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477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477B1
KR100364477B1 KR1019990025100A KR19990025100A KR100364477B1 KR 100364477 B1 KR100364477 B1 KR 100364477B1 KR 1019990025100 A KR1019990025100 A KR 1019990025100A KR 19990025100 A KR19990025100 A KR 19990025100A KR 100364477 B1 KR100364477 B1 KR 10036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terminal
memo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443A (ko
Inventor
권성오
윤영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4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기에서 메모 메시지를 수신 및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이나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자 측과 메모 메시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 사용자가 기지국을 통해 접속된 정보제공 센터로 부터 메모 메시지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고, 로딩된 정보를 장기간 저장한 후 필요한 때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 상호간에도 메모 메시지를 전송시 상대방 단말기의 호출번호를 부가적으로 입력하면 메시지 센터에 의해 호출된 단말기로 메모 메시지가 전달되어,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보교환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A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of a memo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정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와 단말기 상호간이나 단말기와 정보제공 센터 상호간에, 전화번호 및 일정표 등의 메모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은 차량 및 휴대전화, 무선호출, 이동 공중전화 및 주파수 고용통신 등 다양하고, 선박 및 항공분야 뿐만 아니라 개인 통신분야까지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은 시간 및 주파수대의 제한된 통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원 접속(multiple access)방법을 사용하는데, 사용자가 통신자원을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FDMA)과 시간 분할 다원접속(TDMA) 및 코드 분할 다원접속(CDMA)으로 나누어 진다.
우리 나라의 디지털 이동통신의 경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확산 스펙트럼 통신방식으로 하나의 주파수가 코드를 통해 다수의 채널로 분할되므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향하는 순방향 링크의 채널은 파일럿 패널, 동기채널, 호출채널 및 통화채널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호출채널은 메시지를 통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문자정보를 전달하는데, 이때 중요한 메시지는 서비스 영역내 모든 단말기에 대한 부가정보 및 단말기 호출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화채널은 호출채널에 의해 호출된 단말기와 시스템을 연결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해준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가정보 전송서비스는 현재 호출채널과 통화채널의 양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이 이루어 지는데, 호출채널은 단문 이외에 호출 및 기타 부가정보를 함께 전송하게 되어 전송 가능한 단문의 길이가 제한되고, 호출채널상으로 전송이 불가능한 길이의 긴 단문인 경우 통화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즉, 단문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에서 단말기들에게 뉴스정보와 공지사항 등을 전송할 경우, 순차적으로 각각의 단말기와 통화채널을 통해 통화로를 개설하여 단문 전송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문자정보 서비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에서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었고, 단말기 사용자가 자기의 단말기에 있는 전화번호와 일정표 등의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할 수 없었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도 상호 메시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기종이나 제조회사에 무관하게,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전송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며, 단말기 사용자 상호간에서 메시지 정보의 전송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송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송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 메시지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메시지가 수신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메시지가 송신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중 통신망 200 : 이동통신 통신망
300 : 메시지 센터 350 : 응용서비스 센터
400 : 기지국 500 : 제 1단말기
550 : 제 2단말기 502 : 송수신부
504 : 음성신호 처리부 506 : 마이크
508 : 스피커 510 : 디지털 신호처fl부
512 : 중앙제어부 514 : 데이터 저장부
516 : 키입력부 518 : 표시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중 메모 메시지의 수신방법은 커버리지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로 부가정보에 따른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상태의 알림 및 임시저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에서 임시저장된 메시지의 확인을 위한 조회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시지 정보가 메모 메시지정보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순서적으로 출력해주는 단계(c);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시지 정보가 일반 문자정보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d); 및 상기 (c)단계에서 출력이 완료되어 조회동작이 중단됨에 따라 메모 메시지정보의 저장 및 삭제를 선택하는 단계(e)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중 메모 메시지의 송신방법은 메모 메시지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f); 상기 (f)단계에서 송신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키입력부(516)를 통해 정보의 종류와 수신받을 단말기 번호 및 메모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g); 상기 (g)단계에서 설정값 입력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상대방 단말기 측으로 메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e)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본 발명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T-2, 셀룰라 및 개인휴대통신(PCS) 등의 디지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호간에 메모 메시지의 전송 및 저장이 가능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도 메모 메시지의 송수신 및 저장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 메시지의 송수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전화기 사용자는 공중통신망(10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통신접속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상호간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500) 사용자가 기지국(400)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접속되어 문자정보를 요구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메시지 센터(300)를 통해 응용서비스 센터(35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자정보를 선택하여 지정된 단말기(5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응용서비스 센터(350)에서 메시지 센터(300)로 전송된 메시지는 기지국(400)의 통화 유니트(450)를 통해 해당 제 1단말기(500)로 송신된다. 이때, 제 1단말기(500)는 해당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514)에 임시 저장한다. 그러므로 제 1단말기(500)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켜 확인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단말기(5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응용서비스 센터(350)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이때 저장된 자신의 메모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단말기인 제 2단말기(55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모 메시지의 전송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기 위해 사용자는 제 1단말기(500)를 통해 특정의 번호를 선택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요구신호를 메시지 센터(300)에 전송하고, 메시지 센터(300)는 응용서비스 센터(35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문자정보를 선택한 후 이동통신 시스템(200)을 통해 기지국(4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모 메시지가 기지국(400)의 통화유니트(450)를 통해 제 1단말기(500) 측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제 1단말기(500)를 통해 제 2단말기(550)로 메모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 2단말기(550)의 호출번호를 부가적으로 입력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00)을 통해 메시지 센터(300)로 전송된 메시지 정보는 최종적으로 제 2단말기(550)로 수신된다. 그리고 제 2단말기(550)는 내부적인 동작에 의해 수신된 메모 메시지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200)에는 음성부가장치(220)가 설치되어, 정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공중 전화망과 연결된 전화기를 통해 조회할 때 서비스 안내 또는 저장된 내용을 음성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과 메모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502)와 음성신호 처리부(504)와 디지털신호처리부(510)와 중앙제어부(512)와 키입력부(516)와 데이터 저장부(514) 및 표시부(51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성신호 처리부(504)의 후단에는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주는 마이크(506)와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를 바꿔주는 스피커 (508)로 구성된다.
또한 송수신부(512)는 안테나로 부터 수시되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처리부(504)와 디지털신호 처리부(510)로 각각 인가한다.
그리고 음성신호 처리부(504)는 송수신부(506)에서 수신된 신호중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08)로 인가하고, 스피커(508)는 인가된 신호를 음성대역으로 변환 증폭한 후 외부로 출력하므로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마이크(5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신호 처리부(504)로 인가된다.
그리고 디지털신호 처리부(510)는 송수신부(502)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의 호처리에 관한 시스템 신호 및 단말기 상호간의 신호를 처리하여, 중앙제어부(512)에 인가한다. 또한 중앙제어부(512)는 단말기의 전체 전자소자를 제어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200)과의 정보 해독 및 수신되는 메모 메시지의 저장과 송신동작을 담당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514)는 중앙제어부(512)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단말기 정보와 제어정보 및 메모 메시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표시부(518)는 중앙 제어부(5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514)의 정보를 축출하여 메모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5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400)의 통화 유니트(450)를 통해 송신된 음성 신호와 문자정보는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의 송수신부(502)로 인가된다. 이때 송수신부(502)로 인가된 음성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504)로 인가되어 스피커(508)를 통해 출력되고, 음성신호를 제외한 일반 문자정보와 메모 메시지정보는 디지털신호 처리부(510)로 인가된다.
그리고 디지털신호 처리부(510)로 인가된 일반 문자정보와 메모 메시지정보는 중앙제어부(512)에 제어신호에 따라 구별되어 데이터 저장부(514)에 임시 저장되고, 표시부(518)에 각각의 문자정보가 수신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준다. 이때, 메모 메시지정보인 경우 그 메모 메시지의 종류와 내용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고, 단말기 사용자가 키입력부(516)의 조회키를 사용하여 메모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삭제하거나 데이터 저장부(514)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제어부(512)가 문자정보를 일반 문자정보와 메모 메시지정보로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정보의 포맷의 차이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부가정보의 파라메터는 SMS(Short Message Service)의 종류, 텔리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 착신주소(Destina tion), 전송메시지 (Beare Data)로 이루어 진다. 이때, 중앙제어부(512)는 텔레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일반 문자정보와 구별하고(예를 들어 텔레서비스 식별자가 4096, 4097, 4098 등일때는 일반 문자정보임), 착신주소는 서비스 받을 단말기의 호출번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SMS Subparameter(부가정보 부파라미터)내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전송메시지(Beare Data)는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와 사용자 데이터와 메시지센터 시간(MC Timestamp) 및 호출번호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부 파라메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정보 메시지에서 형식부와 일련번호 및 메시지 데이터부로 나누어 진다. 또한 형식부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텔레서비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일정관리, 메모, 전화번호 등의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으나, 텔레서비스 식별자의 메시지 종류중 세분화된 형식은 형식부에서 나타낸다. 즉, 전화번호의 경우 사무실, 집, 핸드폰 등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메시지 테이타부는 저장될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낸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메모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500)가 기지국(400)과 통신 접속된 대기상태(S10)는 문자정보 서비스수신단계(S1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문자정보 서비스수신단계(S12)에서 외부로부터 문자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 및 임시저장단계(S14)로 진행하며, 문자정보가 수시되지 않으면 계속 대기상태(S10)를 유지한다.
그리고 알림 및 임시저장단계(S14)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신호처리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부(518)를 통해 디스플레이 시켜주고, 데이터저장부(514)에임시저장하며, 정보조회 판단단계(S16)으로 진행한다.
또한 정보조회 판단단계(S16)에서 판단한 결과 임시저장된 정보가 조회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메모메시지정보 판단단계(S18)로 진행한다. 그리고 메모메시지정보판단단계(S18)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정보가 메모 메시지정보로 판단되면 메모메시지정보 표시단계(S20)으로 진행한다.
또한 메모메시지정보 판단단계(S18)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정보가 메모 메시지정보가 아니라 일반 문자정보로 판단되면 일반문자정보 표시단계(S19)로 진행한다. 그리고 일반문자정보 표시단계(S19)에서 수신된 일반 문자정보를 표시부 (518)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고 대기상태(S10)로 진행한다.
한편, 메모메시지정보 표시단계(S20)에서는 임시저장된 메모 메시지정보를 표시부(518)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주고 메모 메시지정보의 종류와 내용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종류 및 내용 표시단계(S22)로 진행한다.
그리고 종류 및 내용 표시단계(S22)에서 표시부(518)를 통해 메모 메시지정보의 종류와 내용이 출력된 후, 조회중단 판단단계(S24)로 진행한다. 또한 조회중단 판단단계(S24)에서 사용자가 조회를 중단한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여부 판단단계(S26)로 진행하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조회를 계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본 루프를 메모메시지정보 표시단계(S20)로 복귀하여 상기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저장여부 판단단계(S26)에서 사용자가 메모 메시지정보를 저장을 선택하면, 메모메시지정보 저장단계(S30)로 진행하여 메모 메시지정보를 데이터저장부(514)에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 메시지정보가 표시된 후 삭제모드가 설정되면 메모메시지정보 삭제단계(S28)에서 데이터 저장부(514)에 임시저장된 메모 메시지정보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메모메시지정보 저장단계(S30)와 메모메시지정보 삭제단계(S28)를 통해 메모 메시지정보가 처리된 후에는 대기상태(10)로 복귀하여 상기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다음은 이동통신 단말기(500)를 사용하여 메모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시스템(220)측에서 메모 메시지의 전송을 요구하면, 단말기 (500) 사용자는 키입력부(516)를 통해 텔레서비스 식별자와 메모 메시지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시스템(22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단말기(500) 사용자는 기지국(400)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접속된 상태에서, 키입력부(516)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514)에 저장된 메시지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정보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메시지 센터(30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 전송된 메모 메시지정보를 응용서비스 센터(35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500) 사용자가 응용서비스 센터(350)에 메모 메시지정보를 업로드 하여 저장하게되면, 필요에 따라 다시 응용서비스 센터(350)로 부터 다운로드 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상호간에 메모 메시지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단말기(500)에서 전송된 메모 메시지정보가 이동통신 시스템 (220)측으로 전송된 후 메시지 센터(300)에서 전송된 메시지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55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메모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상태(S30)에 있는 단말기는 전송요구 판단단계(S32)로 진행한다. 그리고 전송요구 판단단계(S32)에서 이동통신 시스템(220)으로 부터 메모 메시지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하여, 메모 메시지정보의 전송을 요구함으로 판단되면 텔레서비스식별자 설정단계(S34)로 진행하고, 텔레서비스식별자 설정단계(S34)에서 일반 문자정보와 메모 메시지정보의 구별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텔레스서비스식별자가 설정되면, 송신주소 설정단계(36)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전송을 요구하는 단말기(550)나 이동통신 시스템(220)의 주소가 키입력부(516)를 통해 입력된다.
그리고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주소가 설정되면 메모메시지 설정단계(S38)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전송할 메시지를 선택한 후 메시지의 형식에 따라 형식부, 일련번호부, 메시지데이터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텔레서비스 식별자와 송신주소 및 전송할 메모 메시지가 설정되면, 메모메시지 전송단계(S40)에서 이동통신 시스템(22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정보저장 센터 사이에 전화번호나 일정표 등의 메모 메시지정보의 자유로운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기능이 확대된다.
그리고 제조회사나 업체에 관계없이 단말기 사용자 상호간에도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센터를 통해 메모 메시지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단말기 사용자 상호간에 정보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메모 메시지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에서 송신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키입력부(516)를 통해 정보의 종류와 수신받을 단말기 번호 및 메모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설정값 입력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메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c);
    메시지 센터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된 메모 메시지를 응용서비스 센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d);
    커버리지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로 부가정보에 따른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상태의 알림 및 임시저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e);
    상기 (e)단계에서 임시저장된 메시지의 확인을 위한 조회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f);
    상기 (f)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시지 정보가 메모 메시지정보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순서적으로 출력해주는 단계(g);
    상기 (f)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시지 정보가 일반 문자정보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h); 및
    상기 (g)단계에서 출력이 완료되어 조회동작이 중단됨에 따라 메모 메시지정보의 저장 및 삭제를 선택하는 단계(i)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메시지의 종류 판단은,
    부가정보의 종류, 텔리서비스 식별자, 착신주조 및 전송메시지로 이루어진 부가정보 파라미터 중에서,
    상기 텔리서비스 식별자에 의해 문자정보의 메시지의 종류가 식별되는 메시지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메시지는,
    부가정보 부파라미터에서 메시지 식별자, 사용자 데이터, 메시지 센터시간 및 호출번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텔레서비스 식별자에 의한 메시지의 종류중에서 세분된 형식을 나타내는 형식부, 일련번호부 및 데이터 저장부(514)에 저장될 메시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방법.
  5. 메모 메시지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에서 송신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키입력부(516)를 통해 정보의 종류와 수신받을 단말기 번호 및 메모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설정값 입력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메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c); 및
    메시지 센터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된 메모 메시지를 응용서비스 센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
KR1019990025100A 1999-06-29 1999-06-2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KR10036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100A KR100364477B1 (ko) 1999-06-29 1999-06-2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100A KR100364477B1 (ko) 1999-06-29 1999-06-2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443A KR20010004443A (ko) 2001-01-15
KR100364477B1 true KR100364477B1 (ko) 2002-12-16

Family

ID=1959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100A KR100364477B1 (ko) 1999-06-29 1999-06-2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78B1 (ko) * 1999-07-14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정보 자동 전송 방법
KR100986576B1 (ko) * 2003-03-06 201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 등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015B1 (ko) * 1996-03-01 2000-02-01 가시오 가즈오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정보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015B1 (ko) * 1996-03-01 2000-02-01 가시오 가즈오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정보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443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641B1 (ko) 콜 개시에 대한 무선 요구를 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0186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US6249808B1 (en) Wireless delivery of message using combination of text and voice
US200501012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music
KR20020060489A (ko) 이동 전화기에서 이미지 파일 송신 및 수신방법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10031223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복합 정보수신 및 전송방법
KR1003644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US20030045310A1 (en) Status enqui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141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52716B1 (ko)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KR100651937B1 (ko) 두 개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637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동보전송을 위한전화번호 입력 방법
KR20020069879A (ko) 휴대폰을 이용한 이메일 전송방법
JP2002290604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2118653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管理する自動的方法
KR100623288B1 (ko)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9168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신청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시스템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