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4885A1 -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4885A1
WO2024014885A1 PCT/KR2023/009985 KR2023009985W WO2024014885A1 WO 2024014885 A1 WO2024014885 A1 WO 2024014885A1 KR 2023009985 W KR2023009985 W KR 2023009985W WO 2024014885 A1 WO2024014885 A1 WO 20240148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rin
methylbenzylidene
hydrazinyl
morpholino
morph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9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선영
송효정
장규식
장민환
김민경
정일지
임종하
유지수
전우진
송윤성
윤홍철
박준태
이정우
안경미
박동식
김다솔
임원빈
은소영
민병걸
이홍재
김은정
박억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
주식회사 아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6700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09324A/ko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 주식회사 아보메드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
Publication of WO20240148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48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bicyclic heteroaryl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compounds and uses of the compounds.
  • Phosphatidylinositol a phosphorylated derivative of phosphatidylinositol, regulates cell and organelle scaffolding, membrane transport, and secondary signal transduction by recruiting protein complexes to the cell's lipid membrane.
  • the degree and location of phosphorylation of the inositol ring is regulated by various phosphorylation and dephosphorylation enzymes.
  • PIKfyve protein is a Kinase that phosphorylates phosphatidylinositol 3-phosphate (PI3P) and phosphatidylinositol (PI), respectively, into phosphatidylinositol 3,5-bisphosphate (PI(3,5)P2) and phosphatidylinositol 5-phosphate ( PI5P) is generated.
  • PI3P phosphatidylinositol 3-phosphate
  • PI phosphatidylinositol
  • PI5P phosphatidylinositol 5-phosphate
  • Phosphatidylinositol 3,5-bisphosphate (PI(3,5)P2) produced by PIKfyve regulates the division, fusion, and maturation of endosomes that maintain cell inner membrane homeostasis. Therefore, when the function of PIKfyve is inhibited, endosome expansion and cytoplasmic vacuolization occur due to abnormality of endosomal function inside the cell. Endosomes mature into endolysosomes/lysosomes and fuse with autophagosomes to promote autophagy degradation. When the function of PIKfyve is inhibited, autophagy degradation is also inhibited.
  • PI(3,5)P2 directly binds to ion channel proteins located in endosomes or lysosomes and activates their functions, and the endosome expansion and cytoplasmic vacuolization induced by PIKfyve inhibitors are caused by PI(3,5)P2. It is reversibly alleviated when supplemented or when ion channel proteins are activated.
  • Phosphatidylinositol 5-phosphate is produced by direct phosphorylation of PI by PIKfyve, or by dephosphorylation of PI(3,5)P2 or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4,5)P2). is created.
  • PI5P acts as a secondary signaling substance in endosomes and nuclear membranes, or interacts with external virulence factors in the cell membrane and regulates endosomal entry.
  • AMPK AMP-activated kinase
  •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such as Apilimod, APY0201, and YM201636 have been reported as inhibitors of PIKfyve.
  • Apilimod was first reported as an inhibitor of interleukin-12 and -23 (Interleukin, IL-12, and IL-23), which are inflammatory cytokines. It has been confirmed and evaluated for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such as Crohn's disease, rheumatoid arthritis, and psoriasis. Because PIKfyve regulates the expression of IL12/23p40, a common subunit of IL-12 and IL-23, inhibiting IL-12 and IL-23 production through PIKfyve inhibitors can prevent inflammation and autoimmune diseas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reatment is possible.
  • PIKfyve has also been reported as a pharmacological target in various carcinomas. PIKfyve inhibition induces interference with nutrient regeneration through autophagy/lysosomes and endosome/lysosome-dependent nutrient absorption pathways in some cancer types, and also induces inactivation of Rac1, a GTPase, which can reduce the invasiveness of cancer cells. . PIKfyve inhibitors induce apoptosis or methuosis cell death in some cancer types, including Non-Hodgkin's lymphoma, multiple myeloma, melanoma, and liver cancer. ), brain tumor (Glioblastoma), and colon cancer (Colorectal adenocarcinoma)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nticancer activity.
  • PI3P a substrate of PIKfyve
  • C90RF72 and C9 ORF72 - a toxic dipeptide made of intronic repeats It can be seen a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treatment for ALS that reduces cytotoxicity by effectively removing repeat-proteins through lysosomal activity.
  • novel PIKfyve inhibitor compounds were synthesiz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se compounds exhibit excellent inhibitory activity as PIKfyve inhibito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SDs lysosomal storage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Kfyve inhibitor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ysosomal storage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LSD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the use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ts optical isom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treating cancer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the use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ts optical isom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the use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ts optical isom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 LSDs lysosomal storage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the use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ts optical isom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eases.
  • halogen refers to a substituent selected from fluorine (F), chloro (Cl), bromo (Br), and iodo (I).
  • C x -C y means having carbon numbers x or more and y or less.
  • substituted refers to a moiety having a substituent that replaces a hydrogen on one or more carbons of the main chain.
  • substitution or “substituted with” refers to a compound that is stable by substitution, e.g., a compound that is not naturally modified by rearrangement, cyclization, elimination, etc., depending on the permissibility of the substituted atom and the substituent. It is defined as including an implicit condition that induces .
  • single bond means that two linked radicals are directly connected. For example, in A-L-Z, if L represents a single bond, this structure actually indicates that it is A-Z.
  • C 1 -C 6 alkyl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hydrocarbon of C 1 -C 6 such as, for example,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butyl, pentyl, hexyl, etc.
  • Preferred alkyl groups contain about 1, 2, 3, 4, 5 or 6 carbon atoms in the chain.
  • Branched chain means that one or more lower alkyl groups, such as methyl, ethyl or propyl, are attached to the linear alkyl chain.
  • “Lower alkyl” means a group having from about 1 to about 6 carbon atoms in the chain, which may be straight or branched.
  • Alkyl may be unsubstituted or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by one or more substituents, whi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Each substituent may be halogen, alkyl, aryl, heteroaryl, cycloalkyl, heterocycloalkyl, cyano, hydroxy, alkoxy, alkylthio, amino, carboxy, etc. Each of these substituents may follow any definition for each substituent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 C 1 -C 6 haloalkyl refers to a C 1 -C 6 straight or branched chain saturated hydrocarbon in which at least one hydrogen is replaced with a halogen atom (i.e., F, Cl, Br, or I). It refers to a C 1 -C 6 straight or branched chain saturated hydrocarbon.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 2 F, CHF 2 , CF 3 , etc.
  • C 6 -C 12 aryl refers to an aromatic hydrocarbon containing 6 to 12 carbon atoms.
  • monocyclic eg, phenyl
  • It may refer to ring systems such as bicyclic (e.g., indenyl, naphthalenyl, tetrahydronaphthyl, tetrahydroindenyl).
  • aryl may be a phenyl group with a chemical formula of C 6 H 5 and six carbon atoms arranged in a cyclic ring structure.
  • the phenyl group is a very stable aromatic hydrocarbon and is found in many organic compounds.
  • C 3 -C 12 heteroaryl refers to 3 to 12 carbon atom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ring carbon atoms is replaced by a heteroatom selected from oxygen (O), nitrogen (N) and sulfur (S). refers to an optionally substituted aromatic ring containing, or an aromatic ring (e.g., a bi- or tricyclic ring system) fused to one or more rings, such as a heteroaryl ring, an aryl ring, a heterocyclic ring, or a carbocyclic ring. , each of which may have an optional substituent.
  • C 3 -C 8 cycloalkyl refers to a saturated hydrocarbon ring containing 3 to 8 carbon atoms.
  • the saturated hydrocarbon ring is monocyclic or polycyclic, and two or more rings share one or more pairs of carbon atoms. It is meant to include all ring structures (e.g., fused ring, spiro ring, bridged ring, etc.).
  • Cycloalkyl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cyclopropyl, cyclobutyl, cyclopentyl, cyclohexyl, cycloheptanyl, cyclooctanyl, etc.
  • C 2 -C 8 heterocycloalkyl is a saturated mono- and polycyclic hetero ring containing 1 to 4 heteroatom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nitrogen (N), oxygen (O) and sulfur (S).
  • N nitrogen
  • O oxygen
  • S sulfur
  • it includes a ring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rings share one or more pairs of carbon atoms (e.g., fused ring, spiro ring, bridged ring, etc.).
  • nitrogen When nitrogen is present in a heterocycloalkyl ring, it may be in an oxidized state (i.e., N + -O - ), as long as the properties of adjacent atoms and groups allow.
  • Examples include piperidinyl N-oxide and morpholinyl-N-oxide. Additionally, when sulfur is present in a heterocycloalkyl ring, it may exist in an oxidized state (i.e., S + -O - or -SO 2 - ), as long as the properties of adjacent atoms and groups allow. Examples include thiomorpholine S-oxide and thiomorpholine S,S-dioxide. Additionally, one ring of the polycyclic heterocycloalkyl group may be aromatic (eg, aryl or heteroaryl) if the polycyclic heterocycloalkyl group is bonded to the parent structure through a non-aromatic carbon or nitrogen atom.
  • C 2 -C 8 heterocycloalkene contains 1 to 4 heteroatom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nitrogen (N), oxygen (O) and sulfur (S), and is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heterocycloalkyl. It refers to a non-aromatic ring having at least one double bond derived by removal of one molecule of hydrogen from a carbon atom, an adjacent nitrogen atom, or an adjacent carbon and nitrogen atom.
  • Heterocycloalkenyl groups are cyclic or polycyclic (e.g., bicyclic, tricyclic) or have a ring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rings share one or more pairs of carbon atoms (e.g., fused ring, spiro ring). , bridged rings, etc.).
  • heterocycloalkenyl ring When nitrogen is present in a heterocycloalkenyl ring, it may be in an oxidized state (i.e., N + -O - ), as long as the properties of the adjacent atoms and groups allow. Additionally, when sulfur is present in a heterocycloalkenyl ring, it may exist in an oxidized state (i.e., S + -O - or -SO 2 - ) as long as the properties of adjacent atoms and groups allow. Additionally, one ring of the polycyclic heterocycloalkenyl group may be aromatic (eg, aryl or heteroaryl) if the polycyclic heterocycloalkenyl group is bonded to the parent structure through a non-aromatic carbon or nitrogen atom.
  • each ring is considered an aryl, heteroaryl, cycloalkyl, cycloalkenyl, heterocycloalkyl, or heterocycloalkenyl group is determined by the atom to which that moiety is attached to the parent structure. .
  • alkoxy is an alkyl (carbon and hydrogen chain) group bonded to oxygen, and refers to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oxy of C 1 -C 6 such as methoxy, ethoxy, etc.
  • alkylthio refers to an alkyl (carbon and hydrogen chain) group bonded to sulfur, and may preferably be a C 1 -C 6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thio.
  • amino refers to a hydrogen atom bonded to a nitrogen atom, and the hydrogen atom may be substituted with C 1 -C 6 straight or branched alkyl, aryl, etc.
  • “carboxy” mean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COOH or -CO 2 H.
  • enantiomer refers to a case where two optically active molecules form a mirror symmetrical relationship. It is generally used as a synonym for enantiomerism, and includes the R-form, S-form, or racemic form, respectively.
  • Novel bicyclic heteroaryl compounds, optical isomers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re novel bicyclic heteroaryl compounds, optical isomers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Each X 1 and X 2 is independently C or N;
  • Each Y 1 and Y 2 is independently C or N;
  • Each of Z 1 , Z 2 , Z 3 and Z 4 is independently C, C-R', CH, CH 2 , N, NR' or S;
  • p is 0 or 1;
  • R' is a hydrogen atom or C 1 -C 6 alkyl
  • each is optionally a single bond or a double bond, provided that the two double bonds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 R a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3 -C 8 cycloalk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2 -C 8 heterocycloalkyl comprising a heteroatom selected from oxygen, nitrogen and sulfur;
  • R b is C containing heteroatoms selected from C 1 -C 6 alkyl, -N-(C 1 -C 6 alkyl) 2 , -OC 1 -C 6 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xygen, nitrogen and sulfur.
  • R 2 is a hydrogen atom, C 1 -C 6 ha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2 -C 8 heterocycloalkyl containing a heteroatom selected from oxygen, nitrogen and sulfu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or C 3 -C 12 heteroaryl comprising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toms selected from oxygen, nitrogen and sulfur, where substituted heterocycloalkyl, aryl and heteroaryl are at least one halogen atom, substitution with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C 1 -C 6 alkyl, -NH, -NH-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r -OC 1 -C 6 alkyl;
  • each of X 1 and X 2 is independently C or N, but at least one of X 1 and X 2 is C;
  • Each of Y 1 and Y 2 is independently C or N, but at least one of Y 1 and Y 2 may be N.
  • Y 1 is N; Y 2 may be C or N.
  • X 1 is C or N; X 2 may be C.
  • Z 1 is C, CH or N
  • Z 2 is C, C-R', CH, CH 2 or N
  • Z 3 is CH, CH 2 , N, NR' or S
  • Z 4 may be CH or N, where R' may be a hydrogen atom or C 1 -C 6 alkyl.
  • Z 1 is C or N
  • Z 2 is C-R', CH, CH 2 or N
  • Z 3 is CH, CH 2 , N, NR' or S.
  • R' may be a hydrogen atom or C 1 -C 6 alkyl.
  • Z 1 when p is 1, Z 1 can be C, CH or N, Z 2 can be C or CH, Z 3 can be CH, and Z 4 can be CH or N, where R' is hydrogen It may be an atom or C 1 -C 6 alkyl.
  • R b is N-(C 1 -C 6 alkyl) 2 , OC 1 -C 6 alkyl, , or It can be.
  • R 2 is a hydr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re, substituted,
  • halogen atom may be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or CN).
  • R 2 is a hydrogen atom, C 1 -C 6 alkyl,
  • L 4 can be a single bond or —NH—C 1 -C 6 alkyl.
  • C 1 -C 6 alkyl may be, and the above is unsubstituted or is at least one halogen,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C 1 -C 6 alkyl-OH, -OC 1 -C 6 alkyl, -OH, CN or NH 2 can be replaced.
  • Is and L 4 may be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is C 1 -C 6 alkyl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may be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2,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is a hydrogen atom or C 1 -C 6 alkyl
  • R a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3 -C 8 cycloalk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2 -C 8 heterocycloalkyl comprising a heteroatom selected from oxygen, nitrogen and sulfur;
  • R b is C containing heteroatoms selected from C 1 -C 6 alkyl, -N-(C 1 -C 6 alkyl) 2 , -OC 1 -C 6 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xygen, nitrogen and sulfur.
  • R 2 is a hydrogen atom, C 2 -C 8 heterocycloalkyl containing a heteroatom selected from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xygen, nitrogen and sulfu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3 -C 12 heteroaryl containing heteroatoms selected from oxygen, nitrogen and sulfur (wherein substituted heterocycloalkyl, aryl and heteroaryl are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substitution with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L 1 is a single bond, C 1 -C 6 alkyl, or C 1 -C 6 haloalkyl
  • R 1 is C containing a hydrogen atom,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C 6 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toms selected from oxygen, nitrogen and sulfur.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4,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L 1 is a single bond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5 below,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 R'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R' is a hydrogen atom, or C 1 -C 6 alkyl
  • L 1 is a single bond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6 below,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L 1 is a single bond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7,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L 1 is a single bond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L 1 is a single bond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2,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L 1 , L 2 , L 3 , L 4 , R 1 , R 2 and is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L 1 is a single bond
  • R 2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C 12 aryl (wherein substituted aryl is at least one halogen atom, C 1 -C 6 alkyl, C 1 -C 6 haloalkyl, -OC 1 -C 6 alkyl) , substitution with CN or NH 2 );
  • L 4 is a single bon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mpounds described below: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mpounds shown in Table 1 below: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refer to salts common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or example, inorganic ionic salts made of calcium, potassium, sodium, magnesium, etc.; Inorganic acid salts made from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bromic acid, iodic acid, perchloric acid and sulfur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benzo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nderic acid, propionic acid, lactic acid, glycolic acid, gluconic acid, galacturonic acid, glutamic acid, glutaric acid, glucuronic acid, aspartic acid.
  • inorganic ionic salts made of calcium, potassium, sodium, magnesium, etc.
  • Inorganic acid salts made from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bromic acid, iodic acid, perchloric acid and sulfuric acid
  • Organic acid salts made from acids, ascorbic acid, carbonic acid, vanillic acid, hydroiodic acid, etc.; Sulfonic acid salts made from methanesulfonic acid, 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naphthalenesulfonic acid, etc.; Amino acid salts made from glycine, arginine, lysine, etc.; and amine salts prepared from trimethylamine, triethylamine, ammonia, pyridine, picoline, etc., but the types of salts meant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salts list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can be prepared in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and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 sterile injectable solution.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 those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and oth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s defined in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s optical properties Provided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diseases containing isomer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the cancer diseases are not limited to these, but are not limited to hematological malignancies, solid cancer, sarcoma, angiosarcoma, fibrosarcoma, rhabdomyosarcoma, liposarcoma, myxoma, rhabdomyoma, fibroma, lipoma, teratoma, lung cancer, and non-small cell disease.
  • Lung cancer breast cancer, bronchogenic carcinoma, squamous cell, undifferentiated small cell, undifferentiated large cell, adenocarcinoma, alveolar bronchial carcinoma, bronchial adenoma, lymphoma, chondrogenic hamartoma, mesothelioma, gastrointestinal cancer, esophageal cancer, squamous cell carcinoma, leiomyosarcoma, stomach cancer, colon cancer, Pancreatic cancer, lymph node cancer, ductal adenocarcinoma, insulinoma, glucagonoma, gastrinoma, carcinoid, vipoma, small intestine cancer, Kaposi's sarcoma, leiomyoma, hemangioma, neurofibroma, tubular adenoma, villi Ependymoma, hamartoma, genitourinary cancer, kidney cancer, Wilms tumor (nephroblastoma), brain
  • the cancer includes lymphoblastic leukemia, lymphoma, colorectal cancer, glioblastoma multiforme (GBM), small cell tumor, colorectal carcinoma, osteosarcoma, pancreatic cancer, etc.
  • lymphoblastic leukemia lymphoma
  • colorectal cancer colorectal cancer
  • GBM glioblastoma multiforme
  • small cell tumor colorectal carcinoma
  • osteosarcoma pancreatic cancer, etc.
  • the cancer disease may include metastatic cancer disease.
  • the inflammatory diseases are not limited thereto, but include sepsis, acute sepsis, alopecia, hair loss syndrome, gout,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cirrhos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kylosing spondylitis (AS),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APS), myositis, Scleroderma, Sjögren's syndrom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vasculitis, familial Mediterranean fever, multisystem inflammatory disease with neonatal onset, Behcet's disease, skin disease, type 1 diabetes, autoimmune disease, psoriasis, psoriatic arthritis, herpes.
  • AS ankylosing spondylitis
  • APS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 myositis Scleroderma, Sjögren's syndrome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vasculitis
  • familial Mediterranean fever multisystem inflammatory disease with neonatal onset
  • Dermatitis pemphigus vulgaris, vitiligo, multiple sclerosis, systemic sclerosis, Addison's disease, Graves' disease, Hashimoto's disease, myasthenia gravis, Guillain-Barre syndrome, autoimmune uveitis (autoimmune uveitides), autoimmune hemolytic anemia, Wegener's granulomatosis, pernicious anemia, autoimmune thrombocytopenia, temporal arteritis, celiac disease, chronic inflammation, rheumatism, encephalomyelitis, post-infectious cerebellitis, optic nerve.
  • Myelitis Devig's disease, encephalitis, metabolic encephalopathy, asthma, periodontitis, ulcerative colitis, interstitial fibroma lung, myelofibrosis, liver fibrosis, myocarditis, primary biliary cirrhosis, Crohn's disease, sinusitis, orchitis, polymyositis, skin These include myositis, autoimmune oophoritis, autoimmune adrenalitis, systemic lupus disease, scleroderma, or gastric ulcer.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s defined in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s optical properties Provided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containing isomer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LSDs lysosomal storage diseases
  • the lysosomal storage diseases are not limited thereto, but include ⁇ -mannosidosis, aspartylglucosaminuria, ⁇ -mannosidosis, cystinosis, ⁇ -N-acetylgalactosaminidase deficiency, and Schindler's disease.
  • GM2 gangliosidosis including Tay-Sachs disease, glycogen disease, type I glycogen disease, or von Gierke disease (Von Gierke disease), glycogen disease type II or Pompe disease, glycogen disease type IIb or Danon disease, glycogen disease type V or McArdle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s defined in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s optical properties Provided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containing isomer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the neurological diseases are not limited to, but are not limited to,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primary lateral sclerosis (PLS), 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including type 4J (CMT4J)), Eunice-Baron syndrome (Yunis-Varon syndrome), autophagy, congenital brain lesion, polymicrogyria, temporo-occipital polymicrogyria, Pick's disease, Parkinson's disease, Louis Parkinson's disease with Lewy bodies, dementia with Lewy bodies, Lewy body disease, fronto-temporal dementia, neuronuclear inclusion body disease of polyglutamine and intranuclear inclusion bodies.
  •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PLS primary lateral sclerosis
  • CMT Charcot-Marie-Tooth disease
  • Eunice-Baron syndrome Eunice-Baron syndrome
  • preven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actions that suppress or delay the onset of cancer, inflammation formation, lysosomal accumulation, and neurological disease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 treatment means any action in which the symptoms of the disease are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e.g.,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depending on the desired method, and the dosage is determined by the patient's weight, age, gender, The range varies depending on health status,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type and severity of disease.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and humans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but is administered through subcutaneous injection using an osmotic pump.
  • subcutaneous injection intradermal injection, intravein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intraocular injection (intravitreal injection)
  • Intrathecal inner ear, abdominal cavity or vein, muscle,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 sublingual
  • it may be administered by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01 to 95% by weight, preferably 0.01 to 80% by weigh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re 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ulated as an oral solid preparation, it includes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 contains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and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ulated in liquid form for oral use, it includes suspensions, or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humecta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ulated for parenteral use, it include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This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 base for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aurel, glycerogelatin, etc.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s defined in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s optical properties Provided is a PIKfyve inhibitor comprising isomer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s 2-1 to 2-7, and Formulas 3-1 to 3-3, optical isomers thereof, or A method of treating a canc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term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cancer” refers to Same as described above.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inflammatory diseas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neurological diseas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y animal that has developed or can develop cancer, and is typically treated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t may be an animal that can exhibit beneficial effects, but it also includes without limitation any subject that has symptoms of cancer or is likely to have such symptoms. As described above, the above-mentioned disease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or treated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reatment or in combination with existing treatments for cancer, inflammatory diseases, or lysosomal storage diseases, and can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reatments.
  • the term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prevent or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prevention or treatment, and refers to the amount effec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disease. It represents the amount of any one compound of Formula 1, Formulas 2-1 to 2-7, and Formulas 3-1 to 3-3, its optical isomer, or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termined by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patient's age, weight, health, gender, the patient's sensitivity to the drug, the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the treatment period, and the drug used.
  • any one compound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n be administered at 0.0001 to 100 mg/kg per day.
  •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into a patient by an appropriate method, and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Additional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that allows the active substance to move to the target tissue. For example, oral administration, intrathecal administra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intrarectal administration, inner ear administration, intrauterine intrathecal administration, It may be administered by sublingual administration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t can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that can achiev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thi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trea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administering a compound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his includes not only dealing with the disease itself before the onset of symptoms, but also inhibiting or avoiding its symptoms.
  • th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dosage of a particular active ingredie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or condition and the route by which the active ingredient is administered. Dosage and frequency of dosage will vary depending on the age, weight, and response of the individual patient. A suitable dosage regimen can be easily selec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aking these factors into account.
  • the trea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t may further include administration 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dditional active agent helpful in treating the disease, and the additional active agent may includ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t may exhibit synergistic or auxiliary effects.
  • “improvement” means any action that reduces at least the severity of a parameter related to the condition being treated, such as the severity of symptom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treating cancer disease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 of a salt that is legally accepta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 of a salt that is legally accepta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for the produc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 its optical isomer, or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LSDs lysosomal storage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 1, Formula 2-1 to 2-7, and Formula 3-1 to 3-3,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ease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 of a salt that is legally acceptabl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compound that not only has excellent activity against PIKfyve inhibition, but also has excellent metabolic stability and stability in the body, making it useful as a treatment for PIKfyve activity-related cancer diseases, inflammatory diseases, lysosomal storage diseases, or neurological diseases.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pharmacodynamic analysis of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umor tissue.
  • Characteristic chemical shifts ( ⁇ ) are given in parts per million (ppm) relative to the residual proton signal in deuterated solvent (CDCl 3 : 7.27 ppm; CD 3 OD: 3.31 ppm; DMSO- d 6 : 2.50 ppm) and are reported with the usual abbreviations for the designation of major peaks: for example, s, singlet; d, doublet; t, triplet; q, quartet; m, multiplet; br, broad.
  • step a Synthesis of 2-chloro-4-hydrazinyl-7 H -pyrrolo[2,3- d ]pyrimidine
  • step a 2,4-dichloro-7 H -pyrrolo [2,3- d ] pyrimidine, 2,2-difluoro-2- (pyridine-2 -yl), the target compound ( E )-4-(7-(2,2-difluoro-2-(pyridin-2-yl)ethyl)-4-(2-(3-) is used as an off-white solid.
  • Methylbenzylidene)hydrazinyl)-7 H -pyrrolo[2,3- d ]pyrimidin-2-yl)morpholine was obtained.
  • 6-Chloro-8-hydrazinyl-3-iodimidazo[1,2- b ]pyridazine (3.4 g) was mixed with acetic acid (0.5 mL), 3-methylbenzaldehyde (1.59 g) and methanol (40 mL). After addition, it was stirred at 70°C for 15 minutes.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The organic solvent was washed with a saturated NaCl solution, sodium sulfate was added, filtered, and concentrated.
  • the target compound ( E )-4-(8-(2-(3-methylbenzylidene)hydrazinyl)-3-phenylimidazo [1, 2- b ]pyridazin-6-yl)morpholine (16.18 mg) was synthesized in 7.55% yield.
  • the target compound 4,6-dichloro-1-phenyl-1 H -pyrazolo [3,4- d ] pyrimidine (500 mg) as a white solid was obtained in 66.28% yield using silica chromatography under benzine/ethyl acetate conditions. It was synthesized.
  • 6-Chloro-4-hydrazinyl-1-phenyl- 1H -pyrazolo[3,4- d ]pyrimidine was used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 in the same manner as (step d) of Example 13 as a white solid.
  • 6-Chloro-4-(2-(3-methylbenzylidene)hydrazinyl)-1-phenyl-1 H -pyrazolo[3,4- d ]pyrimidine 400 mg
  • MS: m/z 363.1 (M+1, ESI+).
  • step e the target compound ( E )-4-(4-(2-(3-methylbenzylidene)hydrazinyl)-1-phenyl- 1H -pyrazolo[3,4- [d ]pyrimidin-6-yl)morpholine (100 mg) was synthesized in 21.91% yield.
  • Tetrahydrofuran (10 mL) and sodium hydride (267 mg) were added to phenylmethanol (720 mg)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4,6-dichloro-1 H -pyrazolo[3,4- d ]pyrimidine (1.05 g) dissolved in tetrahydrofuran (5 mL) was added and stirred at 70°C overnight.
  •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The organic solvent was washed with a saturated NaCl solution, sodium sulfate was added, filtered, and concentrated.
  • the target compound 4-(benzyloxy)-6-chloro- 1H -pyrazolo[3,4- d ]pyrimidine (895 mg) as a yellow solid was purified by silica chromatography under benzine/ethyl acetate conditions (61.96%). It was synthesized with high yield.
  • the target compound 4-(4-(benzyloxy) -1H -pyrazolo[3,4- d ]pyrimidin-6-yl)morpholine ( 900 mg) was synthesized in 88.5% yield.
  • 6-morpholino-1-(pyridin-4-yl) -1H -pyrazolo[3,4- d ]pyrimidin-4-ol 230 mg was mixed with dichloromethane (10 mL) and triethylamine ( 390 mg) and 4-toluenesulfonyl chloride (221 mg) were added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 the reaction solution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subjected to silica chromatography under dichloromethane/methanol conditions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4-(4-(2-(3-methylbenzylidene)hydrazinyl)-1-( Pyridin-4-yl)-1 H -pyrazolo[3,4- d ]pyrimidin-6-yl)morpholine (40 mg) was synthesized in 14.63% yiel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1H-indole-3-carbaldehyde is used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2-(6-(2-(( 1H -indol-3-yl) in green solid state. )Methyl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c) to (step 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step b) to (step d) of ⁇ Example 35>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4-(9-(2, 2-Difluoro-2-(pyridin-2-yl)ethyl)-6-(2-(3-methylbenzylidene)hydrazinyl)-9 H -purin-2-yl)morpholine was obtained.
  • step b) to (step 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step a) to (step d) of ⁇ Example 35>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2-(6-(2-) in a white solid state.
  • (3-Methylbenzylid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9-yl)-1-(pyrrolidin-1-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b) to (step 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step a) to (step d) of ⁇ Example 35>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1-(2-(6-) in a white solid state.
  • (2-(3-methylbenzylid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9-yl)acetyl)azetidine-3-carbonitrile was obtained.
  • Trifluoroacetic acid (7 mL)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of tert-butyl 3-cyanopyrrolidine-1-carboxylate (3.0 g) dissolved in dichloromethane (20 mL),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3 hours. did.
  • the reaction solution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target compound pyrrolidine-3-carbonitrile (1.45 g) in the form of a brown oil was obtained with a yield of 99%.
  • MS: m/z 97.2 (M+1, ESI+).
  • step c) to step f)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step a) to (step d) of ⁇ Example 35>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1-(2-(6-) in a white solid state.
  • (2-(3-methylbenzylid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9-yl)acetyl)pyrrolidine-3-carbonitrile was obtained.
  • step b) to (step e)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step a) to (step d) of ⁇ Example 35>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2-(6-(2-) in a white solid state.
  • (3-Methylbenzylid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9-yl)-1-(1 H -pyrrol-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4-(trifluoromethyl)pyridin-2-yl)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the target compound ( E )-2-(6-(2-(3-methylbenzylid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e-9- in yellow solid state was obtained.
  • 1)-1-(4-(trifluoromethyl)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5-fluoropyridin-2-yl)ethane-1-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the target compound ( E )-1-(5-fluoropyridin-2-yl)-2-(6-(2-(3-methylbenzylidene)hydrazinyl)-2-mor is used as a yellow solid. Polyno-9 H -purin-9-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using 5-methylthiophene-2-carbaldehyde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2-(6-(2-((5-methylthiophene) in the form of a brown solid.
  • -2-yl)methylene)hydrazinyl)-2-morpholino-9 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using 3-formylbenzonitrile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3-((2-(2-morpholino-9-(2-oxo-) in brown solid state.
  • 2-(Pyridin-2-yl)ethyl)-9 H -purin-6-yl)hydrazinylidene)methyl)benzonitril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using 4-methylbenzaldehyde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in (step c)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2-(6-(2-(4-methylbenzylidene)hydrazinyl)-2- in yellow solid state.
  • Morpholino-9 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using 2-methylbenzaldehyde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in (step c)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2-(6-(2-(2-methylbenzylidene)hydrazinyl)-2- in yellow solid state.
  • Morpholino-9 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using nicotinaldehyde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in (step c)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2-(2-morpholino-6-(2-(pyridin-3-ylmethylene)hydra in brown solid state.
  • Zinyl)-9H-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a 2-bromo-1-(pyridin-2-yl)ethan-1-one is used instead of 4-(2-bromoacetyl)benzonitrile.
  • step c using 3-methoxybenzaldehyde instead of 3-methylbenzaldehyde in (step c)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 )-2-(6-(2-(3-methoxybenzylidene)hydrazinyl)- as a brown solid.
  • 2-Morpholino-9 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 step d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 Example 35>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3-methyl- N '-(2-morpholino-9-(2-oxo-2-(pyridine-2) in the form of a yellow solid.
  • -yl)ethyl)-9 H -purin-6-yl)benzohydrazide was obtained.
  • the target compound 2-(6-(3-bromo-1H-pyrazol-1-yl)-2-chloro- 9H -purine was obtained as a yellow solid using silica chromatography under ethyl acetate/benzine conditions.
  • -9-yl)-1-(pyridin-2-yl)ethan-1-one 600 mg was obtained in 44% yield.
  • MS: m/z 419.1 (M+1, ESI+).
  • the target compound 2-(2-morpholino-6-(3-(m-tolyl)-1 H -pyrazol-1-yl was obtained as a white solid using silica chromatography under ethyl acetate/benzine conditions.
  • -9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was obtained in a yield of 14%.
  • the target compound 2-(2-chloro-6-(3-(6-methylpyridin-2-yl) -1H -pyra was obtained as a yellow solid using silica chromatography under dichloromethane/methanol conditions.
  • Zol-1-yl)-9 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280 mg) was synthesized in 25.3% yield.
  • MS: m/z 431.0 (M+1, ESI+).
  • Target compound 2-(6-(3-(6-methylpyridin-2-yl)-1 H -pyrazol-1-yl)-2-morpholino-9 H -purine-9 using Prep-HPLC -yl)-1-(pyridin-2-yl)ethan-1-one (7 mg) was synthesized in 2.2% yield.
  • Tetrahydrofuran (20 mL) and sodium hydride (208 mg) were added to 1 H -pyrazole-3-carboxylate (546 mg) at 0 °C and stirred for 30 minutes.
  • 2-(2,6-Dichloro- 9H -purin-9-yl)-1-(pyridin-2-yl)ethan-1-one (1.0 g) was added and stirred at 25°C for 2 hours.
  • Distilled water and dichloromethane were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to extract the organic solvent. After adding NaCl solution to the organic solvent, the organic layer was extracted, then sodium sulfate was added and filtered.
  • the target compound 1-(2-morpholino-9-(2-oxo-2-(pyridin-2-yl)ethyl) -9H -purin-6-yl was obtained using silica chromatography under dichloromethane/methanol conditions. )- N -( m -tolyl)-1 H -pyrazole-3-carboxamide (68.7 mg) was synthesized in 27.3% yield.
  • the target compound ( E )-4-(6-(2-(3-methylbenzylidene)hydrazinyl)-9- was obtained as a white solid using silica chromatography under dichloromethane/methanol conditions.
  • (2-(Pyridin-2-yl)ethyl)-9 H -purin-2-yl)morpholine (25 mg) was obtained in 22% yield.
  • tert-butyl 4-(2,6-dichloro-9 H -purin-9-yl)piperidine-1-carboxylate (9.5 g) was mixed with 4 M hydrochloric acid/1 using 1,4-dioxane as a solvent. , 4-Dioxane (50.0 mL) was added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0.5 hours. The reaction solution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dex was adjusted to 8 with sodium bicarbonate.
  • step d) to step f)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step d) in (step b) of ⁇ Example 73> to produce the target compound ( E )-4-(6-(2-) in a white solid state.
  • (3-Methylbenzylidene)hydrazinyl)-9-(1-methylpiperidin-4-yl)-9 H -purin-2-yl)morpholine was obtained.
  • the target compound (3-(6-hydroxy-2-morpholino- 9H -purin-9-yl)azetidine- as a yellow solid was obtained by chromatography on silica under ethyl acetate/petroleum ether conditions. 1-day)(pyridin-3-yl)methanone (210 mg) was obtained in a yield of 89.16%.
  • MS: m/z 382.2 (M+1, ES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로써 PIKfyve 억제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어 PIKfyve 활성 관련 암 질환, 염증성 질환 또는 리소좀 축적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의 인산화 유도체는 세포의 지질막에 단백질 복합체를 동원시킴으로써 세포 및 세포소기관의 골격, 세포막 수송, 2차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 이노시톨 고리의 인산화 정도 및 위치는 다양한 인산화 및 탈인산화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PIKfyve 단백질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포스페이트 (PI3P)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을 인산화 시키는 키나아제 (Kinase)로써 각각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5-비스포스페이트 (PI(3,5)P2), 포스파티딜이노시톨 5-포스페이트 (PI5P)를 생성시킨다.
PIKfyve에 의해 생성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5-비스포스페이트 (PI(3,5)P2)는 세포 내막 항상성을 유지하는 엔도좀 (Endosome)의 분열, 융합, 성숙화 작용을 조절한다. 따라서 PIKfyve의 기능이 저해될 경우 세포 내부 엔도좀 작용의 비정상화로 인하여 엔도좀 확장 및 세포질 액포화가 발생된다. 엔도좀은 엔도리소좀/리소좀 (Endolysosome/lysosome)으로 성숙화 되어 오토파고좀 (Autophagosome)과 융합 후 오토파지 (Autophagy) 분해 작용을 촉진하는데, PIKfyve의 기능 저해시 오토파지 분해 역시 저해된다. 또한 PI(3,5)P2는 직접적으로 엔도좀이나 리소좀에 위치한 이온 통로 단백질들과 결합하여 그 기능을 활성화시키며, PIKfyve 저해제로부터 유도된 엔도좀 확장 및 세포질 액포화는 PI(3,5)P2를 보충해주거나, 이온 통로 단백질 활성화를 시켜주었을 때 가역적으로 완화된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5-포스페이트 (PI5P)는 PI가 PIKfyve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산화 되어 생성되거나, PI(3,5)P2 또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5-비스포스페이트 (PI(4,5)P2)가 탈인산화 되어 생성된다. PI5P는 엔도좀과 핵막에서 2차 신호전달 물질로서 작용하거나, 세포막에서 외부 독성 인자 (Virulence factor)와 상호작용하며 엔도좀 유입을 조절한다. 또한 PIKfyve에 의해 생성된 PI5P는 AMP-activated kinase (AMPK) 활성화에 의한 오토파고좀 생성에 반드시 필요함이 최근 보고됨으로써 오토파지와의 또다른 관련성이 제시되었다.
PIKfyve의 저해제로 Apilimod, APY0201, YM201636 등의 저분자 화합물질이 보고되어 왔으며, 특히 Apilimod는 염증 사이토카인 (Cytokine)인 인터류킨-12 및 -23 (Interleukin, IL-12, IL-23)의 억제제로 처음 확인되었고, 크론 질환 (Crohn's disease),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건선 (Psoriasis) 등의 염증 및 자가면역질환에 대해 평가되었다. PIKfyve는 IL-12, IL-23의 공통 소단위체 (Subunit)인 IL12/23p40의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PIKfyve 저해제를 통해 IL-12, IL-23 생성을 억제하면 염증 및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함이 제시되었다.
다양한 암종에서도 PIKfyve는 약리학적 표적으로 보고되었다. PIKfyve 저해는 일부 암종에서 오토파지/리소좀을 통한 영양소 재생성 및 엔도좀/리소좀 의존적 영양소 흡수 경로에 방해를 유도하며, 또한 GTP 가수분해효소 (GTPase)인 Rac1 비활성화를 유도하여 암세포의 침윤성을 낮출 수 있다. PIKfyve 저해제는 일부 암 유형에서 아포토시스 (Apoptosis)나 메튜오시스 (Methuosis)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비호지킨림프종 (Non-Hodgkin's lymphoma), 다발성골수종 (Multiple myeloma), 흑색종 (Melanoma), 간암 (Liver cancer), 뇌종양 (Glioblastoma), 대장암 (Colorectal adenocarcinoma) 등의 암종에서 항암 활성을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또한, PIKfyve의 활성 조절을 통해, PIKfyve 기질인 PI3P의 농도가 높아지고, 운동신경세포의 리소좀을 정상화함으로써 리소좀 활성 감소로 인한 희귀 유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보고도 있다. 운동신경의 마비 증상이 심화되는 질환인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srosis, ALS)과, 퇴행성 치매인 전두측두엽성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 FTD)의 경우, 리소좀 운반체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예: intronic repeats in C9ORF72 gene)로 인해 발생하는 빈도가 약 10%를 차지하는데, 상기 돌연변이를 가지는 ALS/FTD 환자 유래 운동신경세포에 PIKfyve 저해 화합물인 Apilimod를 처리했을 때, 리소좀 수를 증가시키고 세포 사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9orf72 결핍 ALS 동물모델을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PIKfyve 활성 저해는 엔도좀 성숙과 리소좀 생성에 관여하는 PI3P (PIKfyve의 기질)을 증가시켜, C90RF72의 변이에 의해 감소된 리소좀 활성을 보상하고 C9ORF72-intronic repeats으로 만들어진 toxic dipeptide repeat-단백질을 리소좀 활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세포 독성을 감소시키는 ALS 치료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신규 PIKfyve 억제제 화합물들을 합성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이 PIKfyve 억제제로서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PIKfyve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에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구조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조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할로겐"은 플루오르(F), 클로로(Cl), 브로모(Br) 및 아이오도(I)로 선택되는 치환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Cx-Cy"는 탄소수 x 이상 y 이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환된"은 주쇄의 하나 이상의 탄소상의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부분을 나타낸다. "치환" 또는 "~로 치환된"은 이러한 치환이 치환된 원자 및 치환체의 허용되는 가에 따르며, 치환에 의해 안정한 화합물 예를 들어, 재배열, 고리화, 제거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화합물을 유도한다는 암묵적 조건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단결합"은 연결된 두개 라디칼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L-Z중에서 L이 단결합을 대표할 경우,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A-Z임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C1-C6 알킬"은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등과 같은 C1-C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상기 쇄 내에 약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측쇄는 하나 이상의 저급 알킬 그룹, 예를 들면,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이 선형 알킬 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저급 알킬"은 직쇄 또는 측쇄일수 있는 쇄 내에 약 1개 내지 약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그룹을 의미한다. "알킬"은 치환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각 치환체는 할로겐,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아미노, 카르복시 등일 수 있다. 이 각 치환기는 본 명세서 내 언급되는 각 치환기에 대한 임의의 정의 규정을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C1-C6 할로알킬"은 C1-C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할로겐 원자(즉, F, Cl, Br, 또는 I)로 치환된 C1-C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H2F, CHF2, CF3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C6-C12 아릴"은,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모노시클릭 (예컨대, 페닐); 바이시클릭 (예컨대, 인데닐, 나프탈레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테트라히드로인데닐) 같은 고리계를 가리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릴은 C6H5의 화학식을 가지며 6개의 탄소 원자가 순환 고리 구조를 이루며 배열되어 있는 페닐기일 수 있다. 페닐기는 매우 안정적이며 방향족 탄화수소의 일종으로 많은 유기 화합물에서 발견된다. 또한 상기 아릴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페닐고리의 오쏘(ortho), 메타(meta), 파라(para)위치의 수소가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또는 -NH2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C3-C12 헤테로아릴"은, 산소(O), 질소(N) 및 황(S)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고리 탄소 원자 중 적어도 하나가 대체된,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방향족 고리나,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 아릴고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또는 카보사이클 고리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고리에 융합된 방향족 고리(예컨대, 이환 또는 삼환 고리계)를 지칭하며, 각각은 선택적인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C3-C8 시클로알킬"은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하며 포화탄화수소 고리는 일환 및 다환, 2개 이상의 고리가 한 쌍 이상의 탄소원자를 공유하고 있는 고리 구조(예를 들어 접합 고리(fused ring), 스파이로 고리(spiro ring), 다리걸친 고리(bridged ring) 등)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탄일, 시클로옥탄일 등을 포함하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시클로알킬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또는 -NH2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예로 시클로부타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환 시클로알킬기의 하나의 고리는, 다환 시클로알킬기가 비방향족 탄소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면, 방향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일환 및 다환의 헤테로 고리 또는 2개 이상의 고리가 한 쌍 이상의 탄소원자를 공유하고 있는 고리 구조(예를 들어 접합 고리(fused ring), 스파이로 고리(spiro ring), 다리걸친 고리(bridged ring) 등)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또는 -NH2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질소가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 중에 존재할 경우, 인접한 원자 및 기의 속성이 허용하는 한, 산화된 상태(즉, N+-O-)로 존재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피페리디닐 N-옥사이드 및 모르폴리닐-N-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또한, 황이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 중에 존재할 경우, 인접한 원자 및 기의 속성이 허용하는 한, 산화된 상태(즉, S+-O- 혹은 -SO2 -)로 존재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티오모르폴린 S-옥사이드 및 티오모르폴린 S,S-다이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또한, 다환식 헤테로시클로알킬기의 하나의 고리는, 다환식 헤테로시클로알킬기가 비방향족 탄소 혹은 질소 원자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면, 방향족(예컨대, 아릴 혹은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C2-C8 헤테로시클로알켄"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대응하는 헤테로시클로알킬의 인접한 탄소 원자, 인접한 질소 원자 혹은 인접한 탄소와 질소 원자로부터 1분자의 수소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지니는 비방향족 고리를 나타낸다. 헤테로시클로알케닐기는 환식 혹은 다환식(예컨대, 이환식, 삼환식) 또는 2개 이상의 고리가 한쌍 이상의 탄소원자를 공유하고 있는 고리 구조(예를 들어 접합 고리(fused ring), 스파이로 고리(spiro ring), 다리걸친 고리(bridged ring) 등)를 포함한다. 질소가 헤테로시클로알케닐 고리 중에 존재할 경우, 인접한 원자 및 기의 속성이 허용하는 한, 산화된 상태(즉, N+-O-)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황이 헤테로시클로알케닐 고리 중에 존재할 경우, 인접한 원자 및 기의 속성이 허용하는 한, 산화된 상태(즉, S+-O- 혹은 -SO2 -)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다환식 헤테로시클로알케닐기의 하나의 고리는, 다환식 헤테로시클로알케닐기가 비방향족 탄소 혹은 질소 원자를 통해서 모구조에 결합된다면, 방향족(예컨대, 아릴 혹은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각 고리가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시클로알킬 혹은 헤테로시클로알케닐기로 간주되는지의 여부는 그 부분이 모 구조에 결합되는 원자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알콕시"는 산소와 결합된 알킬 (탄소와 수소 연쇄) 기이며, 메톡시, 에톡시, 등과 같은 C1-C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킬티오"는 황과 결합된 알킬 (탄소와 수소 연쇄) 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 C1-C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티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미노"는 질소 원자에 수소가 결합된 형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수소원자는 C1-C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아릴 등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카르복시"는 -COOH 또는 -CO2H 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광학 이성질체(enantiomer)"는 광학 활성을 갖는 두 분자가 거울 대칭인 관계를 이루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와 동의어로 사용하며, 각각 R-form, S-form 또는 라세미 화합물의 형태를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각각의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고;
각각의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고;
각각의 Z1, Z2, Z3 및 Z4는 독립적으로 C, C-R', CH, CH2, N, N-R' 또는 S이고;
p은 0 또는 1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3
은 각각 선택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되, 단, 2개의 이중 결합이 서로 인접하지 않으며;
L1,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C=O, -C=O-, -C=O-C1-C6 알킬, -C=O-NH, -SO2, C1-C6 알킬-Ra, C1-C6 알킬-SO2, -NH, -NH-C1-C6 알킬, C1-C6 알킬-NH-, C1-C6 알킬-O-, -NH-N=CH-, -N=CH-, -NH-NH-C=O-, -C=O-NH-N=CH-, -O-, -O-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R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이고;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O-C3-C8 시클로알킬,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Rb,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Rb는 C1-C6 알킬, -N-(C1-C6 알킬)2, -O-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옥소(=O), -OH,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R2는 수소원자, C1-C6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 C1-C6 알킬, -NH, -NH-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또는 -O-C1-C6 알킬이며;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4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켄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상기 화학식 1에서, 각각의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되, X1 및 X2 중 적어도 하나는 C이고; 각각의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되, Y1 및 Y2 중 적어도 하나는 N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Y1은 N이고; Y2는 C 또는 N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X1은 C 또는 N이고; X2는 C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Z1은 C, CH 또는 N; Z2는 C, C-R', CH, CH2 또는 N; Z3은 CH, CH2, N, N-R' 또는 S; 또는, Z4는 CH 또는 N일 수 있고,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p가 0일 때, Z1은 C 또는 N이고, Z2는 C-R', CH, CH2 또는 N이고, Z3은 CH, CH2, N, N-R' 또는 S일 수 있으며,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p가 1일 때, Z1은 C, CH 또는 N이고, Z2는 C 또는 CH이고, Z3은 CH이고, Z4는 CH 또는 N일 수 있고,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L1은 단결합,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C=O, -O-, -NH, -N=CH-, -NH-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5
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OH,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Rb,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6 시클로알킬, -O-C3-C8 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6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7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8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09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0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1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2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3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4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5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6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7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8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19
,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0
이고(여기서, 치환된 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2
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C6-C12 아릴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로의 치환임), Rb는 N-(C1-C6 알킬)2, O-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3
,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4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5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OH,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N-(C1-C6 알킬)2, -C=O-O-C1-C6 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29
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L2는 단결합, -NH-N=CH-, -NH-, -NH-NH-C=O-, -NH-C1-C6 알킬, -O-, -O-C1-C6 알킬,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0
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L3는 단결합, C1-C6 알킬, -NH-N=CH-, -NH-, -NH-NH-C=O-, -NH-C1-C6 알킬, -O-, -O-C1-C6 알킬-, -C=O-NH-,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1
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R2는 수소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2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3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4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5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6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7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8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39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0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1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2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3
(여기서, 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6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또는 CN로 치환되는 것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2는 수소원자, 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49
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L4는 단결합 또는 -NH-C1-C6 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0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3
일 수 있으며, 상기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4
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OH, CN 또는 NH2로 치환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8
이고, 상기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59
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OH, CN 또는 NH2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0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1
이고, L4는 단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2
상기 화학식 2-1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3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1에서 L1은 C1-C6 알킬이고;
R1은 C1-C6 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일 수 있음);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일 수 있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4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5
상기 화학식 2-2에서, L1, L2, L3, L4, R1, R2, R' 및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6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고;
L1은 단결합,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C=O, C1-C6 알킬-Ra, -NH-C1-C6 알킬, -N=CH-, -NH-NH-C=O-, -C=O-NH-N=CH-, -O-, -O-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이고;
R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이고;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O-C3-C8 시클로알킬,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Rb,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Rb는 C1-C6 알킬, -N-(C1-C6 알킬)2, -O-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옥소(=O), -OH,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1-C6 알킬, -C=O-NH, -NH, -NH-C1-C6 알킬, -NH-N=CH-, -NH-NH-C=O-, -O-, -O-C1-C6 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R2는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며;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7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8
상기 화학식 2-3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69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L1은 단결합,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일 수 있음);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0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1
상기 화학식 2-4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2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L1은 단결합이고;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일 수 있음);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3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4
상기 화학식 2-5에서, L1, L2, L3, L4, R1, R2, R' 및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5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5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고;
L1은 단결합이고;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6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6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7
상기 화학식 2-6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8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L1은 단결합이고;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79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7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2-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0
상기 화학식 2-7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1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L1은 단결합이고;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2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3-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3
상기 화학식 3-1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4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L1은 단결합이고;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5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3-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6
상기 화학식 3-2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7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3-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8
상기 화학식 3-3에서, L1, L2, L3, L4, R1, R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89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L1은 단결합이고;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NH-N=CH-이고;
R2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0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일 수 있음).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기재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2-(피리딘-2-일)에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7-(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3-페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5-메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5-이소프로필-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벤질리덴히드라지닐)-7-(1-메틸-1H-피라졸-4-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2-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9-이소부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펜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1-시클로프로필-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9-(시클로프로필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1-(4-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4-(9-(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롤리딘-1-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
(E)-1-(인돌린-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1-메틸-1H-피롤-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
(E)-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1H-피롤-2-일)에탄-1-온;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E)-3-(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E)-1-(2-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3-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4-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o-톨릴)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p-톨릴)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
(E)-1-(3-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4-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2-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3-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탄-1-온;
(E)-1-(2,4-디모르폴리노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에탄-1-온;
(E)-1-(5-플루오로피리딘-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라진-2-일)에탄-1-온;
(E)-2-(6-(2-((5-메틸사이오펜-2-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3-((2-(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히드라지닐리덴)메틸)벤조니트릴;
(E)-2-(2-모르폴리노-6-(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4-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2-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2-모르폴리노-6-(2-(피리딘-3-일메틸렌)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3-메톡시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3-메틸-N'-(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벤조히드라자이드;
2-(2-모르폴리노-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2-모르폴리노-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2-모르폴리노-6-(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6-(3-(3-플루오로페닐)-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3-(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일)벤조니트릴;
2-(6-(3-(3-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2-모르폴리노-6-(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
(E)-1-(아제티딘-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옥세탄-3-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틸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피페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이소퀴놀린-4-일메틸렌)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3-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메틸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E)-N,N-디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시아마이드;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페닐)메탄온;
(E)-N,N-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
메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리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2-일)메탄온;
(E)-4-(9-(1-메틸-1H-피라졸-4-일)-6-(2-(3-메틸벤젠일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S,E)-3-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1R,4R)-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옥사-5-아자바이싸이클로[2.2.1]헵테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4-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2-메톡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피페리딘-4-올;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아제티딘-3-올;
4-(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5-메톡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2,4-디메틸티아졸-5-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 9H-퓨린-2-일)모르폴린;
(E)-4-(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6-메톡시피리딘-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
(E)-4-(9-(2-클로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5-클로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티아졸-2-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4-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N,N-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닐린;
(E)-4-(9-(2-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시클로프로폭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 벤조니트릴;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m-톨릴)-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플루오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페놀;
(E)-4-(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1-메틸-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4-(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6-(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이소티아졸-5-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2-메톡시피리딘-4-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2,4-디메틸티아졸-5-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4-(8-메틸-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
(E)-4-(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4-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플루오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클로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2-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4-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9H-퓨린-6-아민;
(E)-9-((3-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3-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4-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피리딘-4-일메틸렌)아미노)-9H-퓨린-6-아민;
(E)-9-((4-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N-(6-(1H-이미다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N-(2-모르폴리노-6-(1H-피라졸-1-일)-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N-(4-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페닐-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p-톨릴)-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1-메틸피페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N-(3-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3-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4-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1,5-디메틸-1H-피라졸-3-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모르폴리노-6-(피리딘-2-일옥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N-(m-톨릴)-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3-일)-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5-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클로로피리딘-4-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2-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E)-N-이소프로필-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모르폴리노-6-(피리딘-4-일록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3-메틸-N-(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이소옥사졸-5-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2-일)-9H-퓨린-아민;
(E)-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N-(피리딘-4-일)-9H-퓨린-아민;
(E)-N-(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옥사졸-5-아민;
(E)-N,N-다이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닐린;
N 9-(3-메틸벤질)-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
4-(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2-일)모르폴린;
(E)-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페닐-9H-퓨린-6-아민;
(E)-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N-8-메틸-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4-(8-(1-메틸-1H-피라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8-(3-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4-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8-(4-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페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3-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피리딘-3-일)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및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표 1의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 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099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0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09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0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19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0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6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7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의약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칼슘, 포타슘, 소듐 및 마그네슘 등으로 제조된 무기이온염;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염소산 및 황산 등으로 제조된 무기산염;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젖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으로 제조된 유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나프탈렌설폰산 등으로 제조된 설폰산염; 글리신, 아르기닌, 라이신 등으로 제조된 아미노산염; 및 트리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암모니아, 피리딘, 피콜린 등으로 제조된 아민염 등이 있으나, 열거된 이들 염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 질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혈액암(Hematological malignancies), 고형암, 육종, 혈관육종, 섬유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점액종, 횡문근종, 섬유종, 지방종, 기형종, 폐암, 비소세포성폐암, 유방암, 기관지 암종 편평 세포, 미분화 소세포, 미분화 대세포, 선암종, 폐포 기관지 암종, 기관지 선종, 림프종, 연골성 과오종, 중피종, 위장암, 식도암, 편평 세포 암종, , 평활근육종, 위암, 결장암, 췌장암, 임파선암, 관 선암종(ductal adenocarcinoma), 인슐린종, 글루카곤종, 가스트린종, 유암종, 비포마(vipoma), 소장암, 카포시 육종, 평활근종, 혈관종, 신경 섬유종, 관상 선종(tubular adenoma), 융모상 선종, 과오종, 비뇨생식기암, 신장암, 빌름스 종양 (nephroblastoma), 뇌종양, 백혈병, 방광암, 요도암, 담낭암, 이행세포암종, 전립선암, 고환암, 정상피종, 태생성 암종, 기형암종(teratocarcinoma), 융모암종, 간질세포 암종, 섬유선종, 유선종성 종양, 간암, 간세포암(hepatoma), 간세포 암종, 담관암종, 간모세포종, 간세포 선종, 골암, 골원성 육종(골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증, 연골육종, 유잉육종, 악성 림프종(망상세포 육종), 다발성 골수종, 악성 거대세포 종양, 적삭종, 골연골성 외골증(osteocartilaginous exostoses), 양성 연골증, 연골모세포종, 연골점액섬유종, 유골골종 거대세포 종양, 신경계암, 두개골암, 골종, 육아종, 황색종, 변형성 골염, 수막암, 수막종, 수막육종, 신경교종증, 뇌암, 별아교세포종, 소모세포종, 신경교종, 뇌실막세포종, 배아세포종(germinoma)(송과체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신경초종, 망막모세포종, 선천성 종양, 척수암, , 뇌수막종, 부인과 암, 자궁암, 자궁내막암종, 자궁경관암, 자궁경부 암종, 종양전 자궁경부 이형성증(pre tumor cervical dysplasia), 난소암, 난소 암종, 장액낭선암종(serous cystadenocarcinoma), 점액낭성선암종, 대장암, 직장암, 미분류 암종(unclassified carcinoma), 과립난포막세포종양(granulosa-theca cell tumor), 세르톨리 라이디히 세포종양(Sertoli Leydig cell tumor), 미분화배세포종(dysgerminoma), 악성 기형종, 음문암, 상피내암, 흑색종, 질암, 투명세포암종, 포도상 육종, 배아형 횡문근육종, 나팔관암, 혈액학적 암(hematologic cancer), 림프모구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LL), 만성 림프모구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증식성 질환, 골수이형성 증후군(MDS), 고립성 골수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을, 피부암, 두경부암, 악성 흑색종, 기저세포 암종, 결장직장암, 이형성 모반(moles dysplastic nevi), 결장직장 암종, 골육종, 피부섬유종, 켈로이드, 내분비선암 및 신경모세포종으로부터 선택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암은 림프모구 백혈병, 림프종, 결장직장암, 다형성 교모세포종(GBM), 소모세포종, 결장직장 암종, 골육종, 또는 췌장암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암 질환은 전이성 암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패혈증, 급성 패혈증, 탈모, 모발 손실 증후군, 통풍,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강직성 척추염(AS),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APS), 근염, 피부경화증, 쇼그렌 증후군, 전신 홍반성 낭창, 혈관염, 가족성 지중해열, 신생아 시작 다발계 염증성 질환, 베체트병(Behcet's disease), 피부병, 제1형 당뇨병, 자가면역 질환, 건선, 건선성 관절염, 포진성 피부염, 심상성 천포창, 백반증, 다발성 경화증, 전신 경화증, 애디슨병,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하시모토 갑상선염(Hashimoto's disease), 중증 근무력증,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자가면역 포도막염(autoimmune uveitides),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autoimmune hemolytic anemia), 베게너 육아종증(Wegener's granulomatosis), 악성빈혈, 자가면역 혈소판 감소증, 측두 동맥염, 셀리악병, 만성 염증, 류머티즘, 뇌척수염, 감염후 소뇌염, 시신경척수염, 데빅병, 뇌염, 대사성 뇌병증, 천식, 치주염, 궤양성 대장염, 간질성 섬유종 폐, 골수 섬유증, 간 섬유증, 심근염, 원발성 담도염(primary biliary cirrhosis), 크론병, 부비강염, 고환염,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자가면역 난소염, 자가면역 부신염, 전신성 루푸스병, 경피증 또는 위궤양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리소좀 축적 질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α-만노시도시스, 아스파르틸글루코사민뇨, β-만노시도시스, 시스틴증, α-N-아세틸갈락토사미니다제 결핍증, 쉰들러병(Schindler disease), 아스파르토아실라제 또는 아미노아실라제 결핍증, 카나반병(Canavan disease), 다발성 술파타제 결핍증 또는 MSD, 스테로이드 술파타제 결핍증, 클로레스테릴 에스테르 축적 질환, 월만병(Wolman disease), 파브리병(Fabry disease), 파버병(Farber disease), 제I형, 제II형 및 제III형 고셔병(Gaucher disease), 크라베병(Krabbe disease) 및 그의 영아 발병형 및 후기 발병형의 변이형, A/B형 및 C형의 니만-피크병(Niemann-Pick disease), 푸코사이드 축적증, 갈락토시알리도시스(Galactosialidosis), 영아형, 후기 영아/연소자형 및 성인/만성형의 GM1 강글리오시드증, 활성자 결핍증, 샌드호프병(Sandhoff disease) 및 이의 변이형,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을 포함하는 GM2 강글리오시드증, 당원병, 제I형 당원병 또는 폰 기에르케병(Von Gierke disease), 제II형 당원병 또는 폼페병(Pompe disease), 제IIb형 당원병 또는 다논병(Danon disease), 제V형 당원병 또는 맥아들병(McArdle disease) 및 제VII형 당원병 또는 타루이병(Tarui disease), 이염성 백질이영양증 및 모든 그의 변이형과, 활성자 결핍증으로 인한 것, NCL1로부터 NCL10까지의 모든 이의 변이형을 포함하는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제I형 뮤코지질증, 시알리도시스(Sialidosis) 및 영아형 또는 살라병(Salla disease) 및 연소자형 등의 모든 그의 변이형, 제II형 뮤코지질증, I-세포병, 제IIIA형 또는 α/β형 뮤코지질증, 가성 헐러(Hurler) 다발성 이영양증, 제IIIC형 또는 γ형 뮤코지질증, 제IV형 뮤코지질증, 제I형 뮤코다당증, 헐러, 샤이에(Scheie) 및 헐러-샤이에 증후군, 제II형 뮤코다당증, 헌터(Hunter) 증후군, 제III형 뮤코다당증, 산필리포 (Sanfilippo) 증후군 A형/MPS III A, 산필리포 증후군 B형/MPS III B, 산필리포 증후군 C형/MPS III C 및 산필리포 증후군 D형/MPS III D, 제IV형 뮤코다당증, 모르키오(Morquio) A형/MPS IVA 및 모르키오 B형/MPS IVB, VI형 뮤코다당증, 모르토-라미병(Maroteaux-Lamy disease), 제VII형 뮤코다당증, 슬라이(Sly) 증후군, 히알루로니다제 결핍증에 의한 제IX형 뮤코다당증 또는 농축이골증(Pycnodysostosis)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신경 질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원발성 측삭 경화증(PLS),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harcot-Marie-Tooth, CMT; 유형 4J(CMT4J) 포함), 유니스-바론 증후군(Yunis-Varon syndrome), 자가포식(autophagy), 선천성 뇌병변, 다소뇌회증(polymicrogyria), 측두후두 다발성 소뇌회증(temporo-occipital polymicrogyria), 픽병(Pick'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이소체를 동반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with Lewy bodies), 루이소체를 동반한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루이소체 질환,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폴리글루타민 및 핵내 봉입체의 신경핵 봉입체 질환(diseases of neuronal nuclear inclusions of polyglutamine and intranuclear inclusion bodies), 마린스코 및 히라노바디 질환(disease of Marinesco and Hiranobodies), 타우병증(tauopathy)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신경변성(neurodegeneration), 해면형 신경변성(spongiform neurodegeneration),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 백혈성(leukoencephalopathy), 운동신경병증(motorneuropathy), 감각신경병증(sensoryneuropathy), 봉입체 질환(inclusion body disease),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palsy), 피질기저 증후군(corticobasal syndrome), 만성 외상성 뇌병증(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injury , TBI), 뇌허혈(cerebralischemia),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만성염증탈수초다발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니만-피크 C병(Niemann-Pick C disease),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뮤코리피드증 IV 형(Mucolipidosis type IV), 뮤코리피드증 V 형(Mucolipidosis type V), 신경 병증(neuropathy), 헌팅턴 병(Huntington's disease), 정신 장애(apsychiatric disorder), ADHD, 정신 분열증(schizophrenia), 기분 장애(mood disorder),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우울증(depression), 양극성 장애 I(bipolar disorder I), 양극성 장애 II(bipolar disorder II). FTD, 만성외상성 뇌병증(orchronictraumatic encephalopathy), 파브리병(Fabry's disorder), 고셔병, (Gaucher's disorder), 진행성 근육 위축(progressive muscle atrophy)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로 암, 염증 형성, 리소좀 축적, 신경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 종류 및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투여될 수 있으나, 삼투압 펌프(osmotic pump)를 이용한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 정맥주사(intravein injection), 복강주사(intraperitoneal injection), 안구 주사 (intravitreal injection) 경막내, 내이, 복강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설하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0.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고형 제제로 제제화된 경우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액상 제제화된 경우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제화된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PIKfyve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암"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염증성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리소좀 축적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정의된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신경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대상체"란 암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용한 치료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동물일 수 있으나, 암의 증상을 갖거나 이러한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대상체면 제한없이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술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기존의 암, 염증성 질환 또는 리소좀 축적 질환의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는 용어는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상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나타낸다.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목적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 경막내 투여,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내이 투여, 자궁내 경막 투여, 설하 투여,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함으로써, 징후의 발현 전에 질병 그 자체를 다룰 뿐만 아니라, 이의 징후를 저해하거나 피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 특정 활성 성분의 예방적 또는 치료학적 용량은 질병 또는 상태의 본성(nature)과 심각도, 그리고 활성 성분이 투여되는 경로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용량 및 용량의 빈도는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적합한 용량 용법은 이러한 인자를 당연히 고려하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함께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활성 제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투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활성제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함께 시너지 효과 또는 보조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리소좀 축적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1 내지 2-7, 및 화학식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로써 PIKfyve 억제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사 안정성 및 체내 안정성이 우수하여 PIKfyve 활성 관련 암 질환, 염증성 질환, 리소좀 축적 질환 또는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종양 조직 내 약력학 분석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된 시약 및 용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igma-Aldrich, TCI 등으로부터 구입한 것이며, HPLC는 Waters사의 Alliance HPLC system 등을 사용하였으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 실리카 겔은 Biotage사 Flash purification system을 사용하였다. 1H NMR 데이터는 Bruker 사의 AscendTM 시스템을 사용하여 400 MHz로 측정하였으며, Mass Spectrum은 Waters사의 Masslynx MS 시스템 등을 사용하였다.
1H 핵 자기 공명(NMR) 스펙트럼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실시예 화합물들의 화학구조와 일치하였다.
특징적인 화학적 이동(δ은, 중수소화된 용매 중의 잔류 양성자 신호에 대한 ppm(part-per-million)(CDCl3: 7.27 ppm; CD3OD: 3.31 ppm; DMSO-d 6: 2.50 ppm)으로 제시되며, 주요 피크의 지정에 대한 통상적인 약어로 보고된다: 예를 들면, s, 단일항; d, 이중항; t, 삼중항; q, 사중항; m, 다중항; br, 넓음.
<실시예>
실시예 1.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 H -피롤로[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8
(단계 a) 디에틸 2-알릴말로네이트의 합성
21% 소듐에톡사이드 (17.6 mL)에 디에틸 말로네이트 (4.7 mL)을 첨가하였다. 45 ℃의 온도에서 고체가 녹는 것을 확인한 후 알릴 브로마이드(2.6 mL)을 첨가하여 60 ℃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감압 농축기로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디에틸 2-알릴말로네이트 (1.6 g)를 2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01 (M+1, ESI+).
(단계 b) 5-알릴피리미딘-2,4,6(1H,3H,5H)-트리온의 합성
디에틸 2-알릴말로네이트 (1.6 g)을 에탄올 (4.0 mL)에 녹인 후 유레아 (479.9 mg)와 21% 소듐에톡사이드 (3.0 mL)을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100 ℃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식힌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 화합물 5-알릴피리미딘-2,4,6(1H,3H,5H)-트리온 (730.0 mg)을 5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69 (M+1, ESI+).
(단계 c) 5-알릴-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의 합성
5-알릴피리미딘-2,4,6(1H,3H,5H)-트리온 (526.0 mg)을 염화 포스포릴 (3.2 mL)에 녹이고 N,N-디메틸아닐린 (0.6 mL)을 첨가한 후, 반응 용액을 120 ℃에서 2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식힌 후 농축하였다. 다음으로,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 후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5-알릴-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440.0 mg)을 4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24 (M+1, ESI+).
(단계 d) 2-(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일)아세트알데히드의 합성
5-알릴-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440.0 mg)을 아세톤 (5.0 mL) 및 증류수 (5.0 mL)에 녹인 후 포타슘 오스메이트(IV)디히드레이트 (36.3 mg)과 소듐 페리오데이트 (1.7 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생성된 고체를 제거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액을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증류수를 첨가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2-(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일)아세트알데히드 (330.0 mg)을 7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26 (M+1, ESI+).
(단계 e) 2,4-디클로로-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의 합성
2-(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일)아세트알데히드 (200.0 mg)에 2-페닐에텐아민 (122.6 μL), 아세트산 (112.7 μL) 및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78.0 m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2,4-디클로로-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 (150.0 mg)을 5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5 (M+1, ESI+).
(단계 f) 4-(4-클로로-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2,4-디클로로-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 (15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0 mL)에 녹인 후 모르폴린 (0.2 mL)을 첨가하여 50 ℃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하였으며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 화합물 4-(4-클로로-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80.0 mg)을 10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46 (M+1, ESI+).
(단계 g) 4-(4-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4-(4-클로로-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80.0 mg)에 N-메틸-2-피롤리돈 (2.0 mL),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27.2 μ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1.8 μL)을 첨가한 후 마이크로웨이브로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별도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z = 342 (M+1, ESI+).
(단계 h)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4-(4-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53.0 mg)을 메탄올 (3.0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5 방울),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131.2 μ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 후 프리퍼레이티브 씬 레이어(Preparative thin layer)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7.0 mg)을 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 (s, 1H), 7.91 (s, 1H), 7.37 (d, J = 8.0 Hz, 1H), 7.33 - 7.26 (m, 6H), 7.21 - 7.17 (m, 1H), 7.12 (d, J = 7.6 Hz, 1H), 3.67 (s, 8H), 3.60 - 3.46 (m, 4H), 3.13 (t, J = 8.6 Hz, 2H), 2.84 (t, J = 7.4 Hz, 2H), 2.32 (s, 3H). MS: m/z = 443 (M+1, ESI+).
실시예 2. ( E )-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6,7-디히드로-5 H -피롤로[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29
(단계 a) 5-(2-히드록시에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6-디올의 합성
메틸 2-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카르복실레이트 (5.0 g)을 메탄올 (40.0 mL)에 녹인 후 모르폴린-4-카르복사마이드 (5.0 g) 및 25% 소듐메톡사이드 (12.0 mL)을 첨가하고 9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별도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z = 242 (M+1, ESI+).
(단계 b) 4-(4,6-디클로로-5-(2-클로로에틸)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5-(2-히드록시에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6-디올 (5.0 g)에 염화 포스포릴 (33.8 mL)을 첨가한 후 100 ℃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 종결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4-(4,6-디클로로-5-(2-클로로에틸)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1 g)을 3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6 (M+1, ESI+).
(단계 c) 6-클로로-5-(2-클로로에틸)-N-이소부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아민의 합성
4-(4,6-디클로로-5-(2-클로로에틸)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00.0 mg)을 아세토니트릴 (12.0 mL)에 녹인 후 1-시클로프로필에텐온 (155.4 μ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93.7 μL)을 첨가하고 120 ℃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 후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 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6-클로로-5-(2-클로로에틸)-N-이소부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아민 (150.0 mg)을 6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33 (M+1, ESI+).
(단계 d) 4-(4-클로로-7-이소부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6-클로로-5-(2-클로로에틸)-N-이소부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아민 (150.0 mg)을 아세토니트릴 (7.5 mL)에 녹인 후 소듐 아이오디드 (134.9 mg) 및 세슘 카보네이트 (433.6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4-(4-클로로-7-이소부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25.0 mg)을 9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7 (M+1, ESI+).
(단계 e) 4-(4-히드라지닐-7-이소부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4-(4-클로로-7-이소부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25.0 mg)을 N-메틸-2-피롤리돈 (3.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02.6 μ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46.7 μL)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12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 후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z = 293 (M+1, ESI+).
(단계 f)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4-(4-히드라지닐-7-이소부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00.0 mg)을 메탄올 (1.1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10 방울)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60.4 μ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액을 농축 후,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36.0 mg)을 2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 (s, 1H), 7.91 (s, 1H), 7.37 (d, J = 7.6 Hz, 1H), 7.33 (s, 1H), 7.27 (t, J = 7.6 Hz, 1H), 7.12 (d, J = 7.2 Hz, 1H), 3.66 - 3.60 (m, 8H), 3.49 (t, J = 8.6 Hz, 2H), 3.17 (t, J = 8.6 Hz, 2H), 3.09 (d, J = 7.2 Hz, 2H), 2.32 (s, 3H), 0.88 - 0.84 (m, 6H). MS: m/z = 395 (M+1, ESI+).
실시예 3. ( E )-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0
(단계 a) 2-클로로-4-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합성
2,4-디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g),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5.2 m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6.4 mL)에 넣어 현탁액으로 만든 뒤 70 ℃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4-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10.4 g)을 9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88 (M+1, ESI+).
(단계 b) (E)-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합성
2-클로로-4-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10.4 g),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6.8 mL)를 에탄올 (568 mL)에 넣어 현탁액으로 만든 뒤 촉매 당량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6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노란색 가루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12.7 g)을 7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6 (M+1, ESI+).
(단계 c)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5.7 g)을 모르폴린 (100.0 mL)에 녹인 뒤 9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5 g)을 3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37 (M+1, ESI+).
(단계 d)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14.0 mg), 1-아이오도-2-메틸프로판 (39.0 μL) 및 세슘 카보네이트 (132.5 mg)를 디메틸포름알데히드 (0.47 mL)에 녹인 뒤, 5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38 mg)을 2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8.40 (s, 1H), 7.83 (s, 1H), 7.61 (d, J = 7.6 Hz, 1H), 7.58 (s, 1H), 7.36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7.14-7.13 (m, 1H), 6.89-6.88 (m, 1H), 4.29 (d, J = 3.8 Hz, 2H), 3.85-3.79 (m, 8 H), 2.45 (s, 3H), 2.33-2.26 (m, 1H), 1.05 (s, 3H), 1.03 (s, 3H). MS: m/z = 393 (M+1, ESI+).
실시예 4.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피롤로[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실시예 3>의 (단계 a) 내지 (단계 c)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660.0 mg), (2-브로모에틸)벤젠 (265.0 μL), 세슘 카보네이트 (767 mg)를 디메틸포름알데히드(98 mL)에 녹인 뒤, 60 ℃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여 농축하고, 헥산/아세트산 에틸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5.0 mg)을 2.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 6): δ 11.18 (s, 1H), 8.13 (s, 1H), 7.65-7.62 (m, 2H), 7.42-7.22 (m, 7H), 6.97-6.95 (m, 1H), 6.88-6.87 (m, 1H), 4.57 (t, J = 7.8 Hz, 2H), 3.71-3.66 (m, 8H), 2.94 (t, J = 7.8 Hz, 2H), 2.40 (s, 3H). MS: m/z = 441 (M+1, ESI+).
실시예 5.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2-(피리딘-2-일)에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하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2-(피리딘-2-일)에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 6) δ 11.10 (s, 1H), 8.52-8.51 (m, 1H), 8.09 (s, 1H), 7.66 (td, J = 7.8, 1.8 Hz, 1H), 7.50 (d, J = 7.6 Hz, 1H), 7.46 (s, 1H), 7.33 (t, J = 7.6 Hz, 1H), 7.24-7.17 (m, 3H), 6.87 (d, J = 3.2 Hz, 1H), 6.69 (d, J = 3.6 Hz, 1H), 4.43 (t, J = 7.2 Hz, 2H), 3.75-3.62 (m, 8H), 3.23 (t, J = 7.2 Hz, 2H), 2.37 (s, 3H). MS: m/z = 442 (M+1, ESI+).
실시예 6. ( E )-4-(7-(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하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7-(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 6) δ 11.15 (s, 1H), 8.75-8.74 (m, 1H), 8.10 (s, 1H), 7.93 (td, J = 7.8, 1.8 Hz, 1H), 7.59-7.56 (m, 2H), 7.33 (d, J = 8 Hz, 1H), 7.47 (s, 1H), 7.35 (t, J = 7.6 Hz, 1H), 7.21 (d, J = 7.2 Hz, 1H), 6.88 (d, J = 3.6 Hz, 1H), 6.79 (d, J = 3.2 Hz, 1H), 4.97 (t, J = 14.4 Hz, 2H), 3.66-3.61 (m, 8H), 2.37 (s, 3H); MS: m/z = 478 (M+1, ESI+).
실시예 7. ( E )-4-(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3-페닐이미다조[1,2- b ]피리다진-6-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1
(단계 a) 8-브로모-6-클로로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합성
4-브로모-6-클로로피리다진-3-아민 (5 g)에 2-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18.83 g) 및 에탄올 (100 mL)을 첨가 후 85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를 통해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8-브로모-6-클로로이미다조[1,2-b]피리다진 (4.7 g)을 84.3%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233.0 (M+1, ESI+).
(단계 b) 8-브로모-6-클로로-3-아이오도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합성
8-브로모-6-클로로이미다조[1,2-b]피리다진 (3 g)에 N-요오도숙신이미드 (3.6 g),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64 g) 및 클로로포름 (50 mL)을 첨가 후 25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이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8-브로모-6-클로로-3-아이오도이미다조[1,2-b]피리다진 (5.4 g)을 합성하였다. MS: m/z = 359.0(M+1, ESI+)
(단계 c) 6-클로로-8-히드라지닐-3-아이오도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합성
8-브로모-6-클로로-3-아이오도이미다조[1,2-b]피리다진 (5.3 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 및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7.41 g)을 첨가 후 2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 첨가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클로로-8-히드라지닐-3-아이오도이미다조[1,2-b]피리다진 (3.4 g)을 74.6%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09.1(M+1, ESI+).
(단계 d) (E)-6-클로로-3-아이오도-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합성
6-클로로-8-히드라지닐-3-아이오도이미다조[1,2-b]피리다진 (3.4 g)에 아세트산 (0.5 mL), 3-메틸벤즈알데히드 (1.59 g) 및 메탄올 (40 mL)을 첨가 후 70 ℃에서 15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6-클로로-3-아이오도-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 (4.3 g)을 95%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411.1(M+1, ESI+).
(단계 e) (E)-4-(3-아이오도-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의 합성
(E)-6-클로로-3-아이오도-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 (2.8 g)에 아세트산 (0.5 mL), 모르폴린 (5.94 g)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30 mL)을 첨가하여 17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3-아이오도-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 (270 mg)을 8.57%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463.1(M+1, ESI+).
(단계 f) (E)-4-(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3-페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의 합성
(E)-4-(3-아이오도-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 (186 mg)에 페닐보로닉 산 (186 mg), Pd(dppf)Cl2 (37 mg), 세슘 카보네이트 (413 mg),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및 증류수 (1 mL)를 첨가 후 1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3-페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 (16.18 mg)을 7.55%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44 (s, 1H), 8.17 (d, J = 7.6 Hz, 2H), 7.91 (s, 1H), 7.60 (d, J = 7.6 Hz, 1H), 7.56 (s, 1H), 7.48 (t, J = 7.6 Hz, 3H), 7.33 (q, J = 7.0 Hz, 2H), 7.22 (d, J = 7.7 Hz, 1H), 6.71 (s, 1H), 3.79 (s, 4H), 3.48 (s, 4H), 2.37 (s, 3H). MS: m/z =413.3(M+1, ESI+).
실시예 8.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 H -피롤로[3,2-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2
(단계 a) 7-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의 합성
7-브로모-2,4-디클로로-5H-피롤로[3,2-d]피리미딘 (70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0.5 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한 후 형성된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7-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 (620.0 mg)을 90.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1.8 (M+1, ESI+).
(단계 b) (E)-7-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의 합성
7-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 (300.0 mg)을 메탄올 (10.0 mL)로 녹인 후 아세트산 (0.2 mL)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275.0 mg)를 첨가하여 70 ℃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7-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 (350.0 mg)을 84.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64.3 (M+1, ESI+).
(단계 c)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7-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 (35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mL)에 녹인 후 모르폴린 (1.0 mL), 아세트산 (0.2 mL)을 첨가하여 120 ℃에서 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60.0 mg)을 65.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416.4 (M+1, ESI+).
(단계 d)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60.0 mg)을 1,4-디옥산 (5.0 mL)에 녹인 후 페닐보로닉 산 (153.0 mg), 포타슘 카보네이트 (260.0 mg), 증류수 (1.0 mL), Pd(dppf)Cl2 (50.0 mg)을 첨가한 후 10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후, 건조하여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30.0 mg)을 12.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23 (s, 1H), 10.40 (s, 1H), 8.21 - 8.17 (m, 3H), 7.91 (s, 1H), 7.72 (d, J = 7.6 Hz, 1H), 7.63 (s, 1H), 7.37 (q, J = 7.5 Hz, 3H), 7.25 - 7.12 (m, 2H), 3.71 (s, 8H), 2.39 (s, 3H); MS: m/z = 413.2 (M+1, ESI+).
실시예 9. ( E )-4-(5-메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 H -피롤로[3,2-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8>과 같이 합성하되 실시예 8의 (단계 a)에서 7-브로모-2,4-디클로로-5H-피롤로[3,2-d]피리미딘 대신에 7-브로모-2,4-디클로로-5-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5-메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50 (s, 1H), 8.25 (s, 1H), 8.14 (d, J = 7.6 Hz, 2H), 7.95 (s, 1H), 7.48 (d, J = 6.5 Hz, 2H), 7.39 - 7.32 (m, 3H), 7.21 (d, J = 7.5 Hz, 1H), 7.15 (t, J = 7.2 Hz, 1H), 4.02 (s, 3H), 3.72 (s, 8H), 2.36 (s, 3 H); MS: m/z = 427.2 (M+1, ESI+).
실시예 10. ( E )-4-(5-이소프로필-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 H -피롤로[3,2-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8>과 같이 합성하되 실시예 8의 (단계 a)에서 7-브로모-2,4-디클로로-5H-피롤로[3,2-d]피리미딘 대신에 7-브로모-2,4-디클로로-5-이소프로필-5H-피롤로[3,2-d]피리미딘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5-이소프로필-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48 (s, 1H), 8.21 (dd, J = 18.7, 12.5 Hz, 3H), 7.46 (d, J = 19.5 Hz, 2H), 7.35 (dt, J = 14.8, 7.2 Hz, 3H), 7.23 - 7.10 (m, 2H), 5.38 (s, 1H), 3.72 (s, 8H), 2.35 (s, 3H), 1.43 (d, J = 5.5 Hz, 6H); MS: m/z = 455.2 (M+1, ESI+).
실시예 11.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싸이에노[3,2-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3
(단계 a) 7-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의 합성
7-브로모-2,4-디클로로싸이에노[3,2-d]피리미딘 (94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1.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212.2 mg)을 첨가하여 5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후, 건조하여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7-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 (550.0 mg)을 59.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9 (M+1, ESI+).
(단계 b) (E)-7-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의 합성
7-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 (550.0 mg)을 메탄올 (6.6 mL)에 녹인 후 m-톨루알데히드 (354.6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후, 건조하여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7-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 (400.0 mg)을 53.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1 (M+1, ESI+).
(단계 c)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7-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 (100.0 mg)을 N-메틸-2-피롤리돈 (1.1 mL)에 녹인 후 모르폴린 (68.5 μ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36.9 μL)을 첨가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20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80.0 mg)을 70.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32 (M+1, ESI+).
(단계 d)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80.0 mg)을 1,4-디옥산 (5.0 mL)으로 녹인 후 Pd(dppf)Cl2 (6.8 mg), 페닐보로닉 산 (112.8 mg), 소듐 카보네이트 (49.0 mg) 및 증류수 (1.7 mL)를 첨가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140 ℃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0.0 mg)을 25.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 6): δ 11.80 (s, 1H), 8.40 (s, 1H), 8.15 (s, 1H), 8.09 (d, J = 7.2 Hz, 2H), 7.66 (d, J = 8.0 Hz, 1H), 7.60 (s, 1H), 7.46 (t, J = 7.6 Hz, 2H), 7.39 (t, J = 7.8 Hz, 1H), 7.33 (t, J = 7.4 Hz, 1H), 7.25 (d, J = 7.6 Hz, 1H), 3.72 (d, J = 6.4 Hz, 1H), 2.39 (s, 3H); MS: m/z = 430 (M+1, ESI+)
실시예 12. ( E )-4-(4-(2-벤질리덴히드라지닐)-7-(1-메틸-1 H -피라졸-4-일)싸이에노[3,2-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페닐보로닉 산 대신에 (1-메틸피라졸-4-일)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반응 후 목적 화합물 (E)-4-(4-(2-벤질리덴히드라지닐)-7-(1-메틸-1H-피라졸-4-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75 (s, 1H), 8.37 (s, 1H), 8.18 (s, 1H), 8.14 (s, 1H), 8.11 (s, 1H), 7.64 (d, J = 7.6 Hz, 1H), 7.59 (s, 1H), 7.39 (t, J = 7.6 Hz, 1H), 7.24 (d, J = 7.6 Hz, 1H), 3.91 (s, 3H), 3.74 (d, J = 5.2 Hz, 8H), 2.38 (s, 3H); MS: m/z =434(M+1, ESI+).
실시예 13.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 H -피라졸로[3,4- d ]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4
(단계 a)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3-아이오도피리딘 (1 g)에 디클로로메탄 (15 mL), 3-클로로벤조퍼옥소익산 (1.26 g)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닉산 (2.93 g)을 0 ℃에서 첨가 후 25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시틸렌 (0.65 g)을 0 ℃에서 첨가 후 25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 후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 g)을 63%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24.0(M+1-TfO-, ESI+).
(단계 b) 4,6-디클로로-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0.9 g)에 4,6-디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0.262 g), 트리에틸아민 (0.211 g), 브롬화구리 (0.04 g) 및 디클로로메탄 (15 mL)을 첨가 후 6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 후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디클로로-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300 mg)을 53%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266.0 (M+1, ESI+).
(단계 c) 6-클로로-4-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4,6-디클로로-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300 mg)에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0.15 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 mL)을 첨가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 화합물 6-클로로-4-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10 mg)을 70.35%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262.1(M+1, ESI+).
(단계 d) (E)-6-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6-클로로-4-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10 mg)에 3-메틸벤즈알데히드 (61 mg), 아세트산 (3 μg) 및 메탄올 (5 mL)을 첨가 후 7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E)-6-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01 mg)을 66.04%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64.1(M+1, ESI+).
(단계 e)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E)-6-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01 mg)에 모르폴린 (121 mg), 아세트산 (2 μg)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5 mL)을 첨가하여 1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rep-HPLC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6.4 mg)을 5.56%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92 - 11.65 (m, 1H), 9.52 - 9.39 (m, 1H), 8.67 - 8.56 (m, 1H), 8.54 - 8.46 (m, 1H), 8.43 (s, 1H), 8.21 (s, 1H), 7.68 - 7.52 (m, 3H), 7.43 - 7.33 (m, 1H), 7.29 - 7.22 (m, 1H), 3.80 (s, 4H), 3.70 (s, 4H), 2.39 (s, 3H); MS: m/z = 414.19 (M+1, ESI+).
실시예 14.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 H -피라졸로[3,4- d ]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5
(단계 a) 4,6-디클로로-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카르발데히드 (600 mg)에 에탄올 (20 mL), 페닐히드라진 (308 mg) 및 트리에틸아민 (866 mg)을 -78 ℃에서 첨가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적으로 0 ℃에서 3시간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디클로로-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500 mg)을 66.28%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85 (s, 1H), 8.08 (d, J = 8.0 Hz, 2H), 7.68 (t, J = 7.6 Hz, 2H), 7.52 (t, J = 7.2 Hz, 1H). MS: m/z = 265.1 (M+1, ESI+).
(단계 b) 6-클로로-4-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4,6-디클로로-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단계 c)와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클로로-4-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420 mg)을 94.77%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261.2(M+1, ESI+).
(단계 c) (E)-6-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6-클로로-4-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단계 d)와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6-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400 mg)을 68.40%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63.1(M+1, ESI+).
(단계 d)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E)-6-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단계 e)와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100 mg)을 21.91%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77 (s, 1H), 8.40 (s, 1H), 8.30 - 8.19 (m, 3H), 7.63 - 7.56 (m, 2H), 7.53 (t, J = 8.0 Hz, 2H), 7.39 (t, J = 7.6 Hz, 1H), 7.32 - 7.22 (m, 2H), 3.87 - 3.76 (m, 4H), 3.75 - 3.64 (m, 4H), 2.40 (s, 3H); MS: m/z = 414.3 (M+1, ESI+).
실시예 15.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2-일)-1 H -피라졸로[3,4- d ]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되 <실시예 14>의 (단계 a)에서 페닐히드라진 대신에 2-히드라지닐피리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2-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35 mg)을 30.7%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99 (s, 1H), 9.34 (s, 1H), 8.57 (d, J = 4.4 Hz, 1H), 8.25 (s, 1H), 8.11 - 8.04 (m, 2H), 7.63 (s, 1H), 7.54 (d, J = 7.6 Hz, 1H), 7.47 - 7.38 (m, 2H), 7.29 (d, J = 7.2 Hz, 1H), 3.82 - 3.74 (m, 4H), 3.72 - 3.64 (m, 4H), 2.43 (s, 3H); MS: m/z = 415.3 (M+1, ESI+).
실시예 16.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 H -피라졸로[3,4- d ]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6
(단계 a) 4-(벤질옥시)-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의 합성
페닐메탄올 (720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 및 소듐 하이드라이드 (267 mg)을 첨가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녹인 4,6-디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05 g)을 첨가 후 7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벤질옥시)-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895 mg)을 61.96%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7.92 (s, 1H), 7.49 (d, J = 7.2 Hz, 2H), 7.39 (t, J = 7.2 Hz, 2H), 7.36 - 7.25 (m, 2H), 5.47 (s, 2H). MS: m/z = 261.1(M+1, ESI+).
(단계 b) 4-(4-(벤질옥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4-(벤질옥시)-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850 mg)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20 mL), 아세트산 (196 mg) 및 모르폴린 (1.42 g)을 첨가 후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4-(벤질옥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900 mg)을 88.5%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12 (s, 1H), 7.94 (s, 1H), 7.57 - 7.53 (m, 2H), 7.48 - 7.36 (m, 4H), 5.60 (s, 2H), 3.82 - 3.78 (m, 4H), 3.73 - 3.70 (m, 4H). MS: m/z = 312.1(M+1, ESI+).
(단계 c) 4-(4-(벤질옥시)-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4-(4-(벤질옥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700 mg)에 트리에틸아민 (338 mg), 디클로로메탄 (20 mL) 및 메시틸(피리딘-4-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39 g) 및 브롬화구리 (65 mg)을 6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4-(벤질옥시)-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350 mg)을 40.08%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89.1(M+1, ESI+).
(단계 d) 6-모르폴리노-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올의 합성
4-(4-(벤질옥시)-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300 mg)에 디클로로메탄 (2 mL) 및 트리플루오아세트산 (2 mL) 첨가 후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모르폴리노-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올 (230 mg)을 99.8%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299.0 (M+1, ESI+).
(단계 e) 6-모르폴리노-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의 합성
6-모르폴리노-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올 (230 mg)에 디클로로메탄 (10 mL), 트리에틸아민 (390 mg) 및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221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모르폴리노-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 (265 mg)을 75.95%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53.0 (M+1, ESI+).
(단계 f) 4-(4-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6-모르폴리노-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 (265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 및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47 mg)을 첨가 후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4-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186 mg)을 합성하였다. MS: m/z = 313.1 (M+1, ESI+).
(단계 g)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의 합성
4-(4-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206 mg)에 메탄올 (5 mL) 첨가 후 아세트산 (12 mg)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158 mg)을 첨가 후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40 mg)을 14.63%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80 (s, 1H), 8.67 (s, 2H), 8.42 (s, 1H), 8.37 - 8.25 (m, 2H), 8.20 (s, 1H), 7.61 - 7.50 (m, 2H), 7.41 - 7.33 (m, 1H), 7.29 - 7.21 (m, 1H), 3.87 - 3.77 (m, 4H), 3.76 - 3.67 (m, 4H), 2.39 (s, 3H); MS: m/z = 415.3 (M+1, ESI+).
실시예 17. ( E )-4-(9-이소부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7
(단계 a) 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515.8 μL)을 증류수 (10.6 mL)에 녹인 뒤 11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증류수로 여과하여 노란색 가루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 (950 mg)을 9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85 (M+1, ESI+)
(단계 b)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 (950 mg)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620 μL)을 에탄올 (52 mL)에 녹인 뒤 촉매 당량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 에틸로 여과하여 흰색 가루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1.2 g)을 7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7 (M+1, ESI+)
(단계 c)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1.2 g)을 모르폴린 (20.4 mL)에 녹여 9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증류한 뒤, 아세트산 에틸/디클로로메탄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205 mg)을 1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38 (M+1, ESI+)
(단계 d) (E)-4-(9-이소부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205 mg), 1-아이오도-2-메틸프로판 (70 μL) 및 세슘 카보네이트 (237.6 mg)을 디메틸포름알데히드 (0.9 mL)에 녹인 뒤 5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여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은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이소부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43 mg)을 1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79 (s, 1H), 7.96 (s, 1H), 7.62-7.57 (m, 3H), 7.33 (t, J = 3.8 Hz, 1H), 7.23 (d, J = 14 Hz, 1H), 3.89-3.82 (m, 10H), 2.42 (s, 3H), 2.31-2.24 (m, 1H), 0.99 (s, 3H), 0.97 (s, 3H). MS: m/z = 394 (M+1, ESI+).
실시예 18.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펜에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8
(단계 a)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펜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실시예 17의 (단계 a) 내지 (단계 c)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100.0 mg), (2-브로모에틸)벤젠 (33.4 μL) 및 세슘 카보네이트 (96.6 mg)을 디메틸포름알데히드(0.35 mL)에 녹여 100 ℃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여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은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펜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56.6 mg)을 5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90 (s, 1H), 7.96 (s, 1H), 7.61 (s, 1H), 7.58 (d, J = 8 Hz, 2H), 7.34-7.27 (m, 2H), 7.26-7.23 (m, 1H), 7.21 (d, J = 7.6 hz, 1H), 7.13-7.11 (m, 2H), 4.33 (t, J = 7.2 Hz, 2H), 3.93-3.91 (m, 4H), 3.86-3.84 (m, 4H), 3.18 (t, J = 7.2 hz, 2H), 2.42 (s, 3H); MS: m/z = 442 (M+1, ESI+).
실시예 19. ( E )-1-시클로프로필-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시클로프로필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시클로프로필-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2 (s, 1H), 8.25 (s, 1H), 7.84 (s, 1H), 7.55 (d, J = 7.6 Hz, 1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5.20 (s, 2H), 3.68 (d, J = 3.2 Hz, 8H), 2.35 (s, 3H), 2.24 - 2.15 (m, 1H), 1.06 - 0.92 (m, 4H); MS: m/z = 420.2 (M+1, ESI+).
실시예 20.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메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피리딘-2-일에탄설포네이트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8 (s, 1H), 8.58 (d, J = 4.4 Hz, 1H), 8.32 (s, 1H), 8.09 (s, 1H), 7.84 (td, J = 7.7, 1.4 Hz, 1H), 7.69 - 7.45 (m, 2H), 7.38 - 7.16 (m, 4H), 5.44 (s, 2H), 3.72 (d, J = 3.6 Hz, 10H), 2.41 (s, 3H); MS: m/z = 429.1 (M+1, ESI+).
실시예 21. ( E )-4-(9-(시클로프로필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브로모메틸)시클로프로판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시클로프로필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0 (s, 1H), 8.25 (s, 1H), 7.99 (s, 1H), 7.55 (d, J = 7.8 Hz, 1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3.90 (d, J = 7.1 Hz, 2H), 3.70 (d, J = 7.6 Hz, 8H), 2.35 (s, 3H), 1.28 (s, 1H), 0.52 (d, J = 7.4 Hz, 2H), 0.44 (d, J = 3.8 Hz, 2H); MS: m/z = 392.4 (M+1, ESI+).
실시예 22.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페닐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5 (s, 1H), 8.28 (s, 1H), 8.13 (d, J = 7.4 Hz, 2H), 7.91 (s, 1H), 7.75 (t, J = 7.4 Hz, 1H), 7.67 - 7.54 (m, 3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4 Hz, 1H), 5.75 (s, 2H), 3.64 (d, J = 5.1 Hz, 9H), 2.36 (s, 3H); MS: m/z = 456.2 (M+1, ESI+).
실시예 23.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8.85 (d, J = 4.5 Hz, 1H), 8.28 (s, 1H), 8.06 (dd, J = 21.7, 7.6 Hz, 2H), 7.92 (s, 1H), 7.79 (s, 1H), 7.60 - 7.45 (m, 2H), 7.33 (s, 1H), 7.20 (d, J = 7.4 Hz, 1H), 5.84 (s, 2H), 3.63 (s, 8H), 2.34 (d, J = 13.4 Hz, 3H); MS: m/z = 457.2 (M+1, ESI+).
실시예 24. ( E )-2-(6-(2-((1 H -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H-인돌-3-카브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녹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0 (s, 1H), 11.08 (s, 1H), 8.85 (d, J = 4.4 Hz, 1H), 8.47 (s, 1H), 8.14 - 8.00 (m, 3H), 7.91 (s, 1H), 7.81 - 7.76 (m, 1H), 7.70 (s, 1H), 7.41 (d, J = 8.0 Hz, 1H), 7.18 (t, J = 7.4 Hz, 1H), 7.11 (t, J = 7.4 Hz, 1H), 5.84 (s, 2H), 3.67 (d, J = 11.3 Hz, 8H); MS: m/z = 482.1 (M+1, ESI+).
실시예 25. ( E )-1-(4-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4-클로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4-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7 (s, 1H), 8.15 (dd, J = 6.8, 1.6 Hz), 7.91 (s, 1H), 7.76-7.70 (m, 2H), 7.58 (d, J = 7.6 Hz, 1H), 7.53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75 (s, 2H), 3.75-3.60 (m, 8H), 2.37 (s, 3H); MS: m/z = 490 (M+1, ESI+).
실시예 26. ( E )-4-(9-(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39
(단계 a) 2-(2,6-디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0 mL)에 녹인 후 2-(브로모아세틸)피리딘 히드로브로마이드 (1.5 g) 및 포타슘 카보네이트 (2.2 g)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6-디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780.0 mg)을 48.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08.1(M+1, ESI+)
(단계 b) 2,6-디클로로-9-(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9H-퓨린의 합성
2-(2,6-디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670.0 mg)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인 후 디에틸아미노설퍼 트리플루오라이드 (782.0 mg)을 0 ℃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9H-퓨린 (460.0 mg)을 64.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330.1(M+1, ESI+)
(단계 c)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b)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5 (s, 1H), 8.73 (s, 1H), 8.27 (s, 1H), 7.90 (s, 2H), 7.64 - 7.50 (m, 4H), 7.31 (s, 1H), 7.18 (s, 1H), 5.02 (s, 2H), 3.66 (s, 8H), 2.33 (s, 3H); MS: m/z = 479.3 (M+1, ESI+).
실시예 27.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롤리딘-1-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0
(단계 a) 2-클로로-1-(피롤리딘-1-일)에탄-1-온의 합성
피롤리딘 (2.0 g)과 트리에틸아민 (8.52 g)을 디클로로메탄 (60 mL)에 녹인 후,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4.76 g)를 0 ℃에서 첨가하여 30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1-(피롤리딘-1-일)에탄-1-온 (4.23 g)을 별도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 /z = 149.1 (M+2, ESI+).
(단계 b)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롤리딘-1-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27 (s, 1H), 7.84 (s, 1H), 7.57 (d, J = 8.0 Hz, 1H), 7.50 (s, 1H), 7.32 (t, J = 8.0 Hz, 1H), 7.18 (d, J = 8.0 Hz, 1H), 4.91 (s, 2H), 3.69 (dd, J = 15.4, 4.5 Hz, 8H), 3.58 (t, J = 6.8 Hz, 2H), 3.32 (t, J = 6.8 Hz, 2H), 2.34 (s, 3H), 1.99-1.90 (m, 2H), 1.82 - 1.76 (m, 2H); MS: m/z = 449.1 (M+1, ESI+).
실시예 28.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3-일)에탄-1-온 히드로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5 (s, 1H), 9.29 (s, 1H), 8.89 (d, J = 4.0 Hz, 1H), 8.45 (d, J = 8.0 Hz, 1H), 8.27 (s, 1H), 7.91 (s, 1H), 7.66 (dd, J = 8.0, 4.0 Hz, 1H), 7.57 (d, J = 8.0 Hz, 1H), 7.50 (s, 1H), 7.33 (t, J = 8.0 Hz, 1H), 7.19 (d, J = 4.0 Hz, 1H), 5.79 (s, 2H), 3.64 (d, J = 8.0 Hz, 8H), 2.36 (s, 3H); MS: m/z = 457.9 (M+1, ESI+).
실시예 29. ( E )-1-(인돌린-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단계 a) 2-클로로-1-(인돌린-1-일)에탄-1-온의 합성
인돌린 (3.0 g)과 트리에틸아민 (3.06 g)을 디클로로메탄 (40 mL)에 녹인 후,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3.13 g)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의 공기를 N2 기체로 치환한 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1-(인돌린-1-일)에탄-1-온 (4.0 g)을 8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96.0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인돌린-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2 (s, 1H), 8.27 (s, 1H), 7.97 (d, J = 8.0 Hz, 1H), 7.90 (s, 1H), 7.56 (d, J = 8.0 Hz, 1H), 7.50 (s, 1H), 7.35 - 7.28 (m, 2H), 7.17 (dd, J = 16.4, 8.0 Hz, 2H), 7.04 (t, J = 7.2 Hz, 1H), 5.13 (s, 2H), 4.30 (t, J = 8.4 Hz, 2H), 3.74 - 3.68 (m, 4H), 3.68 - 3.62 (m, 4H), 3.26 (t, J = 8.4 Hz, 2H), 2.36 (s, 3H); MS: m/z = 497.2 (M+1, ESI+).
실시예 30. ( E )-1-(1-메틸-1 H -피롤-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단계 a) 2-클로로-1-(1-메틸-1H-피롤-2-일)에탄-1-온의 합성
1-메틸-1H-피롤 (3.0 g)과 산화아연 (752 mg) 혼합 용액에 2-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4.18 g)를 0 ℃에서 첨가한 뒤,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보라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1-(1-메틸-1H-피롤-2-일)에탄-1-온 (1.90 g)을 32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158.1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1-메틸-1H-피롤-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2 (s, 1H), 8.27 (s, 1H), 7.89 (s, 1H), 7.56 (d, J = 7.6 Hz, 1H), 7.50 (s, 1H), 7.39 (d, J = 4.0 Hz, 1H), 7.33 (t, J = 7.6 Hz, 1H), 7.25 (s, 1H), 7.19 (d, J = 7.6 Hz, 1H), 6.24 - 6.22 (m, 1H), 5.45 (s, 2H), 3.84 (s, 3H), 3.66 - 3.65 (m, 8H), 2.36 (s, 3H); MS: m/z = 459.2 (M+1, ESI+).
실시예 31. ( E )-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세틸)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 a) 1-(2-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 염산염 (2.00 g)과 트리에틸아민 (5.16 g)을 디클로로메탄 (50 mL)에 녹인 혼합 용액에,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86 g)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1-(2-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 (2.0 g)을 77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59.1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2 (s, 1H), 8.25 (s, 1H), 7.84 (s, 1H), 7.55 (d, J = 7.4 Hz, 1H), 7.48 (s, 1H), 7.32 (t, J = 7.3 Hz, 1H), 7.19 (d, J = 7.2 Hz, 1H), 4.76 (s, 2H), 4.57-4.52 (m, 2H), 4.21 (t, J = 8.0 Hz, 1H), 4.11-4.09 (m, 1H), 3.89-3.88 (m, 1H), 3.70 (d, J = 8.0 Hz, 8H), 2.35 (s, 3H); m/z = 460.2 (M+1, ESI+).
실시예 32.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의 합성
하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4-일)에탄-1-온을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5 (s, 1H), 8.90 (d, J = 4.8 Hz, 2H), 8.28 (s, 1H), 7.98 (d, J = 4.4 Hz, 2H), 7.91 (s, 1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78 (s, 2H), 3.65 - 3.64 (m, 8H), 2.36 (s, 3H); MS: m/z = 457.1 (M+1, ESI+).
실시예 33. ( E )-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세틸)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 a) 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터트-부틸 3-사이아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3.0 g)를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반응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 mL)을 첨가한 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얻은 갈색 오일 상태의 목적 화합물 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 (1.45 g)을 9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97.2(M+1, ESI+).
(단계 b) 1-(2-클로로아세틸) 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 (1.30 g) 과 트리에틸아민 (5.47g)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혼합 용액에,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1.68 g)를 첨가하였다.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N2로 치환한 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1-(2-클로로아세틸)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 (2.0 g)을 86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73.1(M+1, ESI+).
(단계 c)에서 (단계 f)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0 (s, 1H), 8.26 (s, 1H), 7.84 (d, J = 2.8 Hz, 1H), 7.56 (d, J = 7.6 Hz, 1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5.08 - 4.86 (m, 2H), 4.04 - 3.85 (m, 1H), 3.77 - 3.41 (m, 12H), 2.41 - 2.06 (m, 5H); MS: m/z = 474.3 (M+1, ESI+).
실시예 34.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1 H -피롤-2-일)에탄-1-온의 합성
(단계 a) 2-클로로-1-(1H-피롤-2-일)에탄-1-온의 합성
1H-피롤 (3.0 g)과 산화아연 (910 mg) 혼합 용액에 2-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5.05 g)를 0 ℃에서 첨가한 뒤,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보라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1-(1H-피롤-2-일)에탄-1-온 (600 mg)을 9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144.1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1H-피롤-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04 (s, 1H), 11.32 (s, 1H), 8.27 (s, 1H), 7.91 (s, 1H), 7.57 (d, J = 7.6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26 (s, 1H), 7.22 - 7.17 (m, 2H), 6.36 - 6.26 (m, 1H), 5.45 (s, 2H), 3.69 - 3.60 (m, 8H), 2.36 (s, 3H); MS: m/z = 445.3 (M+1, ESI+).
실시예 35. ( E )-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1
(단계 a) 4-(2-(2,6-디클로로-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2.0 g) 및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2.85 g)을 디클로로메탄 (52.9 mL)에 녹인 뒤 트리에틸아민 (4.42 mL)을 첨가하고 6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헥산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2-(2,6-디클로로-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2.11 g)을 60.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66 (s, 1H), 8.30 - 8.25 (m, 2H), 8.16 - 8.10 (m, 2H), 6.13 (s, 2H).
(단계 b) 4-(2-(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의 합성
4-(2-(2,6-디클로로-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2.11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7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619 μL)를 넣고 7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c) (E)-4-(2-(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의 합성
4-(2-(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1.54 g)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1.54 mL)를 에탄올 (47 mL)에 녹인 뒤 6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2-(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0.93 g)을 4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16 (s, 1H), 8.30 - 8.25 (m, 4H), 8.16 - 8.13 (m, 2H), 7.65 - 7. 55 (m, 2H), 7.37 (t, J = 8.0 Hz, 1H), 7.26 (d, J = 7.2 Hz, 1H), 6.01 (s, 2H), 2.38 (s, 3H).
(단계 d)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의 합성
(E)-4-(2-(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0.93 g)을 모르폴린 (9.3 mL)에 녹인 뒤 90 ℃에서 5.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150 mg)을 14.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9 - 8.27 (m, 3H), 8.20 - 8.10 (m, 2H), 7.91 (s, 1H), 7.58 (d, J = 8.6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80 (s, 2H), 3.70 - 3.60 (m, 8H), 2.36 (s, 3H); MS: m/z = 481 (M+1, ESI+).
실시예 36. ( E )-3-(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3-(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63 (s, 1H), 8.37 (dt, J = 1.4, 8.0 Hz, 1H), 8.27 (s, 1H), 8.21 (dt, J = 1.2, 7.6 Hz, 1H), 7.90 (s, 1H), 7.83 (t, J = 7.8 Hz, 1H), 7.57 (t, J = 7.6 Hz, 1H), 7.50 (s, 1H), 7.33 (t, J = 7.8 Hz, 1H), 7.19 (d, J = 7.6 Hz, 1H), 5.80 (s, 2H), 3.65 - 3.63 (m, 8H), 2.36 (s, 3H); MS: m/z = 481 (M+1, ESI+).
실시예 37. ( E )-1-(2-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2-메톡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2-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3 (s, 1H), 8.27 (s, 1H), 7.91 (s, 1H), 7.76 (dd, J = 1.8, 7.8 Hz, 1H), 7.68 - 7.64 (m, 1H), 7.56 (d, J = 7.7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29 (d, J = 8.2 Hz, 1H), 7.19 (d, J = 7.5 Hz, 1H), 7.13 - 7.09 (m, 1H), 5.50 (s, 2H), 4.01 (s, 3H), 3.64 (s, 8H), 2.35 (s, 3H); MS: m/z = 486 (M+1, ESI+).
실시예 38. ( E )-1-(3-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3-메톡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3-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7 (s, 1H), 7.90 (s, 1H), 7.73 (d, J = 8.0 Hz, 2H), 7.60 - 7.50 (m, 4H) 7.35 - 7.30 (m, 2H), 7.19 (d, J = 7.6 Hz, 1H), 5.74 (s, 2H), 3.85 (s, 3H), 3.64 - 3.63 (m, 8H), 2.36 (s, 3H); MS: m/z = 486 (M+1, ESI+).
실시예 39. ( E )-1-(4-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3-메톡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4-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8 (s, 1H), 8.12 - 8.05 (m, 2H), 7.90 (s, 1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7.20 - 7.10 (m, 2H), 5.69 (s, 2H), 3.89 (s, 3H), 3.85 - 3.55 (m, 8H), 2.36 (s, 3H); MS: m/z = 486 (M+1, ESI+).
실시예 40.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o-톨릴)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o-톨릴)에탄-1-온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o-톨릴)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7 (s, 1H), 8.03 (d, J = 7.2 Hz, 1H), 7.93 (s, 1H), 7.59 - 7.45 (m, 3H), 7.45 - 7.30 (m, 3H), 7.20 (d, J = 7.6 Hz, 1H), 5.59 (s, 2H), 3.70 - 3.62 (m, 8H), 2.44 (s, 3H), 2.37 (s, 3H); MS: m/z = 470 (M+1, ESI+).
실시예 41.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m-톨릴)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m-톨릴)에탄-1-온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5 (s, 1H), 8.27 (s, 1H), 7.94 - 7.90 (m, 3H), 7.56 (d, J = 8.4 Hz, 2H), 7.50 (t, J = 7.4 Hz, 2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5.72 (s, 2H), 3.64 - 3.63 (m, 8H), 2.43 (s, 3H), 2.36 (s, 3H); MS: m/z = 470 (M+1, ESI+).
실시예 42.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p-톨릴)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p-톨릴)에탄-1-온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p-톨릴)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8 (s, 1H), 8.03 (d, J = 8.4 Hz, 1H), 7.58 (d, J = 7.2 Hz, 1H), 7.51 (s, 1H), 7.43 (d, J = 8.4 Hz, 1H), 7.34 (t, J = 7.2, 1H), 7.20 (d, J = 7.6 Hz, 1H), 5.72 (s, 2H), 3.38 - 3.60 (m, 8H), 2.43 (s, 3H), 2.37 (s, 3H); MS: m/z = 470 (M+1, ESI+).
실시예 43.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6 (s, 1H), 8.10 (d, J = 6.8 Hz, 1H), 7.94 - 7.89 (m, 3H), 7.82 (t, J = 7.4 Hz, 1H), 7.57 (d, J = 7.6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59 (s, 2H), 3.71 - 3.66 (m, 8H), 2.36 (s, 3H); MS: m/z = 524 (M+1, ESI+).
실시예 44.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9.14 (d, J = 5.0 Hz, 1H), 8.26 (d, J = 11.1 Hz, 2H), 8.20 (s, 1H), 7.92 (s, 1H), 7.57 (d, J = 8.0 Hz, 1H), 7.50 (s, 1H), 7.32 (d, J = 7.6 Hz, 1H), 7.20 (d, J = 7.5 Hz, 1H), 5.86 (s, 2H), 3.63 (s, 8H), 2.36 (s, 3H); MS: m/z = 524 (M+1, ESI+).
실시예 45.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32 (d, J = 8.4 Hz, 1H), 8.28 (s, 1H), 8.01 (d, J = 8.4 Hz, 1H), 7.92 (s, 1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81 (s, 2H), 3.70 - 3.60 (m, 8H), 2.37 (s, 3H); MS: m/z = 524 (M+1, ESI+).
실시예 46. ( E )-1-(3-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3-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분홍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3-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8 (s, 1H), 8.28 (s, 1H), 7.99 (d, J = 7.6 Hz, 1H), 7.96 - 7.90 (m, 2H), 7.73 - 7.55 (m, 3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77 (s, 2H), 3.70 - 3.60 (m, 8H), 2.37 (s, 3H); MS: m/z = 474 (M+1, ESI+).
실시예 47. ( E )-1-(4-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4-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4-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8 - 8.20 (m, 3H), 7.91 (s, 1H), 7.58 (d, J = 8.0 Hz, 1H), 7.51 - 7.40 (m, 3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75 (s, 2H), 3.70 - 3.60 (m, 8H), 2.37 (s, 3H); MS: m/z = 474 (M+1, ESI+).
실시예 48. ( E )-1-(2-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2-클로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2-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6(s, 1H), 7.94 (s, 1H), 7.93 (d, 1H), 7.64-7.60 (m, 2H), 7.58 (m, 2H), 7.50 (s, 1H), 7.35-7.33 (t, 1H), 7.33 (d, 1H), 3.68-3.66 (m, 8H), 2.36 (s, 3H); MS: m/z = 491 (M+1, ESI+).
실시예 49. ( E )-1-(3-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3-클로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3-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7 (s, 1H), 8.15 (t, J = 1.8 Hz, 1H), 8.07 (d, J = 8.0 Hz, 1H), 7.89 (s, 1H), 7.83 - 7.81 (m, 1H), 7.66 (t, J = 8.0 Hz, 1H), 7.57 (d, J = 7.6 Hz, 1H), 7.50 (s, 1H), 7.33 (t, J = 7.8 Hz, 1H), 7.19 (d, J = 7.6 Hz, 1H), 5.76 (s, 2H), 3.65 - 3.63 (m, 8H), 2.36 (s, 3H); MS: m/z = 491 (M+1, ESI+).
실시예 50.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8 (s, 1H), 8.27 (s, 1H), 8.21 - 8.15 (m, 1H), 8.04 (s, 1H), 7.79 (d, J = 4.4 Hz, 2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79 (s, 2H), 3.69 - 3.60 (m, 8H), 2.37 (s, 3H); MS: m/z = 540 (M+1, ESI+).
실시예 51. ( E )-1-(2,4-디모르폴리노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2,4-디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을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2,4-디모르폴리노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8.27 (s, 1H), 7.90 (s, 1H), 7.63 (d, J = 8.8 Hz, 1H), 7.57 (d, J = 7.6 Hz, 1H), 7.50 (s,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2 Hz, 1H), 6.73 (dd, J = 9.2, 2.4 Hz, 1H), 6.65 - 6.60 (m, 1H), 5.65 (s, 2H), 3.81 (t, J = 4.0 Hz, 4H), 3.75 (t, J = 4.4 Hz, 4H), 3.35 - 3.30 (m, 4H), 3.01 (t, J = 4.4 Hz, 4H), 2.36 (s, 3H); MS: m/z = 626 (M+1, ESI+).
실시예 52.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9.14 (d, J = 5.0 Hz, 1H), 8.26 (d, J = 11.1 Hz, 2H), 8.20 (s, 1H), 7.92 (s, 1H), 7.57 (d, J = 8.0 Hz, 1H), 7.50 (s, 1H), 7.32 (d, J = 7.6 Hz, 1H), 7.20 (d, J = 7.5 Hz, 1H), 5.86 (s, 2H), 3.63 (s, 8H), 2.36 (s, 3H); MS: m/z = 525.2 (M+1, ESI+).
실시예 53. ( E )-1-(5-플루오로피리딘-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5-플루오로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5-플루오로피리딘-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8.85 (d, J = 2.6 Hz, 1H), 8.28 (s, 1H), 8.14 (dd, J = 8.6, 4.7 Hz, 1H), 8.00 (td, J = 8.6, 2.8 Hz, 1H), 7.92 (s, 1H), 7.57 (d, J = 7.4 Hz, 1H), 7.50 (s, 1H), 7.32 (t, J = 7.5 Hz, 1H), 7.19 (d, J = 7.0 Hz, 1H), 5.81 (s, 2H), 3.63 (s, 8H), 2.35 (s, 3H); MS: m/z = 475.2 (M+1, ESI+).
실시예 54. ( E )-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라진-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라진-2-일)에탄-1-온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라진-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9.20 (d, J = 1.2 Hz, 1H), 9.02 (d, J = 2.4 Hz, 1H), 8.97 - 8.85 (m, 1H), 8.27 (s, 1H), 7.92 (s, 1H), 7.57 (d, J = 7.6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5.82 (s, 2H), 3.68 - 3.60 (m, 8H), 2.36 (s, 3H); MS: m/z = 458.2 (M+1, ESI+).
실시예 55. ( E )-2-(6-(2-((5-메틸사이오펜-2-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5-메틸사이오펜-2-카브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5-메틸사이오펜-2-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87 - 8.84 (m, 1H), 8.43 (s, 1H), 8.15 - 8.05 (m, 2H), 7.90 (s, 1H), 7.82 - 7.78 (m, 1H), 7.13 (d, J = 3.6 Hz, 1H), 6.82 - 6.80 (m, 1H), 5.84 (s, 2H), 3.70 - 3.58 (m, 8H), 2.47 (s, 3H); MS: m/z = 463 (M+1, ESI+).
실시예 56. ( E )-3-((2-(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 H -퓨린-6-일)히드라지닐리덴)메틸)벤조니트릴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포밀벤조니트릴을 사용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2-(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히드라지닐리덴)메틸)벤조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63 (s, 1H), 8.89 - 8.80 (m, 1H), 8.31 (s, 1H), 8.15 - 8.05 (m, 4H), 7.97 (s, 1H), 7.86 - 7.75 (m, 2H), 7.67 (t, J = 8.0 Hz, 1H), 5.86 (s, 2H), 3.64 (s, 8H); MS: m/z = 468 (M+1, ESI+).
실시예 57. ( E )-2-(2-모르폴리노-6-(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2-모르폴리노-6-(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62 (s, 1H), 8.86 - 8.84 (m, 1H), 8.35 (s, 1H), 8.10 - 8.03 (m, 4H), 7.95 (s, 1H), 7.81 - 7.77 (m, 1H), 7.74 - 7.68 (m, 2H), 5.85 (s, 2H), 3.63 (s, 8H); MS: m/z = 511 (M+1, ESI+).
실시예 58. ( E )-2-(6-(2-(4-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4-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2 (s, 1H), 8.86 - 8.84 (m, 1H), 8.27 (s, 1H), 8.10 - 8.08 (m, 1H), 8.05 - 8.02 (m, 1H), 7.92 (s, 1H), 7.81 - 7.77 (m, 1H), 7.62 (d, J = 8.0 Hz, 2H), 7.26 (d, J = 8.0 Hz, 2H), 5.84 (s, 2H), 3.62 (s, 8H), 2.34 (s, 3H); MS: m/z = 457 (M+1, ESI+).
실시예 59. ( E )-2-(6-(2-(2-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2-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2-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5 (s, 1H), 8.86 - 8.84 (m, 1H), 8.62 (s, 1H), 8.10 (td, J = 1.7, 7.6 Hz, 1H), 8.03 (dt, J = 1.1, 7.8 Hz, 1H), 7.92 (s, 1H), 7.91 - 7.88 (m, 1H), 7.80 - 7.77 (m, 1H), 7.29 - 7.22 (m, 3H), 5.84 (s, 2H), 3.62 (s, 8H), 2.48 (s, 3H); MS: m/z = 457 (M+1, ESI+).
실시예 60. ( E )-2-(2-모르폴리노-6-(2-(피리딘-3-일메틸렌)히드라지닐)-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니코틴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2-모르폴리노-6-(2-(피리딘-3-일메틸렌)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60 (s, 1H), 8.88 (d, J = 1.7 Hz, 1H), 8.86 - 8.84 (m, 1H), 8.55 (dd, J = 1.6, 4.8 Hz, 1H), 8.32 (s, 1H), 8.15 (dt, J = 1.8, 8.0 Hz, 1H), 8.10 (td, J = 1.7, 7.6 Hz, 1H), 7.95 (s, 1H), 8.05 - 8.02 (m, 1H), 7.81 - 7.77 (m, 1H), 7.47 (q, J = 4.2 Hz, 1H), 5.85 (s, 2H), 3.63 (s, 8H); MS: m/z = 444 (M+1, ESI+).
실시예 61. ( E )-2-(6-(2-(3-메톡시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6-(2-(3-메톡시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3 (s, 1H), 8.85 (dt, J = 1.2, 4.6 Hz, 1H), 8.25 (s, 1H), 8.10 (td, J = 1.7, 7.7 Hz, 1H), 8.04 - 8.02 (m, 1H), 7.93 (s, 1H), 7.81 - 7.77 (m, 1H), 7.36 (t, J = 7.7 Hz, 1H), 7.32 - 7.29 (m, 2H), 6.97 - 6.94 (m, 1H), 5.84 (s, 2H), 3.81 (s, 3H), 3.62 (s, 8H); MS: m/z = 473 (M+1, ESI+).
실시예 62. 3-메틸- N '-(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 H -퓨린-6-일)벤조히드라자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3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2-브로모아세틸)벤조니트릴 대신에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을 사용하고, (단계 c)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다.
(단계 c) N'-(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3-메틸벤조히드라자이드의 합성
2-(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320 mg)에 3-메틸벤조익 산(172 mg),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09 m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g) 첨가 후 HATU (602 mg)을 첨가하였다. 25 ℃에서 2시간 교반 후 증류수 및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유기용액에 소금물을 첨가하여 유기용매를 추출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N'-(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3-메틸벤조히드라자이드 (520 mg)을 합성하였다. MS: m/z =422.1(M+1, ESI+).
이후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계 d)를 수행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메틸-N'-(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벤조히드라자이드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32 (s, 1H), 9.51 (s, 1H), 8.83 (d, J = 4.7 Hz, 1H), 8.16 (s, 1H), 8.09 (d, J = 1.5 Hz, 1H), 8.03 (s, 1H), 7.88 - 7.76 (m, 2H), 7.74 (s, 2H), 7.42 - 7.36 (m, 2H), 5.81 (s, 2H), 3.52 (s, 8H), 2.38 (s, 3H); MS: m/z = 473.2 (M+1, ESI+).
실시예 63. 2-(2-모르폴리노-6-(3-(피리딘-3-일)-1 H -피라졸-1-일)-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2
(단계 a) 3-(1-(테트라히드로-2H-파이란-2-일)-1H-피라졸-3-일)피리딘의 합성
1-(테트라히드로-2H-파이란-2-일)-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H-피라졸 (9.0 g)에 3-브로모피리딘 (4.27 g), Pd(dppf)Cl2 (1.98 g), 포타슘 카보네이트 (9.32 g), 1,4-디옥산 (30 mL) 및 증류수 (6 mL) 첨가 후 12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여과 후 증류수 및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용매에 소금물 첨가 후 유기층 추출하여 황산 나트륨을 첨가하였다. 벤젠/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1-(테트라히드로-2H-파이란-2-일)-1H-피라졸-3-일)피리딘 (6.5 g)을 합성하였다. MS: m/z =230.3(M+1, ESI+).
(단계 b) 3-(1H-피라졸-3-일)피리딘의 합성
3-(1-(테트라히드로-2H-파이란-2-일)-1H-피라졸-3-일)피리딘 (6.5 g)에 1,4-디옥산을 용매로 하는 4 M 염산/1,4-디옥산 (35 mL) 첨가 후 2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1H-피라졸-3-일)피리딘 (5.2 g)을 합성하였다. MS: m/z =146.1(M+1, ESI+).
(단계 c) 2-(2-클로로-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3-(1H-피라졸-3-일)피리딘을 이용하여 실시예 62 의 (단계 a)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클로로-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320 mg)을 2.58%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417.1(M+1, ESI+).
(단계 d) 2-(2-모르폴리노-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2-클로로-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62의 (단계 d)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모르폴리노-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78.5 mg)을 49.64%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24 - 9.21 (m, 2H), 8.86 (d, J = 4.2 Hz, 1H), 8.62 (dd, J = 4.8, 1.6 Hz, 1H), 8.38 (d, J = 8.0 Hz, 1H), 8.27 (s, 1H), 8.13 - 8.04 (m, 2H), 7.80 (s, 1H), 7.56 - 7.52 (m, 1H), 7.33 (d, J = 2.7 Hz, 1H), 5.96 (s, 2H), 3.75 (d, J = 4.3 Hz, 4H), 3.68 (d, J = 4.6 Hz, 4H). MS: m/z = 468.2 (M+1, ESI+).
실시예 64. 2-(2-모르폴리노-6-(3-(m-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3
(단계 a) 2-(6-(3-브로모-1H-피라졸-1-일)-2-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3-브로모-1H-피라졸 (570 mg) 및 소듐 하이드라이드 (195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넣고 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뒤 2-(2,6-디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0 g)을 첨가하고 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3-브로모-1H-피라졸-1-일)-2-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600 mg)을 4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19.1 (M+1, ESI+).
(단계 b) 2-(6-(3-브로모-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6-(3-브로모-1H-피라졸-1-일)-2-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600 mg) 및 모르폴린 (3.0 mL)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2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2 mL)을 첨가하고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증류수 (10 mL)로 묽힌 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3-브로모-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400 mg)을 6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469.1 (M+1, ESI+).
(단계 c) 2-(2-모르폴리노-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6-(3-브로모-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450 mg), m-톨릴보로닉 산(450 mg), Pd(dppf)Cl2 (450 mg) 및 세슘 카보네이트 (450 mg)를 1,4-디옥산 (10 mL), 증류수 (2 mL)에 녹인 뒤 12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모르폴리노-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94 mg)을 1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8 (d, J = 2.6 Hz, 1H), 8.86 (d, J = 4.1 Hz, 1H), 8.26 (s, 1H), 8.10 (d, J = 7.7 Hz, 1H), 8.05 (d, J = 7.2 Hz, 1H), 7.82 (d, J = 9.9 Hz, 3H), 7.38 (d, J = 7.5 Hz, 1H), 7.23 (d, J = 8.1 Hz, 1H), 7.19 (d, J = 2.6 Hz, 1H), 5.96 (s, 2H), 3.75 (s, 4H), 3.67 (s, 4H), 2.41 (s, 3H); MS: m/z = 481.5 (M+1, ESI+).
실시예 65. 2-(2-모르폴리노-6-(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 H -피라졸-1-일)-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64>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m-톨릴보로닉 산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모르폴리노-6-(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30 mg)을 8.76%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21 (d, J = 2.8 Hz, 1H), 8.86 (d, J = 4.4 Hz, 1H), 8.37 - 8.31 (m, 2H), 8.28 (s, 1H), 8.14 - 8.08 (m, 1H), 8.08 - 8.02 (m, 1H), 7.82 - 7.74 (m, 3H), 7.39 (d, J = 2.8 Hz, 1H), 5.96 (s, 2H), 3.78 - 3.72 (m, 4H), 3.71 - 3.64 (m, 4H); MS: m/z = 535.2 (M+1, ESI+).
실시예 66. 2-(6-(3-(3-플루오로페닐)-1 H -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64>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m-톨릴보로닉 산 대신에 (3-플루오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3-(3-플루오로페닐)-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50 mg)을 16.1%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8 (d, J = 2.6 Hz, 1H), 8.85 (d, J = 4.4 Hz, 1H), 8.26 (s, 1H), 8.07 (dd, J = 19.3, 7.5 Hz, 2H), 7.88 (d, J = 7.7 Hz, 1H), 7.80 (t, J = 10.5 Hz, 2H), 7.55 (dd, J = 14.2, 7.8 Hz, 1H), 7.25 (dd, J = 9.2, 5.7 Hz, 2H), 5.95 (s, 2H), 3.74 (s, 4H), 3.67 (d, J = 3.9 Hz, 4H). MS: m/z = 485.2 M+1, ESI+).
실시예 67. 3-(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 H -퓨린-6-일)-1 H -피라졸-3-일)벤조니트릴의 합성
상기 <실시예 64>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m-톨릴보로닉 산 대신에 (3-싸이아노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일)벤조니트릴 (25.3 mg)을 8.17%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20 (s, 1H), 8.85 (s, 1H), 8.43 (s, 1H), 8.37 (d, J = 7.4 Hz, 1H), 8.27 (s, 1H), 8.07 (dd, J = 19.2, 7.1 Hz, 2H), 7.88 (d, J = 7.2 Hz, 1H), 7.80 (s, 1H), 7.72 (t, J = 7.4 Hz, 1H), 7.35 (s, 1H), 5.95 (s, 2H), 3.74 (s, 4H), 3.67 (s, 4H). MS: m/z = 492.2 (M+1, ESI+).
실시예 68. 2-(6-(3-(3-메톡시페닐)-1 H -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64>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m-톨릴보로닉 산 대신에 (3-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3-(3-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8 mg)을 5.66%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8 (d, J = 2.8 Hz, 1H), 8.86 (d, J = 4.4 Hz, 1H), 8.25 (s, 1H), 8.14 - 8.08 (m, 1H), 8.05 (d, J = 7.6 Hz, 1H), 7.84 - 7.77 (m, 1H), 7.61 (d, J = 8.0 Hz, 1H), 7.57 - 7.53 (m, 1H), 7.42 (t, J = 8.0 Hz, 1H), 7.23 (d, J = 2.4 Hz, 1H), 7.00 (dd, J = 8.0, 2.0 Hz, 1H), 5.96 (s, 2H), 3.85 (s, 3H), 3.78 - 3.72 (m, 4H), 3.71 - 3.64 (m, 4H); MS: m/z = 497.2 (M+1, ESI+).
실시예 69. 2-(2-모르폴리노-6-(3-(테트라히드로-2 H -파이란-4-일)-1 H -피라졸-1-일)-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4
상기 <실시예 64>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2-(3,6-디히드로-2H-파이란-4-일)-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레인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3-(3,6-디히드로-2H-파이란-4-일)-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70 mg)을 56.28%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73.2(M+1, ESI+).
(단계 d) 2-(2-모르폴리노-6-(3-(테트히드로-2H-파이란-4-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6-(3-(3,6-디히드로-2H-파이란-4-일)-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50 mg)에 아세트산 에틸 및 팔라듐카본 (10%, 70 mg) 첨가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모르폴리노-6-(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3 mg)을 8.63%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06 (d, J = 2.8 Hz, 1H), 8.52 (d, J = 4.8 Hz, 1H), 8.13 (s, 1H), 7.77 (t, J = 7.6 Hz, 1H), 7.43 (d, J = 8.0 Hz, 1H), 7.33 - 7.26 (m, 1H), 6.88 (d, J = 2.8 Hz, 1H), 6.51 (s, 1H), 6.00 (s, 1H), 5.15 - 5.02 (m, 1H), 4.55 (dd, J = 14.0, 4.4 Hz, 1H), 4.34 (dd, J = 14.0, 7.6 Hz, 1H), 4.26 (d, J = 2.8 Hz, 2H), 3.83 (t, J = 5.6 Hz, 2H), 3.71 (d, J = 4.8 Hz, 8H), 2.58 (s, 2H); MS: m/z = 475.2(M+1, ESI+).
실시예 70. 2-(6-(3-(6-메틸피리딘-2-일)-1 H -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5
(단계 a) 2-클로로-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2-메틸-6-(1H-피라졸-3-일)피리딘 (0.5 g)에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를 첨가 후 0 ℃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 (0.5 g)을 첨가하였다. 2,6-디클로로-9H-퓨린 (0.6 g)을 첨가 후 5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 및 아세트산 에틸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9H-퓨린 (0.8 g)을 81.7%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12.0 (M+1, ESI+).
(단계 b) 2-(2-클로로-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클로로-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9H-퓨린 (0.8 g)에 디클로로메탄 (5 mL), 2-브로모-1-(피리딘-2-일)에탄-1-온 (1.03 g) 및 트리에틸아민 (1.04 g)을 첨가하여 25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 및 아세트산 에틸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2-클로로-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80 mg)을 25.3%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31.0 (M+1, ESI+).
(단계 c) 2-(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2-(2-클로로-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0.28 g)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3 mL), 모르폴린 (0.28 g) 및 아세트산 (4 μg)첨가 후 1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rep-HPLC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7 mg)을 2.2%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20 (d, J = 2.6 Hz, 1H), 8.86 (d, J = 4.6 Hz, 1H), 8.27 (s, 1H), 8.10 (t, J = 7.6 Hz, 1H), 8.05 (d, J = 7.6 Hz, 1H), 7.99 (d, J = 7.7 Hz, 1H), 7.86 - 7.77 (m, 2H), 7.29 (d, J = 7.6 Hz, 1H), 7.21 (d, J = 2.6 Hz, 1H), 5.96 (s, 2H), 3.75 (d, J = 4.0 Hz, 4H), 3.67 (d, J = 4.3 Hz, 4H), 2.56 (s, 3H); MS: m/z = 482.4 (M+1, ESI+).
실시예 71. 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 H -퓨린-6-일)- N -( m -톨릴)-1 H -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6
(단계 a) 에틸-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546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 및 소듐 하이드라이드 (208 mg)을 0 ℃에서 첨가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2-(2,6-디클로로-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0 g) 첨가 후 25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증류수 및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에 NaCl 용액을 첨가 후 유기층을 추출한 뒤 황산 나트륨을 첨가 및 여과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에틸-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320 mg)을 24%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411.1(M+1, ESI+).
(단계 b) 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복실릭 산의 합성
에틸-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300 mg)에 12N HCl (5 mL)을 첨가 후 10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복실릭 산 (280 mg)을 합성하였다. MS: m/z =384.1 (M+1, ESI+).
(단계 c) 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복실릭 산 (260 mg)에 m-톨루이딘 (145 mg),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38 mg),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및 HATU (516 mg)를 첨가하여 25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와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에 NaCl 용액 첨가 후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황산 나트륨 첨가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 (230 mg)을 72.7%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473.1(M+1, ESI+).
(단계 d) 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1-(2-클로로-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 (230 mg)에 아세트 산 (0.05 mL), 모르폴린 (424 mg)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15 mL)을 첨가 후 12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와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에 NaCl 용액 첨가 후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황산 나트륨 첨가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 (68.7 mg)을 27.3%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6 (s, 1H), 9.23 (d, J = 2.7 Hz, 1H), 8.86 (d, J = 4.7 Hz, 1H), 8.31 (s, 1H), 8.08 (dd, J = 20.9, 7.4 Hz, 2H), 7.81 (s, 1H), 7.67 (s, 1H), 7.62 (d, J = 7.5 Hz, 1H), 7.25 (t, J = 7.8 Hz, 1H), 7.15 (d, J = 2.7 Hz, 1H), 6.95 (d, J = 7.3 Hz, 1H), 5.97 (s, 2H), 3.77 (s, 4H), 3.67 (d, J = 5.1 Hz, 4H), 2.33 (s, 3H); MS: m/z = 525.2 (M+1, ESI+).
실시예 72. ( E )-1-(아제티딘-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7
(단계 a) 1-(아제티딘-1-일)-2-클로로에탄-1-온의 합성
아제티딘 (2.0 g)과 트리에틸아민 (5.31 g)을 디클로로메탄 (40 mL)에 녹인 후,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97 g)를 0 ℃에서 첨가하여 30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1-(아제티딘-1-일)-2-클로로에탄-1-온 (4.23 g)을 별도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 /z = 134.1 (M+2, ESI+).
(단계 b)에서 (단계 e)의 합성은 <실시예 35>의 (단계 a)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아제티딘-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25 (s, 1H), 7.85 (s, 1H), 7.54 (s, 1H), 7.49 (s, 1H), 7.31 (d, J = 7.6 Hz, 1H), 7.20 (s, 1H), 4.72 (s, 2H), 4.28 (t, J = 7.7 Hz, 2H), 3.92 (t, J = 7.7 Hz, 2H), 3.73 - 3.67 (m, 8H), 2.35 (s, 3H), 2.30 - 2.24 (m, 2H); MS: m/z = 435.1 (M+1, ESI+).
실시예 73.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8
(단계 a) 2,6-디클로로-9-(2-(피리딘-2-일)에틸)-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 2-(피리딘-2-일)에탄-1-올 (723 mg) 및 트리페닐포스핀 (2,08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이고 냉각 후, 0℃에서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1.6 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5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뒤,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2-(피리딘-2-일)에틸)-9H-퓨린 (1.1 g)을 7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4.0 (M+1, ESI+).
(단계 b) 2-클로로-6-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2-(피리딘-2-일)에틸)-9H-퓨린 (1.0 g)과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0 mL)를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 (700 mg)을 6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0.1 (M+1, ESI+).
(단계 c)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 (700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348 mg) 및 아세트산 (0.1 mL)을 메탄올 (10 mL)에 녹인 후, 8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 (800 mg)을 8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92.2 (M+1, ESI+).
(단계 d)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 (100 mg) 및 모르폴린 (111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1μL)을 첨가하고 120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유기층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25 mg)을 2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96 (s, 1H), 8.58 (d, J = 4.8 Hz, 1H), 7.93 (s, 1H), 7.58-7.48 (m, 3H), 7.34-7.27 (m, 2H), 7.19-7.12 (m, 2H), 6.94 (d, J = 7.7 Hz, 1H), 4.54 (t, J = 6.7 Hz, 2H), 3.92-3.85 (m, 4H), 3.85-3.80 (m, 4H), 3.34 (t, J = 6.8 Hz, 2H), 2.39 (s, 3H). MS: m/z = 443.0 (M+1, ESI+).
실시예 74.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옥세탄-3-일)메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피리딘-2-일)에탄-1-올 대신에 (3-메틸옥세탄-3-일)메탄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옥세탄-3-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2 (s, 1H), 8.25 (s, 1H), 7.95 (s, 1H), 7.55 (d, J = 7.8 Hz, 1H), 7.49 (s, 1H), 7.31 (d, J = 7.6 Hz, 1H), 7.19 (s, 1H), 4.69 (d, J = 5.9 Hz, 2H), 4.30 (s, 2H), 4.25 (d, J = 5.9 Hz, 2H), 3.69 (d, J = 4.0 Hz, 8H), 2.35 (s, 3H), 1.18 (s, 3H); MS: m/z = 422.3 (M+1, ESI+)
실시예 75. ( E )-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에틸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피리딘-2-일)에탄-1-올 대신에 2-모르폴린에탄-1-올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틸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28 (s, 1H), 8.25 (s, 1H), 7.94 (s, 1H), 7.55 (d, J = 7.6 Hz, 1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4.17 (t, J = 6.4 Hz, 2H), 3.69 (d, J = 4.4 Hz, 8H), 3.56 - 3.49 (m, 4H), 2.69 (t, J = 6.4 Hz, 2H), 2.45 (s, 4H), 2.35 (s, 3H); MS: m/z = 451.2 (M+1, ESI+).
실시예 76.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피페리딘-4-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49
(단계 a) 터트-부틸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0 g), 터트-부틸 4-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6.0 g) 및 트리페닐포스핀 (15.0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0.0 mL)에 녹인 후,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11.3 g)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70 ℃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뒤,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9.5 g)을 4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72.2 (M+1, ESI+).
(단계 b) 2,6-디클로로-9-(피페리딘-4-일)-9H-퓨린의 합성
터트-부틸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9.5 g)에 1,4-디옥산을 용매로 하는 4 M 염산/1,4-디옥산 (50.0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로 수소 이온 농도 지수를 8로 맞추었다.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뒤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피페리딘-4-일)-9H-퓨린 (6.5 g)을 9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2.1 (M+1, ESI+).
(단계 c) 2,6-디클로로-9-(1-메틸피페리딘-4-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피페리딘-4-일)-9H-퓨린 (1.0 g)과 포름알데히드 (330.0 mg)를 메탄올 (20.0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0.1 mL)을 첨가하였다. 0℃에서 반응 용액에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350.0 mg)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증류수를 첨가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1-메틸피페리딘-4-일)-9H-퓨린 (560.0 mg)을 5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6.2 (M+1, ESI+).
(단계 d)에서 (단계 f)의 합성은 <실시예 73>의 (단계 b)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피페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29 (s, 1H), 8.25 (s, 1H), 8.03 (s, 1H), 7.54 (d, J = 7.7 Hz, 1H), 7.48 (s, 1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8 Hz, 1H), 4.22 (s, 1H), 3.70 (s, 8H), 2.90 (d, J = 11.6 Hz, 2H), 2.35 (s, 3H), 2.22 (s, 3H), 2.17 (s, 2H), 2.05 (t, J = 10.8 Hz, 2H), 1.92 (d, J = 10.3 Hz, 2H); MS: m/z = 435.2 (M+1, ESI+).
실시예 77.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메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피리딘-2-일)에탄-1-올 대신에 피리딘-4-일에탄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90 (s, 1H), 8.44 - 8.31 (m, 3H), 8.06 (s, 1H), 7.34 (d, J = 8.9 Hz, 3H), 7.22 (d, J = 6.6 Hz, 1H), 6.69 (d, J = 4.3 Hz, 2H), 5.94 (s, 2H), 3.65 (s, 8H), 2.34 (s, 3H); MS: m/z = 429.2 (M+1, ESI+).
실시예 78.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메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피리딘-2-일)에탄-1-올 대신에 피리딘-3-일에탄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93 (s, 1H), 8.40 (d, J = 15.1 Hz, 2H), 8.13 (d, J = 8.2 Hz, 2H), 7.37 (d, J = 26.1 Hz, 3H), 7.21 (d, J = 16.4 Hz, 3H), 5.92 (s, 2H), 3.64 (s, 8H), 2.33 (s, 3H); MS: m/z = 429.2 (M+1, ESI+).
실시예 79. ( E )-4-(6-(2-(이소퀴놀린-4-일메틸렌)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이소퀴놀린-4-카보알데히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이소퀴놀린-4-일메틸렌)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77 (s, 1H), 9.39 (d, J =8.3 Hz, 1H), 8.95 (d, J = 4.5 Hz, 1H), 8.81 (s, 1H), 8.52 (d, J = 4.3 Hz, 1H), 8.08 (d, J = 8.3 Hz, 1H), 7.88 (s, 1H),7.82 (t, J = 7.3 Hz, 1H), 7.74 (d, J = 4.5 Hz, 1H), 7.67 (t, J = 7.6 Hz, 2H), 7.22 (dd, J = 10.2, 5.5 Hz, 2H), 4.49 (t, J =7.0 Hz, 2H), 3.76 (dd, J = 16.1, 4.1 Hz, 8H), 3.32 (t, J =7.0 Hz, 4H). MS: m/z = 480.2 (M+1, ESI+).
실시예 80.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3-일)에틸)-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7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피리딘-2-일)에탄-1-올 대신에 2-(피리딘-3-일)에탄-1-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3-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25 (s, 1H), 8.39 (d, J = 4.8 Hz, 1H), 8.33 (s, 1H), 8.23 (s, 1H), 7.78 (s, 1H), 7.55 (t, J = 6.0 Hz, 2H), 7.48 (s, 1H), 7.32 (t, J = 7.6 Hz, 1H), 7.27 (dd, J = 7.6, 4.8 Hz, 1H), 7.18 (d, J = 7.2 Hz, 1H), 4.34 (t, J = 6.8 Hz, 2H), 3.69 (m, 8H), 3.17 (t, J = 6.8 Hz, 2H), 2.35 (s, 3H); MS: m/z = 443.2 (M+1, ESI+).
실시예 81. ( E )-(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0
(단계 a) 6-(벤질옥시)-2-클로로-9H-퓨린의 합성
벤질 알코올 (3.43g) 및 소듐하이드라이드 (1.27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녹인 뒤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2,6-디클로로-9H-퓨린 (5.0 g)을 첨가하여 7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벤질옥시)-2-클로로-9H-퓨린 (4.6 g)을 66.7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1.1(M+1, ESI+).
(단계 b)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6-(벤질옥시)-2-클로로-9H-퓨린 (4.5 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6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1.04 g)과 모르폴린 (7.52 g)을 첨가하여 12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2.9 g)을 53.9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12.1(M+1, ESI+).
(단계 c) 터트-부틸 3-(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복실레이트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3.0 g) 및 세슘 카보네이트 (6.07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에 녹인 뒤, 터트-부틸 3-아이오도아제티딘-1-카복실레이트 (3.43 g)을 첨가하여 4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3-(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복실레이트 (1.36 g)을 31.30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67.2(M+1, ESI+).
(단계 d) 4-(9-(아제티딘-3-일)-6-(벤질옥시)-9H-퓨린-2-일) 모르폴린의 합성
터트-부틸 3-(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복실레이트 (850 mg)에 1,4-디옥산을 용매로 하는 4 M 염산/1,4-디옥산 (2.0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로 수소 이온 농도 지수를 8로 맞추었다.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뒤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아제티딘-3-일)-6-(벤질옥시)-9H-퓨린-2-일) 모르폴린 (600 mg)을 89.8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67.2 (M+1, ESI+)
(단계 e) 9-(1-벤조일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벤조에이트의 합성
4-(9-(아제티딘-3-일)-6-(벤질옥시)-9H-퓨린-2-일) 모르폴린 (500 mg), 트리에틸아민 (552 mg)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288 m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1-벤조일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벤조에이트 (300 mg)을 45.38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85.5(M+1, ESI+)
(단계 f)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의 합성
9-(1-벤조일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벤조에이트 (3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 및 메탄올 (1.0 mL)에 녹인 후 리튬하이드록시드 (78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0.5N 염화수소 수용액을 첨가한 후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나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뒤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210 mg)을 89.1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1.2 (M+1, ESI+).
(단계 g) 9-(1-벤조일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200 mg), 트리에틸아민 (552 mg) 및 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 (200 mg)를 디클로로메탄 (5 mL)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1-벤조일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60 mg)을 56.93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535.3(M+1, ESI+)
(단계 h)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의 합성
9-(1-벤조일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00 mg)과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50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뒤,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여 고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후 건조하여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105mg)을 94.8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95.2 (M+1, ESI+).
(단계 i)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의 합성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105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64 mg) 및 아세트산 (2 mg)을 메탄올 (3 mL)에 녹인 후, 7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30 mg)을 22.69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4 (s, 1H), 8.27 (s, 1H), 8.08 (s, 1H), 7.73 - 7.67 (m, 2H), 7.58 - 7.48 (m, 5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2 Hz, 1H), 5.44 - 5.34 (m, 1H), 4.85 (s, 2H), 4.71 - 4.62 (m, 1H), 4.51 (t, J = 8.4 Hz, 1H), 3.64 (s, 8H), 2.35 (s, 3H); MS: m/z = 497.3 (M+1, ESI+).
실시예 82. ( E )-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1
(단계 a)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9-(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404 mg), 니코틴 산 (204 mg)을 디클로로메탄 (6.0 mL)에 녹인 후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78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52 mg)과 디클로로메탄 (6.0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증류수와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해 3회 추출하고 소금물을 첨가하여 씻어준 뒤 황산 나트륨을 첨가하고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210 mg)을 89.1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2.2 (M+1, ESI+)
(단계 b) 2-모르폴리노-9-(1-니코티노일아제티딘-3-일)-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420 mg), 트리에틸아민 (446 mg) 및 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 (420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모르폴리노-9-(1-니코티노일아제티딘-3-일)-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400 mg)을 67.82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536.2(M+1, ESI+)
(단계 c)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2-모르폴리노-9-(1-니코티노일아제티딘-3-일)-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400 mg)과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87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여 고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후 건조하여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200mg)을 67.7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96.2 (M+1, ESI+).
(단계 d)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180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109 mg) 및 아세트산 (8 mg)을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7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185 mg)을 81.68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3 (s, 1H), 8.88 (s, 1H), 8.73 (d, J = 4.4 Hz, 1H), 8.26 (s, 1H), 8.14 - 8.06 (m, 2H), 7.59 - 7.52 (m, 2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5.45 - 5.35 (m, 1H), 4.89 (d, J = 6.8 Hz, 2H), 4.70 - 4.61 (m, 1H), 4.54 (t, J = 9.2 Hz, 1H), 3.64 (s, 8H), 2.35 (s, 3H); MS: m/z = 498.2 (M+1, ESI+).
실시예 83. 메틸 ( E )-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2
(단계 a) 메틸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9-(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650 mg), 트리에틸아민 (878 mg) 및 메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360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틸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700 mg)을 89.7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35.2(M+1, ESI+)
(단계 b) 메틸 3-(2-모르폴리노-6-(토실옥시)-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메틸 3-(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700 mg), 트리에틸아민 (1.13 g) 및 하이포아염소산 (634 mg)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틸 3-(2-모르폴리노-6-(토실옥시)-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800 mg)을 80.1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89.1(M+1, ESI+)
(단계 c) 메틸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메틸 3-(2-모르폴리노-6-(토실옥시)-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800 mg)과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3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뒤, 상온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여 고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후 건조하여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틸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150mg)을 7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49.2 (M+1, ESI+).
(단계 d) 메틸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메틸 3-(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150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78 mg) 및 아세트산 (8 mg)을 메탄올 (15 mL)에 녹인 후, 7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틸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65 mg)을 32.6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5 (s, 1H), 8.05 (s, 1H), 7.55 (d, J = 7.6 Hz, 1H), 7.48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4 Hz, 1H), 5.33 - 5.25 (m, 1H), 4.52 (s, 2H), 4.35 (s, 2H), 3.68 (s, 8H), 3.60 (s, 3H), 2.35 (s, 3H); MS: m/z = 451.2 (M+1, ESI+).
실시예 84. ( E )- N,N -디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시아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8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메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대신에 디메틸 카르바모일클로라이드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N-디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시아마이드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26 (s, 1H), 8.15 (s, 1H), 7.57 (d, J = 7.6 Hz, 1H), 7.50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4 Hz, 1H), 5.24 (s, 1H), 4.54 (dd, J = 8.4, 6.3 Hz, 2H), 4.29 (t, J = 8.4 Hz, 2H), 3.68 (d, J = 5.0 Hz, 8H), 2.80 (s, 6H), 2.35 (s, 3H); MS: m/z = 464.2 (M+1, ESI+).
실시예 85.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3
(단계 a) 9-(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9-(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800 mg), 트리에틸아민 (886 mg) 및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980 mg)를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메탄설포네이트 (600 mg)을 48.0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33.2(M+1, ESI+)
(단계 b)에서 (단계 c)의 합성은 <실시예 83>의 (단계 c)에서 (단계 d)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6 (s, 1H), 8.13 (s, 1H), 7.55 (d, J = 7.6 Hz, 1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5 Hz, 1H), 5.31 (t, J = 7.4 Hz, 1H), 4.52 (t, J = 7.7 Hz, 2H), 4.30 (t, J = 8.4 Hz, 2H), 3.75 (s, 4H), 3.68 (d, J = 3.6 Hz, 4H), 3.14 (s, 3H), 2.35 (s, 3H); MS: m/z = 471.2 (M+1, ESI+).
실시예 86. ( E )-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제티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83>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메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대신에 모르폴린-4-카프보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8.26 (s, 1H), 8.06 (s, 1H), 7.56 (d, J = 7.6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5.29 - 5.21 (m, 1H), 4.57 (t, J = 7.2 Hz, 2H), 4.32 (t, J = 8.4 Hz, 2H), 3.72 - 3.65 (m, 8H), 3.58 - 3.53 (m, 4H), 3.28 - 3.24 (m, 4H), 2.35 (s, 3H); MS: m/z = 506.2 (M+1, ESI+).
실시예 87.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4
(단계 a)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2,6-디클로로-9-(피페리딘-4-일)-9H-퓨린 (900.0 mg)을 디클로로메탄 (15.0 mL)에 녹인 후 니코티닉 산 (300.0 mg), 트리에틸아민 (370.0 mg) 및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591.0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330.0 mg)을 24.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378.1(M+1, ESI+).
(단계 b) (4-(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33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221.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용매를 감압 농축 후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150.0 mg)을 45.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74.2 (M+1, ESI+).
(단계 c) (E)-(4-(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4-(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150.0 mg)을 메탄올 (10.0 mL)에 녹인 후 3-메틸벤즈알데히드 (60.0 mg) 및 아세트산 (0.1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100.0 mg)을 52.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76.2 (M+1, ESI+).
(단계 d)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의 합성
(E)-(4-(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10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5.0 mL)에 녹인 후 모르폴린 (1.0 mL) 및 아세트산 (0.2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메탄올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25.0 mg)을 22.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25 (s, 1H), 7.85 (s, 1H), 7.54 (s, 1H), 7.49 (s, 1H), 7.31 (d, J = 7.6 Hz, 1H), 7.20 (s, 1H), 4.72 (s, 2H), 4.28 (t, J = 7.7 Hz, 2H), 3.92 (t, J = 7.7 Hz, 2H), 3.73 - 3.67 (m, 8H), 2.35 (s, 3H), 2.30 - 2.24 (m, 2H); MS: m/z = 526.3 (M+1, ESI+).
실시예 88.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모르폴린-4-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0 (s, 1H), 8.26 (s, 1H), 8.04 (s, 1H), 7.55 (d, J = 7.7 Hz, 1H), 7.48 (s, 1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5 Hz, 1H), 4.45 (s, 1H), 3.77 - 3.69 (m, 10H), 3.59 (t, J = 4.0 Hz, 1H), 3.17 - 3.15 (m, 4H), 2.94 (t, J = 12.0 Hz, 2H), 2.34 (s, 3H), 2.12 - 2.06 (m, 2H), 1.97 (d, J = 9.8 Hz, 2H); MS: m/z = 534.2 (M+1, ESI+).
실시예 89.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일)(페닐)메탄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페닐)메탄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25 (s, 1H), 8.10 (s, 1H), 7.54 (d, J = 7.7 Hz, 1H), 7.47 (t, J = 5.6 Hz, 6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4 Hz, 1H), 4.59 (s, 1H), 3.71 (d, J = 8.7 Hz, 10H), 3.41 - 3.40 (m, 2H), 2.35 (s, 3H), 2.13 - 1.97 (m, 4H); MS: m/z = 525.2 (M+1, ESI+).
실시예 90. ( E )- N,N -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디메틸카바믹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N-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26 (s, 1H), 8.04 (s, 1H), 7.55 (d, J = 7.6 Hz, 1H), 7.49 (s, 1H), 7.31 (t, J = 7.6 Hz, 1H), 7.17 (d, J = 7.5 Hz, 1H), 4.43 - 4.40 (m, 1H), 3.71 - 3.68 (m, 10H), 2.87 (t, J = 12.3 Hz, 2H), 2.76 (s, 6H), 2.34 (s, 3H), 2.12 (dd, J = 12.0, 3.1 Hz, 1H), 2.07 (s, 1H), 1.96 (d, J = 10.2 Hz, 2H); MS: m/z = 492.3 (M+1, ESI+).
실시예 91. 메틸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메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0 (s, 1H), 8.25 (s, 1H), 8.04 (s, 1H), 7.54 (d, J = 7.5 Hz, 1H), 7.48 (s, 1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5 Hz, 1H), 4.54 - 4.43 (m, 1H), 4.13 (s, 2H), 3.70 (d, J = 4.9 Hz, 8H), 3.63 (s, 3H), 2.99 (s, 2H), 2.35 (d, J = 6.6 Hz, 3H), 2.05 - 1.94 (m, 4H); MS: m/z = 479.3 (M+1, ESI+).
실시예 92.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9 H -퓨린-2-일)모르폴리노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리노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25 (s, 1H), 8.07 (s, 1H), 7.55 (d, J = 7.6 Hz, 1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4 Hz, 1H), 4.42 (s, 1H), 3.70 (d, J = 5.9 Hz, 10H), 2.98 (d, J = 11.9 Hz, 2H), 2.94 (s, 3H), 2.35 (s, 3H), 2.18 (d, J = 9.2 Hz, 2H), 2.09 (d, J = 10.2 Hz, 2H); MS: m/z = 499.2 (M+1, ESI+).
실시예 93.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탄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이소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탄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4 (s, 1H), 8.42 (s, 1H), 8.29 (s, 1H), 7.99 (d, J = 8.8 Hz, 2H), 7.64 (d, J = 8.8 Hz, 2H), 7.57 (d, J = 7.6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4 Hz, 1H), 3.70 (dd, J = 14.6, 3.7 Hz, 8H), 2.35 (s, 3H); MS: m/z = 526.2 (M+1, ESI+).
실시예 94.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2-일)메탄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87>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다.
(단계 a)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2-일)메탄온의 합성
2,6-디클로로-9-(피페리딘-4-일)-9H-퓨린 (1.0 g)을 아세토니트릴 (10 mL)에 녹인 후 피콜리닉 산 (679 mg), N-메틸이미다졸 (905 mg), N,N,N',N'-테트라메틸클로로포름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996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 에틸 (30 mL)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연노랑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2,6-디클로로-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2-일)메탄온 (660 mg)을 4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 /z = 377.0 (M+1, ESI+).
이후 실시예 87의 (단계 b) 내지 (단계 d)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을 수행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2-일)메탄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0 (s, 1H), 8.61 (d, J = 4.4 Hz, 1H), 8.25 (s, 1H), 8.08 (s, 1H), 7.96 (d, J = 1.6 Hz, 1H), 7.61 (d, J = 7.8 Hz, 1H), 7.54 (d, J = 7.6 Hz, 1H), 7.49 (d, J = 6.2 Hz, 2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5 Hz, 1H), 4.71 - 4.56 (m, 2H), 3.89 - 3.82 (m, 1H), 3.75 - 3.64 (m, 9H), 3.05 - 2.96 (m, 1H), 2.35 (s, 3H), 2.13 (d, J = 3.6 Hz, 3H), 1.99 - 1.92 (m, 1H), 1.35 - 1.21 (m, 1H); MS: m/z = 526.4 (M+1, ESI+).
실시예 95. ( E )-4-(9-(1-메틸-1 H -피라졸-4-일)-6-(2-(3-메틸벤젠일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하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4-아이오도-1-메틸-1H-피라졸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1-메틸-1H-피라졸-4-일)-6-(2-(3-메틸벤젠일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35 - 8.24 (m, 3H), 8.02 (s, 1H), 7.57 (d, J = 8.0 Hz, 1H), 7.51 (s, 1H), 7.33 (t, J = 8.0 Hz, 1H), 7.20 (d, J = 8.0 Hz, 1H), 3.94 (s, 3H), 3.73 (dd, J = 4.0 Hz, J = 20.0 Hz, 8H), 2.36 (s, 3H); MS: m/z = 418.2 (M+1, ESI+).
실시예 96.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5
(단계 a)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3-아이오도피리딘 (3.0 g),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3.8 g)을 디클로로메탄 (100.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산 (8.8 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 ℃에서 메시틸렌 (1.9 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9 g)를 7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3.9 (M-TfO-, ESI+).
(단계 b) 2,6-디클로로-9-(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8 g), 트리에틸아민 (1.54 g), 2,6-디클로로-9H-퓨린 (1.4 g) 및 브롬화구리 (291.0 mg)을 디클로로메탄 (100.0 mL)에 녹인 후 6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피리딘-3-일)-9H-퓨린 (540.0 mg)을 2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5.8(M+1, ESI+).
(단계 c) 2-클로로-6-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피리딘-3-일)-9H-퓨린 (54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406.0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생성된 노란색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 (500.0 mg)을 9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1.9 (M+1, ESI+)
(단계 d)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 (500.0 mg), 3-메틸벤즈알데히드(459.0 mg) 및 아세트산 (11.0 mg)을 메탄올 (10.0 mL)에 녹인 후 70 ℃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 (400.0 mg)을 5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64.2 (M+1, ESI+)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 (350.0 mg), 모르폴린 (419.0 mg) 및 아세트산 (58.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6.0 mL)에 녹인 후 120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여 유기층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55.0 mg)을 13.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9 (s, 1H), 9.18 (d, J = 2.4 Hz, 1H), 8.61 (d, J = 4.8 Hz, 1H), 8.50 (s, 1H), 8.41 - 8.36 (m, 1H), 8.30 (s, 1H), 7.64 (dd, J = 8.4, 4.8 Hz, 1H), 7.58 (d, J = 7.6 Hz, 1H), 7.52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2 Hz, 1H), 3.74 - 3.69 (m, 8H), 2.36 (s, 3H); MS: m/z = 415.2 (M+1, ESI+).
실시예 97. (S, E )-3-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모르폴린 대신에 (S)-3-메틸모르폴린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S,E)-3-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8 (s, 1H), 9.20 (d, J = 2.8 Hz, 1H), 8.62 - 8.61 (m, 1H), 8.50 (s, 1H), 8.40 - 8.37 (m, 1H), 8.30 (s, 1H), 7.66 - 7.63 (m, 1H), 7.59 (d, J = 7.6 Hz, 1H), 7.52 (s, 1H), 7.35 (t, J = 7.6 Hz, 1H), 7.21 (d, J = 7.2 Hz, 1H), 4.67 (d, J = 6.8 Hz, 1H), 4.30 (d, J = 14.4 Hz, 1H), 3.96 - 3.93 (m, 1H), 3.74 (d, J = 10.8 Hz, 1H), 3.63 - 3.59 (m, 1H), 3.4 (s, 1H), 3.2 - 3.1 (m, 1H), 2.37 (s, 3H), 1.2 (s, 3H); MS: m/z = 429 (M+1, ESI+).
실시예 98. (1 R ,4 R )-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 H -퓨린-2-일)-옥사-5-아자바이싸이클로[2.2.1]헵테인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6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모르폴린 대신에 (1R,4R)-2-옥사-5-아자바이싸이클로[2.2.1]헵테인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1R,4R)-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옥사-5-아자바이싸이클로[2.2.1]헵테인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6 (s, 1H), 9.21 (d, J = 2.4 Hz, 1H), 8.62 (d, J = 1.2 Hz, 1H), 8.48 (s, 1H), 8.43 - 8.41 (m, 1H), 8.30 (s, 1H), 7.65 - 7.62 (m, 1H), 7.60 (d, J = 14.4 Hz, 1H), 7.53 (s, 1H), 7.35 (t, J = 7.6 Hz, 1H), 7.33 - 7.2 (m, 1H), 4.90 (s, 1H), 4.66 (s, 1H), 3.82 - 3.74 (m, 1H), 3.74 - 3.72 (m, 1H), 3.52 - 3.49 (m, 2H), 2.37 (s, 3H), 1.91 - 1.82 (m, 2H); MS: m/z = 427 (M+1, ESI+).
실시예 99.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2-아이오도피리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9 (s, 1H), 8.71 (s, 1H), 8.59 - 8.57 (m, 2H), 8.31 (s, 1H), 8.09 (t, J = 7.6 Hz, 1H), 7.58 (d, J = 6.8 Hz, 1H), 7.51 (s, 1H), 7.42 (t, J = 5.2 Hz, 1H), 7.34 (t, J = 7.2 Hz, 1H), 7.21 (d, J = 8.0 Hz, 1H), 3.76 (d, J = 26.8 Hz, 8H), 2.36 (s, 3H); MS: m/z = 415.2 (M+1, ESI+).
실시예 100. ( E )-4-(9-(4-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1-클로로-4-아이오도벤젠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4-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4 (s, 1H), 8.42 (s, 1H), 8.29 (s, 1H), 7.99 (d, J = 8.8 Hz, 2H), 7.64 (d, J = 8.8 Hz, 2H), 7.57 (d, J = 7.6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4 Hz, 1H), 3.70 (dd, J = 14.6, 3.7 Hz, 8H), 2.35 (s, 3H); MS: m/z = 448.2 (M+1, ESI+).
실시예 101. ( E )-4-(9-(2-메톡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4-아이오도-2-메톡시피리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2-메톡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1 (s, 1H), 8.66 (s, 1H), 8.33 - 8.28 (m, 2H), 7.83 (dd, J = 5.7, 1.8 Hz, 1H), 7.65 (d, J = 1.6 Hz, 1H), 7.57 (d, J = 7.9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4 Hz, 1H), 3.92 (s, 3H), 3.76 (d, J = 4.6 Hz, 4H), 3.72 (d, J = 4.6 Hz, 4H), 2.36 (s, 3H); MS: m/z = 445.3 (M+1, ESI+)
실시예 102.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리딘-2-올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7
(단계 a)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의 합성
(E)-4-(9-(2-메톡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260 mg)을 아세토니트릴 (7 mL)에 녹인 후 아이오딘화 나트륨 (351 mg) 및 트리메틸실릴클로라이드 (253 mg)을 첨가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에틸 첨가 후 싸이오황산 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후 물을 첨가하였다. 디메틸설폭사이드/메탄올 조건으로 재결정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 (27 mg)을 10.7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72 (s, 1H), 11.49 (s, 1H), 8.57 (s, 1H), 8.29 (s, 1H), 7.58 (s, 2H), 7.51 (s, 1H), 7.34 (t, J = 6.8 Hz, 1H), 7.22 - 7.18 (m, 2H), 7.07 (d, J = 6.8 Hz, 1H), 3.74 - 3.72 (m, 8H), 2.36 (s, 3H); MS: m/z = 431.0 (M+1, ESI+).
실시예 103.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4-아이오도피리딘을, (단계 b)에서 브롬화구리 대신에 아이오딘화구리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 (s, 1H), 9.82 (s, 1H), 8.45 - 8.38 (m, 3H), 7.92 (d, J = 6.4 Hz, 2H), 7.75 - 7.65 (m, 2H), 7.45 (t, J = 7.6 Hz, 1H), 7. 43 - 7.38 (m, 1H), 3.74 (s, 8H), 2.40 (s, 3H); MS: m/z = 445 (M+1, ESI+).
실시예 104.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0 (s, 1H), 8.55 (s, 1H), 8.34-8.22 (m, 3H), 7.96 (d, J = 8.6Hz, 2H), 7.58 (d, J = 7.6Hz, 1H), 7.52 (s, 1H), 7.34 (t, 1H), 7.20 (d, J = 7.5Hz, 1H), 3.72 (dd, J = 19.4 Hz, 4.7 Hz, 8H), 2.36 (s, 3H); MS: m/z = 482.48 (M+1, ESI+).
실시예 105. ( E )-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 H -퓨린-2-일)피페리딘-4-올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모르폴린 대신에 피페리딘-4-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피페리딘-4-올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6 (s, 1H), 9.19 (d, J = 2.4 Hz, 1H), 8.61 (dd, J = 4.4, 1.2 Hz, 1H), 8.48 (s, 1H), 8.40 - 8.35 (m, 1H), 8.31 - 8.25 (m, 1H), 7.70 -7.62 (m, 1H), 7.59 (d, J = 8.0 Hz, 1H), 7.53 (s, 1H), 7.35 (t, J = 7.6 Hz, 1H), 7.21 (d, J = 7.6 Hz, 1H), 4.74 (d, J = 4.4 Hz, 1H), 4.40 - 4.30 (m, 1H), 3.75 - 3.65 (m, 1H), 3.30 - 3.20 (m, 2H), 2.37 (s, 3H), 1.85 - 1.75 (m, 2H), 1.45 - 1.30 (m, 2H); MS: m/z = 429 (M+1, ESI+).
실시예 106. ( E )-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 H -퓨린-2-일)아제티딘-3-올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아제티딘-3-올을 합성하였다.
(단계 e)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아제티딘-3-올의 합성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 (3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8.25 mL)에 녹인 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72 mL)과 3-히드록시아제티딘-1-윰 클로라이드 (271 mg)를 첨가하고 15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 에틸/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아제티딘-3-올 (20 mg)을 6.0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4 (s, 1H), 9.19 (d, J = 2.4 Hz, 1H), 8.62 (dd, J = 4.8, 1.6 Hz, 1H), 8.39 (s, 1H), 8.41 - 8.37 (m, 1H), 8.30 - 8.22 (m, 1H), 7.70 - 7.60 (m, 1H), 7.58 (d, J = 8.0 Hz, 1H), 7.54 (s, 1H), 7.35 (t, J = 7.2 Hz, 1H), 7.21 (d, J = 7.6 Hz, 1H), 5.70 - 5.60 (m, 1H), 4.60 - 4.50 (m, 1H), 4.29 - 4.20 (m, 2H), 3.85 - 3.75 (m, 2H), 2.37 (s, 3H); MS: m/z = 401 (M+1, ESI+).
실시예 107. 4-(9-(피리딘-4-일)-6-(3-(m-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8
(단계 a) 메시틸(피리딘-4-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4-아이오도피리딘 (5.0 g),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7.43 g)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인 뒤 0℃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산 (14.63 g)을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메시틸렌 (3.22 g)을 첨가하고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30 mL), 아세트산 에틸 (4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30 mL)으로 3회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시틸(피리딘-4-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3 g)을 37.2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4.1 (M-TfO-, ESI+).
(단계 b) 2,6-디클로로-9-(피리딘-4-일)-9H-퓨린의 합성
메시틸(피리딘-4-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45 g)과 2,6-디클로로-9H-퓨린 (1.37 g)을 디클로로메탄 (50 mL)에 녹인 뒤 브롬화구리 (208 mg) 및 트리에틸아민 (1.10 g)을 첨가하여 6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5 mL), 디클로로메탄 (3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25 mL)으로 3회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피리딘-4-일)-9H-퓨린 (480 mg)을 24.9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6 (M+1, ESI+).
(단계 c) 2-클로로-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285 m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에 녹인 뒤 0℃에서 소듐하이드라이드 (180 mg)를 첨가하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뒤 2,6-디클로로-9-(피리딘-4-일)-9H-퓨린 (400 mg)을 첨가하고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5 mL), 아세트산 에틸 (15 mL)으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10 mL)으로 3회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100 mg)을 17.2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8.1(M+1, ESI+).
(단계 d) 4-(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1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50 μL)과 모르폴린 (225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5 mL), 아세트산 에틸 (2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9 mg)을 7.9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39.2 (M+1, ESI+).
1H NMR (400 MHz, DMSO-d 6) δ 9.12 (s, 1H), 8.89 (s, 1H), 8.77 (s, 2H), 8.16 (s, 2H), 8.0-7.75 (m, 2H), 7.40 - 7.30 (m, 1H), 7.28-7.15 (m, 2H), 3.84 (s, 4H), 3.74 (s, 4H), 2.40 (s, 3H).
실시예 108. ( E )-4-(9-(5-메톡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2-아이오도-5-메톡시피리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5-메톡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9 (s, 1H), 8.59 (s, 1H), 8.46 (d, J = 8.8 Hz, 1H), 8.32 (s, 1H), 8.26 (d, J = 2.8 Hz, 1H), 7.73 (dd, J = 8.8, 2.8 Hz, 1H), 7.58 (d, J = 7.6 Hz, 1H), 7.50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6 Hz, 1H), 3.90 (s, 3H), 3.78 - 3.72 (m, 8H), 2.36 (s, 3H); MS: m/z = 445.3 (M+1, ESI+).
실시예 109.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3-아이오도-2-메틸피리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6 (s, 1H), 8.60 (dd, J = 4.8, 1.6 Hz, 1H), 8.29 (s, 1H), 8.13 (s, 1H), 7.86 (dd, J = 8.0, 1.2 Hz, 1H), 7.59 (d, J = 7.6 Hz, 1H), 7.52 (s, 1H), 7.46 (dd, J = 8.0, 4.8 Hz, 1H), 7.34 (t, J = 7.2 Hz, 1H), 7.20 (d, J = 7.2 Hz, 1H), 3.62 (m, 8H), 2.37 (s, 3H), 2.36 (s, 3H); MS: m/z = 429.2 (M+1, ESI+).
실시예 110.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5-아이오도-2-메틸피리딘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8 (s, 1H), 9.01 (d, J = 2.4 Hz, 1H), 8.43 (s, 1H), 8.30 (s, 1H), 8.21 (dd, J = 8.0, 2.4 Hz, 1H), 7.58 (d, J = 7.6 Hz, 1H), 7.52 (s, 1H), 7.48 (d, J = 8.4 Hz,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2 Hz, 1H), 3.71 - 3.69 (m, 8H), 2.55 (s, 3H), 2.36 (s, 3H); MS: m/z = 429.3 (M+1, ESI+).
실시예 111. ( E )-4-(9-(2,4-디메틸티아졸-5-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 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59
(단계 a) 5-아이오도-2,4-디메틸티아졸의 합성
2,4-디메틸티아졸 (1.1 g)에 클로로포름 (20 mL), N-아이오도숙신이미드 (4.38 g)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2 g)을 0 ℃에서 첨가 후 7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5-아이오도-2,4-디메틸티아졸 (2.12 g)을 91.1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39.9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f)의 합성은 <실시예 96>의 (단계 a)에서 (단계 e)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2,4-디메틸티아졸-5-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 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7 (s, 1H), 8.27 (s, 1H), 8.16 (s, 1H), 7.58 (d, J = 7. 6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3.66 (m, 8H), 2.67 (s, 3H), 2.36 (s, 3H), 2.24 (s, 3H); MS: m/z = 449.3 (M+1, ESI+).
실시예 112. ( E )-4-(6-(2-((1 H -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4-아이오도피리딘을, 단계 (d)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H-인돌-3-카브알데히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2 - 11.27 (m, 2H), 8.75 - 8.43 (m, 5H), 8.24 (dd, J = 1.6, 4.8 Hz, 2H), 7.75 (d, J = 2.4 Hz, 1H), 7.42 (d, J = 8.0 Hz, 1H), 7.22 - 7.10 (m, 2H), 3.84 (s, 4H), 3.75 (s, 4H); MS: m/z = 440 (M+1, ESI+).
실시예 113. ( E )-4-(9-(6-메톡시피리딘-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0
(단계 a) 5-아이오도-2-메톡시피리딘의 합성
5-브로모-2-메톡시피리딘 (2.0 g)을 1,4-디옥산 (20 mL)에 녹인 후 아이오딘화 나트륨 (3.18 g), N1,N2-디메틸에텐-1,2-디아민 (468 mg) 및 아이오딘화구리 (405 mg)를 첨가하여 110 ℃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 후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한 후 벤진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갈색 오일 상태의 목적 화합물 5-아이오도-2-메톡시피리딘 (1.5 g)을 59.6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35.9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f)의 합성은 <실시예 96>의 (단계 a)에서 (단계 e)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6-메톡시피리딘-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6 (s, 1H), 8.68 (s, 1H), 8.35 (s, 1H), 8.30 (s, 1H), 8.21 (d, J = 8.7 Hz, 1H), 7.58 (d, J = 7.3 Hz, 1H), 7.51 (s, 1H), 7.33 (t, J = 7.5 Hz, 1H), 7.20 (d, J = 7.2 Hz, 1H), 7.04 (d, J = 8.8 Hz, 1H), 3.92 (s, 3H), 3.69 (d, J = 7.2 Hz, 8H), 2.36 (s, 3H); MS: m/z = 445.1 (M+1, ESI+).
실시예 114. ( E )-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피리딘-2-올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1
(단계 a) (E)-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수득한 화합물 (E)-4-(9-(6-메톡시피리딘-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105 mg)을 아세토니트릴 (5 mL)에 녹인 후 아이오딘화 나트륨 (142 mg) 및 트리메틸실릴클로라이드 (102 mg)을 첨가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반응 용액의 pH를 8로 맞추었다. 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 (60 mg)을 5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28 (s, 1H), 8.17 (s, 1H), 7.97 (s, 1H), 7.80 (dd, J = 9.5, 2.7 Hz, 1H), 7.57 (d, J = 7.5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6.45 (d, J = 9.5 Hz, 1H), 3.69 - 3.68 (m, 8H), 2.36 (s, 3H); MS: m/z = 431.0 (M+1, ESI+).
실시예 115. ( E )-4-(9-(2-클로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2-클로로-4-아이오도피리딘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2-클로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4 (s, 1H), 8.73 (s, 1H), 8.56 (d, J = 5.5 Hz, 1H), 8.32 (dd, J = 13.2, 7.6 Hz, 3H), 7.57 (d, J = 7.5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4 Hz, 1H), 3.76 (d, J = 3.8 Hz, 4H), 3.72 (d, J = 3.9 Hz, 4H), 2.35 (s, 3H); MS: m/z = 449.1 (M+1, ESI+).
실시예 116. ( E )-4-(9-(5-클로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아이오도피리딘 대신에 5-클로로-2-아이오도피리딘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4-(9-(5-클로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1 (s, 1H), 8.67 (s, 1H), 8.64 - 8.62 (m, 2H), 8.30 (s, 1H), 8.22 (dd, J = 8.8, 2.8 Hz, 1H), 7.58 (d, J = 8.0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2 Hz, 1H), 3.80 - 3.72 (m, 8H), 2.36 (s, 3H); MS: m/z = 449.2 (M+1, ESI+).
실시예 117.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티아졸-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2
(단계 a) 2-아이오도티아졸의 합성
2-브로모티아졸 (3.1 g)을 1,4-디옥산 (50 mL)에 녹인 후 아이오딘화 나트륨 (5.71 g), N1,N2-디메틸에텐-1,2-디아민 (0.84 g) 및 아이오딘화구리 (0.72 g)를 첨가하여 110 ℃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액을 여과 후 농축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아이오도티아졸 (2.0 g)을 49.8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12.0 (M+1, ESI+).
(단계 b)에서 (단계 f)의 합성은 <실시예 96> 의 (단계 a)에서 (단계 e)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티아졸-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5.0 mg)을 18.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00 (s, 1H), 8.03 (s, 1H), 7.69 (s, 1H), 7.63 (d, J = 7.2 Hz, 1H), 7.53 (d, J = 3.6 Hz, 1H), 7.39 (t, J = 7.2 Hz, 1H), 7.33 (d, J = 8.0 Hz, 1H), 6.98 (d, J = 3.6 Hz, 1H), 3.96 - 3.88 (m, 8H), 2.45 (s, 3H); MS: m/z = 421.2 (M+1, ESI+).
실시예 118. 4-(9-(피리딘-3-일)-6-(3-( m -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3
(단계 a)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3-아이오도피리딘 (3.0 g) 및 3-클로로벤조퍼옥소익산(4.46 g)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인 뒤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닉산(8.78 g)을 0 ℃에서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메시틸렌 (1.93 g)을 0 ℃에서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25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 g)을 29.5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5.03 (M-TfO-, ESI+).
(단계 b) 2,6-디클로로-9-(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0.41 g) 및 메시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 g)을 디클로로메탄 (50 mL)에 녹인 뒤 트리에틸아민 (437 mg) 및 브롬화구리 (62 mg)을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6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피리딘-3-일)-9H-퓨린 (500 mg)을 87.0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6.0 (M+1, ESI+).
(단계 c) 2-클로로-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200 mg)에 디메틸폼아마이드 (15 mL)을 첨가 후 0℃에서 수소화나트륨 (60%) (101 mg)을 첨가하였다. 0℃에서 20분 동안 교반 후 2,6-디클로로-9-(피리딘-3-일)-9H-퓨린 (225 mg)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 종결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200 mg)을 60.9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8.1 (M+1, ESI+).
(단계 d) 4-(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200 mg) 및 모르폴린 (449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05 mL)를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3.61 mg)을 1.6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9 (t, J = 2.9 Hz, 2H), 8.79 (s, 1H), 8.69 - 8.68 (m, 1H), 8.41 (d, J = 9.3 Hz, 1H), 7.84 (d, J = 10.3 Hz, 2H), 7.70 (dd, J = 8.2, 4.9 Hz, 1H), 7.41 (t, J = 7.6 Hz, 1H), 7.26 (d, J = 7.7 Hz, 1H), 7.22 (d, J = 2.7 Hz, 1H), 3.83 (d, J = 4.6 Hz, 4H), 3.75 (d, J = 4.8 Hz, 4H), 2.42 (s, 3H); MS: m/z = 439.3 (M+1, ESI+).
실시예 119.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4
(단계 a)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5.0 g) 및 o-페난트롤린 (9.53 g)을 디클로로메탄 (200 mL)에 녹인 뒤, 페닐보론산 (9.68 g)과 구리(II) 아세테이트 (4.81 g)를 첨가하고 산소 조건 하에서 40℃로 가열하며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추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 (2.2 g)을 3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4.9 (M+1, ESI+).
(단계 b) 2-클로로-6-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 (1.9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44 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여 고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감압 여과한 후, 건조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 (1.80 g)을 9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1.3 (M+1, ESI+)
(단계 c)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 (1.60 g), 3-메틸벤즈알데히드 (1.47 g) 및 아세트산 (37 mg)을 메탄올 (20 mL)에 녹인 후,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 (1.1 g)을 4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63.3(M+1, ESI+).
(단계 d)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 (350 mg) 및 모르폴린 (42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58 mg)를 첨가하고 120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유기층으로 추출 후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156 mg)을 13.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5 (s, 1H), 8.41 (s, 1H), 8.30 (s, 1H), 7.93 (d, J = 7.6 Hz, 2H), 7.62 - 7.55 (m, 3H), 7.52 (s, 1H), 7.41 (t, J = 7.2 Hz,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6 Hz, 1H), 3.77 - 3.66 (m, 8H), 2.36 (s, 3H); MS: m/z = 414.1 (M+1, ESI+).
실시예 120. ( E )-4-(9-(4-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4-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4-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29 (s, 2H), 7.78 (d, J = 8.8 Hz, 2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5 Hz, 1H), 7.12 (d, J = 8.9 Hz, 2H), 3.82 (s, 3H), 3.69 (d, J = 7.5 Hz, 8H), 2.35 (s, 3H); MS: m/z = 444.5 (M+1, ESI+).
실시예 121. ( E )-4-(9-(3-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6 (s, 1H), 8.46 (s, 1H), 8.30 (s, 1H), 7.62-7.32 (m, 5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5 Hz, 1H), 6.97 (d, J = 8.1 Hz, 1H), 3.84 (s, 3H), 3.71 (dd, J = 15.0, 4.2 Hz, 8H), 2.36 (s, 3H); MS: m/z = 444.5 (M+1, ESI+).
실시예 122. ( E )-4-(9-(3-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클로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7 (s, 1H), 8.49 (s, 1H), 8.31 (s, 1H), 8.13 (t, J = 1.9 Hz, 1H), 8.00 (d, J = 8.0 Hz, 1H), 7.63 - 7.56 (m, 2H), 7.46 (dd, J = 8.0, 1.8 Hz, 1H), 7.34 (t, J = 7.6 Hz, 1H), 7.20 (d, J = 7.5 Hz, 1H), 3.72 (dd, J = 15.6, 4.6 Hz, 8H), 2.36 (s, 3H); MS: m/z = 448.2 (M+1, ESI+).
실시예 123. ( E )- N,N -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닐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4-(디메틸아미노)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N-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닐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9 (s, 1H), 8.30 (s, 1H), 8.21 (s, 1H), 7.64 - 7.55 (m, 3H), 7.51 (s, 1H), 7.40-7.25 (m, 1H), 7.19 (d, J = 6.6 Hz, 1H), 6.85 (d, J = 8.1 Hz, 2H), 3.69 (d, J = 9.2 Hz, 8H), 2.94 (s, 6H), 2.35 (s, 3H); MS: m/z = 456.2 (M+1, ESI+).
실시예 124. ( E )-4-(9-(2-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2-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2-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3 (s, 1H), 8.27 (s, 1H), 8.01 (s, 1H), 7.52 (t, J = 20.6 Hz, 4H), 7.30 (d, J = 15.9 Hz, 2H), 7.16 (d, J = 29.0 Hz, 2H), 3.79 (s, 4H), 3.62 (s, 7H), 2.34 (s, 3H); MS: m/z = 444.2 (M+1, ESI+).
실시예 125. ( E )-4-(9-(3-시클로프로폭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시클로프로폭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시클로프로폭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3 (s, 1H), 8.41 (s, 1H), 8.31 (s, 1H), 7.74 (s, 1H), 7.59 (d, J = 7.6 Hz, 1H), 7.60 - 7.45 (m, 3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4 Hz, 1H), 7.03 (d, J = 7.9 Hz, 1H), 4.00 - 3.85 (m, 1H), 3.75 (s, 4H), 3.68 (s, 4H), 2.34 (s, 3H), 0.85-0.60 (m, 4H); MS: m/z = 470.2 (M+1, ESI+).
실시예 126. ( E )-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 벤조니트릴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5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시아노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 벤조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8 (s, 1H), 8.52 (s, 1H), 8.47 - 8.38 (m, 2H), 8.30 (s, 1H), 7.87 (d, J = 7.6 Hz, 1H), 7.80 (t, J = 8.0 Hz, 1H), 7.58 (d, J = 7.6 Hz, 1H), 7.52 (s, 1H), 7.34 (t, J = 7.4 Hz, 1H), 7.21 (d, J = 7.2 Hz, 1H), 3.72 (dd, J = 15.2, 4.0 Hz, 8H), 2.36 (s, 3H); MS: m/z = 439.2 (M+1, ESI+).
실시예 127.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m -톨릴)-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m-톨릴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m-톨릴)-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3 (s, 1H), 8.38 (s, 1H), 8.30 (s, 1H), 7.77 - 7.71 (m, 2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46 (t, J = 8.0 Hz, 1H), 7.34 (t, J = 7.6 Hz, 1H), 7.21 (t, J = 8.4 Hz, 2H), 3.78 - 3.63 (m, 8H), 2.41 (s, 3H), 2.36 (s, 3H); MS: m/z = 428.2 (M+1, ESI+).
실시예 128.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9 (s, 1H), 8.53 (s, 1H), 8.30 (s, 1H), 8.18 (s, 1H), 8.01 (d, J = 8.0 Hz, 1H), 7.71 (t, J = 8.2 Hz, 1H), 7.58 (d, J = 7.5 Hz, 1H), 7.52 (s, 1H), 7.39 (d, J = 7.9 Hz, 1H), 7.33 (t, J = 7.5 Hz, 1H), 7.20 (d, J = 7.3 Hz, 1H), 3.71 (dd, J = 18.6, 3.7 Hz, 8H), 2.36 (s, 3H); MS: m/z = 498.3 (M+1, ESI+).
실시예 129. ( E )-4-(9-(3-플루오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플루오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플루오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9 (s, 1H), 8.50 (s, 1H), 8.30 (s, 1H), 7.97 - 7.91 (m, 1H), 7.91 - 7.86 (m, 1H), 7.67 - 7.56 (m, 2H), 7.52 (s, 1H), 7.34 (t, J = 7.6 Hz, 1H), 7.28 - 7.19 (m, 2H), 3.77 - 3.67 (m, 8H), 2.36 (s, 3H); MS: m/z = 432.2 (M+1, ESI+).
실시예 130.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8 (s, 1H), 8.57 (s, 1H), 8.48 (s, 1H), 8.37 - 8.20 (m, 2H), 7.82 (t, J = 8.0 Hz, 1H), 7.75 (d, J = 7.6 Hz, 1H), 7.58 (d, J = 7.6 Hz, 1H), 7.52 (s, 1H), 7.33 (t, J = 7.2 Hz, 1H), 7.20 (d, J = 7.2 Hz, 1H), 3.79 - 3.64 (m, 8H), 2.36 (s, 3H); MS: m/z = 482.6 (M+1, ESI+).
실시예 131. ( E )-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페놀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6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고, (단계 e)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여 목적 화합물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페놀을 수득하였다.
(단계 e)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페놀의 합성
(E)-4-(9-(4-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10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뒤 0 ℃ 보론 트리브로마이드 (250 mg)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아세트산 에틸 (3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페놀 (48.5 mg)을 5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35 (s, 1H), 8.29 (s, 1H), 7.57 (d, J = 7.6 Hz, 1H), 7.51 (s, 1H), 7.40 (s, 1H), 7.35-7.25 (m, 3H), 7.20 (d, J = 7.4 Hz, 1H), 6.80 (d, J = 7.7 Hz, 1H), 3.71 (d, J = 11.1 Hz, 8H), 2.35 (s, 3H); MS: m/z = 430.4 (M+1, ESI+).
실시예 132. ( E )-4-(6-(2-((1 H -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이후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H-인돌-3-카브알데히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6 (s, 1H), 11.26 (s, 1H), 8.52 - 8.42 (m, 3H), 7.97 (d, J = 8.0 Hz, 2H), 7.73 (s, 1H), 7.59 (t, J = 8.0 Hz, 2H), 7.42 (t, J = 8.2 Hz, 2H), 7.22 - 7.20 (m, 1H), 7.18 - 7.15 (m, 1H), 3.80 (s, 4H), 3.73 (s, 4H).3.96 - 3.93 (m, 1H), 3.74 (d, J = 10.8 Hz, 1H), 3.63 - 3.59 (m, 1H), 3.4 (s, 1H), 3.2 - 3.1 (m, 1H), 2.37 (s, 3H), 1.2 (s, 3H); MS: m/z = 439 (M+1, ESI+).
실시예 133. ( E )-4-(6-(2-((1-메틸-1 H -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메틸-1H-인돌-3-카브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1-메틸-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20 (s, 1H), 8.81 - 8.68 (m, 1H), 8.49 (s, 1H), 8.41 (s, 1H), 7.94 (d, J = 12.4 Hz, 2H), 7.72 (s, 2H), 7.59 (t, J = 7.8 Hz, 2H), 7.48 (d, J = 8.0 Hz, 1H), 7.41 (t, J = 7.4 Hz, 1H), 7.27 (t, J = 7.6 Hz, 1H), 7.18 (t, J = 7.4 Hz, 1H), 3.83 (s, 3H), 3.79 (s, 4H), 3.73 (s, 4H); MS: m/z = 453 (M+1, ESI+).
실시예 134. 4-(9-(4-메톡시페닐)-6-(3-(m-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7
(단계 a) 2,6-디클로로-9-(4-메톡시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2.0 g), (4-메톡시페닐)보로닉 산 (4.82 g)을 디클로로메탄 (60 mL)에 녹인 뒤 o-페난트롤린 (3.81 g), 구리(II)아세테이트 (1.92 g)을 첨가하고 O2 조건으로 4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물 (50 mL),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4-메톡시페닐)-9H-퓨린 (1.05 g)을 33.7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5.0 (M+1, ESI+).
(단계 b) 2-클로로-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58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 mL)에 녹인 뒤 소듐 하이드라이드 (60%) (367 m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뒤 2,6-디클로로-9-(4-메톡시페닐)-9H-퓨린 (900 mg)를 첨가하고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300 mg)을, 23.5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17.1 (M+1, ESI+).
(단계 c) 4-(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3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5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43 mg)과 모르폴린 (314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0 mL), 디클로로메탄 (5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37 mg)을 10.9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8 (d, J = 2.4 Hz, 1H), 8.59 (s, 1H), 7.85 - 7.78 (m, 4H), 7.39 (t, J = 7.6 Hz, 1H), 7.24 (d, J = 7.6 Hz, 1H), 7.21 - 7.14 (m, 3H), 3.84 (s, 3H), 3.83 - 3.76 (m, 4H), 3.76 - 3.69 (m, 4H), 2.41 (s, 3H); MS: m/z = 468.1(M+1, ESI+).
실시예 135. 4-(9-(3-클로로페닐)-6-(3-(m-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8
(단계 a) 2,6-디클로로-9-(3-클로로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 (3-클로로페닐)보로닉 산 (2.48 g)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인 뒤 구리(II)아세테이트 (961 mg), o-페난트롤린 (1.91 g)을 첨가하고 O2 조건으로 4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3-클로로페닐)-9H-퓨린 (750 mg)을 47.5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8.9(M+1, ESI+).
(단계 b) 2-클로로-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742 m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녹인 뒤 소듐 하이드라이드 (60%) (282 mg)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뒤 2,6-디클로로-9-(3-클로로페닐)-9H-퓨린 (700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430 mg)을 43.5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21.1 (M+1, ESI+).
(단계 c) 4-(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43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8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61 mg)과 모르폴린 (445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0 mL), 디클로로메탄 (5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95 mg)을 10.9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6 (d, J = 2.6 Hz, 1H), 8.74 (s, 1H), 8.11 (s, 1H), 8.00 (d, J = 8.2 Hz, 1H), 7.85 - 7.80 (m, 2H) 7.65 (t, J = 8.1 Hz, 1H), 7.53 (d, J = 8.5 Hz, 1H), 7.39 (t, J = 7.5 Hz, 1H), 7.24 (d, J = 7.5 Hz, 1H), 7.19 (d, J = 2.7 Hz, 1H), 3.85 - 3.70 (m, 8H), 2.41 (s, 3H); MS: m/z = 472.4(M+1, ESI+).
실시예 136. 4-(9-페닐-6-(3-( m -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69
(단계 a)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 및 페닐보로닉 산 (1.94 g)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인 뒤 o-페난트롤린 (1.92 g) 및 구리(II)아세테이트 (0.96 g)을 첨가하고 O2 조건으로 40 ℃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벤진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 (1.1 g)을 78.4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65.0 (M+1, ESI+).
(단계 b) 2-클로로-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465 mg)에 디메틸폼아마이드 (15 mL)을 첨가 후 0 °C에서 수소화나트륨 (60%) (235 mg)을 첨가하였다. 0 ℃에서 20분 동안 교반 후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 (518 mg)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25 °C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 종결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200 mg)을 26.4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7.0 (M+1, ESI+).
(단계 c) 4-(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175 mg) 및 모르폴린 (225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05 mL)를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23 mg)을 11.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9 (d, J = 2.6 Hz, 1H), 8.70 (s, 1H), 7.95 (d, J = 7.6 Hz, 2H), 7.85 - 7.83 (m, 2H), 7.63 (t, J = 7.8 Hz, 2H), 7.47 (t, J = 7.6 Hz, 1H), 7.39 (t, J = 7.6 Hz, 1H), 7.24 (d, J = 7.6 Hz, 1H), 7.20 (d, J = 2.8 Hz, 1H), 3.83 - 3.82 (m, 4H), 3.75 - 3.74 (m, 4H), 2.42 (s, 3H); MS: m/z = 438.2 (M+1, ESI+).
실시예 137. 4-(9-(3-메톡시페닐)-6-(3-( m -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0
(단계 a) 2,6-디클로로-9-(3-메톡시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5 g) 및 (3-메톡시페닐)보로닉 산(3.6 g)을 디클로로메탄 (80 mL)에 녹인 뒤 o-페난트롤린 (2.86 g) 및 구리(II)아세테이트 (1.44 g)을 첨가하고 O2 조건으로 5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3-메톡시페닐)-9H-퓨린 (640 mg)을 27.3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96.1 (M+1, ESI+).
(단계 b) 2-클로로-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347 mg)에 디메틸폼아마이드 (5 mL)을 첨가 후 0 °C에서 수소화나트륨 (60%) (132 m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60분 동안 교반 후 2,6-디클로로-9-(3-메톡시페닐)-9H-퓨린 (54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 종결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보라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320 mg)을 42.0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17.0 (M+1, ESI+).
(단계 c) 4-(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320 mg) 및 모르폴린 (669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1 mL)를 첨가하고 12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18 mg)을 5.0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2 (s, 1H), 8.65 (s, 1H), 7.81 (s, 2H), 7.56 (s, 1H), 7.48 (s, 2H), 7.39 - 7.36 (m, 1H), 7.22 (d, J = 6.1 Hz, 1H), 7.14 (s, 1H), 7.00 (s, 1H), 3.83 (d, J = 6.1 Hz, 3H), 3.77 (s, 4H), 3.70 (s, 4H), 2.39 (s, 3H); MS: m/z = 468.2 (M+1, ESI+).
실시예 138. 4-(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 m -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1
(단계 a) 2,6-디클로로-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5 g) 및 (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보로닉 산 (2.1 g)을 디클로로메탄 (60 mL)에 녹인 뒤 o-페난트롤린 (2.86 g) 및 구리(II)아세테이트 (1.44 g)을 첨가하고 O2 조건으로 4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9H-퓨린 (430 mg)을 16.8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2.1 (M+1, ESI+).
(단계 b) 2-클로로-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의 합성
3-(m-톨릴)-1H-피라졸 (195 mg)에 디메틸폼아마이드 (5 mL)을 첨가 후 0 °C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 (60%) (123 m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2,6-디클로로-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9H-퓨린 (33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25 °C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 종결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보라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280 mg)을 61.6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43.0 (M+1, ESI+).
(단계 c) 4-(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 (353 mg) 및 모르폴린 (695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1 mL)를 첨가하고 12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34.3 mg)을 8.7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1 (s, 1H), 8.61 (s, 1H), 7.80 (d, J = 10.4 Hz, 2H), 7.67 (s, 1H), 7.47 (d, J = 6.3 Hz, 2H), 7.36 (t, J = 7.5 Hz, 1H), 7.21 (d, J = 7.3 Hz, 1H), 7.13 (d, J = 2.7 Hz, 1H), 7.07 (dd, J = 5.8, 2.4 Hz, 1H), 3.91 (dd, J = 7.3, 4.3 Hz, 1H), 3.78 (s, 4H), 3.70 (s, 4H), 2.38 (s, 3H), 0.80 - 0.77 (m, 2H), 0.72 (d, J = 3.1 Hz, 2H); MS: m/z = 494.2 (M+1, ESI+).
실시예 139.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2
(단계 a) 4-(6-(벤질옥시)-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411 mg)과 4-아이오도-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300 mg)을 디메틸설폭사이드 (30 mL)에 녹인 뒤 L-프롤린 (194 mg),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820 mg) 및 아이오딘화구리 (255 mg)를 첨가하여 8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00 mL), 디클로로메탄 (20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100 mL)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400 mg)을 79.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57.2 (M+1, ESI+).
(단계 b) 2-모르폴리노-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6-올의 합성
4-(6-(벤질옥시)-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30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뒤 0 ℃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를 첨가하고 25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으로 pH를 8로 염기화한 뒤 디클로로메탄 (20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200 mL)으로 3회 씻어주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어진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모르폴리노-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6-올 (200 mg)을 88.2%의 수율로 수득하였으며 crude 상태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MS: m/z = 313.1 (M+1, ESI+).
(단계 c) 2-모르폴리노-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2-모르폴리노-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6-올 (200 mg), 트리에틸아민 (165 mg)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뒤 토실 클로라이드 (156 mg)을 첨가하고 0 oC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30 mL), 디클로로메탄 (3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30 mL)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모르폴리노-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240 mg)을 80.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521.1 (M+1, ESI+).
(단계 d) 4-(6-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모르폴리노-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24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00 mg)를 첨가하고 25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 (10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200 mg)을 7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1.2(M+1, ESI+).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200 mg)을 메탄올 (15 mL)에 녹인 뒤 3-메틸벤즈알데히드 (78 mg), 아세트산 (0.1 mL)를 첨가하고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82 mg)을 32.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5 (s, 1H), 8.91 (d, J = 5.4 Hz, 1H), 8.82 (d, J = 3.5 Hz, 2H), 8.53 (d, J = 4.2 Hz, 1H), 8.30 (s, 1H), 7.62 - 7.48 (m, 2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4 Hz, 1H), 3.84 - 3.66 (m, 8H), 2.36 (s, 3H); MS: m/z = 483.1 (M+1, ESI+).
실시예 140.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3
(단계 a) 4-(6-(벤질옥시)-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800 mg)과 4-아이오도-2-메틸피리딘 (500 mg)을 디메틸설폭사이드 (30 mL)에 녹인 뒤 L-프롤린 (320 mg),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1.17 g) 및 아이오딘화구리 (1.17 g)를 첨가하여 첨가하여 8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00 mL), 디클로로메탄 (20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100 mL)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550 mg)을 59.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03.2 (M+1, ESI+).
(단계 b) 9-(2-메틸피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의 합성
4-(6-(벤질옥시)-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55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뒤 0 ℃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를 첨가하고 25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으로 pH를 8로 염기화한 뒤 디클로로메탄 (20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200 mL)으로 3회 씻어주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어진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2-메틸피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480 mg)을 88.2%의 수율로 수득하였으며 crude 상태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MS: m/z = 313.2 (M+1, ESI+).
(단계 c) 9-(2-메틸피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9-(2-메틸피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480 mg), 트리에틸아민 (906 mg)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뒤 토실 클로라이드 (686 mg)을 첨가하고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30 mL), 디클로로메탄 (3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 (30 mL)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2-메틸피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300 mg)을 41.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67.2 (M+1, ESI+).
(단계 d) 4-(6-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9-(2-메틸피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3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200 mg)를 첨가하고 25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 (10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180 mg)을 6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7.2(M+1, ESI+).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180 mg)을 메탄올 (15 mL)에 녹인 뒤 3-메틸벤즈알데히드 (100 mg), 아세트산 (0.1 mL)를 첨가하고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32 mg)을 13.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0 (s, 1H), 8.63 (s, 1H), 8.58 (d, J = 5.3 Hz, 1H), 8.29 (s, 1H), 8.05-7.95 (m, 2H), 7.57 (d, J = 7.4 Hz, 1H), 7.51 (s, 1H), 7.34 (t, J = 7.5 Hz, 1H), 7.21 (d, J = 6.8 Hz, 1H), 3.74 (dd, J = 18.8, 3.9 Hz, 8H), 2.56 (s, 3H), 2.36 (s, 3H); MS: m/z = 429.3 (M+1, ESI+).
실시예 141.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4
(단계 a) 4-(6-(벤질옥시)-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640 mg), 2-아이오도-6-메틸피리딘 (900 mg)을 디메틸설폭사이드 (20 mL)에 녹인 뒤 L-프롤린 (355 mg),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1.31 g) 및 아이오딘화구리 (586 mg)를 첨가하여 8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한 뒤 물 (30 mL), 아세트산 에틸 (3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600 mg)을 72.4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03.1 (M+1, ESI+)
(단계 b) 9-(6-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의 합성
4-(6-(벤질옥시)-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60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6-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560 mg)을 crude 상태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MS: m/z = 313.1 (M+1, ESI+).
(단계 c) 9-(6-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9-(6-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560 mg), 트리에틸아민 (906 mg)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인 뒤 토실 클로라이드 (686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6-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200 mg)을 23.9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67.1 (M+1, ESI+).
(단계 d) 4-(6-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9-(6-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2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07.4 mg)를 첨가하고 2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증류수 (5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47 mg)을 crude 상태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MS: m/z = 327.2 (M+1, ESI+).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79 mg)을 메탄올 (5 mL)에 녹인 뒤 3-메틸벤즈알데히드 (79.1 mg), 아세트산 (3.3 mg)을 첨가하고 70 ℃에서 12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48 mg)을 62.8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0 (s, 1H), 8.69 (s, 1H), 8.37 (d, J = 8.1 Hz, 1H), 8.31 (s, 1H), 7.94 (t, J = 7.9 Hz, 1H), 7.57 (d, J = 7.7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25 (d, J = 7.5 Hz, 1H), 7.20 (d, J = 7.5 Hz, 1H), 3.78 (d, J = 4.5 Hz, 4H), 3.72 (d, J = 4.5 Hz, 4H), 2.53 (s, 3H), 2.35 (s, 3H); MS: m/z = 429.1 (M+1, ESI+).
실시예 142.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5
(단계 a) 4-(6-(벤질옥시)-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2.42 g), 2-아이오도-3-메틸피리딘 (1.55 g)을 디메틸설폭사이드 (40 mL)에 녹인 뒤 L-프롤린 (1.23 g),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4.36 g) 및 아이오딘화구리 (2.02 g)를 첨가하여 95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40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45 mg)을 5.1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03.1 (M+1, ESI+).
(단계 b) 화합물 9-(3-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의 합성
4-(6-(벤질옥시)-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45 mg)을 디클로로메탄 (1 mL)에 녹인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3-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105 m)을 93.3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13.1 (M+1, ESI+).
(단계 c) 9-(3-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9-(3-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105 mg), 트리에틸아민 (170 mg)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녹인 뒤 토실 클로라이드 (96 m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3-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15 mg)을 crude 상태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MS: m/z = 467.1 (M+1, ESI+).
(단계 d) 4-(6-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9-(3-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15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62 m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90 mg)을 89.5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7.1 (M+1, ESI+).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90 mg)을 메탄올 (3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7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53 mg)를 첨가하고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8 mg)을 19.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5 (s, 1H), 8.47 (d, J = 4.0 Hz, 1H), 8.30 (s, 1H), 8.15 (s, 1H), 7.96 (d, J = 7.6 Hz, 1H), 7.59 (d, J = 8.0 Hz, 1H), 7.54 - 7.49 (m, 2H), 7.34 (t, J = 8.0 Hz, 1H), 7.20 (d, J = 7.6 Hz, 1H), 3.68 - 3.59 (m, 8H), 2.36 (s, 3H), 2.26 (s, 3H); MS: m/z = 429.3 (M+1, ESI+).
실시예 143.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6
(단계 a) 4-(6-(벤질옥시)-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3.30 g) 및 포타슘 포스페이트 트리베이직 (4.36 g)를 디메틸 설폭사이드 (40 mL)에 녹인 후 2-아이오도-5-메틸피리딘 (1.55 g), 아이오딘화구리 (2.02 g) 및 L-프롤린 (1.23 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95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05 g)을 36.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03.1 (M+1, ESI+).
(단계 b) 9-(5-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의 합성
4-(6-(벤질옥시)-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900 mg)을 디클로로메탄(3 mL)에 녹인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5-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450 mg)을 64.4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13.1 (M+1, ESI+)
(단계 c) 9-(5-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9-(5-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45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728 mg) 및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412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5-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300 mg)을 44.6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67.1 (M+1, ESI+)
(단계 d) 4-(6-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9-(5-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35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88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275 mg)을 44.9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7.1 (M+1, ESI+)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275 mg)을 메탄올 (3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6 mg) 및 3-메틸벤젠알데히드 (82 mg)을 첨가하여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34 mg)을 23.6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22 (s, 1H), 8.69 (s, 1H), 8.48 (d, J = 8.4 Hz, 1H), 8.30 (s, 1H), 8.00 (s, 1H), 7.70 (d, J = 8.0 Hz, 1H), 7.60 - 7.56 (m, 2H), 7.30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3.93 - 3.92 (m, 4H), 3.86 - 3.84 (m, 4H), 2.40 (s, 6H); MS: m/z = 429.1 (M+1, ESI+).
실시예 144.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7
(단계 a) 2-아이오도-4-메틸피리딘의 합성
2-브로모-4-메틸피리딘 (5.0 g)을 1,4-디옥산 (100 mL)에 녹인 후 아이오딘화 나트륨 (8.77 g), N1,N2-디메틸에텐-1,2-디아민 (1.29 g) 및 아이오딘화구리 (1.11 g)를 첨가하여 11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한 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오일 상태의 목적 화합물 2-아이오도-4-메틸피리딘 (2.8 g)을 43.7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19.9 (M+1, ESI+).
(단계 b) 4-(6-(벤질옥시)-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7.49 g) 및 포타슘 포스페이트 트리베이직 (15.31 g)를 디메틸 설폭사이드 (100 mL)에 녹인 후 2-아이오도-4-메틸피리딘 (5.8 g), 아이오딘화구리 (6.89 g) 및 L-프롤린 (4.19 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벤질옥시)-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4.0 g)을 합성하였다. MS: m/z = 403.1 (M+1, ESI+).
(단계 c) 9-(4-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의 합성
4-(6-(벤질옥시)-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3.1 g)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인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을 첨가하고 25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4-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1.5 g)을 합성하였다. MS: m/z = 313.1 (M+1, ESI+)
(단계 d) 9-(4-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9-(4-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올 (1.5 g)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1.17 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1.10 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4-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270 mg)을 81.1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67.1 (M+1, ESI+)
(단계 e) 4-(6-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9-(4-메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27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22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00 mg)을 45.8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7.2 (M+1, ESI+)
(단계 f)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100 mg)을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0.1 mL) 및 3-메틸벤젠알데히드 (54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후 prep-HPLC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30 mg)을 31.4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52 (s, 1H), 8.89 (s, 1H), 8.59 (d, J = 4.6 Hz, 1H), 8.12 (s, 1H), 7.79 (s, 1H), 7.41 - 7.10 (m, 5H), 3.72 (dd, J = 14.7, 4.3 Hz, 8H), 2.35 (d, J = 21.6 Hz, 6H); MS: m/z = 429.1 (M+1, ESI+).
실시예 145.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8
(단계 a) 3-아이오도-5-메틸피리딘의 합성
3-브로모-5메틸피리딘 (4.6 g)을 1,4-디옥산 (50 mL)에 녹인 후 아이오딘화 나트륨 (8.02 g), N1,N2-디메틸에텐-1,2-디아민 (1.18 g) 및 아이오딘화구리 (1.02 g)를 첨가하여 11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3-아이오도-5-메틸피리딘 (4.8 g)을 81.9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19.9 (M+1, ESI+).
(단계 b) 메시틸(5-메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3-아이오도-5-메틸피리딘 (4.6 g),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6.4 g)을 디클로로메탄 (100.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 산 (12.60 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 ℃에서 메시틸렌 (2.77 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시틸(5-메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1 g)을 합성하였다. MS: m/z = 337.8 (M-TfO-, ESI+).
(단계 c) 2,6-디클로로-9-(5-메틸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메시틸(5-메틸피리딘-3-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1 g), 트리에틸아민 (2.28 g), 2,6-디클로로-9H-퓨린 (2.84 g) 및 브롬화구리 (432 mg)을 디클로로메탄 (60.0 mL)에 녹인 후 6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증류수를 첨가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5-메틸피리딘-3-일)-9H-퓨린 (470.0 mg)을 11.2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9.9(M+1, ESI+).
(단계 d) 2-클로로-6-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5-메틸피리딘-3-일)-9H-퓨린 (47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6.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421.0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생성된 노란색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 (320.0 mg)을 69.0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6.1 (M+1, ESI+).
(단계 e)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 (320.0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279.0 mg) 및 아세트산 (35.0 mg)을 메탄올 (5.0 mL)에 녹인 후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 (270.0 mg)을 61.5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78.0 (M+1, ESI+).
(단계 f)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 (240.0 mg), 모르폴린 (277.0 mg) 및 아세트산 (38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6.0 mL)에 녹인 후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60.0 mg)을 19.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2 (s, 1H), 9.01 (s, 1H), 8.48 - 8.47 (m, 2H), 8.30 (s, 1H), 8.19 (s, 1H), 7.58 (d, J = 7.6 Hz, 1H), 7.52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2 Hz, 1H), 3.72 - 3.70 (m, 8H), 2.42 (s, 3H), 2.36 (s, 3H); MS: m/z = 429.3 (M+1, ESI+).
실시예 146. ( E )-6-(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79
(단계 a) 6-(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2.10 g) 및 포타슘 포스페이트 트리베이직 (4.29 g)를 디메틸설폭사이드 (30 mL)에 녹인 후 6-아이오도니코티노니트릴 (1.55 g), 아이오딘화구리 (1.93 g) 및 L-프롤린 (1.17 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95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410 mg)을 14.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14.1 (M+1, ESI+).
(단계 b) 6-(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6-(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410 mg)을 디클로로메탄 (2 mL)에 녹인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236 mg)을 30.9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4.0 (M+1, ESI+).
(단계 c) 9-(5-시아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6-(6-히드록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236 mg)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369 mg) 및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209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9-(5-시아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70 mg)을 48.7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78.0 (M+1, ESI+).
(단계 d) 6-(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9-(5-시아노피리딘-2-일)-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7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89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130 mg)을 5.4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38.0 (M+1, ESI+).
(단계 e) (E)-6-(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6-(6-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130 mg)을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0.05 mL) 및 3-메틸벤젠알데히드 (5 mg)을 첨가하여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6-(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2.3 mg)을 27.1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6 (s, 1H), 9.03 (s, 1H), 8.82 (d, J = 8.8 Hz, 1H), 8.76 (s, 1H), 8.56 (dd, J = 8.8, 1.6 Hz, 1H), 8.30 (s, 1H), 7.58 (d, J = 7.6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6 Hz, 1H), 3.81 - 3.73 (m, 8H), 2.36 (s, 3H); MS: m/z = 440.3 (M+1, ESI+).
실시예 147. ( E )-4-(9-(1,5-디메틸-1 H -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0
(단계 a) 2,6-디클로로-N-(1,5-디메틸-1H-피라졸-3-일)-5-니트로피리미딘-4-아민의 합성
2,4,6-트리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500 mg),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26 mg)을 1,4-디옥산 (8 mL)에 녹인 뒤 0 ℃에서 1,4-디옥산 (7 mL)에 녹인 1,5-디메틸-1H-피라졸-3-아민 (196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N-(1,5-디메틸-1H-피라졸-3-일)-5-니트로피리미딘-4-아민 (160 mg)을 24.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03.0 (M+1, ESI+).
(단계 b) 2,6-디클로로-N4-(1,5-디메틸-1H-피라졸-3-일)피리미딘-4,5-디아민의 합성
2,6-디클로로-N-(1,5-디메틸-1H-피라졸-3-일)-5-니트로피리미딘-4-아민 (140 mg)을 아세트산 (6 mL)에 녹인 뒤 철 (258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5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N4-(1,5-디메틸-1H-피라졸-3-일)피리미딘-4,5-디아민 (120 mg)을 95.2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3.2(M+1, ESI+).
(단계 c) 2,6-디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N4-(1,5-디메틸-1H-피라졸-3-일)피리미딘-4,5-디아민 (120 mg)을 디에톡시메틸 아세테이트 (719 mg)에 녹인 뒤 8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8 mL), 아세트산 에틸 (5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9H-퓨린 (120 mg)을 96.7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3.0 (M+1, ESI+).
(단계 d) 2-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6-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9H-퓨린 (12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06 m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증류수 (5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6-히드라지닐-9H-퓨린 (90 mg)을 76.0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9.0 (M+1, ESI+).
(단계 e) (E)-2-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6-히드라지닐-9H-퓨린 (90 mg)을 메탄올 (3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6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78 mg)를 첨가하고 70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110 mg)을 89.4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1.0 (M+1, ESI+).
(단계 f)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11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3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17 mg)과 모르폴린 (126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0 mL), 아세트산 에틸 (5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40 mg)을 32.0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9 (s, 1H), 8.28 (s, 1H), 8.25 (s, 1H), 7.57 (d, J = 8.0 Hz, 1H), 7.50 (s, 1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2 Hz, 1H), 6.65 (s, 1H), 3.79 - 3.72 (m, 7H), 3.72 - 3.67 (m, 4H), 2.35 (d, J = 5.6 Hz, 6H); MS: m/z = 432.4 (M+1, ESI+).
실시예 148.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이소티아졸-5-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1
(단계 a) N-(2,6-디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4-일)-3-메틸이소티아졸-5-아민의 합성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가 첨가된 2,4,6-트리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600 mg), 에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가 첨가된 3-메틸이소티아졸-5-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 (240 mg) 및 디에틸아민 (508 mg)을 0 ℃에서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벤진/아세트산 에틸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N-(2,6-디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4-일)-3-메틸이소티아졸-5-아민 (200 mg)을 24.9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05.8 (M+1, ESI+).
(단계 b) 2,6-디클로로-N 4-(3-메틸이소티아졸-5-일)피리미딘-4,5-디아민의 합성
N-(2,6-디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4-일)-3-메틸이소티아졸-5-아민 (200 mg)에 아세트산 (4 mL) 및 철 (366 mg)을 첨가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N 4-(3-메틸이소티아졸-5-일)피리미딘-4,5-디아민 (135 mg)을 7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5.9 (M+1, ESI+).
(단계 c) 5-(2,6-디클로로-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의 합성
2,6-디클로로-N 4-(3-메틸이소티아졸-5-일)피리미딘-4,5-디아민 (135 mg)에 트리에틸 오쏘포메이트 (5 mL) 및 염산 (0.3 mL)을 첨가 후 13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5-(2,6-디클로로-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 (86 mg)을 62.4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5.8 (M+1, ESI+).
(단계 d) 5-(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의 합성
5-(2,6-디클로로-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 (86.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 mL)에 녹인 후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75.0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5-(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 (72.0 mg)을 84.7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1.9 (M+1, ESI+)
(단계 e) (E)-5-(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의 합성
5-(2-클로로-6-히드라지닐-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 (79.0 mg), 3-메틸벤즈알데하이드(67.0 mg) 및 아세트산 (8 mg)을 메탄올 (3.0 mL)에 녹인 후 70 ℃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 농축 후 디클로로메틴/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5-(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 (45.0 mg)을 35.5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3.9 (M+1, ESI+)
(단계 f)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이소티아졸-5-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5-(2-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3-메틸이소티아졸 (45.0 mg), 아세트산 (6 mg) 및 모르폴린 (43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2.0 mL)에 녹인 후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이소티아졸-5-일)-9H-퓨린-2-일)모르폴린 (1.96 mg)을 4.5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72 (s, 1H), 9.80 (s, 1H), 8.41 (s, 1H), 7.73 (s, 1H), 7.70 (d, J = 7.2 Hz, 1H), 7.45 (t, J = 7.1 Hz, 1H), 7.39 (d, J = 7.2 Hz, 1H), 6.91 (s, 1H), 3.86 (s, 4H), 3.77 (s, 4H), 2.41 (s, 3H), 2.32 (s, 3H); MS: m/z = 435.2 (M+1, ESI+).
실시예 149. ( E )-4-(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2
(단계 a) 2,6-디클로로-N-(5-플루오로피리딘-2-일)-5-니트로피리미딘-4-아민의 합성
2,4,6-트리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1.1 g),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32 mg)을 1,4-디옥산 (12 mL)에 녹인 뒤 0 ℃에서 1,4-디옥산 (8 mL)에 녹인 5-플루오로피리딘-2-아민 (431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N-(5-플루오로피리딘-2-일)-5-니트로피리미딘-4-아민 (440 mg)을 30.1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03.9 (M+1, ESI+).
(단계 b) 2,6-디클로로-N 4-(5-플루오로피리딘-2-일)피리미딘-4,5-디아민의 합성
2,6-디클로로-N-(5-플루오로피리딘-2-일)-5-니트로피리미딘-4-아민 (440 mg)을 아세트산 (12 mL)에 녹인 뒤 철 (811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N 4-(5-플루오로피리딘-2-일)피리미딘-4,5-디아민 (350 mg)을 88.2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4.0 (M+1, ESI+).
(단계 c) 2,6-디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N 4-(5-플루오로피리딘-2-일)피리미딘-4,5-디아민 (300 mg) 디에톡시메틸아세테이트 (1.78 g)에 녹인 뒤 8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8 mL), 아세트산 에틸 (5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9H-퓨린 (205 mg)을 65.9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s, 1H), 8.70 (d, J = 2.8 Hz, 1H), 8.33 (dd, J = 8.8, 3.6 Hz, 1H), 8.21 - 8.13 (m, 1H); MS: m/z = 283.9 (M+1, ESI+).
(단계 d) 2-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6-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9H-퓨린 (205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81 m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증류수 (8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6-히드라지닐-9H-퓨린 (180 mg)을 89.1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0.0 (M+1, ESI+).
(단계 e) (E)-2-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6-히드라지닐-9H-퓨린 (180 mg)을 메탄올 (4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19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155 mg)를 첨가하고 70 ℃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150 mg)을 61.0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82.0 (M+1, ESI+).
(단계 f) (E)-4-(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15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6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24 mg)과 모르폴린 (171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디클로로메탄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24 mg)을 15.1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0 (s, 1H), 8.67 - 8.60 (m, 2H), 8.58 (d, J = 2.4 Hz, 1H), 8.31 (s, 1H), 8.05 (t, J = 8.4 Hz, 1H), 7.58 (d, J = 7.2 Hz, 1H), 7.51 (s, 1H), 7.34 (t, J = 7.6 Hz, 1H), 7.21 (d, J = 7.2 Hz, 1H), 3.83 - 3.76 (m, 4H), 3.76 - 3.69 (m, 4H), 2.36 (s, 3H); MS: m/z = 433.3 (M+1, ESI+).
실시예 150. ( E )-4-(9-(2-메톡시피리딘-4-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메톡시피리딘-4-아민을 사용하였으며 (단계 c)에서 트리메틸 오쏘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4-(9-(2-메톡시피리딘-4-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4 (s, 1H), 8.37 (d, J = 5.6 Hz, 1H), 8.29 (s, 1H), 7.55 - 7.51 (m, 2H), 7.33 (t, J = 7.6 Hz, 1H), 7.27 (dd, J = 5.6, 1.6 Hz, 1H), 7.19 (d, J = 7.6 Hz, 1H), 7.11 (d, J = 1.6 Hz, 1H), 3.94 (s, 3H), 3.64 (s, 8H), 2.48 (s, 3H), 2.36 (s, 3H); MS: m/z = 459 (M+1, ESI+).
실시예 151. ( E )-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메틸피리딘-3-아민을 사용하였으며 (단계 c)에서 트리메틸 오쏘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3 (s, 1H), 8.63 (d, J = 5.2 Hz, 1H), 8.29 (s, 1H), 7.88 (d, J = 7.2 Hz, 1H), 7.56 - 7.52 (m, 2H), 7.47 (dd, J = 8.0, 4.8 Hz, 1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2 Hz, 1H), 3.61-3.57 (m, 8H), 2.36 (s, 3H), 2.26 (s, 3H), 2.23 (s, 3H); MS: m/z = 443 (M+1, ESI+).
실시예 152. ( E )-4-(9-(2,4-디메틸티아졸-5-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4-디메틸티아졸-5-아민을 사용하였으며 (단계 c)에서 트리메틸 오쏘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4-(9-(2,4-디메틸티아졸-5-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37 (s, 1H), 8.02 (s, 1H), 8.41 (s, 1H), 7.74 (s, 1H), 7.66 (d, J = 7.2 Hz, 1H), 7.45 (t, J = 7.1 Hz, 1H), 7.27 (d, J = 7.2 Hz, 1H), 3.73 - 3.64 (m, 8H), 3.86 (s, 4H), 2.77 (s, 3H), 2.62 (s, 3H), 2.42 (s, 3H), 2.22 (s, 3H); MS: m/z = 463 (M+1, ESI+).
실시예 153. ( E )-4-(9-(1,5-디메틸-1 H -피라졸-3-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1,5-디메틸-1H-피라졸-3-아민을 사용하였으며 (단계 c)에서 트리메틸 오쏘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8 (s, 1H), 8.28 (s, 1H), 7.54 (d, J = 7.6 Hz, 1H), 7.51 (s, 1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6.41 (s, 1H), 3.79 (s, 3H), 3.66 (s, 8H), 2.49 (s, 3H), 2.35 (s, 6H); MS: m/z = 446.3 (M+1, ESI+).
실시예 154. 4-(8-메틸-9-페닐-6-(3-( m -톨릴)-1 H -피라졸-1-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3
상기 <실시예 14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아닐린, (단계 c)에서 트리메틸 오쏘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단계 d)는 <실시예 64>의 (단계 a)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 4-(8-메틸-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21 (d, J = 2.4 Hz, 1H), 7.82 (s, 1H), 7.80 (s, 1H), 7.64 - 7.58 (m, 5H), 7.39 (t, J = 7.6 Hz, 1H), 7.24 (d, J = 7.6 Hz, 1H), 7.19 (d, J = 2.4 Hz, 1H), 3.67 (m, 8H), 2.45 (s, 3H), 2.41 (s, 3H); MS: m/z = 452 (M+1, ESI+).
실시예 155. ( E )-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4
(단계 a) 터트-부틸 2-(2-클로로-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에 터트-부틸 히드라진카르복실레이트 (1.4 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6.5 mL) 첨가 후 5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 건조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2-(2-클로로-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 (2.9 g)을 합성하였다.
(단계 b) 터트-부틸 2-(2-모르폴리노-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터트-부틸 2-(2-클로로-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 (1.0 g)에 모르폴린 (17.4 g)을 첨가 후 9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 에틸 및 증류수를 첨가 후 유기 용매를 농축하여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2-(2-모르폴리노-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 (840 mg)을 71.3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단계 c) 터트-부틸 2-(2-모르폴리노-9-(피리미딘-2-일)-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터트-부틸 2-(2-모르폴리노-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 (640 mg)에 2-아이오도피리미딘 (314.5 mg), 세슘 카보네이트 (1.87 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9.5 mL)을 첨가 후 8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 에틸 및 증류수를 첨가 후 유기 용매를 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이소프로필 알코올 조건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2-(2-모르폴리노-9-(피리미딘-2-일)-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 (50 mg)을 6.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단계 d) 4-(6-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터트-부틸 2-(2-모르폴리노-9-(피리미딘-2-일)-9H-퓨린-6-일)히드라지닐-1-카르복실레이트 (30 mg)을 1,4-디옥산 (181.4 uL)에 녹인 뒤 1,4-디옥산을 용매로 하는 4 M 염산 (26.5 mg)을 첨가하여 30 ℃에서 8.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4-(6-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30 mg)을 합성하였다.
(단계 e)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4-(6-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30 mg)에 에탄올 (957.5 uL)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11.5 mg )을 첨가하여 30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디클로로메탄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회색의 목적 화합물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5 mg)을 12.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76 (s, 1H), 9.10 (s, 1H), 9.06 (d, J = 4.8 Hz, 2H), 8.27 (s, 1H), 7.56 - 7.50 (m, 3H), 7.32 (t, J = 7.6 Hz, 1H), 7.21 - 7.19 (m, 1H), 3.77 - 3.69 (m, 8H), 2.32 (s, 3H); MS: m/z = 416 (M+1, ESI+).
실시예 156. ( E )-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5
(단계 a) 2-(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의 합성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 (900 mg)에 디클로로메탄 (22.2 mL), 트리에틸아민 (1.35 g), 2-브로모아세토페논 (1.15 g)을 첨가 후 60 ℃에서 첨가하여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1.0 g)을 70.2 %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b) 2-(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의 합성
2-(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950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9 mL) 및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296.2 mg)를 첨가 후 70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필터 후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2-(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0.89 g)을 95 %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c) (E)-2-(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1-페닐에탄-1-온의 합성
2-(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0.89 g)에 에탄올 (28.1 mL), 아세트산 (10 방울)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337.6 mg)를 첨가 후 7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필터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E)-2-(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1.1 g)을 93.5 %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d)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의 합성
(E)-2-(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0.89 g)에 모르폴린 (10.6 g) 첨가 후 9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와 아세트산 에틸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용매를 감압 농축 후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600 mg)을 60.1 %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3 (s, 1H), 8.26 (s, 1H), 8.16 - 8.14 (m, 2H), 7.76 (t, J = 7.4 Hz, 1H), 7.63 (t, J = 7.8 Hz, 2H), 7.53 (d, J = 8.0 Hz, 1H), 7.50 (s, 1H), 7.32 (t, J = 7.6 Hz, 1H), 7.18 (d, J = 7.6 Hz, 1H), 5.76 (d, J = 4.0 Hz, 2H), 3.63 (s, 8H), 2.36 (s, 3H), 2.35 (s, 3H); MS: m/z = 470 (M+1, ESI+).
실시예 157. ( E )-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15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브로모아세틸)피리딘 히드로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3 (s, 1H), 8.86 (dd, J = 2.6, 3.4 Hz, 1H), 8.26 (s, 1H), 8.10 (td, J = 1.6, 7.6 Hz, 1H), 8.04 (d, J = 7.6 Hz, 1H), 7.82 - 7.78 (m, 1H), 7.53 (d, J = 7.6 Hz, 1H), 7.50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8.0 Hz, 1H), 5.83 (s, 2H), 3.61 (s, 8H), 2.38 (s, 3H), 2.35 (s, 3H); MS: m/z = 471 (M+1, ESI+).
실시예 158. ( E )-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15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브로모아세틸)피리딘 히드로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0 (s, 1H), 9.32 (d, J = 2.0 Hz, 1H), 8.90 (dd, J = 1.6, 4.8 Hz, 1H), 8.46 (dt, J = 2.0, 8.1 Hz, 1H), 8.26 (s, 1H), 7.66 (dd, J = 4.8, 8.0 Hz, 1H), 7.53 (d, J = 7.6 Hz, 1H), 7.50 (s, 1H), 7.32 (t, J = 7.6 Hz, 1H), 7.19 (d, J = 8.0 Hz, 1H), 5.80 (s, 2H), 3.63 (s, 8H), 2.38 (s, 3H), 2.35 (s, 3H); MS: m/z = 471 (M+1, ESI+).
실시예 159. ( E )-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15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브로모아세틸)피리딘 히드로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1 (s, 1H), 8.91 (dd, J = 1.8, 4.6 Hz, 2H), 8.26 (s, 1H), 8.00 (dd, J = 1.6, 4.4 Hz, 2H), 7.53 (d, J = 7.6 Hz, 1H), 7.50 (s, 1H), 7.32 (t, J = 7.4 Hz, 1H), 7.18 (d, J = 7.6 Hz, 1H), 5.78 (s, 2H), 3.63 (s, 8H), 2.38 (s, 3H), 2.35 (s, 3H); MS: m/z = 471 (M+1, ESI+).
실시예 160. ( E )-4-(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6
(단계 a) 2,6-디클로로-9-(3-메톡시페닐)-8-메틸-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 (0.5 g)에 구리(II)아세테이트 (0.45 g), o-페난트롤린 (0.89 g), 아세토니트릴 (16.4 mL) 첨가 후 40 ℃에서 2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3-메톡시페닐)-8-메틸-9H-퓨린 (439 mg)을 57.6%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b) 2-클로로-6-히드라지닐-9-(3-메톡시페닐)-8-메틸-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3-메톡시페닐)-8-메틸-9H-퓨린 (440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85 mL) 및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42.5 mg) 첨가 후 6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필터 후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9-(3-메톡시페닐)-8-메틸-9H-퓨린 (340 mg)을 78.4%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c) (E)-2-클로로-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9-(3-메톡시페닐)-8-메틸-9H-퓨린 (340 mg)에 에탄올 (11.16 mL), 3-메틸벤즈알데히드 (268.1 mg) 및 아세트산 (3.35 mg)을 첨가 후 6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필터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E)-2-클로로-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0.39 g)을 85.9%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d) (E)-4-(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 (0.39 g)에 모르폴린 (4.79 g) 첨가 후 9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에틸/디클로로메탄/헥산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111 mg)을 25.3%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9 (s, 1H), 7.55 - 7.47 (m, 3H), 7.33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2H), 7.12 (t, J = 2.0 Hz, 1H), 7.09 - 7.06 (m, 1H), 3.83 (s, 3H), 3.62 (s, 8H), 2.37 (s, 3H), 2.36 (s, 3H). MS: m/z = 458 (M+1, ESI+); MS: m/z = 458 (M+1, ESI+).
실시예 161. ( E )-4-(9-(4-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0>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4-메톡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4-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6 (s, 1H), 7.53 (d, J = 7.6 Hz, 1H), 7.50 (s, 1H), 7.44 - 7.40 (m, 2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7.14 - 7.11 (m, 2H), 3.84 (s, 3H), 3.61 (s, 8H), 2.35 (s, 3H), 2.34 (s, 3H); MS: m/z = 458 (M+1, ESI+).
실시예 162. ( E )-4-(9-(3-플루오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0>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플루오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플루오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29 (s, 1H), 7.67 - 7.61 (m, 1H), 7.55 - 7.50 (m, 3H), 7.42 - 7.30 (m, 3H), 7.20 - 7.15 (m, 1H), 3.62 (s, 8H), 2.41 (s, 3H), 2.35 (s, 3H). MS: m/z = 458 (M+1, ESI+); MS: m/z = 446 (M+1, ESI+).
실시예 163. ( E )-4-(9-(3-클로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0>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3-클로로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9-(3-클로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0 (s, 1H), 8.29 (s, 1H), 7.71 (t, J = 1.8 Hz, 1H), 7.63 (d, J = 8.0 Hz, 1H), 7.61 - 7.59 (m, 1H), 7.57 (t, J = 1.8 Hz, 1H), 7.55 - 7.51 (m, 3H), 7.33 (t, J = 7.6 Hz, 1H), 7.19 (t, J = 7.6 Hz, 1H), 3.62 (s, 8H), 2.37 (s, 3H), 2.32 (s, 3H); MS: m/z = 462 (M+1, ESI+).
실시예 164. ( E )-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7
(단계 a) 메시틸(피리딘-2-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2-아이오도피리딘 (3.0 g) and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3.79 g)을 디클로로메탄 (200 mL)에 녹인 뒤 0 ℃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산 (8.82 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0 ℃에서 메시틸렌 (1.93 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50 mL), 디클로로메탄 (3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3회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메시틸(피리딘-2-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2.2 g)을 31.7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24.0 (M-TfO-, ESI+).
(단계 b) 2,6-디클로로-8-메틸-9-(피리딘-2-일)-9H-퓨린의 합성
메시틸(피리딘-2-일)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2.0 g)과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 (657 mg)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인 뒤 브롬화구리 (93 mg) 및 트리에틸아민 (493 mg)을 첨가하여 6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8-메틸-9-(피리딘-2-일)-9H-퓨린 (240 mg)을 26.4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80.0 (M+1, ESI+).
(단계 c) 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피리딘-2-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8-메틸-9-(피리딘-2-일)-9H-퓨린 (24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215 m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증류수 (8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피리딘-2-일)-9H-퓨린 (170 mg)을 71.8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6.1 (M+1, ESI+).
(단계 d) (E)-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피리딘-2-일)-9H-퓨린 (170 mg)을 메탄올 (6 mL)에녹인 뒤 아세트산 (18 mg), 3-메틸벤즈알데히드 (148 mg) 70 ℃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 (90 mg)을 23.7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78.1 (M+1, ESI+).
(단계 e)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 (7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3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11 mg)과 모르폴린 (81 mg)을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 아세트산 에틸 (1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9.58 mg)을 12.0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2 (s, 1H), 8.65 (dd, J = 4.8, 1.2 Hz, 1H), 8.31 (s, 1H), 8.10 (td, J = 8.0, 2.0 Hz, 1H), 7.88 (d, J = 8.0 Hz, 1H), 7.58 - 7.48 (m, 3H), 7.33 (t, J = 7.6 Hz, 1H), 7.20 (d, J = 7.2 Hz, 1H), 3.71 - 3.60 (m, 8H), 2.57 (s, 3H), 2.36 (s, 3H); MS: m/z = 429.4 (M+1, ESI+).
실시예 165. ( E )-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8
(단계 a) 8-메틸-9H-퓨린-2,6-디올의 합성
5,6-디아미노피리미딘-2,4-디올 (4.00 g)을 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50 mL)에 녹인 뒤 145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증류한 뒤 1.5 N 소듐히드록시드 용액 (200 mL)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끓인 후 차콜을 처리하고 반응 용액이 뜨거운 상태에서 아세트산을 넣어 산성화하였다. 식히는 동안 얻어진 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8-메틸-9H-퓨린-2,6-디올 (4.00 g)을 85.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67.1 (M+1, ESI+).
(단계 b)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의 합성
8-메틸-9H-퓨린-2,6-디올 (4.00 g)을 염화 포스포릴 (50 mL)에 녹이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27 g)을 첨가한 후 10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0 mL), 디클로로메탄 (20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갈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 (3.50 g)을 72.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02.1 (M+1, ESI+).
(단계 c) 2,6-디클로로-8-메틸-9-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 (500 mg), 페닐보로닉 산 (1.50 g)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인 뒤 o-페난트롤린 (887 mg) 및 구리(II)아세테이트 (806 mg)을 첨가하고 O2 조건으로 4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물 (100 mL), 디클로로메탄 (100 mL)으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8-메틸-9-페닐-9H-퓨린 (180 mg)을 26.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9.1 (M+1, ESI+).
(단계 d) 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8-메틸-9-페닐-9H-퓨린 (16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113 mg)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페닐-9H-퓨린 (140 mg)을 87.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5.1 (M+1, ESI+).
(단계 e) (E)-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의 합성
2-클로로-6-히드라지닐-8-메틸-9-페닐-9H-퓨린 (120 mg)을 메탄올 (10 mL)에 녹인 뒤아세트산 (0.1 mL), 3-메틸벤즈알데히드 (90 mg)를 첨가하고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페트롤리움 에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 (120 mg)을 72.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77.2 (M+1, ESI+).
(단계 f)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2-클로로-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 (12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1 mL)과 모르폴린 (0.5 mL)을 첨가하고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30 mL), 아세트산 에틸 (50 mL)로 3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45 mg)을 33.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37 (s, 1H), 8.29 (s, 1H), 7.65 - 7.49 (m, 7H), 7.32 (t, J = 7.6 Hz, 1H), 7.19 (d, J = 7.5 Hz, 1H), 3.61 (s, 8H), 2.38 (s, 3H), 2.36 (s, 3H); MS: m/z = 428.3 (M+1, ESI+).
실시예 166.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89
(단계 a) 2,6-디클로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10 g)을 아세트산 에틸 (105.8 mL)에 녹인 뒤 3,4-디히드로-2H-피란 (7.57 g), p-톨루엔설포닉 산 모노히드레이트 (80.52 mg)를 첨가하고 5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뒤 상온에서 6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트그래피를 이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13.6 g)을 94.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96 (s, 1H), 5.74 (dd, J = 10.8, 2.4 Hz, 1H), 4.05 - 4.00 (m, 1H), 3.78 - 3.70 (m, 1H), 2.31 - 2.20 (m, 1H), 2.05 - 1.95 (m, 2H), 1.80 - 1.73 (m, 1H), 1.63 - 1.57 (m, 2H).
(단계 b) 2-클로로-N-(피리딘-4-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아민의 합성
2,6-디클로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13.6 g), 4-아미노피리딘 (4.22 g), BINAP (3.1 g), Pd(OAc)2 (558.9 mg), t-BuOK (16.76 g)을 톨루엔 (276.6 mL)에 녹인 뒤 80 ℃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디클로로메탄/메탄올/트리에틸아민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N-(피리딘-4-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아민 (2.6 g)을 15.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66 (s, 1H), 8.47 (dd, J = 4.8, 1.6 Hz, 2H), 7.95 (dd, J = 4.8, 1.2 Hz, 2H), 4.05 - 4.01 (m, 1H), 3.80 - 3.70 (m, 1H), 2.38 - 2.20 (m, 1H), 2.05 - 1.50 (m, 5 H).
(단계 c) 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아민의 합성
2-클로로-N-(피리딘-4-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아민 (1.66 g)을 이소 프로필 알코올 (20.1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290 mL)와 모르폴린 (2.19 mL)를 첨가하고 120 ℃에서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아민 (1.67 g)을 87.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9 (s, 1H), 8.39 (d, J = 6.4 Hz, 2H), 8.22 (s, 1H), 7.90 (dd, J = 4.8, 1.2 Hz, 2H), 5.56 (dd, J = 4.8, 1.2 Hz, 1H), 4.01 (d, J = 11.2 Hz, 1H), 2.35 - 2.20 (m, 1H), 2.02 - 1.89 (m, 2H), 1.70 - 1.51 (m, 4H).
(단계 d) 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의 합성
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아민 (1.05 g)을 메탄올 (36.5 mL)에 녹인 뒤 메탄올을 용매로 하는 1.25M 염화수소 (28.9 mL)를 첨가하고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메탄올과 1 N 소듐 하이드록시드 용액을 이용하여 pH를 중성에 맞춘 뒤 4회 추출하였다. 그리고 나서,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1.22 g)을 93.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63 (br s, 1H), 10.01 (s, 1H), 8.39 (t, J = 1.2 Hz, 2H), 7.99 (s, 1H), 7.91 (d, J = 5.6 Hz, 2H), 3.75 - 3.65 (m, 8H).
(단계 e) 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의 합성
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1.2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인 뒤 소듐하이드라이드 (164 mg)을 첨가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O-(디페닐포스피닐)히드록실아민 (1.48 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 1 N HCl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pH를 중성에 맞춘 뒤 아세트산 에틸/메탄올 조건으로 추출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클로로포름/메탄올/트리에틸아민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 (233 mg)을 1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3 (s, 1H), 8.41 - 8.37 (m, 2H), 7.94 - 7. 88 (m, 3H), 5.92 (s, 2H), 3.75 - 3.70 (m, 8H).
(단계 f)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의 합성
3-메틸벤즈알데히드 (23.1 mg)를 에탄올 (0.6 mL)에 녹인 뒤 아세트산 (0.006 mL)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 뒤 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 (30 mg)을 첨가하고 100 ℃에서 8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으로 추출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41 mg)을 47.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30 (s, 1H), 9.82 (s, 1H), 8.45 - 8.40 (m, 3H), 7.92 (dd, J = 4.8, 1.2 Hz, 2H), 7.74 (s, 1H), 7.70 (d, J = 7.6 Hz, 1H), 7.45 (t, J = 7.6 Hz, 1H), 7.39 (d, J = 7.6 Hz, 1H), 3.75 (s, 8H), 2.41 (s, 3H); MS: m/z = 415 (M+1, ESI+).
실시예 167. ( E )-9-((2-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2-메틸벤즈알데히드 (50 mg)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2-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41 mg)을 47.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5 - 10.20 (m, 2H), 8.45 - 8.40 (m, 3H), 8.01 - 8.00 (m, 1H), 7.93 (dd, J = 4.8, 1.2 Hz, 2H), 7.48 - 7.43 (m, 1H), 7.40 - 7.35 (m, 2H), 3.75 (s, 8H), 3.56 (s, 3H); MS: m/z = 415 (M+1, ESI+).
실시예 168. ( E )-9-((4-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4-메틸벤즈알데히드 (50 mg)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4-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65 mg)을 75.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0 (s, 1H), 9.82 (s, 1H), 8.45 - 8.40 (m, 3H), 7.93 (dd, J = 4.8, 1.2 Hz, 2H), 7.82 (d, J = 8.4 Hz, 2H), 7.38 (d, J = 8.4 Hz, 2H), 3.75 (s, 8H), 2.41 (s, 3H); MS: m/z = 415 (M+1, ESI+).
실시예 169. ( E )-9-(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벤즈알데히드 (44.2 mg)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42 mg)을 5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2 (s, 1H), 9.88 (s, 1H), 8.45 (s, 1H), 8.45 - 8.40 (m, 2H), 7.95 - 7.90 (m, 4H), 7.60 - 7.52 (m, 3H), 3.76 (s, 8H); MS: m/z = 401 (M+1, ESI+).
실시예 170. ( E )-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 (201 mg)를 사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9H-퓨린-6-아민 (52 mg)을 2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3 (s, 1H), 9.95 (s, 1H), 8.48 (s, 1H), 8.45 - 8.40 (m, 2H), 8.25 (s, 1H), 8.22 (d, J = 8 Hz, 1H), 7.96 - 7.90 (m, 3H), 7.81 (t, J = 8 Hz, 1H), 3.80 - 3.70 (m, 8H); MS: m/z = 469 (M+1, ESI+).
실시예 171. ( E )-9-((3-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3-클로로벤즈알데히드 (162 mg)를 사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30 mg)을 17.9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2 (s, 1H), 9.87 (s, 1H), 8.44 - 8.40 (m, 3H), 7.98 (t, J = 1.6 Hz, 1H), 7.93 - 7.87 (m, 3H), 7.70 - 7.50 (m, 2H), 3.75 (s, 8H); MS: m/z = 435 (M+1, ESI+).
실시예 172. ( E )-9-((3-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3-메톡시벤즈알데히드 (157 mg)를 사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30 mg)을 17.9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1 (s, 1H), 9.83 (s, 1H), 8.44 - 8.40 (m, 3H), 7.93 - 7.90 (m, 2H), 7.50 - 7.45 (m, 3H), 7.20 - 7.14 (m, 1H), 3.85 (s, 3H), 3.75 (s, 8H); MS: m/z = 431 (M+1, ESI+).
실시예 173. ( E )-9-((4-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123 mg)를 사용하여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4-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30 mg)을 17.9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9 (s, 1H), 9.75 (s, 1H), 8.43 - 8.40 (m, 3H), 7.95 - 7.91 (m, 2H), 7.90 - 7.85 (m, 2H), 7.15 - 7.10 (m, 2H), 3.86 (s, 3H), 3.74 (s, 8H); MS: m/z = 431 (M+1, ESI+).
실시예 174. ( E )-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피리딘-4-일메틸렌)아미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이소니코틴알데히드 (123 mg)를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피리딘-4-일메틸렌)아미노)-9H-퓨린-6-아민 (30 mg)을 17.9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4 (s, 1H), 9.91 (s, 1H), 8.79 - 8.77 (m, 2H), 8.48 (s, 1H), 8.43 - 8.41 (m, 2H), 7.92 - 7.91 (m, 2H), 7.86 - 7.84 (m, 2H), 3.76 (s, 8H); MS: m/z = 402 (M+1, ESI+).
실시예 175. ( E )-9-((4-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f)에서 4-클로로벤즈알데히드 (162 mg)를 사용하여 미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4-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27 mg)을 16.1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21 (s, 1H), 9.87 (s, 1H), 8.44 - 8.40 (m, 3H), 7.96 - 7.91 (m, 4H), 7.64 (d, J = 8.4 Hz, 2H), 3.75 (s, 8H); MS: m/z = 435 (M+1, ESI+).
실시예 176. ( E )- N -(6-(1 H -이미다졸-1-일)-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0
(단계 a)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아민의 합성
2,4,6-트리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8.65 g)을 아세트산 (35 mL)에 녹인 뒤 철 (8.45 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메탄올로 여과한 뒤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아민 (5.33 g)을 70.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198 (M+1, ESI+).
(단계 b) 2,4-디클로로-6-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의 합성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아민 (2.38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6 mL)에 녹인 뒤 히드라진 히드레이트 (2.29 mL)를 첨가하고 3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4-디클로로-6-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1.7 g)을 7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47 (br s, 1H), 5.16 (s, 2H), 4.52 (br s, 2 H).
(단계 c) (E)-2,4-디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의 합성
2,4-디클로로-6-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500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25.8 mL)에 녹인 뒤 3-메틸벤즈알데히드 (340.6 mg)을 첨가하고 6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뒤 농축액을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4-디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775 mg)을 9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7 (br s, 1H), 8.11 (s, 1H), 7.50 - 7.45 (m, 2H), 7.38 - 7.32 (m, 1H), 7.25 (d, J = 7.6 Hz, 1H), 5.77 (br s, 2H), 2.36 (s, 3H).
(단계 d) (E)-N-(2,6-디클로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E)-2,4-디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776 mg)을 트리에틸 오쏘포메이트 (7.63 mL)에 녹인 뒤 포름산 (0.15 mL)을 첨가하고 9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생성된 고체를 헥산/디클로로메탄 조건으로 여과하고 건조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6-디클로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700 mg)을 87.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44 (s, 1H), 9.26 (s, 1H), 7.79 (s, 1H), 7.78 - 7.72 (m, 1H), 7.52 - 7.46 (m, 2H), 2.42 (s, 3H).
(단계 e) (E)-N-(2-클로로-6-(1H-이미다졸-1-일)-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E)-N-(2,6-디클로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5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45 mL)에 녹인 뒤 트리에틸아민 (0.09 mL), 이미다졸 (73.4 mg)을 첨가하고 60 ℃에서 17.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 에틸, 메탄올/물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클로로-6-(1H-이미다졸-1-일)-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40 mg)을 84.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49 (s, 1H), 9.27 (s, 1H), 9.04 (s, 1H), 8.37 (t, J = 1.2 Hz, 1H), 7.81 (s, 1H), 7.77 (d, J = 6.8 Hz, 1H), 7.55 - 7.45 (m, 2H), 7.30 (s, 1H), 2.43 (s, 3H).
(단계 f) (E)-N-(6-(1H-이미다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E)-N-(2-클로로-6-(1H-이미다졸-1-일)-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32 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1.96 mL)에 녹인 뒤 모르폴린 (0.17 mL), 아세트 산 (22.6 μL)을 첨가하고 90 ℃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메탄올/물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소듐을 사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여과하여 여액을 받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연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6-(1H-이미다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07 mg)을 7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76 (s, 1H), 9.06 (t, J = 0.8 Hz, 1H), 8.69 (s, 1H), 8.40 (t, J = 1.6 Hz, 1H), 7.76 (s, 1H), 7.73 (d, J = 7.6 Hz, 1H), 7.50 - 7.40 (m, 2H), 7.73 - 7.72 (m, 1H), 3.85 - 3.83 (m, 4H), 3.76 - 3.72 (m, 4H); MS: m/z = 389 (M+1, ESI+).
실시예 177. ( E )- N -(2-모르폴리노-6-(1 H -피라졸-1-일)-9 H -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피라졸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모르폴리노-6-(1H-피라졸-1-일)-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9.77 (s, 1H), 9.12 - 9.11 (m, 1H), 8.65 (s, 1H), 7.96 (t, J = 0.8 Hz, 1H), 7.77 (s, 1H), 7.73 (d, J = 8.0 Hz, 1H), 7.49 - 7.40 (m, 2H), 6.71 - 6.69 (m, 1H), 3.85 - 3.83 (m, 4H), 3.76 - 3.72 (m, 4H), 2.42 (s, 3H); MS: m/z = 389 (M+1, ESI+).
실시예 178. ( E )- N -(4-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4-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4-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6 (s, 1H), 9.57 (s, 1H), 8.28 (s, 1H), 7.77 - 7.71 (m, 3H), 7.68 (d, J = 7.6 Hz, 1H), 7.44 (t, J = 7.6 Hz, 1H), 7.38 (d, J = 7.6 Hz, 1H), 6.96 - 6.87 (m, 2H), 3.75 (s, 3H), 3.73 - 3.66 (m, 8H), 2.40 (s, 3H); MS: m/z = 444.2 (M+1, ESI+).
실시예 179. ( E )- N -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메탄아민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8 (s, 1H), 8.13 (s, 1H), 7.71 (s, 1H), 7.66 (d, J = 7.6 Hz, 1H), 7.57 (s, 1H), 7.43 (t, J = 7.5 Hz, 1H), 7.37 (d, J = 7.7 Hz, 1H), 3.70 (s, 8H), 2.93 (s, 3H), 2.40 (s, 3H); MS: m/z = 352.0 (M+1, ESI+).
실시예 180.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페닐-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페닐-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6 (s, 1H), 9.72 (s, 1H), 8.33 (s, 1H), 7.87 (d, J = 8.0 Hz, 2H), 7.73 (s, 1H), 7.69 (d, J = 8.0 Hz, 1H), 7.45 (t, J = 7.6 Hz, 1H), 7.39 (d, J = 7.6 Hz, 1H), 7.33 (t, J = 7.6 Hz, 2H), 7.03 (t, J = 7.6 Hz, 1H), 3.76 - 3.67 (m, 8H), 2.41 (s, 3H); MS: m/z = 414.2(M+1, ESI+).
실시예 181.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p-톨릴)-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4-메틸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p-톨릴)-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6 (s, 1H), 9.61 (s, 1H), 8.30 (s, 1H), 7.77 - 7.71 (m, 3H), 7.68 (d, J = 7.2 Hz, 1H), 7.44 (t, J = 7.6 Hz, 1H), 7.38 (d, J = 7.6 Hz, 1H), 7.13 (d, J = 8.4 Hz, 2H), 3.75 - 3.67 (m, 8H), 2.40 (s, 3H), 2.27 (s, 3H); MS: m/z = 428.3 (M+1, ESI+).
실시예 182.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 N -(1-메틸피페리딘-4-일)-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1-메틸피페리딘-4-아민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1-메틸피페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7 (s, 1H), 8.15 (s, 1H), 7.70 (s, 1H), 7.66 (d, J = 7.2 Hz, 1H), 7.50 - 7.39 (m, 2H), 7.37 (d, J = 7.2 Hz, 1H), 4.08 - 3.83 (m, 1H), 3.72 - 3.64 (m, 8H), 2.78 (d, J = 10.8 Hz, 2H), 2.40 (s, 3H), 2.17 (s, 3H), 1.97 (t, J = 11.6 Hz, 2H), 1.87 - 1.80 (m, 2H), 1.71 - 1.60 (m, 2H); MS: m/z = 435.0 (M+1, ESI+).
실시예 183. ( E )- N -(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 H -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2-(피리딘-2-일)에탄-1-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7 (s, 1H), 9.83 (s, 1H), 8.36 (s, 1H), 8.12 (s, 1H), 7.82 (d, J = 8.5 Hz, 1H), 7.72 (s, 1H), 7.69 (d, J = 7.6 Hz, 1H), 7.44 (t, J = 7.5 Hz, 1H), 7.38 (d, J = 9.5 Hz, 1H), 7.34 (d, J = 8.1 Hz, 1H), 7.06 (d, J = 8.0 Hz, 1H), 3.77 - 3.68 (m, 8H), 2.40 (s, 3H); MS: m/z = 444.3(M+1, ESI+).
실시예 184. ( E )- N -(3-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3-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3-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4 (s, 1H), 9.66 (s, 1H), 8.32 (s, 1H), 7.72 (s, 1H), 7.68 (d, J = 7.5 Hz, 1H), 7.63 (s, 1H), 7.44 (t, J = 7.9 Hz, 2H), 7.38 (d, J = 7.4 Hz, 1H), 7.21 (t, J = 8.1 Hz, 1H), 6.60 (dd, J = 8.0, 1.4 Hz, 1H), 3.78 - 3.68 (m, 11H), 2.40 (s, 3H); MS: m/z = 444.0(M+1, ESI+).
실시예 185. ( E )- N -(3-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3-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3-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7 (s, 1H), 9.83 (s, 1H), 8.36 (s, 1H), 8.12 (s, 1H), 7.82 (d, J = 8.5 Hz, 1H), 7.72 (s, 1H), 7.69 (d, J = 7.6 Hz, 1H), 7.44 (t, J = 7.5 Hz, 1H), 7.38 (d, J = 9.5 Hz, 1H), 7.34 (d, J = 8.1 Hz, 1H), 7.06 (d, J = 8.0 Hz, 1H), 3.77 - 3.68 (m, 8H), 2.40 (s, 3H); MS: m/z = 448.2( M+1, ESI+).
실시예 186. ( E )- N -(4-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4-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4-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7 (s, 1H), 9.83 (s, 1H), 8.33 (s, 1H), 7.90 (d, J = 8.8 Hz, 2H), 7.72 (s, 1H), 7.68 (d, J = 7.5 Hz, 1H), 7.43 (d, J = 7.5 Hz, 1H), 7.37 (d, J = 8.7 Hz, 3H), 3.70 (s, 8H), 2.40 (s, 3H); MS: m/z = 448.1 (M+1, ESI+).
실시예 187. ( E )- N -(2-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4 (s, 1H), 8.34 (d, J = 11.7 Hz, 2H), 8.28 (s, 1H), 7.74 (s, 1H), 7.70 (d, J = 7.6 Hz, 1H), 7.45 (t, J = 7.6 Hz, 1H), 7.39 (d, J = 7.9 Hz, 1H), 7.13 - 7.05 (m, 2H), 7.02 (t, J = 7.6 Hz, 1H), 3.93 (s, 3H), 3.73 (s, 8H), 2.41 (s, 3H); MS: m/z = 444.3 (M+1, ESI+).
실시예 188. ( E )- N -(1,5-디메틸-1 H -피라졸-3-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1,5-디메틸-1H-피라졸-3-아민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1,5-디메틸-1H-피라졸-3-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5 (s, 1H), 9.38 (s, 1H), 8.25 (s, 1H), 7.72 (s, 1H), 7.68 (d, J = 7.4 Hz, 1H), 7.44 (t, J = 7.6 Hz, 1H), 7.38 (d, J = 7.1 Hz, 1H), 6.41 (s, 1H), 3.74 - 3.69 (m, 8H), 3.65 (s, 3H), 2.40 (s, 3H), 2.26 (s, 3H); MS: m/z = 432.3(M+1, ESI+).
실시예 189. ( E )- N -(2-모르폴리노-6-(피리딘-2-일옥시)-9 H -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피리딘-2-올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모르폴리노-6-(피리딘-2-일옥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72 (s, 1H), 8.63 (s, 1H), 7.79 - 7.71 (m, 3H), 7.62 - 7.56 (m, 1H), 7.46 (t, J = 7.6 Hz, 1H), 7.41 (d, J = 7.6 Hz, 1H), 6.53 (d, J = 9.2 Hz, 1H), 6.39 (td, J = 6.8, 1.2 Hz, 1H), 3.80 - 3.75 (m, 4H), 3.75 - 3.69 (m, 4H), 2.41 (s, 3H); MS: m/z = 416.2(M+1, ESI+).
실시예 190. ( E )-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 N -(m-톨릴)-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76>과 같이 합성하되 (단계 c)에서 니코틴알데히드를, (단계 e)에서 m-톨루이딘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N-(m-톨릴)-9H-퓨린-6-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9 (s, 1H), 9.66 (s, 1H), 9.05 (d, J = 1.6 Hz, 1H), 8.73 (dd, J = 4.8, 1.6 Hz, 1H), 8.34 (s, 1H), 8.30 (dt, J = 8.0, 1.6 Hz, 1H), 7.81 - 7.74 (m, 1H), 7.63 (d, J = 8.4 Hz, 1H), 7.58 (dd, J = 7.6, 4.8 Hz, 1H), 7.21 (t, J = 7.6 Hz, 1H), 6.85 (d, J = 7.6 Hz, 1H), 3.72 (s, 8H), 2.30 (s, 3H); MS: m/z = 415.2(M+1, ESI+).
실시예 191.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3-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실시예 96>과 같이 합성하되 마지막 단계에서 정제 분리를 통해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30 mg)을 72.2%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8 (s, 1H), 9.87 (s, 1H), 9.06 (d, J = 2.4 Hz, 1H), 8.37 (s, 1H), 8.26 - 8.22 (m, 2H), 7.73 (s, 1H), 7.69 (d, J = 7.6 Hz, 1H), 7.47 - 7.43 (m, 1H), 7.40 - 7.35 (m, 2H), 3.71 (s, 8H), 2.41 (3H); MS: m/z = 415 (M+1, ESI+).
실시예 192.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 N -(5-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실시예 145>와 같이 합성하되 마지막 단계에서 정제 분리를 통해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5-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의 합성 (7 mg)을 2.22%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6 (s, 1H), 9.84 (s, 1H), 8.86 (s, 1H), 8.38 (s, 1H), 8.12 (s, 1H), 8.09 (s, 1H), 7.73 (s, 1H), 7.70 (d, J = 7.6 Hz, 1H), 7.45 (t, J = 7.6 Hz, 1H), 7.39 (d, J = 7.2 Hz, 1H), 3.75 - 3.67 (m, 8H), 2.41 (s, 3H), 2.30 (s, 3H); MS: m/z = 429.3 (M+1, ESI+).
실시예 193. ( E )- N -(2-클로로피리딘-4-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실시예 115>와 같이 합성하되 마지막 단계에서 정제 분리를 통해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클로로피리딘-4-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25 mg)을 11.1%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43 (s, 1H), 9.76 (s, 1H), 8.41 (s, 1H), 8.22 (d, J = 5.6 Hz, 1H), 8.09 (d, J = 1.2 Hz, 1H), 7.88 (dd, J = 5.6, 1.2 Hz, 1H), 7.71 - 7.63 (m, 2H), 7.43 (t, J = 7.6 Hz, 1H), 7.37 (d, J = 7.6 Hz, 1H), 3.80 - 3.68 (m, 8H), 2.39 (s, 3H); MS: m/z = 449.1 (M+1, ESI+).
실시예 194.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 N -(2-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실시예 109>와 같이 합성하되 마지막 단계에서 정제 분리를 통해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2-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25 mg)을 11.1%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6 (s, 1H), 9.32 (s, 1H), 8.29 (s, 1H), 7.85 (d, J = 7.2 Hz, 1H), 7.73 (s, 1H), 7.68 (d, J = 7.6 Hz, 1H), 7.44 (t, J = 7.2 Hz, 1H), 7.38 (d, J = 7.2 Hz, 1H), 7.25 (dd, J = 8.0, 4.8 Hz, 1H), 3.63 - 3.56 (m, 8H), 2.45 (s, 3H), 2.40 (s, 3H); MS: m/z = 429.3 (M+1, ESI+).
실시예 195.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메틸)-9 H -퓨린-6-아민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1
(단계 a) 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아민의 합성
4-(6-(벤질옥시)-9H-퓨린-2-일)모르폴린 (5.0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첨가 후 0 ℃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 (10.93 g)를 첨가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미노옥시)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5.62 g) 첨가 후 25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필터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아민 (3.0 g)을 57.24%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27.0 (M+1, ESI+).
(단계 b) (E)-N-(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아민 (3.0 g)에 3-메틸벤즈알데히드 (1.33 g), 아세트산 (55 mg) 및 메탄올 (50 mL) 첨가 후 7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필터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2 g)을 50.78%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29.10 (M+1, ESI+).
(단계 c)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올의 합성
(E)-N-(6-(벤질옥시)-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2.2 g)에 디클로로메탄 (1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 첨가하여 25 ℃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필터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올 (1.5 g)을 86.34%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39.1(M+1, ESI+).
(단계 d)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의 합성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올 (1.5 g)에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1.69 g), 트리에틸아민 (0.45 g) 및 디클로로메탄 (50 mL)를 첨가 후 25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필터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 (1.2 g)을 54.96%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93.1 (M+1, ESI+).
(단계 e)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의 합성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 (150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 및 피리딘-4-일메탄아민 (0.05 g)을 첨가 후 25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40 mg)을 30.65%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5 (s, 1H), 8.48 (dd, J = 4.5, 1.5 Hz, 2H), 8.36 (s, 1H), 8.19 (s, 1H), 7.70 (s, 1H), 7.66 (d, J = 7.6 Hz, 1H), 7.43 (t, J = 7.5 Hz, 1H), 7.35 (dd, J = 13.9, 6.7 Hz, 3H), 4.63 (s, 2H), 3.60 (s, 8H), 2.40 (s, 3H); MS: m/z = 429.2 (M+1, ESI+).
실시예 196. ( E )- N -이소프로필-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9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프로판-2-아민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이소프로필-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33 mg)을 28.56%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7 (s, 1H), 8.13 (s, 1H), 7.70 (s, 1H), 7.65 (d, J = 7.7 Hz, 1H), 7.42 (t, J = 7.6 Hz, 1H), 7.36 (d, J = 7.5 Hz, 2H), 4.37 (s, 1H), 3.68 (s, 8H), 2.39 (s, 3H), 1.23 (s, 3H), 1.21 (s, 3H); MS: m/z = 380.2 (M+1, ESI+).
실시예 197. ( E )- N -(2-모르폴리노-6-(피리딘-4-일록시)-9 H -퓨린-9-일)-1-( m -톨릴)메탄이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9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e)를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다.
(단계 e) (E)-N-(2-모르폴리노-6-(피리딘-4-일록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피리딘-4-올 (46 mg)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20 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 첨가 후 2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 4-메틸벤진설포네이트 (200 mg) 첨가 후 2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rep-HPLC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2-모르폴리노-6-(피리딘-4-일록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2 mg)을 7.1%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77 (s, 1H), 9.29 (d, J = 8.1 Hz, 2H), 8.77 (s, 1H), 7.84 - 7.73 (m, 2H), 7.57 - 7.43 (m, 2H), 6.44 (d, J = 8.1 Hz, 2H), 3.84 (dd, J = 26.9, 4.1 Hz, 8H), 2.47 (s, 3H); MS: m/z = 416.3(M+1, ESI+).
실시예 198. ( E )-3-메틸- N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일)이소옥사졸-5-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9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e)는 3-메틸이소옥사졸-5-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97>의 (단계 e)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3-메틸-N-(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이소옥사졸-5-아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2 (s, 1H), 9.80 (s, 1H), 8.42 (s, 1H), 7.74 (s, 1H), 7.70 (d, J = 7.6 Hz, 1H), 7.45 (t, J = 7.6 Hz, 1H), 7.39 (d, J = 7.8 Hz, 1H), 6.25 (s, 1H), 3.74 (s, 8H), 2.41 (s, 3H), 2.23 (s, 3H). MS: m/z = 419.2(M+1, ESI+).
실시예 199. ( E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2-일)-9 H -퓨린-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95>의 (단계 a)에서 (단계 d)를 동일하게 합성한 뒤 <실시예 197>의 (단계 e)와 같이 합성하되 피리딘-4-올 대신에 피리딘-2-아민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2-일)-9H-퓨린-아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2 (s, 1H), 9.01 (s, 1H), 8.38 (s, 1H), 8.34 (d, J = 4.5 Hz, 1H), 8.26 (d, J = 8.4 Hz, 1H), 7.85 (t, J = 8.0 Hz, 1H), 7.74 (s, 1H), 7.70 (d, J = 7.7 Hz, 1H), 7.45 (t, J = 7.6 Hz, 1H), 7.39 (d, J = 7.0 Hz, 1H), 7.12 - 7.07 (m, 1H), 3.74 (s, 8H), 2.40 (s, 3H); MS: m/z = 415.2(M+1, ESI+).
실시예 200. ( E )-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 N -(피리딘-4-일)-9 H -퓨린-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9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b)에서 3-메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니코틴알데히드를 사용하고, <실시예 197>의 (단계 e)와 같이 합성하되 피리딘-4-올 대신에 피리딘-4-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N-(피리딘-4-일)-9H-퓨린-아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14 (s, 1H), 8.73 (s, 1H), 8.68 (s, 1H), 8.46 (d, J = 7.2 Hz, 2H), 8.38 (d, J = 7.2 Hz, 1H), 7.95 (s, 1H), 7.58 (t, J = 7.1 Hz, 1H), 7.57 (s, 1H), 6.99 (d, J = 7.2 Hz, 2H), 3.73 - 3.64 (m, 8H); MS: m/z = 402 (M+1, ESI+).
실시예 201. ( E )- N -(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일)옥사졸-5-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95>의 (단계 a)에서 (단계 d)를 동일하게 합성한 뒤 <실시예 197>의 (단계 e)와 같이 합성하되 피리딘-4-올 대신에 옥사졸-5-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N-(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옥사졸-5-아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7 (s, 1H), 8.68 (s, 1H), 8.47 (s, 1H), 7.90 (s, 1H), 7.74 (s, 1H), 7.45 (t, J = 7.1 Hz, 1H), 7.66 (d, J = 7.2 Hz, 1H), 7.45 (t, J = 7.2 Hz, 1H), 7.27 (d, J = 7.2 Hz, 1H), 7.09 (s, 1H), 3.73 - 3.64 (m, 8H), 2.42 (s, 3H); MS: m/z = 405 (M+1, ESI+).
실시예 202. ( E )- N , N -다이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 H -퓨린-9-일)아닐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페닐보론산 대신에 (3-(디메틸아미노)페닐)보로닉 산을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N-다이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닐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40 (s, 1H), 8.30 (s, 1H), 7.57 (d, J = 7.1 Hz, 1H), 7.51 (s, 1H), 7.35 - 7.30 (m, 3H), 7.20 (d, J = 7.4 Hz, 1H), 7.12 (d, J = 7.6 Hz, 1H), 6.74 (d, J = 8.3 Hz, 1H), 3.71 (d, J = 14.4 Hz, 8H), 2.98 (s, 6H), 2.36 (s, 3H); MS: m/z = 457.2 (M+1, ESI+).
실시예 203. N 9 -(3-메틸벤질)-2-모르폴리노- N 6 -(피리딘-4-일)-9 H -퓨린-6,9-디아민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2
(단계 a) N 9-(3-메틸벤질)-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합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200 mg)에 메탄올 (5 mL)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146 mg) 첨가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필터하고 농축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N 9-(3-메틸벤질)-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 (104 mg)을 51.75%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1 (s, 1H), 8.39 (d, J = 5.5 Hz, 2H), 7.90 (d, J = 6.3 Hz, 2H), 7.71 (s, 1H), 7.20 - 7.14 (m, 2H), 7.11 - 7.02 (m, 3H), 4.33 (d, J = 4.1 Hz, 2H), 3.78 - 3.71 (m, 8H), 2.26 (s, 3H); MS: m/z = 417.0(M+1, ESI+).
실시예 204. 4-(9-페닐-6-(피리딘-4-일록시)-9 H -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3
(단계 a)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의 합성
2,6-디클로로-9H-퓨린 (3.0 g)에 페닐보로닉 산 (12.06 g), 디클로로메탄 (50 mL), 구리(II)아세테이트 (2.88 g) 및 o-페난트롤린 (5.72 g)을 첨가 후 4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필터 후 감압 농축하였다.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 (900 mg)을 21.4%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265.1(M+1, ESI+).
(단계 b) 2-클로로-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의 합성
피리딘-4-올 (277 mg)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117 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6-디클로로-9-페닐-9H-퓨린 (700 m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2-클로로-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 (264 mg)을 합성하였다. MS: m/z = 324.0(M+1, ESI+).
(단계 c) 4-(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2-클로로-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 (264 mg)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mL), 모르폴린 (357 mg) 및 아세트산 (0.1 mL) 첨가 후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NaCl 포화 용액으로 씻어준 후 황산 나트륨을 첨가한 뒤 필터하고 농축하였다. Prep-HPLC를 사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4-(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2-일)모르폴린 (88 mg)을 28.79%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28 (d, J = 8.4 Hz, 2H), 8.07 (s, 1H), 7.71 (d, J = 8.0 Hz, 2H), 7.59 (t, J = 7.6 Hz, 2H), 7.48 (t, J = 7.6 Hz, 1H), 6.55 (d, J = 8.0 Hz, 2H), 3.88 - 3.83 (m, 4H), 3.83 - 3.78 (m, 4H); MS: m/z = 375.2(M+1, ESI+).
실시예 205. ( E )- N -(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 H -퓨린-6-아민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4
(단계 a)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아민의 합성
2,4,6-트리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8.65 g)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86.5 mL), 아세트산 (35 mL) 및 철 (8.45 g) 첨가 후 25 ℃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산물 제거를 위해 필터 후 유기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에틸과 증류수를 첨가 후 유기용매를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에 황산 마그네슘 첨가 후 필터 및 감압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아민 (5.33 g)을 70.9%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b) 2,4-디클로로-6-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의 합성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5-아민 (920 m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7.8 mL) 및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928.4 mg) 첨가 후 3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4-디클로로-6-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680 mg)을 75.6%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c) (E)-2,4-디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의 합성
2,4-디클로로-6-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680 mg)에 에탄올 (35 mL), 아세트산 (10.5 mg)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547.4 mg) 첨가 후 6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2,4-디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790 mg)을 76.1%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d) (E)-N-(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E)-2,4-디클로로-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미딘-5-아민 (790 mg)에 트리에틸 오쏘아세테이트 (10.2 mL) 첨가 후 10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필터 후 에테르와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를 연화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E)-N-(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700 mg)을 82%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e) (E)-2-클로로-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9H-퓨린-6-아민의 합성
(E)-N-(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50 mg)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4.7 mL), 4-메톡시아닐린 (57.7 mg) 및 트리에틸아민 (71.1 mg) 첨가 후 8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 후 메탄올로 연화 및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E)-2-클로로-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9H-퓨린-6-아민 (146 mg)을 76.6%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f) (E)-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의 합성
(E)-2-클로로-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9H-퓨린-6-아민 (140 mg)에 이소피로필 알코올 (2.15 mL), 아세트산 (20.6 mg) 및 모르폴린 (149.9 mg) 첨가 후 120 ℃에서 1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틴/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50 mg)을 31.8%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4 (s, 1H), 9.49 (s, 1H), 7.77 - 7.69 (m, 4H), 7.43 (t, J = 7.6 Hz, 1H), 7.37 (d, J = 7.6 Hz, 1H), 6.89 (d, J = 8.0 Hz, 2H), 3.74 (s, 3H), 3.71 - 3.66 (m, 8H), 2.66 (s, 3H), 2.41 (s, 3H); MS: m/z = 458 (M+1, ESI+).
실시예 206. ( E )-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페닐-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5>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e)에서 아닐린을 사용하여 분홍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페닐-9H-퓨린-6-아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3 (s, 1H), 9.63 (s, 1H), 7.89 (d, J = 1.2 Hz, 2H), 7.74 (s, 1H), 7.70 (d, J = 7.6 Hz, 1H), 7.43 (t, J = 7.4 Hz, 1H), 7.37 (d, J = 7.6 Hz, 1H), 7.32 (t, J = 3.2 Hz, 1H), 7.00 (t, J = 3.2 Hz, 1H), 3.69 - 3.68 (m, 8H), 2.59 (s, 3H), 2.33 (s, 3H); MS: m/z = 428 (M+1, ESI+).
실시예 207. ( E )-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 N -(피리딘-4-일)-9 H -퓨린-6-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6>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a)에서 2,6-디클로로-8-메틸-9H-퓨린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2 (s, 1H), 10.01 (s, 1H), 8.39 (d, J = 3.6 Hz, 2H), 7.91 (d, J = 3.2 Hz, 2H), 7.75 (s, 1H), 7.72 (d, J = 7.6 Hz, 1H), 7.44 (t, J = 7.6 Hz, 1H), 7.39 (d, J = 7.6 Hz, 1H), 3.74 - 3.72 (m, 8H), 2.62 (s, 3H), 2.41 (s, 3H); MS: m/z = 429 (M+1, ESI+).
실시예 208. ( E )- N -8-메틸-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 H -퓨린-9-일-1-( m -톨릴)메탄이민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5
(단계 a) (E)-N-(6-(2-(피리딘-2-일)에톡시)-2-클로로-8-메틸-9H-퓨린-9-일)(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2-(2-피리딜)에탄올 (30.8 mg)에 테트라히드로퓨란 (1.5 mL) 첨가 후 NaHMDS (137.5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 교반하였다. (E)-N-(2,6-디클로로-8-메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80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후 첨가하여 3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에틸/헥산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E)-N-(6-(2-(피리딘-2-일)에톡시)-2-클로로-8-메틸-9H-퓨린-9-일)(m-톨릴)메탄이민 (53 mg)을 52.1%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b) (E)-N-(8-메틸-2-모폴리노-9H-퓨린-9-일-6-올)(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E)-N-(6-(2-(피리딘-2-일)에톡시)-2-클로로-8-메틸-9H-퓨린-9-일)(m-톨릴)메탄이민(53 mg)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0.81 mL), 모르폴린 (56.7 mg) 및 아세트산 (7.8 mg) 첨가 후 1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후 메탄올로 연화하여 목적 화합물 (E)-N-(8-메틸-2-모폴리노-9H-퓨린-9-일-6-올)(m-톨릴)메탄이민 (25 mg)을 54.6% 수율로 합성하였다.
(단계 c) (E)-N-8-메틸-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의 합성
(E)-N-(8-메틸-2-모폴리노-9H-퓨린-9-일-6-올)(m-톨릴)메탄이민 (25 mg)에 1,4-디옥산 (0.71 mL), 2-(2-피리딜)에탄올 (13.1 mg), PPh3 (27.9 mg) 및 DEAD (27.1 mg) 첨가 후 3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조건하에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회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N-8-메틸-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15 mg)을 46.2%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6 (s, 1H), 8.53 - 8.51 (m, 1H), 7.76 - 7.69 (m, 3H), 7.37 (t, J = 7.6 Hz, 1H), 7.39 (d, J = 8.0 Hz, 2H), 7.28 - 7.26 (m, 1H), 4.84 (t, J = 6.6 Hz, 2H), 3.71 (s, 8H), 3.26 (t, J = 6.6 Hz, 2H), 2.54 (s, 3H), 2.40 (s, 3H); MS: m/z = 458 (M+1, ESI+).
실시예 209. ( E )-4-(8-(1-메틸-1 H -피라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6
(단계 a) 8-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퀴나졸린의 합성
8-브로모-2,4-디클로로퀴나졸린 (95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3 mL)에 녹이고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406.5 μL) 첨가 후 40 ℃의 온도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증류수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8-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퀴나졸린 (702 mg)을 7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275 (M+1, ESI+)
(단계 b) (E)-8-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의 합성
8-브로모-2-클로로-4-히드라지닐퀴나졸린 (0.82 g) 및 3-메틸벤즈알데히드 (615 μL)을 무수 에탄올(26 mL)에 녹인 뒤 촉매 당량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탄올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8-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 (816 mg)을 8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377 (M+1, ESI+)
(단계 c) (E)-4-(8-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8-브로모-2-클로로-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 (816 mg)을 모르폴린 (10.8 mL)에 녹여 90 ℃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증류한 뒤, 헥산/아세트산 에틸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은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530 mg)을 5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m/z = 427 (M+1, ESI+)
(단계 d) (E)-4-(8-(1-메틸-1H-피라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E)-4-(8-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150 mg) 및 (1-메틸-1H-피라졸-4-일)보로닉 산 (88.6 mg)을 1,4-디옥산 (1.8 mL), 증류수 (0.4 mL)에 녹인 뒤 Pd(dppf)Cl2 (25.7 mg) 및 세슘 카보네이트 (344 mg)을 첨가한 후 95 ℃의 온도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헥산/아세트산 에틸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흰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1-메틸-1H-피라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62 mg)을 4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1 (s, 1H), 8.44 (s, 1H), 8.42 (s, 1H), 8.23 - 8.21 (m, 1H), 8.14 (s, 1H), 7.90 (dd, J = 7.6, 1.2 Hz, 1H), 7.60 (d, J = 8.0 Hz, 1H), 7.55 (s, 1H), 7.38 (t, J = 7.6 Hz, 1H), 7.26 - 7.19 (m, 2H), 3.92 (s, 3H), 3.86 - 3.84 (m, 4H), 3.77 - 3.74 (m, 4H), 2.39 (s, 3H); MS: m/z = 428 (M+1, ESI+).
실시예 210. ( E )-4-(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3,5-디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이소옥사졸 (104.7 mg)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31 mg)을 3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0 (s, 1H), 8.44 (s, 2H), 7.61 - 7.55 (m, 3H), 7.38 (t, J = 7.6 Hz, 1H), 7.28 - 7.24 (m, 2H), 3.78 -3.70 (m, 4H), 3.68 - 3.64 (m, 4H), 2.39 (s, 3H), 2.30 (s, 3H), 2.13 (s, 3H); MS: m/z = 443 (M+1, ESI+).
실시예 211. ( E )-4-(8-(3-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3-메톡시페닐)보로닉 산 (53 mg) 및 테트라키스 (5.4 mg)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3-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69 mg)을 6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7 (s, 1H), 8.45 (s, 1H), 8.38(br s,1H), 7.68 (d, J = 7.2 Hz, 1H), 7.61 (d, J = 7.6 Hz, 1H), 7.56 (s, 1H), 7.40 - 7.25 (m, 6H), 6.91 (dd, J = 8.0, 2.4 Hz, 1H), 3.80 - 3.75 (m, 7H), 3.68 -3.66 (m, 4H), 2.39 (s, 3H); MS: m/z = 454 (M+1, ESI+).
실시예 212.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4-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피리딘-4-일보로닉 산 (50.7 mg)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4-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 (56 mg)을 6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2 (S, 1H), 8.63 - 8.61 (m, 2H), 8.45 (br s, 2H), 7.77 - 7.75 (m, 3H), 7.61 (d, J = 7.6 Hz, 1H), 7.56 (s, 1H), 7.38 (t, J = 7.6 Hz, 1H), 7.33 - 7.29 (m, 2H), 3.80 - 3.65 (m, 8H), 2.39 (s, 3H); MS: m/z = 425 (M+1, ESI+).
실시예 213. ( E )-4-(8-(4-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4-메톡시페닐)보로닉 산 (53 mg) 및 테트라키스 (8.13 mg)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8-(4-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67.6 mg)을 42.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3 (S, 1H), 8.44 (s, 1H), 8.35 - 8. 25 (br s, 1H), 7.69 (d, J = 8.8 Hz, 2H), 7.65 - 7.55 (m, 2H), 7.55 (s, 1H), 7.38 (t, J = 7.6 Hz, 1H), 7.27 - 7. 20 (m, 2H), 7.00 (d, J = 8.8 Hz, 2H), 3.81 (s, 3H), 3.77 - 3.70 (m, 4H), 3.70 - 3.60 (m, 3H), 2.39 (s, 3H); MS: m/z = 454 (M+1, ESI+).
실시예 214.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페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페닐보로닉 산 (64.4 mg) 및 테트라키스 (8.13 mg)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페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67.6 mg)을 42.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47 (s, 1H), 8.44 (s, 1H), 8.41 - 8.25 (m, 1H), 7.74 - 7.51 (m, 2H), 7.68 - 7.63 (m, 1H), 7.61 (d, J = 8.0 Hz, 1H), 7.56 (s, 1H), 7.44 (t, J = 7.2 Hz, 2H), 7.40 - 7.30 (m, 2H), 7.29 - 7.22 (m, 2H), 3.80 - 3.70 (m, 4H), 3.66 (t, J = 4.8 Hz, 4H), 2.39 (s, 3H); MS: m/z = 424 (M+1, ESI+).
실시예 215.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3-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의 합성
상기 <실시예 209>와 같이 합성하되 (단계 d)에서 3-피리딜보로닉 산 (144.2 mg)을 사용하여 노란색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3-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 (145 mg)을 58.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52 (s, 1H), 8.90 (d, J = 1.6 Hz, 1H), 8.53 (dd, J = 4.8, 1.6 Hz, 1H), 8.48 - 8.38 (m, 2H), 8.16 - 8.11 (m, 1H), 7.75 - 7.72 (m, 1H), 7.61 (d, J = 8.0 Hz, 1H), 7.56 (s, 1H), 7.50 - 7.45 (m, 1H), 7.38 (t, J = 7.6 Hz, 1H), 7.35 - 7.24 (m, 2H), 3.79 - 3.70 (m, 4H), 3.66 (t, J = 4.8 Hz, 4H), 2.39 (s, 3H); MS: m/z = 425 (M+1, ESI+).
실시예 216.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피리딘-3-일)피리도[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7
(단계 a) 터트-부틸 2-(7-브로모-2-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7-브로모-2,4-다이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 (790.0 mg)를 다이메틸포르아마이드 (10.0 mL)에 녹이고 터트-부틸 카바제이트 (374.3 mg)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592.1 μL)을 첨가 후 25 ℃에서 20.5 시간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헥세인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얀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2-(7-브로모-2-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0 g)을 94.0%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74 (M+1, ESI+)
(단계 b) 터트-부틸 2-(7-브로모-2-모르폴리노피리도[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터트-부틸 2-(7-브로모-2-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0 g)를 다이메틸포르아마이드에 녹인 후 모르폴린 (232.6 μL)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557.9 μL)을 첨가하여 70 ℃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 에틸/헥세인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얀 고체 상태의 목적 화합물 터트-부틸 2-(7-브로모-2-모르폴리노피리도[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0 g)를 90.3%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25 (M+1, ESI+)
(단계 c) 4-(7-브로모-4-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터트-부틸 2-(7-브로모-2-모르폴리노피리도[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0 g, 2.4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을 첨가하여 95.0 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8로 맞춘 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목적화합물 4-(7-브로모-4-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740.0 mg)을 96.8%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325 (M+1, ESI+)
(단계 d)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4-(7-브로모-4-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750.0 mg)을 에탄올 (20.0 mL)에 녹인 후 초산 (2.5 μL) 및 3-메틸벤즈알데하이드 (277.1 mg)를 첨가하여 70 ℃의 온도에서 73.5 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생성된 고체를 필터하여 목적 화합물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640.0 mg)을 64.9%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MS: m/z = 427 (M+1, ESI+)
(단계 e)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피리딘-3-일)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00.0 mg)을 1,4-다이옥산 (8.0 mL)에 녹인 후 Pd(dppf)Cl2 (17.1 mg), 포타슘 카보네이트 (97.0 mg), 3-피리딜보로닉산 (31.6 mg) 및 물 (2.0 mL)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0 ℃의 온도에서 1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피리딘-3-일)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0.0 mg)을 10.0%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DMSO-d 6): δ 11.81 (s, 1H), 9.09 (d, J = 2.0 Hz, 1H), 8.81 (d, J = 2.0 Hz, 1H), 8.68 (dd, J = 4.6, 1.4 Hz, 1H), 8.65 (s, 1H), 8.31 (dt, J = 8.0 Hz, 2.0 Hz, 1H), 8.05 (d, J = 2.0 Hz, 1H), 7.59 - 7.56 (m, 2H), 7.51 (s, 1H), 7.37 (t, J = 7.6 Hz, 1H), 7.25 (d, J = 7.6 Hz, 1H), 3.90 - 3.89 (m, 4H), 3.71 (t, J = 4.6 Hz, 4H), 2.37 (s, 3H); MS: m/z = 426 (M+1, ESI+)
실시예 217. ( E )-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피리도[2,3- d ]피리미딘-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8
(E)-4-(7-브로모-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00.0 mg)을 1,4-다이옥산 (8.0 mL)에 녹인 후 Pd(dppf)Cl2 (17.1 mg), 포타슘 카보네이트 (97.0 mg), 페닐보로닉산 (31.3 mg) 및 물 (2.0 mL)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0 ℃로 1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조건 하에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목적화합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20.0 mg)을 20.0%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1H NMR (CDCl3): δ 10.10 (s, 1H), 8.63 (s, 1H), 8.21 (s, 1H), 7.94 (s, 1H), 7.71-7.70 (m, 2H), 7.69 (d, 1H), 7.56-7.54 (m, 2H), 7.49-7.33 (m, 2H), 4.08 - 4.02 (m, 4H), 3.88 - 3.83 (t, J = 4.6 Hz, 4H), 2.49 (s, 3H); MS: m/z = 425 (M+1, ESI+)
<실험예>
실험예 1. Human PIKFYVE에 대한 효소 저해 활성 평가
실시예 화합물의 human PIKFYVE에 대한 효소 저해 활성 값은 Carna biosicences사의 ADP-Glo™ kinase assay service를 통해 산출하였다. Carna biosciences사에서 제공한 효소 활성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실시예 화합물과 글루타티온 세파로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된 human GST-PIKFYVE(11-118, Carna biosciences)를 반응하여 효소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반응 버퍼는 50mmol/L MOPS, 1 mmol/L DTT, pH7.2 조성으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시험증류수의 반응은 버퍼상에서 이루어졌다.
화합물은 100X stock으로 100% DMSO에 용액으로 제조되었고 최종적으로 10 nM 샘플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PIKFYVE에 대한 기질-효소 반응은 5 uL human GST-PIKFYVE, 5 uL 실시예 화합물, 5 uL 효소 기질, 5 uL 정제된 ATP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반응하였다. 기질-효소 반응 후 20 uL ADP-GloTM Reagent를 추가하고 상온에서 40분간 반응한 뒤 40 uL Kinase Detection Reagent를 추가하고 상온에서 40분간 반응하였다.
반응 종결 후 효소의 활성 저해도를 Luminescence로 측정하였다. PIKfyve를 처리하지 않은 용매 대조군 효소활성의 형광도를 100%,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용매 대조군 효소활성의 형광도를 0% 기준으로 하여 각 실시예 화합물의 저해 활성이 산출되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DP-Glo kinase assay (%, 10nM) 실시예 ADP-Glo kinase assay (%, 10nM) 실시예 ADP-Glo kinase assay (%, 10nM)
9 51.47 90 66.88 145 94.29
13 51.68 91 73.33 146 79.77
16 63.02 92 61.82 147 88.80
17 69.26 93 66.78 148 73.88
18 89.87 94 58.50 149 83.75
19 58.67 96 85.95 153 63.58
20 78.53 97 78.47 156 65.90
21 60.95 98 91.62 157 71.16
22 66.19 99 87.24 158 63.93
23 90.82 100 83.22 159 65.33
24 72.15 101 91.20 160 77.75
25 72.46 102 91.19 161 79.72
26 80.87 103 91.20 162 78.79
28 65.48 104 68.18 163 54.29
29 55.15 107 82.62 164 63.89
30 76.90 108 80.35 165 73.72
32 59.60 109 79.21 166 90.77
34 74.72 110 88.60 167 68.47
35 70.11 111 89.77 168 87.26
36 76.04 112 89.10 169 89.56
37 89.07 113 87.10 170 79.60
38 82.96 114 80.06 171 86.73
39 74.99 115 92.24 172 90.96
40 86.29 116 87.75 173 73.94
41 76.69 117 67.79 176 56.91
42 81.60 118 81.33 178 55.44
43 80.86 119 80.61 180 63.03
44 62.80 120 88.76 181 53.92
45 67.70 121 92.33 184 55.65
46 73.96 122 87.32 186 52.43
47 60.82 123 84.48 187 52.07
48 90.25 124 87.81 188 65.93
49 78.87 125 65.27 190 78.59
50 54.37 126 87.21 191 76.59
51 66.19 127 84.12 192 61.25
52 67.10 128 65.10 193 64.35
53 70.90 129 89.94 194 61.38
54 58.10 130 69.14 198 75.59
64 82.48 131 91.40 202 80.47
68 56.03 132 86.76 203 53.14
73 80.98 134 59.84 205 53.74
74 69.71 135 51.18 206 53.87
80 83.61 136 78.65 207 75.57
81 60.34 137 81.44 208 71.38
82 60.95 138 64.23 209 94.99
83 63.61 139 84.50 210 65.10
85 70.06 140 92.50 211 64.14
87 63.65 141 88.29 212 88.34
88 64.66 142 68.43 213 68.30
89 76.44 143 90.79 215 81.70
216 63.00
실험예 2. PIKFYVE와 화합물에 대한 상호작용 평가
실시예 화합물의 인체 내 PIKFYVE에 대한 효능을 예측하기 위해 Carna biosciences 사(Japan)의 NanoBRET™ TE Intracellular Kinase Assay Service를 통해 PIKFYVE와 화합물 간의 상호작용을 인간 배아 신장에서 유래한 HEK293 세포주(ATCC, CRL-1573)를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Carna biosciences 사에서 제공한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NanoBRET™ TE Intracellular Kinase Assay, K-8 Kit(Promega, CS1810C88)를 사용하였다.
Opti-MEM™ I Reduced Serum Medium(Thermo Fisher, 11058-021)에서 배양한 HEK-293 세포주에 Transfection Carrier DNA(Promega, E4881), PIKFYVE-NanoLuc Fusion Vector(Promega, CS1810C225), FuGENE HD Transfection Reagent(Promega, E2311)를 반응시켜 PIKFYVE와 NanoLuc이 결합되어 있는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를 제작하여 96-웰 플레이트(Corning, 3917)에 100 μl씩(2x105 cell/ml)배양하였다.
1X NanoBRET™ tracer reagent와 DMSO에 농도별로 제조된 10X 실시예 화합물 혹은 비교예 화합물을 96-웰 플레이트에 반응하여 37oC, 5% CO2 조건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종결 후 3X Complete NanoBRET™ Nano-Glo Substrate solution를 각 웰에 추가하였고 상온에서 2-3분간 반응한 뒤 GloMax Discover Multimode Microplate Reader(Promega)를 이용하여 BRET을 측정하였다. 각 웰에서 측정된 BRET을 바탕으로 IC50 값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NanoBRET assay 실시예 NanoBRET assay 실시예 NanoBRET assay
17 ** 87 ** 124 ***
18 *** 88 * 125 ***
20 ** 89 ** 126 ***
21 * 90 * 127 ***
22 ** 91 ** 128 ***
23 *** 92 * 129 ***
24 ** 93 * 131 ***
25 ** 96 *** 132 ***
26 ** 97 ** 136 ***
28 * 99 *** 137 ***
30 ** 100 *** 139 ***
32 * 101 *** 140 ***
35 ** 102 *** 141 ***
36 ** 103 *** 143 ***
37 *** 104 ** 145 ***
39 ** 107 *** 146 ***
40 *** 108 *** 147 ***
41 *** 109 ** 148 ***
42 *** 110 *** 149 ***
43 *** 111 *** 157 **
44 * 112 *** 165 **
45 * 113 *** 166 ***
46 ** 114 * 191 **
48 *** 115 *** 202 ***
49 *** 116 *** 209 ***
52 * 118 *** 210 *
53 * 119 *** 211 *
64 *** 120 *** 212 ***
73 ** 121 *** 213 **
74 * 122 *** 215 ***
80 *** 123 ***    
Activity range *** ≤ 10nM
10nM< ** ≤ 20nM
20nM< * ≤ 30nM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PIKFYVE과의 상호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화합물 마이크로좀 대사 안정성 평가
마이크로좀 대사 안정성 시험은 풀링된 인간 또는 CD1 수컷 마우스 종 간 마이크로좀을 이용하였다. 타겟 화합물에 대한 시토크롬 P450 (CYP), UGT 반응성을 촉진하기 위해 보충된 조인자 (NADPH, UDPGA)와 마이크로좀 막 기공 형성 인자(Alamethicin)를 첨가한다. 검사 화합물 (1 μM 인큐베이션 농도) 및 마이크로좀 (0.5 mg/ml 인큐베이션 농도)을 0.1M 포스페이트 완충제, pH 7.4에 희석 후 항온처리 (37℃)하였다. NADPH (1mM), UDPGA (1mM)과 Alamethicin (25 μg/mg)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인큐베이션 시간은 0, 5분, 15분, 30분 및 45분이었으며, 각 시점에 IS를 함유한 아세토니트릴을 첨가 (1:3 비율)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밀봉하여, 원심분리(3000rpm, 20분, 4℃)한 다음 상층액을 LC-MS/MS 분석하였다. 간 추출비율 (Hepatic extraction ratio) 값은 측정된 시험관 내 청소율로부터 계산되며 분석 결과로부터 고유 클리어런스 (Intrinsic clearance, Clint) 값을 산출하였고, 각종 별 Clint를 참고문헌 (ref. Prostaglandins & other lipid mediators 136 (2018): 90-95)을 기준으로 Low, Medium, High 범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마이크로좀 대사 안정성 실시예 마이크로좀 대사 안정성
23 Medium 127 Low
24 Medium 128 Low
34 Medium 129 Low
39 Medium 132 Medium
42 Low 136 Medium
43 Medium 139 low
48 Low 140 Medium
64 Medium 141 medium
85 Medium 147 Medium
96 Medium 149 Medium
101 Low 157 Medium
109 Medium 165 medium
111 Medium 166 medium
120 medium 202 low
121 Medium 209 medium
122 Medium 212 Low
126 Low 215 medium
Clint
(μL/min/mg protein)
Low < 8.8,
Medium 8.8~48,
High > 48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좀 대사 안정성 평가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결과 값은 Low 또는 Medium로 유의미한 대사 안정성(metabolic stability)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물로 적합한 생체 이용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화합물의 종양 조직 내 약력학 평가
생체 내에서 실시예 화합물의 PIKFYVE 저해에 따른 약력학을 평가하기 위해 NDIC사(Republic of Korea)에서 이종이식 마우스 시험을 통해 종양 조직을 확보한 뒤,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시험을 통해 단백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NDIC 사에서 제공한 이종이식 시험방법과, 종양 조직 시료 확보 후 웨스턴 블롯 분석 방법은 아래와 같다.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인 KMS-26 (JCRB, JCRB1187)을 6x106 세포수로 Matrigel (Corning, 356237)과 함께 NOD.SCID 마우스 (코아텍)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종양 크기 약 130 mm3 도달 후 검사 화합물을 5% DMSO + 5% Solutol + 90% 1X DPBS pH7.4 부형제에 조제하여 30 mg/kg로 경구 투여하였다.
종양을 적출한 뒤 PBS 용매에 균질화하여 protease & phosphatase 저해제 (Roche, 05892970001, 04906837001)를 첨가 후 원심분리(13200rpm, 15분, 4℃)하였다. 상층액을 회수하여 Sample reducing agent (Invitrogen B0009)와 LDS sample buffer (Invitrogen B0007)를 첨가하여 70℃에서 10분간 가열한 뒤 웨스턴 블롯을 진행하였다. PIKfyve 저해에서 유도되는 리소좀 미성숙화와 아포토시스를 관찰하기 위해 리소좀 내 효소인 Cathepsin D (CTSD), 아포토시스 활성화 표지 인자인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대조 단백질인 Beta-actin (ACTB)을 각각 탐지하는 항체 (Cell Signaling Technology 9542, Abcam 75852, Sigma A5441)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양 조직 내 약력학 평가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이종이식 마우스의 종양 조직 내에서 PIKfyve를 저해하여 리소좀의 성숙화를 방해하고, 아포토시스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199
    상기 화학식 1에서,
    각각의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고;
    각각의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고;
    각각의 Z1, Z2, Z3 및 Z4는 독립적으로 C, C-R', CH, CH2, N, N-R' 또는 S이고;
    p은 0 또는 1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고;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0
    은 각각 선택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되, 단, 2개의 이중 결합이 서로 인접하지 않으며;
    L1,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C=O, -C=O-, -C=O-C1-C6 알킬, -C=O-NH, -SO2, C1-C6 알킬-Ra, C1-C6 알킬-SO2, -NH, -NH-C1-C6 알킬, C1-C6 알킬-NH-, C1-C6 알킬-O-, -NH-N=CH-, -N=CH-, -NH-NH-C=O-, -C=O-NH-N=CH-, -O-, -O-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R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이고;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O-C3-C8 시클로알킬,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Rb,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로의 치환임);
    Rb는 C1-C6 알킬, -N-(C1-C6 알킬)2, -O-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옥소(=O), -OH,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R2는 수소원자, C1-C6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이고(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L4는 단결합, C1-C6 알킬, -NH, -NH-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또는 -O-C1-C6 알킬이며;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1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켄임(여기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옥소(=O), CN 또는 NH2로의 치환임).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되, X1 및 X2 중 적어도 하나는 C이고;
    각각의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되, Y1 및 Y2 중 적어도 하나는 N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Z1은 C, CH 또는 N;
    Z2는 C, C-R', CH, CH2 또는 N;
    Z3은 CH, CH2, N, N-R' 또는 S; 또는
    Z4는 CH 또는 N이고,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p가 0일 때,
    Z1은 C 또는 N이고,
    Z2는 C-R', CH, CH2 또는 N이고,
    Z3은 CH, CH2, N, N-R' 또는 S이고,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p가 1일 때,
    Z1은 C, CH 또는 N이고,
    Z2는 C 또는 CH이고,
    Z3은 CH이고,
    Z4는 CH 또는 N이고,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L1은 단결합,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C=O, -O-, -NH, -N=CH-, -NH-C1-C6 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12 아릴,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2
    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OH,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Rb,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6 시클로알킬, -O-C3-C8 시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3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4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5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6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7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8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09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0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1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2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3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4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5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6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7
    이고(여기서, 치환된 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19
    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3-C8 시클로알킬, -O-C1-C6 할로알킬, 옥소(=O), -OH, -CN, -N-(C1-C6 알킬)2, -NH2,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8 헤테로시클로알킬, C6-C12 아릴 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3-C12 헤테로아릴로의 치환임),
    Rb는 N-(C1-C6 알킬)2, O-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0
    ,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1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2
    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OH, -SO2-C1-C6 알킬, -N-(C1-C6 알킬)2, -C=O-N-(C1-C6 알킬)2, -C=O-O-C1-C6 알킬, -O-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3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6
    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제1항에 있어서,
    L2는 단결합, -NH-N=CH-, -NH-, -NH-NH-C=O-, -NH-C1-C6 알킬, -O-, -O-C1-C6 알킬,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7
    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제1항에 있어서,
    L3는 단결합, C1-C6 알킬, -NH-N=CH-, -NH-, -NH-NH-C=O-, -NH-C1-C6 알킬, -O-, -O-C1-C6 알킬-, -C=O-NH-, 또는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8
    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1. 제1항에 있어서,
    R2는 수소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29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0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1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2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3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4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5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6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7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8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39
    ,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0
    인(여기서, 치환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1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3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또는 CN로 치환되는 것임),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2. 제1항에 있어서,
    R2는 수소원자, C1-C6 알킬,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4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5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6
    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3.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7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8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49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50
    이고,
    상기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51
    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킬-OH, -O-C1-C6 알킬, -OH, CN 또는 NH2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4.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52
    Figure PCTKR2023009985-appb-img-000253
    이고, L4는 단결합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기재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7-이소부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펜에틸-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2-(피리딘-2-일)에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7-(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8-(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3-페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5-메틸-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5-이소프로필-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5H-피롤로[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벤질리덴히드라지닐)-7-(1-메틸-1H-피라졸-4-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2-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1-(피리딘-4-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일)모르폴린;
    (E)-4-(9-이소부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펜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1-시클로프로필-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9-(시클로프로필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1-(4-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4-(9-(2,2-디플루오로-2-(피리딘-2-일)에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롤리딘-1-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
    (E)-1-(인돌린-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1-메틸-1H-피롤-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
    (E)-1-(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피롤리딘-3-카르보니트릴;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1H-피롤-2-일)에탄-1-온;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E)-3-(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세틸)벤조니트릴;
    (E)-1-(2-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3-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4-메톡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o-톨릴)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p-톨릴)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
    (E)-1-(3-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4-플루오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2-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1-(3-클로로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탄-1-온;
    (E)-1-(2,4-디모르폴리노페닐)-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에탄-1-온;
    (E)-1-(5-플루오로피리딘-2-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라진-2-일)에탄-1-온;
    (E)-2-(6-(2-((5-메틸사이오펜-2-일)메틸렌)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3-((2-(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히드라지닐리덴)메틸)벤조니트릴;
    (E)-2-(2-모르폴리노-6-(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4-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2-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2-모르폴리노-6-(2-(피리딘-3-일메틸렌)히드라지닐)-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6-(2-(3-메톡시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3-메틸-N'-(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벤조히드라자이드;
    2-(2-모르폴리노-6-(3-(피리딘-3-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2-모르폴리노-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2-모르폴리노-6-(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6-(3-(3-플루오로페닐)-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3-(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1H-피라졸-3-일)벤조니트릴;
    2-(6-(3-(3-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2-모르폴리노-6-(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1H-피라졸-1-일)-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2-(6-(3-(6-메틸피리딘-2-일)-1H-피라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1-(2-모르폴리노-9-(2-옥소-2-(피리딘-2-일)에틸)-9H-퓨린-6-일)-N-(m-톨릴)-1H-피라졸-3-카르복사마이드;
    (E)-1-(아제티딘-1-일)-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탄-1-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옥세탄-3-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2-(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에틸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피페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메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이소퀴놀린-4-일메틸렌)히드라지닐)-9-(2-피리딘-2-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피리딘-3-일)에틸)-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메틸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E)-N,N-디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카르복시아마이드;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제티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모르폴리노)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페닐)메탄온;
    (E)-N,N-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사마이드;
    메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리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 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탄온;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피리딘-2-일)메탄온;
    (E)-4-(9-(1-메틸-1H-피라졸-4-일)-6-(2-(3-메틸벤젠일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S,E)-3-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1R,4R)-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옥사-5-아자바이싸이클로[2.2.1]헵테인;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4-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2-메톡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피페리딘-4-올;
    (E)-1-(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3-일)-9H-퓨린-2-일)아제티딘-3-올;
    4-(9-(피리딘-4-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5-메톡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2,4-디메틸티아졸-5-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 9H-퓨린-2-일)모르폴린;
    (E)-4-(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6-메톡시피리딘-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5-(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피리딘-2-올
    (E)-4-(9-(2-클로로피리딘-4-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5-클로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티아졸-2-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피리딘-3-일)-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4-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클로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N,N-디메틸-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닐린;
    (E)-4-(9-(2-메톡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시클로프로폭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 벤조니트릴;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m-톨릴)-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플루오로페닐)-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페놀;
    (E)-4-(6-(2-((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1-메틸-1H-인돌-3-일)메틸렌)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4-(9-(4-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3-클로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3-메톡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4-(9-(3-싸이클로프로폭시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4-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6-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4-메틸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5-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6-(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니코티노니트릴;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3-메틸이소티아졸-5-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5-플루오로피리딘-2-일)-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2-메톡시피리딘-4-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2-메틸피리딘-3-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9-(2,4-디메틸티아졸-5-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1,5-디메틸-1H-피라졸-3-일)-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4-(8-메틸-9-페닐-6-(3-(m-톨릴)-1H-피라졸-1-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미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페닐에탄-1-온;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2-일)에탄-1-온;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3-일)에탄-1-온;
    (E)-2-(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1-(피리딘-4-일)에탄-1-온;
    (E)-4-(9-(3-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4-메톡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플루오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9-(3-클로로페닐)-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H-퓨린-2-일)모르폴린;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피리딘-2-일)-9H-퓨린-2-일)모르폴린;
    (E)-4-(8-메틸-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9-페닐-9H-퓨린-2-일)모르폴린;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2-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4-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9H-퓨린-6-아민;
    (E)-9-((3-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3-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9-((4-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피리딘-4-일메틸렌)아미노)-9H-퓨린-6-아민;
    (E)-9-((4-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N-(6-(1H-이미다졸-1-일)-2-모르폴리노-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N-(2-모르폴리노-6-(1H-피라졸-1-일)-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N-(4-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페닐-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p-톨릴)-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1-메틸피페리딘-4-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N-(3-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3-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4-클로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메톡시페닐)-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1,5-디메틸-1H-피라졸-3-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모르폴리노-6-(피리딘-2-일옥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N-(m-톨릴)-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3-일)-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5-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클로로피리딘-4-일)-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N-(2-메틸피리딘-3-일)-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E)-N-이소프로필-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N-(2-모르폴리노-6-(피리딘-4-일록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3-메틸-N-(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이소옥사졸-5-아민;
    (E)-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2-일)-9H-퓨린-아민;
    (E)-2-모르폴리노-9-((피리딘-3-일메틸렌)아미노)-N-(피리딘-4-일)-9H-퓨린-아민;
    (E)-N-(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일)옥사졸-5-아민;
    (E)-N,N-다이메틸-3-(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모르폴리노-9H-퓨린-9-일)아닐린;
    N 9-(3-메틸벤질)-2-모르폴리노-N 6-(피리딘-4-일)-9H-퓨린-6,9-디아민;
    4-(9-페닐-6-(피리딘-4-일록시)-9H-퓨린-2-일)모르폴린;
    (E)-N-(4-메톡시페닐)-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9H-퓨린-6-아민;
    (E)-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페닐-9H-퓨린-6-아민;
    (E)-8-메틸-9-((3-메틸벤질리덴)아미노)-2-모르폴리노-N-(피리딘-4-일)-9H-퓨린-6-아민;
    (E)-N-8-메틸-2-모르폴리노-(6-(2-피리딘-2-일)에톡시)-9H-퓨린-9-일-1-(m-톨릴)메탄이민;
    (E)-4-(8-(1-메틸-1H-피라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8-(3-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4-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8-(4-메톡시페닐)-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페닐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8-(피리딘-3-일)퀴나졸린-2-일)모르폴린;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피리딘-3-일)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및
    (E)-4-(4-(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7-페닐피리도[2,3-d]피리미딘-2-일)모르폴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s, LSDs)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PIKfyve 억제제.
PCT/KR2023/009985 2022-07-13 2023-07-12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40148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86439 2022-07-13
KR10-2022-0086439 2022-07-13
KR10-2022-0093941 2022-07-28
KR20220093941 2022-07-28
KR1020220167002A KR20240009324A (ko) 2022-07-13 2022-12-02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022-0167002 2022-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885A1 true WO2024014885A1 (ko) 2024-01-18

Family

ID=8953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985 WO2024014885A1 (ko) 2022-07-13 2023-07-12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1488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3978A1 (en) * 2007-08-17 2009-02-26 Oncalis Ag Pyrazolo [3,4 -d] pyrim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protein kinase
CN110256436A (zh) * 2019-06-27 2019-09-20 南京雷正医药科技有限公司 作为Trk激酶抑制剂的嘌呤类化合物
WO2021146192A1 (en) * 2020-01-13 2021-07-22 Verge Analytics, Inc. Substituted pyrazolo-pyrimidine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3978A1 (en) * 2007-08-17 2009-02-26 Oncalis Ag Pyrazolo [3,4 -d] pyrim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protein kinase
CN110256436A (zh) * 2019-06-27 2019-09-20 南京雷正医药科技有限公司 作为Trk激酶抑制剂的嘌呤类化合物
WO2021146192A1 (en) * 2020-01-13 2021-07-22 Verge Analytics, Inc. Substituted pyrazolo-pyrimidines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NK, W ET AL.: "Chemical Interrogation of FOXO3a Nuclear Translocation Identifies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s of Phosphoinositide 3-Kinase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4, no. 41, 2009, pages 28392 - 28400, XP002620422, DOI: 10.1074/JBC.M109.038984 *
MA, J. -G. ET AL.: "PH 006, a novel and selective Src kinase inhibitor, suppresses human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in vitro and in vivo",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 130, no. 1, 2011, pages 85 - 96, XP019958066, DOI: 10.1007/s10549-010-13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70685C1 (en) Novel compounds as autotaxin inhibitor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WO2020190119A1 (ko) 헤테로아릴 유도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0149723A1 (ko)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25407A1 (ko) 옥소-피리딘 융합고리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EP2760865A2 (en) Novel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their uses
WO2021145521A1 (ko) 피리도[3,4-d]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71499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피리도[3,4-d]피리미딘-8-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25803A1 (ko)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3282702A1 (ko) Shp2 억제제 및 이의 용도
WO2020235902A1 (ko) 헤테로고리 융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0149715A1 (ko)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및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이의 용도
WO2018008920A1 (ko) 항종양 효과를 갖는 이미다조옥사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0149553A1 (ko)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45520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7-아미노-3,4-디히드로피리미도피리미딘-2-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07919A1 (ko) N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177302A1 (ko) Dna-pk 억제 활성을 갖는 피리미딘-융합 고리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2131741A1 (ko) 아이소옥사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7135589A9 (ko)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4014885A1 (ko) 신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0185044A1 (ko)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140629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2, 7-치환된 피롤로[2,1-f][1,2,4]트라아진 화합물
WO2022270994A1 (ko) 유비퀴틴 프로테오좀 경로를 통해 비티케이 분해작용을 가지는 신규한 이작용성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과 이의 용도
WO2020106059A1 (ko) Irak4 저해제로서 신규의 삼중고리 화합물
WO2022235091A1 (ko) 신규한 헤테로사이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2270976A1 (ko) Ron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피리딘 유도체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99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