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328B1 -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328B1
KR100532328B1 KR1019980035797A KR19980035797A KR100532328B1 KR 100532328 B1 KR100532328 B1 KR 100532328B1 KR 1019980035797 A KR1019980035797 A KR 1019980035797A KR 19980035797 A KR19980035797 A KR 19980035797A KR 100532328 B1 KR100532328 B1 KR 10053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orthogonal gold
sequence
symbol
ortho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743A (ko
Inventor
박수원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3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32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A002306509A priority patent/CA2306509A1/en
Priority to PCT/KR1999/000498 priority patent/WO2000013324A2/en
Priority to AU55314/99A priority patent/AU746080B2/en
Priority to BR9906760-9A priority patent/BR9906760A/pt
Priority to EP99941830A priority patent/EP1048116B1/en
Priority to RU2000111515/09A priority patent/RU2193277C2/ru
Priority to CNB998014990A priority patent/CN1190908C/zh
Priority to DE69934573T priority patent/DE69934573T2/de
Priority to US09/386,062 priority patent/US6603735B1/en
Publication of KR2000001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43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hop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8Parallel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H04B1/7093Matched filte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직교부호 도약패턴을 이용하여 이동국이 서비스 받을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도약패턴 생성 및 식별에 이용되는 직교부호 중 1개를 종래의 방식에서는 전송해야 할 시점에서 의도적으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기지국 송신기 및 이동국 수신기에서의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기지국에서 이동국 방향으로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PN시퀀스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본 발명은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약패턴 생성 및 식별에 사용되는 직교코드들 중 일부에 공부호를 할당하여 PN시퀀스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라 칭함) 통신 시스템은 직교부호(orthogonal code)를 사용하여 채널을 구별하고, 스크램블링 부호(Scrambling Code)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 및 스펙트럼 특성을 좋게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는 PN (Pseudo-random Noise) 시퀀스(또는 부호)라고 불리우며, m-시퀀스 또는 골드시퀀스 등이 이용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동기식 CDMA 통신시스템에서 다수의 셀을 구성하는 각 기지국들이 사용하는 PN시퀀스를 도시하고, 도1b는 상기 PN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PN시퀀스 발생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1a에서는 7개의 기지국이 도시되었으며, 상기 각 기지국은 인접한 다른 기지국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PN시퀀스를 사용함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상기의 PN시퀀스를 각 기지국에 할당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 방법은 모든 기지국이 동일한 반송파를 사용하고 기준 시각 신호에 의하여 동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든 기지국에 동일한 PN시퀀스를 할당하되 특정 절대시각에서 시퀀스위상을 다르게 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기지국들은 서로 다른 PN시퀀스 오프셋(Offset)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기지국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직국은 인접한 기지국과 동일한 PN시퀀스로 확산된 인페이즈 신호와 상기 인접 기지국들과 서로 다른 오프셋을 갖는 PN시퀀스로 확산된 쿼드러쳐 신호를 합산하여 송신한다. 단말은 상기 인페이즈 신호와 쿼드러쳐 신호가 합산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쿼드러처의 오프셋에 의해 기지국을 구분한다.
두 번째 방법은 같은 반송파를 사용하는 인접한 기지국간에 서로 다른 PN시퀀스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상기 첫 번째와 같이 외부의 기준신호에 의하여 기지국들이 동기가 맞추어져 있는 기지국간 동기방식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구분 방식은 시스템내에 하나의 PN시퀀스(쌍)만 존재하고, 각 기지국들은 모두 동일한 PN 시퀀스와, 미리 할당되어 있는 해당 PN 오프셋을 가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N시퀀스에 의해 확산되는 인페이즈 신호와 상기 오프셋만큼 지연된 PN시퀀스로 확산되는 쿼드러처 신호를 송신하므로써 단말이 기지국을 구별할 수 있다.을 갖는다. 상기 도 1a에 도시된 각 기지국 BS#A-BS#G의 PN 시퀀스 오프셋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현재 상용화되어 운용중인 기지국간 동기방식의 IS-95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구분을 위하여 215-1 길이의 PN 시퀀스에 "0"이 14(15-1)번 반복한 후, 강제적으로 "0"을 하나 삽입한 215(=32768=64*512) 길이의 확장 PN 시퀀스(extended PN sequence)를 이용한다. 이때 기지국 구분은 32768 길이를 64칩 단위로 구분하는 경우 발생되는 512개의 시작점(오프셋#0-오프셋#511)을 기지국에 할당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구조의 기지국을 운용하는 경우, {a,b,c,d,e,f,g}⊂{0,1,2,...,511}이고, #{a,b,c,d,e,f,g}=7이 된다. BS#1은 BS#0과 64칩 오프셋된 확장 PN 씨퀀스를 출력하고, BS#2는 상기 BS#0 보다 2*64칩 오프셋된 확장 PN 씨퀀스를 출력한다. 이를 표현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CDMA 통신 시스템의 모든 기지국들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과 같이 기준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수신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기지국이 동일한 시각에 신호를 송신하므로, 한쌍의 I채널 및 Q채널의 PN시퀀스를 오프셋만 다르게 하여 기지국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각 기지국들은 동일한 PN 시퀀스를 사용하며, 동일 시각에서 각각 설정된 오프셋 값에 따른 PN 시퀀스를 사용하여 송신신호를 대역확산하므로, 각 기지국들의 구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b는 PN시퀀스 발생기의 일 예이다. 도 1b에 주어진 PN시퀀스는 218-1길이의 골드시퀀스(Gold Sequence) 발생기이며,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프레임 길이에 해당하는 10msec의 킬이만큼만 단축하여 사용한다. 4.096Mcps의 칩률에 대해서는 40960칩이 주기가 된다. 기지국번호에 대응하는 초기값을 이용하여 상기의 PN시퀀스 발생기는 서로 다른 PN시퀀스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모든 기지국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과 같은 기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기지국들이 동일한 시각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한쌍(I 채널과 Q 채널)의 확산 PN 시퀀스를 오프셋만 달리하여 기지국을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지국이 건물 내부나 지하도 등에 설치되어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동기식 CDMA 통신시스템은 상기 GPS의 출력신호를 수신 가능한 지역에서 수신한 후 유선으로 해당 기지국까지 상기 GPS 신호를 전송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유선을 통해 수신되는 GPS신호의 지연 등으로 인하여 유선으로 GPS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의 기준 시각보다 늦게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잘못된 기준 시각에서 맞춰 기지국 구분을 위한 확산동작을 수행하므로써 기준 시각 정보를 이용한 기지국 구분의 의미가 퇴색하게 된다. 또한 모든 기지국들이 GPS신호와 같은 하나의 기준 시각신호에 동기되는 기지국간 동기방식의 CDMA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GPS 위성은 군사 위성이므로 의도적인 오동작 또는 불가피한 고장이 발생되면 통신망이 마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IS-95 시스템과 같이 기지국간 동기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CDMA 시스템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간 비동기 방식을 채택한 CDMA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기지국 간 비동기 방식을 채택하는 CDMA 통신시스템은 동기 방식을 채택하는 CDMA 통신시스템과 같이 한쌍의 확산 PN 시퀀스를 단지 오프셋 만으로 기지국들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자기 상관 특성(autocorrelation)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인접한 기지국이 어떤 시각신호에 맞춰 송신되는 지를 모르기 때문에, 임의 위치의 단말기에 두 기지국에서 온 신호가 같이 도달되어 충돌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말기가 두 기지국의 출력에 의해 충돌되는 신호를 수신할 확률이 매우 작다하더라도, 이런 확률이 존재한다는 것은 매우 치명적인 결점이 된다. 그러므로, 비동기 CDMA 통신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단말기는 상호 상관 특성(cross-correlation)을 이용하여 인접한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대역 확산된 신호를 분석하여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처음에 단말기가 전원을 켜거나 핸드오프(handoff)를 위하여 통화 중에 인접한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 후보가 되는 모든 PN 시퀀스를 하나씩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을 탐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동기 방식은 동일한 조건하에서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PN 시퀀스를 모든 기지국에서 같이 사용하는 기지국간 동기 시스템에 비하여, 불확실 구간이 PN시퀀스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지국을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지국 간 비동기 시스템에서 해당 셀 내에 출력하는 정보를 대역 확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PN 시퀀스가 무엇인지를 빨리 확인할 수 있다면 부호 포착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부호포착(Code Acquisition)이라는 것은 수신된 신호의 시퀀스위상과 수신기에서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시퀀스위상간의 위상차를 반 칩 이내로 줄이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은 PN시퀀스 식별과정과 초기 시퀀스 동기 포착을 포함한다.
기지국간 비동기 방식의 CDMA 이동통신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기지국간에 절대시각에 대한 기본 설정이 없기 때문에 단말기는 우선적으로 각각의 셀에 해당하는 시퀀스의 종류을 알아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사용된 확산 시퀀스의 시작점이 원상의 확산 시퀀스 시작점과 반칩 이내의 위상 오류만을 남기는 초기 시퀀스 포착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상기 동기 포착된 시퀀스는 동기 추적과정에 의하여 상기의 반칩 이내의 시퀀스 위상차를 유지한다. 셀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은 비동기 방식에서 시퀀스의 종류를 알아내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각국에서는 기지국간 비동기 방식의 셀의 동일 확산 시퀀스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비동기 CDMA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NTT DoCoMo 방식, Ericsson 방식, TI(Texas Instrument) 방식등이 있다. 상기 제안된 방식들 중에서 TI 방식이 가장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방식들에서 단말기는 빠른 시퀀스 포착과 PN시퀀스의 종류, 즉 PN시퀀스의 그룹을 알아내기 위해서 병렬 상관기(Parallel Correlator)를 사용한다. 상기 병렬 상관기는 상호 상관기(Cross-Correlator)이며, 상기 PN시퀀스 그룹수와 동일한 수의 상호 상관기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수신기의 셀 탐색 회로는 단말기의 하드웨어 복잡도를 높인다.
기존의 제안된 TI의 셀 탐색의 경우, 다음의 3단계를 통해 셀 탐색을 수행한다.
1단계는 시간 슬롯 동기를 획득한다.
2단계는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PN시퀀스가 속하는 군 또는 집단을 식별한다.
3단계는 상기 PN시퀀스에 대한 동기 포착을 수행한다.
상기의 1단계에서 수신기는 시간슬롯 동기 뿐만 아니라 심볼 동기 및 미흡하나마 칩동기까지 획득한다. 상기 2단계에서는 17개의 구성원소를 가지는 콤마 프리코드(Comma Free Code)를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동기와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비동기복조(Noncoherent Demodulation)를 통하여 식별한다. 상기 수신기는 식별된 PN시퀀스군내의 모든 PN시퀀스를 해당 상관기를 이용하여 상관값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상관값을 비교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PN시퀀스를 현재 이동국이 속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이 사용하는 PN시퀀스로 판단한다.
도 2a는 일반적인 TI방식을 채택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비동기식 CDMA 통신시스템의 순방향 채널에는 1차 동기채널(Primary Synch CHannel), 2차 동기채널(Secondary Synch CHannel), 공용물리채널(CPCH: Common Physical CHannel), 전용물리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 등으로 구성된다. 공용물리채널도 1차 공용물리채널(Primary CPCH)과 2차 공용물리채널(Secondary CPCH)로 구성된다. 1차 공용물리채널은 방송채널이며 2차 공용물리채널은 호출채널 등과 같이 필요시만 활성화되는 공용채널이다.
200은 1차 동기채널용의 직교골드부호 (OGC: Orthogonal Gold Code:이하 "제1직교골드부호 발생기" 라 함) OGC#0 발생기이다. 상기 발생기 200의 출력인 직교골드부호 OGC#0는 1차 공용물리채널의 한 심볼길이이며, 2차 동기채널용의 직교골드부호와 직교성을 유지한다. 상기 1차 동기채널은 도 2b와 같이 각 슬롯의 특정위치에서 2차 동기채널과 같은 위치에 존재한다. 상기의 1차 동기채널에 사용되는 직교골드부호 OGC#0는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다. 즉, 상기 1차 동기채널은 각 슬롯에서 2차 동기채널이 존재하는 위치를 알려준다. 이동국은 정합여파기를 이용하여 1차 동기채널을 검출하고, 심볼동기, 슬롯동기 및 칩 동기를 수행한다. 증폭기 210은 1차 동기채널의 송신전력을 원하는 크기로 증폭한다. 상기 2차 동기채널용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이하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부" 라 함) 220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약패턴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도약패턴 정보에 따라 각 슬롯에서 해당 직교골드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부 220은 도 2c와 같이 한 프레임내의 각 슬롯에 존재하는 16개의 직교골드부호의 도약패턴에 따라 해당 기지국이 사용하는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에 대한 직교골드부호를 해당 슬롯에서 발생시킨다. 상기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기 220은 직교골드부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기 221, 222, 223, 224와, 선택기 228과 제어기 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직교부호 발생기 221은 도약패턴 생성에 사용되는 S개의 직교골드부호 중 첫 번째 직교골드부호 OGC#1을 생성하는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이다. 제2 직교골드부호 발생기 222는 도약패턴 생성에 사용되는 S개의 직교골드부호 중 두번째 직교골드부호 OGC#2를 생성하는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이다.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기 223은 도약패턴 생성에 사용되는 S개의 직교골드부호 중 (S-1) 번째직교골드부호 OGC#(S-1)을 생성하는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이다.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기 224는 도약패턴 생성에 사용되는 S개의 직교골드부호 중 S번째 직교골드부호 OGC#S를 생성하는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이다 선택기(Selector: 228)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다수의 제2직교골드부호들 중 특정 제2직교골드부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어기 226은 콤마 프리 코드(Comma Free Code)에 기반한 도약패턴에 따라 선택기 228을 제어한다. 상기 콤마 프리 도약 패턴은 기지국 구분을 위해 제2직교골드부호들의 발생 순서를 나타낸다. 상기 콤마 프리 도약 패턴들은 상호간 직교성을 갖는다. 상기 콤마 프리 도약 패턴은 도2c에 나타내었으며, 도2c에서 각 그룹이 콤마 프리 도약패턴을 나타낸다. 상기의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부 220은 상기의 제어기 226에 의하여 저장된 값을 출력하는 메모리일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에 상기 제어기 226에 의한 도약패턴에 따라 초기값을 달리 로딩하여 여러 직교골드부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2차 동기채널의 직교골드부호 도약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콤마 프리 코드를 수신측에서 복호화하여 전송된 콤마 프리 코드가 무엇인지를 식별함으로써 프레임 동기 및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한다. 증폭기 232는 상기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부 220에서 출력되는 2차 동기채널의 송신전력을 원하는 크기로 증폭한다. 스위치 214와 234는 도 2b의 신호도와 같이 각 슬롯에서 각각 1차 동기채널 및 2차 동기채널이 존재하는 구간에서만 닫힌 상태이며 다른 구간에서는 열린 상태이다. 합산기 212는 1차 동기채널과 2차 동기채널을 더한다. 역다중화기 240은 채널부호화 및 인터리빙등을 거친 공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I채널과 Q채널로 분리한다. 혼합기 242와 243은 기지국에서 이동국쪽으로의 순방향 채널을 구분하기 위한 직교부호와 상기 역다중화기 240의 출력을 곱한다. 증폭기 244와 247은 상기 공용물리채널을 원하는 크기로 증폭한다. 역다중화기 260은 채널부호화 및 인터리빙등을 거친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I채널과 Q채널로 분리한다. 혼합기 262와 263은 기지국에서 이동국쪽으로의 순방향 채널을 구분하기 위한 직교부호와 상기 역다중화기 260의 출력을 곱한다. 증폭기 264와 267은 상기 공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원하는 크기로 증폭한다. 증폭기 210, 232, 244, 245, 264, 265는 상기의 채널들간의 상대적인 송신전력을 맞추기 위하여 증폭한다. 합산기 246과 합산기 247은 각각 상기의 순방향 공용제어채널과 전용제어채널의 I채널신호와 Q채널 신호를 더한다. 복소확산기 270은 합산기 246과 247의 출력을 PN시퀀스 발생기 268의 출력과 복소수곱하여 복소확산한다. 상기의 PN시퀀스 발생기 268은 제1 PN시퀀스 PN_I 발생기 266과 제2 PN시퀀스 PN_Q 발생기 26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N시퀀스 발생기의 일 예는 도 1b에 주어져 있다. 합산기 280과 281은 합산기 212의 출력인 1차 및 2차 동기채널의 신호와 상긴의 복소확산기 270의 출력을 더한다. 여파기 282와 283은 상기 합산기 280과 281의 출력을 저역여파한다. 증폭기 284와 285는 실제적인 송신전력의 크기로 증폭한다. 90°위상천이기 292는 I채널에 곱해질 반송파 cos(2πfct)를 입력으로하여 Q채널에 곱해질 반송파 sin(2πfct)를 출력한다. 혼합기 286과 287은 각각 증폭기 284와 285의 출력에 반송파를 곱하여 고주파대역으로 신호를 이동시킨다. 합산기 290은 상기 혼합기 286과 287의 출력신호를 합하여 안테나로 전송한다.
도 2b는 도 2a의 기지국 송신기의 송신 신호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2b에서 칩률은 4.096Mcps이고, 프레임길이는 10msec이다 따라서 PN시퀀스의 주기는 40960칩이 된다. (4.096Mcps*10msec=40960칩) 도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퍼프레임은 통상 72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프레임은 16개의 시간 슬롯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슬롯의 길이는 0.625msec이다.
도 2b에서는 모든 기지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직교골드부호 OGC#0(이하 "제1직교골드부호" 라 함)이 1차 동기채널로 16ksps의 전송율을 가지는 1차 공용물리채널의 슬롯당 심볼 1개의 구간에서 존재한다.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에 따라 프레임내에서의 직교골드부호의 도약패턴이 다른 2차 동기채널은 상기의 1차 동기채널이 존재하는 구간에 존재한다. 상기 제1직교골드부호와 상기의 2차 동기채널용 직교골드부호(이하 "제2직교골드부호" 라 함)는 각 슬롯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 상기 제1직교골드부호와 제2직교골드부호는 직교성을 갖는다. 그러나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의 동기채널이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상기의 동기채널과 다른 공용물리채널 및 전용물리채널과 직교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의 1차 공용물리채널은 상기의 동기채널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도 2b와 같이 전송하고자하는 심볼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공용물리채널 및 전용물리채널과 같이 전송하고자하는 심볼이 존재할 수 있다. 1차 동기채널과 2차 동기채널로 인하여 상기의 구간에서 총 송신전력이 슬롯내의 다른 구간에 비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구간에서 1차 공용물리채널을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는 2차 동기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한 프레임의 각 슬롯에서의 제2직교골드부호를 표시한 것이다. 도 2a의 도면 참조번호 220의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기의 개수가 16개인 경우, 즉 S=17인 경우이며, 각 슬롯에 도 2c에 주어진 것과 같이 각 군(Group)별로 다른 직교골드부호의 도약패턴이 할당된다. 동일한 직교골드부호가 도약패턴 내에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의 도약패턴은 콤마 프리 코드에 의하여 생성한다. 앞에서 언급한 IS-95시스템과 같이 기지국 구분을 위한 PN 시퀀스가 512개이면 도 2c와 같이 군을 32개로 나누었을 경우 각 군에는 16개의 PN시퀀스가 포함된다.
도 3a는 도 2a의 기지국 송신기에 대응되는 이동국 수신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3a를 참보하여 TI 방식을 채택하는 비동기식 CDMA 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90°위상천이기 304는 반송파 cos(2πfct)를 입력받아 90°위상천이시켜 반송파 반송파 sin(2πfct)를 출력한다. 수신되는 신호는 역다중화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I신호와 Q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혼합기 300과 301로 입력한다. 상기 혼합기 300은 상기 I신호와 상기 반송파 cos(2πfct)를 곱하여 1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혼합기 301은 상기 Q신호와 상기 반송파 cos(2πfct)를 곱하여 Q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여파기 302와 303은 상기 혼합기 300과 301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한 대역내의 신호만을 여파하여 출력한다. 정합여파기(Matched Filter) 330은 상기 여파기 302와 303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직교골드부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제곱기 332는 상기 정합여파기 330의 출력을 제곱하여 출력한다.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는 상기 제곱기 332의 출력을 입력받아 매 슬롯마다 발생하는 1차 동기채널의 존재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제1차 동기채널의 존재유무는 정합여파기 330과 제곱기 332에서 출력되는 심볼에너지와 기준 에너지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에너지는 수신기가 알고 있는 OGC#0에 대한 심볼에너지이다.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는 1차 동기채널이 존재하면, 즉 제1직교골드 부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직교골드부호와 수신기가 알고 있는 제1직교골드부호 #0에 의해 상관값을 구하고, 상기 상관값이 최대값을 출력할 때 슬롯동기를 맞춘다. 그리고 1차 동기채널이 16ksps심볼율에 대해 한 심볼 구간동안만 존재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심볼동기를 맞춘다. 또한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는 수신되는 제1 직교골드부호 OGC#0가 정합여파기에서 피크값을 가지므로 대략적인 칩동기를 획득한다.
도3b, 3c, 3d는 정합여파기 330의 수신신호도를 나타낸 것으로 다중 경로 성분 및 인접기지국에서의 간섭 성분을 고려하지 않고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3b, 도c, 도3d에서 삼각형의 꼭지점이 정합여파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피크값의 위치이며, 상기 피크값의 위치가 각 슬롯의 시작점이 된다. 상관 검출부 340은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한다. 상기 상관 검출부 340은 다수개의 상관기 342, 344, 3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관기 342, 344, 346은 상기 여파기 302, 303의 출력을 입력받고,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에 의해 모든 가능한 S개의 직교골드부호를 병렬로 검출하여야 할 경우 상관기의 갯수 N=S-1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직교골드부호 S=17이고 상관기의 개수 N=16인 경우이다. N<(S-1)이면 병렬과 직렬을 겸용한 탐색기라 볼 수 있다. 병렬로 모든 가능한 경우를 탐색하는 경우에는 같은 시점에서 구한 상관값은 동일한 페이딩과 동일한 채널환경을 거쳐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직렬 탐색을 겸용하는 경우에는 현재 탐색에서의 채널환경과 다음 탐색에서의 채널환경이 동일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단말기내에 수신된 신호를 저장한 다음 탐색하지 않는 한 비교적 정확한 탐색결과를 얻기가 어렵게 때문에 이후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과정에서 오류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S=17이고, N=16인 경우를 예를 들어 상관 검출부 3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상관기(Correlator #0) 342는 17개의 제2직교골드부호들 중에서 첫번째 제2직교골드부호인 OGC #1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와의 상관값을 구하고, 제2상관기(Correlator #1) 344는 두 번째 제2직교골드부호인 OGC#2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와의 상관값을 구하고, 제N 상관기(Correlator #16) 346은 17번째 제2적교골드부호인 OGC #17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와의 상관값을 구한다.
상기 상관기 342, 344, 346의 출력은 각각 제곱기 352, 354, 356로 입력하고, 상관값을 입력받은 각각의 제곱기 352, 354, 356은 상기 상관값에 의하여 심볼에너지를 구하여 출력한다. 최대값 검출기(Store Maximum Value and Its Index) 350은 상기 제곱기 352, 354, 356으로부터 심볼에너지를 입력받고 각각의 최대 심볼에너지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순서에 따라 상관기의 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번호들에 의해 롱 코드 인덱스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최대값 검출기 350은 16개의 최대 심볼에너지가 검출될 때까지 수행된다.
콤마 프리 코드 테이블 362는 도2c와 같은 콤마 프리 코드표를 저장한다.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 360은 상기 상관기 번호와 최대 에너지값과 콤마 프리 코드 테이블 362에 저장되어 있는 콤마 프리 코드표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도약패턴, PN시퀀스 그룹을 결정한다. 상기 최대값 검출기 350에서 출력되는 롱 코드 인덱스는 해당 콤마 프리 도약 패턴이 가지는 제2직교골드코드들을 가지나 그 시점이 다를 수 있고, 무선 채널 환경 상의 특성으로 발생하는 에러에 의해 잘못된 제2직교골드부호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 360은 상기 롱 코드 인덱스를 입력받고, 상기 콤마 프리 코드 테이블 352의 콤마 프리 코드표를 참조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콤마 프리 도약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도약 패턴을 실제 콤마 프리 도약 패턴으로 간주한다. 제1스위치 366은 상기 최대값 검출기 350와 콤마 프리 코드 복호기 360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최대값 검출기 350의 출력이 콤마 프리 코드 복호기 360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제공을 온 또는 오프한다. 상기 제1스위치 366은 상기 최대값 검출기 350이 16개의 최대값을 검출했을 때, 온된다.
상기 결정된 도약 패턴 정보는 프레임 동기부 364로 입력한다 프레임 동기부 364는 상기 도약 패된 정보를 입력받아 프레임 동기를 맞추고, 프레임 동기가 맞춰졌음을 알리는 프레임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는 상관 검출부 340, 상기 제1스위치 366, 제2스위치 368, 상기 PN 발생기 312로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동기부 364는 상기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 360에서 출력되는 콤마 프리 패턴 정보에 의해 프레임동기를 수행한다. 프레임 동기부 364는 상관 검출기 340로 프레임 동기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를 스위치 366로 출력하여 상기 제1스위치 366을 오프시킨 다음 상기 도약패턴에 의하여 식별된 군내의 PN시퀀스에 대하여 상관값을 병렬 또는 직렬 방식에 의하여 구한다. N=16인 경우 17개의 상관기중 16개의 상관기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PN시퀀스에 대하여 상관값을 구한다. 최대값 검출기 350은 검증과정을 거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상관값의 크기에 근거하여 한번에 해당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를 식별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식별된 PN시퀀스를 제2스위치 368를 콤마 프리 코드 복호기 360으로 스위칭하여 결정된 롱 코드 인덱스, 즉 도약 패턴을 PN시퀀스 발생기 312에 통보한다. 상기 제2스[위]위치 368은 상기 프레임동기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상기 상관값 검출기350에서 검출된 롱 코드 인덱스를 PN시퀀스 발생기 312로 출력하고, 프레임 동기가 이루어지면, 상기 콤마 프리 복호화기 360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 정보를 PN 시퀀스 발생기 312로 출력한다.
PN 발생기 312는 칩/심볼/슬롯 동기 신호와 프레임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고, 상기 최대값 검출기 350에서 저장되어 있는 롱 코드 인덱스를 입력받고 상기 롱 코드 인덱스에 의해 PN 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PN 발생기 312는 PN_I 발생기 314와 PN_Q 발생기 316으로 구성된다. 복소 역확산기는 상기 여파기 302와 303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PN 발생기 350에서 출력되는 PN 코드와의 복소수 곱에 의하여 복소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된 신호는 기저대역 처리부 320으로 출력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칩 동기, 심볼 동기, 슬롯 동기 및 프레임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의 PN시퀀스 발생기 312를 구동하여 복소역확산기 310에서 여파기 302와 303의 출력을 복소수곱에 의하여 복소역확산한다. 상기의 PN 발생기 312는 제1 PN시퀀스 PN_I시퀀스 발생기 314와 제2 PN시퀀스 PN_Q시퀀스 발생기 316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복소역확산기 310의 출력은 기저대역 처리부 320에서 디인터리빙 및 채널복호화 등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도 3b, 도 3c, 도 3d는 각각 도 2c의 1번 PN시퀀스군, 2번 PN시퀀스군, 21번 PN시퀀스군에 대한 군식별을 위하여 콤마 프리 코드에 의해 생성된 직교골드부호의 도약패턴의 이동국의 수신기의 17개의 상관기에서의 원하는 수신형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동기식 CDMA 통신시스템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군을 이루는 직교골드부호의 개수만큼 상관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국의 하드웨어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의 1차 동기채널 및 2차 동기채널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직교성이 회손되기 때문에 상기 동기채널이 있는 구간에 존재하는 공용물리채널 및 전용물리채널의 심볼은 슬롯내의 다른 심볼들에 비하여 간섭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 온/오프키잉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국의 기지국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피·엔.시퀀스 식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 방식을 이용하여 순방향의 2차 동기채널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피·엔.시퀀스 식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온/오프 키잉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국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피·엔·시퀀스 식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S개의 직교골드부호를 사용하여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하는 대신에 (S-1)개의 직교골드부호와 온오프키잉(On-Off keying)을 접목하여 S개의 직교부호가 있는 것과 등가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오프(Off)상태, 즉 공(NULL)부호는 어떠한 신호하고도 직교성을 유지한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즉, 종래의 S개의 제2직교골드부호의 도약패턴을 이용하여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하는 대신에 (S-1)개의 제2직코골드부호와 1개의 공부호를 이용하여 직교성을 유지하는 S개의 제2직교골드부호를 구성하여 PN시퀀스 군을 식별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상기 공부호가 다른 제2직교골드부호와 직교성을 유지하므로써 종래의 도약패턴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송신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4c는 본 발명에 따라 제2직교골드부호들 중 제2직교골드부호 #1 대신 공부호를 제2직교골드부호를대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4a에서 제2직교부호 발생부 220은 콤마 프리 코드로 주어지는 도약 패턴에 따라 각 슬롯에서 전송할 2차 동기채널용 직교부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의 직교부호에는 공부호도 포함된다. 상기 직교부호 발생기 220은 S-1개의 제2 직교골드부호 발생기와 공부호 발생기 421과 제어기 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부호 발생기 421은 상기 제어기 226의 제어를 받아 공부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4a에서 상기 공부호 발생기 421은 OGC#1 발생기 위치에 구성되었으나 상기 제2직교골드부호 발생기들 중 어느 한 위치에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첫번째 직교골드부호 OGC#1을 공(NULL)부호로 대체한다고 생각한다.
상기의 공부호 발생기 421은 공부호가 할당되는 슬롯에서의 2차 동기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적인 발생기는 아닐 수 있으며, 스위치 234를 해당 슬롯에서 열린 상태로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스위치 214와 234의 동작이 동일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부호가 존재하는 슬롯어서는 스위치 234의 동작에 의하여 공부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다를 수 있다. 상기의 직교부호 발생기 220 또는 스위치 234의 구현 또는 동작에서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도2a의 기지국 송신기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b는 도 4a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기지국 송신 신호의 구성을 도시한다. 2차 동기채널용으로 사용되는 직교골드부호의 수가 공부호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종래 방식의 경우 S(s=1,2,3,...,S)개에서 S-1(s=2,3,...,S)개로 줄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b와 동일하다.
도 4c는 2차 동기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한 프레임의 각 슬롯에서의 직교부호를 표시한 것이다. 도 2c와 같이 S=17이고 식별할 PN시퀀스군의 수가 32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4c에서 공(NULL)부호로 표시된 것은 도 2c에서의 직교골드부호 OGC#1을 대치한 것이다. 도 4c의 경우 대치된 공부호의 수는 총 45개이다. 시스템내에서 2차 동기채널에 의하여 발생되는 순방향 링크에서의 총 간섭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공부호가 많을수록 좋기 때문에 도 2c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직교골드부호를 공부호로 대치한다. 도 4c와 같이 공부호를 삽입했을 경우에 1차 동기채널 및 2차 동기채널의 송신전력이 도 2c와 동일하다고 했을 때 평균적으로 시스템내에서의 2차 동기채널로 인하여 발생하는 간섭이 45/(32*16) = 0.08789 = 8%정도 감소한다.
도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b, 5c, 5d는 각각 도 4c의 1번 PN시퀀스군, 2번 PN시퀀스군, 21번 PN시퀀스군에 대한 수신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2a에 주어진 기지국 송신기에 대하여도 사용될 수 있으며, 도 4a에 주어진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송신기에 대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지국 송신기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기지국에서 직교골드부호 OGC#1이 송신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은 수신기가 상기 신호를 무시하면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직교골드부호 OGC#1에 대하여 상관기를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가능하다.
90°위상천이기 304는 반송파 cos(2πfct)를 입력받아 90° 위상천이시켜 반송파 반송파 sin(2πfct)를 출력한다. 수신되는 신호는 역다중화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I신호와 Q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혼합기 300과 301로 입력한다. 상기 혼합기 300은 상기 I신호와 상기 반송파 cos(2πfct)를 곱하여 I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혼합기 301은 상기 Q신호와 상기 반송파 sin(2πfct)를 곱하여 Q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여파기 302와 303은 상기 혼합기 300과 301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한 대역내의 신호만을 여파하여 출력한다. 정합여파기(Matched Filter) 330은 상기 여파기 302와 303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직교골드부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제곱기 332는 상기 정합여파기 330의 출력을 제곱하여 1차 동기신호인 제1직교골드부호의 심볼에너지를 출력한다. 상기 심볼에너지는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와 도약패턴 검출부 550으로 입력한다.
상관 검출부 540은 상기 여파기 302와 303의 출력을 입력받아 수신되는 제2 직교골드부호들에 대한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상관 검출부 540은 한개의 가상 상관기 542와 N개의 상관기로 구성된다. 상기 가상 상관기 542는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상기 가상 상관기 542의 출력은 가상 제곱기 552로 입력하고, N개의 상관기 344, 346의 출력은 각각의 해당 제곱기 354, 356으로 입력한다. 상기 가상 제곱기 552도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나 공부호를 검출하기 위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 상관기 542를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공부호의 존재여부 및 순서는 후술할 정합여파기 330, 제곱기 332 그리고 인덱스 생성부 550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제곱기 354와 356은 입력된 신호를 제곱하여 심볼 에너지를 출력한다.
인덱스 생성부 550은 상기 제곱기 354∼356에서 출력되는 심볼에너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가상 제곱기 552의 출력 대신 제곱기 332에서 출력되는 제1직교골드부호의 심볼에너지를 입력받고, 상기 심볼에너지중 최대값이 검출되는 순서에 따라 롱코드 인덱스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덱스 생성부 550은 최대값 검출기 551과 증폭기 553과 비교기 555로 구성된다. 상기 최대값 검출기 551은 상기 N개의 제곱기 354∼356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심볼에너지 중 최대값을 검출하고 상기 최대값이 검출되는 순서에 따라 상관기의 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증폭기 553은 상기 제공기 332에서 출력된 심볼에너지를 증폭하며 출력한다. 비교기 555는 상기 증폭기 553에서 출력된 에너지와 상기 최대값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를 비교하여 증폭기 553에서 출력되는 심볼에너지가 크면 공부호가 발생된 것으로 간주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곱기 332로부터 출력되는 심볼 에너지는 인덱스 생성부 550으로 입력된다. 상기 심볼에너지의 크기는 기지국 송신기에서의 1차 동기채널과 2차 동기채널 사이의 전력비의 역수만큼 증폭기 553에서 증폭되어 비교기 555에 입력된다. 상기 입력신호는 도 3a의 도면 참조번호 342에 해당하는 상관기 #0에 대응되지만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 상관기(Virtual Correlator) 542의 출력신호로 인식된다. 상기 가상 상관기 542 및 대응되는 제곱기 552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N=S-1인 경우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의 제어에 의하여 종래의 방식인 도3a의 SN+1개의 상관기에 비하여 1개가 적은 N개의 상관기가 동작한다. S=17일 경우 N=16이며, 상기의 N값은 512=32*16의 PN시퀀스에 대하여 각 PN시퀀스군내의 PN시퀀스의 수와 상관기의 수 N=16이 일치한다. 따라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한 후 PN시퀀스를 상관에 의하여 식별한다. 상기 여파기 302와 303의 출력은 상기의 상관값 검출부 340의 해당 상관기로 입력한다. S=17, N=16인 경우 344의 상관기 #1는 두 번째 직교골드부호인 OGC#2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와의 상관값을 구하고, 346의 상관기 #N(=16)은 17번째 직교골드부호인 OGC#17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와의 상관값을 구한다. 상기 상관기의 출력은 각각 제곱기 354, 356에 의하여 심볼에너지가 구해진다. 상기 상관기에 대응되는 제곱기와 상기 정합여파기에 대응되는 제곱기의 출력은 인덱스 생성부 550에 의하여 상기의 심볼에너지중에서 최대값을 가지는 상관기의 출력에 대하여 그 값과 해당 상관기의 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인덱스 생성부 550은 도 3a의 최대값 검출기 35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차이점은 공부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값이 도 3a의 최대값 검출기 350에 비하여 1개 적다는 것이다. 상기 최대값 검출기 551의 출력과 상기 정합여파기 230과 제곱기 332에 의해 생성된 심볼에너지는 증폭기 553을 거쳐 비교기 555로 입력한다. 그러면 비교기 555는 상기 제곱기 332에서 출력된 심볼에너지와 최대값 검출기 551에서 출력되는 심볼에너지들 각각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상기 제곱기 332에서 출력되는 심볼에너지가 최대값 검출기 555에서 출력되는 심볼에너지 보다 크면 공부호가 전송되었다고 판단한다. 공부호가 전송되었다고 판단되면 비교기 555는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 360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직교부호번호(Index)를 변경하고, 최대값 검출기 551의 값이 크면 상기 결정된 것을 변경없이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 360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관기 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교된다고 가정하면 제곱기 332의 출력인 심볼에너지가 상관기#4와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공부호의 직교부호번호는 #4가 되고, 이전에 결정되었던 상관기 #4 이후의 번호는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여 변경된다.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는 상기 제곱기 332의 출력을 입력받아 매 슬롯마다 발생하는 1차 동기채널의 존재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는 1차 동기채널이 존재하면, 즉 제1직교골드부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직교골드부호를 이용하여 슬롯동기를 맞춘다. 그리고 1차 동기채널이 16ksps심볼율에 대해 한 심볼구간동안만 존재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심볼동기를 맞춘다. 또한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는 수신되는 제1직교골드부호 OGC#0가 정합여파기에서 피크값을 가지므로 대략적인 칩동기를 획득한다.
이후의 동작은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다.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 360은 콤마 프리 코드표 362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도약패턴을 결정한다. 상기의 도약패턴이 결정되면 상기 콤마 프리 코드표에 의하여 프레임 동기부 364에서 프레임동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칩/심볼/슬롯 동기부 334에서 결정된 슬롯중에서 어느 슬롯이 첫 번째슬롯인지가 판단된다. 프레임 동기부 364에 의하여 상기의 상관값 검출기 340은 이차 동기채널내의 직교골드부호의 도약패턴을 식별하기 위하여 직교골드부호와 수신신호와의 상관값을 구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제1스위치 366을 열린 상태로 만든 다음 상기 도약패턴에 의하여 식별된 군내의 PN시퀀스에 대하여 상관값을 병렬 또는 직렬 방식에 의하여 구한다. N=16인 경우 17개의 상관기중 16개의 상관기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PN시퀀스에 대하여 상관값을 구한다. 인덱스 생성부 550은 검증과정을 거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상관값의 크기에 근거하여 한번에 해당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를 식별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식별된 PN시퀀스를 제2스위치 368를 콤마 프리코드 복호기 360으로 스위칭함으로써 PN시퀀스 발생기 312로 롱 코드 인덱스, 즉 도약패턴을 통보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칩 동기, 심볼 동기, 슬롯 동기 및 프레임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의 PN시퀀스 발생기 312를 구동하여 복소역확산기 310에서 여파기 302와 303의 출력을 복소수곱에 의하여 복소역확산한다. 상기의 PN 발생기 312는 제1 PN시퀀스 PN_I시퀀스 발생기 314와 제2 PN시퀀스 PN_Q시퀀스 발생기 316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복소역확산기 310의 출력은 기저대역 처리부 320에서 디인터리빙 및 채널복호화등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도 5b, 도 5c, 도 5d는 각각 도 4c의 1번 PN시퀀스군, 2번 PN시퀀스근, 21번 PN시퀀스군에 대한 군식별을 위하여 콤마 프리 코드에 의해 생성된 공부호를 포함하는 직교부호의 도약패턴의 이동국의 수신기에서의 원하는 수신형태를 도시한다. 가상 상관기는 실제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선으로 표시하지 않았다. 도 5b의 510, 512, 514에서 알 수 있듯이 정합여파기의 출력은 구동되는 동안에는 항상 도 5b와 같이 주기적으로 피크값이 발생한다. 510, 512, 514에서처럼 정합여파기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공부호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도 5c, 도 5d에 대하여 동일한 설명이 가능하다.
도 2c에 주어진 도약패턴표에서 직교골드부호 OGC#1을 공(NULL)부호로 대치하면 도 4c와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의 시스템에서 OGC#1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섭의 양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동국에서도 종래의 S(=N+1)개의 상관기를 이용하는 대신에 (S-1)개의 상관기의 출력과 1차 동기채널 수신에 사용되는 정합여파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공부호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즉, 공부호가 존재하는 슬롯에서는 (S-1)개의 상관기의 출력은 크기가 작을 것이지만 그 위치에서의 1차 동기채널을 탐색하는 정합여파기의 출력은 크기가 클 것이기 때문에 상기 슬롯의 2차 동기채널에 사용된 직교부호는 공부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채널상황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지만 기존과 동일한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를 이용함으로써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의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는 공부호가 존재하는 슬롯에서의 1차 동기채널의 크기에서 유추된 값이다. 즉, 송신측에서 1차 동기채널과 2차 동기채널의 송신전력의 비는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기 때문에 이동국에서는 1차 동기채널의 크기로부터 공부호가 아니라 직교골드부호 OGC#1이 전송되었다면 어떤 크기의 값을 가질 것인지를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유추된 값을 콤마 프리 코드 복호화기에 입력하여 복호화에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제2직교골드부호 중 임의의 제2직교골드부호 하나를 공부호로 대체함으로써 탐색 특성에 변화없이 2차 동기채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2직교골드부호 중 임의의 제2직교골드부호 하나를 공부호로 대체함으로 상관기의 수를 줄임으로써 이동국의 소모전력과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배치도.
도 1b는 일반적인 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PN시퀀스발생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일반적인 비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신호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하기 위한 직교부호 도약패턴의 표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일반적인 비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국 수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이동국 수신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이동국 수신 신호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d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이동국 수신 신호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신호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PN시퀀스가 속하는 군을 식별하기 위한 직교부호 도약패턴의 표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국 수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이동국 수신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이동국 수신 신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d는 상기 비동기식 시스템의 이동국 수신 신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8)

1차동기채널을 통해 제1직교골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1직교골드코드 심볼단위로 동기되어 2차동기채널을 통해 제2직교골드코드를 수신하는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는, 상기 직교골드코드들 중 어느 하나 대신 공부호를 발생하기 위해 피엔 시퀀스를 생성하는 피엔 시퀀스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수신기는,
상기 제1직교골드코드를 검출하여 제1심볼에너지를 구하는 제1직교골드코드 검출부와,
상기 제1심볼에너지를 입력받아 칩/심볼/슬롯 동기를 맞추고 제1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동기부와,
상기 제1동기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고, 제1동기신호를 입력시 마다 상기 제2직교골드코드를 검출하여 기지국 구분 그룹단위로 제2심볼에너지들을 구하는 제2직교골드코드 검출부와,
상기 제1심볼에너지와 제2심볼에너지들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상기 제2직교골드코드들 중 공부호의 존재를 판단하고, 상기 공부호의 존재시 상기 공부호의 순서를 결정하여 기지국 구분을 위한 제2직교골드코드의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 도약 패턴 생성부와,
상기 도약 패턴에 의해 프레임 동기를 맞추고 제2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동기부와,
상기 제1동기신호와 제2동기신호와 도약 패턴을 입력받아 피·엔 시퀀스를 발생하는 피·엔 시퀀스 발생부를 포함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교골드코드 검출부가,
상기 1차 동기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1직교골드코드를 검출하는 정합필터와,
상기 제1직교골드코드의 심볼에너지를 구하는 제1제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직교골드코드 검출부가,
상기 2차 동기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2직교골드코드들 중 상기 공부호를 제외한 제2직교를드코드를 검출하는 다수의 상관기와,
상기 각 상관기에서 검출되는 제2직교골드코드의 심볼에너지를 구하는 다수의 제2제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 패턴 생성부가,
상기 제1심볼에너지와 제2심볼에너지들을 입력받아 상기 공부호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공부호 존재 시 상기 제1심볼에너지와 제2심볼에너지들을 각각 비교하여 공부호의 순서를 결정하여 도약 패턴을 추정하는 도약 패턴 추정부와,
콤마 프리 코드표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추정된 도약 패턴을 상기 콤파 프리 코드표와 비교하여 도약 패턴을 결정하는 도약 패턴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 패턴 추정부가,
상기 제2심볼에너지들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상기 최대값과 상기 최대값이 검출된 상관기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최대값 검출부와,
상기 제1심볼에너지를 상기 제1심볼에지와 제2심볼에너지의 전력비 역수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제1심볼에너지와 상기 저장된 제2심볼에너지의 전력을 비교하여 공부호의 존재 및 순서를 결정하여 추정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 패턴 결정부가,
콤마 프리 코드표를 저장하고 있는 콤마 프리 코드 테이블과,
상기 추정 도약 패턴을 입력받아 상기 콤마 프리 코드표와 비교하여 도약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제2동기부와 피·엔 시퀀스 발생기로 출력하는 도약 패턴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가 제1심볼에너지와 제2심볼에너지들 각각을 검출된 순서로 비교하여 제2심볼에너지가 제1심볼에너지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제2심볼에너지를 검출한 상관기 번호 앞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기신호 발생 시 상기 도약 패턴 추정부에서 도약 패턴 결정부로 출력되는 정보를 차단하는 제1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 시퀀스 식별 장치.
KR1019980035797A 1998-08-29 1998-08-29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KR10053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797A KR100532328B1 (ko) 1998-08-29 1998-08-29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PCT/KR1999/000498 WO2000013324A2 (en) 1998-08-29 1999-08-30 Pn sequence identifying devi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U55314/99A AU746080B2 (en) 1998-08-29 1999-08-30 PN sequence identifying devi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BR9906760-9A BR9906760A (pt) 1998-08-29 1999-08-30 Transmissor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cdma assìncrono, e, dispositivo identificador de sequência pn em um recpetor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cdma assìncrono.
CA002306509A CA2306509A1 (en) 1998-08-29 1999-08-30 Pn sequence identifying devi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EP99941830A EP1048116B1 (en) 1998-08-29 1999-08-30 PN sequence identifying devi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RU2000111515/09A RU2193277C2 (ru) 1998-08-29 1999-08-30 Устройство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севдослучайной шумово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CNB998014990A CN1190908C (zh) 1998-08-29 1999-08-30 异步码分多址通信系统
DE69934573T DE69934573T2 (de) 1998-08-29 1999-08-30 PN-Sequenz-Identifikationseinrichtung eines CDMA-Kommunikationssystems
US09/386,062 US6603735B1 (en) 1998-08-29 1999-08-30 PN sequence identifying devi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797A KR100532328B1 (ko) 1998-08-29 1998-08-29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43A KR20000015743A (ko) 2000-03-15
KR100532328B1 true KR100532328B1 (ko) 2006-03-23

Family

ID=1954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797A KR100532328B1 (ko) 1998-08-29 1998-08-29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03735B1 (ko)
EP (1) EP1048116B1 (ko)
KR (1) KR100532328B1 (ko)
CN (1) CN1190908C (ko)
AU (1) AU746080B2 (ko)
BR (1) BR9906760A (ko)
CA (1) CA2306509A1 (ko)
DE (1) DE69934573T2 (ko)
RU (1) RU2193277C2 (ko)
WO (1) WO20000133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0232C1 (de) * 1998-09-03 1999-10-28 Siemens Ag Verfahren und Funk-Kommunikationssystem zur Synchronisation von Teilnehmerstationen
KR100290678B1 (ko) * 1999-04-24 2001-05-15 윤종용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의 셀탐색 장치 및 방법
JP2000357980A (ja) * 1999-06-16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
DE19958658A1 (de) * 1999-12-06 2001-06-07 Fraunhofer Ges Forschu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Sendesequenz un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von Informationen
JP3461150B2 (ja) * 2000-03-01 2003-10-27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ペースホッピング受信方式と受信電波推定方法
DE60035768T2 (de) * 2000-03-10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leichterten schnelleren Erlangen von Zielzellensignalen
KR100627188B1 (ko) * 2000-07-04 2006-09-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역방향 동기 방식에서의 코드 할당 방법
KR100353641B1 (ko) * 2000-12-21 200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전송 안테나다이버시티 장치 및 방법
US20020123307A1 (en) * 2001-03-03 2002-09-05 Tyson Winarski Wireless based system for managing the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icoprocessor-based systems
KR100424538B1 (ko) * 2001-05-29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474683B1 (ko) * 2002-08-2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US7133440B1 (en) * 2002-10-25 2006-11-07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Acquisition of a synchronous CDMA TDD QPSK waveform using variable thresholds for PN and burst synchronization
JP4195901B2 (ja) * 2003-02-05 2008-12-1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初期セルサーチ
US7453920B2 (en) * 2004-03-09 2008-11-18 Atc Technologies, Llc Code synchronization in CDMA satellit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uplink channel detection
WO2008037114A1 (en) 2006-09-25 2008-04-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carrying synchronization code and method for frame timing synchronization
GB2458418B (en) 2006-12-19 2011-08-03 Lg Electronics Inc Sequence generating method for efficient detec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the same
KR100938756B1 (ko) * 2007-07-06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KR101495886B1 (ko) * 2007-07-19 2015-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셀 탐색 방법
CN101453582B (zh) * 2007-11-29 2012-12-19 三叉微系统(远东)有限公司 用于广播信号的信号帧配置和信号帧头的检测方法
PL2294771T3 (pl) 2008-03-20 2013-11-29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Wzór i rozkład przeskoków częstotliwości dla referencyjnego sygnału sondującego
US8116354B2 (en) * 2008-06-13 2012-02-14 Mediatek Inc. Sync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GNSS
US9037134B2 (en) 2008-06-13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s with femto cell functionality
TWI411247B (zh) * 2009-02-17 2013-10-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PN sequence correlation calculation method and circuit
US8594244B2 (en) * 2009-04-06 2013-11-26 Mediatek Inc. Data signal phase reversal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CN101908905B (zh) * 2009-06-05 2014-01-01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伪随机序列相关性的运算方法及电路
RU2476034C2 (ru) * 2010-05-05 2013-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Липе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ГОУ ВПО ЛГТУ)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дуговой электропеч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с применением совмещенного управляемого реактор-трансформатора
US9614660B2 (en) * 2013-05-03 2017-04-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elf-synchronizing probe sequence
KR101720000B1 (ko) 2013-06-13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62111B1 (en) * 2018-04-24 2021-10-20 Nxp B.V. Bit synchronization for on/off key (ook) communication
JP7172710B2 (ja) * 2019-02-21 2022-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14553357B (zh) * 2022-02-25 2023-01-31 南京贝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多模同步时钟服务器及频率补偿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417A (ja) * 1994-10-21 1996-07-02 Canon Inc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JPH09130297A (ja) * 1995-10-31 1997-05-16 Fuji Electric Co Ltd スペクトル拡散信号処理回路および拡散信号の同期化方法
KR0155522B1 (ko) * 1995-12-15 1998-11-16 양승택 병렬 상관기를 이용한 대역확산 pn코드 트랙킹 장치
KR19990087222A (ko) * 1996-02-23 1999-12-15 토마스 오. 밀러 점 대 다분기점 간 동기식 코드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 대한다수-사용자 포착 절차
KR100272642B1 (ko) * 1996-06-19 2000-11-15 니시무로 타이죠 부호분할 다원접속방식을 채용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그 무선통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190B2 (ja) * 1995-04-27 1998-04-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US5896368A (en) * 1995-05-01 1999-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code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US5883899A (en) * 1995-05-01 1999-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de-rate increased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WO1997033400A1 (fr) * 1996-03-05 1997-09-12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Procede de transmission de signaux, emetteur, recepteur, et procede de synchronisation de code a etalement de spectre pour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DE69735031D1 (de) * 1996-04-04 2006-03-30 New Japan Radio Corp Ltd Korrelator für Spreizspektrumsignale
JP3409628B2 (ja) * 1996-06-19 2003-05-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通信方法およびグループ拡散変調器
JP3376224B2 (ja) * 1996-10-23 2003-0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US5917828A (en) * 1997-01-03 1999-06-29 Ncr Corporation ATM reassembly controller and method
JP3373746B2 (ja) * 1997-01-07 2003-02-04 株式会社鷹山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SE9700212L (sv) * 1997-01-24 1998-07-25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rrangemang i ett kommunikationssystem
JP3360793B2 (ja) * 1997-02-17 2002-12-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通信装置
JP3360794B2 (ja) * 1997-02-17 2002-12-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通信装置
US6018667A (en) * 1998-01-20 2000-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synchronization status of a base station
US6226315B1 (en) * 1998-03-09 2001-05-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read-spectrum telephony with accelerated code acquisition
US6317422B1 (en) * 1998-04-15 2001-11-1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of N-chip resistant spreading in CDMA systems
AU3383400A (en) * 1999-02-26 2000-09-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handoff between an asynchronous cdma base station and a synchronous cdma base s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417A (ja) * 1994-10-21 1996-07-02 Canon Inc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JPH09130297A (ja) * 1995-10-31 1997-05-16 Fuji Electric Co Ltd スペクトル拡散信号処理回路および拡散信号の同期化方法
KR0155522B1 (ko) * 1995-12-15 1998-11-16 양승택 병렬 상관기를 이용한 대역확산 pn코드 트랙킹 장치
KR19990087222A (ko) * 1996-02-23 1999-12-15 토마스 오. 밀러 점 대 다분기점 간 동기식 코드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 대한다수-사용자 포착 절차
KR100272642B1 (ko) * 1996-06-19 2000-11-15 니시무로 타이죠 부호분할 다원접속방식을 채용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그 무선통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13324A3 (en) 2000-08-03
US6603735B1 (en) 2003-08-05
EP1048116B1 (en) 2006-12-27
CN1190908C (zh) 2005-02-23
DE69934573D1 (de) 2007-02-08
CA2306509A1 (en) 2000-03-09
BR9906760A (pt) 2000-12-05
KR20000015743A (ko) 2000-03-15
AU746080B2 (en) 2002-04-11
AU5531499A (en) 2000-03-21
EP1048116A2 (en) 2000-11-02
WO2000013324A2 (en) 2000-03-09
CN1307754A (zh) 2001-08-08
RU2193277C2 (ru) 2002-11-20
DE69934573T2 (de)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32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US8711805B2 (en) Communications in an asynchronous cellular wireless network
US6574205B1 (en) CDMA cellular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spreading code in CDMA cellular system
KR100589478B1 (ko)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셀 검색 방법, 노드 비(b) 및사용자 장치
US7248621B2 (en) Method for allocating 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s to a base station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20346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hannels in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JP2894340B1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
KR200500277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KR100260457B1 (ko) 엠진 도약 코드를 이용하는 기지국 비동기 방법 및 초기 동기획득 방법
JP2002158614A (ja) Cdma受信装置
AU2002363724A1 (en) Communications in an asynchronous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