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029B1 -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29B1
KR0127029B1 KR1019940027705A KR19940027705A KR0127029B1 KR 0127029 B1 KR0127029 B1 KR 0127029B1 KR 1019940027705 A KR1019940027705 A KR 1019940027705A KR 19940027705 A KR19940027705 A KR 19940027705A KR 0127029 B1 KR0127029 B1 KR 012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storage
block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528A (ko
Inventor
조찬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29B1/ko
Priority to JP6305212A priority patent/JPH08138019A/ja
Priority to GB9425760A priority patent/GB2294562B/en
Priority to CN94113501A priority patent/CN1045676C/zh
Priority to US08/366,915 priority patent/US5699549A/en
Publication of KR96001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6Multiple memory zones on card
    • G06Q20/35765Access rights to memory z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저장영역들로 분할된 데이타 영역 ; 데이타 영역에 1회의 연속적인 정보의 기록시에 소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영역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저장단위들의 각 속성 정보들로 작성된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1 인덱스 영역 ; 데이타 영역의 복수의 저장영역들의 순서에 대응하여 각 저장영역들의 사용정보로 작성된 저장영역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2 인덱스영역 ; 기록된 데이타와 이 데이타에 관련된 응용기기의 정보와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들의 수에 관한 정보 등의 카드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을 포함하는 기록포멧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를 응용분야나 데이타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정보의 기록매체로서 호환성 있게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의 블럭도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의 저장영역의 메모리 맵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기록가능 메모리 카드의 저장영역의 메모리 맵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관리 정보영역에 기록되는 카드속성정보의 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체크비트열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4도의 포멧팅 버젼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4도의 포멧팅 날짜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4도의 카드종류 표시자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제4도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의 목록내용의 종류표시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제4도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 1 인덱스 영역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제11도의 속성 테이블의 저장단위 이름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제11도의 속성 테이블의 정보의 종류표시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제11도의 속성 테이블의 저장단위 기록날짜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제2인덱스 영역에 기록되는 저장영역 테이블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의 기록, 재생 또는 소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초기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의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정보들에 대해 기록매체로서 사용가능하도록 표준화된 기록포멧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그 소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호처리의 디지탈화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여러가지의 기록매체들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CDP, DAT, MD, CD-I, CD-ROM등의 디지탈 정보 기록/재생장치들은 크게 디스크형의 기록매체와 테이프형의 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장치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기록하고 읽을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도 서로 다른 종류를 사용하고, 기록 재생되는 정보도 서로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장치에서는 같은 정보만이 기록 가능하고 같은 기록매체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에서는 정보를 기록하고 읽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상호간 매체에 대한 호환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의 기록매체로서 경박단소형의 메모리카드의 사용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메모리카드를 사용한 종래의 기술로는 음성데이타를 저장하거나(유럽 특허 공개 294, 201 A2), 음악데이타를 저장하거나(미국 특허 4,813,014),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는(미국특허 5,226,145) 등의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특정의 응용분야에 한정되어 특정의 데이타만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응용분야의 특정 데이타들을 호환성 있게 기록하고 재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타들을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메모리 카드의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는 복수의 저장영역들로 분할된 데이타 영역 ; 데이타 영역에 1회의 연속적인 정보의 기록시에 소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장영역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저장단위들의 각 속성 정보들로 작성된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1 인덱스 영역 ; 데이타 영역의 복수의 저장영역들의 순서에 대응하여 각 저장영역들의 사용정보로 작성된 저장영역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2 인덱스 영역 ; 기록된 데이타와 이 데이타에 관련된 응용기기의 정보와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들의 수에 관한 정보 등의 카드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을 포함하는 기록포멧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인덱스 영역은 복수의 저장단위들의 각 속성 정보들이 기록된 각 영역들의 초기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포인터값들을 저장하는 포인터영역 ; 및 대응하는 포인터값들을 초기 어드레스로 가지는 각 영역들에 각 저장단위들의 속성정보와, 하나의 저장단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장영역들 중 시장 저장영역의 순번정보가 기록되는 속성정보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영역들은 제 1 인덱스 영역, 제 2 인덱스 영역, 데이타 영역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순으로 형성된다. 메모리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덱스 영역들 또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에서의 불량블럭이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불량블럭을 대치하기 위한 복수의 블럭들을 포함하는 불량블럭 대치영역을 더 구비한다. 카드관리 정보영역에는 발생된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불량블럭과 상기 불량블럭 대치영역내의 대치된 블럭위치정보를 기록하는 불량블럭관리테이블을 더 포함한다. 불량블럭 대치영역은 데이타 영역과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사이에 위치한다.
저장영역 테이블의 사용정보는 미사용정보, 불량정보, 저장단위의 종료정보 및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는 이와같은 기록포멧을 가지기 때문에 정보의 종류 및 장치의 다름에 관계없이 정보를 읽고 쓸 수 있으므로 카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상호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록방법은 상술한 기록포멧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의 영역을 제 1 및 제 2 인덱스 영역들, 데이타 영역, 불량블럭 대치영역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 : 카드관리 정보영역에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들의 수를 참조하여 저장단위의 추가 기록이 가능한지를 체크하는 단계 : 제 2 인덱스 영역의 저장영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사용 저장영역들에 순차적으로 저장단위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새롭게 데이타가 기록되는 저장영역들의 순번에 대응하여 사용정보를 저장영역 테이블에 등록하며 기록하고자 하는 저장단위의 마지막 저장영역이면 기록을 종료하는 기록단계 ; 기록이 종료되면 카드관리 정보영역에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의 수를 1증가시키고 새로 기록된 저장단위의 속성정보와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상기 제 1 인덱스 영역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화 단계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을 초기화하고 이어서 제 1 및 제 2 인덱스영역을 초기화한다. 카드관리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메모리 카드의 마지막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 불량이 아니면 소정의 카드관리정보를 마지막 블럭에 기록하는 단계 ; 카드관리정보의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 ;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 체크단계에서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마지막 블럭의 앞 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크기를 감소하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블럭수를 1증가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 및 에러 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며 카드관리정보의 초기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제 1 인덱스 영역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 단계는 메모리 카드의 제일 앞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 불량이 아니면 정보단위의 속성정보의 초기화값을 제일 앞 블럭에 기록하는 단계 ; 기록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 ;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대치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 하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에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대치블럭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후에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 하는 단계 ; 및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제 2 인덱스 영역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단계는 제 2 인덱스 영역의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 불량이 아니면 상기 데이타영역의 저장영역들 중 불량 저장영역을 체크하고 체크된 불량 저장영역의 순번에 대응하여 저장영역 테이블상의 사용정보를 불량정보로 등록하고 정상저장 영역의 순번에 대응하여 저장영역 테이블상의 사용정보를 미사용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 ;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대치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에 상기 체크된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대치된 대치블럭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 및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초기 사용정보가 등록된 저장영역 테이블을 소정 수로 복사하여 복수의 테이블을 형성하고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기록단계는 저장영역에 기록하던 도중에 불량블럭이 체크되거나 저장영역단위로 정보를 기록한 후에 에러를 체크하여 에러가 체크되면 현재의 저장영역을 불량으로 처리하고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의 해당순번의 사용정보를 불량정보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방법은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저장단위의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읽고 저장영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읽혀진 순번에 대응하는 사용정보를 읽어서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을 읽는 방식으로 선택된 저장단위의 종료정보가 읽혀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읽어내는 단계 ; 및 읽혀진 저장영역들의 순번정보의 읽혀진 순서에 따라 데이타영역의 대응하는 저장영역들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내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거방법은 소거할 저장단위를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저장단위의 속성정보에 소거된 저장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고 삭제된 저장단위의 이후의 저장단위들의 순위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 ; 소거하고자 한 저장단위를 구성했던 저장영역들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각 사용 정보를 미사용정보로 등록시키고 데이타영역의 저장영역들에 기록된 내용을 소가하는 단계 ;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의 수를 소거된 저장단위의 수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록방법에서는 불량블럭을 체크하여 불량블럭을 대치블럭으로 대치할 수 있어 손상된 부분의 관리를 표준화함으로써 카드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카드도 새로이 초기화하여 다시 쓸 수 있으므로 정보의 종류와 장치가 서로 다름에 구애없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메모리 카드의 블럭도이다. 메모리 카드(100)는 외부제어장치(200)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접속기(10)와, 접속기(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메모리를 제어하며 메모리 카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모리카드 제어부(20)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데이타가 기입되거나 독출되는 메모리(30)를 포함한다. 메모리카드 제어부(20)와 메모리(30)는 메모리 카드의 케이스내에 실장되고 접속기(10)는 외부 접속을 위하여 케이스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메모리(30)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 카드는 크게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와 기록가능 메모리 카드로 구분된다.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메모리는 ROM을 사용하여 기록가능한 메모리 카드의 메모리는 SRAM, E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을 사용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메모리 맵도를 나타내며, 제3도는 기록가능한 메모리카드의 메모리 맵도를 나타낸다.
메모리는 크게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1 인덱스영역(12), 저장영역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2 인덱스영역(14), 복수의 저장영역들로 분할된 데이타영역(16)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18)을 포함한다. 기록가능 메모리 카드에서는 불량블럭 대치영역(22)를 더 포함한다.
카드관리 정보영역(18)에 기록되는 카드관리 정보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드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16바이트의 체크비트열, 2바이트의 포멧버젼정보, 2바이트의 포멧 날짜, 8바이트의 포멧 문자열, 14바이트의 응용기기 정보의 문자열, 1바이트의 카드종류 표시자, 4바이트의 카드크기, 2바이크의 페이지 크기, 2바이트의 블럭 크기, 1바이트의 정보 영역을 구성하는 블럭수, 10바이트의 예비영역 등으로 된 카드의 일반 제원정보들이 기록된다. 이어서, 2바이트의 기록된 저장단위들의 수, 4바이트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시작 어드레스, 10바이트의 예비영역으로 된 저장단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이어서, 4바이트의 데이타영역의 크기, 4바이트의 손상된 저장영역의 수, 4바이트의 저정영역의 시작어드레스, 4바이트의 예비영역으로 구성된 데이타영역정보가 기록된다. 이어서, 2바이트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복사수, 4바이트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목록수, 4바이트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시작어드레스, 6바이트의 예비영역으로 구성된 저장영역 테이블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이어서, 2바이트의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크기, 2바이트의 카드관리 정보블럭수, 2바이트의 불량블럭의 수, 10바이트의 예비영역, 1K 바이트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 2942바이트의 예비영역, 2바이트의 체크 합정보들로 구성된다. 카드관리 정보영역(18)은 4K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카드의 최종 블럭에 위치한다. 그러나 최종 블럭이 손상된 경우에는 그 앞의 블럭에 기록되며 손상된 최종 블럭의 체크비트열에는 모두 '00h' 가 기록되게 된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체크비트열에는 제5도에 도시된 체크비트열정보가 기록되게 된다. 포멧버젼정보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재의 메이저버젼값으로 '00h' 의 고정값을 가지며 현재의 마이너 버젼값으로 '00h' 의 고정값을 가진다. 따라서, 업버젼이 진행되면 이 값들도 바뀌게 된다. 포멧날짜는 특정 응용기기에서 메모리카드를 포멧한 날짜를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낸다. 날짜의 갱신은 메모리 카드를 다시 포멧하거나 불량 테이블을 변경한 후에 행해진다. 포멧문자열은 임의의 8개의 문자열로 구성된다. 응용기기 정보 문자열은 카드를 특정 응용기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나타내며 처음 카드를 포멧한 기기명이 16자의 문자열로서 기록된다. 카드종류 표시자는 카드의 메모리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위 2비트는 읽기전용인지 기록가능인지 아니면 다른 종류인지를 나타내며 하위 6비트는 메모리의 종류를 나타낸다. 따라서, 읽기전용의 카드인 경우에는 '00000000' 로 표시되며 EEPROM을 사용한 기록가능한 카드인 경우에는 '11000011' 로 표시되게 된다. 카드의 크기는 카드의 전체 저장용량을 블럭을 기본단위로 나타낸다. 페이지크기는 1페이지의 크기를 바이트단위로 나타내며 페이지 크기는 블럭 크기보다 크지 못하며 1K바이트 이내로 2의 정수배승으로 정한다. 블럭크기는 바이트단위로 나타낸다. 저장영역(cluste)은 몇개의 블럭으로 구성되는지를 블럭수로 나타내며 최대 256개의 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단위(chapter)의 수는 현재 기록되어 있는 저장단위들의 총수를 나타낸다. 기록가능한 최대 저장단위의 수는 128개이다. 읽기 전용 카드에서는 저장단위의 수가 이미 결정되어 있지만, 기록가능 카드에서는 기록을 할 때마다 1씩 증가하고 소거할 때마다 1씩 감소하게 된다.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시작어드레스는 제 1 인덱스 영역의 시작번지를 가르킨다. 데이타영역의 크기는 블럭단위로 나타낸다. 데이타영역의 총 블럭수는 다음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B=TB-(RB+CMB+CATB+CTB)
DB는 데이타영역의 총블럭수, TB는 카드의 총블럭수, RB는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수, CMB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블럭수, CATB는 저장단위 속성테이블의 블럭수, CTB는 저장영역 테이블의 블럭수
불량 저장영역의 수는 데이타영역의 저장영역 중 불량인 저장영역의 수를 나타낸다. 실제 데이타영역의 크기는 상기 데이타영역의 총블럭수에서 불량 저장영역에 해당하는 블럭의 수를 뺀 값이다. 저장영역 테이블의 복사수는 테이블의 복사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2개이상 할당된다. 이는 하나가 파괴되었을 때에 다른 저장단위 테이블을 이용하여 파괴된 내용을 복구하기 위해서이다. 저장영역테이블의 목록수는 등록된 저장영역의 총수를 나타내며 이 값을 통하여 데이타영역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저장영역 테이블의 시작 어드레스는 제 2 인덱스영역의 시작번지를 나타낸다.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크기는 데이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의 손상된 블럭들이 발생될 경우에 대치하기 위한 여분의 블럭들을 예비로 할당한 영역으로서 블럭을 단위로 나타낸다. 초기화시에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수가 결정되게 된다. 카드관리 정보는 카드의 최종 블럭에 위치되는 데 최종블럭이 불량인 경우에는 바로 앞의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에 저장된다. 따라서,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블럭수는 통상 1이며 불량이 발생되면 블럭수가 1 증가되게 되고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수가 1 감소하게 된다. 불량블럭수는 불량블럭이 나타날 때마다 그 수가 증가하게 된다.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은 카드내에 발생된 불량블럭의 위치를 기록하고 불량블럭에 기록될 데이타가 대치 기록된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위치를 나타낸다.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의 목록수는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수와 동일하며 각 목록에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사용 대치블럭 '00h' , 불량대치블럭 'FDh' , 불량블럭의 어드레스 'XXh' 가 기록된다. 불량블럭관리 테이블의 각 등록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처음부터 순서대로 물리적인 번호가 부여되며 또한, 각 목록들은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블럭들이 순서대로 지시되게 된다. 예를들어, 카드내 불량블럭이 하나 발생하면 불량블럭에 기록될 데이타가 불량블럭 대치영역에서 위치한 순서대로 빈 블럭에 기록되고 이 블럭을 지시하는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의 목록에 발생한 불량블럭의 어드레스를 기록함으로써 불량블럭의 내용이 대치영역의 블럭에 기록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불량블럭의 수가 하나 증가되게 된다. 체크함은 불럭관리정보의 선두에서부터 체크합 직전까지의 내용을 가간하고 그 결과의 하위 16비트의 2의 보수를 취한 값이다. 따라서, 모두 가산한 값이 0이면 정상이다.
제 1 인덱스영역(12)에 기록되는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은 128개의 포인터들(24)과 31바이트의 저장단위 속성정보들로 이루어진 128개의 목록을 가진 속성테이블(26)로 구성된다. 각 포인터들은 속성테이블(26)의 대응하는 속성정보의 시작어드레스를 가리킨다. 예컨대, 저장단위가 '8' 이면 128개의 포인터들중 8번째의 포인터의 값을 읽고 이 읽혀진 값을 시작 어드레스로 가지는 속성정보를 속성테이블(26)에서 읽음으로써 저장단위의 속성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대응하는 저장단위가 없는 포인터의 내용은 ' 00h' 가 기록된다. 속성테이블의 각 목록에 기록되는 속성정보는 8바이트의 저장단위의 이름, 4바이트의 저장단위의 크기, 1바이트의 정보의 종류, 1바이트의 오디오모드, 1바이트의 비디오모드, 2바이트의 예비영역, 6바이트의 저장단위 기록날짜, 4바이트의 시작 저장영역의 번호, 4바이트의 예비영역으로 구성된다. 저장단위의 이름은 8개의 문자열로 구성되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단위가 소거되면 저장단위의 이름을 나타내는 8바이트 중 첫번째 바이트값을 'D7h' 로 변경함으로써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저장단위의 크기는 바이트단위로 나타낸다. 정보의 종류는 현재 저장단위에 기록된 정보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며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비트값이 '1' 이면 해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0는 데이타, 비트1은 음성, 비트2은 오디오(뮤직), 비트3은 비디오를 나타내며, 나머지 비트들은 미정의되어 있다. 오디오 모드는 음성 또는 오디오신호의 압축모드가 무엇인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비디오 모드는 비디오신호의 압축모드가 무엇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저장단위의 기록날짜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년/월/일의 날짜와 시/분/초의 시간정보를 나타낸다. 시작 저장영역의 번호는 저장단위가 데이타영역의 어느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지를 찾기 위한 정보로써 저장영역 테이블의 목록번호가 기록된다. 이 번호는 저장단위를 구성하는 체인으로 형성되는 저장영역들 중 맨 처음 저장영역의 번호를 나타낸다.
제 2 인덱스영역(14)에 기록되는 저장영역 테이블은 데이타영역(16)의 공간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도이고 각 목록의 크기는 16비트이다. 즉, 데이타영역(16)을 분할하고 있는 모든 저장영역들의 순서에 대응하여 저장영역들의 순번에 따른 목록으로 구성된다. 각 목록에는 해당 저장영역의 사용정보가 기록되는 바, 미사용인 경우에는 'FFFh', 불량저장영역인 경우에는 'FFF5h', 해당 저장단위의 종료 저장영역인 경우에는 'FFFAh', 종료 저장영역이 아니고 정상적으로 사용인 경우에는 다음에 이어지는 저장영역의 순번정보가 기록되게 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저장단위 '2' 번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제 1 인덱스영역(12)의 포인터(24)의 두번째 포인터의 값 '000B' 가 읽혀지고 이 값이 시작어드레스인 속성 테이블(26)의 두번째 목록의 속성정보가 읽혀지게 된다. 이 속성정보에 포함된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 '0001h' 에 의해 제 2 인덱스영역(14)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해당 목록이 읽혀지게 되고 이어서, '0001h' 의 목록내용이 '0004h' 에 의해 다음 읽어야 할 저장영역의 순번을 알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0006h', '0007h' '000Ah', 'FFFAh' 이 읽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FFFAh' 가 읽혀지게 되면 해당 저장단위의 종료임을 인식하게 되어 저장영역 테이블의 읽기를 종료하게 된다. 이어서, 읽혀진 저장영역들의 순번들의 읽혀진 순서에 따라 0001-0004-0006-0007-000A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16)의 저장영역들 1-4-6-7-A를 순차적 읽음으로써 저장단위 2의 데이타를 읽을 수 있게 된다. 기록시에는 저장영역테이블을 참조하여 'FFFFh' 의 정보가 기록된 저장영역목록들을 순차적으로 찾아서 데이타가 기록되데 저장단위의 첫번째 저장영역의 순번은 속성테이블의 시작저장영역의 정보로 제공되며 저장영역의 목록에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정보가 기록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기록하다가 불량 저장영역이 검출되면 해당 불량저장영역의 목록에는 'FFF5h' 를 기록하고 그 다음에 비어 있는 저장영역에 계속해서 데이타를 기록하며 저장단위의 마지막 저장영역이면 'FFFAh' 를 기록하고 종료한다. 저장단위의 소거시에는 소거된 저장단위를 구성한 모든 저장영역들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목록 내용이'FFFFh'로 기록되며 데이타 영역의 대응되는 저장영역들의 내용이 모두 소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의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최초로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 또는 현재 기록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무시하고 새로운 포맷으로 정보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되는 응용기기에 의해 포멧팅동작이 수행된다. 초기화는 카드의 메모리영역을 제 2 도 또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영역들로 분할되게 되고 각 영역에 올바른 데이타가 기록됨으로서 이루어진다. 초기화 순서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이 초기화되고 이어서 제 1 및 제 2 인덱스영역을 초기화된다.
먼저, 카드관리정보영역(18)에 카드관리정보가 초기화되게 된다. 카드관리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제17도를 참조하면, 메모리의 마지막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고(170), 불량이 아니면 제 4 도의 카드관리정보를 상기 마지막 블럭에 기록한다(172). 카드관리정보의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고(174) 에러체크단계(174)에서 에러가 체크되거나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170)에서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상기 마지막 블럭의 앞 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상기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크기를 감소하며,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블럭수를 1증가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170)로 피드백한다(176). 상기 에러 체크단계(174)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카드관리정보의 초기화를 종료한다.
제 1 인덱스 영역(12)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 단계는 제18도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의 선두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고(180) 불량이 아니면 정보단위의 속성정보의 초기화값을 선두불럭에 기록한다(182).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고(184) 에러체크단계(184)에서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체크단계(180)에서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불량블럭 대치영역(22)의 대치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카드관리 정보영역(18)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에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대치블럭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180)로 피드백하고(186) 에러체크단계(184)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를 종료한다.
제19도를 참조하면, 제 2 인덱스 영역(14)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단계는 제 2 인덱스 영역(14)으로 할당된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고(190) 불량이 아니면 데이타영역(16)의 복수의 저장영역들 중 불량저장영역을 체크하고 체크된 불량 저장영역의 순번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상의 사용정보를 불량정보로 등록하고 정상 저장영역의 순번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상의 사용정보를 미사용정보로 등록하고(192),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며(194),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불량블럭 대치영역(22)의 대치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에 상기 체크된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상기 대치된 대치불럭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한다(196).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초기 사용정보가 등록된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을 소정 수로 복사하여 복수의 테이블을 형성하고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를 종료한다(198).
상술한 바와같이 메모리 카드의 영역을 제 1 및 제 2 인덱스 영역들, 데이타 영역, 불량블럭 대치영역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을 초기화한 다음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은 제20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카드관리 정보영역(18)에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들의 수를 참조하여 저장단위의 추가 기록이 가능한지를 체크하고(202) 제 2 인덱스 영역(14)의 저장영역 테이블을 참조하여(204) 미사용 저장영역들에 하나의 저장영역씩 순차적으로 저장단위의 데이타를 기록하고(206) 하나의 저장영역에 데이타의 기록에러가 있는지를 체크하고(208) 에러가 체크되면 현재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목록에 저장영역이 불량임을 표시하고 204단계로 피드백한다. 208단계에서 에러가 없으면 새롭게 데이타가 기록되는 저장영역들의 순번에 대응하여 사용정보를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에 등록하며 상기 기록하고자 하는 저장단위의 마지막 저장영역인가를 체크하고(212) 다음 데이타를 계속해서 기록하기 위한 미사용 저장영역이 있는지를 체크하고(214) 있으면 현재의 저장영역테이블의 목록에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을 등록하고(216) 206단계로 피드백한다. 212단계에서 저장단위의 마지막 저장영역이면 기록을 종료하고 저장영역 테이블의 현재 목록에 마지막 저장영역임을 등록한다(218). 상기 기록이 종료되면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에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의 수를 1증가시키고 새로 기록된 저장단위의 속성정보와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상기 제 1 인덱스 영역의 저장단위 속성테이블에 등록한다(220). 만약 기록 중에 미사용 저장영역이 부족하여 저장단위의 데이타를 다 기록하지 못한 경우에는 새로운 저장단위의 추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21도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법은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222)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저장단위의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읽고(224) 저장영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읽혀진 순번에 대응하는 사용정보를 읽어서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을 읽는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저장단위의 종료정보가 읽혀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읽어낸다(226-230). 읽혀진 저장영역들의 순번정보의 읽혀진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타영역의 대응하는 저장영역들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낸다(232).
메모리 카드에서 기록된 저장단위를 소거하는 방법은 소거할 저장단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저장단위의 속성정보에 소거된 저장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고 삭제된 저장단위의 이후의 저장단위들의 순위를 다시 설정하며, 소거하고자 한 저장단위를 구성했던 저장영역들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각 사용정보를 미사용정보로 등록시키고 데이타영역의 저장영역들에 기록된 내용을 소거하고,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의 수를 소거된 저장단위의 수만큼 감소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포멧을 표준화함으로써 메모리 카드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응용기기들 간에 동일한 포맷과 제어방법에 의해 정보의 종류와 장치의 다름에 관계없이 정보를 읽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메모리 카드의 활용도를 높이고 상호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온보드화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카드내에 실장된 IC카드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본 발명을 변형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복수의 저장영역들로 분할된 데이타 영역 ; 상기 데이타 영역에 1회의 연속적인 정보의 기록시에 소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장영역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저장단위들의 각 속성 정보들로 작성된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1 인덱스 영역 ; 상기 데이타 영역의 복수의 저장영역들의 순서에 대응하여 각 저장영역들의 사용정보로 작성된 저장영역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 2 인덱스영역 ; 기록된 데이타와 이 데이타와 관련된 응용기기의 정보와 현재 기록된 상기 저장단위들의 수에 곤한 정보 등의 카드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을 포함하는 기록포멧을 갖는 메모리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저장단위들의 각 속성 정보들이 기록된 각 영역들의 초기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포인터값들을 저장하는 포인터영역 ; 및 상기 대응하는 포인터값들을 초기 어드레스로 가지는 상기 각 영역들에 각 저장단위들의 속성정보와, 하나의 저장단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장영역들 중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가 기록되는 속성정보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은 제 1 인덱스 영역 제 2 인덱스 영역, 데이타 영역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덱스 영역들 또는 카드관리 정보영역에서의 불량블럭이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불량블럭을 대치하기 위한 복수의 블럭들을 포함하는 불량블럭 대치영역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에는 발생된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불량블럭과 상기 불량블럭 대치영역내의 대치된 블럭위치정보를 기록하는 불량블럭 관리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블럭 대치영역은 상기 데이타 영역과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의 사용정보는 미사용정보, 불량정보, 저장단위의 종료정보 및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8. 제 1 항 기재의 메모리 카드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영역을 제 1 및 제 2 인덱스 영역들, 데이타 영역, 불량블럭 대치영역 및 카드관리 정보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 :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에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들의 수를 참조하여 저장단위의 추가 기록이 가능한지를 체크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인덱스 영역의 저장영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사용 저장영역들에 순차적으로 저장단위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새롭게 데이타가 기록되는 저장영역들의 순번에 대응하여 사용정보를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에 등록하며 상기 기록하고자 하는 저장단위의 마지막 저장 영역이면 기록을 종료하는 기록단계 ; 상기 기록이 종료되면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에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의 수를 1증가시키고 새로 기록된 저장단위의 속성정보와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제 1 인덱스 영역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을 초기화하고 이어서 제 1 및 제 2 인덱스영역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관리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마지막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 불량이 아니면 소정의 카드관리정보를 상기 마지막 블럭에 기록하는 단계 ; 상기 카드관리정보의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 ; 상기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가 체크되거나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에서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상기 마지막 블럭의 앞 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상기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크기를 감소하며,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블럭수를 1증가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 및 상기 에러 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카드관리정보의 초기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 영역의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 단계는 상기 메모리카드의 제일 앞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 불량이 아니면 정보단위의 속성정보의 초기화 값을 상기 제일 앞 블럭에 기록하는 단계 ;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이 체크되면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대치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에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대치블럭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 및 상기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의 초기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덱스 영역의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단계는 상기 제 2 인덱스 영역의 블럭이 불량블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 불량이 아니면 상기 데이타영역의 저장영역들 중 불량 저장영역을 체크하고 체크된 불량 저장영역의 순번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상의 사용정보를 불량정보로 등록하고 정상 저장영역의 순번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상의 사용정보를 미사용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 기록 종료시에는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 ; 에러가 체크되거나 불량블럭이 체크된 불량블럭 대치영역의 대치블럭으로 기록위치를 변경하고 불량블럭의 수를 1증가하며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불량블럭 관리 테이블에 상기 체크된 불량블럭의 위치정보와 상기 대치된 대치블럭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후에 상기 불량블럭 체크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 및 상기 에러체크단계에서 에러체크가 없으면 초기 사용정보가 등록된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을 소정 수로 복사하여 복수의 테이블을 형성하고 저장영역 테이블의 초기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단계는 저장영역에 기록하던 도중에 불량블럭이 체크되거나 저장영역단위로 정보를 기록한 후에 에러를 체크하여 에러가 체크되면 현재의 저장영역을 불량으로 처리하고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의 해당 순번의 사용정보를 불량정보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기록방법.
  14. 제 8 항 기재의 방법으로 데이타가 기록된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저장단위 속성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저장단위의 시작 저장영역의 순번정보를 읽고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읽혀진 순번에 대응하는 사용정보를 읽어서 다음 저장영역의 순번을 읽는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저장단위의 종료정보가 읽혀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읽어내는 단계 ; 및 상기 읽혀진 저장영역들의 순번정보의 읽혀진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타영역의 대응하는 저장영역들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내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재생방법.
  15. 제 8 항 기재의 기록방법으로 데이타가 기록된 메모리 카드에서 기록된 저장단위를 소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거할 저장단위를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저장단위의 속성정보에 소거된 저장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고 삭제된 저장단위의 이후의 저장단위들의 순위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 ; 소거하고자 한 저장단위를 구성했던 저장영역들의 상기 저장영역 테이블의 각 사용정보를 미사용정보로 등록시키고 데이타영역의 저장영역들에 기록된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 ; 및 상기 카드관리 정보영역의 현재 기록된 저장단위의 수를 소거된 저장단위의 수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소거방법.
KR1019940027705A 1994-10-27 1994-10-27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KR012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705A KR0127029B1 (ko) 1994-10-27 1994-10-27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JP6305212A JPH08138019A (ja) 1994-10-27 1994-12-08 メモリカ−ドとその記録、再生および消去方法
GB9425760A GB2294562B (en) 1994-10-27 1994-12-20 Memory card and recording,reproducing and erasing method using the same
CN94113501A CN1045676C (zh) 1994-10-27 1994-12-28 存储卡及其记录、再现和擦除方法
US08/366,915 US5699549A (en) 1994-10-27 1994-12-30 Memory card having a card management information area for improved format capability and recording, reproducing, and erasing method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705A KR0127029B1 (ko) 1994-10-27 1994-10-27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28A KR960015528A (ko) 1996-05-22
KR0127029B1 true KR0127029B1 (ko) 1998-04-01

Family

ID=1939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705A KR0127029B1 (ko) 1994-10-27 1994-10-27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99549A (ko)
JP (1) JPH08138019A (ko)
KR (1) KR0127029B1 (ko)
CN (1) CN1045676C (ko)
GB (1) GB22945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043B1 (ko) * 1995-04-27 1998-11-16 김광호 음성 및 화상을 함께 혹은 구분하여 기록 및 재생가능한 아이씨 카드 메모리 및 그 제어 방법
JP3894376B2 (ja) * 1996-05-24 2007-03-22 株式会社ニコン 情報処理装置
JP4272714B2 (ja) * 1996-07-19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H10198608A (ja) * 1997-01-08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モリカード
NL1005151C2 (nl) * 1997-01-31 1998-08-03 Mic O Data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gistreren en/of verwerken van informatie op een informatiedrager.
JP3658144B2 (ja) * 1997-06-13 2005-06-0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100373535B1 (ko) * 1997-10-28 200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가능한기록매체의초기화방법및장치
AUPP274098A0 (en) 1998-04-01 1998-04-30 Chip Application Technologies Limited Data carrying device and systems for use therewith
AU755388B2 (en) * 1998-04-01 2002-12-12 Chip Application Technologies Limited Data carrying device and systems for use therewith
JP4213258B2 (ja) * 1998-07-16 2009-01-21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icカード処理システム、及びicカード処理方法
AUPP880199A0 (en) * 1999-02-22 1999-03-18 Chip Application Technologies Limited Integrated pos and internet multi-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AU6907200A (en) * 1999-08-20 2001-03-19 Digital Now, Inc. One time use digital camera
JP4281174B2 (ja) * 1999-09-24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装置、データ記録再生方法、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録再生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プログラム提供媒体
JP3249959B2 (ja) * 1999-10-12 2002-01-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可搬型記憶装置及びメモリカード
KR100354317B1 (ko) * 2000-03-03 2002-09-28 주식회사 심스밸리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메모리 관리 데이터구성방법
KR100505069B1 (ko) * 2000-06-14 2005-07-2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기억매체 및 그 기록장치
US7733521B1 (en) 2000-07-05 2010-06-08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er apparatus with selectable photo enhancement project and settings storage dynamically definable user interface and functions and template definition
JP2002229621A (ja) * 2001-01-31 2002-08-16 Toshiba Corp ハードウェア管理装置
FR2835628A1 (fr) * 2002-02-01 2003-08-08 Schlumberger Systems & Service Gestion de la mise a jour d'informations encodees en memoire
US6845908B2 (en) * 2002-03-18 2005-01-25 Hitachi Semiconductor (America) Inc. Storage card with integral file system, access control and cryptographic support
JP3883932B2 (ja) * 2002-08-20 2007-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媒体管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
DE10339212A1 (de) * 2003-08-26 2005-03-31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atenübertragungssystems
EP1693758A4 (en) * 2003-12-03 2009-02-04 Panasonic Corp INFORMATION RECORDING MEDIA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RECORDING METHOD
US7477296B2 (en) * 2003-12-08 2009-01-13 Olympus Corporatio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igital camera
JP2005348072A (ja) * 2004-06-02 2005-12-15 Pioneer Electronic Corp 処理制御装置、データ処理装置、処理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039966A (ja) * 2004-07-27 2006-02-09 Toshiba Corp メモリカードおよびメモリカードに搭載されるカード用コントローラ並びにメモリカードの処理装置
JP2006065969A (ja) * 2004-08-27 2006-03-09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のフォーマット管理方法
JP4706220B2 (ja) 2004-09-29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434092B2 (en) * 2005-02-22 2008-10-07 Silicon Storage Techo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of storing configuration data
US7380074B2 (en) * 2005-11-22 2008-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ng storage clusters to use to access storage
KR20080010965A (ko) * 2006-07-28 2008-01-31 엠텍비젼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의 불량블록 관리 방법
US8019320B2 (en) * 2007-01-05 2011-09-1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a stored value device
US8788466B2 (en) * 2008-08-05 2014-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transfer of deduplicated data
JP5143059B2 (ja) * 2009-03-10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051329B1 (en) * 2010-02-05 2011-11-01 Netapp, Inc. Method and system for initializing a computing system
US10101925B2 (en) * 2015-12-23 2018-10-16 Toshiba Memory Corporation Data invalidation acceleration through approximation of valid data counts
US11487652B2 (en) * 2018-04-23 2022-11-01 Micron Technology, Inc. Host logical-to-physical information refresh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0238A1 (de) * 1985-11-30 1987-06-25 Toshiba Kawasaki Kk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US4813014A (en) * 1986-04-14 1989-03-14 Phi Technologies, Inc. Digital audio memory system
EP0294201A3 (en) * 1987-06-05 1989-10-18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sound data storing device
DE68919483T2 (de) * 1988-02-20 1995-04-06 Fujitsu Ltd Chipkarten.
JPH01214925A (ja) * 1988-02-24 1989-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モリカード・システムにおけるメモリカードの内部データの論理フォーマット生成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H02198274A (ja) * 1988-10-14 1990-08-0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圧縮記録装置
JPH02311935A (ja) * 1989-05-29 1990-12-27 Fuji Photo Film Co Ltd メモリカードの記憶管理方式
JPH03232029A (ja) * 1989-12-08 1991-10-16 Fuji Photo Film Co Ltd メモリカードの記憶管理方式
JP2675429B2 (ja) * 1990-10-08 1997-11-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におけるデータ管理方式
US5437012A (en) * 1993-04-19 1995-07-25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for updating directory information and data on write once media such as an optical memory card
JPH06350907A (ja) * 1993-06-07 1994-12-22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28A (ko) 1996-05-22
JPH08138019A (ja) 1996-05-31
CN1121631A (zh) 1996-05-01
CN1045676C (zh) 1999-10-13
GB2294562A (en) 1996-05-01
GB2294562B (en) 1999-09-01
GB9425760D0 (en) 1995-02-22
US5699549A (en) 199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029B1 (ko) 메모리카드와 그 기록, 재생 및 소거방법
EP0479535B1 (en) File managing method
US7911906B2 (en) Data structure for control information on rewriteable data storage medium
US6738883B2 (en)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1091311B1 (ko) 메모리 장치 및 그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기록 재생 장치
US6278678B1 (en) 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7502284B2 (en) Methods for optical disc sector verification
JP3133755B2 (ja) データ記憶装置
JPH09171676A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3687165B2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H113137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H09171648A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3484851B2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