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288B1 -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288B1
KR100623288B1 KR1020050014010A KR20050014010A KR100623288B1 KR 100623288 B1 KR100623288 B1 KR 100623288B1 KR 1020050014010 A KR1020050014010 A KR 1020050014010A KR 20050014010 A KR20050014010 A KR 20050014010A KR 100623288 B1 KR100623288 B1 KR 10062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function setting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188A (ko
Inventor
서병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2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14Combined stapling and punch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상기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 메시지

Description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OF AUTOMATICALLY DELETING A MESSAGE AND SYSTEM THEREOF}
도 1 은 메시지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 는 메시지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삭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삭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삭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삭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러 폰이나 PCS와 같은 개인용 이동 통신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가 자동으로 삭제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개인에게 입수되는 정보의 양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음성과 문자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수신하는 정보의 양은 엄청나게 많다. 즉,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및 음성메시지 등을 비롯하여 증권 정보, 일기 예보, 일반뉴스, 문화 뉴스, 스포츠 중계 현황, 교통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받게 된다.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들은 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자동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며,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확인한 후에 적절한 대응을 하거나, 더 이상 필요없다고 생각되면 삭제하고, 나중에 필요한 정보라면 계속 저장하여 두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많은 정보들을 입수되는 그대로 적채하는 것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쓰레기 더미를 안고 있는 것과 다름이 없다. 따라서, 정보통신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그 기능상 수신된 정보들을 적절히 정리, 정돈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특히,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지금은 쓸모없게된 정보들은 자동적으로 삭제하여 사용자에게 유용성이 높은 정보들을 제공하고, 메모리의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는 기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시지 삭제 기능들은 일일히 수신자가 그 정보의 내용을 확인한 후 삭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자가 무심코 수일동안 수신된 메시지를 관리하지 않는다면, 매 시간마다 수신된 실시간 정보들이 계속 누적되어, 메모리에는 지나간 정보들 즉, 지금은 쓸모없는 정보들로 꽉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수신자는 쓸모없는 정보들을 "모두 삭제"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삭제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들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메모리를 정리하 거나, 일일히 확인하면서 삭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자가 전송된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서도, 발신자가 설정한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전송된 메시지라도 수신자가 확인했을 때, 보관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라면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삭제되지 않고서 받은 메시지함에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개선 및 확장은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상기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상 기 메시지 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상기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자동삭제 해제기능이 선택되어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가 해제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는 발신 단말기;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받아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받아 상기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메시지 내용을 삭제하는 수신 단말기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수신자에게 수신될 메시지를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자의 확인 종료시 또는 소정 시간 경과후 삭제되는 효과가 생기는 태그에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와 제 2 메시지가 구분되어 설명되지만 제 1 메시지와 제 2 메시지는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및 음성메시지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 PDA,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될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이하 SMSC)(70)는 하나의 독립적인 노드로서,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이하 HLR)(68)과 이동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66)와 연결되어 수신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통하여 이동 가입자들에게 단문메시지를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SMSC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무선 단말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고, SMC(Short Message Client: 미 도시 함)를 통해 다른 망과 연결된다.
MSC(66)는 이동무선 단말기(Mobile Station,이하 MS)(50)로부터 발신/수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MSC와 망 연동을 하고, HLR(68)로 가입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하며, 단문메시지가 SMSC(70)로부터 송신될 경우에 이를 기지국 제어장치(Base Station Controller,이하 BSC)(64)로 보내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이하 BTS)(62)에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서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메시지 수신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 한다. HRL(68)은 가입자 정보 처리장치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크게 망 접속장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운용관리장치 등의 4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BSC(64,72)는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BTS(62,74)은 MS(50) 및 SMS전송단말(40)과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망(60)을 통한 단문메시지 전송과정은 다음과 같다. MSC(66)는 SMS전송단말(40)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를 BTS(62), BSC(64)를 통해 수신한다. MSC(66)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SMSC(70)로 전송한다. SMSC(70)는 MSC(66)로부터 받은 단문메시지를 발신자 번호에 따라 내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그 후 수신자의 위치정보를 알기 위하여 HRL(68)로 경로 문의를 한다. HRL(68)로부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성공적으로 받으면 SMCS(70)는 단문메시지를 현재 MS(50)과 연결되어있는 MSC(66)로 보내려고 시도한다. MS(50)과 연결이 되지 않아서 단문메시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재 전송할 수 있다.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은 MSC(66)는 MS(50)과 연결되어 있는 BSC(72)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BSC(72)는 BTS(74)를 통해 MS(50)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무선 전화기에서, 제어부(10)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6)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EEPROM과 RAM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처리를 위한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6)의 이이피롬은 단문 메시지가 저장된다.
표시부(12)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이동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4)는 복수개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키 조작에 따라 제어부(1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RF부(18)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업컨버팅(Up-Converting)시켜 안테나(ANT)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무선 출력한다. 또한 RF부(18)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켜 베이스밴드부(20)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부(20)는 RF부(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부(20)는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RF부(18)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조(Channel Demodulat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동작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해당 데이터를 표시부(12)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음성처리부(22)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22)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압축/해제 동작 등을 수행하고 가청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2)는 마이크(MIC) 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 및 압축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채널 부호(Channel Coding) 및 채널 변조(Channel Modulating)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베이스밴드부(20), RF부(18) 및 안테나를 경유하여 기지국으로 무선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0)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부(12)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태그(Tag)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에 전송된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태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발신자 단말기에서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포함하는 정보를 태그 메시지로 작성하여 BSC(64)는 BTS(62)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메시지 및 태그 메시지의 전송을 요구하였는 지를 체크하여 메시지 및 태그 메시지의 전송을 요구하였다면, BTS(112)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부터 공급된 호 발신 요청 신호를 받은 BSC(64)는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호가 접속된다. 상기 작성된 메시지 및 태그 메시지를 받은 상기 MSC(66)는 이 작성된 메시지 및 태그 메시지를 상기 SMSC(117)에 제공하고, SMSC(117)는 이 작성된 메시지 및 태그 메지지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메시지 및 태그 메시지는 MSC(66), BSC(72), BTS(74), 및 수신 단말기의 순으로 단말기에 전송된다. 태그 메시지 저장과정과 태그 메시지에 특별한 효과를 부여하는 과정은 종래기술에 포함되며 일반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 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a 를 참조하면,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기 표시창에서 메시지 작성 메뉴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작성(S100) 및 표시창에서 자동삭제기능을 선택한다(S102). 이어, 발신자가 자동삭제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발신자 단말기 표시창에는 예를 들면 "이 메시지는 수신자 확인 후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라는 자동삭제 알림 메시지 표시가 나타난다(S104). 상기 표시가 사라진 후, 전송 키를 누르면(S106) 수신자 단말기에 메시지가 전송되고(S110), 추가로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 메시지를 작성한 후(S108), 수신 단말기로 작성된 문자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b 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도 3a 의 실시예와 단계(S204)까지는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단계(202)에서 선택된 자동삭제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자동삭제기능 해제 단계(S206)가 추가된다. 상기 해제 단계(S206)에서 자동삭제기능 해제를 묻는 메시지, 예를 들면 "자동삭제 문자를 해제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가 표시창에 나타나고, 발신자가 해제를 선택하여 전송을 한다면 일반 메시지처럼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삭제기능은 선택적으로,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발신자가 삭제되는 시간 설정을 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면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된 메시지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도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 를 참조하면, 상기 도 1 의 시스템을 통해서 수신 단말기에 자동삭제기능이 포함된 SMS 메시지가 도착 확인 표시된다(S300). 상기 단계에서 수신자가 다른 작동 등으로 메시지를 보지 못했을 경우 받은 메시지함으로 이동되고(S304), 수신자가 나중에 받은 메시지함을 선택하여(S306) 메시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수신자가 상기 메시지가 단말기에 도착한 것을 확인한다면, 수신 단말기 표시창에는, 예를 들면 "이 문자는 발신자의 설정에 의하여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라는 자동삭제 알림 메시지 표시가 나타난다(S308). 이어, 수신자가 전송된 SMS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S310), 발신자가 선택한 자동삭제기능에 따라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 후 발신자가 설정한 소정시간이 경과되고 나서 전송된 메시지가 삭제되거나(S312), 수신자가 메시지 확인 종료시에 삭제된다(S314).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삭제기능이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b 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도 3a 의 실시예와 단계(S310)까지는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 수신자가 보관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면, 자동삭제 해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S412)가 추가된다. 상기 단계에서 수신자가 자동삭제 해제모드를 선택한다면, 수신 단말기 표시창에는, 예를 들면 "자동삭제 문자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수신자가 "예" 를 하면 전송된 메시지는 자동 삭제되지 않고 보관된다.
당업자들은 상기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의 개조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개념을 제외하고는 상기 설명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은,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하고 삭제하지 않고서도 발신자가 선택한 자동삭제기능에 따라 메시지가 자동으로 삭제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7)

  1.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상기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태그(Tag)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 내용이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확인 종료시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 내용이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확인 종료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발신 단말기에 자동삭제 알림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2 메시지가 전송된 것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전송된 상기 제 2 메시지가 받은 메시지함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1)단계는,
    (c2)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받은 메시지함을 선택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3) 상기 수신 단말기에 자동삭제 알림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및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 PDA 및 P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1.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상기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자동삭제 해제기능이 선택되어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가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태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은 상기 메시지 내용이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확인 종료시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제 2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이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확인 종료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발신 단말기에 자동삭제 알림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2 메시지가 전송된 것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전송된 상기 제 2 메시지가 받은 메시지함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는,
    (c2)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받은 메시지함을 선택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8.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3) 상기 수신 단말기에 자동삭제기능 해제 알림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19.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및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20.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 PDA, 및 P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21.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신 단말기 정보,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받아 상기 수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내용 및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받아 상기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메시지 내용을 삭제하는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태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서버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 내용이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확인 종료시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25.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삭제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 내용이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확인 종료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26.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 PDA 및 P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27.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및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자동 삭제 시스템.
KR1020050014010A 2005-02-21 2005-02-21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2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010A KR100623288B1 (ko) 2005-02-21 2005-02-21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010A KR100623288B1 (ko) 2005-02-21 2005-02-21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88A KR20060093188A (ko) 2006-08-24
KR100623288B1 true KR100623288B1 (ko) 2006-09-14

Family

ID=3760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010A KR100623288B1 (ko) 2005-02-21 2005-02-21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2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045A (ja) 1999-07-29 2001-02-16 Nec Corp 選択的メッセージ通信方式
KR20030017595A (ko) * 2003-01-30 2003-03-03 박용한 문자 및 음성메시지 자동 삭제기능이 부여된 모바일단말기 및 그 메시지 자동 삭제방법
KR20030035024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20040089329A (ko)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045A (ja) 1999-07-29 2001-02-16 Nec Corp 選択的メッセージ通信方式
KR20030035024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20030017595A (ko) * 2003-01-30 2003-03-03 박용한 문자 및 음성메시지 자동 삭제기능이 부여된 모바일단말기 및 그 메시지 자동 삭제방법
KR20040089329A (ko)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88A (ko)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29B1 (ko) 긴급 경보 메시지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셀들에 위치되는이동 단말기들의 집합에 송신하는 방법, 및 관련 무선네트워크 콘트롤러
KR2001003376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온 라인 통지
US200600635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SMS message transmission and retaining received SMS message
KR100313464B1 (ko)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메시지 수신 시 전자메일 통보방법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US20100087165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KR19990023228A (ko)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KR100623288B1 (ko)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12618A (ko) 송/수신 메시지 동시 표시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시지 표시방법
KR1006724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방법
WO2004017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contacts list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20100133804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100754710B1 (ko) 사설 유.무선교환기의 표준 단문 메시지 등록/삭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2006003041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확인 신호처리 방법
KR1003644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20028436A (ko) 단문전송을 이용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능 제한 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100525523B1 (ko) 이동통신망의 음성 쪽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37365A (ko) 문자 메시지 예약 발송 방법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200400958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방법
KR20040009107A (ko)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