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887A -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887A
KR20060022887A KR1020040071677A KR20040071677A KR20060022887A KR 20060022887 A KR20060022887 A KR 20060022887A KR 1020040071677 A KR1020040071677 A KR 1020040071677A KR 20040071677 A KR20040071677 A KR 20040071677A KR 20060022887 A KR20060022887 A KR 2006002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confirmation
recipient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2887A/ko
Priority to CNB2005100075600A priority patent/CN100444669C/zh
Publication of KR2006002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887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확인메시지를 발신자에게 회신함으로써, 회신이 필요한 문자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확인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문자메시지 전송 확인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을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상에 표시된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작성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확인메시지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회신된 경우에는 회신된 확인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시스템, 단말기, 문자메시지, 수신확인, 회신, 메시지센터, 발신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Method for Confirming Receipta of Short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
20 :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30 :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40 : SMS 센터(MS : Message Cen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수신자가 문자메 시지를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발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에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부가서비스 예컨대, 단문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 SMS, 이하 문자메시지라 함), 이메일전송 및 인터넷접속 등의 기능이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문자메시지(SMS)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도 40자 내외의 단문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 전송서비스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에 비례해 문자메시지 이용 인구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회신번호와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그 외에 일기예보, 뉴스 및 주식정보 등을 알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와 직접 다양한 정보를 검색해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화식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은 물론, 정보 이용이 어려울 수 있는 중장년층의 이용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상대측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데, 작성된 문자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반드시 회신이 필요한 내용인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내용에 회신을 부탁하는 글을 작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회신을 부탁한 문자메시지를 전송 받은 수신측 사용자가 급한 용무로 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답변을 못하고 있거나, 또는 문자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는 수신측의 상황을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재차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의 수신측 사용자의 경우에도 회신을 부탁한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는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회신을 하기 위해서 회신 문자메시지 내용을 작성하여 전송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확인메시지를 발신자에게 회신함으로써, 회신이 필요한 문자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확인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문자메시지 전송 확인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메뉴를 선 택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을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상에 표시된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작성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확인메시지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회신된 경우에는 회신된 확인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수신 알림기능을 실행하고,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패드의 확인키를 선택하게 되면 화면으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인 것을 표시하고, 동시에 수신자 확인메시지를 발신자 전화번호로 전송함과 더불어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확인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SMS 센터에서는 해당 내용을 저장하고, 수신자 확인메시지 정보에 설정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개인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과금처리 선택된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과금처리함과 더불어 발신자의 전화번호로 수신자 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수신자 확인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 10, 100)와, 다수의 단말기(10, 100)로부터 전송된 기능신호 예컨대, 호신호나 문자메시지 등을 무선으로 처리하는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20)과, 상기 기지국(20)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호신호나 문자메시지의 전송기능을 제어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30) 및 상기 MSC(30)에 연결되어 단말기(10, 100)로 문자메시지를 제공하는 MSM 센터(Message Center, 40)로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회신 요청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문자메시지에 작성하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키패드를 조작하여 문자메시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10),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전화번호를 입력요구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을 도시되지 않은 LCD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S1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LCD 화면으로 표시되는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상에 수신 확인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고(S12)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하지 않고 작성된 문자메시지 전송키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붙여 문자메시지의 길이가 짧을 경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에 실어 액세스(access)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작성된 문자메시지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6으로 하여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에 실어 리버스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S1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LCD 화면으로 표시되는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상에 수신 확인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는 S1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작성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을 설정하여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작성된 문자메시지와 설정된 수신자 확인기능을 붙여 전송하게 된다(S14).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문자메시지 신호는 기지국(20)과 MSC(30)를 경유하여 SMS 센터(40)로 입력되어 저장되고, 상기 SMS 센터(40)는 입력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MSC(3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MSC(30)는 SMS 센터(40)로부터 전송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 신호를 수신자 전화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어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자가 확인하여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확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LCD 화면으로 확인메시지를 표시하여 발신자인 사용자에게 전송된 문자메시지가 확인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S15).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S20) LCD 화면으로 문자메시지 수신 알림기능을 실행하고, 수신모드에 따라 예컨대, 진동 및 벨 소리로 문자메시지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2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22), 확인한 결과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 확인하기 위해 키패드의 확인키를 선택하게 되면 LCD 화면으로 수진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인 것을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자 확인메시지 예컨대, 확인한 시간정보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시지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고(S2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문자메시지를 LCD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S2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LCD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S24).
한편, 상기 SMS 센터(40)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자 확인메시지가 전송되면 해당 내용을 저장하고, 수신자 확인메시지 정보에 설정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도시되지 않은 개인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과금처리가 예컨대 발신자로 선택되어 있는지 수신자 또는 특정인에게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선택된 사람의 전화번호에 과금처리한 이후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MSC(3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MSC(30)는 SMS 센터(40)로부터 전송된 수신자 확인메시지를 발신자 전화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의 수신자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확인메시지를 발신자에게 회신함으로써, 회신이 필요한 문자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확인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송수신시에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확인메시지를 발신자에게 회신하는 수신자 확인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발신자는 회신이 필요한 문자메시지에 대해 수신자가 확인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수신자는 별도의 회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을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문자메시지 작성화면상에 표시된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수신 확인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작성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확인메시지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회신된 경우에는 회신된 확인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수신 알림기능을 실행하고,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 가 키패드의 확인키를 선택하게 되면 화면으로 수신자 확인기능이 설정된 문자메시지인 것을 표시하고, 동시에 수신자 확인메시지를 발신자 전화번호로 전송함과 더불어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확인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SMS 센터에서는 해당 내용을 저장하고, 수신자 확인메시지 정보에 설정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개인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과금처리 선택된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과금처리함과 더불어 발신자의 전화번호로 수신자 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는,
    상기 발신자, 수신자 및 지정된 사용자 중에 어느 한 사람의 전화번호로 과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확인메시지는, 상기 문자메시지 확인 시간정보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1020040071677A 2004-09-08 2004-09-08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20060022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77A KR20060022887A (ko) 2004-09-08 2004-09-08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CNB2005100075600A CN100444669C (zh) 2004-09-08 2005-02-05 移动通信系统的文字消息收信确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77A KR20060022887A (ko) 2004-09-08 2004-09-08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887A true KR20060022887A (ko) 2006-03-13

Family

ID=3616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677A KR20060022887A (ko) 2004-09-08 2004-09-08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22887A (ko)
CN (1) CN100444669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4B1 (ko) * 2006-01-17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첨부파일의 수신확인표시방법
KR100791958B1 (ko) * 2007-04-27 2008-01-04 (주)엠비즈코리아 에스엠에스 메시지를 이용한 열람위치확인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WO2008147136A1 (en) * 2007-05-30 2008-12-04 M-Bizkorea Method of receiving confirmation of a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and termina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893774B1 (ko) * 2007-04-20 2009-04-20 티플렉스(주) 에스엠에스 메시지 열람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단말장치
KR101373343B1 (ko) * 2007-01-30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55B1 (ko) * 1999-12-1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100357865B1 (ko) * 2000-05-2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20030070969A (ko) * 2002-02-27 200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단문메시지서비스의 메시지수신확인방법
KR20040034005A (ko) * 2002-10-16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수신사실 통보방법
KR20040043753A (ko) * 2002-11-19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의 메시지 열람 확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9992461A (fi) * 1999-11-16 2001-05-17 Sonera Oyj Viestipalvelu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CN1402576A (zh) * 2001-08-15 2003-03-12 无敌科技股份有限公司 追踪短信息状态的方法
CN1302671C (zh) * 2003-01-07 2007-0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第三方为接收方接收多媒体短消息付费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55B1 (ko) * 1999-12-1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100357865B1 (ko) * 2000-05-2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20030070969A (ko) * 2002-02-27 200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단문메시지서비스의 메시지수신확인방법
KR20040034005A (ko) * 2002-10-16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수신사실 통보방법
KR20040043753A (ko) * 2002-11-19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의 메시지 열람 확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4B1 (ko) * 2006-01-17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첨부파일의 수신확인표시방법
KR101373343B1 (ko) * 2007-01-30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 방법
KR100893774B1 (ko) * 2007-04-20 2009-04-20 티플렉스(주) 에스엠에스 메시지 열람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단말장치
KR100791958B1 (ko) * 2007-04-27 2008-01-04 (주)엠비즈코리아 에스엠에스 메시지를 이용한 열람위치확인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WO2008147136A1 (en) * 2007-05-30 2008-12-04 M-Bizkorea Method of receiving confirmation of a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and termina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4669C (zh) 2008-12-17
CN1747577A (zh)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385B2 (en) Emergency call system with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477889B2 (en) Messag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892074B2 (en) Selective message service to primary and secondary mobile stations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54087A (ko)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메시지 수신 시 전자메일 통보방법
CN100444669C (zh) 移动通信系统的文字消息收信确认方法
KR100575281B1 (ko) 메시지를 이용한 url 전송 방법
KR20050012618A (ko) 송/수신 메시지 동시 표시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시지 표시방법
KR2006003041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확인 신호처리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20050044190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폰페이지자동접속서비스 제공방법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200700730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56651B1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998494B1 (ko) 피씨링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50700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 발신 장치 및 방법
KR20020028436A (ko) 단문전송을 이용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능 제한 방법
KR100623288B1 (ko)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08419A (ko)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JP2007206831A (ja) 送受信メールのグループ処理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KR20070037160A (ko) 무선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5121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50049143A (ko) 웹사이트를 통해 발송한 문자메시지 관리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