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5497A1 - 무전력식 컵세척기 - Google Patents

무전력식 컵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5497A1
WO2024085497A1 PCT/KR2023/014904 KR2023014904W WO2024085497A1 WO 2024085497 A1 WO2024085497 A1 WO 2024085497A1 KR 2023014904 W KR2023014904 W KR 2023014904W WO 2024085497 A1 WO2024085497 A1 WO 20240854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ush
pole assembly
cartridge
cu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9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동원
Original Assignee
유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원 filed Critical 유동원
Publication of WO20240854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5497A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를 폴조립체 또는 외통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카트리지에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를 고정한 다음,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가 고정된 카트리지를 폴조립체 또는 외통에 장착함으로써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의 착탈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컵의 바깥둘레면에 외측브러시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무전력식 컵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컵세척기는, 바닥고정판과, 바닥고정판에 고정 설치된 나선축과, 나선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장착된 컵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나선축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나선축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운동하는 폴조립체와, 바닥고정판과 폴조립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폴조립체가 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폴조립체에 내측브러시를 착탈하기 위한 제1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내측브러시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와, 내측고정부재와 외측고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무전력식 컵세척기
본 발명은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 장착후 전력 사용없이 컵의 간단한 상하운동만으로도 컵의 내측 또는 내,외측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컵세척기를 개량하여 별도의 전력공급 없이도 사용자가 단순히 컵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컵의 내,외측이 깨끗하게 세척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고장 유발이 적은 회전형 무전력식 컵세척기와 개량형 무전력식 컵세척기를 국내 등록특허 제10-2431744호와 등록특허 제10-2431751호(이하, '선행기술' 이라합니다.)로서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컵의 내,외측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컵을 뒤집어 컵세척기의 브러시결합봉 상단에 끼운 후 하방으로 누르면, 브러시결합봉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고,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브러시결합봉의 하강시 압축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에 의해 컵의 내면과 외면에 접촉하고 있는 내,외측브러시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 있어서, 내측브러시의 착탈구성은 브러시결합봉의 고정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내측브러시를 위치시킨 후, 결합프레임을 고정프레임의 장착홈에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지고, 외측브러시의 착탈구성은 본체의 고정대와 결합부 사이에 외측브러시를 위치시킨 후, 결합부를 고정대의 장착홈에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의 착탈이 본체 내의 협소한 공간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의 교체 작업이 다소 불편하여 이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또한 외측브러시의 경우 컵의 외측면과 밀착하지 않을 경우 세척효율이 저하될 수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를 폴조립체 또는 외통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카트리지에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를 고정한 다음,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가 고정된 카트리지를 폴조립체 또는 외통에 장착함으로써 내측 또는 외측브러시의 착탈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컵의 바깥둘레면에 외측브러시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무전력식 컵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고정판; 상기 바닥고정판에 고정 설치된 나선축; 상기 나선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장착된 컵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나선축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나선축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운동하는 폴조립체; 상기 바닥고정판과 폴조립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폴조립체가 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폴조립체에 내측브러시를 착탈하기 위한 제1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내측브러시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와, 상기 내측고정부재와 외측고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브러시를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 사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카트리지의 내측고정부재를 폴조립체에 형성한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도록 된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와 폴조립체의 장착홈은 폴조립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고정부재와 외측고정부재가 마주하는 면에는 내측브러시의 유동방지를 위한 가압돌기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내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와 외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측고정부재의 하단에는 끼움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폴조립체에는 상기 끼움안내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된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고정부재의 상단에는 후크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폴조립체의 장착홈에는 상기 후크탄성돌기가 결합되는 후크걸림턱이 형성된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판 상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통; 및 상기 외통의 안둘레면에 외측브러시를 착탈하기 위한 제2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외측브러시의 상단부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와, 상기 상측고정부재와 하측고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협지판을 구비한 착탈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브러시의 상단부를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 사이에 고정시키고 결합된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를 착탈브라켓의 협지판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제2 카트리지의 착탈브라켓에 형성한 양날개를 외통에 구비된 장착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설치하도록 된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트리지의 상측고정부재와 하측고정부재가 마주하는 면에는 외측브러시의 유동방지를 위한 가압돌기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상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와 하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는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카트리지에 의해 외통 내측에 설치된 외측브러시를 폴조립체에 장착된 컵의 바깥둘레면쪽으로 이동시켜 밀착시키기 위한 브러시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밀착수단은, 상기 외통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외측브러시의 하단부를 컵의 바깥둘레면쪽으로 밀어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경사부가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외통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통에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가이드구멍을 통해 상기 승강판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무전력식 컵세척기에 의하면, 폴조립체에 설치되는 내측브러시로 컵의 안둘레면을 세척할 수 있고, 외통의 안둘레면에 설치된 외측브러시로 컵의 바깥둘레면을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브러시와 외측브러시가 제1 및 제2 카트리지에 의해 외통의 외부에서 고정된 후, 제1 및 제2 카트리지를 폴조립체와 외통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므로, 내측 및 외측브러시의 착탈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카트리지를 여러개 구비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컵세척시 브러시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부가 형성된 승강판과,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브러시밀착수단에 의해 외측브러시를 컵의 바깥둘레면에 밀착시키는 기능이 수행됨에 따라, 폴조립체에 장착된 컵의 바깥둘레면과 외측브러시 사이에 틈새가 생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세척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제1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서 제1 카트리지의 착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은 도 7에서 제2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카트리지에 의한 외측브러시의 착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카트리지를 외통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브러시밀착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식 컵세척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컵세척기(100)는 컵(C)의 안둘레면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실시예의 컵세척기(100)는, 바닥고정판(110)을 구비하고, 바닥고정판(110)의 상면에는 나선축(15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고정판(110)에 고정 설치되고, 나선축(150)의 외측에는 폴조립체(140)가 설치되어 장착되는 컵(C)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나선축(150)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나선축(15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폴조립체(140)는 나선축(150)에 설치되는 연동캡(141)과, 연동캡(141)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폴(142)을 포함한다. 연동캡(141)은 나선축(150)이 관통하는 구멍 내측에 나선돌기(141a)가 형성되어 나선축(150)의 나선홈(150a)에 안내되고, 연동캡(141)과 바닥고정판(110)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51)가 설치되어 폴조립체(140)가 항상 상방향으로 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연동캡(141)이 나선축(150)의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나선돌기(141a)가 나선홈(150a)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 연동캡(141)은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정,역방향으로도 회전운동하게 되며, 연동캡(141)에 결합되는 센터폴(142)도 함께 상하방향 직선운동과 정,역방향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폴조립체(140)의 센터폴(142)에는 제1 카트리지(1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카트리지(120)에는 컵(C)의 내측을 세척하기 위한 내측브러시(B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120)는 폴조립체(140)의 센터폴(142)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장착홈(142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바형태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홈(142a)과 제1 카트리지(120)가 센터폴(142)의 둘레방향으로 3곳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4곳이나 5곳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도 3,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120)는, 내측브러시(B1)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121,122)를 구비하고,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121,122)는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나사(130)를 적용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후크돌기와 걸림턱과 같은 탄성결합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카트리지(120)는,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내측브러시(B1)를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121,122) 사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카트리지(120)의 내측고정부재(121)를 폴조립체(140)에 구비한 장착홈(142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장착홈(142a)의 입구폭 길이보다 외측고정부재(122)의 바깥폭 길이를 조금 길게 설정하면 상호 끼워맞춤시 장착홈(142a)의 입구폭 길이가 탄력적으로 확장되어 밀착되므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121,122)와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은 폴조립체(14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고정부재(121)와 외측고정부재(122)가 마주하는 면에는 내측브러시(B1)의 유동방지를 위한 가압돌기(121a,122a)가 각각 형성된다.
내측고정부재(121)의 가압돌기(121a)와 외측고정부재(122)의 가압돌기(122a)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고정부재(121)의 가압돌기(121a)를 2개 형성하고, 외측고정부재(122)의 가압돌기(122a)를 1개 형성하여 내측고정부재(121)의 가압돌기(121a) 사이에 외측고정부재(122)의 가압돌기(122a)가 위치하도록 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브러시(B1)를 굴곡시켜 제1 카트리지(120)에서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제1 카트리지(120)의 내측고정부재(121)와 외측고정부재(122) 사이에 내측브러시(B1)를 끼워 장착 한 후, 내측브러시(B1)가 장착된 제1 카트리지(120)를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측브러시(B1)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장착홈(142a)의 하단에 끼움안내구멍(142b)을 형성하고 제1 카트리지(120)의 외측고정부재(122)의 하단에는 상기 끼움안내구멍(142b)에 끼워지는 끼움안내돌기(122b)를 형성함으로써, 제1 카트리지(120)가 장착홈(142a)의 하부에서 상부로 차례로 끼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카트리지(120)를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안내돌기(122b)가 후크(hook)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끼움안내돌기(122b)가 끼움안내구멍(142b)에 견고하게 결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내측브러시(B1)가 당겨지는 경우에도 상기 내측브러시(B1)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고정부재(121)의 상단에는 후크탄성돌기(121b)를 형성하고, 상기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는 상기 후크탄성돌기(121b)가 결합되는 후크걸림턱(142c)을 형성함으로써 제1 카트리지(120)를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4의 (b)에서와 같이 세척하기 위한 컵의 내측을 컵세척기(100)의 폴조립체(140)에 삽입하면, 컵의 안둘레면은 제1 카트리지(120)에 의해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 장착되는 내측브러시(B1)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컵(C)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폴조립체(140)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폴조립체(140)의 연동캡(141)에 형성된 나선돌기(141a)가 나선축(150)의 나선홈(150a)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 폴조립체(14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나선축(150)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탄성부재(151)는 압축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컵(C)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탄성부재(15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컵(C) 및 폴조립체(140)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때에는 나선돌기(141a)와 나선홈(150a)에 의해 폴조립체(140)는 반대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C)을 눌러다 놓는 동작을 반복하면, 폴조립체(140)와 내측브러시(B1)도 함께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정,역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게 되므로, 무전력식으로 컵(C)의 내측을 내측브러시(B1)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컵세척기는 도 3,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내측브러시(B1)를 폴조립체(140)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제1 카트리지(120)에 내측브러시(B1)를 고정한 후,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 제1 카트리지(12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내측브러시(B1)의 착탈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내측브러시(B1)의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내측고정부재(121)와 외측고정부재(122) 사이에 내측브러시(B1)를 위치시킨 후, 내측고정부재(121)와 외측고정부재(122)를 체결나사(130) 등의 고정수단으로 체결한다.
이때 내측고정부재(121)와 외측고정부재(122)에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가압돌기(121a,122a)가 내측브러시(B1)를 파형으로 굴곡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컵세척시 내측브러시(B1)는 내측고정부재(121)와 외측고정부재(122) 사이에서 미끄러짐으로 인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브러시(B1)를 제1 카트리지(120)에 고정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외측고정부재(122)의 끼움안내돌기(122b)를 폴조립체(140)의 장착홈(142a)에 하단에 형성된 끼움안내구멍(142b)에 끼우고, 내측고정부재(121) 및 외측고정부재(122)의 상단을 밀어 장착홈(142a)에 끼워넣게 되면, 장착홈(142a)의 하부에서부터 서서히 상부로 삽입되어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제1 카트리지(120)를 폴조립체(140)에 장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내측브러시(B1)가 폴조립체(140)에 설치되므로 내측브러시(B1)의 착탈작업시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브러시(B1)를 고정한 제1 카트리지(120)를 여러개 구비하여 두면, 사용으로 인해 오염된 내측브러시(B1)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컵세척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오염된 내측브러시는 깨끗하게 세척하여 다음 교체시 사용할 수 있어, 브러시 사용에 대한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식 컵세척기를 나타낸 것으로, 제2 실시예에서의 컵세척기(200)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바닥고정판(110) 상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의 안둘레면에 외측브러시(B2)를 착탈하기 위한 제2 카트리지(220)와, 상기 외통(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카트리지(220)에 의해 외통(210) 내측에 설치된 외측브러시(B2)를 폴조립체(140)에 장착된 컵(C)의 바깥둘레면쪽으로 이동시켜 밀착시키기 위한 브러시밀착수단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의 바닥고정판(110)은 삼각형상으로 예시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의 바닥고정판(110)은 외통(210)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210)의 안둘레면에는 컵(C)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외측브러시(B2)가 제2 카트리지(2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카트리지(220)는 외측브러시(B2)의 상단부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221,222)와, 상기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221,2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협지판(223a)을 구비한 착탈브라켓(223)으로 이루어지고, 상측고정부재(221)와 하측고정부재(222)는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나사(240)를 적용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후크돌기와 걸림턱과 같은 탄성결합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카트리지(220)는 도 9의 (a) 및 (b)에서와 같이 외측브러시(B2)를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221,222) 사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하측고정부재(221,222)를 착탈브라켓(223)의 협지판(223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한 후, 착탈브라켓(223)을 외통(210)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착탈브라켓(223)의 협지판(223a) 입구폭 길이보다 상,하측고정부재(221,222)의 상,하측 바깥폭 길이를 조금 길게 설정하면 끼워맞춤시 협지판(223a)의 입구폭 길이가 탄력적으로 확장되어 밀착되므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카트리지(220)의 착탈브라켓(223)을 외통(210)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는,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브라켓(223)에 형성한 양날개(223b)를 외통(210)에 구비된 장착레일(211)에 착탈 가능하게 끼우고, 착탈브라켓(223)에 형성한 위치고정돌기(223c)를 외통(210)에 형성한 위치고정홈(212)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제2 카트리지(220)를 외통(210)에 견고하면서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도 8,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측고정부재(221)와 하측고정부재(222)가 마주하는 면에는 외측브러시(B2)의 유동방지를 위한 가압돌기(221a,222a)가 각각 형성된다.
상측고정부재(221)의 가압돌기(221a)와 하측고정부재(222)의 가압돌기(222a)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고정부재(222)의 가압돌기(222a)를 2개 형성하고, 상측고정부재(221)의 가압돌기(221a)를 1개 형성하여 하측고정부재(222)의 가압돌기(222a) 사이에 상측고정부재(221)의 가압돌기(221a)가 위치하도록 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브러시(B2)를 파형으로 굴곡시켜 제2 카트리지(220)에서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220)의 상측고정부재(221)와 하측고정부재(222) 사이에 외측브러시(B2)를 끼워 고정하고, 상,하측고정부재(222)를 착탈브라켓(223)의 협지판(223a) 사이에 장착한 후, 착탈브라켓(223)의 양날개(223b)와 위치고정돌기(223c)를 외통(210)의 장착레일(211)과 위치고정홈(212)에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측브러시(B1)를 외통(210)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카트리지(220)를 외통(210)의 둘레방향으로 6곳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수로 가감할 수도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러시밀착수단은 승강판(231)과 손잡이(232)로 이루어진다.
승강판(231)은 상기 외통(21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브러시(B2)의 하단부를 컵(C)의 바깥둘레면쪽으로 밀어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경사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32)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외통(2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외통(2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가이드구멍(213)을 통해 상기 승강판(231)과 연결하는 연결부(2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7에서와 같이 세척하기 위한 컵의 내측을 컵세척기(200)의 폴조립체(140)에 삽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컵의 안둘레면은 제1 카트리지(120)에 의해 폴조립체(140)에 장착되는 내측브러시(B1)에 의해 세척되고, 제2 실시예에서는 외통(210)에 장착되는 외측브러시(B2)에 의해 컵의 바깥둘레면도 함께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컵세척기(200)는 도 8 내지 도 10의 (a) 및 (b)에서와 같이 외측브러시(B2)를 외통(210)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제2 카트리지(220)에 고정한 후 착탈브라켓(223)을 외통(210)에 끼워 고정하는 것에 의해 외측브러시(B2)의 착탈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외측브러시(B2)의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카트리지(220)의 상측고정부재(221)와 하측고정부재(222) 사이에 외측브러시(B2)를 위치시킨 후, 상측고정부재(221)와 내측고정부재(121)를 체결나사(240) 등의 고정수단으로 체결한다.
이때 상측고정부재(221)와 하측고정부재(222)에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가압돌기(221a,222a)가 외측브러시(B2)를 굴곡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컵세척시 외측브러시(B2)는 상측고정부재(221)와 하측고정부재(222) 사이에서 미끄러짐으로 인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브러시(B2)를 제2 카트리지(220)에 장착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착탈브라켓(223)의 양날개(223b)와 위치고정돌기(223c)를 외통(210)의 장착레일(211)과 위치고정홈(212)에 끼워넣게 되면,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제2 카트리지(220)를 외통(210)에 장착함과 동시에, 외측브러시(B2)를 외통(2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이해 외측브러시(B2)의 장착이 외통(210)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외통(210) 밖에서 이루어진 후 외통(21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외측브러시(B2)의 착탈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컵세척기(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브러시(B2)가 컵(C)의 바깥둘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브러시밀착수단의 승강판(231)을 하강시켜 사용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외경이 작거나 그 외의 다른 이유로 외측브러시(B2)가 컵(C)에 밀착하지 않을 염려가 있을 때에는 브러시밀착수단을 이용하여 외측브러시(B2)를 컵(C)의 바깥둘레면에 밀착시키거나 더욱 강하게 밀착시켜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브러시밀착수단의 승강판(231)이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통(210)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3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연결부(232a)로 연결된 외통(210) 내부의 승강판(231)을 상승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승강판(231)이 상승하면서 경사부(231a)가 외측브러시(B2)를 컵(C)의 바깥둘레면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외측브러시(B2)를 컵의 바깥둘레면에 밀착시켜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바닥고정판;
    상기 바닥고정판에 고정 설치된 나선축;
    상기 나선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장착된 컵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나선축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나선축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운동하는 폴조립체;
    상기 바닥고정판과 폴조립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폴조립체가 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폴조립체에 내측브러시를 착탈하기 위한 제1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내측브러시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와, 상기 내측고정부재와 외측고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브러시를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 사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카트리지를 폴조립체에 형성한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고정부재와 폴조립체의 장착홈은 폴조립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고정부재와 외측고정부재가 마주하는 면에는 내측브러시의 유동방지를 위한 가압돌기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내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와 외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고정부재의 하단에는 후크(hook) 형태의 끼움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폴조립체에는 상기 끼움안내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고정부재의 상단에는 후크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폴조립체의 장착홈에는 상기 후크탄성돌기가 결합되는 후크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판 상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통; 및
    상기 외통의 안둘레면에 외측브러시를 착탈하기 위한 제2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외측브러시의 상단부를 양쪽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와, 상기 상측고정부재와 하측고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협지판을 구비한 착탈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브러시의 상단부를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 사이에 고정시키고 결합된 상측 및 하측고정부재를 착탈브라켓의 협지판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제2 카트리지의 착탈브라켓을 외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무전력식 컵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트리지의 상측고정부재와 하측고정부재가 마주하는 면에는 외측브러시의 유동방지를 위한 가압돌기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상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와 하측고정부재의 가압돌기는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카트리지에 의해 외통 내측에 설치된 외측브러시를 폴조립체에 장착된 컵의 바깥둘레면쪽으로 이동시켜 밀착시키기 위한 브러시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밀착수단은,
    상기 외통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외측브러시의 하단부를 컵의 바깥둘레면쪽으로 밀어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경사부가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외통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통에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가이드구멍을 통해 상기 승강판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식 컵세척기.
PCT/KR2023/014904 2022-10-20 2023-09-26 무전력식 컵세척기 WO20240854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95A KR102562744B1 (ko) 2022-10-20 2022-10-20 무전력식 컵세척기
KR10-2022-0135795 2022-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497A1 true WO2024085497A1 (ko) 2024-04-25

Family

ID=8756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904 WO2024085497A1 (ko) 2022-10-20 2023-09-26 무전력식 컵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2744B1 (ko)
WO (1) WO2024085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744B1 (ko) * 2022-10-20 2023-08-03 유동원 무전력식 컵세척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09U (ko) * 1995-06-22 1997-01-21 이앙장치를 부착한 승용작업기의 심음깊이 자동조절장치
JP2535732Y2 (ja) * 1989-08-24 1997-05-14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洗浄装置
KR101908027B1 (ko) * 2017-05-30 2018-10-1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2431751B1 (ko) * 2021-12-09 2022-08-11 유동원 회전형 무전력식 컵세척기
KR102431744B1 (ko) * 2021-12-09 2022-08-11 유동원 개량형 무전력식 컵세척기
KR102562744B1 (ko) * 2022-10-20 2023-08-03 유동원 무전력식 컵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732Y2 (ja) * 1989-08-24 1997-05-14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洗浄装置
KR970000009U (ko) * 1995-06-22 1997-01-21 이앙장치를 부착한 승용작업기의 심음깊이 자동조절장치
KR101908027B1 (ko) * 2017-05-30 2018-10-1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2431751B1 (ko) * 2021-12-09 2022-08-11 유동원 회전형 무전력식 컵세척기
KR102431744B1 (ko) * 2021-12-09 2022-08-11 유동원 개량형 무전력식 컵세척기
KR102562744B1 (ko) * 2022-10-20 2023-08-03 유동원 무전력식 컵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44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4085497A1 (ko) 무전력식 컵세척기
WO2019103321A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WO2015108314A1 (ko) 노즐 출몰식 화장품 용기
WO2020218668A1 (ko) 다기능 밀대 걸레
WO2020171435A1 (ko) 전동식 롤러형 물걸레 청소기
WO2015160189A1 (ko)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WO2015002405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1052886A2 (ko) 저 중심 설계의 자루걸레
CN214280743U (zh) 一种新型电缆桥架
CN209548952U (zh) 一种高效滤袋
WO2021020625A1 (ko)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WO2011025072A1 (ko) 진공 청소기
WO2018212636A1 (ko) 승강식 미세먼지 집진장치
CN213212987U (zh) 一种线缆安装装置
CN210347706U (zh) 一种配电柜线路监测设备
CN217444839U (zh) 一种便于灯光配电柜线路走线装配装置
CN220436162U (zh) 一种便于检修的壁挂式操纵盘
CN218735602U (zh) 一种电力调度数据网柜
CN219933458U (zh) 监控器支架
CN212628820U (zh) 一种便于安装的打码设备用电控箱
CN220087737U (zh) 一种ac-dc换流器控制装置
CN217785633U (zh) 自动挤水装置
CN214957636U (zh) 电源防脱落串口服务器
CN220043459U (zh) 一种防光纤脱离的交换机
CN215912019U (zh) 一种便于拆卸定子铁芯的大力矩步进电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