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79B1 -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 Google Patents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79B1
KR101934779B1 KR1020160085437A KR20160085437A KR101934779B1 KR 101934779 B1 KR101934779 B1 KR 101934779B1 KR 1020160085437 A KR1020160085437 A KR 1020160085437A KR 20160085437 A KR20160085437 A KR 20160085437A KR 101934779 B1 KR101934779 B1 KR 10193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native
queen bee
mesh
b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5771A (en
Inventor
김대립
Original Assignee
김대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립 filed Critical 김대립
Priority to KR102016008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79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벌통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여왕벌이 격리되는 격리공간; 및 상기 토종벌 출입문을 관통하여, 일벌 및 여왕벌과 수벌을 상기 받침대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mbstone access door for a native beehive installed at one side of a beehive bas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 beehive, comprising: an isolation space in which a queen bee is isolated; And a passageway for passing the worker bees and queen bee and the water collecting through the above-mentioned beetle access door into the pedestal.

Description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mb door of a native beehive.

일반적으로 토종벌은 3종류로 대별된다. 여왕벌은 번식력 있는 암컷으로서 1군당 1마리만 존재하면서 알을 낳고 페르몬을 분비하여 벌통내 전체 무리를 통솔한다. 알을 낳기 위해서는 탄생 후 1회는 맑은 날 오후에 벌통 밖으로 비행을 나가 약 5~10마리 정도의 수벌과 공중에서 교미를 하여 평생 알을 낳을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In general, there are three kinds of toddler bees. The queen bee is a fertile female, with only one bird per group, giving birth to eggs and secreting pheromones, leading the whole herd in the beehive. In order to lay eggs, they fly out of beehives on a clear afternoon on a clear day and have about 5 to 10 bees and mating in the air and have the ability to lay eggs for a lifetime.

일벌은 먹이를 찾고 벌방(cell)을 짓는 등의 여러 가지 임무를 수행하는 번식력 없는 중성이다. 수벌은 침이 없고, 수정 기능만 갖고 있다.The worker bees are neutral without breeding to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finding food and building cells. The bee is free of saliva and has only a correction function.

최근 꿀벌을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과 꿀벌의 산출물과 관련된 상품으로 인해 꿀벌에게 발생하고 있는 질병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꿀벌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며, 가장 흔하고 평범한 바이러스로는 변형 날개 바이러스(DWV), 급성 꿀벌 숙주바이러스(ABPV), 만성 꿀벌 숙주 바이러스(CBPV), 흑여왕셀바이러스(BQCV), 케시미르바이러스(KBV)와 낭충봉아부패병바이러스(Sacbrood Bee Virus; SBV) 등이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honey bee diseases due to efforts to protect honey bees and products related to honey bee products. Viruses that are parasitic on honey bees are found worldwide, and the most common and common viruses are Deformed Wing Virus (DWV), Acute Bee Host Virus (ABPV), Chronic Bee Host Virus (CBPV), Black Queen Cell Virus MIRV (KBV) and Sacbrood Bee Virus (SBV).

현재까지도 꿀벌의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은 제시된 바 없으며, 감염벌통 조기진단 및 소각만이 자연치료를 이끌 수 있는 유일한 예방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들 꿀벌 바이러스들은 봉군을 지속적으로 약화시켜 다른 병인체와 혼합감염을 일으키며, 이러한 혼합감염은 봉군의 붕괴 등 봉장 전체에 치명적 손상을 일으키기에 최근 그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Until now, no appropriate treatment for viral diseases of bees has been proposed, and only the early diagnosis and incineration of infectious beehive is known to be the only precautionary measure to lead to natural treatment. In particular, these bee viruses continue to weaken the progeny and cause mixed infections with other human diseases. Such a combined infection causes serious damage to the entire proximal end such as collapse of the progeny.

특히, 낭충봉아부패병(sacbrood)은 꿀벌 유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서, 이 병에 걸린 유충은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말라죽게 되는 병이다. 꿀벌 유충(애벌레)에 발생하는 전염성 질병으로, 바이러스(Sacbrood Virus, SBV)에 의해 감염되며 부화기부터 유충이 번식하는 봄에서 가을 사이에 주로 발생하며 특히 환경적으로 변화가 큰 4월과 7월에 집중 발생된다.Especially, sacbrood is a viral infectious disease that occurs in bee larva, and the larva that is affected by this disease is not pupa and is killed by dryness. It is an infectious disease that occurs in bee larva (larvae). It occurs mainly during spring to autumn when the larvae are infected by the virus (Sacbrood Virus, SBV) and propagate from the hatching stage. Especially in April and July Concentrated.

이러한 낭충봉아부패병의 주감염경로는 감염된 꿀벌과 벌통밖으로 버려지는 감염애벌레에 의해 반경 5km 이내의 토종벌 및 봉장을 매우 빠른 속도로 감염시키며, 발생의 원인은 명나방 애벌레 및 진균에 의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발생된다. 일벌들은 병든 유충들이 들어 있는 벌방을 청소하고 말라 죽은 유충들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벌들도 감염되며, 양봉기구와 벌통의 이동 등을 통해 벌통에서 벌통으로 전염이 확산될 수 있다.The major infectious pathogen of this infestation is infected with bees and infected larvae that are thrown out of beehives at very rapid rate of infestation and congestion within a radius of 5 km. The cause of the infestation is due to the decrease of immunity due to larvae and fungi . The worker sweeps the insect larvae and removes the dead larvae, which in turn infects the worker bees and spreads the beehive from the beehive through the beehive and the beehive.

바이러스의 감염은 애벌레가 숙주가 된다. 여왕벌이 산란하면 3일은 알의 형태로 있고, 3~14일 사이는 애벌레의 형태로, 14~21일 사이는 번데기 형태로, 21일 이후에는 성충이 되며, 애벌레 기간에 숙주가 되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Infection of the virus becomes larval host. When the queen bee is scattered, it is in the form of egg on the 3rd day, in the form of the larva between 3 and 14 days, in the form of pupa between 14 and 21 days, on the 21st day it becomes the adult, do.

한편, 왕롱(王籠)은 여왕벌을 일시 격리하거나 새로 유입할 때 쓰이는 기구로서 주로 여왕벌을 가두어 일벌과 분리 친화시켜 일벌이 여왕벌을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왕롱은 간격이 너무 좁아서 일벌들이 출입할 수 없어 여왕벌먹이를 공급할 수 없으므로 인위적으로 먹이를 공급해줘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약 7일 이상 경과되면 일벌들의 보호를 받지못하는 여왕벌은 스트레스 등으로 죽고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게 되므로 7일 이상 여왕벌을 가두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anglong is a device used to temporarily quarantine queen bees or to introduce new ones. It is mainly used to prevent queen bees from attacking queen bees by confining queen bees and separating them from work bees. The queen bee is not protected by worker bees when it is over 7 days after it is fed because it can not feed the queen bee food because it is small and can not enter the worker bees. The queen bee is killed by stress, , It is difficult to keep the queen bee for 7 days or more.

이를 회피하기 위해 여왕벌을 망이나 합성수지 상자 등을 이용하여 7일 이하로 단기간 가두는 경우 벌집 및 꿀벌의 장(腸)내에 있는 바이러스의 치료효과가 낮아져 낭충봉아부패병을 예방하기 위한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avoid this, if the queen bee is kept in a short period of 7 days or less by using a net or a synthetic resin box,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virus in the intestine of the honeycomb and bee is lowered, which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for preventing the infestation hav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71028호(2013. 06. 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1028 (Feb.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81368호(2014. 07. 0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1368 (2014. 07. 0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여왕벌 교체시 처녀여왕벌의 교미시기조절로 장기간 여왕벌산란 조절과 차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토종벌 육아휴식이 가능하게 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ating timing of a virgin queen bee, It is to provide the entrance to the tombs of the beehi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밀기간 여왕벌의 분봉과 산란량을 조절하여 일벌(외역별) 수와 꿀저장방을 증가시켜 토종꿀 품질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양벌, 땅벌등의 침입벌 및 해충 차단으로 토종벌과 토종꿀을 안전하게 관리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는 것이 가능한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native hone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er bees (by external station) and the honey storage area by controlling the spreading and scattering amount of the queen bee during the milking period, To provide a queen bee blocking member and a native beehive access door for the bee keeping beetle which can safely manage the tobacco beet and native honey to enhance productiv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통로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통로차단부재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여왕벌 및 일벌의 출입에는 불편함이 없으면서 양벌 및 침입 해충들의 공격은 불리함과 동시에 꿀벌들의 방어에는 유리하도록 하였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neycomb structure and a honeycomb structure which are free from the inconvenience of queen bees and worker bee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a connecting passage blocking member slidingly coupled on a connection passage, Respectively.

본 발명은 여왕벌을 포획하여 출입문 내부공간에 보관후 빈벌통을 설치하여 일벌무리를 유인하여 인공분봉하거나, 자연분봉한 일벌무리들을 자연유인 하도록하여 토종벌의 안정도를 높이고 여왕벌의 출입차단을 통해 도망벌을 방지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pture the queen bee and store it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and then install an empty beehive to attract the worker bees, artificially blowing them or naturally blowing the worker bees to nature,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beeing bees, .

본 발명은 벌통이동시 토종벌 출입문의 개폐가 용이하며 3.2mm 슬릿의 매쉬부재로 교체하여 환풍 기능을 두어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계절별 토종벌 출입문의 크기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며, 자연분봉 시 여왕벌을 쉽게 포획하여 도망가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n and close a tomb door when moving a beehive and move it safely by replacing a mesh member with a 3.2mm slit to provide a ventilating function and make it easy to control the size of a seasonal beehive door, I do not want to run away.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은 벌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벌통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여왕벌이 격리되는 격리공간; 및 상기 토종벌 출입문을 관통하여, 여왕벌 및 일벌을 상기 받침대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inner and outer doors of the nativ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a beehive bas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eehive, and the queen bee is isolated. And a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the queen bee and the worker bees are introduced into the pedest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리공간은 상기 격리공간의 일면에 형성되는 메쉬(mesh) 벽; 상기 격리공간의 타면에 형성되는 일벌 출입구; 및 상기 일벌 출입구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차단문;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solation space includes a mesh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isolation space; A worker bevel entran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solation space; And a blocking door slidingly coupled to the sunken door entranc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 벽과 상이한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 벽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메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sh member having a mesh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sh wall is formed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mesh wal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메쉬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 벽의 일측에 상기 메쉬부재의 스토퍼가 결착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mesh member, and a groove portion to which a stopper of the mesh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mesh wall .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로부 상의 일측 또는 타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통로부의 폭을 제한하는 통로제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assage restricting member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and limits the width of the passage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리공간과 상기 통로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통로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ion passage interconnecting the isolation space and the passage section; And a connection passage blocking member sliding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assag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 벽과 상이한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는 다수의 메쉬부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차단하는 뚜껑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mesh members, in which meshes different from the mesh wall are formed, are accommodated; And a lid for blocking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부재는 각각 높이 3.20mm~7.00mm의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member may have a plurality of slits each having a height of 3.20 mm to 7.00 mm.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리공간 내에 여왕벌의 먹이가 보관되는 꿀보관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honey container for storing the food of the queen bee in the isolation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en bee block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follows.

첫째, 낭충봉아부패병 위험시기인 4월과 7월에 우수여왕벌로 교체후 처녀여왕벌을 토종벌통의 내부에 가두어 교미시기를 관리하여 15~20일 이상의 여왕벌 산란 조절과 차단이 가능한 육아휴식을 실시하여 바이러스의 숙주인 토종벌 애벌레 육아활동을 장기간 중단 및 조절할 수 있다.First, after replacing the queen bee with the queen bee in April and July, which is a dangerous period of poisoning of the bumblebee, the virgin queen bee is confined inside the beehive to control the mating time, It is possible to suspend and control long-term childbearing activities of domestic birch larvae, the host of the virus.

둘째, 자연분봉의 차단 및 조절과 시기별 꽃의 개화량에 따라 여왕벌의 산란량을 조절하여 산란방이 감소하는 만큼 꿀저장방을 증가시키면서 일벌(외역벌)수를 조절 관리할 수 있고, 양벌, 땅벌 등 침입벌과 해충들을 차단시켜 토종꿀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를 이용해 여왕벌의 출입 통제기능 및 꿀벌의 통행 조절기능을 제공하여 여왕벌의 증식 및 교체와 보관이 용이하고, 군세 및 계절별 일벌 통로의 크기 조절을 통해 일벌의 이동편리 및 벌통내 환풍량 조절로 벌통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인 토종벌의 관리가 가능하며, 연결통로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통로차단부재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여왕벌 및 일벌의 출입에는 불편함이 없으면서 양벌 및 침입 해충들의 공격은 불리함과 동시에 꿀벌들의 방어에는 유리하도록 하여, 일벌의 출입은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환경에 익숙지 않은 양봉 및 땅벌 등의 침입벌을 효과적으로 통제 및 방어 할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worker bees (honeybees)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honeybee be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lowering of the flower,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native honey by blocking invasive bees and pests.
In addition, it provides easy access control of the queen bee by controlling the access to the queen bee and control of the passage of bees by using the native beehive access door of the native beehange. It is easy to multiply and replace the queen be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beehive cleanly by controlling the air flow rate, and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systematic bean curb, an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blocking member sliding on the connecting passage,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the entrance of the queen bee and worker bees, The attacks of invaded pests are disadvantageous while at the same time favoring defenses of bees, allowing the workers to freely enter and exit, while effectively controlling and defending invasive bees such as bees and bumblebee, which are relatively unfamiliar to the environ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왕벌을 포획하여 출입문 내부공간에 보관후 빈벌통을 설치하여 일벌무리를 유인하여 토종벌의 안정도를 높이고, 여왕벌출입차단으로 도망벌을 방지하고, 여왕벌집을 일벌들이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분봉관리 인력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en bee is caught and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and then an empty beehive is installed to attract the worker bees,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tobacco beetle, preventing the queen bee entering and leaving,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manpower of the spraying manag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벌통이동시 꿀벌출입문 닫기가 용이하고 일벌도 통과할 수 없는 높이 3.20mm의 슬릿이 형성된 매쉬부재로 교체하여 환풍 기능을 두어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계절별 토종벌 출입문의 크기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벌통의 내부환경 개선효과 및 자연분봉 시 여왕벌을 쉽게 포획하여 도망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mesh member with the slit having a height of 3.20 mm, which is easy to close the beeper door when the beehack is moved and can not pass through the beehive, So that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beehive can be improved and the queen bee can be easily captured and prevented from escaping during the natural spli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 출입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8 are views showing a door an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tomb door of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100)은 크게 벌통 받침대(110), 벌통(120), 덮개부재(130), 토종벌 출입문(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 native beehiv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ehold support 110, a beehold 120, a lid member 130, and a weevil access door 150 .

벌통 받침대(110)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서, 받침판(112)의 상면에 평면에서 보아 'ㄷ'자형 단면을 갖는 받침틀(114)이 적층된다.The beehive bracket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upport frame 114 having a 'C' -shaped cross section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2.

벌통(120)은 벌통 받침대(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122) 및 상부 상자(124)를 포함한다.The beehives 120 are stacked on top of the beehold 110 and include a lower box 122 and an upper box 124 that open downward and upward.

하부 상자(122)는 사각틀 형태로서 유충이 부화되고, 상부 상자(124) 역시 하부 상자와 동일한 형태로서 꿀 채취가 행해진다.The lower box 122 is hatch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upper box 124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box, and honey is collected.

이때, 상기 벌통 받침대(110)과 하부 상자(122) 그리고 상부 상자(124)는 단일 구조체 또는 다단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beehacker 110, the lower box 122, and the upper box 124 may b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or a multi-stage structure.

덮개부재(130)는 평판 형태로서 벌통(120)의 상부에 거치되어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아주고 벌집을 고정시킨다.The lid member 13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neycomb 12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o prevent the inflow of contaminants and fix the honeycomb.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벌통 받침대(110)와 벌통(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포집하여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가둔다.At least on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beehive base 110 and the beehive 120 and collects the queen bee and confines it inside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도 2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가 벌통(120)의 양측면에 홈이나 턱을 형성하여 지지바(144)에 의해 걸쳐 공중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2 shows that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is formed in the air by the support bar 144 by forming a groove or a step on both sides of the beehive 120. [

이러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의 설치에 의해 방향에 관계없이 여왕벌차단 슬릿(142)을 통해 일벌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By installing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the worker bee can freely go in and out through the queen bee blocking slit 142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이때,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육면체와 같은 다면체 외에 원형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육면체 형상의 경우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일면에는 여왕벌 출입용 개폐문(미도시)이 구비되고, 다른 각각의 면에 사각 형태를 갖는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여왕벌차단 슬릿(142)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각각의 높이(W)는 3.2~7.00mm(3.20, 3.60, 3.65, 3.70, 3.75, 3.80, 3.85, 3.90, 3.95, 4.00, 4.05, 4.10, 4.15, 4.20, 4.25)등의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o a polyhedron such as a hexahedron. In the case of a hexahedron,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may be provided with a queen bee opening / A plurality of queen bee blocking slits 142 having a quadrangular shape on each of the other fac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length of the queen bee blocking slit 14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ach height W is 3.2 to 7.00 mm (3.20, 3.60, 3.65, 3.70, 3.75, 3.80, 3.85, 3.90, 3.95, 4.00, 4.05, 4.10, 4.15, 4.20, 4.25).

상기 여왕벌차단 슬릿(142)의 높이를 3.20~7.00mm로 한정한 것은 이러한 범위내에서 일벌의 출입은 자유로운 반면에 상대적으로 일벌보다 몸집이 큰 여왕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42)을 통해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height of the queen bee blocking slit 142 is limited to 3.20 to 7.00 mm. In this range, the worker bee is freely in and out, while the queen be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worker bee is blocked by the queen bee blocking slit 142 So that it does not come out of the member 140.

도 1 및 도 2에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을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FIGS. 1 and 2 illustrate that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is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may be elongated vertically.

받침틀(114)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가 상하 슬라이딩 또는 서랍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은 벌통(120) 하부의 벌통 받침대(110)의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다.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pen end of the support frame 114 in a manner such that the beehive support door 110 of the beehive base 110 It can be installed anywhere.

이때, 본 발명에서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가 상하 슬라이딩 또는 서랍형 방식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틀(114)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is disclosed as an up-and-down sliding or drawer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르면 벌통 받침대(110)상에 벌통(120)을 적층시키며, 덮개부재(130)를 닫은 상태에서 벌집과 토종벌이 벌통(120) 내부 공간에 내려짐과 아울러, 밖으로 일을 나간 일벌은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의 통로부를 통해 벌통 받침대(11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neycomb 120 is stacked on the beehold base 110 and the beehive and bears are dropped in the beehive 120 in a state where the cover 130 is closed. In addition,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beehive cradle 110 through the passage portion of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이후, 일벌은 벌통 받침대(110) 및 벌통(120) 내부에 있게 되는 바, 여왕벌은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격리된 상태에서 일벌은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의 내,외부로 출입이 용이하므로 효과적인 토종벌 여왕벌의 출입 통제로 여왕벌 산란을 차단 및 관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worker bees are inside the beehive cup 110 and the beehive 120. When the queen bee is isolated from the inside of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It is possible to block and manage the queen bee spawning by controlling the access to the effective queen bee.

즉, 기존의 토종벌왕롱은 간격이 너무 좁아서 일벌의 출입이 어려워서 7일 정도 경과되면 여왕벌이 스트레스 등으로 죽고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게 되므로 7일 이상의 장기간 여왕벌을 가두는 것은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여왕벌이 격리되는 대신 일벌의 출입이 자유로우므로 여왕벌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는 폐단이 방지됨과 아울러, 여왕벌을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격리시키고, 일벌의 통행은 가능함에 따라 여왕벌을 원하는 기간동안(20일 이상)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가두어 장기간 알을 낳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keep the queen bee for 7 days or longer because the queen bee is killed because of the stress and when the worker bees can not go out after 7 days because the gap is too narrow, Since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olates the queen bee, the queen bee is not stressed and is prevented from giving birth to eggs that can not be used because the queen bee is free to enter the work be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queen bee in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for a desired period of time (20 days or more) as the worker can pass through the first blocking member 140 and prevent the queen bee from laying eggs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꽃이 많은 유밀기에 여왕벌의 산란이 왕성하고 분봉열이 발생하더라도 여왕벌이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격리되므로 여왕벌의 산란조절과 자연분봉을 차단시켜서, 산란방이 감소하는 만큼 꿀저장방은 증가하므로 꿀의 채밀량을 대량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queen bee spawns in the flower-grown ointment and the heat of the queen bee is generated, the queen bee is isolated from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thereby preventing the queen bee from controlling the spawning and the natural boiling,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amount of honey.

또한, 다수의 여왕벌을 제1차단부재(140)에 여왕벌을 각각 격리하는 경우 여왕벌의 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manage the queen bee when a plurality of queen bees are respectively isolated from the first blocking member 140.

즉, 여왕벌은 1군 1왕제로서 하나의 왕롱에 여러 마리의 여왕벌을 보관할 경우 서로 공격하여 죽게 되나, 여러 개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하나의 여왕벌을 각각 격리함으로써, 여왕벌 증식 및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queen bee is attacked and killed when a plurality of queen bees are stored in one queen bee as the first queen of the first group. However, when a plurality of queen bee first shutters 140 are installed, one queen bee first shut off member 140 By isolating one queen bee each, it can be used for queen bee breeding and storage.

또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에 보관된 처녀 여왕벌을 수벌과의 교미 유도시 벌통 밖으로 나갔다가 천적에게 잡혀 죽고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게 되나, 본 발명에 따라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사용할 수 있어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있는 여왕벌의 페르몬에 의해 못쓰는 알(무정란)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벌통내로 다시 방사시킨 후 출입구를 재개방하여 안정적이고 순차적으로 반복 교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무왕벌 대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f a virgin queen bee kept in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goes out of the beehive when it is induced to mate with the bee bug and is unable to return to die after it is caught by the enemy bean, the bee bug can not be used. It is possible to use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so as to prevent the eggs (unburnt) that are not caused by the queen bee's fermen in the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0, And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mate in succession, so that efficient non-tremble coping is possible.

또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다수개로 서로 연결하거나 여러개로 칸을 나누어 설치할 경우 다수의 여왕벌을 각각 격리가 가능하여, 여왕벌의 증식 및 교체와 보관을 효율적으로 대량관리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s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when a plurality of quarters are divided, it is possible to isolate a plurality of queen bees from each other,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multiplication, replacement and storage of queen bee efficiently.

본 발명에서 상기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은 상하 슬라이딩 또는 부착으로 통해 결합되거나, 토종벌통(100)의 벌통(120) 하부쪽 어느면에도 부착하여 사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tive bevel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may be coupled through vertical sliding or attaching, or attached to any side of the native beehive 100 below the beehive 12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은 상기 받침틀(114)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여왕벌을 격리시킨다.In more detail,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4 to isolate the queen bee.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을 도시한 도면이다.3 to 8 are views showing a tomb door of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의 통로제한부재를 제거한 도면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native beehive access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ative beehive access door of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의 일벌 출입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의 차단문을 결합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worker bee entrance of a native beehive entranc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of a native beehive entranc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왕벌 차단부재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왕벌 차단부재의 연결통로 및 연결통로차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bottom view of a queen bead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assage and a connection passage blocking member of a queen bead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은 여왕벌이 격리되는 격리공간(15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includes an isolation space 151 where the queen bee is isolated.

보다 구체적으로, 격리공간(151)은 토종벌 출입문의 내부에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메쉬(mesh) 벽(152)이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리공간(151)의 타면에는 일벌 출입구(153)가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벌 출입구(153) 상에는 차단문(154) 또는 상이한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는 메쉬부재(155)가 자유롭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3, a mesh wall 15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solation gate 151, and the isolation space 151 is formed in the isolation space 151 as shown in FIG. 5, The shuttle door 154 or the mesh member 155 having the mesh of a different size is formed on the worker blade entrance 153 as shown in FIG. .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 벽(152) 상에는 상기 메쉬 벽(152)과 상이한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는 메쉬부재(155) 또는 차단문(154)이 상기 메쉬 벽(152) 상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3, a mesh member 155 or a blocking door 154 on which a mesh having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sh wall 152 is formed on the mesh wall 152 may be formed on the mesh wall 152, And can be slidingly coupled.

이때, 상기 메쉬부재(155)는 상기 메쉬부재(15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1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종벌 출입문(150)에는 상기 메쉬 벽의 일측에 상기 메쉬부재의 스토퍼가 결착되는 다수의 홈부(157)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양벌, 여왕벌, 땅벌 등의 크기에 맞게 메쉬의 크기가 상이한 메쉬부재(155)를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의 일벌 출입구(153), 메쉬벽(152), 통로부(158)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상기 메쉬부재(155)는 각각 슬릿의 폭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높이(h)는 3.20mm~7.00mm의 수치 중 차단하고자 하는 벌의 크기에 맞는 적정 수치를 선택하여 다수개의 슬릿으로 형성 시킬 수 있다.The mesh member 155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56 projecting from the surface of the mesh member 155. A stopper of the mesh member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esh wall A plurality of grooves 157 are formed and mesh members 155 having mesh siz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two bees, queen bee and bumblebee are inserted into the bead entrance 153 of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The width of the sli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height h of the mesh member 155 may be set to a value in the range of 3.20 mm to 7.00 mm An appropri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ee can be selected and formed into a plurality of slits.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은 일벌 및 여왕벌을 벌통 받침대(110)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부(158)가 상기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부(158) 상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통로제한부재(159, 16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통로부(158)의 폭을 제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has a passageway 158 through which the worker bee and queen bee enter the beehive cage 110 to pass through the native bee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As shown in FIG. 3, passage limiting members 159 and 160 are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158 to limit the width of the passage portion 158.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종벌 출입문(150)의 배면에도 통로부(158)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통로제한부재(161, 162)가 더 포함될 수 있다.6, the passageway restricting members 161 and 162 may be further slidably coupled to the passageway 158 on the rear surface of the weft insertion gate door 150. As shown in FIG.

이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제한부재(159, 160, 161, 162), 메쉬부재(155), 차단문(154)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홈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S. 3 to 6, a plurality of groove pillars are formed for easy sliding connection of the passage limiting members 159, 160, 161 and 162, the mesh member 155 and the blocking door 154 .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종벌 출입문(150)의 하면에는 다수의 통공(163)이 형성되어, 토종벌 출입문(150) 내부의 이물질 또는 물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수납공간(166)과 상기 수납공간을 차단하는 뚜껑부(167)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납공간(166) 내에 다수의 메쉬부재가 수납될 수 있다.7,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63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weft insertion door 150, so that foreign matter or water in the weft insertion door 15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lid part 167 for blocking the accommodating space, so that a plurality of mesh members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66.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로(164)가 격리 공간(151)과 통로부(158)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통로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통로차단부재(165)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여왕벌, 수벌, 일벌을 각각 자유로이 이동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passage 164 interconnects the isolation space 151 and the passage portion 158, and is slidably coupled The connection passage blocking member 165 is slidably coupled to allow the queen bee, the beer coins and the work bee to freely move and shut off as required.

이와 같이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은 일벌의 출입은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일벌보다 몸집이 큰 양벌, 여왕벌, 말벌, 땅벌, 기타 침입해충 등은 벌통 받침대(110)나 벌통(120) 내외부로 출입하는 것을 통제 및 조절관리하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native beehive entrance of the beehive allows the worker to freely enter and leave the beehive, whereas the beehive, queen bee, wasp, bumblebee and other intruding insects, which are relatively larger in size than the worker bees, This is to control and control access to and from.

도면에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을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it is exemplified that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 and right in the figure, it may be formed lo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한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150)은 벌통 받침대(110)나 벌통(120)의 6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native beeing door 150 of the native beehive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six sides of the beehive base 110 and the beehive 120, and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side.

상기한 토종벌 여왕벌 출입 통제 및 조절 관리기능 외에 자연분봉 차단기능, 양벌 및 침입벌(해충) 방어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queen bee blanket access control and control management functions described above, it may have a function of blocking natural bombing, a function of inserting a bee, and an invading bee (insec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tomb door of a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은 여왕벌이 격리되는 격리공간(151)에 여왕벌의 먹이용 꿀보관용기(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여왕벌은 격리공간(151) 내에서 상기 꿀보관용기(170) 내의 먹이를 먹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native beehive access door of the native beeh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queen bee feeding honey container 170 in an isolation space 151 where queen bees are isolated. Therefore, the queen bee can eat the food in the honey container 170 in the isolation space 151.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토종벌통
110: 받침대
112: 받침판
114: 받침틀
120: 벌통
122: 하부 상자
124: 상부 상자
130: 덮개부재
140: 여왕벌 제1차단부재
142: 여왕벌차단 슬릿
144: 지지바
150: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151: 격리공간
152: 메쉬 벽
153: 일벌 출입구
154: 차단문
155: 메쉬부재
156: 스토퍼
157: 홈부
158: 통로부
159, 160, 161, 162: 통로제한부재
163: 통공
164: 연결통로
165: 연결통로차단부재
166: 수납공간
167: 뚜껑부
170: 꿀보관용기
100: native beehive
110: pedestal
112:
114: support frame
120: beehive
122: Lower box
124: upper box
130: lid member
140: queen bee first blocking member
142: queen bee cut slit
144: Support bar
150: Domestic bee gate entrance of native beehive
151: isolation space
152: Mesh wall
153: Worker's doorway
154: Block gate
155:
156: Stopper
157: Groove
158:
159, 160, 161, 162: passage restricting member
163: Through hole
164: connection passage
165: connecting passage block member
166: storage space
167:
170: Honey container

Claims (9)

벌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벌통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에 있어서,
상기 토종벌 출입문의 내부에 형성되어 여왕벌이 격리되는 격리공간;
상기 토종벌 출입문을 관통하여, 여왕벌과 일벌을 상기 받침대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부;
상기 격리공간과 통로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통로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공간은,
상기 격리공간의 일면에 형성되는 메쉬(mesh) 벽;
상기 격리공간의 타면에 형성되는 일벌 출입구;
상기 일벌 출입구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차단문; 및
상기 일벌 출입구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메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In a toegynous access door of a native beehive installed at one side of a beehive bas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 beehive,
An isolation spac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ombstone door to isolate the queen bee;
A passage for passing the queen bee and a worker beer into the pedestal through the non-native beer access door;
A connection passage interconnecting the isolation space and the passage portion; And
And a connection passage blocking member slidingly coupled on the connection passage,
Wherein,
A mesh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isolation space;
A worker bevel entran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solation space;
A blocking door slidingly coupled to the workpiece entry / exit opening; And
And a mesh member slidingly coupled to the workpiece entry / exit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 벽과 상이한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 벽 및 격리공간 양면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개의 메쉬부재;
를 더 포함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mesh members formed with meshes different in size from the mesh wall and slidably coupled on both sides of the mesh wall and the isolation space;
And a native beehive entran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메쉬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 벽의 일측에 상기 메쉬부재의 스토퍼가 결착되는 홈부;
를 포함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sh member comprises:
A stopper projecting from the surface of the mesh member;
Further comprising:
A groove portion to which a stopper of the mesh membe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esh wall;
The tombs of the native beehi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 상의 일측 또는 타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통로부의 폭을 제한하는 통로제한부재;
를 더 포함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ssage restricting member slidingly connec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to limit the width of the passage portion;
And a native beehive entranc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쉬 벽과 상이한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는 다수의 메쉬부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차단하는 뚜껑부;
를 포함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The method of claim 3,
A hous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mesh members, in which meshes different from the mesh wall are formed, are accommodated; And
A lid portion for blocking the storage space;
The tombs of the native beehiv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는,
각각 높이가 3.20mm~7.00mm의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sh member comprises:
Entrances to the tombs of a native beehive with a plurality of slits of 3.20mm to 7.00mm in h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공간 내에 여왕벌의 먹이가 보관되는 꿀보관용기;
를 더 포함하는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ney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food of the queen bee is stored in the isolation space;
And a native beehive entrance.
KR1020160085437A 2016-07-06 2016-07-06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KR101934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437A KR101934779B1 (en) 2016-07-06 2016-07-06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437A KR101934779B1 (en) 2016-07-06 2016-07-06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771A KR20180005771A (en) 2018-01-17
KR101934779B1 true KR101934779B1 (en) 2019-01-04

Family

ID=6102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437A KR101934779B1 (en) 2016-07-06 2016-07-06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2200B (en) * 2018-12-27 2023-09-22 重庆市畜牧科学院 Bee theft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CN113207755B (en) * 2021-06-02 2022-02-15 江西农业大学 Breeding and queen rearing dual-purpose frame assembly and bee breeding method
CN115428749A (en) * 2022-06-22 2022-12-06 叶晓华 Method for switching bee breeding scenes by moving slide sheet up and dow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76Y1 (en) * 2004-04-29 2004-07-30 윤지훈 a door structure for bee-keeping beehi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895B1 (en) * 2011-10-17 2013-05-23 장봉환 Isolating device for queen bee
KR101506126B1 (en) * 2015-02-03 2015-03-26 윤효권 a door for bee-keeping beehive
KR101719906B1 (en) * 2015-06-16 2017-03-30 김대립 Block absence for queen bee of native bee, management device using i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76Y1 (en) * 2004-04-29 2004-07-30 윤지훈 a door structure for bee-keeping beeh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771A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239B1 (en) Wasp trapping device
KR101068412B1 (en) Protective for bee
US8764512B1 (en) Inner cover for bee hive
KR101934779B1 (en)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KR101203167B1 (en) Hive having function for mite control, swarming control and war control of a swarm of bees
KR101436571B1 (en) Hive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on of entering larva of injurious insect
KR101719906B1 (en) Block absence for queen bee of native bee, management device using it and method thereof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CN205547082U (en) Honeybee case with catch hornet function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348172B1 (en) Beehive
KR200287083Y1 (en) a double-beehive
KR102108379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US11304409B2 (en) Murder hornet excluder
US11540494B2 (en)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JP3203946U (en) Control device
CN105475175B (en) The safe beehive of one kind pollination
US20210100223A1 (en) Holmes Trap in
KR102052989B1 (en) A beekeeping system with wasp luring and capture tools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RO128080B1 (en) Multifunction beehive with anti-varroosis protection
EP3878276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2433856B1 (en) Honey Bee Protection Device for Was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