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09B1 -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909B1
KR100868909B1 KR1020070003827A KR20070003827A KR100868909B1 KR 100868909 B1 KR100868909 B1 KR 100868909B1 KR 1020070003827 A KR1020070003827 A KR 1020070003827A KR 20070003827 A KR20070003827 A KR 20070003827A KR 100868909 B1 KR100868909 B1 KR 10086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data
history
vehic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6405A (en
Inventor
박태연
Original Assignee
에버원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원테크(주) filed Critical 에버원테크(주)
Priority to KR102007000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09B1/en
Publication of KR2008006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45Destination indicators, identification panels or distinguishing signs on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사와 역사간에 선로로 연결되며,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동차를 구비한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역사내부의 환경을 화상으로 취득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취득수단과; 역사내부 및 선로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취득수단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무선송출하는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과;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송출하거나 주변에 위치하는 지상환경 송출수단들로부터 송출되어진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차량환경 취득수단과; 전동차의 운행실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취득되어진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데이터 혹은 진입 역사내부의 운행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동차의 운행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차량환경 통지수단과; 각 역사내 위치하며 해당 역사내 구비되어 있는 영상취득수단으로부터 취득되어진 화상데이터를 관할 영역내의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으로 제공하며 역사내로 진입하거나 해당 역사를 출발하는 전동차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사 내외부의 환경과 선로의 환경 및 진출입차량의 환경등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한 후 이를 역사내 관리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관활 환경 통지수단; 및 각 역사내에 구비되어진 관활 환경 통지수단를 통해 통지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체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제어통제하는 교통 통제 중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과 그에 따른 운영방법을 제공하면, 각 전동차의 운행실내 요원은 해당 전동차의 진출입 역 사내 환경과 선로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입을 위한 해당 역사내 환경이 운행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이를 자체적으로 제어할수도 있으며 중앙통제시스템에 통지하여 적합한 대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잇게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a train connected to a track between history and history,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n environment within each history as an image; A plurality of terrestrial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which are located in the history and around the track and wirelessly transmits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means;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data on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eceiving and acquir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located in the vicinity or wirelessly; Vehicl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system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ic vehicle acquir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or data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in the entry history and notifying the operating personnel of the electric vehicle, provided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electric vehicle; Radios transmitted from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of electric cars entering or leaving history, providing image data acquired from image acquisition means provided in the history to the abov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in the jurisdiction and entering the history. A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receiving data to collect data on the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history, the environment of the track and the environment of the entry and exit vehicle, and notify the management personnel in the history; And a traffic control central means for acquiring data to be notified through the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provided in each history and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all electric vehicles driven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ck. Providing th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he operating personnel of each train vehicle can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track environment of the train in and out of the train in real time so that the environment in the history for entry is suitable for operation. If not, it can be controlled by itself and the central control system can be notified to facilitate the appropriate response.

Description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 및 운영방법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 상황 감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1 to 4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monitoring the driving section situ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지상장치 IDU의 블록 구성 예시도5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ground apparatus IDU.

도 6은 단자함의 회로 구성 예시도6 is an exemplary circuit configuration of a terminal box

도 7은 화면4분활기의 블록 구성 예시도7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screen divider

도 8은 MPEG인코더의 블록 구성 예시도8 is an example block diagram of an MPEG encoder

도 9는 상행수신기의 블록 구성 예시도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scending receiver

도 10은 하행수신기의 블록 구성 예시도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wnlink receiver

도 11은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구성 예시도1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face controller

도 12는 지상장치 ODU의 구성 예시도1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ound apparatus ODU

도 13은 차상장치의 구성 예시도1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nboard device

도 14는 차상장치 ODU의 상세 회로 구성 예시도14 is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example of an onboard device ODU

도 15는 차상장치 시험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15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mounted device test system.

도 16은 지상장치 시험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16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ound test system

본 발명은 전동차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차 운행구간을 포함하여 역사, 객실, 운전실 등을 종합사령실에서 감시할 수 있음은 물론 전동차 운행 노선의 전체 구간에서 다음 역 상황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인프라를 통해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실, 역사, 종합사령실의 삼각 감시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황판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in particular, the history, cabin, cab and the like, including the operating section of the train can be monitored in the general command room, as well as to check the next station status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train running line through the monitor By allowing audio and video data to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driving section and vehicle situation to enable real-time situation determination by the triangular monitoring system of the cab, history, and general command room It relates to a surveillanc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일반적으로, 최근 심각한 교통 체증으로 인하여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 교통수단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하철은 대중 교통수단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해마다 그 사용 인원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역사 내 플랫폼 및 지하철 차량 내의 사건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하철 역사 내 플랫폼과 지하철 차량 내에서는 역사 내 플랫폼의 추락사고와 지하철 차량 내의 화재, 방화, 성추행, 절도, 폭력 등 다양한 사건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전동차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많은 장치들이 개발되어 이를 적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이 또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In general, due to the recent serious traffic jams, a lot of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and buses are used. In particular, the subway is the most widely used as a public transportation, the number of people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incidents in the platform and subway cars in the history is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subway station platform and subway vehicles as described above, various accidents such as fire, arson, sexual harassment, theft, and violence in the platform of subway stations and fires in subway stations are occurring. In order to prevent the accident of the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a number of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but many problems have arisen.

예를 들면, 차량의 진입과 출발을 알리는 경보음 및 안내방송과 함께 승강장 주위에 차량의 운전원이 승강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와 모니터를 설 치하거나 별도의 안전요원을 배치하여 사고의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승객의 부주의나 기타 예상치 못한 이유로 인해 승객이 승강장 선로에 떨어지거나 차량의 틈새 또는 차량과 승강장의 틈새에 끼이는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o prevent accidents by installing cameras and monitors that allow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check the status of the platform, along with alarms and announcements to indicate the vehicle's entry and departure. Although we make every effort to protect our passengers, accidents may occur due to the negligence of the passengers or other unforeseen reasons that may result in the passengers falling onto the platform tracks or being caught in the gaps of the vehicle or the gap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latform.

이러한 돌발사고가 적시에 종합사령실과 역무실 및 운행중인 전동차의 운전실에 전파되지 않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또 다른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 지하철 중앙로역 구내 전동차화재사건은 신속한 사고전파의 필요성을 일깨워주는 대형사건이다.If such an accident does not spread to the general command room, the station room, or the cab of the train in operation, it may cause another accident due to the lack of prompt action. Fire events are large events that awaken the need for rapid accident propag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종합사령실로 신속하게 전파되어 종합사령실은 상황에 맞는 신속한 방안을 또 다시 각 역무실과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실에 전파하여야 하는 바, 각 업무부처에서는 사고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종합사령실을 통해 전파되는 것에 따라 사고상황의 위중과 이에 따른 조치가 후속되고 있어 후속조치까지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상상황에서는 적시에 인명피해나 재산적 피해를 모면할 수 없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n accident or emergency situation, the general command room is quickly spread to the general command room, and the general command room must again propagate a prompt solution suitable for the situation to each station and the driver's cab. As a result of the accident spreading through the general command center after a certain time has passed since the accident occurred, the seriousness of the accident situation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s are followed,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follow up. There was a difficulty to avoid.

즉, 전동차를 통제하는 종합사령실의 관리자는 사고전파와 신속한 조치를 요구하는 지령을 한다 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전동차를 관리하는데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고발생시 신속히 대처하지 못함으로 인해 재산상의 손실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장치들의 문제로 인해 전동차의 운전자나 통제하는 종합사령실이 이 장비를 유효적절하게 사용하는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들을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manager of the general command room that controls electric cars has inconveniences and hassles in managing electric cars efficiently even if he / she commands an accident propagation and prompt action. Not only does it minimize the damage, but the overall problems of the devices that are conventionally implemented,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use is very low because there are some limitations on the effective use of this equipment by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general command center under control. Problems are present.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차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차 운행구간을 포함하여 역사, 객실, 운전실 등을 종합사령실에서 감시할 수 있음은 물론 전동차 운행 노선의 전체 구간에서 다음 역 상황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인프라를 통해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실, 역사, 종합사령실의 삼각 감시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황판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내 상황 감시 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in particular, the history, cabin, cab, etc. including the operating s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monitored in the general command room as well as the entire s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operating route The situation can be judged in real time by the triangular monitoring system of the cab, history, and general command room by allowing the audio and video data to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o that the next station situation can be monitored on the moni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s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n in-vehicl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특징은, 역사와 역사간에 선로로 연결되며,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동차를 구비한 교통시스템에 있어서: 각 역사내부 및 주변선로의 환경을 화상으로 취득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취득수단과; 역사내부 및 선로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취득수단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무선송출하는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과;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송출하거나 주변에 위치하는 지상환경 송출수단들로부터 송출되어진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차량환경 취득수단과; 전동차의 운행실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취득되어진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데이터 혹은 진입 역사내부의 운행환경에 대한 데 이터를 가공하여 전동차의 운행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차량환경 통지수단과; 각 역사내 위치하며 해당 역사내 구비되어 있는 영상취득수단으로부터 취득되어진 화상데이터를 관할 영역내의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으로 제공하며 역사내로 진입하거나 해당 역사를 출발하는 전동차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사 내외부의 환경과 선로의 환경 및 진출입차량의 환경등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한 후 이를 역사내 관리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관활 환경 통지수단; 및 각 역사내에 구비되어진 관활 환경 통지수단를 통해 통지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체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제어통제하는 교통 통제 중앙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track between history and history, and in a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an electric vehicle run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ck: each history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n environment of internal and peripheral lines as an image; A plurality of terrestrial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which are located in the history and around the track and wirelessly transmits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means;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data on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eceiving and acquir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located in the vicinity or wirelessly; Vehicl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system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ic vehicle acquir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or the data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within the entry history and notifying the operating personnel of the electric vehicle provided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electric vehicle; Radios transmitted from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of electric cars entering or leaving history, providing image data acquired from image acquisition means provided in the history to the abov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in the jurisdiction and entering the history. A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receiving data to collect data on the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history, the environment of the track and the environment of the entry and exit vehicle, and notify the management personnel in the history; And a traffic control central means for acquiring data notified through the govern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provided in each history and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entire electric vehicle driven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들과 관활 환경 통지수단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자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Additional features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urther comprises a terminal connecting means for wir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and the activ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To include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은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D/S(Diversity) 안테나와; 트랜스시버(Transceiver)로 구성되는 메인안테나와; 상기 D/S 안테나로부터 수신되어진 데이터를 DVB-T 수신기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다운변환기와; 상기 단자연결수단에 연결되어진 동축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무선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안테나측으로 제공하는 업변환기; 및 상기 다운변환기와 업변환기 및 상기 단자연결수단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is a D / S (Diversity)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obtaining means A) an antenna; A main antenna composed of a transceiver; A down converter for converting data received from the D / S antenna into data recognizable by a DVB-T receiver; An up converter for converting a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a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ng means into a wireless data signal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main antenn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ata flow between the down converter, the up converter, and the terminal connect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메인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는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antenna uses a frequency of 22GHz b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은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의 메인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하여 VHF 대역의 낮은 IF 주파수로 변조하고,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22GHz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출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s a frequency of 22GHz band that is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antenna of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ssion means. Receive and modulate the low IF frequency of the VHF band, and transmit the modulated data of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frequency of the 22 GHz b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은 1개의 리시버(Receiver)에서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Polarity Diversity 시스템을 채용하여 최적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며, 두 개의 안테나중 하나의 안테나는 송수신을 겸하도록하여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22GHz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출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s a Polarity Diversity system using two antennas in one receiver (Receiver) To receive the optimal radio signal, one of the two antennas to transmit and receive by modulating the data about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frequency of 22GHz b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차량환경 통지수단은 전동차 차량내 구비되어 있는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송출하며 내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분기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분기부를 통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 경로등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MPEG규약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MPEG 디코더; 및 상기 MPEG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MPEG 파일을 생성하는 MPEG 파일 리코더를 포함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receives data received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vehicle A central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an internal system; An image branching unit for branching and outputt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obtaining unit; An interface processor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image data processed through the image diverter by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ler; A plurality of MPEG decoders for decoding and outputting a signal output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or according to an MPEG protocol; And an MPEG file recorder for generating an MPEG file based on a part of data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MPEG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LCD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Additional features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urther comprises an LCD monitor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to display as an image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MPEG 파일 리코더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백업용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수단으로써 PC나 노트북을 사용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backing up data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MPEG file recorder, I'm using a lapto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관활 환경 통지수단은 상행선 선로상의 전동차 운행 환경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하행선 선로상의 전동차 운행 환경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하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역사내부의 이용자의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사내부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상기 상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하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 및 역사내부환경 데이터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취합하여 DVB-T 규격에 따른 전송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출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송출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화상데이터와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에 대한 제어신호등을 묶어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에 제공하는 송출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ctiv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is to obtain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environment on the up line track to generate and output as image data An uphill track environment data generator; An downhill track environment data generator for acquiring driving environment of the downhill track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A history internal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for acquiring data on the environment of the user in the history, generating the image data,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A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for collect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uplink environmental data generator, the downline environmental data generator, and the internal internal data generator to generate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the DVB-T standard; And a sending unit which bind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sending data generating unit and a control signal for the ground environment sending mean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ground environment send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관활 환경 통지수단은 상기 교통 통제 중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실장하기 위해 입력되는 원격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송출부측에 제공하는 원격측정 데이터 송출용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As a further another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ctiv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is input for mounting a remot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traffic control central means. And a modulator for transmitting telemetry data, which modulates a remote control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transmit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관활 환경 통지수단은 상행선 방향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행수신기와; 하행선 방향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행수신기와; 상기 상행수신기와 하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차상 TLM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ctivity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is an ascending receiver for receiving data sent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n the upward direction Wow; A downward recei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data processor for demodulat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uplink receiver and the downlink receiver to collect next-order TLM dat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상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 1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 1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FSK복조기와; 상기 하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 2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 2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 2 FSK복조기와; 상기 FSK복조기들로부터 복조되어진 데이터를 취합하는 데이터 수집기; 및 상기 데이터 수집기를 통해 취합되어진 데이 터를 차상 TLM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기를 포함하는 데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a first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ascending receiver; A first FSK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bandpass filter; A second bandpass filter for filte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downlink receiver; A second FSK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bandpass filter; A data collector for collecting demodulated data from the FSK demodulators;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ata collector as next-order TLM dat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특징은, 역사와 역사간에 선로로 연결되며,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동차를 구비한 교통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각 역사내부 및 주변선로의 환경을 화상으로 취득하는 제 1과정과; 역사내 중앙시스템에서 자신의 관할영역에 존재하는 역사내부 및 선로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송수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1 과정에서 취득되어진 화상데이터를 송출하는 제2과정과; 전동차의 운행실에서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송출되어진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진행방향의 역사 및 선로 환경에 대해 표시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전동차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측으로 송출하는 제 4과정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와 해당 무선송수신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역사내 중앙시스템에서 취득하는 제 5과정; 및 교통 통제 중앙시스템에서 상기 역사내 중앙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여 전체 교통망의 상황을 관리 감독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track between the history and the history,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a train run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ck A method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acquiring an environment of each historic internal and peripheral track as an image; A second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cquired in the first process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located in the history and in the vicinity of the track in the jurisdiction of the central system in the history; A third step of receiving im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tep in the driving room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isplaying the history of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track environment; A fourth step of collecting data on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to the radio transceiver; A fifth step of acqui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radio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data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radio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rom the central system in the history; And a sixth process in which the traffic control central system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system in the history to manage and supervise the situation of the entire transportation net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역사내 중앙시스템과 무선송수신장치간에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영상과 전원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the image and power and control signals through the coaxial cable between the central system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in the history. Wired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s appli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2과정과 제 4과정상의 데이터 송수신 방식은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방식이며, DVB-T 규약에 따르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 the second process and the fourth process is a radio using a frequency of 22GHz band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and follows the DVB-T protoco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3과정과 제 5과정상의 데이터 처리방식은 VHF 대역의 낮은 IF 주파수로 변조하여 활용하는 데 있다.As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third process and the fifth process is a low IF frequency of the VHF band. It is used to modulate wit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 3과정을 통해 표시되는 운행환경은 전동차 운행방향으로 임의의 역사 출발시 출발 역사의 운행환경이 진출후 200m까지 표출되며, 200m를 지나는 시점에서 다음 진입 역사의 운행환경이 표출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the driving environment displayed through the third process starts any history in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direction.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city's departure history is expressed up to 200m after the departure,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next entry history is expressed at the time when it passes 200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전동차의 차고지에서 전동차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검사 과정을 수행한 후 운행하도록 하는 전동차 검사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operate after performing the inspection process for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at the garage of the electric vehicle. It further includes the electric vehicle inspection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전동차 검사과정은 차고지 진출입시 이루어지며,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이상 유무를 판독하는 단계와; 수신되어진 데이터를 활용한 표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 있다.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feature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operating section and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 vehicle inspection process is made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garage, the data using the frequency of 22GHz band Rea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error; It i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display abnormality using the received data.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 상황 감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지상장치와, 차상장치와, 시험장치, 및 통합운영/유지관리 장치로 크게 구분되어 지며, 지상장치는 역사 통신실에 설치되는 지상장치 IDU(In Door Unit)와 본선구간에 설치되는 지상장치 ODU(Out Door Unit) 및 단자함으로 구성되고, 차상장치는 차상장치 IDU와 차상장치 ODU 및 LCD모니터로 구성되며, 시험 장치는 차량 출고시 차상장치의 상태확인을 위하여 차량기지에 설치되는 장비이다. 또한, 통합운영/유지관리 장치는 지상장치, 차상장치, 시험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역사에 설되는 장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1 to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monitor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ground apparatus, a vehicle apparatus, a test apparatus, and an integrated operation / maintenance apparatus. The ground equipment is composed of the ground equipment IDU (In Door Unit) installed in the history communication room and the ground equipment ODU (Out Door Unit) and terminal box installed in the main line section. It is composed of ODU and LCD monitor, and the test device is the equipment installed at the vehicle base to check the status of the on-vehicle device. In addition, the integrated operation / maintenance unit monitors the status of ground, onboard, and test equipment, and enables the operation of equipment in each station.

우선, 지상장치는 VDA(Video Distribute Amplifier), MPEG-II ENCODER, 멀티플렉서(MULTIPLEXER), DVB-T 변조기(MODULATOR), DVB-T 복조기(DEMODULATOR), DVB-T 업 변환기(UP CONVERTER), 전원제어기(POWER CONTROLLER), 상용전원제어기(AC POWER CONTROLLER), 진복변이 변조기(ASK MODULATOR), 중앙제어기(MAIN CONTROL PC), EMBEDDED CONTROLLER, RF SWITCH, TLM(ODU 제어통신용), IF Processing Card로 구성되어진다.First of all, the terrestrial devices are VDA (Video Distribute Amplifier), MPEG-II Encoder, MULTIPLLEXER, DVB-T Modulator, DVB-T Demodulator, DVB-T Upconverter, Power Controller Consists of (POWER CONTROLLER), AC POWER CONTROLLER, ASK MODULATOR, MAIN CONTROL PC, EMBEDDED CONTROLLER, RF SWITCH, TLM (ODU control communication), IF Processing Card .

이때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방식은 유럽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규격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를 기준으로 채택하였으며, 유럽 방식으로 통칭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규격은 케이블 텔레비전, 위성, 지상파 및 공시청 안 테나(SMATV) 등 여러 매체의 공유성을 높인 것이 특징인데, 특히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인 DVB-T(Terrestrial)를 데이터 처리방식으로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method of data transmitted / received is adopted based on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which is a Europea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standard, and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tandard, which is collectively known as the European method, is a cable television, satellite, terrestrial and public broadcasting antenna.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commonality of various media such as (SMATV), especially terrestrial (DVB-T) which is a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상술한 구성 중 역사에 설치되는 IDU(100)는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행선 선로상의 전동차 운행 환경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121)와, 하행선 선로상의 전동차 운행 환경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하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122)와, 역사내부의 이용자의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사내부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상기 상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하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 및 역사내부환경 데이터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취합하여 DVB-T 규격에 따른 전송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출데이터 생성부와, 통합운영/유지관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실장하기 위해 입력되는 원격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원격측정 데이터 송출용 변조기와, 상기 송출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화상데이터와 원격측정 데이터 송출용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및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에 대한 제어신호등을 묶어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에 제공하는 송출부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IDU 100 installed in the history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n uphill track environment data generating unit 121 for acquiring and generating image data of an electric vehicle driving environment on an uphill track. Down track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122 for acquir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down train tracks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and internal history environmen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data for the user's environment in the history A data generation unit, a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for collect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uplink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the downline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and the history internal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to generate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the DVB-T standard; Modulates and outputs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ted to implement the remot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tegrated operation / maintenance device The telemetry data transmission modulator,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the data output from the telemetry data transmission modulator, and a control signal for the terrestrial environment transmission means to be provided to the terrestrial environment transmission means. It consists of a sending part.

또한, 도시하지 않은 구성으로 상행선 방향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행수신기와, 하행선 방향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행수신기가 존재하며, 상기 상행수신기와 하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차상 TLM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처리부(110)이 구비되며,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상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필터링 하는 제 1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 1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FSK복조기와, 상기 하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 2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 2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 2 FSK복조기와, 상기 FSK복조기들로부터 복조되어진 데이터를 취합하는 데이터 수집기, 및 상기 데이터 수집기를 통해 취합되어진 데이터를 차상 TLM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기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re is an ascending recei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n the ascending direction, and a descending recei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n the ascending direction. And a data processor 110 for demodulat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to collect on-board TLM data, wherein the data processor includes a first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uplink receiver, and the first band. A first FSK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pass filter, a second bandpass filter for filte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downlink receiver, and a second demodul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bandpass filter An FSK demodulator, a data collector for collecting data demodulated from the FSK demodulators, and the It consists of the data that has been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or in the data processor for generating a phase TLM data.

따라서, 참조번호 121과 122로 구분되는 구성을 통해 역사의 상행과 하행 각각 4채널의 영상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된 영상을 화면4분할기를 통해 쿼드화면으로 구성하여, MPEG-II ENCODER와 Base Band Modulator를 거쳐 DVB-T UP CONVERTER에서 VHF(8MHz 이하의 대역폭, 10mW 출력)대역의 RF SIGNAL를 얻는다(이 주파수를 IF라 칭한다).Therefore, through the configuration divided by reference numeral 121 and 122,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video signal of the four channels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history, respectively, and to configure the input video into a quad screen through the screen splitter, MPEG-II ENCODER and The RF SIGNAL of the VHF (bandwidth below 8MHz, 10mW output) band is obtained from the DVB-T UP CONVERTER via the base band modulator (this frequency is called IF).

그리고 IDU에서는 상ㆍ하행 비상 알람신호를 각각 4개씩 접점신호(센서)를 사용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 IDU에서는 이 입력되는 알람신호를 감시를 하고, 어떠한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영상과 함께 차상장치에 이 신호를 전달하여 영상화면과 함께 유용한 데이터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IDU, four up and down emergency alarm signals can be input using a contact signal (sensor). The IDU monitors the input alarm signal and, when a signal is input,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nboard device along with the image, and serves as a useful data along with the image screen.

IDU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는 역사에 설치된 단자함으로 전달되어 단자함에서는 RF케이블을 통해 최대 10개의 ODU에 전달할 수 있으며, 단자함으로부터 ODU까지 연결되는 지점까지 케이블에 의해 감쇄된 신호를 1차 증폭을 하고, ODU에 입력되는 신호는 시그널 디텍터, AGC회로에서 출력을 조절할 수 할 수 있어 짧은 지하철 선로구간에서의 RF LINK를 최적화하여 상ㆍ하행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한다.The intermediate frequency (IF) output from the IDU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box installed in the history, and the terminal box can deliver up to 10 ODUs through the RF cable, and the signal attenuated by the cable from the terminal box to the ODU is connected. The first amplification and input signal to the ODU can be controlled by the signal detector and AGC circuit,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up and down lines by optimizing the RF LINK in the short subway line section.

통신실에 설치되는 단자함으로부터 ODU가 설치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1Km로 하여 인천지하철에서 가장 긴 구간에서도 ODU를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ODU can be installed from the terminal box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room is 1Km, so the ODU can be installed with the least impact of interference even in the longest section of the Incheon subway.

주파수 채널 사용은 역사에 관계없이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잇는 바와 같이 상행선의 경우 A-B-C-A-B-C-A의 구조를 사용하고, 하행선의 경우 D-E-F-D-E-F-D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인접 ODU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처럼 채널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목적은 역사와 역사간 혼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4, regardless of the history, the frequency channel uses the structure of the ABCABCA for the up line and the structure of the DEFDEFD for the down line,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between adjacent ODUs and constructing a stable system. . The purpose of separating channels is to prevent the confusion between history and history.

이렇게 분리되어진 채널에 맞게 차상장치에서는 역사의 ID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상태에서 이동 중 다음 역의 ID를 수신하게 되었을 때, RF SIGNAL상태와 영상의 QUALITY를 분석하여, 다음 역에 맞게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는 구조이다.According to the separated channel, the onboard device receives the history ID periodically and when the next station ID is received while moving, analyzes the RF signal status and the image quality and changes the frequency channel according to the next station. It is a structure.

또한, 지상장치 IDU의 기본적인 기능은 기 설치된 역사 내 카메라 신호를 VDA에 입력시키고, 입력 받은 영상을 대열차 공간화상 설비와 기존에 사용하는 Matrix장비에 연결한다. 이 신호를 입력 받은 지상장치 IDU에서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압축하는 MPEG-II 인코더를 거쳐 상행/하행/예비 영상을 하나의 데이터로 MIXING 한다. 이 신호를 디지털 방송규격인 DVB-T 방식으로 변조하여 단자함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In addition, the basic function of the ground equipment IDU is to input the camera signal in the installed station to the VDA, and connect the received image to the large train spatial imager and the existing Matrix equipment. The terrestrial IDU receives this signal and MIXING the up / down / preliminary images into one data via an MPEG-II encoder that digitally converts and compresses the video signal. This device modulates this signal by DVB-T method which is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and transmits it to terminal box.

지상장치에서 차상으로 DATA를 전송하기 위해서 별도의 ASK MODULATOR를 사용하여 영상신호와 COMBINE하여 하나의 RF신호로 만들어진다. 지상장치 IDU의 영상 및 제 어신호와 전원은 본선 승강장에 설치되는 단자함에 전달되며 단자함은 각각의 ODU와 연결된다.In order to transmit the data from the ground equipment to the vehicle, it is made of one RF signal by combining with the video signal by using a separate ASK MODULATOR. The video, control signals and power of the ground equipment IDU are delivered to the terminal box installed on board the landing and the terminal box is connected to each ODU.

단자함은 신호 및 전원을 분배하여 본선에 설치되는 각각의 ODU에 영상 및 제어신호와 전원을 LMR400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전달한다.The terminal box distributes signals and power and transmits video and control signals and power to each ODU installed on the ship through the LMR400 coaxial cable.

지상장치 IDU에서 변조되는 신호를 단자함까지 전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에 해당 역사의 승강장 화상을 차상장치에서 수신이 불가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RF 변조부를 이중계로 구성하여 장비 장애 발생시에도 정상적으로 영상전송이 되며 장비 이상 정보를 통합 운영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f there i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ignal modulated from the ground equipment IDU to the terminal box, the board image of the station cannot be received from the onboard device. It transmits video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equipment error to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상술한 설명에서 단자함의 구성은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며,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지상장치 단자함은 역사 통신실의 IDU와 지상장치 ODU를 연결하는 장치로 RF신호, ODU 제어신호, 송신 DATA, 전원을 ODU에 공급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box is as shown in FIG. 6, which is briefly described. The ground device terminal box is a device for connecting an IDU and a ground device ODU in a history communication room to transmit an RF signal, an ODU control signal, and a transmission. Supply data and power to ODU.

지상장치의 단자함은 초기에는 승강장에 설치하는 것을 검토하였으나, 단순히 케이블 등을 이어주기 위한 단순한 장비가 아니라, 내부에서 신호처리 및 데이터 복원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로써, 전동차 운행중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통신실에 설치한다. 송신과 수신에 필요한 신호를 모두 입력받아서 출력 측에서 지상장치 ODU 수량에 맞도록 분배할 수 있으며 DC전원을 RF신호에 Inject 하여 케이블을 최소화하였다. 본선구간에 설치되는 ODU에는 난연 LMR-400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Although the terminal box of the ground equipment was initially considered to be installed in the platform, it is not just a simple device for connecting cables, but a devi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ignal processing and data recovery in the interior. Install it in the communication room so that you can cope quickly. All signals necessary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input and distributed at the output side to match the number of ground equipment ODU. The cable is minimized by injecting DC power to RF signal. The ODU installed in the main line is connected with flame retardant LMR-400 coaxial cable.

지상장치 단자함은 통신실에 설치된 IDU로부터 변조된 Tx RF 신호와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내부에서 제어신호를 FSK변조를 하고 2개의 신호를 합성한다. 이렇게 합성 된 신호는 역사에 설치될 각각의 ODU에 연결될 수 있도록 분배를 하여 ODU에 연결된다. 차상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ODU에서 수신 받아서 IDU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멀리 떨어진 ODU로부터 수신되는 약해진 RF신호를 AGC와 ALC회로를 사용하여 신호를 보상하여 IDU에서 안정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rrestrial terminal box receives the modulated Tx RF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from the IDU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room, FSK modulates the control signal inside, and combines the two signals. This synthesized signal is distributed to each ODU to be installed in the history and connected to the ODU. In order to receive the RF signal received in the vehicle and to transmit to the IDU, the weakened RF signal received from the distant ODU is compensated for by using the AGC and ALC circuits so that the stable signal can be received in the IDU.

ODU 내부에 2개의 전원부를 구성함으로써, ODU의 전원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예비 전원부를 구동하여 장비가 동작하도록 설계하였다.By constructing two power units inside the ODU,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power system of the ODU, it is designed to operate the equipment by driving the spare power unit.

상술한 설명에서의 각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화면4분활기는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며, MPEG인코더는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고, MPEG인코더는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며, 상행수신기는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고, 하행수신기는 첨부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Looking at each of the configurations in the above description in more detail, the four-screen splitter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attached, the MPEG encoder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8 attached, and the MPEG encoder is 8, the ascending receiver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9, and the ascending receiver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상술한 구성에 대응하는 지상장치 ODU(200)는 첨부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상장치 ODU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D/S(Diversity) 안테나와, 트랜스시버(Transceiver)로 구성되는 메인안테나와, 상기 D/S 안테나로 부터 수신되어진 데이터를 DVB-T 수신기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다운변환기(220)와, 상기 단자함에 연결되어진 동축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무선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안테나측으로 제공하는 업변환기(210), 및 상기 다운변환기(220)와 업변환기(210) 및 상기 단자함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로 구성된다.The ground apparatus ODU 200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 D / S (Diversity) antenna and a transcei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onboard apparatus ODU, as shown in FIG. 12. The main antenna, a down converter 220 for conver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D / S antenna into data recognizable by the DVB-T receiver, and a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a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box. An up converter 210 converts a signal to the main antenna and provides a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data flow between the down converter 220, the up converter 210, and the terminal box.

즉, 지상장치 ODU(200)는 단자함에서 영상 및 데이터신호와 전원을 공급받아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송출하는 장치로써, 단자함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은 각각 ODU별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지고, ODU까지 연결되는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할 염려가 없으므로 ODU내부에 주 전원부가 아닌 또 다른 1개의 보조 전원부를 설계함으로써 전원장치 이상 동작시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내부 회로를 구성하였다. That is, the ground apparatus ODU 200 is a device that transmits the frequency of the 22GHz band by receiving video and data signals and power from the terminal box, the signals and power supplied from the terminal box are each connected by a coaxial cable for each ODU, up to the ODU Since there is no fear of the cable being disconnected or connected, another auxiliary power supply is designed inside the ODU, so the internal circuit is configured to operate normally by receiving auxiliary power when the power supply malfunctions.

도시한 제어부내의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서는 신호를 합성하는 부분과 Tx IF, Rx IF, Telemetry, DC Power를 분리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져 있다.In the illustrated multiplexer, a multiplexer consists of a part for synthesizing a signal and a part for separating Tx IF, Rx IF, telemetry, and DC power.

본선에 설치되는 지상장치 ODU는 살수 및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지상장치 ODU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차상장치와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Diversity 안테나를 채용하여 안정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다.The ground equipment ODU installed on board the ship is designed to be free from watering and rainfall. The ground equipment ODU is designed to allow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o enable bi-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onboard devices, and stable transmission is possible by adopting Diversity antenna.

상술한 지상장치 ODU(200)의 구성에 대응하는 차상장치(300)는 첨부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차 차량내 구비되어 있는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송출하며 내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분기부(DVB-T Diversity NIM)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분기부를 통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경로등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Com. Port & De-MUX A/V Switch)와,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MPEG규약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MPEG 디코더; 및 상기 MPEG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MPEG 파일을 생성하는 MPEG 파일 리코더로 구성되어진 다.As shown in FIG. 13, the on-vehicle device 300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ground apparatus ODU 200 receives data received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vehicle to acquire the vehicle environment. A central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rough the mean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system, an image branch unit (DVB-T Diversity NIM) for branching and outputt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and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An interface processing unit (Com. Port & De-MUX A / V Switch)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image data processed through the image branching unit, and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is decod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MPEG protocol A plurality of MPEG decoders; And an MPEG file recorder for generating an MPEG file based on a part of data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or.

상술한 구성부를 점선으로 묶어 참조번호 310으로 지칭하며, 참조번호 320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차상장치 ODU(320)으로써 그 상세한 회로 구성은 첨부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즉, 차상장치(300)는 IDU(310), ODU(320), 15" LCD모니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enclosed in dotted lines and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310, and 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a next-order device ODU 320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thereof is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n-vehicle device 300 is composed of an IDU 310, ODU 320, 15 "LCD monitor (not shown).

차상장치 IDU(310)는 영상전송 및 RF 신호 수신 후 데이터 복원 및 영상 복원을 하는 부분이며, ODU(320)는 첨부한 도 14에 도시되어 잇는 바와 같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Transceiver와 Receiver 역할을 하는 안테나가 있으며, 지상장치 ODU(200)에서 송신되는 3개의 주파수 채널을 동일한 신호로 처리하여 DVB-T Demodulator에서 항상 동일한 IF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IF Processing Card가 있다.The on-vehicle device IDU 310 is a part for data restoration and image restoration after image transmission and RF signal reception, and the ODU 320 serves as a transceiver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s shown in FIG. There is an antenna, and there is an IF Processing Card for processing three frequency channels transmitted from the ground apparatus ODU 200 to the same signal so that the DVB-T Demodulator always receives the same IF signal.

또한, 차상장치 IDU(310)에는 지상에서 전송되어 오는 TLM 신호를 복조하여 처리하는 DATA 수집과 비상 신호 수신시 알람표출 장치가 있으며, 차상장치의 장비상태를 전송할 수 있는 ASK MODULATOR가 있다. 더욱이 차상장치 IDU에서는 수신되는 영상을 DVR를 사용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갖고, 이 데이터의 목적은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분석용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vehicle device IDU 310 includes an alarm display device for demodulating and processing the TL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round and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nd an ASK MODULATOR capable of transmitting the equipment state of the on-vehicle device. Furthermore, in-vehicle IDU has a function of storing a received image using a DVR, and the purpose of this data can be used as analysis data when an accident occurs.

즉, 상기 MPEG 파일 리코더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백업용으로 PC나 노트북을 사용하게 된다.That is, a PC or a notebook is used for data backup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MPEG file recorder.

또한, 통합운영/유지관리 장치에서 지상장치 ODU의 제어는 지상장치 IDU 내부에 ASK MODULATOR(이하 Telemetry or TLM)를 사용하여 통신 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장거리에 설치된 ODU 와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첨부한 도 11에 도시되어 잇는 바와같다.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operation / maintenance device, the control of the ground device ODU converts a communication signal into an RF signal using an ASK MODULATOR (hereinafter called Telemetry or TLM) inside the ground device IDU to communicate with the ODU installed over a long distance.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is as shown in FIG.

또한, 각 역사에 설치된 지상장치는 통합 운영 장치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져 있어 IDU는 기존의 지하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지상장치의 IDU상태 / ODU의 동작상태 등 각종정보를 TCP/IP를 통해 송신을 할 수 있어,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는 이 정보를 수신하여 장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round equipment installed in each station is designed to be interoperable with the integrated operating equipment. IDU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subway network to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DU status of the ground equipment / ODU operation status through TCP / IP. In the same network, thi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equipment.

첨부한 도면 중 도 15와 도 16은 전동차 차고지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15는 차상장치 시험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16은 지상장치 시험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15 and 1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garage, Figure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pparatus test system, Figure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apparatus test system.

이를 통해 차고지에서 출발하는 각 전동차에 대해 차상장치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게 된다.Through this, it is checked whether the onboard device is abnormal for each electric vehicle departing from the garage.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면, 각 전동차의 운행실내 요원은 해당 전동차의 진출입 역사내 환경과 선로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입을 위한 해당 역사내 환경이 운행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이를 자체적으로 제어할수도 있으며 중앙통제시스템에 통지하여 적합한 대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잇게된다.By providing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personnel of each electric vehicle can recognize the environment in the entry and exit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nvironment of the track in real time. In this way, if the environment in the history for entry is not suitable for operation, it can be controlled by itself, and the central control system can be notified to facilitate appropriate response.

Claims (20)

각 역사내부 및 주변선로의 환경을 화상으로 취득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취득수단과;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the environment of each of the history internal and peripheral lines as an image; 역사내부 및 선로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취득수단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무선송출하는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과;A plurality of terrestrial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which are located in the history and around the track and wirelessly transmits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means;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송출하거나 주변에 위치하는 지상환경 송출수단들로부터 송출되어진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차량환경 취득수단과;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data on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eceiving and acquir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located in the vicinity or wirelessly; 전동차의 운행실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취득되어진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데이터 혹은 진입 역사내부의 운행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동차의 운행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차량환경 통지수단과;Vehicl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system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ic vehicle acquir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or data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in the entry history and notifying the operating personnel of the electric vehicle, provided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electric vehicle; 각 역사내 위치하며 해당 역사내 구비되어 있는 영상취득수단으로부터 취득되어진 화상데이터를 관할 영역내의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으로 제공하며 역사내로 진입하거나 해당 역사를 출발하는 전동차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사 내외부의 환경과 선로의 환경 및 진출입차량의 환경등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한 후 이를 역사내 관리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관활 환경 통지수단과 각 역사내에 구비되어진 관활 환경 통지수단를 통해 통지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체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제어통제하는 교통 통제 중앙수단과;Radios transmitted from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of electric cars entering or leaving history, providing image data acquired from image acquisition means provided in the history to the abov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in the jurisdiction and entering the history. Receives the data and collects data on the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history, the environment of the track and the environment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s, and then through the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management personnel in the history and the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provided in each history. A traffic control central means for acquiring data and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entire electric vehicle driven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ck; 상기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들과 관활 환경 통지수단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자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electric vehicle runn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conn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data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and the activity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은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D/S(Diversity) 안테나와;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D / S (Diversity) antenna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obtaining means; 트랜스시버(Transceiver)로 구성되는 메인안테나와; A main antenna composed of a transceiver; 상기 D/S 안테나로부터 수신되어진 데이터를 DVB-T 수신기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다운변환기와;A down converter for converting data received from the D / S antenna into data recognizable by a DVB-T receiver; 상기 단자연결수단에 연결되어진 동축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무선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안테나측으로 제공하는 업변환기; 및An up converter for converting a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a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ng means into a wireless data signal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main antenna; And 상기 다운변환기와 업변환기 및 상기 단자연결수단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ata flow between the down converter, the up converter, and the terminal connect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는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antenna is a vehicle driving section and vehicle statu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frequency of 22GHz ban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은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의 메인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하여 VHF 대역의 낮은 IF 주파수로 변조하고,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22GHz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receives a frequency of 22 GHz band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antenna of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modulates the low IF frequency of the VHF band, and modulates data of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a frequency of 22 GHz band.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은 1개의 리시버(Receiver)에서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Polarity Diversity 시스템을 채용하여 최적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며, 두 개의 안테나중 하나의 안테나는 송수신을 겸하도록하여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22GHz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 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adopts a Polarity Diversity system using two antennas in one receiver to receive an optimal radio signal, and one of the two antennas transmits and receives a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a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odulated data is transmitted to a frequency of 22 GHz ban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환경 통지수단은 전동차 차량내 구비되어 있는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송출하며 내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The vehicl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which receives data received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system;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영상분기부와;An image branching unit for branching and outputt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obtaining unit;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분기부를 통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경로등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와;An interface processor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image data processed through the image diverter by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ler;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MPEG규약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MPEG 디코더; 및A plurality of MPEG decoders for decoding and outputting a signal output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or according to an MPEG protocol; And 상기 MPEG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MPEG 파일을 생성하는 MPEG 파일 리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n MPEG file recorder for generating an MPEG file based on a part of data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o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MPEG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LCD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n LCD monitor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displaying the image as an imag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MPEG 파일 리코더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백업용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수단으로써 PC나 노트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 data backup means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said MPEG file recorder and using a PC or a notebook as said means. 각 역사내부 및 주변선로의 환경을 화상으로 취득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취득수단과;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the environment of each of the history internal and peripheral lines as an image; 역사내부 및 선로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취득수단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무선송출하는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과;A plurality of terrestrial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which are located in the history and around the track and wirelessly transmits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means;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송출하거나 주변에 위치하는 지상환경 송출수단들로부터 송출되어진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차량환경 취득수단과;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data on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eceiving and acquir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located in the vicinity or wirelessly; 전동차의 운행실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환경 취득수단을 통해 취득되어진 전동차의 시스템 환경데이터 혹은 진입 역사내부의 운행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동차의 운행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차량환경 통지수단과;Vehicle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system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ic vehicle acquired through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or data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in the entry history and notifying the operating personnel of the electric vehicle, provided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electric vehicle; 각 역사내 위치하며 해당 역사내 구비되어 있는 영상취득수단으로부터 취득되어진 화상데이터를 관할 영역내의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으로 제공하며 역사내로 진입하거나 해당 역사를 출발하는 전동차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사 내외부의 환경과 선로의 환경 및 진출입차량의 환경등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한 후 이를 역사내 관리요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관활 환경 통지수단과 각 역사내에 구비되어진 관활 환경 통지수단를 통해 통지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해당 선로를 통해 운행되는 전체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제어통제하는 교통 통제 중앙수단과;Radios transmitted from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of electric cars entering or leaving history, providing image data acquired from image acquisition means provided in the history to the above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in the jurisdiction and entering the history. Receives the data and collects data on the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history, the environment of the track and the environment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s, and then through the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management personnel in the history and the management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provided in each history. A traffic control central means for acquiring data and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entire electric vehicle driven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ck; 상기 복수의 지상환경 송출수단들과 관활 환경 통지수단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자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electric vehicle runn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conn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data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environment transmitting means and the activity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상기 관활 환경 통지수단은 상행선 선로상의 전동차 운행 환경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The activity environment notification means includes: an uphill track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for acquiring a driving environment on an uphill track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image data; 하행선 선로상의 전동차 운행 환경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하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An downhill track environment data generator for acquiring driving environment of the downhill track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역사내부의 이용자의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사내부환경 데이터 발생부와;A history internal environment data generation unit for acquiring data on the environment of the user in the history, generating the image data,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상기 상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와 하행선로환경 데이터 발생부 및 역사내부환경 데이터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취합하여 DVB-T 규격에 따른 전송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출데이터 생성부; 및A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for collect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uplink environmental data generator, the downline environmental data generator, and the internal internal data generator to generate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the DVB-T standard; And 상기 송출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화상데이터와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에 대한 제어신호등을 묶어 상기 지상환경 송출수단측에 제공하는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 transmission unit which bind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and a control signal for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ssion mean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ground environment transmission means.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교통 통제 중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실장하기 위해 입력되는 원격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송출부측에 제공하는 원격측정 데이터 송출용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Monitoring the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status further comprises a modulator for transmitting the remote measurement data provided to the transmitting unit by modula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 to mount the remot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traffic control central means system.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상행선 방향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행수신기와;An ascending receiver which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ring means in the ascending direction; 하행선 방향의 차량환경 취득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행수신기와;A downward recei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nvironment acquisition means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상행수신기와 하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차상 TLM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modulat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eceivers to collect on-vehicle TLM data.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상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 1대역통과필터와;The data processor includes: a first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uplink receiver; 상기 제 1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FSK복조기와;A first FSK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bandpass filter; 상기 하행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 2대역통과필터와;A second bandpass filter for filte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downlink receiver; 상기 제 2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 2 FSK복조기와;A second FSK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bandpass filter; 상기 FSK복조기들로부터 복조되어진 데이터를 취합하는 데이터 수집기; 및A data collector for collecting demodulated data from the FSK demodulators; And 상기 데이터 수집기를 통해 취합되어진 데이터를 차상 TLM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ata collector as on-vehicle TLM data. 각 역사내부 및 주변선로의 환경을 화상으로 취득하는 제 1과정과;A first process of acquiring the environment of each of the internal and peripheral tracks as an image; 역사내 중앙시스템에서 자신의 관할영역에 존재하는 역사내부 및 선로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송수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1 과정에서 취득되어진 화상데이터를 송출하는 제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cquired in the first process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located in the history and in the vicinity of the track in the jurisdiction of the central system in the history; 전동차의 운행실에서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송출되어진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진행방향의 역사 및 선로 환경에 대해 표시하는 제 3과정과;A third step of receiving im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tep in the driving room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isplaying the history of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track environment; 상기 전동차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측으로 송출하는 제 4과정과;A fourth step of collecting data on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to the radio transceiver;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와 해당 무선송수신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역사내 중앙시스템에서 취득하는 제 5과정; 및A fifth step of acqui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radio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data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radio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rom the central system in the history; And 교통 통제 중앙시스템에서 상기 역사내 중앙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여 전체 교통망의 상황을 관리 감독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In the traffic control central system in a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system in the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operating method including the sixth step of managing and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entire traffic network, 상기 제 2과정과 제 4과정상의 데이터 송수신 방식은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방식이며, DVB-T 규약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of the second process and the fourth process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frequency of 22GHz b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VB-T protoc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3과정과 제 5과정상의 데이터 처리방식은 VHF 대역의 낮은 IF 주파수로 변조하여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third process and the fifth process is operated by modulating and utilizing the low IF frequency of the VHF band.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3과정을 통해 표시되는 운행환경은 전동차 운행방향으로 임의의 역사 출발시 출발 역사의 운행환경이 진출후 200m까지 표출되며, 200m를 지나는 시점에서 다음 진입 역사의 운행환경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The operating environment displayed through the third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departure history is displayed up to 200m after the departure at any history in the direction of driving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next entry history is displayed when the 200m passes. The operating section of the train and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전동차의 차고지에서 전동차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검사 과정을 수행한 후 운행하도록 하는 전동차 검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a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inspection process for driving after performing an inspection process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at a garage of the electric vehicle.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전동차 검사과정은 차고지 진출입시 이루어지며, 2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이상 유무를 판독하는 단계와;The electric vehicle inspection process is carried out when entering and exiting a garage, and rea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error of data using a frequency of a 22 GHz band; 수신되어진 데이터를 활용한 표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행구간과 차량 상황 감시 시스템의 운영방법.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ection and vehicle statu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play abnormality using the received data.
KR1020070003827A 2007-01-12 2007-01-12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868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27A KR100868909B1 (en) 2007-01-12 2007-01-12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27A KR100868909B1 (en) 2007-01-12 2007-01-12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05A KR20080066405A (en) 2008-07-16
KR100868909B1 true KR100868909B1 (en) 2008-11-14

Family

ID=398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27A KR100868909B1 (en) 2007-01-12 2007-01-12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75B1 (en) * 2008-08-18 2009-03-24 주식회사 씨엠유니버샬 A station building integra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al method thereof
KR100975591B1 (en) * 2010-01-04 2010-08-13 (주)파인텔레콤 Auto-control application method of wireless image transmission device using train operation information
KR101159682B1 (en) * 2012-01-05 2012-06-26 (주)파인텔레콤 Trnasmitting/receiving apparatus for envent occurred in trai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159683B1 (en) * 2012-01-05 2012-06-25 (주)파인텔레콤 Method for controlling a room video output using train operation infrormation
KR101660848B1 (en) * 2014-12-10 2016-09-29 (주)위아이티 Surveillance CCTV system for subway cabin and transmission method for subway cabin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08995678B (en) * 2018-08-14 2020-11-17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Method for generating monitoring interface of rail transit network management system
CN111190381A (en) * 2020-01-20 2020-05-22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Door leaf control method and door leaf controller of rail vehicle do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470A (en) * 2003-05-16 2003-06-25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Wireless monitoring system of subway platform and railroad line for train
KR200416357Y1 (en) 2006-02-28 2006-05-15 (주)가디엘 Apparatus for video monitoring of subway train
KR20060127339A (en) * 2005-06-07 2006-12-12 주식회사 마니정보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curity of a traffic using traffic operating informations and a method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470A (en) * 2003-05-16 2003-06-25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Wireless monitoring system of subway platform and railroad line for train
KR20060127339A (en) * 2005-06-07 2006-12-12 주식회사 마니정보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curity of a traffic using traffic operating informations and a method using thereof
KR200416357Y1 (en) 2006-02-28 2006-05-15 (주)가디엘 Apparatus for video monitoring of subway t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05A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909B1 (en) A system for railway surveill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693716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vehicle security monitoring
KR101660585B1 (en) Bus Information System
KR100812315B1 (en) Bidirectional microwave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and the value-adde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CN101108627A (en) Automatic monitored control system for railway driving safe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850740B1 (en) Unified operation system using microwave communication for a train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05321B1 (en) Balise monitoring device and the method using it
JP2011119912A (en) In-vehicle monitoring system
KR100908730B1 (e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100991407B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electric railway based ground control
JP3564257B2 (en) ITV system for safety confirmation
US20020186670A1 (en) Video and sound signal broadcasting system applicable to railways
KR100395825B1 (en) Wireless monitering system for railroad watching of subway platform
JP2006279259A (en) System for monitoring television broadcast wave and for notifying monitoring result
KR200416357Y1 (en) Apparatus for video monitoring of subway train
RU2405699C1 (en) Passanger train central safety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RU53988U1 (en) MULTI-FUNCTION ON-BOARD INFORMATION SYSTEM OF PASSENGER CARS OF RAILWAY TRANSPORT "INBERA"
JP3713526B2 (en) Driver's cab monitor backup system
KR100787924B1 (en) Train mobile monitoring system
JP3725123B2 (en) Wireless monitoring system for subway platform track monitoring
JPH04266567A (en) Obstacle monitoring device
KR102402658B1 (en) Real time monitoring system using emergency broadcasting reception equipment of fm-dmb for railway underground section
KR200236744Y1 (en) Wireless monitering system for railroad watching of subway platform
JP2005136905A (en) Interphone system and signal relay apparatus
KR20030051470A (en) Wireless monitoring system of subway platform and railroad line for 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