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790A -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790A
KR20050050790A KR1020030084429A KR20030084429A KR20050050790A KR 20050050790 A KR20050050790 A KR 20050050790A KR 1020030084429 A KR1020030084429 A KR 1020030084429A KR 20030084429 A KR20030084429 A KR 20030084429A KR 20050050790 A KR20050050790 A KR 2005005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short message
level
telephone number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제상
정영훈
Original Assignee
구제상
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제상, 정영훈 filed Critical 구제상
Priority to KR102003008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790A/ko
Publication of KR2005005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7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노예가 되어 사는 현대인들의 사생활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사용자에게 걸려오는 모든 착신 전화나 착신 단문메시지들을 교환기단의 필터링 관리장치로 여과한 후 교환기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착신 휴대단말기가 자신의 반응을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별로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전달 및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 보류 등의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착신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수신 또는 휴대단말기에 아무런 표시 없이 거부 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교환기단의 필러링 관리장치에 필터링 조건을 부여한 후, 임의의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화 요청 또는 단문메시지 요청이 접수되면, 교환기가 필터링 관리장치에게 필터링을 요청한 후, 필터링 결과를 교환기에 전달한다. 교환기는 필터링 검사 결과에 따라 전화 요청의 전달 또는 보류, 단문메시지 전송요청의 전송 또는 별도 보관, 관리 등을 함으로써,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단에서 미리 사생활 보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동통신 사용자의 개인적인 사생활을 적극 보호할 수 있다. 항상 휴대단말기를 옆에 끼고 살아가는 한국인들에게 발생되는 '남에게 쉽게 노출되어지는 개개인의 휴대폰 사용정보들' 즉, 누구로부터 전화를 받았는가, 누구에게 어떠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받았는가하는 등의 개인 사생활 정보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Privacy protec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ervice us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증되지 않은 단문 메시지 또는 원하지 않는 사람과의 전화 통화를 차단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해줄 수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의 개발 및 보급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개인 휴대 통신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또는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휴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에도 타인과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이었던 음성 통화 기능 외에도 문자 송수신,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고, 일부 서비스는 현재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는 사용자의 편리성만을 강조하여 발전해왔으며 그에 따른 부작용은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전화를 받고 싶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원천적으로 거부할 수 없고,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 등을 원천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현재 보편적으로 서비스되어지고 있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해 원하지 않는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어느 정도까지는 사용자 스스로 필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표시된 경우에만 가능한 제한을 가지고, 발신자 전화번호가 표시되더라도 해당 전화번호가 누구의 것인지를 기억해내야 필터링이 가능하며, 표시부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남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지 않은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통화 요청은 어느 정도 사용자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차단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원하지 않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예를 들어, 광고 메시지, 스팸 메시지 등)의 수신 거부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남는다. 다만, 현재 시판되고 있는 최신 기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스팸 메시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기종도 있으나, 이러한 기종은 우선 그 가격이 고가이고,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단말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 또한 단말기에 자동 저장되는 통화 이력 및 이미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타인 노출을 막을 수는 없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지 않는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요청 또는 문자 메시지를 필터링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용자의 사생활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링 조건에 부합되는 상대방의 통화 요청 또는 문자 메시지일지라도 음성 사서함 또는 문자 사서함을 이용하여 추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기 기종에 상관없이 필터링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추가 구매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하지 않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터링 관리 장치가 교환기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기로부터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제1 착신자 전화번호,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1 발신자 전화번호 각각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포함함-; 상기 교환기가 임의의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은 적어도 제2 착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제2 발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교환기가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로 필터링 검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필터링 검사 요청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필터링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필터링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는 상기 필터링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레벨은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는 제1 레벨, 문자 사서함으로 연결하는 제2 레벨, 완전 차단의 제3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링 레벨이 상기 제1 레벨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링 레벨이 상기 제2 레벨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단문 메시지가 상기 문자 사서함에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링 레벨이 상기 제3 레벨인 경우, 미리 지정된 에러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필터링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버가 착신자가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제1 착신자 전화번호,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1 발신자 전화번호 각각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포함함-, 임의의 발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은 적어도 제2 착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제2 발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로 필터링 검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필터링 검사 요청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필터링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는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에서 상기 필터링 레벨이 문자 사서함 연결 조건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문자 사서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하지 않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한 필터링 관리 장치에 있어서, 교환기 또는 단문 메시지 서버로부터 필터링 조건 및 필터링 검사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여기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제1 착신자 전화번호,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1 발신자 전화번호 각각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검사 요청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화 통화 요청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버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착신자 컴퓨터(115),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 및 착신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60)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 접속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는 발신자의 단말기를, 착신 단말기(160)는 착신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착신자 컴퓨터(115)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 접속하여 필터링 조건(예를 들어, 필터링 대상 전화번호, 설정 조건 정보)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론 필터링 조건은 발신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60)간의 음성 통화 및 문자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신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125), 발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필터링 관리 장치(135), 단문 메시지 서버(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40), 착신 교환기(145), 착신 기지국(150) 및 망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155)를 포함한다. 물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 내에는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이 포함되나, 본 발명의 요지와는 다소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신 기지국(125) 및 착신 기지국(150)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 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결합되는 망 종단 장치이다. 기지국(125, 150)은 RF 무선 처리부와 CDMA 신호를 처리하는 채널 및 제어기로 이루어진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125, 150)의 각 유니트(unit)는 Interface unit, CDMA mod/Demod unit, Transceiver unit, RF unit, GPS unit 등과 같은 기능을 한다. 발신 기지국(125)은 발신 단말기(110)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기지국이고, 착신 기지국(150)은 착신 단말기(160)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기지국을 의미하고, 발신 기지국(125)과 착신 기지국(150)은 동일한 기지국일 수 있다.
발신 교환기(130) 및 착신 교환기(145)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가장 중요한 망 구성장치로서 유선통신기능(PSTN/ISDN)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이다. 교환기(130, 145)의 기능으로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기능,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기능, 기존 망과 타망의 연동 기능 등이 있다. 그리고, 교환기(130, 145)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LRS(Location Registration Control Subsyste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신 교환기(130)는 착신 기지국(150)과 결합된 교환기이고, 착신 교환기(145)는 착신 기지국(150)과 결합된 교환기이며, 동일한 기교환기일 수 있다.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착신 가입자가 착신자 컴퓨터(115) 또는 착신 단말기(16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필터링 조건(예를 들어, 필터링 대상 전화번호, 설정 조건 정보)을 저장하고, 발신 교환기(130), 단문 메시지 서버(140) 또는 착신 교환기(145)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 및 발신자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필터링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 교환기(130), 단문 메시지 서버(140) 또는 착신 교환기(145)로 전달한다. 도 1에는 필터링 관리 장치(135)가 발신 교환기(130) 및 단문 메시지 서버(140)간에만 연결된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필터링 관리 장치(135)가 음성 통화 및/또는 문자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든 장치와 연결되거나 각각의 장치에 독립적인 필터링 관리 장치(135)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단문 메시지 서버(135)는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SME(Short Message Entity)간에 한정된 크기의 문자(단문) 형태로 전달하는 통신서비스로서 임의의 순간에 수신할 수 없는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단문을 그 가입자가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저장(Store) 하였다가 전달(Forward)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망 연동 장치(155)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회선 교환전화망)/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장치이다. 도 1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장치로서 망 연동 장치(155)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신 교환기(130) 또는 단문 메시지 서버(140)와 연결되어 필터링 조건에 부합되어 필터링되는 전화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 관리 장치(즉, 음성 사서함 관리 장치) 또는 문자 메시지 관리 장치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전화 통화 요청을 필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 입력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단계 205에서 착신 단말기(160) 또는 착신자 컴퓨터(115)로부터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필터링 조건은 착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전화번호, 필터링 레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발신자 전화번호는 필터링 레벨에 상응하도록 저장된다. 필터링 레벨은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 완전 차단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착신 단말기(16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 필터링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가 예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사생활 관리 모드'를 선택하면,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1. 전화통화 필터링, 2. 음성 사서함 관리, 3. SMS 필터링, 4. 문자 사서함 관리' 등의 메뉴 화면(화면 260)이 디스플레이된다. '2. 음성 사서함 관리'는 필터링되어 음성 사서함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이다. 물론, 당해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는 종래의 음성 사서함을 확인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필터링되어 음성 사서함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식별번호는 정상적인 음성 메시지의 경우 '*88'로 확인가능하고, 필터링되어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경우 '*89'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분할 수 있으며, 물론 각각의 식별번호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1. 전화통화 필터링'을 선택하면,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1. 차단번호 등록, 2. 차단번호 관리(총 12개)'와 같은 세부 메뉴 화면(화면 265)이 디스플레이된다. '2. 차단번호 관리'는 이미 등록된 차단번호를 삭제하거나 차단번호를 확인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차단번호를 등록하기 위해 '1. 차단번호 등록'을 선택하면,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차단 번호를 신규로 입력할 수 있는 등록 화면(화면 27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임의의 차단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차단번호에 대한 필터링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레벨 선택 화면(화면 275)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1) 음성 사서함 연결' 항목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 280으로 전환되며 입력된 차단번호 및 필터링 레벨이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즉, 필터링 관리 장치(135))으로 전송된다. 이후, 해당 차단번호 및 필터링 레벨의 저장이 완료된 후,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등록 완료 메시지(화면 285)가 디스플레이된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발신 교환기(130)는 단계 210에서 임의의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화통화 요청을 수신한다. 전화통화 요청은 적어도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단계 215에서 발신 교환기(130)는 당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필터링 관리 장치(135)로 전송한다.
단계 220에서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발신 교환기(130)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단계 205를 통해 저장된 당해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단번호 및 필터링 레벨을 검색한다. 즉, 당해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저장된 차단번호 중에 당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만약 존재한다면 당해 발신자 전화번호의 필터링 레벨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후, 단계 225에서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단계 220을 통한 필터링 검사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발신 교환기(130)로 전송한다.
발신 교환기(130)는 단계 230에서 필터링 관리 장치(135)로부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수신하고, 단계 235로 진행하여 당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전화통화 요청이 당해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필터링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필터링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240으로 진행하여 당해 전화통화 요청을 착신 교환기(145)로 전송하여 당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60)간에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필터링 대상인 경우 단계 245로 진행하여 당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전화통화 요청이 음성 사서함 연결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사서함 연결 대상인 경우(즉, 화면 275에서 필터링 레벨 (1)로 지정된 차단번호인 경우) 단계 250으로 진행하여 당해 발신 단말기(110)가 음성 메시지를 저장시킬 수 있는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음성 사서함 연결 대상이 아닌 경우(즉, 화면 275에서 필터링 레벨 (2)로 지정된 차단번호인 경우) 단계 255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예를 들어, '착신 가입자가 전화통화를 원하지 않습니다.')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당해 에러 메시지는 발신 단말기(110)의 표시부 및/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문자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 입력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단계 305에서 착신 단말기(160) 또는 착신자 컴퓨터(115)로부터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필터링 조건은 착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전화번호, 필터링 레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발신자 전화번호는 필터링 레벨에 상응하도록 저장된다. 필터링 레벨은 문자 사서함으로 연결, 완전 차단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착신 단말기(160)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가 예시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사생활 관리 모드'를 선택하면,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1. 전화통화 필터링, 2. 음성 사서함 관리, 3. SMS 필터링, 4. 문자 사서함 관리' 등의 메뉴 화면(화면 370)이 디스플레이된다. '4. 문자 사서함 관리'는 필터링되어 문자 사서함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 또는 착신 단말기(160)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이다. 물론, 착신 단말기(160) 저장된 문자 메시지 또는 문자 사서함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메뉴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3. SMS 필터링'을 선택하면,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1. 수신허가 번호 등록, 2. 차단번호 등록, 3. 차단 사서함 보기'와 같은 세부 메뉴 화면(화면 375)이 디스플레이된다. 화면 375에는 '1. 수신허가 번호 등록, 2. 차단번호 등록'이 모두 가능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차단을 원하는 전화번호의 수량이 적을 것이므로 차단번호 등록 메뉴만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차단번호를 등록하기 위해 '2. 차단번호 등록'을 선택하면,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차단 번호를 신규로 입력할 수 있는 등록 화면(화면 38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임의의 차단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차단번호에 대한 필터링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레벨 선택 화면(화면 385)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1) 문자 사서함 연결' 항목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 390으로 전환되며 입력된 차단번호 및 필터링 레벨이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즉, 필터링 관리 장치(135))으로 전송된다. 이후, 해당 차단번호 및 필터링 레벨의 저장이 완료된 후, 착신 단말기(160) 표시부에는 등록 완료 메시지(화면 390)가 디스플레이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발신 교환기(130)는 단계 310에서 임의의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을 단문 메시지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당해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은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물론, 앞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당해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을 단문 메시지 서버(140)로 전송하기 전에 발신 교환기(130)가 필터링 관리 장치(135)를 이용하여 필터링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한 후, 필터링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만 단문 메시지 서버(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단문 메시지 서버(140)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문 메시지 서버(140)는 단계 315에서 발신 교환기(130)로부터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당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필터링 관리 장치(135)로 전송한다.
단계 325에서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단문 메시지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단계 305를 통해 저장된 당해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단번호 및 필터링 레벨을 검색한다. 즉, 당해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저장된 차단번호 중에 당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만약 존재한다면 당해 발신자 전화번호의 필터링 레벨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후, 단계 330에서 필터링 관리 장치(135)는 단계 325를 통한 필터링 검사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서버(140)로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서버(140)는 단계 335에서 필터링 관리 장치(135)로부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수신하고, 단계 340으로 진행하여 당해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이 당해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필터링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필터링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345로 진행하여 당해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을 착신 교환기(145)로 전송하여, 해당 메시지 내용이 착신 단말기(160)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필터링 대상인 경우 단계 350으로 진행하여 당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이 문자 사서함 연결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문자 사서함 연결 대상인 경우(즉, 화면 385에서 필터링 레벨 (1)로 지정된 차단번호인 경우) 단계 355로 진행하여 당해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메시지 내용 및 발신자 전화번호를 문자 사서함에 저장한다. 그러나, 문자 사서함 연결 대상이 아닌 경우(즉, 화면 385에서 필터링 레벨 (2)로 지정된 차단번호인 경우) 단계 360으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예를 들어, '착신 가입자가 문자 메시지 수신을 원하지 않습니다.')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당해 에러 메시지는 발신 단말기(110)의 표시부 및/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제까지,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기(160)를 이용하여 문자 사서함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들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는 착신자 컴퓨터(115)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문자 사서함에 접속함으로써 저장된 문자 메시지들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각각의 문자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차단번호 등록 현황을 변경, 수정 또는 추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원하지 않는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요청 또는 문자 메시지를 필터링함으로써 수신 단말기에 아무런 표시도 나타내지 않고 별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사용자의 사생활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링 조건에 부합되는 상대방의 통화 요청 또는 문자 메시지일지라도 음성 사서함 또는 문자 사서함을 이용하여 추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 기종에 상관없이 필터링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추가 구매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전화 통화 요청을 필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 입력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문자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 입력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신 단말기 115 : 착신자 컴퓨터
120 :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125 : 발신 기지국
130 : 발신 교환기 135 : 필터링 관리 장치
140 : 단문 메시지 서버 145 : 착신 교환기
150 : 착신 기지국 155 : 망 연동 장치
160 : 착신 단말기

Claims (9)

  1. 수신자가 따로 관리코자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터링 관리 장치가 교환기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기로부터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제1 착신자 전화번호,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1 발신자 전화번호 각각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포함함-;
    상기 교환기가 임의의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은 적어도 제2 착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제2 발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교환기가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로 필터링 검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필터링 검사 요청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필터링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필터링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는 상기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레벨은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는 제1 레벨, 문자 사서함으로 연결하는 제2 레벨, 완전 차단의 제3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링 레벨이 상기 제1 레벨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링 레벨이 상기 제2 레벨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단문 메시지가 상기 문자 사서함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링 레벨이 상기 제3 레벨인 경우, 미리 지정된 에러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7.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필터링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버가 착신자가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제1 착신자 전화번호,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1 발신자 전화번호 각각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포함함-,
    임의의 발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은 적어도 제2 착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제2 발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로 필터링 검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필터링 검사 요청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필터링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 관리 장치는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레벨이 문자 사서함 연결 조건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문자 사서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9. 원하지 않는 전화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한 필터링 관리 장치에 있어서,
    교환기 또는 단문 메시지 서버로부터 필터링 조건 및 필터링 검사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여기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제1 착신자 전화번호,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1 발신자 전화번호 각각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검사 요청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화 통화 요청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제2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2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착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필터링 레벨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필터링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버가 상기 전화통화 요청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상응하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관리 장치.
KR1020030084429A 2003-11-26 2003-11-26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50050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29A KR20050050790A (ko) 2003-11-26 2003-11-26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29A KR20050050790A (ko) 2003-11-26 2003-11-26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90A true KR20050050790A (ko) 2005-06-01

Family

ID=3866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429A KR20050050790A (ko) 2003-11-26 2003-11-26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7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967B1 (ko) * 2005-11-12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KR100792333B1 (ko) * 2005-08-02 2008-01-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메시지 보안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82407B1 (ko) * 2007-02-13 2013-07-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터넷폰 조작번호 필터링 시스템 및 운용 방법
US8750478B2 (en) 2009-12-15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a ghost register
CN111835920A (zh) * 2019-04-17 2020-10-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通话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33B1 (ko) * 2005-08-02 2008-01-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메시지 보안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76967B1 (ko) * 2005-11-12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KR101282407B1 (ko) * 2007-02-13 2013-07-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터넷폰 조작번호 필터링 시스템 및 운용 방법
US8750478B2 (en) 2009-12-15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a ghost register
CN111835920A (zh) * 2019-04-17 2020-10-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通话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35920B (zh) * 2019-04-17 2022-04-2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通话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596374B2 (en) Data backup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ckup device used for same, and backup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1140691B1 (ko) 단문 서비스 호 처리 방법, 단문 서비스 호 처리 장치 및 저장 매체
JP6000125B2 (ja) 選択的なメッセージサービスブロッキング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60281407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contac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and program products
KR20040053341A (ko)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성메일 메시지 송신
CN101529833A (zh) 供接收者稍后进行获取的数据消息的存储
US8509804B2 (en) Call enhancement with localized information
KR100313464B1 (ko)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메시지 수신 시 전자메일 통보방법
KR100601856B1 (ko) 이동통신망에서 위치기반 발신자 애칭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5084053A1 (en) Method of facilitating downloading, storing and forwarding of ring tones and other services in a mobile terminal.
KR20050050790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JP2010529711A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997689B1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71900B1 (ko) 메시지 그룹 전송 방법과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
KR101070543B1 (ko) 통신망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7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사서함 메뉴 목록 제공 방법
KR20070010624A (ko) 모바일 시그너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64502B1 (ko) 녹음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JP2002032315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メール格納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