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015B1 -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15B1
KR100838015B1 KR20070044185A KR20070044185A KR100838015B1 KR 100838015 B1 KR100838015 B1 KR 100838015B1 KR 20070044185 A KR20070044185 A KR 20070044185A KR 20070044185 A KR20070044185 A KR 20070044185A KR 100838015 B1 KR100838015 B1 KR 10083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ply
sent
information
unacknowled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영
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04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1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메시지 서비스에서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와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외부로부터 답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장 메시지의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착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로서 각 착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이동통신 가입자는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 수신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메시지 반복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메시지, SMS, MMS, 답장, 미수신, 확인, 보낸 메시지

Description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PLY MESSAGE NON-RECEIPT CONFIRM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로부터 발신 단말로 답장 메시지 전송시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6은 가입자가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170 : 이동통신 단말 140 : SMSC
150 : MMSC 160 :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답장 메시지 미수신 확인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음성 통화 서비스 이외 짧은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가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장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Multimedia Message Service)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상대방이 보내온 메시지를 받으면 메시지를 읽은 후에 바로 이동통신 단말의 답장 기능을 이용하여 답장 메시지를 보낸다. 이와 같은 답장 기능은 사용자들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현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에서 답장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받는 사람 전화번호로 설정되어 전화번호를 일일이 외우거나 찾아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다.
그런데 매일 많은 수의 메시지를 주고 받는 최근의 메시지 이용 형태를 고려하면, 메시지를 받은 사람은 메시지를 받을 때마다 매번 바로 답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메시지를 보낸 사람은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을 받았는지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중요한 용무로 상대방에서 메시지를 보낸 사람은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가 오지 않으면 메시지를 보내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고 다시 메시지를 중복 발신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메시지를 중복 발신하지 않도록 메시지를 보낸 사람에게 답장 미수신(또는 수신) 내역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의 메시지 서비스에서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메시지 센터,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자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보낸 메시지 정보 기 록 요청 또는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발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로서 각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답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장 메시지의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착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로서 각 착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자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을 요청하거나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을 요청하는 메시지 센터; 및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수신시 상기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수신시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를 통해 각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신자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보낸 메시지 관리부;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답장 메시지 관리부; 및 발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를 통해 각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40), MMSC(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 150),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를 포함하고, 이러한 각 구성요소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130)은 기지국(BTS/NodeB), 기지국 제어기(BSC/RNC), 교환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PDSN, SGSN, IWF 등)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은 상기와 같은 요소들을 이용하여 메시지(SMS, MMS)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은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폰, Wibro폰, Wifi폰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170)은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로 설명하고, 이동통신 단말(110, 1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170)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로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은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은 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장 보내기 기능을 제공한다.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답장 보내기 기능을 이용하여 받은 메시지에 대해 답장 메시지를 작성하면, 작성된 답장 메시지에 받은 메시지 식별정보(예로, ID) 및 해당 메시지가 답장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구분자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메시지 센터(140, 150)는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 간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특히, 메시지 센터(140, 150)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별로 보낸 메시지 정보 및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미수신 정보를 관리한다. 즉, 발신 단말(170)로부터 착신 단말(110, 120)로 메시지가 발신되면, 메시지 센터(140, 150)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발신자에 대한 보낸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한다. 또한,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발신 단말(170)로 답장 메시지가 발신되면 메시지 센터(140, 150)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발신자에 대한 답장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한다.
이때, 메시지 센터(140, 150)는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메시지의 정보를 토대로 해당 메시지가 답장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메시지에 답장 메시지 구분자가 포함된 경우 해당 메시지를 답장 메시지로 판단하고, 그 답장 메시지에 포함된 보낸 메시지 정보(예컨대, 보낸 메시지의 ID) 및 착신자 정보(즉, 답장 메시지를 수신하는 발신 단말(170)의 정보)를 추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답장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한다.
또한, 메시지 센터(140, 150)는 이동통신 단말(110, 120, 170) 간 송수신된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고, 그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에 대해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부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그 요청된 메시지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전송한다.
한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메시지 센터(140, 150)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가입자별로 보낸 메시지 정보 및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미수신 정보를 기록 관리한다. 또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기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각 이동통신 가입자의 보낸 메시지 내역 및 답장 수신/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각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설정 정보는 모든 가입자에 대해 동일할 수 있고, 또는 각 이동통신 가입자별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관리 시간, 통보 주기, 횟수 등이 포함된다. 즉, 관리 시간(예로, 오전 8시부터 오후 9시) 동안 이동통신 가입자가 발신한 보낸 메시지 내역,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을 받은 내역 등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통보 주기마다 상기 작성된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가입자가 이동통신망(130)의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면, 해당 가입자에게 답장 미수신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답장 미수신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임의 선택한 보낸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40, 150)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70)에서 메시지가 작성되어 착신 단말(110, 120)로 발신되면, 발신된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메시지 센터(140, 150)로 전송된다(S201).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지 센터(140, 150)는 상기 수신된 발신 메시지에서 발신자 정보 및 착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보낸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한다(S203). 이때, 메시지 센터(140, 150)는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의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발신자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만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보낸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낸 메시지 정보의 기록 요청을 수신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메시지 센터(140, 150)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정보 및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한다(S205). 즉,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식별자(예로, 메시지 ID), 보낸 메시지 발신 시간, 보낸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 정보 등을 기록하고, 또한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기록한다.
한편, 메시지 센터(140, 150)는 상기 단계 S201에서 수신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10, 120)로 전송한다(S207). 본 실시예에서 메시지 센터(140, 150)는 보낸 메시지 정보의 기록 요청을 수행한 후에 메시지를 착신 단말(110, 1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메시지 센터(140, 150)는 발신 단말(17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착신 단말(110, 120)로 전송한 후에 보낸 메시지 정보의 기록 요청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로부터 발신 단말로 답장 메시지 전송시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70)로부터 착신 단말(110, 120)로 발신 메시지가 전송된 후, 착신자는 착신 단말(110, 120)에서 상기 수신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 단말(170)로 전송한다.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전송된 답장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메시지 센터(140, 150)로 전송된다(S301).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에는 답장 보내기 메뉴가 구현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에서 받은 메시지(이하, 보낸 메시지)를 확인한 후 답장 보내기 메뉴를 통해 답장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은 답장 메시지에 보낸 메시지 식별자, 그리고 해당 메시지가 답장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구분자를 부가한다.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답장 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지 센터(140, 150)는 상기 답장 메시지를 발신 단말(170)로 전송한다(S303). 이어서, 메시지 센터(140, 150)는 상기 답장 메시지에서 보낸 메시지 식별자, 착신자 전화번호(즉, 발신 단 말(170)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답장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한다(S305). 이때, 메시지 센터(140, 150)는 답장 메시지에 부가된 구분자를 통해 해당 메시지가 답장 메시지임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답장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 센터(140, 150)로부터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메시지 센터(140, 150)로부터 전송된 보낸 메시지 식별자 및 착신자 전화번호(즉, 발신 단말(17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답장 메시지 정보를 착신자(즉, 발신 단말(170)의 사용자)의 저장 영역에 설정한다(S307). 즉, 착신자 전화번호(발신 단말(17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자(즉, 발신 단말(170)의 사용자)의 저장 영역을 검색한 후 보낸 메시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저장 영역에 답장이 수신되었음을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시지 센터(140, 150)는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답장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로 답장 메시지를 발신 단말(170)로 전송하고, 이후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답장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답장 메시지를 수신하면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로 답장 메시지 정보의 기록을 요청하고 이어서 답장 메시지를 발신 단말(17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서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70)로부터 착신 단말(110, 120)로 메시지가 전송되고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발신 단말(170)로 답장 메시지가 전송되는 일련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이 이루어진 후,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가 발신 단말(170)로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작성한다(S401). 즉, 발신자가 설정한 관리 시간(예로, 오전 8시부터 오후 9시)이 경과하면,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관리 시간 동안 발신자가 메시지를 보낸 정보, 그리고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을 수신한 정보를 검색하여 보낸 메시지 수, 답장 메시지 수신 수, 답장 메시지 미수신 수 등의 통계를 산출한 후 그 통계 결과를 포함하는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작성한다. 이때,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에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바로 접속이 가능한 콜백 URL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작성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상기 작성된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발신 단말(170)로 전송한다(S403). 발신자는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여 관리 시간 동안 몇 개의 메시지를 발신하였으며, 발신한 메시지에 대해 몇 개의 답장이 수신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발신자는 발신 단말(170)에서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후 연결하기 메뉴를 선택하거나, 또는 통화 버튼을 누른다. 발신 단말(170)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에 삽입된 콜백 URL, 즉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바로 접속한다(S405). 즉,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발신 단말(170)로부터 답장 미수신 내역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
발신 단말(170)로부터의 답장 미수신 내역 확인 요청을 수신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메시지 센터(140, 150)로 발신자가 답장을 받지 못한 보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한다(S407, S409). 보다 구체적으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발신자 정보(예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을 검색한 후 답장이 수신되지 않은 보낸 메시지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그 추출한 보낸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 센터(140, 150)로 전송하여 메시지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발신자가 답장을 받지 못한 보낸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40, 150)로부터 수신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그 보낸 메시지의 정보를 발신 단말(170)로 전송한다(S411). 보낸 메시지의 정보는, 착신자 전화번호, 메시지의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발신자는 착신자 전화번호와 메시지의 일부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어떤 메시지에 대해 답장을 수신하지 못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보낸 메시지 관리부(510), 답장 메시지 관리부(530), 통지부(550), 가입자 접속 관리부(570) 및 저장부(590)를 포함한다.
먼저, 저장부(590)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위한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은 가입자별로 보낸 메시지 식별정보 필드(591), 착신자 정보 필드(593), 답장 수신 정보 필드(595), 설정 정보 필드(597)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 정보 필드(597)에는, 관리 시간, 통보 주기, 횟수 등이 포함된다.
보낸 메시지 관리부(510)는, 발신 단말(170)로부터 착신 단말(110, 120)로 메시지가 발신되면, 메시지 센터(140, 150)로부터 상기 발신 메시지의 식별정보, 상기 발신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자 정보,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다. 보낸 메시지 관리부(510)는 메시지 센터(140, 15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590)에 구비된 테이블에서 상기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각 필드에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 즉,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보낸 메시지 식별정보 필드(591)에 기록하고, 착신자 정보를 착신자 정보 필드(593)에 기록하며, 답장 수신 정보 필드(595)에는 답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기록(예로, 0)한다.
답장 메시지 관리부(530)는, 착신 단말(110, 120)로부터 발신 단말(170)로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가 발신되면, 메시지 센터(140, 150)로부터 상기 답장 메시지에 포함된 보낸 메시지의 식별정보, 착신자 정보(즉, 발신 단말(170)의 전화번호 등)를 포함하는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다. 답장 메시지 관리부(530)는 메시지 센터(140, 15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590)에 구비된 테이블에서 상기 착신자 정보(즉, 발신 단말(170)의 전화번호 등)에 대응하는 필드 중 상기 보낸 메시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답장 수신 정보 필드(595)에 답장이 수신되었음을 기록(예로, 1)한다.
통지부(550)는, 상기 저장부(590)에 구비된 테이블에서 설정 정보 필드를 참조하여, 각 가입자의 보낸 메시지 수, 답장 메시지 수신 수, 답장 메시지 미수신 수를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한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각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즉, 설정 정보 필드(597)에 기록된 관리 시간, 통보 주기, 횟수를 참조하여 관리 시간(예로, 오전 8시부터 오후 9시) 동안 가입자가 발신한 보낸 메시지 수, 답장 메시지 수신 수, 답장 메시지 미수신 수를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안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통보 주기마다 상기 작성된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각 가입자는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여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이 수신되지 않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가입자마다 설정 정보가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든 가입자에 대해 설정 정보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통지부(550)는,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에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바로 접속이 가능한 콜백 URL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지부(550)에 의해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가 가입자에게 전송된 후, 가입자는 답장 미수신 내역을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는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URL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가입자가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본 후 연결하기 메뉴, 또는 통화 버튼을 누른 경우, 가입자 단말은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URL, 즉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바로 접속한다.
가입자 접속 관리부(570)는, 답장 미수신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가입자의 접속시, 저장부(590)를 참조하여 해당 가입자가 답장을 수신하지 못한 보낸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40, 150)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보낸 메시지 정보를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구성하여 가입자에게 표시한다. 보낸 메시지 정보는, 착신자 정보, 메시지의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도 6은 가입자가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가입자별로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작성하여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 도 6의 (a)는 가입자 단말에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가 수신되어 화면에 표시된 예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에는 가입자가 소정의 시간 동안 발신한 보낸 메시지의 수, 그 보낸 메시지 중 답장을 받은 메시지의 수 및 답장을 받지 못한 메시지의 수가 포함된다. 이러한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에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직접 접속이 가능한 콜백 URL이 포함된다.
도 6의 (a)와 같이 가입자가 답장 미수신 확인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후 답장을 받지 못한 보낸 메시지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통화 버튼을 누르면, 도 6의 (b)와 같이, 가입자 단말은 콜백 URL, 즉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에 접속하고,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가입자에게 답장을 받지 못한 보낸 메시지 정보를 제공한다. 이 중 가입자가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면,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160)는 가입자가 선택한 보낸 메시지의 세부 내용을 제공한다. 도 6의 (c)는 가입자가 도 6의 (b)에서 1번 메시지를 선택한 경우의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가입자는 일정한 주기마다 통보되는 답장 미수신 내역을 확인하여 자신이 보낸 메시지에 대해 답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메시지를 반복 전송하거나, 중요한 메시지에 대해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이동통신사 측면에서는 새로운 부가 서비스로서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메시지 센터,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각 발신자별로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각 발신 메시지에 대한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또는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발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로서 각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는,
    보낸 메시지의 수,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 수,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미수신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각 발신자로부터 답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각 답장 메시지의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c) 착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로서 각 착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답장 메시지에서 착신자 정보 및 보낸 메시지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저장 영역 중 상기 추출된 보낸 메시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에 답장 수신 완료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는, 콜백 URL을 포함하고,
    착신자가 상기 콜백 URL을 이용하여 접속시 답장 미수신 상세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는,
    보낸 메시지의 수,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 수,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미수신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각 발신자별로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각 발신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을 요청하거나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을 요청하는 메시지 센터; 및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수신시 해당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수신시 해당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를 통해 각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로서 상기 발신 메시지의 식별정보 및 착신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는,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 수신시 상기 발신 메시지에서 보낸 메시지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 중 상기 보낸 메시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에 답장 수신 완료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서버는,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에 콜백 URL을 삽입하고,
    발신자가 상기 콜백 URL을 이용하여 접속시 답장 미수신 상세 내역을 제공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각 발신자별로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각 발신 메시지에 대한 보낸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발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보낸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보낸 메시지 관리부;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답장 메시지 정보 기록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답장 메시지 정보를 기록하는 답장 메시지 관리부; 및
    발신자별로 보낸 메시지 대비 답장 미수신 내역을 통계 산출하여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를 통해 각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자의 접속시 답장 미수신 상세 내역을 제공하는 가입자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답장 미수신 확인 메시지에, 보낸 메시지의 수,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수신 수, 보낸 메시지에 대한 답장 미수신 수 중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70044185A 2007-05-07 2007-05-07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KR10083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4185A KR100838015B1 (ko) 2007-05-07 2007-05-07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4185A KR100838015B1 (ko) 2007-05-07 2007-05-07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015B1 true KR100838015B1 (ko) 2008-06-12

Family

ID=3977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4185A KR100838015B1 (ko) 2007-05-07 2007-05-07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412A (ko) * 2000-08-22 2002-02-28 윤종용 구내 무선망에서 가입자의 인터넷을 통한 단문 발신 또는수신내역확인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4313A (ko) * 2001-11-29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룹 메세지 전송방법
KR20040067317A (ko) *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0950A (ko) * 2005-01-06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412A (ko) * 2000-08-22 2002-02-28 윤종용 구내 무선망에서 가입자의 인터넷을 통한 단문 발신 또는수신내역확인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4313A (ko) * 2001-11-29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룹 메세지 전송방법
KR20040067317A (ko) *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0950A (ko) * 2005-01-06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60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ice of charging
US8041342B2 (en) Moving notification message
WO2011163087A2 (en) Automated mobile intelligent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WO20070568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record logging
JP5661107B2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74999B1 (ko) 모바일 메신저 대화내용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0838015B1 (ko) 답장 미수신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EP1589740A1 (en) Method of the third party paying for the multimedia message sent by sender
KR100862146B1 (ko) 답장 발송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장치
DK2658293T3 (en) Connection attempt advice
KR100833788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맥 관리 시스템, 인맥 관리 서버 및방법
KR101397098B1 (ko) 비정상 호 수집 장치 및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20050050790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101836143B1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교환기 및 방법
KR100816640B1 (ko)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0408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수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70010624A (ko) 모바일 시그너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2445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증에 의한 개인정보 변경 알림 방법
KR100650700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 발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