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43768A1 -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43768A1
WO2024143768A1 PCT/KR2023/013683 KR2023013683W WO2024143768A1 WO 2024143768 A1 WO2024143768 A1 WO 2024143768A1 KR 2023013683 W KR2023013683 W KR 2023013683W WO 2024143768 A1 WO2024143768 A1 WO 20241437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cooling
ultra
high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36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민
엄호용
맹한솔
김로사
한성경
이상욱
신경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1437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43768A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초고강도 냉연강판이 제공된다. 상기 초고강도 냉연강판은, 중량%로, 탄소(C): 0.28% 내지 0.4%, 실리콘(Si): 1.0% 내지 2.0%, 망간(Mn): 1.0% 내지 3.0%,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니오븀(Nb): 0.01% 내지 0.05%, 인(P): 0% 초과 0.02% 이하, 황(S): 0% 초과 0.003% 이하, 붕소(B): 0.001% 내지 0.005%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율로, 40 내지 60%의 래쓰형 페라이트, 20 내지 30%의 래쓰형 M-A, 15% 이하(0초과)의 괴상형 M-A, 15 내지 25%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냉연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강도와 함께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자원-환경 규제 강화에 의한 차량 경량화와 안전 규제 강화에 의한 충돌 안정성 확보의 두 요인을 충족하는 방향으로 자동차 강판용 초고강도 강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강도와 연신율은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어 강재의 강도가 상승함에 따라 강재의 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의 개발을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 미세조직 내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는 변태유기소성(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TRIP) 기구를 복합 조직 내에 일부 활용하는 TRIP 강은 초고강도와 고연신율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3세대 강판으로 개발되고 있다.
TRIP 강은 TRIP 현상이 발생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특성이나 상 분율 등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크게 달라지며, 따라서 최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안정도와 상 분율을 확보하는 것이 그 강의 제조에 있어 중요하다. 종래의 차체용 3세대 강판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곱(TS×EL)가 20,000 MPa% 내지 22,000 MPa% 수준을 나타낸다. 하지만 인장강도 1GPa급 이상의 초고강도 강을 더 복잡한 형상의 구조 부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인장강도-연신율 곱(TS×EL)이 30,000 MPa% 이상인 강종에 대한 개발이 점점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68207호에는 강의 소둔 이후 급랭과 파티셔닝 열처리를 통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강(Quenching and Partitioning, Q&P)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곱이 27,000 MPa% 이상인 초고강도-고성형 강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Q&P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공정온도의 범위가 좁아 강 제조 시 특성의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68207호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세조직을 제어하여 높은 강도와 연신율을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초고강도 냉연강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연강판은, 중량%로, 탄소(C): 0.28% 내지 0.4%, 실리콘(Si): 1.0% 내지 2.0%, 망간(Mn): 1.0% 내지 3.0%,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니오븀(Nb): 0.01% 내지 0.05%, 인(P): 0% 초과 0.02% 이하, 황(S): 0% 초과 0.003% 이하, 붕소(B): 0.001% 내지 0.005%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면적율로, 40 내지 60%의 래쓰형 페라이트, 20 내지 30%의 래쓰형 M-A, 15% 이하(0초과)의 괴상형 M-A, 15 내지 25%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연강판은, 중량%로, 0% 초과 2.0% 이하의 크롬(Cr) 및 0% 초과 0.2% 이하의 몰리브덴(M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되,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의 합은 3.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연강판은, 0% 초과 5%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 0% 초과 5% 이하의 마르텐사이트 및 0% 초과 5% 이하의 기타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프레쉬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타 조직은 펄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 분해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연강판에 있어서, 상기 래쓰형 페라이트 및 래쓰형 M-A는 장축길이를 단축길이로 나눈 비율(장축길이/단축길이)인 종횡비가 3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연강판에 있어서, 상기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는 래쓰형 페라이트 및 래쓰형 M-A 중 어느 하나의 장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라멜라(lamell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연강판은, 인장강도(TS)는 980MPa 이상 1300 MPa 이하, 연신율(El)은 25% 이상 45% 이하, 인장강도(TS)와 연신율(EL)의 곱(TS×EL)은 30,000 이상 45,000MPa%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탄소(C): 0.28% 내지 0.4%, 실리콘(Si): 1.0% 내지 2.0%, 망간(Mn): 1.0% 내지 3.0%,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니오븀(Nb): 0.01% 내지 0.05%, 인(P): 0% 초과 0.02% 이하, 황(S): 0% 초과 0.003% 이하, 붕소(B): 0.001% 내지 0.005%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제 1 소둔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 1 소둔열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2 소둔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소둔열처리된 냉연강판을 과시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소둔열처리 단계는, Ac3 이상의 제 1 소둔온도에서 제 1 소둔처리 후 Ms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소둔열처리 단계는, (Ac1+Ac3)/2 이상 Ac3 미만의 제 2 소둔온도에서 제 2 소둔처리 후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시효 단계는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소둔처리 후 Ms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소둔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1 냉각속도로 700℃ ~ 800℃ 범위를 가지는 1차 냉각종료온도로 1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냉각 후 제 1 냉각속도보다 빠른 제 2 냉각속도로 Ms 이하의 온도인 2차 냉각종료온도로 2차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냉각속도는 5℃/초 내지 2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냉각속도는 15℃/초 내지 30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소둔 열처리가 완료된 냉연강판은, 면적율로, 5% 미만의 페라이트와 잔부가 저온상인 미세조직을 가지되, 상기 저온상은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소둔처리 후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소둔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3 냉각속도로 700℃ ~ 800℃ 범위를 가지는 3차 냉각종료온도로 3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냉각 후 제 3 냉각속도보다 빠른 제 4 냉각속도로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의 4차 냉각종료온도로 4차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3 냉각속도는 5℃/초 내지 1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4 냉각속도는 15℃/초 내지 10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과시효 단계는 30 내지 300초 범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할 경우, 제 1 소둔열처리 및 제 2 소둔열처리를 활용해 고합금 강종의 미세조직 균질도를 향상시키고, 래쓰 형상의 미세조직을 충분히 확보하여 우수한 강도와 연신율의 밸런스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표시한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열간압연, 연화열처리 및 제 1 소둔열처리 후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실시예의 제 2 소둔열처리 후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제 2 소둔열처리 후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도 3a에 분석된 시편의 분석 배율을 확대하여 관찰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냉연강판에 대한 제 1 소둔열처리 및 제 2 소둔열처리에 대한 온도-시간 이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5에 나타난 각 상들의 C의 함량을 FE-EPMA로 분석할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상(phase) 분율은 미세조직 사진을 이미지 분석기를 통하여 도출한 면적비율(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특정 성분의 함량 혹은 농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980MPa 이상의 인장강도, 25% 이상의 연신율, 인장 강도×연신율(강도 및 연신율의 곱)이 30,000 MPa% 이상인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러한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초고강도 냉연강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강도 냉연강판은, 중량%로, 탄소(C): 0.28% 내지 0.4%, 실리콘(Si): 1.0% 내지 2.0%, 망간(Mn): 1.0% 내지 3.0%,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니오븀(Nb): 0.01% 내지 0.05%, 인(P): 0% 초과 0.02% 이하, 황(S): 0% 초과 0.003% 이하, 붕소(B): 0.001% 내지 0.005%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크롬(Cr): 0% 초과 2.0% 이하 및 몰리브덴(Mo): 0% 초과 0.2% 이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크롬(Cr) 및 망간(Mn)의 합은 0.3% 이하를 만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강도 냉연강판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성분 원소의 함유량은 모두 강판 전체에 대한 중량%를 의미한다.
탄소(C): 0.28% 내지 0.4%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적정한 분율과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탄소함량은, 중량%로, 0.28% 내지 0.40% 범위를 가진다. 탄소 함량이 0.28% 미만이면 최종 미세조직 내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부족해 목표로 하는 연성을 얻기 어려우며, 반면 0.4%를 초과하면 용접성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
실리콘(Si): 1.0% 내지 2.0%,
실리콘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페라이트 내 탄화물의 형성을 지연시키며, 고용강화 효과가 있다. 실리콘의 함량은, 중량%로, 1.0% 내지 2.0% 범위를 가진다. 실리콘 함량이 1.0% 미만이면 상술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반면 2.0%를 초과하면 제조과정에서 Mn2SiO4등 산화물을 형성하여 도금성이 저해되고, 탄소당량을 높여 용접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망간(Mn): 1.0% 내지 3.0%
망간은 고용강화 효과가 있고 소입성을 증대시켜 강도향상에 기여한다. 망간 함량은, 중량%로, 1.0% 내지 3.0% 범위를 가진다. 망간 함량이 1.0% 미만이면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강도확보가 어려우며, 3.0%를 초과하면 MnS 등 개재물의 형성이나 편석으로 인한 가공성 저하와 지연파괴 저항성이 저하가 발생하고 탄소당량을 높여 용접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알루미늄은 탈산제로 사용되고, 페라이트를 청정화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중량%로, 0.01% 내지 0.3% 범위를 가진다. 알루미늄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탈산효과가 부족하고, 반면 0.30%를 초과하면 연속주조 단계에서의 슬라브 제조시 AlN을 형성하여 연속주조 또는 열간압연 중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니오븀(Nb): 0.01% 내지 0.05%
니오븀은 석출강화 원소로 질화물 등과 같은 석출물로 석출되어 강도를 향상시킨다. 니오븀은, 중량%로, 0.01% 내지 0.05% 범위를 가진다. 니오븀 함량이 0.01% 미만이면 석출강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반면 0.05%를 초과하면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연성이 저하된다.
인(P): 0% 초과 0.02% 이하
인은 강의 제조 과정에서 포함되는 불순물로서,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다량 함유 시 저온취성이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의 함량은, 중량%로, 0.02%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 초과 0.003% 이하
황은 강의 제조 과정에서 포함되는 불순물로서, FeS, MnS와 같은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여 인성과 용접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황의 함량은, 중량%로, 0.003%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소(B): 0.001% 내지 0.005% 이하
붕소는 소입성 원소로 폴리고날 페라이트 형성을 억제한다. 붕소는, 중량%로, 0.001% 내지 0.005% 범위를 가진다. 붕소의 함량이 0.001%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반면, 0.005%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된다.
크롬(Cr): 0% 초과 2.0% 이하
크롬은 망간과 유사하게 고용강화 효과가 있고 소입성을 증대시켜 강도향상에 기여한다. 크롬은, 중량%로, 0% 초과 2.0% 이하의 범위를 가진다. 크롬 함량이 2.0%를 초과하면 소입성이 과다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감소하고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증가해 연성이 저하된다. 크롬과 망간의 합은 중량%로,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0% 초과 0.2% 이하
몰리브덴은 소입성을 증대시키고 펄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한다. 몰리브덴은, 중량%로, 0% 초과 0.2% 이하의 범위를 가진다. 몰리브덴 함량이 0.2%를 초과하면 마르텐사이트가 과다해져 연성이 저하된다.
상기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강 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은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강판의 미세조직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따르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은, 래쓰형(lath type) 조직, 괴상형(bulk type) 조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한다. 래쓰형 조직은 래쓰형 페라이트 및 래쓰형 M-A의 혼합조직을 포함한다. 괴상형 조직은 괴상형 M-A를 포함한다. 상기 M-A는 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복합상을 의미한다.
상의 형태를 래쓰형 및 괴상형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상의 장축길이를 상의 단축길이로 나눈 비율(장축길이/단축길이)인 종횡비(aspect ratio)를 기준으로 한다. 즉, 종횡비가 3보다 크면 래쓰형으로 규정하고, 3 미만이면 괴상형으로 규정한다. 괴상형 조직에서 그 크기가 2㎛ 미만이면 괴상형 M-A, 2㎛ 이상이면 마르텐사이트로 분류한다.
본 발명에서 래쓰형 조직을 구성하는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는 각 상의 장축방향이 거의 같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서로 인접한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는 상기 장축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라멜라 구조(lamellar structure)를 가진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이 혼합조직을 라멜라 구조로 형성하여 종래의 괴상형 조직에 비해 더 우수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변태유기소성(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TRIP)을 통한 강의 연신율 특성에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초고강도 냉연강판은, 면적율(면적%)로, 40 내지 60%의 래쓰형 페라이트, 20 내지 30%의 래쓰형 M-A, 0% 초과 15% 이하의 괴상형 M-A, 15 내지 25%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폴리고날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및 그 외의 기타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다량 존재할 경우 인장강도 확보에 불리하므로, 면적율로, 0% 초과 5% 이하로 제한된다. 마르텐사이트가 다량 존재할 경우 연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면적율로, 0% 초과 5% 이하로 제한한다.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프레쉬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기타 조직은 펄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 분해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강의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어, 면적율로, 0% 초과 5% 이하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초고강도 냉연강판은, 예를 들어 인장강도가 980MPa 이상, 연신율이 25% 이상, 인장강도(TS)와 연신율(EL)의 곱(TS×EL)가 30,000MPa%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강도(TS)는 980MPa 이상 1300 MPa 이하, 연신율(El)은 25% 이상 45% 이하, 인장강도(TS)와 연신율(EL)의 곱(TS×EL)은 30,000 이상 45,000MPa%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따르는 냉연강판으로서, 상술한 조성범위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열연공정의 대상이 되는 반제품은 예시적으로 슬라브(slab)일 수 있다. 반제품 상태의 슬라브는 제강공정을 통해 소정의 조성의 용강을 얻은 다음에 연속주조공정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표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의 강재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냉연강판을 제 1 소둔열처리하는 단계(S400) 및 제 1 소둔열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2 소둔열처리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S100)와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S300) 사이에 연화열처리 단계(S2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열연강판 제조단계
상술한 합금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180~1300℃의 온도로 재가열 한다. 슬라브는 제강공정을 통해 얻은 용강을 연속주조하여 반제품 형태로 제조되고, 재가열 공정을 통하여 주조 공정에서 발생한 성분 편석을 균질화하고, 열간압연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슬라브 재가열 온도(Slab Reheating Temperature, SRT)가 1180℃ 미만이면, 슬라브의 편석이 충분히 재고용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30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가 증가하며, 공정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슬라브의 재가열은 1 ~ 2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재가열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 편석대 감소가 충분하지 않으며, 2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결정립크기가 증가하며, 공정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재가열 후 통상의 방법으로 열간압연을 행하고, 예를 들어 850℃ ~ 950℃ 범위의 마무리압연 종료온도(finish delivery temperature, FDT)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을 수행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마무리 압연온도가 850℃보다 낮아지면 압연부하가 급격히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950℃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립의 크기가 증가하여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열간 압연 후에 450~650℃의 온도로 냉각한 후 권취한다. 권취온도가 450℃ 미만이면 강도가 증가하여 냉간압연시 압연부하가 증가하고, 650℃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산화 등으로 후 공정에서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연화열처리 단계
제조된 열연강판은 선택적으로 Ac1 미만의 온도에서 연화열처리 할 수 있다. 열간압연 후 권취 된 열연강판은 강의 강도가 높아 냉간압연 시 압연 부하가 크므로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강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연화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연화열처리시의 온도는 Ac1 미만이다. 연화열처리 온도가 Ac1 이상이면 연화열처리 후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남아 냉간압연 형상을 저해하고, 냉연강판의 최종 재질을 저해시킬 수 있다.
냉연강판 제조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표면 스케일 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으로 세정하는 산세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열연강판을, 예를 들어 30% ~ 80%의 평균 압하율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냉연강판을 형성한다. 상기 평균 압하율이 높을수록, 조직 미세화 효과로 인한 성형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평균 압하율 30% 미만인 경우에는,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기 어렵다. 상기 평균 압하율이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롤 힘이 증가되어 공정부하가 증가된다. 냉연강판의 조직은 열연강판의 조직이 연신된 형상의 조직을 가질 수 있다.
냉간압연이 완료된 후 냉연강판은 제 1 소둔열처리 및 제 2 소둔열처리를 연속하여 총 2회 실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냉연강판에 대한 제 1 소둔열처리 및 제 2 소둔열처리에 대한 온도-시간 이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냉간압연 이후의 열처리에 대해서 단계별로 기술한다.
제 1 소둔열처리 단계
도 6a는 제 1 소둔열처리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소둔열처리는 제 1 소둔처리 및 다단 냉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소둔열처리는 냉간압연된 냉연강판을 오스테나이트 단상 영역인 Ac3 이상의 소둔온도, 예를 들어, Ac3 이상 Ac3+30℃ 이하의 온도로 재가열(S11) 한 후 상기 소둔온도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유지하는 제 1 소둔처리(S12)를 수행한다.
상온에서 소둔온도구간까지 가열하는 승온속도는 따로 제한하지 않고 통상의 가열로 설비의 승온속도를 따른다. 소둔온도에 도달한 후 소둔온도에서 소정 시간동안 유지하여 제 1 소둔처리를 수행한다. 소둔온도에서 유지되는 시간은 예를 들어, 30~12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30초 미만이면 미세조직 균질화가 부족하고, 120초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제 1 소둔처리가 완료된 냉연강판을 제 1 냉각속도로 서냉하는 1차 냉각이 수행된다(S13). 1차 냉각을 수행하는 경우, 1차 냉각종료온도는 펄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700℃ 이상, 예를 들어 700~800℃ 범위를 가질 수 있다. 700℃ 미만일 경우 펄라이트가 형성되어 이어지는 제 2 소둔열처리에서 래쓰형 조직을 얻기 어려워진다.
이때 제 1 냉각속도는 따로 제한하지 않으나 냉각 중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다량 생성되지 않도록 냉각속도는 바람직하게 5℃/초 이상, 예를 들어 5~2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펄라이트 조직은 제 2 소둔열처리의 소둔 과정에서 괴상형의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여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 조직을 얻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생성을 가능한 억제하여야 한다.
1차 냉각이 완료된 후 이어서 Ms(마르텐사이트 변태 시작온도) 이하, 예를 들어 Ms 내지 상온의 범위로 냉각하는 2차 냉각이 수행된다(S14). 이때 2차 냉각시 제 2 냉각속도는 제 1 냉각속도에 비해 더 빠르게 냉각하는 급냉단계이다. 제 2 냉각속도는 15℃/초 이상의 냉각속도, 예를 들어, 15℃/초 이상 300℃/초 이하의 범위로 냉각한다.
이 때, 2차 냉각이 종료되는 2차 냉각종료온도가 Ms 초과인 경우 탄화물 석출로 인해 제 2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래쓰형의 조직을 얻기 어렵고, 냉각속도가 15℃/초 미만인 경우 냉각 중 다량의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인장강도 확보에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 Ms 및 Bs(베이나이트 변태 시작온도)는 하기의 식(1) 및 식(2)에 의해 결정된다.
식 (1): Ms(℃) = 491.1 - 302.6C - 14.5Si - 30.6Mn - 16.6Ni - 8.9Cr + 2.4Mo - 11.3Cu+8.58Co+7.4W
식 (2): Bs(℃) = 656- 57.7C - 75Si - 35Mn - 15.3Ni - 34Cr - 41.2Mo
제 1 소둔열처리로 만들어진 미세조직을 전 조직으로 명명한다. 전 조직은 면적율로 5% 미만의 페라이트와 잔부가 저온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온상은 마르텐사이트와 베이나이트를 모두 합하여 총칭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소둔열처리는 다음의 두 가지 목적으로 행해진다.
첫 번째 목적은 냉간 압연 풀 하드(full hard) 조직의 균질화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강 성분을 만족하는 강종은 냉간압연 시 압연 부하가 우려돼 열간압연 이후 추가적인 연화열처리가 수반될 수 있다. 연화열처리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냉간압연 풀 하드 미세조직에는 구상화된 세멘타이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통상의 연속 소둔 라인의 소둔열처리 구간에서 재고용 되지 않은 구상화된 세멘타이트에 의해 최종 재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간 압연 풀하드 조직에서 기인하는 재질 열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제 1 소둔열처리를 행한다.
두 번째로, 이어지는 제 2 소둔열처리에서 래쓰형 M-A를 형성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전 조직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2 소둔 중 저온상 조직은 오스테나이트로 역변태 하며 그 결과로 래쓰 형 페라이트, 래쓰형 M-A,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라멜라 구조로 나타나 종래의 열처리 공정에서 형성되는 괴상형 조직보다 고연신율을 얻을 수 있다.
제 1 소둔열처리에서 얻어진 저온상 조직은 제 2 소둔열처리에서 래쓰형의 조직으로 발달하므로 저온상 조직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제 1 소둔열처리 이후 존재하는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제 2 소둔열처리 이후까지 남아 인장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제 1 소둔온도는 Ac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 1 소둔온도가 Ac3 미만 온도이면, 이상역에서 페라이트 내 존재하는 구상화된 세멘타이트의 재용해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재질에 악영향을 준다.
반대로, 제 1 소둔열처리 온도가 Ac3+30℃을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 크기가 조대화되어 목표로 하는 인장 물성을 달성하기 어렵다. 또한, 통상의 연속 소둔 라인에 적용하기 어려워 생산성이 감소하므로 제 1 소둔열처리 온도는 Ac3 내지 Ac3+30℃가 바람직하다.
제 2 소둔열처리 단계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소둔열처리가 완료된 냉연강판에 대해서 제 2 소둔열처리가 수행된다. 제 2 소둔열처리는 제 2 소둔처리 및 다단 냉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제 1 소둔열처리가 완료된 냉연강판을 상온에서 제 2 소둔온도까지 승온한다(S21). 상온에서 제 2 소둔온도 구간까지 가열하는 승온 속도는 따로 제한하지 않고 통상의 가열로 설비의 승온 속도를 따른다.
이상역인 (Ac1+Ac3)/2 이상 Ac3 미만의 제 2 소둔온도에서 30~120초간 제 2 소둔처리를 수행한다(S22). 제 2 소둔처리는 제 1 소둔열처리에서 생성된 전 조직 내 저온상이 역변태되어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제 2 소둔온도가 (Ac1+Ac3)/2 미만이면, 페라이트 면적율이 70%을 초과하여 적절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제 2 소둔온도는 (Ac1+Ac3)/2 이상이어야 한다.
제 2 소둔온도가 Ac3 이상이면, 전 조직의 저온상이 모두 오스테나이트로 역변태함으로 괴상형 조직이 만들어져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래쓰형 페라이트 및 래쓰형 M-A 조직을 얻을 수 없으므로 제 2 소둔온도는 Ac3 미만이어야 한다.
제 2 소둔처리 중 전 조직 내 저온상이 역변태하며, 오스테나이트 내로 C 및 Mn의 재분배가 일어난다. 충분한 역변태와 합금 원소 재분배를 위해 소둔 시간은 길수록 바람직하나 소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경우 생산성 저하가 우려되므로 소둔 시간은 30초에서 120초 이내로 제한한다.
제 2 소둔처리가 완료된 냉연강판을 제 3 냉각속도로 서냉하는 3차 냉각이 수행된다(S23). 3차 냉각을 수행하는 경우, 3차 냉각종료온도는 펄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700℃ 이상, 예를 들어 700℃ 내지 800℃ 범위를 가진다. 펄라이트 조직은 탄소를 세멘타이트 내에 구속시켜 이어지는 과시효 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로 탄소를 농화시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는 기작을 방해하여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재질을 확보하기 어렵게 한다. 냉각속도는 따로 제한하지 않으나 냉각 중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다량 생성되지 않도록 냉각속도는 바람직하게 5℃/초 이상, 예를 들어 5~10℃/초 범위를 가질 수 있다.
3차 냉각된 냉연강판을 (2×Ms+3×Bs)/5-40℃ 내지 (2×Ms+3×Bs)/5+20℃ 온도까지 15℃/초 이상의 제 4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4차 냉각 단계(S24) 및 4차 냉각종료온도에서 30초 내지 300초간 과시효(Overaging)하는 단계(S25)가 수행된다. 여기서, Ms 및 Bs는 상술한 식(1) 및 식(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제 2 소둔처리 된 강판을 (2×Ms+3×Bs)/5-40℃ 내지 (2×Ms+3×Bs)/5+20℃ 온도까지 냉각하고, 해당 온도 범위에서 30~300초간 유지하여 C 및 Mn 합금 원소의 재분배를 유도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안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4차 냉각시 제 4 냉각 속도가 15℃/초 미만인 경우 냉각 중 폴리고날 페라이트 혹은 펄라이트가 생성되어 최종 강의 인장 물성 열위를 초래하므로 냉각 속도는 15℃/초 이상으로 하며, 예를 들어, 15~100℃/초 이하의 범위로 냉각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조성의 강에서 베이나이트 변태 곡선의 노즈(nose) 온도(베이나이트 노즈온도라고 함)는 (2×Ms+3×Bs)/5로 정의되며, 베이나이트 노즈온도에 근접할수록 베이나이트 변태가 촉진되므로 베이나이트 노즈 온도를 포함하는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에서 과시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과시효 온도 범위는 4차 냉각종료온도의 범위에 해당된다.
4차 냉각종료온도가 (2×Ms+3×Bs)/5-40℃ 미만이면 과시효 시간 동안 베이나이트 변태가 부족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재질을 얻을 수 없다. 더욱이 4차 냉각종료온도가 Ms 미만이면 마르텐사이트 변태와 템퍼링이 일어나므로 충분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4차 냉각종료온도 혹은 과시효 온도는 Ms 이상이어야 한다.
4차 냉각종료온도가 (2×Ms+3×Bs)/5+20℃ 초과이면 베이나이트 변태가 부족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4차 냉각종료온도가 높아질수록 과시효 중 펄라이트가 생겨 강도와 연신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과시효 중 온도는 등온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과시효 중에 냉각되는 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과시효 중 프레쉬 마르텐사이트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과시효 온도는 Ms 이상이어야 한다.
과시효는 30~300초간 수행될 수 있다. 과시효 시간이 30초 미만이면 C, Mn의 충분한 확산을 유도할 수 없다. 300초를 초과하면 C, Mn의 재분배가 과도해져 본 발명에서 달성코자 하는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과시효 단계(S25)가 완료된 후 상온까지 냉각한다. 상온까지의 냉각 속도는 따로 한정하지 않으나 생산성을 위해 10℃/초 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과시효 중 C, Mn의 재분배 효과는 오스테나이트 형상에 따라 다르며, 괴상형 보다 래쓰형에서 재분배 속도가 더 빠르다. 래쓰형에서 C, Mn의 확산 거리가 더 짧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 동안 확산이 더 수월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오스테나이트의 형상에 따라 최종 냉각 이후 상이 달라진다. 괴상형 오스테나이트는 괴상형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어 연신율 확보에 불리하고, 래쓰형 오스테나이트는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복합상)으로 남아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의한 변형 중 연신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험예에 대한 분석 및 측정과 관련하여, 미세조직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내 탄소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XRD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기계적 특성은 Zwick/Roell Corp Z100을 이용해 KS 5호 규격에 따라 인장 시험을 진행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강을 준비하고, 소정의 열연, 냉연 공정 및 열처리 공정을 거쳐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따른 냉연강판을 준비하였다. 잔부는 철(Fe)이다.
강종 C Si Mn Cr Nb Mo B P S
A 0.35 1.70 1.2 0.4 0.02 0.05 0.002 0.01 0.003
B 0.35 1.7 1.6 - 0.02 - 0.002 0.01 0.003
표 2에는 실험식을 통해 도출한 각 강종에서의 베이나이트 시작온도(Bs), 마르텐사이트 시작온도(Ms) 및 베이나이트 노즈온도가 나타나 있다. Ms, Bs는 상술한 식(1) 및 식(2)를 통해 계산하였다. 베이나이트 노즈온도는 (2×Ms+3×Bs)/5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강종 Bs Ms 베이나이트 노즈온도
A 516 316 437
B 510 305 429
상술한 강종의 슬라브를 1200℃에서 재가열하여 3 시간 유지하였고, 950℃의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에서 2.4 mm의 두께로 열간압연한 후에, 550℃에서 권취하였다. 이후 600℃에서 연화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예시적으로 도 2a는 강종 A의 열연 후의 미세조직, 도 2b는 강종 A의 연화 열처리 후의 미세조직을 주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연화열처리 후 산세하여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하고, 냉간압연하여 1.2 mm의 두께의 냉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표 3의 조건으로 제 1 소둔열처리를 수행하였다.
구분 강종 소둔온도
(℃)
소둔시간
(초)
1차 냉각종료온도
(℃)
2차 냉각종료온도
(℃)
과시효시간
(초)
실시예1 B 900 60 800 25 -
실시예2 B 900 60 800 25 -
실시예3 A 900 60 800 25 -
실시예4 A 900 60 800 25 -
비교예1 A 900 60 800 25 -
비교예2 B 900 60 800 25 -
비교예3 A 850 60 600 300 180
비교예4 A - - - - -
비교예5 A 880 60 - 25 -
표 4는 제 1 소둔열처리 후의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이다. 표 4에서 F는 페라이트(ferrite)를 의미하며, 저온상은 마르텐사이트와 베이나이트를 모두 합하여 총칭하는 것이다. 표 4에 기재된 값은 각 상의 면적율(면적%)을 의미한다.
구분 강종 F
(면적%)
저온상
(면적%)
구상화
세멘타이트
(면적%)
펄라이트
(면적 %)
실시예1 B 4 96 - -
실시예2 B 4 96 - -
실시예3 A 1 99 - -
실시예4 A 1 99 - -
비교예1 A 1 99 - -
비교예2 B 4 96 - -
비교예3 A 15 78 - 7
비교예4 A 93 - 7 -
비교예5 A 1 99 - -
표 4를 참조하면, 제 1 소둔열처리가 완료된 후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2는 모두 면적율로 4% 이하의 페라이트와 잔부가 저온상이 조직을 나타내었다. 이는 제 1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 단상 영역에서 유지된 강판이 다단 냉각 후 오스테나이트의 거의 대부분이 저온상으로 변태되었으며 일부가 페라이트로 변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c는 실시예 3의 제 1 소둔열처리 이후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의 구성이 면적율로 95% 이상의 저온상(회색 영역) 및 5% 미만의 페라이트(검정색 영역)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미세조직 구성요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제 1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소둔온도가 850℃로서 Ac3 미만의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이상 영역이고 1차냉각종료온도가 600℃로서 두 온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보다 낮다. 따라서 페라이트의 함량이 면적율로 15%로 실시예들에 비해 높았으며 저온상의 면적율은 78%로 낮고, 펄라이트 분율이 7%으로 높았다.
도 2d는 비교예 3의 제 1 소둔열처리 후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 1 소둔열처리에서 서냉단계인 1차냉각종료온도가 낮음에 따라 1차냉각 중 폴리고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다량 생성되어 본 발명의 제 1 소둔열처리 이후 본 발명의 미세조직의 구성 요건을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는 제 1 소둔열처리가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연화 열처리 후 냉간압연한 미세조직에 해당된다. 이에 비교예 4의 경우에는 페라이트가 면적율로 93%로서 주된 조직이며, 일부의 구상화 세멘타이트가 혼재되어 있었다.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제 1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소둔온도에서 서냉하는 1차냉각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상온으로 급냉하는 2차냉각을 수행한 것으로서 저온상이 면적율로 99%이고 1%가 페라이트인 미세조직을 나타내었다.
제 1 소둔열처리가 완료된 후 연속하여 표 5의 조건으로 제 2 소둔열처리를 수행하였다.
구분 강종 소둔온도
(℃)
소둔시간
(초)
3차
냉각종료온도
(℃)
4차
냉각종료온도
(℃)
과시효
시간
(초)
실시예 1 B 780 60 700 400 300
실시예 2 B 780 60 700 440 180
실시예 3 A 780 60 800 440 180
실시예 4 A 820 60 800 400 300
비교예 1 A 820 60 800 480 180
비교예 2 B 820 60 800 440 15
비교예 3 A 780 60 700 400 180
비교예 4 A 780 60 700 400 180
비교예 5 A 880 120 650 400 180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 1 소둔열처리와 제 2 소둔열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표 7에 기재되어 있듯이 기계적 특성의 목표값을 모두 달성하였다.
비교예 1은 제 2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4차 냉각종료온도가, 강종 A일 경우에 본 발명의 4차 냉각종료온도 범위인 396℃ ~ 456℃를 상회하였다.
비교예 2는 제 2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4차 냉각종료온도에 도달한 이후 수행되는 과시효의 수행시간이 15초로서 본 발명의 과시효 시간인 30초 내지 300초 범위를 하회하였다.
비교예 4는 제 1 소둔열처리가 수행되지 않고 제 2 소둔열처리만 수행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소둔열처리를 1회만 수행한 것이다.
비교예 5는 제 2 소둔열처리의 소둔온도가 Ac3 이상인 880℃로서, 본 발명의 범위인 (Ac1+Ac3)/2 내지 Ac3인 범위를 상회하였다. 또한 제 2 소둔열처리시 3차 냉각종료온도가 650℃로서, 본 발명의 3차 냉각종료온도 범위인 700℃ 이상보다 하회하였다.
표 6은 제 2 소둔열처리 후의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이다. 표 6에서, Lath α는 래쓰형 페라이트, Lath M-A는 래쓰형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복합상), PF는 폴리고날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 Blocky M-A는 괴상형 M-A, RA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α'는 마르텐사이트(프레쉬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를 모두 포함), 기타 조직은 펄라이트 혹은 오스테나이트 분해 조직을 나타낸다. 표 6에 기재된 값 중 상분율에 대한 것은 각 상의 면적율(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탄소농도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내에 함유된 탄소의 농도를 중량%로 나타낸 값이다.
구분 강종 Lath
α
Lath M-A Lath
총합
PF Blocky M-A RA α' 기타 탄소
농도
실시예1 B 53.1 24.3 77.4 2.2 5.2 15.3 - - 1.39
실시예2 B 50.1 27.6 77.7 1.1 4.7 16.5 - - 1.37
실시예3 A 43.7 26.4 69.1 1.0 10.9 19.0 - - 1.26
실시예4 A 42.5 28.6 71.1 1.1 12.6 15.2 - - 1.41
비교예1 A 36.7 32.4 69.1 1.3 16.8 12.8 - - 1.31
비교예2 B 43.2 39.5 82.7 < 1 5.2 12.2 - - 1.33
비교예3 A 6.0 4.8 10.8 17.4 3.5 7.1 - 61.2 1.28
비교예4 A - - - 6.8 6.2 6.2 - 80.8 1.24
비교예5 A - - - 40.5 1.2 7.8 50.5 - 1.3
표 7은 제조된 제 1 및 제 2 소둔열처리가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물리적 및 기계적 물성으로서, 인장강도(TS), 및 연신율(EL),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곱(TS×EL)을 나타낸다.
구분 강종 TS(MPa) EL(%) TS×EL(MPa%)
실시예1 B 1017 41.0 41,713
실시예2 B 1074 35.1 37,708
실시예3 A 1200 26.7 32,032
실시예4 A 1218 27.8 33,863
비교예1 A 1280 19.9 25,468
비교예2 B 1138 24.0 27,310
비교예3 A 1004 21.7 21,787
비교예4 A 932 18.5 17,242
비교예5 A 1266 7.4 9,368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면적율(면적%)로, 40 내지 60%의 래쓰형 페라이트, 20 내지 30%의 래쓰형 M-A, 1 내지 15%의 괴상형 M-A, 15 내지 25%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5%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 5% 이하의 마르텐사이트(프레쉬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 5% 이하의 기타 조직(펄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 분해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미세조직 구성을 만족한다. 또한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인장강도가 980MPa 이상, 연신율이 25% 이상, TS×EL가 30,000MPa% 이상인 본 발명의 목표값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인장강도 980MPa이상 연신율 35% 이상을 나타내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은 인장강도 1200MPa 이상 연신율 25% 이상의 인장 물성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따르는 조성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소둔열처리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을 통해 최적의 미세조직을 구현함으로서 우수한 인장강도 및 성형성을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a는 제 2 소둔열처리후, 실시예 1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며, 도 5는 이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5를 참조하면,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도 5의 Lath F+M-A)가 혼합된 조직인 주된 조직이며 일부 폴리고날 페라이트, 괴상형 M-A,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관찰된다.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가 혼합된 조직을 참조하면, 래쓰형 페라이트(검정색 영역)는 래쓰형 M-A(회색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는 각 상의 장축방향이 거의 같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는 상기 장축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진다.
과시효 단계에서 C, Mn의 재분배는 래스형이 괴상형에 비해 더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래쓰형이 괴상형에 비해 C, Mn의 확산거리라 짧기 때문이다. 도 5에 나타난 각 상들의 C의 함량을 FE-EPMA로 분석할 결과를 도 7에 도시하였다.도 7a는 래쓰형 조직과 그 주변 기지상, 도 7b는 괴상형 조직과 그 주변 기지상의 미세조직과 C의 분포도를 나타내며, 주변 기지상과 래쓰 및 괴상형 조직의 C 함량 분포를 비교했을 때 래쓰형에서 더 많은 C 농화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b는 제 2 소둔열처리후, 실시예 3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유사한 래쓰형 조직이 주된 조직이며, 폴리고날 페라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일부 관찰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실시예 3은 미세조직 내 래쓰형 페라이트가 감소하고 괴상형 M-A가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7을 참조하면,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1은 제 2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4차 냉각종료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높은 온도이며, 또한 4차 냉각종료 후 과시효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실패하여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연신율 25% 이상 및 TS× EL: 30,000 MPa%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도 4a는 제 2 소둔열처리 이후, 비교예 1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a, 표 6 및 표 7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은 과시효온도(즉 4차 냉각종료온도)가 높아 베이나이트 변태가 불충분하여 페라이트 분율은 36.7%으로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이고, 괴상형 M-A 분율은 16.8%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고 있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비교하여 래쓰형 페라이트가 부족하고 괴상형 M-A 분율은 과다하여 강도는 높고 연신율이 낮다.
비교예 2의 경우는 제 2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과시효시간이 15초로서 본 발명의 범위보다 짧아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실패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보다 강도는 높으나 연신율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은 제 2 소둔 열처리 단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실시되었음에도 제 1 소둔 열처리 단계를 적절한 소둔 온도 범위 외에서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 냉연강판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모두 본 발명의 목표값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4b는 제 2 소둔열처리 이후, 비교예 3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소둔열처리에서 형성된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제 2 소둔열처리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소둔열처리에서 형성된 펄라이트는 제 2 소둔열처리 시 소둔 단계에서 괴상형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여 오스테나이트 상 안정도가 낮다. 따라서 서냉 구간인 3차 냉각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는 펄라이트로 변태하거나 세멘타이트 조직으로 분해된다. 3차 냉각종료온도가 낮을 경우 폴리고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의 변태 및 오스테나이트의 분해로 인해 래쓰형 조직과 충분한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할 수 없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인장강도 및 연신율 목표값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4는 제 1 소둔열처리를 수행하지 않았으므로 종래와 같이 1회 소둔열처리를 수행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인장강도 및 연신율 목표값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4c는 제 2 소둔열처리 이후, 비교예 4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미세조직 내 다량의 구상화된 세멘타이트가 존재하며, 이는 연화열처리 후 미세 조직 내 존재하는 구상화된 세멘타이트가 재고용되지 않고 소둔열처리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도 2b는 강종 A를 가지는 열연강판을 연화열처리한 후 미세조직을 관찰한 것으로 다량의 구상화된 세멘타이트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모두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값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5는 제 2 소둔열처리시 제 2 소둔온도가 Ac3 이상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 제 2 소둔온도가 Ac3 이상인 경우, 소둔 중 괴상형 오스테나이트가 발달하고 냉각 중 일부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형성되고 남은 오스테나이트는 괴상형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한다. 이에 따라 래쓰형의 미세조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2회에 걸쳐 소둔열처리하는 이점이 없어진다. 도 4d는 제 2 소둔열처리 이후, 비교예 5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마르텐사이트와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주된 조직을 이루고 있으며,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냈으나 연신율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값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소둔열처리에서 다량의 저온상 조직을 확보하고, 제 2 소둔열처리에서 래쓰형의 페라이트와 M-A, 괴상형 M-A,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적절히 확보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인장 강도와 연신율이 균형을 이룬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 1 소둔열처리 및 제 2 소둔열처리를 하지 않으면, 초기 조직에 존재하는 구상화된 세멘타이트 재고용이 어려워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인장 물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6)

  1. 중량%로, 탄소(C): 0.28% 내지 0.4%, 실리콘(Si): 1.0% 내지 2.0%, 망간(Mn): 1.0% 내지 3.0%,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니오븀(Nb): 0.01% 내지 0.05%, 인(P): 0% 초과 0.02% 이하, 황(S): 0% 초과 0.003% 이하, 붕소(B): 0.001% 내지 0.005%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냉연강판이며,
    미세조직은, 면적율로, 40 내지 60%의 래쓰형 페라이트, 20 내지 30%의 래쓰형 M-A, 15% 이하(0초과)의 괴상형 M-A, 15 내지 25%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로, 0% 초과 2.0% 이하의 크롬(Cr) 및 0% 초과 0.2% 이하의 몰리브덴(M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되,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의 합은 3.0% 이하인,
    초고강도 냉연강판.
  3. 제 1 항에 있어서,
    0% 초과 5%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 0% 초과 5% 이하의 마르텐사이트 및 0% 초과 5% 이하의 기타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프레쉬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타 조직은 펄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 분해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쓰형 페라이트 및 래쓰형 M-A는 장축길이를 단축길이로 나눈 비율(장축길이/단축길이)인 종횡비가 3 이상인,
    초고강도 냉연강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쓰형 페라이트와 래쓰형 M-A는 래쓰형 페라이트 및 래쓰형 M-A 중 어느 하나의 장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라멜라(lamellar) 형태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강도(TS)는 980MPa 이상 1300 MPa 이하, 연신율(El)은 25% 이상 45% 이하, 인장강도(TS)와 연신율(EL)의 곱(TS×EL)은 30,000 이상 45,000MPa% 이하의 범위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
  7. 중량%로, 탄소(C): 0.28% 내지 0.4%, 실리콘(Si): 1.0% 내지 2.0%, 망간(Mn): 1.0% 내지 3.0%, 알루미늄(Al): 0.01% 내지 0.3%, 니오븀(Nb): 0.01% 내지 0.05%, 인(P): 0% 초과 0.02% 이하, 황(S): 0% 초과 0.003% 이하, 붕소(B): 0.001% 내지 0.005%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제 1 소둔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 1 소둔열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2 소둔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소둔열처리된 냉연강판을 과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소둔열처리 단계는, Ac3 이상의 제 1 소둔온도에서 제 1 소둔처리 후 Ms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소둔열처리 단계는, (Ac1+Ac3)/2 이상 Ac3 미만의 제 2 소둔온도에서 제 2 소둔처리 후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시효 단계는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0% 초과 2.0% 이하의 크롬(Cr) 및 0% 초과 0.2% 이하의 몰리브덴(M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되,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의 합은 0.3% 이하인,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둔처리 후 Ms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소둔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1 냉각속도로 700℃ ~ 800℃ 범위를 가지는 1차 냉각종료온도로 1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냉각 후 제 1 냉각속도보다 빠른 제 2 냉각속도로 Ms 이하의 온도인 2차냉각종료온도로 2차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각속도는 5℃/초 내지 20℃/초 범위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각속도는 15℃/초 내지 300℃/초 범위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둔 열처리가 완료된 냉연강판은, 면적율로, 5% 미만의 페라이트와 잔부가 저온상인 미세조직을 가지되,
    상기 저온상은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둔처리 후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소둔처리된 냉연강판을 제 3 냉각속도로 700℃ ~ 800℃ 범위를 가지는 3차 냉각종료온도로 3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냉각 후 제 3 냉각속도보다 빠른 제 4 냉각속도로 (2×Ms+3×Bs)/5-40℃ 내지 (2×Ms+3×Bs)/5+20℃ 범위의 4차 냉각종료온도로 4차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냉각속도는 5℃/초 내지 10℃/초 범위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냉각속도는 15℃/초 내지 100℃/초 범위를 가지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시효 단계는 30 내지 300초 범위로 수행되는,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PCT/KR2023/013683 2022-12-29 2023-09-13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414376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695 2022-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3768A1 true WO2024143768A1 (ko) 2024-07-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4605A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8117501A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145563A2 (ko) 열처리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간성형 가공용 강판, 열처리 경화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20067752A1 (ko) 구멍확장성이 높은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20050573A1 (ko) 항복강도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9222A1 (ko) 용접성 및 버링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7188654A1 (ko)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22159A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17989A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51998A1 (ko) 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82098A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54254A1 (ko)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88552A1 (ko) 냉간압연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25018A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19253A1 (ko)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4143768A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4144041A1 (ko)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068763A1 (ko) 친환경 고강도 고성형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039774A1 (ko) 저온 충격인성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80657A1 (ko)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136222A1 (ko)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14634A1 (ko) 냉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096453A1 (ko) 연신율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21182A1 (ko) 내구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산업용 또는 자동차용 부품
WO2023234502A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