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62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621A
KR20020085621A KR1020010025220A KR20010025220A KR20020085621A KR 20020085621 A KR20020085621 A KR 20020085621A KR 1020010025220 A KR1020010025220 A KR 1020010025220A KR 20010025220 A KR20010025220 A KR 20010025220A KR 20020085621 A KR20020085621 A KR 20020085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621A/ko
Publication of KR2002008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621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는 수신측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상대 단말로부터 발신된 모든 메시지를 수신하므로, 수신을 원하지 않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이를 거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뿐 아니라, 발신자가 자신의 번호를 임의로 변경하여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익명의 상대로부터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그 내용 확인에 의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으면, 거부번호로 등록된 번호 이외의 모든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메시지 저장과 아울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메시지 수신 거부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허용번호로 등록된 번호의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메시지 저장과 아울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져,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기타 사유에 의해서 수신을 원하지 않는 사람으로부터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기 발생하거나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성 단문 메시지 공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SHORT MESSAGE RECEIV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정한 번호가 발신한 단문 메시지만을 수신하거나 지정한 번호가 발신한 단문 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란, 가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로서, 일반 음성 호 처리나 데이터 호 처리에 비해서 시스템 부하를 작게 요구하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Layer 2 Ack와 Layer 3 Ack를 지원하므로 수신 및 발신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는 편리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단문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는 전송 레이어 상에서 각종 요소(SMS_MSG_TYPE(메시지 타입), Teleservice Identification(멜로디, 이미지, 텍스트 등 메시지 종류), Broadcast Category(방송 타입일 때 뉴스, 스포츠 등의 종류), Originating/Destination Address(발신자 및 수신자의 실제주소), Transport Layer Bearer Reply Option(응답을 받을것인지 받지않을것인지에 대한 선택), Cause Code(응답을 받을 경우 성공 및 에러시의 코드), Bearer Data(텔레서비스 종류에 따른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Bearer Data는 Message ID(메시지 구분자), Time Stamp(발신 시간),Priority Indicator(우선순위 표시자), Language Indicator(언어 표시자), Reply Option(전송이 되거나 받을 경우의 응답에 대한 선택), Callback(회신 번호), Session, Response Type(세션에 따른 응답 타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발신자가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시스템에서는 메시지를 먼저 저장하고 발신자에게 응답신호(ACK)를 주어서 전송이 완료됨을 알려준다.
그 후, 시스템이 착신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메시지 전송 후, 착신 단말에서 응답신호(ACK)가 오지 않으면 재전송을 하게 되고, 착신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전원을 켜거나 서비스 지역에 들어올 때 전송을 시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스템상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메시지가 있으면 이를 받아서 처리하며, 특히 이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일 경우에는 데이터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왔음을 알린다.
그러나, 단문 메시지는 수신측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상대 단말로부터 발신된 모든 메시지를 수신하므로, 수신을 원하지 않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이를 거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뿐 아니라, 발신자가 자신의 번호를 임의로 변경하여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익명의 상대로부터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그 내용 확인에 의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번호의 단말기에서 발신한 단문 메시지만을 수신하거나, 지정한 번호의 단말기에서 발신한 단문 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문 메시지 거부/허용 번호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단문 메시지 거부/허용 번호로 등록된 목록의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문 메시지 수신 거부 및 허용 절차를 보인 순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 거부/허용 상태 설정단계와; 수신 거부/허용 번호 등록 단계와; 단문 메시지 수신시 그 발신 번호를 상기 등록된 수신 거부/허용 번호와 비교하여 수신 거부/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으면, 거부번호로 등록된 번호 이외의 모든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메시지 저장과 아울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메시지 수신 거부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허용번호로 등록된 번호의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메시지 저장과 아울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시지 수신허용 또는 수신거부 기능을 설정하여 수신허용 상태이면, 거절 등록된 번호가 발신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을 거부하고 그 이외의 번호에 대해서는 수신을 허용하며, 수신거부 상태이면 허용된 번호가 발신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을 허용하고, 그 이외의 번호에 대해서는 수신을 거부한다.
또한, 수신허용 상태에서 거절등록된 번호가 아닌 번호의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그 번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거절 등록번호로 등록하여 더 이상의 메시지 수신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신거부 상태에서는 모든 메시지를 수신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거부 번호에 해당하지 않으면, 별도의 수신거부 메시지함에 자동적으로 메시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왔음을 알리지 않을 뿐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유로운 시간에 수신거부 메시지함을 살펴보고, 필요한 메시지가 있으면 그 단말번호에 대해서 수신 허용으로 변경하거나 해당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함으로 옮겨서 보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신거부 메시지함은 원형큐(Circular Queue) 알고리즘에 의해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새로운 메시지 수신시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없으면 가장 오래된 메시지부터 삭제하고, 가장 최근의 메시지가 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저장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일정시간 동안 보관 후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 거부/허용 상태 설정단계와;수신 거부/허용 번호 등록 단계와; 단문 메시지 수신시 그 발신 번호에 의해 수신 거부/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수신 거부/허용 상태 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에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 허용상태나 거부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수신 허용상태로 설정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모든 단문 메시지는 수신이 허용되며, 수신 거부 등록된 번호에 대해서만 수신을 하지 않는다.
다음, 수신 거부상태로 설정을 하게 되면 모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지만, 수신 허용된 번호에 대해서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단말기에 설정된 방법에 의해서 벨소리나 진동 또는 램프에 의해 표시함과 아울러, 화면에 그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고 수신 허용된 번호가 아닌 메시지에 대해서는 수신 거부함에 저장할 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지는 않는다.
다음, 수신 거부/허용 번호 등록단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수신 허용 번호 목록을 입력 또는 편집, 삭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 입력시 저장하는 단계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수신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을 허용할 경우는 '예'를 선택하고, 메시지 수신을 거부할 경우에는 '아니오'를 선택하여, 전화 번호와 함께 그 수신상태가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수신 거부/허용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전화번호부와 함께 관리가 가능하고 그 등록 정보는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수신 허용 목록과 메시지 수신 거부 목록을 따로 검색할 수 있다.
다음, 수신 거부/허용 판단 단계에서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단문 메시지의 수신 거부/허용 상태에 따라서 기 등록된 수신 거부/허용 전화번호 목록으로부터 수신 허용/거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메시지 저장 및 수신 통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
참고로, 단문 메시지의 구성중에서 발신자의 실제 주소(Originating Address)와 회신 번호(Callback)가 있는데, 사용자가 회신 번호(Callback)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아무런 정보없이 발신할 수 있지만, 발신자의 실제 주소(Originating Address)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번호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에 접근하여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 거부/허용 판단 단계에서는 회신 번호(Callback) 뿐 아니라, 발신자의 실제 주소(Originating Address)까지 비교하므로 회신 번호(Callback) 조작이나 변경으로 인한 익명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단문 메시지 수신 거부 및 허용 절차를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일단,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으면(S11), 거부번호로 등록된 번호인지를 판단한다(S13).
즉, 메시지 수신 허용 상태에서는 거부번호로 등록된 번호 이외의 모든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함에 저장하고(S15),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벨소리 등 설정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18).
그러나,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메시지 수신 거부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S12), 허용번호로 등록된 번호인지를 판단한다(S14).
즉, 메시지 수신 거부 상태에서는 허용번호로 등록된 번호의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함에 저장하고(S17),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벨소리 등 설정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19).
한편, 상기 수신 허용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거부번호로 등록된 단말기의 메시지일 경우나(S13), 수신 거부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허용번호 이외 단말기의 메시지일 경우는(S14), 수신 거부함에 저장하고(S16) 아무런 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사용자에게 메시지 확인을 위한 수고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신함이나 수신 거부함 등은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필요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에 의해 새로운 수신함의 생성 및 편집과 삭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은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기타 사유에 의해서 수신을 원하지 않는 사람으로부터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기 발생하거나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성 단문 메시지 공해로부터 벗어날 수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 거부/허용 상태 설정단계와; 수신 거부/허용 번호 등록 단계와; 단문 메시지 수신시 그 발신 번호를 상기 등록된 수신 거부/허용 번호와 비교하여 수신 거부/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문 메시지 수신 허용상태로 설정할 경우, 모든 단문 메시지는 수신이 허용되며 수신 거부 등록된 번호에 대해서만 수신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문 메시지 수신 거부상태로 설정할 경우, 모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지만 수신 허용된 번호에 대해서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보하고, 수신 허용된 번호가 아닌 메시지에 대해서는 임의의 수신함에 저장할 뿐 이를 통보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수신 거부/허용 번호의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와 연동하여, 입력 또는 편집, 삭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수신 거부/허용 판단 단계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단문 메시지의 수신 거부/허용 상태에 따라서, 기 등록된 수신 거부/허용 전화번호 목록으로부터 수신 허용/거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메시지 저장 및 수신 통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6.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수신 허용이 설정되어 있으면, 거부번호로 등록된 번호 이외의 모든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메시지 저장과 아울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메시지 수신 거부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허용번호로 등록된 번호의 메시지에 대해서만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메시지 저장과 아울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수신 허용 상태일 때 수신된 메시지가 거부번호로등록된 단말기의 메시지일 경우나, 수신 거부 상태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가 허용번호 이외 단말기의 메시지일 경우는, 임의의 수신함에 저장하되 아무런 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1020010025220A 2001-05-09 2001-05-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KR20020085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220A KR20020085621A (ko) 2001-05-09 2001-05-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220A KR20020085621A (ko) 2001-05-09 2001-05-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21A true KR20020085621A (ko) 2002-11-16

Family

ID=2770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220A KR20020085621A (ko) 2001-05-09 2001-05-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621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614A (ko) * 2001-12-21 2003-06-27 디지토닷컴 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에서의 지정번호 접속 차단 방법
KR20040040548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스팸 sms 필터링방법
KR100438352B1 (ko) * 2001-10-04 2004-07-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455163B1 (ko) * 2002-10-0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100472298B1 (ko) * 2002-08-30 2005-03-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50088681A (ko) * 2004-03-02 2005-09-07 에밀레정보통신 주식회사 문자메세지서비스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문자메세지송수신 방식 및 시스템
KR100606238B1 (ko) * 2003-10-22 2006-07-28 (주)와이즈그램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636307B1 (ko) * 2002-11-05 2006-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메시지의 선택적 허용 방법
KR100651841B1 (ko) * 2005-07-1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차단 방법
KR100656651B1 (ko) * 2002-12-30 2006-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900048B1 (ko) * 2002-12-30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방법
KR100969874B1 (ko) * 2002-11-18 201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제한전송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300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 제어방법
KR20000042944A (ko) * 1998-12-28 2000-07-15 윤종용 휴대폰에서 수신제한방법
KR20000056565A (ko) * 1999-02-23 2000-09-15 이병선 휴대폰의 통화보류 및 축약메시지 전달방법
KR20010056006A (ko) * 1999-12-14 2001-07-04 윤종용 단말기로 수신되는 호를 제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300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 제어방법
KR20000042944A (ko) * 1998-12-28 2000-07-15 윤종용 휴대폰에서 수신제한방법
KR20000056565A (ko) * 1999-02-23 2000-09-15 이병선 휴대폰의 통화보류 및 축약메시지 전달방법
KR20010056006A (ko) * 1999-12-14 2001-07-04 윤종용 단말기로 수신되는 호를 제한하는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52B1 (ko) * 2001-10-04 2004-07-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2614A (ko) * 2001-12-21 2003-06-27 디지토닷컴 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에서의 지정번호 접속 차단 방법
KR100472298B1 (ko) * 2002-08-30 2005-03-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455163B1 (ko) * 2002-10-0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100636307B1 (ko) * 2002-11-05 2006-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메시지의 선택적 허용 방법
KR20040040548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스팸 sms 필터링방법
KR100969874B1 (ko) * 2002-11-18 201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제한전송방법
KR100656651B1 (ko) * 2002-12-30 2006-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900048B1 (ko) * 2002-12-30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방법
KR100606238B1 (ko) * 2003-10-22 2006-07-28 (주)와이즈그램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88681A (ko) * 2004-03-02 2005-09-07 에밀레정보통신 주식회사 문자메세지서비스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문자메세지송수신 방식 및 시스템
KR100651841B1 (ko) * 2005-07-1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차단 방법
US7787606B2 (en) 2005-07-19 2010-08-3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ption block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074B2 (en) Selective message service to primary and secondary mobile stations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255414B1 (en) Automatic SMS handling
US20050020289A1 (en) Method for blocking spam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53341A (ko)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성메일 메시지 송신
WO2006024952A1 (en) Method of obtaining caller information in a mobil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e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JP2012530984A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
KR100585556B1 (ko) 스팸전화 자동 식별 및 차단 방법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KR19990023228A (ko)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KR20030039864A (ko) Sms mo 방식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082466A (ko) 개선된 스팸 데이터 수신 거부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 제한시스템 및 방법
US7353015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erasing a notification message
GB2408425A (en) Transfer of data messages during a telephone call
KR20020008970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1004551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US7177629B1 (en) Annuncia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annunciating message termination at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37377A (ko) 스팸 단문메시지 차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전화기
KR100411564B1 (ko) 단문메시지 보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3302B1 (ko) 유무선 단말기에서 특정 콜메시지를 거부하는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8799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400958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방법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1

Effective date: 20090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35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1

Effective date: 200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