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560B1 -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 Google Patents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560B1
KR101444560B1 KR1020127000846A KR20127000846A KR101444560B1 KR 101444560 B1 KR101444560 B1 KR 101444560B1 KR 1020127000846 A KR1020127000846 A KR 1020127000846A KR 20127000846 A KR20127000846 A KR 20127000846A KR 101444560 B1 KR101444560 B1 KR 10144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head
connector
silic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1499A (en
Inventor
그레고리 존 매카보이
로난 패드레익 신 오'라일리
데이비드 맥러드 존스톤
키아 실버브룩
Original Assignee
멤젯 테크놀로지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멤젯 테크놀로지 엘티디 filed Critical 멤젯 테크놀로지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3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427Structure of ink jet print heads with thermal bend detach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26Manufacturing processes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1Manufacturing processes photolith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2Manufacturing processes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5Manufacturing processes dividing the wafer into individual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7Manufacturing processes molding
    • B41J2/1639Manufacturing processes molding sacrificial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4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 B41J2/1642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thin film formation by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4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 B41J2/1645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thin film formation by spin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48Production of print heads with thermal bend detach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491Electrica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8Electrical connection established using v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잉크 공급 다기관과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및 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구동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필름을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가 개시된다.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구동 회로와 잉크젯 노즐 조립체들을 구비하는 정면과,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된 배면과, 배면 및 잉크젯 노즐 조립체들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잉크 공급 채널을 갖는다.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는 잉크 공급 다기관의 일부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사이에 협지된다.Disclosed is an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an ink supply manifold and a connector film for supplying power to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nd a drive circuit of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has a front with a drive circuit and inkjet nozzle assemblies, a backside attach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and an ink supply channel that provides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backside and inkjet nozzle assemblies. The connecting end of the connector film is sandwiched between a portion of the ink supply manifold and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Figure R1020127000846
Figure R1020127000846

Description

배면의 전기접속부를 갖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a backside electrical contact,

본 발명은 프린터, 특히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린트헤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개선된 장착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로 개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in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ink jet printer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primarily to provide improved mounting of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printhead.

본 출원인은 페이지폭 잉크젯 프린트헤드들이 페이지의 폭을 따라서 끝끼리 당접해 있는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칩")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렇게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배치하면 많은 장점(예를 들어 종이 공급 방향으로 프린트 영역의 폭을 최소화시킴)을 가지고 있음에도,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이 각각의 집적회로에 전력과 데이터를 공급하는 다른 프린터 전자부품들에 여전히 연결되어야만 한다.Applicants have shown that pagewidth inkjet printheads can be constructed using a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chips ") with their ends abutting along the width of the page. Although the arrangement of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thus has many advantages (e.g., minimizing the width of the print area in the paper feed direction),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printer It must still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지금까지, 본 출원인은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상의 본드 패드들을 플렉스(flex) PCB에 와이어 본딩함으로써 프린트헤드 집적회로가 외부의 전력/데이터 공급부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 바 있다(예를 들어 US7,441, 865를 참조할 것). 그러나, 와이어본드들은 프린트헤드의 잉크 사출면으로터 돌출하고, 이에 따라 프린트 유지보수와 프린트 품질 양자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To date, Applicants have described how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 data supply by wire bonding the bond pads on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to a flex PCB (e.g., US7, 441, 865). However, the wire bonds protrude from the ink ejection side of the printhead, thereby adversely affecting both print maintenance and print quality.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들이 이처럼 프린트 유지부수 및/또는 프린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접속없이 외부의 전력/데이터 공급장치에 연결되는 프린트헤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It is desired to provide a printhead assembly in which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 data supply device without such a connection affecting the number of print holdings and / or print quality.

따라서, 제1 태양에서, 잉크 공급 다기관;과, 각기, 구동 회로와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는 정면과,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된 배면과, 상기 배면 및 상기 잉크젯 노즐 조립체들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잉크 공급 채널을 갖는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는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사이에 협지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가 제공된다.Thus, in a first aspect, there is provided an ink supply system comprising: an ink supply manifold; a front surface having a drive circuit and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a back surface attach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and a fluid between the back surface and the inkjet nozzle assemblies At least on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having at least one ink supply channel for providing communication; And at least one connector film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circuit, wherein a connecting end of the connector film is sandwich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k supply manifold and the at least on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ssembly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들은 프린트헤드에 전기 접속을 수용하면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잉크공급 다기관에 부착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프린트헤드의정면은 그 전체를 따라서 완전히 평탄하다.The inkjet printhead assembli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nvenient means of attaching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to the ink supply manifold while receiving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printhead. Also,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head is completely flat along its entirety.

옵션으로, 커넥터 필름은 복수의 도전성 트랙을 갖는 유연한 폴리머 필름을 구비한다.Optionally, the connector film has a flexible polymer film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tracks.

옵션으로, 커넥터 필름은 테이프 자동 접합(TAB) 필름이다.Optionally, the connector film is a tape self-bonding (TAB) film.

옵션으로, 배면은 커넥터 필름을 수용하기 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다.Optionally, the back side has a recess for receiving the connector film.

옵션으로, 오목부는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길이방향 에지 영역을 따라서 형성된다.Optionally, a recess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edge region of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옵션으로, 복수의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구동회로와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Optionally, the plurality of through-silicon connectors provid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rive circuit and th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or film.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정면으로부터 배면쪽으로 직선으로 뻗어있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extends straight from the front to the back.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배면쪽으로 테이퍼져 있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is tapered toward the back.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구리로 이루어진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is made of copper.

옵션으로,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실리콘 기판;과,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CMOS층; 및 잉크젯 노즐 조립체들을 구비하는 MEMS층;을 구비하고, CMOS층은 실리콘 기판과 MEMS층 사이에 위치된다.Optionally,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omprises: a silicon substrate; at least one CMOS layer having a driver circuit; And a MEMS layer having inkjet nozzle assemblies, wherein a CMOS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silicon substrate and the MEMS layer.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CMOS층을 통해 그리고 상기 배면쪽으로 상기 MEMS층의 콘택트 패드로부터 직선으로 뻗어있고, 상기 콘택트 패드는 상기 CMOS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extends straight from the contact pad of the MEMS layer through the CMOS layer and toward the backside, and the contact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MOS layer.

옵션으로, 프린트헤드 조립체는 콘택트 패드와 상기 CMOS층 사이에서 직선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도체 기둥부를 구비한다.Optionally, the printhead assembly has at least one conductor post extending linearly between the contact pad and the CMOS layer.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상기 CMOS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is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CMOS layer.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절연막을 구비하는 바깥쪽 측벽들을 갖는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has outer sidewalls with an insulating film.

옵션으로, 상기 바깥쪽 측벽들은 상기 절연막과 그리고 상기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도전성 코어(core) 사이에 확산저지층을 구비한다.Optionally, the outer sidewalls have a diffusion barrier layer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conductive core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옵션으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상기 필름의 연결단부에 솔더로 연된다.Optionally,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is soldered to the connection end of the film.

옵션으로, 상기 필름은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와 함께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에 접합된다.Optionally, the film is bond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along with the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옵션으로,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페이지폭 프린트헤드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끝끼리 당접한(end-on-end butting) 배치로 위치된다.Optionally, the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are positioned in an end-on-end butting arrangement to provide a pagewidth printhead assembly.

옵션으로, 상기 프린트헤드의 정면은 평탄하고 어떠한 와이어본딩 연결부로부터 자유롭다.Optionally, the front face of the printhead is flat and free from any wire bonding connection.

옵션으로, 상기 정면은 소수성 폴리머층으로 코팅된다.Optionally, the front surface is coated with a hydrophobic polymer layer.

제2 태양에서, 구동 회로와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는 정면;과,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된 배면; 및 상기 배면 및 상기 잉크젯 노즐 조립체들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잉크 공급 채널을 가지며, 상기 배면은 구동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 필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 집적회로가 제공된다.In a second aspect, there is provided a printer comprising: a front having a drive circuit and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a back surface attach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And at least one ink supply channel for providing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backside and the inkjet nozzle assemblies, the backside having a recess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nnector film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circuit, Circuit is provided.

옵션으로,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는 배면이 상기 잉크공급 다기관에 부착될 때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의 적어도 일부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사이에 협지된다.Optionally, the connecting end of the connector film is sandwich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k supply manifold and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when the backside is attach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옵션으로, 오목부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길이방향 에지 영역을 따라서 형성된다.Optionally, the recess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edge region of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옵션으로, 오목부는 복수의 집적회로 접촉부를 구비하고, 각 집적회로는 구동회로에 연결된다.Optionally, the recesses comprise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 contacts, each integrated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drive circuit.

옵션으로, 커넥터 필름은 테이프 자동 접합(TAB) 필름이며, 여기에서 상기 집적회로 접촉부는 TAB 필름의 대응하는 접촉부에 연결하도록 위치된다.Optionally, the connector film is a tape self-bonding (TAB) film, wherein the integrated circuit contact is positioned to connect to a corresponding contact of the TAB film.

옵션으로, 복수의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정면으로부터 배면쪽으로 직선으로 뻗어있고,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구동회로와 그리고 대응하는 집적회로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Optionally, the plurality of through-silicon connectors extend straight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and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provide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river circuit and the corresponding integrated circuit contact.

옵션으로, 각 집적회로 접촉부는 각각의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단부에 의해 규정된다.Optionally, each integrated circuit contact is defined by an end of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옵션으로, 배면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의 잉크 공급 채널을 가지며, 각 잉크 공급 채널은 잉크공급 다기관으로부터 잉크를 받아들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잉크 입구를 규정한다. 옵션으로, 각 잉크공급 채널은 잉크를 복수의 정면 입구로 공급한다. 옵션으로, 각 정면 입구는 잉크를 하나 이상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로 공급한다.Optionally, the backside has a plurality of ink supply channels extending longitudinally along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each ink supply channel defining one or more ink inlets for receiving ink from the ink supply manifold. Optionally, each ink supply channel supplies ink to the plurality of front entrances. Optionally, each frontal inlet supplies ink to one or more inkjet nozzle assemblies.

옵션으로, 각 잉크공급 체널은 오목부의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다.Optionally, each ink supply channel has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recess.

제3 태양에서, 정면과 배면을 규정하는 실리콘 기판;과, 상기 정면에 위치된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와, 잉크젯 노즐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정면으로부터 배면쪽으로 뻗어있고, 구동회로와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집적회로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쓰루-실리콘 커넥터;를 구비하고, 집적회로 접촉부는 구동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면장착된 커넥터 필름에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가 제공된다.In a third aspect, there is provided an inkjet printer comprising: a silicon substrate defin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a driving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kjet nozzle assembly; And at least one through-silicon connector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toward the backside and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river circuit and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integrated circuit contact, the integrated circuit contact comprising a back-mounted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is provided which is positioned to be connected to a connector film.

옵션으로, 각 집적회로 접촉부는 각각의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단부에 의해 규정된다.Optionally, each integrated circuit contact is defined by an end of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제4 태양에서,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ㅍ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구동회로와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들을 구비하는 정면과 하나 이상의 잉크 입구와 그리고 오목 에지부를 갖는 배면과 집적회로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가지면, 각 커넥터는 오목 에지부에서 기저부와 구동회로에 연결된 헤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오목에지부에서 케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커넥터 필름은 복수의 도전성 트랙을 구비하고, 각 도전성 트랙은 연결단부에서 각각의 필름 접촉부를 갖는, 케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대응하는 커넥터의 기저부에 각 필름 접촉부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배면의 전기접속부를 갖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잉크공급 다기관에 커넥터 필름과 함께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배면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배면 전기 접속부들을 갖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In a fourth asp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t least on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wherein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includes a front face having a drive circuit,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one or more ink inlets and a back face having a concave edge portion, Providing at least on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having at least one connector extending through the circuit, each connector having a head connected to the base and a drive circuit at a concave edge; Positioning a connecting end of the connector film at a concave edge of the connector film, the connector film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tracks, each conductive track having a respective film contact at a connecting end, Connecting each film contact to a base of a corresponding connector; And attaching a backside of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with the connector film to the ink supply manifold to provide an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a backside electrical contac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s provided.

옵션으로,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잉크 공급 다기관의 일부와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사이에서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를 협지시킨다.Optionally, the adhering step sandwiches the connecting end of the connector film between a portion of the ink supply manifold and one or mor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옵션으로, 상기 필름은 테이프 자동 접합(TAB) 필름이다.Optionally, the film is a tape self-adhesive (TAB) film.

옵션으로,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는 그 대응하는 커넥터의 기저부에 각 필름 접촉부를 솔더링하는 것을 구비한다.Optionally, said connecting comprises soldering each film contact to a base portion of its corresponding connector.

옵션으로,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접착성 필름을 사용하여 수행된다.Optionally, the adhering step is carried out using an adhesive film.

옵션으로, 상기 접착성 필름은 그 안에 규정된 복수의 잉크공급 개구들을 갖는다,Optionally, the adhesive film has a plurality of ink supply openings defined therein,

옵션으로,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각 잉크공급 개구가 잉크 입구와 정렬되도록 접착성 필름으로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정렬시키는 단계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접착성 필름의 일측에 접합하는 단계와, 필름의 반대쪽을 잉크공급 다기관에 접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Optionally, the adhering step includes aligning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with an adhesive film such that each ink feed opening is aligned with the ink inlet, bonding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to one side of the adhesive film, To the ink supply manifold.

옵션으로,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각각의 커넥터 필름에 연결된다.Optionally, in the connecting step,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is connected to a respective connector film.

옵션으로,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동일한 커넥터 필름에 연결된다.Optionally, in the connecting step, the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are connected to the same connector film.

옵션으로,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페이지폭 프린트헤드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끝끼리 당접하는 배치로 잉크공급 다기관에 부착된다.Optionally, a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are attach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in end-to-end arrangements to provide a pagewidth printhead assembly.

제5 태양에서, 웨이퍼의 정면에 복수의 부분 제조된 노즐 조립체와 웨이퍼의 배면을 향하여 정면으로부터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쓰루-실리콘 커넥터를 구비하는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와,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헤드 위에 정면 콘택트 패드와 각 노즐 조립체를 위한 액츄에이터를 수반하여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웨이퍼의 정면에 도전층을 적층하고 에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면 콘택트 패드는 쓰루-실리콘 커넥터를 웨이퍼의 구동회로에 연결시키는, 적층하고 에칭하는 단계;와, 노즐 조립체들과 이 노즐 조립체들을 위한 잉크공급 채널들 및 쓰루-실리콘 커넥터들의 형성을 완료시키기 위하여 MEMS 공정단계들을 더 수행하는 단계; 및 웨이퍼를 복수의 개별적인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상기 쓰루-실리콘 커넥터 및 상기 콘택트 패드를 통해 구동회로에 배면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분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배면 전기접속을 위한 프린트헤드 직접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Providing a wafer having a plurality of partially manufactured nozzle assemblies on the front side of the wafer and one or more through-silicon connectors extending from the front toward the back side of the wafer; Laminating and etch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front side of the wafer to form a front contact pad and an actuator for each nozzle assembly on the front contact pad, the front contact pad connecting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to a drive circuit of the wafer, And further performing MEMS process steps to complete the formation of nozzle assemblies and ink supply channels and through-silicon connectors for the nozzle assemblies; And dividing the wafer into a plurality of separat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wherein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is configured to be backplane-connected to the drive circuit through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and the contact pa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for connection is provided.

옵션으로, 도전성 재료는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 알루미늄, 및 바나듐-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Optionally, the conductive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nitride, titanium aluminum nitride, titanium, aluminum, and a vanadium-aluminum alloy.

옵션으로, 상기 액츄에이터는 감열식 버블형성(thermal bubble-forming) 액츄에이터와 감열식 굽힘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Optionally, the actua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ermal bubble-forming actuator and a thermal bending actuator.

옵션으로, 상기 추가 MEMS 제조공정 단계들은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위한 배면의 오목부와 잉크공급 채널들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웨이퍼의 배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구비한다.Optionally, the additional MEMS fabrication process steps include etching the backside of the wafer to form recesses and ink supply channels for the backside for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옵션으로, 상기 잉크공급 채널들과 배면의 오목부는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Optionally, the ink supply channels and recesses in the back surface have the same depth.

옵션으로, 상기 배면 에칭은 배면의 오목부에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최저부를 노출시키는데, 각 최저부는 집적회로 접촉부를 구비한다.Optionally, the backside etch exposes a bottom portion of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at a recess in the backside, each bottom portion having an integrated circuit contact.

옵션으로, 쓰루-실리콘 커넥터들은 각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길이방향 에지영역을 따라서 위치되고, 배면 오목부는 길이방향 에지영역을 따라서 연장된다.Optionally, the through-silicon connectors are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edge region of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nd the back recess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edge region.

옵션으로, 상기 집적회로 접촉부들은 TAB 필름의 대응하는 접촉부들에 연결되도록 위치된다.Optionally, the integrated circuit contacts are positioned to connect to corresponding contacts of the TAB film.

옵션으로, CMOS 층은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조립체들은 CMOS층에 형성된 MEMS층에 배치된다.Optionally, the CMOS layer has a drive circuit, and the nozzle assemblies are disposed in a MEMS layer formed in a CMOS layer.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도체 기둥부는 콘택트 패드와 CMOS층 사이에서 및/또는 액츄에이터와 CMOS층 사이에서 직선으로 뻗어있다.Optionally, at least one conductor post extends straight between the contact pad and the CMOS layer and / or between the actuator and the CMOS layer.

옵션으로, 도체 기둥부들은 도전성 층의 적층 이전에 형성된다.Optionally, the conductor posts are formed prior to laminating the conductive layer.

옵션으로, 도체 기둥부들은 쓰루-실리콘 커넥터들과 수반하여 형성된다.Optionally, the conductor posts are formed with through-silicon connectors.

옵션으로, 도체 기둥부들과 쓰루-실리콘 커넥터들은 미리 규정된 비아들에 도전성 재료를 적층하여 형성된다.Optionally, the conductor posts and through-silicon connectors are formed by laminating conductive material in predefined vias.

옵션으로, 도전성 재료는 무전해 도금 공정에 의해 적층된다.Optionally, the conductive material is deposited by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옵션으로, 미리 규정된 비아들의 각각은 모든 비아들이 적층에 의해 고르게 채워지도록 하는 깊이에 맞는 직경을 갖는다.Optionally, each of the predefined vias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epth such that all the vias are evenly filled by the stack.

옵션으로, 도전성 재료는 구리이다.Optionally, the conductive material is copper.

옵션으로, 추가 MEMS 제조공정 단계들은 정면을 소수성 폴리머층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Optionally, additional MEMS manufacturing process steps include coating the front side with a hydrophobic polymer layer.

옵션으로, 소수성 폴리머층은 PDM로 이루어진다.Optionally, the hydrophobic polymer layer is made of PDM.

옵션으로, 추가 MEMS 제조공정 단계들은 산화제거되는 희생물질을 구비한다.Optionally, the additional MEMS manufacturing process steps include a sacrificial material that is oxidized and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들은 프린트헤드에 전기 접속을 수용하면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잉크공급 다기관에 부착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프린트헤드의정면은 그 전체를 따라서 완전히 평탄하다.The inkjet printhead assembli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nvenient means of attaching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to the ink supply manifold while receiving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printhead. Also,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head is completely flat along its entirety.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한쌍의 당접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집적히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로어(floor) 노즐 입구를 갖는 잉크젯 노즐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측벽 노즐 입구를 갖는 잉크젯 노즐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상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하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오버레이드(overlaid)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잉크젯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제조하는 여러 단계들을 거친 후의 웨이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개략 단면도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adjacent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head integration well shown in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inkjet nozzle assembly having a floor nozzle inlet.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inkjet nozzle assembly having a side wall nozzle inlet.
6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head assembly.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head assembly shown in Figure 6;
8 is an upp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head assembly shown in FIG.
9 is a bottom exploded bottom view of the printhead assembly shown in FIG.
10 is an overlaid top view of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ttached to an ink supply manifold.
11 is an enlarged view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jet printer.
Figure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nthead assembly shown in Figure 6;
Figure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head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rinthead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6 to 2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wafer after various steps of manufacturing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 본 출원인은 페이지폭 프린트헤드를 규정하기 위하여 끝끼리 당접 배치되어 서로 링크될 수 있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또는 "칩"; 100)들을 설명하였다. 도 1은 프린트헤드 IC(100)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서로 당접된 한 쌍의 프린트헤드 IC를 나타낸다.To date, Applicants have described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or "chips ") 100 that can be linked together in an end-to-end fashion to define a pagewidth printhead. 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rinthead IC 100, and Figure 2 shows a pair of printhead ICs in contact with each other.

각 프린트헤드 IC(100)는 여러 줄로 배치된 수천개의 노즐(102)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 IC(100)는 5개의 다른 잉크색(예를 들어 CMYK 및 IR(적외선); CCMMY; 또는 CMYKK)을 제공받아서 프린트하도록 되어 있다. 프린트헤드 IC(100)의 각 색 채널(channel; 104)은 한쌍의 노즐 열을 구비하며, 이 한쌍의 노즐열 중 하나의 열은 짝수 도트들을 프린트하고 한쌍의 노즐열 중 다른 하나의 열은 홀수 도트들을 프린트한다. 각 색 채널(104)로부터의 노즐들은 종이 공급방향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고해상도(예컨대 1600dpi)로 도트온도트(dot-on-dot) 프린팅을 수행한다. 하나의 열에서 2개의 인접 노즐(102) 사이의 수평거리("피치")는 약 32 미크론이고, 노즐의 열들 사이의 수직 거리는 노즐들의 분출 순서(firing order)에 근거한다. 그러나 열들은 정확한 도트 라인수(예컨대 10 도트라인) 만큼 전형적으로 떨어져 있다. 노즐의 열배치와 노즐의 분출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미국특허 USP 7,438,371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Each printhead IC 100 has thousands of nozzles 102 arranged in row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inthead IC 100 is adapted to receive and print five different ink colors (e.g., CMYK and IR (infrared); CCMMY; or CMYKK). Each color channel 104 of the printhead IC 100 has a pair of nozzle rows in which one of the rows of nozzles prints the even dots and the other row of the pair of nozzle rows is an odd number Print dots. The nozzles from each color channel 104 are aligned vertically in the paper feed direction to perform dot-on-dot printing at high resolution (e.g., 1600 dpi). The horizontal distance ("pitch") between two adjacent nozzles 102 in a row is about 32 microns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rows of nozzles is based on the firing order of the nozzles. However, the rows are typically spaced apart by the exact number of dot lines (e.g., 10 dot line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ermal arrangement of the nozzles and the ejection of the nozzles is described in USP 7,438,371,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개별적인 프린트헤드 IC(100)의 길이는 전형적으로는 약 20 내지 22 mm이다. 따라서, A4/US 레터지 크기의 페이지를 프린트하기 위하여, 11개 또는 12개의 개별적인 프린트헤드 IC(100)가 서로 인접하여 링크되어 있다. 개별적인 프린트헤드 IC(100)의 개수는 다른 폭의 종이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4인치의 포토 프린터는 전형적으로 서로 링크된 5개의 프린트헤드 IC를 채택한다.The length of the individual printhead ICs 100 is typically about 20 to 22 mm. Thus, to print an A4 / US letter size page, 11 or 12 individual printhead ICs 100 are lin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number of individual printhead ICs 100 may be varied to accommodate different widths of paper. For example, a 4 inch photo printer typically employs five printhead ICs linked together.

프린트헤드 IC(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링크될 수 있다. IC(100)들을 링크시키는 하나의 특별한 방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배치에서는, IC(100)들은 이웃하는 IC들 사이에 수직방향의 오프셋이 없는 상태로 서로 링크되어 IC들의 수평선을 형성하도록 그 단부들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대체로 45°각을 갖는 경사 접합부(106)가 프린트헤드 IC들 사이에 제공된다. 접합부의 에지는 당접하는 프린트헤드 IC들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톱니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다.The printhead IC 100 may be linked to each other in a variety of ways. One particular method of linking ICs 100 is shown in FIG. In this arrangement, the ICs 100 are shaped so that their neighboring ICs are linked to each other with no off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the horizontal lines of the ICs. An oblique bond 106 having a generally 45 [deg.] Angle is provided between the printhead ICs. The edges of the joints have a serrated profile to facilitate alignment of the adjacent printhead ICs.

도 1과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열의 가장 왼쪽의 잉크 공급노즐(102)은 10 라인 피치만큼 밑으로 떨어져 삼각형 형상(107)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접합부(106)를 가로지르는 노즐들의 피치를 유지하여 잉크 방울들이 프린트 영역을 따라 일관되게 공급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배치는 또한 당접하는 IC들 사이의 충분한 링크를 보장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실리콘이 각 프린트헤드 IC(100)의 에지에서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밑으로 떨어진 각 열에 포함된 노즐들은 대응하는 열에 있는 노즐들이 페이지의 같은 라인에 분출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른 시간에 분출되어야 한다. 노즐들의 동작제어는 프린트헤드 제어기("SoPEC") 장치에 의해 수행되지만, 노즐들의 밑으로 떨어진 열들에 대한 보상은 프린트헤드의 CMOS 회로에 의해 수행되거나, 프린트헤드와 SoPEC 장치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밑으로 떨어진 노즐 배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전체 설명은 미국특허 USP 7,275,805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참고자료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As can be seen from Figs. 1 and 2, the leftmost ink supply nozzle 102 of each row is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107 falling down by 10 line pitches. This arrangement maintains the pitch of the nozzles across the junction 106 to ensure that ink droplets are fed consistently along the print area. This arrangement also ensures that more silicon is provided at the edge of each printhead IC 100 to ensure sufficient linkage between the contacting ICs. Nozzles contained in each row that are dropped below should be ejected at different times to ensure that the nozzles in the corresponding column are ejected on the same line of the page. Although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nozzles is performed by a printhead controller ("SoPEC") device, compensation for the rows falling below the nozzles may be performed by the CMOS circuit of the printhead or shared between the printhead and the SoPEC device . A full description of the dislodged nozzle arrangement and its control method is contained in USP 7,275,805,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100)의 반대쪽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잉크 공급 채널들(110)이 프린트헤드 IC(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프린트헤드 IC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뻗어있다. 이 길이방향의 잉크공급 채널(100)은 노즐 입구(112)와 만나며, 노즐입구는 정면의 노즐들(102)과 유체소통한다. 도 4는 노즐 입구(112)가 노즐 챔버로 직접 잉크를 공급하는 프린트헤드 IC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5는 노즐 입구(112)가 노즐 챔버들의 각 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잉크 공급관(114)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다른 프린트헤드 IC의 부분을 나타낸다. 이 다른 배치에서는, 노즐 챔버들이 본발명의 인접하는 잉크공급관 영역으로부터 측벽의 입구를 통해 잉크를 제공받는다.Referring to Figure 3, the opposite back side of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100 is shown. Ink supply channels 110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rint head IC 100 and exten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int head IC. This longitudinal ink supply channel 100 meets the nozzle inlet 112 and the nozzle inlet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nozzles 102. 4 shows a portion of the printhead IC in which the nozzle inlet 112 supplies ink directly to the nozzle chamber. 5 shows a portion of another printhead IC that supplies ink to an ink supply tube 114 in which the nozzle inlet 112 extends lengthwise along each row of nozzle chambers. In this alternative arrangement, the nozzle chambers are provided with ink from the adjacent ink supply tube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nlet of the side wall.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잉크공급채널(110)은 실리콘 브리지 또는 벽(116)들에 의해 여러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벽(116)들은 길이방향의 채널(1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추가적인 기계적인 강도를 갖는 프린트헤드 IC(100)를 제공한다.Referring again to Figure 3,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ink supply channel 110 is divided into portions by a silicon bridge or wall 116. These walls 116 provide the printhead IC 100 with additional mechanical str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hannel 110.

잉크는 2부분으로 된 LCP 몰딩의 형태로 잉크 공급 다기관을 통해 각 프린트헤드 IC(100)의 배면에 공급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프린트헤드 IC(100)를 구비하는 프린트헤드 조립체(130)가 도시되어 있는데, 프린트헤드 IC는 접착성 필름(120)을 통해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되어 있다.The ink is supplied to the back side of each printhead IC 100 through the ink supply manifolds in the form of a two-part LCP molding. Referring to Figs. 6-9, a printhead assembly 130 having a printhead IC 100 is shown attached to an ink supply manifold via an adhesive film 120. As shown in Fig.

잉크 공급 다기관은 주 LCP 몰딩(122)와 그 아래쪽으로 밀봉된 LCP 채널몰딩(124)을 구비한다. 프린트헤드 IC(100)은 접착성 IC 부착필름(120)을 사용하여 채널 몰딩(124)의 아래쪽에 접합된다. LCP 채널몰딩(124)의 위쪽은 LCP 주채널(126)을 구비하는데, 이 주채널은 주 LCP 몰딩(122)의 잉크 입구(127)와 잉크 출구(128)와 연결되어 있다. 잉크 입구(127)와 잉크 출구(128)는 잉크 저장부 및 잉크 공급 시스템(미도시)과 유체연통하는데, 잉크 공급 시스템은 소정의 유체압력으로 프린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한다.The ink supply manifold has a main LCP molding 122 and an LCP channel molding 124 sealed down there. The printhead IC 100 is bonded to the underside of the channel molding 124 using the adhesive IC attachment film 120. Above the LCP channel molding 124 is an LCP main channel 126 which is connected to the ink inlet 127 and the ink outlet 128 of the main LCP molding 122. The ink inlet 127 and the ink outlet 128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k reservoir and the ink supply system (not shown), which supplies ink to the printhead at a predetermined fluid pressure.

주 LCP 몰딩(122)은 복수의 공기 중공(129)을 가지는데, 이는 LCP 채널몰딩(124)에 형성된 LCP 주채널(126)과 소통한다. 공기 중공(129)들은 잉크 공급 시스템에서 잉크 압력 펄스들을 감쇠시키는 역활을 한다.The main LCP molding 122 has a plurality of air cavities 129 which communicate with the LCP main channel 126 formed in the LCP channel molding 124. Air cavities 129 serve to attenuate ink pressure pulses in the ink supply system.

각 LCP 주채널(126)의 베이스에는 프린트헤드 IC(100)로 향하는 일련의 잉크 공급통로(132)가 있다. 접착성 필름(120)은 일련의 레이저로 드릴링된 공급구(134)들을 가져서 각 프린트헤드 IC(100)의 배면은 잉크공급통로(132)와 유체연통한다.At the base of each LCP main channel 126 is a series of ink feed passages 132 that are directed to the print head IC 100. The adhesive film 120 has a series of laser drilled feed openings 134 so that the back side of each printhead IC 100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k feed passageways 132.

도 10을 참조하면, 잉크 공급통로(132)는 일련의 5개의 열들로 배치된다. 잉크 공급통로(132)의 중간 열은 레이저로 드릴링된 구멍(134)들을 통해 프린트헤드 IC(100)의 배면으로 잉크를 직접 공급하며, 잉크 공급통로(132)의 바깥쪽 열들은 마이크로 몰딩된 채널(135)을 통해 프린트헤드 IC로 잉크를 공급하는데, 각 마이크로 몰딩된 채널은 레이저 드릴링된 구멍(134)들중 하나에서 끝난다.Referring to Fig. 10, the ink supply passage 132 is arranged in a series of five rows. The middle row of the ink supply passages 132 supplies ink directly to the backside of the printhead IC 100 through laser drilled holes 134 and the outer rows of the ink supply passages 132 communicate with the micromolded channel & (Not shown) to supply ink to the printhead IC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135, each micomolded channel ending at one of the laser drilled holes 134.

도 11은 잉크가 어떻게 프린트헤드 IC(100)의 배면의 잉크공급채널(110)로 공급되는지를 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각 레이저 드릴링된 구멍(134)은 접착성 필름(120)에 형성되며, 대응하는 잉크 공급채널(110)과 정렬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드릴링된 구멍(134)은 채널(110)의 횡방향 벽(116)중 하나와 정렬되어 잉크가 벽(116)의 양쪽의 채널부에 공급된다. 이 배치에 의해 잉크 공급 다기관과 프린트헤드 IC(100)들 사이에 요구되는 유체 접속의 수가 감소된다.Figure 11 shows in more detail how the ink is supplied to the ink supply channel 110 on the back side of the printhead IC 100. [ Each laser drilled hole 134 is formed in the adhesive film 120 and aligned with the corresponding ink supply channel 110. Generally, the laser drilled holes 134 are aligned with one of the transverse walls 116 of the channel 110 so that ink is supplied to both channel portions of the wall 116. This arrangement reduces the number of fluid connections required between the ink supply manifold and the printhead ICs 100.

IC(100)들의 위치맞춤을 올바르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기준부(103A)들이 IC(100)들의 표면에 제공된다(도 1과 도 11 참조). 기준부(103A)들은 이웃하는 IC에 대하여 IC(100)의 올바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맞춤장비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는 마커의 형태이다. 접착성 필름(120)은 상보성 기준부(103B)를 가지며, 이 상보성 기준부는 프린트헤드 IC(100)들을 잉크 공급 다기관에 접착하는 동안 접착성 필름에 대하여 각 프린트헤드 IC(100)를 정렬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기준부(103A와 103B)는 접착성 IC 부착필름(120)의 길이를 따라서 IC(100)의 에지들에 전략적으로 위치된다.
Reference portions 103A are provided on the surfaces of ICs 100 to assist in correct alignment of ICs 100 (see FIGS. 1 and 11). The reference portions 103A are in the form of markers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appropriate alignment equipment to indicate the correct position of the IC 100 relative to the neighboring IC. The adhesive film 120 has a complementarity reference portion 103B that helps align each printhead IC 100 relative to the adhesive film while adhering the printhead ICs 100 to the ink supply manifold . The reference portions 103A and 103B are strategically located at the edges of the IC 100 along the length of the adhesive IC-adhering film 120. [

프린트헤드Print head 집적회로에 데이터 및 전력 공급 Data and power supply to integrated circuits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트헤드 IC(100)는 그 길이방향 에지들중 하나를 따라서 뻗어있는 복수의 본드 패드(105)를 가진다. 본드 패드(105)는 잉크젯 노즐(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린트헤드 제어기("SoPEC")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받아들이는 수단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printhead IC 100 has a plurality of bond pads 105 extending along one of its longitudinal edges. The bond pad 105 provides a means for receiving data and / or power from a printhead controller ("SoPEC")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kjet nozzle 102.

본드 패드(105)들은 프린트헤드 IC(100)의 상부 CMOS층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MEMS 노즐 조립체는 CMOS층(113)에 형성되는데, 각 노즐을 발사시키기 위한 필수 로직 및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The bond pads 105 are connected to the upper CMOS layer of the printhead IC 100. As shown in FIGS. 4 and 5, each MEMS nozzle assembly is formed in a CMOS layer 113, which includes the necessary logic and driver circuitry to fire each nozzle.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스 PCB(140)는 프린트헤드 IC(100)의 본드 패드(105)들에 와이어본딩된다. 와이어본딩은 와이어본드 밀봉재(142)로 밀봉되고 보호되는데(도 7 참조), 밀봉재는 전형적으로 폴리머수지이다. LCP 몰딩(122)은 그 둘레로 플렉스 PCB(140)가 구부러져 체결되어 있는 굽은 지지날개부(123)를 구비한다. 지지날개부(123)는 플렉스 PCB의 여러 전기부품(14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125)를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플렉스 PCB(140)는 프린트헤드 조립체(130)의 바깥면 주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종이 안내부(148)가 플렉스 PCB(140)에 대하여 LCP 몰딩(122)의 반대쪽에 장착되어 프린트헤드 조립체(130)를 완성한다.6 through 9, the flex PCB 140 is wire-bonded to the bond pads 105 of the printhead IC 100. As shown in FIG. The wire bonding is sealed and protected by the wire bond sealant 142 (see FIG. 7), and the sealant is typically a polymer resin. The LCP molding 122 has a curved support wing portion 123 around which the flex PCB 140 is bent and fastened. The support wing portion 123 has a plurality of openings 125 for receiving th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144 of the flex PCB. In this manner, the flex PCB 140 can be bent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inthead assembly 130. A paper guide 148 is mounted opposite the LCP molding 122 with respect to the flex PCB 140 to complete the printhead assembly 130.

프린트헤드 조립체(130)는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프린트헤드 카트리지의 부분으로서 설계되며, 카트리지는 잉크젯 프린터(160)로부터 제거되어 교체될 수 있다(도 12 참조). 따라서 플렉스 PCB(140)는 프린터 본체의 전자 장비들(SoPEC 장치 포함)에 전력과 데이터 접속이 가능하게끔 하는 복수의 접촉부(146)를 가진다.The printhead assembly 130 is designed as part of a user replaceable printhead cartridge, and the cartridge can be removed from the inkjet printer 160 and replaced (see FIG. 12). Thus, the flex PCB 140 has a plurality of contacts 146 that allow power and data connections to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SoPEC devices) of the printer body.

플렉스 PCB(140)는 각 프린트헤드 IC(100)의 본드 패드(105)들에 와이어본딩되므로, 프린트헤드는 본드 패드들 부근에 비평면 길이방향 에지 영역을 필연적으로 갖는다. 이는 도 13에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데,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101)를 구비하는 프린트헤드 IC(100)의 본드 패드(105)로부터 와이어본드(150)가 뻗어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3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본드 패드(105)는 MEMS층에 형성되고 커넥터 기둥부(152)를 통해 하지층의 CMOS(113)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본드 패드(105)는 MEMS층으로의 어떠한 접속없이 CMOS(113)의 노출된 상부층일 수 있다. 양 구성에 있어서, 와이어본드들은 프린트헤드의 잉크젯 사출면(154)으로부터 연장되어 플렉스 PCB(140)와 연결된다.Since the flex PCB 140 is wire bonded to the bond pads 105 of each print head IC 100, the print head necessarily has a non-planar longitudinal edge region near the bond pads. This is most clearly illustrated in FIG. 13, which shows wirebonds 150 extending from bond pads 105 of a printhead IC 100 having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101. 13, the bond pads 105 are formed in the MEMS layer and are connected to the CMOS layer 113 of the base layer via the connector pillar portion 152. [ Alternatively, the bond pad 105 may be the exposed upper layer of the CMOS 113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 MEMS layer. In both configurations, the wire bonds extend from the inkjet exit surface 154 of the printhead and are connected to the flex PCB 140.

프린트헤드 IC(100)의 본드 패드105)들에 와이어본딩하는 것은 몇가지 단점을 가지는데, 주로 프린트헤드 IC의 상당한 길이방향 영역이 잉크 사출면(154)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본드(150)들 (및 와이어본드 밀봉재(142))을 갖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잉크 사출면(154)의 비평면성에 의해 프린트헤드의 유지보수가 덜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는 잉크젯 사출면(154)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스위핑(sweep)할 수 없는데 이는 닦는(wiping) 방향에 대하여 노즐(102)들의 상류 또는 하류에서 와이어본드 밀봉재(142)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로를 차단하기 때문이다.Wire bonding to the bond pads 105 of the printhead IC 100 has several disadvantages, primarily in that the significant longitudinal regions of the printhead IC protrude from the ink ejection surfaces 154 Wire-bond-sealing material 142). The non-planar nature of the ink ejection surface 154 results in less maintenance of the printhead. For example, the wiper blade can not sweep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inkjet exit surface 154 because the wire-bond seal 142 is positioned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nozzles 102 relative to the wiping direction Because it blocks the path of the wiper blade.

와이어본드 돌출의 다른 단점은 전체 프린트헤드가 PDMS와 같은 소수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없다는 점이다. 본 출원인은 PDMS 코팅들은 프린트 품질과 프린트헤드 유지보수 모두를 상당히 개선시킨다는 점과(예컨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병합되는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08/0225076 참조), 완전히 평면인 잉크 사출면이 그러한 코팅의 효능을 보다 더 개선시킬 것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Another disadvantage of wire bond protrusion is that the entire printhead can not be coated with a hydrophobic coating such as PDMS. Applicants have found that PDMS coatings significantly improve both print quality and printhead maintenance (see, for example,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08/022567,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 completely planar ink ejection surface And will further improve the efficacy of such coatings.

배면의 전기 Backside electricity 접속부들을Connections 위해 구성된  Configured for 프린트헤드Print head 집적회로 Integrated circuit

프린트헤드 IC(100)에 와이어본딩 접속을 하는 것의 고유한 단점들 중 일부를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프린트헤드 IC(2)를 개발하였는데, 이 IC는 배면의 전기 접속부를 사용하며 따라서 완전히 평탄한 잉크 사출면을 갖는다.Considering some of the inherent disadvantages of making a wire bonding connection to the printhead IC 100, Applicant has developed a printhead IC 2, which uses an electrical connection on the backside, And has an injection surface.

도 14를 참조하면, 프린트헤드 IC(2)는 접착성 필름(120)을 사용하여 잉크 공급 다기관의 LCP 채널몰딩(124)에 장착된다. 프린트헤드 IC(2)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잉크공급채널(110)을 갖는데, 이 채널은 노즐 입구(112)와 잉크 공급관(114)을 통해 잉크공급 다기관과 노즐 조립체(101)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린트헤드 조립체(160)(프린트헤드 IC(2) 포함)는 도 1 내지 도 11과 연계하여 설명한 프린트헤드 조립체(130)(프린트헤드 IC(100) 포함)와 같은 유체공학적 배치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4, the printhead IC 2 is mounted to the LCP channel molding 124 of the ink supply manifold using an adhesive film 120. The printhead IC 2 has at least one longitudinal ink supply channel 110 which communicates between the ink supply manifold 101 and the nozzle assemblies 101 via the nozzle inlet 112 and the ink supply tube 114, Provide communication. Thus, the printhead assembly 160 (including the printhead IC 2) has a fluid engineering arrangement such as the printhead assembly 130 (including the printhead IC 100)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11.

그러나, 프린트헤드 IC(2)는 그 CMOS 회로층(113)에 형성된 전기 접속부가 프린트헤드 IC(100)와 다르다. 유의할 점은, 프린트헤드 IC(2)는 그 길이방향 에지 영역(4)을 따라서 정면 와이어 본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프린트헤드 IC(2)는 그 길이방향 에지에서 배면의 오목부(6)를 가지고 있으며 이 오목부는 TAB(tape-automated bonding) 필름(8)을 수용한다. TAB 필름(8)은 전형적으로 TAB 필름의 접속부 단부의 대응하는 필름 접촉부(10)에서 종료하는 복수의 도전성 트랙을 구비하는 유연한 폴리머 필름(예를 들어 Mylar® 필름)이다. TAB 필름(8)은 프린트헤드 IC(2)의 배면(12)과 높이가 같도록 위치되어 TAB 필름과 프린트헤드 IC(2)가 LCP 채널몰딩(124)에 서로 접착될 수 있다. TAB 필름(8)은 플렉스 PCB(14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제로, TAB 필름은 플렉스 PCB(140)와 통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TAB 필름(8)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접속 배치를 사용하여 프린터의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However,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CMOS circuit layer 113 of the printhead IC 2 is different from the printhead IC 100.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inthead IC 2 has no front wire bonding along its longitudinal edge region 4. Rather, the printhead IC 2 has a recess 6 in the back surface at its longitudinal edge, which receives a tape-automated bonding (TAB) film 8. The TAB film 8 is a flexible polymer film (e.g., a Mylar ( R ) film) that typically has a plurality of conductive tracks terminating at corresponding film contacts 10 at the ends of the connection ends of the TAB film. The TAB film 8 is positioned so as to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backside 12 of the printhead IC 2 so that the TAB film and the printhead IC 2 can be bonded to the LCP channel molding 124 with each other. The TAB film 8 may be connected to the flex PCB 140. Indeed, the TAB film can be integrated with the flex PCB 140. Alternatively, the TAB film 8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r's electronics using other connection arrangemen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프린트헤드 IC(2)는 그 정면으로부터 그리고 TAB 필름(8)을 수용하는 길이방향의 오목 에지부(6)로 뻗어있는 복수의 쓰루-실리콘 비아(through-silicon vias)를 갖는다. 각 쓰루-실리콘 비아는 쓰루-실리콘 커넥터(14)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체(예컨대 구리)로 채워져 있는데,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TAB 필름(8)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각 필름 접촉부(10)는 예컨대 솔더볼(16) 등의 적절한 접속을 사용하여 쓰루-실리콘 커넥터(14)의 최저부 또는 베이스(15)에 연결된다.The printhead IC 2 has a plurality of through-silicon vias extending from its front face to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concave edge portions 6 for receiving the TAB film 8. Each through-silicon via is filled with a conductor (e.g., copper) to form a through-silicon connector 14, which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TAB film 8. Each film contacting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or base 15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using suitable connections, such as, for example, solder balls 16.

쓰루-실리콘 커넥터(14)는 프린트헤드 IC(2)의 실리콘 기판(20)을 통과하여 그리고 CMOS회로층(113)을 통과하여 뻗어있다. 쓰루-실리콘 커넥터(14)는 절연 측벽(21)들에 의해 실리콘 기판(20)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절연 측벽(21)들은 비정질 실리콘, 폴리실리콘 또는 이산화실리콘 등 MEMS 제조에 적합한 임의의 적절한 절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측벽(21)들은 단층 또는 다층일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측벽(21)들은 바깥쪽의 Si 또는 SiO2 층과 안쪽의 탄탈륨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안쪽의 Ta 층은 벌크 실리콘 기판으로 구리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확산방지층으로 작용한다. Ta 층은 쓰루-실리콘 커넥터(14)를 제조하는 동안 구리의 전자증착(electrodeposition)을 위한 씨앗층(seed layer)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extends through the silicon substrate 20 of the printhead IC 2 and through the CMOS circuitry layer 113.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is insulated from the silicon substrate 20 by insulating side walls 21. Insulated sidewalls 21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insulating material suitable for MEMS fabrication, such as amorphous silicon, polysilicon, or silicon dioxide. The insulating side walls 21 may be single-layered or multi-layered. For example, the insulating sidewalls 21 may comprise an outer Si or SiO 2 layer and an inner tantalum layer. The inner Ta layer acts as a diffusion barrier to minimize diffusion of copper into the bulk silicon substrate. The Ta layer may act as a seed layer for the electrodeposition of copper during the fabrication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루-실리콘 커넥터(14)의 헤드(22)는 프린트헤드 IC(12)의 MEMS 층(26)에 형성된 콘택트 패드(24)와 만난다. MEMS 층(26)은 프린트헤드 IC(2)의 CMOS 회로층(113)에 적층되며 MEMS 제조공정 단계들에 의해 형성된 모든 잉크젯 노즐 조립체(101)를 구비한다.14, the head 22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meets the contact pads 24 formed in the MEMS layer 26 of the printhead IC 12. The MEMS layer 26 is laminated to the CMOS circuitry layer 113 of the printhead IC 2 and has all the inkjet nozzle assemblies 101 formed by the MEMS manufacturing process steps.

US 2008/0129793(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자료로서 병합됨)에 기술된 것과 같은 본 출원인의 감열식 굽힘작동(bend-actuated) 프린트헤드의 경우, 도전성 열탄성 액츄에이터(25)가 각 노즐 챔버(101)의 천장부(roof)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패드(24)는 MEMS 제조공정동안 열탄성 액츄에이터(25)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텍트 패드(24)는 바나듐-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등과 같은 열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pplicant's bend-actuated printhead as described in US 2008/0129793,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 conductive thermoelastic actuator 25 is provided in each nozzle chamber A roof of the base 101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contact pad 24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thermoelastic actuator 25 during the MEMS manufacturing process, and may also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contact pad 24 may be formed of a thermally elastic material such as a vanadium-aluminum alloy, titanium nitride, titanium aluminum nitride, or the like.

그러나, 콘택트 패드(24)의 형성은 MEMS 제조공정 중 임의의 단계에 합쳐질 수 있고 또한 구리, 티타늄, 알루미늄,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등 임의의 적절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however, that the formation of the contact pads 24 can be incorporated at any stage in the MEMS fabrication process and can also be made of any suitabl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titanium, aluminum, titanium nitride, titanium aluminum nitride, and the like.

콘택트 패드(24)는 CMOS 회로를 향해 콘택트 패드로부터 뻗어있는 구리 도체 기둥부(30)를 통해 CMOS 회로(113)의 상부층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 기둥부(30)는 TAB 필름(8)과 CMOS 회로(113) 사이에 제공된다.The contact pad 24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of the CMOS circuit 113 through the copper conductor column portion 30 extending from the contact pad toward the CMOS circuit. Therefore, the conductor pillar portion 30 provi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AB film 8 and the CMOS circuit 113. [

도 14의 콘택트 패드(24)와 커넥터 기둥부(30)의 배치는 감열식 굽힘-작동 잉크젯 노즐들(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합체되는 미국특허출원 US 12/323,471에 기술되어 있음)을 형성하기 위한 본 출원인의 MEMS 제조공정과 편리하게 양립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배면의 TAB 필름(8)으로부터 CMOS 회로(113)로 유사한 배면 전기접속을 제공하는 다른 배치들을 물론 포함한다.The arrangement of the contact pads 24 and the connector posts 30 of FIG. 14 is similar to that of the thermal bending-actuated inkjet nozzle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US 12 / 323,471,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other arrangements that provide a similar backplane electrical connection from the TAB film 8 to the CMOS circuitry 113 on the backside.

도 15를 참조하면서, 예를 들면, 쓰루-실리콘 커넥터(14)는 CMOS회로(113) 상의 보호층(27)에서 종료할 수 있다. 매립된 콘택트 패드(23)는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헤드(22)와 그리고 보호층(27)을 통해 노출된 상부 CMOS 층 위로 적절한 도전성 재료를 적층하여 쓰루-실리콘 커넥터(14)를 상부 CMOS 층과 연결시킨다. MEMS 노즐 제조 공정동안 포토레지스트(31)와 천장 층(37)(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의 이어지는 증착에 의해 프린트헤드를 위한 완전히 평탄한 노즐 플레이트 및 잉크 사출면이 제공된다. 또한, 매립 콘택트 패드(23)는 천장층(37) 아래에서 포토레지스트(31)로 완전히 밀봉되고 캡슐화된다. 이 다른 콘택트 패드 배치는 예컨대 미국특허 USP 6,755,509와 USP 7,303,930(그 내용은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됨)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감열식 버블형성 잉크젯 노즐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본 출원인의 MEMS 제조공정과 양립가능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는 USP 6,755,509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현수식 가열부재(28)와 노즐 개구(102)를 구비하는 감열식 버블형성 잉크젯 노즐 조립체이다. 가열부재의 재료를 적층하고 이어서 에칭하여 매립 콘택트 패드(23)와 현수식 가열부재(28)가 MEMS 제조공정 동안 함께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매립 콘택트 패드(23)는 예컨대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등 가열부재(36)와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5, for example,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may terminate in the protection layer 27 on the CMOS circuit 113. The buried contact pad 23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suitable conductive material over the top CMOS layer exposed through the head 22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an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27 to form the through- . Through the subsequent deposition of photoresist 31 and ceiling layer 37 (e.g., silicon nitride, silicon oxide, etc.) during the MEMS nozzle manufacturing process, a completely flat nozzle plate and ink ejection surface are provided for the printhead. In addition, the buried contact pad 23 is completely sealed and encapsulated with the photoresist 31 under the ceiling layer 37. This other contact pad arrangement is well known in the applicant's MEMS fabrication process for forming a thermal bubble-forming inkjet nozzle assembly as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ent Nos. 6,755,509 and 7,303,930,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The nozzle assembly shown in FIG. 15 is a thermal bubble-forming inkjet nozzle assembly having a hydrostatic heating element 28 and a nozzle opening 102 as described in USP 6,755,509.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aterial of the heating element may be laminated and subsequently etched so that the buried contact pad 23 and the hydrothermal heating element 28 may be formed together during the MEMS fabrication process. Thus, the buried contact pad 23 can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heating member 36, such as titanium nitride, titanium aluminum nitride, and the like.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프린트헤드 IC(2)의 잉크 사출면은 완전히 평면이고 소수성 PDMS(48)의 층으로 코팅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PDMS 코팅과 그 장점들은 미국 특허출원공개 US 2008/0225082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참고자료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프린트헤드 집적회로(2)의 길이방향 에지 영역(4)에서의 면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잉크 사출면의 평면성은 프린트헤드 유지보수 및 면 플러딩(face flooding) 제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k ejection surface of the printhead IC 2 is completely flat and coated with a layer of hydrophobic PDMS 48. PDMS coatings and their advantag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U. 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08/0225082,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 previously described, the planarity of the ink ejection surface, including portions of th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edge region 4 of th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2, has significant advantages in printhead maintenance and face flooding control .

도 14와 도 15에서 콘택트 패드가 노즐(102)에 인접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프린트헤드 IC(2)의 콘택트 패드(24)는 실리콘 기판(20)으로 뻗어있는 대응하는 개수의 쓰루-실리콘 커넥터(14)와 함께 프린트헤드 IC(100, 도 1)의 본드 패드(105)에 유사한 위치를 전형적으로 차지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발명의 장점은 콘택트 패드(24)가 본드 패드(105)에 대하여 요구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잉크젯 노즐(102)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을 필요가 없다는 점인데, 본드패드의 경우 와이어본딩과 와이어본드 캡슐화를 위하여 충분한 주변공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배면 TAB 필름 접속은 실리콘의 더 효과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각 IC의 전체 폭을 잠재적으로 줄이거나 또는 수많은 노즐(102)들이 IC의 동일한 폭을 가로질러 형성되게끔 한다. 예를 들어,프린트헤드 IC(100)의 경우 IC 폭의 약 60-70%가 잉크 노즐(102)에 할당되는 반면, 본 발명은 IC 폭의 80% 이상이 잉크 노즐에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실리콘이 페이지폭 잉크젯 프린터에서 가장 비싼 부품들중 하나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중요한 장점이다.
14 and 15, the contact pads 24 of the printhead ICs 2 are formed by a corresponding number of through-silicones (not shown) extending into the silicon substrate 20, although the contact pads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adjacent the nozzles 102. [ Typically occupies a similar position to the bond pads 105 of the printhead IC 100 (FIG. 1) with the connector 14. Nevertheless,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act pad 24 need not be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inkjet nozzle 102 in the same manner as is required for the bond pad 105, Requires sufficient ambient space for wire-bond encapsulation. Thus, the backside TAB film connection enables more effective use of silicon and potentially reduces the overall width of each IC, or allows a large number of nozzles 102 to be formed across the same width of the IC.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inthead IC 100, about 60-70% of the IC width is assigned to the ink nozzles 102, where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ore than 80% of the IC width to be assigned to the ink nozzles. This is an important advantage considering that silicon is one of the most expensive components in pagewidth inkjet printers.

배면 전기접속을 위해 구성된 Configured for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프린트헤드Print head ICIC of MEMSMEMS 제조공정 Manufacture process

도 14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IC(2)를 위한 MEMS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MEMS 제조공정은 TAM 필름(8)으로의 배면 접속에 요구되는 특징들을 병합하기 위하여 미국특허출원 US 12/323,471호에 기술되어 있는 공정의 몇가지 변형예를 포함한다. MEMS 공정이 설명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되지만, 임의의 잉크젯 노즐 제조공정의 유사한 변형예들이 배면 전기접속을 위해 구성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도 15에 도시된 감열 작동식 프린트헤드 IC를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MEMS 제조공정을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기술된 특정 노즐 조립체(101)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MEMS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printhead IC 2 shown in Fig.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is MEMS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several variations of the proces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US 12 / 323,471 for incorporating the features required for backside connection to the TAM film 8. Although the MEMS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herein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imilar variations of any inkjet nozzle manufacturing process will provide a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onfigured for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Actually, the Applicant has referred to a suitable MEMS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thermally actuated printhead IC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nozzle assembly 101 described below.

도 16 내지 도 25는 도 14와 연계하여 기술된 프린트헤드 IC(2)를 형성하기 위한 MEMS 제조단계를 나타낸다. 완료된 프린트헤드 IC(2)는 복수의 노즐 조립체(101)는 물론 CMOS 회로(113)에 배면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특징들을 구비한다.Figs. 16 to 25 illustrate MEMS fabrication steps for forming the printhead IC 2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The completed printhead IC 2 has features that enable backplane connection to the CMOS circuitry 113 as well as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101.

MEMS 제조공정의 출발점은 실리콘 기판(20)과 웨이퍼의 정면에 형성된 CMOS 회로(113)를 구비하는 표준 CMOS 웨이퍼이다. MEMS 제조공정의 끝에서는, 에칭된 다이싱 스트릿(street)을 통해 웨이퍼가 별개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IC)로 다이싱되는데, 스트릿은 웨이퍼로부터 제조된 각 프린트헤드 IC의 크기를 규정한다.The starting point of the MEMS manufacturing process is a standard CMOS wafer having a silicon substrate 20 and a CMOS circuit 113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fer. At the end of the MEMS manufacturing process, the wafer is diced through separate etched dicing streets into separat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ICs), which define the size of each printhead IC fabricated from the wafer.

본 설명은 CMOS 층(113)상에서 수행되는 MEMS 제조공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CMOS 층(113)은 다수의 CMOS 층,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CMOS층)을 구비할 수 있고 통상 보호막처리된다는 점이 물론 이해될 것이다. CMOS 층(113)은 예컨대 실리콘 산화물 또는 더욱 통상적으로는 2개의 실리콘 산화물 층 사이에 협지된 실리콘 질화물 층을 구비하는 표준 ONO 스택으로 보호막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CMOS 층(113)이라 함은 보호막 처리된 CMOS 층을 함축적으로 내포하는데, 이 층은 다수의 CMOS층을 전형적으로 구비한다.Although the present description refers to a MEMS fabrication process performed on a CMOS layer 113, the CMOS layer 113 may have multiple CMOS layers (e.g., three or four CMOS layers) It will of course be understood that it is processed. The CMOS layer 113 may be shielded with a standard ONO stack having, for example, a silicon oxide layer or, more typically, a silicon nitride layer sandwiched between two silicon oxide layers. Thus, in this specification, the CMOS layer 113 implicitly implies a shielded CMOS layer, which typically has a plurality of CMOS layers.

아래의 설명은 하나의 노즐 조립체(101)와 하나의 쓰루-실리콘 커넥터(14)를 위한 제조공정 단계에 초점을 둔다. 그러나, 대응하는 단계들이 모든 노즐 조립체 및 모든 쓰루-실리콘 커넥터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될 것이라는 점이 물론 이해될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focuses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steps for one nozzle assembly 101 and on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corresponding steps will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all nozzle assemblies and all through-silicon connectors.

도 16에 도시된 단계들중 첫번째 단계에서, 정면 입구 구멍(32)이 CMOS 층(113)을 통해 그리고 CMOS 웨이퍼의 실리콘 기판(20)으로 에칭된다. 동시에, 정면 다이싱 스트릿 구멍(33)이 CMOS 층(113)을 통해 그리고 실리콘 기판으로 에칭된다. 정면 입구 구멍(32)과 정면 다이싱 스트릿 구멍(33)을 플러깅하도록 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31)가 웨이퍼의 정면에 도포된다. 이어서 웨이퍼가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에 의해 연마되어 도 16에 도시된 웨이퍼가 제공되는데, 이 웨이퍼는 이어지는 MEMS 단계들을 진행할 준비가 된 평탄한 정면을 갖는다.In the first of the steps shown in FIG. 16, the front entrance hole 32 is etched through the CMOS layer 113 and into the silicon substrate 20 of the CMOS wafer. At the same time, the front dicing hole 33 is etched through the CMOS layer 113 and into the silicon substrate. A photoresist 31 is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wafer to plug the front entrance hole 32 and the front dicing street hole 33. The wafer is then polished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to provide the wafer shown in FIG. 16, which has a flat front ready to proceed with subsequent MEMS steps.

도 17을 참조하면, 다음 단계에서, 낮은 응력의 실리콘 산화물의 8미크론 층이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에 의해 CMOS층(113) 상에 적층된다. 이 실리콘 산화물층(35)의 깊이는 잉크젯 노즐 조립체의 각 노즐 챔버의 깊이를 규정한다. SiO2층(35)을 적층한 후, 이어지는 SiO2층의 에칭에 의해 노즐 챔버들을 위한 벽(36)과 정면 다이싱 스트릿 구멍(32)의 일부가 형성된다. 실리콘 에칭 화학반응이 채택되어 정면 다이싱 스트릿 구멍(32)을 확장시키고 실리콘 기판(20)으로의 잉크 입구 구멍(32)을 에칭한다. 결과적인 구멍들(32와 33)은 이어서 포토레지스트를 스핀 코팅하고 CMP 연마를 이용하여 웨이퍼를 평탄화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31)로 플러깅된다. 포토레지스트(31)는 이어지는 천장 재료의 적층을 위한 발판으로서 작용하는 희생 물질이다. 다른 적절한 희생물질(예컨대 폴리마이드)가 이런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17, in the next step, an 8 micron layer of low stress silicon oxide is deposited on the CMOS layer 113 by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he depth of the silicon oxide layer 35 defines the depth of each nozzle chamber of the inkjet nozzle assembly. After the SiO 2 layer 35 is laminated, a wall 36 for the nozzle chambers and a portion of the front dicing hole 32 are formed by subsequent etching of the SiO 2 layer. A silicon etching chemical reaction is employed to extend the front dicing hole 32 and to etch the ink inlet hole 32 into the silicon substrate 20. [ The resulting holes 32 and 33 are then plugged into the photoresist 31 by spin coating the photoresist and planarizing the wafer using CMP polishing. The photoresist 31 is a sacrificial material serving as a footing for the subsequent lamination of the ceiling material.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other suitable sacrificial materials (e.g., polyimide)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천장 재료(예컨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평탄화된 SiO2층(35) 위에 적층되어 정면 천장층(37)을 형성한다. 천장층(37)은 완료된 프린트헤드 IC(2)에서 강성의 평탄한 노즐 플레이트를 형성할 것이다. 도 17은 MEMS 제조공정 단계들중 이 과정의 끝에 있는 웨이퍼를 나타낸다.A ceiling material (e.g.,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posited over the planarized SiO 2 layer 35 to form the front ceiling layer 37. The ceiling layer 37 will form a rigid flat nozzle plate in the completed printhead IC 2. [ Figure 17 shows the wafer at the end of this process of the MEMS manufacturing process steps.

다음 단계에서는, 도 18을 참조하면, 복수의 도체 기둥 비아(38)가 CMOS 층(113)까지 천장층(37)과 SiO2층(35)을 관통하여 에칭된다. 벽(36)들을 관통하여 에칭된 도체 기둥 비아(38A)는 하지층의 CMOS(3)에 노즐 액츄에이터가 연결되게끔 할 것이다. 반면에, 도체 기둥 비아(38B)는 콘택트 패드(24)와 하지층의 CMOS(113)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끔 할 것이다.18, a plurality of conductor punch vias 38 are etched through the ceiling layer 37 and the SiO 2 layer 35 to the CMOS layer 113. In the next step, The conductor pillar vias 38A etched through the walls 36 will cause the nozzle actuators to be connected to the CMOS 3 of the underlying layer. Conductor post vias 38B, on the other hand, will allow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ad 24 and the CMOS layer 113 of the underlying layer.

도전성 재료로 비아(38)를 채우기 전에 그리고 미국특허출원 US 12/323,471호에 기술된 공정의 변형예에서, 쓰루-실리콘 비아(39)가 천장층(37), SiO2층(35), CMOS 층(113)을 관통하여 실리콘 기판(20)으로 에칭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형성된다 (도 19 참조). 쓰루-실리콘 비아(39)는 각 완료된 프린트헤드 IC(2)의 길이방향 에지 영역을 따라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도록 위치된다. (정면 다이싱 스트릿 구멍(33)은 각 프린트헤드 IC(2)의 길이방향 에지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각 비아(39)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기판(20)의 배면을 향해 테이퍼 처리된다. 비아(39)의 정확한 위치결정은 TAB 필름(8)의 필름 접촉부(10)의 위치결정에 의해 결정되는데, 필름 접촉부는 프린트헤드 IC가 조립되어 TAB 필름에 연결될 때 각 비아의 기저부와 만난다.Silicon vias 39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via layer 37, the SiO 2 layer 35, the CMOS (not shown), or the like, before filling the via 38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in a variation of the proces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US 12 / 323,471. Is formed in the next step by etching through the layer 113 to the silicon substrate 20 (see FIG. 19). The through-silicon vias 39 are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edge region of each completed printhead IC 2. (The front dicing hole 33 effectively forms the longitudinal edges of each printhead IC 2.) Each via 39 is generally tapered toward the backside of the silicon substrate 20. [ The precise positioning of the vias 39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of the film contacts 10 of the TAB film 8 which meet the base of each via when the printhead IC is assembled and connected to the TAB film.

쓰루-실리콘 비아 에칭은 포토레지스트(40)의 마스크층을 패터닝하고 여러층을 에칭함으로써 수행된다. 물론, 같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가 각 에칭에 대하여 채택될 수 있지만, 다른 에칭 화학반응들이 다양한 층들 각각을 에칭하는데 요구될 수 있다.Through-silicon via etching is performed by patterning the mask layer of the photoresist 40 and etching the various layers. Of course, the same photoresist mask may be employed for each etch, but other etch chemistries may be required to etch each of the various layers.

각 쓰루-실리콘 비아(39)는 플러깅된 정면 잉크 입구(32)의 깊이(전형적으로는 20 미크론)에 대응하는 실리콘 기판(200)으로의 깊이를 전형적으로 갖는다. 그러나, 각 비아(39)는 TAB 필름(8)의 두께에 따라서 정면 잉크 입구(32)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Each through-silicon via 39 typically has a depth into the silicon substrate 200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plugged front ink inlet 32 (typically 20 microns). However, each via 39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front ink inlet 32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TAB film 8.

다음 단계에서,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면, 쓰루-실리콘 비아(39)는 절연벽(21)들을 구비하는데, 이 벽들은 비아를 실리콘 기판(20)으로부터 절연시킨다. 절연벽(21)은 절연막(42)과 확산저지층(43)을 구비한다. 확산 저지층(43)은 각 비아(39)가 구리로 채워질 때 벌크 실리콘 기판(20)으로 구리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절연막(42)과 확산저지층(43)은 연속 적층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데, 비아(39)로의 각 층의 선택적 적층을 위한 마스크층(40)을 옵션으로 사용한다.In the next step, referring to FIGS. 20 and 21, the trough-silicon vias 39 have insulating walls 21, which insulate the vias from the silicon substrate 20. The insulating wall 21 has an insulating film 42 and a diffusion preventing layer 43. The diffusion barrier layer 43 minimizes the diffusion of copper into the bulk silicon substrate 20 when each via 39 is filled with copper. The insulating layer 42 and the diffusion barrier layer 43 are formed by successive deposition steps, optionally using a mask layer 40 for selective deposition of each layer to the via 39.

절연막(42)은 비정질 실리콘, 폴리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등의 임의의 적절한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 저지층(43)은 전형적으로는 탄탈륨막이다.The insulating film 42 may be made of any suitable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morphous silicon, polysilicon, silicon oxide, or the like. The diffusion barrier layer 43 is typically a tantalum film.

다음 도 22를 참조하면, 도체 기둥 비아(38)와 쓰루-실리콘 비아(39)는 무전해도금을 사용하여 구리 등과 같은 고전도성 재료로 동시에 채워진다. 구리적층단계는 노즐 도체 기둥부(44)와 콘택트 패드 도체 기둥부(30) 및 쓰루-실리콘 커넥터(14)를 동시에 형성한다. 비아(38과 39) 직경의 적절한 크기 설정이 이 단계동안에 동시 구리도금을 보장하기 위하여 요구될 수 있다. 구리 도금 단계 이후, 적층된 구리는 CMP 공정을 받게 되는데, CMP 공정은 평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천장층(37)에서 멈추다. 도체 기둥부(30과 44)는 무전해 구리도금 단계 동안 형성되며 CMOS층(113)과 만나서 천장층(37)까지 CMOS층으로부터 직선 도체경로를 제공한다.Referring next to Fig. 22, conductor pillar vias 38 and through-silicon vias 39 are simultaneously filled with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using electroless plating. The copper laminating step concurrently forms the nozzle conductor pillar portion 44, the contact pad conductor pillar portion 30 and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Proper sizing of the vias 38 and 39 diameters may be required to ensure simultaneous copper plating during this step. After the copper plating step, the deposited copper undergoes a CMP process, where the CMP process stops at the ceiling layer 37 to provide a planar structure. The conductor posts 30 and 44 are formed during the electroless copper plating step and meet the CMOS layer 113 to provide a straight conductor path from the CMOS layer to the ceiling layer 37.

다음 단계에서, 도 23을 참조하면, 열탄성 재료가 천장층(37)에 적층되고 에칭되어 쓰루-실리콘 커넥터(14)의 헤드 위의 콘택트 패드(24)는 물론 각 노즐 조립체(101)를 위한 열탄성 빔 부재(25)를 형성한다.23, a thermally elastomeric material is laminated and etched into the ceiling layer 37 to form the contact pads 24 on the head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as well as for the respective nozzle assembly 101 A thermoelastic beam member 25 is formed.

열탄성 빔 부재(25)들에 융합된 덕분에, SiO2 천장층(37)의 부분들은 기계적인 감열식 굽힘 액츄에이터(thermal bend actuator)의 하부 불활성(passive) 빔 부재(46)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각 노즐 조립체(101)는 CMOS(113)에 연결된 상부 열탄성 빔(25)과 하부 불활성 빔(46)을 구비하는 감열식 굽힘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감열식 굽힘 액츄에이터의 이러한 타입들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출원공개 US 2008/309729(그 내용이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됨)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Parts of the help fused to the open elastic beam member (25), SiO 2 ceiling layer 37 can function as the lower inert (passive), the beam member 46 of the mechanical thermal bend actuator (thermal bend actuator). Each nozzle assembly 101 thus has a thermal bending actuator having an upper thermally elastic beam 25 and a lower inactive beam 46 connected to the CMOS 113. These types of thermally actuated bending actuator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or example,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08/309729,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열탄성 활성 빔부재(25)는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및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열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출원공개 US 2008/129793(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병합됨)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나듐-알루미늄 합금들이 바람직한 재료인데, 이들이 높은 열팽창, 낮은 밀도 및 높은 영률(Young's modulus)의 장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The thermally elastic active beam member 25 may be made of any suitable thermoelastic material, such as titanium nitride, titanium aluminum nitride, and aluminum alloy. Vanadium-aluminum alloys are preferred materials as they are described in Applicant's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08/129793,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because they exhibit high thermal expansion, low density and high Young's modulus ( Young's modulus).

상술한 바와 같이, 열탄성 재료가 콘택트 패드(24)를 형성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콘택트 패드(24)는 커넥터 기둥부(30)의 헤드와 쓰루-실리콘 커넥터(14)의 헤드(22) 사이에서 뻗어있다. 따라서, 콘택트 패드(24)는 쓰루-실리콘 커넥터(14)를 각 도체 기둥부(30)와 하지층의 CMOS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As described above, a thermally elastic material is also used to form the contact pad 24. The contact pad 24 extends between the head of the connector post 30 and the head 22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Thus, the contact pad 24 electrically connects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to each conductor post 30 and the CMOS layer 113 of the ground layer.

도 23을 다시 참조하면, 열탄성 재료를 적층하고 에칭하여 감열식 굽힘 액츄에이터와 콘택트 패드(24)를 형성한 후에, 최종 정면 MEMS 제조공정 단계는 노즐 개구(102)의 에칭과 정면 스트릿 개구(47)의 동시 에칭 단계, 및 정면을 소수성화하고 각 감열식 굽힘 액츄에이터의 탄성 기계적 밀봉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천장층(37) 위로의 PDMS 코팅(48)의 적층단계를 구비한다. PDMS 코팅의 사용은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출원 US 11/685,084 및US 11/740,925 (그 내용이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됨)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다.23, after the thermally-elastic material is laminated and etched to form the thermal bending actuator and contact pads 24, the final front MEMS fabrication process step includes etching of the nozzle openings 102 and etching of the front-side street openings 47 ) And a step of laminating the PDMS coating 48 over the entire ceiling layer 37 so as to render the front surface hydrophobic and provide an elastic mechanical seal of each thermal bending actuator. The use of PDMS coatings has been extensively described in the applicant's US patent applications US 11 / 685,084 and US 11 / 740,925,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24를 참조하면, 웨이퍼의 전체 정면은 포토레지스트(49)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층으로 코팅되는데, 이 포토레지스트층은 정면의 MEMS 구조를 보호하고 웨이퍼가 배면의 MEMS 공정을 위한 핸들 웨이퍼(50)에 부착되게끔 한다. 배면 에칭은 잉크공급 채널(110)과 그리고 쓰루-실리콘 커넥터(14)의 최저부(15)가 뻗어있는 오목부(6)를 형성한다. 절연막(42)의 부분은 쓰루-실리콘 커넥터(14)의 최저부(15)가 배면 에칭에 의해 노출되면 제거된다. 배면 에칭은 플러깅된 정면 다이싱 스트릿 구멍(33)까지 에칭함으로써 개별적인 프린트헤드 IC의 싱귤레이션(sigulation)을 또한 가능케 한다.24, the entire front side of the wafer is coated with a relatively thick layer of photoresist 49, which protects the front MEMS structure and allows the wafer to be removed from the handle wafer 50 for MEMS processing on the backside, . The backside etch forms a recess 6 in which the ink supply channel 110 and the bottom portion 15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extend.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film 42 is removed when the bottom portion 15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is exposed by back-etching. The backside etch also allows singulation of the individual printhead ICs by etching up to the plugged front dicing street holes 33.

보호층 포토레지스트(49)의 최종 산화성 제거('애싱(ashing)')에 의해 개별적인 프린트헤드 IC(2)의 싱귤레이션과 그리고 배면 및 노즐 조립체(101) 사이의 유체 연결이 형성된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결과적인 프린트헤드 IC(2)는 쓰루-실리콘 커넥터(14)가 솔더(solder) 접합부(16)를 통해 TAB 필름(8)에 연결될 수 있게 준비된 상태이다. 이어서 결과적인 프린트헤드 IC/TAB 필름 조립체를 잉크 공급 다기관에 접합하는 단계는 도 14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조립체(60)를 제공한다.The final oxidative removal ("ashing") of the protective layer photoresist 49 forms a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singulation of the individual printhead ICs 2 and the backside and nozzle assembly 101. The resultant printhead IC 2 shown in Fig. 25 is ready for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14 to be connected to the TAB film 8 via the solder joint 16. The step of subsequently bonding the resulting printhead IC / TAB film assembly to the ink supply manifold provides the printhead assembly 60 shown in FIG.

바람직한 실시예 및 몇개의 다른 특정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 속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참조문헌으로서 적절히 병합된 문서들과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several other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other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It will therefore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documents properly merged as references an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2, 100: 프린트헤드 IC 8: TAB피름
14: 쓰루-실리콘 커넥터 24: 콘택트 패드
26: MEMS 층 102: 노즐
104, 110: 채널 105: 본드 패드
106: 접합부 112: 노즐 입구
114: 잉크공급관 120: 필름
130: 프린트헤드 조립체 150: 와이어 본드
2, 100: printhead IC 8: TAB film
14: through-silicon connector 24: contact pad
26: MEMS layer 102: nozzle
104, 110: channel 105: bond pad
106: joint 112: nozzle inlet
114: ink supply pipe 120: film
130: Printhead assembly 150: Wire bond

Claims (20)

잉크 공급 다기관과,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와, 하나 이상의 커넥터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로서,
각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는,
정면과,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되는 배면과, 상기 배면과 정면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잉크 공급 채널을 갖는 실리콘 기판;
상기 정면에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CMOS 층; 및
상기 CMOS 층이 상기 실리콘 기판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CMOS 층 위에 배치되며,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MEMS 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필름은 상기 구동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는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사이에 끼워져 있고,
복수의 쓰루-실리콘 커넥터가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며,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상기 MEMS 층에 있는 콘택트 패드로부터 상기 CMOS 층을 통해 상기 배면을 향해 직선상으로 뻗어 있고,
상기 콘택트 패드는 상기 CMOS 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An inkjet printhead assembly comprising an ink supply manifold, at least on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nd at least one connector film,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 silicon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 back surface attach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and at least one ink supply channel for providing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back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ne or more CMOS layers including drive circuits on the front side; And
A MEMS layer disposed over the CMOS layer such that the CMOS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CMOS layer and the silicon substrate, the MEMS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And,
Wherein the connector film supplies power to the drive circuit,
Wherein the connecting end of the connector film is sandwich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k supply manifold and the at least one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A plurality of through-silicon connectors provid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rive circuit and th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or film,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extending straight from the contact pad in the MEMS layer through the CMOS layer toward the backside,
Wherein the contact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MOS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필름은 복수의 도전성 트랙을 갖는 유연한 폴리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film is comprised of a flexible polymer film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tra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필름은 테이프 자동 접합(TAB) 필름인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film is a tape self-bonding (TAB)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커넥터 필름을 수용하기 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id back surface having a recess for receiving said connector fil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각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의 길이방향의 에지 영역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cess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edge region of each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상기 배면을 향해 테이퍼진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tapering toward the backside.
제1항에 있어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구리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s being comprised of c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패드와 상기 CMOS 층 사이에는 직선상으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체 기둥부가 구비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conductive post extending linearly between the contact pad and the CMOS layer.
제1항에 있어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깥쪽 측벽을 갖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having an outer sidewall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측벽은 상기 절연막과 상기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도전성 코어 사이에 확산 저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uter sidewalls comprise a diffusion barrier layer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conductive core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필름의 연결단부에 솔더로 연결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or film by s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필름은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와 함께 상기 잉크 공급 다기관에 접합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film is bonded to the ink supply manifold along with the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는 페이지폭 프린트헤드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양단 맞대기(end-on-end butting) 배열로 배치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lurality of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are disposed in an end-on-end butting arrangement to provide a pagewidth printhead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프린트헤드의 정면은 평면이고 또한 와이어 본딩을 하지 않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side of the print head is planar and also does not wire bon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은 소수성 폴리머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조립체.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ront side is coated with a hydrophobic polymer layer.
정면과, 잉크 공급 다기관에 부착하기 위한 배면과, 상기 배면과 정면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잉크 공급 채널을 갖는 실리콘 기판;
상기 정면에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CMOS 층; 및
상기 CMOS 층이 상기 실리콘 기판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CMOS 층 위에 배치되며, 복수의 잉크젯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MEMS 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의 쓰루-실리콘 커넥터가 상기 MEMS 층에 있는 콘택트 패드로부터 상기 CMOS 층을 통해 상기 배면을 향해 직선상으로 뻗어 있고,
상기 콘택트 패드가 상기 CMOS 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
A silicon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 back surface for attaching to the ink supply manifold, and at least one ink supply channel for providing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back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ne or more CMOS layers including drive circuits on the front side; And
A MEMS layer disposed over the CMOS layer such that the CMOS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CMOS layer and the silicon substrate, the MEMS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kjet nozzle assemblies;
And,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silicon connectors extend straight from the contact pads in the MEMS layer through the CMOS layer toward the backside,
Wherein the contact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MOS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패드와 상기 CMOS 층 사이에는 직선상으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체 기둥부가 구비되는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t least one conductor post extending linearly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pad and the CMOS layer.
제17항에 있어서,
각 쓰루-실리콘 커넥터는 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깥쪽 측벽을 갖는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
18. The method of claim 17,
Each through-silicon connector having an outer sidewall comprising an insulating film.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측벽은 상기 절연막과 상기 쓰루-실리콘 커넥터의 도전성 코어 사이에 확산 저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린트헤드 집적 회로.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outer sidewall comprises a diffusion barrier layer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conductive core of the through-silicon connector.
삭제delete
KR1020127000846A 2009-07-27 2009-07-27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KR1014445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AU2009/000953 WO2011011807A1 (en) 2009-07-27 2009-07-27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499A KR20120031499A (en) 2012-04-03
KR101444560B1 true KR101444560B1 (en) 2014-10-07

Family

ID=4352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846A KR101444560B1 (en) 2009-07-27 2009-07-27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96419B1 (en)
JP (1) JP5475116B2 (en)
KR (1) KR101444560B1 (en)
CN (1) CN102470671B (en)
SG (1) SG176568A1 (en)
WO (1) WO20110118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9974B2 (en) 2013-04-29 2016-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rinthead
CN105453539B (en) * 2013-08-02 2019-02-22 富士胶片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photographic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492891B2 (en) 2015-03-31 2019-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iquid ejection device and liquid ejection device unit
JP6911170B2 (en) * 2016-02-24 2021-07-28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discharge device including integrated circuits
TWI789529B (en) 2018-07-30 2023-01-11 瑞士商西克帕控股有限公司 A multi-chip module (mcm) assembly
MX2021007974A (en) * 2019-02-06 2021-08-1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Fluid ejection devices including electrical interconnect elements for fluid ejection dies.
CN113365842B (en) * 2019-02-06 2022-10-1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Fluid ej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uid ejec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580B1 (en) 2001-03-20 2002-05-28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for wide-array inkjet printhead assembly
US20030082851A1 (en) 2001-10-31 2003-05-01 Van Hoff Jay F. Back-side through-hole interconnection of a die to a substrate
US20050179729A1 (en) 2004-01-30 2005-08-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making an inkjet printhead
US20080225076A1 (en) 2007-03-12 2008-09-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fabricating printhead having hydrophobic ink ejection fa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341B2 (en) * 1992-08-05 2002-07-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Tube container supply device
US6536882B1 (en) * 2000-07-26 2003-03-25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printhead having substrate feedthroughs for accommodating conductors
US6902872B2 (en) * 2002-07-29 2005-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forming a through-substrate interconnect
US6755509B2 (en) 2002-11-23 2004-06-2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Thermal ink jet printhead with suspended beam heater
JP2005044927A (en) * 2003-07-25 2005-02-17 Kyocera Corp Piezoelectric actu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4456609B2 (en) * 2004-01-21 2010-04-28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ピーティワイ リミテッド Printhead assembly and printhead module
US7524016B2 (en) * 2004-01-21 2009-04-2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rtridge unit having negatively pressurized ink storage
US7441865B2 (en) 2004-01-21 2008-10-2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chip having longitudinal ink supply channels
US7275805B2 (en) 2004-05-27 2007-10-0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comprising different printhead modules
US7690767B2 (en) * 2004-07-22 2010-04-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7303930B2 (en) 2005-10-11 2007-12-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fabricating suspended beam in a MEMS process
US7438371B2 (en) 2005-12-05 2008-10-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modulating printhead peak power requirement using redundant nozzles
JP2007326340A (en) * 2006-06-09 2007-12-20 Canon Inc Inkjet recording he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819608B2 (en) * 2006-07-31 2011-1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984973B2 (en) 2006-12-04 2011-07-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Thermal bend actuator comprising aluminium alloy
US7938974B2 (en) 2007-03-12 2011-05-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fabricating printhead using metal film for protecting hydrophobic ink ejection face
US7669967B2 (en) 2007-03-12 2010-03-0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having hydrophobic polymer coated on ink ejection face
US7819503B2 (en) 2007-06-15 2010-10-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inkjet nozzle assemblies having connector posts
US8029097B2 (en) 2008-11-26 2011-10-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nozzle assembly having moving roof structure and sealing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580B1 (en) 2001-03-20 2002-05-28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for wide-array inkjet printhead assembly
US20030082851A1 (en) 2001-10-31 2003-05-01 Van Hoff Jay F. Back-side through-hole interconnection of a die to a substrate
US20050179729A1 (en) 2004-01-30 2005-08-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making an inkjet printhead
US20080225076A1 (en) 2007-03-12 2008-09-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fabricating printhead having hydrophobic ink ejection 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0671A (en) 2012-05-23
EP2496419B1 (en) 2018-05-30
SG176568A1 (en) 2012-01-30
CN102470671B (en) 2014-11-26
JP5475116B2 (en) 2014-04-16
WO2011011807A1 (en) 2011-02-03
KR20120031499A (en) 2012-04-03
EP2496419A1 (en) 2012-09-12
JP2012529384A (en) 2012-11-22
EP2496419A4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438B2 (en) Method of fabricating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with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s
US8506055B2 (en) MEMS integrated circuit having backside integrated circuit contacts
EP1923219B1 (en) Inkjet head
KR101444560B1 (en)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US8287095B2 (en) Printhead integrated comprising through-silicon connectors
US5635966A (en) Edge feed ink delivery thermal inkjet printhead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508536B1 (en) Method of mounting fluid ejection device
US8256877B2 (en)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US20020113846A1 (en) Ink jet printheads and methods therefor
TWI429540B (en) Printheads
KR101819882B1 (en) High density multilayer interconnect for print head
US6935023B2 (en) Method of 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for fluid ejection device
US8323993B2 (en) Method of fabricating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s
TWI482712B (en)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onfigured for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TWI495570B (en) Inkjet printhead assembly having backside electrical connection
TWI492851B (en) Printhead integrated comprising through-silicon connectors
JP5692881B2 (en) Ink jet print head having common conductive path in nozzle plate
JP2015110340A (en) Inkjet nozzle assembly accompanying drip direction control by independently-operable roof paddle
CN111703207B (en) Piezoelectric ink-jet printing device with single-layer internal electrode
JP4656641B2 (en)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JP2005138526A (en) Head module, liquid ejecting head, liquid ejector, process for manufacturing head modu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liquid ejecting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