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5877A1 -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5877A1
WO2024075877A1 PCT/KR2022/015204 KR2022015204W WO2024075877A1 WO 2024075877 A1 WO2024075877 A1 WO 2024075877A1 KR 2022015204 W KR2022015204 W KR 2022015204W WO 2024075877 A1 WO2024075877 A1 WO 20240758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elastic member
layer
fing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2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남혁
Original Assignee
옵티머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머스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머스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758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58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ove that adjusts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ingers using elastic members and wires.
  • An example of a robot joint is a method of attaching a motor directly to the joint.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power transmission and durability, but has the disadvantage of taking up a lot of spac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ov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force applied to a person's fingers using elastic members, wires, and encoders.
  • a glove using an elastic member includes a finger support unit consisting of a finger fixture that can be coupled to a finger, a first wire fixture that can secure a wire, and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fixture.
  • a back of hand support consisting of a wire support for supporting an encoder and a wire that rotates in combination with an encoder that generates an encoder value capable of recognizing the rotation of a finger, and a rotation axis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finger support and the back of hand support and rotate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 a hand drive unit including a hand drive uni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 side of the hand drive unit and an elastic member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side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finger support and the back of the hand support and surrounding the elastic member. Connection consisting of a case;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includes a motor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wir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oto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wrist force and adjusts the elastic member correspondingly to control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inger, thereby transmitting appropriate force to the finger and helping to make it easier to work with the hand.
  •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alleviated.
  • the dust removal unit to remove dust contained withi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not only can the generation of sparks that may be caused by dust be allevia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failure of electronic components that may occur due to this.
  •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d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love using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Figure 3.
  •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hird plate of the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Figure 4.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material of Figure 4.
  •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d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nd drive unit 100 may include a finger support 110, a rotation axis 113, and a hand support 114.
  • the finger support 110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a finger fixing part 111 that can be coupled to a finger and a first wire fixing part 112 that can fix a wire.
  • the finger holder 110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finger, and may b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nger support 110.
  • the first wire fixing part 11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apable of fixing a wire.
  • the rotation axis 113 is disposed between the finger support 110 and the back of the hand support 114 and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 the back of the hand support 114 is coupled to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fixing part 112 and rotates to generate an encoder value that can recognize the rotation of the finger.
  • An encoder 115 that generates an encoder value that can recognize the rotation of the finger and a wire support 116 that supports the wire It can be included.
  • the encoder 115 may rotate as the wire is wound and the wire moves.
  • the displacement of the wire can be known u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encoder 115, and the encoder value ('bending displacement of the finger') can be calculated using the displacement of the wire.
  •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love using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love using an elastic member includes a hand drive unit 100, a connection unit 200,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300.
  • the hand drive unit 100 may include a finger support 110, a rotation axis 113, and a hand support 114.
  • connection portion 200 includes an elastic member 210 and an elastic member case 220.
  •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side of the hand drive unit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side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300.
  • the elastic member case 220 is connected between the hand drive unit 100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300 and can surround the elastic member 210.
  • the elastic member case 220 may be a pleated case whose length is adjustable.
  •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grated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motor 310, a control unit 320, a dust removal unit 330, and an air circulation unit 340.
  • the motor 310 is connected to a wir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210, so that the length of the wire can be adjusted.
  • the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the motor 31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 the control unit 320 may adjust the elastic forc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such as reducing the length of the wire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r unwinding the wire to reduce the elastic force. For example, when force must be applied to the finger, the controller 320 can control the motor 310 to reduce the length of the wire to increase elastic force. Conversely, when it is necessary to relax the finger, the control unit 320 can control the motor 310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wire to reduce the elastic force.
  • the control unit 320 increases the elastic force on the elastic member 210 ('bending the wris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change in the encoder value generated by the encoder 115 ('state where there is no change in the encoder value due to no rotation of the finger').
  • the existing elastic force can be maintained by unwinding the wire and reduc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 the dust removal unit 330 can remove dust contained in air moving insid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300.
  • the air circulation unit 34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ust removal unit and circulates air inside and outsid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300 to cool internal heat.
  • FIGS 4,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Figure 3.
  • the dust removal unit 3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lates 330- formed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air generated by driving the air circulation unit 340. 1) and a plurality of second plates 330-2 extending from the first plate 33-1 with a refraction angle.
  • the second plate 330-2 can be install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 the plurality of plates 330-1 and 33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rods (not shown)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s.
  • the dust removal unit 330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plate 330-1 and the second plate 330-2, and includes a pair of third plates 330 having a 'W-shaped' cross section. -3) and a fourth plate 330-4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plate 330-2, the cross-section of which is circular and inclined at an acute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330-1. More may be included. Since the fourth plate (330-4)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the dust does not fly upward after colliding with the fourth plate, but falls more easily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dust from flying outward. You can. Dust is collected by the upper plates and falls downward by gravity. Fallen dus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300 through a separate pipe or collection unit (not shown).
  • the protective material 40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30-2, third plate 330-3, and fourth plate 330-4. Here, the protective material 400 can alleviate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hird plate of the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Figure 4.
  • the third plate 330-3 may include a protrusion 500, and the protrusion 500 may be formed as a curved portion 510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 This curved portion 510 is formed in a shape that has a narrow inlet, so that when air is drawn in, it can be given the effect of being rotated along the internal curved structure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impact between the air and the protrusion 500 is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so the dust removal effect can be improved.
  • a tube 520 is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curved part 51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hook-shaped extension protrusion 521 and fine particles 522 are placed inside the tube. It may also include . Accordingly, the cyclone effect is once again provided by the hook-shaped extension protrusion 521 following the protrusion 520, and the dust removal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by causing dust to additionally collide with fine particles.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material of Figure 4.
  • the first layer 610 forms the base of the protective material 400.
  • First layer 610 defines a first region.
  • the first area may be, for example, a generally rectangular area.
  • the first layer 610 may mainly block light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waterproof properties.
  • the second layer 630 may be lamin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0.
  • the second layer 630 may define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first layer 610 and having the same area.
  • the second area may also have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first area. This second layer 6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610 and plays a major role in ensuring impact resistance.
  • the second layer 630 may have a body 631 and a concave portion 635.
  • the body 631 is a part of the body of the second layer 630.
  • the concave portion 635 is a groove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ody 631.
  •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63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 the concave portions 635 may form a matrix arrangement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in the second area.
  • the concave portion 635 may be a groov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631 toward the lower surface.
  • the third layer 650 is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630.
  • the third layer 650 defines a third region with the same area as the second region.
  • the third area also has a square shape and can be arranged to face the second area. Thereby, the third layer 650 seals the concave portion 635 of the second layer 630 from the outside.
  • the third layer 650 mainly has strong adhesion to the adherend.
  • This third layer 650 ma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second layer 630.
  • the third layer 650 is made of the same acrylic adhesive as the second layer 630, but its specific properties may be somewhat different. Accordingly, if the second layer 630 has relatively hard characteristics, the third layer 650 has relatively soft characteristics.
  • the third layer 650 may be formed by adding hollow ball particles 655 to the relatively soft body 631 to enhance its soft properties.
  • the ball particles 655 may be, for example, silica.
  • the third layer 650 is softer than the second layer 630 and contains ball particles 655 therein, thereby enhancing the primary absorption ability of the protective material 400 against impact (I).
  • the second layer 630 has a concave portion 635 forming an air trap, so that the force resulting from the impact (I) can be secondarily absorbed. do.
  • the concave portion 63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D) is several times larger than the width (W), allowing the above impact to be absorbed more effectively while being somewhat deformed by buckling.
  • the convex portion 615 protrudes from the body 611 of the first layer 610.
  • the convex portion 615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layer 630.
  • the convex portions 615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they may have a matrix arrangement.
  • the convex portion 615 may be dome-shaped in shape.
  • the convex counterpart 637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615 to accommodate the convex portion 615.
  • a plurality of convex corresponding portions 63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layer 630.
  • the recessed portion 635 may be locat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receiving portions.
  • the width (W) of the concave portion (635) is narrower than the width (W') of the receiving portion (637), and the depth (D) of the hollow portion (635) is greater than the depth (D') of the receiving portion (637). It could be something deep.
  • a fourth layer 630' and a fifth layer 65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ayer 630 and third layer 65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ayer 610. .
  • the impact applied to the protective material 400 can be absorbed primarily and secondarily through the third layer 650 and the second layer 630, which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 shock absorption effect by the convex portion 615 and the convex counterpart 637 there is additionally a strengthened shock absorption effect by the convex portion 615 and the convex counterpart 637.
  •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body 631 of the second layer 63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layer 610 and is distributed over a wider area through the convex portion 615 and the convex counterpart 637. You can.
  • shock absorption by the convex portion 615 and the convex counterpart 637 is achieved to a large extent.
  • the convex counterpart 637 has a width (W') larger than the depth (D'), so it resists buckling more strongly than the concave part 635, and expands the corresponding area with the convex part 615. Shock absorption capacity is effectively demonstrated.
  •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는 손가락에 결합될 수 있는 손가락 고정부와,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와이어 고정부로 구성된 손가락 지지대, 상기 제 1 와이어 고정부에 연결된 와이어와 결합되어 회전하여 손가락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엔코더 값을 생성하는 엔코더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대로 구성되는 손등 지지대, 상기 손가락 지지대 및 상기 손등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동되며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손 구동부와, 일단은 손 구동부의 와이어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통합 제어부의 와이어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손가락 지지대 및 상기 손등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 케이스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성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본 발명은 탄성 부재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손가락에 전달되는 힘을 조절하는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안드로이드 및 휴머노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형 로봇이 사회의 일원으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운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로봇 관절이 필요하다.
로봇 관절의 일예로 모터를 관절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동력 전달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이용하는 텐던(tendon) 방식의 로봇 관절이 개발되었다.
로봇 개발과는 별개로 사람의 손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글러브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탄성 부재, 와이어 및 엔코더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힘을 자동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글러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는 손가락에 결합될 수 있는 손가락 고정부와,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와이어 고정부로 구성된 손가락 지지대, 상기 제 1 와이어 고정부에 연결된 와이어와 결합되어 회전하여 손가락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엔코더 값을 생성하는 엔코더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대로 구성되는 손등 지지대, 상기 손가락 지지대 및 상기 손등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동되며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손 구동부와, 일단은 손 구동부의 와이어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통합 제어부의 와이어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손가락 지지대 및 상기 손등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 케이스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성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손목 굼힘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되게 탄성부재를 조절하여 손가락에 전달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손가락에 적절한 힘을 전달하여 손을 이용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보호재를 이용하여 기판 등을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제거부를 이용하여 통합제어부 내부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함으로써, 먼지를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의 발생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는 도 3에 따른 먼지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제 3 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보호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호하면, 손 구동부(100)는 손가락 지지대(110), 회전축(113) 및 손등 지지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지지대(110)는 손가락에 결합될 수 있는 손가락 고정부(111) 및,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와이어 고정부(112)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손가락 고정부(110)는 손가락과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손가락 지지대(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와이어 고정부(112)는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3)은 손가락 지지대(110) 및 손등 지지대(114)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동되며 회전할 수 있다.
손등 지지대(114)는 제 1 와이어 고정부(112)에 연결된 와이어와 결합되어 회전하여 손가락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엔코더 값을 생성하는 엔코더(115)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코더(115)는 와이어가 감기고,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엔코더(115)의 회전양을 이용하여 와이어의 변위를 알 수 있고, 와이어의 변위를 이용하여 엔코더 값('손가락의 굽힘 변위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는 손 구동부(100), 연결부(200) 및 통합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손 구동부(100)는 손가락 지지대(110), 회전축(113) 및 손등 지지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탄성부재(210) 및 탄성부재 케이스(220)을 포함한다.
탄성부재(210)는 일단은 손 구동부(100)의 와이어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통합제어부(300)의 와이어측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 케이스(220)는 손 구동부(100)와 통합제어부(300) 사이에 연결되며, 탄성부재(210)를 감쌀 수 있다.
탄성부재 케이스(2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주름형 케이스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합제어부(300)는 모터(310), 제어부(320), 먼지제거부(330) 및 공기순환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탄성부재(210)와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모터(310)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 부재(21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탄성력을 크게하기 위해 와이어의 길이를 줄이거나 탄성력을 줄이기 위해 와이어를 풀는 등과 같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에 힘을 주어야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모터(310)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줄여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손가락에 힘을 빼어야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모터(310)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늘려 탄성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320)는 엔코더(115)에서 생성되는 엔코더 값의 변화가 없는 상태('손가락의 회전이 없어 엔코더 값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탄성부재(210)에 탄성력이 증가('손목을 굽히는 상황에서 발생함')할 경우, 와이어를 풀어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줄임으로써 기존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지제거부(330)는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기순환부(340)는 먼지제거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통합제어부(30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열을 식힐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는 도 3에 따른 먼지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지제거부(330)는, 공기순환부(340)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판(330-1)와, 상기 제 1 판(33-1)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판(33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와 상기 굴절각이 동일하여, 상기 제 2 판(330-2)은 공기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판(330-1, 330-2)는, 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먼지제거부(330)는, 상기 제 1 판(330-1)과 제 2 판(330-2)의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W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3 판(330-3) 및 상기 제 2 판(330-2)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 형상이면서, 제 1 판(330-1)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진 제 4 판(3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 판(330-4)는 공기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먼지가 제 4 판에 충돌된 후 위쪽 방향으로 날아가지 않고, 아래 방향으로 더 잘 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먼지가 외부로 날아가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 판들에 의하여 먼지들이 포집되고, 이것들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먼지들은 별도의 관 또는 포집부(미도시)를 통해 통합제어부(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호재(400)는 제 2 판(330-2), 제 3 판(330-3) 및 제 4 판(330-4)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재(4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제 3 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3 판을 위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제 3 판(330-3)은 돌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500)는 일측이 개구부인 곡선부(5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선부(510)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인입되는 경우 내부 굴곡 구조를 따라 회전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와 돌출부(500) 간의 충격이 더 많이 오랜시간 유지되므로 먼지제거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먼지 제거 효과를 보다 향상하기 위해, 공기가 인입되는 곡선부(510)의 굴곡면을 따라 관(520)이 형성되고, 관의 내부에는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출부(521) 및 미세 입자(5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돌출부(520)에 이어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출부(521)에서 한번 더 사이클론 효과를 부여되고, 먼지가 미세 입자에 추가적으로 부딪히게 함으로써, 먼지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보호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층(610)은 보호재(400)의 베이스를 이루는 구성이다. 제 1 층(610)은 제1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대체로 사각형의 영역일 수 있다.
제 1 층(610)은 주로 빛을 차단하거나 방수 특성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층(630)은 제 1 층(6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 2 층(630)은 제 1 층(610)의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그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제2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역시 제1 영역과 동일하게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층(630)은 제 1 층(610)과 밀착되며 내충격성 확보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
제 2 층(630)은 바디(631)와, 오목부(635)를 가질 수 있다. 바디(631)는 제 2 층(63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오목부(635)는 바디(631)의 상면 측에서 오목 형성된 홈이다. 오목부(635)는 상기 제2 영역에서 복수 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635)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매트릭스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오목부(635)는 형태적으로 바디(631)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제 3 층(650)은 제 1 층(630) 상에 적층되는 것이다. 제 3 층(650)은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3 영역 역시 사각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2 영역에 맞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3 층(650)은 제 2 층(630)의 오목부(635)를 외부에 대해 밀폐하게 된다.
제 3 층(650)은 주로 피착 대상물과의 강한 접착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층(650)은 제 2 층(630)과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층(650)은 제 2 층(630)과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이나 구체적 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2 층(630)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특성을 가진다면, 제 3 층(650)은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특성을 갖게 된다. 제 3 층(650)은 소프트한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의 바디(631)에 중공형 볼 입자(655)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볼 입자(655)는, 예를 들어 실리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호재(400)에 충격(I)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은 보호재(40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 3 층(650)은 제 2 층(630) 보다 소프트하면서도, 내부에 볼 입자(655)를 함유하여, 보호재(400)의 충격(I)에 대한 1차적 흡수 능력이 강화되게 한다.
나아가, 제 2 층(630)은 바디(131)의 충격 흡수력에 더하여 오목부(635)가 에어 트랩(Air Trap)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충격(I)에 따른 힘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오목부(635)는 폭(W) 보다 깊이(D)가 몇 배 큰 구조를 가져서, 좌굴(buckling)에 의해 다소 변형되면서 위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볼록부(615)는 제 1 층(610)의 바디(611)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볼록부(615)는 제 2 층(6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볼록부(615)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그들은 매트릭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볼록부(615)는 형태상으로는 돔 형상의 모양일 수 있다.
볼록대응부(637)는 볼록부(615)를 수용하도록 볼록부(615)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볼록대응부(637)는 제 2 층(630)의 일 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있어서, 오목부(635)는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635)의 폭(W)은 수용부(637)의 폭(W')보다 좁고, 중공부(635)이 깊이(D)는 수용부(637)의 깊이(D')보다 깊은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제 1 층(610)의 다른 면에는 이상의 제 2 층(630), 제 3 층(650) 각각에 대응하는 제 4 층(630') 및 제 5 층(6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호재(40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 3 층(650), 제 2 층(630)을 통해 1차적,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볼록부(615)와 볼록대응부(637)에 의한 강화된 충격 흡수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 2 층(630)의 바디(631)로 전달된 충격은 제 1 층(610)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볼록부(615) 및 볼록대응부(637)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볼록부(615) 및 볼록대응부(637)에 의한 충격 흡수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다.
또한, 볼록대응부(637)와 오목부(635)가 어긋나게 배치됨에 의해, 그들이 일치되게 배치되는 경우에서 제 2 층(630)의 종방향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볼록대응부(637)는 그의 폭(W')이 깊이(D')보다는 큰 크기를 가져서 오목부(635)에 비해 좌굴에 강하게 견디면서, 볼록부(615)와의 대응 면적 확대에 의해 충격 흡수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손가락에 결합될 수 있는 손가락 고정부와,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와이어 고정부로 구성된 손가락 지지대, 상기 제 1 와이어 고정부에 연결된 와이어와 결합되어 회전하여 손가락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엔코더 값을 생성하는 엔코더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대로 구성되는 손등 지지대, 상기 손가락 지지대 및 상기 손등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동되며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손 구동부;
    일단은 손 구동부의 와이어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통합 제어부의 와이어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손가락 지지대 및 상기 손등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 케이스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판과 상기 제 1 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판과 상기 제 1 판과 제 2 판의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W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3 판과 상기 제 2 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이면서 상기 제 1 판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진 제 4 판을 포함하는 먼지제거부와, 통합제어부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로 구성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케이스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주름형 케이스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 값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력이 증가하면, 상기 와이어를 풀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줄이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판은
    일측이 개구부인 곡선부; 및
    공기가 인입되는 곡선부의 굴곡면을 따라 관;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의 내부에는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출부와 미세 입자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 상기 제 3 판 및 제 4 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재를 더 포함하는,
    상기 보호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제 1 층;
    상기 제 1 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오목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 2 층; 및
    상기 제 2 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오목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 2 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 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복수의 볼록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볼록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인접한 한 쌍의 볼록대응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오목부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 3 층은 중공형 볼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볼록대응부의 폭은 오목부의 폭보다 큰 크기이고, 볼록대응부의 높이는 볼록부부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PCT/KR2022/015204 2022-10-07 2022-10-07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WO20240758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522 2022-10-07
KR1020220128522A KR102478599B1 (ko) 2022-10-07 2022-10-07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877A1 true WO2024075877A1 (ko) 2024-04-11

Family

ID=8453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204 WO2024075877A1 (ko) 2022-10-07 2022-10-07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8599B1 (ko)
WO (1) WO202407587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2694A1 (en) * 2008-04-03 2011-12-15 University Of Washington Clinical force sensing glove
KR101609158B1 (ko) * 2014-05-12 2016-05-17 울산과학기술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1808830B1 (ko) * 2016-09-27 2017-12-13 이덕우 관절 치료용 장갑
JP6524663B2 (ja) * 2014-10-17 2019-06-05 ヤマハ株式会社 データグローブ
KR102077230B1 (ko) * 2017-04-14 2020-02-14 (주)피지정보통신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위한 글러브
KR20220063402A (ko) * 2020-11-10 2022-05-17 안현찬 손가락 떨림 보정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2694A1 (en) * 2008-04-03 2011-12-15 University Of Washington Clinical force sensing glove
KR101609158B1 (ko) * 2014-05-12 2016-05-17 울산과학기술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JP6524663B2 (ja) * 2014-10-17 2019-06-05 ヤマハ株式会社 データグローブ
KR101808830B1 (ko) * 2016-09-27 2017-12-13 이덕우 관절 치료용 장갑
KR102077230B1 (ko) * 2017-04-14 2020-02-14 (주)피지정보통신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위한 글러브
KR20220063402A (ko) * 2020-11-10 2022-05-17 안현찬 손가락 떨림 보정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599B1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2962B (zh) 32自由度仿生柔顺内骨骼灵巧手
DK1119726T3 (da) Fleksibel ledning med kappe med høj inerti
WO2024075877A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글러브
FR2605359B1 (fr) Systeme de conversion de l'energie du vent
BR9611559A (pt) Aparelho de telemanipulação do tipo "mestre-escravo" com seis graus de liberdade
FR2554533B1 (fr) Soufflet elastique de protection d'un joint homocinetique de transmission
FR2771223B1 (fr) Dispositif d'interface entre equipements d'une installation
DE69423654T2 (de) Elastische auflaufverzahnung mit negativer deformation
WO2020032390A1 (ko) 다관절 로봇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
WO2021110059A1 (zh) 一种采用绞盘和腱传动的拮抗式驱动装置
WO2020085611A1 (ko) 레이어 재밍 구동장치
IT1232110B (it) Disposizione di un cappuccio di protezione sul bicchiere di un giunto di trasmissione
Zheng et al. CCRobot-V: A silkworm-like cooperative cable-climbing robotic system for cable inspection and maintenance
CN113276137A (zh) 一种遥操作磁悬浮力反馈装置
DE69416138T2 (de) Skalares unterbrechungs-rückquittierungssystem
CN111136647A (zh) 一种线缆驱动的柔性机器人
FR2548390B1 (fr) Dispositif de deplacement fin de l'extremite d'une fibre optique suivant deux axes orthogonaux
WO2024043422A1 (ko) 스마트 글라스 측면부착 접이식 태양전지
CN220783933U (zh) 一种具有信号采样电路的机械手
WO2013077481A1 (ko) 로봇 조립블럭용 모터블럭 조립체
WO2012138161A2 (ko) 건축 구조물의 이중창 외벽 구조
WO2019208855A1 (ko) Hmi 핸드모듈
CN218802294U (zh) 一种双臂机器人结构
CN209640250U (zh) 一种用于检测玻璃的红外扫描仪保护装置
WO2023136659A1 (ko) 건식 온수 온돌 패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615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