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9188A1 -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9188A1
WO2024049188A1 PCT/KR2023/012859 KR2023012859W WO2024049188A1 WO 2024049188 A1 WO2024049188 A1 WO 2024049188A1 KR 2023012859 W KR2023012859 W KR 2023012859W WO 2024049188 A1 WO2024049188 A1 WO 20240491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arcopenia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muscle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8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현정근
최봉근
심다운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40491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91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having two or more nitro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hydrochlorothiaz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azolothiadiazine compound and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Sarcopenia which is caused by degeneration of spinal nerves, motor nerves, or skeletal muscle fiber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incurable diseases whose cause has not yet been identified.
  • the motor nerves that induce skeletal muscle contraction degenerate and skeletal muscle contraction does not proceed, or the expression of proteins involved in muscle contraction within skeletal muscles is reduced (sarcopenia), or the proteins are modified. It is known that normal skeletal muscle contraction does not proceed, and in the long term, the motor nerves or skeletal muscles are transformed into fibrous tissue.
  • degenerative sarcopenia is defined as an age-related decrease in muscle mass, and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old age.
  • Degenerative sarcopenia occurs in 13-24% of people under 70 years of age, but occurs in more than 50% of people over 80 years of age.
  • Muscle weakness associated with muscle loss causes fatigue, reduced work performance, and risk of fractures such as femur fractures. It is known to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Patients suffering from sarcopenia have skeletal muscle indices below the standard value and experience difficulties in daily life, such as decreased grip strength and walking speed.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while the amount of muscle is clearly lost, body fat tends to increase.
  • Nutritional approaches and exercise training methods are being studied as treatments for sarcopenia. Treatment using protein compounds such as appetite stimulants and testosterone has been proposed, but the treatment effect is not satisfactory. Exercise training is difficult to consider as an appropriate alternative because it is often difficult for elderly people with sarcopenia to even attempt exercise. Pharmaceutical methods to slow the progression of sarcopenia are mainly used to suppress muscular atrophy, a type of sarcopenia, caused by degeneration or progressive mutation of muscle cell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can prevent, treat or improve sarcopenia, in which a triazolothiadiazine compound improves atrophy of root canals formed in myoblasts.
  • the triazolothiadiazine-based compound is provided as a new drug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sarcopeni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a triazole thiadiazin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arcopenia comprising a triazolothiadiazi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o an individual suffering from sarcopenia.
  • the triazolothiadiazine-based compound improves atrophy of root canals formed in myoblasts,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sarcopenia.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staining MYH (Myosin heavy chain) and nuclei by ICC (Immunocytochemistry)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iazole thiadiazi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n the myotube formation process of myoblasts. .
  • Figure 2 shows the myotube area, myotube diameter, and fusion index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iazole thiadiazi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n the myotube formation process of myoblasts. This i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index.
  • the numerical range includes the values defined in the range above. Any maximum numerical limit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ll lower numerical limits as if the lower numerical limit were clearly written. Every minimum numerical limit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every higher numerical limit as if such higher numerical limit were clearly written. All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include all better numerical ranges within the broader numerical range, as if the narrower numerical limits were clearly writte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a triazole thiadiazin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riazolo thiadiazine compound has the IUPAC name 6-methyl-3-[(phenylsulfanyl)methyl]-7H-[1,2,4]triazolo[3,4-b][1,3,4] It is a compound called thiadiazine (6-Methyl-3-[(phenylsulfanyl)methyl]-7H-[1,2,4]triazolo[3,4-b][1,3,4]thiadiazine).
  • the triazolothiadiazi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improve one or more sarcopenia sympto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dy weight loss, skeletal muscle weight loss, grip strength reduction, and muscle protein-related gene expression changes,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 the muscle protein-related genes include genes producing muscle proteins, which are genes encoding MyoD or Myogenin; Alternatively, it may be a gene that destroys a muscle protein, such as a gene encoding Myostatin, Atrogin-1, or MuRF1 (Muscle RING-finger protein-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iazole thiadiazine-based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n improve root canal atrophy.
  • the sarcopenia includes degenerative muscle weakness or muscular dystrophy.
  • the sarcopenia may be degenerative sarcopenia, and refers to a decrease in muscle mass of skeletal muscles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muscle fibers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aging.
  • the muscular atrophy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muscles atrophy. Specifically, it is a disease in which the muscles of the extremities gradually atrophy almost symmetrically, and may includ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or spinal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consists of sodium salt, potassium salt, calcium salt, lithium salt, magnesium salt, cesium salt, aminium salt, ammonium salt, triethylaminium salt, and pyridinium salt. It may be one or more basic salts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include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uric acid, sulfurous acid, phosphor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glucolic acid, m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camphorsulfonic acid, oxalic acid, and malonic acid.
  • glutaric acid, acetic acid, glyco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4-toluenesulfonic acid, galacturonic acid, embonic acid, glutamic acid, citric acid, and aspartic acid It is not limit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unit dose form by formulating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by placing it in a multi-dose container. there is.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those commonly used in prepar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 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etc.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etc.
  • the content of additive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the content range used in conventional formulations.
  • compositions include injectable formulation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and emulsions, pills, capsules, granules, tablets, creams, gels, patches, sprays, ointments, warning agents, lotions, liniment agents, paste agents, and cataplasmase agents.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one or more external prepar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diluents for formulation.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diluents include excipients such as starch, sugar, and mannitol, fillers and extenders such as calcium phosphate,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carboxy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gelatin, alginate, and polyvinyl pyrrolidone.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binders such as copper, lubricants such as talc, calcium stearate, hydrogenated castor oil and polyethylene glycol, disintegrants such as povidone and crospovidone, and surfactants such as polysorbate, cetyl alcohol, glycerol, etc.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diluent may be biologically and physiologically friendly to the subject. Examples of dilu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aline, aqueous buffers, solvents, and/or dispersion media.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depending on the desired method.
  •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 it can be formulated as tablets, troches, lozenges, aqueous suspensions, oily suspensions, powders, granules, emulsions, hard capsules, soft capsules, syrups, elixirs, etc.
  •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can be formulated as an injection, suppository, powder for respiratory inhalation, aerosol for spray, ointment, powder for application, oil, cream, etc.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patient's condition and weight, age, gender, health, dietary constitution specificity, nature of the preparation, degree of disease, administration time of the composition,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period or interval, excretion rate, and The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drug form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may range from about 0.1 to 10,000 mg/kg, but is not limited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or in divided doses several times a d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eg,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pplied) depending on the desired method.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effectiv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time, and/or administration rout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desired treatment. Effective dosage can be easily determined and prescrib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arcopenia comprising a triazolothiadiazi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lly used with commonly used food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with functionality useful to the huma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and “functional” refers to food tha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It means ingestio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nutrients or obtaining useful health effects such as physiological effect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mmon food additives, and its suitability as a “food additive”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provisions and general test methods of the food additive code approv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decision is made based on the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for the item.
  • Items lis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 include,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potass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subchromic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high-liquid pigment, and guar gum; Examples include mixed preparations such as sodium L-glutamate preparations, noodle additive alkaline preparations, preservative preparations, and tar coloring preparation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etc.
  • hard capsules can be manufactured by mixing and fill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in ordinary hard capsules
  • soft capsules can be manufactured by mixing and fill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manufactured by mixing with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and filling it with a capsule base such as gelatin.
  • the soft capsule may contain plasticizers such as glycerin or sorbitol, colorants, preservatives, etc., if necessary.
  •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ons that inhibit or delay sarcopenia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changes sarcopenia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improvement” refers to all actions that improve the bad condition of sarcopenia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o an individual suffering from sarcopenia.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is an amount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a disease, such as the amount of the composition administered to the subject to be treated, preventing recurrence, alleviating symptoms, inhibiting direct or indirect pathological results, It may include any amount of the composition that prevents metastasis, reduces the rate of progression, alleviates or temporarily alleviates the condition, or improves the prognosis.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FBS Fetal Bovine Serum
  • penicillin/streptomycin penicillin/streptomycin
  • a 96-well plate was coated with 0.1% gelatin solution.
  • C2C12 cells, a 4th passage mouse myoblast cell line, at a density of 50-60% were collected using trypsin, and 5000 cells were spread on a 96-well plate coated with gelatin along with growth medium.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differentiation medium, and cultured for 48 hours to induce myotube formation. Afterwards, the negative control and test groups were treated with 150 ⁇ M of dexamethasone to induce atrophy of the root canals.
  • test group was treated with a thiadiazine-based compound with triazole represented by Formula 1 at a concentration of 6.25 to 50 ⁇ M,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C+) and negative control group (C-) were treated with 0.1% DMSO.
  • MYH Myosin heavy chain
  • nuclei were stained using the ICC (Immunocytochemistry) method, and myotube area, myotube diameter, and fusion index were evaluated.
  • Myotube area( MA, ⁇ m 2 ) MA average S.D. T-TEST C+ 260868 4026.4 0.00 C- 222842 2908.6 1.00 6.25 ⁇ M 257285 38190.9 0.17 12. 5 ⁇ M 253762 18335.2 0.04 25 ⁇ M 264631 19868.2 0.02 50 ⁇ M 257605 13437.5 0.01
  • Myotube diameter( MD, ⁇ m ) MD average S.D. T-TEST C+ 23 0.67 C- 15 1.00 0.00 6.25 ⁇ M 18 1.63 0.02 12. 5 ⁇ M 19 1.00 0.00 25 ⁇ M 19 1.16 0.00 50 ⁇ M 17 0.33 0.0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근아세포에서 형성된 근관의 위축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척수신경, 운동신경 또는 골격근 섬유의 퇴행에 의해 유발되는 근감소증은 아직까지 발병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골격근의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신경이 퇴행되어 골격근의 수축이 진행되지 않거나 또는 골격근 내에서 근육의 수축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거나(근감소증) 상기 단백질이 변형되어 정상적인 골격근의 수축이 진행되지 않으며, 장기적으로는 상기 운동신경 또는 골격근이 섬유성 조직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감소증 중에서 퇴행성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화와 관련한 근육량의 감소로 정의되며, 노년기에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 퇴행성 근감소증은 70세 이하의 사람들에게서 13~24%로 나타나나, 80세 이상에서는 50% 이상으로 발병하며, 근육감소와 연관된 근력저하는 피곤함, 작업수행능력의 감소, 대퇴골 골절과 같은 골절 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감소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골격근 지표가 기준치 이하이면서, 악력이나 보행속도가 떨어지는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 체성분상 근육의 양이 뚜렷하게 손실되는 반면, 체지방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근감소증에 대한 치료법은 영양 접근법, 운동 훈련법이 연구되고 있다. 식욕자극제 및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단백질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가 제시되고 있으나, 그 치료 효과는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다. 운동 훈련법은 근감소증이 진행되고 있는 노인은 운동을 시도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한 대안으로 보기 어렵다. 약제학적으로 근감소증의 진행을 둔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주로 근감소증의 일종인 근육세포의 퇴행 또는 진행성 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근감소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근아세포에서 형성된 근관의 위축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을 근감소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새로운 약제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2859-appb-img-0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근감소증이 발병된 개체에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근아세포에서 형성된 근관의 위축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근아세포의 근관(myotube) 형성 과정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CC(Immunocytochemistry)로 MYH(Myosin heavy chain) 및 핵을 염색한 결과이다.
도 2는 근아세포의 근관(myotube) 형성 과정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근관 영역(myotube area), 근관 직경(myotube diameter) 및 융합 지수(fusion index)를 평가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2859-appb-img-000002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은 IUPAC명이 6-메틸-3-[(페닐설파닐)메틸]-7H-[1,2,4]트리아졸로[3,4-b][1,3,4]티아디아진(6-Methyl-3-[(phenylsulfanyl)methyl]-7H-[1,2,4]triazolo[3,4-b][1,3,4]thiadiazine)인 화합물이다.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체중 감소, 골격근 중량 감소, 악력 감소 및 근육 단백질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감소증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근육 단백질 관련 유전자는 마이오디(MyoD) 또는 마이오제닌(Myogenin)을 코딩하는 유전자인 근육 단백질을 생성하는 유전자; 또는 마이오스타틴(Myostatin), 아트로진-1(Atrogin-1) 또는 MuRF1(Muscle RING-finger protein-1)을 코딩하는 유전자인 근육 단백질을 파괴하는 유전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근관 위축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근감소증은 퇴행성 근력 약화 또는 근위축증을 포함한다. 상기 근감소증은 퇴행성 근감소증(Sarcopenia)일 수 있으며, 노화 등의 다양한 이유로 근육 섬유의 수 및 단면적의 감소로 인한 골격근의 근육량 감소를 의미한다. 상기 근위축증은 근육이 위축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사지의 근육이 거의 좌우대칭적으로 점점 위축되어 가는 질환으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또는 척수성진행성 근위축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세슘염, 아미늄(aminium)염, 암모늄염, 트리에칠아미늄염 및 피리디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기성 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구연산, 초산,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캠퍼설폰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릭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및 아스파르탄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성 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정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일 경우,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엘릭시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일 경우,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 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내,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근감소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근감소증을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근감소증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근감소증이 발병된 개체에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병의 치료에 유효한 양으로, 예컨대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으로, 재발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해시키거나, 전이를 예방하거나,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조성물의 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근관세포의 분화 활성 효과 확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의 근감소증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근아세포의 근관(myotube) 형성 과정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및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성장배지(Growth medium)로 사용하고,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및 2% NHS(Normal Horse Serum)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분화배지(Differentiation medium)로 사용하였다. 0.1% 젤라틴 용액으로 96 웰 플레이트에 코팅하였다. 50~60% 밀도의 4 계대 마우스 근아세포주인 C2C12 세포를 트립신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젤라틴으로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에 성장 배지와 함께 5000개의 세포를 깔아주었다.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지를 분화 배지로 교체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근관(myotube)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후, 음성 대조군 및 시험군에는 덱사메사손(dexamethasone) 150μM을 처리하여 근관의 위축을 유도하였다. 24시간 후, 시험군에는 6.25~50μM 농도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을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C+) 및 음성 대조군(C-)에는 0.1% DMSO를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ICC(Immunocytochemistry) 방법을 통해 MYH(Myosin heavy chain) 및 핵을 염색하고, 근관 영역(myotube area), 근관 직경(myotube diameter) 및 융합 지수(fusion index)를 평가하였다.
도 1~2 및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에서는 근관(myotube)이 형성된 세포에 덱사메사손(dexamethasone)을 처리하자 근관이 위축되고, 관의 직경이 감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을 처리하는 경우,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근관 위축 현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는 덱사메사손(dexamethasone)에 의해 유도되는 근관에서의 근감소 현상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개선시키는 것을 입증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이 근감소증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Myotube area(=MA, μm 2 )
MA 평균 S.D T-TEST
C+ 260868 4026.4 0.00
C- 222842 2908.6 1.00
6.25μM 257285 38190.9 0.17
12. 5μM 253762 18335.2 0.04
25μM 264631 19868.2 0.02
50μM 257605 13437.5 0.01
Fusion index(= FI )
FI 평균 S.D T-TEST
C+ 27 0.8 0.00
C- 24 1.1 1.00
6.25μM 28 0.8 0.00
12. 5μM 27 2.5 0.12
25μM 27 1.5 0.03
50μM 26 1.3 0.08
Myotube diameter(=MD, μm )
MD 평균 S.D T-TEST
C+ 23 0.67
C- 15 1.00 0.00
6.25μM 18 1.63 0.02
12. 5μM 19 1.00 0.00
25μM 19 1.16 0.00
50μM 17 0.33 0.01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2859-appb-img-000003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체중 감소, 골격근 중량 감소, 악력 감소 및 근육 단백질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감소증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근육 단백질 관련 유전자는 마이오디(MyoD) 또는 마이오제닌(Myogenin)을 코딩하는 유전자인 근육 단백질을 생성하는 유전자; 또는 마이오스타틴(Myostatin), 아트로진-1(Atrogin-1) 또는 MuRF1(Muscle RING-finger protein-1)을 코딩하는 유전자인 근육 단백질을 파괴하는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근관 위축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퇴행성 근력 약화 또는 근위축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2859-appb-img-000004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근감소증이 발병된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방법.
PCT/KR2023/012859 2022-09-02 2023-08-30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91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26A KR20240032299A (ko) 2022-09-02 2022-09-02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2-0111126 2022-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9188A1 true WO2024049188A1 (ko) 2024-03-07

Family

ID=9009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859 WO2024049188A1 (ko) 2022-09-02 2023-08-30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2299A (ko)
WO (1) WO20240491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8805A1 (en) * 2016-03-11 2017-09-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Inhibitors of udp-galactopyranose mutase
US20200339602A1 (en) * 2015-01-15 2020-10-29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6-aryl-7-substituted-3-(1H-pyrazol-5-yl)-7H-[1,2,4]triazolo[3,4-b][1,3,4]thiadiazines as Inhibitors of the STAT3 Pathway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KR20210071245A (ko) * 2019-12-06 2021-06-16 광주과학기술원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21257020A1 (en) * 2020-06-17 2021-12-23 Anadolu Üni̇versi̇tesi̇ Targeted novel triazolothiadi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lung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985B1 (ko) 2018-10-23 2019-02-01 한국식품연구원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39602A1 (en) * 2015-01-15 2020-10-29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6-aryl-7-substituted-3-(1H-pyrazol-5-yl)-7H-[1,2,4]triazolo[3,4-b][1,3,4]thiadiazines as Inhibitors of the STAT3 Pathway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US20170258805A1 (en) * 2016-03-11 2017-09-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Inhibitors of udp-galactopyranose mutase
KR20210071245A (ko) * 2019-12-06 2021-06-16 광주과학기술원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21257020A1 (en) * 2020-06-17 2021-12-23 Anadolu Üni̇versi̇tesi̇ Targeted novel triazolothiadi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lung canc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TABASE registry 14 July 2006 (2006-07-14), ANONYMOUS : " 7H-1,2,4-Triazolo[3,4-b][1,3,4]thiadiazine, 6-methyl-3-[(phenylthio)methyl]- (CA INDEX NAME)", XP093143287, retrieved from STNext Database accession no. 892690-2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299A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580B2 (en) Use of extracts of Ginkgo biloba for preparing a medicament intended to treat sarcopenia
WO2018043864A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홀잡펠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048072A1 (ko)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근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WO2024049188A1 (ko) 트리아졸로 티아디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9191A1 (ko) 퓨릴티아졸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5665A (ko) 4,5-이치환된-1,2,4-트리아졸-3-티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08052A2 (ko) 콜포신 다로페이트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12200A (ko) 6-메톡시니코틴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68747A1 (ko) 레복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69226A1 (ko) 로나파르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69230A1 (ko) 6-메톡시니코틴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1394A (ko) 신규 이미다졸로벤조다이아제핀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1396A (ko) 신규 피페라지닐벤조니트릴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1390A (ko) 신규 페닐인덴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0726A (ko) 퀴놀리논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1393A (ko) 신규 다이벤조퓨란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1607A (ko) 트리아졸로피리딘온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U620560B2 (en) Use of a compound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and depression
KR20240001391A (ko) 신규 사이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1608A (ko) 퓨로크로멘온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40032301A (ko) 티아졸 카르복시미다마아드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08674A1 (ko) 마크로락틴 에이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관신생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40001395A (ko) 신규 트리아졸로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0725A (ko) 설포닐피페라지닐 피롤리디논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2302A (ko) 피라졸릴모르폴린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08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