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239B1 - Wasp trapping device - Google Patents

Wasp trap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239B1
KR101845239B1 KR1020160066612A KR20160066612A KR101845239B1 KR 101845239 B1 KR101845239 B1 KR 101845239B1 KR 1020160066612 A KR1020160066612 A KR 1020160066612A KR 20160066612 A KR20160066612 A KR 20160066612A KR 101845239 B1 KR101845239 B1 KR 10184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coupled
inflow
capturing
was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5154A (en
Inventor
오승재
오주아
Original Assignee
오승재
오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오주아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16006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39B1/en
Priority to PCT/KR2016/011319 priority patent/WO2017078282A1/en
Priority to EP16862300.7A priority patent/EP3360412A4/en
Priority to CN201680064808.3A priority patent/CN108347912A/en
Publication of KR2017013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Abstract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는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로 상면에 연결통로가 형성되며,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이 통과 가능한 각 유입로가 형성된 깔때기 형태인 복수의 유입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밑면에는 회전방식에 의해 차단망이 결합되어 1차적으로 말벌을 포획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상부에 회전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햇빛 가리개부재; 상기 햇빛 가리개부재의 상부 유입부재의 상단에 회전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단에 연질의 마개가 결합되며, 하단 내부에는 상기 연결통로로 유입된 말벌 또는 꿀벌이 유인되는 유인통로가 형성되어 2차적으로 말벌은 포획하고 꿀벌은 탈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포획부재;를 포함하는 말벌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말벌만의 포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로 인해 꿀벌의 봉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꿀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도한 가진다.
A capturing device for capturing wasps using an attracting material comprises: a receptacle container in which the attracting material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inlets in the form of a funnel having respective inlet passages through which only the honeybees can pass are formed in a detachable manner through a connecting passag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An inflow member for primarily capturing ash; A sun shade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flow member by a rotating method;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flow member of the sun shading member is coupled by a rotating method, a soft stopp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n induc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p or bee flowed into the connection path is drawn into the lower end, And a capturing member for capturing the wasp, and the be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sc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capture the wasp without hassle or inconvenience, thereby preventing the honeybee from being destroyed, thereby increasing the yield of honey.

Description

말벌 포획장치{Wasp trapping device} Wasp trapping device

본 발명은 말벌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말벌의 유인과 함께 포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포획된 말벌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채집함과 아울러 말벌 보다 큰 다른 곤충들의 출입은 차단하면서 유입된 꿀벌의 탈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말벌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p trapp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apturing a wasp, which not only facilitates capturing of the wasp together with attracting the wasp, but also collects the trapped wasp so as not to be released to the outside, And a bee trapping device for allowing the escape of the introduced bees to be smoothly performed.

일반적으로 말벌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특히 꿀벌에 피에는 주는 말벌에는 장수말벌, 꼬마장수말벌, 흑등말벌, 좀말벌 및 황말벌 등의 양봉을 위한 꿀벌에게 크게 해를 입하는 말벌들이다. Generally, there are various kinds of wasps, but especially the wasps that give blood to the bees are horses that are harmful to bees for bees such as longevity wasp, little longe wasp, black wasp wasp, wasp and wasp wasp.

이 중에서도 최근에 들어 흑등말벌로 인한 양봉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바, 즉 흑등말벌 5~10마리 내외가 두 시간 내에 한 무리의 꿀벌 봉군을 전멸시킴에 따라 양봉 농가에는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the black bee farming has caused huge damage to the beekeeping farmers, that is, about 5 ~ 10 black wasp bees have annihilated a group of bees in two hours, to be.

그에 따라 말벌을 포획 또는 교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바, 통상 꿀벌에 비해 몸집이 큰 발벌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벌통의 입구에 망을 설치하거나 끈끈이 등을 사용하거나 살충제 등을 살포하여 교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capturing or strangling the wasps are suggested, such as installing a net at the entrance of the beehive, using sticky or the like, or strangling the insecticide to prevent a large-sized bee from entering or exiting the bee. .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말벌 뿐만 아니라 꿀벌에게도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과 함께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has not only a bad effect on bees as well as a wasp but it is also not effic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2195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말벌이 벌통에 접근하기 전에 구제하여 꿀벌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몸체 양면과 커버에 다수의 고깔이 형성되고, 끈끈이접착제를 붙인 커버에 다수의 냄새 풍기구가 형성되고 빗물막에 형성시킨 고정핀이 커버에 형성된 고정홈에 장착되는 것과 말벌 포획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2-002195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the wasp can protect the bee by rescue before approaching the beehive A plurality of pe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the cover, a plurality of odorous devices are formed on the cover to which the glue is attached, and the fixing pins formed on the rainwater film are mounted on the fixing grooves formed on the cover, It has been propo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21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말벌을 선별적으로 유인함과 동시에, 다수의 말벌들이 동시에 머무를 수 있는 스크린을 포함한 살충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522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a plurality of wasps are selectively attracted and at the same time, Techniques such as devices have also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4036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말벌을 유인물질로 유인하여 포획 장치 안에 가둠으로써 꿀벌에 위협을 가하는 말벌을 쉽게 퇴치할 수 있는 말벌 포획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403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3"), by attracting a wasp as an attractant and placing it in a capture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eliminate a wasp threatening a bee Techniques such as cannabis capture devices have also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86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유인물질과 발광체를 이용하여 곤충을 포획하고, 상기 곤충을 생포한 채로 운반할 수 있도록 채집통을 마련하여, 연구기관 및 자연탐구용 학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18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4"), an insect is captured using an attractant and a light emitting body, To provide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research institutes and natural inquiries.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514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5'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유인물질을 채운 원통 용기의 상부에 올려놓음으로써 유인물질에 의해 유인된 말벌이 유입망를 통해 말벌포획망 내부로 포획되어 말벌을 포살 됨으로써 말벌로부터 꿀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514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5"), a wasp which is attracted by the attract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filled with the attracting material, Techniques have also been proposed to capture bees from bees by capturing them within beeswax trap networks and thereby protecting bees from wasp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219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2195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214호Korean Patent No. 10-10522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4036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4036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866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186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5146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5146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5는 대부분이 말벌이 포획을 한 상태에서 그 포획장치로부터 말벌을 살아 있는 상태로 꺼내고자 할 때 개방되는 부분의 틈으로 포획되어 있던 말벌이 탈출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s 1 to 5, when a wasp is captured and the wasp is taken out from the capturing apparatus in a state of being alive, the wasp trapped in the gap of the open portion often occurs frequently .

또한, 말벌이 들어가는 입구가 넓어 말벌 이외에 다른 곤충, 즉 나방 등도 함께 포획되어, 포획된 다른 곤충이 폐사함에 따라 말벌의 포획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단점도 가진다. In addition, the entrance of the wasps is so wide that other insects, such as moths, are also trapped in addition to the wasps, thereby deteriorating trapping efficiency of the wasps as other captured insects are killed.

또, 전기를 사용하는 포획기는 우천시 사용이 제안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안전상에 여러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capturing machine using electricit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only proposed to be used in the rain but also inconvenient to the user for safety.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 유인물질을 사용하는 포획기 대부분은 큰 나방이 유입된 후 나방의 날개에서 떨어지는 가루가 유인물질과 섞이면서 유인물질의 휘발을 방지하여 원활한 유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포획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Most of the catching devices using the conventional attracting material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captur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the powder that falls from the wings of the moth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arge moths is mixed with the attracting material, I hav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해결과제는 말벌의 유인과 함께 포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포획된 말벌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채집함과 아울러 말벌 보다 큰 다른 곤충들의 출입은 차단하면서 유입된 꿀벌의 탈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말벌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main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pture not only the wasps but also the captured wasps so that they are not released to the outside, And to provide a wasp trapping device that can smoothly escape the inflowing bees while blocking access.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말벌이 유입된 후에 그 유입된 통로를 통하여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asp from being returned back through the inflow passage after the infusion of the wasp.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한 종류의 유인물질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두 종류의 유인물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imultaneous use of two kinds of attractants at the same time as one kind of attractants.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조립이 간편하면서 제작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ier to assemble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포획된 말벌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vely withdrawing trapped wasps.

상기와 같은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로 상면에 연결통로가 형성되며,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말벌 또는 꿀벌들이 유입된 후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이 통과 가능한 각각의 유입로가 형성된 깔때기 형태인 복수의 유입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밑면에는 회전방식에 의해 차단망이 결합되어 1차적으로 말벌을 포획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상부에 회전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햇빛 가리개부재; 상기 햇빛 가리개부재의 상부 유입부재의 상단에 회전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단에 연질의 마개가 결합되며, 하단 내부에는 상기 연결통로로 유입된 말벌 또는 꿀벌이 유인되는 유인통로가 형성되어 2차적으로 말벌은 포획하고 꿀벌은 탈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포획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turing device for capturing a wasp using an attracting material, the capturing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A plurality of inlets in the form of a funnel having a connecting passag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ng manner to form an inflow path through which only the bees can pass after the wasps or bees are introduced but not the wasps; An inle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er and having a shut-off network coupled to the bottom by a rotational method to primarily capture the wasp; A sun shade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flow member by a rotating method;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flow member of the sun shading member is coupled by a rotating method, a soft stopp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n induc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p or bee flowed into the connection path is drawn into the lower end, And a capturing member for capturing the wasp and allowing the bee to escape.

상기 수용용기는 밑면의 중앙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턱부에 의해 이종의 유인물질을 수용하도록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accommodating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different attracting materials by a compartment jaw having a bottom protruding from the center.

상기 유입구는 측면에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 통과 가능한 복수의 장방형 형태의 슬릿공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의 유입부재 내측에 위치한 유입로 각 끝단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The inflow por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tangular slit holes which can pass through only bees without passing through wasps on the side, and each end of the inflow port located inside the inflow member of the inflow port is located at a different position not facing each other.

상기 유입구의 끝단에는 유입된 말벌이 그 유입구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의 제1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And a first blocking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upled to an end of the inflow port so that the inflated wasp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flow port.

상기 제1 차단부재는 유입구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상면 유입부재의 내부 측으로 유입구 측에서 점점 좁은 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차단바가 형성된다. The first blocking member has a fixed ring coupled to an end of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bar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inflow member of the fixed ring to be inclined at a narrower width on the inlet side.

상기 포획부재는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 포획부재 및 하 포획부재로 분할 형성된다. The trapping member is divided into an upper trapping member and a lower trapping member which are coupled by a rotating method.

상기 상,하 포획부재의 각 측면에는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 가능한 폭을 갖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인통로는 하 포획부재에 역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으로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 가능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the lower capturing members so that the wasps can not pass therethrough and the honeycomb can pass therethrough. The attracting passage is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on the lower capturing member, The bee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apable of passing through.

상기 유인통로의 끝단에는 유인통로로 유인되어 포획부재 내로 유입된 상태에서 말벌이 다시 그 유인통로를 통하여 유입부재 측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의 제2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duction passage such that the washer can not descend toward the inflow member through the induction passage while the induction passage is introduced into the trapping member.

상기 제2 차단부재는 유인통로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차단 바, 상기 결합링의 상면에 상부로 점점 좁은 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차단 바로 구성된다. The second blocking member includes a coupling ring coupled to an end of the induction passage, a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bar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a plurality of third blocking bar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The blocking is configured immediately.

상기 마개에는 교차되는 형태의 복수의 절개선을 더 포함한다. The stopp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s in an intersecting manner.

본 발명은 말벌의 유인과 함께 포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포획된 말벌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채집함과 아울러 말벌 보다 큰 다른 곤충들의 출입은 차단하면서 유입된 꿀벌의 탈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말벌만의 포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로 인해 꿀벌의 봉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꿀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도한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capturing ash with the incidence of wasps but also for collecting the captured wasps so that they are not released to the outside, and for preventing the entrance of other bees larger than the wasps, Thus, honey be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stroyed due to the effect that only the wasps can be captured smoothly without inconvenience or inconvenience, thereby increasing the yield of honey.

또한, 포획된 말벌의 처리 또한 깔끔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말벌과 함께 유입된 꿀벌이 폐사되는 것도 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treatment of the captured wasps is also effective in that it can be carried out neatly and quickly, and also prevents the bees from being killed together with the wasps.

또, 말벌이 유입된 후에 그 유입된 통로를 통하여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말벌의 포획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rapping efficiency of the wasps by blocking the return of the wasps back through the inflow passages after they are introduced.

또, 한 종류의 유인물질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두 종류의 유인물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벌의 유인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centive efficiency of wasp by allowing not only one kind of attractant but also two kinds of attractant at the same time.

또, 조립이 간편하면서 제작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누구나가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assembling is simple and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can be further increas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convenience for anyone can be easily assembled and used.

또, 포획된 말벌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captured wasps can be selectively drawn out easily,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유입부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포획된 말벌을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및 일부 종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2,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inflow member according to Figure 2,
5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tilizing wasps cap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ottom view and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유입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2,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inflow member according to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flow member according to Fig.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이나 꿀벌을 유인하기 위해 공지된 참나무와 톱밥 및 통나무를 흙설탕과 혼합하거나, 참나무진행과 설탕 및 쉰 냄새물질을 포함하는 공지된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1)를 제시한다. A catching device for catching wasps using known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known oakwood, sawdust and logs mixed with earth sugar to attract wasps or bees as shown, or with oak propagation and sugar and foul odor materials, (1) is presented.

아울러, 말벌은 주지된 바와 같이 밝은 빛을 쫓아가거나 상부로 날려는 습성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wasp has a habit of chasing bright light or blowing it upwards, as is well known.

본 발명은 말벌을 유인과 함께 포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포획된 말벌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채집함과 아울러 말벌 보다 큰 다른 곤충들의 출입은 차단하면서 유입된 꿀벌의 탈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llecting wasps in which the captured wasps are not released to the outside as well as capturing the wasps together with attracting the bees as well as allowing the bees to escape from the other bees while blocking the entrance of other bees larger than the wasps. I have to.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1)는 말벌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0)와; 상기 수용용기(10)의 상부로 상면에 연결통로(22)가 형성되며, 회전방식, 즉 통상적인 돌기와 홈 또는 나사결합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어 말벌 또는 꿀벌들이 유입된 후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이 통과 가능한 각각의 유입로(24a)가 형성된 깔때기 형태인 복수의 유입구(2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밑면에는 회전방식, 즉 통상적인 돌기와 홈 또는 나사결합방식 등에 의해 차단망(26)이 결합되어 1차적으로 말벌을 포획하는 유입부재(20)를 포함한다. The captu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container (10) in which an attracting material for attracting wasps is housed; A connection path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0 and is connected to a rotation type, that is, a conventional protrusion by a groove or a screw connection method, so that the wasp does not pass after the wasp or bee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inflow openings 24 in the form of a funnel in which the inflow passages 24a are made passabl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hutoff net 26 is formed on the bottom by a rotating method, And an inlet member 20 which is primarily engaged to capture the wasp.

유인물질은 액상으로 채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섬유나 부직포 등을 함께 넣어 은은하게 퍼지면서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ttracting material can be filled in a liquid phas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racting material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spreading normally by putting fibers or nonwoven fabrics together.

유입구(24)의 탈착은 통상적인 고리와 홈에 의한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irably, the inlet 24 is detachable by a conventional ring and groove method.

또한, 상기 유입구(24)는 측면에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 통과 가능한 복수의 장방형 형태의 슬릿공(24b)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24)의 유입부재(20) 내측에 위치한 유입로(24a) 각 끝단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릿공(24b)은 꿀벌의 경우 5㎜ 내외이고, 말벌은 상기 꿀벌 보다는 크므로, 상기 슬릿공은 꿀벌만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한다. 상기 유입로의 유입부재 내측에 위치한 끝단은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The inlet 2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tangular slit holes 24b through which only the bees can pass without passing through wasps on the side of the inlet 24, 24a) are formed so as to b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not facing each other. The slit hole 24b is about 5 mm in the case of a bee, and the wasp is larger than the bee, so that the slit hole has a width allowing only the bee to pass through. The end located inside the inflow member of the inflow path has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wasp can pass.

즉, 유입구로 혹여 유입되는 꿀벌은 그 유입구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공을 통하여 즉시 외부로 나갈 수 있어, 같이 유입된 말벌로 인한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honeybees inflowing into the inflow port can immediately go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t hole formed at the side of the inflow port, thereby preventing the death due to the introduced wasp.

또한, 유입로의 각 끝단을 서로 마주보지 않는 다른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유입된 말벌은 서로 다른 위치로 위치한 유입구의 끝단이 미로와 같은 역할로 인해 다시 나갈 수 없게 하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특히, 유입구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공지된 어항과 같이 한 번 들어오면 되돌아 나가지는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each end of the inflow path is located at a different position that does not face each other, the introduced wasp has a condition that the end of the inflow port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can not go out again due to the role like a maze. In particular, since the inle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 the principle of returning once it comes in, such as a known fish tank, is applied.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깔때기 형태이면서 유입로의 끝단은 말벌만이 통과하는 직경을 가짐으로 따라 말벌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나방 등과 같은 곤충은 유입되지 않는 조건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inlet has a funnel shape and the end of the inflow path has a diameter allowing only wasps to pass therethrough, so that insects such as moths having a size exceeding the wasp are not introduced.

또한, 상기 유입부재에 밑면에 결합되는 차단망은 유입된 말벌이나 꿀벌이 유인물질이 수용된 수용용기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차단망은 꿀벌 또한 빠지지 않는 좁은 폭을 갖도록 테두리 틀에 가로대와 세로대가 교차되는 통상적인 형태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net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inflow member serves to prevent the infested wasp or bee from falling into the receiving container containing the attracted material. At this time, the shielding net is formed in a usual form in which the crossbars and the vertical bars are crossed to the frame frame so as to have a narrow width that does not allow the honeybee.

아울러, 상기 수용용기(10)는 밑면의 중앙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턱부(12)에 의해 이종의 유인물질을 수용하도록 제1 수용공간(14A)과 제2 수용공간(14B)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하나의 유인물질을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유인물질을 구비함으로써, 말벌의 유인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구획턱부가 형성된 밑면에는 성형시 통상적인 파지대 등을 형성함에 따라 후술하는 포획부재와 분리 또는 결합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같은 용도로도 활용된다.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4A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4B are formed by the compartment jaws 12,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which protrudes upwardly, so as to accommodate different kinds of attracting materials, .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provide different kinds of attracting materials compared to those having one attracting material, so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wasps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ing jaw may be used as a grip which can be easily gripped when being separated from or coupled to a capturing member described later by forming a conventional grip or the like in molding.

그에 따라 수용용기에 수용된 유인물질로부터 퍼지는 향에 의해 말벌은 유입부재의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 유입구인 유입로를 통하여 유입부재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로를 통하여 말벌과 함께 혹여 유입되는 꿀벌은 그 유입구의 슬릿공을 통하여 즉시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있다. Whereby the washer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member through the inflow path, which is an inflow port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 of the inflow member, by the smell spreading from the attract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At this time, the honeybees that are infested with the wasps through the inflow path can immediately go out again through the slit holes of the inflow port.

이렇게, 유입부재로 유입된 말벌은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는 물론 유입로의 끝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다시 그 유입로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us, the wasp introduced into the inflow member has a condition capable of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funnel-shaped inflow port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flow path as the end of the inflow path is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한편, 상기 유입부재(10)의 상부에 회전 방식, 즉 통상의 돌기와 홈 또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햇빛 가리개부재(30)와; 상기 햇빛 가리개부재(30)의 상부 유입부재(10)의 상단에 회전 방식, 돌기나 홈 또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단에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마개(42)가 결합되며, 하단 내부에는 상기 연결통로(22)로 유입된 말벌 또는 꿀벌이 유인되는 유인통로(44)가 형성되어 2차적으로 말벌은 포획하고 꿀벌은 탈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통상의 망 형태의 포획부재(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망 형태인 포획부재는 원활한 통기는 물론 빛이 그대로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A sun shading member 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member 10 by a rotating method, that is, by a groove or a screw connection method with a normal projecti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flow member 10 of the sun shad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by a rotation method, a projection, a groove or a screw connection method, and a soft stopper 42 such as rubber or silicon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 trapping member 40 in the form of a net in the form of a net, in which a washer or a bee that has flowed into the connection passage 22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ssage 44 to capture the wasp; . At this time, the capturing member in the form of a net is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permeates as well as light.

유입부재(10)의 상단에는 햇빛 가리개부재(30)와 포획부재(40)를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2단 이상의 나선 형태로 복수 개로 분할될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햇빛 가리개부재와 포획부재에는 상기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 플랜지에 순차적으로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각각의 복수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A coupling flang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flow member 10 so as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iral shapes in at least two stages so that the sun shading member 30 and the trapping member 40 can be coupled by a rotating manner, Each of the member and the capturing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which can b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coupling flange formed in the multi-stage by a rotating manner, and are coupled by a rotation method.

햇빛 가리개부재(30)는 유입부재(10)의 직경 보다 최소한 1.5배 이상 넓은 직경을 갖도록 함에 따라 유입부재 전체를 햇빛으로부터 가려 그늘진 유입구를 통하여 말벌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nshade member 30 has a diameter at least 1.5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low member 10 so that the entire inflow member is shielded from the sunlight so that the wasp can flow smoothly through the shaded inflow port.

그에 따라 유입부재에 포획되어 있던 말벌은 연결통로와 유인통로를 통하여 포획부재 내로 유입되면서 2차적인 포획이 이루어진다. As a result, the wasps trapped in the inflow member are introduced into the trapping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attracting passage, and a secondary trapping is performed.

아울러, 연결통로와 유인통로를 통하여 말벌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유입부재는 불투명으로 빛이 잘 투과되지 않도록 하고 햇빛 가리개부재에 의해 유입부재의 내부는 비교적 어두운 상태로, 상부에 결합된 포획부재는 망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빛을 쫓아가거나 상부로 올라가려는 습성을 가진 말벌은 포획부재의 내부로 연결통로와 유인통로를 거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asher can smoothly move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manned passage. The inlet member is opaque so that light is not transmitted well, and the inside of the inlet member is relatively darkened by the sunshade member. Is formed in a net shape, so that a wasp having a habit of chasing light or going up to the top can flow smoothly into the trapping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attracting passage.

그로 인해 말벌은 유입부재를 거쳐 최종 포획부재에서 포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by causing the wasp to remain trapped in the final trapping member via the inflow member.

그리고 상기 포획부재(40)는 회전방식, 즉 통상의 돌기와 홈 또는 나선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 포획부재(40A) 및 하 포획부재(40B)로 분할 형성된다. The trapping member 40 is divided into an upper trapping member 40A and a lower trapping member 40B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rotating method, that is, a normal projection, by a groove or a spiral connection method.

즉, 제조 효율성을 높임과 아울러 물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이 구 형상 이외에 최대한 많은 양의 말벌이 포획될 수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product so as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simplify the logistic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polygonal shape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sps can be captured in addition to the shape of a sphere.

특히, 상기 상,하 포획부재(40A)(40B)의 각 측면에는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 가능한 폭을 갖는 복수의 통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유인통로(44)는 하 포획부재(40B)에 역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으로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 가능한 복수의 관통공(44A)이 형성된다. 이때, 통공과 관통공의 폭은 전술한 바와 같이 꿀벌만이 통과 가능한 대략 5㎜ 내외 정도로 형성된다. Particularly, on each side of the upper and lower trapping members 40A and 40B,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 having a width allowing a honeycomb to pass therethrough are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4A are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in the second passage 40B so that the wasps can not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and the bees can pass through. At this time, the widths of the through holes and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about 5 mm, which allows only the bees to pass, as described above.

다시 말해서, 포획부재 역시 혹여 유입되는 꿀벌은 포획되지 않고 즉시 탈출이 가능한 조건을 감에 따라 꿀벌의 포획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유인통로로 유인되는 꿀벌은 그 유인통로 형성된 관통공과 포획부재의 통공을 통하여 포획되지 않고 원활하게 탈출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trapping member is not captured, and the honeybees are not trapped at all as soon as the inflowing bees are not captured and the conditions capable of immediate escape ar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bee attracted to the manned pathway will be able to escape smoothly without being caught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by the manned pathway and through the trapping member.

더욱이, 유인통로 또한 역 깔때기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그 유인통로를 통하여 유입된 말벌 역시 다시 그 유인통로를 통하여 하부의 유입부재 측으로 내려가지 못하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포획부재는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형태이므로 밝은 상태이고 비교적 어두운 조건을 가지는 유입부재 측으로 말벌이 다시 내려가지 않는 습성 또한 고려한 것이다. Moreover, since the attracting passage is also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the washer introduced through the attracting passage again has a condition that it can not descend through the attracting passage to the lower inlet member side. Particularly, since the trapping member is a form in which light is transmitted as a whole, the wetting property i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wasp does not descend toward the inflow member side having a bright state and a relatively dark condition.

한편, 상기 마개(42)에는 포획부재에 포획된 말벌 중 필요로 하거나 혹여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때 핀셋 등을 넣어 원활하게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차되는 형태의 복수의 절개선(42A)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cap 42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s 42A that are required to be pulled out of the capturing member so that they can be smoothly drawn out by inserting tweezers or the like when the needles are drawn out to the outside do.

그에 따라 절개선 사이로 핀셋을 넣어 필요로 말벌을 잡아 인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마개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로 제작됨에 따라 핀셋은 넣은 후 뺄 경우, 절개선을 기준하여 다시 막힌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말벌이 마개를 통하여 탈출할 수 없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weezers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ncisions to capture and take out the wasps as needed, thereby providing a condition for further enhancing the ease of use. In addition, since the stopper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when the tweezers are inserted and removed, the wasps can not be escaped through the stopper because the stopper is kept closed again based on the incision.

그리고 상기 포획부재(40)로 포획된 말벌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방식에 의해 유입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포획부재를 회전시켜 분리한 후 마개 측이 하부로 위치하도록 뒷집은 상태에서 마개를 분리함과 동시에 말벌주통의 입구로 삽입하여 포획부재에 포획된 말벌이 말벌주통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획부재의 외부를 천 등을 감싸 어둡게 할 경우, 말벌의 빛을 쫓아가는 습성에 따라 말벌주통으로의 이동이 더욱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wasp trapped by the trapping member 40 is rotated and separated by rotating the trapping member coupled to the inflow member, and then the stopper is positioned in the lower position. At the same time as detaching, it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wasp barrel so that the wasp trapped in the trap member can be moved to the wasp barrel. At this time, when the outside of the capturing member is covered with cloth or the like, movement to the wasp canister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ccording to the habit of following the light of the wasp.

그로 인해 포획부재로 포획되어 있던 말벌의 처리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진다. This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wasp trapped by the trap member can be quickly treated without inconvenience or inconvenience.

이로써,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간단한 조립방식에 의해 누구나가 쉽게 조립함과 아울러 유인물질로 인한 말벌의 유인과 함께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말벌을 포획한 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벌로 인한 양봉 농가의 꿀벌 봉군이 파괴되는 것을 극소화함과 동시에 말벌로 인한 꿀벌의 폐사 또한 최소화하여 꿀의 생산량을 전체적으로 증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by a simple assembling method as a whole, and can be easily handled after capturing wasps with no inconvenience or inconvenience, along with attracting wasps due to attracted material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honey by minimizing the loss of honey bees caused by wasps as well as minimizing the destruction of the honey bee swarms of bee farmers caused by wasps.

특히, 본 발명은 말벌의 포획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꿀벌은 유입된 후에도 신속하게 탈출 또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꿀벌이 폐사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ees to be trapped smoothly, but also allows the bees to quickly escape even after they have been introduced, thereby providing additional conditions for preventing the bees from being killed.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및 일부 종단면도이다. FIG. 7 is a bottom view and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유입구의 유입로를 통하여 유입부재로 유입된 말벌이 다시 그 유입로를 통하여 탈출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유인통로를 통하여 포획부재로 포획된 말벌 또한 유인통로를 통하여 다시 유입부재 측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the wasp that flowed into the inflow member through the inflow path of the inflow port is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inflow path again, and the wasp trapped by the trapping member through the inflow path is also attracted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turned to the inflow member side again through the passage.

유입구(24)의 끝단에는 유입된 말벌이 그 유입구(24)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시블 한 재질의 제1 차단부재(50)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차단부재(50)는 유입구(24)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링(52)과, 상기 고정링(52)의 상면 유입부재(20)의 내부 측으로 유입구(24) 측에서 점점 좁은 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차단 바(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링의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정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보조 차단 바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And a first blocking member 50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let 24 so that the washer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24, 1 blocking member 50 includes a fixed ring 52 that is coupled to an end of the inlet 24 and an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inflow member 20 of the fixed ring 52 that is inclined at a narrow width from the inlet 24 side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bars 54 are forme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auxiliary blocking bars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ationary ring, although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차단 바는 플렉시블 한 조건으로 인해 유입구의 유입로를 통하여 유입부재의 내부로 말벌이 유입될 때에는 벌어지면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며, 유입된 후에는 다시 벌어졌던 제1 차단 바가 모여져 그 제1 차단 바 간의 사이가 좁아짐에 따라 제1 차단 바로 인한 말벌이 다시 유입구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wasp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member through the inflow path of the inflow port due to the flexible condition, the first shutoff bar can be smoothly flowed into the inflow member and can flow smoothly.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locking bars is narrowed, the wash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let port again due to the first blocking barrel.

그로 인해 유입부재 내로 유입되는 말벌의 탈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하 것이다. So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escape the wasp entering the inflow member.

한편, 상기 유인통로(44)의 끝단에는 유인통로(44)로 유인되어 포획부재(40) 내로 유입된 상태에서 말벌이 다시 그 유인통로(44)를 통하여 유입부재(20) 측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시블 한 재질의 제2 차단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차단부재(60)는 유인통로(44)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링(62)과, 상기 결합링(62)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차단 바(64), 상기 결합링(62)의 상면에 상부로 점점 좁은 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차단 바(66)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induction passage 44, rubber is injected into the trapping member 40 so as not to descend toward the inflow member 20 through the induction passage 44 in the state of being introduced into the trapping member 40, The second blocking member 60 includes a coupling ring 62 coupled to an end of the induction passage 44,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60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A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bars 64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62 and a plurality of third blocking bars 6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62 so as to be inclined at a narrower width .

즉, 제2 차단 바는 유인통로의 측면을 타고 올라오는 말벌이 간섭됨으로 인해 유입통로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blocking bar serves to prevent the wasps coming up from the side of the induction passage from ris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passage due to interference of the wasps.

제3 차단 바는 유인통로를 통하여 말벌이 포획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때에는 벌어져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이 끝난 상태에서는 다시 모여지면서 좁혀지게 됨으로써, 포획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말벌이 다시 유인통로를 통하여 하부의 유입부재 측으로 내려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When the washer is introduced into the capturing member through the attracting passageway, the third blocking bar is opened so that it flows smoothly. At the same time, when the washer is collected, the washer is gathered and narrowed. And is basically blocked from descending through the passage to the lower inflow member side.

이로써, 유인부재는 물론 포획부재로의 말벌의 포획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attracting member can have a condition capable of maximizing the trapping efficiency of the wasps to the trapping member.

1 : 말벌 포획장치
10 : 수용용기 12 : 구획턱부
14A : 제1 수용공간 14B : 제2 수용공간
20 : 유입부재 22 : 연결통로
24 : 유입구 24a : 유입로
24b : 슬릿공 26 : 차단망
30 : 햇빛 가리개부재 40 : 포획부재
40A : 상 포획부재 40B : 하 포획부재
41 : 통공 42 : 마개
42A : 절개선 44 : 유인통로
44A : 관통공 50 : 제1 차단부재
52 : 고정링 54 : 제1 차단 바
60 : 제2 차단부재 62 : 결합링
64 : 제2 차단 바 66 : 제3 차단 바
1: wasp trapping device
10: receptacle 12: compartment jaw
14A: first accommodation space 14B: second accommodation space
20: inlet member 22: connection passage
24: Inlet 24a: Inlet
24b: slit hole 26:
30: Sunshade member 40: Capture member
40A: Upper capturing member 40B: Lower capturing member
41: through hole 42: plug
42A: section improvement 44: manned passage
44A: Through hole 50: First blocking member
52: stationary ring 54: first blocking bar
60: second blocking member 62: engaging ring
64: second blocking bar 66: third blocking bar

Claims (10)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로 상면에 연결통로가 형성되며,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말벌 또는 꿀벌들이 유입된 후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이 통과 가능한 각각의 유입로가 형성된 깔때기 형태인 복수의 유입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밑면에는 회전방식에 의해 차단망이 결합되어 1차적으로 말벌을 포획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상부에 회전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햇빛 가리개부재;
상기 햇빛 가리개부재의 상부 유입부재의 상단에 회전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단에 연질의 마개가 결합되며, 하단 내부에는 상기 연결통로로 유입된 말벌 또는 꿀벌이 유인되는 유인통로가 형성되어 2차적으로 말벌은 포획하고 꿀벌은 탈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포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용기는 밑면의 중앙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턱부에 의해 이종의 유인물질을 수용하도록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측면에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 통과 가능한 복수의 장방형 형태의 슬릿공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의 유입부재 내측에 위치한 유입로 각 끝단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개에는 포획부재에 포획된 말벌 중 필요로 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때 핀셋을 넣어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차되는 형태의 복수의 절개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A capture device for capturing wasps using an attractant,
Wherein the trapping device comprises: a receiving container in which the attracting material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inlets in the form of a funnel having a connecting passag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ng manner to form an inflow path through which only the bees can pass after the wasps or bees are introduced but not the wasps; An inle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er and having a shut-off network coupled to the bottom by a rotational method to primarily capture the wasp;
A sun shade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flow member by a rotating method;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flow member of the sun shading member is coupled by a rotating method, a soft stopp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n induc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p or bee flowed into the connection path is drawn into the lower end, A captive member for capturing the wasp, and a captive member for allowing the bee to escape,
Wherein the accommodating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different attracting materials by a compartment jaw having a bottom protruding from the center,
Wherein the inlet has a plurality of rectangular slit holes through which a wasp can not pass and only bees can pass through the inlet, the inlet ends of the inlet being located inside the inlet member at different positions not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stopp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s that are required to be caught in the catching member or intersect so as to be drawn out by inserting tweezers when the user desires to pull out the was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끝단에는 유입된 말벌이 그 유입구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의 제1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blocking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wasp that has been introduc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flow port, to the end of the inflow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재는 유입구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상면 유입부재의 내부 측으로 유입구 측에서 점점 좁은 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차단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blocking member comprises a fixed ring coupled to an end of an inlet and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bar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inflow member of the fixing ring to be inclined at a narrower width on the inlet sid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재는 회전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 포획부재 및 하 포획부재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pping member is dividedly formed into an upper trapping member and a lower trapping member which are coupled by a rotating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포획부재의 각 측면에는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 가능한 폭을 갖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인통로는 하 포획부재에 역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으로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 가능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the lower capturing members so that the wasps can not pass therethrough and the honeycomb can pass therethrough. The attracting passage is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on the lower capturing member, Wherein the be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apable of passing there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통로의 끝단에는 유인통로로 유인되어 포획부재 내로 유입된 상태에서 말벌이 다시 그 유인통로를 통하여 유입부재 측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의 제2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duction passage so as to prevent the wasp from descending toward the inflow member through the induction passage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capturing member. A wasp trapp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재는 유인통로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차단 바, 상기 결합링의 상면에 상부로 점점 좁은 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차단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blocking member includes a coupling ring coupled to an end of the induction passage, a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bar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a plurality of third blocking bar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Wherein the washer is configured to block the washer.
삭제delete
KR1020160066612A 2015-11-06 2016-05-30 Wasp trapping device KR101845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12A KR101845239B1 (en) 2016-05-30 2016-05-30 Wasp trapping device
PCT/KR2016/011319 WO2017078282A1 (en) 2015-11-06 2016-10-10 Wasp catching device
EP16862300.7A EP3360412A4 (en) 2015-11-06 2016-10-10 Wasp catching device
CN201680064808.3A CN108347912A (en) 2015-11-06 2016-10-10 Hornet acquisi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12A KR101845239B1 (en) 2016-05-30 2016-05-30 Wasp trap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54A KR20170135154A (en) 2017-12-08
KR101845239B1 true KR101845239B1 (en) 2018-04-04

Family

ID=6091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612A KR101845239B1 (en) 2015-11-06 2016-05-30 Wasp trap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2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411A (en)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Wasp Capturing Device
KR102075057B1 (en) 2018-10-26 2020-02-18 비젼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ps in their living state
KR20220060413A (en) 2020-11-04 2022-05-11 (주)한국농봉기술 Appartus for injecting wasp attract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08Y1 (en) * 2018-12-24 2020-04-02 김형인 Wasp trapping device
KR102041866B1 (en) * 2019-04-30 2019-11-08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azardous wasp capture device
KR102117119B1 (en) * 2019-08-23 2020-05-29 길혜림 Wasp capturing device with bee exclusion type
KR102370022B1 (en) * 2019-12-09 2022-03-04 (주)에프제이테크 Insect capture device
KR102367609B1 (en) * 2020-01-14 2022-02-24 김호겸 Western Bee Catching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Native Bees
KR102513825B1 (en) * 2020-08-03 2023-03-24 김호겸 Harmful Insect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KR102312757B1 (en) * 2020-01-09 2021-10-13 김호겸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WO2021141417A1 (en) * 2020-01-09 2021-07-15 김호겸 Harmful insect capturing device used while fixed to beehive
DE202020002111U1 (en) * 2020-05-13 2020-06-30 Reckhaus Ag Live trap for catching insects alive
KR102526023B1 (en) * 2020-11-19 2023-04-25 홍병철 Multi-functional trap
KR102574481B1 (en) * 2022-09-15 2023-09-01 길혜림 Hybrid wasp tra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265B1 (en) * 2015-06-04 2015-10-02 이철호 Apparatus for collecting a was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265B1 (en) * 2015-06-04 2015-10-02 이철호 Apparatus for collecting a was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057B1 (en) 2018-10-26 2020-02-18 비젼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ps in their living state
KR20180125411A (en)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Wasp Capturing Device
KR101966024B1 (en) 2018-11-05 2019-08-13 주식회사 하니비웨이 Wasp Capturing Device
KR20220060413A (en) 2020-11-04 2022-05-11 (주)한국농봉기술 Appartus for injecting wasp attrac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54A (en)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239B1 (en) Wasp trapping device
KR101799771B1 (en) Wasp trapping device
KR102040486B1 (en) A wasp luring trap using visual, olfactory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
KR200491408Y1 (en) Wasp trapping device
KR101723346B1 (en) System for collecting a wasp
US6112454A (en) Insect trap for capturing numerous species of the coleopteran order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KR101822029B1 (en) A wasp luring and catching implement using honey comb
KR102029064B1 (en) A beefarm with wasps luring and capturing tools
KR200446750Y1 (en) The cool air sei·z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 and panel structure
US5992087A (en) Whitefly trap
KR102073151B1 (en) Insect capture device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101436571B1 (en) Hive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on of entering larva of injurious insect
KR101934779B1 (en)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ES2913290T3 (en) Procedure for the protection of honey bees against predatory insects
CN208030047U (en) Tangerine trypetid killing trapping device
KR20200071829A (en) IoT system for monitering a wasp
DE202014005764U1 (en) Trap for flyable insects, especially wasps
KR102049079B1 (en) Beekeeping honeycomb with a trap for collecting parasitic injurious insect
CN112996385A (en) Ware is caught to hornet that sets up in honeybee beehive
KR20230000988U (en) wasp poaching safe disposer
KR20240002306A (en) Beekeeping assembly
KR102642149B1 (en) All-in-one gate unit for defense of bee enemies
KR102075057B1 (en)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ps in their living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