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317B1 -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317B1
KR100436317B1 KR10-1998-0700773A KR19980700773A KR100436317B1 KR 100436317 B1 KR100436317 B1 KR 100436317B1 KR 19980700773 A KR19980700773 A KR 19980700773A KR 100436317 B1 KR100436317 B1 KR 10043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genre
channel
curso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106A (ko
Inventor
유키코 오쿠라
테츠야 고노
케이지 유자와
유리코 기시타카
카즈히로 아카이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표 가이드 제어 장치는, 일시 정보와,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와,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표 화상을 생성하여, 타이틀 정보에 관해, 수신중의 방송 채널에 관한 프로그램의 타이틀만을 표시하고, 또한, 표시되는 장르 정보를 유저가 임의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저의 시청 빈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등록하여 그것을 장르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매우 사용하기 편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Program guide controller}
근년, 방송 위성이나 통신 위성 등의 위성에 의해, 디지털화된 텔레비전 신호를 방송하고, 예컨대 각 가정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하는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150에 가까운 채널을 전송할 수가 있어, 지금까지의 지상파에 의한 방송에 비하여 대단히 많은 프로그램을 방송할 수가 있다.
이러한 방송 시스템으로서는, 많은 프로그램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송국 등의 송신측이 방송이 예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정보로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송신하여, 수신측에서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수신하고 표시하여, 유저가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의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예에 관해, 도1A 와 도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A에 나타내는 장르 선택 화면(1)에는 「모든 장르」,「뉴스」, 「영화」, 「스포츠」의 프로그램에 관한 복수의 장르가 표시되어 있고, 유저는 예컨대 리모트 제어기 등을 조작함으로써, 화면내에 표시되는 커서(도시하지 않음)를 이동시켜, 표시된 복수의 장르 중에서 원하는 장르를 선택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 1A에 나타내는 장르 선택 화면(1)에 있어서 원하는 장르가 선택되면, 선택된 장르에 대응하여, 도 1B에 나타내는 프로그램표 화면(2)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프로그램표 화면(2)에서 세로축 방향에 방송국의 채널 번호가 표시되고, 가로축 방향에 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축으로 규정되는 위치에 그 채널에서 그 시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3)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프로그램 타이틀(3)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가로축의 시간에 대응하는 것이며,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에 의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A에 나타내는 장르 선택 화면(1)에 있어서의 「모든 장르」가 선택된 경우, 예컨대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모니터에 있어서, 화면의 표시는, 장르 선택 화면(1)으로부터 도 1B에 나타내는 프로그램표 화면(2)에 전환된다. 전환된 프로그램표 화면(2)에는 각 채널마다의 모든 장르의 프로그램 타이틀이 표시된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프로그램표 화면(2)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제의 프로그램표(4)의 일부분만이 표시되어 있고, 현재 표시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프로그램 타이틀을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 영역(5)을, 리모트 제어기 등에 있어서의 소정의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저는 프로그램표 화면(2)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타이틀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 타이틀의 표시 위치에 커서(도시하지 않음)를 이동시킨 뒤, 리모트 제어기를 조작하여 결정을 함으로써, 선택한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이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정보를 시청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실제의 프로그램표(4)는, 전체 채널의 프로그램 방송 예정을 시간순으로 나타낸 것이며, 대량의 정보를 포함하기 있기 때문에 모니터 등의 화면에는, 프로그램표(4)의 일부밖에 표시할 수 없다. 즉,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가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수는 대단히 적다. 여기서, 많은 타이틀을 표시하고자 하면 필연적으로 표시되는 문자가 작게 되어 유저에게 보기 싫은 경우가 되어 버린다.
또한, 유저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 영역(5)을 상하방향 및 좌우 방향의 2방향에 스크롤할 필요도 있어, 유저의 조작은 대단히 번거롭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로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장르 선택 화면(1)과, 도 1b에 나타내는 프로그램표 화면(2)이 각각 독립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예컨대 유저는, 도 1A 또는 도 1B의 어느 쪽의 한편의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다른 쪽의 화면을 볼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쪽의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현재 표시중의 화면을 다른 쪽의 화면으로 바꾸는 조작이 항상 필요하고, 이 점에서 유저의 조작이 매우 번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가 보기 쉽고, 보다 신속하게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으며, 조작성이 뛰어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많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프로그램표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제어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실린더 EPG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리모트 제어기의 구성예를 개시하는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프로그램표의 표시 예를 개시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H는 프로그램표에서의 커서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프로그램 결정 때의 표시화면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A와 도 10B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CPU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1은 선국 채널의 정보 항목 생성을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2는 좋아하는 채널의 정보항목이 추가된 프로그램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채널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좋아하는 채널을 지정한 경우의 프로그램표의 표시 예를 개시하는 도면.
도 15는 좋아하는 채널 등록을 위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6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등록을 위한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7A 내지 도 17D는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지정한 경우의 프로그램표 및 그 조작에 의한 화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장르 영역에 마련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이 선택된 경우의 CPU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9는 장르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1개의 등록 장르를 교체하는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lA 내지 도 2lF는 등록 장르를 정리하여 교체하는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장르 등록 때의 CPU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다른 표시 예를 개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는, 표시장치에 표시되어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각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표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이고, 각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를 나타내는 일시 정보와,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정보와, 각 프로그램을 복수의 장르로 분류하여 이루어진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표 화상을 생성하는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과, 프로그램표 화상을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일시 정보, 타이틀 정보 및 장르 정보의 적어도 1개를 지시하도록 프로그램표 화상에 거듭 표시되는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제어 신호 및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수단과, 커서 제어 신호 및 결정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표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은,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장르 정보의 1개로서 생성하고, 제어 수단은 커서가 방송 채널 정보에 관한 화상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로 수신 수단이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타이틀정보에 관해서 방송 채널에 관한 프로그램의 타이틀만이 표시되도록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각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표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이고, 각 프로그램 방송 일시를 나타내는 일시 정보와,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정보와, 각 프로그램을 복수의 장르에 분류한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표 화상을 생성하는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과, 일시 정보, 타이틀 정보 및 장르 정보의 적어도 1개를 지시하는 프로그램표 화상과 거듭 표시되는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제어 신호 및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수단과, 장르 정보를 설정하는 장르 설정 수단과, 커서 제어 신호 및 결정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표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 수단은, 커서가 복수의 장르 정보에 관한 화상의 하나를 지시하고 있는 상태로, 수신 수단이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타이틀 정보에 관해서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장르에 관한 프로그램의 타이틀만이 표시되도록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다음 순서로 한다.
1.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의 구성
2.리모트 제어기의 구성
3.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형태
4.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동작
5.좋아하는 채널
6.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7.장르 등록
8.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다른 표시형태
1.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통합된 수신기/디코더(integrated receiver/decoder):IRD)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10)에서는, 예컨대 안테나 등에 의해 수신된 방송파의 신호가 입력단자를 통해 튜너(11)에 공급된다. 이 방송파의 신호에는 소정의 포맷에 따라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하 EPG 라고 한다)의 데이터(이하, EPG 데이터라 함)가 중첩되어 있다.
이 EPG 데이터는, 예컨대 각 채널에서 금후 방송이 예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각 프로그램의 방송 예정일 및 방송 개시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의 개요나 출연자 등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송국 등의 송신측이 1주간분의 프로그램에 관한 상술의 EPG 데이터를 수초에 1회의 비율로 방송파 신호에 중첩시켜 송신하고 있다.
또한, 이 방송파의 신호는 위성 방송파 신호이외에 유선방송 신호나 지상파 신호 등 이어도 좋다. 또한, 튜너(11)의 구성은 수신하는 방송파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에 의해 적합하게 변경된다.
튜너(11)는 이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12)의 제어에 응해서 동조 처리를 한다. 또한, 튜너(11)는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EPG 데이터 추출회로(13)에 공급한다. 또한, 튜너(l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영상/음성신호이외에 상술의 EPG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다.
제어기(12)는, 예컨대 본체에 마련된 조작 스위치, 또는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된 리모트 제어기 등인 조작부(14)로부터의 각종 조작 명령에 대응하여, 튜너(11),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및 후술하는 표시신호 생성회로(15)를 제어한다. 또한, 이 제어기(12)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는, 제어기(12)의 제어에 응해서 튜너(11)의 출력신호에 포함되고 있는 EPG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어기(12)에 공급한다. 이 EPG 데이터는 제어기(12)에 의해서, 후술한 바와같이, 예컨대 모니터 장치(19)에 방송일시, 프로그램 타이틀, 장르 등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용의 영상 데이터(이하, 화면 표시 데이터라고 한다)에 변환되고 표시신호 생성회로(15)에 공급된다.
또한, EPG 데이터 추출회로(13)에 입력된 튜너(11)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MPEG 비디오 데이터 및 MPEG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MPEG 비디오 디코더(16)및 MPEG 오디오 디코더(17)에 공급된다.
표시신호 생성회로(15)는, 제어기(12)로부터 공급되는 화면 표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그 영상신호를 영상신호 혼합회로(18)에 공급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16)는,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로부터 공급되는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 영상신호를 영상신호 혼합회로(18)에 공급한다.
영상신호 혼합회로(18)는, MPEG 비디오 디코더(16)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와 표시신호 생성회로(15)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정보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혼합된 영상신호를 영상 출력 신호로서 예컨대 모니터 장치(l9)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MPEG 오디오 디코더(17)는,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로부터 공급되는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를 재생하고, 그 음성신호를 스피커(20)에 공급한다.
다음, 도 3에 나타내는 제어기(12)의 구체적 구성을,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앙 연산 처리장치(이하, CPU 라고 한다)(21)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부(14)에서의 조작 명령, 튜너(11) 및 EPG 데이터 추출회로(13)에서의 채널 데이터 및 EPG 데이터가 공급된다.
CPU(21)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 메모리(23)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각종의 프로그램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2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또는 조작 명령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어 프로그램 메모리(23)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즉, 제어 프로그램 메모리(23)에는 조작 입력 제어 프로그램(23A)과, 동조 제어 프로그램(23B)과, EPG 데이터 추출 제어 프로그램(23C)과, 화면 표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23D)과, 표시신호 생성 제어 프로그램(23E) 등이 기억되어 있다.
조작 입력 제어 프로그램(23A)은, 조작부(4)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동조 제어 제어프로그램(23B)은 튜너(11)의 동조 처리의 제어, 동조의 결과의 판정 등에 쓰이는 프로그램이다. EPG 데이터 추출 제어프로그램(23C)은, EPG 데이터 추출회로(13)의 EPG 데이터의 추출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화면 표시 데이터 작성프로그램(23D)은, EPG 데이터 추출회로(13)에서 공급되는 EPG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표시 신호 생성 제어프로그램(23E)은, 표시신호 생성회로(15)의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메모리(24)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저장 영역에 분할되어 있고, 이들의 영역에는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 화면 표시 데이터(24B), 북마크 리스트 데이터(24C), 타이머 예약 리스트 데이터(24D), 선국 채널 데이터(24E), 좋아하는 채널 데이터(24F),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 장르 등록 데이터(24H), 장르 디폴트(24I) 등이 기억된다.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린더 EPG의 데이터 베이스이고, 화면 표시 데이터(24B)는, 화면 표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23D)에서 작성되고, 데이터 메모리(24)의 VRAM에 기록한 실린더 EPG의 표시용의 데이터이다. 북마크 리스트 데이터(24C)는 유저의 검색 편의를 위해 원하는 프로그램에 붙인 북마크 리스트 데이터이다. 타이머 예약 리스트 데이터(24D)는 유저가 타이머 예약한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이고, 여기에 데이터로서 등록된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되면, CPU(21)는 튜너(11)를 제어하여 그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을 수신시킨다. 선국 채널 데이터(24E)는, 현재 선국중의 채널의 채널 번호 및 그 채널에서 금후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이다. 좋아하는 채널 데이터(24F)는 유저가 등록한 좋아하는 채널에 관한 데이터이다. 이 기호 채널에 관해서는, 「5. 좋아하는 채널」에 관한 장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는 유저의 시청 빈도가 높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이다. 이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후에「6.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장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장르 등록 데이터(24H)는 복수의 장르로부터 유저가 선택한 8개의 장르의 데이터이고, 장르 디폴트 데이터(24I)는, 메이커 측이 미리 설정한 장르 등록 데이터의 초기치이다. 이 장르 등록에 관해서는 「7. 장르 등록」의 장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19)에 표시되는 EPG의 기본적인 표시 개념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린더 EPG에 관한 미공개의 출원이 본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되어 있다(일본국특허원평 제8-26446호).
도 5A는 EPG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EPG에서, 실린더(25)는 원주의 축방향에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정상 영역(25X, 25Y, 25Z)의 3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25)의 원주면의 일부인 표시 영역(26)은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19)의 표시 화면에 대응하고 있다.
도 5B는 이 실린더(25)의 영역(25X, 25Y, 25Z)을 평면 형상으로 전개한 것이다. 실린더(25)의 3개로 구분된 영역중의 가장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25X)에는 1주간분의 날짜, 요일, 및 시각이, 날짜 및 시각의 빠른 순서대로 도면의 위에서 밑으로 배열되어 있다.
3개의 영역중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25Y)에는,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 또는 금후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명 등이, 채널 번호가 작은 순서와, 방송개시 시각이 빠른 순서로, 위에서 밑으로 배열되어 있다.
3개의 영역중의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25Z)에는, 예컨대, 「모든 장르」,「영화」,「스포츠」,「뉴스」,「음악」등의 프로그램의 범주에 의한 분류 항목, 즉 장르명이 위에서 밑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모든 장르」는 「영화」, 「스포츠」등의 장르에 관계없게 모든 프로그램을 포괄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프로그램의 장르에 대응하는 영역(25Z)에, 상술의 장르이외에 「선국 채널」, 「좋아하는 채널」,「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을 마련하고 있다. 이「선국 채널」은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튜너(ll)에 의해 현재 선국되어 모니터 장치(19)에 표시되어 있는 채널에 관한 정보이다.
「좋아하는 채널」및「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후에 「 5. 좋아하는 채널」및「6.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장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유저는, 조작부(14)(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를 조작함으로써, 각 영역(25X, 25Y, 25Z)을 각각 회전시키는 바와 같은 감각으로, 도 5A에 나타내는 표시 영역(26)에 원하는 정보를 대응시킴으로써 그 정보를 모니터 장치(19)에 표시시킬 수 있다.
즉, 도 5A에 나타내는 실린더(26)는, 도 5B에 나타내는 영역(25X, 25Y, 25Z)의 각각의 최상단과 최하단을 연결한 것이고, 예컨대 유저가 영역 X를 회전시키는 것 같은 감각으로, 영역 X의 최하단인 9일 토요일보다 하나 아래의 내용을 모니터 장치(19)에 표시시키고자 하면 모니터 장치(19)에는 9일 토요일에 계속해서 영역(25X)의 최상단인 3일 일요일이 표시된다. 반대로, 예컨대 유저가 도 5B에 나타내는 영역 X의 최상단인 3일 일요일보다 하나 위의 내용을 모니터 장치(19)에 표시시키고자 하면, 모니터 장치(19)에는, 3일 일요일의 위에 9일 토요일이 표시된다.
여기서, 각 영역은 각각의 최상단과 최하단을 연속하여 표시하는 것과 같은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어도 좋다. 즉, 유저가 각 영역의 최상단보다 하나 위의 정보, 혹은 최하단보다 하나 아래의 정보를 모니터 장치(19)에 표시시키는 것 같은 조작을 한 경우, 그 조작을 무효화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EPG에서는, 실린더를 복수의 영역에 구분하여, 그 각 영역에, 각각 일시, 프로그램, 장르를 할당하여, 각 영역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EPG을 실린더 EPG 라고 한다.
2. 리모트 제어기의 구성
다음, 도 3에 도시한 조작부(14)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l0)를 원격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리모트 제어기(14A)는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부(14)에 상당한다.
전원 버튼 스위치(30) 및 텔레비전 전원 버튼 스위치(31)는, 각각,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10) 및 모니터 장치(19)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하기 위한 것이다.
소음 버튼 스위치(32)를 누르면, 스피커(2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뮤트(mute)가 되고, 두 번째 조작하면, 뮤트가 해제된다.
텔레비전 전환 버튼 스위치(33A) 및 IRD 전환 버튼 스위치(33B)는, 이 리모트 제어기(14A)의 각 버튼 스위치의 기능을, 모니터 장치(19)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10)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바꿀 때에 조작된다.
입력 전환 버튼 스위치(34)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l0)로의 입력을 바꿀 때에 조작된다. 화면 표시 버튼 스위치(35)는 모니터 장치(19)상에 채널 번호등(방송국 로고 타이틀명을 포함한다)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되고, 두 번째 조작되면 그 표시가 꺼진다. 2중 음성 버튼 스위치(36)는 스피커(20)로부터 출력시키는 음성을 2개 국어 방송 또는 다중 방송의 프로그램에서, 주음성, 부음성, 주/부 음성(외국어, 또는 일본어와 외국어)로 바꾸는 경우에 조작된다.
0 내지 9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숫자 버튼 스위치(37)는 각각의 버튼 스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를 입력할 때 조작된다. 선국 버튼 스위치(37A)는 숫자 버튼 스위치(37)의 조작이 완료하였을 때, 숫자 입력 종료와 그 입력한 숫자가 채널을 표시한 것임을 나타내는 의미에서, 그것에 계속해서 조작된다.
또한, 상술한 텔레비전 전환 버튼 스위치(33A)가 조작되어, 이 리모트 제어기(14A)가 모니터 장치(19)용의 리모트 제어기라고 되어 있는 경우, 숫자 버튼 스위치(37)의「7」의 버튼 스위치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버튼 스위치는「10」을 입력하는 버튼 스위치이고,「0」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버튼 스위치는「11」을 입력하는 버튼 스위치이고, 선국 버튼 스위치(37A)는「12」를 입력하는 버튼 스위치로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19)에는, 눌러진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여 선국된 채널의 프로그램이 표시된다.
메뉴 버튼 스위치(38)는, 모니터 장치(19)에 EPG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10)의 여러 가지 설정의 메뉴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되어, 정보 버튼 스위치(39)는, 후에 설명하는 정보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된다.
현 프로그램 버튼 스위치(40)와 프로그램 예고 버튼 스위치(41)는, 프로모션 채널의 선국에 이용되고, 각각,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 또는 금후 방송될 예정의 프로그램의 예고를 표시시키기 위해 조작되고,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는, EPG, 예컨대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내는 것 같은 프로그램표(50)를 표시할 때 조작된다.
선택 버튼 스위치(47)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밀어 내리는 조작(선택조작)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업 버튼 스위치(43), 다운 버튼 스위치(44), 좌측 버튼 스위치(45) 및, 우측 버튼 스위치(46)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 예컨대,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내는 커서(51Xl, 51X2, 51Y, 5lZ) 등을 상하좌우에 이동시킬 때에 조작된다.
크기(volume) 버튼 스위치(48)와 채널 업 다운 버튼 스위치(49)는 음량 또는 채널의 번호를 증감할 때 조작된다.
3.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형태
다음에, 도 7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실시예에 있어서 EPG의 표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실린더(25)의 구체적인 표시형태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19)의 표시화면(53)상에 표시되는 EPG의 일례를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D에서는 프로그램표(50)를 화면(53)에 표시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한 프로그램표(50)에서는, 일시가 표시되는 영역(25X)은, 또한 날짜 및 요일이 표시되는 영역(25X1)과, 시각이 표시되는 영역(25X2)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역(25Xl, 25X2, 25Y, 25Z)에는, 유저가,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부(14)(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를 조작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커서(영역(25X1)의 커서(51X1), 영역(25X2)의 커서(51X2), 영역(25Y)의 커서(51Y), 영역(25Z)의 커서(51Z)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르를 표시하는 영역(25Z)에서,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로서 선국 채널(52)의 항목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로서는, 영역(25Y)가 선택된 상태에 있고, 영역(25Y)의 커서(51Y)만이 유저에 의한 조작에 의해 직접 이동가능하고, 다른 영역의 커서, 즉 커서(51X1, 51X2및 5lZ)는 유저에 의해 직접 이동 조작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도 7A에서는, 날짜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25Xl)에서는, 커서(51X1)가 3일의 일요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25Z)에서는, 커서(51Z)가「모든 장르」에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25Y)에는 특정한 장르에 관계하지 않고, 3일 일요일의 오전 8시 이후에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의 타이틀과, 채널 번호 및 방송 시간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이 영역(25Y)에는 될 수 있는 한 많은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도 7A의 영역(25Y)에서는, 프로그램마다 왼쪽으로부터,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 방송국을 기호화하여 나타낸 소위 방송국 로고 그리고 프로그램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영역(25Y)에 표시되는 타이틀은, 현재 시간이후에 방송될 예정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이다.
이 경우, 영역(25Y)의 커서(51Y)는, 채널 11에서 오전 8시 00분에서 오전 9시 00분까지의 시간대에 걸쳐 방송되는 「프로그램 B」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영역(25X)의 커서(51X1)는, 이 「프로그램 B」의 방송개시 시간인 오전 8시 00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함께, 8시대인 것을 나타내는 「8」의 숫자가 커서(5lX2)안에 강조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7B에는, 도 7A의 상태로부터, 커서(5lY)를 채널 13의 「프로그램 L」의 프로그램 타이틀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영역내에서 세로방향으로의 커서 이동은,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리모트 제어기의 업 버튼 스위치(43)및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선택된 영역(25Y)에 대응하는 커서(51Y)를 순차 위 또는 아래의 행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유저가 업 버튼 스위치(43)를 1회 누를 때 마다 커서(51Y)는, 위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커서(51Y)가 최상행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한번 더 업 버튼 스위치(43)를 누르면, 도 5A에 나타내는 실린더(25)의 영역 Y를 회전시키는 것 같이 화상에 표시내용이 스크롤된다.
또한, 유저가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누르는 것에 의해 커서(51Y)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커서(51Y)가 영역(25)의 최하행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한번 더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누르면, 역시 실린더(25)의 영역 Y를 회전시키는 것 같이 화상에 표시내용이 스크롤된다.
또한, 상술의 스크롤 조작은, 영역(25Y)에서 뿐만 아니라, 도 8A 내지 도 8H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영역(25X1), (25X2), (25Z)의 각 영역에서도, 어떤 영역이 선택되어, 선택된 영역에 대응한 커서(5lXl), (51X2), (51Z)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커서(51Y)를 이동시킨 경우, 「프로그램 L」은, 오전 9시 05분으로부터 오전 11시 00분의 시간대에 방송되므로, 이에 따라, 커서(5lX2)는 「프로그램 L」의 방송개시시각에 거의 대응하는 오전 9시 근처를 나타내는 위치에 대해 배치되어 있고 아울러, 9시대를 나타내는 「9」의 숫자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있다.
도 7C에는, 도 7B에 도시된 상태에서, 다음 방송 시간대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에 커서(51Y)를 이동시킨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 경우에,커서(51Y)는 심야의 오전 12시 10분으로부터 오전 12시 20분까지 방송되는 채널14의 「프로그램 U」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커서(51X2)는, 「프로그램 U」의 방송개시 시간에 거의 대응하는 오전 12시 근처를 도시하는 위치에 이동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12시대를 나타내는 「12」의 숫자가 강조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프로그램 U」의 방송 시간인 오전 12시 10분으로부터 오전 12시 20분은 방송 날짜로서는 다음날의「4일, 월요일」이다. 이 때문에, 영역(25X1)의 커서(5lX1) 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3일, 일요일」의 위치로부터, 그 다음날의 「4일, 월요일」의 위치에 이동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다음 방송 시간대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에 커서(51Y)를 이동시켜, 도 7D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전 1시 30분으로부터 오전 2시 00분까지 방송되는 채널(17)의「프로그램 f」에 커서(51Y)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영역(25X2)의 커서(51X2)는, 「프로그램 f」의 방송개시 시간에 거의 대응하는 오전 1시경을 나타내는 위치에 이동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오전 1시대를 나타내는 「1」의 숫자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있다. 영역(25X1)의 커서(51X1)는 「4일, 월요일」의 위치에 이동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는, 영역(25Y)에서 커서(51Y)의 이동에 따르는 표시형태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도 8A 내지 도 8H를 참조하여 영역(25Y)이외의 다른 영역에서의 커서 이동에 따르는 표시형태의 변화에 관해 설명한다.
예컨대, 유저가 l55 채널을 선국하여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한 리모트 제어기(14A)의 IRD 전환 버튼 스위치(33B) 및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를 조작하여, EPG를 호출하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니터 장치(19)의 표시화면(53)에는 프로그램표(50)가 표시된다. 즉, 현재 선국되어 있는 155 채널의 프로그램의 영상의 위에 프로그램표(50)가 겹쳐 표시된다.
이 경우, 도 8A의 프로그램표(50)에는, 도 7A와 유사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즉, 영역(25Y)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커서(51Y)만이 유저에 의한 직접적인 이동조작이 가능하고, 다른 영역 (25X1, 25X2, 25Y, 25Z)의 커서(51Xl, 51X2, 51Y, 5lZ)는 유저에 의한 직접적인 이동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여기서는 영역(25Z)에 장르의 1선택지로서 선국 채널(52)의 항목이 마련되고 있다. 선국 채널(52)은, 도 3에 도시한 튜너(11)에 의해 선국되어 있는 방송국의 채널 번호이다.
따라서, 선국 채널(52)에 표시되는 채널 번호는, 현재 선국되어 있는 채널에 의해 그 때마다 달라지며, 도 8A의 경우에는, 현재 155 채널이 선국되어 표시되어 있으므로, 「155 CH」라고 되어 있다.
도 8A에서는, 155 채널에서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일부가 프로그램표(50)와 중첩된 화면(53)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53)의 우상단 부분에는 155 채널의 방송국 로고 및 채널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 방송국 로고 및 채널 번호의표시의 유무는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화면 표시 버튼 스위치(35)를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바뀌어진다.
이 도 8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예컨대 유저가 도 6에 도시한 리모트 제어기(14A)의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를 1회 조작하였다면, 프로그램표(50)의 표시는 도 8B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한다. 이것은 영역(25Y)의 왼쪽 옆의 시간을 표시하는 영역(25X2)이 선택된 상태이다. 이 표시 상태에서는 영역(25X2)의 커서(51X2)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다른 영역의 커서는 유저에 의한 직접적인 이동조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8B의 상태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커서(51X2)를 상하의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새로운 시간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8C에는 도 8B의 상태로부터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1회 누른 것에 의해「8시」부터「9시」로 지정 시간이 변경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정 시간이 변경되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영역(25Y)에서는 9시 대 이후에 방송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중 하나가 표시되므로 그 표시내용이 변경된다.
또한, 도 8D의 상태로부터, 또한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를 1회 누르면, 도 8D에 도시한 날짜를 표시하는 영역(25X1)이 선택되어, 커서(51X1)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다른 영역의 커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한 직접적인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영역(25X2)의 상태는 도 8B와 유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B의 상태이후,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커서(51X1)를 상하로 이동시켜 새로운 날짜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E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1회 누른 것에 의해, 4일의 월요일이 새롭게 지정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영역(25Y)에서는, 4일의 월요일 이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후보가 되도록, 그 표시내용이 변경된다.
또한, 도 8D의 상태로부터,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를 조작할 때마다, 선택영역은 도 8B에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은 순서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선택되는 영역이 순차적으로 변화되어 간다. 그리고, 도 8A의 상태로부터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를 누른 경우에는, 도 8f에 나타내는 장르를 표시하는 영역 Z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행하므로 커서(5lZ)가 이동 가능해진다. 이 때, 다른 영역의 커서(51Xl, 5lX2, 51Y)는 이동조작이 불가능하여 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의 조작에 의해 커서(51Z)를 이동시키고, 다른 장르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8F에 나타내는 「모든 장르」가 지정된 상태로부터, 업 버튼 스위치(43)를 1회 누르면, 도 8G에 나타난 바와 같은 「155 CH」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선국 채널(52)이 지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8G에 도시한 바와같이 「155CH」이라고 표시된 선국 채널(52)에 커서(51Z)가 배치된 상태는, 영역(25Y)은, 표시내용이 변경되어, 예컨대 도 8H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전 8시 이후에 155채널에서 방송이 예정되어 있는 복수의 프로그램 타이틀이, 그 방송개시 시각순으로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현재시청하고 있는 채널에서 현재이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도 8H에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Y)이 선택되어 커서(51Y)가 이동조작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역(25Z)에서 장르 지정 조작을 하는 것으로, 「영화」나「뉴스」등의 프로그램을 구별하는 장르마다 프로그램 후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방송이 예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방송 채널 단위로 파악할 수가 있다.
한편, 영역(25Z) 에서「북마크」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북마크가 첨부된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예컨대 방송 개시 시간 순서로 영역(25Y)에 표시된다.
또한, 예컨대 도 8F에 도시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를 1회 누룰 때마다 선택영역이 왼쪽방향으로 순차 이동해 간다. 이는 도 8A에서 도 8B, 그리고 도 8D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의 변화에 대응한다.
다음에, 프로그램표(50)에 의해 표시된 프로그램 타이틀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프로그램 타이틀을 선택하여 결정한 경우의 표시형태에 관해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그램의 선택 결정을 위한 이 조작은, 영역(25Y)에있어서 유저가 커서를 원하는 프로그램 타이틀에 이동시킨 상태로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누르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예컨대, 현재가 3일, 일요일의 오전 9시 10분경이라 하고, 이 때 도9A에 도시한 프로그램표(50)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유저가 상술한 리모트 제어기(14A)를 조작하여, 영역(25Y)에서 채널 13의「프로그램 L」(오전 9시 05분∼오전 11시 00분에 방송)에 커서(51Y)를 이동한 상태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눌러 「프로그램 L」에 관해 선택 결정의 조작을 한 것으로 한다.
이 시점에서는, 선택한 프로그램「프로그램 L」은 현재 방송중인 것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19)의 화면(53)에 표시된 EPG, 즉 프로그램표(50)는 없어져 버리고, 도 9B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로그램 L」의 방송화면으로 교체되어 유저는 선택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가 있다.
한편, 예컨대, 유저가 상술의 것과 같은 조작에 의해서, 채널21의「프로그램 P」(오전 10시 00분∼오전 11시 00분에 방송)에 관해 선택 결정의 조작을 한 것으로 한다. 이 때 선택한 프로그램「프로그램 P」는 현재 방송되고 있지 않고 금후 방송될 예정의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경우, 이 실시예에서,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l0)는 모니터 장치(19)의 화면(53)에, 도 9C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로그램 P」의 프로그램 내용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
도 9C에 도시한 정보의 화면상에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 여기서는「프로그램 P」의 방송일시, 프로그램내용 등이 표시되는 것 외에, 유저에 의해 선택가능한 각종의 명령 아이콘(54)이 표시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프로그램 내용의 정보도 EPG 데이터로서 방송 신호와 동시에 송신되고 있다.
이 도 9C에서, 명령 아이콘(54)으로서는, 도 9A에 도시한 프로그램표(50)를 다시 표시시키기 위한 아이콘(54A)과, 현재 정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북마크를 붙인 아이콘(54B)과, 이 프로그램을 그 방송개시 시간에 수신하고 표시시키기 위한 아이콘(54C)과, 텔레비전 쇼핑이나, 시청요금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한 아이콘(54D)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도 6에 도시한 리모트 제어기(14A)의 업 버튼 스위치(43) 및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명령 아이콘에 커서(55)를 배치할 수가 있어,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누르는 것에 따라, 커서(55)가 배치되어 있는 1개의 명령아이콘을 선택 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예컨대 아이콘(54A)이 선택 결정되면, 도 9C의 정보 화면으로부터, 도 9A에 도시한 프로그램표(50)의 화면으로 표시가 교체되어, 아이콘(54B)이 선택 결정되면, 현재 이 정보 화면에 소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북마크가 붙게 되고, 예컨대 이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개시 시간 등이 도 4에 나타내는 북마크 리스트 데이터(24C)로서 데이터 메모리(24)에 등록된다. 또한, 아이콘(54C)이 선택 결정되면, 이 정보 화면에 소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머 예약처리, 예컨대 이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 방송개시 시간, 방송종료 시간 등을 타이머 예약 리스트 데이터(24D)로서 데이터 메모리(24)에 등록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CPU(21)는 타이머 예약 리스트에 프로그램을 등록한 경우, 계시(計時) 동작을 하여, 그 방송개시 시간이 도래하였을 때에 튜너(11)를 제어하고 그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그 프로그램을 모니터 장치(19)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표(5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날짜, 시간, 프로그램의 타이틀, 장르 등을 할당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프로그램표(50)를 모니터 장치(19)의 표시화면(53)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표(50)상에서 각각의 영역의 커서를 조작함으로써, 예컨대 금후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여러 가지의 정보를 얻도록 하였기 때문에, 동일화면상에서, 화면 표시를 바꾸는 일없이 원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표시되는 영역(25Y)에서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선두에 놓고 다수의 프로그램이 방송 시간순으로 일렬로 나란히 세로로 표시되어, 그 영역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영역(25Xl, 25X2)의 날짜, 시간의 표시가 변화한다. 따라서, 날짜, 시간의 지정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날짜, 시간, 또는 장르를 변경하면, 그 변경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타이틀의 표시도 변경된다.
또한, 이 실시예서는 영역(25Z)에서, 방송 채널에 관련하는 정보로서 현재 선국되어 있는 채널에서 방송이 예정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일시 등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얻기 위한 선국 채널(52)을 마련함으로써 검색 장르로서의 선택지가 다양하게 되어 유저에게 있어서도 채널 선택 범위가 넓어졌다.
4.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
다음, 도 l0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지금까지 도 7A 내지 도 9C을 사용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의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CPU(21)의 처리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 즉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부(14)의 조작에 기초하여, 표시를 변화시키기 위한 처리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CPU(21)는, 최초에, 조작 입력 제어 프로그램(23A)를 실행함으로써, 리모트 제어기(14A)에서 입력되는 각종의 조작 명령에 대응한 처리를 한다. 즉, CPU(21)은 리모트 제어기(14A)의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의 조작을 대기하고 있다.
이 동안에, 예컨대 어떤 채널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된다면, CPU(21)는 도 10A 및 도 10B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루틴의 처리하여 예컨대 입출력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22)를 통해 입력된 조작 명령에 응해서, 동조 제어프로그램(23B)을 실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튜너(11)는 입력된 수신신호에 관해 동조를 하여, 지정된 채널의 수신출력을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를 통해 MPEG 비디오 디코더(16) 및 MPEG 오디오 디코더(17)에 공급한다.
또, 튜너(11)에 공급되는 방송파 신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주간분의 EPG 데이터가 수초에 1회의 비율로 중첩되어 있다. 이 EPG 데이터는 예컨대 3시간에 1회의 비율로 최신 데이터로 갱신된다. EPG 데이터 추출회로(13)에 공급되는 튜너(11)의 출력에는 이 EPG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다.
CPU(21)는, 제어프로그램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EPG 데이터 추출 제어프로그램(23C)을 실행함으로써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를 제어한다. EPG 데이터추출회로(13)는 이 제어에 대응하여 튜너(11)의 출력에 포함되고 있는 EPG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한 EPG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CPU(21)에 공급한다. CPU(21)는 이 EPG 데이터를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로서 데이터 메모리(24)에 기억시킨다. 또한, 표시신호 생성회로(15)는 표시신호 생성제어 프로그램(23E)에 근거하는 CPU(21)의 제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같은 CPU(21)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표(50)(EPG)의 화면 표시 데이터(24B)를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 혼합회로(18)에 공급한다.
이 때, 영상 신호 혼합회로(18)에는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로부터 출력되고 MPEG 비디오 디코더(16)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 즉 튜너(11)에서 선국된 프로그램의 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영상 신호 혼합회로(18)는 이 영상신호를 모니터 장치(19)에 출력한다. 또한, MPEG 오디오 디코더(17)에서 재생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20)에 출력되고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19)와 스피커(20)에 의해서 지정된 채널의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성이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10)로부터, 유저가 지시한 채널의 영상과 음성이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리모트 제어기 (14A)의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를 누르면, 도 10A에 도시한 처리가 개시되어, CPU(21)는 단계(S1)로 진행된다.
단계(S1)에 있어서, CPU(21)는 화면 표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23D)를 실행하여, 데이터 메모리(24)내의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에 따라서, 프로그램표(50)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 데이터(24B)를 작성한다. 이 화면 표시 데이터(24B)는 데이터 메모리(24)에 기억됨과 동시에,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서 표시신호 생성회로(15)에 출력된다. 또한, CPU(21)는 표시신호 생성 제어 프로그램(23E)을 실행하여 표시신호 생성회로(15)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같은 프로그램표(50)가 모니터 장치(19)에 표시된다.
다음 단계(S2)에 있어서, CPU(21)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 업 버튼 스위치(43), 다운 버튼 스위치(44),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 및 선택 버튼 스위치(47)중의 어느 하나의 버튼 스위치의 누름 조작을 대기(버튼 스위치 입력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정한다)하고 있어, 여기서 버튼 스위치중 어느 하나의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 있어서, CPU(21)는, 눌러진 버튼 스위치가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중 어느 한 스위치인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눌러진 버튼 스위치가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4)로 진행한다.
단계(S4)에 있어서, CPU(21)는 커서가 세로방향에 직접 이동조작 가능한 영역(이하, 간략히 「선택영역」이라 함)이 영역(25X1, 25X2, 25Y, 25Z)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현재의 선택 영역이 영역(25X1)(날짜 및 요일이 표시되어있는 영역)인 경우에, CPU(21)는 단계(S5a)로 진행하여, 영역(25X1)의 커서(5lX1)를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8D 및 도 8E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날짜 및 요일의 선택이 행하여 진다.
또한, 단계(S4)에 있어서, CPU(21)의 현재 선택영역이 영역(25X2)(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5b)로 진행하고 이 영역(25X2)의 커서(51X2)를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도 8D 및 도 8C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던 바와 같은 시간의 선택이 행하여진다. 이 시각의 선택에 따라, 상술의 바와 같이 영역(25Y)의 표시도 변화한다.
단계(S4)에 있어서, CPU(21)는 영역(25Y)(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선택 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5c)로 진행하여 영역 Y의 커서(51Y)를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예컨대 도 7A 내지 도 7D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던 바와같이 소망의 프로그램 타이틀에 커서(51Y)를 이동시킨 후, 도 10B에 도시한 단계(Sl4)로 진행한다.
단계(S4)에 있어서, CPU(21)는, 영역(25Z)(장르명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선택 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5d)로 진행하여, 영역(25Z)의 커서(5lZ)를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이동시켜, 도 8F 및 도 8G에 도시한 바와같은 채널 선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CPU(21)는, 단계(S5a, S5b, S5d)의 처리에 의해 각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의 선택이 종료되면, 단계(S2)로 되돌아가 새로운 버튼 스위치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어떤 지정 영역에서 커서를 상하방향에 이동시켰을 때, 이것에 따라서 다른 영역의 표시가 변경되는 것은 도 7A 내지 도 8H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상술한 각 단계(S5a 내지 S5d)에서, 커서의 이동 제어와 함께 이러한 다른 영역의 표시의 변경을 위한 처리도 실행한다.
한편, 단계(S3)에 있어서 CPU(21)는,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업 버튼 스위치(43)와 다운 버튼 스위치(44)의 어느 것도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6)로 진행한다. 단계(S6)에 있어서,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이면 단계(S7)로 진행한다.
단계(S7)에 있어서, CPU(21)는 현재의 선택 영역이 영역(25Xl, 25X2, 25Y, 25Z)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여, 영역(25Xl)이 선택 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8a)로 진행한다. 단계(S8a)에서, CPU(21)는 영역(25Xl)에서 그 오른쪽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영역(25X2)을 선택영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처리를 한다.
즉, 예컨대 도 8D에 도시한 표시 상태로부터 도 8B에 도시한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 같은 표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이러한 표시변경에 따라, 현 재이동 가능한 커서로서 커서(5lX2)가 가장 굵게 표시된다.
단계(S7)에 있어서, CPU(21)는, 현재의 선택영역이 영역(25X2)이라고 판정하면, 단계(S8b)로 진행하여, 선택영역을 영역(25X2)에서 영역(25Y)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영역(25Y)의 커서(51Y)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프로그램표(50)의 표시가 도 8B의 표시 상태로부터 도 8A의 표시 상태로 이행되는 것이다.
단계(S7)에 있어서, CPU(21)는 현재의 선택영역이 영역(25Y)이라고 판정하면, 단계(S8c)로 진행하여, 이동 가능한 커서가 존재하는 영역이 영역(25Y)에서 영역(25Z)으로 이행되고 커서(51Z)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8A의 표시 상태로부터 도 8F의 표시 상태로의 이행이 이것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단계(S7)에 있어서, CPU(21)는, 영역(25Z)이 현재의 선택 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이 실시예로서는 단계(S8d)로 진행하여, 그 버튼 스위치 입력을 무효로 한다. 이것은 영역(25Z)의 오른쪽의 근방에는 이상적인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에 의한 것이지만, 예컨대, 단계(S8d)의 처리로서, 영역 Z에서 가장 좌측의 영역인 영역(25Xl)이 선택영역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단계(S8a 내지 S8d)에서 처리가 종료하면, CPU(21)는 단계(S2)로 되돌아가, 새로운 버튼 스위치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S6)에 있어서, CPU(21)는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가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9)로 진행하여,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CPU(21)는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10)로 진행하여 현재의 선택영역이 영역(25Xl, 25X2, 25Y, 25Z)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단계(S10)에서, CPU(21)가, 영역(25Xl)이 선택 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11a)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는, 영역(25Xl)의 좌측에는 이상적인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의 입력을 무효로 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단계(S11a)에서의 처리로서, 가장 오른쪽의 영역인 영역(Z)이 선택영역이 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단계(Sl0)에 있어서, CPU(21)가, 영역(25X2)이 선택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11b)로 진행하고, 선택영역을 영역(25X2)에서 영역(25X1)으로 이동하여, 커서(51Xl)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도 8B의 표시 형태로부터 도 8D의 표시형태로의 이행이 이것에 대응한다.
다음, CPU(21)가, 단계(S10)에 있어서 영역(25Y)이 현재의 선택영역이라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11c)로 진행하여, 선택영역을 영역(25Y1)에서 영역(25X2)으로 이동하여, 커서(51X2)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표시형태에서 도 8d에 나타내는 표시형태로의 이행이 이것에 대응한다.
단계(S10)에 있어서, CPU(21)가, 선택영역이 영역(25Z)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11d)로 진행하여, 선택영역을 영역(25Z)에서 영역(25Y)으로 이동하여,커서(51Y)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단계(Slla 내지 S11d)에서의 처리가 종료하면, CPU(21)는 단계(S2)로 되돌아가 새로운 버튼 스위치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S9)에 있어서, CPU(21)는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가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도 10B에 도시한 단계(Sl2)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S12)에 있어서, CPU(21)가 유저의 선택 버튼 스위치가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S12)로 진행하여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15)에 있어서, CPU(21)가,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가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때에, 도 10A에 나타내는 단계(S2)로 되돌아가, 새로운 버튼 스위치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단계(S12)에 있어서, CPU(21)가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13)로 진행하여, 도 3에 도시한 모니터 장치(19)의 표시화면(53)으로부터 프로그램표(50)를 소거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의 표시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도 10A에 나타내는 단계(S5c)에서 이행한 단계(S14)에 있어서, CPU(21)는,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선택 버튼 스위치(47)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단계(S14)에 있어서, CPU(21)가 유저가 조작한 버튼 스위치가 선택 버튼 스위치(47)이라고 판정하면, 영역(25Y)의 커서(51Y)가 배치되어 있는 타이틀의프로그램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단계(Sl5)로 진행한다.
단계(Sl5)에 있어서, CPU(21)가 단계(S14)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현재 방송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그 프로그램이 방송중이라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16)로 진행하여, 프로그램표(50)와 중첩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영상을 선택 결정된 프로그램의 영상으로 바꾼다. 즉, CPU(21)는 단계(Sl6)에 있어서, 튜너(11)를 제어하여 선택 결정된 프로그램의 채널을 수신시켜, 그 프로그램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9)에 표시시키고, 또한 그때까지 표시되고 있던 프로그램표(50)를 소거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은 예컨대 도 9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 9B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CPU(21)는, 선택한 프로그램이 현재는 방송되고 있지 않고, 금후 방송될 예정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17)로 진행하여, 선택 결정된 프로그램의 정보 화면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는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로서 기억되어 있는 정보, 즉 선택 결정된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 예컨대 그 프로그램의 출연자 등의 데이터를 읽어 내어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 장치(19)에 표시되는 화상은 예컨대 도 9A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로부터 도 9C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단계(S17)에 있어서, CPU(21)가, 도 9C에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은 정보 화면을 표시하면 CPU(21)는 단계(S18)로 진행하여, 아이콘(54A)이 선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1)가 아이콘(54A)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1)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 단계(S1)에 있어서 다시 프로그램표(50)가 모니터 장치(19)의 화면(53)상에 표시된다. 한편, CPU(21)는 아이콘(54A)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l9)로 진행하여 아이콘(54B)이 선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19)에 있어서, CPU(21)가 아이콘(54B)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20)로 진행하여, 현재, 도 9C에 도시한 바와같은 정보화면으로 소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북마크를 붙이고 즉, 이 프로그램을 데이터 메모리(24)에 북마크 리스트 데이터(24C)로서 등록한 뒤, 단계(Sl8)로 되돌아간다.
또한, 프로그램표(50)에 있어서의 영역(25Z)의 북마크 항목에 상당하는 아이콘(54B)에 커서(51Z)를 배치함으로써, 단계(S20)의 처리에 의해 북마크를 붙인 프로그램 타이틀을 영역(25Y)에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CPU(21)는 단계(S19)에 있어서, 아이콘(54B)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21)로 진행하여, 아이콘(54C)이 선택되어 있는가, 아닌가 에 관해서 판정한다. 단계(S21)에 있어서, CPU(21)는 아이콘(54C)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21)로 진행하여, 이 정보 화면으로 소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머 예약처리를 하여, 단계(S17)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21)에 있어서, CPU21는 아이콘(54C)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바로 단계(S18)로 되돌아간다.
CPU(21)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타이머 예약 리스트 데이터(24D)에 프로그램을 등록하였을 때에는, 계시 동작을 하여, 예컨대, 그 방송 개시 시각이 되었을때에 튜너(11)를 제어하여 그 프로그램을 수신시킨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A 내지 도 8H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로그램의 장르에 대응하는 영역(25Z)에서 선국 채널(52)로서, 현재 선국되어 있는 채널의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CPU(21)가 현재 선국되어 있는 채널에 대응하여 선국 채널(52)의 표시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예컨대 채널 전환시 등에 실행된다. CPU(21)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 단계(S31)에 있어서, 현재 튜너(11)에서 선국되어 있는 채널 번호 n을 식별한다. 이 채널 번호 n은 CPU(21)이 최후에 출력한 튜너(1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참조하여 얻도록 하여도 좋고, 튜너(11)의 현재의 동조상태를 모니터함으로써 얻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단계(S32)에 있어서, CPU(21)가 단계(S31)에서 식별한 채널 번호 n에 따라서,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도 4참조)에 기억된 EPG 데이터의 선국 채널(52)에 대응하는 데이터, 즉 해당 채널에서 금후 방송될 예정의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하여 선국 채널 데이터(24E)로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 8H에 도시한 경우라면, 단계(S31)에 있어서 식별된 채널 번호 n은 155가 되어, 이 채널 번호 「155」의 데이터에 따라서 선국 채널 데이터(24E)가 작성된다. 그리고, 이 선국 채널 데이터(24E) 및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에 따라서, 도 10A의 단계(S1)에 있어서 프로그램표 표시를 위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에 의해,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 8H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역(25Z)에서 현재 선국중의 채널이「155 CH」로 표시됨과 아울러 영역(25Y)에 대응하는 채널의 금후 방송이 예정된 프로그램 타이틀이 표시된다. 즉 선국 채널(52)은, 선택항목의 1개로서 기능하고 있다.
5. 좋아하는 채널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로서, 현재 선국되어 있는 방송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선국 채널(52)을 영역(25Z)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표시로서는, 선국 채널(52)에 더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에 관한 프로그램의 정보를 신속하게 얻기 위한「좋아하는 채널」의 항목을 영역(25Z)에 마련하고 있다. 또한, 영역(25Z) 에 선국 채널(52)을 마련하지 않고 「좋아하는 채널」의 항목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로서, 「좋아하는 채널」의 항목을 마련한 프로그램표(50)의 표시 예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 8H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도시한 바와같이, 좋아하는 채널(56)의 항목이 마련되어 있다. 좋아하는 채널(56)의 항목은, 유저가 임의로 등록한 원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유저는 예컨대 이 실시예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l0)에서 수신이 가능한 방송 채널중에서 후술하는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한 방송 채널을「좋아하는 채널」이라고 하여 등록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좋아하는 채널」의 등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예컨대, 유저가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메뉴 버튼 스위치(38)를 조작함으로써 도 13A에 도시한 바와같은 채널 등록화면(57)이 표시된다.
이 채널 등록 화면(57)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에 의해 제시되는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예컨대, 도 13A에서는 16개의 채널항목(58)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채널항목(58)에 있어서, 채널 번호의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는 2중점선의 부분에는, 실제 그 방송 채널의 심볼 마크, 소위 방송국 로고가 표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유저가 원하는 채널을 인식하기 쉽게 배려하고 있다.
또한, EPG에 의해 제시되는 방송 채널수는 꽤 많으므로 1장분의 채널 등록 화면(57)에 모든 방송 채널을 표시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채널 등록 화면(57)을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채널 등록 화면(57)에서 오른쪽 아래쪽에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의 전 페이지로 이행하기 위한 앞 페이지 항목(59)과, 다음 페이지로 이행하기 위한 다음 페이지 항목(6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채널 등록 화면(57)에는, 항목마다 이동할 수 있는 커서(6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좋아하는 채널을 등록하기 위해, 유저는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업 버튼 스위치(43), 다운 버튼 스위치(44),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이하, 이들 버튼 스위치를 총칭하여 커서이동키라 한다)중 어느 한 키를 조작하여, 커서(61)를 원하는 방송 채널의 채널항목(58)으로 이동시킨다. 커서(61)는 커서 이동키의 어느 키가 조작된 시기에 조작된 커서 이동키에 대응하는 상하 좌우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컨대 도 13B는, 109 채널의 채널항목(58)에 커서(61)를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B에 도시한 바와같이, 109 채널의 채널 항목(58)에 커서(61)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유저가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였다고 한다. 이것에 의해, 109채널과 표시된 채널항목(58)에 대하여, 이 채널이「좋아하는 채널」로서 등록된 것을 나타내는 체크 마크(62)가 부가된다.
또한, 일단 부가된 체크 마크(62)를 소거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체크 마크(62)를 소거하고 싶은 채널항목(58)에 커서(61)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두 번 조작한다.
이 도 13B에는, 상기 조작에 의해, 채널 번호101채널, 108채널, 109채널, 127채널, 128채널의 적어도 5개의 방송국이「좋아하는 채널」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현재 표시중의 페이지에 유저가 소망하는 방송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예컨대, 유저는 커서 이동키의 조작에 의해 전 페이지 항목(59) 또는 다음 페이지 항목(60)으로 커서(61)를 이동시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의 앞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의 채널 등록 화면(57)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새롭게 표시된 채널 등록 화면(57)의페이지로부터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가 있다.
그리고, 유저가「좋아하는 채널」의 등록을 종료하여, 예컨대 통상의 텔레비전화상의 화면이나 EPG의 화면 등에 표시를 바꾸고 싶을때에는 예컨대 메뉴 버튼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원하는 화면으로 바꿀수 있다.
도 14는 프로그램표(50)가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영역(25Z)에서의 좋아하는 채널(56)로 커서(51Z)를 배치시켜, 좋아하는 채널(56)을 지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Y)이 선택되어 커서(51Y)가 이동 조작가능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좋아하는 채널(56)이 지정된 상태로서, 영역(25Y)에는, 예컨대「좋아하는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에 의해 방송되는 프로그램만이 방송 개시 시간 순서로 표시된다. 또한, 이 도 14의 영역(25Y)에서 각 프로그램 타이틀의 항목마다 도시되는 2중 점선부분은, 실제 도 12의 경우와 같이 방송국 로고가 도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B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체크 마크(62)가 부가된 5개의 방송 채널이「좋아하는 채널」등록되어 있는 경우, 101채널, l08채널, 109채널, 127채널, 128채널의 방송 채널에 의해 방송되는 전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영역(25Y)에 방송 개시 시각 순서로 표시되고 있다. 도 14에는 이 표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그리고, 유저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Y)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타이틀을 보면서, 유저 자신이 등록한 좋아하는 방송 채널에 의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의 유저가 주로 시청하는 방송 채널은 몇 개로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영역(25Z)에 방송 채널에 관련하는 정보로서「좋아하는 채널」의 항목을 마련함으로써, 유저가 자주 시청하는 방송 채널에 관해「좋아하는 채널」이라고 하여 등록하여 놓을 수 있어, EPG의 사용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3A 및 도 13B에서 설명한 「좋아하는 채널」의 등록을 위한 CPU(21)(도 4참조)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채널 등록 화면(57)을 호출하기 위한 조작,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한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메뉴 버튼 스위치(38)의 누름 조작 등이 행하여졌을 때,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가 개시되어, CPU(21)는, 단계(S41)에 있어서 채널 등록 화면(57)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기(12) 및 표시 신호 생성회로(15)가 채널 등록 화면(57)의 표시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CPU(21)는 예컨대 채널 등록 화면(57)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23D)을 실행하여, 즉 EPG 데이터 추출회로(13)로부터 공급되는 EPG 데이터를 기초로, 채널 등록 화면(57)을 위한 화면 표시 데이터(24B)를 작성한다. 이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의 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CPU(2l)는 이 채널 등록 화면(57)을 위한 표시 데이터(24B)를 표시신호 생성회로(15)에 공급하고, 표시신호 생성회로(15)는 예컨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채널 등록 화면(57)에 대응한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채널 등록 화면(57)의 화면(53)에 표시된다.
단계(S41)에 있어서, CPU(21)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채널 등록 화면(57)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면, 단계(S42)로 진행하고, 커서 이동키의 어느 1개가 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CPU(21)는 커서(61)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의 행위 여부를 판정한다.
CPU(21)가, 커서 이동키의 어느 1개에 관해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43)로 진행한다.
단계(S43)에 있어서, CPU(21)는 커서 이동키 중, 조작된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커서(61)를 이동시킨 후,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42)에 있어서, CPU(21)는 커서 이동키중 어느쪽도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44)로 진행하고, 도 6에 도시한 리모트 제어기(14A)의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CPU(21)는 도 13B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채널 항목(58)에 대하여 체크 마크(62)를 부가 혹은 소거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 졌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44)에 있어서, CPU(21)가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5)에 있어서, CPU(21)는 커서(61)가 현재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채널 등록 화면(57)상의 어떤 항목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해 판정을 행하고, 채널 항목(58)에 커서(61)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S46)로 진행하고, 앞 페이지 항목(59)의 경우에는 단계(S47)로 진행하며, 다음 페이지 항목(60)의 경우에는 단계(S48)로 진행한다.
단계(S46)에 있어서, CPU(21)는 커서(61)가 현재 배치되어 있는 채널항목(58)으로 체크 마크(62)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체크 마크(62)를 새롭게 부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커서(61)가 현재 배치되어 있는 채널항목(58)에 체크 마크(62)가 이미 부가되어 있으면, 이 체크 마크(62)를 소거하도록 제어를 한다. CPU(21)는 단계(S46)의 처리를 실행한 후는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47)에 있어서, CPU(21)는, 현재 표시중의 채널 등록 화면(57)의 페이지에 대하야 1개 앞의 페이지의 채널 등록 화면(57)으로 표시를 바꾸기 위한 제어를 하여, 그 후,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또한, 현재 표시중의 채널 등록 화면(57)의 페이지가 가장 앞의 페이지임에도 불구하고, 앞 페이지 항목(59)에 커서(61)가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었을 때, CPU(21)는 이 단계(S47)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S48)에 있어서, CPU(21)는, 현재 표시중의 채널 등록 화면(57)의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의 채널 등록 화면(57)에 표시를 바꾸기 위한 제어를 하여,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경우에도, 현재 표시중의 채널 등록 화면(57)의 페이지가 최후의 페이지임에도 불구하고, 다음 페이지 항목(60)에 커서(61)가 배치된 상태로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었을 때, CPU(21)는 단계(S48)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44)에 있어서, CPU(21)는,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49)로 진행하고 다른 표시화면으로 전환 조작이 행하여지는를 판정한다. 즉, CPU(21)는 메뉴 버튼 스위치(38)의 조작으로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채널 등록 화면(57)으로부터 통상의 텔레비전방송의 화면이나 프로그램표(50)의 화면, 혹은 다른 종류의 메뉴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 지는지를 판정한다.
이 단계(S49)에 있어서, CPU(21)는 메뉴 버튼 스위치(38)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42)로 되돌아가, 지금까지 설명한 커서 이동키의 조작의 유무에 응하는 처리동작을 실행하지만, 메뉴 버튼 스위치(38)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50)로 진행한다.
단계(S50)에 있어서, CPU(21)는 채널 등록화면(57)상에서 현재 체크 마크(62)가 부가되어 있는 방송 채널, 즉, 「좋아하는 채널」로서 유저가 등록하는 방송 채널을 도 4에 도시한 좋아하는 채널 데이터(24F)로서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좋아하는 채널」로서 등록된 방송 채널의 전 프로그램의 타이틀 및 방송 시간 등을, 방송 개시 시간순으로 배열하도록 좋아하는 채널 데이터(24F)를 작성한다. 이렇게 하여 작성된 좋아하는 채널 데이터(24F)에 기초를 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표시함으로써, 도 14의 영역(25Y)에 도시한 바와같은 표시가 이루어진다.
단계(S50)의 처리가 완료하면, CPU(21)는 단계(S51)로 진행한다. 이 단계(S51)에 있어서, CPU(21)는 전번의 단계(S49)에서 판정한 메뉴 버튼 스위치(38)의 조작에 의해, 새롭게 호출해야 되는 화면(텔레비전 화면,프로그램표(50), 또는 다른 메뉴화면 등)에 표시를 바꾸는 제어를 실행하고 바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선국 채널(52) 및 좋아하는 채널(56)의 항목을 영역(25Z)에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선국 채널(52) 및 좋아하는 채널(56)의 항목을 영역(25Z)과 독립적으로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지, 이 실시예와 같이 영역(25Z)에서 선국 채널(52)의 항목을 다른 장르 등의 항목에 반하여 표시함으로써, 세로방향의 영역구분이 증가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고 EPG의 화면구성을 될 수 있는 한 간략하게 하여 보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채널에 관련하는 정보를「장르」로서 추가하더라도, 유저의 조작이 번잡하게 되지는 않는다.
6.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다음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프로그램의 장르에 관련한 정보항목으로서, 방송프로 중 유저가 마음에 들고 있고, 높은 높은 빈도로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정보항목을 마련한다. 또한, 이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앞의 실시예로서 설명한 「선국 채널」및「좋아하는 채널」에 반하여 영역(25Z)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고, 「선국 채널」및「좋아하는 채널」을 마련하지 않고,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만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즉, 유저가 즐겨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등록은, 예컨대, 먼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좋아하는 채널 등록조작을 응용하여, 유저 자신이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채널 단위가 아니라 프로그램 단위의 등록이고, 시청가능한 프로그램수는 아주 많기 때문에 이러한 등록조작은 오히려 등록 순서의 곤란 및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동안, 도 16에 도시한 바와같은 처리를 CPU(21)가 항상 실행함으로써, 유저가 좋아하여 보는 프로그램(이하「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이라 함)이 자동적으로 등록되도록 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단계(S61)에 있어서, CPU(21)가 모니터 장치(19)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인식하고 다음 단계(S62)에서, 이 현재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계시한다.
여기서, 모니터 장치(19)에 현재 표시중의 프로그램은 튜너(11)에서 현재 선국되어 있는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이고, 이 프로그램의 타이틀은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되어 있는 실린더 EPG 데이터 베이스(24A)를 참조함으로써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프로그램의 시청 시간은 계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있는 시간이고, 이 시청시간의 계시는, 예컨대 CPU(21)내에 마련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63)에 있어서, CPU(21)는 예컨대 채널의 전환 조작 또는 프로그램의 종료 등에 의해,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으로 바뀌어 졌는가를 판정하여, 프로그램의 전환이 없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62)로 되돌아가 현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의 계시를 계속한다. 이것에 대하여, CPU(21)는 프로그램의 전환이 있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64)로 진행한다.
단계(S64)에 있어서, CPU(21)는, 전환전의 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참조하여, 예컨대, 이 시청시간이 해당 프로그램의 전방송 시간대에 대하여 어느 만큼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CPU(21)가 EPG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개시/종료 시각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의 전방송 시간대를 산출하고 있다.
여기서, CPU(21)는 프로그램의 전방송 시간대에 대한 시청 시간의 비율이 소정값 이하라고 판정하였을 때는, 유저가 해당 프로그램을 선국하여 시청한 프로그램은 유저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서 채널을 바꾸고 있는 도중에 선택된 프로그램이나, 유저가 흥미있어 하는 프로그램인 가능성이 높고, 특히 유저가 적극적으로 시청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고 해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처리되지 않고 단계(S6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하여, CPU(21)는 프로그램의 전방송 시간대에 대한 시청시간의 비율이 소정값 이상이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유저가 마음을 두고 시청한 프로그램인것으로 하여, 단계(S65)로 진행한다.
단계(S65)에 있어서, CPU(21)는 이 시청시간이 소정의 비율 이상의 프로그램이 등록시의 프로그램인지를 판정하고 등록되지 않은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66)로 진행하고, 전환전의 프로그램 타이틀 등을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한다.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하는 데이터는, 적어도 프로그램 타이틀과 시청 회수를 나타내는 시청 이력(履歷) 정보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메모리(24)내에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로서 기억된다. 따라서, 단계(S65)에 있어서의 판정 처리도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를 참조함으로써 실행된다. CPU(21)는 단계(S66)의 처리를 실행한 뒤, 단계(S6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65)에 있어서, CPU(21)가 시청 시간이 소정의 비율이상의 프로그램이 등록된 때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67)로 진행하고 이미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로서 등록되어 있는 같은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에 있어서의 시청회수를 카운트 업한 후에 단계(S6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등록이 완료된 때의 프로그램과 이번 등록하는 프로그램이 동일한 것인가에 대한 판정은 예컨대 EPG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에 관한 데이터나, 방송 시간대에 관한 데이터를 근거로 행하여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인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는 적어도 지금까지 등록된 프로그램의 타이틀과, 각 프로그램 타이틀마다의 시청 회수이고, 이들은, 도 4에 도시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로서 기억되어 있다. 환언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로서 등록된 프로그램이 유저가 마음에 들어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고 동시에 그 프로그램마다 시청 회수(빈도)는 유저가 프로그램을 마음에 들어하는 정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에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같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을 영역(25Z)에 마련하여,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에 등록된 프로그램 타이틀을 영역(25Y)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7A는,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프로그램표 버튼 스위치(42)의 조작 등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19)의 화면(53)에 표시된 프로그램표(50)의 표시 예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 17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영역(25Xl, 25X2)에서의 커서의 표시를 생략함과 동시에, 영역(25Y)에서의 프로그램 마다의 채널 및 방송국 로고 등의 표시도 생략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7A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르에 대응하는 영역(25Z)의 최하단에, 「마음에 드는」이란 문자가 표시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의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영역(25Z)의 커서(51Z)는 「모든 장르」의 항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먼저 도 8A 내지 도 8H를 사용하여 설명한 조작방법에 의해, 프로그램표(50)에 있어서의 영역(25Z)을 선택영역으로 하여, 커서(51Z)를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의 항목으로 이동하여, 도 17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커서(51Z)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의 항목에 배치되고, 즉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이 선택되면, 상술한 도 4에 나타내는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에 따라서, 영역(25Y)에 프로그램 타이틀 등이 표시된다. 예컨대, 영역(25Y)에는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된 프로그램 타이틀이 시청 회수(빈도)가 많은 순서로 세로방향(원주방향)에 따라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B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역(25Y)에는 위에서 밑의 순서로 「프로그램 FA」, 「프로그램 FB」····「프로그램 FH」의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의 프로그램은 유저가 그 프로그램의 전방송 시간대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이상 시청한 것에 따라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된 프로그램이고, 시청 회수가 많은 순서로 위에서 밑으로 프로그램 타이틀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역(25Y)의 커서(51Y)를「프로그램 FA」에 배치시킨 상태로,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여 이 프로그램을 선택하였을 때, 이후의 표시형태는 도 9A 내지 도 9C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된다.
즉, 선택된 프로그램「프로그램 FA」가 현재 방송중인 경우에는, 튜너(11)에 의해 이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채널이 선국되어, 도 17C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화면상에 현재방송중의「프로그램 FA」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것에 대하여, 「프로그램 FA」가 현재의 채널에서도 방송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7D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로그램 FA」의 정보 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그램표(50)의 표시가 종료되어 일단 다른 화면(예컨대, 도 17B에서 도 17 C 또는 도 17D에 도시한 표시 상태)으로 전환되어 다시 프로그램표(50)가 호출된 경우에는 예컨대 유저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마음에 드는프로그램(63)이 선택되고 영역(25Y)에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8은,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서의 마음에 드는 63의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의 CPU(21)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고, 먼저 도 10A 및 도 l0B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의 단계(S5d)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8에 나타내는 단계(S71)에 있어서, CPU(21)는, 영역(25Z)에 있어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에 커서(51Z)가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단계(S71)에 있어서, CPU(21)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 단계(S72)로 진행하고 현재 선택되어 있는 항목에 대응하는 장르(예컨대「모든 장르」,「영화」,「스포츠」등)에 따른 프로그램표를 표시한다. 예컨대, 「영화」의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한다면, 이에 의해 방송 예정의 영화프로그램의 타이틀이 방송 개시 시간순으로 영역(25Y)에 표시되고 다른 영역(25X1및 25X2)에는, 영역(25Y)의 표시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이 표시된다.
한편, 단계(S71)에 있어서, CPU(21)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63)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73)로 진행하고, 도 4에 나타난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로서 기억된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를 둔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같이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데이터(24G)에 등록된 프로그램 타이틀을 시청회수가 많은 순으로 영역(25Y)에 위에서 아래로 표시한다.
7. 장르 등록
여기서, 유저가 영역(25Z)에 원하는 장르를 등록할 수가 있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로서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유저가 자기의 기호에 의해 등록한 장르가 항목으로서 표시된다. 즉, 유저의 기호에 따른 내용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9 내지 도 21F를 참조하여, 유저가 원하는 장르를 영역(25Z)의 항목으로서 등록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영역(25Z)에 표시되는 장르를 유저가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유저가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l4A)의 메뉴 버튼 스위치(38)를 조작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것 같은 조작 가이드 화면(64)이 모니터 장치(19)의 화면(53)에 표시된다. 이 조작 가이드화면(64)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에 관련하는 각종 조작 수순을 유저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작 가이드 화면(64)상의 좌측의 영역에는, 각종 조작 가이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65)이 표시되어 있고, 유저가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조작하여, 이들의 아이콘(65)중 1개에 커서(66)를 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조작 가이드의 종류의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조작 가이드 아이콘(65)중의 아이콘(65A)은, 상술한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새로운 장르를 등록하기 위한 것이며, 이 아이콘(65A)에 커서(66)를 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이 도 19에 나타내는 것같은 장르 등록 화면(67)이 아이콘(65)의 오른쪽에 표시된다.
이 장르 등록 화면(67)에 있어서,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표시되는 장르의 후보를 표시하는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이 마련되고 있다. 이 장르 후보항목 영역(68)에는 20개의 장르 후보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장르 후보 항목에는 유저에 의해 등록된 것을 나타내는 체크 마크(69)가 표시되는 작은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에 있어서 표시되는 장르 후보 항목의 항목명이나 항목수는 방송파의 신호에 중첩하여 방송하여 전송되는 EPG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에 관한 장르의 정의는 송신측에 의해 미리 정해지고, 또한 각 방송 프로가 정의된 장르의 어떤것에 해당하는 것인가에 관한 결정도 송신측에 의해 행하여진다. 따라서, 송신측에서는 미리 정의된 복수의 장르에 따라서, 방송 예정의 프로그램이 이들 장르의 어느 것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포함한 EPG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또한, 이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에는 장르 후보 항목마다 이동할 수가 있는 커서(70)가 표시된다. 또한, 이 커서(70)는 예컨대, 후술하는 복귀용의 아이콘(73) 및 리셋용의 아이콘(74)상에도 이동할 수가 있다.
이 커서(70)의 이동은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업 버튼 스위치(43), 다운 버튼 스위치(44),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 우측 방향 버튼 스위치(46), 즉 커서 이동키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커서 이동키의 어느 것이 조작되면, 조작된 커서 이동키에 대응하는 상하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장르 후보 항목과, 복귀용의 아이콘(73) 및 리셋용의 아이콘(74)으로 커서(70)가 이동된다.
또한, 예컨대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의 가장 좌측의 항목란의 어느 란에 커서(7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 방향 버튼 스위치(45)가 다시 조작되었을 때에는 아이콘(65)에 대한 커서(66)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의 오른쪽에는 현재의 장르의 등록상태를 나타내는 등록표시 영역(71)이 마련되고 있다. 이 도 19에 나타내는 등록 표시 영역(71)에는, 예컨대 전부 8개 등록된 장르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표시되는 장르 항목의 수를 8개로 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등록된 장르가 표시되는 때에는, 이 등록표시 영역(71)에 표시되어 있는 장르 항목이 상술한 실린더 EPG의 형태로 표시된다.
그런데, 이 도 19에서는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의「북마크」「모든 장르」「영화」「뉴스」「스포츠」「음악」「버라이어티(variety)」「드라마」의 8개의 장르 후보 항목에 체크 마크(69)가 부가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 표시 영역(71)에는 이들 8개의 장르 후보 항목이 등록된 장르 항목으로서 표시되고 있다.
또한, 장르 후보 항목 영역(68)의 위쪽에는 파선으로 나타낸 메시지 표시 영역(7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메시지 표시 영역(72)에는, 현재의 등록 상황이나 유저의 조작 상황 등에 대응하여 각종 조작 유도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장르 등록 화면(67)에는, 상술한 바와같이「복귀」라고 표시된 복귀용의 아이콘(73) 및 리셋용의 아이콘(74)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73)은 예컨대 현재의 조작 가이드 화면(64)의 직전에 표시되어 있고, 예컨대 현재 선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의 영상, 또는 프로그램표(50) 등에 복귀하도록 전환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콘(74)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등록된 장르항목을 디폴트로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19에 나타내는 장르 등록 화면(67)을 사용하여 실제 유저가 장르 등록을 하는 경우의 조작 방법의 예에 관해 도 20A 내지 도 21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장르 등록 화면(67)상에서의 장르 등록 조작은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커서 이동키 및 선택 버튼 스위치(47)의해 이루어진다.
도 20A 및 도 20B는 등록된 8개의 장르중의 1개의 장르를 교체하는 경우의 조작 예를 개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한 등록 내용의 상태에서 커서 이동키를 조작하여 커서(70)을「뉴스」 장르 후보 항목에 이동시켜, 이 상태에서 리셋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였다고 하자. 이에 의해, 도 20A에 도시한 바와같이, 「뉴스」 장르 후보 항목에 부가되어 있는 체크 마크가 소거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등록 표시 영역(71)에 지금까지「뉴스」가 표시되었던 항목란(71A)은 빈 칸이 된다. 이것은 「뉴스」의 장르가 등록에서 제외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예컨대 유저의 커서 이동키를 조작하여, 커서(70)를「해외」의 장르 후보 항목에 이동시켜, 여기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였다고 한다. 이것에 의해, 도 20B에 도시한 바와같이,「해외」의 장르 후보 항목에 대하여 체크 마크(69)가 부가되어, 등록 표시 영역(71)에는 빈칸이 되었던 항목란(7lA)에「해외」가 표시된다. 즉, 「뉴스」를 대신하여 「해외」의 장르가 등록되게 된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등록된 8개의 장르 중 3개의 장르를 정리하여 대체 등록하는 경우의 조작예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도, 예컨대 도 19에 도시한 등록 내용의 상태로부터, 커서(70)를「북마크」의 장르 후보 항목에 배치시켜, 이 상태에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도 2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북마크」의 장르 후보 항목에 부가되어 있는 체크 마크가 소거됨과 동시에, 등록 표시 영역(71)에서「북마크」가 표시되어 있던 항목란이 빈칸이 된다.
다음에, 도 2lB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서(70)를「모든 장르」의 장르 후보 항목으로 이동시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면, 「북마크」의 항목에 더하여,「전부」의 장르 후보 항목에 부가한 체크 마크가 소거되고, 또한 등록 표시 영역(71)에서「모든 장르」가 표시되어 있던 항목란이 빈칸이 된다.
도 21C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 21B의 상태에서, 또한 커서(70)를「버라이어티」의 장르 후보 항목으로 이동시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면, 「체크 마크」,「모든 장르」의 항목에 더하여, 「버라이어티」의 장르 후보 항목에 부가된 체크 마크가 소거되고, 등록 표시 영역(71)에서 「버라이어티」가 표시되어 있던 항목란이 빈칸이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도 2lA 내지 도 2lC는 우선, 유저가 불필요하다고 한 3개의 장르의 항목을 등록으로부터 제외하는 조작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21D 내지 도 2lF는 등록으로부터 제외한 3개의 항목 대신에, 새롭게 3개의 장르를 등록하는 조작에 대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D는, 도 21C에 도시한 상태에서 「야구」의 장르 후보 항목에 커서(70)를 이동시킨 후에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lD에 도시한 바와같이, 「야구」의 장르 후보 항목에 체크 마크(69)가 새롭게 부가됨과 동시에, 등록표시 영역(71)의 빈칸이 되어있는 항목란에 새롭게「야구」가 표시(등록)된다.
이 경우에는, 등록표시 영역(71)에 있어서의 복수의 빈칸 중, 가장 위에 위치하는 빈칸의 항목란에「야구」가 등록 표시되어 있고, 이후, 복수의 빈칸의 항목란 중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장르명이 동록되어 간다. 이 때문에 유저는 장르의 소거 순서 또는 등록 순서를 고려하면서 등록을 행함으로써,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표시되는 장르의 세로 방향에 표시 순서를 자기의 기호에 맞도록 할 수 있다.
도 2lE 및 도 21F는, 도 2lD의 상태에서 지금까지와 유사하게 커서 이동키 및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여, 또한 2개의 장르를 추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E에는, 「축구」의 장르가 등록되고, 도 21F에는 또한 「골프」의 장르가 등록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도 분명한 바와같이, 도 21A 내지 도 21F는, 등록되어 있던 8개의 장르로부터「북마크」,「모든 장르」,「버라이어티」의 3장르를 등록으로부제외한 대신에, 「야구」,「축구」,「골프」를 등록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3장르가 아니라 그 이상의 장르의 대체도, 도 21A 내지 도 21F를 사용한 설명에 준하는 버튼 스위치의 조작을 함으로써 할 수 있다. 예컨대, 8개의 등록 장르를 전부 교체하는 경우는, 일단 이미 등록되어 있는 장르에 부가되어 있는 체크 마크를 소거하여, 등록표시 영역(71)을 클리어하고 다음, 새롭게 8개의 장르를 등록하는 조작을 하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은 등록된 장르는, 도 4에 나타내는 데이터 메모리(24)내에 장르 등록 데이터(24H)로서 기억된다.
또한, 장르의 등록 내용의 초기치, 즉 디폴트 상태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셋용의 아이콘(74)에 커서(70)를 이동시켜 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등록표시 영역(71)의 등록내용은 디폴트 상태로 리셋된다. 또한, 이러한 장르 등록의 디폴트의 데이터는, 데이터 메모리(24)에 장르 디폴트 데이터(24I)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장르 등록의 변경중에 전원이 오프된 때는, 등록이 변경되는 직전의 등록내용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조작에 의해, 등록표시 영역(71)의 모든 항목란에 8개의 장르를 등록한 뒤, 예컨대 도 19에 나타내는 복귀용의 아이콘(73)에 커서(70)를 이동시켜선택 버튼 스위치(47)를 조작하면,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조작 가이드 화면(64)이 소거되어, 조작 가이드 화면(64)의 표시 이전의 표시 상태에 되돌아간다. 예컨대, 조작 가이드 화면(64)의 표시 이전에 프로그램표(50)가 표시되어 있었다면 프로그램표(50)가 표시되고 선국된 채널의 프로그램의 영상이 표시되어 있었다면 이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1F에 의해 설명하였던 바와같이 함으로써, 장르 등록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 메시지 표시 영역(72)에 있어서 메시지 내용으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도 19에 도시한 장르 등록 화면(67)이 호출된 상태에서는 예컨대「장르 등록의 설정을 변경합니다. 변경하는 장르를 체크 마크가 붙은 장르부터 선택하여 주세요 」등의 등록의 변경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도 20A 및 도 21A 내지 도 21E에 도시한 바와같이, 등록표시 영역(71)에 빈칸의 항목란이 아직 존재하여, 등록해야 할 장르가 남아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예컨대 「새롭게 설정하는 장르를 체크 마크가 붙은 장르부터 선택하여 주세요」등과 같은 새로운 등록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등록 표시 영역(71)에 빈칸의 항목란이 있어 등록해야 할 장르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조작 가이드 화면이나 메뉴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하거나, 복귀용의 아이콘(73)에 의해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등의 조작을 한 경우에는, 예컨대「전부 8개의 장르 등록이 필요합니다. 새롭게 설정할 장르를 체크 마크가 붙은 장르이외부터 선택하여 주세요 」등과 같은 오조작을 경고하는 메시지를표시한다.
도 22는, 먼저 도 19 내지 도 21F를 사용하여 설명한 장르 등록을 위한 CPU(21)(도 4참조)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장르 등록 화면(67)을 표시시키는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에 의해, CPU(21)는 이 플로우 챠트에 따른 동작을 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의 메뉴 버튼 스위치(38) 및 커서 이동키 등의 조작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조작 가이드용의 아이콘(65)상에 커서(66)를 이동하여 장르 등록 화면(67)을 호출하면, 도 (22)에 도시한 처리가 개시된다.
여기서, 장르 등록 화면(67)을 호출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지면, CPU(21)는 단계(S81)에서 장르 등록 화면(67)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기(12) 및 표시신호 생성회로(15)가 장르 등록 화면(67)의 표시를 한다. 즉, 단계(S81)에 있어서, CPU(21)가 장르 등록 화면(67)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23D)를 실행하고, 장르 등록 화면(67)을 위한 화면 표시 데이터(24B)를 작성한다. 이 경우에, 장르등 록 데이터(24H)에 따라서 장르 등록 화면(67)의 표시 내용이 결정된다.
그리고, CPU(21)는, 장르 등록 화면(67)에 대응하는 표시신호 생성 제어 프로그램(23E)를 실행하여, 표시신호 생성회로(15)를 제어하고, 표시신호 생성회로(15)는, 장르 등록 화면(67)을 위한 화면 표시 데이터(24B)에 기초하여, 예컨대 도 19에 도시한 바와같은 장르 등록 화면(67)에 대응하는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CPU(21)는, 단계(S81)에서, 장르 등록 화면(67)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여, 그 후, 단계(S82)로 진행하고, 커서 이동키의 어느 1개가 조작되는가를 판정한다. 즉, CPU(21)는 장르 등록 화면(67)의 커서(70)를 이동시키는 조작이 행하여지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82)에서, CPU(21)가 커서 이동키의 어느 1개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단계(S83)로 진행한다. 단계(S83)에서, CPU(21)는 4개의 커서 이동키중 조작된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커서(70)를 이동시킨 후, 단계(S8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82)에 있어서, CPU(21)는, 커서 이동키중 어느 것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84)로 진행하고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S84)에서, CPU(21)가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85)로 진행한다. 단계(S85)에서, CPU(21)가 도 19에 도시한 장르 등록 화면(67)에서 현재 어느 장르 후보 항목 또는 아이콘(73,74)에 커서(70)가 배치되어 있는 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21)는 장르 후보 항목의 어느 것에 커서(70)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단계(S86)로 진행하고, 리셋용의 아이콘(74)에 커서(70)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단계(S87)로 진행하며, 그 밖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단계(S82)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S82)로 되돌아가는 경우로서는 커서(70)가 복귀용의 아이콘(73)에 위치하는 경우, 조작 가이드 아이콘(65)상의 커서(66)가 액티브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 등이다.
단계(S86)에서, CPU(21)는 커서(70)가 현재 배치되어 있는 장르 후보 항목에 체크 마크(69)가 부가되어 있지 않으면, 그 장르 후보 항목에 새롭게 체크 마크(69)를 부가한다. 한편, CPU(21)는 커서(70)가 현재 배치되어 있는 장르 후보 항목에 체크 마크(69)가 이미 부가되어 있으면, 이 체크 마크(69)를 소거한다.
단계(S88)에서, CPU(21)는, 단계(S86)에서의 체크 마크(69)의 부가/소거에 대응하여, 등록 표시 영역(71)의 표시를 변경한다. 즉, 단계(S86)에 있어서, CPU (21)는 어떤 장르 후보 항목의 체크 마크(69)를 소거하였을 때, 이 장르 후보 항목의 장르명이 표시되어 있던 항목란을 빈칸으로 하고, 한편 어떤 장르 후보 항목에 체크 마크(69)를 부가하였을 때는, 이 장르 후보 항목의 장르명을 등록 표시 영역(71)에 새롭게 표시한다. CPU(21)는 단계(S88)의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S82)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S87)에 있어서, CPU(21)는, 데이터 메모리(24)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장르 디폴트 데이터(24I)를 호출하고, 이 데이터에 따라서, 장르 등록 화면(67)의 표시 내용을 디폴트상태로 하고, 그 후, 단계(S8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84)에서, CPU(21)는, 선택 버튼 스위치(47)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89)로 진행하고, 다른 표시화면으로의 전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즉, CPU(21)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장르 등록 화면(67)에서 다른 조작 가이드 화면, 통상의 텔레비전 방송의 화면, 프로그램표(50)의 화면, 또는 다른 종류의 메뉴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 조작이 행하여진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89)에서, CPU(21)가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82)로 되돌아가, 상술한 버튼 스위치 조작의 유무에 따른 처리를 행하고 한편, 다른 화면으로의 전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90)로 진행한다.
단계(S90)에서, CPU(21)가, 지금까지의 등록이 적정하게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CPU(21)는, 아직 전체 8개의 장르의 등록이 행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장르 등록 조작이 적정하게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예컨대 도 21A 내지 도 21E에 도시한 상태), 단계(S82)로 되돌아 간다. 이 때, 상술한 바와같은 메시지 표시 영역(72)에 적정한 등록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제어한 뒤에 단계(S82)로 되돌아 가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S90)에서, CPU(21)가 장르등록이 적정하게 완료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단계(S91)로 진행한다.
단계(S91)에서, CPU(21)가, 장르 등록 화면(67)에 설정된 장르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한 장르 등록 데이터(24H)를 작성하고, 또한 이것에 따라,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24B)를 작성한다. 이 화면 표시 데이터(24B)에 의해,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 표시된 장르명의 순서는, 예컨대 도 19에 나타내는 등록표시 영역(71)의 항목란의 위에서 밑으로의 순서로 표시된 「북마크」,「모든 장르」···「버라이어티」,「드라마」에 대응하고 있다.
CPU(21)는, 단계(S91)의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92)로 진행한다. 단계S92에 있어서, CPU(21)는 전번의 단계(S89)에서 판정한 다른 화면으로의 전환 조작에 응해서, 새롭게 호출해야 되는 화면(다른 조작 가이드 화면, 텔레비전 화면, 프로그램표(50), 또는 다른 메뉴화면 등)으로 표시를 바꾸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여, 이 장르등록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장르 후보 항목영역(68)에, 상술한 선국 채널의 항목, 좋아하는 채널의 항목,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을 마련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프로그램표(50)의 영역(25Z)에는 등록된 복수의 장르의 항목과, 선국 채널, 좋아하는 채널,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이 혼재되어 표시된다. 또한, 예컨대 영역(25Z)에 선국 채널 및 좋아하는 채널의 2항목을 항상 표시하고 이것에 더하여 유저가 등록한 8개의 장르의 정보 항목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프로그램표(50) 및 조작 가이드 화면(64)과, 장르 등록 화면(67)등의 구체적인 표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형태는 실제의 사용조건이나 유저의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8.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다른 표시 형태
여기서, 상술한 도 7A 내지 도 8A 및 도 12와 도 14 등에 도시한 표시 형태이외의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EPG의 표시형태를 도 23A 내지 도 23C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8A 및 도 12, 도 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병기하였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A에 도시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는, 영역(25Y)의 표시형태가 도 7A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 8G와 같지만, 영역(25Xl, 25X2, 25Z)의 표시형태는 다르다. 즉, 영역(25X1, 25X2, 25Z)에는 각각 1개의 항목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형태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리모트 제어기(14A)를 도 7A 내지 D 및 도 8A 내지 G에서 설명한 조작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영역(25Y)의 커서(51Y)를 이동시킬 수 있지만, 영역(25X1, 25X2, 25Z)의 표시를, 리모트 제어기(14A)의 업 버튼 스위치(43) 또는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바꾸도록 하고 있다. 즉, 각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날짜, 시간, 장르의 항목은 예컨대 다운 버튼 스위치(44)를 l 회 누를 때마다 큰 값 또는 다음 장르로 전환된다.
도 23B에 나타내는 EPG에서는, 어떤 영역의 커서 위치의 항목에 포함되는 다른 영역의 항목을 폴더 형식으로 표시하고 있다. 즉, 영역(25Xl)의 커서(51X1)의 배치 위치(6일, 수요일)에 대응하여 영역(25X2)의 항목(시각)이 폴더를 여는 바와 같은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영역(25X2)의 커서(51X2)의 배치 위치(오전 9시) 및 영역(25Z)의 커서(51Z)의 배치위치(전부)에 대응하여, 영역(25Y)에 프로그램 타이틀 등이 폴더를 여는 것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3C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 5에 도시한 실린더(25)를 그대로 모니터 장치(19)의 표시화면(53)에 표시함과 동시에, 커서(25W)를 표시하는 것과 같이하여도 좋다.
또한, 도 23A 내지 도 23C에서는 영역(25Z)에는, 선국 채널, 좋아하는 채널,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이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의 항목을 영역(25Z)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날짜, 시간, 프로그램 타이틀, 프로그램의 장르를 프로그램표를 세로 방향으로 분할한 각 영역에 표시하고 이에 더하여 예컨대 방송 채널에 관련하는 정보로서, 현재 선국중의 채널의 정보, 유저가 임의로 등록한 좋아하는 채널의 정보를 장르의 항목으로서 마련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르의 항목으로서, 유저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등록된「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의 항목을 마련함으로써, 더욱 사용하기가 편리한 EPG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에 따라서「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조작을 행할 필요도 없다.
또한, 유저가 자기의 기호에 근거로 한 장르를 등록하여, 이 등록한 장르를 선택항목으로서 프로그램표에 표시시키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기호에 적합한 프로그램표를 생성할 수가 있다. 즉, 유저가 사용하기 편리한 EPG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6)

  1.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각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표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의 방송일시를 나타내는 일시 정보와,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정보와, 각 프로그램을 복수의 장르로 분류한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표 화상을 생성하는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을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일시 정보, 타이틀 정보 및 장르 정보의 적어도 1개를 지시하도록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제어 신호 및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수단과,
    상기 커서 제어 신호 및 상기 결정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장르 정보의 1개로서 생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커서가 상기 방송 채널 정보에 관한 화상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신 수단이 상기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타이틀 정보에 관해서는, 상기 방송 채널에 관한 프로그램의 타이틀만이 표시되도록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로부터 유저의 선국 조작에 따른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방송 채널 정보로서, 상기 방송 채널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중 적어도 1개의 방송 채널을 좋아하는 방송 채널로서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방송 채널 정보로서, 상기 방송 채널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
  4.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각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표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의 방송일시를 나타내는 일시 정보와,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정보와, 각 프로그램을 복수의 장르로 분류한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표 화상을 생성하는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일시 정보, 타이틀 정보 및, 장르 정보의 적어도 1개를 지시하도록 상기프로그램표 화상과 중첩되어 표시되는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제어 신호 및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수단과,
    상기 장르 정보를 설정하는 장르 설정 수단과,
    상기 커서 제어 신호 및 상기 결정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커서가 상기 복수의 장르 정보에 관한 화상의 하나를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신 수단이 상기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타이틀 정보에 관해서는, 상기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장르에 관한 프로그램의 타이틀만이 표시되도록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의 수신 이력(履歷)을 검출하는 수신 이력 검출수단과,
    상기 수신 이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신 이력에 관한 이력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장르의 1개로서,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르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는 장르에 커서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수신 수단이 상기 결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프로그램표 화상 생성 수단에,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회수가 많은 순서로, 상기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프로그램표 화상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장치.
KR10-1998-0700773A 1996-05-29 1997-05-29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KR100436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634896 1996-05-29
JP96-156348 1996-05-29
JP96-174390 1996-06-14
JP17439096 1996-06-14
JP21049696 1996-07-23
JP96-210496 1996-07-23
JP96-275290 1996-09-27
JP27529096 199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106A KR19990036106A (ko) 1999-05-25
KR100436317B1 true KR100436317B1 (ko) 2004-09-18

Family

ID=2747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773A KR100436317B1 (ko) 1996-05-29 1997-05-29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28009A (ko)
JP (1) JP4478214B2 (ko)
KR (1) KR100436317B1 (ko)
WO (1) WO1997046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8084B1 (en) 1992-12-09 2007-01-23 Sedna Patent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virtual objects
US9286294B2 (en) 1992-12-09 2016-03-15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content suggestion engine
US7617508B2 (en) 2003-12-12 2009-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collaborative capture of television viewer generated clickstreams
US8677384B2 (en) 2003-12-12 2014-03-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based capture of television viewer generated clickstreams
US7587323B2 (en) 2001-12-14 2009-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tailored content
EP0965192B1 (en) 1997-01-06 2007-02-2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network use
US8640160B2 (en) 1997-01-06 2014-01-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advertisements
US7802276B2 (en) 1997-01-06 2010-09-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methods and products for assessing subscriber content access
JPH10229526A (ja) * 1997-02-13 1998-08-25 Kenwood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AU6675098A (en) * 1997-02-28 1998-09-18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Television control interface with electronic guide
AU7119598A (en) * 1997-04-16 1998-11-11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Multiple database, user-choice-compiled program and event guide
JPH1173290A (ja) * 1997-07-03 1999-03-16 Funai Electric Co Ltd メニュー表示装置
IL121230A (en) 1997-07-03 2004-05-12 Nds Ltd Intelligent electronic program guide
IL125141A0 (en) 1998-06-29 1999-01-26 Nds Ltd Advanced television system
US6954897B1 (en) * 1997-10-17 2005-10-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font size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JPH11164217A (ja) * 1997-11-25 1999-06-18 Nec Corp 嗜好統計番組検索テレビシステム
KR100273363B1 (ko) * 1997-12-17 2001-01-15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습관설정에의한예약시청제어방법
JPH11187324A (ja) * 1997-12-19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作成装置および方法と受信装置
US20030056216A1 (en) * 1998-01-05 2003-03-20 Theodore D. Wugofski System for managing favorite channels
JPH11266409A (ja) * 1998-03-16 1999-09-28 Sony Corp 番組内容表示装置と番組内容表示方法
US7603684B1 (en) 1998-05-19 2009-10-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video-on-demand browsing
US8352984B2 (en) * 1998-06-12 2013-01-08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for scheduled and stored television programs
TW456148B (en) 1998-06-16 2001-09-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with simultaneous watch and record capabilities
JP4605902B2 (ja) * 1998-07-23 2011-01-05 コムキャスト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イ, エルエルシー 双方向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
US6754905B2 (en) 1998-07-23 2004-06-22 Diva Systems Corporation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9924234B2 (en) 1998-07-23 2018-03-20 Comcast Ip Holdings I, Llc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US6804825B1 (en) * 1998-11-30 2004-10-12 Microsoft Corporation Video on demand methods and systems
US7168086B1 (en) 1998-11-30 2007-01-23 Microsoft Corporation Proxy for video on demand server control
JP4547094B2 (ja) * 1998-12-28 2010-09-22 インデックス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グリッドのカスタマイゼーションを伴うデフォルト・チャネル予定表およびディスプレイ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08038B1 (ko) * 1998-12-31 2001-11-02 구자홍 티브이의메뉴표시방법
US6868225B1 (en) * 1999-03-30 2005-03-15 Tivo, Inc. Multimedia program bookmarking system
AU4066700A (en) * 1999-03-30 2000-11-14 Tivo, Inc. Multimedia visual progress indication system
US7096487B1 (en) 1999-10-27 2006-08-22 Sedna Patent Servic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realtime and non-realtime encoded content
US6904610B1 (en) 1999-04-15 2005-06-07 Sedna Patent Services, Llc Server-centric customized interactive program guide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environment
US6754271B1 (en) 1999-04-15 2004-06-22 Diva Systems Corporation Temporal slice persistenc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interactive program guide
US8438487B1 (en) * 1999-05-24 2013-05-07 Catherine Lin-Hendel Method and system for one-click navigation and browsing of electronic media and their category structure as well as tracking the navigation and browsing thereof
CN1171445C (zh) * 1999-06-01 2004-10-13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屏蔽显示节目信息的方法和设备以及包括用于实施这种方法的码的装置
KR100331827B1 (ko) * 1999-08-24 2002-04-0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예약안내/예약확인 화면 구현방법
DE60034364D1 (de) 1999-10-27 2007-05-24 Sedna Patent Services Llc Vielfache videoströme unter verwendung von slice-basierter kodierung
US9094727B1 (en) * 1999-10-27 2015-07-28 Cox Communications, Inc. Multi-functional user interface using slice-based encoding
JP3619427B2 (ja) * 1999-11-05 2005-02-09 株式会社ビューポイント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情報表示装置
KR100652564B1 (ko) * 2000-0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US7051352B1 (en) * 2000-02-04 2006-05-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aptive TV program recommender
ATE312474T1 (de) * 2000-04-10 2005-12-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medienführung mit medienführungsschnittstelle
DE10024895A1 (de) * 2000-05-19 2001-11-22 Thomson Brandt Gmbh System zur Bedienung eines Gerätes der Unterhaltungselektronik
US8087051B2 (en) * 2000-06-30 2011-12-27 Thomson Licens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television channel lineup organization
US6690391B1 (en) * 2000-07-13 2004-02-10 Sony Corporatio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US20020010652A1 (en) * 2000-07-14 2002-01-24 Sony Corporation Vendor ID tracking for e-marker
US7062528B2 (en) 2000-07-14 2006-06-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time specific event
US7100184B1 (en) * 2000-08-03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access of program guide information
JP4942242B2 (ja) * 2000-08-25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20030164899A1 (en) * 2000-09-09 2003-09-04 Lee Don S Multilingual video-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3936835B2 (ja) * 2000-09-20 2007-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ネットワーク用の端末装置および操作履歴記録方法
US7509662B2 (en) * 2000-10-19 2009-03-24 Jlb Ventur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a preferred broadcasted programs list
JP2006325261A (ja) * 2000-11-15 2006-11-30 Mieko Tsuyusaki 情報システム及び視聴率算定方法
US20020083450A1 (en) * 2000-12-01 2002-06-27 Yakov Kam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based broadcasted program selection
US8769566B2 (en) * 2001-03-02 2014-07-01 Jlb Ventur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based on the content of selected channels or broadcasted programs
WO2002080553A1 (fr) * 2001-03-28 2002-10-10 Fujitsu Limited Emetteur de radiodiffusion adaptatif et recepteur correspondant
US20020145589A1 (en) * 2001-04-06 2002-10-10 Sony Corporation Of Japan User interface for an e-marker
US7380262B2 (en) * 2001-06-12 2008-05-2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ist of suggested scheduled television programs
US6876970B1 (en) * 2001-06-13 2005-04-0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Voice-activated tuning of broadcast channels
US20020194586A1 (en) * 2001-06-15 2002-12-19 Srinivas Gutta Method an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ulti-user profile generation
US6839072B2 (en) 2001-06-15 2005-0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display of option recommendations through time-by-score
US8818871B2 (en) 2001-06-21 2014-08-2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purchases using an intelligent data carrier medium, electronic coupon system, and interactive TV infrastructure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US7908628B2 (en) 2001-08-03 2011-03-15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content coding and formatting
US7793326B2 (en) 2001-08-03 2010-09-07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US20030034956A1 (en) * 2001-08-17 2003-02-20 Yuichiro Deguchi Virtual e-marker
US20030036352A1 (en) * 2001-08-17 2003-02-20 Sony Corporation Embedded e-mark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7127454B2 (en) 2001-08-17 2006-10-24 Sony Corporation E-marker find music
US7107234B2 (en) * 2001-08-17 2006-09-1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music marker device delayed notification
KR100828228B1 (ko) * 2001-09-13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프로그램 기록장치 및 방법
US8429688B1 (en) 2001-09-19 2013-04-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roadcast programming guide
US7085747B2 (en) 2001-09-26 2006-08-01 J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al-time event recommender for media programming using “Fuzzy-Now” and “Personal Scheduler”
KR100400010B1 (ko) * 2001-10-15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조작 방법
US6910191B2 (en) * 2001-11-02 2005-06-21 Nokia Corporation Program guide data selection device
US20040205498A1 (en) * 2001-11-27 2004-10-14 Miller John David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JP3960788B2 (ja) * 2001-12-03 2007-08-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番組ガイド表示装置および番組ガイド表示方法
US20030110133A1 (en) * 2001-12-07 2003-06-12 Maritzen L. Michael Automa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payment system with embedded content
US7212979B1 (en) 2001-12-14 2007-05-01 Bellsouth Intellectual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irable subscribers
US7444658B1 (en) * 2001-12-14 2008-10-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to perform content targeting
US9967633B1 (en) 2001-12-14 2018-05-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elevision viewing patterns
US20110178877A1 (en) 2001-12-14 2011-07-21 Swix Scott R Advertising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086075B2 (en) 2001-12-21 2006-08-0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imed responses to A/V events in television programming
US8086491B1 (en) 2001-12-31 2011-12-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 P.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ontent distribution using tagged data streams
US8321892B1 (en) * 2002-03-20 2012-11-27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ata displayed in a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JP3909683B2 (ja) * 2002-05-23 2007-04-25 ソニー株式会社 番組表示制御装置および番組表示制御方法
JP4220185B2 (ja) * 2002-06-19 2009-02-0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番組表表示装置
US6972698B2 (en) 2002-06-28 2005-12-06 Sony Corporation GPS e-marker
US20040002938A1 (en) * 2002-06-28 2004-01-01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US7228054B2 (en) * 2002-07-29 2007-06-05 Sigmatel, Inc. Automated playlist generation
US7376908B2 (en) * 2003-03-24 2008-05-20 Microsoft Corporation On-screen display image rendered with MPEG hardware
KR100549315B1 (ko) * 2003-07-0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WO2005027512A1 (ja) * 2003-09-11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コンテンツ選択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装置
KR100999768B1 (ko) * 2003-09-17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KR100642129B1 (ko) * 2003-11-05 2006-11-10 (주) 아이티비엠지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US8595769B2 (en) * 2003-12-02 2013-1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hannel
JP4124115B2 (ja) * 2003-12-02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86743A (ja) *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366249B2 (ja) * 2004-06-02 2009-11-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情報取得装置
JP2005346828A (ja) * 2004-06-02 2005-12-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装置
JP4485326B2 (ja) * 2004-11-05 2010-06-23 株式会社デジタル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11189B2 (ja) * 2004-12-22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情報処理装置
KR100731262B1 (ko) * 2005-02-03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채널 등록 및 이동 제어방법
US20060242599A1 (en) * 2005-04-22 2006-10-26 Creative Technology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arching on a User Interface
US7620964B2 (en) * 2005-12-26 2009-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commended program search device and recommended program search method
US20070162502A1 (en) * 2005-12-29 2007-07-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dia library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TW200737955A (en) * 2006-03-29 2007-10-01 Asustek Comp Inc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70104130A (ko) * 2006-04-21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830506B1 (ko) * 2006-07-08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의 전용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ES2955850T3 (es) 2006-09-07 2023-12-07 Opentv Inc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navegar por contenido visible
KR100793072B1 (ko) * 2006-11-07 2008-01-10 주식회사 휴맥스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8205230B2 (en) 2006-12-29 2012-06-19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searching multimedia events scheduling information
EP2111591B1 (en) * 2006-12-29 2017-05-2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events scheduling information
US8291454B2 (en) * 2006-12-29 2012-10-1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multimedia events scheduling information for display
US8544040B2 (en) * 2006-12-29 2013-09-2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events scheduling information
US20080172695A1 (en) * 2007-01-05 2008-07-17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election
US20080168501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election
JP4441890B2 (ja) * 2007-01-31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表提示装置、スケジュール表提示方法及びスケジュール表提示プログラム
US20080196062A1 (en) * 2007-02-12 2008-08-14 Hsuan-Huei Shih Electronic program guide having plurality of program category groups and method for forming electronic program guide
JP4805861B2 (ja) * 2007-02-20 2011-11-02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装置、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方法、および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0879229B1 (ko) * 2007-02-28 2009-01-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매트릭스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0879228B1 (ko) * 2007-02-28 2009-01-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스팟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시스템및 방법
JP2008245174A (ja) * 2007-03-29 2008-10-09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8799952B2 (en) 2007-04-24 2014-08-05 Google Inc. Virtual channels
US8972875B2 (en) 2007-04-24 2015-03-03 Google Inc. Relevance bar for content listings
KR101445645B1 (ko) * 2007-08-03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매칭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사용자입력장치, 그리고 아이템 매칭방법
US9084025B1 (en) 2007-08-06 2015-07-1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both multimedia events search results and internet search results
KR101402626B1 (ko) * 2007-09-21 2014-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88977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番組情報表示システム、番組情報表示方法、及びテレビシステム
US20090313655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ccess to programs.
KR101020563B1 (ko) * 2009-06-10 2011-03-0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KR101111955B1 (ko) * 2009-11-04 2012-02-1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US8669949B2 (en) * 2009-11-06 2014-03-1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US8638306B2 (en) * 2009-11-06 2014-01-2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US20110113371A1 (en) * 2009-11-06 2011-05-12 Robert Preston Parker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Error Handling
US8350820B2 (en) * 2009-11-06 2013-01-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US8686957B2 (en) * 2009-11-06 2014-04-0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US8692815B2 (en) * 2009-11-06 2014-04-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9201584B2 (en) 2009-11-06 2015-12-01 Bose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user interface with tactile feedback
US20110109560A1 (en) 2009-11-06 2011-05-12 Santiago Carvajal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US8640052B2 (en) * 2009-12-31 2014-01-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ser interface enhancements for media cont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9154813B2 (en) 2011-06-09 2015-10-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ple video content in a composite video stream
USD735736S1 (en) * 2012-01-06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5873390B2 (ja) * 2012-05-24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060152B2 (en) * 2012-08-17 2015-06-16 Flextronics Ap, Llc Remote control having hotkeys with dynamically assigned functions
US9819986B2 (en) 2012-08-17 2017-11-14 Flextronics Ap, Llc Automated DLNA scanning with notification
US20150243060A1 (en) * 2012-09-26 2015-08-2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D740299S1 (en) * 2012-10-17 2015-10-06 Aol In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40115495A1 (en) 2012-10-18 2014-04-24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organizing electronic content
US9118998B2 (en) * 2013-02-07 2015-08-25 Giga-Byte Technology Co., Ltd. Multiple sound channels speaker
US10506279B2 (en) 2014-03-27 2019-12-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quence of video-clips in a picture-in-guide
KR20170106054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D896265S1 (en) * 2018-01-03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447484B (zh) * 2020-03-31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节目指南epg的加载方法及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121A (en) * 1989-10-30 1994-10-04 Starsight Telecast, Inc. Television schedule system
JPH03284077A (ja) * 1990-03-30 1991-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表示および制御装置
CA2499751C (en) * 1990-09-10 2007-02-06 Starsight Telecast, Inc.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schedule system
JPH0556405A (ja) * 1991-08-22 1993-03-05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受信機
JPH05284480A (ja) * 1992-03-31 1993-10-29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受信機
JPH05284481A (ja) * 1992-03-31 1993-10-29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受信機
JPH05284476A (ja) * 1992-03-31 1993-10-29 Fujitsu General Ltd テレビ受像機
JP3297914B2 (ja) * 1993-01-08 2002-07-02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6245161A (ja) * 1993-02-19 1994-09-02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受信機
JPH07143463A (ja) * 1993-11-19 1995-06-02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番組検索装置
JPH07147657A (ja) * 1993-11-22 1995-06-06 Systec:Kk テレビジョン番組表受信装置
JPH07184136A (ja) * 1993-12-21 1995-07-21 Sony Corp 文字放送受信装置
JP3237362B2 (ja) * 1993-12-27 2001-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表表示装置
JPH07193760A (ja) * 1993-12-27 199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500741B2 (ja) * 1994-03-01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放送の選局方法及び選局装置
JP3460198B2 (ja) * 1994-04-07 2003-10-27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番組情報表示方法
KR100348915B1 (ko) * 1994-05-12 2002-12-2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텔레비젼프로그램선택방법및그시스템
JP3644455B2 (ja) * 1994-09-29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放送方式、番組情報表示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5671411A (en) * 1994-11-10 1997-09-23 Intel Corporation Method of searching an audio/visual programming database using selected criterion having implicit logical operation
US5623613A (en) * 1994-11-29 1997-04-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programming information
JPH08223547A (ja) * 1995-02-20 1996-08-30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受信装置
US5585838A (en) * 1995-05-05 1996-12-17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 time guide
JP3279124B2 (ja) * 1995-05-22 2002-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3698273B2 (ja) * 1995-07-20 2005-09-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963443A (ja) * 1995-08-21 1997-03-07 Toshiba Corp タイマー予約装置
JP3931354B2 (ja) * 1995-08-31 2007-06-1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JPH0983891A (ja) * 1995-09-13 1997-03-28 Sanyo Electric Co Ltd 番組内容表示装置
US5793438A (en) * 1995-11-13 1998-08-11 Hyundai Electronics America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enhanced presentation
US5635989A (en) * 1996-02-13 1997-06-03 Hughes 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 searching a television program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8214B2 (ja) 2010-06-09
US6128009A (en) 2000-10-03
KR19990036106A (ko) 1999-05-25
WO1997046006A1 (fr) 199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317B1 (ko)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KR100446839B1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표시제어장치및방법
US6154203A (en) System and method for grazing television channels from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3645720B2 (ja) Epg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0891668B2 (en) Bookmarking television program and channel selections
JP3572598B2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US200200596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guide implementation
JP4257101B2 (ja) 放送番組情報の表示方法
JP2002125169A (ja) 番組案内装置および番組案内方法
WO2005064928A1 (ja) 推薦番組通知方法および推薦番組通知装置
KR10033182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예약안내/예약확인 화면 구현방법
KR100468544B1 (ko)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JP4597157B2 (ja) 番組ガイド制御装置及び方法
JPH09298697A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3652190B2 (ja) 受信機、チューナ内蔵tv及びチューナー
JP452287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子番組表示装置
KR19980015445A (ko) 티브이(tv)프로그램 장르별 검색 장치 및 방법
EP3276953A1 (en) Video playback device and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EP167539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and related text
JP2006340052A (ja) 放送受信装置
JP2007006407A (ja) 放送受信機及び放送受信機のリモコン装置
KR20020079169A (ko)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EP1250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and related text
JP3952415B2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4618388B2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