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2014A1 -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2014A1
WO2024072014A1 PCT/KR2023/014859 KR2023014859W WO2024072014A1 WO 2024072014 A1 WO2024072014 A1 WO 2024072014A1 KR 2023014859 W KR2023014859 W KR 2023014859W WO 2024072014 A1 WO2024072014 A1 WO 20240720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voltage
converter
mosf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8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김동완
부산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완, 부산항만공사 filed Critical 김동완
Publication of WO20240720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20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1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Definitions

  •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method for a power converter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re specifically, when converting power through such a converter, the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the converter is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rid power to convert power.
  • Document 1 in relation to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o boost power by a piezoelectric element and minimize boost loss in an energy harvesting piezoelectric generator.
  • the level of boosting the voltage required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is disclosed by boosting the voltage in a condenser by moving it to another condenser and stacking it by a switching method, thereby minimizing the boosting loss.
  • the disclosed content is the power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to minimize the loss of generated power and provide boost conversion that can efficiently store the generated power since the generation of power by the above-described piezoelectric element is minimal.
  • a power conversion method that maximizes the power generated and minimizes the conversion loss of the generated power and allows it to be efficiently used for storage and load.
  • the overall configuration largely consists of a solar panel (PV Panel) and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as input power,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finally the battery and DC-AC converter are connected to grid power. It will happen.
  • PV Panel solar panel
  • DC-AC converter DC-AC converter
  •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made of a DC-DC converter and includes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functions.
  • the power converter i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nection and is made by considering the pros and cons of each configuration.
  • each converter takes into accoun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s, and instead of having a separate battery charging circuit, each converter is configured for each individual input to create the most suitable control method for each input power source. It is a losing structure.
  • this booster-type DC-DC converter circuit can be applied as a general power conversion circuit to implement a high DC link voltage considering the output of a solar inverter from a low DC input power source.
  • ESS Electronicgy Storage System
  • a battery which is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in the case of a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the generated power is very low, so it is very difficult to directly charge a high capacity battery. Therefore, considering the power of a typical home solar panel, it is difficult to output a high DC link voltage directly from the power source, and a circuit must be created centered around a battery.
  • an ESS (battery) linked power conversion device two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s with solar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s as input is provided first. Additionally, each converter is configured to perform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according to the power source (solar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dditionally, a battery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 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 a current path separate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is used, and for this purpose, two power converters are cross-wired to share the battery charging current, thereby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and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 th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ower control method.
  • each individual power source is different,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nd it depends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and the load power state. Therefore, it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output voltage of the input power source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converter,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output voltage in buck mode. In this case, it operates in boost mode.
  • MPPT control is performed to control the maximum point of each input power
  •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and constant voltage control mode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voltage state of the battery. That is, the control mode is constantly vari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state of the power source,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the state of the load current, thereby enabling appropriate power control to the above-described converter.
  • a boost conversion method that can minimize the loss of generated power and efficiently store the generated power and an appropriate power control method are provided.
  • a power conversion method that maximizes the power generated in this way and minimizes conversion loss of the generated power, efficiently stores and uses this for load, and provides an appropriate power control method for this.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uck-boost operation of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ditional DC-AC converter of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curves) of a solar panel and a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power control according to battery status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s 10 and 11 are overall control block diagrams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2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buck-boost converter of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14 to 18 are diagrams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system largely consists of a solar panel (PV Panel) and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as input power,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finally the battery and DC- The AC converte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grid power.
  • PV Panel solar panel
  • DC- The AC converte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grid power.
  •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made of a DC-DC converter and includes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functions.
  • the power converter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several methods and considering the pros and cons of each configuration.
  • each individual input is configured with a separate converter, and a control method most suitable for each input power source is created.
  • this booster-type DC-DC converter circuit can be applied as a general power conversion circuit to implement a high DC link voltage considering the output of a solar inverter from a low DC input power source.
  • ESS Electronicgy Storage System
  • a battery which is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in the case of a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the generated power is very low, so it is very difficult to directly charge a high capacity battery. Therefore, considering the power of a typical home solar panel, it is difficult to output a high DC link voltage directly from the power source, and a circuit must be created centered around a battery.
  • an ESS (battery) linked power conversion device two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s with solar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s as input is provided first. Additionally, each converter is configured to perform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according to the power source (solar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dditionally, a battery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 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 each converter is the same, but the program implements hardware and firmware that identifies and controls the power source so that each individual converter can be implemented with a different control method depending on the power source of the input terminal. Then, configure RS-485 communication to monitor input power and output power in the monitoring system.
  • various types of converters can be applied to solar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s, but not only does the input voltage range vary widely, but the output voltage is sometimes higher than the input voltage, so a simple buck converter is used. cannot perform the battery charging function. Therefore, it has a buck-boost converter structure that allows stable output control even over a wide range of input voltages. An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ontrol method is operated by dividing into MPPT control and battery charging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battery charging state.
  • a current path separate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is used, and for this purpose, two power converters are cross-wired to share the battery charging current, thereby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to jointly limit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 each individual power source is different,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controlling i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the load power state.
  • voltage and current characteristics for performing maximum power tracking control can be determined from each characteristic curve of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and the solar panel module.
  • the output current can be maintained up to the highest point of voltage in each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but at the point where the voltage decreases, a control method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output current to maintain the maximum power point is common.
  • the input voltage and input power Changes are instantaneously determined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current is changed.
  • This control method is very suitable when a battery is not applied, but when a battery is applied, different control methods are implemented depending on the battery status of the ESS. Since the voltage of the battery chang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and discharge, the state of the battery can be observed, and constant current control (fast charging) and constant voltage control can be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Specifically, in discharge mode, continuous power supply is possible as long as the maximum discharge point does not occur, but in charge mod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pplication of overvoltage to the battery for charging.
  • Figure 2 is a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power converter has a buck-boost converter structure composed of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and a solar power input individually. That is, first, instead of having a separate battery charging circuit, a converter is configured for each individual input. Additionally, it has a buck-boost structure that allows stable output control even over a wide range of input voltages.
  • the output is connected to a battery in parallel so that the generated energy can be charged and used.
  • a current path separate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is used, and for this purpose, two power converters are cross-wired to share the battery charging current, thereby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and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 this configuration largely includes a first buck-boost converter 101, a second buck-boost converter !02, and a battery 103. Additionally, it includes a DC-AC converter,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first buck-boost converter 101 is connected to the first DC power module, that is,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compares the input voltage and the corresponding output voltage, and boosts the voltage in boost mode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output voltage. . And, when it is high, it is converted into a power source for battery charging control by reducing the pressure in buck mode. Additionally, the first DC power module is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whose generated power is lower than the set power by a threshold value, and is used in this type of module.
  • the second buck-boost converter 102 is connected to a second DC power module different from the module, that is, to a solar panel module, and similarly compares the input voltage and the corresponding output voltage to boost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output voltage.
  • the voltage is boosted as a buck mode, and when it is high, the voltage is reduced as a buck mode to convert it into a power supply for charging control.
  • the second DC power module is a type of solar panel module that outputs a DC link voltage that is higher than the set link voltage by a threshold value.
  • the battery 103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buck-boost converter and the second buck-boost converter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by each charging control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internal state of the battery device. do.
  • first buck-boost converter 101 and the second buck-boost converter 102 are as follow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nidirectional type).
  • first MOSFET a first MOSFET
  • first diode an inductor
  • second diode a second MOSFET
  • capacitor a capacitor
  • the first MOSFET has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DC power module, and alternately turns on and off in the buck mode.
  • the first diode has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so that it turns off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MOSFET and turns on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MOSFET in the off state.
  • One end of the inductor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 the second MOSFET has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diode, so that in the boost mode, on and off are alternately linked to the off and on of the first diode. It is repetition.
  • the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and the bus side.
  • one embodiment represents a buck-boost converter structure that is individually composed of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 and a solar power input. Then, the output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03 in parallel to charge and use the generated energy.
  • a current path separate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103 is used, and for this purpose, the two power converters 101 and 102 are cross-wired to share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3, resulting in output
  • the voltage is controlled to limit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3.
  • a current path separate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103 is used. However, it does not detect the load current, so the load current ( ) cannot be shared, but the battery 103 charge/discharge current ( ) follows the proposed current path, and can be measured in each power converter (101, 102).
  • two power converters 101 and 102 must be cross-wired, as shown in the drawing.
  • terminals S(-) and V(-) can be connected, that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03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verter (101, 102) can be connected. . detected
  • Each power converter (101, 102) controls the output voltage and jointly limits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3).
  •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uck-boost operation of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uck-boost operation operates in a boost mode to boost the voltage when the input voltage of each converter is lower than the output voltage. And, if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output voltage, it operates in buck mode to reduce the voltage and control it to a voltage and current suitable for battery charging control.
  • the first MOSFET is alternately turned on and off
  • the second MOSFET is alternately turned on and off, thereby performing a buck-boost opera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C-AC converter of a power converter applied to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DC-AC converter As shown in Figure 4, the DC-AC conve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responsible for battery charging and load sharing functions, but since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converter is DC power, it cannot be connected to a system using AC power. . Therefore, a DC-AC converter structure is needed.
  • These converters are maximum power converters for grid connection, and convert the power generated from solar an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s into DC-DC power through an improved maximum power converter, and then connect to the grid through a DC-AC converter. It is done.
  • the circuit of this DC-AC converter uses, for example, the TMS320F28065 controller, and the intelligent power module (IPM) element is PM75B6L1C060, which includes a full bridge switching circuit and 2-channel brake at the same time. It is a device that also includes a circuit.
  • the output and input sides of the DC-AC converter detect current through a current sensor, and the voltage of the output power is measured through a measuring transformer.
  •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curves) of a solar panel and a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 is a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of a solar panel
  • Figure 6 is a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of a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panel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determine the voltage and current characteristics for performing maximum power tracking control from each characteristic curve.
  • the output current can be maintained up to the highest point of voltage in each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but at the point where the voltage decreases, a control method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output current to maintain the maximum power point is common.
  • the input voltage and input power Changes are instantaneously determined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current is changed.
  •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power control according to battery status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shows the charge/discharge curve of the battery
  • Figure 8 shows changes in th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 the charging/discharging of the battery causes large voltage fluctuations in the battery depending o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s, so the state of the battery can be observed, and the battery's state can be observed.
  • constant current control fast charging
  • constant voltage control are performed.
  • in discharge mode continuous power supply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where the maximum discharge point does not occur, but in charge mod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pplication of overvoltage to the battery for charging.
  • the set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is performed up to 90% of full charge, and beyond that, the maximum voltage is limited and the lifespan is shortened due to overcharging of the battery through the set constant voltage control mode. Avoid doing so.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battery control device using a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and solar energy applied to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for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each control mode as shown in FIG. 9 controls the input voltage of each input power source centered on the battery voltage curve indicat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red dotted line). That is, when the input voltage is high, it operates in buck mode, and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 it operates in boost mode.
  • MPPT control is performed to control the maximum point of each input power
  •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and constant voltage control mode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voltage state of the battery.
  • the proposed control method constantly changes th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state of the power source,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the state of the load current.
  • Figures 10 and 11 are overall control block diagrams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is control
  • Figure 11 shows the current-voltage controller of this control block diagram.
  • the overall control block diagram allows the MPPT curve of the input stage and battery status monitoring to be built into the controller. So, the control algorithm as shown in Figure 10 is applied.
  • Figure 12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power controller when power is converted using the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ler performs the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the power converte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rid power. It is controlled and converted to power for each busbar.
  • this converter includes a first buck-boost converter connected to the first DC power module, a second buck-boost converter connected to a second DC power module different from the module, and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buck-boost converters. Includes batteries connected in parallel.
  • the input voltage of the second DC power module is lower than the output voltage (S1207), it is boosted in boost mode (S1208), and if it is higher, it is reduced in buck mode (S1209) to convert it into a power supply for charging control (S1205). .
  •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is performed up to the set value of full charge, for example, 90%, and the maximum voltage is limited and the constant voltage control mode is performed above the set value of full charge. Perform (S1212).
  • the power controller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the power converte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us bar (grid power), so that each bus line has its own power conversion operation. It is premised on controlling the transformation.
  • the control mode is constantly vari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state of the power source,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the state of the load current, thereby enabling appropriate power control to the above-described converter.
  • one embodiment provides a step-up conversion method that minimizes the loss of generated power and efficiently stores the generated power since the generation of power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minimal, and an appropriate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 a power conversion method that maximizes the power generated in this way and minimizes conversion loss of the generated power, efficiently stores and uses this for load, and provides an appropriate power control method for this.
  • Figure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idirectional buck-boost converter applied to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idirectional buck-boost converter converts the aforementioned unidirectional DC-DC converter into a 4-switch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user convenience and applic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It has been supplemented.
  • the output voltage of unidirectional buck-boost is It is output through a phosphorus diode (see Figure 3).
  • the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are fixed, which limits the environment for application and inconveniences user convenience. For this reason, it was improved to a two-way DC-DC converter in which the diode of the one-way DC-DC converter was replaced with a switching element.
  • this configuration is a circuit in which a diode is changed from a one-way converter to a switching element, and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one-way configuration.
  • MPPT control is easy by adjusting the turn-on/off time of the 4-switch using the measured current information of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unidirectional structure, only the aforementioned diode is supplemented with a MOSFET.
  • the first buck-boost converter and the second buck-boost converter are respectively as follows.
  • the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DC power module and includes a first MOSFET that alternately turns on and off in the buck mode.
  • a second MOSFET has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and turns off when the first MOSFET is on, and turns on when the first MOSFET is off.
  • it further includes an inducto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and a third MOSFET with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 the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second MOSFET, so that in the boost mode, on and off are alternately linked to the off and on of the second MOSFET.
  • a fourth MOSFET to repeat. And, it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MOSFET and the bus side.
  • Figures 14 to 18 are diagrams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a power control method of a hybrid parallel power converter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s 14 and 15 are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is battery charging mode
  • Figure 16 is the simulation result when solar power generation is used alone
  • Figure 17 is the simulation result when the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is used alone
  • Figure 18 is a simulation result when generating multiple power plants.
  • the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first,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battery charging mode show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and constant voltage control mode for battery protec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 14 and 15).
  • the output current of the DC-DC converter during solar power generation alone represents the current at which the battery is also charg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in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at 1[A].
  • Figure 17 shows simulation results when the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alone generates power.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voltage of the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 It can be confirmed that MPPT control is achieved by changing If it is smaller than this, the Boost converter mode is used, and if it is the opposite, the Buck converter mode is used. and You can check it here.
  • Figure 18 as a simulation result when generating power in conjunction with solar and piezoelectric harvesting modul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utput current changes whenever each power generation voltage is ch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는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변환기는 별도의 배터리 충전회로가 없는 대신에, 각 개별 입력에 컨버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광범위한 입력전압의 범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출력 제어가 가능한 벅-부스트 구조를 가진다. 전력원의 입력 상태와 배터리의 상태 및 부하 전류의 상태에 따라서 제어 모드를 상시적으로 변동하면서 제어한다. 그래서, 압전소자에 의한 발생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한다.

Description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압전에너지 하베스팅의 전력변환기에 대한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변환기를 통해 전력변환을 할 경우, 해당 변환기의 전력변환 동작을 모선(grid power)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여 전력을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녹색항만의 추진에 항만톨게이트용 스마트 압전에너지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항만에서 사용하는 전력에 의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환경친화적이고, 기존 에너지 생산체계의 한계로 인해 중소형 에너지자립 및 근접지원형 친환경 발전과 같은 에너지 생산의 친환경ㅇ사회수용성 요구가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러한 기존 신재생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시간적ㅇ공간적 제약 및 민원 발생의 여지가 적은 압전발전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압전소자에 의한 전력의 발생은 대체적으로 미미하고, 발생한 전력의 전력변환손실도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할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렇게 발전량이 적은 점을 고려하여 전력분야(소재분야와 시공분야 포함) 등의 협업을 통한 완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손실을 최소화하는 최대전력변환방식도 있어야 할 것이다.
부가하면,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아래의 문헌이 나오는 정도이다.
(특허문헌 0001) KR101794615 B1
참고적으로, 이러한 문헌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 관련하여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압전발전기에 있어서, 압전소자에 의한 전력을 승압하고, 승압 손실을 최소로 하는 것이다.
다만, 이를 위해 이차전지 충전에 필요한 전압까지 승압시키는데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다른 콘덴서로 이동하고 적층하는 스위칭 방식으로 승압함으로써, 승압 손실을 최소로 하도록 하는 정도를 개시한다.
개시된 내용은, 전술한 압전소자에 의한 전력의 발생이 미미하므로 발생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발생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승압컨버팅을 제공하도록 하는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이렇게 발생하는 전력을 최대화하고, 발생한 전력의 변환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력변환방식과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부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은,
먼저, 이러한 방법에 적용하는 전체적인 구성과 변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체적인 구성은 크게, 입력 전원으로 태양광 패널(PV Panel)과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로 구성되며, 출력단은 배터리가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배터리와 DC-AC 컨버터가 연결되어 모선(grid power)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력변환 장치는 DC-DC 컨버터로 만들며,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제어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력변환기는 몇 가지 방식의 연계로 구성하고, 각 구성에 따른 장단점을 고려하여 만든 것이다.
다음, 변환기의 구성은 전술한 각 구성에 따른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배터리 충전회로가 없는 대신에, 각 개별 입력에 각각의 컨버터로 구성하여, 각 입력 전원에 가장 적합한 제어 방식이 만들어지는 구조이다.
먼저, 이러한 부스터형 DC-DC 컨버터 회로는 낮은 직류 입력단 전력원으로부터 태양광 인버터의 출력을 감안한 높은 직류 링크단 전압을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력변환 회로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를 적용하여 구성하여야 하고,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경우, 발전 전력이 매우 낮아서 직접적으로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용 태양광 패널 기준의 전력을 고려하면, 높은 직류단 링크 전압을 바로 전력원에서 출력하는 것은 어려우며, 배터리를 중심으로 회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을 입력으로 하는 ESS(배터리) 연계형 전력변환 장치를(두 개의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각 컨버터는 입력단에 연결된 전력원(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에 따라, 최대 전력추종제어(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출력단에 병렬로 배터리가 연결되어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컨버터가 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에 적용될 수 있지만, 입력 전압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게 변동할 뿐만 아니라, 출력전압이 입력전압 보다 높은 경우가 있으므로, 단순한 벅(Buck) 컨버터로는 배터리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광범위한 입력전압의 범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출력 제어가 가능한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 구조를 가진다.
또한, 배터리 충전 제어를 위해 배터리 내부와 별도의 전류 경로를 사용하고, 이를 위해 두 개의 전력변환기를 교차 배선하여 배터리 충전 전류를 공유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최대 충전 전류를 함께 제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 방법은 기존의 전력제어 방식과 달리, 이 제안된 전력변환 회로에서는 각 개별 전력원이 상이하고, 그 특성도 다르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부하 전력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입력 전력원의 즉, 컨버터에 연결된 전력원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상호 관계에 따라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벅(buck) 모드로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배터리가 방전상태에서는 각 입력 전력의 최대 점을 제어하는 MPPT 제어를 수행하고, 배터리가 충전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전압 상태에서 따라서 정전류 제어 모드와 정전압 제어 모드를 적용한다. 즉, 전력원의 입력 상태와 배터리의 상태 및 부하 전류의 상태에 따라서 제어 모드를 상시적으로 변동하면서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변환기에 적절한 전력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압전소자에 의한 전력의 발생이 미미하므로 발생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발생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승압컨버팅방식과 이의 적절한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하는 전력을 최대화하고, 발생한 전력의 변환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력변환방식과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부하에 사용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하기도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의 벅-부스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의 추가적인 DC-AC 컨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태양광 패널과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전압-전류 특성(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과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과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체 제어 블록도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의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입력 전원으로 태양광 패널(PV Panel)과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로 구성되며, 출력단은 배터리가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배터리와 DC-AC 컨버터가 연결되어 모선(grid power)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력변환 장치는 DC-DC 컨버터로 만들며,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제어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력변환기는 몇 가지 방식의 연계로 구성하고, 각 구성에 따른 장단점을 고려하여 만든다.
구체적으로는, 각 구성에 따른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배터리 충전회로가 없는 대신에, 각 개별 입력에 각각의 컨버터로 구성하여, 각 입력 전원에 가장 적합한 제어 방식이 만들어지는 구조이다.
먼저,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부스터형 DC-DC 컨버터 회로는 낮은 직류 입력단 전력원으로부터 태양광 인버터의 출력을 감안한 높은 직류 링크단 전압을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력변환 회로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를 적용하여 구성하여야 하고,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경우, 발전 전력이 매우 낮아서 직접적으로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용 태양광 패널 기준의 전력을 고려하면, 높은 직류단 링크 전압을 바로 전력원에서 출력하는 것은 어려우며, 배터리를 중심으로 회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을 입력으로 하는 ESS(배터리) 연계형 전력변환 장치를(두 개의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각 컨버터는 입력단에 연결된 전력원(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에 따라, 최대 전력추종제어(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출력단에 병렬로 배터리가 연결되어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각 컨버터의 구조는 동일하게 구성하되, 입력단의 전력원에 따라서 각 개별 컨버터가 서로 다른 제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서 전력원을 식별하여 제어하는 하드웨어 및 펌웨어를 구현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입력전력 및 출력전력을 모니터링 하도록 RS-485 통신을 구성한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컨버터가 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에 적용될 수 있지만, 입력 전압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게 변동할 뿐만 아니라, 출력전압이 입력전압 보다 높은 경우가 있으므로, 단순한 벅(Buck) 컨버터로는 배터리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광범위한 입력전압의 범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출력 제어가 가능한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에 연계하여 제어 방식을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서 MPPT 제어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모드를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아울러, 배터리 충전 제어를 위해 배터리 내부와 별도의 전류 경로를 사용하고, 이를 위해 두 개의 전력변환기를 교차 배선하여 배터리 충전 전류를 공유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최대 충전 전류를 함께 제한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기존의 전력제어 방식과 달리, 제안된 전력변환 회로에서는 각 개별 전력원이 상이하고, 그 특성도 다르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부하 전력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과 태양광 패널 모듈의 각 특성곡선으로부터 최대 전력 추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전압과 전류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각 전압-전류 특성곡선에서 전압의 최고점까지는 출력전류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전압이 감소하는 지점에서는 출력전류의 크기를 감소시켜 최대 전력점을 유지하는 제어 방식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서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력의 변화를 순시적으로 판단하여 출력전류의 최대값을 변경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은 배터리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우 적합하지만, 배터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ESS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어 방식이 구현되도록 한다. 충전상태와 방전상태에 따라서 배터리의 전압 변동이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상태를 관측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압을 고려하여 정전류 제어(급속충전) 및 정전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전모드에서는 최대 방전점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지만, 충전모드에서는 배터리에 충전을 위한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기는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과 태양광 입력에 각 개별로 구성된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구조를 나타낸다. 즉, 먼저 별도의 배터리 충전회로가 없는 대신에, 각 개별 입력에 컨버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광범위한 입력전압의 범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출력 제어가 가능한 벅-부스트 구조를 가진다.
이에 더하여, 출력은 병렬로 배터리에 연결하여 발전된 에너지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배터리 충전 제어를 위해 배터리 내부와 별도의 전류 경로를 사용하고, 이를 위해 두 개의 전력변환기를 교차 배선하여 배터리 충전 전류를 공유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최대 충전 전류를 함께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구성은 크게, 제 1 벅-부스트 컨버터(101)와 제 2 벅-부스트 컨버터(!02) 및 배터리(103)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DC-AC 컨버터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벅-부스트 컨버터(101)는 제 1 직류전원 모듈에 즉,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에 연결되어, 입력전압과 해당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한다. 그리고,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은 발전 전력이 설정 전력보다 임계값만큼 이하로 낮은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이고, 이러한 유형인 경우에 사용한다.
상기 제 2 벅-부스트 컨버터(102)는 상기 모듈과 상이한 제 2 직류전원 모듈에 즉, 태양광 패널 모듈에 연결되어, 마찬가지로 입력전압과 해당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한다 그리고,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는,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은 설정 링크 전압보다 임계값만큼 높은 직류단 링크 전압을 출력하는 태양광 패널 모듈 등의 유형이다.
상기 배터리(103)는 상기 제 1 벅-부스트 컨버터와 상기 제 2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되어, 각 충전 제어용 전원에 의한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배터리장치의 내부 상태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벅-부스트 컨버터(101)와 상기 제 2 벅-부스트 컨버터(102)는 일실시예에 따라 각기 아래와 같다(단방향 방식).
즉, 크게는 제 1 MOSFET와 제 1 다이오드, 인덕터, 제 2 다이오드, 제 2 MOSFET 및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MOSFET는 해당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벅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MOSFET가 온일 경우에 연동하여 오프하고 상기 제 1 MOSFET가 오프일 경우에 연동하여 온한다.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MOSFET는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부스트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오프와 온에 연동하여 교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모선 측에 연결된다.
그래서, 일실시예는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과 태양광 입력에 각 개별로 구성된 벅-부스트 컨버터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출력은 병렬로 배터리(103)에 연결하여 발전된 에너지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한편, 배터리(103) 충전 제어를 위해 배터리(103) 내부와 별도의 전류 경로를 사용하고, 이를 위해 두 개의 전력변환기(101, 102)를 교차 배선하여 배터리(103) 충전 전류를 공유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배터리(103)의 최대 충전 전류를 함께 제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103) 단독 운전이 아닌 계통 연계 운전일 때, 배터리(103)의 단독 전류의 측정이 불가능하여, 배터리(103)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이 안되고, 병렬 부하 공유만 수행이 가능하기에 이를 반영하여 아래와 같이 만든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03) 충전 제어를 위해 배터리(103) 내부와 별도의 전류 경로를 사용한다. 단, 부하 전류를 감지하지 않아, 부하 전류(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1
)을 공유할 수 없지만, 배터리(103) 충ㅇ방전 전류(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2
)은 제안된 전류 경로를 따르며, 각각의 전력변환기(101, 102)에서 이를 측정이 가능하다. 배터리(103) 충전 전류를 공유하려면, 도면과 같이, 두 개의 전력변환기(101, 102)를 교차 배선해야 한다. 또한, 전력변환기(101, 102) 단일로 사용할 때는 단자 S(-)와 V(-)를 연결하여 즉, 배터리(103) 출력전압과 변환기(101, 102)의 출력전압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지된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3
으로 각 전력변환기(101, 102)는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배터리(103)의 최대 충전 전류를 함께 제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의 벅-부스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벅-부스트 동작은 각 변환기의 입력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으면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전압을 승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은면 벅 모드로 동작하여 전압을 감압시켜서 배터리 충전 제어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벅 모드일 경우는 제 1 MOSFET를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며, 부스트 모드일 경우에는 제 2 MOSFET를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벅-부스트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력변환기의 DC-AC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DC-AC 컨버터는 먼저, 배터리충전 및 부하 공유 기능을 담당하지만, 전력변환기의 출력 전원은 DC전원이므로 AC전원을 사용하는 계통에 연계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DC-AC 컨버터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컨버터는 계통 연계를 위한 최대 전력변환기이며, 태양광 그리고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개선된 최대 전력변환기를 통해 DC-DC 전력변환을 한 후, DC-AC 컨버터를 통해 계통 연계를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DC-AC컨버터의 회로는 제어기가 예를 들어, TMS320F28065를 사용하며, 지능형 전력 모듈(IPM)소자는 PM75B6L1C060으로, 풀 브릿지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며, 동시에 2채널 브레이크(2ch Brake) 회로도 포함하는 소자인 것이다. 그리고, DC-AC 컨버터의 출력과 입력측은 전류 센서를 통해 전류 감지를 하며, 출력 전원의 전압은 계측용 트랜스포머를 통해 측정하도록 한다.
도 5와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태양광 패널과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전압-전류 특성(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태양광 패널의 전압-전류 특성곡선이고, 도 6은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전압-전류 특성곡선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과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전압-전류 특성은 각 특성곡선으로부터 최대 전력 추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전압과 전류 특성을 결정한다. 각 전압-전류 특성곡선에서 전압의 최고점까지는 출력전류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전압이 감소하는 지점에서는 출력전류의 크기를 감소시켜 최대 전력점을 유지하는 제어 방식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서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력의 변화를 순시적으로 판단하여 출력전류의 최대값을 변경한다.
도 7과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배터리의 충/방전 곡선을 나타내며, 도 8은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른 제어 모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은 충전상태와 방전상태에 따라서 배터리의 전압 변동이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상태를 관측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압을 고려하여 정전류 제어(급속충전) 및 정전압 제어를 수행한다. 도 7과 같이, 방전모드에서는 최대 방전점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지만, 충전모드에서는 배터리에 충전을 위한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배터리가 충전상태일 때 완전충전의 90%까지는 설정 정전류 제어 모드를 수행하고, 그 이상에서는 최대 전압을 제한하여 설정 정전압 제어 모드를 통해서 배터리에 과충전으로 인한 수명 단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압전 하베스팅 모듈 및 태양광을 적용한 배터리 제어 장치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제어 방식은 먼저, 도 9와 같은 각 제어 모드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 곡선을 중심으로 각 입력 전력원의 입력전압(붉은색 점선)과의 상호 관계에 따라 동작한다. 즉, 입력 전압이 높은 경우에는 벅(buck) 모드로 입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한다. 배터리가 방전상태에서는 각 입력 전력의 최대 점을 제어하는 MPPT 제어가 수행되고, 배터리가 충전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전압 상태에서 따라서 정전류 제어 모드와 정전압 제어 모드가 적용된다. 제안된 제어 방식은 전력원의 입력 상태와 배터리의 상태 및 부하 전류의 상태에 따라서 제어 모드를 상시적으로 변동하면서 제어한다.
도 10과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적용한 전체 제어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이러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11은 이 제어 블록도의 전류-전압 제어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제어 블록도는 입력단의 MPPT 곡선과 배터리의 상태 모니터링이 제어기에 내장하도록 한다. 그래서, 도 10과 같은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전력제어 방법은 먼저 전술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로 전력변환을 할 경우, 전력 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변환기의 전력변환 동작을 모선(grid power)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여, 모선별로 각기 전력변환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변환기는 제 1 직류전원 모듈과 연결된 제 1 벅-부스트 컨버터와, 상기 모듈과 상이한 제 2 직류전원 모듈에 연결된 제 2 벅-부스트 컨버터 및 상기 제 1, 2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력변환을 할 경우, 제 1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하고(S1201),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한다(S1206).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S1202)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하고(S1203),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S1204),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충전을 수행한다(S1205).
그리고,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S1207)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하고(S1208),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S1209),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한다(S1205).
다음,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과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충전 제어용 전원에 의해 가변하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를 확인한다(S121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방전상태인 경우에 각 입력 전력의 최대 점을 제어하는 MPPT 제어를 수행한다(S1211).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충전상태인 경우에는 완전충전의 설정값까지는 예를 들어, 90%까지는 정전류 제어 모드를 수행하고, 완전충전의 설정값보다 이상에서는 최대 전압을 제한하여 정전압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S1212).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먼저 전술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로 전력변환을 할 경우, 전력 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변환기의 전력변환 동작을 모선(grid power)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여, 모선별로 각기 전력변환을 제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 전력원의 즉, 컨버터에 연결된 전력원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상호 관계에 따라 입력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 입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부스트 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배터리가 방전상태에서는 각 입력 전력의 최대 점을 제어하는 MPPT 제어를 수행하고, 배터리가 충전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전압 상태에서 따라서 정전류 제어 모드와 정전압 제어 모드를 적용한다. 즉, 전력원의 입력 상태와 배터리의 상태 및 부하 전류의 상태에 따라서 제어 모드를 상시적으로 변동하면서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변환기에 적절한 전력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일실시예는 압전소자에 의한 전력의 발생이 미미하므로 발생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발생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승압컨버팅방식과 이에 대한 적절한 전력제어 방식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하는 전력을 최대화하고, 발생한 전력의 변환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력변환방식과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부하에 사용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전력제어 방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에 적용한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다양한 환경의 적용을 위해, 전술한 단방향으로 구성되었던 DC-DC 컨버터를 4-switch 양방향 DC-DC 컨버터로 보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단방향 벅-부스트(Buck-Boost)의 출력 전압은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4
인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된다(도 3 참조). 하지만 이 다이오드로 인해 입력단자와 출력 단자가 정해져 있으며, 이는 적용하기 위한 환경이 제한적이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불편하다. 이러한 이유로 단방향 DC-DC컨버터의 다이오드를 스위칭 소자로 대체한 양방향 DC-DC컨버터로 개선한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은 단방향 컨버터에서 다이오드를 스위칭 소자로 변경한 회로이며, 기본 동작원리는 단방향 구성과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계측한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류의 정보로 4-switch의 턴-온/오프(Turn-on/off) 시간을 조절하여, MPPT 제어가 용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구성은 단방향의 구조와 동일하고, 단지 전술한 다이오드를 MOSFET로 보완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 벅-부스트 컨버터와 상기 제 2 벅-부스트 컨버터는 각기 아래와 같다.
먼저, 해당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벅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는 제 1 MOSFET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MOSFET가 온일 경우에 연동하여 오프하고 상기 제 1 MOSFET가 오프일 경우에 연동하여 온하는 제 2 MOSFET를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인덕터와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된 제 3 MOSFET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부스트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상기 제 2 MOSFET의 오프와 온에 연동하여 교대로 반복하는 제 4 MOSFET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MOSFET의 소스 단자와 모선 측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도 14 내지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와 도 15는 이러한 배터리 충전 모드에서의 실험결과이고, 도 16은 태양광 단독 발전 시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도 17은 압전 하베스팅 모듈 단독 발전 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리고, 도 18은 다수개로 발전할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결과는 먼저, 배터리 충전 모드에서의 실험결과는 배터리 충전 시, 배터리 보호를 위한 정전류 제어모드와 정전압 제어모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도 14와 도 15 참조).
그리고, 도 16과 같이, 태양광 단독 발전 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류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5
는 배터리도 충전되는 전류를 나타내며,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6
는 1[A]로 정전류 제어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압전 하베스팅 모듈 단독 발전 시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이러한 경우에 압전 하베스팅 모듈의 전압에 따라,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7
가 가변되어 MPPT제어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틀어서, 태양광 및 압전에너지의 발전 전압이 DC-DC컨버터의 출력전압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8
보다 작으면 Boost 컨버터 모드를, 이와 반대일 경우 Buck 컨버터 모드를 행하고 있는 것을 각 듀티비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09
Figure PCTKR2023014859-appb-img-000010
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 도 18에서와 같이, 태양광 및 압전 하베스팅 모듈 연계 발전 시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이때, 각 발전 전압이 가변할 때 마다, 출력 전류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결과들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101 : 제 1 벅-부스트 컨버터
102 : 제 2 벅-부스트 컨버터
103 : 배터리

Claims (4)

  1.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에 의해 전력변환을 할 경우, 전력 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변환 동작을 다수의 상이한 모선(grid power)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여 수행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는,
    제 1 직류전원 모듈과 연결된 제 1 벅-부스트 컨버터와, 제 2 직류전원 모듈에 연결된 제 2 벅-부스트 컨버터 및 상기 제 1, 2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벅-부스트 컨버터는,
    각기 입력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벅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는 제 1 MOSFET,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MOSFET가 온, 오프일 경우에 연동하여 오프, 온하는 제 1 다이오드,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 2 다이오드,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부스트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오프와 온에 연동하여 교대로 반복하는 제 2 MOSFET;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모선 측에 연결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 동작을 제어할 경우,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하고,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하고,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과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충전 제어용 전원에 의해 가변하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방전상태인 경우에 각 충전 제어용 전원에 의한 입력 전력의 최대 점을 제어하는 최대 전력추종제어(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를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충전상태인 경우에는 완전충전의 설정값까지는 설정 정전류 제어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완전충전의 설정값보다 이상에서는 최대 전압을 제한하여 설정 정전압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2.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에 의해 전력변환을 할 경우, 전력 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변환 동작을 다수의 상이한 모선(grid power)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여 수행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는,
    제 1 직류전원 모듈과 연결된 제 1 벅-부스트 컨버터와, 제 2 직류전원 모듈에 연결된 제 2 벅-부스트 컨버터 및 상기 제 1, 2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벅-부스트 컨버터는,
    각기 입력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벅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는 제 1 MOSFET,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MOSFET가 온, 오프일 경우에 연동하여 오프, 온하는 제 2 MOSFET, 상기 제 1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된 제 3 MOSFET,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부스트 모드일 경우에 온과 오프를 상기 제 2 MOSFET의 오프와 온에 연동하여 교대로 반복하는 제 4 MOSFET 및, 상기 제 3 MOSFET의 소스 단자와 모선 측에 연결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 동작을 제어할 경우,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하고,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모드로서 승압하고, 높은 경우에는 벅 모드로서 감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제어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과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의 충전 제어용 전원에 의해 가변하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방전상태인 경우에 각 충전 제어용 전원에 의한 입력 전력의 최대 점을 제어하는 최대 전력추종제어(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를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충전상태인 경우에는 완전충전의 설정값까지는 설정 정전류 제어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완전충전의 설정값보다 이상에서는 최대 전압을 제한하여 설정 정전압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후에,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 직류전원을 발생한 경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DC-AC 컨버터로부터 상기 충전 직류전원을 교류 계통의 부하 구동전원에 따라 상이하게 교류전원으로 변환함으로써, 교류 계통과 연계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AC 컨버터는,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2 직류전원 컨버터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 직류전원을 풀 브릿지 스위칭 회로를 통해 교류로 변환하고, 출력과 입력측은 전류 센서로 전류 감지를 하며, 출력 전원의 전압은 계측용 트랜스포머를 통해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류전원 모듈은,
    발전 전력이 설정 전력보다 임계값만큼 이하로 낮은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이고,
    상기 제 2 직류전원 모듈은,
    설정 링크 전압보다 임계값만큼 높은 직류단 링크 전압을 출력하는 태양광 패널 모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PCT/KR2023/014859 2022-09-29 2023-09-26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WO20240720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69A KR20240044626A (ko) 2022-09-29 2022-09-29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KR10-2022-0123869 2022-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2014A1 true WO2024072014A1 (ko) 2024-04-04

Family

ID=9047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859 WO2024072014A1 (ko) 2022-09-29 2023-09-26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26A (ko)
WO (1) WO20240720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6100A1 (en) * 2008-08-04 2010-02-04 Teggatz Ross E Multile Input Channel Power Control Circuit
JP2020077131A (ja) * 2018-11-06 2020-05-21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制御方法
US20200389022A1 (en) * 2006-12-06 2020-12-10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KR20210093687A (ko) * 2020-01-20 2021-07-2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원의 전력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KR20210106136A (ko) * 2020-02-20 2021-08-30 김동완 스마트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89022A1 (en) * 2006-12-06 2020-12-10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20100026100A1 (en) * 2008-08-04 2010-02-04 Teggatz Ross E Multile Input Channel Power Control Circuit
JP2020077131A (ja) * 2018-11-06 2020-05-21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制御方法
KR20210093687A (ko) * 2020-01-20 2021-07-2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원의 전력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KR20210106136A (ko) * 2020-02-20 2021-08-30 김동완 스마트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26A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8249B2 (en) Hybrid controlling and dr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KR101256077B1 (ko) 전력 제어 시스템 및 전력 제어 방법
WO2017000910A1 (zh) 光伏发电系统及操作其以进行光伏发电的方法
WO2010147420A9 (ko) 직교 섭동 신호를 사용하는 최대 전력 추종기 및 그것의 최대 전력 추종 제어 방법
CN108512430A (zh) 一种zvzcs全桥三端口变换器及其控制方法
WO2023098146A1 (zh) 一种直流转直流dcdc变换器及其控制方法
CN115765445A (zh) 一种高增益变换器及其控制方法
CN110138217B (zh) 一种三端口dc-dc变换器及其控制方法
CN112671016B (zh) 一种基于模块化的移动储能系统
WO2024072014A1 (ko)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의 전력제어 방법
WO2024072016A1 (ko)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 시스템
WO2024072012A1 (ko)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기
AU2020442267A1 (en) Power system
WO2022203484A1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WO2022203475A1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CN113629693B (zh) 一种储能电池直流直接接入系统
WO2024072019A1 (ko) 발전량의 증대를 위한 오토인코더 기반 딥러닝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병렬형 전력변환시스템의 이상징후 감지 방법
CN113544952B (zh) 一种电源系统
CN211830581U (zh) 一种高变比双向直流变换电路
CN207827607U (zh) 交流直流双向转换电路和电梯自动救援操作装置
CN207518281U (zh) 一种双向反激原边集成式的电池储能系统
WO2023277672A1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KR102535198B1 (ko) 태양광발전 ess시스템용 mppt 제어시스템
WO2023277653A1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CN109560702A (zh) 一种融合耦合电感技术的直流三电平升压变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31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