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924B1 -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924B1
KR100787924B1 KR1020040111865A KR20040111865A KR100787924B1 KR 100787924 B1 KR100787924 B1 KR 100787924B1 KR 1020040111865 A KR1020040111865 A KR 1020040111865A KR 20040111865 A KR20040111865 A KR 20040111865A KR 100787924 B1 KR100787924 B1 KR 10078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train
image data
mobil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3039A (en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봉택 filed Critical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24B1/en
Publication of KR2006007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열차의 각 객차에 설치된 객차감시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역사 내의 단말기를 통하여 모니터링하며, 역사 내의 역사감시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영상데이터를 열차 내의 단말기를 통하여 모니터링한다. 이로써, 돌발적으로 발생된 역사 또는 열차 내의 상황변동에 열차 또는 역사의 중앙 관리실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is disclosed.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acquired by a carriage monitoring camera installed in each carriage of a train through a terminal in history, and image data obtained by a history monitoring camera in history. Is monitored through the terminal in the train. This allows the central management office of a train or history to respond immediately to a history or situational change in the train that occurred unexpectedly.

열차, 모니터링, 역사, 카메라, 영상데이터, 음향데이터Train, monitoring, history, camera, image data, sound data

Description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열차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rain monitoring method by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of FIG. 1, and

도 3은 도 1의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열차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train monitoring method using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of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열차 110 : 객차감시 카메라100: train 110: carriage monitoring camera

120 : 디스플레이 130 : 스피커120: display 130: speaker

140 : 객차 리모트 서버 150 : 모바일 연동부140: carriage remote server 150: mobile linkage

160 : 모바일 유닛 170 : 모바일 단말기160: mobile unit 170: mobile terminal

200 : 역사 210 : 액세스 포인트200: History 210: Access Point

220 : 역사 단말기 230 : 역사감시 카메라220: history terminal 230: history monitoring camera

240 : 역사 리모트 서버 250 : 역사 스피커240: History Remote Server 250: History Speaker

260 : 역사 디스플레이 270 : 역사 연동부260: history display 270: history linkage

280 : 역사 유닛 300 : 중앙통제 단말기280: history unit 300: central control terminal

본 발명은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의 각 객차의 상황을 역사 관리실에서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의 상황을 열차에서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train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of the situation of each passenger car of a train in the history management room, as well as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train in real time. Relates to a mobile monitoring system.

최근, 시내 교통이 번잡해지고 연료비가 증가됨에 따라 지하철이나 전철, 또는 기차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증대됨에 따라 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 철도청 등에서는 열차를 증편하고, 열차와 열차 사이의 배차 시간간격을 좁혀 이용자들이 탑승을 대기하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열차의 각 객차 및 역사에 소방시설을 갖추어 비상시의 화재에 대비하고 있으며, 중앙 관리실에서 각각의 열차를 통제하여 열차의 속도, 대기시간 등을 조절하고 있다.Recently, as traffic in the city is crowded and fuel costs increase, more and more people use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trains or trains. As the number of user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creases, subways, urban railways, railways, etc., increase trains, reduce the time intervals between trains and trains, and reduce the time for users to wait for boarding. Firefighting facilities are equipped in each passenger car and the history to prepare for an emergency fire, and the central management office controls each train to control the speed and waiting time of the train.

그런데, 현재의 중앙 관리실에서 각각의 열차를 통제하는 방법은, 열차와 열차 사이의 배차 간격과 거리, 각 열차의 속도, 각 열차의 현재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방식이므로, 각 열차의 갑작스런 내부 상황의 변화에는 중앙 관리실에서 즉각적인 조치를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ontrolling each train in the current central management offi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stance and distance between trains and the trains, the speed of each train, the current position of each train, and so on. The change in the situation i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central office to take immediate action.

또한, 현재의 중앙 관리실에서 각각의 열차를 통제하는 일방적인 방식은, 역사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등 비상시의 경우에는 각각의 열차로서는 역사 내의 상 황을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없어 화재 등의 손실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ilateral method of controlling each train in the current central management office is that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history, each train cannot immediately determine the situation in the history so that the loss of fire, etc. is further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expan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각의 열차 내부에서 발생된 갑작스런 상황변화에도 중앙 관리실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역사 내에 발생한 비상시의 화재 등의 경우에 각각의 열차가 즉각적으로 조처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entral management office to take immediate action in the event of a sudden change in the situation inside each train, each trai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fire in the history The aim is to provide 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that allows the operator to take immediate a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열차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열차의 각 객차에 설치된 객차감시 카메라로부터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객차 리모트 서버;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역사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동기시키는 모바일 연동부; 상기 모바일 연동부에 의해 동기된 신호로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모바일 유닛; 및 상기 역사 내의 관리실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역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train, the carriage remote server for receiving and managing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from 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installed in each carriage of the train; A mobile linkage unit for synchronizing a signal to transmit the video data and / or the audio data managed by the passenger remote server to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the station; A mobile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 or the sound data to the access point as a signal synchronized by the mobile linkage unit; And a history terminal which is installed in the management room in the history and monitors the image data and / or the sound data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여기서,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는 상기 각 객차에 방송되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관리하며, 상기 모바일 연동부는 방송되는 상기 광고방송 및/또는 상기 안내방송의 신호를 동기시키고,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모바일 연동부에 의해 신호가 동기된 상기 광고방송 및/또는 상기 안내방송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arriage remote server manages the commercials and / or announcements broadcast in each of the cars, the mobile linkage unit synchronizes the signals of the broadcast and / or announcements broadcast, the mobile unit is the 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advertisement broadcast and / or the announcement broadcast synchronized with the signal to the access poi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사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광고방송 및/또는 상기 안내방송을 감시한다.Advantageously, said history terminal monitors said commercial and / or said announcement broadcast managed by said carriage remote server via said access poi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역사에 설치된 역사감시 카메라로부터 상기 역사의 열차진입상황 및/또는 상기 역사의 플랫폼상황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역사 리모트 서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역사 단말기는 상기 역사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history remote server for receiving and managing image data on the train entry situation and / or the platform situation of the history from the history monitoring camera installed in the history. In this case, the history terminal preferably monitors the video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열차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객차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mobile terminal installed in the train and monitoring the image data and / or the acoustic data received from 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역사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동기시키는 역사 연동부, 및 상기 역사 연동부에 의해 동기된 신호로 상기 역사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역사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역사 유닛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for synchronizing a signal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to the access point, and th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And a history unit for transmitting the video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to the access point. In this case, the mobile unit preferably receiv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by the history unit to the access point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Here, the mobile un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relessly with the access point, o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사 단말기는 모니터링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중앙통제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통제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역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된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Preferably, the history terminal transmits the monitored image data and / or the sound data to a central control terminal, and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selec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the history and received the image data and / or Monitor the sound data.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앙 관리실은 각각의 열차 내부에서 발생된 갑작스런 상황변화에도 중앙 관리실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열차도 역사 내에 발생한 비상시의 화재 등의 경우에 즉각적으로 조처할 수 있도록 한다.Thus,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allows the central management office to take immediate action even in the event of a sudden change in the interior of each train, each train also in case of emergency fire, etc. occurred in the history You should be able to act immedi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열차(100)의 각 객차 내에 객차감시 카메라(110), 디스플레이(120), 및 스피커(130)를 구비한다. 또한,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열차(100) 내에 객차 리모트 서버(140), 모바일 연동부(150), 모바일 유닛(160), 및 모바일 단말기(170)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a display 120, and a speaker 130 in each carriage of the train 100. In addition,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passenger car remote server 140, a mobile linkage unit 150, a mobile unit 160, and a mobile terminal 170 in the train 100.

또한,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역사(200) 내에 액세스 포인트(210), 역사 단말기(220), 역사감시 카메라(230), 역사 리모트 서버(240), 역사 스피커(250), 역사 디스플레이(260), 역사 연동부(270), 및 역사 유닛(280)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in the history 200, access point 210, history terminal 220, history monitoring camera 230, history remote server 240, history speaker 250, history display 260 , History interlocking unit 270, and history unit 280.

객차감시 카메라(110)는 열차(100)의 각 객차 내의 상황을 촬영 및/또는 음집하며, 촬영 및/또는 음집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객차 리모트 서버(140)로 전송한다.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captures and / or collects the situation in each carriage of the train 100, and transmits the captured and / or collected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to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디스플레이(120) 및 스피커(130)는 각 객차에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한다.The display 120 and the speaker 130 broadcast and / or guide broadcasts to each vehicle.

객차 리모트 서버(140)는 객차감시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녹화 및/또는 녹음하고, 기 저장된 기준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의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전송한 객차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녹화 및/또는 녹음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에 기초하여 열차의 이력을 점검하는 등의 관리를 한다.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records and / or records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and compares the current image data and / or with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Alternative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assenger vehicle transmitting the acoustic data, and management such as checking the history of the train based on the recorded and / or recorded image data and / or acoustic data.

또한, 객차 리모트 서버(140)는 디스플레이(120) 및/또는 스피커(130)를 통해 방송하기 위한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에 대하여, 방송할 시간, 방송횟수 등을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manages the time to broadcast, the number of broadcasts, and the like for the commercial and / or the guide broadcast for broadcasting through the display 120 and / or the speaker 130.

모바일 연동부(150)는 객차 리모트 서버(1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역사(200)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동기시킨다. 또한, 모바일 연동부(150)는 디스플레이(120) 및/또는 스피커(130)로 방송되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동기시킨다. The mobile interworking unit 150 synchronizes a signal to transmit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managed by the passenger remote server 140 to the access point 210 installed in the history 200. In addition, the mobile linker 150 synchronizes a signal to transmit the commercial and / or the guide broadcast to the access point 210 that are broadcasted to the display 120 and / or the speaker 130.

이때, 모바일 연동부(150)에 의한 동기는 역사(200)의 TCMS(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 차량통제 모니터링 시스템), ATC(Automatic Train Control : 자동 차량통제),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 열차 자동 운전장치) 등에 객차 리모트 서버(140)를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역사(200)의 TCMS, ATC 등이 사용하는 주파수신호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동기시킨다.At this time, the synchronization by the mobile link unit 150 is TCMS (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ATC (Automatic Train Control),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of the history 200 Device) and the like to link the passenger car remote server 140 to synchronize the video data and / or sound data with a frequency signal used by TCMS, ATC, etc. of the station 200.

모바일 유닛(160)은 모바일 연동부(150)에 의해 동기된 신호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 또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무선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술에 의해 역사(200)의 액세스 포인트(210)에 전송한다. The mobile unit 160 transmits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or commercials and / or announcements as a signal synchronized by the mobile linking unit 150 by wireless or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access point 210 of.

여기서, 모바일 유닛(160)과 액세스 포인트(210) 사이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은 인공위성(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바일 유닛(160)과 액세스 포인트(210) 사이의 PLC 기술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은 열차(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unit 160 and the access point 210 is preferably using a satellite (not show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he PLC technology between the mobile unit 160 and the access point 210. It is preferable to use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in (100).

이때, 모바일 유닛(160)과 액세스 포인트(210) 사이의 PLC 기술에 의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모바일 유닛(160)과 전력선(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블루투스나 적외선 포트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적외선 포트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is case,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PLC technology between the mobile unit 160 and the access point 21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unit 160 and a power line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Bluetooth or an infrared port. In addition, sinc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Bluetooth or an infrared port are well known technologie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PLC 기술은 유선 텔레비전망, 전화선, 광통신망 등으로 복잡하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전력선 하나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PLC는 전원과 통신 데이터를 나누어주는 모뎀이나 시스템 등 별도의 장치만 있으면 되므로, 설치 또는 고장 발생시의 수리가 간단하다. PLC technology reduces the complexity of data transmission paths, such as wired television networks, telephone lines, and optical networks, to one power line. PLC needs only a separate device such as a modem or a system that distributes power and communication data, so it is easy to repair in case of installation or failure.

모바일 단말기(170)는 객차감시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120) 및/또는 스피커(130)로 방송되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열차(100)의 승무원이 각 객차에서 발생된 갑작스런 상황 변동 또는 시스템의 고장에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terminal 170 monitors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or the commercial and / or guide broadcast broadcasted to the display 120 and / or the speaker 130. The crew of (100) will be able to take immediate action in the event of sudden changes in the situation or failure of the system in each passenger car.

역사 단말기(220)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통해 수신되는 열차(100)의 각 객차에 대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 또는 열차(100) 내의 디스플레이(120) 및/또는 스피커(130)로 방송되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모니터링한다. History terminal 220 is a video data and / or sound data for each passenger of the train 100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210, or to the display 120 and / or speaker 130 in the train 100 Monitor commercials and / or announcements broadcast.

이 경우, 역사 단말기(220)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독하는 판독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함으로써, 열차(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이 발생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만을 모니터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history terminal 220 is equipped with a reading device (not shown) for reading the abnormality of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thereby monitoring all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train 100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monitor only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이때, 판독장치는 기준이 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저장하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기준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수신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의 이상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At this time, the reading apparatus stores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as a reference, and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received by comparing the periodically received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with the referenc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Determine if there is any abnormality in the data.

이로써, 역사 단말기(220)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통하여 열차(100) 내의 객차 리모트 서버(1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 또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사 단말기(220)는 모바일 단말기(170)와 마찬가지로 역사 내의 갑작스런 상황 변동 또는 시스템의 고장 등에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Thus, the history terminal 220 may monitor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or commercials and / or announcements managed by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in the train 100 via the access point 210. Will be. In addition, similar to the mobile terminal 170, the history terminal 220 assists the user in dealing with a sudden situation change in the history or a system failure.

이때, 객차 리모트 서버(140)는 객차감시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 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20) 및/또는 스피커(30)로 출력되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실시간적으로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performs the commercial and / or announcement broadcast output to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or the display 20 and / or speaker 30 received from 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It may be implemented to be able to transmit to the access point 210 in real time.

또한, 역사 단말기(220)는 모니터링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각각의 역사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통제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중앙통제 단말기(300)는 각각의 역사(200)에 대한 상황을 전체적으로 통제하는 중앙통제실의 단말기로서, 각각의 역사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한다. In addition, the history terminal 220 transmits the monitored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to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300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history.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300 is a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room that controls the situation for each history 200 as a whole, and selectively monitors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received from each history terminal 220.

이때, 중앙통제 단말기(300)는 하나의 역사 단말기 (A)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다른 역사 단말기(B)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앙통제실의 관리자는 전체적으로 각각의 역사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역사에서 벌어진 상황을 다른 역사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300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transmit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received from one history terminal (A) to another history terminal (B). In this way,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room can grasp the situation of each history as a whole, and can directly communicate the situation in one history to another.

여기서, 역사 단말기(220)와 중앙통제 단말기(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PLC 기술로 구현되거나, 무선데이터 송수신에 의할 수 있다. 또는, 역사 단말기(220) 및 중앙통제 단말기(300)는 이동통신국 중계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Her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history terminal 220 and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by a PLC technology or by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lternatively, the history terminal 220 and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repeater.

역사감시 카메라(230)는 역사(200)의 플랫폼상황, 역사(200)의 열차진입상황, 역사(200) 주변의 상황 등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역사 리모트 서버(240)로 전송한다.The history monitoring camera 230 photographs the platform situation of the history 200, the train entry situation of the history 200, the situation around the history 200,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

역사 리모트 서버(240)는 역사감시 카메라(2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역사 리모트 서버(240)는 역사 스피커(250) 및/또는 역사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방송되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을 관리한다.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manages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history monitoring camera 230. In addition,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manages commercials and / or announcements broadcast through the history speaker 250 and / or history display 260.

또한, 역사 리모트 서버(2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 또는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은 역사 단말기(220)를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때, 객차 리모트 서버(140) 및 역사 리모트 서버(240)는 각각의 관리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or commercials and / or announcements may be monitored through the history terminal 220. At this time,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and history remote server 240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share each of the managed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이로써, 모바일 단말기(17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는 역사 단말기(220)로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 광고방송 및/또는 안내방송의 공유화가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output by the mobile terminal 170 can be output to the history terminal 220, so that commercialization and / or guide broadcasting can be shared.

역사 연동부(270)는 역사 리모트 서버(2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터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동기시킨다. 즉, 역사 연동부(270)는 역사 리모트 서버(2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를 열차(100)의 모바일 단말기(170)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신호를 동기시킨다.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270 synchronizes a signal to transmit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to the access pointer. That is, 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270 synchronizes signals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70 of the train 100 can monitor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역사 유닛(280)은 역사 연동부(270)에 의해 동기된 신호로 역사 리모트 서버(2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역사 유닛(280)는 역사감시 카메라(2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무선 또는 PLC 기술에 의해 열차(100)의 모바일 유닛(160)으로 전송한다.The history unit 280 transmits the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to the access point 210 in a signal synchronized by 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270. Here, the history unit 28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history monitoring camera 230 to the access point 210 in real time. The access point 210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data to the mobile unit 160 of the train 100 by wireless or PLC technology.

모바일 유닛(160)은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70)로 전송하며, 이로써 모바일 단말기(170)는 실시간적으로 역사(200) 내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The mobile unit 160 transmi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210 to the mobile terminal 170, thereby enabling the mobile terminal 170 to monitor the situation in the history 200 in real time.

도 2는 도 1의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열차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rain monitoring method using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of FIG. 1. An example of use of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객차감시 카메라(110)는 열차(100)의 각 객차 내의 상황을 촬영 및/또는 음집하며, 촬영 및/또는 음집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소정 주기마다 객차 리모트 서버(140)로 전송한다(S101).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captures and / or collects a situation in each carriage of the train 100 and transmits the captured and / or collected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to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101).

객차 리모트 서버(140)는 열차(100)가 근접하고 있는 역사(200) 즉, 목적지 역사(200)의 액세스 포인트(210)를 검색한다(S103). 이때, 객차 리모트 서버(140)는 열차(100)로부터 근접한 역사 중 열차(100)가 진행하는 방향에서 가장 근접한 거리에 있는 역사(200)의 액세스 포인트(210)를 검색한다.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searches for the history 200 to which the train 100 is adjacent, that is, the access point 210 of the destination history 200 (S103). At this time,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retrieves the access point 210 of the history 200 which is the closest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 100 proceeds from the train 100.

객차 리모트 서버(140)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210)가 검색되면, 모바일 연동부(150)는 객차감시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동기시킨다(S105).When the access point 210 is searched by the carriage remote server 140, the mobile linkage unit 150 transmits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carriage monitoring camera 110 to the searched access point 210. In order to synchronize the signal (S105).

모바일 유닛(160)은 모바일 연동부(150)에 의해 동기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객차 리모트 서버(140)에 의해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한다(S107). 이때, 모바일 유닛(160)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하거나, PLC 기술에 근거하여 전력 선을 통해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한다.The mobile unit 160 transmits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synchronized by the mobile linking unit 150 to the access point 210 searched by the passenger remote server 140 (S107). In this case, the mobile unit 160 wirelessly transmits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to the access point 210 using satellites, or transmits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through a power line based on PLC technology. Transmit to 210.

역사(200) 내의 역사 단말기(220)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통해 수신되는 근접하고 있는 열차(100)의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S109). 이 경우, 역사 단말기(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수신되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 중 기준 데이터와 차이가 있는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향데이터만을 모니터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history terminal 220 in the history 200 monitors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of an adjacent train 100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210 (S109).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history terminal 220 includes a reading device (not shown) and monitors only the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among the received image data and / or sound data. It may be implemented to.

이로써, 역사 내에 설치된 역사 단말기는 근접하고 있는 열차의 각 객차의 상황을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돌발적인 상황에도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history terminal installed in the history can monitor the situation of each passenger train of the adjacent train in real time, and can take immediate action even in a sudden situation.

도 3은 도 1의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열차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train monitoring method using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역사(200) 내에 설치된 역사감시 카메라(230)는 플랫폼의 상황, 진입 또는 진출하고 있는 열차의 상황 등을 소정 주기마다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역사 리모트 서버(240)로 전송한다(S201).Referring to the drawing, the history monitoring camera 230 installed in the history 200 photographs the situation of the platform, the situation of the train entering or exiting, etc.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record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It transmits (S201).

역사 리모트 서버(240)는 역사감시 카메라(2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관리한다. 이때, 역사 리모트 서버(240)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데이터는 역사 연동부(270)에 액세스 포인트(210)에 동기되며(S203), 역사 유닛(280)은 동기된 영상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한다(S205).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manages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history monitoring camera 230. At this time, the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240 is synchronized to the access point 210 to 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270 (S203), and the history unit 280 transmits the synchronized image data to the access point 210. To transmit (S205).

액세스 포인트(210)는 역사(200)로 근접하고 있는 열차(10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07). The access point 2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train 100 that is approaching the history 200 (S207).

액세스 포인트(210)에 의해 역사(200)로 근접하고 있는 열차(1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액세스 포인트(210)는 근접하는 열차(100)의 모바일 유닛(160)으로 역사 유닛(28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S209). 이때, 액세스 포인트(210)가 모바일 유닛(16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무선통신 방법을 사용하거나, PLC 기술에 근거하여 열차(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한다.If it is determined by the access point 210 that the train 100 is approaching the history 200, the access point 210 is the history unit 280 to the mobile unit 160 of the train 100 that is approach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is transmitted (S209). 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210 transmits data to the mobile unit 16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tellites or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in 100 based on PLC technology.

열차(100)의 모바일 단말기(170)는 모바일 유닛(160)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S211). 이로써, 열차(100) 내의 모바일 단말기(170)는 근접하고 있는 목적지 역사(200) 내의 상황을 실시간적으로 감시하며, 역사(200) 내에서 발생된 돌발적인 사고에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The mobile terminal 170 of the train 100 monitors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mobile unit 160 (S211). As a result, the mobile terminal 170 in the train 100 monitors the situation in the near destination history 200 in real time, and can immediately cope with an accident occurring in the history 20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s well as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앙 관리실로 하여금 근접하고 있는 열차 내부에서 발생된 갑작스런 상황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열차에서도 역사 내에 발생한 비상시의 사고에 즉각적으로 조처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enables the central management office to respond immediately to sudden changes in the situation occurring in a nearby train, and also to promptly respond to an emergency accident in the history of the train. do.

Claims (9)

열차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열차의 각 객차에 설치된 객차감시 카메라로부터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열차가 접근하고 있는 역사내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객차 리모트 서버; A carriage remote server installed in a train, receiving and managing image data or sound data from a carriage monitoring camera installed in each carriage of the train, and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a history to which the train is approaching;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특정 주파수신호로 동기시키는 모바일 연동부; A mobile link unit which synchronizes the image data or sound data managed by the passenger remote server with a specific frequency signal; 상기 모바일 연동부에 의해 동기된 신호로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에 의하여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모바일 유닛; 및 A mobile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or the sound data to an access point retrieved by the passenger remote server as a signal synchronized by the mobile linkage unit; And 상기 역사내의 관리실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역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And a history terminal installed in the management room in the history station and monitoring the video data or the audio data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는 상기 각 객차에 방송되는 광고방송 또는 안내방송을 관리하며, 상기 모바일 연동부는 방송되는 상기 광고방송 또는 상기 안내방송의 신호를 동기시키고,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모바일 연동부에 의해 신호가 동기된 상기 광고방송 또는 상기 안내방송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The carriage remote server manages commercials or guide broadcasts broadcasted in the respective cars, and the mobile linkage synchronizes signals of the broadcasted advertisement or the guide broadcast, and the mobile unit is signaled by the mobile linkage. The mobile monitoring system for train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ommercial or the broadcast announcement synchronized to the access poin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역사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광고방송 또는 상기 안내방송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And the history terminal monitors the commercial or the announcement broadcast managed by the passenger remote server through the access point. 역사에 설치된 역사감시 카메라로부터 상기 역사의 열차진입상황 또는 상기 역사의 플랫폼 상황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역사 리모트 서버; A history remote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nd manage image data of a train entry situation or the platform situation of the history from a history monitoring camera installed in a history; 상기 역사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특정 주파수신호로 동기시키는 역사 연동부; A history interlocking unit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with a specific frequency signal to transmit the image data to an access point; 상기 역사 연동부에 의해 동기된 신호로 상기 역사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역사 유닛; 및 A history unit for transmitting the video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to the access point with a signal synchronized by the history interlocking unit; And 상기 역사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역사 단말기;를 포함하며, Includes; history terminal for monitoring the video data managed by the history remote server,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를 검색하여, 검색된 열차의 모바일 유닛으로 상기 역사 유닛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The access point searches for a train entering the history, and the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access point by the history unit to the mobile unit of the retrieved trai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열차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객차 리모트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And a mobile terminal installed in the train and configured to monitor the image data or the sound data managed by the carriage remote server.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역사 유닛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And the mobile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access point by the history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The mobile unit is 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with the access poin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The mobile unit is a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access point (PLC) technolog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역사 단말기는 모니터링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중앙통제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통제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역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된 상기 영상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The history terminal transmits the monitored image data or the sound data to a central control terminal, and the central control terminal selec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the history to monitor the received image data and / or the sound data. Train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111865A 2004-12-24 2004-12-24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KR1007879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865A KR100787924B1 (en) 2004-12-24 2004-12-24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865A KR100787924B1 (en) 2004-12-24 2004-12-24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039A KR20060073039A (en) 2006-06-28
KR100787924B1 true KR100787924B1 (en) 2007-12-24

Family

ID=3716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865A KR100787924B1 (en) 2004-12-24 2004-12-24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08B1 (en) 2008-02-19 2010-09-13 김창래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oor open/close sensing in a conventional electric rail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683B1 (en) * 2012-01-05 2012-06-25 (주)파인텔레콤 Method for controlling a room video output using train operation infrormation
KR101235799B1 (en) * 2012-12-21 2013-02-21 이상락 Carriages of crime prevention for concentration photographing watch system for populace traffic mea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76A (en) * 2001-03-27 2002-10-09 이철원 Railway-crossing image signal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and its method
KR20020080957A (en) * 2001-04-18 2002-10-26 (주)태성엠아이에스 Wireless monitering system for railroad watching of subway platform
KR20030033749A (en) * 2001-10-25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CCD camera using a cordless LAN
KR200322204Y1 (en) 2003-03-11 2003-08-02 이상락 Concentration photographing watch system for populace traffic means
KR20040098489A (en) * 2003-05-12 2004-11-20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using wireless LAN
KR100530370B1 (en) 2003-05-27 2005-11-22 (주)다보소 Intelligence type Remote Watching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76A (en) * 2001-03-27 2002-10-09 이철원 Railway-crossing image signal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and its method
KR20020080957A (en) * 2001-04-18 2002-10-26 (주)태성엠아이에스 Wireless monitering system for railroad watching of subway platform
KR20030033749A (en) * 2001-10-25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CCD camera using a cordless LAN
KR200322204Y1 (en) 2003-03-11 2003-08-02 이상락 Concentration photographing watch system for populace traffic means
KR20040098489A (en) * 2003-05-12 2004-11-20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using wireless LAN
KR100530370B1 (en) 2003-05-27 2005-11-22 (주)다보소 Intelligence type Remote Watching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08B1 (en) 2008-02-19 2010-09-13 김창래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oor open/close sensing in a conventional electric rail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039A (en)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046B2 (en) Method of detecting obstacles on railroad lines
RU2497176C1 (en) Centralised integrated system for informing passengers, alerting persons working on railway tracks and parking station communication
KR102103598B1 (en) emergency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railway trains based on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KR101379480B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in Train
RU2658744C1 (en) Workers on railway tracks alerting system
US7030753B2 (en) Information and security audio and video transmission reception system
KR100868909B1 (en)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812315B1 (en) Bidirectional microwave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and the value-adde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JP2006197164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0787924B1 (en)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KR101229348B1 (en) Date Transmission System for Realtime Cabin Monitering using VDSL Transmission Method of Railwaycabin and cabin
JP3432714B2 (en) Trai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RU102444U1 (en) MULTIFUNCTIONAL SYSTEM OF NAVIGATION, COMMUNICATION, SIGNALING AND MONITORING OF VEHICLE SAFETY SYSTEMS FOR MONITORED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AND CARGO
RU2405699C1 (en) Passanger train central safety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2002486A (en) Train schedule control system
RU2484532C2 (en) Carriage video monitoring system
RU2395424C1 (en) Passenger train safety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RU53988U1 (en) MULTI-FUNCTION ON-BOARD INFORMATION SYSTEM OF PASSENGER CARS OF RAILWAY TRANSPORT "INBERA"
KR102287253B1 (en) Communication switching technology in case of error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djacent trains
KR101024694B1 (en) Informing system for running of train using tcp/ip communicaton
KR100769591B1 (en) Integrated device for video display and broadcasting in the train
JP2006007873A (en) In-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100399077B1 (en) Broadcas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rain
EP2591973A2 (en) Multi-level distributed information system for multi-train transport
JP2020050116A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