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668B1 -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668B1
KR100434668B1 KR10-2001-0035167A KR20010035167A KR100434668B1 KR 100434668 B1 KR100434668 B1 KR 100434668B1 KR 20010035167 A KR20010035167 A KR 20010035167A KR 100434668 B1 KR100434668 B1 KR 10043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consonants
hangu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79177A (en
Inventor
어윤형
최장성
Original Assignee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1-003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668B1/en
Publication of KR2001007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6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특히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장착되는 버튼(키)의 수가 제한되는 휴대전화 등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한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Hangul input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in particular a mobile phone, such as a mobile phone which is limited in the number of buttons (keys) mounted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It is about.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의 기본 형태소 각각 3개씩을 추출하여 이들의 순열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결정하며, 각각 3개의 자음입력키 및 모음입력키, 1개의 이응()입력키 등 최소 7개의 키로 구성된다.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bar extract basic morphemes 3 each respectively by their permutation determines the consonants and vowels, 3 consonants input keys and vowel input key, one yieung each (o It consists of at least seven keys, including input keys.

따라서,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한글입력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해야 할 필요가 없이 한글을 필기하는(handwriting) 방식과 같은 순서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utilized as a small Hangul input device in a miniaturized-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Hangul may be input in the same order as the handwriting method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conscious memorization.

Description

한글 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Korean input device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본 발명은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특히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장착되는 버튼(키)의 수가 제한되는 각종 휴대전화 등에 적용이 가능한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personal computers, in particular mobile phones, etc., the number of buttons (keys) to be mounted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

한글은 각 음소(a phoneme) 즉, 알파벳 하나 하나가 일차원적으로(즉 일렬로) 나열되는 영어, 불어, 독어, 한자를 제외한 일본어 등과는 달리 각 음소가 초성(the initi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중성(the vowels of a Korean syllable), 종성(the fin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으로 구분되어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어우러져 이차원적으로 배치되면서 하나의 음절(a syllable)을 이루는 문자체계를 갖는다.Hangul is the initi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unlike a phoneme, that is, English, French, German, and Japanese except for Hanja, where each alphabet is arranged one-dimensionally (ie in a row). , A vowels of a Korean syllable, and a finality (the fin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Have a system.

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일차원적 문자는 단순히 음소의 순서와 공백만으로 하나의 단어가 완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문자입력 프로토콜만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야 할 뿐 아니라, 엮이, 역기, 여끼의 예에서 처럼 이응()을 제외한 둘 이상의 자음(consonants)이 반복될 때, 이 자음을 각 음절에 어떻게 배치해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14개의 자음과 이론상 거의 무한대의 모음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In the case of inputt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a one-dimensional character is possible only by a relatively simple character input protocol because a single word is completed only by phoneme order and space. However, in the case of Hangul, not only two-dimensional arrangement, but also when two or more consonants are repeated except Yi Eung ( ), as in the example of lace, weight, and female, how should they be arranged in each syllable? More complex protocols are required because there are basically 14 consonants and theoretically infinite vowels.

전기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전화, PDA, 호출기, 소형 게임기, 리모콘, 카메라, 가전기구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소형화, 첨단화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에 반비례하여 기능이 향상되면서, 또한 전자기기에 문자를 표현하고자 하는욕구가 증가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특히 버튼(키)가 한정된 휴대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각종 방법(장치)가 개발되었다. 초기 입력장치는 가장 단순한 것으로서, 한글 입력모드가 되면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든 자음(초성)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커서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이어서 많은 수의 모음이 표시되면 역시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음절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9-24320호). 이후 모음에 대해서는 각 모음의 기본 형태소를 추출하여 ━, ·, ┃를 3개의 버튼에 배치하고 이들의 순열을 통해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소위 천지인 모음 입력방법(장치)이 개발·정착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7-2558호).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ic and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agers, small game machines, remote controllers, cameras, home appliances, etc., such as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etc. It is being advanced. However, as the function is improv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iniaturization, as the desire to express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s increases, the necessity of inputting characters continues to increase. In response to this, various methods (device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have been developed, particularly in mobile phones with limited buttons (keys). The initial input device is the simplest. When the Hangul input mode is displayed, all consonants (consonants) are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device),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consonant using the cursor, and when a large number of vowels are displayed, the user One syllable was determined by moving a cursor to select a desired vowel (Korean Patent No. 99-24320). Since then, the vowel input method (device), the so-called Cheonji, was developed and settled by extracting the basic morphemes of each vowel, placing ━, ·, and 에 on three buttons and entering all vowels through their permutations. Patent 97-2558).

자음 입력방법(장치)은 크게 ① 모든 자음을 2~3개씩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자음을 결정하는 방법(연속배치형), ② 형태상으로 핵심이 되는 자음들만을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2 또는 3개의 기능키를 부가하여 키에 배치되지 않은 자음은 그와 형태상으로 가까운 자음이 배치된 키를 누른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기능키를 눌러서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기능키활용형) 및 ③ 각 자음을 형태학적으로 해체하고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도형순열형)으로 분류된다.Consonant input method (device) is largely: ① A method of determining one consona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a specific ke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arranging two or three consonants (continuously arranged), ② Only one consonant that is the core is placed on one key, and 2 or 3 function keys are added to the consonant that is not arranged on the key. To select consonants by pressing (function key utilization type) and ③ morphologically disassemble each consonant, extract shapes (or symbols) that are common in shape, place them on each key, and press these keys one to several times By the method of selecting consonants (figure permutation type).

연속배치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18394호 및 제00-413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료에 의하면, 자음 및 모음이 순서대로 또는 임의로 2~3 개씩 배당된 총 8 또는 11개의 키로 구성된 자판에서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는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차례로 선택하여 하나의 음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하나의 키에 많은 복수개의 음소가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가 혼란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키를 누름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음소의 변화를 계속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Continuous batch typ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00-18394 and 00-41317. According to the above data, on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a particular key is pressed is sequentially selected to complete one syllable in a keyboard composed of a total of 8 or 11 keys in which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assigned in sequence or arbitrarily two or three. It is done. However, this method is not easy to use because many phonemes are printed on one key, which not only confuses the user, but also keeps an eye on the change of phoneme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key presses. There is this.

기능키활용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42231호, 제00-49346호, 제00-49347호 및 제00-5457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자료에 의한 기술은, 대표적인 자음 6~7개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당하고, 상기 3개의 천지인 모음 형태소 또는 6개의 대표적인 모음을 5~6개의 키에 각각 배치하며, 1~3개의 기능키를 배치한 자판을 적용하고 있다. 키에 표시되지 않은 음소는 키에 표시된 소정의 음소를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내에 소정의 기능키를 소정횟수 누름으로써 정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자판이 시각적으로 깨끗하게 처리된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키에 표시되지 않은 음소를 빠르고 자유롭게 선택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The function key utilization typ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00-42231, 00-49346, 00-49347 and 00-54571. The technique of these materials allocates 6 to 7 representative consonants to one key, arranges the three vowel morphemes or 6 representative vowels to 5 to 6 keys, and 1 to 3 function keys. The keyboard where I placed is applied. The phoneme not displayed on the key is determined by selecting a predetermined phoneme displayed on the key and pressing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lthough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keyboard is visually clean,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to quickly and freely select phonemes not displayed on the keys.

상기 연속배치형 및 기능키활용형과는 다른 개념 하에서 접근한 도형순열형 한글 입력방식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17771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에 상기 자료에서의 키 배치도와 도 2에 키의 순열과 음소의 대응관계를 도시하였다. 상기 공개특허 발명은 2회의 키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자음을 해체하여 추출한 공통도형을 너무 추상화시킴으로써 도형의 순열과 그에 대응하는 음소와의 관계를 모두-그리고-확실하게 암기하고 있어야만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있게 되며, 또한 중성과 중성 사이(즉 모음과 모음 사이)에 이응() 이외의 자음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기능키(예를들면 커서 이동키)를 눌러주어야 원하는 음절을 결정할 수 있게 되는 한계가 있다.An example of a graphics sequence Hangul input method approached under a different concept from the continuous arrangement type and function key utilization typ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0-17771. Fig. 1 shows the key arrangement in the data, and Fig. 2 show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ermutations of the keys and the phonemes. In order to determine one phoneme by two key inputs, the disclosed patent invention abstracts a common figure extracted by dismantling consonants so mu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mutations of the figures and the corresponding phonemes must be memorized clearly. is able to use an input device, and if any abnormality is consonant than two yieung (o) to (among other words collection and collection) neutral and neutral between (and thus in most cases) that a separate function key (e. g. There is a limit that you can decide the syllable you want by pressing the cursor movement key).

본 발명은 전기 언급된 종래 한글 입력방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해야 할 필요가 없고, 둘 이상의 연속된 자음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그 배치를 결정해 주어 사용자가 펜으로 글을 쓰는(handwriting) 방식과 동일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device) mentioned above, the user does not need to specifically memorize consciously, by determining the arrangement automatically or manually for two or more consecutive consona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Hangul in the same manner as a handwriting by a user.

도 1은 종래 한글 입력장치의 한 예에서 키 배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key arrangement in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angul input device.

도 2은 종래 한글 입력장치의 한 예에서 키의 순열과 음소의 대응관계를 보여주는 표이다.2 is a table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permutation of keys and a phoneme in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Korean input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에서 한글입력부의 키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 arrangement of a Hangul input unit in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에서 종초성 자동분리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seed type automatic separation method in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에서 종성과 초성을 인위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rtificially separating the final and the first consonants in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글입력부와 데이터베이스부와 음소추출부와 음절결정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including a Hangul input unit, a database unit, a phoneme extraction unit and a syllable determination unit.

한글입력부는, 한글자음의 형태를 분리하여 추출한 3개의 기본도형이 배당된 제1 내지 제3키로 이루어진 자음입력키와, 한글모음의 형태를 분리하여 추출한 3개의 기본도형이 배당된 제4 내지 제6키로 이루어진 모음입력키와, 한글 자음인 이응()이 배당된 이응입력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장치이다. 물론 여기에는 통상 전자기기에 필요한 별도의 특수 기능키(휴대전화기를 예로 들면, 신호전송키, 통화중지키, 각종 메뉴키 등)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한글-숫자-영문 전환키, 특수문자 입력키 등도 추가될 수 있다.The Hangul input unit includes a consonant input key consisting of first to third keys allocated with three basic shapes extracted by separating the shapes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fourth to fifth allocated three basic shapes extracted by separating the shapes of the Korean consonants. and 6 the key bar, the input key comprising, an input device, such as Hangul consonants of yieung (o) is configured including the dividend yieung input key keyboard, a keypad or a touch screen. Of course, additional special function keys (for example, a mobile phone, for example, a signal transmission key, call interruption key, and various menu keys) required for an electronic device may be added thereto. In addition, if necessary, a Hangul-number-English conversion key and a special character input key may be added.

데이터베이스부는, 이응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코딩정보가 한글자음 이응()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와, 자음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여 코딩된, 이응()을 제외한 각 한글자음 정보와, 모음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여 코딩된 각 한글모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검색가능한 정보군이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물리적으로 RAM 또는 ROM과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A database unit, the co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by the yieung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permutations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 consonant input key to be recognized in Hangul consonants yieung (o) coding, except yieung (o) It is a searchable information group that stores each Hangul consonant information and each Hangul vowel information coded corresponding to a permutation of input signals by a vowel input key. The database unit is physically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RAM or ROM.

음소추출부는 한글입력부의 자음입력키, 이응입력키 및 한글입력부의 모음입력키로부터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신호를 입력받은 후,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음소추출부는 일종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phoneme extracting unit receives one or more signals from the consonant input key, the response input key, and the vowel input key of the Hangul input unit respectively, and then extracts the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permutation of the input signal by querying the database unit. Do it. The phoneme extracting unit may be a kind of program.

음절결정부는 음소추출부가 추출한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일종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syllable determination unit is a device that completes Hangul syllable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or.

음절결정부는, ① 모음과 모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자음의 수는 1∼4개이고, ② 초성은 1∼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지며, ③ 종성은 0∼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지고, ④ 초성에서 자음 수가 2인 경우 자음은 항상 동일하며, ⑤ 자음 이응()이 초성에 오면 음가가 없고, ⑥ 자음 이응()은 자음과 자음 사이에 존재할 수 없다는 현대 한글의 특성에 기초하여 추출된 자음과 모음의 음소로부터 한글음절을 결정하게 된다.The syllable decision unit, ① vowels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that can exist between 1 to 4 consonants, ② the first consonant consists of 1-2 consonants, ③ the final consonant consists of 0 to 2 consonants, ④ consonants in the consonant If the number is 2, the consonants are always the same. ⑤ If the consonant Yi-eun ( ) comes to the initial consonant, there is no phonetic value. ⑥ The consonant-yiung ( ) cannot be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Hangul syllables are determined from phonemes of vowels.

즉, 음절결정부는, (A)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1이면, 상기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며, (B)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상이하면, 마지막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나머지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며, (C)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4이면 앞의 자음 둘과 뒤의 자음 둘을 각각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yllable determining unit (A)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the vowel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ng unit and the vowel is 1, determines the consonant as a consonant of the next syllable, and (B) the vowel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ng unit.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and vowels is 2 or 3 and the two consonants are different, the final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beginning of the next syllable and the final consonant is the final syllable, and (C) the vowel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on unit.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and vowels is 4,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consonants and the second consonant are programmed to determine the final syllable and the first syllable of the next syllable, respectively.

한편, [여끼, 역기], [역끼, 엮기], [아빠, 압바], [갓소, 가쏘], [갔소, 갓쏘] 등과 같은 예에서처럼, 한글에서는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의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동일하면 같은 음소순열에 의해 가능한 음절이 2종류가 되어 음절결정부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한글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라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의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예정되는 경우에 -음절결정부의 작용이 아닌- 인위적으로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비조작에 의해 자음군을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분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examples such as [chief, weights], [inverses, weaving], [dad, apaba], [god, gasso], [go, gatsaw], etc., in Korean,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vowels and vowels is 2 or 3 If two consonants are the same, there are cases where two syllables are possible by the same phoneme sequence, and the syllable determining unit cannot operate correctly. Therefore,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the vowels and the vowels is 2 or 3 and the two consonants in the future are expected to be the same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Hangul input unit-not the action of the syllable decision unit-artificially, that is, by the user's operation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consonant group into the final syllable of the first syllable and the first syllable of the next syllable by the user's non-operation.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의 한글입력부에 종초성분리키를 추가하여, 종초성분리키가 입력되면 직전에 입력되어 추출된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 이어서 새로운 입력키신호에 의해 자음이 추출되면 이를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method is to add a sparse separation key to the Hangul input unit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sparse separation key is input, the consonant extracted immediately before the extracted consonant is determined to be the final syllable of the last syllable, and then a new input. When the consonant is extracted by the key signal,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consonant of the next syllable.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또 다른 방법은, 별도의 종초성분리키를 추가하지 않고 이응입력키가 전기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추출된 자음 이후에 이응()이 추출되면 상기 이응의 앞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 이어서 자음이 추출되면 이를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응을 삭제하는 방법이다.Another method by the user's manipulation is to make the response input key perform the function without adding a separate parasitic separation key. That is, if after the extraction consonant yieung (o) is an extraction method of determining the front of the consonant yieung as trailing the preceding syllable, and then when a consonant is a consonant of the following syllable extracted determine and remove the yieung.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모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종초성 분리방식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user, all the consonants may be applied so that the herbicidal separation method by the user's operation is applied.

사용자의 비조작에 의한 종초성 분리방법은, 자음과 모음이 추출된 후 또는 자음, 모음 및 자음이 추출된 후 소정의 시간동안 추가의 키입력신호가 없으면 각각 상기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 모음 및 자음을 초성과 종성 또는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 하는 음절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별도의 키가 추가될 필요가 없다.The method of separating the seedlings by the user's non-operation is that after the consonant and the vowel have been extracted or after the consonant, the vowel and the consonant have been extracted and there is no additional key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r the consonant, the vowel and It is to determine the syllables that make consonants consonant and distant, or consonant, neutral and distant. In this case, no additional key needs to be ad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의 일 예에불과한 것으로서, ①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의 기본 형태소 각각 3개가 활용되며, ② 3개의 자음입력키, 중성입력, 1개의 이응()입력키가 기본적으로 설치된 한글 입력장치라는 점을 원칙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or embodiment as a mere example of a device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①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collection basic morpheme and utilizing three individual, ② 3 consonants input key, neutral type, one yieung (o) the input key Various forms of the embodiment will be possibl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s basically an Hangul input device install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기본적으로 자음입력키, 모음입력키 및 이응입력키로 이루어진 한글입력부와, 각 입력키의 순열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와, 한글입력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음소추출부와, 추출된 음소를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음절결정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제어부가 독립적으로존재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에는 완성된 한글음절을 임시로 보관하는 임시저장장치, 한글음절 확정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등이 추가될 수 있다.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Hangul input unit consisting of a consonant input key, a vowel input key, and a response input key, and a databas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on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a permutation of each input key. And a phoneme extract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Hangul input unit, searching a database unit, and extracting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a syllable determining unit combining the extracted phonemes to complete the Hangul syllables.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independentl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f necessary,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a temporary storage devi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mpleted Hangul syllables, a device for displaying the Hangul syllable confirmation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작용을 위한 기능적 구분일 뿐이며 이들이 물리적으로 반드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음소추출부는 일체화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Each component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 functional division 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physically independent. For exampl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database unit and the phoneme extracting unit may be manufactured as one integrated program or one component as 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에, 따옴표, 쉼표, 마침표 등과 같은 특수문자의 입력, 한글-영문-숫자입력 전환, 사이띄우기(space bar 기능) 등과 같은 추가적기능을 위해 부가적인 입력키 및 입력키의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인에게는 용이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input keys and input keys fo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input of special characters such as quotation marks, commas, periods, Korean-English-numeric input conversion, space bar function, etc. Adding functionality would be easy fo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글자음, 즉, 초성 및 종성에 대한 형태의 기본도형을 ━, ┃,로, 모음, 즉 중성에 대한 기본도형을 ━, ·, ┃로 선정하였다. 이들 각각을 최소 7개의 키가 장착된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 배치하게 되는데, 첫 번째 행의 3개 키를 자음입력키로 정하여 각각 한글자음 기본도형을, 두번째 행의 3개 키를 모음입력키로 정하여 각각 한글모음 기본도형을, 마지막 7번째 키에 이응()입력키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shapes of Korean consonants, that is, initial and final forms, were chosen as ━, ┃, , and vowels, that is, the basic shapes for neutrals were chosen as ━, ·, ┃. Each of them is placed on a keyboard, keypad, or touch screen equipped with at least seven keys.The three keys on the first line are defined as consonant input keys, and the basic Korean consonants and the three keys on the second line are vowel input keys. appointed it is preferred to place the respective Hangul yieung bar (o) input key a basic figure, the end seventh key (Fig. 4).

도 4에 도시된 한글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각 자음, 모음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 및 이응입력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음소(자음 또는 모음)은 다음 표 1 및 표 2와 같이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 1에 표시된 자음 및 모음 코딩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Phonemes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each consonant, the input signal sequence of the vowel input key, and the response input key input signal inputted by the Hangul input unit illustrated in FIG. 4 may be determined a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In this case, the consonant and vowel coding information shown in Table 1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의 경우, 비정상적인 상황, 예를 들면 자음입력키가 계속 입력되어 종성 및 초성을 결정할 수 없게 되거나, 테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순열이 아닌 키 신호순열이 입력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올바른 사용을 촉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bnormal situation, for example, the consonant input key is continuously inputted so that the finality and the initiality cannot be determined, or a key signal sequence other than the permut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input. It would be possible to add a system that could alert the user to this and prompt the correct us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에서 종초성 자동분리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seed type automatic separation method in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에 1개의 자음이 있으면(A)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며, 모음과 모음 사이에 2개의 자음이 있고(B) 두 자음이 동일하지 않으면 앞의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뒤의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며, 두 자음이 동일하면 전기한 인위적인-조작 또는 비조작에 의한- 종초성 분리방법이 적용된다.As shown, if there is one consonant between the extracted vowel and the vowel (A),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consonant of the latter syllable, and if there are two consonants between the vowel and the vowel (B) and the two consonants are not equal, the front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final syllable of the previous syllable and the later consonant is the first syllable of the next syllable.

모음과 모음 사이에 3개의 자음이 있고(C) 마지막 두 자음이 동일하지 않으면 앞의 두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마지막의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며, 두 자음이 동일하면 전기한 인위적인-조작 또는 비조작에 의한- 종초성 분리방법이 적용된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 4개의 자음이 있으면(D) 앞의 두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뒤의 두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한다.If there are three consonants between the vowels (C) and the last two consonants are not the same, the first two consonants are determined by the final syllable, the last consonant is the first syllable, and if the two consonants are the same, Artificially- or non-manipulated-herbicidal separation methods apply. If there are four consonants between the vowels (D), the first two consonants are determined to be the final syllables and the second two consonants are the first syllables.

도 6은 본 발명에 종초성 자동분리가 불가능한 경우에, 또는 자동분리가 가능하더라도 자음소가 복수개 추출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종성과 초성을인위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각 구성부분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제어부의 작용에 대해서는 주어를 생략하였다. 또한 비정상적인 입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먼저 입력시작을 위해서는 상기 입력장치가 한글 전용이거나,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rtificially separating a seed and a starch that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ot possible to automatically separate seedlings or even when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extra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adjusting each compon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It is also assumed that there is no abnormal input. First of all, in order to start the input, the input device must be dedicated to Hangul or be switched to the Hangul input mode.

모음입력키신호 이후에 자음입력키 신호가 있으면 그 신호순열을 임지저장장치에 저장하며, 음소추출부가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저장된 신호순열에 대응하는 자음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대응자음이 없으면 계속해서 자음입력키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가 그 순열을 저장하고 음소추출부가 대응자음을 확인한다. 대응자음이 있으면 그 자음을 추출하여 원하는 자음으로 결정하고 임시저장된 신호순열을 삭제한다(자음결정단계).If there is a consonant input key signal after the vowel input key signal, the signal sequence is stored in the forest storage device, and the phoneme extractor checks the database unit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ignal sequence.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sonant,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receives the consonant input key signal and stores the permutation, and the phoneme extracting unit check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f there is a corresponding consonant, the consonant is extracted to determine the desired consonant, and the temporarily stored signal sequence is deleted (consonant determination step).

이어서 즉시 자음입력키 신호가 있으면 그 순열을 저장하면서 전기한 과정을 반복하며, 종초성분리키 신호(이응입력키를 활용하는 경우 이응입력키의 신호) 또는 추가적인 자음입력키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전기 과정에서 결정된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종초성 분리단계), 그 이후에 결정되는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한다(자음결정단계).Then, if there is a consonant input key signal, the process is repeated while storing the permutation, and the secondary constellation separation key signal (signal of the response input key when using the response input key) or an additional consonant input key signal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is case, the consonants determined in the previous process are determined as the final syllables of the preceding syllables (separation phase separation), and the subsequent consonants are determined as the initial consonants of the next syllable (consonant determination step).

전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한글로 된 음절, 단어, 문장 등이 작성될 수 있다.By repeating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syllables, words, sentences, and the like in Korean can be prepared.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의 기본 형태소 각각 3개씩을 추출하여 이들의 순열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결정하며, 각각 3개의 자음입력키 및 모음입력키, 1개의 이응()입력키 등 최소 7개의 키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수의 키로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적용이 기대된다. 또한 한글 자음모음의 형태소를 추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해야 할 필요가 없이 한글을 필기하는(handwriting) 방식과 같은 순서로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ree basic morphemes of the Korean consonants and the Korean vowels, and determines consonants and vowels based on their permutations, respectively, three consonant input keys and a vowel input key. you can form at least seven keys such as one yieung (o) the input key. Therefore, all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 with a limited number of keys, so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small-sized and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s small keyboards, keypads, and touch screens. In addition, by extracting and using the morphemes of the Korean consonant vowels, the user can conveniently input the Korean characters in the same order as the handwriting method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conscious memorization.

Claims (9)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device, (A) 한글자음의 형태를 분리하여 추출한 3개의 기본도형이 배당된 제1 내지 제3키로 이루어진 자음입력키, 한글모음의 형태를 분리하여 추출한 3개의 기본도형이 배당된 제4 내지 제6키로 이루어진 모음입력키, 그리고 한글 자음인 이응()이 배당된 이응입력키를 포함하는 한글입력부와;(A) Consonant input key consisting of the first to third keys allocated to the three basic shapes extracted by separating the shapes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fourth to the sixth keys allocated to the three basic shapes extracted by separating the shapes of the Korean consonants. A Hangul input unit including a vowel input key made up of and a Leeung input key to which a Korean consonant Lee Eung ( ) is assigned; (B) 상기 이응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가 한글자음 이응()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와, 상기 자음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의 순열에 의해 코딩된, 이응()을 제외한 각 한글자음 정보와, 상기 모음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의 순열에 의해 코딩된 각 한글모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와;(B) information for causing the input signal by the corresponding input key to be recognized as Hangul consonant ( ) and information on each Hangul consonant except for the yi (( ), coded by a permutation of the input signal by the consonant input key; A database unit for storing each Hangul vowel information coded by a permutation of input signals by the vowel input keys; (C) 상기 한글입력부의 자음입력키, 이응입력키 및 한글입력부의 모음입력키로부터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음소추출부와; 그리고(C) After receiving one or more signals from the consonant input key, the response input key, and the vowel input key of the Hangul input unit respectively, the database unit inquires the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permutation of the input signal. A phonem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nd (D)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음절결정부를 포함하되,(D) comprises a syllable determination unit for combin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on unit to complete the Hangul syllables, 상기 자음입력키에 배당된 기본도형은 각각 ━, ┃,이며,The basic figures assigned to the consonant input keys are respectively ━, ┃, ,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The database unit,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일곱번째 자음인 시읏(ㅅ)으로, 순차적으로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아홉번째 자음인 지읒(ㅈ)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또는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번째 자음인 치읓(ㅊ)으로 인식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When the key signal input by a a seventh consonant in sieut (oi) of Hangul, when successively the key signal of the input ━ ninth Hangul consonants jieut (ㅈ), and sequentially ┃━ or ┃ When the key signal of the input is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information that is recognized as the 10th consonant of the Hangu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절결정부는,The syllable determination unit, (A)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1이면, 상기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며,(A)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the vowels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ng unit is 1, the consonants are determined as the first consonants of the next syllable, (B)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상이하면, 마지막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나머지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며,(B)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the vowels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ng unit is 2 or 3 and the two consonants are different, the first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first syllable of the last syllable, and the remaining consonants are the final syllables of the first syllable. (C) 상기 음소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4이면 앞의 자음 둘과 뒤의 자음 둘을 각각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C) the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number of consonants between the vowels extracted by the phoneme extracting unit is 4, the two consonants in the front and the two consonants in the back are determined to be the final syllables and the first syllables of the next syllable, respectively.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한글입력부는 종초성분리키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The Hangul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seed separation key, 상기 음절결정부는,The syllable determination unit, 종초성분리키 신호가 입력되면 추출된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A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ignal is input to the jongcho separation key, the extracted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last syllable of the previous syllabl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음절결정부는,The syllable determination unit, 추출된 자음 이후에 이응()이 추출되면 상기 이응의 앞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 이어서 자음이 추출되면 이를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응을 삭제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If after the extraction consonant yieung (o) is extracted to determine a preceding consonant in the yieung as trailing the preceding syllable, then to determine this by consonants in the following syllables, and having an additional function of deleting the yieung when consonants are extracted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절결정부는,The syllable determination unit, 자음과 모음이 추출된 후 또는 자음, 모음 및 자음이 추출된 후 소정의 시간동안 키입력신호가 없으면 각각 상기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 모음 및 자음을 초성과 종성 또는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하는 음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After consonants and vowels have been extracted or after no consonant, vowels and consonants have been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yllables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as initial and final or initial, neutral and final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한글입력부의 모음입력키에 배당된 기본도형은 각각 ━,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The basic figures assigned to the vowel input keys of the Hangul input unit are ━, ·, 한글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The database unit 순차적으로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첫번째 자음인 기억(ㄱ)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are sequentially input, the first consonant of Hangeul is memory (ㄱ), 순차적으로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두번째 자음인 니은(ㄴ)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are sequentially input, the second consonant of the Korean alphabet is nieun (ㄴ), 순차적으로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세번째 자음인 디귿(ㄷ)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are sequentially input, the third consonant of Korean is Di 귿 (ㄷ), 순차적으로━┃━ ┃━ 또는 ━┃━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네번째 자음인 리을(ㄹ)로,When the key signals of ━┃━ ┃━ or ━┃━ 으로 are sequentially input, the fourth consonant of the Hangul is Li (ㄹ), 순차적으로┃━┃━ 또는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다섯번째 자음인 미음(ㅁ)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or ┃━┃ are sequentially input, they are the fifth consonant of Korean, melody (ㅁ), 순차적으로┃┃━ ━ 또는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여섯번째 자음인 비읍(ㅂ)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 or ┃┃ are sequentially input, the sixth consonant of the Hangul is Bieup (ㅂ),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여덟번째 자음인 이응(ㅇ)으로, When the key signal of is input, it is Lee Eung (ㅇ), the eighth consonant of Hangul. 순차적으로 ━ ━┃ 또는 ━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한번째 자음인 키읔(ㅋ)으로,If the key signals of ━ ━┃ or ━ ━ are input in sequence, they are the key 읔 (ㅋ), the eleventh consonant of Hangul. 순차적으로 ━ ━┃━ 또는 ━ ━ ━┃ 또는 ━┃━ ━ 또는 ━ ━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두번째 자음인 티읕(ㅌ)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 or ━ ━ ━┃ or ━┃━ ━ or ━ ━ ━ are sequentially input, the twelfth consonant of Korean 순차적으로 ━┃┃━ 또는 ━ ━┃┃ 또는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세번째 자음인 피읖(ㅍ)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or ━ ━┃┃ or ━┃┃ are sequentially input, they are the 13th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순차적으로┃또는┃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마지막 자음인 히읗(ㅎ)으로 인식하는 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more information to recognize as the 읗 (마지막), the last consonant of the Hangul when the key signal of ┃ or ┃ sequentiall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The database unit 순차적으로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ㄲ)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are sequentially input, they are double consonants (ㄲ), 순차적으로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ㄸ)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키 ━ are sequentially input, they are double consonants (ㄸ), 순차적으로 ┃┃━ ━또는 ┃┃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ㅃ)으로,When the key signals of ┃┃━ ━ or ┃┃ are sequentially input, they are double consonants (ㅃ), 순차적으로∧∧또는∧ㅇ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ㅆ)으로,When a key signal of ∧∧ or ∧ ㅇ is sequentially input, it is double consonant (ㅆ), 순차적으로 ━∧ㅇ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ㅉ)으로 인식하는 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the information that is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ㅉ) when the key signal of ━ ∧ in order.
KR10-2001-0035167A 2001-06-20 2001-06-20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KR100434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67A KR100434668B1 (en) 2001-06-20 2001-06-20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67A KR100434668B1 (en) 2001-06-20 2001-06-20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177A KR20010079177A (en) 2001-08-22
KR100434668B1 true KR100434668B1 (en) 2004-06-04

Family

ID=1971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167A KR100434668B1 (en) 2001-06-20 2001-06-20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6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905A (en) * 2001-07-20 2003-01-29 김형근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KR100709309B1 (en) * 2005-03-17 2007-04-20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Speed Korean Inpu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71A (en) * 1999-12-01 2000-04-06 김용숙 Hangul, english, number inputting apparatus through combination of basic sentence pattern
KR20000056069A (en) * 1999-02-12 2000-09-15 박재홍 Method For Coding Of Korean Alphabet
KR20000059919A (en) * 1999-03-10 2000-10-16 허진호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01525A (en) * 1999-06-05 2001-01-05 임병용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069A (en) * 1999-02-12 2000-09-15 박재홍 Method For Coding Of Korean Alphabet
KR20000059919A (en) * 1999-03-10 2000-10-16 허진호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01525A (en) * 1999-06-05 2001-01-05 임병용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00017771A (en) * 1999-12-01 2000-04-06 김용숙 Hangul, english, number inputting apparatus through combination of basic sentence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177A (en)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CN101135939A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numeric key
KR100434668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0839281B1 (en) Korean consonant input methods in keypad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JP4262981B2 (en) Keypad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040080435A1 (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KR0154150B1 (en) Inputing method of korean alphabet array i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34669B1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he electronic apparatuses
KR100486866B1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KR20010069564A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JP2002116862A (en) System for inputting ring-shaped character and system for selecting function
CN101498965B (en) Chinese character Pinyin input method by numeric keyboard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200318329Y1 (en)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20080072287A (en)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320092B1 (en)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KR20050103803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japanese
KR20080055249A (en)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