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092B1 -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92B1
KR100320092B1 KR1019980039334A KR19980039334A KR100320092B1 KR 100320092 B1 KR100320092 B1 KR 100320092B1 KR 1019980039334 A KR1019980039334 A KR 1019980039334A KR 19980039334 A KR19980039334 A KR 19980039334A KR 100320092 B1 KR100320092 B1 KR 10032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key
consonants
vowel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0651A (en
Inventor
김효상
Original Assignee
옥치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치담 filed Critical 옥치담
Priority to KR101998003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92B1/en
Publication of KR2000002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키를 통해 한글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한글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한글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한글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과, 한글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의 그룹에 대해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 하나씩을 할당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 output device for inputting Hangul through a plurality of keys or retrieving and storing stored Hangul data.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Or in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tored data, the key input unit may include the Hangul consonants “,, ㄲ, ,, ,, ㄸ, ,,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 ㅋ, ㅌ, ,, ㅎ "and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 입, ㅞ, ㅟ, ㅢ "a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and then assigned to each group by assigning one key with multi-input function. It relates to output devices and methods.

이러한 본 발명은, 적은 수의 키(10개)를 통해 한글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and conveniently inputting Hangul through a small number of keys (10).

Description

한글 입/출력장치 및 방법Hangul input / outpu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다수개의 키(KEY)를 통해 한글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한글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을 다입력기능(MULTI-INPUT FUNCTION)을 갖는 키 10개에 각각 할당하여 그 입력방법을 제어함으로써 적은 수의 키를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 output device that inputs Hangul through a plurality of keys or retrieves and outputs stored Hangul data. In particular,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the Hangul arrangement order and frequency of use After dividing into 10 groups, each of them is assigned to 10 keys with MULTI-INPUT FUNCTION and the input method is controlled so that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 easily and quickly through a small number of keys. It is to ensure that.

주지하다시피, 한글을 입력시키거나, 또는 저장된 한글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장치는,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각각 입력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1)와; 소정의 연산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키입력부(1)를 거쳐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키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한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도록 하는 마이컴(MICOM)(2)과; 모니터, 또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시각 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컴(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표시부(3)와; 상기 마이컴(2)의 내부 메모리(MEMORY), 또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외부 메모리로 이루어져, 상기 키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한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4) 등으로 이루어졌다.As is well known, a Korean input / output device for inputting Korean or retrieving and outputting stored Korean data includes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A microcomputer (MICOM) 2 for executing a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through a predetermined arithmetic processing, or storing or outputting Korean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A display unit 3 comprising a visual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3 showing a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 It consists of an internal memory (MEMORY) of the microcomputer (2), or an external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he database unit (4) for storing the Hangul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이러한,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개의 키로 이루어진 상기 키입력부(1)를 통해 입력한 한글을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Such a conventional Hangul input / output device stores the Hangul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Hangul in the database unit 4 or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 Performed a function of searching and outputting data.

즉, 한글을 입력시킬 경우에는, 상기 키입력부(1)를 이루는 다수개의 키 중에서 마이컴(2)의 한글 응용프로그램이 지정하는 방식대로 키를 순차적으로 눌러 원하는 글자를 입력하였다.That is,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desired characters are inputted by sequentially pressing keys according to a method specified by the Hangul application program of the microcomputer 2 among the plurality of keys constituting the key input unit 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는, 첫째,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의 수가 너무 많아 면적 및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를 사용하여 키 수를 줄일 경우에는 그 조작방법이 복잡함은 물론, 사용빈도에 대한 고려가 없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등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 out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keys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occupies a lot of area and volume, and second, a key having a multi-input function. In the case of reducing the number of keys using, the operation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예를 들어, 2벌식 자판을 갖는 컴퓨터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키보드)는, 한글 자음을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의 19개로 나누고, 모음을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의 14개로 나누어, 총 33개의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해 26개(몇가지 자음과 모음은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에 할당됨)의 키를 할당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한글 전자수첩의 경우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는,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을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14개로 나누고, 모음을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의 12개로 나누어, 총 26개의 한글 자음과 모음 각각에 대해 26개의 키를 할당하여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a key input unit (keyboard) for inputting Hangul in a computer having a 2-Ball type keyboard includes “a, ㄲ, b,,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 ㅉ, ,, ㅋ, ㅌ, ,, ㅎ "and divide the vowels into"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ㅐ, ㅒ, ㅔ, In the case of the Hangul electronic organizer, it is divided into 14 pieces of "ㅖ" and 26 keys (33 consonants and vowels are assigned to a key having a multi-input function) are allocated for a total of 33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 shown in FIG. 2, the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Hangul, the Hangul consonants of "a, b, c, d, d, k, k, k, k, k, k, k, k, k, h" Divide it into 14 and divide the vowels into 12 of "",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ㅐ, ㅔ, "and 26 keys for each of the 26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It is configured by assigning.

또한, 한글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단말기(핸드폰)의 경우에는,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14개의 기본 한글 자음과 10개의 기본 한글 모음을 9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숫자 "1"을 나타내는 키에 "ㄱ, ㅏ, ㅑ"를 할당하고, "2"에"ㄴ, ㅓ, ㅕ"를 할당하고, "3"에 "ㄷ, ㄹ, ㅁ"을 할당하고, "4"에 "ㅂ, ㅗ, ㅛ"를 할당하고, "5"에 "ㅅ, ㅜ, ㅠ"를 할당하고, "6"에 "ㅇ, ㅡ"를 할당하고, "7"에 ㅈ, ㅊ, ㅣ"를 할당하고, "8"에 "ㅋ,ㅌ"를 할당하고, "9"에 ㅍ, ㅎ"을 할당하여 구성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ell phone) that supports the Hangul input function, as shown in FIG. 3, 14 basic Korean consonants and 10 basic Korean vowels are divided into 9 groups to represent the number “1”. Assign "a, ㅏ, ㅑ" to the key, "b, ㅓ, ㅕ" to "2", assign "ㄷ, ㄹ, ㅁ" to "3", "ㅂ," to "4" ", ㅛ", "5", "ㅅ, ㅜ, ㅠ", "6", "ㅇ, ㅡ", "7", ㅈ,, ㅣ ", It was configured by assigning "ㅋ, ㅌ" to "8" and assigning "and" to "9".

그러나, 상기 컴퓨터 키보드의 경우에는 많은 수의 키가 필요하여 소형화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전자수첩의 경우에는 키의 수는 키보드에 비해 줄었으나 여전히 많은 수의 키가 소요되어 소형화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및, 기본 자음과 모음 및 "ㅐ"와 "ㅔ" 이외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조작이 번거로워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mputer keyboar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miniaturized because a large number of keys are required, and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notebook, the number of key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keyboard, but still requires a large number of keys, which makes the miniaturization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asic consonants and vowels and consonants other than "ㅐ" and "ㅔ", or vowels are cumbersome to use and are inconvenient to use.

또한, 무선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의 수를 9개로 줄여 소요되는 면적을 최소화 하였으나, 한글의 기본 자음과 모음 이외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통화시간을 필요 이상 증가시키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area required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 for inputting Hangul to 9 is minimized.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input consonants or vowels other than the basic consonants and vowel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increase the talk time more than necessary.

즉, 컴퓨터 키보드의 경우에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의 수가 많은 만큼 사용이 편리하나, 이를 위해 소요되는 면적 및 부피 등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자수첩, 무선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자음과 모음 이외에 많이 사용되는 "ㄲ, ㅐ, ㅒ, ㄸ, ㅔ, ㅖ, ㅚ, ㅘ, ㅙ, ㅃ, ㅟ, ㅝ, ㅞ, ㅆ, ㅉ" 등의 키를 직접 입력할 수가 없어 조작이 불편함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등이 있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computer keyboard, the number of keys for inputting Hangul is convenien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ea and volume required for this increase.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noteboo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asic consonants and vowels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input keys such as "ㄲ, ㅐ, ㅒ, ㄸ, ㅔ, ㅖ, ㅚ, ㅘ, ㅙ, ㅃ, ㅟ, ㅝ, ㅞ, ㅆ, ㅉ".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40개 선별하여 이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을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 10개에 각각 할당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구성하여 그 입력방법을 제어함으로 인해, 적은 수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출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after selecting 40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ccording to the Hangul arrangement order and frequency of use and classify them into 10 groups, each of them By assigning each of the 10 keys with input functions to configure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Hangul, and controlling its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enter Korean characters easily and quickly using a small number of keys. Output device and method ".

즉, 한글 자음 19개("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와 모음 21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한글 배열순서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각각의 그룹에 하나씩의 다입력기능키를 할당함으로써 10개의 키를 가지고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19 Hangul consonants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ㅎ) and 21 vowels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fter dividing into groups, one multi-input function key is assigned to each group so that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 with 10 keys.

또한, 이때 상기 10개의 키는 숫자 "0"에서 "9"까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10개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ten keys correspond to the numbers "0" to "9", so that the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 using the ten numeric keys.

도 1 은 한글 입/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gul input / output device,

도 2 는 종래 한글 전자수첩의 키입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unit of a conventional Hangul electronic notebook,

도 3 은 종래 무선통신단말의 키입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unit of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 중 키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unit of the "Korean input /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 중 키입력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key input unit of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 중 키입력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unit of the "Korean input /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 "한글 입/출력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8 is a control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input / output metho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 키입력부 20: 마이컴 30: 표시부10: key input unit 20: microcomputer 30: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한글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input / output device"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nd inputs or outputs Hangul input / output device. In

상기 키입력부는, 한글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과, 한글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의 그룹에 대해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 하나씩을 할당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key input unit, Hangul consonants ",, ㄲ, ,, ,,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ッ, ㅎ" and Hangul vowels Hangul order and frequency of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t is configured by dividing into 10 groups and assigning one key having a multi-input function to each group.

또한, 상기 키입력부에 있어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분류된 10개의 그룹은,In addition, the 10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the frequency of use in the key input unit,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 ㅏ, ㅐ"를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ㄱ, ㄲ, ㅋ" and Hangul vowels "ㅏ, ㅐ" as a group,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ㄴ" and Hangul vowels "ㅑ, ㅒ"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ㄷ, ㄸ, ㅌ" and Hangul vowels "ㅓ, ㅔ" as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ㄹ" and Hangul vowels "ㅕ, ㅖ"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ㅁ" and Hangul vowels "ㅗ, ㅘ, ㅙ, ㅚ"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ㅂ, ㅃ," and Hangul vowels "ㅛ"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ㅅ, ㅆ" and Hangul vowels "ㅜ, ㅝ, ㅞ, ㅟ"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ㅇ"과, 한글 모음 "ㅠ"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 "ㅇ" and Hangul vowel "ㅠ"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ㅈ, ㅉ, ㅊ"과, 한글 모음 "ㅡ, ㅢ"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ㅈ, ㅉ, ㅊ" and Hangul vowels "ㅡ, ㅢ"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Korean consonant "ㅎ" and the Hangul vowel "ㅣ" are characterized as being in another group.

또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한글을 입력할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의 순서,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의 순서,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과, 자음"의순서로 글자를 입력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consonants" Characterized by forming a letter.

즉, "자음 + 모음"만 입력될 경우에는 이를 받침이 없는 글자(예: "ㄷ" + " ㅏ" = "다")로 인지하고, "자음 + 모음 + 자음"만 입력될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받침을 갖는 글자(예: "ㄷ" + "ㅏ" + "ㄹ" = "달")로 인지하며, "자음 + 모음 + 자음 + 자음"이 입력될 경우에는 이를 두 개의 받침을 갖는 글자(예: "ㄷ" + "ㅏ" + "ㄹ" + "ㄱ" = "닭")로 인지하여 글자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only "consonant + vowel" is entered, it is recognized as a non-supporting letter (e.g. "ㄷ" + "=" = "da"). It recognizes letters with a backing of (e.g. "ㄷ" + "ㅏ" + "ㄹ" = "Month"). If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consonant" is entered, it has two backing letters ( Example: "ㄷ" + "ㅏ" + "ㄹ" + "ㄱ" = "chicken") to form letters.

또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 입력을 시작한 후 최초의 키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값 중에서 자음에 대한 값이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nputting the Hangul through the key input unit, when the first key is selected after starting the Hangul input, the value for the consonant is selected from the values for th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 .

또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한글을 입력함 있어서 한글 입력을 시작한 후 최초의 자음이 선택 된 후 그 다음 키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값 중에서 모음에 대한 값이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nputting Hangul through the key input unit, when the first consonant is selected after starting the Hangul input and the next key is selected, the value for the vowel among the values for th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 is selected. To be selected.

또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 입력을 시작한 후 최초의 자음과 모음이 선택 된 후 그 다음 키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값 중에서 자음에 대한 값이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inputting the Hangul through the key input unit, when the first consonant and the vowel are selected after the first consonant and the vowel are selected, the next key is selected, among the values for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ssigned to the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is selected.

또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 입력을 시작한 후 최초의 자음과 모음 및 받침을 이루는 자음이 선택 된 후 그 다음 키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값 중에서 자음에 대한 값이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inputting the Hangul through the key input unit, when the first consonant and the consonant forming the vowel and the consonant are selected and the next key is selected, the consonant and vowel assigned to the key are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for the consonant is selected from the value.

상기에 있어 어느 임의의 키를 선택하여 자음(또는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키가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예: 0.5초) 안에 동일한 키가 반복 선택되면, 그 키에 할당되어 배열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이 상기 반복 선택 회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한다.In case of inputting consonants (or vowels) by selecting any key in the above,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5 seconds) after the key is selected, the key is assigned and arranged. The Hangul consonants (or vowels) are sequ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 selections.

예를 들어, 상기 제1의 일정시간을 0.5초라 하고, 상기 10개의 그룹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에 할당된 그룹이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으로 이루어진 그룹이라 하였을 경우, 한글 자음을 선택하기 위하여 키를 한번 누르면 "ㄱ"이 선택되고, 상기 "ㄱ"이 눌려진 후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다시 키를누르면 "ㄲ"이, 한번 더 누르면 "ㅋ"이 선택된다. 이는 한글 모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s 0.5 seconds, and among the ten groups, a group assigned to a key selected by a user is a Korean consonant "ㄱ, ㄲ, ㅋ" and a Korean vowel "ㅏ, ㅐ". In the case of a group consisting of a consonant, press the key once to select the Korean consonant, and select "a", and press the key again before 0.5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a" is pressed. Is selected. The same is true for Hangul vowels.

상기에 있어 어느 임의의 키를 선택하여 자음(또는 모음)을 선택 한 후 제1의 일정시간(예: 0.5초)이 경과하도록 동일 키가 반복 선택되거나, 또는 다른 키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자음(또는 모음)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또는 모음)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so that a first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5 second) elapses after selecting any arbitrary key and selecting a consonant (or vowel), or if no other key is selected, The selected consonant (or vow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or vowel) input by the user.

즉, 상기 제1의 일정시간 이내에 선택되는 한글 자음(또는 모음) 중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을 입력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ast selected Korean consonant (or vowel) among the selected Korean consonants (or vowels)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s recognized as the input Korean consonant (or vowel).

상기에 있어 어느 임의의 키를 선택하여 자음(또는 모음)을 선택한 후 제2의 일정시간(예: 3초)이 경과하도록 동일 키가 반복 선택되거나, 또는 다른 키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한 글자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so that a second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elapses after selecting an arbitrary key by selecting a consonant (or vowel), or if no other key is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for the character is completed.

상기 제2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한 글자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할경우에는, 그때까지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검출하여, "자음 + 모음"의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오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input for a letter is completed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consonant and a vowel input by that time are detected, and a signal indicating an input error when the combination of "consonant + vowel" is not m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또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각 그룹은,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각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group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is configured by adding the numbers "1, 2, 3, 4, 5, 6, 7, 8, 9, 0" to each group one by on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각 그룹은,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와, 마침표 "."를 알파벳의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을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group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is represented by the letters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nd period". "A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alphabetical order and frequency of us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dding one to the group consisting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또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각 그룹은,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각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배열하고, 또한,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와, 마침표 "."를 알파벳의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 각각을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group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is arranged by adding the numbers "1, 2, 3, 4, 5, 6, 7, 8, 9, 0" to each group one by one. In addition, the alphabet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nd period". "A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alphabetical order and frequency of use, and each of them is added to the group consisting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

또한, 키입력부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10개의 키 이외에 한글의 한 글자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키를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key indicating completion of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of the Korean alphabet in addition to the ten keys for inputt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한편, 본 발명 "한글 입/출력 방법"은, 한글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과, 한글 모음 "ㅏ, ㅑ, ㅓ,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그룹에 대해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 하나씩을 할당한 후, 상기 키의 입력기능을 소정의 방법에 의해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input / output method", Hangul consonants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ㅉ, ㅉ, ㅋ, ㅋ, ㅌ, ㅡ, 한글, 한글,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arrangement order and frequency of use, and assign one key having a multi-input function to each group, and then input the Hangul by controlling the input function of the key by a predetermined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the methodological configuration.

또한, 상기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분류된 10개의 그룹은,In addition, the 10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ㄱ, ㄲ, ㅋ" and Hangul vowels "ㅏ, ㅐ" as a group,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ㄴ" and Hangul vowels "ㅑ, ㅒ"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ㄷ, ㄸ, ㅌ" and Hangul vowels "ㅓ, ㅔ" as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ㄹ" and Hangul vowels "ㅕ, ㅖ"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ㅁ" and Hangul vowels "ㅗ, ㅘ, ㅙ, ㅚ"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ㅂ, ㅃ," and Hangul vowels "ㅛ"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ㅅ, ㅆ" and Hangul vowels "ㅜ, ㅝ, ㅞ, ㅟ"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ㅇ"과, 한글 모음 "ㅠ"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 "ㅇ" and Hangul vowel "ㅠ"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ㅈ, ㅉ, ㅊ"과, 한글 모음 "ㅡ, ㅢ"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하고,Hangul consonants "ㅈ, ㅉ, ㅊ" and Hangul vowels "ㅡ, ㅢ" into another group,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다른 한 그룹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Korean consonant "ㅎ" and the Hangul vowel "ㅣ" are characterized as being in another group.

또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특정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Hangul by controlling the input function of each key assigned a specific group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첫째, 한글 입력 개시후 임의의 키가 처음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모음 중에서, 첫 번째로 배열된 자음이 선택되도록 하고,First, when a key is first selected after the start of Hangul input, the first consonant arranged amo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 is selected.

둘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예: 0.5초)이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반복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키의 선택 횟수(키의 눌림 횟수)에 따라 상기 키에 할당된 자음 중 그 다음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Second, when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5 seconds) has elapsed after the first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the number of times the key is pressed (the number of times the key is pressed) is selected. The next consonant of Korean consonants assigned to the key is sequentially selected,

셋째, 상기 첫 번재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동일한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첫 번째로 배역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다른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된 한글 모음 중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되도록 하고,Third, the same key is selected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or when another key is selected after the first cast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the key. Make sure that the first Hangul vowel assigned to is selected.

넷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키의 선택 횟수(키의 눌림 횟수)에 따라 상기 키에 할당된 그 다음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Fourth, if the same key is selected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vowel is selected, the next time assigned to the ke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key selection (number of key presses) Let the second arranged Hangul vowels be selected sequentially,

다섯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동일한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된 후 다른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되어 배열된 한글 자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Fifth, when a first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vowel has been selected, the same key is selected, or when another key is selected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vowel is selected, the key. Hangul consonants assigned and arranged to be sequentially selected.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임의의 한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할 경우에는, 제1의 일정시간 안에 최종적으로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인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by controlling an input function of each key to which any one group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s assigned, the consonants or vowels finally selected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are input consonants or vowels. It is characterized by.

즉, 상기 제1의 일정시간을 0.5초로 설정하였을 경우, 상기 0.5초 이내에 선택되는 한글 자음(또는 모음) 중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을 입력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0.5 seconds, the last selected Korean consonant (or vowel) among the selected Korean consonants (or vowels) within the 0.5 second is recognized as the input Korean consonant (or vowel). will be.

예를 들어, 상기 10개의 그룹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에 할당된 그룹이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으로 이루어진 그룹이라 할 경우, 한글 자음을 선택하기 위하여 키를 한번 누르면 "ㄱ"이 선택되고, 상기 "ㄱ"이 눌려진 후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다시 키를 누르면 "ㄲ"이, 한번 더 누르면 "ㅋ"이 선택된다. 이는 한글 모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if the group assigned to the key selected by the user is a group consisting of Hangul consonants “ㄱ, ㄲ, ㅋ” and Hangul vowels “ㅏ, ㅐ”, among the 10 groups, selecting the Hangul consonants In order to press the key once, "a" is selected, and before the 0.5 second elapses after the "a" is pressed, pressing the key again selects "ㄲ", and pressing it once again selects "ㅋ". The same is true for Hangul vowels.

또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임의의 한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할 경우에는, 어느 임의의 키를 선택하여 자음(또는 모음)을 선택한 후 제2의 일정시간(예: 3초)이 경과하도록 동일 키가 반복 선택되거나, 또는 다른 키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한 글자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by controlling an input function of each key to which one group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s assigned, a second predetermined time after selecting a certain consonant (or vowel) is selected (E.g., 3 seconds), when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or another key is not selected, the input for one letter is completed.

상기 제2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한 글자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할 경우에는, 그때까지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검출하여, "자음 + 모음"의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오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input for a letter is completed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consonant and a vowel input by that time are detected, and a signal indicating an input error when the combination of "consonant + vowel" is not m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또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특정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Hangul by controlling the input function of each key assigned a specific group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첫째, 각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한 후,First, the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ssigned to each key are arranged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Hangul array order and frequency of use.

둘째, 어떤 임의의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모음 중에서 제일 처음에 배열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하고,Second, when a random key is selected, the Hangul consonants (or vowels) arranged first amo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s are selected.

셋째, 어떤 한글 자음(또는 한글 모음)이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다시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다음번째에 배열된 한글 자음(또는 모음)이 키의 반복 횟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Third, if a certain consonant (or vowel) is selected and the same key is selected again before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next consonant consonant (or vowel) is sequ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key. Make sure,

넷째, 어떤 한글 자음(또는 모음)이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다른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일 마지막에 선택된 한글 자음(또는 한글 모음)이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Fourth,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a certain Hangul consonant (or vowel) is selected or when another key is selected, the last selected Hangul consonant (or Hangul vowel) is selected.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특정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할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안에 최종적으로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인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inputting Hangul by controlling the input function of each key to which the specific group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s assigned, the consonant or vowel finally sel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input consonant or vowel. do.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시간을 0.5초라 하고,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한 그룹으로 하여 임의의 키에 할당한 후 그 배열순서를 "ㄱ, ㄲ, ㅋ, ㅏ, ㅐ"라 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키를 최초 선택하였을 경우(가압하였을 경우)에는 "ㄱ"이, 그리고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동일키를 다시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ㄲ"이, 그리고 상기 "ㄲ"이 선택된 후 다시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동일키를 다시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ㅋ"이 선택된다. 이는 " ㅏ, ㅐ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어떤 키를 선택(또는 반복 선택)하여 임의의 한글 자음(또는 한글 모음)을 선택한 후 상기 0.5초가 경과되거나, 또는 다른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최후에 선택된 한글 자음(또는 한글 모음)이 선택된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is 0.5 seconds, the Korean consonants "ㄱ, ㄲ, ㅋ" and the Hangul vowels "ㅏ, ㅐ" are assigned to an arbitrary key, and the arrangement order is "A, ㄲ, ㅋ, ㅏ, ㅐ "," a "for the first selected random key (pressing), and" a "for the same key again before 0.5 seconds have elapsed. And " k " is selected if the same key is selected again before 0.5 seconds elapses after the selection of " k " is selected. The same applies to "", ㅏ ". On the other hand, if a certain key is selected (or repeatedly selected) to select an arbitrary Hangul consonant (or Hangul vowel), the 0.5 second has elapsed, or when another key is selected, the last selected Hangul consonant (or Hangul vowel) is selected. do.

또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특정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과, 자음"을 하나의 글자로 하여 입력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Hangul by controlling the input function of each key to which the specific group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s assigned may include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and vowels, consonant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consonants "is characterized by inputting as one letter.

상기 "자음과, 모음과, 자음"의 순서,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과, 자음"의 순서로 글자를 형성하여 입력할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 다음에,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과 자음" 다음에 다시 모음이 입력되면, 선입력된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을 하나의 글자로 하여 입력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letters are formed and input in the order of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consonants", afte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or " When vowels are input again afte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and consonants, it is characterized by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and vowels and consonants" input as one letter.

즉, "자음 + 모음"만 입력될 경우에는 이를 받침이 없는 글자(예: "ㄷ" + "ㅏ" = "다")로 인지하고, "자음 + 모음 + 자음"만 입력될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받침을 갖는 글자(예 "ㄷ" + "ㅏ" + "ㄹ" = "달")로 인지하며, "자음 + 모음 + 자음 + 자음"이 입력될 경우에는 이를 두 개의 받침을 갖는 글자(예: "ㄷ" + "ㅏ" + "ㄹ" + "ㄱ" = "닭")로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f only "consonant + vowel" is entered, it is recognized as a non-supported letter (for example, "ㄷ" + "ㅏ" = "da"). If only "consonant + vowel + consonant" is entered, it is one. Recognize it as a letter with a backing (eg "ㄷ" + "ㅏ" + "ㄹ" = "Month"). If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consonant" is entered, it has two backing letters (eg : "ㄷ" + "ㅏ" + "ㄹ" + "ㄱ" = "chicken").

또한, "자음 + 모음 + 자음", 또는 "자음 + 모음 + 자음 + 자음"이 입력된 후에 모음이 입력될 경우에는, 앞에 입력된 "자음 + 모음", 또는 "자음 + 모음 + 자음"을 한 글자(예: "ㄷ" + "ㅏ" + "ㄹ" + "ㅣ" = "다" + "ㄹ" + "ㅣ", "ㄷ" +" ㅏ" + "ㄹ" + "ㄱ" + "ㅣ" = "달" + "ㄱ" + "ㅣ")로 인식하게 된다. 이는 한글의 특성상 한 글자 안에서는 복모음을 제외한 모음이 한번이상 쓰이지 않으며, 또한 상기 복모음은 모두 키에 할당하여 한번의 키 조작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vowel is input after "consonant + vowel + consonant" or "consonant + vowel + consonant" is input, the "consonant + vowel" or "consonant + vowel + consonant" entered before Letters (e.g. "ㄷ" + "ㅏ" + "ㄹ" + "ㅣ" = "다" + "ㄹ" + "ㅣ", "ㄷ" + "ㅏ" + "ㄹ" + "ㄱ" + "ㅣ "=" Month "+" ㄱ "+" ㅣ ").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vowels except for the vowel vowel are not used more than once in one charact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gul, and the vowel vowels are all assigned to the keys so that they can be selected by one key operation.

또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각 그룹은,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각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group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is configured by adding the numbers "1, 2, 3, 4, 5, 6, 7, 8, 9, 0" to each group one by on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각 그룹은,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와, 마침표 "."를 알파벳의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을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group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is represented by the letters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nd period". "A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alphabetical order and frequency of us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dding one to the group consisting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또한,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각 그룹은,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각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배열하고, 또한,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S, R, S, T, U, V, W, X, Y, Z"와, 마침표 "."를 알파벳의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 각각을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하나씩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group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frequency of use is arranged by adding the numbers "1, 2, 3, 4, 5, 6, 7, 8, 9, 0" to each group one by one. In addition, the alphabet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S, R, S, T, U, V, W, X, Y, Z "and period". "A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alphabetical order and frequency of use, and each of them is added to the group consisting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

또한, 키입력부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10개의 키 이외에 한글의 한 글자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키를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key indicating completion of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of the Korean alphabet in addition to the ten keys for inputt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 및 방법"은, 한글 자음 19개(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와 모음 21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비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배열한 후, 각각의 그룹에 하나씩의 다입력기능키를 할당함으로써 10개의 키를 가지고 한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 Hangul input / output device & method &quot; includes 19 Hangul consonants (B, ㄲ, ,, ,,,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 ,, ㅌ, ㅎ) and 21 vowels (ㅏ, ㅑ, ㅓ, ㅕ, ㅗ, ㅛ,,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After arranging ㅞ, ㅟ, 나누어)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sequence and the frequency of use, assign one multi-input function key to each group to easily and quickly enter Hangul with 10 keys. You can do it.

이때, 상기 10개의 그룹 각각에 한글 자음과 모음 외에 숫자(0∼9), 또는 영문자(A∼Z), 마침표 등을 함께 할당하면 10개의 키를 통해 한글, 영문, 숫자등을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f numbers (0 to 9), alphabets (A to Z), periods, and the like are assigned to each of the 10 groups in addition to th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the Korean, English, and numerals can be input through the 10 keys. do.

즉, 숫자 "0"에서 "9"까지와 알파벳 "A"부터 "Z", "."를 대입하는 것으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 숫자, 알파벳을 10개의 그룹으로 나눈 일례는 다음과 같다.That is, by substituting the numbers "0" to "9" and the letters "A" to "Z" and ".", An example of dividing the Korean consonant, vowel, number and alphabet into ten groups is as follows.

숫자 "1"과,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과, 마침표 "."와, 알파벳 "Q, Z"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1", the Hangul consonants "ㄱ, ㄲ, ㅋ", the Hangul vowels "ㅏ, ㅐ", the period ".", And the alphabet "Q, Z",

숫자 "2"와,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 알파벳 "A, B, C"를 포함한 한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2", the Hangul consonant "ㄴ", the Hangul vowels "ㅒ,,", and the letters "A, B, C",

숫자 "3"과,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와, 알파벳 "D, E, F"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3", the Hangul consonants "ㄷ, ㄸ, ㅌ", the Hangul vowels "ㅓ, ㅔ", and the alphabet "D, E, F",

숫자 "4"와,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와, 알파벳 "G, H, I"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4", the Hangul consonant "ㄹ", the Hangul vowels "ㅕ, ㅖ", and the alphabet "G, H, I",

숫자 "5"와,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와, 알파벳 "J, K, L"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5", the Korean consonant "ㅁ", the Korean vowels "ㅗ, ㅘ, ㅙ, ㅚ", and the alphabet "J, K, L",

숫자 "6"과,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와, 알파벳 "M, N, O"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6", the Hangul consonants "ㅂ, ㅃ," ", the Hangul vowel" ㅛ ", and the alphabet" M, N, O ",

숫자 "7"과,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와, 알파벳"P, R, S"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7", the Korean consonant "ㅅ, ㅆ", the Korean vowels "TT, ㅝ, ㅞ, ㅟ", and the alphabet "P, R, S",

숫자 "8"과, 한글 자음 "ㅇ"과, 한글 모음 "ㅠ"와, 알파벳 "T, U, V"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8", the Hangul consonant "ㅇ", the Hangul vowel "ㅠ", and the alphabet "T, U, V",

숫자 "9"와, 한글 자음 "ㅈ, ㅉ, ㅊ"과, 한글 모음 "ㅡ, ㅢ"와, 알파벳 "W, X, Y"를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9", the Hangul consonants "ㅈ, ㅉ, ㅊ", the Hangul vowels "ㅡ, ㅢ", and the alphabet "W, X, Y",

숫자 "0"과,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와, 알파벳 "O, P, R"을 포함한 한 그룹.A group including the number "0", the Hangul consonant "ㅎ", the Hangul vowel "ㅣ", and the alphabet "O, P, R".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 및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input / output device and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실시예><Example>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 한글 자음 19개와 한글 모음 21개를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이에 각각의 다 입력기능을 갖는 키를 할당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19 Hangul consonants and 21 Hangul vowels are divid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arrangement order and the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의 다입력기능은, 소정시간을 설정한 후, 상기 소정시간에 눌린 키의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구별하도록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처리하여 부여한다.In addition, the multi-input function of the key having the multi-input function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software (SOFTWARE) for distinguishing Korean consonants or vowels input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s pressed afte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It is given by processing it.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일정시간(T1 시간)은 0.5초로하고, 제2의 일정시간(T2 시간)은 3초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stant time (T1 time) is 0.5 seconds and the second constant time (T2 time) is 3 seconds.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글자의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완료키(도5에서는 "#"키를 사용)를 사용하여 한 글자의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방법과, 제2의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이를 한 글자의 입력 완료로 인지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한다.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indicating completion of input of a single letter by using an input completion key indicating completion of input of a single letter (using the "#" key in FIG. 5), and whe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method of recognizing this as the completion of a single character is used in parallel.

따라서, 한글 자음(또는 모음)이 입력 완료된 후 상기 제2의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키가 눌러지면 이를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f the Hangul consonant (or vowel) is completed, or when the "#" key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the input is pressed, the input of one letter is comple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글자의 입력 오류를 나타내는 신호로 부저음(한글 전자수첩의 경우에는 내장된 부저, 무선통신단말기나 컴퓨터의 경우에는 내장된 스피커)을 사용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buzzer sound (a built-in buzzer in the case of the Korean electronic organizer, a built-in speaker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puter) is used as a signal indicating an input error of a character.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는,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10개의 다입력기능키와, 한 글자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완료키("#"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0)와; 한글 운영프로그램 및, 10개의 다입력기능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배열 순위를 저장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30)의 제어를 통해 한글의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30)로 구성된다.Also, as shown in FIG. 4,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en multi-input function keys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nd an input completion key indicating completion of a single character input. A key input unit 10 including a "key"; A microcomputer 20 for storing a Hangul operating program and an array rank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10 multi-input function keys; It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 30 indicating the input state of the Hangul through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30).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과, 한글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가 할당된 10개의 키 및 "#"키로 구성된 키입력부(10)를 마이컴(20)에 접속하고, 표시부(30)를 상기 마이컴(20)에 접속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Hangul consonants ",, ,, ,, ,,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ㅋ, ㅋ, ㅌ, ,, ㅎ "And, Hangul Vowels"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key input unit 10 composed of the ten keys and the "#" key to the microcomputer 20, and the display unit 30 to the microcomputer 20.

여기서 상기 10개의 키는, 도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Wherein the ten keys, as shown in Figure 5,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입력하는 키와,The Korean consonants "ㄱ, ㄲ, ㅋ" and the Korean vowels "ㅏ, ㅐ",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입력하는 키와,Enter the Korean consonant "ㄴ", the Korean vowel "ㅑ, ㅒ",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를 입력하는 키와,Enter the Korean consonants "ㄷ, ㄸ, ㅌ" and the Hangul vowels "ㅓ, ㅔ",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를 입력하는 키와,Enter the Korean consonant "ㄹ", the Korean vowel "ㅕ, ㅖ",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입력하는 키와,A key for entering the Korean consonant “ㅁ” and the Korean vowel “ㅗ, ㅘ, ㅙ, ㅚ”,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를 입력하는 키와,The Korean consonant "ㅂ, ㅃ, ッ" and the Korean vowel "ㅛ",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입력하는 키와,A key for entering the Korean consonant "ㅅ, ㅆ" and the Korean vowel "TT, ㅝ, ㅞ, ㅟ",

한글 자음 "ㅇ"과, 한글 모음 "ㅠ"를 입력하는 키와,The Korean consonant "ㅇ" and the Korean vowel "ㅠ",

한글 자음 "ㅈ, ㅉ, ㅊ"과, 한글 모음 "ㅡ, ㅢ"를 입력하는 키와,Enter the Korean consonant "ㅈ, ㅉ, ㅊ", the Korean vowel "ㅡ, ㅢ",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입력하는 키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Korean consonant "ㅎ" and a key for entering the Korean vowel "ㅣ".

여기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의 배열 순위는 상기 순서와 같이 한다.Here, the arrangement order of Hangul consonants or vowels is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의 입력이 할당된 키에 있어서 한글 자음의 배열 순서(입력순위)는 "ㄱ", "ㄲ", "ㅋ"으로 하고, 한글모음의 배열 순서는 "ㅏ", "ㅐ"로 한다. 즉, 상기 키를 통해 한글 자음을 입력할 경우에, 키가 처음 눌렸을 때에는 "ㄱ"이 선택되고,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동일키가 다시 눌려졌을 때에는 "ㄲ"이, 다시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동일 키가 반복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ㅋ"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이는 한글 모음이나, 다른 키에 대해서도 동일하다.For example, the arrangement order (input order) of Hangul consonants in the keys to which the Hangul consonants "ㄱ, ㄲ, ㅋ" and the Hangul vowels "ㅏ, ㅐ" are assigned is "ㄱ", "ㄲ", "ㅋ ",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Hangul vowels is" ㅏ "and" ㅐ ". That is, in the case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through the key, when the key is first pressed, "a" is selected, and when the same key is pressed again before 0.5 seconds have elapsed, "ㄲ" before 0.5 seconds has elapsed again. When the same key is selected repeatedly, "ㅋ" is selected sequentially. The same is true for Hangul vowels and other key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본 실시예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basic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첫째, 한글 입력 개시 후 키가 처음 선택되었을(눌려졌을) 경우에는 눌려진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이 선택되도록 하고,First, if a key is first selected (pressed) after the start of Hangul input, the consonant is selected from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pressed key.

둘째, 글자를 이루는 최초의 자음이 선택된 후 눌려지는 키에 대해서는 그 키에 할당된 모음이 선택되도록 하고,Second, for the key pressed after the first consonant of letters is selected, the vowel assigned to the key is selected.

셋재, 글자를 이루는 모음이 선택된 후 눌려지는 키에 대해서는, 입력완료키(#키)가 눌려지거나, 또는 제2의 일정시간(T2)이 경과할때까지 모두 자음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For the key pressed after the vowel forming the set and the letter is selected, all consonants are selected until the input completion key (# key) is pressed or until a second predetermined time T2 elapses.

이는 한글의 구성이 "자음 + 모음(복모음 포함)", 또는 "자음 + 모음 + 자음", 또는 "자음 + 모음 + 자음 + 자음"의 구성을 갖고, 본 발명에 의한 키 입력부의 모음 구성이 복모음(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을 하나의 키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이다.It has a constitution of Hangul consonants + vowels (including double consonants), or "consonants + vowels + consonants", or "consonants + vowels + consonants + consonants", vowel configuration of the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ㅐ, 입력,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구성) can be entered with one key.

또한,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제2의 일정시간(T2 시간 : 3 초)이 경과하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입력완료키(2키)를 눌려 이를 마이컴(20)에 입력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of one letter is completed,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T2 time: 3 seconds) waits for elapsed, or presses the input completion key (2 key) and inputs it to the microcomputer 20.

따라서, "ㄷ" + "ㅏ" + "ㄹ"이 선택된 후 3초가 경과하거나, "#"키가 눌려지면 "달"자로 인식하게 되며, "ㄷ" + "ㅏ" + "ㄹ" + "ㄱ"이 선택된 후 3초가 경과하거나, "#"키가 눌려지면 "닭"자로 인식하게 된다.Therefore, 3 seconds after "ㄷ" + "ㅏ" + "ㄹ" is selected, or "#" is pressed, it is recognized as "moon", "ㄷ" + "ㅏ" + "ㄹ" + "ㄱ 3 seconds after "is selected, or when" # "key is pressed, it is recognized as" chicken ".

이하, 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글 입력 개시후 어느 임의의 키가 눌러지면, 마이컴(20)은 그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첫 번째 순위로 배열된 한글 자음에 대한 값을 독출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8, when any arbitrary key is pressed after starting the Hangul input, the microcomputer 20 refers to the data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 and the Hangul arranged in the first order. The value for the consonant is read.

이때, 상기 첫 번째 순위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인 0.5초가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다시 눌러졌을 경우에는, 상기 키의 눌림 횟수에 따라 상기 키에 할당된 그 다음번께 한글 자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At this time, if the same key is pressed again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0.5 seconds has elapsed after the Hangul consonants arranged in the first order are selected, the next Hangul assigned to the ke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key is pressed Consonants are selected sequentially.

여기서, 첫 번째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0.5초가 경과되거나, 또는 다른키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그 각각의 키에 할당된 한글 모음 중 첫 번째 순위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된다.Here, if 0.5 second elapses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or when another key is pressed, the Hangul vowel arranged in the first rank among the Hangul vowels assigned to each key is selected.

또한, 상기의 과정에 의해 첫 번째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된 후 0.5초가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다시 눌러졌을 경우에는, 상기 키의 눌림 횟수에 따라 상기 키에 할당된 그 다음번째 순위의 한글 모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것으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한 글자씩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same key is pressed again before 0.5 second has elapsed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vowel is selected, the next Hangul vowel assigned to the key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key is pressed. In order to be selected sequentially,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o input one letter at a time.

예를 들어, "코끼리눈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For example, to enter "Elephant Eyebrows",

먼저,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입력하는 키를 세번 눌러 "ㅋ"을 선택하고,(이때, 키를 처음 눌러 "ㄱ"을 선택한 후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다시 키를 눌러 "ㄲ"을 선택하고, 상기 "ㄲ"이 선택된 후 0.5초가 경과하기 전에 다시 동일 키를 눌러 "ㅋ"을 선택한다.),First, press the key to input Hangul consonant "ㄱ, ㄲ, ㅋ" and Hangul vowel "ㅐ, ㅐ" three times to select "ㅋ". Press the key again to select “ㄲ”, and then press the same key again to select “ㅋ” before 0.5 second has elapsed after the “ㄲ” is selected.),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입력하는 키를 한번 눌러"ㅗ"를 선택한 후 3초(제2의 일정시간 : T2 시간)가 경과되기를 기다리거나, 또는"#"키를 눌러 "코"자를 입력하고,Press the key to input Korean consonant “ㅁ” and Korean vowel “ㅗ, ㅘ, ㅙ, ㅚ” once to select “ㅗ” and wait 3 seconds (second time: T2 time), or Press the "#" key to enter the "ko" character,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입력하는 키를 두 번 눌러"ㄲ"을 선택하고,Press the key to input Hangul consonant "ㄱ, ㄲ, ㅋ" and Hangul vowel "ㅏ, ㅐ" twice to select "ㄲ",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입력하는 키를 한번 눌러 "ㅣ"를 선택한 후 3초가 경과되기를 기다려거나, 또는 "#"키를 눌러 "끼"자를 입력하고,Press the key for entering Korean consonant “ㅎ” and Hangul vowel “ㅣ” once to select “ㅣ”, wait for 3 seconds to elapse, or press “#” key to enter “ki”.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를 입력하는 키를 한번 눌러 "ㄹ"을 선택하고,Press the key to input Korean consonant "ㄹ" and Hangul vowel "ㅕ, ㅖ" once to select "ㄹ",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입력하는 키를 한번 눌러 "ㅣ"를 선택한 후 3초가 경과되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키를 눌러하여 "리"자를 입력하고,Press the key for entering Korean consonant “ㅎ” and Hangul vowel “ㅣ” once to select “ㅣ”, wait for 3 seconds to elapse, or press “#” to enter “Lee”.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입력하는 키를 한번 눌려 "ㄴ"을 선택하고,Press the key for entering Korean consonant "ㄴ" and Hangul vowel "ㅑ, ㅒ" once to select "ㄴ",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입력하는 키를 한 번 눌러 "ㅜ"를 선택하고,Press the key to input Hangul consonant "ㅅ, ㅆ" and Hangul vowel "TT, ㅝ, ㅞ, ㅟ" once to select "TT",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입력하는 키를 한번 눌려 "ㄴ"을 선택한 후 3초가 경과되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키를 눌러 "눈"자를 입력하고,Press the key to input Hangul consonant “n” and Hangul vowel “ㅑ, ㅒ” once to select “b” and wait for 3 seconds, or press the “#” key to enter the “eye” character,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입력하는 키를 두 번 눌러 "ㅆ"를 선택하고,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를 입력하는 키를 한 번 눌러"ㅓ"를 선택하고,Press the key to input Hangul consonant "ㅅ, ㅆ" and Hangul vowel "TT, ㅝ, ㅞ, 두" twice to select "ㅆ", Hangul consonant "ㄷ, ㄸ, ㅌ" and Hangul vowel "ㅓ Press the key once to enter "ㅓ", select "ㅓ",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를 입력하는 키를 한 번 눌러 "ㅂ"을 선택한 후 3초가 경과되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키를 눌러 "썹"자를 입력한다.Press the key for entering Korean consonant “ㅂ, ㅃ," ”and Hangul vowel“ ㅛ ”once to select“ ㅂ ”, wait for 3 seconds to elapse, or press“ # ”key to enter“ Brows ”character .

이때, 키의 눌림에 따라 선택되는 과정은 표시부(30)를 통해 출력된다.At this time, the proces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key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0.

이하, 상기 "코끼리"의 입력과정을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put process of the "elepha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코"의 "ㅋ"은, 한글 입력 개시 후 처음 눌린 키이므로, 그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에 대한 데이터가 사용된다.First of all, the "k" of "ko" is a key that is first pressed after the start of Hangul input, and the data about the consonants is used amo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

따라서, "ㄱ, ㄲ, ㅋ"에 대한 값 중에서 키가 세 번 눌렸고, 그 키를 누른 시간이 각 키가 눌린 후 0.5초가 경과하기 전이므로 "ㄱ, ㄲ, ㅋ" 중에서 "ㅋ"이 선택된다.Therefore, the key was pressed three times among the values for "a, ㄲ, ㅋ", and "ㅋ" is selected from "a, ㄲ, ㅋ" because the time the key was pressed is 0.5 seconds after each key is pressed. do.

한편, "코"의 "ㅋ"이 선택된 후 상기 마이컴(20)은, 그 다음 눌려지는 키에 할당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값 중에서 모음에 대한 값을 입력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가,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입력하는 키가 눌려지면, 모음에 대한 값 "ㅗ, ㅘ, ㅙ, ㅚ" 중에서 "ㅗ" 값을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ㅗ"가 선택된 후 3초가 경과되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키를 누르면 "코"자의 입력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ko" of "ko" is selected, the microcomputer 20 is ready to receive a value for the vowel amo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 values assigned to the next pressed key. When the key for inputting “ㅁ” and the Korean vowel “ㅗ, ㅘ, ㅙ, ㅚ” is pressed, the value “ㅗ” is selected from the values “ㅗ, ㅘ, ㅙ, ㅚ” for the vowel. Wait for 3 seconds to elapse after “또는” is selected, or press the “#” key to complete the input of the “nose” character.

또한, "코" 자의 한글 자음과 모음이 각각 입력된 후, "ㄲ"과, "ㅣ"와, "#"키(또는 3초 경과, 이하 같다.)와, "ㄹ"와, "ㅣ"와, "#"키와, "ㄴ"과, "ㅜ"와, "ㄴ"과, "#"키와, "ㅆ"과, "ㅓ"와, "ㅂ"와, "#"키가 선택되면, "자음(ㄲ) + 모음(ㅣ) + "#" + 자음(ㄹ) + 모음(ㅣ)+ "#" + 자음(ㄴ) + 모음(ㅜ) + 자음(ㄴ) + "#" + 자음(ㅆ) + 모음(ㅓ) + 자음(ㅂ) + "#"이 선택된 결과가 되므로, "끼"자와, "리"자와, "눈"자와, "썹"자를 각각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 character are input, respectively, "ㄲ", "ㅣ", "#" key (or three seconds later, the same as below), "ㄹ", "ㅣ" And "#" key, "b", "TT", "b", "#" key, "ㅆ", "ㅓ", "ㅂ" and "#" keys are selected Consonant (모음) + vowel (ㅣ) + "#" + consonant (ㄹ) + vowel (ㅣ) + "#" + consonant (ㄴ) + vowel (TT) + consonant (ㄴ) + "#" +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 is the result of selection. Therefore, "Ki", "Lee", "Eye" and "Brows" are formed. will be.

따라서, 적은 수의 키(최소 10개의 키)를 통해 한글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Hangul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entered through a small number of keys (at least 10 keys).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입력기능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숫자 "0"부터 "9"까지를 10개의 키에 할당하여 숫자 입력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알파벳 "A"에서 "Z"와 마침표 "."를 같이 할당하여, 10의 키를 통해 한글, 숫자, 알파및 및 마침표의 입력을 병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However, 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inputting of Hangul using the multi-input function key has been described as the embodiment. However, as shown in Fig. 6, the numbers " 0 " to " 9 " Not only can be assigned to the key to have a numeric input function, of course, as shown in Figure 7, by assigning the letter "Z" and the period "." In the alphabet "A", through the keys of 10, Note that alpha and and period inputs can be used in combination.

이때, 숫자, 또는 알파벳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숫자, 또는 알파벳의 입력을 나타내는 별도의 키를 마련하여 그 입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한글 배열 순서보다 우선하거나 뒤로하여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of numbers or alphabets, by providing a separate key indicating the input of numbers or alphabets to control the input, o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prior to or behind the Hangul sequence The input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구별하여 그 입력을 각각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구별없이 일정한 배열순서에 의해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inputs are controlled, respectively.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글자 입력 후 제2의 일정시간(T2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한 글자의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키를 눌려 그 글자를 입력하였으나, 특정 키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게 하거나, 또는 특정의 키 두 개를 동시에 누르게 하여 한 글자의 입력 완료를 구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T2 time) has elapsed after inputting one letter, or the character is inputted by pressing a key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input of one letter, but the specific key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Or press two specific keys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글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하였으나, 공지의 음성합성장치를 이용하여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put of the Hangul consonants or vowels is re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unit, but it is understood that the selected consonants or vowels can be represented using a known speech synthesis apparatus.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입력부와 마이컴 및 표시부가 일체로 된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일체로 되거나, 또는 전화선이나 통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그 각각이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key input unit, the microcomputer and the display unit appear to be integrated, but in practice, they may be integrated,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through telephone lines, communication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Reveal.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글 입/출력장치의 구성을 키입력부와 마이컴 및 표시부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입력된 한글 데이터를 저장하는 한글 데 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is limited to the key input unit, the microcomputer, and the display unit.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the Hangul database unit may store the input Hangul data.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한글 입/출력장치 및 방법"은, 특히,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한글 배열순서와 사용빈도수에 따라 40개 선별하여 이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 각각을 다입력기능을 갖는 키 10개에 각각 할당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구성하여 그 입력방법을 제어함으로 인해, 적은 수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input / output device and method", in particular, 40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according to the Hangul arrangement order and the frequency of use and sorted them into 10 groups, respectively By assigning to each of the 10 keys with multi-input function to configure the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Hangul, and controlling the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Hangul easily and quickly using a small number of keys. It is.

Claims (6)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각각 입력시키는 키입력부와, 소정의 연산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고, 한글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관리, 제어하는 마이컴과, 표시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필수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져 한글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장치에 있어서,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respectively, a microcomputer that executes command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arithmetic process, and manages and controls the storage and output of Hangul data, a display unit, and a database unit In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which consists of essential components and inputs Hangul or outputs stored data, 상기 키입력부는,The key input unit,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al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ㄱ, ㄲ, ㅋ" and the Hangul vowels "ㅏ, ㅐ"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al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ㄴ” and the Hangul vowels “ㅑ, ㅒ”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ㄷ, ㄸ, ㅌ” and the Hangul vowels “ㅓ, ㅔ”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ㄹ” and Hangul vowels “ㅕ, ㅖ”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ㅁ” and the Hangul vowels “ㅗ, ㅘ, ㅙ, ㅚ”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ㅂ, ㅃ, ㅍ” and the Hangul vowel “ㅛ”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ㅅ, ㅆ” and the Hangul vowels “TT, ㅝ, ㅞ, ㅟ”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ㅇ"과, 한글 모음 "ㅠ"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al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 "ㅇ" and the Hangul vowel "ㅠ" and inputting it; 한글 자음 "ㅈ, ㅉ, ㅊ"과, 한글 모음 "ㅡ, ㅢ"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al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s “ㅈ, ㅉ, ㅊ” and the Hangul vowel “ㅡ, ㅢ” to input them;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Hangul consonant "ㅎ" and Hangul vowel "ㅣ" grouped to include a multi-key to enter it, 상기 각각의 다기능키를 누를때마다 해당 다기능키에 할당된 한글자음과 한글모음 중 어느 하나를, 한글 구성 원리("자음과 모음"의 순서,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의 순서,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과, 자음"의 순서)와 키조작시간 및 배열 순서에 따라 선택하여 입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장치.Each time the multi-function key is pressed, one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the Hangul vowels assigned to the multi-function key is composed of the Hangul composition principles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consonants"), key operation time, and arrangement order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 outpu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다기능키에는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하나씩 추가 할당하여 상기 10개의 다기능키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장치.2. The multifunction keys of claim 1, wherein the multifunction keys constituting the key input unit are assigned with the numbers "1, 2, 3, 4, 5, 6, 7, 8, 9, 0" one by one.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put a number by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을 입력하는 10개의 다기능키 이외에 한글의 한글자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키를 추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장치 및 방법.The Korean input / out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unit is configured to add a key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Hangul alphabet in addition to the ten multi-function keys for inputting the Hangul consonant and the Hangul vowel. 한글 자음 "ㄱ, ㄲ, ㅋ"과, 한글 모음 "ㅏ, ㅐ"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Multi-function keys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ㄱ, ㄲ, ㅋ" and Hangul vowels "ㅏ, ㅐ" 한글 자음 "ㄴ"과, 한글 모음 "ㅑ, ㅒ"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Multi-function keys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ㄴ" and Hangul vowels "ㅑ, ㅒ" 한글 자음 "ㄷ, ㄸ, ㅌ"과, 한글 모음 "ㅓ, ㅔ"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ㄷ, ㄸ, ㅌ" and Hangul vowels "ㅓ, ㅔ" and inputting them, 한글 자음 "ㄹ"과, 한글 모음 "ㅕ, ㅖ"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Multi-function keys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ㄹ" and Hangul vowels "ㅕ, ㅖ" 한글 자음 "ㅁ"과, 한글 모음 "ㅗ, ㅘ, ㅙ, ㅚ"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Multi-function keys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ㅁ" and Hangul vowels "ㅗ, ㅘ, ㅙ, ㅚ" 한글 자음 "ㅂ, ㅃ, ㅍ"과, 한글 모음 "ㅛ"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Multi-function keys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ㅂ, ㅃ,” and Hangul vowels “ㅛ” and entering them; 한글 자음 "ㅅ, ㅆ"과, 한글 모음 "ㅜ, ㅝ, ㅞ, ㅟ"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 key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ㅅ, ㅆ" and Hangul vowels "TT, ㅝ, ㅞ, ㅟ" 한글 자음 "ㅇ"과, 한글 모음 "ㅠ"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A multifunctional key for grouping the Korean consonant "ㅇ" and the Hangul vowel "ㅠ" and inputting it; 한글 자음 "ㅈ, ㅉ, ㅊ"과, 한글 모음 "ㅡ, ㅢ"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와,Multifunctional keys for grouping Korean consonants "ㅈ, ㅉ, ㅊ" and Hangul vowels "ㅡ, ㅢ" and grouping them, 한글 자음 "ㅎ"과, 한글 모음 "ㅣ"를 그룹화하여 이를 입력하는 다기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다기능키를 누를때마다 해당 다기능키에 할당된 한글자음과 한글모음 중 어느 하나를, 한글 구성 원리("자음과 모음"의 순서, 또는"자음과, 모음과, 자음"의 순서, 또는 "자음과, 모음과, 자음과, 자음"의 순서)와 키조작시간에 따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키입력부와; 소정의 연산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고, 한글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관리, 제어하는 마이컴과; 표시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필수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져 한글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Hangul consonant "ㅎ" and the Hangul vowel "ㅣ" grouped to include a multi-function key to input it, each time you press each of the multi-function key, any one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ssigned to the multi-function key, Select and input according to the Hangul construction principles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or "consonants, vowels, consonants, consonants") and key operation time A key input unit to make it; A microcomputer that executes a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process and manages and controls the storage and output of the Hangul data;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that consist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atabase unit as an essential component to input Hangul or output the stored data, 상기 한글을 입력시키는 제어방법은,The control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첫째, 한글 입력 개시후 임의의 키가 처음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되 한글의 자음과 모음 중에서, 첫 번째로 배열된 자음이 선택되도록 하고,First, when an arbitrary key is first selected after the start of Hangul input, the first consonant arranged among th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the key is selected. 둘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반복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키의 선택 횟수(키의 눌림횟수)에 따라 상기 키에 할당된 자음 중 그 다음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Second,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Hangul consonants are selected, the consonants assigned to the key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key selection (number of key presses) Next, Hangul consonants arranged next are selected sequentially, 셋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동일한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다른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된 한글 모음 중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되도록 하고,Third, the same key is selected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or when another key is selected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the key Make sure that the first Hangul vowel assigned to is selected. 넷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동일한 키가 반복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키의 선택 횟수(키의 눌림 횟수)에 따라 상기 키에 할당된 그 다음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Fourth,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the key is assigned to the ke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key selection (number of key presses). The next arranged Hangul vowels are selected sequentially, 다섯째,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자음이 선택된 후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동일한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첫 번째로 배열된 한글 모음이 선택된 후 다른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키에 할당된어 배열된 한글 자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Fifth, when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consonant is selected, the same key is selected, or when another key is selected after the first arranged Hangul vowel is selected, the key. A Hangul input /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ul consonants arranged in the language assigned to are selected sequential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의 임의의 한 그룹이 할당된 각 키의 입력기능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할 경우에는, 어느 임의의 키를 선택하여 자음(또는 모음)을 선택한 후 제2의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동일 키가 반복 선택되거나, 또는 다른 키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한 글자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by controlling an input function of each key to which one group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s assigned, the user selects any arbitrary key and selects a consonant (or vowel). 2.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selected or a different key is not selected so that a certain time elapses from 2, input for one character is comple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한 글자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할 경우에는, 그때까지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검출하여, "자음 + 모음"의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오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whe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input for one letter is completed,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nput by that time are detected, and the combination of "consonant + vowel" is not made. Hangul input and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n error.
KR1019980039334A 1998-09-23 1998-09-23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KR100320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334A KR100320092B1 (en) 1998-09-23 1998-09-23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334A KR100320092B1 (en) 1998-09-23 1998-09-23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651A KR20000020651A (en) 2000-04-15
KR100320092B1 true KR100320092B1 (en) 2002-04-22

Family

ID=1955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334A KR100320092B1 (en) 1998-09-23 1998-09-23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0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3A (en) * 2000-06-16 2001-12-28 박만규 The Keyboard combin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of the mobile phon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651A (en)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100320092B1 (en) Hangul I / O Device and Method
KR100731617B1 (en) Text input method for terminal unit
EP031320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63009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Hangul (Korean) characters
KR100641448B1 (en)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20000020929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of telephone and keypad the same
KR20000024794A (en) Method for searching korean language data
KR0154150B1 (en) Inputing method of korean alphabet array i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6215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s by means of a keypad
KR100434668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KR101063601B1 (en) Mobile terminal and his phone number search method
KR100631666B1 (en) Data retrieva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100669227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for a Product containing 3×4 Keypad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434669B1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he electronic apparatuses
KR10055683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8276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typing
WO2002031636A1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he electronic apparatuses
JPH0459656B2 (en)
KR200289449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