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007B1 -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007B1
KR0145007B1 KR1019920013756A KR920013756A KR0145007B1 KR 0145007 B1 KR0145007 B1 KR 0145007B1 KR 1019920013756 A KR1019920013756 A KR 1019920013756A KR 920013756 A KR920013756 A KR 920013756A KR 0145007 B1 KR0145007 B1 KR 014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key
library
tap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830A (ko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1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007B1/ko
Priority to JP05190404A priority patent/JP3113458B2/ja
Priority to DE69321309T priority patent/DE69321309T2/de
Priority to US08/099,547 priority patent/US5450210A/en
Priority to EP93306027A priority patent/EP0581601B1/en
Priority to CN93117642A priority patent/CN1046073C/zh
Publication of KR94000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30A/ko
Priority to US08/289,556 priority patent/US5497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11B27/3054Vertical Interval Time code [VIT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programme or channel identifying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Abstract

이 발명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캠코더등과 같이 비데오 테이프가 사용되는 모든 제품에 있어서 테이프에 관한 인덱싱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생시는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실린 ID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메모리로부터 마이콤이 인출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도록하여 재생하고, 녹화시는 메모리로부터 마이콤에 입력되는 ID코드를 1증가시켜 가산기에서 외부영상신호와 합성하여 녹화되게 하므로 수직귀선기간 동안에 테이프 ID코드와 인덱스 코드로 된 ID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필요로 되던 바 코더용 딱지나 VISS, VASS 기능없이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케 된다.

Description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3도 (a)∼(e)는 제2도의 서브루틴 및 보조 플로우 챠트,
제4도는 라이브러리 온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태도,
제5도 (a), (b)는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 매트릭스 20:동기분리기
30:데이타 슬라이서 40:디코더
50:메모리 60: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70:믹서 80:가산기
MICOM:마이콤 MO:모터
이 발명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VCR이라 함) 또는 캠코더등과 같이 비데오 테이프가 사용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오 테이프의 표면에 바 코더(Bar Coder)용 딱지를 부착하지 않으며 비데오 인덱스 서치 시스템(Video Index Search System : 이하, VISS라 함)이나 비데오 어드레스 서치 시스템(Video Addres Search System : 이하, VASS라 함) 수단없이 구현가능한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Video Library System : 이하, VLS라 함)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VLS란 어떤 임의의 비데오 테이프(이하, 테이프라 함)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테이프가 여러개 있을 경우 각 테이프를 셋트(예 : VCR)에 삽입할 경우 삽입된 테이프가 여러개의 테이프 중 몇 번째 테이프인가에 대한 정보, 즉 사용자가 테이프에 녹화시 등록해 둔 번호와 각 테이프에 어떤 정보들이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셋트내부의 임의의 메모리에 상기와 같은 테이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여 테이프 삽입시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며, 테이프에 관한 정보는 리모콘이나 셋트에 장치되어 있는 키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기록하며, 이때 상기와 같은 테이프에 관한 정보는 테이프상에도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테이프에 관한 정보를 테이프상에 기록하기 위해서 종래는 바 코더용 딱지를 테이프 표면에 부착하거나 VISS 또는 VASS를 이용하였다.
VISS는 녹화를 시작할 때 마다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인덱스용의 특정의 신호를 실음으로써 재생시에 테이프 서치를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특정의 신호는 동일한 테이프상에서는 변동이 없다. 또한, VASS는 녹화를 시작할 때 마다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인덱스용의 특정의 어드레스를 실음으로써 재생시에 테이프 서치를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특정의 어드레스는 녹화시점마다 상이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VISS 나 VASS를 이용하려면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상에 인덱스용의 특정의 신호나 어드레스를 기록하기 위한 인덱스 헤드가 있어야 하며 VISS에서는 녹화개시점 마다 기록되는 인덱스용의 특정의 신호가 하나의 테이프에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테이프의 중간지점이나 끝지점에서 서치를 하고자 할 경우는 테이프를 리와인드(Rewind)한 후 서치를 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프에 바코더용 딱지를 부착하여 테이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경우는 사용자가 일일이 바코더용 딱지를 부착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테이프에 관한 정보인 ID(Identification)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함으로써 바코더용 딱지를 부착하지 않으며 또한 VISS나 VASS 수단없이 구현가능한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셋트에 테이프 삽입시 키 매트릭스의 키놀림에 의해 테이프 인덱싱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기와, 상기 동기분리기에 연결되어 상기 동기분리기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테이프 인덱싱 정보인 ID 코드가 기록된 수직귀선기간을 판단하여 ID 코드의 기록 및 재생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마이콤에서 테이프 인덱싱 정보가 실린 수직귀선신호 출력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녹화시 실어놓았던 ID 코드를 분리하는 데이타 슬라이서와, 상기 데이타 슬라이서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타 슬라이서로부터의 ID 코드를 상기 마이콤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ID 코드 및 이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며 키 매트릭스의 키 놀림에 따라 마이콤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며 키 매트릭스의 키 놀림에 따라 마이콤으로부터의 ID 코드 및 이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부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신호와 복합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믹서와, 마이콤의 ID 코드 출력단에 연결되어 ID 코드와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녹화하는 가산기로 구비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수직귀선기간에 테이프 인덱싱 정보인 ID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에 있어서, 셋트에 새로운 테이프가 삽입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새로운 테이프라면 영상출력을 뮤트시키고 가상플레이하여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신호가 존재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직귀선기간이 검출되면 디코더로부터 ID 코드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ID 코드가 검출되면 메모리로부터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내용을 마이콤으로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새로운 테이프의 삽입이 아니라 판단되면 녹화시작인가를 판단하여 녹화시작이면 인덱스 코드를 1증가시키고 녹화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녹화모드라 판단되면 테이프 ID 코드를 1증가시킨 후 ID 코드를 마이콤으로부터 가산기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수행 후 라이브러리 키 입력에 따라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온 스크린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을 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수행후 서치 키 입력에 따라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인덱스 코드를 비교하여 모터를 제어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서치 1 서브루틴을 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분리하는 동기분리기(20)에 마이콤(MICOM)을 연결시켜 상기 동기분리기(20)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테이프 번호인 테이프 ID 코드와 녹화 스타트지점을 나타내주는 인덱스 코드로 된 ID 코드가 기록된 수직귀선기간 즉, 수직귀선소거기간을 판단하여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기간의 수직귀선신호(V-BLK)를 출력하여 ID 코드의 기록 및 재생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MICOM)에는 마이콤(MICOM)에서 테이프 인덱싱 정보가 실린 수직귀선신호 출력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녹화시 실어놓았던 ID 코드를 분리하는 데이타 슬라이서(30)를 연결시키며, 상기 데이타 슬라이서(30)에는 디코더(40)를 접속시켜 데이타 슬라이서(30)로부터의 ID 코드를 상기 마이콤(MICOM)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디코딩한다.
한편, 상기 마이콤(MICOM)에는 녹화시마다 하나씩 증가하는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메모리(50)와 마이콤(MICOM)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신호(F/R)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MO)가 연결되며, 서치키, 클리어키, 라이브러리 온/오프키, 문자키 등이 구비된 키 매트릭스(10)도 접속된다.
또한, 상기 마이콤(MICOM)에는 키 매트릭스(10)의 키 놀림에 따라 마이콤(MICOM)으로부터의 ID 코드 및 상기 메모리(50)로부터 인출된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가 디스플레이 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가 접속되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에는 믹서(70)를 연결시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로부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신호와 복합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마이콤(MICOM)의 ID 코드 출력단(IDo)에는 가산기(80)를 연결시켜 ID 코드 출력단(IDo)으로 출력되는 ID 코드와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기록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셋트에 새로운 테이프가 삽입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100)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100)의 판단결과 새로운 테이프라면 영상출력을 뮤트시키고 가상플레이하여 수직귀선기간을 검출하는 단계(20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200)에서 수직귀선기간이 검출되면 디코더(40)로부터 ID 코드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ID 코드가 검출되면 뉴 플래그(NEW)를 제로로 셋팅한 후 메모리(50)로부터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내용을 마이콤(MICOM)으로 인출하는 단계(30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100)에서 새로운 테이프의 삽입이 아니라 판단되면 녹화시작인가를 판단하여 녹화시작이면 인덱스 코드를 1증가시키고 녹화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400)를 수행하며, 상기 단계(400)에서 녹화모드라 판단되면 뉴 플래그가 1로 셋팅되었나를 판단하여 뉴 플래그가 1로 셋팅되어 있으면 테이프 ID 코드를 1증가시킨 후 ID 코드를 마이콤(MICOM)으로부터 가산기(70)로 출력하는 단계(50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00),(400) 수행 후 라이브러리 키 입력에 따라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온 스크린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을 콜하는 단계(600)와 상기 단계(500) 수행 후 서치키 입력에 따라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를 비교하여 모터(MO)를 제어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서치 1 서브루틴(SUB2)을 콜하는 단계(700)를 수행한다.
제3도 (a)∼(e)는 제2도의 보조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의 플로우 챠트로, 입력되는 키가 라이브러리 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10)를 수행하여 라이브러리 키라 판단되면 현재 라이브러리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라이브러리 온 상태이면 라이브러리 디스플레이를 클리어한 후 라이브러리 디스플레이 오프하고 라이브러리 온상태가 아니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로 하는 단계(62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610)에서 라이브러리 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인가를 판단한 후 방향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30)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630)에서 방향키라 판단되면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상에서 방향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64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630)에서 방향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문자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50)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650)에서 문자키라 판단되면 현재의 커서상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며(660), 상기 단계(650)에서 문자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클리어키인가를 판단하여 클리어키이면 해당 라인의 커서위치 부분을 클리어하는 단계(670)를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도(b)는 상기 서치 1서브루틴(SUB2)에 대한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것으로, 라이브러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 서치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10)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710)에서 서치키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라이브러리 온상태일 경우는 현재의 ID 코드의 인덱스코드와 유저에 의해 서치키로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는 테이프를 재생하는 단계(72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720)에서 현재의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다를 경우 현재의 인덱스 코드의 위치로부터 서치하고자 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730)와 상기 단계(730)에서 계산된 거리가 소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소정치 이하일 경우는 테이프를 풀 로딩(Full Loading)시키고 소정치 이상일 경우는 언 로딩(Unloading)시키는 단계(74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740) 수행 후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작을 경우는 모터(MO)를 정회전시키고 반대의 경우는 모터(MO)를 역회전시키는 단계(750)를 수행하며, 상기 단계(710)에서 서치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동기신호 유무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서치 2 서브루틴(SUB3)을 콜하는 단계(760)를 수행한다.
또한, 제3도(c)는 상기 서치2 서브루틴(SUB3)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 챠트로서, 동기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761) 수행 후 상기 단계(761)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의 인덱스 코드가 마지막 인덱스 코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62)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762) 수행결과 마지막 인덱스 코드이면 리와인드를 수행하고(763), 상기 단계(763) 수행결과 마지막 인덱스 코드가 아니면 고속서치하는 단계(764)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761)에서 동기신호가 있다고 판단되면 서치를 수행하여 테이프의 현재 위치의 뒤부분에 인덱스 코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765) 인덱스 코드 존재시 녹화내용을 재생하고 서치를 종료하는 단계(766)를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3도(d) 및 (e)는 메인 플로우 챠트 수행중 발생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의 인터럽트에 대한 플로우 챠트로서, 먼저 상기 수직동기신호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시는 수직동기신호가 시작되는 시점인가를 판단하여(801) 수직동기신호 스타트 지점일 경우는 수평동기신호를 제로로 셋팅하여 더이상 카운팅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며(802), 상기 단계(801)에서 수직동기신호 스타트지점이 아니라 판단되면 수직동기신호의 끝부분인가를 판단한 후(803) 상기 단계(802)로 진행하여 단계(802) 수행 후 메인 플로우 챠트로 리턴한다.
그리고 (e)는 수평동기신호의 인터럽트에 대한 플로우 챠트로, 수평동기신호 스타트 지점인가를 판단하여(811) 수평동기신호 스타트지점이면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팅을 1증가시켜(812) 수직동기신호 기간중인가를 판단한다(813).
상기 단계(813)에서 수직동기신호 기간중이라 판단되면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팅값이 ID 코드가 있는 기간중의 카운팅값인가를 판단하여(814) 그 수직귀선신호를 데이타 슬라이서(30)로 출력하고(815) 그렇지 않으면 수직귀선신호를 데이타 슬라이서(30)로 출력하지 아니하고(816) 메인 플로우 챠트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 발명은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 즉 수직귀선소거기간 동안에 테이프 인덱싱 정보인 ID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함으로써 VISS 나 VASS 기능없이 테이프의 라이브러리화 및 라이브러리 서치가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동기분리기(20)에서 도시하지 않은 튜너나 영상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중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마이콤(MICOM)에 입력한다.
상기 마이콤(MICOM)은 동기분리기(20)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수직귀선신호중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기간을 검출하여 데이타 슬라이서(30)로 상기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데이타 슬라이서(30)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녹화시 실어 놓은 ID 코드를 분리하여 디코더(40)로 출력하며, 디코더(40)는 이 신호를 마이콤(MICOM)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디코딩하여 마이콤(MICOM)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MICOM)은 메모리(50)로부터 상기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인출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로 출력하며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로부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신호가 믹서(70)에 인가되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와 합성되어 화면상에 테이프 인덱싱 정보를 온 스크린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믹서(70)에 입력되는 화이트 신호나 컬러신호는 화면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의 색상을 제어하는 것으로, 화이트 신호 및 컬러신호를 구현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게 되는 테이프 인덱싱 정보는 제4도와 같이 디스플레이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유저는 키 매트릭스(10)의 서치키, 클리어키, 문자키, 라이브러리 온/오프키 등의 각종 기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선택하여 재생하거나 클리어시키거나 ID 코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테이프상에 ID 코드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는, 우선 테이프가 새 테이프 즉,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메모리(50)에 상기 새테이프에 대한 ID 코드가 하나도 메모리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메모리(50)로부터 ID 코드가 인출되어 출력되는 것이 아니고 마이콤(MICOM)이 자동적으로 ID 코드 출력단(IDo)으로 ID 코드를 출력하여 가산기(80)에서 외부 영상신호(예를들면 테레비젼 방송신호)와 합성되어 기록되게 되며, 이 ID 코드는 상기 메모리(50)에도 메모리되며 이때는 테이프 ID 코드 및 인덱스 코드가 0001과 같은 형태로 기록된다.
반면에 새테이프가 아닐 경우는 메모리(50)에 ID 코드가 메모리되어 있으므로 이 ID 코드를 마이콤(MICOM)이 인출하여 이 인출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를 1만큼 증가시키고 테이프 ID 코드는 그대로 하여 이 ID 코드와 외부영상신호를 합성하여 기록하게 되며, 이 ID 코드도 자동적으로 메모리(50)에 기록된다. 상기에서 메모리(50)로부터 인출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를 1증가시키는 것은 테이프 ID 코드는 새테이프일 경우에 증가하지만 인덱스 코드는 녹화시마다 증가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과정을 플로우 챠트를 참조로 이하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 발명에 따른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플로우 챠트인 제3도에서는 새로운 테이프의 입력유무에 따라 ID 코드 및 이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온 스크린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ID 코드를 외부영상신호와 합성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되는 것이다. 즉, 마이콤(MICOM)은 테이프가 새롭게 삽입되었나를 판단하여(100) 테이프가 새롭게 삽입된 것이면 영상출력을 뮤트시키고 자동적으로 가상플레이(Short Play)를 수행하여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기간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200).
상기 단계(200)에서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신호가 검출되면 마이콤(MICOM)으로부터 수직귀선신호 입력시 복합영상신호에서 분리한 ID 코드를 디코더(40)에서 디코딩하여 마이콤(MICOM)으로 입력한다. 마이콤(MICOM)은 상기 디코더(4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ID 코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ID 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뉴 플래그를 1로 셋팅하고, ID 코드가 존재할 경우는 뉴 플래그를 제로로 셋팅한 후 디코더(40)로부터 마이콤(MICOM)에 입력된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내용을 메모리(50)로부터 읽어들이는 단계(30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100)에서 새로운 테이프의 삽입이 아니라 판단되면 녹화 스타트인가를 판단하여 녹화 스타트이면 인덱스 코드를 하나 증가시킨 후 녹화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400)를 수행한다.
그리고 녹화모드이면 뉴 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나를 조사하여 1로 셋팅되어 있을 경우 테이프 ID 코드를 1증가시킨 후 ID 코드를 마이콤(MICOM)으로부터 가산기(80)로 출력하여 외부 영상신호와 합성되어 기록되게 한다(500).
또한, 상기 단계(300),(400) 수행 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을 콜하여 라이브러리 키 입력에 따라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온 스크린 상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은 입력되는 키가 테이프 인덱싱 정보를 나타내주는 라이브러리 키인가를 판단하여(610), 입력된 키가 라이브러리 카라 판단되면 현재 라이브러리 온상태인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라이브러리 온상태이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클리어한 후 라이브러리 오프한다. 그러나 라이브러리 온상태가 아니면 현재 로딩된 테이프의 라이브러리 내용을 온 스크린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620).
반면에, 상기 단계(610)에서 라이브러리 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 즉 라이브러리가 온 스크린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가를 판단한 후 라이브러리 온 상태이면 방향키인가를 판단한다(630).
그리고 상기 단계(630)에서 방향키라 판단되면 제4도에서 인덱스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상에서 방향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며(640), 방향키가 아닐 경우는 문자키인가를 판단한다(650).
상기 단계(650)에서 문자키라 판단되면 현재의 커서상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며(660), 문자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클리어키인가를 판단하여 클리어키일 경우 해당 라인의 커서위치 부분을 클리어하는 단계(670)를 수행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 실행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 수행 후는 서치1 서브루틴(SUB2)을 콜하여(700) 서치키 입력에 따라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를 비교하여 모터(MO)구동을 제어하여 재생동작을 수행한다.
즉,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 서치키인가를 판단하여(710), 서치키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 즉 라이브러리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라이브러리 온상태일 경우는 현재의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서치키로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는 테이프를 재생한다(720).
한편, 상기 단계(720)에서 현재의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다를경우는 현재의 인덱스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기록시간으로부터 서치하고자 하는 인덱스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기록시간 까지의 거리 즉, 시간차를 계산한 후(730), 계산된 거리가 소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계산된 거리가 소정치 이하이면 테이프를 풀 로딩시키고 소정치 이상이면 언로딩시킨다(740).
예를 들어 제4도에서 현재 인덱스 코드는 0001이며 여기에는 연속극인 금잔화가 기록되어 있고, 서치키에 의해 서치하고자 하는 인덱스 코드는 0003이며 여기에는 맥가이버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 금잔화가 10:00∼11:00까지 1시간 길이이며 인덱스 코드가 0002인 만화프로는 8:00∼9:00까지 1시간 길이이므로 현재 인덱스 코드로부터 서치하고자 하는 인덱스 코드까지의 거리는 2시간 만큼의 분량이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예로 든 금잔화가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코드 0001로부터 맥가이버가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코드 0003까지의 시간차가 2시간이므로 1시간 50분가량은 인덱스를 안읽어봐도 되므로 약 1시간 50분 정도는 언 로딩상태에서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이는 긴 시간동안 풀로딩상태에서 테이프를 진행시키면 테이프 및 테이프 헤드가 손상되고 또한 시간적인 로스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에서 소정치란 현재 인덱스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에서 서치하고자 하는 인덱스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까지의 시간차가 적으면 풀 로딩상태에서 테이프를 주행시켜 서치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서치하고, 그 시간차가 크면 언 로딩상태에서 테이프를 주행시키다가 풀로딩상태로 주행시켜 서치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서치하게 되므로 테이프를 언 로딩상태와 풀로딩 상태중 어떤 상태로 진행시키는 것이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을 서치할 수 있는가 하는 기점이 되는 값이 바로 상기 소정치에 해당된다.
한편, 상기 단계(740) 수행 후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작을 경우는 선택된 즉 서치하고자 하는 인덱스 코드가 현재 인덱스 코드보다 앞부분에 존재하므로 모터(MO)를 정회전시켜 서치하고자 하는 곳까지 테이프를 감으며 현재의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가 선택된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보다 클 경우는 선택된 인덱스 코드가 현재의 인덱스 코드보다 테이프의 뒤부분에 존재하므로 모터(MO)를 역회전시켜 서치하고자 하는 곳까지 테이프를 감는다.
그리고 만일 상기 단계(710)에서 서치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동기신호 유무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서치2 서브루틴(SUB3)을 콜한다(760).
상기 서치2 서브루틴(SUB3)은 동기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761)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의 인덱스 코드가 마지막 인덱스 코드인가를 판단한다(762). 여기서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화면이 아무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상태, 즉 예를들면 테레비젼에서 방송이 모두 끝나면 화면이 지지직거리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762) 수행결과 마지막 인덱스 코드라 판단되면 리와인드를 수행하여 테이프를 되감으며, 현재 인덱스 코드가 마지막 인덱스 코드가 아니라 판단되면 고속서치한다(764).
또한, 상기 단계(761)에서 동기신호가 있다고 판단되면 서치를 수행하여 테이프의 현재 위치의 뒤부분에 인덱스 코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765) 인덱스 코드가 검출되면 녹화내용을 재생하고 서치를 종료한다(766).
한편, 상기와 같은 순차적인 수행외에 갑자기 발생되는 수평 및 수직 인터럽트에 대한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수직동기신호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시는 제3도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직동기신호 스타트 지점인가를 조사하여 (801) 제5도 (b)의 VPI 포인트 지점인 수직동기신호 스타트 지점이라 판단되면 ID 코드가 존재할 수 있는 구간이므로 수평동기신호를 제로로 셋팅하여 더이상 카운팅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며(802), 상기 단계(801)에서 수직동기신호 스타트지점이 아니라 판단되면 수직동기신호의 끝부분, 제5도 (b)에서 VPO 포인트인가를 판단한다(803).
그리고 상기 단계(803)에서 수직동기신호의 끝부분이라 판단되면 수직동기신호의 끝부분 다음에는 영상신호가 나오므로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팅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평동기신호를 제로로 셋팅하여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팅이 수행되지 않도록 한 후 메인 플로우 챠트로 복귀한다.
상기와는 달리 수평동기신호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시는 제5도 (a)에서 HPI 포인트인 수평동기신호 스타트 지점인가를 판단하여(811) 수평동기신호 스타트 지점이라 판단되면 ID 코드가 존재하는 곳을 찾아가기 위해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팅을 1증가시켜(812) 제5도에서 A구간에 해당하는 수직동기신호 기간중인가를 판단한다(813).
상기 단계(813)에서 수직동기신호 기간중이라 판단되면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팅값이 ID 코드가 있는 기간중의 카운팅값인가를 판단하여(814) 그부분의 수직귀선소거신호를 데이타 슬라이서(30)로 출력하고(815) 그렇지 않으면 수직귀선소거신호를 데이타 슬라이서(30)로 출력하지 아니하고(816) 메인 플로우 챠트로 복귀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 발명은 복합영상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마이콤(MICOM)이 이를 카운팅하여 녹화시 기록한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신호를 데이타 슬라이서(30)로 출력하여 상기 데이타 슬라이서(30)가 복합영상신호중에서 ID 코드를 분리하여 디코더(4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디코더(40)는 ID 코드를 마이콤(MICOM)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디코딩하여 마이콤(MICOM)에 출력하면 상기 마이콤(MICOM)은 메모리(50)로부터 녹화시에 기록된 ID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인출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로 출력한다.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로부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신호는 믹서(70)에서 복합영상신호와 합성되어 화면으로 출력되어 재생된다. 그리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신호에 의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테이프 ID 코드 및 인덱스 코드는 키 매트릭스(10)의 각종 기능키에 의해 선택되거나 클리어되거나 재지정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녹화시에는 상기 마이콤(MICOM)이 메모리(50)에 메모리되어 있는 ID 코드를 인출하여 이 ID 코드를 1증가시켜 가산기(80)로 출력하여 입력되는 외부영상신호가 합성되어 녹화되게 된다.
따라서 수직귀선기간 동안에 테이프 ID 코드와 인덱스 코드로 된 ID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수직귀선기간에 테이프 인덱싱 정보인 테이프 ID 코드와 인덱스 코드로 되는 ID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필요로 되던 바 코더용 딱지나 VISS, VASS 기능없이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셋트에 테이프 삽입시 키 매트릭스(10)의 키놀림에 의해 테이프 인덱싱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기(20)와, 상기 동기분리기(20)에 연결되어 상기 동기분리기(20)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테이프 인덱싱 정보인 ID 코드가 기록된 수직귀선기간을 판단하여 ID 코드의 기록 및 재생을 제어하는 마이콤(MICOM)과, 상기 마이콤(MICOM)에 연결되어 마이콤(MICOM)에서 테이프 인덱싱 정보가 실린 수직귀선신호 출력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녹화시 실어놓았던 ID 코드를 분리하는 데이타 슬라이서(30)와, 상기 데이타 슬라이서(30)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타 슬라이서(30)로부터의 ID 코드를 상기 마이콤(MICOM)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디코딩하는 디코더(40)와, 상기 마이콤(MICOM)에 연결되어 ID 코드 및 이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메모리(50)와, 상기 마이콤(MICOM)에 연결되며 키 매트릭스(10)의 키 놀림에 따라 마이콤(MICOM)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신호(F/R)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MO)와, 상기 마이콤(MICOM)에 연결되며 키 매트릭스(10)의 키 놀림에 따라 마이콤(MICOM)으로부터의 ID 코드 및 이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에 연결되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60)로부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신호와 복합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믹서(70)와, 상기 마이콤(MICOM)의 ID 코드 출력단(IDo)에 연결되어 ID 코드와 외부영상신호를 합성하여 녹화하는 가산기(80)로 구비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D 코드는 테이프 ID 코드와 인덱스 코드로 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3. 수직귀선기간에 테이프 인덱싱 정보인 ID 코드를 기록 및 재생하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에 있어서, 셋트에 새로운 테이프가 삽입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100)와, 상기 단계(100)의 판단결과 새로운 테이프라면 영상출력을 뮤트시키고 가상플레이하여 ID 코드가 실린 수직귀선신호가 존재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200)와, 상기 단계(200)에서 수직귀선기간이 검출되면 디코더(40)로부터 ID 코드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ID 코드가 검출되면 메모리(50)로부터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내용을 마이콤(MICOM)으로 인출하는 단계(300)와, 상기 단계(100)에서 새로운 테이프의 삽입이 아니라 판단되면 녹화시작인가를 판단하여 녹화시작이면 인덱스 코드를 1증가시키고 녹화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400)와, 상기 단계(400)에서 녹화모드라 판단되면 테이프 ID 코드를 1증가시킨 후 ID 코드를 마이콤(MICOM)으로부터 가산기(70)로 출력하는 단계(500)와, 상기 단계(300),(400) 수행 후 하이브러리 키 입력에 따라 ID 코드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온 스크린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을 콜하는 단계(600)와, 상기 단계(600) 수행 후 서치 키 입력에 따라 현재 ID 코드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인덱스 코드를 비교하여 모터(MO)를 제어하며 재생을 수행하는 서치1 서브루틴(SUB2)을 콜하는 단계(700)로 이루어지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서브루틴(SUB1)은, 입력되는 키가 라이브러리 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10)와, 상기 단계(610)에서 입력된 카가 라이브러리 키이면 현재 라이브러리 온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라이브러리 온상태이면 라이브러리 디스플레이를 클리어한 후 라이브러리 디스플레이를 오프하고 라이브러리 온상태가 아니면 라이브러리 온상태로 하는 단계(620)와, 상기 단계(610)에서 라이브러리 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인가를 판단한 후 방향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30)와, 상기 단계(630)에서 방향키라 판단되면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상에서 방향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640)와, 상기 단계(630)에서 방향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문자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50)와, 상기 단계(650)에서 문자키라 판단되면 현재의 커서상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660)와, 상기 단계(650)에서 문자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클리어키인가를 판단하여 클리어키이면 해당라인의 커서가 위치하는 부분을 클리어하는 단계(670)로 이루어지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1 서브루틴(SUB2)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 서치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10)와, 상기 단계(710)에서 서치키라 판단되면 라이브러리 온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라이브러리 온상태일 경우는 현재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서치키로 선택된 인덱스 코드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는 테이프를 재생하는 단계(720)와, 상기 단계(720)에서 현재의 인덱스 코드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인덱스 코드가 다를 경우 현재의 인덱스 코드의 위치로부터 서치하고자 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730)와, 상기 단계(730)에서 계산된 거리가 소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소정치 이하일 경우는 테이프를 풀 로딩시키고 소정치 이상일 경우는 언로딩시키는 단계(740)와, 상기 단계(740) 수행 후 현재 인덱스 코드와 선택된 인덱스 코드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인덱스 코드가 작을 경우는 모터(MO)를 정회전시키고 반대의 경우는 모터(MO)를 역회전시키는 단계(750)와, 상기 단계(710)에서 서치키가 아니라 판단되면 동기신호 유무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서치2 서브루틴(SUB3)을 콜하는 단계(760)로 이루어지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서치2 서브루틴(SUB3)은, 동기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761)와, 상기 단계(761)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의 인덱스 코드가 마지막 인덱스 코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62)와, 상기 단계(762) 수행 결과 마지막 인덱스 코드이면 리와인드하는 단계(763)와, 상기 단계(762) 수행 결과 마지막 인덱스 코드가 아니면 고속서치하는 단계(764)와, 상기 단계(761)에서 동기신호가 있다고 판단되면 서치를 수행하여 테이프의 현재 위치의 뒤부분에 인덱스 코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65)와, 상기 단계(765)에서 인덱스 코드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녹화내용을 재생하고 서치를 종료하는 단계(766)로 이루어지는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구현방법.
KR1019920013756A 1992-07-31 1992-07-31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014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756A KR0145007B1 (ko) 1992-07-31 1992-07-31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05190404A JP3113458B2 (ja) 1992-07-31 1993-07-30 ビデオライブラリシステムおよびその具現方法
DE69321309T DE69321309T2 (de) 1992-07-31 1993-07-30 Videoaufzeichnungs- und Wiedergabesystem
US08/099,547 US5450210A (en) 1992-07-31 1993-07-30 Video library system using recorded index information and stored library data
EP93306027A EP0581601B1 (en) 1992-07-31 1993-07-30 Video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CN93117642A CN1046073C (zh) 1992-07-31 1993-07-31 视频程序库及其方法
US08/289,556 US5497240A (en) 1992-07-31 1994-08-12 Video library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756A KR0145007B1 (ko) 1992-07-31 1992-07-31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830A KR940002830A (ko) 1994-02-19
KR0145007B1 true KR0145007B1 (ko) 1998-07-15

Family

ID=1933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756A KR0145007B1 (ko) 1992-07-31 1992-07-31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450210A (ko)
EP (1) EP0581601B1 (ko)
JP (1) JP3113458B2 (ko)
KR (1) KR0145007B1 (ko)
CN (1) CN1046073C (ko)
DE (1) DE693213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858B1 (ko) * 1993-11-30 1998-04-18 김광호 비디오 반복 재생 방법
JPH0832922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239620B2 (ja) * 1994-07-19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情報提供装置と情報受信装置
US6118923A (en) * 1994-11-10 2000-09-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rred selective viewing of televised programs
US5754172A (en) * 1995-01-09 1998-05-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3367268B2 (ja) * 1995-04-21 2003-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のダイジェスト作成装置及び方法
DE19626066B4 (de) * 1995-06-30 2004-09-23 Lg Electronics Inc. Schaltung und Verfahren zum Darstellen von Rundfunk- bzw. Fernsehprogramminformationen
KR0176563B1 (ko) * 1996-01-17 1999-04-15 김광호 스케쥴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녹화시스템에서의 녹화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WO1997029484A2 (en) * 1996-02-09 1997-08-14 Overland Data, Inc. Automated tape cartridge library
US5819309A (en) * 1996-02-09 1998-10-06 Overland Data, Inc. Automated tape cartridge library with accelerated calibration
AU720866B2 (en) 1996-03-15 2000-06-15 Rovi Guides, Inc. Combination of VCR index and EPG
US5630005A (en) * 1996-03-22 1997-05-13 Cirrus Logic, Inc Method for seeking to a requested location within variable data rate recorded information
JP3360548B2 (ja) * 1996-10-25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CN1110779C (zh) * 1996-10-31 2003-06-04 传感电子公司 视频信息智能管理系统
JP3557919B2 (ja) * 1998-10-16 2004-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US6625389B1 (en) 1999-09-30 2003-09-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tape hierarchical indexing system
EP1102271B8 (en) 1999-11-05 2016-12-07 Sony Europe Limited Method of generating audio and/or video signals and apparatus therefore
EP1102277A1 (en) * 1999-11-05 2001-05-23 Sony United Kingdom Limited Method of recording and accessing metadata
GB2356080A (en) * 1999-11-05 2001-05-09 Sony Uk Ltd Generation system for audio,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where metadata is generated and stored or recorded with the audio/video signal
GB2359918A (en) 2000-03-01 2001-09-05 Sony Uk Ltd Audio and/or video generation apparatus having a metadata generator
DE60115625T2 (de) 2000-04-10 2006-09-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Tulsa Interaktive medienführung mit medienführungsschnittstel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9210B (sv) * 1980-12-04 1985-06-03 Esselte Ab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lagring och utnyttjande av ett index for information pa en videoskiva
JPH0795390B2 (ja) * 1985-08-07 1995-10-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の制御信号記録装置
ES2055694T3 (es) * 1986-08-01 1994-09-01 Sanyo Electric Co Un aparato regulador de modo de grabacion.
DE3628743C2 (de) * 1986-08-23 1994-05-11 Grundig Emv Einrichtung zum Aufzeichnen und schnellen Wiederauffinden von Videosignalabschnitten auf einem Magnetband
ES2110944T3 (es) * 1987-07-20 1998-03-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istema de transmision de television.
JPH01221070A (ja) * 1988-02-29 1989-09-04 Casio Comput Co Ltd 画像情報処理装置
US5140435A (en) * 1988-10-24 1992-08-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 signal frame search apparatus for selection of a desired frame
JP2762545B2 (ja) * 1989-04-19 1998-06-04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式記録再生装置
DK160892C (da) * 1989-04-25 1991-10-21 Fabers Fab As C Apparat til fremstilling af faerdige lamelpakker til persienner
JP2785345B2 (ja) * 1989-06-30 1998-08-1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及び再生装置
US5012334B1 (en) * 1990-01-29 1997-05-13 Grass Valley Group Video image bank for storing and retrieving video image sequences
JP2630039B2 (ja) * 1990-08-23 1997-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
US5307172A (en) * 1991-06-24 1994-04-26 Gold Sta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itles for video programs on video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50210A (en) 1995-09-12
KR940002830A (ko) 1994-02-19
EP0581601A1 (en) 1994-02-02
CN1086652A (zh) 1994-05-11
EP0581601B1 (en) 1998-09-30
JPH06189244A (ja) 1994-07-08
JP3113458B2 (ja) 2000-11-27
US5497240A (en) 1996-03-05
CN1046073C (zh) 1999-10-27
DE69321309D1 (de) 1998-11-05
DE69321309T2 (de)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007B1 (ko) 비데오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US5543929A (en) Television for controlling a video cassette recorder to access programs on a video cassette tape
US7231130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arching programs recorded on magnetic tape
US4860122A (en) Device for reproduc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with an audio portion and without motion pictures between successive still pictures
US6636688B1 (en) Video recording device
JPH08329558A (ja) 記録条件判定機能付記録再生装置
KR0124605B1 (ko) 브이씨알의 녹화정보 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0782212B1 (ko)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KR0176454B1 (ko) 프로그램별로 패스워드가 부여된 테이프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JPH1139847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3389509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
JPH08124363A (ja) ビデオ機器
JP353685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KR970010139B1 (ko) 비스(viss)화면 처리방법과 그 장치
JPH1118038A (ja) 家庭情報端末
KR0132885B1 (ko) 녹화위치 기억 및 탐색방법과 그 장치
JPH06168545A (ja) 記録再生装置
JP2002158954A (ja) 記録再生装置
JP2004007725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KR980011381A (ko) 피시브이시알의 녹화 프로그램 관리운용 처리 시스템
JPH1153785A (ja) テレビジョン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006942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119764A (ja) 媒体記録再生装置
JP2004005996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KR19980073594A (ko) 브이시알 시스템의 녹화장면 선별제어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