고 수평한 지붕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입 유도부(1210, 1220) 사이에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100) 내로 진입하기 쉽도록 진입 유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진입 유도부(1210, 1220)는 말벌의 진입 방향을 유도하고, 말벌의 비행 공간을 제한하여 말벌 포획부(1100) 내에 포획된 말벌이 다시 나가지 못하도록 탈출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다.The wasp entrance portion 12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ntry guide portions 1210 and 1220. As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entrance guide portion 121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both edge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wasp entrance portion 1200 to be formed in a V shape as a whole. The second entry guide portion 122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entry guide portion 1210 and formed in a horizontal roof plate shape. An entrance guidance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guidance units 1210 and 1220 so that the wasp can easily enter the wasp capture unit 1100.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entry guides 1210 and 1220 induce the wasp's entry direction and limit the flight space of the wasps to serve as an escape prevention function so that the wasps captured in the wasp capture unit 1100 do not go out again. have.

빛 투과부(1300)는 말벌 포획부(1100)를 둘러싸고 있는 면으로, 포획 상면부(1310), 포획 측면부(1320), 그리고 포획 하면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빛 투과부(1300)는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빛 투과부(1300)는 복수의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되어 있어서, 구멍을 통해 빛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빛 투과부(1300)는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300 is a surface surrounding the wasp capture portion 1100, and may include a capture top surface portion 1310, a capture side surface portion 1320, and a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1330.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3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be easily transmitted. Alternatively,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300 has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so that light can pass through the holes.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reflects a part of light.

포획 상면부(1310)는 말벌 포획부(1100)의 윗쪽 면으로, 말벌 포획기(1000)의 일종의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말벌 포획부(1100) 내에 포획된 말벌은 포획 상면부(1310)을 열고 제거할 수 있다. 포획 측면부(1320)는 말벌 포획기(1000)의 모양에 따라 복수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벌 포획기(1000)가 사각기둥 모양이면 4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육각기둥 모양이면 6개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획 하면부(1330)는 말벌 포획부(1100)의 아랫쪽 면으로, 말벌 입구부(12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말벌 입구부(1200)는 포획 하면부(1330)의 배치에 따라 입구의 위치나 크기, 또는 입구 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The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1310 is an upper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1100 and may serve as a kind of lid of the wasp capture device 1000. That is, the wasp captured in the wasp catching portion 1100 may open and remove the capture top surface portion 1310. The catching side part 13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fac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asp catcher 1000. For example, if the wasp catcher 1000 has a quadrangular prism shape, it may consist of four faces, and if it has a hexagonal prism shape, it may consist of six faces. The capture lower surface portion 1330 is a lower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1100 and may form a wasp inlet portion 1200. That is, the location or size of the entrance, or the number of entrances, etc. may be determined in the wasp entrance 12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apture bottom surface 1330.

도 4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1000)는 복수의 말벌 포획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000)는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1110, 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1110, 1120)는 포획부 구분판(1115)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 1 말벌 포획부(1110)에 들어온 말벌은 포획부 구분판(1115)과 포획 측면부(1320) 사이를 통과하여 제 2 말벌 포획부(1120)로 진입할 수 있다.The wasp catcher 1000 illustrated in FIG. 4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wasp capture part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wasp catcher 10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wasp catchers 1110 and 1120. The first and second wasp capture parts 1110 and 1120 may be divided by the capture part divider 1115. The wasp entering the first wasp catching portion 1110 may pass through between the capture portion dividing plate 1115 and the capture side portion 1320 to enter the second wasp catching portion 1120.

또한, 말벌 포획기(1000)는 말벌 포획부(1100) 내에 복수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말벌 포획부(1110) 내에 제 1 이동 가이드(1111)가 포함되고, 제 2 말벌 포획부(1120) 내에 제 2 및 제 3 이동 가이드(1121, 1122)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이동 가이드(1111, 1121, 1122)는 좌우의 포획 측면부(1320) 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포획된 말벌은 바닥면을 기어다니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이동 가이드(1111, 1121)의 아래 공간(D, E) 또는 제 3 이동 가이드(1122)의 윗 공간(F)에 갖히게 된다.In addition, the wasp capture device 10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vement guides in the wasp capture part 110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movement guide 1111 is included in the first wasp capture portion 1110, and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 guides 1121 and 1122 are included in the second wasp capture portion 1120. ) May be included. The first to third movement guides 1111, 1121, and 1122 may be installed one on each side of the capture side portion 132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ince the captured wasps have the habit of crawling on the bottom surface, they are provided in the spaces (D, 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guides 1111 and 1121 or the spaces (F) of the third movement guide 1122. Will be

한편, 말벌 포획기(1000) 내의 진입 유도부(1210, 1220), 포획부 구분판(1115), 그리고 이동 가이드(1111, 1121, 1122)는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복수의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되어 있어서 구멍을 통해 빛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ntrance guide portion 1210, 1220 in the wasp trap 1000, the capture plate divider 1115, and the movement guides 1111, 1121, 112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well transmitted. have. In addition, they have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so that light can pass through the holes.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말벌 포획기(1000)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wasp trap shown in FIG. 5 by way of example. The wasp catcher 1000 may have an integral structure, but may have an assembly type structure as shown in FIG. 6.

말벌 포획기(1000)가 조립형 구조를 갖는 경우에,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부피를 줄여서 보관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000)는 포획 상면부(1310), 포획 측면부(1320), 포획 하면부(1330), 그리고 포획부 구분판(1115) 등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들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망 구조로 되어 있다. When the wasp trap 1000 has a prefabricated structure, cleaning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and storage can be easily performed by reducing the volume. Referring to FIG. 6, the wasp catcher 1000 may be divided into a capture top surface portion 1310, a capture side surface portion 1320, a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1330, and a capture portion dividing plate 1115. They ar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or a network structure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한편, 말벌 포획기(1000)는 포획 측면부(13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포획 상면부(1310), 포획 하면부(1330), 그리고 포획부 구분판(1115)을 슬롯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포획 측면부(1320)는 좌측 측면부, 우측 측면부, 배면 측면부, 그리고 정면 측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획 상면부(1310)는 좌측 측면부와 우측 측면부 방향(L-R)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말벌 포획기(1000)는 포획 상면부(1310)를 좌측 측면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포획부 구분판(1115) 위에 포획된 말벌을 제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asp catcher 1000 may fasten the capture upper surface 1310, the capture lower surface 1330, and the capture part divider 1115 in a slotted manner while the capture side portion 1320 is fixed. . The capture side portion 1320 may include a left side portion, a right side portion, a back side portion, and a front side portion. For example, the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1310 may move in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direction (L-R). The wasp catcher 1000 may remove the wasp captured on the capture part divider 1115 by moving the capture top surface 1310 toward the left side.

마찬가지로, 포획 하면부(1330)와 포획부 구분판(1115)은 정면 측면부(도시되지 않음)와 배면 측면부 방향(F-B)으로 움직일 수 있다. 포획 하면부(1330)와 포획부 구분판(1115)은 정면 측면부와 배면 측면부를 관통하여 슬롯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포획부 구분판(1115)는 정면 측면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말벌 포획기(1000)로부터 빼낼 수 있다. 말벌 포획기(1000)는 포획부 구분판(1115)를 정면 측면부 방향으로 빼냄으로 죽은 말벌을 아래 방향으로 떨어뜨려서 제거할 수 있다. Likewise, the capture lower surface portion 1330 and the capture portion separation plate 1115 may move in the front side portion (not shown) and the rear side portion direction (F-B). The capturing lower surface portion 1330 and the capturing portion dividing plate 1115 may be fastened in a slot manner through the front side portion and the rear side portion. The capture part divider 1115 may be removed from the wasp catcher 1000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side. The wasp catcher 1000 may remove the dead wasp by dropping the capture part divider plate 1115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side, thereby dropping the dead wasp downward.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1000)는 포획 상면부(1310), 포획 하면부(1330), 그리고 포획부 구분판(1115) 외에도, 진입 유도부(1210, 1220) 및 이동 가이드(1111, 1121, 1122) 등도 다양한 체결 방식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1000)는 포획부 구분판(1115)을 이용하여, 하나의 말벌 포획부(1100)를 갖는 구조(도 4 참조)와,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1110, 1120)를 갖는 구조(도 5 참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wasp catch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1310, the capture lower surface portion 1330, and the capture portion dividing plate 1115, the entry guide 1210, 1220 and the movement guide (1111, 1121, 1122) ) Can also be assembled by various fastening methods.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1000 has a structure (see FIG. 4) having one wasp catch 1100 using the capture part divider 1115, and first and second wasp catches 1110, 1120. ) Can be selected and us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2000)는 말벌 포획부(2100), 말벌 입구부(2200), 그리고 빛 투과부(23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2000)는 말벌의 상승 비행(A)과 빛 민감성(B)을 이용하여 말벌을 말벌 포획부(2100) 내에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2000)는 꿀벌의 자유 비행(C)을 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wasp tra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wasp trapper 2000 includes a wasp trap 2100, a wasp inlet 2200,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2300. The wasp catcher 2000 may capture the wasp in the wasp capture unit 2100 using the wasp's upward flight (A) and light sensitivity (B).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2000 may form an open space for the free flight (C) of the bee.

말벌 포획부(2100)는 말벌 입구부(2200)를 통해 들어온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2200)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2100)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2200)는 말벌 포획부(2100) 아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빛 투과부(2300)는 포획 상면부(2310), 포획 측면부(2320), 그리고 포획 하면부(2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sp catching part 2100 may capture wasps entering through the wasp inlet part 2200. The wasp inlet 2200 may allow the wasp flying upward to enter the wasp catching portion 2100. The wasp inlet 2200 may be formed at both edges below the wasp catching portion 2100.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2300 may include a capture top surface portion 2310, a capture side surface portion 2320, and a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2330.

말벌 입구부(2200)는 포획 하면부(2330) 아래쪽에 형성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2200)는 진입 유도부(2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 유도부(2210)는 포획 측면부(2320)의 아래 양쪽 가장 자리에서 중앙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져서 갈고리 모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입 유도부(2210)는 전체적으로 V자를 뒤집어 놓은 모양(^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입 유도부(2210)와 포획 하부면(2330) 사이에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2100) 내로 진입하기 쉽도록 진입 유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진입 유도부(2210) 및 포획 하면부(2330)는 말벌 포획부(2100) 내에 포획된 말벌이 다시 나가지 못하도록 탈출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다.The wasp inlet 2200 may be formed under the capture bottom portion 2330. The wasp inlet portion 2200 may include an entry induction portion 2210. The entry guide 221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both edges of the capture side portion 2320 to have a hook shape. Therefore, the entry inducing portion 2210 may be formed in a shape (^ shape) inverted as a whole. An entry guide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entry guide portion 2210 and the capture lower surface 2330 so that the wasp can easily enter the wasp capture portion 2100. On the other hand, the entry guide 2210 and the capture bottom portion 2330 may serve as an escape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the wasps captured in the wasp capture portion 2100 from exiting agai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3000)은 벌통(3100)과 말벌 포획기(3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3200)는 포획 상면부(3210), 포획 측면부(3220), 그리고 포획 하면부(3230)를 포함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wasp capture system 3000 includes a beehive 3100 and a wasp catcher 3200. The wasp trapper 3200 includes a capture top surface portion 3210, a capture side surface portion 3220, and a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3230.

포획 측면부(3220)에는 도 5에서 설명한 이동 가이드(3121)를 슬롯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획 측면부(3220)에는 포획부 구분판(3115)를 체결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포획부 구분판(3115)은 슬롯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넣고 빼낼 수 있다. 포획 하면부(3230)는 서랍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포획 하면부(3230)가 서랍식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서랍처럼 화살표 방향으로 넣고 빼낼 수 있다. A slot for fastening the movement guide 3121 illustrated in FIG. 5 in a slot manner may be formed in the capture side portion 3220. In addition, a slot for fastening the capture portion dividing plate 3115 may be formed in the capture side portion 3220. The capture part separator 3115 may be inserted and re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the slot. The capture lower surface portion 3230 may have a drawer-type structure. When the capture bottom portion 3230 has a drawer-type structure,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like a drawer.

말벌 포획기(3200) 내에 말벌들이 쌓이면 포획 하면부(3230) 아래의 개방 공간으로 향하는 빛이 차단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3200)는 포획 하면부(3230)를 꺼내서 포획된 말벌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3200)는 말벌 사체를 쉽게 제거함으로 개방 공간으로 향하는 빛 투과율을 유지하고, 빛 차단으로 인해 말벌 포획율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wasps are accumulated in the wasp trap 3200, light directed to an open space under the trap bottom surface 3230 may be blocked. The wasp catcher 3200 can easily remove the captured wasp by taking out the capture bottom surface 3230. The wasp trapper 3200 can maintain the light transmittance toward the open space by easily removing the wasp carcasses, and can prevent the wasp catch rate from falling due to light blocking.

말벌 포획기(3200)는 포획 상면부(3210)를 통해 말벌을 제거할 수도 있다. 포획 상면부(3210)를 통해 제거하려면, 말벌을 일일이 하나씩 꺼내거나 말벌 포획기(3200) 전체를 뒤집어야 한다. 그러나 말벌 포획기(3200)는 포획 하면부(3230)를 서랍식으로 구성함으로, 포획된 말벌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빛 차단으로 인한 말벌 포획율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The wasp trapper 3200 may remove the wasp through the capture top surface 3210. To remove through the capture top surface 3210, the wasps must be taken out one by one or the whole wasp trap 3200 is turned over. However, the wasp trapping machine 3200 is configured to draw the bottom surface portion 3230 as a drawer, so that the wasp can be easily remov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wasp catch rate due to light blocking.

한편, 말벌 포획기(3200) 내에는 살아있는 말벌과 죽은 말벌이 공존해 있다. 말벌 포획기(3200)에서 말벌을 제거하려고 할 때, 살아있는 말벌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말벌 포획기(3200)에서 말벌을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도 8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3200)는 포획부 구분판(3115)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말벌과 죽은 말벌을 간단하게 구분하고, 죽은 말벌을 포획 하면부(3230)를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Meanwhile, a live wasp and a dead wasp coexist in the wasp catcher 3200. When trying to remove the wasps from the wasp catcher 3200, it can be attacked by a live wasp. Therefore, it was not easy to remove the wasps from the wasp catcher 3200. The wasp trapper 3200 illustrated in FIG. 8 can easily separate the living wasp and the dead wasp using the capture part divider 3115, and can easily remove the dead wasp through the capture bottom part 3230.

먼저 포획부 구분판(3115) 및 포획 하면부(3230)가 말벌 포획기(3200)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죽은 말벌들은 포획부 구분판(3115) 위에 있고, 살아있는 말벌들은 포획부 구분판(3115) 위에서 비행한다. 다음으로 포획부 구분판(3115)을 빼내었다가 다시 삽입을 한다. 이때 죽은 말벌은 포획 하면부(3230)에 떨어지고, 살아있는 말벌은 포획부 구분판(3115) 위의 공간에 남게 된다. 다음으로 포획 하면부(3230)를 빼내고 죽은 말벌들을 제거한 후, 포획 하면부(3230)를 처음 상태로 밀어 넣는다. 도 8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3200)는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살아있는 말벌과 죽은 말벌을 간단하게 구분하고, 죽은 말벌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First, the capture part dividing plate 3115 and the capture bottom part 3230 are inserted into the wasp catcher 3200. At this time, the dead wasps are on the capture part divider 3115, and the living wasps fly on the catch part divider 3115. Next, the capture plate divider 3115 is removed and inserted again. At this time, the dead wasp fall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3230, and the living wasp remains in the space above the partition plate 3115 of the capture. Next, after removing the capture bottom part 3230 and removing the dead wasps, the capture bottom part 3230 is pushed to the initial state. The wasp trapper 3200 illustrated in FIG. 8 can easily distinguish the living wasp and the dead wasp through the above method, and can easily remove the dead wasp.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4000)은 벌통(4100)과 말벌 포획기(4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4200)는 포획 상면부(4210), 포획 측면부(4220), 그리고 포획 하면부(423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4200)는 포획 상면부(421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는 채집통(4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wasp trap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wasp capture system 4000 includes a beehive 4100 and a wasp catcher 4200. The wasp catcher 4200 includes a capture top surface portion 4210, a capture side surface portion 4220, and a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4230. The wasp catcher 4200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container 4240 that can be fastened through the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4210.

말벌 포획기(4200)는 볼트 체결이나 마개 또는 뚜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채집통(4240)을 연결할 수 있다. 채집통(4240)는 체결부(4241)를 포함할 수 있다. 채집통(4240)은 체결부(4241)를 포획 상면부(4210)에 삽입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4200)에 포획된 말벌은 체결부(4241)를 통해 채집통(4240)으로 진입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4240)는 채집통(4240)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말벌을 채집할 수 있다.The wasp catcher 4200 may connect the collecting bin 424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astening, a stopper, or a lid. The collection bin 424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4401. The collecting container 4240 may insert the fastening portion 4401 into the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4210. The wasp captured in the wasp trapping machine 4200 may enter the collection bin 4240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4401. The wasp catcher 4240 may collect live wasps using the collection bin 4240.

도 10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4200)는 체결부(4251) 및 연결관(4252)을 통해 채집통(4250)과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4251)는 볼트 체결이나 마개 등과 같은 방식으로 채집통(4250)을 말벌 포획기(4200)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관(4252)은 말벌 포획기(4200)와 채집통(4250)을 연결할 수 있다. 상승 비행하는 습성을 갖는 말벌은 연결관(4252)을 통해 채집통(4250)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wasp trap 4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on bin 4250 through a fastening portion 4201 and a connection pipe 4252. The fastening portion 4201 may connect the collecting container 4250 to the wasp trap 4200 in a manner such as bolt fastening or a stopper. The connector 4252 may connect the wasp trap 4200 and the collection bin 4250. A wasp with a habit of flying upward may enter the collection bin 4250 through a connector 4252.

도 10의 말벌 포획기(4200)는 연결관(4252)을 사용하기 때문에 채집통(4250)을 벌통(4100) 위에 설치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4200)는 채집통(4250)을 벌통(4100) 위에 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채집통(4250)의 입구를 위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4200)는 살아있는 말벌의 공격을 받지 않고, 체결부(4251)를 통해 채집통(4250)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말벌 포획기(4200)는 채집통(4250)에 술을 넣어두면, 말벌주를 쉽게 담글 수도 있다.Since the wasp trap 4200 of FIG. 10 uses a connecting pipe 4252, a collection bin 4250 may be installed on the beehive 4100. The wasp catcher 4200 can be easily installed because it is only necessary to place the collecting bin 4250 on the beehive 4100, and the entrance of the collecting bin 4250 can be directed upward.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4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llection bin 4250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4201 without being attacked by a live wasp.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4200 of FIG. 10 can easily soak wasp wine by putting alcohol in the collecting bin 425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5000)은 벌통(5100)과 말벌 포획기(5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5200)는 개방공간 형성부(5210)를 포함한다. 개방공간 형성부(5210)는 지면과 말벌 포획기(5200) 사이에서 꿀벌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wasp cat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wasp capture system 5000 includes a beehive 5100 and a wasp catcher 5200. The wasp trapper 5200 includes an open space forming part 5210. The open space forming unit 5210 may form an open space in which a bee can move freely between the ground and the wasp catcher 5200.

예를 들면, 개방공간 형성부(5210)는 말벌 포획기(5200)를 벌통 입구면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함으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개방공간 형성부(5210)는 말벌 포획기(5200)를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 배면 측면부(52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면 측면부(5211)는 앞에서 설명한 포획 측면부 중에서 벌통(5100)과 접촉하는 측면부를 의미한다. For example, the open space forming unit 5210 may form an open space by fixing the wasp trapper 5200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entrance surface of the beehive. The open space forming part 5210 may include a rear side part 5211 to fix the wasp catcher 5200 to a predetermined height. Here, the rear side portion 5211 means a side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eehive 5100 among the capture side portions described above.

배면 측면부(5211)는 말벌 포획기(5200)를 벌통(5100)에 고정하기 위한 벌통 고정부(5212)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5200)는 벌통 고정부(5212)의 홈을 벌통(5100)의 고정 수단(예를 들면, 나사못 등)에 끼워 넣음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5200)의 개방 공간 높이는 벌통 고정부(5212)가 벌통(5100)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part 5211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a beehive fixing part 5212 for fixing the wasp trapper 5200 to the beehive 5100. The wasp catcher 5200 can be easily fixed by inserting the groove of the beehive fixing part 5212 into a fixing means (for example, a screw, etc.) of the beehive 5100. The height of the open space of the wasp catcher 52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beehive fixing part 5212 is fixed to the beehive 5100.

계속해서 도 11을 참조하면, 배면 측면부(5211)는 꿀벌 출입구(511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면 측면부(5211)가 포획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부분은 말벌 포획기(5200)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일종의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11, the rear side portion 521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bee entrance 5111. The portion where the rear side portion 5211 extends below the capture lower surface may serve as a kind of support for stably fixing the wasp catcher 5200.

한편, 배면 측면부(5211)의 아래 끝부분에는 꿀벌 출입구(51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꿀벌 출입 조절부(5213)가 포함될 수 있다. 꿀벌 출입 조절부(5213)는 배면 측면부(5211)를 따라 위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5000)는 꿀벌 출입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 말벌이 벌통(5100)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5000)는 꿀벌 출입 조절부(5213)를 통해, 꿀벌이 화분을 떨어뜨리지 않고 원활하게 벌통(5100)으로 출입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portion 5211 may include a bee access control unit 5213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bee entrance 5111. The bee access control unit 5213 may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long the rear side portion 5211. The wasp catcher 5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sp from entering the beehive 5100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doorway of the bee.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5000 may enable the bees to smoothly enter and exit the beehive 5100 without dropping pollen through the bee access control unit 5213.

III. 말벌 포획기의 실험 결과 및 적용 예III. Experimental results and application examples of wasp catchers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 12의 말벌 포획 실험은 2019년 8월 24일부터 9월 4일까지 12일 동안 수행되었다. 도 12의 실험은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와 종래의 유인액을 이용하여 포획된 말벌의 개체 수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2 is a chart showing the results of wasp capture experiments of the wasp cat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p capture experiment of FIG. 12 was performed for 12 days from August 24 to September 4, 2019. The experiment of FIG. 12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number of wasps captured using the wasp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attractant.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에서 포획된 말벌 수는 전체 포획 말벌 수의 83%이고, 유인액을 통해 포획된 말벌 수는 17%이다. 본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종래의 유인액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 5배 정도로 더 많은 양의 말벌을 포획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12, the number of wasps captured in the wasp ca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83% of the total number of wasps, and the number of wasps captured through the attractant is 17%. According to this exper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wasp tra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pture wasps in a larger amount by about 5 times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attractant.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빛에 의한 말벌 누적 포획 개체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 13의 말벌 포획 실험은 2019년 9월 3일부터 9월 12일까지 10일 동안 수행되었다. 도 13의 실험은 2개의 말벌 포획기(N1, N2)에서, 9월 3일부터 9월 10일까지 누적 포획 말벌의 개체 수를 조사한 다음에, 9월 11일에 포획된 말벌을 모두 제거하고, 9월 12일에 다시 말벌을 포획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3 is a chart showing changes in the cumulative number of wasps captured by the light of the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p capture experiment of FIG. 13 was performed for 10 days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12, 2019. In the experiment of FIG. 13, in the wasp catchers (N1, N2), the number of cumulative catch wasps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10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wasps captured on September 11 were removed. On the 12th of September, the wasp was captured again.

도 13을 참조하면, 포획 말벌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포획되는 말벌의 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말벌 포획기 N1을 보면, 포획 말벌 개체수가 130을 넘는 9월 7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는 포획 말벌 수가 거의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말벌 포획기 N2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9월 11일에 포획 말벌을 모두 제거하고 다시 실험을 한 결과, 9월 12일에는 다시 많은 수의 말벌이 포획되었다.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wasps captured increases, the number of wasps captured decreases. Looking at the wasp catcher N1,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wasps rarely increased between September 7th and September 10th, when the population of wasps was over 130. The wasp catcher N2 showed similar results. And on September 11th, all wasps were removed and tested again. On September 12th, a large number of wasps were captured again.

도 13의 실험 결과는 말벌 포획기 내에 쌓이는 말벌 사체들에 의해 빛이 가려짐으로 인해 포획되는 말벌의 수가 줄어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말벌이 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는 이 실험 결과를 통해, 빛 투과부를 구성하는 포획 상면부, 포획 측면부, 그리고 포획 하면부 등을 빛이 잘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나 빛이 잘 통과되는 망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말벌 사체들이 빛을 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포획 하면부를 서랍식 또는 슬롯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13 show that the number of wasps captured can be reduced due to the light being obscured by the wasp carcasses accumulated in the wasp catcher. This indicates that the wasp is sensitive to light.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or a light through which the light is easily transmitted through the top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that constitutes the light transmission part. It is structured.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a drawer-type or a slot type to capture the lower surface of the wasp body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obscuring the light.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가 실제 제품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6000)은 벌통(6100)과 말벌 포획기(6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6200)는 포획 상면부, 포획 측면부, 그리고 포획 하면부 등을 조립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1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asp ca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ctual product. Referring to FIG. 14, the wasp capture system 6000 includes a beehive 6100 and a wasp catcher 6200. The wasp trapping machine 6200 may prefabricate the capture top surface portion, the captur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또한, 말벌 포획기(6200)는 벌통(6100)에 접촉하는 배면 측면부 또는 그 반대편의 정면 측면부에 벌통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6200)는 벌통 고정부를 이용하여 포갠 상태로 보관하거나, 각각의 조립된 구성을 분해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6200 may form a beehive fixing part on a rear side surface portion contacting the beehive 6100 or a front side surface portion opposite thereto. The wasp trapper 6200 may be stored in a nested state using a beehive fixing part, or each assembled configuration may be stored in an exploded state.

말벌 포획기(6200)는 개방공간 형성부를 통해 벌통(6100)에 고정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6200)가 고정되면 그 아래에는 개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말벌 포획기(6200)는 빛이 잘 통과하도록 투명한 망 구조로 되어 있다. 햇빛은 말벌 포획기(6200)를 통과하여 개방 공간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빛은 반사되어 먼 곳에 있는 말벌을 개방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The wasp trapper 6200 may be fixed to the beehive 6100 through the open space forming unit. When the wasp trapper 6200 is fixed, an open space may be formed below it. The wasp trapper 6200 of FIG. 14 has a transparent network structure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Sunlight can pass through the wasp trap 6200 to reach the open space. In addition, some of the light is reflected and can lead wasps in distant places to open space.

말벌은 꿀벌을 잡기 위해 꿀벌 출입구가 있는 개방 공간으로 모여든다. 말벌은 꿀벌을 잡기 전에 상승 비행하는 습성이 있다. 또한, 말벌은 빛에 민감하여 빛을 향하여 상승 비행한다. 말벌 포획기는 이러한 말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말벌 출입구로 유인하고, 말벌 포획부에 여러 가지 기하학적 구조물(예를 들면, 진입 유도부 및 이동 가이드 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한다. 포획된 말벌은 포획 상면부를 통해 제거하거나(뚜껑식), 또는 포획 하면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서랍식).Wasps flock to open spaces with bee entrances to catch bees. Wasps tend to fly upward before catching the bees. In addition, the wasps are sensitive to light and fly upward toward the light. The wasp catcher uses the habit of the wasp to attract the wasp to the wasp entrance, and captures the wasps using various geometric structures (for example, an entry guide and a movement guide) to the wasp catch. Captured wasps can be removed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capture (lid type) or remov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ture (drawer ty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는 실제 사진과 실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인액을 사용하지 않고도 많은 양의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빛을 잘 투과하거나 빛의 일부를 반사하여 반짝거리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벌통의 꿀벌 출입구 앞에 개방 공간을 제공함으로, 말벌의 상승 비행으로 인한 말벌 포획율을 높이고, 꿀벌의 자유 비행으로 인한 꿀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The wasp trap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pture a large amount of wasps without using an attractant, as seen in the actual photos and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the wasp cat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hiny material by transmitting light well or reflecting a part of the light, and providing an open space in front of the bee doorway of the beehive, thereby increasing the wasp catch rate due to the rising flight of the wasp, You can increase honey production from free flight.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designed or easily chang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말벌 포획 시스템 110: 벌통
111: 꿀벌 출입구 120: 말벌 포획기
121: 말벌 포획부 122: 말벌 입구부
123: 빛 투과부 124: 포획실
125: 개방공간 형성부 1000: 말벌 포획기
1110: 제 1 말벌 포획부 1120: 제 2 말벌 포획부
1115: 포획부 구분판 1111, 1121, 1122: 이동 가이드
1200: 말벌 입구부 1210, 1220: 진입 유도부
1300: 빛 투과부 1310: 포획 상면부
1320: 포획 측면부 1330: 포획 하면부
100: wasp capture system 110: beehive
111: bee exit 120: wasp catcher
121: wasp capture part 122: wasp entrance
123: light transmitting portion 124: capture chamber
125: open space forming unit 1000: wasp catcher
1110: first wasp catching part 1120: second wasp catching part
1115: capture section divider 1111, 1121, 1122: moving guide
1200: wasp entrance 1210, 1220: entrance guidance
1300: light transmitting portion 1310: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1320: capture side portion 1330: capture bottom portion

Claims (15)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에 있어서,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말벌 포획부;
상기 말벌 포획부로 말벌이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말벌 입구부;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빛을 투과하면서 일부 빛을 반사하고, 상기 말벌 포획부를 둘러싸서 상기 말벌 포획부의 포획 공간을 제공하는 빛 투과부; 및
상기 벌통의 꿀벌 출입구 앞에서 지면과 상기 말벌 입구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 거리를 유지함으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빛 투과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의 윗면을 이루는 포획 상면부;
상기 말벌 포획부의 측면을 이루는 포획 측면부; 및
상기 말벌 포획부의 아랫면을 이루는 포획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벌 포획기는 상기 포획 상면부 또는 상기 포획 측면부 또는 상기 포획 하면부를 통해 상기 개방 공간에 빛을 제공하고, 상기 빛 투과부에서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말벌을 상기 말벌 입구부로 유인하고, 상기 개방 공간을 통해 말벌의 상승 비행과 꿀벌의 자유 비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말벌 포획기.
In the wasp catcher installed in the bee hive,
A wasp capture part for capturing wasps;
A wasp inlet that induces a wasp to enter the wasp catch;
A light transmission unit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reflects some light while transmitting light, and surrounds the wasp capture unit to provide a capture space of the wasp capture unit; And
Including the open space forming portion to form an open space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pac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wasp inlet in front of the entrance to the bee of the beehiv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 capture upper surface portion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A capture side portion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And
It includes a capture bottom portion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sp capture portion,
The wasp trapper provides light to the open space through the capture top surface portion or the capture side portion or the capture bottom surface portion, and attracts the wasp to the wasp inlet us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transmission portion, and opens the open space. A wasp catcher that provides space for a wasp's upward flight and a bee's free flight 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입구부는 말벌이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는 도중에 하강 비행하여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입 유도부를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sp inlet portion is a wasp trapper comprising an induction guiding portion for inducing a wasp to enter the wasp capture portion and preventing a flight by descending while entering the wasp capture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상면부는 슬롯 방식으로 포획된 말벌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pture top surface portion wasp catcher is configured to remove the wasp captured in a slot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하면부는 슬롯 방식 또는 서랍식으로 포획된 말벌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ap bottom part is configured to remove wasps trapped in a slot or drawer 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포획부는 포획부 구분판에 의해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로 구분되고,
상기 말벌 입구부를 통해 상기 제 1 말벌 포획부에 들어온 말벌은 상기 포획부 구분판과 상기 포획 측면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sp capture par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wasp capture parts by a capture part divider,
The wasp entering the first wasp catching portion through the wasp inlet portion passes through between the capture portion dividing plate and the catching side portion to enter the second wasp catching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 구분판은 슬롯 방식 또는 서랍식으로 상기 포획 측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말벌 포획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apture part divider is a wasp catcher that is fasten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tch in a slot or drawer typ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부는 말벌의 포획을 위한 이동 경로를 유도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wasp catchers include a wasp catcher including a plurality of movement guides that guide a movement path for wasp cap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상면부에 연결되는 채집통을 더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Wasp trapp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collection bin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공간 형성부는 상기 포획 측면부 중에서 상기 벌통과 접촉하는 배면 측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말벌 포획기를 상기 벌통에 고정하는 벌통 고정부를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space form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ear side part contacting the beehive among the capture side parts, and the wasp catcher including a beehive fixing part fixing the wasp catcher to the beehive so as to form the open sp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측면부는 상기 포획 하면부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ar side portion wasp catcher comprising a support extending below the capture bottom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측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꿀벌 출입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꿀벌 출입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The method of claim 10,
A wasp catcher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rear side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bee access control porti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bee entr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측면부는 복수의 측면부로 구성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pture side part wasp catch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ide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빛 투과부는 망 구조로 형성되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transmission portion wasp trapper formed in a network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빛 투과부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고 꿀벌은 통과할 수 있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망 구조를 갖는 말벌 포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wasp trapper having a rectangular or elliptical network structure through which a wasp cannot pass and a bee can pass.
KR1020190139400A 2018-11-05 2019-11-04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KR102108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4873 WO2020096313A1 (en) 2018-11-05 2019-11-04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20190139400A KR102108379B1 (en) 2019-11-04 2019-11-04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US17/288,977 US20210386048A1 (en) 2018-11-05 2019-11-04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00A KR102108379B1 (en) 2019-11-04 2019-11-04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407A Division KR20210053778A (en) 2020-04-29 2020-04-29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379B1 true KR102108379B1 (en) 2020-05-14

Family

ID=7073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00A KR102108379B1 (en) 2018-11-05 2019-11-04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3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146B1 (en) * 2020-06-22 2021-03-19 송만호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40A (en) * 2000-11-29 2002-06-04 Saneji Komatsu Apiculture hive equipped with transparent lid
KR200480937Y1 (en) *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Wasp capturing device
KR20180125411A (en)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Wasp Capturing Device
KR20190038703A (en) * 2017-09-29 2019-04-09 한석윤 Insulating panel for wooden beehive
KR102029064B1 (en) * 2018-12-04 2019-10-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A beefarm with wasps luring and capturing too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40A (en) * 2000-11-29 2002-06-04 Saneji Komatsu Apiculture hive equipped with transparent lid
KR200480937Y1 (en) *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Wasp capturing device
KR20190038703A (en) * 2017-09-29 2019-04-09 한석윤 Insulating panel for wooden beehive
KR20180125411A (en)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Wasp Capturing Device
KR102029064B1 (en) * 2018-12-04 2019-10-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A beefarm with wasps luring and capturing too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146B1 (en) * 2020-06-22 2021-03-19 송만호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suura et al. A bionomic sketch of the giant hornet, Vespa mandarinia, a serious pest for Japanese apiculture (With 12 Text-figures and 5 Tables)
KR102040486B1 (en) A wasp luring trap using visual, olfactory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KR101966024B1 (en) Wasp Capturing Device
KR101895246B1 (en) A pollen collecting device that prevents the entrance of wasps
US6468129B1 (en) Beehive bottom board for reducing parasite infestation
KR102125495B1 (en) Hive for harvesting honey and honey comb
KR20170053275A (en) Wasp trapping device
KR102029064B1 (en) A beefarm with wasps luring and capturing tools
KR102108379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GB2495284A (en) Beehive entrance Varroa mite trap
US6450858B1 (en) Beehive movable top entrance
Eberhard The natural history and behaviour of the wasp Trigonopsis cameronii Kohl (Sphecidae)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Nielsen et al. The greater wax moth: Adult behavior
WO2007102035A2 (en) Bee hive for controlling small hive beetle infesta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swarming
KR20190045031A (en) Attachment device for wasp prevention, and bee hive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934779B1 (en)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US10076108B2 (en)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4000845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est denial, apiary monitoring and management
KR20140083079A (en) Hive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on of entering larva of injurious insect
KR101719906B1 (en) Block absence for queen bee of native bee, management device using it and method thereof
KR102230146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KR20210053778A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