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129B1 -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 Google Patents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129B1
KR100642129B1 KR1020030078155A KR20030078155A KR100642129B1 KR 100642129 B1 KR100642129 B1 KR 100642129B1 KR 1020030078155 A KR1020030078155 A KR 1020030078155A KR 20030078155 A KR20030078155 A KR 20030078155A KR 100642129 B1 KR100642129 B1 KR 10064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hannel
content
channel value
butt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315A (ko
Inventor
서성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이티비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티비엠지 filed Critical (주) 아이티비엠지
Priority to KR102003007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129B1/ko
Priority to PCT/KR2004/000619 priority patent/WO2005046239A1/en
Publication of KR2005004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TV)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 컨텐츠 서비스에서 서비스 제공업자가 컨텐츠를 구성하여 이를 화면에 처리하고 검색함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채널 및 컨텐츠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 문자(열)(본 실시예의 경우, 'D' 문자) 또는 특정 문자(열)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이 지정되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10)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1차메뉴(10)의 지정된 가상채널값(11)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거나 상기 1차메뉴(10)의 가상채널값(11)을 변경하는 하위 가상채널값(21)으로 지정되며, 상기 1차메뉴(10)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20)를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TV 컨텐츠 서비스의 특정 컨텐츠를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상채널, TV 시스템, 컨텐츠.

Description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processing data for television contents, and the media and transmitting signal containing the method}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데이터 방송의 컨텐츠를 접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접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접근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메뉴 20 : 하위메뉴
21 : 가상채널값 30 : 키입력부
40 : 제어부 50 : 송신부
본 발명은 티브이(TV)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 컨텐츠 서비스에서 서비스 제공업자가 컨텐츠를 구성하여 이를 화면에 처리하고 검색함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채널 및 컨텐츠 가이드를 제공하고 이를 시청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방송 채널 등 일반 채널과는 다른 개념으로 TV 컨텐츠 서비스의 각 세부 카테고리에 각 카테고리를 지칭하는 별도의 채널 도메인을 부여하고, 리모콘 또는 키보드 등의 사용자 입력기에서 이를 입릭함으로써 TV 컨텐츠 서비스의 특정 컨텐츠를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TV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오디오, 비디오 외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그 동안 불가능했던 대화형 서비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되었다.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모든 방송은 향후 짧은 기간 내에 디지털화 될 것이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방송 사업자뿐만 아니라, 컨텐츠 공급입자에서 광구주,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TV라는 매체를 중심으로 모든 환경이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방송의 기술적 진보에 힘입어 방송은 더욱 많은 정보와 새로운 재미를 제공할 것이고 이러한 서비스에 시청자의 요구는 더욱 다양화될 것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 방송은 종래의 TV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라고 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TV 프로그램 목록과 유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대화형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으로서, 프로그램을 조회 및 디코딩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최근 개발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체계에서 해당 컨텐츠를 찾아가는 과 정이 인터넷과 유사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즉, 데이터 방송의 포털(portal)이 있고, 이 포털로부터 해당 카테고리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찾아 시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PC를 기반으로 하여 이용하게되는 인터넷 컨텐츠의 경우, 여러 카테고리에 각각 많은 하위 카테고리들을 가지거나 최상위 1차 카테고리 이하 하위 카테고리의 깊이가 3차 깊이(Depth) 이상으로 깊다 하더라도, 화면상에서 최상위 단계에서 최종 단계까지 카테고리 선택 메뉴가 한 화면에 펼치지거나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클릭하여 조회를 한다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TV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리모콘과 같은 간단한 입릭기만을 주로 사용하므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해당 메뉴까지 여러 번 버튼을 눌러야만 하고, 화면과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시청을 하게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크고 두꺼운 폰트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한 화면에 여러 단계의 메뉴나 많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화면상의 다른 선택 메뉴나 아이콘에서 화면상의 커서 또는 선택 포인트를 점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스크롤바와 같은 기능은 더욱 사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TV 컨텐츠 서비스 상에서는 특정 카테고리의 하위 단계 카테고리 내의 컨텐츠를 이용하다가 다른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로 수차례 반복 이동을 거쳐야만 하고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상, 하위의 카테고리의 선택 메뉴를 불필요하게 수 차례 보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TV 시스템에서 기존 한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다가 TV 컨텐츠 서비스의 하나의 컨텐츠, 예를 들면,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 를 이용하고자할 때, 종래의 TV 시스템 환경에서는 일단 TV 컨텐츠 서비스의 포털로 이동하기 위해 TV 컨텐츠 서비스 포털인 채널, 예를 들면, 100번을 누른다.
그러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에 포털 안의 최상위 컨텐츠 카테고리 리스트 또는 메뉴가 나타나고 시청자는 여기에서 리모콘 방향 버튼을 수 차례 조작해 '여성' 카테고리에 커서 또는 포인터를 올려놓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다음 화면에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성' 카테고리의 세부 카테고리 리스트 또는 메뉴가 나타나고 이 안에서 다시 몇 번의 방향버튼 조작과 확인 버튼 선택을 통해 시청자는 '피부미용' 카테고리로 이동한다.
상기 '피부미용' 카테고리에서 다시 시청자는 몇 차례의 방향버튼과 확인 버튼을 눌러서야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라는 원래 원하던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그 후, 시청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최신 영화 보기' 메뉴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다시 역순으로 상위 카테고리를 지나 TV 컨텐츠 포털인 채널 100번 메인 화면(도 1)으로 돌아간 후 최상위 카테고리인 '문화'를 거쳐 '영화' , '최신 영화 보기' 순서대로 위와 같은 리모콘 조작을 반복해야한다. 또는 TV 컨텐츠 포털인 채널 100번부터 다시 시작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 TV의 일반 채널 하나에 하나의 TV 컨텐츠를 배치할 경우에는 TV 컨텐츠가 그 성격상 각 컨텐츠마다 전송 용량이 상이할 뿐더러 하위 카테고리를 갖게될 경우에는 상기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각 컨텐츠의 모든 카테고리에 특정한 채널 도메인을 부여하고 채널 도메인의 상하위의 채널 관계를 기술적으로 연결하며 리모콘 등 입력기를 통해 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의 데이터방송을 시청함에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존의 채널 이동을 통한 TV 시청환경을 TV 컨텐츠 서비스에서도 가능하도록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문자(열) 또는 특정 문자(열)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이 지정되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1차메뉴의 지정 가상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거나 상기 1차메뉴의 가상채널값을 변경하는 하위 가상채널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1차메뉴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1차메뉴 및 그 각각의 하위메뉴에 가상채널값을 지정함으로써 TV 컨텐츠에 채널도메인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TV를 비롯 개인용 컴퓨터, PCTV, 셋탑 박스 (Set-Top Box), PVR 또는 DVR 등 리모콘을 주요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되므로 임의의 특정 하드웨어 구성장치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TV와 컴퓨터, 방송과 통신의 조합이 발전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그 활용 분야는 더욱 증가할 것이 다. 이하, 이러한 장치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가리킬 때 총칭하여 'TV 시스템'으로 명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VOD, AOD, 인터넷 서비스, 디지털홈서비스 또는 PVR, DVR의 디지털 저장매체를 이용한 서비스 등 TV시스템을 단말기로 서비스되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에 적용되므로 임의의 특정 매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 이러한 서비스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가리킬 때 총칭하여 'TV 컨텐츠 데이터 서비스'로 명명할 것이다. 그리고 TV 컨텐츠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TV 시스템 기반의 컨텐츠를 가리킬 때 'TV 컨텐츠'로 명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어느 특정한 TV 시스템 또는 TV 컨텐츠 데이터 서비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세한 구현도는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세부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특정 문자(열)(본 실시예의 경우 'D' 문자) 또는 특정 문자(열)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이 지정되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10)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1차메뉴(10)의 지정된 가상채널값(11)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거나 상기 1차메뉴(10)의 가상채널값(11)을 변경하는 하위 가상채널값(21)으로 지정되며, 상기 1차메뉴(10)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20)를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되어, 상기 1차메뉴(10) 및 그 각각의 하위메뉴(20)에 가상채널값 (11, 21 등)을 지정함으로써 TV 컨텐츠에 채널도메인을 구성하여, TV 시스템의 입력장치 또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1차메뉴(10) 또는 하위메뉴(20)를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여, 해당 카테고리, 채널, 또는 컨텐츠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각각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것을 '채널도메인'으로 명명하며, 상기 가상채널값은 채널도메인 시스템의 각각의 채널도메인값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채널도메인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TV 시스템에서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접근하는 새로운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하여, 상기 1차메뉴(10)와 하위메뉴(20)는, 채널축과 하위레벨의 깊이(depth)를 나타내는 축으로, 2차원상으로 표현되게 되며, 이는 기존의 EPG 정보 또는 IPG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메뉴(10)를 지정하는 특정문자는 데이터 또는 디지털방송의 영문 첫 자인 'D'를 사용하며, 따라서 상기 1차메뉴(10)는 D1, D2 등과 같이 가상채널값이 지정되고, 그 이하의 하위메뉴(20)의 가상채널값은, D11, D21 등과 같이 지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2차원상으로 표현된 정보는, 상기 1차메뉴(10) 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위레벨에는 다른 1차메뉴 및 그 하위메뉴는 표시되지 않고, 상기 선택된 1차메뉴에 속하는 하위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한적인 3차원적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위레벨에 지정되는 표시는, 상기 1차메뉴의 지정된 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열), 즉 채널도메인 외에, 특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채널도메인의 한 레벨을 나타내는 값이, 10진수로는 10개까지 지정 가능하므로, 해당 컨텐츠는 별도의 파라미터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TV 시스템의 입력장치 또는 외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일련번호 없이 상기 특정 문자(열)만을 입력해도(본 실시예의 경우, 'D' 문자) 상기 1차메뉴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미 상기 채널도메인으로 지정되는 데이터방송 채널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문자(열)를 입력했을 때, 일반 채널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문자(D 문자)를 눌렀을 때, 상기 1차메뉴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열)에 숫자를 함께 입력하면(즉, 해당 채널도메인값을 입력하면) 해당 하위메뉴 또는 파라미터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근된 컨텐츠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해당 채널도메인값(21: 가상채널값)을 표시해주도록 한다.
또한, 일반 채널에서 가상채널값으로 지정되는 채널도메인으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TV 시스템에서 상기 특정 문자(열)는 생략하고 그 하위 숫자만 입력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D1 등의 특정 문자(열)와 숫자로 표현되는 가상채널값(채널도메인값)으로 지정되는 채널도메인 상에서는 상기 D 문자는 입력하지 아니하고 그 이하의 숫 자만 입력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로 검색 및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TV의 입릭장치 또는 외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1차메뉴(10)가 서로 다르거나 같은, 동일 레벨의 메뉴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TV 컨텐츠 서비스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방송 채널이 아닌 TV 컨텐츠 서비스의 채널임을 표시하는 특정 문자(열)(즉, 'D' 문자)를 시청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하위 가상채널값 정보 또는 인접 가상채널값 정보(22)를 각 레벨의 화면이나 컨텐츠의 일부분에 표시함으로써, 특정채널에서 인접 컨텐츠로 이동하고자 할 때, 상기 표시된 부분을 선택하거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그 값을 입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10)를 생성하고, 상기 1차메뉴(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1차메뉴(10)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20)가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구성되는 TV 시스템 컨텐츠 가이드에, 상기 1차메뉴(10)에 특정 문자(열)와 숫자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을 지정하고, 상기 그 각각의 하위메뉴(20)에 상기 1차메뉴(10)의 가상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거나 상기 1차메뉴(10)의 가상채널값을 변경하여 하위 가상채널값을 지정하여 채널도메인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미 구성된 컨텐츠 체계에 가상채널값을 이용하여 채널도메인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채널도메인을 검색하고 접근하는 데는 TV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도 가능하고, 별도의 통상의 리모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채널도메인 체계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접근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로서는, 통상 리모콘의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 기술하는 특정 접근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접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상기 접근장치는, 숫자 및 기타 문자(열)를 입력하는 입력버튼(31)과, 상기 1차메뉴로 직접 이동하거나, 공중과 TV 채널과의 전환을 선택하는 전환버튼 (32)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상위 레벨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벨업버튼(33)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하위 레벨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벨다운버튼(34)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동일 레벨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채널업버튼(35)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동일 레벨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채널다운버튼(36)과, 선택상황에서 선택을 확인하는 확인버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키입력부(30)와;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해석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해석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채널도메인의 레벨을 상 하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즉, 상위 및 하위 깊이의 도메인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레벨업버튼(33) 및 레벨다운버튼(34)을 이용하고, 같은 레벨에서 다른 컨텐츠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 는 채널업버튼(35) 및 채널다운버튼(36)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통상의 리모컨이나 본 발명의 접근장치를 이용하여 채널도메인을 검색하고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상채널 또는 채널의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S1)와; 상기 입릭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상위 레벨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상위 레벨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하위레벨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하위 레벨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며;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같은 레벨에서의 상측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상측 가상채널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같은 레벨에서의 하측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하측 가상채널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는 제 2단계(S2)와; 상기 제 2단계의 가상채널값의 변화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코드로 변환하거나 TV 컨텐츠를 지칭하는 호출정보 코드로 변환하는 제 3단계(S3)와; 상기 변환된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코드를 이용하여 TV 컨텐츠를 호출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S4)와; 상기 제 4단계에서 판단 결과 가능한 경우, 해당 TV 컨텐츠를 호출하여 가상채널을 이동하고(S5-1), 판단 결과 불가능한 경우, 가상채널 이동을 중단하고 시청자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S5-2) 제 5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단계(S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 력된 버튼이 상위 레벨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에서 마지막 숫자를 삭제하고(S2-1);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하위 레벨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에서 마지막 일련번호를 추가하며(S2-2);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같은 레벨에서의 상측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체널값의 마지막 일련번호에서 1을 더하고(S2-3);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같은 레벨에서의 하측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의 마지막 일련번호에서 1을 빼는(S2-4)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S2)에서, 상기 상위 레벨 이동버튼은 통상의 리모컨인 경우에는 우향 버튼을, 그리고 본 발명의 접근장치인 경우에는 레벨업버튼(33)을 이용하고, 하위 레벨 이동버튼은 통상의 리모컨인 경우에는 좌향 버튼을, 그리고 본 발명의 접근장치인 경우에는 레벨다운버튼(34)을 지정하여 이용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측 이동버튼은 통상의 리모컨의 경우에는 상향 버튼을, 그리고 본 발명의 접근장치인 경우에는 채널업버튼(35)을 이용하고, 하측 이동버튼은 통상의 리모컨인 경우에는 하향 버튼을, 그리고 본 발명의 접근장치인 경우에는 채널다운버튼(36)을 지정하여 이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제작된 TV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TV 컨텐츠 관리부(110)와; 각 가상채널값에 상기 TV 컨텐츠 또는 컨텐츠 카테고리의 정보를 해당 채널도메인과 매칭시켜 별도의 채널도메인 데이터로 구성하기나, 각 TV 컨텐츠에 배정된 채널도메인 정보를 해당 TV 컨텐츠를 포함하는 스트림의 구 성에 포함시켜 채널도메인에 각 TV 컨텐츠 또는 컨텐츠 카테고리를 매칭시키는 채널도메인 데이터 생성부(120)와; 상기 TV 컨텐츠 관리부(110)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 생성부(120)와 연결되어 스케줄 관리 또는 편성 정보 구성 및 운영 등 서비스의 관리를 담당하는 매니저 시스템(130)과; 상기 매니저 시스템(130)의 관리 정보에 따라 TV 컨텐츠와 편성 정보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 등 관련 데이터를 시청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140)와; 상기 서비스 제공부(140)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시청자 단말기 상에서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부(210)와;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채널도메인 이동 방향 버튼을 선택하여 특정 채널도메인으로 이동하거나 기타 입력기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TV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청자 입력부(220)와; 상기 시청자 입력부(220)의 신호를 받아 해당 입력 신호가 어떤 TV 컨텐츠 또는 카테고리 또는 데이터와 매칭되는지를 수신된 채널도메인 데이터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수신부(210)에서 TV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요청 하거나 기수신 또는 수신중이거나 저장된 TV 컨텐츠 중에서 해당 신호에 맞는 TV 컨텐츠를 찾아내는 채널도메인 처리부 (230)와; 상기 채널도메인 데이터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가공한 TV 컨텐츠를 표시하여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채널도메인 처리부(230)에서 도출한 TV 컨텐츠를 시청자의 단말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제작된 TV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TV 컨텐츠 DB 서버(310)와; 각 채널도메인에 상기 TV 컨텐츠 또는 컨텐츠 카테고리의 정보를 해당 채널도메인과 매칭시켜 별도의 채널도메인 데이터로 구성하거나, 각 TV 컨텐츠에 배정된 채널도메인 정보를 해당 TV 컨텐츠의 구성에 포함시켜 채널도메인에 각 TV 컨텐츠 또는 컨텐츠 카테고리를 매칭시키는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채널도메인 관리 서버(320)와; 시청자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해당 TV 컨텐츠 DB 서버(310)에서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시청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상기 채널도메인 관리 서버(320)의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시청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TV 컨텐츠 제공 서버(330)와; 상기 TV 컨텐츠 제공 서버(330)에서 보내오는 TV 컨텐츠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부(410)와;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채널 도메인 이동 방향 버튼을 선택하여 특정 채널도메인으로 이동하거나 기타 입력기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TV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청자 입력부(420)와; 상기 시청자 입력부(420)의 신호를 받아 해당 입력 신호가 수신된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떤 TV 컨텐츠 또는 카테고리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TV 컨텐츠나 카테고리를 상기 TV 컨텐츠 제공 서버(330)에 요청하는 TV 컨텐츠 요청부(430)와; 채널도메인 데이터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가공한 TV 컨텐츠를 표시하여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서비스 수신부 (410)에서 수신한 TV 컨텐츠를 브라우징 또는 디코딩 등의 가공을 통해 시청자의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44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의 TV 컨텐츠를 서비스 하고자 할 경우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TV 컨텐츠 요청부(43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수신부(410)에 TV 컨텐츠를 제공하는 별도의 TV 컨텐츠 서버(3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TV 컨텐츠와, 각 TV 컨텐츠에 배경된 채널도메인 정보를 해당 TV 컨텐츠의 구성에 포함시키거나 채널도메인에 각 TV 컨텐츠 또는 컨텐츠 카테고리를 매칭시켜 생성한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500)과; 상기 송신측(500)에서 보내오는 TV 컨텐츠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부(510)와; 상기 서비스 수신부(510)에서 수신된 데이터 또는 TV 컨텐츠를 시청자 단말의 저장 장치에 별도로 저장 또는 녹화하고, 수신된 채널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이에 준하는 형태의 채널데이터를 별도 생성하여 저장하는 TV 컨텐츠 저장부(520)와;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채널 도메인 이동 방향 버튼을 선택하여 특정 채널도메인으로 이동하거나 기타 입력기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TV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청자 입력부(530)와; 상기 시청자 입력부(530)의 신호를 받아 해당 입력 신호가 어떤 TV 컨텐츠 또는 카테고리 또는 데이터와 매칭되는지를 채널도메인 데이터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저장된 TV 컨텐츠 중에서 해당 신호에 맞는 TV 컨텐츠를 찾아내는 채널도메인 처리부(540)와; 상기 채널도메인 데이터 또는 채널도메인 데이터를 가공한 TV 컨텐츠를 표시하여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채널도메인 처리부(540)에서 도출한 TV 컨텐츠를 시청자의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 이하는 화면 표시부(55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4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TV 컨텐츠 서비스의 시청자 이용형태를 살펴보면, 시청자가 TV 시스템에서 기존 방송의 11번 채널인 MBC를 보고 있다가 TV 컨텐츠 서비스의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라는 컨텐츠를 이용하고자할 때 기존의 TV 시스템 환경에서는 일단 TV 컨텐츠 서비스의 포털로 이동하기 위해 TV 컨텐츠 서비스 포털인 채널 100번을 누른다.
그러면 화면에 포털 안의 최상위 컨텐츠 카테고리 리스트 또는 메뉴가 나타나고 시청자는 여기에서 리모콘 방향 버튼을 수 차례 조작해 '여성' 카테고리에 커서 또는 포인터를 올려놓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다음 화면에는 '여성' 카테고리의 세부 카테고리 리스트 또는 메뉴가 나타나고 이 안에서 다시 몇 번의 방향버튼 조작과 확인 버튼 선택을 통해 시청자는 '피부미용' 카테고리로 이동한다.
상기 '피부미용' 카테고리에서는 다시 시청자는 몇 차례의 방향버튼과 확인버튼을 눌러서야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 라는 원래 원하던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시청자가 해당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최신 영화보기' 메뉴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다시 역순으로 상위 카테고리를 지나TV 컨텐츠 포털인 채널 100번 메인 화면으로 돌아간 후 최상위 카테고리인 '문화'를 거쳐 '영 화', '최신 영화 보기' 순서대로 위와 같은 리모콘 조작을 반복해야한다. 또는 TV컨텐츠 포털인 채널 100번부터 다시 시작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모두 해소하여, 시청자가 기존 방송 채널인 11번 MBC를 시청하다가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를 시청하고자 할 경우, TV 컨텐츠 서비스 또는 특정 TV 컨텐츠 서비스 카테고리를 지칭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와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에 배정된 가상채널값의 숫자 버튼을 리모콘 또는 본 발명의 접근장치 상에서 조합하여 입력함으로써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컨 텐츠로 한 번에 이동한다.
예를 들어 TV 컨텐츠 서비스를 지칭하는 리모콘 또는 본 발며의 접근장치 상의 'D' 버튼만 누르면 TV 컨텐츠 서비스 포탈로 이동하고, 'D' 버튼에 여성 카테고리를 지칭하는 '2'버튼과 그 하위 카테고리 중 '피부미용' 카테고리를 지칭하는 '3', 그리고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컨텐츠를 지칭하는 '5'를 조합하여 누르면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로 직접 이동하게 된다.
즉 'D235'를 한 번에 입력하면 직접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D23' 까지만 입력하면 '피부미용'카테고리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타의 메이크업 따라잡기' 컨텐츠에서 '최신 영화 보기'로의 이동은 더욱 간단하다. 일단 TV 컨텐츠 서비스를 지칭하는 'D'버튼이 입력된 상태이므로 '문화' 카테고리를 지칭하는 '1', 영화'를 지칭하는 '1', 그리고'최신 영화 보기'를 지칭하는 '3'을 입력하면 '최신 영화 보기'로 직접 이동하게 된다.
즉, 이번엔 '113'만을 입력하면 시청자 단말기에서는 'D113'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채널도메인을 한 단계씩 이동하며 각 TV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리모컨의 채널 방향키를 누르거나 본 발명의 접근장치의 채널업버튼(35) 및 채널다운버튼(36)을 한 번씩만 누르면 된다.
즉, 채널 방향키의 상향 버튼(또는 채널업버튼: 35)을 누르면 채널도메인이 'D113'에서'D112'로 이동하게되고, 여기에서 하향 버튼(또는 채널다운버튼: 36)을 누르면 'D112'에서 'D113'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좌향 버튼(레벨업버튼: 33)을 누르면 'D113'에서 최하단인 '3'이 삭제되면서 한 단계 상위 카테고리인 'D11'로 이동하게 되고, 우향 버튼(레벨다운버튼: 34)을 누르면 다시 한 단계 하위카테고리인 'D113'으로 이동한다. 물론 'D11'에서도 상향 버튼을 누르면 'D10'채널도메인으로 이동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청자는 메뉴 또는 카테고리 리스트로 불필요하게 이리저리 오가면서 컨텐츠를 이동할 필요 없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채널도메인에서 채널방향키를 한 번씩 누르는 것만 가지고 모든 컨텐츠를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즉, 일반 TV 채널을 한 채널씩 이동하면서 모든 채널을 쉽게 시청할 수 있는 기존의 TV 이용 환경이 TV 컨텐츠 서비스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채널도메인 'D113'의 '최신 영화 보기'에서 다시 일반 TV 채널인 11번 MBC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D'버튼을 한 번 더 입력하면 화면 디스플레이의 채널 정보에 TV 컨텐츠 서비스를 지칭하는 'D'가 사라지게 되고 이와 함께 리모콘을 통해 11번을 선택하면 TV 컨텐츠 서비스를 벗어나 일반 채널인 11번 MBC 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TV 컨텐츠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존의 일반 TV 시청에 있어서도 통합된 편리한 TV 시청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TV 컨텐츠 서비스의 불편한 시청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TV 컨텐츠 서비스를 시청자 차원에서 기존의 일반 방송 채널을 이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TV 컨텐츠 서비스 환경에서는 각 컨텐츠 카테고리 이동은 하단의 특정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 수 차례의 버튼을 조작해야하고 컨텐츠간 이동은 하기 위해서는 다시 수 차례의 버튼을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시청자는 자기가 필요한 특정 컨텐츠만을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각 컨텐츠 간의 이동을 기존의 채널 방향 버튼만을 사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구현함으로써 시청자가 채널도메인을 이동함으로써 모든 컨텐츠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위성 및 케이블 방송의 경우 많은 채널을 제공하고 있고 시청자는 9시 뉴스나 드라마 등 특정 시간에 원하는 채널을 직접 선택하여 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채널을 하나씩 모든 채널을 이동하면서 기호에 맞는 내용이 있을 경우에 해당 채널에 머물러 시청을 하게 되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채널도메인을 이용한 TV 컨텐츠 서비스는 이러한 시청 행태를 그대로 반영시켜 TV 컨텐츠 서비스 자체를 기존 방송에 준하여 크게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TV 컨텐츠에 고유의 채널도메인을 부여함으로써 특정 TV 컨텐츠를 제공하는 업자로 하여금 해당 채널도메인을 브랜드화 하여 자사의 TV 컨텐츠를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TV 컨텐츠 서비스 자체를 운영하는 방송사 또는 통신사 등의 플랫폼 사업자에게는 채널도메인 분양 및 임대를 통한 수익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 하위 컨텐츠 카테고리와의 관계를 채널도메인으로 자연스럽게 규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TV 컨텐츠 서비스의 구조를 명확하게 분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채널도메인은 각 특정 TV 컨텐츠의 고유 코드로 활용될 수 있어, 기존의 방송과 연동될 경우 TV 광고(CF)를 시청하다가 해당 광고의 부가 정보를 담고 있는 특정 TV 컨텐츠로 직접 연결되는 원스탑(one stop)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도 있고, 각 채널도메인별로 서비스 이용률, 시청률 등 트래픽(traffic) 관리에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청자로 하여금 선호 채널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 채널 등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한다.

Claims (19)

  1. 특정 문자(열) 또는 특정 문자(열)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이 지정되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1차메뉴의 지정된 가상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여 지정되는 하위 가상채널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1차메뉴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1차메뉴 및 그 각각의 하위메뉴에 가상채널값을 지정함으로써 TV 컨텐츠에 채널도메인을 구성하고,
    상기 1차메뉴와 하위메뉴는, 채널축과 하위레벨의 깊이 (depth)를 나타내는 축으로 2차원상으로 표현되며,
    상기 TV 시스템의 입력장치 또는 외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1차메뉴가 같거나 서로 다른, 동일 레벨의 메뉴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2. 삭제
  3.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메뉴 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하위레벨에는 상기 선택된 1차메뉴에 속하는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레벨에 지정되는 표시는, 상기 1차메뉴의 지정된 가상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열) 외에 특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V 시스템의 입력장치 또는 외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일련번호 없이 상기 특정 문자(열)만을 입력해도 상기 1차메뉴로 이동하거나 또는 일반 채널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일반 채널에서 가상채널값으로 지정되는 채널도메인으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TV 시스템에서 상기 특정 문자(열)는 생략하고 그 하위 숫자만 입력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V 시스템의 입력장치 또는 외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1차메뉴가 같거나 서로 다른, 동일 레벨의 메뉴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V 컨텐츠 서비스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방송 채널이 아닌 TV 컨텐츠 서비스의 가상채널임을 표시하는 가상채널 값을 시청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 하위 가상채널값 정보 또는 인접 가상채널값 정보를 각 레벨의 화면이나 컨텐츠의 일부분에 표시함으로써, 특정 채널에서 인접 컨텐츠로 이동하고자 할 때, 상기 표시된 부분을 선택하거나 해당 가상채널값을 입력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특정 문자(열) 또는 특정 문자(열)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이 지정되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1차메뉴의 지정된 가상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거나 상기 1차메뉴의 가상채널값을 변경하는 하위 가상채널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1차메뉴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생성하여, 상기 1차메뉴 및 그 각각의 하위메뉴에 가상채널값을 지정함으로써 구성되는 채널도메인을 검색하여 접근하는 장치에 있어서,
    숫자 및 기타 문자(열)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상기 1차메뉴로 직접 이동하 거나, 공중파 TV 채널과의 전환을 선택하는 전환버튼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상위 레벨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벨업버튼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하위 레벨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벨다운버튼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동일 레벨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채널업버튼과; 상기 가상채널값으로 대표되는 1차 메뉴 및 하위메뉴에서 동일 레벨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채널다운버튼과; 선택상황에서 선택을 확인하는 확인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해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해석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접근장치.
  16. 특정 문자(열) 또는 특정 문자(열)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가상채널값이 지정되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1차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1차메뉴의 지정된 가상채널값에 숫자 또는 문자를 부가하거나 상기 1차메뉴의 가상채널값을 변경하는 하위 가상채널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1차메뉴를 세부화 하는 하위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깊이 이상 생성하여, 상기 1차메뉴 및 그 각각의 하위메뉴에 가상채널값을 지정함으로써 구성되는 채널도메인을 검색하여 접근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상채널 또는 일반 채널의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상위 레벨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상위 레벨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하위 레벨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하위 레벨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며;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같은 레벨에서의 상측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상측 가상채널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버튼을 판단하여, 입력된 버튼이 같은 레벨에서의 하측 이동버튼인 경우, 상기 가상채널값을 하측 가상채널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의 가상채널값의 변화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코드로 변환하거나 TV 컨텐츠를 지칭하는 호출정보 코드로 변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변환된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코드를 이용하여 TV 컨텐츠를 호출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판단 결과 가능한 경우, 해당 TV 컨텐츠를 호출하여 가상채널을 이동하고, 판단 결과 불가능한 경우, 가상채널 이동을 중단하고 시청자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접근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상기 가상채널값을, 상위 레벨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가상채널값에서 마지막 숫자를 삭제하고;
    상기 가상채널값을, 하위 레벨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가상채널값에서 마지막 일련번호를 추가하며;
    상기 가상채널값을 상측 가상채널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가상채널값의 마지막 일련번호에서 1을 더하고;
    상기 가상채널값을 하측 가상채널을 지정하는 가상채널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가상채널값의 마지막 일련번호에서 1 빼는 과정으로 보다 상세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접근방법.
  18.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이 수록된 기록매체.
  19. 삭제
KR1020030078155A 2003-11-05 2003-11-05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KR10064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55A KR100642129B1 (ko) 2003-11-05 2003-11-05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PCT/KR2004/000619 WO2005046239A1 (en) 2003-11-05 2004-03-22 Meht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processing data for television contents, and the media and transmitting signal contain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55A KR100642129B1 (ko) 2003-11-05 2003-11-05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830A Division KR20060017892A (ko) 2006-01-13 2006-01-13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315A KR20050043315A (ko) 2005-05-11
KR100642129B1 true KR100642129B1 (ko) 2006-11-10

Family

ID=3456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155A KR100642129B1 (ko) 2003-11-05 2003-11-05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2129B1 (ko)
WO (1) WO2005046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66B1 (ko) * 2004-08-16 2006-06-08 (주) 아이티비엠지 가상 도메인 시스템을 활용한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접근 장치와 그 방법 및 그를 수록한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KR100851124B1 (ko) * 2005-09-29 2008-08-08 하나로미디어(주) 셋톱박스를 이용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에서 주문하고자하는 주문형 비디오 컨텐츠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선택하는 방법
KR100748856B1 (ko) * 2005-11-29 2007-08-13 하나로미디어(주)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채널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해전달되는 컨텐츠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상호간의 이동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KR100819488B1 (ko) * 2005-12-29 2008-04-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인터랙티브 티브이의 메인화면 표시방법
US8615781B2 (en) 2007-01-08 2013-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and receiver
KR101686837B1 (ko) * 2010-06-30 2016-12-15 주식회사 케이티 메뉴 선택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51462C (en) * 1992-12-09 2004-02-24 John S. Hendricks Television program delivery system
WO1997046006A1 (fr) * 1996-05-29 1997-12-04 Sony Corporation Unite de commande pour guide de programmes
TR200100164T2 (tr) * 1998-07-20 2001-06-21 Canal+Societe Anonyme Çok-kanallı bir dijital televizyon sistemi için kanallar arasında gezme sistemi
TW516309B (en) * 1999-12-10 2003-01-0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Features for use with advanced set-top applications o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6239A1 (en) 2005-05-19
KR20050043315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8625B2 (ja) クエリベースの電子式プログラム・ガイド
US72132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the same of similar shows
JP5129317B2 (ja) 対話型番組ガイドナビゲータメニューシステム
US8046799B2 (en) Daypart based navigation paradigm
KR101015292B1 (ko) 가시 큐들을 갖는 주문형 epg 디스플레이
US20060218587A1 (en) Interactive content guide for television programming
US7987484B2 (en) Managing media content with a self-organizing map
US88812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listings by content provider
US201003331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guidance applications for browsing video-on-demand listings
KR101440167B1 (ko) 관련성에 기초한 미디어 가이던스 검색 결과들의 표시
WO2001041430A9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web sites assigned to channel numbers
US8079047B1 (en) Program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
KR100642129B1 (ko)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KR20060017892A (ko)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
KR101341465B1 (ko)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
KR100950161B1 (ko) Iptv용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KR100604094B1 (ko) 티브이 시스템의 컨텐츠 가이드 방법
CA2387638A1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live customer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