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01621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01621A1
WO2024101621A1 PCT/KR2023/013092 KR2023013092W WO2024101621A1 WO 2024101621 A1 WO2024101621 A1 WO 2024101621A1 KR 2023013092 W KR2023013092 W KR 2023013092W WO 2024101621 A1 WO2024101621 A1 WO 20241016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box
detergent
mounting
mounting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30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훈
김건우
정성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076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69342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1016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01621A1/ko

Links

Ima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that can supply steam and hot air to clothing to perform a refresh process such as sterilizing, removing wrinkles, deodorizing, and drying clothing.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home applianc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clothes using water and detergent, and includes a tub that stores water,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to the tub, and a flow path connecting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tub. It includes a detergent supply unit disposed in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tub along with the water.
  •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could simply be equipped with the detergent supply unit as a storage space for detergent, and a method of injecting the necessary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supply unit each time a user washed clothes was applied.
  •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ing a detergent box in which the detergent supply unit stores detergent, and a valve that automatically supplies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box to the tub.
  • This type of clothing treatment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trol unit can calculate the optimal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water supply, etc., so that only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can be supplied to the tub even if a large amount of detergent is stored in the detergent box.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had a limitation in that the detergent box was integrated into the cabinet and the like and could not be separated. As a result, when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box or are contaminated,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cannot be washed separately,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damaged or the clothes may be contaminated by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box.
  •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had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at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because there was no way to easily remove the wrong detergent or foreign matter if the user put the wrong detergent or foreign matter in the detergent box.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equipped so that the detergent box can be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that supplies detergent and completely pulled out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re was an advantage that the detergent box could be easily cleaned if it was contaminated or foreign substances were added, and if other detergents or foreign substances other than a suitable detergent were added to the detergent box, it could be easily removed.
  • the detergent box needed to be increased in volume to accommodate detergent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washing cycles.
  •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are equipped with a drawer-type housing that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entire detergent box in order to stably support a heavy and bulky detergent box.
  • the housing has all closed surfaces except for the open surface from which the detergent box is pulled out, so that it can support more than four sides of the detergent box.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device was able to stably support the detergent box even when large vibrations occurr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order for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o be equipped to completely accommodate the detergent box in the hous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rawer type), it must be equipped as a front load type with an opening at the front through which clothes are put in, like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device. It was common.
  • the front load type washing machine has a drum accommodating clothes that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that is parallel or slightly inclined to the ground, and a tub accommodating the drum is also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front load type washing machine, there was an advantage in that a space where the drawer typ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could be installed could be secured at the front corner of the cabinet.
  • the front load type washing machine does not have a door on the top, it also ha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stall a separat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at the top of the cabinet.
  • this drawer-typ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clothes inle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abinet.
  • the clothes processing device applied a drawer-typ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o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which has an opening at the top of the cabinet through which clothes are put in,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placed at the rear of the door or opening, and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provided as a drawer type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pulled out to the front.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pump that discharges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box or a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the pump and the detergent box. I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provided as a drawer type, the pump or connection part must be install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detergent box is input, and as a result, the detergent box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connection must be spaced forward as much as the space where it must be installed.
  • the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detergent box even if the area of the opening or door was reduced, and thus the volume of the detergent box could not be sufficiently enlarged.
  • a drawer-typ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pulled out to the top of the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can be considered.
  • the pump/connection par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etergent box, the width of the detergent box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area of the opening is not narrowed.
  • a drawer-typ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has a detergent box pulled out to the side of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can be consider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in a slide coupling type rather than a drawer type.
  • the detergent box is exposed and mounted on a 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or opening in the cabinet.
  • the detergent box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because the mounting/removing direction of the detergent box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drawer.
  • a method of attaching the detergent box to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at the top of the cabinet by inserting it from the top to the bottom may be considered.
  • the detergent box can be stably fixed to the mounting part, but it may be difficult to withdraw it from the mounting part.
  • a method in which the detergent box slides a certain length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unit toward the inside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may be considered.
  • the detergent box can be easily mounted and removed from the mounting unit, but there is also a limitation that the detergent box can be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mounting unit when vibration or the like occurs.
  • the method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exposed to the cabinet, sl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is the easiest to attach and detach the detergent box, so it is highly applicabl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slide and support a detergent box that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top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by sliding the detergent box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detergent box mounted even when only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is fixe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stably guide the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the detergent box by guiding it to slide and be mounte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detergent box can be mounted and detached even if there is no additional space for the detergent box to slide outside both side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slides and mounts a detergent box, but is capable of completing installation and separation of the detergent box before the detergent box slides ou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ke it an assign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mounted on the top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nd the detergent box that stores detergent among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s is slidably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It can be equipped to be mounted on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may be equipped with a mounting part that can be mounted on the detergent box in a top cover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and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clothes are put in.
  • the mounting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opening to prevent clothing from being inserted.
  • the mounting part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that guides the detergent box to slide, and a communication part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detergent box.
  • the mounting groove may be provided to support only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 the mounting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top. Accordingly, when the detergent box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part, it can be immediately separated from the detergent box without additionally sliding in the mounting groov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disposed behind a door or inlet to receive the detergent and deliver it to the tub, accommodating the detergent su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top cover.
  • a laundry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ing a detergent box detachably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washing machine.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oor or the inlet and receives the detergent supplied to the tub and accommodates the detergent su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sl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supplied to the tub. It may include a detergent box that is removably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mounting body provided behind the door or the inlet, a mounting groove that guides movement of the detergent box in the mounting body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and is provided on the inside or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It may include a limiting surface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detergent box, and a communication part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limiting surface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tergent box and receives the detergent.
  • the detergent box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mmunicating part by sliding along the mounting groove, and may be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groove when separation from the communicating part is completed.
  • the detergent box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from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to the other end, and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when separation from the communication part is completed.
  • the mounting body may extend further out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spar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etergent box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ng part.
  • the detergent box may slide in the mounting groove and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before reaching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 the detergent box may be provided so that an end of the detergent box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portion before leaving the spare area.
  • the detergent box may be rotated so as to be closer to the communication part from an upper part than the mounting groov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art.
  • the detergent box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mounting groove to be rotated toward the communicating part without leaving the inner end and the other out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mmunicating part.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bump that protrudes from the outside or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to secure the storage body.
  •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to the other end may be shor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detergent box.
  • the mounting portion extends from the mounting body to form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and may include a receiving surface that slides and supports the detergent box.
  • 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by the mounting body being depressed inside the receiving surface.
  • the detergent box may include a storage body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to store the detergent, and a support rib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to accommodate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surface.
  • 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step disposed outside the receiving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ib.
  • the detergent box may include a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and disposed inside the support rib, and a discharge portion seated on the plate and detachably provided in the communicating part to deliver the detergent to the communicating part.
  • the plate may include a plate body coupled to the storage body, and an installation groove that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plate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discharge unit is installed.
  •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bump that protrudes from the outside or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and secures the storage body, and the detergent box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ng portion when it leaves the bump and can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groove. .
  • the mounting groove includes a first mount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body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It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part provided on the inside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r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 the detergent box slides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and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to store the first detergent,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etergent box. It may slide to include a second detergent box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and stores the second detergent.
  • the first detergent box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may b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efore sli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cov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upporting a detergent box that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top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so that it can sli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detergent box to be installed by sliding i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detergent box mounted even if only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is fixed to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guiding the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the detergent box by guiding it to be installed by slid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detergent box even if there is no additional space for the detergent box to slide outside both side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detergent box to be installed by sliding it, but the installation and separation of the detergent box from the detergent box can be completed before the detergent box is slid ou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Figure 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top cover and door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the top cover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etergent box can be separated/installed by sliding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a problem when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slide the detergent box.
  • Figure 8 shows the process of moving the detergent box to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uni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shows the mounting groov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shows the detergent box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shows the width direction fixing structure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idth direction fixing structure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shows the width direction fixing structure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shows the forward-backward fixing structure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6 to 18 show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etergent box.
  • Figure 19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 Figure 20 shows how the fixing part operates.
  • Figure 21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xing unit.
  • Figure 22 shows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etergent box from the mounting unit.
  • Figure 2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 Figure 1 shows an external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p cover 2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 the top cover 2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 and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clothing is input.
  • the top cover 20 is a control panel having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the course and a display unit that can externally display the status of the course being performed and the status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40) can be installed.
  • the top cover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abinet 10.
  • the cabinet 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nsure durability
  • the top cover 20 can be made of a resin series or the like to have a complex structure or be provided to easily combine different components.
  • the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2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stores a larger amount of detergent as its volume increase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recharges the detergent.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be easily cleaned by the user, and can be easily replaced even if detergent or foreign substances that the user does not want are added.
  • a suspension 40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cabinet 10, and the tub 5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top of the cabinet 10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here is not enough space for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to be install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be placed outside the cabinet 10 and expanded to a sufficient volum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1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coupled to the top cover 2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be easily removed and installed on the top cover 2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when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door 30 or the opening,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opens the door 30 or puts clothes into the opening. can interfere with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placed behind the door 30 or the opening. As a result, the user can open the door 30 or insert clothing into the opening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n addition,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support the open door 30, preventing the door 30 from opening excessively.
  • the driving unit 90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tub 50,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vibrates, the top cover 20 may vibrate the most. Since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detergent, its weight is large and its inertial force is also large. In this situation, when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op cover 20, the vibration with the largest amplitude among the laundry treatment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There may be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randomly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2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rovided in the top cover and may be provided as a drawer type that is drawn out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provided as a drawer type while being coupled to the rear of the door 30 of the top cover 20,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top, side, and front surfaces.
  • the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height greater than the width to secure washing capacity,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user to completely withdraw and inser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housing of the top cover 20. Additionally, since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oor 30, it may be very difficult for a user to withdraw or inser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of the top cover 2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pulled out and inserted from the top cover 20 into the housing from the side, rather than being pulled out and inserted upward.
  •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pulled out and inserted forward from the top cover 20 ensures that the length at which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pulled out can always be secur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n order for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and communicate with the tub, it is essential to have a pump or hose on the back of the housing that faces the side where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s inserted to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since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must be placed ahead of the pump or hose, additional space for installing the pump/or hose must be secured on the back of the door 30 and the inlet. As a result, it may not be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volume for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If the length in the insertion/withdrawal direction is extended sufficiently to secure the volume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he area of the opening becomes narrow, making it difficult to take in and out of clothes, or the opening and door 30 are connected to the top cover. Because the arrangement is excessively biased toward the front in (20), clothing may be piled up only in the front of the drum (60). As a result, problems resulting from unbalance with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occur.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not provided as a drawer type.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op cover 20 and exposed to the outside.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mounted or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20 and can secure a degree of freedom compared to the drawer type, and has sufficient height, width, and length. You can expand more than one.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commodate and suppor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capable of firmly fixing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door open.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oor 30 to support the open state of the door 30 when the door 30 is opened.
  • the door 30 and the top cover 20 on which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mounte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 the top cover 2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1, and the door 3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2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21.
  • the top cover 20 may place the control panel 40 ahead of the opening 21.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control panel 40.
  • the control panel 40 may have a built-in control unit that receives commands to control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and performs an arbitrary clothing processing course.
  • the control panel 4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41 that receives a power comm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 input unit 44 that receives an arbitrary course that the control unit can process, and an external device that reports the status of the control unit.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display unit 44 that displays a , and a performance unit 42 that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the selected course.
  • the top cover 20 may be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unit that receives water and a manual supply device 10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unit and can store detergent.
  •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is arranged to be withdrawable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21, so that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can be shortened.
  •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ny location and in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store and discharge detergent.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placed rearward of the opening 21. As a result,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and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can share the flow path through which detergent is discharged. In addition, i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and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have independent channels for discharging detergent, they can be centrally arranged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top cover 2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and can store a larger amount of detergent than required for one course.
  • Figure 3 shows one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ipped to perform any washing cours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clothes with water and detergent.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the exterior, a tub 5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to store water, and a tub 50 rotatably provided to accommodate clothing. It may include a drum 60 and a driving unit 90 coupled to the tub 50 to rotate the drum 50.
  • the cabinet 10 may have an opening at the top through which clothes are put in, and the tub 50 and the drum 60 may also have an opening at the top that allows the clothes to be put in.
  • the driving unit 90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50 and rotate the drum 6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spension 70 supporting the tub 50 inside the cabinet 10, and the suspens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ub 50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It may be equipped with a damper and spring connecting the upper part.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10 and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water to the tub 50, and a water supply unit 70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art of the tub 50. It may include a drain unit 80 that discharges water contained in the tub 5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tergent supply unit that supplies detergent to the tub 50.
  • the detergent supply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nd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may be equipp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add detergent.
  •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unit 70 and the tub 50, and receiv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70, so that all of the introduced detergent is stored in the tub 50. supplied.
  •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is equipped to directly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to the user each time the course is perform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equipped to store a large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to the tub 50. That is,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configured to store detergent capable of performing the course multiple times at once and discharge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into the tub 50 each time the course is perform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configured not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70. That is, since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does not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70, even if a large amount of detergent is stored, it prevents all of the detergent from being discharged with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70. It can be.
  • the downstream part of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unit 70 or the tub 50, but the upstream part may not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unit 70.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both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nd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or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of them.
  •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nd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are provided so that their respective downstream parts communicate.
  • the flow path structure can be simplified.
  • Figure 4 shows the detergent supply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ergent supply unit 100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top cover 20.
  • the top cover 2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can be easily molded into a structure on which the detergent supply unit 1000 can be seated.
  • the water supply unit 70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top cover 20.
  •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lower part of the opening 21 penetrating the top cover 20.
  •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orward from the top cover 20 and can receive powdered detergent or liquid detergent.
  •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unit 70 to receive water and discharge the introduced detergent to the bottom.
  •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manual supply device 100 can be directly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tub 50.
  • the manual feed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101 that is withdrawn and retracted forward from the opening 21. As a result, the detergent is drawn forward only when it is put in, and the rest is accommodated in the top cover 20, so that it does not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put in.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placed at the rear upper part of the top cover 2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may be placed above the water supply unit 70 and may be placed above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be delivered to the water supply unit 70 or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and supplied to the tub 5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ncludes a detergent box 200 that stores detergent supplied to the tub 50, and a mounting part 300 that secures the detergent box 200 to the top of the top cover 20. may include.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 Accordingly,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whenever necessary, making cleaning/maintenance easy.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As a result, the user can put the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box 200 without being restricted by location, and the top cover 20, etc.,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during the process of putting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box 200. It can be.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o store different detergents.
  • the plurality of detergent boxes 20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p cover 20 in the width direction.
  • the moun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top cover 20, but may be mounted rearward of the door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 the moun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is detachably fixed to the mounting unit 200 .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whi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2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tergent box 200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may not be fixed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user can attach and separate the detergent box 200 from the mounting unit 300 without being significantly limited by the height of the cabinet 10.
  • the total length of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longer than the height or thickness of the detergent box 200. As a result, the detergent storage capacity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increased whil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lowered and the area of the door 30 or the opening 21 can be guaranteed.
  • the mounting unit 300 may be equipped with a transfer unit that receives the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box 200 and discharges it into the tub 50.
  •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detergent pump that discharges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box (200), and a detergent pump that communicates the detergent pump to one or more of the water supply unit (70), the tub (50), and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a supply pipe.
  • Figure 5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attached and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part.
  • the detergent box 200 includes a first detergent box 200a that stores the first detergen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300; It may include a second detergent box 200b that is provided separately and stores the second detergen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300.
  • the first detergent may be a laundry detergent need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clothing
  • the second detergent may be a bleaching agent that bleaches clothing or a softener that adjusts the hardness and scent of fibers.
  •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may be provided in liquid form. Accordingly, the first deter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can be easily discharged into the mounting unit 300 by their own weight.
  • the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equipped to store a third detergent.
  • the third detergent may be a different type of deterg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rgents, or may be the same detergent as the first and second detergents, but in powder form rather than liquid. .
  • the third detergent may be completely the same as either the first detergent or the second detergent.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opposing surfaces, or may be provided in completely different shapes.
  •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may have a structure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nd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in the same manner.
  • the detergent box 200 may include a storage body 210 that provides a space to store detergent.
  • the storage body 21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300 by sli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 the storage body 210 does not need to be lif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when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and needs to be lifted to the top of the mounting part 300 when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300. There is no Therefore, even if the storage body 21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top cover 20 and at the rear of the top cover 20,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storage body 210 to the mounting unit 300. It is detachable.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by being pressed or pulled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unit 300. Accordingly, even when the door 30 opens the opening 21,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storage body 210 from the mounting part 300 in a slide manner from behind the door 30 without being restricted. .
  • the storage body 210 when the storage body 210 is separated by moving to the side from the mounting part 300, from then on, it can freely move not only to the side of the mounting part 300, but also to the top, front, rear, etc. You can.
  • the storage body 21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mounting unit 300 are separated from the fluid communication state, the storage body 210 may be completely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unit 300. Accordingly, the storage body 210 may continue to move to the side of the mounting part 300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mounting part 300, and may be lif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in all directions except the bottom to move the mounting part 300. can be separated from
  • a wall or other home appliances, etc. are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300, creating a space for the storage body 210 to slide along the length of the storage body 210. Even if this is not secured, the storage body 21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mounting part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art 370 that is detachably provided with the storage body 21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part 370 and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stored detergent into the communication part 370.
  • the communication part 37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mounting part 3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As a result, the storage body 210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and be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ortion 370.
  • the mounting part 300 may be provided to slide and move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300 until the storage body 21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 the storage body 210 can slide on the mounting part 300 only when coupled to the communicating part 370, and can slide on the mounting part 300 when the coupling with the communicating part 370 is released. It can be completely separated without moving.
  • the storage body 210 sl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300 and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300 and slide only when fluid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That is, when the storage body 210 is fluidly disconnec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the storage body 210 is free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300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hape of the mounting part 300. You can move.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310 that accommodates and supports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while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310 and guided to slide.
  • a limiting surface 32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r inside the mounting groove 310 to limit the inner movement or insertion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limiting surface 320 supports the storage body 210 and can prevent the storage body 210 from vibrating inward.
  • the communication portion 37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communication portion 37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limiting surface 320 than to the top.
  • the detergent box 200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seated on the mounting part 300, it needs to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 the fact that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along the mounting groove 310 and is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means that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Because it does.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vibration of a larger amplitude is transmitted to the mounting unit 300. Accordingly, the mounting unit 30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200, but can be provid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detergent box 200 and vibrate relatively.
  • the mounting unit 300 prevents the storage body 210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storage body 210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70 or mounting on the mounting unit 300 is completed.
  • (210) may further include a bump 330 that prevents sliding movement toward the outer surface.
  • the bump 33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r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 Figure 6 shows how the detergent box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mounting portion based on the overall shap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may be seated and fixed in an exposed state on the mounting part 300.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may be plac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received and pulled out in a drawer, etc. I can't.
  •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are seat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300, or are only partially received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300, The rest is fixed in an exposed state.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are installed.
  • (200b) is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that is longer than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ar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300 while slid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and the mounting part 300 ) can be stably combined and separated.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slide from the center of the mounting part 300 towar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art 300 while moving the mounting part ( 300).
  • the detergent box 200 can slide and move the mounting part 300 until it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Accordingly, stability can be ensured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mounting unit 300 may support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with the first mounting area 310a, and support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with the second mounting area 310b. there is.
  • the first mounting area 310a forms a receiving space in the mounting portion 300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forms a first mounting area capable of supporting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It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310a, but may be provided in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 the second mounting area 310b forms a receiving space in the mounting portion 300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thereby forming a second mounting area capable of supporting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It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310b, but may be provided in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longer than the length DO of the mounting area 310.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tep 360 extending from the mounting area 310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 the mounting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pare length D2 outside the mounting area 310.
  • the length of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D0 of the mounting area 310. Accordingly,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seated in the mounting area 310,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much as the spare length D2 of the mounting part 300.
  • the detergent box 200 is slidably moved by the length DO of the detergent box 200 in the mounting area 310, even if a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upported in the spare length D2. , coupling to and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portion 300 can be completed.
  • the detergent box 200 contains at least some detergent and is somewhat heavy, the user can slide and move the detergent box 200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detergent box 200 on the mounting part 300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user can slide-couple the detergent box 200 to the mounting area 310 while transmitting the load of the detergent box 200 to the mounting part 300 from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pare length D2 of the mounting part 300. .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tably coupled or separated while sliding to the mounting part 300. You can.
  • Figure 7 shows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detergent box.
  • the top cover 20 slid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300, and slid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20. It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or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30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tab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300. There is. However, in some cases, it may be impossible to attach the detergent box 200 to the mounting unit 300 or to separate it from the mounting unit 300.
  •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2 may be placed close to one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can slide in the mounting area 310 beyond the length DO of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it can easily be forcib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area 310. You can.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refrigerator 2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D0 of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Therefore,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may not be able to slide in the mounting area 310 by the length DO of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area 310, it may not be possible for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area 310.
  • the detergent box 200 cannot slide on the mounting area 310 by the length D0 of the detergent box 200, the detergent box 20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area 310. It may be impossible to become or combine.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in a multi-purpose room, etc., where the distance from the wall w is narrower than the length DO of the detergent box 200.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r combined in the mounting area 31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if the detergent box 200 is forced to slide by the length DO, the automatic detergent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ly device 1000 may be reduced by half.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or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unit 300 even if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shorter than the length DO of the detergent box 200.
  •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etergent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 At least one detergent box 200 of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has a length of the mounting part 300 in the mounting part 300. It can be slid in either direction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 the detergent box 200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part 370 by sliding in the mounting part 300, the detergent box 200 is mov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to the mounting part. It may be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300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but may also be lifted straight upward.
  • the storage body 210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ewood area 310 even without leaving the mounting part 300 at all.
  • the process of coupling the detergent box 200 to the mounting unit 300 can be complet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reverse order.
  • the detergent box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It can be provided.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mplete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even if it slides only within both ends of the mounting unit 300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 home appliances 2 or walls (W), etc.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300 or the top cover 20,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art 300 or the top cover 20. Even if space for sliding is not secured, the detergent box 200 may not be restricted from being attach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Figure 9 shows in detail the process of attaching or detaching the detergent box from the mounting unit.
  • the detergent box 200 includes a storage body 210 that stores the detergent, and is coupled to the storage body 210 or disposed below the storage body 210 and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It may include a plate 220 supported on 300, and a discharge part 230 installed on the plate 220 to communicate with the mounting part 300 and discharging detergent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body 210. there is.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 receiving body 211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storage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portion 212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groove 310 to secure the storage body 210.
  • a fixing part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stallation part 212 to fix the storage body 210 to the mounting groove 310, and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400.
  • a detection unit 500 that can notify that it is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 a partition plate 22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part 212 and the receiving body 211 to separate each area.
  • the installation part 212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250 that couples the exterior of the mounting groove 310 to the detergent box 200.
  • the moun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37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230.
  • the communication part 370 can receive the detergent stored in the receiving body 211 and transfer it to a detergent pump disposed inside the top cover 20 and discharging the detergent into the tub 20.
  • the receiving body 211 may be disposed rearward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370 at a distance equal to or further apart from the coupling length D4 (described later) and supported on the mounting portion 300.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11 disposed rearward than the communicating portion 370 by disposing a support surface 380 between the mounting grooves 310.
  • the total length of the receiving body 211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mounting groove 310. As a result, the load of the detergent box 200 is distribut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mounting part 300.
  • the discharge part 230 can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art 370 only when it moves from the free end of the communication part 370 to the fixed end of the communication part 370 by the coupling length D4. there is.
  • the communication part 37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tergent box 200 is slid and introduced, and the discharge part 230 can be slidably moved to the mounting part 300 among the detergent box 200. It can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face the communication part 37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moved out of the mounting unit 300 by the length D4 or more.
  • the spare length D2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coupling length D4. Therefore, even if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out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310 by the engagement length D4, the end of the detergent box 200 extends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It may not protrude. Additionally, if the end of the detergent box 20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the discharge part 23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part 370.
  • the mounting part 300 may be unable to fix the detergent box 200. From this point on, the detergent box 200 may continue to slide from the mounting unit 300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cover 20, or may be lifted upwar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detergent box 200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ortion 370, even if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coupling length D4, the detergent box 200 When the end is lifted upward and rotated, the discharge part 230 can move in the communication part 370 beyond the combined length D4, and the discharge part 230 and the communication part 370 are separated. It can be.
  • the detergent box 200 can slide the mounting part 3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The end of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lifted upward and the detergent box 200 may rotate based on the communication part 37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200 only by the coupling length D4.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end of the detergent box 200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200 is lifted and the detergent box (200) If 200 can rotate,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 the process of coupling the detergent box 200 to the mounting unit 300 can be performed by reversing the above process.
  • the detergent box 200 is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pace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is placed.
  • the coupling and separation can be completed by sliding the top cover 2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00.
  • Figure 10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ounting portion 300.
  • the mounting portion 300 includes a mounting body 301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at the top of the top cover 20 and supporting the detergent box 200, and a mounting body 301 in the mounting body 301. It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310 that is recessed to accommodate an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 the mounting groove 310 ma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ounting body 301 and be provided to guide the slide movement of the detergent box 200, and may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upported or fix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limiting surface 320 that extends upward in a stepped manner from the in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moving further inward, and the limiting surface 320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art 370 provided in 320 and detachably provided with the detergent box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art 370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body 201 to receive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box 200.
  • the communicating portion 370 may protrude from the limiting surface 320 toward the other end or the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limiting surface 320 supports a portion of the inner or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vibrating toward the inside of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mounting portion 3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31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top cover 20 to maintain the detergent box 200. It may include a receiving rib 340 that supports.
  • the receiving rib 340 may extend from one end or the inside of the mounting groove 340 toward the other end or the outside, and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body 301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protruded.
  • the receiving rib 340 may protrude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301 and may extend outward from the top of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mounting part 300 may include a stopper 330 that protrudes from the outside or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310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being pulled out.
  • the receiving rib 340 may extend from the limiting surface 320 to the bump 330.
  • the receiving rib 340 supports both sides of the detergent box 200 and can guide the detergent box 200 to slide in and out of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bump 330 is provided to face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can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vibrating outward from the bump 330.
  •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the mounting body 301, but the receiving rib 340, the bump 330, and the limiting surface 320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body 301. ) may protrude to form the mounting groove 310 inside.
  • the mounting groove 310 completely accommodates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to fix and support the detergent box 200, and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fixed and supported.
  • the outer surface of the bump 33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334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detergent box 200.
  • the fastening portion 334 is provided as a groove recess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anti-duck duck 33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a hook provided in the detergent box 200.
  • the mounting part 300 can fix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when it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the stopper 330 are fixed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vibrating or moving further in the width direction. You can.
  • the receiving rib 340 can be fixed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vibrating or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mounting unit 300 accommodates or supports the four lower sides of the detergent box 200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 the fastening part 334 provided on the bump 3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200 to secure the detergent box 200. It can be additionally fixed.
  • the mounting portion 300 has a side step 350 disposed outside the receiving rib 340, a support surface 380 disposed inside the limit surface 320, and a support surface 380 disposed outside the bump 330.
  •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additionally supported through the outer step 360.
  • the mounting unit 300 can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by fixing the detergent box 200, and the detergent box 200 It can also prevent vibration in any of the four directions.
  • Figure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prevents the detergent box 200 from being pulled out while easily mounting the detergent box 200 thereon.
  • the depth H1 of the mounting groove 310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ion 370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H2 of the mounting groove 310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bump 3300.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with the mounting groove 310 disposed at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 that decreases in height from the bump 330 toward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mounting groove 310 is provided so that its height decreases from the other end or the outside to the end or the inside,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slides toward the communication part 370 by gravity. It can be induced to move.
  •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arranged at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groove 31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further biased toward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limiting surface 320 or the communication part 370 supports the load of the detergent box 200 and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detergent box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ce from leaving the groove 310.
  • the bump 330 has an inner surface 331 that supports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200,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the bump 330.
  • the bump 330 has a fastening portion 334 on the outer surface 333 to secure the detergent box 200, thereby preventing the detergent box 200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 the bump 330 may have an exposed surface 332 extend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parallel to the top of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exposed surface 332 ma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 Figure 12 shows a detailed structural example of the detergent box.
  • the detergent box 200 may include a storage body 210 that receives and stores detergent, and a plate 220 tha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210 and can be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there is.
  • the plate 220 forms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and the plate 2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torage body 210, o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210. It can be.
  • the plate 22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mounting part 300 and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art 300.
  • the storage body 210 can be stably fixed to the mounting unit 300 by the plate 220.
  • the plate 22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ion 230 on one side or a lower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ortion 370 and discharges detergent.
  • the discharge portion 230 may be disposed closer to one end or inner side of the plate 220 than to the other end or outer side.
  • the discharge part 230 may be equipped with a check valve that discharges detergent from the storage body 210 only when coupled with the communication part 370.
  • the plate 22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222 that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and moves the detergent to the discharge unit 230.
  • the lower surface 222 may be provided at an angle where the height decreases from the other end or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to one end or the inner side. That is, the lower surface 222 is provided at an angle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discharge unit 230 to induce the detergent of the storage body 210 to b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unit 23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etergent remaining inside the body 210.
  • the storage body 210 and the plate 220 can all be accommodated and suppor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entire detergent box 200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it is easy to support and fix it in the mounting groove 310, but it may be very difficult to pull it out.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groove 310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portion 300.
  • the plate 220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unting groove 310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plate 220 and the storage body 2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plate 220 may include a coupling surface 223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222 to the other end or outward.
  • the engaging surface 22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groove 310 and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discharge part 270 is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part 370, and the engaging surface 223 is supported by the bump 330 and moves further inside the mounting groove 310. or vibration can be prevented.
  • the detergent box 2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400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when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300.
  • the fixing part 400 may be provid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plate 220 and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r vibrating outside the mounting groove 310 by having the fixing part 400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plate 220 has a support protrusion 227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defective surface 223 and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333 of the bump 330.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coupling portions 250 that are detachably fixed to (334).
  • the support protrusion 227 may protrude from the plate 220 at a length that can prevent the discharge portion 230 from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support protrusion 227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coupling portion 2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ok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334 provided on the bump 330.
  • the support protrusion 227 can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excessively moving or vibrating inside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coupling portion 250 can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moving or vibrating inward in the mounting groove 310, and can als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moving or vibrating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It can be blocked to a certain level through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astening part 334.
  • the overall length of the plate 22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rib 227 and the fixing part 4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rib 227 and the fixing part 400 is as above. It may be provided to be the same as the spacing or length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detergent box 200 can further expand the volume of the storage body 210 by enlarging the storage body 210 beyond the length of the mounting groove 310, and at the same time, the plate 220 Through this, a portion of the lower part can be stably received, suppo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380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310, and extends further outward than the mounting groove 310 to further increase the detergent storage capacity. can do.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tably sea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plate 220.
  • the detergent box 2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ib 240 that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based o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body 210 and shields a portion of the plate 220. .
  • the support rib 24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rib 3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mounting groove 310 and the entire receiving rib 240.
  • the support rib 240 fixes the detergent box 2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op cover 20 and prevents the support portion 200 from vibrating or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op cover 20. You can.
  • Figure 1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upport protrusion 227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supported on the limiting surface 270.
  • the support protrusion 227 of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supported on the limiting surface 270, and the discharge part 270 may be supported on the communication part 370.
  • the fixing unit 400 may be supported on the bump 330.
  • the support protrusion 227 or the discharge part 230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limiting surface 320 or the communication part 370, and the fix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barrier 330. ) can be supported on the inside.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fix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mounting groove 310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is press-fitted by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the bump 330.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fix the detergent box 200 in the width direction even without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etergent box 200.
  • the fixing part 400 protrudes from the detergent box 200, but can be provid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detergent box 200.
  • the fixing part 40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detergent box 200. Accordingly, the fixing part 400 can be selectively fixed to the bump 330.
  • the detergent box 200 may further include a push part 260 that presses the fixing part 400 and raises the fixing part 400 to separate it from the bump 330.
  • the push unit 26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box 200 and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inside, and may be provided to raise and lower the fixing unit 400.
  • the user can press the push part 260 and separate the detergent box 200 from the bump 330.
  • the detergent box 200 can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when the push part 260 is attached. You can.
  • Figure 1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ergent box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a receiving body 211 that accommodates the detergent, and an installation portion 212 that installs the fixing portion 400.
  • the fixing part 400 Since the fixing part 400 is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body 210, it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storage body 210.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art 212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fixing part 400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bump 330 is installed.
  • the receiving body 2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stallation part 212, and a partition plate 225 may be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receiving body and the installation part 212.
  • the partition plate 225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body 210 to partition the installation part 212 and the receiving body 211.
  • the installation part 212 may be equipped with not only the fixing part 400 but also the coupling part 250 coupled to the bump 330.
  • the plate 220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dy 211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to discharge the detergent to the discharge portion 230.
  • the plate 220 may be inclined to move away from the discharge unit 230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20 may be disposed at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that increases as the outer side or from the installation portion 212 moves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230 .
  • the communication part 3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art 230.
  • the detergent body 211 may extend further rearward than the discharge portion 230 and be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380. As a result, the detergent body 211 can be provided so that most of the detergent body 211, except for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As a result, the detergent box 200 can secure detergent storage capacity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volume of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installation portion 212 may be disposed to extend beyond the barrier 330 and extend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ier 330.
  • the detergent box 200 can arrange the coupling portion 250 not on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but also on the outside of the bump 330.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unit 300 by supporting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ump 330.
  •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400 and the coupling part 250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bump 330.
  •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400 and the coupling part 250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fixing part 400 and the coupling part 250 are fixed in a form that grips both sides of the bump 330, so that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firmly fix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cover 20. there is.
  • the detection unit 500 that detects that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unit 400.
  • the detailed structure is described later.
  • Figure 15 shows the outer fixing structure of the detergent box and the mounting portion.
  • the detergent box 200 is fixed to the mounting part 300 by supporting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ump 330 with the fixing part 400 and the coupling part 250. It can be.
  • the bump 33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334 on its outer surface that can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50.
  • the fastening portion 334 and the coupling portion 250 may be coupled by hook coupling.
  • the fastening part 334 is provided as a hook, the user or clothing may be damaged, so the fastening part 33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a hook is coupled.
  • the fastening portion 334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bump 330, and its height may be shorter than the width.
  • the detergent box 200 may have the engaging portion 250 disposed on the engaging surface 223 extending below the plate 220.
  • the coupling portion 250 may be provided as a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urface 223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334.
  • the coupling portion 250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pling surface 223 and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334.
  • the coupling portion 250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being lifted upward when fixed to the fastening portion 334.
  • the coupling portion 250 is provid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whe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334, thereby blocking the detergent box 200 from moving out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300, thereby preventing the detergent box 200 from moving outward. ) can be fix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300.
  • the detergent box 200 has an outer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urface 254 that shields the installation part 212 from the outside.
  • the fixing part 250 may be fixed between the outer surface 254 and the coupling surface 223, and is supported on the mounting body 301 on the outer surface 254 to prevent wear and absorb vibration.
  • a buffer member 280 may be installed.
  • the coupling portion 250 includes a coupling hook 251 that is inserted into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34, and a coupling body supporting the coupling hook 251. It may include (252) and a fastening hook 253 that extends from the coupling body 252 an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254 of the detergent box 200.
  • the coupling portion 250 may include a coupling hook 251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252 and a fastening hook 25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252.
  • the outer surface 254 of the detergent box 200 is detachably provided with the fastening hook 253 to fix the coupling portion 250.
  • the coupling portion 250 can be designed with a complex configuration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detergent box 200.
  • Figure 16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fixed to the mounting unit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mounting portion 300 has a receiving rib 340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310 to prevent the detergent box 200 from vibrating forward or backward or being separated. can do.
  • the receiving rib 34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20.
  •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side step 350 dispos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rib 340 and the mounting body 301.
  • the side step 350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mounting body 301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eceiving rib 340.
  • the side step 350 may serve as a rail on which the detergent box 300 is supported and can slide.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guided to slide while seated on the side step 350.
  •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20, etc. is received and supported inside the receiving rib 340, and at the same time, it is supported on the side step 350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rib 340. You can.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lower surface supports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receiving rib 340 and grips both sides of the receiving rib 340.
  • the detergent box 200 is fix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e top cover 20, and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r vibrating forward and backward.
  •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provided with a greater depth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tha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pening 21. That is, the depth L1 adjacent to the receiving rib 34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L2 adjacent to the receiving rib 340 located on the front side.
  • the mounting groove 310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that becomes deeper as it moves backward. Accordingly, even if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box 200 leaves the mounting groove 310 due to severe vibra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21.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induced to be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again by the wall surface.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rib 240 by support ribs 240 protru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support rib 240 may extend lower than the plate 220.
  • the support ribs 240 may receive both surfaces of the receiving ribs 240 and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receiving ribs 240, respectively.
  • the detergent box 200 is firmly fix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due to the plate 220 being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0 and the support rib 240 receiving the receiving rib 240. can do.
  •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blocked from vibr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support rib 240 may be arranged to extend further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rtion 270 toward the mounting jaw 330.
  • the support rib 24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both sides of the bump 330.
  •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240 may be formed opposite to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groove 310 and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20.
  • the side step 350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as it extend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rib 310.
  • the support rib 240 can be easily induced to separate from the side step 350.
  • the support part 200 can be fixed in all four direction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rib 240, the fixing part 400, the coupling part 250, the support protrusion 227, and the discharge part 230. .
  • Figure 17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dy of the detergent box.
  • the storage body 210 may be longer in the width direction than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in the height direction based on the top cover 20.
  • the inner surface 2113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arranged vertically or close to vertic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other storage body 210 facing it, and the outer surface 2114 may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It is provided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2111 and to prevent clothing from getting caught on and damaging the outer surface 2114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upper surface 2111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hole 2117 into which detergent can be input.
  • detergent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hole 2117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230 disposed at the bottom. As a result, detergent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storage body 210.
  • the upper surface 2111 of the storage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strip 2116 to which the cover door 214 that opens and closes the input hole 2117 is rotatably coupled.
  • the cover door 214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that can serve as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when it covers the input hole 2117, and can be rotated at one end with the door white 2116. It may include a hinge coupling part that is coupled.
  • the input hole 2117 may be provided with a measuring part that protrudes inward to measure the amount of detergent contained in the storage body 210.
  • Both sides 2112 of the storage body 210 are expos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top cover 20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m.
  • the outer surface 254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2114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outer surface 254 may serve to secure the above-described coupling portion 250 to the storage body 210.
  • a plate 2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210 to prevent detergent from leaking out of the storage body 210 by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 a cushioning member 28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220 to prevent friction and vibration shock with the mounting portion 300, and the cushioning member 280 may be coupled to each lower edge of the plate 220. You can.
  • the plate 22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230 that can discharge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storage body 210 to the outside.
  • the discharge part 2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heck valve and can be equipped to discharge detergent to the outside only when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art 370, and prevents detergent or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storage body 210. can do.
  • the storage body 210 may include support ribs 240 that protrude further at each corner.
  • the support rib 240 includes a lower rib 241 that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aforementioned receiving rib 240 and fixes the storage body 2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n inner surface 2112 of the storage body 210. It may include an inner rib 242 protruding from and an extension rib 243 dispos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and extending the lower ribs 241 on both sides.
  • the lower rib 241 may also serve to secure the storage body 210 to the mounting unit 300 and guide the storage body 210 to slide on the mounting unit 300.
  • the inner rib 242 may serve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storage body 210 in preparation for collision with another adjacent storage body 210.
  • extension rib 243 may serve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lower rib 241.
  • the fixing part 400 includes a fixing body 410 that is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part 212 and protrudes lower than the plate 220, and a restoration that pushes the fixing body 410 out of the plate 220. It may include unit 420.
  • a push unit 260 may be installed on one of the two sides 2112 of the storage body 211 to move or raise the fixing unit 400.
  • the push unit 260 may be provided to move the fixing unit 400 by pressing one side of the fixing unit 400.
  • the fixing part 400 moves inside the storage body 210 to avoid the bump 330.
  • Figure 18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in the detergent box.
  • the plate 22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210 includes a plate body 221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and is provided inside the plate body 221 and the mounting groove ( 31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222 that may be disposed therein.
  • the lower surface 222 has a guide groove 2221 that is recessed to guide the detergent from the plate body 221 to the discharge portion 230, and is further recessed in the guide groove 2221 to provide the discharge portion 230. I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roove 2222 that forms an installation space.
  • the installation groove 2222 is installed by penetrat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210 into which the discharge part 230 is inserted, o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detergent can be discharged by combining the communication part 370. It can be.
  • the discharge hole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detergent box 200 on the plate 220.
  • a sealing rib 224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221,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partition surface, and lower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to prevent the leakage of detergent.
  • the plate 220 may include a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disposed outside the lower surface 222 and outside the sealing rib 224 to install the fixing part 400.
  • the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can support the fixing part 400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using or drawer so that the fixing part 400 can be pulled out to the lower surface. there is.
  • the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to allow the push part 260 to pass through,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storation part 420 can be seated thereon.
  • the detergent body 211 may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 the lower surface 222 may be provided with a width or area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groove 3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22 may be accommodated and seated within the receiving rib 240.
  • the coupling surface 223 may be extended and disposed outside the lower surface 222.
  • the coupling surface 223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222,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opposite to that of the lower surface 222. As a result, the engaging surface 223 can be provided so that its inner surface faces the out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above-described engaging portion 250 may be installed on the engaging surface 223, and a detachable hook 2232 may be provided for detachably fixing the engaging portion 250.
  • the engaging surface 22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xed installation portion 224 and outside the detergent body 211.
  • Figure 19 shows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installed in the detergent box.
  • the fixed installation portion 224 of the plate 220 may be provided to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is provided with a guide pillar 2241 that supports the fixing part 400 to guide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ush part 260 passes through the side of the guide pillar 2241. It may include an input hole 2242.
  • the fixing body 410 is provided close 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 height longer than the width, and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guide pillar 2241 to reciprocate up and down.
  • the restoration unit 42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top of the guide pillar 2241 and may be provided to push the fixing body 410 out of the plate 220.
  • the push unit 260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and pressurized thereon.
  • a push installation part 213 on which the push part 260 can be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 the push installation portion 213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2131 that penetrates the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or is recessed in the side to accommodate the push portion, and is provided inside the seating groove 2131 to accommodate the push portion.
  • the seating groove 2131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push part 260 to accommodate the entire push part 260, and the support 2132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ush part 260.
  • the push part 260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push part 260 from protruding excessively from the storage body 210 by being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
  • the support 2132 can serve as the center of the lever and the center of the seesaw.
  • the push unit 260 when the push unit 260 is pressed, only the other e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33,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fixing body 4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of the restoration unit 420, and the push unit 26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push part (260) By pushing (260) out of the support body (210), the push part (260) can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 Figure 20 shows an example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 Figure 20(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art 400
  • Figure 20(b) shows a side view of the fixing part 400.
  • the fixed body 4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pillar 2241 and be provided to reciprocate up and down.
  • the fixing body 41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long bar.
  • the fixing body 410 may include a lower locking portion 411 provided at the bottom and supported by the bump 330.
  • a detection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locking part 411.
  • the fixing body 410 may include a moving groove 412 pressed by the push part 260 above the lower locking part.
  • the moving groove 412 has a parallel surface 4122 disposed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ush part 260, and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parallel surface 4122 toward the push part 260 ( 4121).
  • the fixing body 410 may be provided with a restoration seating part 414 on which the restoration part 420 can be seated.
  • the restoration seating part 414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ody 410 an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estoration part 420.
  • the restoration part 420 may include a spring accommodated inside the guide pillar 2241 and seated on the restoration seating part 414.
  • the fixing body 410 may include an prevention rib 413 protruding from one side.
  • the prevention rib 413 may be seated in a locking groov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guide pillar 2241.
  • the prevention rib 413 is slidably moved in a locking groove provided on the guide pillar 2241, and guides the fixing body 410 to move up and dow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ixing body 410 is connected to the guide pillar ( 2241) It can prevent i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 the prevention ribs 413 may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410 and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412.
  • the fixed body 410 may have a detection unit 500 installed therei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etection unit 500 may include a generator 510 that generates a signal or magnetic force, and a sensor unit 520 that detects the generator 510. At this time, the generator 5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xed body 410.
  • the fixed body 410 may include a sensing receiver 415 that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enerator 510, and the sensing receiver 41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body 410. It can be provided with a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generator 510.
  • the fixing body 410 may further include a prevention rib 416 that prevents the generating part 510 from leaving the sensing receiving part 415.
  • the prevention rib 415 may be provided to shield a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sensing receiver 415.
  • the generator 51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and may be forcibly fitted and fixed to the sensing receptor 415.
  • the corner portion of the generator 510 may be arranged to make lin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ing receptor 415. The position of the generator 510 can be changed or vibration can be prevented.
  • Figure 21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ush part elevates the fixing part.
  • the push part 260 includes a push body 261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2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moving groove of the fixing part 420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push body 261 ( It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263 extending to 412).
  • the push body 261 is provided to be pressed into the storage body 210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2133 in the push body 261 to form the moving groove ( 412).
  •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may also protrude from the push body 261 to one side.
  • the free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in the moving groove 412.
  • the free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may be inclined toward the top. That is,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 the lower locking portion 411 moves upward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body 210.
  • the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includes a guide pillar 2241 that supports the fixing part 400 to guide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enetrates the side of the guide pillar 2241 to It may include an input hole 2242 through which the push unit 260 passes.
  • the guide pillar 2241 may be provided in a duct shape through which the fixing part 400 can move back and forth.
  • the guide pillar 2241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2245 that penetrates the plate 220 and guides the lower locking portion 411 to be pulled out.
  • the discharge hole 2245 may form an opening of the guide pillar 2241.
  • the fixing installation part 224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llar 2244 provided inside the guide pillar 24241 to face the discharge hole 2245 and fixing the restoration part 420.
  • the restoration part 420 begins to expand and the fixing body 410 can be moved downward.
  • the moving groove 412 moves downward and pushes the insertion protrusion 263 in a direction toward the push body 261.
  • the lower locking portion 411 may move downward and protrude out of the storage body 210.
  • Figure 2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etergent box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 the outer area including the installation part 212 is plac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mp 330.
  • the fixing part 400 also protrudes from the installation part 212 at its lower part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detergent box 200 can remain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 the detergent box 200 moves outward. It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part 300 without doing so.
  • the fixing part 400 may rise upward.
  • the fixing part 400 When the fixing part 400 rises, the fixing part 4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body 210, and any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box 200 is not restricted by the bump 330.
  • the detergent box 200 is not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 the mounted state at 300 may be maintained.
  • the detergent box 200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unit 300.
  • the detergent box 200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detergent box 200 or the detergent box 200 is pulled outward,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250 and the fastening portion 334, the discharge portion 230 and the Due to the coupling force of the communication part 370,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maintained fixed to the mounting part 300.
  • the detergent box 200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pulled with a force strong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250 and the fastening portion 334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230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370, the The detergent box 200 may slide out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be stably support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400 and the bump 330.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20 when the user wishes to separate it. You can.
  • Figure 23 shows a structure for detecting that the detergent box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 the coupling force is weaker than that provided as a drawer type.
  • the coupling force is weaker than when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1000 is slid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to the side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300, even if the mounting part 300 fixes the detergent box 200,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moved to the side arbitrari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move and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30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unit 500 that detects whether the detergent box 2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300.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detergent box 200 has been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300, it can notif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panel 40.
  • the washing course is stopped and the detergent box 20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300. It can be prevented.
  • the detec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300 to detect whether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detergent box 200.
  • the contact sensing unit 500 may be provided on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contact sensing unit 500 must be provided to be pressed together when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300 while sliding to detect positive engagement of the mounting part 300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do.
  • the mounting groove 310 is provided to support only a por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detergent box 200, its depth is not deep. Accordingly, since the height of the limiting surface 320 is not large, the contact sensing unit 500 has no choice but to be placed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370.
  • the contact sensing unit 500 detects the detergent or water. Reliability cannot be guaranteed as it is exposed to water.
  • the contact sensing unit 500 is placed in a different area beyond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the mounting groove 310, it is difficult to arrange it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tergent box 200 slides.
  • the sensing unit 500 is provided in a non-contact manner.
  • the sensing unit 500 may be provided in either the detergent box 200 or the mounting unit 300.
  • the detection unit 500 When the detection unit 500 is provided as a non-contact type, the detection unit 50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300 and is equipped with light, radio waves including infrared rays, ultrasonic sensors, etc. to recognize the detergent box 200. It can be. However, the detection unit 500 that detects whether the detergent box 200 is installed using light, radio waves including infrared rays, ultrasonic waves, etc. may also be vulnerable to detergent and water.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etection unit 500 with a generator 510 that generates magnetic force or a signal, and , it can be provided with a sensor unit 520 that can detect the generator 510.
  • the sensor unit 520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position and separation distance of the generator 510 by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or signal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510.
  • the generator 510 may be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 the sensor unit 520 may be provided with a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permanent magnet.
  • the sensor unit 520 Since the sensor unit 520 must continuously receive current or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sensor unit 52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300, and the generating unit 510 is a detergent box ( 200).
  • the detection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200b ar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310a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310b, respectively. So it needs to be detected.
  • the sensor unit 52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520a that detects that the first detergent box 200a is 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310a, and a second detergent box 200b. ) may include a second sensor unit 520b that detects that the sensor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groove 310a.
  • the generator 510 is provided in the first detergent compartment 200a and stimulates the first sensor unit 520a, and is provided in the second detergent compartment 200b to stimulate the first sensor unit 520a. It may include a second generator (510b) that stimulates the second sensor unit (520b).
  • the first sensor unit 520a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b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unit 370 or the limiting surface 320.
  •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the discharge portion 370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body 301.
  • the bumps 33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body 301, and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the discharge portion 370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mounting body 301.
  • the mounting groove 310 also has a first mounting groove 310a that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body 30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groove 310a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recessed in the mounting body 301. It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groove 310b, and a support surface 380 and a limiting surface 320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unting groove 310a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310b.
  • the first sensor unit 520a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b are disposed on the support surface 380 and the limit surface 320, and the support surface 380 and the detergent box 200 are disposed on the support surface 380 and the limit surface 320.
  • the first sensor portion 520a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520b can detect all detergents even if only one generator 510 approaches. It may be mistakenly sensed that the ship 200 is installed.
  • the generator 510 provided in either the first detergent box or the second detergent box stimulates both the sensor parts 520 for detecting the first detergent box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respectively.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trust the st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20.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each sensor unit 520 closer to the bump 330 than the limiting surface 320, and the detergent box ( When the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the generator 510 can be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it can face the sensor unit 520.
  • the fixing part 400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mp 330. It may be provided to deviate from the surface, protrude from the detergent box 210, and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 330.
  • the generator unit 510 is installed on the fixing unit 400, and the sensor unit 5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ump 330 inside or below the mounting groove 310.
  • the detection unit 500 can detect the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box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and is fully coupled.
  • the detection unit 500 may determine that the detergent box 200 is not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00.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detergent box 2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300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sensor unit 520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generator 510. can be detected.
  • the sensor unit 520 can even detect the user's intention to separate the detergent box 200 from the mounting unit 300.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또는 투입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전달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공급되는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함를 포함하는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팀과 열풍을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의 살균, 구김제거, 탈취, 건조 등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전제품으로서,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어 세제를 상기 물과 함께 터브에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공급부가 세제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단순하게 구비될 수 있었고, 사용자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할 때 마다 상기 세제공급부에 필요한 세제를 투입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세제의 종류와 양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을 보장할 수는 있었으나, 필요한 적정량의 세제의 투입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공급부이 급수를 받을 때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모든 세제가 터브에 투입되기 때문에, 세탁을 수행할 때마다 새롭게 세제를 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세제공급부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적정량의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0-0009638호 참조)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공급부가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를 터브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였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가 의류의 포량, 급수량 등에 따라 최적의 세제량을 연산할 수 있어,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가 다량으로 저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적정량의 세제만 터브에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이 상기 캐비닛 등에 일체로 구비되어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에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이를 따로 세척할 수 없어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손상되거나, 의류가 상기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로 인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에 사용자가 잘못된 세제 또는 이물질을 투입하였을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방법이 없어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세제함이 의류처리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1-0027019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이 세제를 공급하는 유로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따라서, 상기 세제함이 오염되었거나 이물질이 투입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상기 세제함에 적합한 세제 이외에 다른 세제나 이물질이 투입되었을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세제함은 다량의 세제가 투입되어야 사용자가 상기 세제함에 세제를 투입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세제함은 여러번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부피가 커질 필요가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무겁고 부피가 큰 세제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제함을 전부 수용하여 지지하는 드로워 타입의 하우징을 구비하였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함이 인출되는 개방면을 제외하면 전부 폐쇄된 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의 4면 이상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진동이 크게 발생하더라도 상기 세제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세제함을 하우징에 완전히 수용하도록 구비하는 (이하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기 위해서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프론트 로드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세탁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약간 경사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도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 프론트 로드 타입세탁기에서는 캐비닛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 상기 드로워 타입의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세탁기는 상부면에 도어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캐비닛의 상부에 별도의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드로워 타입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의류의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럼에도, 근자에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도 드로워 타입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013호 참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의 상부에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 드로워 타입 자동세제공급장치를 적용하였다.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캐비닛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등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되기 어렵거나,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세제함의 용량을 확대하거나 급수유로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상기 도어 또는 개구부의 전방에 배치되면, 상기 개구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를 상기 도어 또는 개구부의 후방에 배치하였고,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상기 세제함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하였다.
그런데,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시키는 펌프 또는 상기 펌프와 상기 세제함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면, 상기 세제함이 투입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펌프 또는 연결부가 설치되어야 하며, 그 결과 상기 세제함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배면에서 상기 펌프 또는 상기 연결부가 설치되어야 하는 공간만큼 전방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 타입의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되면,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부터 투입구 또는 도어의 배면까지의 공간에 세제함과, 펌프/연결부의 구성이 전부 설치되어야 한다.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개구부 또는 도어의 면적이 축소되어 의류의 인출입이 불편하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개구부 또는 도어의 면적이 축소되더라도 충분히 상기 세제함의 전후방향 두께를 확보하기 어려워, 상기 세제함의 부피를 충분히 확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서 세제함이 상부로 인출되는 드로워 타입의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제함의 하부에 펌프/연결부가 배치될 것이므로, 상기 세제함의 전후방향의 폭이 충분히 확보되고 개구부의 면적도 좁아지지 않는다.
그러나, 탑로드 타입세탁기에서는 자동세제공급장치가 개구부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세제함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된다면, 일반적인 사용자의 신체조건이 세제함을 상기 드로워의 상단까지 완전히 인출시키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탑로드 타입세탁기에 측면으로 인출되는 세제함을 구비하는 드로워 타입의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제함을 측면으로 인출하는데는 쉬울 수 있으나, 상기 세제함은 드로워에서 완전히 인출되기 까지 인출되는 방향이 유지되어야 한다.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에 벽이 배치되어 있거나, 다른 가전제품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세제함가 인출되는 길이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아예 세제함의 삽입과 인출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종래에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 자동세제공급장치가 드로워 타입으로 설치되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한편, 상기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자동세제공급장치가 드로워 타입이 아닌, 슬라이드 결합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캐비닛에서 도어 또는 개구부의 후방에 구비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의 형상 등에 상기 세제함의 장착 / 인출방향이 제한되지 않아 상기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세제함을 상기 캐비닛의 상부 중 도어 후방에 구비된 장착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로 삽입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세제함이 안정적으로 장착부에 고정될 수 있으나, 그만큼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의 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일정길이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과 분리가 모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진동 등의 발생하면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임의로 분리될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
결과적으로,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서 상기 세제함이 캐비닛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방식이 상기 세제함의 착탈에 있어서는 가장 용이하여 적용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 세제함을 상기 장착부에 설치하기 쉬운 만큼, 상기 세제함이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것도 쉬워지므로, 상기 세제함의 장착은 쉬우면서 상기 세제함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세제함이 쉽게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온전히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는 방안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세제함을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세제함의 하부만 의류처리장치에 고정되어도 상기 세제함을 장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함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세제함의 결합과 분리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양측면 외부에 상기 세제함이 추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상기 세제함의 장착과 분리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함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착하되, 상기 세제함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이탈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세제함과 장착과 분리를 완료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로드 타입 세탁기 상부에 장착되는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 중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을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과 장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착부를 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탑커버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개구부 후방에 배치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세제함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세제함의 하부만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착홈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함이 상기 연통부와 분리되면 추가적으로 상기 장착홈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더라도 곧바로 상기 세제함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또는 투입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전달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공급되는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함;를 포함하는 자동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투입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전달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공급되는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투입구 후방에 구비되는 장착바디와, 상기 장착바디에서 상기 세제함을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며 상기 세제함의 하부를 지지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의 내측 또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면과, 상기 제한면에서 상기 세제함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제를 공급받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연통부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연통부와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착홈에서도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의 일단에서 타단 까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연통부와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착홈에서 상부로 이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장착홈에서 상기 탑커버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세제함이 상기 연통부에 결합되면 외부에 노출되는 여유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탑커버의 외측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연통부와 분리가 완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말단이 상기 여유영역을 벗어나기 전에 상기 연통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 보다 상부에서 상기 연통부를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연통부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측일단과 외측타단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상기 연통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홈의 외측 또는 타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저장바디를 고정하는 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방지턱을 이탈하면 상기 연통부와 분리되어 상기 장착홈에서 이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간격은 상기 세제함의 길이 보다 짧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홈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함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수용면 내부에서 상기 장착바디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바디와, 상기 저장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수용면의 외측면을 수용 가능하게 연장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바디에서 상기 수용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리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측면단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저장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되 상기 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제를 상기 연통부로 전달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저장바디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바디와, 상기 플레이트바디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홈의 외측 또는 타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저장바디를 고정하는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방지턱을 이탈하면 상기 연통부와 분리되어 상기 장착홈에서 이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바디에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장착홈과, 상기 제1장착홈에서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1장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장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장착홈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세제를 저장하는 제1세제함과, 상기 제2장착홈에 상기 제1세제함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세제를 저장하는 제2세제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세제함과 제2세제함은 상기 탑커버의 외면 보다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연통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제함을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제함의 하부만 의류처리장치에 고정되어도 상기 세제함을 장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제함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세제함의 결합과 분리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양측면 외부에 상기 세제함이 추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상기 세제함의 장착과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제함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착하되, 상기 세제함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이탈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세제함과 장착과 분리를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탑커버와 도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탑커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착탈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함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분리/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세제함이 슬라이드 이동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함을 장착부의 상부로 이격시킬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장착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장착홈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제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의 너비방향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의 너비방향 고정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1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의 너비방향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의 전후방향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 내지 도18는 상기 세제함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상기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상기 고정부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상기 고정부의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상기 세제함이 장착부에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탑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의류가 투입되는 상기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상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의 상태 등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상기 캐비닛(10)과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닛(10)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탑커버(20)는 수지계열 등으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도록 구비되거나 다른 구성이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0)가 상기 탑커버(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부피가 커지면 커질수록 많은 양의 세제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상기 세제를 충전하는 횟수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세제 또는 이물질이 투입되더라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모서리 부분에는 서스펜션(4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터브(50)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상단까지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설치될 공간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캐비닛(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충분한 부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탑커버(20)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용이하게 상기 탑커버(20)에 분리 및 장착될 수 잇다.
한편,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상기 도어(30) 또는 개구부의 전방이나 양측면에 배치되면,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상기 도어(30)를 개방하거나 또는 개구부에 의류를 투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도어(30) 또는 개구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에 방해받지 않고 도어(30)를 개방하거나, 개구부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개방된 도어(30)를 지지할 수 있어, 도어(30)과 과도하게 개구부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90)는 상기 터브(5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진동하면 상기 탑커버(20)가 가장 크게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다량의 세제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무게가 커서 관성력도 크다. 이런 상황에서,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상기 탑커버(2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에 의류처리장치 중 가장 진폭이 큰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상기 탑커버(20)에서 임의로 분리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탑커버에 구비된 하우징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탑커버(20) 중 도어(30)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에서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다면,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방향은 상면, 측면, 전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세탁용량 확보를 위해 높이가 너비 또는 폭보다 크게 구비되므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탑커버(20)의 하우징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부 인출되고 삽입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대단히 어렵다. 또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도어(3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를 탑커버(20)의 하우징에서 상부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상기 탑커버(20)에서 하우징에 측면으로 인출되고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상부로 인출되고 삽입되는 방식보다는 사용자에게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에서 전부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인출되려면 측면으로 자동세제공급장치의 길이만큼 인출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이 협소하여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인출될 수 있는 길이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자동세제공급장치 자체를 사용자가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탑커버(20)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삽입되는 구성은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인출되는 길이가 항상 확보될 수는 있다.
그러나, 자동세제공급장치가 하우징에 결합되어 터브와 연통되려면,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삽입되는 일면과 마주하는 하우징의 배면에는 자동세제공급장치와 결합되어 연통되기 위한 펌프 또는 호스의 구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가 상기 펌프 또는 호스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도어(30)와 투입구 배면에 상기 펌프/ 또는 호스가 설치되어야 하는 공간이 추가로 확보되어야 한다. 그 결과, 자동세제공급장치의 부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의 부피를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삽입/인출방향의 길이가 확장되면,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좁아져 의류의 인출입이 어려워지거나, 상기 개구부, 도어(30)가 상기 탑커버(20)에서 전방으로 과도하게 치우쳐 배치되어, 드럼(60)의 전방에만 의류가 적체될 수 있다. 그 결과,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언밸런스가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서는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탑커버(20)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구비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탑커버(20)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이 드로워 타입 보다 제한되지 않고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으며, 충분한 높이, 너비,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수용되어 지지되기 어려우므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도어(3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상기 도어(30)와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안착되는 탑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개구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30)는 상기 탑커버(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21)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개구부(21) 보다 전방에 컨트롤패널(40)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4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40)은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40)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명령을 입력받는 전원부(41)와, 상기 제어부가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를 입력받는 입력부(44)와, 상기 제어부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44)와, 상기 선택된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에 연통되어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수동공급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는 상기 개구부(21)의 내주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급수부와 연결되는 유로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예 일뿐,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를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다면 어떤 구성으로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개구부(21)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와 수동세제공급장치(100)에서 세제를 배출하는 유로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와 수동세제공급장치(100)에서 세제를 배출하는 유로가 독립적으로 구비된다면,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탑커버(20)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탑커버(2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1회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 보다 더 많은 양의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30)가 자동세제공급장치(1000) 보다 후면에 배치된 벽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의 이물질을 물과 세제로 제거하는 임의의 세탁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50)와, 상기 터브(5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60)과, 상기 터브(5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5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상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터브(50)와 상기 드럼(60)도 각각 상부에 상기 의류가 투입되도록 허용하는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90)는 상기 터브(5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6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50)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서 지지하는 서스펜션(7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터브(50)의 하부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상부를 연결하는 댐퍼와 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외부 급수원과 연통하여 상기 터브(5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70)와, 상기 터브(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상기 터브(5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50)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와 자동세제공급장치(10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사용자가 세제를 직접 투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상기 급수부(70)와 상기 터브(50)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70)에서 공급된 물을 전달받아, 투입된 세제 전부가 상기 터브(50)에 공급된다. 그 결과,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적정량의 세제를 직접 공급받도록 구비된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터브(50)에 공급되는 세제를 다량으로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코스를 복수회 수행할 수 있는 세제가 한번에 저장되고 상기 코스가 수행될 때마다 적정량의 세제가 상기 터브(50)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와 달리 상기 급수부(70)에서 물을 공급받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급수부(70)에 물을 공급받지 않기 때문에 다량이 세제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급수부(70)에 공급된 물로 상기 세제가 전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하류 부분이 급수부(70) 또는 상기 터브(50)에 연통될 수 는 있지만 상류 부분은 상기 급수부(70)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와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를 모두 구비할 수 있고,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와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와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각각의 하류 부분이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유로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도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부(1000)는 탑커버(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세제공급부(10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의 배면은 상기 급수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상기 탑커버(20)를 관통하는 개구부(21)의 후방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상기 탑커버(20)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루세제 또는 액상세제를 투입받을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상기 급수부(70)와 연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상기 투입된 세제를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1)의 하부에는 터브(50) 투입구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수동공급장치(100)에서 배출된 세제는 상기 터브(50) 내부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장치(100)는 상기 개구부(21)에서 전방으로 인출입 되는 드로워(1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제가 투입될 때만 전방으로 인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탑커버(20)에 수용되어 상기 의류가 투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탑커버(2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급수부(7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에서 배출된 세제는 상기 급수부(70) 또는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에 전달되어 상기 터브(5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터브(50)에 공급되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200)과, 상기 세제함(200)을 상기 탑커버(2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장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 필요할 때마다 분리되어, 세척/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세제함(200)에 세제를 공급할 때 상기 세제함(200)을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상기 세제를 상기 세제함(200)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세제함(200)에 세제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탑커버(20) 등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세제를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탑커버(20)의 후방에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탑커버(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탑커버(20)의 상부면 중 상기 도어(30) 보다 후방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부에 상기 세제함(200)이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함(200)은 하부가 상기 장착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탑커버(2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10)의 높이에 큰 제한을 받지 않고, 상기 세제함(200)을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세제함(200)의 높이 또는 두께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의 세제 저장 용량을 키우면서도 상기 세제함(200)의 무게중심을 낮추고, 상기 도어(30) 또는 상기 개구부(21)의 면적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세제함(200)에서 상기 세제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50)로 배출하는 이송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세제함(200)의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펌프와, 상기 세제펌프를 상기 급수부(70), 상기 터브(50),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100) 중 하나 이상에 연통시키는 세제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5는 세제함이 장착부에서 탈부착 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은 제1세제를 저장하여 상기 장착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1세제함(200a)과 별도로 구비되어 제2세제를 저장하여 상기 장착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세제함(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세제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세탁세제일 수 있고, 제2세제는 의류를 표백하는 표백제, 섬유의 경질 및 향을 조절하는 유연제 일 수 있다.
상기 제1세제와 상기 제2세제는 액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세제와 상기 제2세제는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장착부(3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동세제공급장치에는 제3세제를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세제는 상기 제1세제와 상기 제2세제와 다른 종류의 세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세제와 상기 제2세제와 동일한 세제로 구비되지만 액상이 아닌 가루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3세제는 상기 제1세제와 상기 제2세제 중 어느 하나와 완전히 동일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완전히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300)에 같은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세제함(200b)을 기준으로 상기 세제함(200)과 상기 장착부(300)의 구조 및 결합방식, 고정방식, 감지방식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제1세제함(20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은 세제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장착부(300)에서 들어올려질 필요가 없고,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될 때 상기 장착부(300)의 상부로 들어올려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저장바디(210)가 상기 탑커버(2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탑커버(20)의 후방에 장착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저장바디(210)를 용이하게 상기 장착부(300)에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의 측면에서 가압되거나 당겨지는 방식으로 상기 장착부(3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30)가 상기 개구부(21)를 개방한 상태라도 사용자는 구애받지 않고 상기 도어(30) 후방에서 상기 저장바디(210)를 상기 장착부(3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도5(c)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측면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면, 그 이후부터는 상기 장착부(300)의 측면 뿐만 아니라 상부, 전방, 후방 등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이 상기 장착부(300)의 외측까지 이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가 완료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저장바디(210)와 상기 장착부(300)가 유체적으로 연통된 상태가 분리되면,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300)의 측면으로 계속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장착부(300)에서 하부를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들려져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탑커버(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착부(300)의 외측면에 벽이나 다른 가전제품 등이 배치되어 상기 저장바디(210)의 길이만큼 상기 저장바디(210)가 슬라이드 이동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가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될 때는 전술한 방법을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5(d)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저장바디(21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통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연통부(37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370)로 저장된 세제를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장바디(210)가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저장바디(21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상기 장착부(30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될 때만 상기 장착부(300)에서 슬라이드 이동해도 무방하며, 상기 연통부(370)와 결합이 해제되었을 때는 상기 장착부(30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아도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의 상부에서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에 유체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때만 상기 장착부(3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저장바디(210)가 상기 장착부(300)에 유체적으로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장착부(300) 상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장착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면은 상기 장착홈(3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310)의 양측면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의 일단 또는 내측에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측 이동 또는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면(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320)은 상기 저장바디(210)를 지지하여 상기 저장바디(210)가 내측을 향하여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는 상기 제한면(320)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는 상기 제한면(320)의 상부 보다 하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안착되면 상기 장착부(30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홈(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장착부(300)에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것은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로 구비되므로, 상기 장착부(300)에 더 큰 진폭의 진동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세제함(200)과의 결합은 용이하게 구비되되, 상기 세제함(200)과 분리되거나 및 상대적으로 진동하는 것은 어렵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저장바디(210)가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되거나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바디(210)의 인출을 방지하거나 상기 저장바디(210)가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턱(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턱(330)은 상기 장착홈(310)의 타단 또는 외측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가 상기 세제함(200)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도6는 의류처리장치 전체 형상을 기준으로 세제함이 장착부에 착탈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상기 장착부(300)에 노출된 상태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20)의 개구부(21)가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드로워 등에 수용되어 인출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없다. 그 결과,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의 하부는 상기 장착부(30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장착부(300)의 상부에 일부만 수용되어 안착되고, 나머지는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개구부(21)의 면적을 확보하면서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의 용적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탑커버(20)의 너비방향과 대응되는 길이가 탑커버(20)의 전후방향과 대응되는 두께 보다 더 길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세제함(200a) 및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상기 장착부(300)에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장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과 상기 장착부(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상기 장착부(300)의 중앙에서 상기 장착부(300)의 외부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때까지 상기 장착부(300)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제1장착영역(310a)로 상기 제1세제함(200a)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장착영역(310b)로 상기 제2세제함(200b)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영역(310a)는 장착부(300)에서 상기 제1세제함(200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세제함(200a)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장착홈(310a)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제1세제함(200a)을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장착영역(310b)는 장착부(300)에서 상기 제2세제함(200b)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2세제함(200b)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장착홈(310b)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제2세제함(200b)을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영역(310)의 길이(DO)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상기 탑커버(20)의 외면을 향하여 더 연장되는 외측단차(3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영역(310)에 결합되면, 상기 장착영역(310)의 외측 말단 부터 상기 외측단차(360)의 내면 까지 영역은 상기 세제함(200)을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으므로, 외부에 노출되는 여유영역에 해당한다. 즉,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영역(310)의 외측에 여유길이(D2)에 해당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의 길이는 상기 장착영역(310)의 길이(D0)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영역(310)에 안착되면, 상기 장착부(300)의 여유길이(D2) 만큼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10)에서 완전히 벗어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상기 여유길이(D2) 만큼 상기 장착부(3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세제함(200)의 길이(DO) 만큼 슬라이드 이동된다면, 상기 여유길이(D2)에 상기 세제함(200)의 일부가 지지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것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함(200)에 세제가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다소 무겁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세제함(200)의 하중을 최대한 상기 장착부(300)에 지지하면서 상기 세제함(200)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용이하게 상기 세제함(200)을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장착부(300)의 상기 여유길이(D2)에 해당하는 영역부터 상기 세제함(200)의 하중을 상기 장착부(300)에 전달하면서 상기 장착영역(310)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와 하부만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드로워와 같은 안내부재가 없다고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장착부(300)에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세제함의 분리가 어려운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세제함(200)은 상기 탑커버(2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고, 상기 탑커버(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된다.
그런데,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영역(310)의 전체 영역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장착부(300)에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영역(310)에 결합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세제함(200)을 상기 장착부(3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분리할 수는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세제함(200)을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일측에 냉장고(2)와 같은 가전제품이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상기 제2세제함(200b)의 길이(DO) 이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상기 장착영역(310)에 용이하게 무리하게 결합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냉장고(2)의 간격은 상기 제1세제함(200a)의 길이(D0)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세제함(200a)은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상기 제1세제함(200a)의 길이(DO) 만큼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세제함(200a)이 상기 장착영역(310)에 완전히 분리되어있는 상태라면, 상기 제1세제함(200a)은 상기 장착영역(310)에 투입되는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영역(310) 상에서 상기 세제함(200)의 길이(D0) 만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에 인접한 가전제품(2)이 없다고 하더라도, 세탁실 또는 다용도 실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벽(w)과 이격된 거리가 상기 세제함(200)의 길이(DO) 보다 좁은 다용도실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전부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각각의 세제함(200)의 길이(DO) 만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상기 장착영역(310)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되는 것이 차단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세제함(200)의 길이(DO) 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강제되어야 한다면,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의 실효성이 반감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세제함(200)의 길이(DO)보다 더 짧게 슬라이드 이동하여도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세제함이 장착부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은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세제함(200a)과 상기 제2세제함(2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장착부(300)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8(c)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연통부(370)와 분리되면,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장착부(300)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도 있지만, 곧바로 상부로 들려질 수 있다.
도8(d)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의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부(300)를 전혀 벗어나지 않았음에도 상기 장작영역(31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여 완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세제함(200)의 길이(DO) 보다 더 적은 길이로 슬라이드 이동하더라도,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완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외부 노출되는 것 없이, 상기 장착부(300)의 양단 내에서만 슬라이드 이동하더라도,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완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장착부(300) 또는 탑커버(20)의 외면에 가전제품(2)이나 벽(W) 등이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 또는 탑커버(20) 외부로 슬라이드 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9는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바디(210)와, 상기 저장바디(210)에 결합되거나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착부(300)에 지지되는 플레이트(220)과, 상기 플레이트(220)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3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세제를 저장바디(2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은 상기 장착홈(310)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홈(310) 보다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바디(210)를 고정하는 설치부(21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212) 내부에는 상기 저장바디(210)를 상기 장착홈(310)에 고정하는 고정부(40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400)에는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된 것을 알릴 수 있는 감지부(500)가 설치돌 수 있다.
상기 설치부(212)와 상기 수용바디(211) 사이에는 각각의 영역을 분리시키는 구획판(2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12)는 상기 장착홈(310)의 외부와 상기 세제함(20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5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장착부(300)는 상기 배출부(2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통부(3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은 상기 수용바디(211)에 저장된 세제를 공급받아 상기 탑커버(20) 내부에 배치되어 터브(20)로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펌프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바디(211)는 상기 연통부(370) 보다 후방으로 후술하는 결합길이(D4)와 같거나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장착부(3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홈(310)들 사이에 지지면(380)을 배치하여 상기 연통부(370)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수용바디(21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211)의 전체길이는 상기 장착홈(310)의 전체 길이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의 하중이 상기 장착홈(310) 외부에도 분산되어 상기 세제함(200)이 안정적으로 상기 장착부(30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연통부(370)의 자유단에서 결합길이(D4) 만큼 더 상기 연통부(370)의 고정단으로 이동하여야 상기 연통부(370)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연통부(370)와 결합되면 상기 결합길이(D4) 만큼 이동하여야 상기 연통부(370)와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는 상기 세제함(20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투입되는 방향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세제함(200) 중에서 상기 장착부(300)에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연통부(370)와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9(b)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 외부로 상기 결합길이(D4) 만큼 또는 그 이상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여유길이(D2)는 상기 결합길이(D4)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결합길이(D4) 만큼 상기 장착홈(310)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도, 상기 세제함(200)의 말단은 상기 탑커버(20)의 외면 보다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의 말단이 상기 탑커버(20)의 외면과 나란하게 배치도면,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연통부(370)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9(C)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230)가 상기 연통부(370)와 분리되면,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세제함(200)을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때부터,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탑커버(20)의 외면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할 수도 있고,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부로 들려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230)가 상기 연통부(3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결합길이(D4) 보다 더 적은 길이로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상기 세제함(200)의 말단이 상부로 들려올려지면서 회전하면,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연통부(370)에서 결합길이(D4) 이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배출부(230)와 상기 연통부(37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부(230)가 상기 연통부(370)와 분리될 수 있다면,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를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세제함(200)의 말단이 상부로 들려져 상기 세제함(200)이 연통부(37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도9(d)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은 완전히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200)의 너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때는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탑커버(200)의 외부를 상기 결합길이(D4) 만큼만 슬라이드 이동하면,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결합길이(D4) 보다 작게 슬라이드 이동하면 향하더라도, 상기 세제함(200) 중 상기 탑커버(200)의 외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말단이 들려져 상기 세제함(200)이 회전할 수 있다면,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이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세제함(2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어떤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지 상관없이. 상기 장착부(300)에서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과 분리가 완료될 수 있다.
도10는 상기 장착부(300)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탑커버(20)의 상부에서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세제함(200)를 지지하는 장착바디(301)와,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함몰되어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장착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은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함(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 중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세제함(200)를 전후방향으로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홈(310)의 내측에서 단차지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세제함(200)가 내측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면(3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한면(32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통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바디(20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세제함(200)에 수용된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는 상기 제한면(320)에서 상기 장착홈(310)의 타단 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320)은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 또는 하부면 중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제한면(320)의 내측을 향하여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홈(310)에서 상기 세제함(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상기 탑커버(20)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를 지지하는 수용리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리브(340)는 상기 장착홈(340)의 일단 또는 내측에서 타단 또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리브(340)는 상기 장착홈(301)의 바닥면 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면(32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홈(310)의 외측 또는 타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세제함(200)의 인출을 방지하는 방지턱(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리브(340)는 상기 제한면(320)에서 상기 방지턱(3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리브(340)는 상기 세제함(20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방지턱(330)은 상기 제한면(320)과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방지턱(330) 보다 외측을 향하여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상기 장착홈(310)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상기 수용리브(340)와, 상기 방지턱(330), 상기 제한면(320)이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장착홈(3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은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를 완전히 수용하여 상기 세제함(20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 중 돌출된 일부면을 수용하여 상기 세제함(20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방지턱(330)의 외면에는 상기 세제함(200)와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3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4)는 상기 방지덕(330)의 외면에서 함몰되는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에 구비되는 후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홈(310)에 장착되면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되면, 상기 제한면(320)과 상기 방지턱(330)은 상기 세제함(200)가 너비방향으로 진동하거나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리브(340)는 상기 세제함(200)가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 중 4면을 수용하거나 지지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되면, 상기 방지턱(330)에 구비된 체결부(334)가 상기 세제함(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제함(200)를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수용리브(340) 외부에 배치된 측면단차(350)와 상기 제한면(320) 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면(380), 상기 방지턱(330) 보다 외부에 배치되는 외측단차(360)를 통해 상기 세제함(200) 하부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세제함(200)가 안착되면, 상기 세제함(200)를 고정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세제함(200)가 4면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도 진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장착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부(300)는 착탈 결합 및 지지 구조 외에 상기 세제함(200)가 용이하게 장착되되 인출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370)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장착홈(310)의 깊이(H1)는 상기 방지턱(3300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장착홈(310)의 깊이(H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홈(310)을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는 상기 방지턱(330)에서 상기 제한면(320)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는 타단 또는 외측에서 일단 또는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홈(310)에 안착되는 세제함(200)가 중력에 의해 상기 연통부(370)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에 안착되면 상기 연통부(370)를 향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에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하부가 상기 장착홈(310)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로 배치되어 무게중심을 더욱 상기 제한면(320)을 향하여 치우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에 너비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한면(320) 또는 상기 연통부(370)가 상기 세제함(2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지턱(330)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 외면을 지지하는 내면(331)을 구비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방지턱(330) 외부로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지턱(330)은 외면(333)에 체결부(334)를 구비하여 상기 세제함(20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세제함(20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지턱(330)은 내면과 외면을 연장하는 노출면(332)이 상기 제한면(320)의 상단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출면(332)은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12은 상기 세제함의 세부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세제함(200)는 세제를 투입받아 저장하는 저장바디(210)와,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홈(310)에 장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저장바디(2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장착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플레이트(220)로 인해 상기 장착부(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일측 또는 하부에 상기 연통부(37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제를 배출하는 배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플레이트(220)의 타단 또는 외측 보다 상기 일단 또는 내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연통부(370)와 결합될 때만 상기 저장바디(210)의 세제를 배출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상기 세제를 상기 배출부(230)로 이동시키는 하부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면(222)은 상기 저장바디(210)의 타단 또는 외측에서 일단 또는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면(222)은 상기 배출부(230)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210)의 세제가 상기 배출부(230)로 배출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고,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와 상기 플레이트(220)는 전부 상기 장착홈(310)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제함(200) 전체가 상기 장착홈(310)에 수용되면, 상기 장착홈(310)에 지지 및 고정되는 것은 용이하나 인출하는 것이 너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함(200)는 일부만 상기 장착홈(310)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장착홈(3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220)와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장착홈(310)의 너비 방향의 길이 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일부가 상기 장착홈(31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하부면(222)에서 타단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면(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23)은 상기 장착홈(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지턱(330)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배출부(270)가 상기 연통부(370)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면(223)이 상기 방지턱(330)에 지지되어 상기 장착홈(310)의 내측으로 더 이동하거나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면,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는 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플레이트(220)에서 하부로 도출되어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고정부(400)가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장착홈(310)의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한면(320)의 내측에 지지되는 지지돌기(227)와, 상기 결함면(223)에 구비되어 상기 방지턱(330)의 외면(333)에 구비된 체결부(33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부(25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7)는 상기 배출부(230)가 상기 장착홈(31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플레이트(220)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27)는 상기 제한면(320)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방지턱(330)에 구비되는 체결부(3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돌기(227)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의 내측으로 무리하게 이동하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장착홈(310)의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는 것도 상기 체결부(334)와 결합력을 통하여 일정수준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의 전체 길이는 상기 지지리브(227)와, 상기 고정부(4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리브(227)와 상기 고정부(400)의 간격은 상기 장착홈(310)의 내면과 외면의 간격 또는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저장바디(210)를 상기 장착홈(310)의 길이보다 더 확대시켜 상기 저장바디(210)의 부피를 더 확장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220)를 통하여 하부 중 일부가 상기 장착홈(310)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고, 지지되며, 고정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홈(310) 보다 내측에 배치된 지지면(380)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장착홈(310)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세제 저장 용량을 더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플레이트(220)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구성을 통해 상기 장착홈(310)에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서 하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220)의 일부를 차폐하는 지지리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후술하는 상기 수용리브(340)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홈(310)과 상기 수용리브(240)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상기 세제함(200)를 상기 탑커버(20)의 전후방향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지부(200)가 상기 탑커버(20)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3은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너비방향으로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안착되면, 상기 지지돌기(227) 또는 상기 세제함(200)의 내측면은 상기 제한면(270)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제함(200)의 지지돌기(227)는 상기 제한면(270)에 지지되고, 상기 배출부(270)는 상기 연통부(37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안착되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방지턱(3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에서 상기 지지돌기(227) 또는 배출부(230)은 상기 제한면(320) 또는 상기 연통부(370)의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방지턱(330)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세제함(200)는 하부가 상기 제한면(320)과 상기 방지턱(330)에 의해 억지끼움된 상태가 되어 상기 장착홈(310)에서 너비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200)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없어도 상기 세제함(200)를 너비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세제함(200)에서 돌출되었으나, 상기 세제함(200)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세제함(20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방지턱(33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고정부(400)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부(400)를 상기 방지턱(330)에서 분리하도록 상승시키는 푸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260)는 상기 세제함(2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내측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00)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푸쉬부(260)를 가압하며 상기 세제함(200)를 상기 방지턱(33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세제함(200)가 너비방향으로 상기 장착부(300)에 확실하게 고정되더라도, 상기 푸쉬부(260)가 가입되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14는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세제를 수용하는 수용바디(211)와, 상기 고정부(400)를 설치하는 설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저장바디(210)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바디(210)에 수용된 세제와 분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바디(210)는 상기 방지턱(330)에 지지될 수 있는 고정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12)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바디(2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설치부(212) 사이에는 높이방향으로 구획판(2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225)은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212)와 상기 수용바디(211)를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12)는 상기 고정부(400) 뿐만 아니라, 상기 방지턱(330)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세제바디(211)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를 상기 배출부(230)로 배출하도록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부(230)로 갈수록 멀어지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은 상기 장착홈(310)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세제함(200)는 외측 또는 상기 설치부(212)에서 상기 배출부(230)를 향할수록 높이가 두꺼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70)는 상기 배출부(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바디(211)는 상기 배출부(230)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380)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바디(211)는 하부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상기 장착홈(310)의 외부에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홈(310)의 부피에 제한받지 않고 세제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212)는 상기 방지턱(330)을 넘어 상기 방지턱(330)의 외면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 뿐만 아니라 상기 방지턱(330) 외부에 상기 결합부(25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지지하여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와 상기 결합부(250)의 간격은 상기 방지턱(330)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와 상기 결합부(250)의 간격은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과 상기 방지턱의 외면 사이의 간격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와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방지턱(330)의 양면을 파지하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세제함(200)를 상기 탑커버(20)의 너비방향으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400)에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50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도15은 상기 세제함과 상기 장착부의 외측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a)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고정부(400)와 상기 결합부(250)로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지지하여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지턱(330)는 외면에 상기 결합부(250)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4)와 상기 결합부(250)는 후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4)가 후크로 구비되면 사용자 또는 의류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334)는 후크가 결합되는 체결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4)는 상기 방지턱(330)에서 전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높이는 너비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도15(b)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는 플레이트(220) 하부에 연장되는 결합면(223)에 상기 결합부(25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결합면(223)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3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결합면(223)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334)와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체결부(334)에 고정되면 상기 세제함(200)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체결부(334)에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세제함(200)를 상기 장착부(300)의 너비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외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부(212)를 외부에서 차폐하는 외측면(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254)와 상기 결합면(223) 사이에 상기 고정부(25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면(254)에는 상기 장착바디(301)에 지지되어 마모를 방지하고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80)가 설치될 수 있다.
도15(c)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체결부(334)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하는 결합후크(251)와, 상기 결합후크(251)를 지지하는 결합바디(252)와, 상기 결합바디(252)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함(200)의 외측면(254)에 고정시키는 체결후크(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결합바디(252)의 내면에 상기 결합후크(251)가 돌출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바디(252)의 외면에 체결후크(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의 외측면(254)은 상기 체결후크(253)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2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의 형상과 상관없이 상기 결합부(250)가 복잡한 구성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16은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장착홈(310)의 전후방향으로 수용리브(340)가 도출되어 상기 세제함(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리브(340)는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수용리브(340)의 외부와 상기 장착바디(301)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단턱(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단턱(350)은 상기 수용리브(3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단턱(350)은 상기 세제함(300)가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측면단턱(350)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플레이트(220) 등의 하부면이 상기 수용리브(340)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되면서 동시에 상기 측면단턱(350)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리브(340)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함(200)는 하부면이 상기 수용리브(340)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지지하여 상기 수용리브(340)의 양면을 파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탑커버(20)에서 전후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세제함(200)가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홈(310)은 개구부(21)를 향하는 방향보다 배면을 향하는 방향의 깊이가 더 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홈(310)은 배면에 위치한 수용리브(340)에 인접한 깊이(L1)가 정면에 위치한 수용리브(340)에 인접한 깊이(L2) 보다 더 깊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10)은 후방으로 살수록 깊어지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에 저장된 세제가 진동이 심하여 상기 장착홈(310)을 이탈하더라도 상기 개구부(21)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홈(310)의 배면에는 통상적으로 수도관 등이 배치된 벽면에 해당할 것이므로,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벽면에 의해 다시 장착홈(310)에 안착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16(b)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양측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지지리브(240)가 상기 수용리브(240)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상기 플레이트(220) 보다 더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상기 수용리브(240)의 양면을 수용하여 상기 수용리브(240)의 외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플레이트(220)가 상기 장착홈(310)에 수용되는 것과, 상기 지지리브(240)가 상기 수용리브(240)를 수용하는 것으로 인해 전후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는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아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상기 배출부(270)에서 장착턱(330)을 향할수록 더 하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상기 방지턱(330)의 양면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의 하부면 경사는 상기 장착홈(310)의 경사 및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부면 경사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어 상기 측면단차(350)도 상기 수용리브(3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리브(340)가 상기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될 때 상기 측면단차(350)에 정확하게 치합되도록 유도되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밀접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손쉽게 상기 지지리브(240)가 상기 측면단차(350)에서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리브(240), 고정부(400), 결합부(250), 지지돌기(227), 배출부(230)의 구성으로 인해 4면 방향 모두 고정될 수 있다.
도17는 상기 세제함의 저장바디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탑커버(2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과 높이방향 보다 너비방향이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2113)은 수직 또는 수직과 가깝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다른 저장바디(2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외면(2114)는 상부면에서 하부로 위로 볼록한 경사로 구비되어 물이 상부면(2111)에 고이지 않도록 하고 의류가 저장바디(210)의 외면(2114) 등에 걸려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상부면(2111)에는 세제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홀(21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에서 세제는 상기 투입홀(2117)을 통해 투입되어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부(2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장바디(210)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상부면(2111)에는 상기 투입홀(2117)을 개패하는 커버도어(21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흰지(21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도어(214)는 상기 투입홀(2117)을 덮으면 상기 저장바디(210)의 상부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단에 상기 도어흰지(211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홀(2117)에는 상기 저장바디(210)에 수용된 세제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가 내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양측면(2112)은 상기 탑커버(20)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노출되는 면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바디(210)의 외면(2114)에는 상기 외측면(254)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254)은 전술한 결합부(250)를 상기 저장바디(2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면을 형성하여 세제가 저장바디(2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부에는 상기 장착부(300)와 마찰, 진동충격을 방지하는 완충부재(28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완충부재(280)는 상기플레이트(220)의 하부 모서리 마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저장바디(210)에 투입된 세제를 적정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30)는 체크밸브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되었을 때만 세제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세제 또는 물이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는 모서리마다 더 돌출되는 지지리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40)는 전술한 상기 수용리브(240)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저장바디(210)를 전후방향으로 고정하는 하부리브(241)와,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2112)에 돌출되는 내면리브(242)와,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 하부에 배치되어 양측 하부리브(241)를 연장하는 연장리브(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리브(241)는 상기 저장바디(210)를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하면서, 상기 장착부(300)에 상기 저장바디(2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면리브(242)는 인접한 다른 저장바디(210)와 충돌하는 것에 대비하여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리브(243)는 상기 하부리브(241)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설치부(212)에 수용되어 상기 플레이트(220) 보다 하부에 돌출되는 고정바디(410)와, 상기 고정바디(410)를 상기 플레이트(220) 외부로 밀어내는 복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1)의 양측면(21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400)를 이동 또는 승강시키도록 구비되는 푸쉬부(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260)는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4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260)가 가압되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저장바디(210)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지턱(330)을 회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8은 상기 세제함에서 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22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바디(221)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221)에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홈(3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하부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면(222)은 상기 플레이트바디(221)에서 세제를 배출부(230)로 안내하도록 함몰되는 안내홈(2221)과, 상기 안내홈(2221)에서 더 함몰되어 상기 배출부(23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설치홈(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2222)은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을 향하여 관통되어 상기 배출부(230)가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연통부(370)가 결합되어 세제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플레이트(220)에서 상기 세제함(20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2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내면, 구획면, 측면 하단과 결합되어 세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리브(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하부면(222)에서 외측, 상기 실링리브(224)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400)를 설치하는 고정설치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설치부(224)는 상기 고정부(40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00)가 하부면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또는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설치부(224)는 외부에 푸쉬부(260)의 구성이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원부(4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의 일측에는 상기 세제바디(211)가 안착되고, 상기 하부면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설치부(2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222)은 상기 장착홈(310)과 대응되는 너비 또는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리브(24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222) 보다 외측에는 상기 결합면(223)이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23)은 상기 하부면(222)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면(222)의 경사와 반대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결합면(223)은 내면이 상기 방지턱(330)의 외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23)에는 전술한 결합부(25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25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후크(2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23)은 상기 고정설치부(224)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세제바디(211)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19는 상기 세제함에서 고정부가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220)에서 상기 고정설치부(224)는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설치부(224)는 상기 고정부(400)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지지하는 안내기둥(2241)과, 상기 안내기둥(224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푸쉬부(260)가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투입홀(2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높이가 너비 폭 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과 가깝게 구비되고, 상기 안내기둥(2241)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420)는 상기 안내기둥(2241) 내부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바디(410)를 플레이트(220) 외부로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26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측면에 결합되어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0)의 측면에는 상기 푸쉬부(260)가 설치될 수 있는 푸쉬설치부(2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설치부(213)는 상기 푸쉬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바디(210)의 측면을 관통하거나 상기 측면에서 함몰되어 구비되는 안착홈(2131)과, 상기 안착홈(21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부(26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대(2132)와, 상기 지지대(2132)의 일측에서 상기 저장바디(21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푸시부(260)의 타단이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홀(2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31)은 상기 푸쉬부(26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푸쉬부(260) 전체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132)는 상기 푸쉬부(26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푸쉬부(260)가 상기 저장바디(210)에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32)를 지랫대의 중심, 시소 중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푸시부(260)는 가압되면 타단만 상기 삽입홀(2133)으로 삽입될 수 있고,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복원부(420)의 힘에 의해 상기 고정바디(410)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푸시부(260)를 지지바디(210)의 외부로 밀어내어 푸쉬부(260)를 정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도20은 상기 고정부의 세부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a)는 상기 고정부(4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20(b)는 상기 고정부(4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상기 안내기둥(2241)에 수용되어 상하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높이가 길게 구비되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방지턱(330)에 지지될 수 있는 하부걸림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걸림부(411)에는 후술하는 감지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상기 하부 걸림부 보다 상부에 상기 푸쉬부(260)에 의해 가압되는 이동홈(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홈(412)는 상기 푸쉬부(260)의 삽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행면(4122)과, 상기 평행면(4122)의 내측에서 상기 푸쉬부(260)를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4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상부에 상기 복원부(420)가 안착될 수 있는 복원안착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안착부(414)는 상기 고정바디(410)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복원부(4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420)는 상기 안내기둥(2241) 내부에 수용되어 복원안착부(414)에 안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일측면에 돌출되는 방지리브(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리브(413)는 상기 안내기둥(2241)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걸림홈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방지리브(413)는 상기 안내기둥(2241)에 구비된 걸림홈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고정바디(410)가 상하로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고정바디(410)가 상기 안내기둥(2241)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지리브(413)는 상기 고정바디(410)의 양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이동홈(412)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내부에 후술하는 감지부(500)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0)는 신호 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발생부(510)와, 상기 발생부(510)를 감지하는 센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생부(510)가 상기 고정바디(4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상기 발생부(5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감지수용부(4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수용부(415)는 상기 고정바디(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생부(510)를 수용할 수 있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는 상기 발생부(510)가 감지수용부(41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리브(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리브(415)는 상기 감지수용부(415)의 개구부 중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생부(510)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수용부(415)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생부(510)가 직육면체 등의 다각형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발생부(510)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감지수용부(415)의 내면에 선접촉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생부(510)의 위치가 가변되거나,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21은 상기 푸쉬부가 고정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푸쉬부(260)는 상기 저장바디(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푸쉬바디(261)와, 상기 푸쉬바디(261)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420)의 이동홈(412)까지 연장되는 삽입돌기(2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바디(261)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로 가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263)는 상기 푸쉬바디(261)에서 상기 삽입홀(2133)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홈(4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2133)이 상기 안착홈(2131)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삽입돌기(263)도 상기 푸쉬바디(261)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63)의 자유단은 상기 이동홈(412)에 구비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63)의 자유단은 상부를 바라보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돌기(263)의 하부면의 길이는 상기 삽입돌기(263)의 상부면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도21(a)를 참조하면, 상기 푸쉬바디(261)가 가압되면 상기 삽입돌기(263)는 상기 이동홈(412)을 밀어내기 시작하며 상기 이동홈(412)의 하부까지 이동한다. 상기 삽입돌기(263)의 높이는 항상 유지되므로 상기 고정바디(410)는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복원부(420)는 가압된다.
그 결과, 상기 하부걸림부(411)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설치부(224)는 상기 고정부(400)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지지하는 안내기둥(2241)과, 상기 안내기둥(224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푸쉬부(260)가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투입홀(2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기둥(2241)는 상기 고정부(400)가 왕복이동할 수 있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기둥(2241)은 상기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걸림부(411)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유도하는 토출홀(2245)를 구비할 수 잇다. 상기 토출홀(2245)는 상기 안내기둥(2241)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설치부(224)는 안내기둥(24241) 내부에 상기 토출홀(2245)과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복원부(420)를 고정하는 고정기둥(2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바디(261)를 가압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원부(420)는 팽창하기 시작하며 상기 고정바디(410)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홈(412)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삽입돌기(263)를 푸쉬바디(261)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 결과, 상기 하부걸림부(411)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바디(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22은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a)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에서 상기 설치부(212)를 포함하는 외측영역은 상기 방지턱(3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설치부(212)에서 하부도 돌출되어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에 지지된 상태이다.
그 결과, 상기 세제함(200)에서 하부면(222) 중 일부가 상기 장착홈(310)에 수용된 상태이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방지턱(330)을 넘어 상기 장착홈(310) 외부에 배치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200)에 너비방향의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세제함(200)를 상기 장착바디(301)의 외측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세제함(200)는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22(b)를 참조하면, 푸쉬부(260)가 가압되면 상기 고정부(400)는 상부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저장바디(210)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방지턱(330)에는 상기 세제함(200)의 어떠한 구성도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세제함(200)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거나, 외측으로 당기는 힘이 없다면, 상기 배출부(230)와 상기 연통부(370)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다시 상기 푸쉬부(26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400)가 하강하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22(c)를 참조하면, 상기 푸쉬부(260)가 가압되어 상기 고정부(400)가 상기 방지턱(330)의 상부면 보다 더 높게 상승하면,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는 상기 방지턱(330)의 상부에 안착될 뿐, 상기 방지턱(330)이 더 이상 상기 세제함(200)를 고정하지 못한다.
물론, 상기 세제함(200)에 진동이 가해지거나, 상기 세제함(200)가 외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결합부(250)와 상기 체결부(334)의 결합력, 상기 배출부(230)와 상기 연통부(370)의 결합력으로 인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고정된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결합부(250)와 상기 체결부(334)의 결합력, 상기 배출부(230)와 상기 연통부(370)의 결합력보다 더 강한 힘으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홈(310)에서 벗어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의 역순과 동일하다.
이로써,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드로워 등에 수용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고정부(400)와 상기 방지턱(330)의 구조로 인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가 상기 방지턱(33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사용자가 분리할 의사가 있을 경우에 탑커버(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23은 상기 세제함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자동세제공급장치(1000)는 상기 탑커버(20)의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탑커버(20)에 장착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된 것보다는 결합력이 약하다. 또한, 상기 자동세제공급장치(1000)가 측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 보다도 결합력이 약하다.
다시말해, 세제함(200)가 측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장착부(300)가 상기 세제함(200)를 고정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세제함(200)가 임의로 측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결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패널(40)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코스 수행 중에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세탁코스를 중단하여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장착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세제함(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는 상기 제한면(3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는 상기 세제함(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될 때 함께 가압되도록 구비되어야 상기 세제함(200)의 상기 장착부(300)의 정결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장착홈(310)은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 중 일부만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그 깊이가 깊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한면(320)의 높이도 크지 않으므로, 상기 배출부(370)의 인접하게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배치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상기 장착홈(310)에 상기 세제함(200)의 세제가 유출되거나, 상기 장착홈(310)에 의류 등에서 토출된 물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세제나 물에 그대로 노출되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상기 접촉식감지부(500)를 상기 제한면(220)에서 실링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왕복이동하며 가압되거나, 표면에 접촉되어야 하는 이상, 물과 세제가 닿으면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상기 제한면(320)과 상기 장착홈(310)을 벗어나 다른 영역에 배치되면 상기 세제함(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기 어렵다.
이 경우,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방지턱(330) 등과 같이 배출부(370)와 멀리 이격된 곳에 배치되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배출부(370)와 결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다른 구성에 가압되어 상기 세제함(200)가 장착부(300)에 고정되었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상기 접촉식 감지부(500)가 장착바디(301)의 상부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세제함(2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세제함(200)에 의해 마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 자동세제공급장치(1000)와 같이 양측면에서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결합되는 방식에서는 상기 감지부(500)는 비접촉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세제함(200)와 상기 장착부(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0)가 비접촉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장착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200)를 인지하는 빛,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파,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빛,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파,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세제함(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도 세제와, 물에 취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상기 세제함(200)의 장착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500)를 자력 또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부(510)와, 상기 발생부(510)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520)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20)는 상기 발생부(510)에서 발생하는 자력이나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발생부(510)의 위치와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발생부(510)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520)는 상기 영구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20)는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받거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센서부(520)가 상기 장착부(300)에 구비되고, 상기 발생부(510)는 세제함(20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제1세제함(200a)와 상기 제2세제함(200b)가 각각 상기 제1장착홈(310a)과 상기 제2장착홈(310b)에 결합되었는지를 분별하여 감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부(520)는 상기 제1세제함(200a)가 상기 제1장착홈(310a)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하는 제1센서부(520a)와, 상기 제2세제함(200b)가 상기 제2장착홈(310a)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생부(510)는 상기 제1세제함(200a)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센서부(520a)를 자극시키는 제1발생부(510a)와, 상기 제2세제함(200b)에 구비되어 제2센서부(520b)를 자극시키는 제2발생부(5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센서부(520a)와 제2센서부(520b)는 상기 배출부(370) 또는 상기 제한면(32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장착바디(301)에서 상기 제한면(320)과 상기 배출부(370)는 상기 장착바디(301)의 중앙에 위치한다. 다시말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제1세제함(200a)와 상기 제2세제함(200b)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바디(30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며 서로 가까워지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방지턱(330)은 각각 상기 장착바디(30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면(320)과 상기 배출부(370)는 상기 장착바디(301)의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장착홈(310)도 상기 장착바디(301)의 일측에서 함몰되는 제1장착홈(310a)과, 상기 제1장착홈(310a)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장착바디(301)에 함몰되는 제2장착홈(31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장착홈(310a)과 상기 제2장착홈(310b) 사이에 지지면(380)과 제한면(320)이 배치된다.
이때, 제1센서부(520a)와 제2센서부(520b)를 상기 지지면(380)과 상기 제한면(320)에 배치하고, 상기 세제함(200) 중 상기 지지면(380)과 상기 제한면(320)에 인접하여 상기 발생부(510)를 배치하게 되면, 제1센서부(520a)와 제2센서부(520b)는 어느 하나의 발생부(510)가 하나만 접근하여도 모든 세제함(200)가 장착되었다고 오감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세제함과 상기 제2세제함 중 어느하나에 구비되는 발생부(510)가 상기 제1세제함과 상기 제2세제함을 각각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520) 모두를 자극시키기 때문에, 센서부(520)가 감지한 상태를 신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세제함과 상기 제2세제함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발생부(510)와 상기 센서부(520)는 서로 멀어지도록 배치될수록 상기 감지부(500)의 성능확보에 유리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한면(320) 보다 상기 방지턱(330)에 더 가깝게 각각의 센서부(520)를 설치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세제함(200)의 하부에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센서부(520)와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발생부(51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230)가 상기 연통부(370)에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방지턱(330)의 상부면을 벗어나, 상기 세제함(210)에서 돌출되어 상기 방지턱(330)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23을 참조하면, 상기 발생부(510)는 상기 고정부(400)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520)는 상기 장착홈(310)의 내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방지턱(3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면,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되, 온전히 결합된 상태까지 감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장착되었더라도, 온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미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함(200)가 상기 장착부(300)에 정위치로 결합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부(260)가 가입되면, 상기 세제함(200)는 상기 장착부(300)에 정위치로 결합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상기 센서부(520)는 상기 발생부(510)의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20)는 사용자가 상기 세제함(200)를 상기 장착부(300)에서 분리하려는 의사까지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 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탑커버;
    상기 탑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탑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받아 전달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투입구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전달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공급되는 상기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함;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투입구 후방에 구비되는 장착바디와,
    상기 장착바디에서 상기 세제함을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며 상기 세제함의 하부를 지지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의 내측 또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함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면과,
    상기 제한면에서 상기 세제함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제를 공급받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연통부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연통부와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착홈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의 일단에서 타단 까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연통부와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착홈에서 상부로 이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장착홈에서 상기 탑커버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세제함이 상기 연통부에 결합되면 상기 세제함 외부에 노출되는 여유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탑커버의 외측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연통부와 분리가 완료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말단이 상기 여유영역을 벗어나기 전에 상기 연통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 보다 상부에서 상기 연통부를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연통부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측일단과 외측타단 사이에서 상기 연통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상기 연통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일단에서 타단 까지 간격은 상기 세제함의 길이 보다 짧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홈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함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수용면 내부에서 상기 장착바디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장착홈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바디와,
    상기 저장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수용면의 외측면을 수용 가능하게 연장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바디에서 상기 수용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리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측면단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저장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되 상기 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제를 상기 연통부로 전달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저장바디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바디와,
    상기 플레이트바디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홈의 외측 또는 타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저장바디를 고정하는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방지턱을 이탈하면 상기 연통부와 분리되어 상기 장착홈에서 이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바디에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장착홈과,
    상기 제1장착홈에서 상기 탑커버의 너비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1장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장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장착홈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세제를 저장하는 제1세제함과,
    상기 제2장착홈에 상기 제1세제함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세제를 저장하는 제2세제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제함과 제2세제함은 상기 탑커버의 외면 보다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연통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13092 2022-11-11 2023-09-01 의류처리장치 WO20241016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760A KR20240069342A (ko) 2022-11-11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50760 2022-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1621A1 true WO2024101621A1 (ko) 2024-05-16

Family

ID=9103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3092 WO2024101621A1 (ko) 2022-11-11 2023-09-0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1016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906A (en) * 1996-04-03 1999-02-16 Denisar; Richard A. Automatic dispensing device
KR20000009640A (ko) * 1998-07-27 2000-02-15 윤종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00066172A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 방법
JP6640611B2 (ja) * 2016-03-07 2020-02-0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CN114108266A (zh) * 2021-12-16 2022-03-01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投放组件以及洗涤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906A (en) * 1996-04-03 1999-02-16 Denisar; Richard A. Automatic dispensing device
KR20000009640A (ko) * 1998-07-27 2000-02-15 윤종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00066172A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 방법
JP6640611B2 (ja) * 2016-03-07 2020-02-0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CN114108266A (zh) * 2021-12-16 2022-03-01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投放组件以及洗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302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6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8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7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4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9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3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9212188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088745A1 (ko) 싱크 캐비닛 장치
WO201812823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1040469A1 (en)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48478A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24101621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61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62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620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3085301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2114995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123584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152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020908A1 (en) Cleaner
WO202327739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5820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05373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23277418A1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