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01519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01519A1
WO2024101519A1 PCT/KR2022/020092 KR2022020092W WO2024101519A1 WO 2024101519 A1 WO2024101519 A1 WO 2024101519A1 KR 2022020092 W KR2022020092 W KR 2022020092W WO 2024101519 A1 WO2024101519 A1 WO 20241015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storage unit
cabinet
pump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00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훈
정성운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074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69336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1015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01519A1/ko

Links

Ima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and to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includes a detergent supply device for supplying detergent.
  • 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can perform a laundry cycle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laundry by putting clothes, bedd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undry) into a drum.
  •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can perform a rinsing course, spin-drying course, and drying course.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containing laundry.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injects detergent into the tub or drum to perform a washing cycle, etc. If the drum rotates while washing water and detergent are supplied into the tub, contaminants may be removed from the laundry due to friction between the drum and the washing water.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have a detergent supply function to improve the washing effect.
  • the detergent may include all substances that enhance the washing effect, such as a washing agent that induces the decomposition and separation of contaminants, a softener that improves the fiber flexibility of laundry, and a bleach that improves color contamination of laundry.
  • Detergents may include both powder and liquid form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7549 discl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conventional detergent supply device.
  • a conventional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a drawer that can be withdrawn from a cabinet and a detergent flow path provided in the drawer to guide detergent to the tub.
  • the conventional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described above was a method in which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flow path was supplied to the tub along with water.
  • a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automatically supplies detergent for each washing cycle. Furthermore, by adding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o a clothes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the user can A method to selectively use a detergent supply device has also been developed.
  •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tub is higher than that of the front loading method in which the inlet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is increased, and a control panel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abinet along with an inlet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so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more limit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0013 discl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ing a detergent reservoi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s described above.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added to the existing structure equipped with a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and the detergent reservoir in which the detergent is store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 secure installation space for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various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problems of securing space and efficient use of space for the various configurations still remain.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in addition to the storage bin where the automatic detergent is stored, a plurality of hoses for flowing the automatic detergent, a detergent pump for pumping the detergent, and a mixing tank for mixing the automatic detergent and water and providing it to the tub.
  • a plurality of hoses for flowing the automatic detergent
  • a detergent pump for pumping the detergent
  • a mixing tank for mixing the automatic detergent and water and providing it to the tub.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the above-mentioned published patent document has a mixing tank for mixing automatic detergent and water placed outside along with a storage tank.
  • a mixing tank for mixing automatic detergent and water placed outside along with a storage tank.
  • the size of the reservoir needs to be reduced by the mixing tank, and furthermore, a plurality of hoses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are still need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whe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addition to a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designed efficiently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and further develop a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the secured space. This is an important task in this technical field.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ha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storing detergent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er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bo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and a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use either one selectivel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top loader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effectively installed.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improved detergent storage capacity by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is efficiently disposed in a limited space and has improved space utilization.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and a second storage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 the first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Accordingly, the first detergen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tub by the detergent pump.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rgent pipe connecting the detergent pump and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first detergent in the first storage uni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through a detergent pump in the absence of a mixing tank, and in the second storage unit, the first detergent is mixed with the second detergent and water. It can be mixed with and discharged into the tub.
  • the first storage unit,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detergent pump may all be located rearward of the tub and may be provided on the top cover of the cabinet.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unit may be exposed above the top cover, and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detergent pump may be formed inside the top cover and disposed in a cover space that forms part of the interior of the cabinet.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a tub, a first storage unit, a second storage unit, a detergent pump, a detergent pipe, and a water supply pipe.
  • the cabinet includes a top cover equipped with an inlet.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may be a top loader type.
  • a tub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ter, and has a tub opening facing the inlet.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 store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ccommodates the second deterg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tub.
  • a detergent pump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to flow the first detergent.
  • the detergent pipe connects the detergent pump and the second storage unit to guide the first detergent to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water supply pipe guid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are mixed with water inside the second storage unit and discharged through the tub opening.
  • the first storage unit,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detergent pump may be located rearward of the tub.
  • the top cover may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and a rear portion located rearward of the door.
  • the first storage unit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and the detergent pump may be disposed in a cover space formed inside the rear portion.
  •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detergent pump may be provided inside the top cover and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detergent pump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PCB module including a PC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tu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detergent pump, the second storage unit,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the PCB module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 a pump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detergent pump and the pump control module may be arrang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detergent pumps are provided in plural,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etergent pumps may b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pump control module.
  • the detergent pumps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second storage unit is provided in a cover space formed inside the top cover, and a pump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includes a PCB on the other side. PCB modules can be placed.
  • the detergent pump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nd seated on the pump control module.
  • the detergent pump and the second storage unit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detergent pump may include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and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out.
  •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detergent pump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that is penetrated by a penetrating member and fixed to the cabinet, and a second coupling part that is fixed by a hook provided in the cabinet.
  • the detergent pump is coupled to the outlet pipe and includes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the inlet port has a hollow, a suction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uction hol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suction hole. It includes an extension groove extending toward one end of the inlet port, and the first detergent of the outflow pipe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pump along the extension groove, the suction hole, and the hollow.
  • the first storage unit may include a storage body that stores the first detergent and includes a detergent valve that opens when coupled to the cabinet and closes when removed from the cabinet.
  • the storage body may be mounted on or removed from the cabine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first storage unit is provided on the top cover, is provided so that the storage body is detach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unit including a fastening pipe inserted into the storage body.
  • the detergent pump may receive the first detergent through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fastening pipe inside the cabinet.
  • the detergent pump is located below the first storage unit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body through the outlet pipe, and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orage unit and passes through the detergent pipe to the second storage body. can be connected with
  • the second storage un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water supply valv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that includes the water supply pipe and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second storage unit, wherein the water supply module causes water to flow out of the second storage unit rather than the inlet hole through which water flows from the water supply valve. There may be more exit holes available.
  • the second storage unit may include a storage case including a first chamber and a drawer that accommodates the second detergent and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first chamber.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through the detergent pipe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mixed with the second detergent in the first chamber and discharged into the tub.
  • the receiving case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the detergent pipe into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and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chamber are in communication so that the first detergent is delivered to the first chamber. You can.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n inl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ter, and provided with a tub opening facing the inlet,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There may be a first storag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storing the first detergent, a second storage par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containing the second detergent, and communicating with the tub, and inside the cabinet.
  • the detergent pump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 a pump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may be stacked vertically with the pump control module.
  •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tu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long the width direction.
  • a PCB module including a PC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long the width direction.
  •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PCB module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n inl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ter, and provided with a tub opening facing the inlet,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 the detergent pump and the pump control module may be arrang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pump control module and the detergent pump may be align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 the detergent pumps are provided in plural,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etergent pumps may b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pump control module.
  • a PCB module including a PC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long the width direction.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ha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storing detergent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er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bo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and a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either one selectivel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op loader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effectively installed.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improved detergent storage capacity by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is efficiently disposed in a limited space and has improved space utiliza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FIG. 1 opened.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storage portion in which the storage body is detachable in the height dir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storage portion in which the storage body is detachable in the width dir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orage body of the first storage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torage cap opened in the storage bod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dy from below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first storage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hook groove of the mount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abinet with the mounting portion separ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plod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detergent pump and a second storage unit provided inside a cabin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top view of the detergent pump and second storage unit of Figure 14 as seen from above.
  • Figure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pump and second storage unit of Figure 14 viewed from the rear.
  •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detergent pipe removed from the detergent pump and second storage unit of FIG. 14.
  •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width direction arrangement structure inside the cabin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rgent pump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detergent pump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combined with detergent pipe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fixed inside a cabin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detergent pump and the through coupling portion of the cabin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5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detergent pump and the hook part of the cabin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7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1 is a diagram showing a detergent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of the plurality of listed items.
  •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 FIG. 1 shows the exterior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the door 110 open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10.
  • the cabinet 10 has a defined space inside and may be provided in an approximate pillar shape.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top cover 100 provided with an inlet 101 and a cabinet body 15.
  • the cabinet body 15 may form a space inside which the tub 20 and the drum 30 are provided,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open.
  • the cabinet body 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nels, such as a front panel, a rear panel, a side panel, etc., and a base or bottom panel constituting the floor, and at least two or more panels may be molded as one piece.
  • the top cover 10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cover 100 may be open to form an inlet 101 through which clothes are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
  • the top cover 100 may include a cover spac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ver space 140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10.
  • the top cov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110.
  • the door 110 may be rotatable so as to cover the inlet 101. That is, the door 11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put port 101.
  •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50.
  • the control panel 50 may include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n input unit that is operated by the user to generate an input signal.
  • the top cover 100 may include a front part 120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110 and a rear part 130 located behind the door 110.
  • the control panel 5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rt 120.
  • a first storage portion 200 may be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130 of the top cover 100.
  •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store the first detergent and may be provided to supply the first detergent into the tub 20 when a laundry cycle for clothes is performed.
  • Figure 1 shows the storage body 210 in which the first detergent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00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cover 100.
  •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 can be defined as an area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the cover space 140 formed inside the top cover 1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and can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1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 portion 130 of the top cover 10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ear portion 130 of the top cover 100 and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abinet 10.
  • the user may store the first detergent in the storage body 210 while the storage body 210 is coupled to the cabinet 10, or separate the storage body 210 from the cabinet 10 to store the first detergent. Alternatively, the storage body 210 can be cleaned.
  •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ub 20 and a drum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the tub 20 may contain water therein and may include a tub opening 22 that opens toward the inlet 101.
  • the inlet 101 may be located in the top cover 100, and the tub opening 22 of the tub 20 may also be open upward. That is,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p loader type whose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 the drum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20.
  • the drum 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20, and clothing may be accommodated therein.
  • the drum 30 may include a drum opening 32 open toward the inlet 101.
  • the tub 20 and the drum 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31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 a first storage unit 200 and a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 the top cover 100 may have a cover space 140 formed inside the rear portion 130 located behind the door 110.
  • the top cover 100 may be opened to expose the cover space 140 upward, and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240 provided to cover the open surface of the cover space 140. there is.
  •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storage body 210 in which the first detergent is stored,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mounted on the top cover 100 to the mounting unit 24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located in the cover space 140.
  • the first detergent from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can accommodate a second detergent therein, and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tub 20 together.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600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cabinet 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600. there is. Accordingly,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may be mixed with water in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discharged into the tub 20.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40.
  • the driving unit 40 may be located below the tub 20 and connected to the drum 30 through a driving shaft penetrating the tub 20. That is, the drum 30 can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unit 40 through the drive shaft inside the tub 20.
  • a rotating part 35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drum 30.
  • the rotating part 35 may be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30 from above, and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rum 30 or independently from the drum 30.
  • the rotating unit 35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
  • the drive unit 40 may include a transmission unit, etc., and the drive shaft may include a solid shaft and a hollow shaft 442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 One of the solid shaft and the hollow shaft 442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30, and the other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35.
  • a suspension 2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to support the tub 20 to the cabinet 10.
  • the suspension 25 includes an elastic body, etc. and may be provided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tub 20.
  •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drum 30 or the driving unit 4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ub 20 is attenuated through the suspension 25, and thus the amount of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abinet 10 can be reduced.
  • a drain unit 700 may be connected to the tub 20. As the washing course progresses, wash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may be discharged from the tub 20 through the drain unit 70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Figure 4 shows a storage body 210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binet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abinet 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torage body 210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binet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is shown.
  • the storage body 210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abinet 10.
  • the mounting portion 240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top cover 100,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portion 240.
  • the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torage body 210 may vary, and the direction of detachment may also vary.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cabinet 10 or coupled to the cabinet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abinet 1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cabinet 10 or coupled to the cabinet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 the first storage body 211 is coupled to the cabinet 10,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240,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 the second storage body 212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40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Y).
  • the cabinet 10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alls of a building in the user's living environment, and accordingly, the storage body 210 is coupled to the cabinet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so that the cabinet 10 has two sides. Even if space is limited, they can be combined effectively.
  • the entire width of the storage body 210 coupled to the cabinet 10 is the entire width of the cabinet 10. It can be designed to be narrower.
  • the width direction (Y) movement distance required to separate the storage body 210 may be defined within the entire width of the cabinet 10.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ody 210 can be moved, combined, and separated within the width of the cabinet 10, allowing efficient use of space.
  • Figure 6 shows a storage body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the storage body 210 with the storage cap 214 in an open state.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 space within which the first detergent is stored.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and a detergent input hole 216 for introducing detergent may be formed.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 storage body 213 and a storage cap 214.
  • the storage body 213 may inclu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detergent is stored, may include the detergent input hole 216, and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storage cap 214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storage body 213.
  • the storage cap 214 may be provided to close or open the detergent input hole 216.
  • the storage cap 214 may form part of the exterior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n external part 215.
  • the exterior part 215 may be provided on the storage body 213 to form part of the exterior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exterior part 21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213 together with the storage cap 214. That is, the exterior part 215 and the storage cap 214 together form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and can improve the external completeness of the storage body 210.
  • Figure 8 shows the storage body 210 viewed from below.
  • the storage body 213 may include a storage bottom 22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storage bottom 220 may be positioned on the mounting portion 240 and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240 .
  • the storage bottom 220 may be provided with a detergent valve 225.
  • the detergent valve 225 may be in an open or closed state.
  • the detergent valve 225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body 213 in the open state.
  • the detergent valve 225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Y).
  •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bottom 220 may be provided with a floor slope 221 inclined toward the detergent valve 225.
  • the floor slope portion 22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floor portion 220.
  • the detergent valve 225 can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floor 220 due to the bottom slope 221.
  • the floor slope portion 221 may be inclined closer to the ground as it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cabinet 1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 the storage bottom 220 may include a floor damper 223 that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mounting portion 240.
  • the floor damper 223 may be made of a high-friction material such as rubber, or may be a high-elasticity material.
  • the floor damper 223 can support the storage body 210 from the mounting part 240 and remove the clearance between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mounting part 240.
  • the storage bottom 220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protrusion 217.
  • the variable protrusion 21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torage bottom 220, and may be provided to have a variable protrusion amount.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button 218 that is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protrusion 217 can be changed in conjunction with the variable button 218.
  • the user can change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variable protrusion 217 by manipulating the variable button 218.
  • the storage body 210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abinet 10 or the mounting unit 240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variable protrusion 217.
  • the variable protrusion 217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body 210 or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mounted on or removed from the cabinet 10 with the variable protrusion 217 protruding. This cannot be done, and the storage body 210 can be mounted on or removed from the cabinet 10 while the variable protrusion 217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body 210.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 bottom side wall 222.
  • the bottom side wall 222 may extend along the perimeter of the storage bottom 220 and protrude toward the mounting portion 240.
  • the bottom side wall 222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torage floor portion 220.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bottom 220, such as the detergent valve 225,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at the front and rear by the bottom side wall 222.
  • Figure 9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Each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s follows.
  •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storage body 210 and a mounting unit 24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and may store the first detergent.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fixed to the cabinet 10 and may form a part of the cabinet 10 .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 storage body 213 in which a space in which the first detergent is stored is formed.
  • the storage body 213 may include a detergent input hole 216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 the detergent input hole 21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3, and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torage cap 214 coupled to the storage body 213.
  • An exterior part 215 may be provided in an area excluding the storage cap 21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3, and the exterior part 215 and the storage cap 214 are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can be formed.
  • a storage bottom 2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213.
  • the storage bottom 220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body 213 and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3, or is molded together with the storage body 213 to form a part of the storage body 213. It may apply.
  • Variable protrusions 217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body 213 or the storage bottom 220.
  • the variable protrusion 21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torage bottom 220.
  • the variable protrusion 217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mount of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torage bottom 220 is variable.
  • the storage body 213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button 218 connected to the variable protrusion 217.
  •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protrusion 217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button 218.
  • the user can operate the variable button 218 to the first state so that the variable protrusion 217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bottom 220,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variable button 218 to the second state, the variable protrusion 217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bottom 220.
  • the variable protrusion 217 may change its position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torage bottom 220.
  • a mounting portion 240 may be located below the storage bottom 220.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252 on which the bottom slope portion 221 of the storage floor portion 220 is seated.
  • the seating surface 252 may have an inclined shape to correspond to the floor slope 221.
  • the mounting unit 240 may include a fastening pipe 242, and the fastening pipe 242 may penetrate the seating surface 252 and a portion of the fastening pipe 242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252.
  • the fastening pipe 242 can be inserted into the detergent valve 225 of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detergent valve 225 is open when the fastening pipe 242 is inserted and closed when the fastening pipe 242 is separated. It can be a state.
  • FIG. 10 shows the appearance of the mounting portion 240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200.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0 of the top cover 100,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coupled thereto.
  • the fastening pipe 242 When the storage body 21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4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the fastening pipe 242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surface 252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It can be extended accordingly. Accordingly, the fastening pipe 242 can be inserted into the detergent valve 225 of the storage body 210 that is detach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a central portion 241 protruding upward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24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Y). That is, the central portion 241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above the seating surface 252.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include a first storage body 211 and a second storage body 212.
  • the first storage body 211 and the second storage body 212 may be moved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241 toward the central portion 241 and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40.
  • a portion of the storage bottom portion 220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entral portion 241 and supported by the central portion 241 .
  • the fastening pipe 242 may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241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include a protrusion 250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surface 252.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253 having a stepped shape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250.
  • the seating surface 252 may have a shape that is depress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50 in the mounting portion 240.
  • the hook groove 254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bove-described central portion 241 based on the seating surface 252. That is, the hook grooves 254 may be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mounting portion 240 in the width direction (Y).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include a protrusion 250 that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circumference is stepp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50 is depressed downward so that the storage bottom 220 of the storage body 210 A seating surface 252 can be formed.
  • the central portion 241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seating surface 252, and the protrusion support surface 255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 the protrusion support surface 255 may correspond to a stepped surface between the seating surface 252 and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protrusion 250.
  • the above-described hook groove 254 may be located outside the protrusion 250 in the width direction (Y).
  • a fastening hook provided in the storage body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4.
  • the above-described step portion 253 may be formed around the protrusion 250.
  • the step portion 253 is located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250 and may include a step surface located out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250 . That is, the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most surface and the stepped surface are stepped from each other.
  • the step portion 253 may be defined at leas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250 .
  • the bottom side wall 222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arranged to sl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in the step portion 253. That is, the bottom side wall 222 is located on the step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53 and can slide, and can be supported by the step surface.
  • the storage body 210 is located on the mounting portion 240 an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can be moved along.
  • the bottom slope portion 221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ositioned on the seating surface 252 of the mounting portion 240.
  • the movement of the storage body 210 in the width direction (Y) may be restricted by the central portion 241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surface 240 beyond the seating surface 252.
  • the bottom slope portion 221 of the storage body 210 is supported on the seating surface 252, so movement toward the ground may be restricted.
  • the storage body 210 can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variable button 218 is operated and the variable protrusion 217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variable protrusion 217 is installed at the mounting position.
  • the mounting process can be completed by protruding below the storage bottom 220 again.
  • variable protrusion 217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torage bottom 220 may have a protrusion support surface 255 locat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 the movement of the storage body 210 to one side of the cabinet 10 may be restricted due to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rusion support surface 255 and the variable protrusion 217.
  • the above-described hook groove 254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250 of the mounting portion 240,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241, and the hook groove 254 may be loc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It may have a sunken shape.
  • the fastening hook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4 of the protrusion 25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dur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storage body 210. As the fasten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4,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restricted.
  • the bottom side wall 222 of the storage body 210 may slide along the step portion 253 of the mounting portion 240, and accordingly, the bottom side wall 222 may have a protrusion. It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torage body 250,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rusion 250 and the bottom side wall 222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torage body 210, the storage body 21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torage body 210. The forward and backward (X) movement of 210 may be restricted.
  • the storage body 210 is stable because the movement of the cabinet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width direction (Y), and height direction (Z) as a whole may be restrict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n the mounting portion 240. can be fixed.
  •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mounting part 240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are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100, and the cover space 140 of the top cover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shown.
  • the rear portion 130 of the top cover 100 may be located rearward of the door 110 and the inlet 101.
  • a cover space 140 may be formed inside the rear portion 130.
  • the top cover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pace 140 open, and the mounting part 240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over space 140, thereby closing the cover space 140.
  •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form a part of the top cover 100.
  • a first storage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space 140, and a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 a detergent pump 400 for flowing the first detergent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 the top cover 10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inlet 101. It may include an inlet peripheral surface 102 surrounding the inlet 101. The inlet peripheral surface 102 may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drawer 340 that can be pulled out from the cover space 140, and the drawer 340 penetrates the inlet peripheral surface 102 to enter the inlet. It may be exposed as (101) and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inlet (101).
  • a connection pipe or a water supply unit 600 connected to the fastening pipe 242 may be disposed in the cover space 140.
  • FIG. 13 shows a second storage unit 300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200
  • FIG. 14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of FIG. 13. The appearance is shown.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disposed in the cover space 14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storage unit 20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located below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mounting unit 240.
  • At least part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located above the cover space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to store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s located inside the cabinet 10. It is provided, contains a second detergen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tub 20.
  •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 may be defined to include a cover space 14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101 by penetrating the above-described inlet peripheral surface 102 in the cover space 140. Accordingly, the second storage unit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ub 20 through the inlet 101.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receiving case 310 provided in the cover space 140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01 through the inlet peripheral surface 102, and the accommodating case 310 A space in which the drawer 34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 One side of the receiving case 310 facing the input port 101 may be open to form a case open surface 316.
  • the area of the inlet peripheral surface 102 corresponding to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is open so that the inside of the receiving case 310 and the inlet 101 can communicate, and the drawer ( 3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case 310.
  • a portion of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may form a detergent outflow area through which second detergent or the like flows out.
  • the lower area of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may form a detergent outflow area for the second detergent inside the receiving case 310 to flow out toward the inlet 101.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ergent pump 400.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space 140.
  • the detergent pump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200 and can flow the first detergent.
  • the first storage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400 and may correspond to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which the first detergent is automatically flowed and provided into the tub 20 during washing. .
  • a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may be provided.
  • the storage body 210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storage body 211 and a second storage body 212, and the detergent pump 400 includes the first storage body ( It may include a first detergent pump 401 connected to 211 and a second detergent pump 402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body 212.
  • the detergent valve 225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ipe 242 of the mounting part 240, and the fastening pipe 242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through the outlet pipe 410 for the first detergent to flow. It can be connected to 4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detergent pipe 42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to which the detergent pipe 420 is connected.
  •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325 that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and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etergent pipe 420 and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 connection part 325 may function as a check valve, and accordingly, fluid that may include the first detergent, second detergent, and water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300 flows through the detergent pipe 420. Backflow to the pump 400 can be prevented.
  • the storage case 31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water connection port 322 to which the water supply pipe 620 is connected, and the water supply pipe 620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the water connection port. It is connected to 322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flow process of the first detergent, the second detergent, and water are explained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 the first detergent may be stored inside the storage body 210 of the first storage unit 200,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detergent valve 225 that selectively communic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 the detergent valve 225 can basically maintain a closed state to prevent the first detergent from leaking out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detergent valve 225 may be arranged to be converted to an open state by inserting the fastening pipe 242.
  • the fastening pipe 242 of the mounting part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detergent valve 225 and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dy 210.
  • One end of the fastening pipe 242 may be inserted into the detergent valve 225, and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ipe 242 may pass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240 and be positioned in the cover space 140.
  •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ipe 242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410.
  • the outflow pipe 410 may be placed in the cover space 140, one end of the outflow pipe 410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ipe 242,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400 located in the cover space 140. ) can be combined with.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out from the storage body 210 through the detergent valve 225 may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pump 400 through the fastening pipe 242 and the outlet pipe 410.
  • This flow of first detergent may be formed by the detergent pump 400.
  • the detergent pump 400 is located below the first storage unit 2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torage body 210 through the outlet pipe 410, and can be used in situations where the flow of the first detergent is required, such as in a laundry course. It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etc. and can flow the first detergent.
  • the detergent pump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detergent pipe 420 and can flow the first detergent in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One end of the detergent pipe 420 may be coupled to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fixed in various positions.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plac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and may b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orage portion 300.
  • the plurality of storage bodies 210 may include a first storage body 211 and a second storage body 212, and an outlet pipe 410 and a detergent pipe ( 420)
  • each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detergent pumps 400 may also be provided in plural, including a first detergent pump 401 and a second detergent pump 402.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out of the first storage body 211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and the first detergent flowing out of the second storage body 212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It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second detergent pump 402.
  • the first detergen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00 may be deliver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by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first detergent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t may be supplied into the tub 20 through the storage unit 300.
  • the accommodation case 31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space 313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detergent.
  • the above-described drawer 340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313, and the drawer 340 can accommodate a second detergent.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in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mixed with the second detergent and discharged together. Additionally,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20 described above may be mixed with the first detergent and/or the second detergent and then supplied to the tub 20.
  • the first detergent in the first storage unit 200 needs to be diluted with water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tub 20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the undiluted solution is provided directly to the clothes and causes damage to the clothes. There is.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620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for mixing the second detergent and water, and the water supply pipe 6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for mixing the second detergent and water.
  • Detergent 1 can be diluted with water by being directly add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without a separate mixing tank for mixing with water.
  • Figure 15 shows various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cover spac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etergent flow path structure containing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and a water supply structure through which water flows may also 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can be installed in
  •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pump control module 510, a PCB module 520, and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are arranged. It can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ump control module 510, etc. will be described later.
  • Figure 16 show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provided in the cover space 140.
  • the first storage unit 200,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located rearward of the tub 20.
  • the top cover 100 includes a door 110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101 and a rear portion 130 located rearward of the door 110, and the first storage portion 200 is located at the rear. It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unit 13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placed in the cover space 140 formed inside the rear unit 130.
  • the top cover 100 includes an inlet 101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ub opening 22, and a control panel 50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inlet 101 in consideration of ease of use, and the inlet 101
  • the cover space 140 located behind may be a space extending approximately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are provided inside the top cover 100 and follow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can be sorted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01 in the cover space 140 may be plac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cover space 140, and the detergent pump 400 operates at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t can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Y) as a reference.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which are arranged together at the rear of the inlet 101, are efficiently used within the cover space 140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Y). It can be placed as .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n the width direction (Y).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That is,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may be arrang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n the width direction (Y) and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various components except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econd storage part 300 inside the cabinet 10 including the cover space 140, thereby improving placement efficiency. This can be improved and manageability can be increas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mp control module 510.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such as the cover space 14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400.
  • the operation of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controlled by the pump control module 510.
  •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controlled in the clothes wash course of the pump control module 510 to supply the first detergen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00 into the tub 20.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50 to control the control panel 50, or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50 to exchange information. there is.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That is,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dispos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300 in the width direction (Y) in the cover space 140.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pump 400 in the cover space 140,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minimized and control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since it can be managed together with the detergent pump 400, ease of handling can be improved.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for controlling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50 or the driving unit 40, and thus the detergent pump 400 It may be advantageous for controlling accuracy of the pump 400 and establishing a control system.
  •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arranged up and down. That is,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in a stacked relationship.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arranged verticall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may be mounted on the pump control module 510.
  • the detergent pump 400 is installed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cabinet 10 and further in the space limi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pump control module 510 can be arranged efficiently.
  •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has a second storage unit ( 300) can be located further away.
  • the second detergent pump 40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can form a stacked structure with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to support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 the second detergent pump 402 can have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and therefore the detergent pipe 420 extending from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can easil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etergent pump 401. It can be extended past 402.
  • the water supply unit 6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water supply valve 610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of the cabinet 10. Can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600 can be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can be minimized, This may be advantageous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unit 300.
  • the water supply valve 610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Y) with respect to the detergent pump 400. That is, the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and water supply valves 610 may be aligned approximately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Figure 18 shows a plurality of pipes existing in the cover space 140, such as the outlet pipe 410, detergent pipe 420, and water supply pipe 62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d. 19,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provided in the cover space 140 is schematically show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portion 5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tub 20.
  •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530 is coupled to the top cover 10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ver space 140 and can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tub 20.
  •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may include a head and a sensing body.
  • the head of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530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space 140, and the sensing body may detect the inside of the tub 20 from the head. can be extended towards
  •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it is advantageous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tub 20. Furthermore,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a head above the tub 20. It is advantageous to be fixed.
  • the head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can be coupled to the top cover 100 located above the tub 20 in the cabinet 10, and the placement space for the head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i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cured in the cover space (140).
  • the detergent pump 400 and/or the pump control module 51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nside the cover space 140, so that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CB module 520, and the PCB module 5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Y), and a PCB module 520 including a PC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 the PCB module 520 includes a PCB and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and/or other sensors.
  • the PCB module 520 can receive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 the plurality of sensors.
  • the PCB module 520 may be the main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or may be a separate control module that is connected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PCB module 520 can be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that require electronic control.
  •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and a PCB module 520 may be plac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n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second storage unit ( 300),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and the PCB module 520 may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second storage unit 300, water level detection unit 530, and PCB module 520 are aligned toge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A plurality of components can be efficiently arranged in the cover space 140 located behind (101).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the PCB module 520 which have a signal connection relationship, that is, require wire connection, may be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cover space 140, respectively. That is,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the PCB module 520 may each be located at the ends of the cover space 140 in the width direction (Y).
  • the top cover 100 may include a front part 120, a rear part 130, and a side part connecting the front part 120 and the rear part 130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inlet 101.
  •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the PCB module 520 are located at the width direction (Y) end of the cover space 140, so that they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art 120 through the lateral part through a wire. You can.
  • the wire may extend from the front part 120 to the rear part 130 through the inside of the side part, and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PCB module 520 are wires extending through the side part.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50 or the main control unit.
  • Figure 20 shows the appearance of a detergent pump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ergent pump 400 may include an inlet port 430 through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and an outlet port 440 through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out.
  • the inlet port 430 of the detergent pump 400 is coupled with the outlet pipe 410 so that the first detergent can flow in.
  • the inside of the inlet port 430 has a hollow 442 that serves as a flow path for the first detergent, and a suction hole 444 and an extension groove 446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 430. .
  • the suction hole 444 may penetrate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 430 and communicate with the hollow 442.
  • the extension groove 446 may extend from the suction hole 444 toward one end of the inlet port 43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extension groove 446 may be a groove extending from the suction hole 444 toward the end of the inlet port 430. Through the extension groove 446, the suction hole 444 can pass through a cross section located at the end of the inlet port 430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outflow pipe 410.
  • the inlet port 430 may be coupled to the outflow pipe 4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port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flow pipe 410 and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 430 may be surround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410.
  • the suction hole 444 provided to penetrat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 4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410, preventing the first detergent from flowing through the suction hole 444.
  • an extension groove 446 extending from the suction hole 444 toward the end of the inlet port 430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extension groove 446 can be opened through a cross section located at the end of the inlet port 430, the first detergent of the outlet pipe 410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groove 446 and the suction hole 444. , and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pump 400 along the hollow 442.
  • Figure 21 shows the pumping structure of the detergent pump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let port 430 and the outlet port 440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abinet 10. Accordingly, the flow resistance and pressure loss of the first detergent flowing inside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minimized.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along the outlet pipe 410 may flow along the extension groove 446, suction hole 444, and hollow 442 of the inlet port 430.
  • a first check body 457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tergent pump 400 to limit the flow of the first detergent in the inlet port 430 in one direction.
  • the first check body 457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430, and when the first detergent in the inlet port 430 flows in on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port 440, it is in an open state and releases the first detergent. Flow can be allowed.
  • a closed state may occur, thereby restricting the flow of the first detergent.
  • a first pump chamber 451 connected to the inlet port 4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tergent pump 400.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along the inlet port 4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pump chamber 451.
  • the detergent pump 400 may include a pressure forming unit 453 for forming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 the pressure forming unit 453 may increase or decrease pressure and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mp chamber 451.
  • the pressure forming unit 453 can change the pressure of the first pump chamber 451, and thus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can be formed in the first pump chamber 451.
  • the first check body 457 is opened and the first detergent from the inlet port 430 can flow into the first pump chamber 451.
  • the detergent pump 400 may include a second pump chamber 452, and the second pump chamber 452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mp chamber 451.
  • a second check body 458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ump chamber 451 and the second pump chamber 452, so that the first detergent flows from the first pump chamber 451 to the second pump chamber 452. It can be arranged to allow only one-way flow towards.
  • the second check body 458 is opened and the first detergent in the first pump chamber 451 is pumped into the second pump chamber. It can be flowed to (452). Even if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first pump chamber 451, the first detergent does not flow back to the inlet port 430 due to the first check body 457.
  • the above-mentioned outlet port 4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ump chamber 452, so that the first detergent in the second pump chamber 452 can flow along the detergent pipe 420 through the outlet port 440.
  • the inlet port 430, the first pump chamber 451, the second pump chamber 452, and the outlet port 440 may all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 Figure 22 shows a plurality of detergent pumps 400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outlet port 440 faces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inlet port 430 of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bending or bending portion of the detergent pipe 420 connecting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can be minimized, and the pumping loss of the first detergent pumped through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minimized. This can be minimized.
  •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which is located farther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an the second detergent pump 402, is disposed on the pump control module 510, so that the first detergent pump 401 ) Structural interference by the second detergent pump 402 can be minimized between the outlet port 44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detergent pump 4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455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space 140 to be fixed to the cover space 140,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is provided. The explanation is provided later.
  • FIG 23 shows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and the water supply pipe 62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water supply unit 6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620 through which water flows, and the water supply pipe 620 may connect the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water supply unit 6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650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620 are provided as one modu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 supply module 65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water supply valve 610 of the water supply unit 600 may be placed behi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refore the water supply pipe 620 may be placed between the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ere is. Meanwhile,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for connecting the detergent pipe 420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 Y) It may be placed biased toward one side.
  • the location of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may correspond between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detergent pump 400.
  • the storage case 31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has a second chamber 314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chamber 312 in which the aforementioned drawer 340 and the second detergent can be accommodated. It may be included, and a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314.
  •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may have a second chamber 314 protruding from the first chamber 312. It can be provided. Accordingly, structural interference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620 and the detergent pipe 420 can be minimized.
  • the second chamber 314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first chamber 312. That is, the second chamber 314 may be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ater supply valve 610 in the width direction (Y). Accordingly, structural interference caused by the water supply pipe 620 extending forwar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610 to the detergent pipe 420 can be minimized.
  • Figure 24 shows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of the detergent pump 400 to be coupled to the cover space 140.
  • the detergent pump 40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455 that is penetrated by a penetrating member and fixed to the cabinet 10.
  •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of the detergent pump 400 may be penetrated by a penetrating member and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detergent pump 400.
  •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may be penetrated by the penetrat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enetrating member may be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bolt.
  • the top cover 100 may include a through-coupling portion 540 dispos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penetra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of the detergent pump 400 is a through-coupling portion ( It can be fixed by penetrating through (540) or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coupling portion (540).
  • the penetrating coupling portion 540 may have a pillar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space 140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 the through-coupling portion 540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pump control module 510, for example, on the front side of the pump control module 510, for ease of placement of the pump control module 510.
  • Figure 25 show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6 of the detergent pump 400 to be coupled to the cover space 140.
  • the detergent pump 40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456 fixed by a hook portion 550 provided in the cabinet 10.
  • the hook portion 550 may be located inside the cover space 140 and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space 140.
  • the hook portion 550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o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space 140.
  • the hook portion 550 may include a hook for fixing the detergent pump 400 by hanging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6 of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6 of the detergent pump 400. ) may include a hook groov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hook.
  • the hook portion 550 may be provided in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6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space 140.
  •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6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detergent pump 400 can be strengthened.
  • the first coupling portion 455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6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etergent pump 400.
  • the through-coupling portion 540 disposed in the cover space 140 may be located ahead of the detergent pump 400 and the pump control module 510, and the hook portion 550 may be located ahead of the detergent pump 400. and may be located rearward of the pump control module 510.
  • Figure 26 shows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600 connected.
  • the water supply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and the accommodation case 31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water supply module 650.
  • the water supply module 650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can deliver water flowing out from the water supply valve 610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water supply module 6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620. That is, at least one water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module 650. In other words, the water supply module 650 may include one or more water inlet holes 651 and one or more water outlet holes 652.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using a water supply module 650 including one or more water supply pipes 620, thereby improving the manageability of the water supply pipe 620. It can be improved and durability of the water supply pipe 620 can be secured.
  • the water intake hole 651 of the water supply module 65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610 so that water can flow in.
  • the water outlet hole 652 of the water supply module 650 is connected to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so that water can flow out.
  •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inlet holes 651 may be connected to a different water supply valve 61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652 may be connected to a different water connection port 322.
  • the water supply module 650 may have more water outlet holes 652 through which water flows out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than inlet holes 651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from the water supply valve 610. That is, the water supply module 650 may have a branched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connected to one water intake hole 651 is branched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652.
  • the above branching structure can be advantageous when there are more water supply targets than water supply targets.
  •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600 is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but there are a plurality of areas where water is supplied within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therefore Efficient supply of water can be achieved by utilizing the water supply module 650 including a branch structure.
  • Figure 27 shows a sid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Figure 28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storage case 31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and may include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and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described above. .
  •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and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ase 310, so that the dead weight of the first detergent and water can contribute to forming the flow.
  • the storage case 310 may include a first chamber 312 and a second chamber 314, and the first chamber 312 may accommodate a drawer 340 that can be withdrawn from the storage case 310. , the second chamber 314 may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That is,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first detergent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hamber 314.
  • the drawer 340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312 may store the second detergent therein.
  • the user can store the second detergent in the drawer 340 and insert it into the receiving case 310.
  • the second detergent is added to the water provided to the first chamber 312. It can be mixed with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case 310.
  •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second chamber 314 may be in communication.
  • the first space 313 inside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second space 315 inside the second chamber 314 may together form the interior space of the storage case 310.
  • the first detergent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314 may flow into the first chamber 312.
  • the second chamber 314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wall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 the second space 315 may be a space tha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first space 313.
  •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first detergent provided to the second chamber 314 is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second chamber (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of 314), a flow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312 may be formed.
  • a detergent sensing unit 3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all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 the detergent sensing unit 330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of the rear wall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It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first detergent flowing toward the first chamber 312.
  • the front of the receiving case 310 that is, the front of the first chamber 312, may be opened to form a case opening surface 316, and the drawer 340 may be inserted or withdrawn through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It can be.
  • a portion of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may be a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where the first detergent, second detergent, or water is discharged toward the inside of the tub 20.
  • the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may b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 the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may be defined below the drawer 34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case 310.
  • the first detergent, second detergent or water present in the first chamber 312 flow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is formed by a drawer ( 340) and may be placed spaced apart below.
  • the first detergent, second detergent, or water flows between the drawer 34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to form a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in the case opening surface 316. ) and can be supplied into the tub 20 due to a falling phenomenon due to its own weight.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ncludes a storage case 310 including a first chamber 312, the second detergent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first chamber 312. It may include a drawer 340, and the first detergent flowing through the detergent pipe 420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20 are used as the second detergent in the first chamber 312. It can be mixed with and discharged into the tub 20.
  • the storage case 310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mber 314 connected to the detergent pipe 420 into which the first detergent flows, and the second chamber 314 and the first chamber 312 are Through communication, the first detergent may be delivered to the first chamber 312.
  • Figure 29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interior space of the drawer 340 of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be divided.
  • the drawer 34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34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34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42 are partitioned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 a variety of detergents can be stored.
  • the second detergent in powder form may be stor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41, and the second detergent in liquid form may be stor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42.
  • first and second detergents are based on the storage object rather than the type or form of the detergent.
  • the front portion 345 of the drawer 3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ase 310 and may serve as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 the rear portion of the drawer 340 may be opened to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detergent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drawer 340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case 310.
  • the second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 water diffusion unit 370, and the water diffusion unit 370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case 310 to receiv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torage unit 300. It may have a function of overall diffusion within the case 310.
  • the water diffusion unit 370 may be disposed above the drawer 340, and the first diffusion unit 380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second diffusion portion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314 ( 390) may be included.
  • the second diffusion unit 390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diffusion unit 380.
  • water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312 may flow and be supplied into the second chamber 314 by the first diffusion unit 380 and the second diffusion unit 390.
  •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314 can be used to wash the first detergent present in the chamber.
  • FIG. 30 shows the fluid flow process inside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storage case 310 may include a first chamber 312 and a second chamber 314, and a first space 313 may be defined inside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second chamber ( A second space 315 may be defined inside 314).
  • a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and the first detergent may flow into the second space 315 through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315 flows down the rear wall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flows toward the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You can.
  • a water connection port 3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water connection port 322 is provided to the first space 313 to form a water connection port 322 of the first chamber 312. It can flow along the bottom surface. Water flowing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may be mixed with the first detergent and discharged through the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 a second detergent may be stored inside the drawer 340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second detergent may be stored in the open drawer 340 along with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space 313. It may flow out from the drawer 340 through the rear portion.
  • the water and second detergent flowing out of the drawer 340 may flow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detergent discharge area 317.
  • Figure 31 shows the flow path of the first detergent inside the second storage unit 300.
  • the first detergent flowing through the detergent connection port 321 of the second chamber 314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315 of the second chamber 31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It may flow along and be delivered to the first chamber 312.
  • the second chamber 314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wall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chamber 312. It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loor.
  • the first detergent in the second chamber 314 flows dow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among the rear walls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You can.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detergent sensing unit 330 may be provided in the flow path of the first detergent.
  • the detergent sensing unit 3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1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312 of the rear wall 318 of the first chamber 312.
  • the detergent sensing unit 330 is disposed on the rear wall 318, which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phenomenon of the first detergent remaining and sticking can be suppressed.
  • the detergent sensing unit 330 may include a pair of sensing electrodes 331, and a partition rib 3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nsing electrodes 331. Even if detergent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detergent sensing unit 330 by the partition rib 332, the situation in which the adhered detergent is connected to both the pair of sensing electrodes 331 is suppressed, thereby reducing detection errors. You can.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가 구비된 탑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터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제2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터브에 연통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로 유동시키는 세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함)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코스 외에도 헹굼코스, 탈수코스, 건조코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및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코스 등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내부로 세탁수 및 세제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 등과의 마찰로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의 공급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세제란, 오염물의 분해 및 분리를 유도하는 세탁제, 세탁물의 섬유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유연제 및 세탁물의 색상 오염을 개선하는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 및 액체(액상)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07549호에는 종래의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세제공급장치는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세제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유로를 포함하였다. 상술한 종래의 수동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유로로 투입된 세제가 물과 함께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방식이었다.
다만, 상술한 종래 수동세제공급장치는 세탁코스의 진행마다 사용자가 직접 세제를 투입하므로 정량 투입의 어려움이 있고, 매회마다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탁코스마다 자동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개발되었으며, 나아가 종래의 수동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상술한 자동세제공급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세제공급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 또한 개발되었다.
위와 같이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추가 설치되는 경우, 자동세제공급장치의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나, 수동세제공급장치 및 기타 구성이 설치된 상태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설치 가능한 공간에 제한이 발생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취급 편의성을 고려할 때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캐비닛의 상부 영역에 배치됨이 유리할 수 있으나, 캐비닛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컨트롤패널 등이 배치되므로 설치공간의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의 상면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탑로딩(TOP LOADING)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캐비닛의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과 대비하여 터브의 상단 높이가 증가되고, 캐비닛의 상부에 컨트롤패널과 더불어 상기 투입구 및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므로, 자동세제공급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더욱 제한적일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세제공급장치의 구성들 중 세제 저장을 위해 공간 확보의 중요성이 높은 저장통을 캐비닛 외부로 배치하는 구조가 시도되었다.
한국 공개특허문헌 10-2018-0080013호에는 위와 같이 캐비닛 외부로 노출된 세제 저장통을 포함하는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수동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기존 구조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를 추가한 구조를 가지며, 자동세제공급장치의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저장통을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켰다.
그러나,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저장통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다양한 구성에 대한 공간 확보 및 효율적인 공간 활용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예컨대,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자동세제가 저장되는 상기 저장통 외에도, 자동세제의 유동을 위한 복수의 호스와, 세제를 펌핑하기 위한 세제펌프 및 자동세제와 물이 혼합되어 터브로 제공되기 위한 혼합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구성의 설치공간 확보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관련하여, 상술한 공개특허문헌의 의류처리장치는 자동세제와 물이 혼합되기 위한 혼합조를 저장통과 함께 외부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캐비닛 외부에서도 혼합조에 의해 저장통의 크기가 감소될 필요가 있고, 나아가 혼합조와 연결되는 복수의 호스가 여전히 필요하다.
즉, 의류처리장치에 수동세제공급장치와 더불어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를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설치공간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확보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세제공급장치 및 수동세제공급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탑로더 타입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가 효과적으로 설치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세제공급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세제의 저장용량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며, 제2저장부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저장부는 세제펌프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저장부에 저장되는 제1세제는 세제펌프에 의해 자동으로 터브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펌프와 제2저장부를 연결하는 세제관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의 제1세제는 세제펌프를 통해 혼합조가 없는 상태에서 직접 제2저장부로 전달될 수 있고, 제2저장부에서 제1세제는 제2세제 및 물과 함께 혼합되어 터브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저장부, 제2저장부 및 세제펌프는 모두 터브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캐비닛의 탑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탑커버의 위로 노출될 수 있고, 제2저장부 및 세제펌프는 탑커버 내부에 형성되어 캐비닛 내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제1저장부, 제2저장부, 세제펌프, 세제관 및 급수관을 포함한다.
캐비닛은 투입구가 구비된 탑커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는 탑로더 타입일 수 있다. 터브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고,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터브개구가 구비된다.
제1저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제1세제가 저장되고, 제2저장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제2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터브에 연통한다.
세제펌프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를 유동시킨다. 세제관은 상기 세제펌프와 상기 제2저장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로 안내하며, 급수관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저장부로 안내한다. 상기 제1세제 및 상기 제2세제는 상기 제2저장부 내부에서 물과 혼합되어 상기 터브개구로 배출된다.
상기 제1저장부, 상기 제2저장부 및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터브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후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부 및 세제펌프는 상기 후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 및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탑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세제펌프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 상기 제2저장부, 상기 수위감지부 및 상기 PCB모듈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세제펌프와 연결되는 펌프제어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세제펌프 및 상기 펌프제어모듈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펌프제어모듈과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탑커버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세제펌프와 연결되는 펌프제어모듈이 배치되며,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제어모듈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 및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제1세제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제1세제가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 및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과 나란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관통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후크부에 의해 고정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유출관과 결합되어 상기 제1세제가 유입되는 유입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포트는 중공을 가지며, 둘레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석션홀 및 상기 둘레면에서 상기 석션홀로부터 상기 유입포트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관의 상기 제1세제는 상기 연장홈, 상기 석션홀, 및 상기 중공을 따라 상기 세제펌프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제1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면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에서 탈거되면 폐쇄되는 세제밸브를 포함하는 저장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탑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바디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바디에 삽입되는 체결관을 포함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체결관과 연결되는 유출관을 통해 상기 제1세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제1저장부의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관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저장부에 대해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관을 통해 상기 제2저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밸브 앞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제2저장부에 결합되는 급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입수홀보다 상기 제2저장부로 물이 유출되는 출수홀이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수용케이스 및 상기 제2세제가 수용되고 상기 제1챔버에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1세제 및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1챔버 내에서 상기 제2세제와 혼합되어 상기 터브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케이스는 상기 세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가 유입되는 제2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1챔버가 연통되어 상기 제1세제가 상기 상기 제1챔버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가 구비된 탑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고,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터브개구가 구비된 터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제2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터브에 연통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로 유동시키는 세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는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와 연결되는 펌프제어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펌프제어모듈과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타측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부, 상기 수위감지부 및 상기 PCB모듈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가 구비된 탑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고,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터브개구가 구비된 터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제2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터브에 연통하는 제2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로 유동시키는 세제펌프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펌프와 연결되는 펌프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세제펌프 및 상기 펌프제어모듈은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일측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제어모듈 및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펌프제어모듈과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세제공급장치 및 수동세제공급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탑로더 타입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가 효과적으로 설치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세제공급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세제의 저장용량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바디가 높이방향으로 탈착되는 제1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바디가 폭방향으로 탈착되는 제1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의 저장바디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바디에서 저장캡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바디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의 장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의 후크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를 분리한 캐비닛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의 연결 구조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세제펌프 및 제2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세제펌프 및 제2저장부를 위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세제펌프 및 제2저장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후방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세제펌프 및 제2저장부에서 세제관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 내부의 폭방향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펌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관이 결합된 복수의 세제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복수의 세제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펌프의 제1결합부 및 캐비닛의 관통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펌프의 제2결합부 및 캐비닛의 후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저장부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저장부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저장부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저장부에 구비되는 세제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110)가 열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내부에 공간이 정의되고, 대략 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투입구(101)가 구비된 탑커버(100) 및 캐비닛 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5)는 내부에 터브(20) 및 드럼(30)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5)는 복수의 패널, 예컨대 전면패널, 후면패널, 사이드패널 등과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 또는 하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널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캐비닛(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커버(100)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의류가 캐비닛(10)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01)를 형성할 수 있다. 탑커버(100)는 후술할 커버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공간(140)은 캐비닛(10)의 내부공간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커버(100)에는 도어(1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10)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투입구(101)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110)는 투입구(10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컨트롤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커버(100)는 도어(110)보다 앞에 위치되는 전방부(120)와 도어(110)보다 뒤에 위치되는 후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전방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커버(100)의 후방부(130)에는 제1저장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저장부(200)는 제1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의류의 세탁코스 등이 수행될 때 터브(20) 내부로 제1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저장부(200)는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저장부(200)에서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210)가 탑커버(100)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캐비닛(10)의 내부는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탑커버(100)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공간(140)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캐비닛(10) 내부공간의 일부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탑커버(100)의 후방부(130)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탑커버(100)의 후방부(130)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바디(210)가 캐비닛(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바디(210)에 제1세제를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바디(210)를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하여 제1세제를 저장하거나 저장바디(210)를 세척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터브(20) 및 드럼(30)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투입구(101)를 향해 개방되는 터브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입구(101)는 탑커버(100)에 위치될 수 있고, 터브(20)의 터브개구(22) 또한 위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축이 지면에 수직한 탑 로더 타입일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은 투입구(101)를 향해 개방된 드럼개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구(101)를 향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를 통과하여 드럼(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터브(20) 및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드럼(30)은 둘레면에 복수의 연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면, 드럼(30)은 연통홀(31)을 통해 터브(20)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20)와 물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 상부에는 제1저장부(200) 및 제2저장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도어(110)보다 뒤에 위치되는 후방부(130) 내부에 커버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상기 커버공간(140)이 위로 노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고, 제1저장부(200)는 커버공간(140)의 개방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장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부(200)는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바디(210)는 탑커버(100) 위에서 상기 장착부(24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공간(140)에는 제2저장부(30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저장부(200)의 제1세제는 제2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0)는 내부에 제2세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1세제 및 제2세제가 함께 터브(20)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부(6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저장부(300)는 급수부(60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저장부(300)에서 제1세제 및 제2세제는 물과 함께 혼합되어 터브(2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40)를 포함한다. 구동부(40)는 터브(20) 아래 위치되어 상기 터브(20)를 관통하는 구동축을 통해 드럼(3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구동축을 통해 구동부(4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드럼(30)의 바닥상에는 회전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5)는 드럼(30)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위에서 덮도록 마련될 수 있고, 드럼(30)과 함께 또는 드럼(30)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35)는 구동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변속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축은 상기 변속부와 연결되는 중실축과 중공(442)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실축 및 중공(442)축 중 어느 하나는 드럼(30)과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부(35)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터브(20)를 캐비닛(10)에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25)이 구비될 수 있다. 서스펜션(25)은 탄성체 등을 포함하며 터브(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30) 또는 구동부(40)에서 발생되어 터브(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서스펜션(25)을 통해 감쇠되므로 캐비닛(10)에 전달되는 진동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에는 배수부(700)가 연결될 수 있다. 세탁코스가 진행되어 오염물을 포함하는 세탁수는 터브(20)로부터 배수부(700)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의 높이방향(Z)을 따라 캐비닛(10)에 착탈되는 저장바디(2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캐비닛(10)에 착탈되는 저장바디(21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200)의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저장부(200)의 장착부(240)는 탑커버(100)에 고정될 수 있고, 저장바디(210)는 장착부(240)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의 탈착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탈착방향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의 높이방향(Z)을 따라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가 폭방향(Y)을 따라 탈착되는 경우, 제1저장바디(211)는 캐비닛(10)의 폭방향(Y) 일측에서 캐비닛(10), 즉 장착부(24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저장바디(212)는 폭방향(Y) 타측에서 상기 장착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은 사용자의 주거환경에서 양측으로 건물의 벽 등이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바디(210)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됨으로써 양측의 공간이 제한되더라도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바디(210)가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캐비닛(10)에 결합된 저장바디(210)의 전체 폭은 상기 캐비닛(10)의 전체 폭보다 좁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바디(210)의 결합이 분리에 요구되는 폭방향(Y) 이동거리는 캐비닛(10)의 전체 폭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의 폭 내에서 이동되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바디(2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저장캡(214)이 개방상태인 저장바디(210)가 도시되어 있다. 저장바디(210)는 내부에 제1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세제가 투입되기 위한 세제투입홀(216)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저장본체(213) 및 저장캡(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본체(213)는 제1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제투입홀(2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바디(210)의 외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저장캡(214)은 저장본체(2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장캡(214)은 세제투입홀(216)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캡(214)은 저장바디(2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외장파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파트(215)는 저장본체(213)에 구비되어 저장바디(2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외장파트(215)는 저장캡(214)과 함께 저장본체(213)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외장파트(215) 및 저장캡(214)은 함께 저장바디(210)의 일면을 형성하며 저장바디(210)의 외관적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저장바디(210)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본체(213)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바닥면을 이루는 저장바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는 장착부(240)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에는 세제밸브(225)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밸브(225)는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일 수 있다. 세제밸브(225)는 상기 개방상태에서 저장본체(21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가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탈착되는 경우, 세제밸브(225)는 대략 상기 폭방향(Y)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세제밸브(225)를 향해 경사진 바닥경사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닥경사부(221)는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저장바닥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경사부(221)에 의해 세제밸브(225)는 저장바닥부(220)의 최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경사부(221)는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기준으로 캐비닛(10)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지면에 더 가깝게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저장바닥부(220)는 장착부(240)를 향해 아래로 돌출되는 바닥댐퍼(2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댐퍼(223)는 고무 등과 같은 고마찰 소재일 수 있으며, 고 탄성체일 수 있다.
바닥댐퍼(223)는 장착부(240)로부터 저장바디(210)를 지지할 수 있고, 저장바디(210)와 장착부(240) 사이의 유격을 제거할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에는 가변돌기(217)가 구비될 수 있다. 가변돌기(217)는 저장바닥부(220)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돌출량이 가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바디(210)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가변버튼(218)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변버튼(218)과 연동하여 상기 가변돌기(217)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변버튼(218)을 조작하여 상기 가변돌기(217)의 돌출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상기 가변돌기(217)의 돌출량에 따라 캐비닛(10) 또는 장착부(240)에 대한 탈착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가변돌기(217)는 저장바디(21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가변돌기(217)가 돌출된 상태에서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에 장착되거나 탈거되지 못하며, 가변돌기(217)가 저장바디(2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바닥측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측벽(222)은 저장바닥부(2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장착부(24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바닥측벽(222)은 저장바닥부(220)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측벽(222)에 의해 세제밸브(225) 등 저장바닥부(220)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 및 후방에서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도 9에는 제1저장부(2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제1저장부(200)의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저장부(200)는 저장바디(210) 및 장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1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장착부(240)는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내부에 제1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저장본체(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본체(213)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세제투입홀(21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투입홀(216)은 저장본체(21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본체(213)에 결합되는 저장캡(21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본체(213)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저장캡(214)을 제외한 영역에는 외장파트(2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장파트(215) 및 저장캡(214)은 함께 저장바디(210)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본체(213)의 하부에는 저장바닥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는 저장본체(213)와 별개로 제조되어 저장본체(213)의 개방된 하면을 덮도록 마련되거나, 저장본체(213)와 함께 성형되어 상기 저장본체(213)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저장본체(213)의 내부 또는 저장바닥부(220)의 내부에는 가변돌기(217)가 구비될 수 있다. 가변돌기(217)는 저장바닥부(220)로부터 아래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변돌기(217)는 저장바닥부(220)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돌출량이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본체(213)에는 상기 가변돌기(217)와 연결되는 가변버튼(218)이 구비될 수 있다. 가변돌기(217)는 가변버튼(218)의 작동상태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변버튼(218)을 제1상태로 조작하여 가변돌기(217)가 저장바닥부(22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변버튼(218)을 제2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가변돌기(217)는 저장바닥부(220)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도록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의 아래에는 장착부(240)가 위치될 수 있다. 장착부(240)는 상기 저장바닥부(220)의 바닥경사부(221)가 안착되는 안착면(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252)은 상기 바닥경사부(221)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부(240)는 체결관(242)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관(242)은 안착면(252)을 관통하며 일부가 안착면(25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관(242)은 저장바디(210)의 세제밸브(22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세제밸브(225)는 체결관(242)이 삽입되면 개방상태가 되고 체결관(242)이 분리되면 폐쇄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0에는 제1저장부(200)의 장착부(24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장착부(240)는 탑커버(100)의 후방부(130)의 상면을 이룰 수 있으며, 저장바디(210)가 결합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가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장착부(240)에 결합되는 경우, 체결관(242)은 안착면(252)상에서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폭방향(Y)을 따라 탈착되는 저장바디(210)의 세제밸브(225)에 상기 체결관(24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Y)을 기준으로 장착부(240)의 중앙에는 위를 향해 돌출되는 중앙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앙부(241)는 안착면(252)보다 위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제1저장바디(211) 및 제2저장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바디(211) 및 제2저장바디(212)는 상기 중앙부(241)의 양측에서 각각 중앙부(241)를 향해 이동되어 장착부(240)에 장착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의 저장바닥부(220) 중 일부는 상기 중앙부(241)의 위에 위치되어 상기 중앙부(2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체결관(242)은 캐비닛(10)의 폭방향(Y)으로 중앙부(241)를 관통할 수 있다.
장착부(240)는 안착면(252)의 둘레에서 위로 돌출되는 돌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40)는 상기 돌출부(250)의 둘레 외측으로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단차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안착면(252)은 장착부(240)에서 상기 돌출부(250)의 상면보다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는 장착부(240)의 후크홈(254)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크홈(254)은 안착면(252)을 기준으로 전술한 중앙부(241)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후크홈(254)은 장착부(240)에서 폭방향(Y) 양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240)는 둘레가 단차지도록 위로 돌출되는 돌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250)의 상면이 아래로 함몰되어 상기 저장바디(210)의 저장바닥부(220)가 안착되는 안착면(252)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기준으로 안착면(252)의 일단에는 중앙부(241)가 위치되고, 타단에는 돌기지지면(255)이 위치될 수 있다. 돌기지지면(255)은 안착면(252)과 돌출부(250)의 최상면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돌출부(250)의 폭방향(Y) 외측에는 전술한 후크홈(254)이 위치될 수 있다. 후크홈(254)에는 저장바디(210)에 구비되는 체결후크가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250)의 둘레에는 전술한 단차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53)는 돌출부(250)의 최상면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250)의 둘레 외측에 위치되는 단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250)는 상기 최상면과 상기 단차면이 서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53)는 돌출부(250)의 둘레 중 적어도 전단측 및 후단측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저장바디(210)의 바닥측벽(222)은 상기 단차부(253)에서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측벽(222)은 단차부(253)의 단차면상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단차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11을 참고하여 장착부(240)에 대한 저장바디(210)의 체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비닛(10)으로부터 탈거된 저장바디(210)가 다시 캐비닛(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저장바디(210)는 장착부(240)상에 위치되어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저장바디(210)의 바닥경사부(221)는 장착부(240)의 안착면(252)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바디(210)는 장착부(240)에서 안착면(252)보다 돌출된 중앙부(241)에 의해 폭방향(Y)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저장바디(210)의 바닥경사부(221)가 안착면(252)에 지지되어 지면을 향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저장바디(210)는 가변버튼(218)이 조작되어 가변돌기(217)가 저장바디(2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장착 과정이 수행될 수 있고, 장착 위치에서 상기 가변돌기(217)가 다시 저장바닥부(220) 아래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장착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저장바닥부(220)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가변돌기(217)는 캐비닛(10) 측방향 일측에 돌기지지면(255)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지지면(255)과 가변돌기(217)의 접촉 관계에 의해 의해 저장바디(210)는 상기 캐비닛(10) 측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장착부(240)의 돌출부(250) 중 중앙부(24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일변에는 전술한 후크홈(254)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홈(254)은 폭방향(Y)을 따라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장바디(210)의 체결후크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폭방향(Y)을 따라 돌출부(250)의 후크홈(254)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후크가 후크홈(254)에 삽입되면서 저장바디(210)는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저장바디(210)의 장착 과정에서 저장바디(210)의 바닥측벽(222)은 장착부(240)의 단차부(253)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바닥측벽(222)은 돌출부(25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바디(2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위치되는 바닥측벽(222) 사이에 돌출부(250)와 위치되는 구조적 관계에 따라, 상기 저장바디(210)의 전후방향(X) 이동이 제한할 수 있다.
즉, 저장바디(210)는 장착부(240)에 대한 장착 과정에서 캐비닛(10)의 전후방향(X), 폭방향(Y) 및 높이방향(Z)에 대한 이동이 전체로서 제한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제1저장부(200)의 저장바디(210) 및 장착부(240)를 탑커버(100)로부터 분리하여 탑커버(100)의 커버공간(140)이 외부로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탑커버(100)의 후방부(130)는 도어(110) 및 투입구(101)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후방부(130)의 안에는 커버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커버공간(14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공간(140)의 개방된 상면에 장착부(24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공간(140)이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부(240)가 상기 탑커버(1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공간(140)의 위에는 제1저장부(200)가 구비될 수 있고, 커버공간(140)의 내부에는 제2저장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공간(14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저장부(300) 외에도 상기 제1저장부(200)의 제1세제를 유동시키기 위한 세제펌프(4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전술한 투입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01)를 둘러싸는 투입구 둘레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둘레면(102)은 캐비닛(10) 내부를 향해 함입된 형태일 수 있다.
제2저장부(300)는 상기 커버공간(14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3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340)는 상기 투입구 둘레면(102)을 관통하여 투입구(101)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101)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커버공간(140)에는 제2저장부(300) 외에도 체결관(242)과 연결되는 연결관이나 급수부(6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제1저장부(200)와 연결된 제2저장부(3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제1저장부(200) 및 제2저장부(3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4를 참고하면, 커버공간(140)에 배치되는 제2저장부(300)는 상기 제1저장부(20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저장부(300)는 저장바디(210) 및 장착부(24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공간(140) 위에 위치되는 제1저장부(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되어 제1세제가 저장되며, 제2저장부(3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제2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터브(20)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는 커버공간(140)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0)는 커버공간(140)에서 전술한 투입구 둘레면(102)을 관통하여 상기 투입구(101)와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저장부(300)는 상기 투입구(101)를 통해 상기 터브(20)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제2저장부(300)는 커버공간(140)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 둘레면(102)을 통해 상기 투입구(101)와 연통하는 수용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케이스(310) 내부에는 드로워(34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케이스(310)에서 투입구(101)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케이스 개방면(316)을 형성할 수 있다. 투입구 둘레면(102) 중 상기 케이스 개방면(316)과 대응되는 영역은 개방되어 수용케이스(310)의 내부와 투입구(101)가 연통될 수 있으며, 케이스 개방면(316)을 통해 드로워(340)가 수용케이스(3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개방면(316)의 일부는 제2세제 등이 유출되는 세제유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 개방면(316)의 하부 영역은 수용케이스(310) 내부의 제2세제가 투입구(101)를 향해 유출되기 위한 세제유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펌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40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펌프(400)는 커버공간(14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400)는 제1저장부(200)와 연결되어 제1세제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200)는 세제펌프(400)와 연결되어 제1세제가 세탁 시 자동적으로 유동되어 터브(20) 내부로 제공되는 자동세제공급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세제펌프(4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저장부(200)의 저장바디(210)는 제1저장바디(211) 및 제2저장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제펌프(400)는 제1저장바디(211)와 연결되는 제1세제펌프(401) 및 제2저장바디(212)와 연결되는 제2세제펌프(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바디(210)의 세제밸브(225)는 장착부(240)의 체결관(24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관(242)은 제1세제가 유동하기 위한 유출관(410)을 통해 세제펌프(400)와 연결될 수 있고, 세제펌프(400)는 세제관(420)을 통해 제2저장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0)는 세제관(420)이 연결되기 위한 세제연결포트(32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연결포트(321)에는 상기 세제연결포트(321)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세제관(420)과 세제연결포트(321)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연결파트(3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트(325)는 체크밸브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저장부(300)로부터 제1세제, 제2세제 및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유체가 세제관(420)을 통해 세제펌프(400)로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0)의 수용케이스(310)는 급수관(620)이 연결되기 위한 물연결포트(322)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관(620)은 상기 물연결포트(322)와 연결되어 제2저장부(300)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세제, 제2세제 및 물의 유동 과정을 각 구성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저장부(200)의 저장바디(210) 내부에는 제1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바디(210)에는 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세제밸브(225)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밸브(225)는 기본적으로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저장바디(210)의 제1세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바디(210)가 캐비닛(10)에 구비된 장착부(24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장착부(240)에 구비된 체결관(24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밸브(225)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세제밸브(225)는 체결관(242)의 삽입에 의해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저장바디(210)가 장착부(240)에 결합되면 장착부(240)의 체결관(242)은 상기 세제밸브(225)에 삽입되어 저장바디(2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체결관(242)의 일단은 세제밸브(225)에 삽입되고, 체결관(242)은 타단은 장착부(240)를 관통하여 커버공간(140)에 위치될 수 있다.
체결관(242)의 상기 타단은 유출관(410)과 연결될 수 있다. 유출관(410)은 커버공간(1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출관(410)의 일단은 체결관(242)과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커버공간(140)에 위치된 세제펌프(4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밸브(225)를 통해 저장바디(210)로부터 유출되는 제1세제는 체결관(242) 및 유출관(410)을 지나 세제펌프(4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세제의 유동은 상기 세제펌프(4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세제펌프(400)는 상기 제1저장부(200)의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관(410)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210)와 연결될 수 있고, 세탁코스 등 제1세제의 유동이 필요한 상황에서 제어부 등에 의해 제어되며 제1세제를 유동시킬 수 있다.
세제펌프(400)는 세제관(420)을 통해 상기 제2저장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30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세제관(420)의 일단은 세제펌프(400)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제2저장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세제펌프(400)는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세제펌프(400)는 커버공간(1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저장부(300)에 대해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Y)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로 마련되는 저장바디(210)는 제1저장바디(211) 및 제2저장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대응되도록 유출관(410) 및 세제관(420) 또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제펌프(400) 또한 복수로 구비되어 제1세제펌프(401) 및 제2세제펌프(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바디(211)에서 유출되는 제1세제는 제1세제펌프(401)를 통해 제2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고, 제2저장바디(212)에서 유출되는 제1세제는 제2세제펌프(402)를 통해 제2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제1세제는 세제펌프(400)에 의해 제2저장부(3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세제는 상기 제2저장부(300)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2저장부(300)의 수용케이스(310)는 제2세제가 수용되기 위한 제1공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313)에는 전술한 드로워(340)가 수용될 수 있으며, 드로워(340)는 제2세제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저장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제1세제는 제2세제와 혼합되어 함께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급수관(620)을 통해 제2저장부(30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1세제 및/또는 제2세제와 혼합되어 상기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200)의 제1세제는 원액이 직접 의류에 제공되어 의류의 손상이 일어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터브(20)에 공급되기 전 물과 희석될 필요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저장부(300)는 제2세제와 물의 혼합을 위해 제2저장부(300)에 급수관(620)이 연결되며, 제1저장부(200)의 제1세제는 물과의 혼합을 위한 별도의 혼합조 없이 직접 제2저장부(300)로 투입되어 물과 희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1세제와 물의 혼합을 위한 별도의 혼합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제1세제의 희석이 가능하여 혼합조를 효과적으로 삭제할 수 있으며, 혼합조와 더불어 세제 및 물이 유동하는 복수의 호스 또한 함께 삭제할 수 있어 공간 활용 및 설계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공간(14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세제 및 제2세제를 포함하는 세제의 유로 구조는 상기 커버공간(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이 유동하는 급수 구조 또한 상기 커버공간(140)에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공간(140)에는 세제펌프(400), 제2저장부(300) 및 급수부(600) 외에도 펌프제어모듈(510), PCB모듈(520), 수위감지부(530) 등 다양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펌프제어모듈(510)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6에는 상기 커버공간(140)에 구비되는 제2저장부(300)와 세제펌프(400)의 배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저장부(200), 상기 제2저장부(300) 및 상기 세제펌프(400)는 상기 터브(2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00)는 상기 투입구(101)를 개폐하는 도어(110) 및 상기 도어(110)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부(200)는 상기 후방부(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부(300) 및 세제펌프(400)는 상기 후방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공간(140)에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터브개구(22)와 대응되는 크기의 투입구(101)를 포함하고, 투입구(101)의 앞에는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컨트롤패널(50)이 배치될 수 있으며, 투입구(101)의 뒤에 위치되는 커버공간(140)은 대략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연장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공간(140)에는 세제펌프(400) 및 제2저장부(300) 등 다양한 구성이 배치되므로, 각 구성의 배치 관계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은 중요하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저장부(300) 및 상기 세제펌프(400)는 상기 탑커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커버공간(140)에서 투입구(101)와 연통되는 제2저장부(300)는 대략 커버공간(140)의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제펌프(400)는 제2저장부(300)를 기준으로 폭방향(Y)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입구(101)의 후방에 함께 배치되는 제2저장부(300) 및 세제펌프(400)가 폭방향(Y)으로 연장되는 커버공간(140) 내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40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2저장부(300)의 폭방향(Y) 일측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세제펌프(400)는 상기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세제펌프(400)는 제2저장부(300)의 폭방향(Y) 일측에 함께 배치되어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복수의 세제펌프(400)와 제2저장부(300)는 함께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공간(140)을 포함하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제2저장부(300)의 폭방향(Y) 타측에 상기 세제펌프(400)를 제외한 다양한 구성을 배치할 수 있어 배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관리성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펌프제어모듈(510)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제어모듈(510)은 커버공간(140) 등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제펌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400)는 상기 펌프제어모듈(51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펌프제어모듈(510)의 의류의 세탁코스에서 상기 세제펌프(400)를 제어하여 제1저장부(200)에 저장된 제1세제를 터브(20) 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다.
펌프제어모듈(510)은 컨트롤패널(50)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패널(50)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50)과 연결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호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펌프제어모듈(510)은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펌프제어모듈(510) 및 세제펌프(400)는 함께 커버공간(140)에서 제2저장부(300)의 폭방향(Y)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제어모듈(510)은 상기 커버공간(140)에서 세제펌프(400)와 함께 제2저장부(300)의 일측에 위치됨으로써, 세제펌프(400)와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제어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세제펌프(400)와 함께 관리될 수 있어 취급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펌프(400)의 제어를 위한 펌프제어모듈(510)이 컨트롤패널(50)이나 구동부(40) 등과 연결되는 메인 제어부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제펌프(400)의 제어 정확도 및 제어시스템 구축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300)의 일측에서 상기 세제펌프(400) 및 상기 펌프제어모듈(510)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펌프제어모듈(510)과 세제펌프(400)는 적층 관계를 이루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펌프(40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세제펌프(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펌프제어모듈(510)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세제펌프(4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펌프제어모듈(510)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세제펌프(400)와 펌프제어모듈(510)의 적층 구조를 통해, 제한된 캐비닛(10) 내부의 공간에서, 나아가 제2저장부(300)의 일측으로 한정되는 공간에 세제펌프(400)와 펌프제어모듈(510)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세제펌프(400)가 제1세제펌프(401) 및 제2세제펌프(40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세제펌프(401)는 제2세제펌프(402)보다 제2저장부(3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제1세제펌프(401)와 제2저장부(300) 사이에 제2세제펌프(402)가 위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 상태에서, 펌프제어모듈(510)은 제1세제펌프(401)와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펌프제어모듈(510)은 제1세제펌프(401)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세제펌프(40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세제펌프(402)가 제1세제펌프(401)보다 더 낮은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제1세제펌프(401)로부터 연장되는 세제관(420)이 용이하게 제2세제펌프(402)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커버공간(140)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급수부(600)는 급수밸브(6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밸브(610)는 제2저장부(300)의 뒤에 배치되어 캐비닛(10)의 후면을 통해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0)와 급수부(600)는 전후방향(X)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밸브(610)와 제2저장부(300)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어, 제2저장부(300)에 대한 물의 공급에 유리할 수 있다.
제2저장부(3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급수밸브(610)는 세제펌프(400)에 대해 폭방향(Y)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세제펌프(400)와 급수밸브(610)는 대략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공간(140)에 존재하는 복수의 관, 예컨대 유출관(410), 세제관(420), 급수관(620) 등을 제거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커버공간(140)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성간 배치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위감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위감지부(530)는 상기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세제펌프(4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수위감지부(53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530)는 상기 터브(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530)는 상기 커버공간(140)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탑커버(100)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530)는 헤드 및 감지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수위감지부(530)의 헤드는 상기 커버공간(1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바디는 헤드로부터 터브(20) 내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530)는 터브(20)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며, 나아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위감지부(530)는 터브(20)보다 위에서 헤드가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수위감지부(530)의 헤드는 캐비닛(10)에서 터브(20)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탑커버(100)가 결합될 수 있고, 수위감지부(530)의 헤드의 배치공간은 상기 커버공간(140)에서 확보할 수 있다.
다만, 공간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버공간(140)의 내부에 제2저장부(300)의 일측에는 세제펌프(400) 및/또는 펌프제어모듈(510)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위감지부(530)는 제2저장부(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CB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고, PCB모듈(520)은 상기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세제펌프(4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520)이 배치될 수 있다.
PCB모듈(520)은 PCB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부(530) 및/또는 기타 센서들과 연결될 수 있다. PCB모듈(520)은 복수의 센서들에 대한 감지값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PCB모듈(520)은 전술한 메인 제어부일 수 있고, 상기 메인 제어부와 이격되어 연결되어 별도의 제어모듈일 수 있다. PCB모듈(520)은 상기 복수의 센서들 외에도 전자적 제어가 요구되는 다양한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저장부(300)의 폭방향(Y) 타측에는 수위감지부(530) 및 PCB모듈(520)이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저장부(300), 상기 수위감지부(530) 및 상기 PCB모듈(520)은 상기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복수의 세제펌프(400), 제2저장부(300), 수위감지부(530) 및 PCB모듈(520)은 함께 캐비닛(10)의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됨으로써, 투입구(101)의 뒤에 위치되는 커버공간(140) 내에 복수의 구성이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신호적인 연결 관계를 가지는, 즉 전선의 연결이 요구되는 펌프제어모듈(510) 및 PCB모듈(520)은 각각 커버공간(140)의 최외곽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제어모듈(510) 및 PCB모듈(520)은 각각 커버공간(140)의 폭방향(Y)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탑커버(100)는 전방부(120), 후방부(130) 및 투입구(101)의 폭방향(Y) 양측에서 상기 전방부(120)와 후방부(130)를 연결하는 측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펌프제어모듈(510) 및 PCB모듈(520)은 커버공간(140)의 폭방향(Y) 단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측방부를 통해 전방부(120)의 구성과 전선을 통해 연결되기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선은 상기 측방부의 내부를 통해 전방부(120)에서 후방부(130)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제어모듈(510) 및 PCB모듈(520)은 상기 측방부를 통해 연장되는 전선으로 쉽게 컨트롤패널(50)이나 메인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펌프(40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펌프(400)는 상기 제1세제가 유입되는 유입포트(430) 및 상기 제1세제가 유출되는 유출포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400)의 유입포트(430)는 유출관(410)과 결합되어 상기 제1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430)의 내부에는 제1세제의 유동 경로가 되는 중공(442)을 가지며, 상기 유입포트(430)의 둘레면에는 석션홀(444) 및 연장홈(446)이 구비될 수 있다.
석션홀(444)은 상기 유입포트(430)의 둘레면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442)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홈(446)은 상기 둘레면에서 석션홀(444)로부터 상기 유입포트(43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430)의 일단은 유출관(410)을 향할 수 있다. 즉, 연장홈(446)은 석션홀(444)로부터 유입포트(430)의 끝단을 향해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연장홈(446)에 의해 상기 석션홀(444)은 유입포트(430)의 끝단에 위치되는 단면을 통과하여 유출관(4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포트(430)는 유출관(4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유입포트(4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출관(4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입포트(430)의 둘레면은 상기 유출관(410)은 내주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포트(430)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석션홀(444)은 유출관(4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1세제가 상기 석션홀(444)을 통해 유동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둘레면상에서 상기 석션홀(444)로부터 유입포트(430)의 끝단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홈(4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홈(446)은 유입포트(430)의 끝단에 위치되는 단면을 통해 개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유출관(410)의 상기 제1세제가 상기 연장홈(446), 상기 석션홀(444), 및 상기 중공(442)을 따라 상기 세제펌프(40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펌프(400)의 펌핑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포트(430) 및 상기 유출포트(440)는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Y)과 나란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펌프(400) 내부를 유동하는 제1세제는 유동 저항 및 압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관(410)을 따라 유동하는 제1세제는 유입포트(430)의 연장홈(446), 석션홀(444) 및 중공(442)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세제펌프(40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포트(430)의 제1세제 유동을 일방향으로 제한하는 제1체크바디(4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바디(457)는 유입포트(430)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포트(430)의 제1세제가 상기 유출포트(440)를 향하도록 일방향으로 유동하면 개방상태가 되어 제1세제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세제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유동, 즉 역류하면 폐쇄상태가 되어 제1세제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세제펌프(400) 내부에는 상기 유입포트(430)와 연결되는 제1펌프챔버(451)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포트(430)를 따라 유동하는 제1세제는 상기 제1펌프챔버(45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세제펌프(400)는 정압 및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압력형성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형성부(453)는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펌프챔버(451)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압력형성부(453)는 상기 제1펌프챔버(451)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펌프챔버(451)에는 양압 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펌프챔버(451)에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제1체크바디(457)가 개방되면서 유입포트(430)의 제1세제가 제1펌프챔버(4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세제펌프(400)는 제2펌프챔버(4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펌프챔버(452)는 제1펌프챔버(451)와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제1펌프챔버(451)와 제2펌프챔버(452)의 연결부위에는 제2체크바디(458)가 구비되어 제1세제가 제1펌프챔버(451)로부터 제2펌프챔버(452)를 향하는 일방향 유동만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압력형성부(453)에 의해 제1펌프챔버(451)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게 되면 제1체크바디(457)가 개방되면서 유입포트(430)의 제1세제가 제1펌프챔버(451)로 유입될 수 있다.
그 후, 압력형성부(453)에 의해 제1펌프챔버(451)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면 제2체크바디(458)가 개방되면서 제1펌프챔버(451)의 제1세제가 제2펌프챔버(452)로 유동될 수 있다. 제1펌프챔버(451)에 양압이 형성되더라도 제1체크바디(457)에 의해 제1세제는 유입포트(430)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유출포트(440)는 제2펌프챔버(452)와 연통되어 상기 제2펌프챔버(452)의 제1세제가 유출포트(440)를 통해 세제관(420)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포트(430), 제1펌프챔버(451), 제2펌프챔버(452) 및 유출포트(440)는 모두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제펌프(400)가 폭방향(Y)을 따라 정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펌프(400)는 유출포트(440)가 제2저장부(3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제펌프(400)의 유입포트(430)는 제2저장부(300)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펌프(400)와 제2저장부(300)를 연결하는 세제관(420)의 굴곡이나 절곡 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고, 세제펌프(400)를 통해 펌핑된 제1세제의 펌핑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세제펌프(402)보다 제2저장부(3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1세제펌프(401)가 펌프제어모듈(510) 위에 배치됨으로써, 제1세제펌프(401)의 유출포트(440)와 제2저장부(300) 사이에서 제2세제펌프(402)에 의한 구조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세제펌프(400)는 상기 커버공간(140)에 고정되기 위해 커버공간(14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45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45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23에는 제2저장부(300)의 세제연결포트(321)와 급수관(620)의 배치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급수부(60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급수관(620)을 포함할 수 있고, 급수관(620)은 급수밸브(610)와 제2저장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급수부(600)는 복수의 급수관(620)이 하나에 모듈로 구비되는 급수모듈(6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모듈(6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급수부(600)의 급수밸브(610)는 제2저장부(300)의 뒤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급수밸브(610)와 제2저장부(300) 사이에 급수관(62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세제관(420)이 연결되기 위한 제2저장부(300)의 세제연결포트(321)는 급수관(620)과의 구조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저장부(300)에서 폭방향(Y)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세제연결포트(321)의 위치는 제2저장부(300)의 물연결포트(322) 및 세제펌프(400)의 사이에 해당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저장부(300)의 수용케이스(310)는 전술한 드로워(340) 및 제2세제가 수용될 수 있는 제1챔버(312)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2챔버(314)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연결포트(321)가 상기 제2챔버(314)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0)의 물연결포트(322)는 제1챔버(312)에 구비될 수 있고, 세제연결포트(321)는 제1챔버(312)로부터 돌출되는 제2챔버(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관(620)과 세제관(420)의 구조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챔버(314)는 제1챔버(31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챔버(314)는 급수밸브(610)와 대략 폭방향(Y)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밸브(6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급수관(620)이 세제관(420)에 미치는 구조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24에는 커버공간(140)에 결합되기 위한 세제펌프(400)의 제1결합부(45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펌프(400)는 관통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400)의 제1결합부(455)는 관통부재에 의해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펌프(4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결합부(455)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관통부재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관통부재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일 수 있다. 탑커버(100)는 커버공간(140) 내부에 배치되는 관통결합부(540)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펌프(400)의 제1결합부(455)를 관통한 관통부재는 관통결합부(540)를 관통하거나 관통결합부(540)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관통결합부(540)는 관통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커버공간(14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통결합부(540)는 펌프제어모듈(510)의 배치 용이성을 위해 상기 펌프제어모듈(510)의 외측, 예컨대 펌프제어모듈(51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는 커버공간(140)에 결합되기 위한 세제펌프(400)의 제2결합부(456)가 도시되어 있다. 세제펌프(40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후크부(550)에 의해 고정되는 제2결합부(456)를 포함할 수 잇다.
후크부(550)는 커버공간(14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커버공간(14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후크부(550)는 커버공간(140)의 바닥면 또는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후크부(550)는 세제펌프(400)의 제2결합부(456)에 걸려 상기 세제펌프(400)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펌프(400)의 제2결합부(456)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후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후크부(550)가 세제펌프(400)에 구비되고 제2결합부(456)가 커버공간(14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제펌프(400)에서 제1결합부(455) 및 제2결합부(456)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세제펌프(400)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부(455)는 세제펌프(40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결합부(456)는 세제펌프(4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커버공간(140)에 배치되는 관통결합부(540)는 세제펌프(400) 및 펌프제어모듈(51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후크부(550)는 세제펌프(400) 및 펌프제어모듈(51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6에는 제2저장부(300)와 급수부(600)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부(600)와 제2저장부(300)의 수용케이스(310)는 급수모듈(6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급수모듈(650)은 급수밸브(610) 및 상기 제2저장부(300)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밸브(610)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상기 제2저장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급수모듈(650)은 복수의 급수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급수모듈(65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의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급수모듈(650)은 하나 이상의 입수홀(651)과 하나 이상의 출수홀(65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급수관(620)을 포함하는 급수모듈(650)을 이용하여 급수밸브(610) 및 제2저장부(300)를 연결함으로써, 급수관(620)에 대한 관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급수관(620)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급수모듈(650)의 입수홀(651)은 급수밸브(610)와 연결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급수모듈(650)의 출수홀(652)은 제2저장부(300)의 물연결포트(322)와 연결되어 물이 유출될 수 있다. 복수의 입수홀(651)은 각각 서로 다른 급수밸브(6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출수홀(652)은 각각 서로 다른 물연결포트(3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650)은 상기 급수밸브(610)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입수홀(651)보다 상기 제2저장부(300)로 물이 유출되는 출수홀(652)이 더 많을 수 있다. 즉, 급수모듈(650)은 어느 하나의 입수홀(651)과 연결되는 유로가 분기되어 복수의 출수홀(652)과 연결되는 분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분기 구조는 물의 공급대상보다 물의 수급대상이 더 많은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부(600)의 물이 제2저장부(300)로 공급되지만, 상기 제2저장부(300) 내에는 물이 공급되는 복수의 영역이 존재하며, 따라서 분기구조를 포함하는 급수모듈(650)을 활용함으로써 물의 효율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7에는 제2저장부(3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제2저장부(300)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저장부(300)의 수용케이스(310)는 상기 제2저장부(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세제연결포트(321) 및 물연결포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연결포트(321)와 물연결포트(322)는 수용케이스(3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세제와 물의 자중이 유동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수용케이스(310)는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챔버(312)는 수용케이스(310)로부터 인출 가능한 드로워(340)를 수용할 수 있고, 제2챔버(314)는 제1세제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물연결포트(322)는 제1챔버(312)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세제연결포트(321)는 제2챔버(314)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저장부(300)로 공급되는 물은 제1챔버(312)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세제는 제2챔버(314)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챔버(312)의 내부로 인입되는 드로워(340)는 그 내부에 제2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코스의 수행 시 제2세제를 드로워(340)에 저장하여 수용케이스(310)에 인입시킬 수 있고, 세탁코스가 수행되면 제1챔버(312)로 제공되는 물에 상기 제2세제와 혼합되어 수용케이스(3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챔버(312)와 제2챔버(314)는 연통될 수 있다. 제1챔버(312) 내부의 제1공간(313)과 제2챔버(314) 내부의 제2공간(315)은 함께 수용케이스(3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챔버(314)로 공급되는 제1세제는 제1챔버(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챔버(314)는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공간(315)은 제1공간(313)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공간일 수 있다. 제2챔버(314)의 바닥면은 제1챔버(312)의 바닥면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제2챔버(314)로 제공되는 제1세제는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4)의 높이 차이로 인해 제1챔버(312) 내부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에는 세제감지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감지부(330)는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 중 제1챔버(312)의 바닥면과 제2챔버(314)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챔버(314)로부터 제1챔버(312)를 향해 유동하는 제1세제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용케이스(310)의 전면, 즉 제1챔버(312)의 전면은 개방되어 케이스 개방면(316)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개방면(316)을 통해 드로워(340)가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케이스 개방면(316)의 일부는 제1세제 또는 제2세제 또는 물이 터브(20) 내부를 향해 토출되는 세제토출영역(317)일 수 있다. 상기 세제토출영역(317)은 케이스 개방면(316)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개방면(316)에서 상기 세제토출영역(317)은 수용케이스(310)에 수용된 드로워(340)보다 아래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제1챔버(312)에 존재하는 제1세제, 제2세제 또는 물은 자중에 의해 제1챔버(312)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며, 제1챔버(312)의 바닥면은 드로워(340)보다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챔버(312)에서 제1세제, 제2세제 또는 물은 드로워(340)와 제1챔버(312)의 바닥면 사이에서 유동되어 케이스 개방면(316) 중 세제토출영역(317)을 통해 토출되어 자중에 의한 낙하 현상으로 터브(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장부(300)는 제1챔버(312)를 포함하는 수용케이스(310) 및 상기 제2세제가 수용되고 상기 제1챔버(312)에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3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제관(42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1세제 및 상기 급수관(62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1챔버(312) 내에서 상기 제2세제와 혼합되어 상기 터브(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케이스(310)는 상기 세제관(4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가 유입되는 제2챔버(3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314)와 상기 제1챔버(312)가 연통되어 상기 제1세제가 상기 상기 제1챔버(312)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29에는 제2저장부(3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저장부(300)의 드로워(340)는 내부의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드로워(340)는 제1수용부(341) 및 제2수용부(34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수용부(341) 및 제2수용부(342)는 구획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수용부(341)에는 가루 형태의 제2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제2수용부(342)에는 액상 형태의 제2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세제 및 제2세제의 구분은 세제의 종류나 형태가 아닌 저장 대상에 따라 구분된다.
드로워(340)의 전면부(345)는 수용케이스(3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로워(340)의 후면부는 개방되어 제2세제가 드로워(340) 내부로부터 수용케이스(310)의 내부로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저장부(300)는 물확산부(3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확산부(370)는 수용케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저장부(300)로 유입되는 물을 수용케이스(310)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확산부(370)는 드로워(340)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챔버(312)에 배치되는 제1확산부(380) 및 제2챔버(314)에 배치되는 제2확산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확산부(390)는 제1확산부(380)로부터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1챔버(312)의 상면에 구비된 물연결포트(32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수용케이스(310)의 내부로 낙하되기 전 상기 물확산부(370)를 통해 확산되어 물의 공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챔버(312)로 공급되는 물은 제1확산부(380) 및 제2확산부(390)에 의해 제2챔버(314) 내부로 유동되어 공급될 수 있다. 제2챔버(314)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챔버내에 존재하는 제1세제를 세척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0에는 제2저장부(300) 내부에서의 유체 유동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수용케이스(310)는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챔버(312)의 내부에는 제1공간(313)이 정의될 수 있으며, 제2챔버(314)의 내부에는 제2공간(315)이 정의될 수 있다.
제2챔버(314)의 상면에는 세제연결포트(32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세제는 세제연결포트(321)를 통해 제2공간(3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공간(315)으로 유입되는 제1세제는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을 따라 흘러내려 제1챔버(312)의 바닥면을 따라 세제토출영역(317)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제1챔버(312)의 상면에는 물연결포트(322)가 배치될 수 있고, 물연결포트(32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제1공간(313)에 제공되어 상기 제1챔버(312)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챔버(312)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은 제1세제와 함께 혼합되어 세제토출영역(317)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1챔버(312) 내부에 수용되는 드로워(340) 내부에는 제2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제2세제는 제1공간(313)으로 공급되는 물과 함께 드로워(340)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드로워(34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드로워(340)로부터 유출되는 물과 제2세제는 제1챔버(312)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세제토출영역(317)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1에는 제2저장부(300) 내부에서 제1세제의 유동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제2챔버(314)의 세제연결포트(321)를 통해 유입되는 제1세제는 제2챔버(314)의 제2공간(315)으로 공급될 수 있고, 제2챔버(314)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되어 제1챔버(312)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챔버(314)는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제2챔버(314)의 바닥면은 제1챔버(312)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챔버(314)의 제1세제는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 중 제2챔버(314)의 바닥면과 제1챔버(312)의 바닥면 사이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세제의 유동경로에는 전술한 세제감지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감지부(330)는 제1챔버(312)의 후방벽(318) 중 제2챔버(314)의 바닥면과 제1챔버(312)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감지부(330)는 대략 지면에 수직한 후방벽(318)에 배치됨으로써 제1세제가 잔존하여 고착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세제감지부(330)는 한 쌍의 감지전극(3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감지전극(331) 사이에는 구획리브(3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332)에 의해, 상기 세제감지부(330)의 표면에 세제가 고착되더라도, 고착된 세제가 상기 한 쌍의 감지전극(331)에 모두 연결되는 상황이 억제되어 감지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9)

  1. 투입구가 구비된 탑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고,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터브개구가 구비된 터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제2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터브에 연통하는 제2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로 유동시키는 세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는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타측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장부의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이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부, 상기 수위감지부 및 상기 PCB모듈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와 연결되는 펌프제어모듈이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펌프제어모듈과 상하로 적층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세제펌프 중 상기 제2저장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어느 하나와 상하로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상기 투입구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부와, 상기 투입구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부와, 상기 투입구의 측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를 연결하는 측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제어모듈은 상기 후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측방부를 따라 연장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전방부와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탑커버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부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펌프제어모듈이 배치되며, 타측에는 PCB를 포함하는 PCB모듈이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상기 제2저장부 및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터브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 및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탑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후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부 및 세제펌프는 상기 후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공간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제1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면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에서 탈거되면 폐쇄되는 세제밸브를 포함하는 저장바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탑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바디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바디에 삽입되는 체결관을 포함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체결관과 연결되는 유출관을 통해 상기 제1세제를 전달받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밸브 앞에 위치되어 급수관을 통해 상기 급수밸브와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제2저장부에 결합되는 급수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입수홀보다 상기 제2저장부로 물이 유출되는 출수홀이 더 많은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수용케이스; 및
    상기 제2세제가 수용되고 상기 제1챔버에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펌프와 상기 제2저장부를 연결하는 세제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1세제 및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1챔버 내에서 상기 제2세제와 혼합되어 상기 터브로 배출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20092 2022-11-11 2022-12-12 의류처리장치 WO20241015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746A KR20240069336A (ko) 2022-11-11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50746 2022-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1519A1 true WO2024101519A1 (ko) 2024-05-16

Family

ID=9103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0092 WO2024101519A1 (ko) 2022-11-11 2022-12-1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10151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642A (ko) * 2007-05-28 200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 로드형 세탁기
KR20090122005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604743A2 (en) * 2011-12-14 2013-06-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KR20180080013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세탁 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56681A (ko) * 2018-11-15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215714061U (zh) * 2021-05-31 2022-02-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投放系统和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642A (ko) * 2007-05-28 200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 로드형 세탁기
KR20090122005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604743A2 (en) * 2011-12-14 2013-06-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KR20180080013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세탁 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56681A (ko) * 2018-11-15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215714061U (zh) * 2021-05-31 2022-02-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投放系统和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33798A1 (en) Washing machine
WO2015130015A1 (ko)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WO2019212189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8124813A1 (ko) 세탁물 처리장치
WO201812823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155309A1 (ko) 세탁기
WO2021040469A1 (en)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218211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0013472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045210A1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WO202410151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51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520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518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14995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27739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23584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403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000490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WO202410161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621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4033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403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014058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22698A1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