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25803A1 -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25803A1
WO2021125803A1 PCT/KR2020/018478 KR2020018478W WO2021125803A1 WO 2021125803 A1 WO2021125803 A1 WO 2021125803A1 KR 2020018478 W KR2020018478 W KR 2020018478W WO 2021125803 A1 WO2021125803 A1 WO 20211258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mino
compound
phenyl
chloro
pyrim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4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필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BR11202201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22011834A2/pt
Priority to US17/785,782 priority patent/US20240270698A2/en
Priority to CA3161667A priority patent/CA3161667A1/en
Priority to AU2020406824A priority patent/AU2020406824A1/en
Priority to CN202411012417.XA priority patent/CN118976029A/zh
Priority to JP2022536712A priority patent/JP7659560B2/ja
Priority to CN202080087166.5A priority patent/CN114829344B/zh
Priority to EP20901025.5A priority patent/EP4079726A4/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66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72704B1/ko
Publication of WO20211258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25803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8Two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4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09Six-membered rings
    • C07F9/6512Six-membered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36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with or without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39Five-membered rings
    • C07F9/6541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carbocyclic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8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8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 C07F9/6558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each of the hetero rings containing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8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 C07F9/65586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at least one of the hetero rings does not contain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systems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with or without other non-condensed hetero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pyrimid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novel pyrimidine derivatives having MLK3 inhibitory activity and LRRK2 inhibitory activity, and cancer, viral infection diseases, Parkinson's disease,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ntaining the same. And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berculosis.
  • Protein kinase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transfer of the terminal phosphate group of adenosine triphosphate (ATP) to specific residues (tyrosine, serine, threonine) of a protein. involved in regulating signals.
  • ATP adenosine triphosphate
  • protein kinases are classified into serine and/or threonine kinase groups and tyrosine kinase groups according to the substrate they phosphorylate (Hanks, S. K. et al., FASEB J., 9(8), 576-596, 1995).
  • the serine/threonine kinase group is a protein kinase C isoform (Newton, AC, J Biol Chem., 270(48), 28495-28498, 1995), a cyclin-dependent kinase group and cdc2 (Pines, J., Trends). Biochem Sci., 18(6), 197, 1993).
  • the tyrosine kinase group is a membrane-spanning growth factor receptor includ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washita, S. et al., Cell Signal., 4(2), 123-132, 1992) and p56tck, p59fYn, ZAP -70, a cytoplasmic non-receptor kinase, and a C-terminal Src kinase (Chan, AC et al., Annu Rev Immunol., 12, 555-592, 1994).
  •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washita, S. et al., Cell Signal., 4(2), 123-132, 1992
  • p56tck p59fYn
  • ZAP -70 a cytoplasmic non-receptor kinase
  • C-terminal Src kinase Choan, AC et al., Annu Rev Immunol., 12, 555-592, 1994.
  • Inappropriately high protein kinase activity is directly or indirectly associated with a number of diseases resulting from abnormal cellular functions. Failure of proper regulatory mechanisms of kinases, eg, involved in mutation, over-expression or inappropriate enzymatic activity; Or the disease may be caused by the production of an excess or deficiency of factors that participate in signaling upstream or downstream of a cytokine or kinase. Therefore, selective inhibition of kinase activity can be a beneficial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 MLK3 is one of the mixed lineage kinase (MLK) family, and can regulate MAP kinases (especially JNK),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cancer cells, using various signaling systems.
  • MLK mixed lineage kinase
  • LRRK2 leucin-rich repeat kinase-2
  • LRRK2 is a protein belonging to the leucin-rich repeat kinase family, and consists of 2527 amino acid sequences with high similarity between species, and is characteristically a GTP number in one protein. It has both GTPase and Serine-threonine kinase activity.
  • the expressed LRRK2 has been observed in various organs and tissues, including the brain, and at the cellular level, it is known to exist in the cytoplasm or cell membrane and the outer mitochondrial membrane. Currently, research on the exact in vivo function of LRRK2 is being actively conducted.
  • Korean Patent No. 10-0832602 discloses the MLK3 enzyme A novel polycyclic compound related to activity and its use were disclosed, and Korean Patent No.
  • 10-1876514 discloses a novel pyrimidine compound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Previous papers [Haidasz, EA et al., Org Lett., 19(7), 1854-1857, 2017] have disclosed the synthesis of diazafenoxazine and diazaphenothiazine derivatives.
  • the pyrimidine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mulas 1 and 2 and the MLK3 and LRRK2 inhibitory activity of the derivatives can treat cancer, viral infections, Parkinson's disea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uberculosis. .
  •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both MLK3 inhibitory activity and LRRK2 inhibitory activity in the course of researching a pyrimidine derivati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yrimidine derivative and its u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vel pyrimidine derivative having MLK3 inhibitory activity and LRRK2 inhibitory activity, and cancer, viral infection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non-cancer, including the sam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uberculos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uberculosi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1 to 10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1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ar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bi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 -C 12 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cycloaryl;
  • substituted aryl, heterocycloalkyl, cycloalkyl or heteroaryl is hydrogen; or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X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halogen, hydroxy, C1-C6 alkyl or C1-C6 alkoxy;
  • R 2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 1 -C 4 alkyl or acetyl;
  • R 3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ar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bi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bicycloaryl substituted with one kind of substituent;
  • substituted aryl, heterocycloalkyl, heteroaryl is hydrogen, halogen, cyano, aldehyde, CF 3 , SH, trifluoroketone, C 1 -C 6 alkyl, C 1 -C 6 alkoxy,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ar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aryl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 substituted cycloalkyl, heterocycloalkyl, aryl or heteroaryl is hydrogen, halogen, NH 2 , hydroxy, CF 3 , NO 2 , methanesulfonate, Boc(tert-butoxycarbonyl), methylketone, substitution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dehyde, C 1 -C 6 hydroxyalkyl, C 1 -C 6 alkyloxy, piperazine or C 1 -C 6 alkyl; d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2 to 9,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1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aryl;
  • substituted aryl is hydrogen, or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X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halogen, hydroxy, C 1 -C 6 alkyl or C 1 -C 6 alkoxy;
  • R 2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 1 -C 4 alkyl or acetyl;
  • R 4 is hydrogen, halogen, cyano, aldehyde, CF 3 , SH, trifluoroketone, C 1 -C 6 alkyl, C 1 -C 6 alkoxy,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cycloalk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ar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heteroaryl,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come,
  • Said substituted cycloalkyl, heterocycloalkyl, aryl or heteroaryl is hydrogen, halogen, NH 2 , hydroxy, CF 3 , NO 2 , methanesulfonate, Boc(tert-butoxycarbonyl), methylketone, aldehyde,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 1 -C 6 hydroxyalkyl, C 1 -C 6 alkyloxy, piperazine or C 1 -C 6 alkyl;
  • R 5 is substituted with hydrogen, halogen, C 1 -C 4 alkyl, C 1 -C 4 alkoxy, hydroxy, thio C 1 -C 4 alkyl, amin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0), an optical 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1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4 -C 12 aryl;
  • substituted aryl is hydrogen, or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X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halogen, hydroxy, C 1 -C 6 alkyl or C 1 -C 6 alkoxy;
  • R 2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 1 -C 4 alkyl or acetyl;
  • R 6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 1 -C 6 alkyl, halo C 1 -C 6 alkylketone, trifluoroketone, acetyl, Boc(tert-butoxycarbonyl);
  • R 7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 1 -C 6 alkyl, halogen, hydroxy;
  • n is an integer of 0 or 1;
  • n is an integer of 0, 1 or 2.
  • halogen refers to fluorine (F), chlorine (Cl), bromine (Br), and iodine (I).
  • alkyl refers to a single bond straight or branched hydrocarbon group. Examples include methyl, ethyl, propyl, n-butyl, isobutyl, tert-butyl, 1-methylpropyl and the like.
  • alkoxy refers to an oxygen group to which a single bond,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hydrocarbon is bound. Examples include methoxy, ethoxy, propoxy, n-butoxy, tert-butoxy, 1-methylpropoxy and the like.
  • cycloalkyl refers to a saturated hydrocarbon group of a single cyclic bond.
  • cyclopropyl, cyclobutyl, cyclopentyl, cyclohexyl, cycloheptyl, cyclooctyl, etc. are mentioned.
  • heterocycloalkyl or “heteroaryl” refers to a saturated hydrocarbon group of a ring-shaped single bond containing one or more heteroatoms such as N, O, or S, the number and type of heteroatoms included in the ring; and indazole, indole, tetrahydroisoquinoline, quinoline, isoquinoline, pyrrolidinyl, piperidinyl, piperazinyl, morpholinyl, tetrahydrofuranyl, tetrahydropyranyl, pyrrolyl, furanyl, depending o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pyridinyl, pyrimidinyl, and pyran.
  • aryl refers to an aromatic substituent having at least one ring having a shared pi electron system, for example, phenyl, benzyl, or the like.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ne or more asymmetric carbon atoms and may exist in racemic and optically active forms. All such compounds and diastereomer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means a salt or complex of Formulas 1 to 10 having desirable biological activity.
  • examples of such sal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cid addition salts formed with inorganic acids (eg,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uric acid, phosphoric acid, nitric acid, etc.), and acet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ascorbic acid, and the like.
  • benzoic acid tannic acid, pamoic acid, alginic acid, polyglutamic acid, naphthalene sulfonic acid, naphthalene disulfonic acid, and salts formed with organic acids such as poly-galacturonic acid.
  • the compounds may also be administered a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quaternary sal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particular chloride, bromide, iodide, -O-alkyl, toluenesulfonate, methylsulfonate, sulfonate, phosphate, or carbohydrate.
  • Voxylates e.g., benzoates, succinates, acetates, glycorates, maleates, malates, fumarates, citrates, tartrates, ascorbates, cinnamoates, mandeloates and diphenylacetate.
  • the compounds of Formulas 1 to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salts, hydrates, solvates, and prodrugs that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as well a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 the acid addition sa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derivative of Formulas 1 to 10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dichloromethane, acetonitrile, etc. and adding an organic or inorganic acid. It can be prepared by filtration and drying the precipitate, or by distilling the solvent and excess aci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drying and crystallizing in an organic solvent.
  • an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dichloromethane, acetonitrile, etc.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tal salt may be prepared using a base.
  • the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is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undissolved compound salt, and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 it is pharmaceutically suitable to prepare a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as the metal salt.
  • the corresponding salt is also obtained by reacting an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with a suitable silver salt (eg silver nitrat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Parkinson's disease, viral infection disease, and tuberculosis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s 1 to 10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ndicated compounds have the activity of inhibiting both MLK3 and LRRK2.
  • the cancer is lung cancer, liver cancer, stomach cancer, colorectal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thyroid cancer, melanoma, blood cancer, colon cancer, non-small cell lung cancer, pancreatic cancer, skin cancer, head and neck cancer, small intestine Cancer, rectal cancer, endometrial cancer, vaginal cancer, testicular cancer, esophageal cancer, biliary tract cancer, lymph gland cancer, gallbladder cancer, endocrine adrenal cancer, adrenal cancer, lymphoma, multiple myeloma, thymoma, mesothelioma, kidney cancer, brain cancer, central nervous system tumor, brainstem glioma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tuitary adenoma,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viral infectious disease is ZIKA viru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luenza virus, 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avian influenza virus), rhinovirus, adenovirus, coronavirus, parainfluenza 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Herpesvirus (HSV), rotavirus ( rotavirus) and hepatitis virus, but may be a disease infected by one or more viru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HS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influenza virus 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avian influenza virus
  • rhinovirus adenovirus
  • coronavirus coronavirus
  • parainfluenza 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 Herpesvirus (HSV) Herpesvirus
  • rotavirus rotavirus
  • hepatitis virus but may be a disease infected by one or more viru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a suitable form together with a commonly use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normally cause allergic react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s when administered to humans.
  •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tc.,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rabic,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 paraoxybenzoate, propyl para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crose or lactose, to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pared by mixing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hypromellose,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the base of the suppository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l, gelatin, etc. may be used.
  • the pyrimidine derivative compound of Formulas 1 to 10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sterilized or an adjuvant such as a preservative, a stabilizer, a wett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a salt or a buffer for osmotic control. ,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mixed with water to prepare solutions or suspensions, which may be prepared in ampoules or vial unit dosage form.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s of Formulas 1 to 10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mice, livestock, and humans by various routes.
  • any mode of administration can be envisag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weight, specific disease or pathology to be treat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or pathology,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xcretion rate of the drug, the type of other drugs used, and the prescriber's It will depend on judgment, etc. Dosage determination based on these factors is within the level of the skilled artisan, and dosages generally range from 0.01 mg/kg/day to approximately 2000 mg/kg/day. A more preferred dosage is 1 mg/kg/day to 500 mg/kg/day.
  •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viral infection disease, Parkinson's disea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uberculosis, or methods using surger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yrimidine derivative and its use, wherein the pyrimidine derivative has excellent MLK3 inhibitory activity and LRRK2 inhibitory activity, and thus a pharmaceutical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viral infection, Parkinson's disea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uberculosis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 3,5-dichloroaniline (40 mg, 0.19 mmol) was dissolved in 0.08 M HCl (1 mL) mixed in ethoxyethanol, followed by pyrimidineamine, 2,5-dichloro-N-[2-[(1-methyl) Ethyl)sulfonyl]phenyl]pyrimidin-4-amine (30 mg, 0.087 mmol) was added and then heated at 80° C. overnight. The react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 solid precipitate was filtered off. The solid filtrate was washed with EtOH and dried to obtain compound 4 of the present invention (15 mg, 0.029 mmol, 33 %, beige solid).
  • 3,5-bis(trifluoromethyl)aniline (0.030 mL, 0.19 mmol) was dissolved in 0.08 M HCl (1 mL) mixed in ethoxyethanol, followed by pyrimidineamine, 2,5-dichloro-N-[2 -[(1-methylethyl)sulfonyl]phenyl]pyrimidin-4-amine (30 mg, 0.087 mmol) was added and then heated at 80 °C overnight.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adding water, and then extracted with DCM (2 ⁇ 25 mL).
  • the organic layer was dried by adding Na 2 SO 4 ,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vacuum, and the crude mixture was pur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using 100% MC as an elu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ound 5 (25 mg, 0.046 mmol, 53 %, white solid)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for compound 25 (42.0 mg, 0.103 mmol 55) as a yellow solid. %)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compound 27 (40.0 mg, 0.0901 mmol, 56%)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28 as a yellow solid (22.0 mg, 0.0463 mmol 28) %) was obtained.
  • reaction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Celite filter and washed with MeOH,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MPLC 5% MeOH in MC to give compound 29 (9.4 mg, 12%) as a light green solid. .
  • Compound 30 (((5-Chloropyrimidine-2,4-diyl)bis(azanediyl))bis(2,1-phenylene))bis(dimethylphosphine oxide)
  • reaction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Celite filter and washed with MeOH,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MPLC 5% MeOH in MC to give compound 31 (39.1 mg, 0.0708 mmol, 49%) as a yellow solid.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by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33 (17 mg, 0.039 mmol 24 %) Obtained as a yellow soli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by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35 (46.0 mg, 0.103 mmol 64%) Obtained as a yellow soli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by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36 (46.0 mg, 0.103 mmol 64%) Obtained as a yellow solid.
  • reaction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Celite filter and washed with MeOH,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MPLC 80 % EA (in hex) to give compound 38 (52.4 mg, 0.121 mmol, 74 %) as a white color. obtained as a solid.
  • reaction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Celite filter and washed with MeOH,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MPLC 5% MeOH in MC to give compound 53 (14.8 mg, 0.0262 mmol, 16%) as a yellow-green solid.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74 (26.0 mg, 0.0628 mmol 40) as a white solid. %)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75 as a brown solid (31.0 mg, 0.0645 mmol 40 %)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76 as a yellow solid (16.0 mg, 0.0359 mmol 22) %)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and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on MPLC using 5%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77 as a yellow solid (16.0 mg, 0.0359 mmol, 22%) was obtained.
  • reaction mass was filtered over a bed of celite, washed with EA, the solvent was evaporated in vacuo and the residue purified on MPLC using 10% MeOH:MC as solvent mixture to give compound 80 as a yellow solid (16.0 mg, 0.0350 mmol 43 %) was obtained.
  • MLK3 / LRRK2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cancer activity in HepG2 / HS746T cancer cells were confirmed using the compounds 1 to 119 of the present invention synthesized in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MLK3 and LRRK2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evaluated in eurofins. Briefly, human recombinant MLK3 protein was mixed with the compound in a reaction solution (8 mM MOPS (pH 7.0), 0.2 mM EDTA, 0.33 mg/mL myelin basic protein, 5 mM DTT), followed by 10 mM Magnesium acetate and gamma-33P. -Add the ATP mixture and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120 minutes.
  •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the addition of 0.5% phosphoric acid, and 10 uL of the entire mixture was spotted on a P30 filtermat, washed with 0.425% phosphoric acid for 4 minutes for 4 minutes, washed once with methanol, and then using scintillation counting.
  • the activity value of MLK3 was measured and evaluated as a %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LRRK2 activity human recombinant LRRK2 protein was mixed with a reaction solution (50 mM HEPES (pH 8.0), 0.2 mM EDTA, 0.01 % Brij-35, 1 % (w/v) BSA, 5 mM DTT, 250 uM substrate peptide RLGRDKYKTLRQIRQ). ), add a mixture of 10 mM Magnesium acetate and gamma-33P-ATP, and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40 minutes.
  • a reaction solution 50 mM HEPES (pH 8.0), 0.2 mM EDTA, 0.01 % Brij-35, 1 % (w/v) BSA, 5 mM DTT, 250 uM substrate peptide RLGRDKYKTLRQIRQ).
  •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the addition of 0.5% phosphoric acid, and 10 uL of the entire mixture was spotted on a P30 filtermat, washed with 0.425% phosphoric acid for 4 minutes for 4 minutes, washed once with methanol, and then using scintillation counting. By measuring the activity value of LRRK2, it was evaluated as a %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anticancer activity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way. HepG2 and HS746T cancer cells were cul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provided by the Korea Cell Line Bank, and 4,000 cells per well were spread in a 96-well plate using 100 uL of cell culture solution, treated with the compound 24 hours later, and CCK after 72 hours. Cell survival was evaluated as a %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using -8.
  • the pyrimidin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simultaneous inhibitory activity of MLK3 and LRRK2 at a concentration of 0.001 to 1 ⁇ M, and exhibited excellent anticancer activity in HepG2 / HS746T cancer cell experiments.
  •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viral infection disease, Parkinson's disea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uberculosis, which are diseases related to MLK3 and LRRK2 inhibitory activity.
  • Compoun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5-chloro-N-(2-(isopropylsulfonyl)phenyl)-2-(1H-pyrazol-4-yl)pyrimidin-4-amine) 100 mg, microcrystalline cellulose 100 mg, After mixing 60 mg of lactose hydrate, 20 mg of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and 2 mg of magnesium stearate,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ablet preparation method.
  • Compound 47 of the present invention (2-((5-chloro-2-((1,2,3,4-tetrahydroisoquinolin-7-yl)amin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oxide
  • microcrystalline cellulose 100 mg lactose hydrate 60 mg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apsule preparation method and filled in a gelatin capsule.
  • a capsule was prepared.
  • Compound 47 of the present invention (2-((5-chloro-2-((1,2,3,4-tetrahydroisoquinolin-7-yl)amin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 100 mg of pills wer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Compound 47 of the present invention (2-((5-chloro-2-((1,2,3,4-tetrahydroisoquinolin-7-yl)amin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After mixing 10 mg of oxide, an appropriate amount of sterile distilled water for injection,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a pH adjuster, the content of the above components per 1 ampoule (2 ml)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injection preparation meth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i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리미딘 유도체는 MLK3 저해 활성 및 LRRK2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암, 바이러스 감염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MLK3 저해 활성 및 LRRK2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키나제는 아데노신삼인산(ATP)의 말단 인산기를 단백질의 특정 잔기(타이로신, 세린, 트레오닌)에 전이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세포외 매개체 및 환경의 변화에 대한 세포의 활성, 성장 및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에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키나제는 인산화하는 기질에 따라 세린 및/또는 트레오닌 키나제 그룹과 티로신 키나제 그룹으로 분류된다(Hanks, S. K. et al., FASEB J., 9(8), 576-596, 1995).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그룹은 단백질 키나제 C 이소폼(isoform)(Newton, A. C., J Biol Chem., 270(48), 28495-28498, 1995), 사이클린-의존 키나제 그룹 및 cdc2(Pines, J., Trends Biochem Sci., 18(6), 197, 1993)를 포함한다. 티로신 키나제 그룹은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를 포함하는 막-스패닝(spanning) 성장인자 수용체(Iwashita, S. et al., Cell Signal., 4(2), 123-132, 1992)와 p56tck, p59fYn, ZAP-70를 포함하는 세포질 비-수용체 키나제, 그리고 C-말단 Src 키나제(Chan, A. C. et al., Annu Rev Immunol., 12, 555-592, 1994)로 나뉜다.
부적절하게 높은 단백질 키나제 활성은 비정상 세포 작용으로부터 기인하는 다수의 질병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예를 들면, 돌연변이, 과잉-발현 또는 부적절한 효소 활성에 관련된 키나제의 적절한 조절 메카니즘의 실패; 또는 사이토카인 또는 키나제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의 신호 전달에 참여하는 인자들의 과잉 또는 결핍 생성에 의해 질병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키나제 활성의 선택적인 억제는 질병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의 유익한 표적이 될 수 있다.
MLK3는 mixed lineage kinase(MLK) family중 하나로, 암세포의 증식 및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AP kinases(특히, JNK)를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를 활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최근 MLK3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개발을 통해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등의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하는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Chadee, D. N., Can J Physiol Pharmacol., 91(4), 268-274, 2013; Rattanasinchai, C. et al., Cancers (Basel)., 8(5), 51, 2016; Xu, H. et al., J Virol., 93(18), e00758-19, 2019; Saminathan, P. et al., J Neuroimmune Pharmacol., 14(1), 44-51, 2019; Goodfellow, V. S. et al., J Med Chem., 56(20), 8032-8048, 2013; Jiang, J. X. et al., Liver Int., 34(8), 1131-1132, 2014; Tomita, K. et al., JCI Insight., 2(15), 94488, 2017; Ibrahim, S. H. et al., Liver Int., 34(3), 427-437, 2014; Parkinson Study Group PRECEPT Investigators, Neurology, 69(15), 1480-1490, 2007; Kline, E. M. et al., Exp Neurol., 318, 157-164, 2019).
LRRK2(leucin-rich repeat kinase-2)는 류신 풍부 반복 키나제 집단(leucin-rich repeat kinase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이며, 종간 유사성이 높은 2527개의 아미노산 배열로 구성되어 있고, 특징적으로 하나의 단백질 안에 GTP가수분해효소(GTPase)와 세린-트레오닌 키나제(Serine-threonine kinase)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발현된 LRRK2는 뇌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과 조직에서 관찰되고 있으며, 세포수준에서는 세포질 또는 세포막 및 미토콘드리아 외막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LRRK2의 정확한 생체 내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기능상 중요한 5개의 도메인(domain)을 가지고 있어, 자가인산화작용(Autophosphorylation)에 의해 자가활성조절작용과 단백질 상호작용 및 효소작용을 통한 세포기능 조절작용이 예상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샤페론기전(chaperone machinery), 세포골격 배열(cytoskelecton arrangement), 단백질번역기전(protein translational machinery), 시냅스소포 세포내유입(synaptic vesicle endocytosis), 미토젠활성화단백질키나제 신호전달과정(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ignaling cascades), 유비퀴틴/오토파지단백질 분해과정(ubiquitin/autophage protein degradation pathways)이 LRRK2에 의해 조절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RRK2의 효소 활성과 관련하여 다수의 선행논문(Liu, Z. et al., Biochim Biophys Acta Proteins Proteom., 1865(3), 274-280, 2017; Herbst, S. et al., ACS Infect Dis., 5(6), 809-815, 2019; Hartlova, A. et al., EMBO J., 37(12), e98694, 2018)이 보고된 바 있다.
한편, 피리미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바이러스 감염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 관련된 종래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32602호에는 MLK3 효소의 활성과 관련된 신규 다중고리 화합물 및 그의 용도에 대해 개시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876514호에는 신규한 피리미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였고, 선행논문 [Haidasz, E. A. et al., Org Lett., 19(7), 1854-1857, 2017]에는 디아자페녹사진 및 디아자페노티아진 유도체의 합성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 화학식 1 및 2와 같은 피리미딘 유도체 및 상기 유도체의 MLK3 및 LRRK2 저해 활성과 이로부터 암, 바이러스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에 치료 가능함을 언급한 이전 보고는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피리미딘 유도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MLK3 저해 활성과 LRRK2에 대한 저해 활성을 모두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 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MLK3 저해 활성 및 LRRK2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 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비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수소,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2
또는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X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2는 수소, C 1-C 4 알킬 또는 아세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비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비시클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알데히드, CF 3, SH, 트리플루오로케톤, C 1-C 6 알킬, C 1-C 6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수소, 할로겐, NH 2, 히드록시, CF 3, NO 2, 메탄설포네이트, Boc(tert-부톡시카보닐), 메틸케톤, 알데히드, C 1-C 6 히드록시알킬, C 1-C 6 알킬옥시, 피페라진 또는 C 1-C 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4
[화학식 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5
[화학식 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6
[화학식 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7
[화학식 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8
[화학식 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09
[화학식 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0
[화학식 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1
상기 화학식에서,
R 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은 수소,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2
또는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X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 1-C 6 알킬 또는 C 1-C 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2는 수소, C 1-C 4 알킬 또는 아세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4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알데히드, CF 3, SH, 트리플루오로케톤, C 1-C 6 알킬, C 1-C 6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된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수소, 할로겐, NH 2, 히드록시, CF 3, NO 2, 메탄설포네이트, Boc(tert-부톡시카보닐), 메틸케톤, 알데히드, C 1-C 6 히드록시알킬, C 1-C 6 알킬옥시, 피페라진 또는 C 1-C 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5는 수소, 할로겐, C 1-C 4 알킬, C 1-C 4 알콕시, 히드록시, 티오 C 1-C 4 알킬, 아미노로 치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4
상기 화학식 10에서,
R 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은 수소,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5
또는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6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X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 1-C 6 알킬 또는 C 1-C 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2는 수소, C 1-C 4 알킬 또는 아세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6는 수소, C 1-C 6 알킬, 할로 C 1-C 6 알킬케톤, 트리플루오케톤, 아세틸, Boc(tert-부톡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7은 수소, C 1-C 6 알킬, 할로겐, 히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m은 0, 1 또는 2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의 하기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하기 의미를 가진다. 정의되지 않은 임의의 용어는 당해 분야에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상기 용어 "할로겐" 은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알킬" 은 단일결합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1-메틸프로필 등이 있다.
상기 용어 "알콕시" 는 단일결합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가 결합된 산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1-메틸프로폭시 등이 있다.
상기 용어 "시클로알킬" 은 고리모양의 단일결합의 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은 N, O, 또는 S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리모양의 단일결합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말하며, 고리에 포함된 헤테로원자의 수 및 종류, 및 탄소수에 따라 인다졸, 인돌,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퀴놀린, 이소퀴놀린,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폴린일,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롤일, 퓨란일, 피리딘일, 피리미딘일, 피란등이 있다.
상기 용어 "아릴" 은 공유 파이 전자계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링을 가지고 있는 방향족치환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페닐, 벤질 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함유 할 수 있고, 라세미 형태 및 광학적인 활성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화합물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바람직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화학식 1 내지 10의 염 또는 복합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염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산(예.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등)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 염, 및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호박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타닌산, 파모산, 알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나프탈렌 술폰산, 나프탈렌 디술폰산, 및 폴리-갈락투론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사차 염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특히,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O-알킬, 톨루엔술포네이트, 메틸술포네이트, 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예를 들어, 벤조에이트, 숙시네이트, 아세테이트, 글리코레이트, 말리에이트(maleate), 말레이트(malate), 푸마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시나모에이트, 만델로에이트 및 디페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내지 10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프로드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 내지 10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파킨슨병, 바이러스 감염 질환,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학식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MLK3 및 LRRK2를 모두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혈액암, 결장암, 비소세포성폐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소장암, 직장암, 자궁내막암, 질암, 고환암, 식도암, 담도암, 임파선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부신암,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흉선종, 중피종, 신장암, 뇌암, 중추신경계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 신종 인플루엔자A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포진 바이러스(Herpesvirus, HSV), 로타바이러스(rotavirus) 및 간염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라비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안정화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같은 활택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유동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 내지 10의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멸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과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학식 1 내지 10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시간, 투여경로, 약물의 흡수, 분포 및 배설률, 사용되는 다른 약물의 종류 및 처방자의 판단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리미딘 유도체는 MLK3 저해 활성 및 LRRK2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피리미딘 유도체 합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 확인>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119의 합성과정 및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 1. 5-클로로-N 2 -(3,5-디메톡시페닐)-N 4 -(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7
0.08 M 에톡시에탄올(1 ㎖)에 2,5-디클로로-N-[2-[(1-메틸에틸)설포닐]페닐]피리미딘-4-아민(30 ㎎, 0.087 mmol)을 더하고, 3,5-디메톡시아닐린(15 ㎎, 0.095 mmol)을 더한 혼합물을 80 ℃에서 밤새(overnight)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물을 더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DCM(2×25 ㎖)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층을 Na 2SO 4를 더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상기 조 반응물(crude mixture)을 EA:MC (1/4)를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본 발명 화합물 1 (15 ㎎, 0.032 mmol, 38 %, ivory solid)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9.64(s, 1H), 8.63(dd, J1=9.0 Hz, J2=0.0 Hz, 1H), 8.18(s, 1H), 7.93(dd, J1=7.5 Hz, J2=3.0 Hz, 1H), 7.66(t, J=7.5 Hz, 1H), 7.30(t, J=15 Hz, 1H), 6.96(s, 1H), 6.72(d, J=6.0 Hz, 1H), 6.24-6.20(m, 1H), 3.77(s, 6H), 3.32-3.19(m, 1H), 1.34(s, 3H), 1.32(s, 3H).
LC/MS (ESI) m/z 463.5 [M+H]+.
화합물 2. 5-클로로-N 2 -(3,5-디클로로페닐)-N 4 -(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8
에톡시에탄올에 혼합된 0.08 M HCl(1 ㎖)에 3,5-디클로로아닐린(15 ㎎, 0.095 mmol)을 용해하고 피리미딘아민, 2,5-디클로로-N-[2-[(1-메틸에틸)설포닐]페닐]피리미딘-4-아민(30 ㎎, 0.087 mmol)를 더한 다음, 80 ℃에서 밤새(overnight)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물을 더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DCM(2×25 ㎖)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층을 Na 2SO 4를 더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상기 조 반응물(crude mixture)을 EA:MC (1/4)를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본 발명 화합물 2 (14 ㎎, 0.030 mmol, 34 %, light pink solid)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9.65(s, 1H), 8.47(dd, J1=9.0 Hz, J2=0.0 Hz, 1H), 8.20(s, 1H), 7.96(dd, J1=9.0 Hz, J2 =0.0 Hz, 1H), 7.76(t, J=15 Hz, 1H), 7.51(d, J= 1.8 Hz, 1H) 7.32(t, J=18 Hz, 1H), 7.06(s, 1H), 7.05-7.00(m, 1H), 3.32-3.20(m, 1H), 1.35(s, 3H), 1.32(s, 3H).
LC/MS (ESI) m/z 471.3 [M+H]+.
화합물 3. 5-클로로-N 2 -(3,5-디메틸페닐)-N 4 -(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 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19
0.08M 에톡시에탄올(1 ㎖)에 피리미딘아민, 2,5-디클로로-N-[2-[(1-메틸에틸)설포닐]페닐]피리미딘-4-아민(30 ㎎, 0.087 mmol)을 더하고, 3,5-디메틸아닐린(0.022 ㎖, 0.17 mmol)을 더한 혼합물을 80 ℃에서 밤새(overnight)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물을 더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DCM(2×25 ㎖)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층을 Na 2SO 4를 더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상기 조 반응물(crude mixture)을 EA:MC (1/4)를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본 발명 화합물 3 (17 ㎎, 0.039 mmol, 45 %, beige solid)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69(s, 1H), 10.58(s, 1H), 8.45(dd, J1=9.0 Hz, J2=0.9 Hz,1H), 8.00(dd, J1=9.0 Hz, J2=9.3 Hz, 1H), 7.95(s, 1H), 7.61(t, J=15 Hz, 1H), 7.46(t, J=15 Hz, 1H), 7.17-7.13(m, 2H), 6.90(s, 1H), 3.30-3.17(m, 1H), 2.29(s, 6H), 1.36(s, 3H), 1.34(s, 3H).
LC/MS (ESI) m/z 346.3 [M+H]+.
화합물 4. N 2 -(4-브로모-3,5-디플루오로페닐)-5-클로로-N 4 -(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0
에톡시에탄올에 혼합된 0.08 M HCl(1 ㎖)에 3,5-디클로로아닐린(40 ㎎, 0.19 mmol)을 용해하고 피리미딘아민,2,5-디클로로-N-[2-[(1-메틸에틸)설포닐]페닐]피리미딘-4-아민(30 ㎎, 0.087 mmol)를 더한 다음, 80 ℃에서 밤새(overnight)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고체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고체 여과물을 EtOH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본 발명 화합물 4 (15 ㎎, 0.029 mmol, 33 %, beige solid)를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0.09(s, 1H), 9.44(s, 1H), 8.40(s, 1H), 8.39-8.33(m, 1H), 7.90(dd, J1=14 Hz, J2=8.4 Hz, 1H), 7.82(t, J=15 Hz, 1H), 7.58-7.45(m, 3H), 3.53-3.41(m, 1H), 1.16(s, 3H), 1.14(s, 3H).
LC/MS (ESI) m/z 516.8 [M+H]+.
화합물 5. N 2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클로로-N 4 -(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1
에톡시에탄올에 혼합된 0.08 M HCl(1 ㎖)에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0.030 ㎖, 0.19 mmol)을 용해하고 피리미딘아민, 2,5-디클로로-N-[2-[(1-메틸에틸)설포닐]페닐]피리미딘-4-아민(30 ㎎, 0.087 mmol)를 더한 다음, 80 ℃에서 밤새(overnight)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물을 더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DCM(2×25 ㎖)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층을 Na 2SO 4를 더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상기 조 반응물(crude mixture)을 MC 100 %를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본 발명 화합물 5 (25 ㎎, 0.046 mmol, 53 %, white solid)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9.63(s, 1H), 8.36(d, J=8.4 Hz, 1H), 8.252(s, 1H), 8.05(m, 2H), 7.97(dd, J1=9.0 Hz, J2=1.8 Hz, 1H), 7.64(t, J= 15 Hz, 1H), 7.512(s, 1H), 7.33 (t, J=16 Hz, 1H), 7.246(s, 1H), 3.32-3.21(m, 1H), 1.34(s, 3H), 1.32(s, 3H).
LC/MS (ESI) m/z 538.9 [M+H]+.
화합물 6. 5-클로로-N 2 -(3,5-디플루오로페닐)-N 4 -(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2
에톡시에탄올에 혼합된 0.08 M HCl(1 ㎖)에 3,5-디플루오로아닐린(25 ㎎, 0.19 mmol)을 용해하고 피리미딘아민, 2,5-디클로로-N-[2-[(1-메틸에틸)설포닐]페닐]피리미딘-4-아민(30 ㎎, 0.087 mmol)을 더한 다음, 80 ℃에서 밤새(overnight)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고체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고체 여과물을 EtOH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본 발명 화합물 6 (32 ㎎, 0.073 mmol, 84 %, light pink solid)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9.64(s, 1H), 8.49(dd, J1=9.0 Hz, J2=0.9 Hz, 1H), 8.209(s, 1H), 7.95(dd, J1=9.0 Hz, J2=1.5 Hz, 1H), 7.73(t, J=15 Hz, 1H), 7.33(t, J= 18 Hz, 1H), 7.24-7.13 (m, 1H), 7.09(s, 1H), 6.50(t, J=14 Hz, 1H), 3.31-3.20(m, 1H), 1.35(s, 3H), 1.32(s, 3H).
LC/MS (ESI) m/z 438.9 [M+H]+.
화합물 7. (2-((5-클로로-2-((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3
IPA (0.6 mL) 중의 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아민 (39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 (43 mg, 0.089 mmol, 56%)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483.7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90 (s, 1H), 8.64 (dd, J = 9.0, 3.0 Hz, 1H), 8.11 (s, 1H), 7.58 (dd, J = 9.0, 3.0 Hz, 1H), 7.46 (t, J = 9.0 Hz, 1H), 7.33-7.26 (m, 2H), 7.20-7.09 (m, 2H), 1.87 (s, 3H), 1.83 (s, 3H), 1.70 (s, 4H), 1.30 (s, 6H), 1.26 (s, 6H)
화합물 8. (2-((5-클로로-2-(퀴놀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4
IPA (0.6 mL) 중의 1H-인돌-5-아민 (25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 (9.5 mg, 0.022 mmol, 14 %)를 고체로 얻었다.
LC/MS (ESI) m/z 424.5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1.12 (s, 1H), 8.96 (dd, J = 6.0, 4.0 Hz, 1H), 8.47-8.38 (m, 1H), 8.15-8.06 (m, 2H), 8.04 (d, J = 9.0 Hz, 1H), 7.89-7.83 (m, 1H), 7.79-7.71 (m, 1H), 7.51 (bs, 1H), 7.43 (dd, J = 9.0, 3.0 Hz, 1H), 7.24-7.14 (m, 1H), 7.07-6.95 (m, 2H), 1.84 (s, 3H), 1.79 (s, 3H)
화합물 9. (2-((2-(5-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5
IPA (0.6 mL) 중의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아민 (28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 (14 mg, 0.033 mmol, 21 %)을 고체로 얻었다.
LC/MS (ESI) m/z 428.6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79 (s, 1H), 8.77-8.62 (m, 1H), 8.08 (s, 1H), 7.57 (t, J = 6.0 Hz, 1H), 7.35-7.26 (m, 1H), 7.17-7.09 (m, 1H), 7.05 (t, J = 9.0 Hz, 1H), 6.67 (d, J = 9.0 Hz, 1H), 6.60 (d, J = 6.0 Hz, 1H), 4.88 (s, 2H), 4.11 (t, J = 6.0 Hz, 2H), 3.78-3.52 (m, 2H), 2.68 (t, J = 6 Hz, 2H), 1.88 (s, 3H), 1.83 (s, 3H)
화합물 10. (2-((5-클로로-2-((2-메틸피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6
DMF (0.5 mL) 중의 2-메틸 피리딘-4-아민 (26 mg, 0.24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2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2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 2O에 붓고 EA (2×25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층을 Na 2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을 얻었다.
LC/MS (ESI) m/z 325.4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81 (s, 1H), 8.82-8.75 (m, 1H), 8.05 (s, 1H), 7.54-7.46 (m, 1H), 7.33-7.24 (m, 1H), 7.13-7.05 (m, 1H), 1.87 (s, 3H), 1.83 (s, 3H)
화합물 11. (2-((2-(벤조[d]티아졸-6-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7
DMF (0.5 mL)에 녹인 6-아미노벤조티아졸 (36 mg, 0.24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PTSA (46 mg, 0.2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8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 2O에 붓고 EA (2×25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층을 Na 2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MC: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 (26 mg, 0.060 mmol, 38 %)를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430.4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97 (s, 1H), 8.89 (s, 1H), 8.62-8.54 (m, 2H), 8.17 (s, 1H), 8.05 (d, J = 8.7 Hz, 1H), 7.57-7.49 (m, 1H), 7.41(dd, J = 8.7, 2.1 Hz, 1H), 7.38-7.29 (m, 2H), 7.23-7.15 (m, 1H), 1.90 (s, 3H), 1.85 (s, 3H)
화합물 12. (2-((5-클로로-2-((4-플루오로벤질)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8
DMSO (0.5 mL)에 녹인 (4-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 (0.28 mL,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9.1 mg, 0.0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3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물로 퀜칭한 다음 EtOAc (2×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Mg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를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405.4 [M + H]+, 407.4 [M + H]+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0.87 (s, 1H), 8.55 - 8.42 (m, 1H), 8.03 (s, 1H), 7.41 - 7.30 (m, 3H), 7.28 - 7.21 (m, 1H), 7.11 - 6.98 (m, 3H), 5.39 - 5.33 (m, 1H), 4.58 (d, J = 6.0 Hz, 2H), 1.86 (s, 3H), 1.82 (s, 3H).
화합물 13. (2-((5-클로로-2-(시클로펜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29
DMSO (0.5 mL)에 녹인 시클로펜틸아민 (0.019 mL,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9.1 mg, 0.0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3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물로 퀜칭한 다음 EtOAc (2×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 2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혼합물을 DCM: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 (45 mg, 0.12 mmol, 78 %)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M + H]+, [M + H]+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0.83 (s, 1H), 8.86 - 8.58 (m, 1H), 8.00 (s, 1H), 7.51 (td, J = 8.7, 7.2 Hz, 1H), 7.33 - 7.22 (m, 1H), 7.10 (tdd, J = 7.4, 2.4, 1.1 Hz, 1H), 4.94 (d, J = 7.1 Hz, 1H), 4.22 (h, J = 6.5 Hz, 1H), 2.13 - 1.98 (m, 2H), 1.80 - 1.59 (m, 4H), 1.58 - 1.45 (m, 2H).
화합물 14. (2-((2-(벤질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0
DMSO (0.4 mL)에 녹인 벤질아민 (0.021 mL,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9.1 mg, 0.0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3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물로 퀜칭한 다음 EtOAc (2×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 2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혼합물을 DCM:MeOH (9.5/0.5)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아색 고체로서 화합물 14 (27 mg, 0.070 mmol, 44 %)를 얻었다.
LC/MS (ESI) m/z [M + H]+, [M + H]+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0.85 (s, 1H), 8.47 (s, 1H), 8.02 (s, 1H), 7.37 (d, J = 4.4 Hz, 4H), 7.36 - 7.18 (m, 3H), 7.07 (tdd, 1H), 5.40 (s, 1H), 4.62 (d, J = 5.9 Hz, 2H), 1.86 (s, 3H), 1.81 (s, 3H).
화합물 15. (2-((5-클로로-2-(피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1
DMSO (0.3 mL)에 녹인 4-아미노피리딘 (18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9.1 mg, 0.0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3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물로 퀜칭한 다음 EtOAc (2×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 2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혼합물을 DCM:MeOH (9.5/0.5)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아색 고체로서 화합물 15 (4.7 mg, 0.013 mmol, 7.8%)를 얻었다.
LC/MS (ESI) m/z [M + H]+, [M + H]+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57 (s, 1H), 8.69 (dd, J = 8.6, 4.4 Hz, 1H), 8.25 (s, 1H), 7.62 (t, J = 8.0 Hz, 1H), 7.28 (s, 4H), 7.21 (dt, J = 8.5, 4.2 Hz, 1H), 1.89 (s, 3H), 1.85 (s, 3H).
화합물 16. (2-((5-클로로-2-(시클로헥실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2
IPA (1 mL) 중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1 mg, 0.16 mmol)의 용액에 시클로헥실아민 (0.66 ml, 0.57 mmol)을 넣은 다음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9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A:Hex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세분화하여 화합물 16 (46 mg, 0.12 mmol, 76 %)를 흰색 고체로 얻었다.
LC/MS (ESI) m/z 379.5 [M + H]+, [M-H]-
1H NMR (300 MHz, CDCl3) δ 11.09 (s, 1H), 8.73 (s, 1H), 7.99 (s, 1H), 7.69-7.47 (m, 2H), 7.16-7.10 (m, 1H), 7.00 (s, 1H), 3.58 (s, 1H), 2.51 (p, J = 3.9, 1.8 Hz, 6H), 1.90 (d, J = 7.8 Hz, 2H), 1.83 (s, 1H), 1.81 (s, 2H), 1.79 (s, 1H), 1.72 (s, 1H), 1.61 (d, J = 12.6 Hz, 1H), 1.28 (s, 1H), 1.24 (s, 1H)
화합물 17. (2-((5-클로로-2-((2-메틸벤조[d]티아졸-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3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1 mg, 0.16 mmol)의 IPA (1 mL) 용액은 2-메틸벤조[d]티아졸-6-아민 (39mg, 0.24 mmol)에 이어 PTSA (46 mg, 0.2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90℃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 (1.7 mg, 0.0038 mmol, 2.4 %)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LC/MS (ESI) m/z [M + H]+, [M-H]-
1H NMR (300 MHz, CDCl3) δ 10.97 (s, 1H), 8.58 (q, J = 8.7, 4.5 Hz, 1H), 8.43 (d, J = 2.1 Hz, 1H), 8.14 (s, 1H), 7.86 (d, J = 8.7 Hz, 1H), 7.56-7.51 (m, J = 7.5 Hz, 1H), 7.46 (s, 1H), 7.36 (dd, J = 8.7, 2.1 Hz, 1H), 7.33-7.30 (m, J = 7.8, 1.8 Hz, 1H), 7.23-7.18 (m, 1H), 2.85 (s, 3H), 1.90 (s, 3H), 1.85 (s, 3H)
화합물 18. (2-((5-클로로-2-(퀴놀린-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4
IPA (0.6 mL)에 녹인 퀴놀린-6-아미노 (28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H 2O (3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18 (51 mg, 0.120 mmol, 75 %)을 푹신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24.2 [M + H]+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1.03 (s, 1H), 8.82 (s, 1H), 8.69-8.62 (m, 1H), 8.29 (s, 1H), 8.20 (s, 1H), 8.04 (dd, J = 14.6, 8.7 Hz, 2H), 7.73 (d, J = 9.1 Hz, 1H), 7.49 (t, J = 7.9 Hz, 1H), 7.44-7.30 (m, 3H), 7.21 (t, J = 7.7 Hz, 1H), 1.90 (s, 3H), 1.87 (s, 3H).
화합물 19. (2-((5-클로로-2-(퀴놀린-3-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5
IPA (0.6 mL) 중의 퀴놀린-3-아민 (28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19 (60.0 mg, 0.141 mmol, 88%)을 푹신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1.03 (s, 1H), 8.80 (s, 1H), 8.74 (s, 1H), 8.61-8.54 (m, 1H), 8.19 (s, 1H), 8.04 (d, J = 8.4 Hz, 1H), 7.68 (d, J = 8.2 Hz, 1H), 7.59 (t, J = 7.6 Hz, 1H), 7.49 (q, J = 9.0, 8.5 Hz, 2H), 7.37-7.31 (m, 1H), 7.31-7.28 (m, 1H), 7.19 (t, J = 7.7 Hz, 1H), 1.88 (s, 3H), 1.85 (s, 3H).
LCMS: 424.2 [M + H]+
화합물 20. (2-((5-클로로-2-(퀴놀린-8-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6
IPA (0.6 mL) 중의 퀴놀린-3-아민 (28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푹신한 고체로서 화합물 20 (55.0 mg, 0.141 mmol, 88 %)을 수득하였다.
LCMS 424.6 [M + H]+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0.86 (s, 1H), 9.64 (s, 1H), 8.83 (s, 1H), 8.78-8.67 (m, 2H), 8.24 (s, 1H), 8.15 (d, J = 8.2 Hz, 1H), 7.63 (t, J = 8.1 Hz, 1H), 7.47 (q, J = 11.2, 9.6 Hz, 2H), 7.39 (d, J = 8.2 Hz, 1H), 7.33 (dd, J = 14.1, 7.6 Hz, 1H), 7.19 (t, J = 7.8 Hz, 1H), 1.88 (s, 3H), 1.84 (s, 3H).
화합물 21. (2-((5-클로로-2-(이소퀴놀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8
1) isoquinolin-5-amine 합성
MeOH 10 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413 mmol) 용액에 Pd/C (10 mg, 10 mol%)를 첨가하고 parr 셰이커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었고, 촉매를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20-59 (400 mg, 2.7 mmol, 96 %)을 자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9.18 (s, 1H), 8.49 (d, J = 6.0 Hz, 1H), 7.58 (d, J = 6.0 Hz, 1H), 7.41 (d, J = 4.6 Hz, 2H), 6.96 (q, J = 4.4 Hz, 1H), 4.22 (s, 2H).
2) (2-((5-chloro-2-(isoquinolin-5-ylamin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oxide
IPA (0.6 mL) 중 20-59 (25.0 mg, 0.17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21 (25 g, 0.050 mmol, 31 %)을 푹신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24.0 [M + H]+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0.86 (s, 1H), 9.64 (s, 1H), 8.83 (s, 1H), 8.78-8.67 (m, 2H), 8.24 (s, 1H), 8.15 (d, J = 8.2 Hz, 1H), 7.63 (t, J = 8.1 Hz, 1H), 7.47 (q, J = 11.2, 9.6 Hz, 2H), 7.39 (d, J = 8.2 Hz, 1H), 7.33 (dd, J = 14.1, 7.6 Hz, 1H), 7.19 (t, J = 7.8 Hz, 1H), 1.88 (s, 3H), 1.84 (s, 3H).
화합물 22. (2-((5-클로로-2-((2,3-디히드로-1H-인덴-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39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0 mg, 0.158 mmol)을 첨가한 다음 2-아미노인단 히드로클로라이드 (22.1 mg, 0.166 mmol), PTSA (48.1 mg, 0.506 mmol), IPA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구배) 중 4 % 내지 5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22 (8 mg, 0.0194 mmol, 12 %)을 연분홍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95 (s, 1H), 10.58 (s, 1H), 8.73 (dd, J = 8.6, 4.5 Hz, 1H), 8.56 (dd, J = 8.6, 4.6 Hz, 1H), 8.12 (d, J = 2.3 Hz, 1H), 7.62-7.53 (m, 1H), 7.46 (td, J = 7.9, 7.1, 1.4 Hz, 1H), 7.27-7.17 (m, 4H), 7.16-7.09 (m, 1H), 7.09-6.99 (m, 1H), 3.99-3.83 (m, 1H), 3.24 (dd, J = 15.8, 6.8 Hz, 2H), 2.80 (dd, J = 15.8, 5.2 Hz, 2H), 1.87-1.85 (m, 3H), 1.84-1.82 (m, 3H)
화합물 23. (2-((5-클로로-2-((2-머캅토벤조[d]티아졸-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0
IPA (0.6 mL) 중의 6-아미노벤조[d]티아졸-2-티올 (31 mg, 0.17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솜털같은 고체로서 화합물 23 (21 mg, 0.045 mmol, 28 %)을 수득하였다.
LCMS: 462.1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3.64 (s, 1H), 11.06 (s, 1H), 9.66 (s, 1H), 8.45 (s, 1H), 8.22 (s, 1H), 8.12 (s, 1H), 7.64 (dd, J = 13.7, 7.7 Hz, 1H), 7.54 (t, J = 8.0 Hz, 1H), 7.46 (d, J = 8.8 Hz, 1H), 7.36-7.13 (m, 2H), 1.80 (s, 3H), 1.76 (s, 3H).
화합물 24. (2-((5-클로로-2-이소프로폭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1
5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316 mmol)을 첨가한 다음 *2-아미노인단 히드로클로라이드 (37.9 mg, 0.285 mmol), PPTS (37.9 mg, 0.285 mmol), PTSA (96.3 mg, 0.506 mmol), IPA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3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중 5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24 (22 mg, 0.0533 mmol, 17 %, 백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1.04 (s, 1H), 8.66 (d, J = 9.1 Hz, 1H), 8.15 (d, J = 2.3 Hz, 1H), 7.54 (t, J = 8.1 Hz, 1H), 7.29 (d, J = 6.5 Hz, 1H), 7.12 (t, J = 7.8 Hz, 1H), 5.27-5.10 (m, 1H), 1.83 (s, 3H), 1.81 (s, 3H), 1.39 (q, J = 2.5 Hz, 6H).
화합물 25. (2-((5-클로로-2-((6-에톡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2
디옥산 (0.6 mL)에 녹인 2-아미노-6-에톡시벤조티아졸 (37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화합물 25 (42.0 mg, 0.103 mmol 55 %)을 수득하였다.
LCMS: 474.2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1.72 (s, 1H), 11.49 (s, 1H), 8.89 (s, 1H), 8.37 (s, 1H), 7.70-7.55 (m, 2H), 7.55 (d, J = 8.8 Hz, 1H), 7.44 (d, J = 2.5 Hz, 1H), 7.25 (t, J = 7.6 Hz, 1H), 6.98 (dd, J = 8.8, 2.6 Hz, 1H), 4.06 (q, J = 6.9 Hz, 2H), 1.80 (d, J = 13.6 Hz, 6H), 1.35 (t, J = 7.0 Hz, 3H)
화합물 26. (2-((5-클로로-2-((4-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3
디옥산 (0.6 mL) 중 4-메톡시벤조[d]티아졸-2-아민 (34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화합물 26 (45.0 mg, 0.097 mmol 61 %)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08 (s, 1H), 8.75 (s, 1H), 8.57 (dd, J = 8.5, 4.4 Hz, 1H), 8.28 (s, 1H), 7.59-7.50 (m, 1H), 7.38-7.27 (m, 2H), 7.24-7.15 (m, 2H), 6.87 (dd, J = 8.1, 1.0 Hz, 1H), 4.02 (s, 3H), 1.88 (s, 3H), 1.83 (s, 3H).
화합물 27. (2-((5-클로로-2-((4-메틸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4
디옥산 (0.6 mL) 중의 4-메틸벤조[d]티아졸-2-아민 (31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를 첨가하고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화합물 27 (40.0 mg, 0.0901 mmol, 56 %)을 수득하였다.
LCMS: 444.0 [M + H]+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13 (s, 1H), 9.26 (s, 1H), 8.61 (dd, J = 8.5, 4ff.4 Hz, 1H), 8.38 (s, 1H), 7.60 (d, J = 7.7 Hz, 1H), 7.60-7.49 (m, 1H), 7.34 (ddd, J = 14.0, 7.7, 1.6 Hz, 1H), 7.26-7.20 (m, 2H), 7.19-7.12 (m, 1H), 2.68 (s, 3H), 1.90 (s, 3H), 1.86 (s, 3H).
화합물 28. (2-((5-클로로-2-((6-니트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5
디옥산 (0.6 mL)에 녹인 2-아미노-6-니트로벤조티아졸 (37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화합물 28 (22.0 mg, 0.0463 mmol 28 %)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45 (s, 1H), 11.65 (s, 1H), 8.92 (d, J = 2.4 Hz, 1H), 8.46 (s, 1H), 8.25 (dd, J = 8.9, 2.5 Hz, 1H), 7.79 (d, J = 9.0 Hz, 1H), 7.71-7.52 (m, 3H), 7.26 (t, J = 7.4 Hz, 1H), 1.83 (s, 3H), 1.79 (s, 3H).
화합물 29. (2-((5-클로로-2-((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2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6
디옥산 (1 mL)에 녹인 2-아미노-6-클로로-벤조티아졸 (35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d(OAc) 2 (4.0 mg, 0.016 mmol), 잔트포스 (9.2 mg, 0.016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6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필터로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C 중 MPLC 5 %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29 (9.4 mg, 12 %)을 밝은 녹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64.4[M + H+]
1H NMR (400 MHz, CDCl3) δ 11.07 (s, 1H), 9.55 (s, 1H), 8.49 (dd, J = 8.4, 4.3 Hz, 1H), 8.31 (s, 1H), 7.75-7.62 (m, 2H), 7.49 (t, J = 7.9 Hz, 1H), 7.37-7.28 (m, 2H), 7.23-7.17 (m, 1H), 1.90 (s, 3H), 1.87 (s, 3H)
화합물 30. (((5-클로로피리미딘-2,4-디일)비스(아자네디일))비스(2,1-페닐렌))비스(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7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0316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10.8 mg, 0.0569 mmol), IPA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20분 동안 13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C 중 MPLC 5 %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30을 수득하였다.
LC/MS: 448.82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96 (s, 1H), 10.60 (s, 1H), 8.75 (dd, J = 8.5, 4.5 Hz, 1H), 8.64-8.49 (m, 1H), 8.16 (s, 1H), 7.57 (ddt, J = 8.7, 7.3, 1.5 Hz, 1H), 7.47 (ddt, J = 8.6, 7.3, 1.4 Hz, 1H), 7.33-7.29 (m, 1H), 7.28-7.20 (m, 2H), 7.12 (tdd, J = 7.5, 2.4, 1.1 Hz, 1H), 7.03 (tdd, J = 7.6, 2.4, 1.1 Hz, 1H), 1.85 (dd, J = 13.1, 4.7 Hz, 12H).
화합물 31. (2-((5-클로로-2-((6-(메틸설포닐)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8
디옥산 ( 1mL) 중의 2-아미노-6-(메틸설포닐)벤조티아졸 (43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하고 Pd(OAc) 2 (4.0 mg, 0.016 mmol), 잔트포스 (9.2 mg, 0.016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6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필터로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C 중 MPLC 5%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31 (39.1 mg, 0.0708 mmol, 49 %)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08.3[M+H+]
1H NMR (400 MHz, CDCl3) δ 11.15 (s, 1H), 11.08 (s, 1H), 8.41 (s, 1H), 8.38 - 8.33 (m, 1H), 8.29 (d, J = 1.9 Hz, 1H), 7.97 (d, J = 8.5 Hz, 1H), 7.79 (dd, J = 8.5, 1.9 Hz, 1H), 7.35 (ddd, J = 13.9, 7.6, 1.5 Hz, 2H), 7.19 (d, J = 7.7 Hz, 1H), 3.10 (s, 3H), 1.90 (s, 3H), 1.87 (s, 3H)
화합물 32. (2-((5-클로로-2-((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49
2-아미노-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티아졸 (41 mg, 0.19 mmol)의 디옥산 (1 m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4.0 mg, 0.016 mmol), 잔트포스 (9.2 mg, 0.016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20분 동안 16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필터로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C 중 MPLC 3 %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32 (14.3 mg, 0.0452 mmol, 18%)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98.5[M+H+]
1H NMR (400 MHz, CDCl3) δ 11.08 (s, 1H), 10.91 (s, 1H), 8.42 (dd, J = 8.5, 4.3 Hz, 1H), 8.38 (s, 1H), 7.96 (d, J = 1.8 Hz, 1H), 7.92 (d, J = 8.5 Hz, 1H), 7.52 (dd, J = 8.5, 1.9 Hz, 1H), 7.44 - 7.28 (m, 3H), 7.17 (t, J = 6.9 Hz, 1H), 1.89 (s, 3H), 1.85 (s, 3H).
화합물 33. (2-((2-(벤조[d]티아졸-2-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0
디옥산 (0.6 mL)에 녹인 벤조[d]티아졸-2-아민 (38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33 (17 mg, 0.039 mmol 24 %)을 노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13.1 [M + H]+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50 (s, 1H), 9.42-9.31 (m, 1H), 8.68 (s, 1H), 8.32 (s, 1H), 7.72-7.57 (m, 2H), 7.45 (d, J = 8.0 Hz, 1H), 7.31 (t, J = 7.7 Hz, 2H), 7.19 (dd, J = 12.8, 6.7 Hz, 2H), 1.88 (s, 3H), 1.84 (s, 3H).
화합물 34. (2-((5-클로로-2-((6-플루오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1
디옥산 (0.6 mL) 중의 6-플루오로벤조[d]티아졸-2-아민 (32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를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34 (31.0 mg, 0.0692 mmol 43 %)을 노란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1.91 (s, 1H), 11.52 (s, 0H), 8.87 (s, 1H), 8.39 (s, 1H), 7.78 (dd, J = 8.6, 2.7 Hz, 1H), 7.69-7.61 (m, 2H), 7.58 (t, J = 7.9 Hz, 1H), 7.30-7.19 (m, 2H), 1.82 (s, 3H), 1.78 (s, 3H).
화합물 35. (2-((5-클로로-2-((6-메틸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2
디옥산 (0.6 mL) 중의 6-메틸벤조[d]티아졸-2-아민 (32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를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35 (46.0 mg, 0.103 mmol 64 %)을 노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1.79 (s, 1H), 11.46 (s, 1H), 8.85 (s, 1H), 8.38 (s, 1H), 7.70-7.61 (m, 2H), 7.58 (t, 1H), 7.54 (d, J = 8.2 Hz, 1H), 7.26 (t, J = 7.2 Hz, 1H), 7.20 (dd, J = 8.4, 1.8 Hz, 1H), 2.40 (s, 3H), 1.81 (s, 3H), 1.78 (s, 3H).
화합물 36. (2-((5-클로로-2-((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3
디옥산 (0.6 mL) 중 6-메톡시벤조[d]티아졸-2-아민 (33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36 (46.0 mg, 0.103 mmol 64 %)을 노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1.05 (s, 1H), 9.36 (s, 1H), 8.55 (dd, J = 8.4, 4.4 Hz, 1H), 8.29 (s, 1H), 7.69 (d, J = 8.8 Hz, 1H), 7.55-7.46 (m, 1H), 7.36-7.29 (m, 1H), 7.22 (d, J = 2.5 Hz, 1H), 7.21-7.15 (m, 1H), 6.98 (dd, J = 8.8, 2.6 Hz, 1H), 3.86 (s, 3H), 1.87 (s, 3H), 1.84 (s, 3H).
화합물 37. 5-플루오로-N 2 , N 2 -디메틸-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3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4
IPA (1 mL) 중의 20-127 (50.0 mg, 0.162 mmol) 용액에 5-아미노-1H-인다 졸 (22.6 mg, 0.170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 MeOH:MC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7 (26.5 mg, 0.0835 mmol, 52 %)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318.52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7.76 (d, J = 3.4 Hz, 1H), 4.66 (d, J = 7.3 Hz, 1H), 4.06 (tdt, J = 11.0, 7.8, 4.1 Hz, 1H), 3.86-3.73 (m, 2H), 3.09 (s, 6H), 2.91 (ddd, J = 12.3, 11.1, 2.8 Hz, 2H), 2.82 (s, 3H), 2.26-2.14 (m, 2H), 1.66 (dtd, J = 12.9, 10.8, 4.1 Hz, 2H).
화합물 38. 5-플루오로-N 2 -(8-플루오로퀴놀린-4-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3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5
디옥산 (1 mL) 중의 20-136C (50.0 mg, 0.162 mmol) 용액에 8-플루오로퀴놀린-4-아민 (30.8 mg, 0.194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3.64 mg, 0.0162 mmol), 잔트포스 (9.2 mg, 0.0162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5 mg, 0.32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2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필터로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PLC 80 % EA(in hex)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38 (52.4 mg, 0.121 mmol, 74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435.51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8.81 (d, J = 5.2 Hz, 1H), 8.48 (d, J = 5.2 Hz, 1H), 7.94 (d, J = 2.9 Hz, 1H), 7.75 (dt, J = 8.4, 1.2 Hz, 1H), 7.70 (s, 1H), 7.49 (td, J = 8.1, 5.2 Hz, 1H), 7.42 (ddd, J = 10.2, 7.8, 1.3 Hz, 1H), 5.11-5.00 (m, 1H), 4.21-4.14 (m, 1H), 3.87 (dd, J = 10.1, 6.3 Hz, 2H), 2.94 (td, J = 12.0, 2.6 Hz, 2H), 2.86 (s, 3H), 2.24 (dd, J = 13.0, 3.8 Hz, 2H), 1.79-1.70 (m, 2H).
화합물 39. (2-((5-클로로-2-((3,4-디메틸이속사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3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6
IPA (3 mL) 중 (2-((2,5-디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옥사이드 (316 mg, 1.00 mmol)의 용액에 3,4-디메틸이소옥사졸-5-아민 (168 mg, 1.5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농축하여 IPA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5 % MeOH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9 (220 mg, 0.0696 mmol, 56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392.30[M+H+]
1H NMR (400 MHz, CDCl3) δ 11.25 (s, 1H), 8.69-8.59 (m, 1H), 8.20 (s, 1H), 7.60-7.58 (m, 1H), 7.34-7.28 (m, 1H), 7.17-7.14 (m, 1H), 2.47 (s, 3H), 1.87 (s, 3H), 1.86-1.85 (s, 3H), 1.82 (s, 3H).
화합물 40. (2-((5-클로로-2-((3,4-디메틸이속사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반응식 4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7
에톡시에탄올 중 0.08 M HCl 중 (2-((2,5-디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옥사이드 (500 mg, 1.58 mmol) 용액에 3,4-디메틸이소옥사졸-5-아민 (195 mg, 1.7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욕을 이용하여 0 ℃로 냉각시키고, 고체를 여과하고 2-에톡시에탄올 (3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고진공하에 건조시켜 화합물 40 (380 mg, 0.970 mmol, 61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392. 51 [M + H+]
1H NMR (300 MHz, DMSO) δ 11.82 (s, 1H), 10.20 (s, br, 2H), 8.60 (s, 1H), 8.43 (m, 1H), 7.76-7.64 (m, 2H), 7.30 (m, 1H), 2.65 (s, 3H), 1.99 (s, 3H), 1.84 (s, 3H), 1.82 (s, 3H).
화합물 41. 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2H)-온
[반응식 4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8
IPA (1 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1 mg, 0.16 mmol)의 용액에 7-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2H)-온 (31 mg, 0.19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화합물 41을 얻었다.
LC/MS (ESI) m/z [M + H]+, [M-H]-
1H NMR (300 MHz, CDCl3) δ 10.94 (s, 1H), 8.64-8.60 (m, 1H), 8.14 (s, 1H), 8.01 (d, J = 2.4 Hz, 1H), 7.95-7.91 (m, 1H), 7.55-7.49 (m, 1H), 7.34-7.26 (m, 3H), 7.20-7.11 (m, 1H), 6.14 (s, 1H), 3.61-3.56 (m, 2H), 3.51 (s, 1H), 2.99 (t, J = 6.6 Hz, 2H), 1.88 (s, 3H), 1.835 (s, 3H)
화합물 42.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1-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4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59
IPA ( 1mL) 중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1 mg, 0.16 mmol)의 용액은 1-(7-아미노-1,1-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52 mg, 0.19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화합물 42를 얻었다.
LC/MS (ESI) m/z [M + H]+, [M-H]-
1H NMR (300 MHz, CDCl3) δ 10.88 (s, 1H), 8.57-8.53 (m, 1H), 8.57-8.53 (m, 1H), 8.14 (s, 1H), 7.52-7.46 (m, 2H), 7.41 (d, J = 2.1 Hz, 1H), 7.35-7.30 (m, 1H), 7.18-7.12 (m, 1H), 7.07 (d, J = 8.1 Hz, 1H), 7.00 (s, 1H), 3.67 (t, J = 3 Hz, 2H), 2.88 (t, J = 6 Hz, 2H), 1.88 (s, 3H), 1.84 (s, 3H), 1.79 (s, 6H)
화합물 43.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에틸)아미노)-1,1-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4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0
IPA ( 1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1 mg, 0.16 mmol)의 용액에 1-(7-(에틸아미노)-1,1-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57 mg, 0.19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화합물 43을 얻었다.
LC/MS (ESI) m/z 580.2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9 (s, br, 1H), 8.27-8.26 (m, 1H), 8.06 (s, 1H), 7.23-6.99 (m, 6H), 3.99 (q, J = 7.0 Hz, 2H), 3.72-3.70 (m, 2H), 2.99-2.96 (m, 2H), 1.85 (s, 3H), 1.80 (s, 3H), 1.77 (s, 6H), 1.28 (t, J = 7.2 Hz, 3H).
화합물 44. (2-((5-클로로-2-((1,1-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4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1
THF (2 mL), MeOH (1 mL) 및 H 2O (0.5 mL)에 녹인 018 화합물 (14 mg, 0.03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일수화물 (2.5 mg, 0.06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화합물 44를 얻었다.
LC/MS (ESI) m/z 456.2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1.2 (s, br, 1H), 9.30 (s, br, 1H), 8.50 (s, 1H), 8.29 (s, 1H), 7.70-7.49 (m, 4H), 7.40 (s, 1H), 7.19-7.10 (m, 1H), 6.85-6.80 (m, 1H), 2.90-2.85 (m, 2H), 2.68-2.59 (m, 2H), 1.85 (s, 3H), 1.80 (s, 3H), 1.35 (s, 6H)
화합물 45. (2-((5-클로로-2-((2-(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4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2
IPA (0.6 mL)중의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아민 (28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36 mg, 0.1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갈색 고체로서 화합물 45 (9.0 mg, 0.0127 mmol, 8 %)을 수득하였다.
LCMS: 707.2 [M + H]+
LCMS: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12 (s, 1H), 10.81 (s, 1H), 8.65 (dd, J = 8.6, 4.4 Hz, 1H), 8.47 (dd, J = 8.6, 4.7 Hz, 1H), 8.06 (d, J = 9.8 Hz, 2H), 7.64-7.50 (m, 2H), 7.33 (dd, J = 7.8, 1.4 Hz, 1H), 7.26-7.05 (m, 5H), 7.05-6.97 (m, 1H), 6.81 (s, 1H), 4.95 (s, 2H), 4.00 (t, J = 5.9 Hz, 2H), 2.88 (t, J = 5.9 Hz, 2H), 1.86 (d, J = 9.8 Hz, 6H), 1.81 (d, J = 9.8 Hz, 6H).
화합물 46.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4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3
1) 2,2,2-trifluoro-N-(4-nitrophenethyl)acetamide 합성
DCM (200 mL) 중의 2-(4-니트로페닐)에탄-1-아민 (10.0 g, 49.5 mmol)의 용액에 TFAA (26.0 g, 12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TEA (13.0 g, 124 mmol)를 적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빙욕에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소비를 표시하였다. 반응을 30 mL 물로 퀜칭하고 DCM/물로 추출했다. DCM 층은 100 mL 1 N HCl (수성)로 세척되었다. 그 다음 DCM 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켜 20-001 (14.0 g, 53.4 mmol, crude >100 %)을 상아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8 (d, J = 8.1 Hz, 2H), 7.37 (d, J = 8.1 Hz, 2H), 6.53 (s, br, 1H), 3.67 (q, J = 6.9 Hz, 2H), 3.02 (t, J = 7.1 Hz, 2H).
2) 2,2,2-트리플루오로-1-(7-니트로-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합성
250 mL RB에 0℃에서 50 mL의 아세트산과 75 mL의 황산을 채웠다. 이 용액에 20-001 (13.0 g, 79.4 mmol), 파라포름알데히드 (0.183 g, 6.11 mmol)를 첨가하였다. 온도를 30 ℃로 올리고 반응이 끝날 때까지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조심스럽게 얼음 위에 붓고 물로 희석했다. 그 후 수성층을 나중에 EtOAc (250 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켜 20-004 (11.0 g, 42.0 mmol, 75 %)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8 (q, J = 9.0, 7.6 Hz, 2H), 7.44 - 7.29 (m, 1H), 4.88 (d, J = 17.8 Hz, 2H), 4.01 - 3.81 (m, 2H), 3.08 (t, J = 6.5 Hz, 2H).
3) 1-(7-amino-3,4-dihydroisoquinolin-2(1H)-yl)-2,2,2-trifluoroethan-1-one 합성
EA (50 mL) 중 20-004 (11.0 g, 40.1 mmol) 용액에 parr 반응기를 사용하여 35 psi에서 10 % Pd/C (1.10 g)를 첨가하였다. 셀라이트 필터를 사용하여 Pd/C를 제거한 다음 여액을 농축하여 20-006 (9.20 g, 37.7 mmol, 95 %)을 상아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6.95 (t, J = 8.6 Hz, 1H), 6.57 (t, J = 8.7 Hz, 1H), 6.45 (d, J = 13.1 Hz, 1H), 4.66 (d, J = 22.0 Hz, 2H), 3.82 (d, J = 18.8 Hz, 2H), 3.64 (s, 2H), 2.84 (s, 2H).
4) 1-(7-((5-chloro-4-((2-(dimethylphosphoryl)phenyl)amino)pyrimidin-2-yl)amino)-3,4-dihydroisoquinolin-2(1H)-yl)-2,2,2-trifluoroethan-1-one 합성
7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316 mmol)를 첨가한 다음 20-006 (81.2 mg, 0.332 mmol), PTSA (90.3 mg, 0.475 mmol), IPA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95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조 혼합물을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46 (58.6 mg, 37.7 mmol, 95 %)을 상아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92 (d, J = 8.4 Hz, 1H), 8.54 (d, J = 7.3 Hz, 1H), 8.21-8.07 (m, 1H), 7.57 (dd, J = 26.9, 21.2 Hz, 2H), 7.34 (dd, J = 14.4, 7.9 Hz, 1H), 7.27-7.01 (m, 3H), 6.98 (s, 1H), 4.72 (d, J = 13.8 Hz, 2H), 3.99-3.75 (m, 2H), 2.95 (t, J = 6.9 Hz, 2H), 1.89 (d, J = 2.3 Hz, 3H), 1.85 (d, J = 2.4 Hz, 3H).
화합물 47.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4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4
THF/MeOH/물 (2:1:0.5) (1 mL) 중 20-007 (46.6 mg, 0.0764 mmol) 용액에 LiOH.H 2O (24.1 mg, 0.57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시간 후,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농축하고 EA/MC를 첨가하였다. 주사기 필터를 사용하여 고체를 제거하였다. 산/염기 작업 후 여액을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47 (11.0 mg, 0.0257 mmol, 34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26.19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10.87 (s, 1H), 8.58 (dt, J = 7.4, 3.4 Hz, 1H), 8.08 (d, J = 2.4 Hz, 1H), 7.48 (t, J = 8.1 Hz, 1H), 7.27 (d, J = 7.8 Hz, 2H), 7.24 (d, J = 7.9 Hz, 1H), 7.12 (t, J = 7.7 Hz, 1H), 7.08 - 6.94 (m, 2H), 3.97 (s, 2H), 3.15 (dt, J = 6.1, 3.7 Hz, 2H), 2.79 (d, J = 6.2 Hz, 2H), 1.85 (s, 1H), 1.82 (s, 3H).
화합물 48. 1-(6-((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4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5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0 mg, 0.316 mmol)를 첨가한 다음 16-321 (40.6 mg, 0.166 mmol), PTSA (45.1 mg, 0.237 mmol), IPA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구배) 중 4 % 내지 9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48 (35.8 mg, 0.06835 mmol, 43 %)을 백색 및 연분홍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98 (s, 1H), 8.67 - 8.53 (m, 1H), 8.14 (d, J = 0.8 Hz, 1H), 7.55-7.44 (m, 2H), 7.43-7.29 (m, 2H), 7.17 (dddd, J = 8.6, 7.5, 2.3, 1.1 Hz, 1H), 7.09 (dd, J = 14.8, 8.3 Hz, 1H), 6.98 (d, J = 7.3 Hz, 1H), 4.76 (d, J = 18.4 Hz, 2H), 3.96-3.81 (m, 2H), 3.00-2.86 (m, 2H), 1.89 (s, 3H), 1.84 (s, 3H)
화합물 49.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4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6
THF/MeOH/물 (2:1:0.5) (1 mL)에 녹인 20-029 (7.0 mg, 0.0134 mmol) 용액에 LiOH.H 2O (2.0 mg, 0.047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N HCl 및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49 (5.5 mg, 0.0105 mmol, 96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90 (s, 1H), 8.65-8.57 (m, 1H), 8.09 (s, 1H), 7.51-7.44 (m, 1H), 7.34-7.27 (m, 3H), 7.16-7.08 (m, 1H), 6.95 (d, J = 8.1 Hz, 1H), 6.85 (s, 1H), 4.00 (s, 2H), 3.14 (t, J = 5.9 Hz, 2H), 2.76 (t, J = 6.0 Hz, 2H), 1.87 (s, 3H), 1.84 (s, 3H).
화합물 50.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4,4-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5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7
7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47.0 mg, 0.149 mmol)를 첨가한 다음 17-039 (42.1 mg, 0.156 mmol), PTSA (54.2 mg, 0.285 mmol), IPA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95℃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DCM (구배) 중 3 % 내지 7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50 (35.8 mg, 0.0648 mmol, 44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52.6[M+H+]
1H NMR (400 MHz, CDCl3) δ 10.90 (d, J = 15.7 Hz, 1H), 8.59-8.43 (m, 1H), 8.11 (d, J = 3.6 Hz, 1H), 7.65-7.41 (m, 2H), 7.37-7.27 (m, 2H), 7.26-7.12 (m, 2H), 6.97 (d, J = 4.0 Hz, 1H), 4.72 (d, J = 4.0 Hz, 2H), 3.67 (s, 1H), 3.59-3.48 (m, 1H), 1.88 (s, 3H), 1.83 (s, 3H), 1.30 (d, J = 2.9 Hz, 6H).
화합물 51. (2-((5-클로로-2-((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5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8
THF/MeOH/물 (2:1:0.5) (0.5 mL) 중의 20-035 (20.0 mg, 0.0370 mmol) 용액에 LiOH.H 2O (5.55 mg, 0.13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 N HCl 및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51 (11.3 mg, 0.0210 mmol, 69 %)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LC/MS: 442.5[M+H+]
1H NMR (400 MHz, CDCl3) δ 10.87 (s, 1H), 8.61-8.56 (m, 1H), 8.10 (s, 1H), 7.51-7.45 (m, 1H), 7.35 (dd, J = 8.2, 2.3 Hz, 1H), 7.30 (td, J = 7.2, 6.7, 2.0 Hz, 2H), 7.26 (s, 1H), 7.12 (tdd, J = 7.6, 2.4, 1.1 Hz, 1H), 7.03 (d, J = 8.2 Hz, 1H), 6.86 (s, 1H), 4.08 (q, J = 6.6 Hz, 1H), 3.28 (dt, J = 12.6, 5.0 Hz, 1H), 3.02 (ddd, J = 12.9, 8.9, 4.7 Hz, 1H), 2.89-2.78 (m, 1H), 2.71 (dt, J = 16.1, 4.6 Hz, 1H), 1.84 (dd, J = 13.1, 5.8 Hz, 6H), 1.37 (d, J = 6.6 Hz, 3H).
화합물 52. (2-((5-클로로-2-((4,4-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5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69
THF/MeOH/물 (2:1:0.5) (0.5 mL) 중 20-036 (10.0 mg, 0.0181 mmol) 용액에 LiOH.H 2O (2.71 mg, 0.064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N HCl 및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52 (7.78 mg, 0.0171 mmol, 94 %)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LC/MS: 456.6[M+H+]
1H NMR (400 MHz, CDCl3) δ 10.89 (s, 1H), 8.59 (ddd, J = 8.5, 4.4, 1.1 Hz, 1H), 8.09 (d, J = 3.8 Hz, 1H), 7.48 (dd, J = 8.6, 7.2 Hz, 1H), 7.33-7.27 (m, 1H), 7.25 (d, J = 1.5 Hz, 2H), 7.17-7.08 (m, 1H), 6.90 (s, 1H), 3.96 (s, 2H), 2.86 (s, 2H), 1.85 (s, 3H), 1.82 (s, 3H) 1.27 (s, 6H).
화합물 53.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이소프로필-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5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0
디옥산 (1 mL)에 녹인 18-012 (45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Pd(OAc) 2 (4.0 mg, 0.016 mmol), 잔트포스 (9.2 mg, 0.016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6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필터로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C 중 MPLC 5 %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53 (14.8 mg, 0.0262 mmol, 16 %)을 황록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566.7[M+H+]
1H NMR (300 MHz, DMSO) δ 11.02 (s, 1H), 9.46 (s, 1H), 8.30 (s, 1H), 8.19 (d, J = 2.3 Hz, 1H), 7.69-7.55 (m, 3H), 7.46 (d, J = 9.4 Hz, 1H), 7.21 (s, 1H), 7.06 (d, J = 8.4 Hz, 1H), 4.93 (d, J = 9.5 Hz, 1H), 3.97-3.68 (m, 2H), 2.90 (d, J = 6.8 Hz, 2H), 1.92-1.58 (m, 6H), 0.89-0.74 (m, 6H).
화합물 54.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5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1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0 mg, 0.316 mmol)을 첨가한 다음 17-045 (42.9 mg, 0.166 mmol), PTSA (54.2 mg, 0.285 mmol), IPA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DCM (구배) 중 3 % 내지 7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54 (63.6 mg, 0.118 mmol, 75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83 (s, 1H), 8.49 (dd, J = 8.4, 4.4 Hz, 1H), 8.11 (s, 1H), 7.64-7.41 (m, 2H), 7.37-7.27 (m, 1H), 7.25 -7.11 (m, 2H), 7.06 (dd, J = 8.4, 4.4 Hz, 1H), 6.93 (s, 1H), 5.50 (q, J = 6.8 Hz, 1H), 4.13-3.98 (m, 1H), 3.67-3.46 (m, 1H), 3.09-2.90 (m, 1H), 2.81 (d, J = 16.2 Hz, 1H), 1.93-1.74 (m, 6H), 1.39 (d, J = 6.6 Hz, 3H).
화합물 55. (2-((5-클로로-2-((1-이소프로필-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5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2
THF/MeOH/물 (2:1:0.5) (1 mL) 중의 20-050 (9.7 mg, 0.0177 mmol) 용액에 LiOH.H 2O (2.6 mg, 2.5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6시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 N HCl 및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55 (1.9 mg, 0.00213 mmol, 14 %)을 연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68.95 [M + H +]
1H NMR (400 MHz, CDCl3) δ 10.87 (s, 1H), 8.58 (dd, J = 8.6, 4.4 Hz, 1H), 8.10 (s, 1H), 7.51-7.44 (m, 1H), 7.38-7.27 (m, 3H), 7.12 (tdd, J = 7.6, 2.4, 1.1 Hz, 1H), 7.02 (d, J = 8.2 Hz, 1H), 6.85 (s, 1H), 3.90 (d, J = 3.7 Hz, 1H), 3.30 (ddd, J = 11.9, 5.2, 3.1 Hz, 1H), 2.92 (ddd, J = 11.9, 10.3, 4.0 Hz, 1H), 2.86 - 2.74 (m, 1H), 2.65 (d, J = 15.7 Hz, 1H), 2.20 (ddd, J = 9.5, 6.7, 3.2 Hz, 1H), 1.84 (dd, J = 13.1, 8.1 Hz, 6H), 1.05 (d, J = 6.9 Hz, 3H), 0.71 (d, J = 6.8 Hz, 3H).
화합물 56. 2,2,2-트리플루오로-1-(7-((5-플루오로-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반응식 5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3
1) tert-butyl 4-((2-chloro-5-fluoropyrimidin-4-yl)amino)piperidine-1-carboxylate
2,4-디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 (800 mg, 4.80 mmol), tert-부틸4-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996 mg, 4.80 mmol) 및 DIPEA (948 μL, 5.76 mmol)를 THF (3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냉각 후 물/EA로 분리하고 EA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ex 중 30 % EA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0-098b (1.33 g, 4.02 mmol)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1 (d, J = 2.8 Hz, 1H), 5.64 (dd, J = 8.0, 2.2 Hz, 1H), 4.13 (ddq, J = 11.0, 7.2, 3.8 Hz, 1H), 4.13- 4.01 (m, 2H), 2.87 (t, J = 12.9 Hz, 2H), 2.10-1.90 (m, 2H), 1.48-1.43 (m, 1H), 1.41 (s, 9H), 1.39 (s, 1H).
2) 2-chloro-5-fluoro-N-(piperidin-4-yl)pyrimidin-4-amine
DCM (20 mL) 중 20-098b (600 mg, 1.81 mmol)의 용액에 0 ℃에서 디옥산 (1.80 mL, 3.62 mmol) 중 4 N HC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TFA (4 m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증발시킨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 2SO 4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여 20-101 (415 mg, 1.80 mmol, 9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7 (d, J = 2.8 Hz, 1H), 5.15-4.97 (m, 1H), 4.19-4.05 (m, 1H), 3.12 (dt, J = 13.3, 4.1 Hz, 2H), 2.78 (ddd, J = 12.7, 11.4, 2.6 Hz, 2H), 2.11-2.02 (m, 2H), 1.42 (dtd, J = 12.5, 11.2, 4.0 Hz, 2H).
3) 2-chloro-5-fluoro-N-(1-(methylsulfonyl)piperidin-4-yl)pyrimidin-4-amine
20-101 (360 mg, 1.56 mmol)을 DCM (50 mL)에 녹인 후 0 ℃에서 냉각시켰다. 용액에 DIPEA (2.69 mL, 15.6 mmol)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 후, 메실 클로라이드 (241 μL, 3.12 mmol)를 첨가하고 실온으로 올린 다음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100 mL×2)으로 추출하고 염수 (50 mL)로 세척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 2SO 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 및 hex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정제하여 20-105 (418 mg, 1.35 mmol, 87 %)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7.93 (d, J = 2.7 Hz, 1H), 5.24 (d, J = 8.0 Hz, 1H), 4.19 (tdt, J = 11.7, 8.2, 4.2 Hz, 1H), 3.94-3.83 (m, 2H), 2.92 (td, J = 12.2, 2.6 Hz, 2H), 2.25-2.17 (m, 2H), 1.70 (dtd, J = 12.9, 11.5, 4.2 Hz, 2H).
4) 2,2,2-trifluoro-1-(7-((5-fluoro-4-((1-(methylsulfonyl)piperidin-4-yl)amino)pyrimidin-2-yl)amino)-3,4-dihydroisoquinolin-2(1H)-yl)ethan-1-one
IPA (1 mL) 중의 20-105 (50.0 mg, 0.162 mmol) 용액에 HYP-19 (41.5 mg, 0.170 mmol)를 첨가한 다음 PTSA (55.4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중 5 % MeOH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6 (38.8 mg, 0.0751 mmol, 46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18.27 [M + H+]
1H NMR (400 MHz, DMSO) δ 9.09 (d, J = 11.7 Hz, 1H), 7.90 (d, J = 3.7 Hz, 1H), 7.72 (d, J = 55.9 Hz, 1H), 7.50-7.33 (m, 2H), 7.08 (t, J = 8.0 Hz, 1H), 4.72 (s, 2H), 4.11-3.99 (m, 1H), 3.81 (s, 2H), 3.65 (d, J = 11.7 Hz, 2H), 2.91 (d, J = 6.7 Hz, 3H), 2.84 (d, J = 10.8 Hz, 4H), 2.02 (d, J = 12.0 Hz, 2H), 1.67 (tt, J = 12.3, 6.3 Hz, 2H).
화합물 57. 5-플루오로-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N 2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5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4
THF/MeOH/물 (2:1:0.5) (7 mL)에 녹인 20-110 (27.0 mg, 0.0523 mmol) 용액에 LiOH.H 2O (7.68 mg, 0.18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 N HCl 및 1 N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57 (22.0 mg, 0.0523 mmol, 99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21.33 [M + H+]
1H NMR (500 MHz, CDCl3) δ 7.83 (d, J = 3.2 Hz, 1H), 7.27 (s, 1H), 7.04 (d, J = 8.0 Hz, 1H), 6.74 (s, 1H), 4.83 (d, J = 7.5 Hz, 1H), 4.15-4.07 (m, 1H), 4.03 (s, 2H), 3.86 (d, J = 12.5 Hz, 2H), 3.17 (t, J = 6.0 Hz, 2H), 2.94 (td, J = 12.0, 2.7 Hz, 2H), 2.87 (s, 3H), 2.78 (t, J = 6.0 Hz, 2H), 2.24 (d, J = 13.6 Hz, 2H), 1.76-1.66 (m, 2H).
화합물 58. 2,2,2-트리플루오로-1-(7-((5-플루오로-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이소프로필-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반응식 5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5
IPA (1 mL) 중 20-105 (50.0 mg, 0.162 mmol) 용액에 GM-17 (48.7 mg, 0.170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중 5 % MeOH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8 (47.9 mg, 0.0236 mmol, 54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60.33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7.81 (d, J = 3.2 Hz, 1H), 7.73 (d, J = 2.1 Hz, 1H), 7.12-7.03 (m, 2H), 6.84 (s, 1H), 5.18 (d, J = 9.3 Hz, 1H), 4.85 (d, J = 7.7 Hz, 1H), 4.13 (tdt, J = 11.6, 8.2, 4.2 Hz, 1H), 4.05-3.89 (m, 2H), 3.88-3.74 (m, 2H), 3.07 (td, J = 11.9, 2.6 Hz, 1H), 3.00-2.94 (m, 2H), 2.92 (d, J = 2.7 Hz, 1H), 2.91 (s, 3H), 2.29-2.17 (m, 3H), 2.14 - 2.03 (m, 1H), 1.76-1.62 (m, 2H), 1.04 (d, J = 6.6 Hz, 3H), 0.98 (d, J = 6.8 Hz, 3H).
화합물 59. 2,2,2-트리플루오로-1-(7-((5-플루오로-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반응식 5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6
IPA (1 mL) 중 20-105 (50.0 mg, 0.162 mmol)의 용액에 GM-17 (43.9 mg, 0.170 mmol)에 이어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중 5 % MeOH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9 (63.2 mg, 0.119 mmol, 74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31.31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7.82 (dd, J = 4.9, 3.2 Hz, 1H), 7.69 (d, J = 2.2 Hz, 1H), 7.11 (dd, J = 8.3, 2.3 Hz, 1H), 7.04 (d, J = 8.2 Hz, 1H), 6.80 (d, J = 18.4 Hz, 1H), 5.55 (q, J = 6.9 Hz, 1H), 4.86 (d, J = 7.6 Hz, 1H), 4.19-4.09 (m, 1H), 4.09-4.01 (m, 1H), 3.89 (dd, J = 21.3, 12.5 Hz, 3H), 3.68-3.55 (m, 1H), 3.04-2.93 (m, 2H), 2.91 (s, 3H), 2.89-2.78 (m, 3H), 2.23 (t, J = 16.5 Hz, 2H), 1.71 (ddt, J = 19.1, 12.8, 6.0 Hz, 2H), 1.54 (d, J = 6.9 Hz, 3H).
화합물 60. 5-플루오로-N 2 -(1-이소프로필-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6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7
THF/MeOH/물 (2:1:0.5) (7 mL)에 녹인 20-117 (27.0 mg, 0.0523 mmol) 용액에 LiOH.H 2O (7.68 mg, 0.18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N HCl 및 1N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60 (19.4 mg, 0.0523 mmol, 7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64.33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7.80 (d, J = 3.2 Hz, 1H), 7.35 (dd, J = 8.3, 2.3 Hz, 1H), 7.28 (d, J = 2.3 Hz, 1H), 7.00 (d, J = 8.2 Hz, 1H), 6.83 (s, 1H), 4.85 (dd, J = 7.9, 2.2 Hz, 1H), 4.09 (dt, J = 7.3, 3.8 Hz, 1H), 3.93 (d, J = 3.7 Hz, 1H), 3.87-3.77 (m, 2H), 3.29 (ddd, J = 11.9, 5.2, 3.1 Hz, 1H), 2.91 (dddd, J = 11.8, 10.2, 5.7, 3.2 Hz, 3H), 2.78 (td, J = 10.3, 3.7 Hz, 1H), 2.63 (dt, J = 15.7, 3.5 Hz, 1H), 2.32 (td, J = 6.9, 3.8 Hz, 1H), 2.19 (dt, J = 11.3, 3.4 Hz, 2H), 1.68-1.58 (m, 2H), 1.13 (d, J = 6.9 Hz, 3H), 0.76 (d, J = 6.7 Hz, 3H).
화합물 61. 5-플루오로-N 2 -(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6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8
THF/MeOH/물 (2:1:0.5) (7 mL)에 녹인 20-118 (28.0 mg, 0.0528 mmol) 용액에 LiOH.H 2O (7.36 mg, 0.18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반응 혼합물을 1시간 후에 교반하고,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 N HCl 및 1 N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61 (17.6 mg, 0.0528 mmol, 80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435.31 [M + H+]
1H NMR (500 MHz, DMSO) δ 8.87 (s, 1H), 7.88 (d, J = 3.7 Hz, 1H), 7.48 (d, J = 2.2 Hz, 1H), 7.43 (dd, J = 8.3, 2.2 Hz, 1H), 7.35 (d, J = 7.9 Hz, 1H), 6.92 (d, J = 8.3 Hz, 1H), 4.06 (d, J = 7.4 Hz, 1H), 3.90 (d, J = 6.8 Hz, 1H), 3.67-3.59 (m, 2H), 3.39 (d, J = 7.0 Hz, 2H), 3.06 (dt, J = 10.4, 5.0 Hz, 1H), 2.92 (s, 3H), 2.83 (d, J = 12.0 Hz, 2H), 2.76 (d, J = 4.4 Hz, 1H), 2.70-2.63 (m, 1H), 2.56 (s, 1H), 1.99 (d, J = 12.5 Hz, 2H), 1.66 (t, J = 6.2 Hz, 2H), 1.33 (d, J = 6.6 Hz, 3H).
화합물 62.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6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79
IPA (2.0 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30.0 mg, 0.0949 mmol)의 용액에 20-318 (26.0 mg, 0.0949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PTSA (36.0 mg, 0.18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9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냈고, 고체를 여과하고, 물에 용해시키고, 중소듐 카보네이트 (pH 7-8)으로 MC 10 ml로 세척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건조시켰다. 황산나트륨 및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하고, 잔류물을 5% MeOH:MC로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62 (28.0 mg, 0.0505 mmol, 53 %)를 회백색 솜털같은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10.79 (d, J = 7.4 Hz, 1H), 8.49 (dd, J = 8.3, 4.1 Hz, 1H), 8.21 (s, 1H), 8.19-8.16 (m, 1H), 8.15 (s, 1H), 7.68-7.59 (m, 2H), 7.59-7.53 (m, 1H), 7.39-7.33 (m, 1H), 6.68-6.63 (m, 1H), 4.66-4.57 (m, 2H), 3.93-3.83 (m, 5H), 2.96-2.88 (m, 2H), 1.88 (d, J = 1.7 Hz, 3H), 1.86 (d, J = 1.7 Hz, 3H).
화합물 63. (2-((5-클로로-2-((6-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0
THF:MeOH:H2O (2:10:0.5) 중의 20-326 (28.0 mg, 0.0505 mmol)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 (5.4 mg, 0.126 mmol)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 N HCl (aq)로 산성화하고 MC (20 mL×2)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고체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하고, 수성층을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켜 약간 백색을 띄는 갈색 고체 (16 mg, 0.0349 mmol, 9 %)로서 화합물 63을 수득하였다.
LCMS: 458.2 [M + H]+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10.79 (s, 1H), 8.58 (dd, J = 8.4, 4.3 Hz, 1H), 8.13 (s, 1H), 7.99 (s, 1H), 7.59-7.51 (m, 2H), 7.32 (ddd, J = 14.0, 7.7, 1.6 Hz, 1H), 7.20-7.13 (m, 1H), 6.61 (s, 1H), 3.90 (d, J = 3.2 Hz, 2H), 3.89 (s, 2H), 3.18-3.11 (m, 2H), 2.77 (t, J = 6.0 Hz, 2H), 2.20 (s, 1H), 1.86 (d, J = 13.2 Hz, 6H).
화합물 64. (2-((2-((1H-인다졸-6-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1
IPA (0.6 mL) 중의 1H-인다졸-6-아민 (26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4 (22 mg, 0.053 mmol, 33 %)을 고체로 얻었다.
LC/MS (ESI) m/z 413.5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2.79 (s, 1H), 11.28 (s, 1H), 9.56 (s, 1H), 8.78-8.68 (m, 1H), 8.25 (s, 1H), 8.03 (bs, 1H), 7.94 (bs, 1H), 7.66-7.48 (m, 3H), 3.32 (dd, J = 9.0 Hz, 1H), 7.18 (t, J = 9.0 Hz, 1H), 1.82 (s, 3H), 1.78 (s, 3H)
화합물 65. (2-((2-((1H-인돌-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2
IPA (0.6 mL) 중의 1H-인돌-5-아민 (25 mg, 0.19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30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A:MeOH (9.5/0.5)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5 (15 mg, 0.036 mmol, 23 %)을 회색 고체로 얻었다.
LC/MS (ESI) m/z 412.6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1.12 (s, 1H), 10.96 (s, 1H), 9.20 (s, 1H), 8.64 (bs, 1H), 8.15 (s, 1H), 7.86 (s, 1H), 7.57 (dd, J = 15, 9.0 Hz, 1H), 7.38 (t, J = 9.0 Hz, 1H), 7.33-7.26 (m, 2H), 7.24-7.10 (m, 2H), 6.35-6.31 (m, 1H), 1.80 (s, 3H), 1.76 (s, 3H)
화합물 66. (2-((2-((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3
IPA (0.6 mL) 중의 1H-인다졸-5-아민 (28 mg, 0.17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 하에서 정제하여 솜털같은 고체로서 화합물 66 (20 mg, 0.048 mmol, 30 %)을 수득하였다.
LCMS: 413.2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91 (s, 1H), 11.09 (s, 1H), 9.39 (s, 1H), 8.56 (s, 1H), 8.18 (d, J = 2.6 Hz, 1H), 8.08 (s, 1H), 7.93 (s, 1H), 7.68-7.53 (m, 1H), 7.51-7.40 (m, 3H), 7.19 (t, J = 7.2 Hz, 1H), 1.79 (s, 3H), 1.76 (s, 3H).
화합물 67. (2-((2-((3-브로모-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4
1) 3-bromo-1H-indazol-5-amine 합성
MeOH 10 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413 mmol) 용액에 Pd/C (10 mg, 10 mol%)를 첨가하고 밤새 parr 셰이커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었고, 촉매를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20-052 (77 mg, 0.363 mmol, 88 %)을 자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33 (s, 1H), 9.85 (s, 2H), 8.19 (s, 1H), 7.78 (s, 1H), 7.68 (d, J = 8.9 Hz, 1H), 7.31 (d, J = 9.1 Hz, 1H).
2) 2-((2-((3-bromo-1H-indazol-5-yl)amino)-5-chlor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oxide.
IPA (0.6 mL) 중의 20-052 (36.0 mg, 0.17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솜털같은 고체로서 화합물 67 (25 mg, 0.050 mmol, 31 %)을 수득하였다.
LCMS: 492.2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92 (s, 1H), 11.08 (s, 1H), 9.40 (s, 1H), 8.57 (s, 1H), 8.19 (s, 1H), 8.08 (s, 1H), 7.93 (s, 1H), 7.60 (dd, J = 14.0, 7.8 Hz, 1H), 7.45 (d, J = 6.7 Hz, 3H), 7.20 (t, J = 7.8 Hz, 1H), 1.79 (s, 3H), 1.76 (s, 3H).
화합물 68. (2-((2-((1H-인돌-4-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5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14 mg, 0.360 mmol)를 첨가한 다음 1H-인돌-4-아민 (50.0 mg, 0.378 mmol), PTSA (103 mg, 0.541 mmol), IPA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95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고체를 분쇄하여 정제하여 회색 고체 형태의 화합물 68 (60.5 mg, 0.147 mmol, 41 %)을 얻었다.
LC/MS: 412.30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92 (s, 1H), 8.63 (dd, J = 8.6, 4.5 Hz, 1H), 8.25 (s, br, 1H), 7.81 (dd, J = 5.2, 3.4 Hz, 1H), 7.42 (t, J = 7.8 Hz, 1H), 7.29 (s, 1H), 7.24-7.13 (m, 5H), 7.09 (t, J = 7.5 Hz, 1H), 6.58 (t, J = 2.8 Hz, 1H), 1.88 (s, 3H), 1.84 (s, 3H).
화합물 69. (2-((5-클로로-2-((2-메틸-1H-인돌-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6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6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3 mg, 0.326 mmol)를 첨가한 다음 2-메틸-1H-인돌-5-아민 (50.0 mg, 0.342 mmol), PTSA (93 mg, 0.541 mmol), IPA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95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중 3 % 내지 5 % (gradient)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69 (34.2 mg, 0.147 mmol, 25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88 (s, 1H), 8.68 (s, 1H), 8.07 (s, 1H), 7.87 (s, 1H), 7.66 (d, J = 60.2 Hz, 1H), 7.32 (d, J = 25.7 Hz, 1H), 7.24-6.96 (m, 4H), 6.91 (d, J = 12.4 Hz, 1H), 6.16 (s, 1H), 3.49 (s, 3H), 1.84 (s, 3H), 1.82 (s, 3H).
화합물 70. 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틸-1H-인돌-3-카보니트릴
[반응식 7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7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316 mmol)를 첨가한 다음 7-아미노-4-메틸-1H-인돌-3-카르보니트릴 (43.3 mg, 0.253 mmol), PTSA (96.3 mg, 0.506 mmol), IPA(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중 5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70 (46.1 mg, 0.102 mmol, 32 %)을 백색 고체 형태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1.96(s, br,1H),11.21 (s, 1H), 9.18 (s, 1H), 8.12 (d, J = 16.6 Hz, 2H), 8.02 (s, 1H), 7.51 (d, J = 10.7 Hz, 1H), 7.24 (d, J = 7.6 Hz, 1H), 7.05 (s, 2H), 6.91 (d, J = 7.7 Hz, 1H), 2.66 (s, 3H), 1.77 (s, 3H), 1.73 (s, 3H).
화합물 71. (2-((2-((1H-인돌-7-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8
1) 20-019 합성
50 mL RB에서 메탄올을 채웠다. 이 용액에 7-니트로인돌 (350 mg, 2.16 mmol) 및 10 % Pd/C (35 mg)를 첨가하였다. 15시간 후, 주사기 필터를 사용하여 Pd/C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20-019 (302 mg, 2.28 mmol, 96 %)을 연보라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6 (s, 1H), 7.22 - 7.15 (m, 1H), 7.11 (s, 1H), 6.96 (td, J = 7.9, 2.5 Hz, 1H), 6.58 (dd, J = 7.5, 2.6 Hz, 1H), 6.52 (d, J = 3.2 Hz, 1H).
2) (2-((2-((1H-indol-7-yl)amino)-5-chloropyrimidin-4-yl)amino) phenyl)dimethylphosphine oxide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100 mg, 0.316 mmol)를 첨가한 다음 20-019 (44.2 mg, 0.332 mmol), PTSA (96.3 mg, 0.506 mmol), IPA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구배) 중 4 % 내지 8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71 (85.8 mg, 0.208 mmol, 66 %)을 백색+연분홍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1.18 (s, 1H), 10.93 (s, 1H), 9.11 (s, 1H), 8.20(s, br, 1H), 8.17 (s, 1H), 7.50 (ddd, J = 14.0, 7.7, 1.7 Hz, 1H), 7.33 (d, J = 7.7 Hz, 2H), 7.28 (t, J = 2.8 Hz, 1H), 7.13 (s, 1H), 7.05 (d, J = 7.3 Hz, 1H), 6.94 (t, J = 7.7 Hz, 1H), 6.46 (dd, J = 3.1, 1.9 Hz, 1H), 1.75 (s, 3H), 1.73 (s, 3H)
화합물 72. 1-(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이소인돌린-2-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반응식 7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89
5 mL 바이알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0 mg, 0.316 mmol)를 첨가한 다음 17-122 (38.2 mg, 0.166 mmol), PTSA (45.1 mg, 0.237 mmol), IPA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50 mL×2)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MC (구배) 중 4 % 내지 7 % MeOH를 사용하여 MPLC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72 (47.8 mg, 0.0938 mmol, 59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10.2 [M + H]+
1H NMR (300 MHz, CDCl3) δ 10.94 (d, J = 6.8 Hz, 1H), 8.52 (dt, J = 9.5, 5.2 Hz, 1H), 8.12 (d, J = 1.5 Hz, 1H), 7.77 (d, J = 4.8 Hz, 1H), 7.48 (t, J = 8.1 Hz, 1H), 7.38 - 7.27 (m, 2H), 7.25 - 7.12 (m, 2H), 7.02 (d, J = 3.6 Hz, 1H), 4.99 (d, J = 7.8 Hz, 2H), 4.87 (d, J = 8.4 Hz, 2H), 1.87 (s, 3H), 1.83 (s, 3H)
화합물 73. (2-((5-클로로-2-(이소인돌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0
THF/MeOH/물 (2:1:0.5) (1 mL) 중의 20-030 (20.0 mg, 0.0392 mmol) 용액에 LiOH.H 2O (4.0 mg, 0.095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2시간 후,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1 N HCl 및 NaOH를 사용하여 산/염기 작업을 수행하여 화합물 73 (10.0 mg, 0.0105 mmol, 96 %)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92 (s, 1H), 8.61 (dt, J = 8.3, 3.8 Hz, 1H), 8.12 (d, J = 3.3 Hz, 1H), 7.61 (s, 1H), 7.51 (d, J = 8.5 Hz, 1H), 7.36-7.30 (m, 1H), 7.25-7.09 (m, 2H), 7.02 (s, 1H), 4.24 (d, J = 3.3 Hz, 4H), 1.88 (s, 3H), 1.85 (s, 3H)
화합물 74. (2-((5-클로로-2-(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1
디옥산 (0.6 mL) 중의 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26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를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 74 (26.0 mg, 0.0628 mmol 40 %)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1.49 (s, 1H), 9.31 (dd, J = 8.6, 4.6 Hz, 1H), 8.27 (s, 2H), 7.81 (s, 1H), 7.72 (t, J = 2.0 Hz, 1H), 7.60 (t, J = 7.9 Hz, 1H), 7.45 (d, J = 10.8 Hz, 1H), 7.16 (t, J = 7.2 Hz, 1H), 6.86-6.82 (m, 1H), 6.81-6.77 (m, 1H), 1.87 (s, 3H), 1.84 (s, 3H).
화합물 75. (2-((5-클로로-2-((2-(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d]이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2
디옥산 (0.6 mL) 중의 6-메톡시벤조[d]티아졸-2-아민 (32 mg, 0.19 mmol) 용액에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를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갈색 고체의 화합물 75 (31.0 mg, 0.0645 mmol 40 %)을 수득하였다.
LCMS: 381.2 [M + H]+
1H NMR (500 MHz, DMSO-d6) δ 13.70 (s, 1H), 11.29 (s, 1H), 9.60 (s, 1H), 8.71 (s, 1H), 8.24 (s, 1H), 8.12 (s, 1H), 7.67 (s, 1H), 7.63-7.55 (m, 2H), 7.49 (t, J = 7.8 Hz, 1H), 7.17 (t, J = 7.5 Hz, 1H), 1.81 (s, 3H), 1.78 (s, 3H).
화합물 76. (2-((5-클로로-2-((2-머캅토-1H-벤조[d]이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3
디옥산 (0.6 mL) 중의 6-메톡시벤조[d]티아졸-2-아민 (26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76 (16.0 mg, 0.0359 mmol 22 %)을 얻었다.
LCMS: 445.1 [M + H]+
1H NMR (500 MHz, DMSO-d6) δ 12.54 (s, 1H), 11.82 (s, 1H), 8.40 (s, 1H), 7.61 (dd, J = 8.5, 4.3 Hz, 1H), 7.45 (ddd, J = 14.1, 7.7, 1.6 Hz, 1H), 7.39 (d, J = 8.6 Hz, 1H), 6.90-6.84 (m, 1H), 6.65 (dd, J = 8.6, 2.1 Hz, 1H), 6.63 (d, J = 2.0 Hz, 1H), 6.09 (t, J = 7.8 Hz, 1H), 5.15 (s, 2H), 1.76 (s, 3H), 1.74 (s, 3H).
화합물 77. (2-((5-클로로-2-(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4
디옥산 (0.6 mL) 중의 이미다조[1,2-a]피리딘-8-아민 (26.4 mg, 0.19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을 첨가한 다음 Pd(OAc) 2 (0.71 mg, 0.0032 mmol), 잔트포스 (2.8 mg, 0.004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104 mg,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77 (16.0 mg, 0.0359 mmol, 22 %)을 얻었다.
LCMS: 413.1 [M + H]+
1H NMR (500 MHz, DMSO-d6) δ 12.54 (s, 1H), 11.82 (s, 1H), 8.40 (s, 1H), 7.61 (dd, J = 8.5, 4.3 Hz, 1H), 7.45 (ddd, J = 14.1, 7.7, 1.6 Hz, 1H), 7.39 (d, J = 8.6 Hz, 1H), 6.90-6.84 (m, 1H), 6.65 (dd, J = 8.6, 2.1 Hz, 1H), 6.63 (d, J = 2.0 Hz, 1H), 6.09 (t, J = 7.8 Hz, 1H), 5.15 (s, 2H), 1.76 (s, 3H), 1.74 (s, 3H).
화합물 78. (2-((5-클로로-2-((1-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5
IPA (1 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0 mg, 0.158 mmol)의 용액에 1-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5-아민 (24.6 mg, 0.166 mmol)에 이어 PTSA (54.2 mg, 0.28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MC로 세척한 다음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하여 화합물 78 (7.12 mg, 0.0166 mmol, 10 %)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426.38 [M + H+]
1H NMR (400 MHz, CDCl3) δ 10.99 (s, 1H), 8.53-8.49 (m, 1H), 8.49 (s, 1H), 8.12 (s, 1H), 7.92 (s, 1H), 7.37 (t, J = 7.9 Hz, 1H), 7.32-7.27 (m, 1H), 7.17-7.09 (m, 1H), 7.00 (d, J = 1.6 Hz, 1H), 4.17 (s, 3H), 1.86 (s, 3H), 1.83 (s, 3H).
화합물 79. (2-((2-((1H-피롤로[2,3-b]피리딘-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7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6
IPA (1 mL) 중의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0 mg, 0.158 mmol)의 용액에 1H-피롤로 [2,3-b]피리딘-5-아민 (23.2 mg, 0.174 mmol)를 첨가한 다음 PTSA (45.1 mg, 0.3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MC로 세척한 다음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DCM 중 5 % MeOH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9 (43.8 mg, 0.106 mmol, 67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11.82 [M + H+]
1H NMR (400 MHz, DMSO) δ 11.51 (s, 1H), 11.13 (s, 1H), 9.34 (s, 1H), 8.53 (s, 1H), 8.29 (d, J = 2.4 Hz, 1H), 8.22 (d, J = 2.4 Hz, 1H), 8.17 (s, 1H), 7.57 (ddd, J = 13.9, 7.7, 1.6 Hz, 1H), 7.46-7.41 (m, 1H), 7.34 (d, J = 9.5 Hz, 1H), 7.15 (tdd, J = 7.5, 2.2, 1.1 Hz, 1H), 6.36 (dd, J = 3.4, 1.9 Hz, 1H), 1.79 (s, 3H), 1.76 (s, 3H)
화합물 80. (2-((5-클로로-2-((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4,3-c]피리딘-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8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7
디옥산 (2 mL) 중의 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4,3-c]피리딘-6-아민 (15.1 mg, 0.086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25.0 mg, 0.0799 mmol)를 첨가한 다음 Pd(OAc) 2 (1.77 mg, 0.00799 mmol), 잔트포스 (4.56 mg, 0.00790 mmol), 세슘 카보네이트 (52.0 mg, 0.16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40분 동안 160 ℃로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셀라이트 베드상에서 여과하고 EA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80 (16.0 mg, 0.0350 mmol 43 %)을 얻었다.
LCMS: 456.2 [M + H]+.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11.01 (s, 1H), 8.78 (d, J = 1.1 Hz, 1H), 8.72-8.62 (m, 1H), 8.34 (d, J = 1.1 Hz, 1H), 8.30 (s, 1H), 8.28 (s, 1H), 8.04 (s, 1H), 7.56-7.50 (m, 1H), 7.40-7.31 (m, 1H), 7.21-7.14 (m, 1H), 4.66 (h, J = 6.5 Hz, 1H), 1.89 (d, J = 13.2 Hz, 6H), 1.55 (d, J = 6.6 Hz, 6H).
화합물 81. (2-((2-((3-브로모-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8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8
1) 3-bromo-1H-indazol-5-amine 합성
MeOH 10 mL 중의 3-브로모-5-니트로-1H-인다졸 (1.0 g, 4.13 mmol)의 용액에 Pd/C (100 mg, 10 mol%)를 첨가하고 밤새 parr 셰이커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었고, 촉매를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약간 불순한 자주색 고체로서 3-브로모-1H-인다졸-5-아민 (691 mg, 3.25 mmol, 78 %)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91 (s, 1H), 7.27 (d, J = 8.8 Hz, 1H), 6.86 (dd, J = 8.9, 2.1 Hz, 1H), 6.54 (d, J = 1.9 Hz, 1H), 5.02 (s, 2H).
2) (2-((2-((3-bromo-1H-pyrazolo[3,4-b]pyridin-5-yl)amino)-5-chlor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oxide
IPA (10 mL) 중의 3-브로모-1H-인다졸-5-아민 (890 mg, 2.82 mmol)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890 mg, 2.82 mmol)를 첨가한 다음 PTSA (804 mg, 4.2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솜털같은 고체로서 화합물 81 (350 mg, 0.713 mmol, 25 %)을 수득하였다.
LCMS: 493.2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92 (s, 1H), 11.09 (s, 1H), 9.40 (s, 1H), 8.57 (s, 1H), 8.19 (s, 1H), 8.09 (s, 1H), 7.93 (s, 1H), 7.60 (ddd, J = 13.8, 7.7, 1.6 Hz, 1H), 7.52-7.41 (m, 3H), 7.24-7.15 (m, 1H), 1.80 (s, 3H), 1.76 (s, 3H).
화합물 82. (2-((2-((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8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099
IPA (0.6 mL) 중의 3-브로모-1H-피라졸로[3,4-b]피리딘-5-아민 (22.8 mg, 0.17 mmol)의 용액에 2,5-디클로로-N-(2-(디메틸포스포릴)페닐)피리미딘-4-아민 (50 mg, 0.16 mmol)에 이어 PTSA (46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9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냈고, 고체를 여과하고, 물에 용해시키고, 중소듐 카보네이트 (pH 7-8)으로 MC 10 ml로 세척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건조시켰다. 황산나트륨과 용매를 진공 증류하여 푹신한 고체 형태의 화합물 82 (21 mg, 0.050 mmol, 31 %)을 얻었다.
LCMS: 414.3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3.52 (s, 1H), 11.11 (s, 1H), 9.58 (s, 1H), 8.62 (d, J = 2.4 Hz, 1H), 8.47 (s, 2H), 8.22 (s, 1H), 8.03 (d, J = 1.4 Hz, 1H), 7.61 (ddd, J = 13.9, 7.7, 1.6 Hz, 1H), 7.43 (t, J = 7.9 Hz, 1H), 7.25 - 7.17 (m, 1H), 1.78 (d, J = 13.5 Hz, 6H)
화합물 83. (2-((5-클로로-2-((3-(2-플루오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8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0
디옥산수 (2 mL) 중 20-214 (50.0 mg, 0.101 mmol)의 용액에 2-플루오르피리딘-3-보론산 (17.3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참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10 ℃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 하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83 (7.0 mg, 0.014 mmol, 13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08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3.45 (s, 1H), 11.15 (s, 1H), 9.47 (s, 1H), 8.51 (s, 1H), 8.33-8.25 (m, 2H), 8.19 (s, 1H), 8.09 (d, J = 2.6 Hz, 1H), 7.67 (dd, J = 9.4, 1.8 Hz, 1H), 7.56 (d, J = 9.0 Hz, 1H), 7.53-7.42 (m, 2H), 7.11 (s, 1H), 7.01-6.88 (m, 1H), 1.81 (s, 3H), 1.77 (s, 3H).
화합물 84. (2-((2-((3-(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8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1
디옥산수 ( 2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 용액에 (1H-피라졸-4-일)보론산 (20.2 mg, 0.181 mmol),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20.2 mg, 0.181 mmol)를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10 ℃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84 (9.0 mg, 0.018 mmol, 1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79.1 [M + H]+
화합물 85. tert-butyl tert-부틸 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3,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
[반응식 8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2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 용액에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20.2 mg, 0.181 mmol)를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10 ℃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 하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85 (19.0 mg, 0.0319 mmol, 31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94.1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9 (s, 1H), 11.21 (s, 1H), 9.35 (s, 1H), 8.59 (s, 1H), 8.27-8.14 (m, 2H), 7.62-7.49 (m, 2H), 7.46 (d, J = 8.9 Hz, 1H), 7.25 (s, 1H), 7.08 (t, J = 7.5 Hz, 1H), 6.29 (s, 1H), 3.91 (s, 2H), 3.61-3.48 (m, 2H), 2.71-2.60 (m, 2H), 1.81 (s, 3H), 1.78 (s, 3H), 1.43 (s, 9H).
화합물 86. 5-플루오로-N 2 -(1H-인다졸-5-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8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3
IPA (1 mL) 중의 20-105 (50.0 mg, 0.162 mmol) 용액에 5-아미노-1H-인다졸 (22.6 mg, 0.170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분 동안 hex 중 80 % EA, MC 20분 중 5 % MeOH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6 (9.25 mg, 0.0228 mmol, 14 %)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LC/MS: 406.21 [M + H+]
1H NMR (400 MHz, DMSO) δ 12.83 (s, 1H), 9.00 (s, 1H), 8.248.18 (m, 1H), 7.95 (s, 1H), 7.89 (d, J = 3.8 Hz, 1H), 7.50 (dd, J = 9.0, 2.0 Hz, 1H), 7.41 (d, J = 8.9 Hz, 1H), 7.34 (d, J = 7.7 Hz, 1H), 4.084.00 (m, 1H), 3.63 (d, J = 12.2 Hz, 2H), 2.92 (s, 3H), 2.892.80 (m, 2H), 2.02 (d, J = 12.7 Hz, 2H), 1.65 (qd, J = 12.0, 4.1 Hz, 2H).
화합물 87. 5-플루오로-N 2 -(1H-인다졸-6-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8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4
IPA (1 mL) 중의 20-105 (50.0 mg, 0.162 mmol) 용액에 5-아미노-1H-인다졸 (22.6 mg, 0.170 mmol)을 첨가한 다음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ex 중 80 % EA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7 (9.25 mg, 0.0228 mmol, 14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 δ 12.73 (s, 1H), 9.23 (s, 1H), 8.19 (s, 1H), 7.95 (d, J = 3.6 Hz, 1H), 7.89 (s, 1H), 7.56 (d, J = 8.7 Hz, 1H), 7.41 (d, J = 7.7 Hz, 1H), 7.25 (dd, J = 8.8, 1.8 Hz, 1H), 4.10 (dt, J = 7.6, 3.9 Hz, 1H), 3.62 (d, J = 12.1 Hz, 2H), 2.93 (s, 3H), 2.88 (d, J = 10.3 Hz, 2H), 2.02 (d, J = 12.4 Hz, 2H), 1.73 - 1.61 (m, 2H).
화합물 88. N 2 -(3-브로모-1H-인다졸-5-일)-5-플루오로-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8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5
IPA (1 mL) 중의 20-127 (50.0 mg, 0.162 mmol) 용액에 20-126 (36.1 mg, 0.170 mmol)에 이어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ex 중 80 % EA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 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8 (61.1 mg, 0.126 mmol, 78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486.21 [M + H+]
1H NMR (400 MHz, DMSO) δ 13.21 (s, 1H), 9.21 (s, 1H), 8.16 (d, J = 1.9 Hz, 1H), 7.93 (d, J = 3.8 Hz, 1H), 7.54 (dd, J = 9.1, 2.0 Hz, 1H), 7.45 (d, J = 9.0 Hz, 1H), 7.39 (d, J = 7.8 Hz, 1H), 4.21-4.07 (m, 1H), 3.60 (d, J = 12.2 Hz, 2H), 2.90 (s, 3H), 2.90-2.83 (m, 2H), 2.00 (d, J = 14.4 Hz, 2H), 1.74-1.59 (q, 2H).
화합물 89. 5-플루오로-N 2 -(1H-인돌-5-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8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6
IPA (1 mL) 중의 20-127 (50.0 mg, 0.162 mmol) 용액에 5-아미노-인돌 (22.5 mg, 0.170 mmol)에 이어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7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ex 중 80 % EA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9 (29.0 mg, 0.0717 mmol, 45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405.27 [M + H+]
1H NMR (400 MHz, DMSO) δ 10.84 (s, 1H), 8.74 (s, 1H), 7.95 (s, 1H), 7.85 (d, J = 3.8 Hz, 1H), 7.25 (d, J = 1.9 Hz, 3H), 6.31 (t, J = 2.5 Hz, 1H), 4.03 (q, J = 7.0 Hz, 1H), 3.63 (d, J = 11.9 Hz, 2H), 2.91 (s, 3H), 2.88-2.78 (m, 2H), 2.01 (d, J = 17.1 Hz, 2H), 1.63 (q, J = 11.6, 10.9 Hz, 2H).
화합물 90. 5-플루오로-N 2 -(2-메틸-1H-인돌-5-일)-N 4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반응식 9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7
IPA (1 mL)에 녹인 20-127 (50.0 mg, 0.162 mmol) 용액에 5-아미노-2-메틸 인돌 (24.9 mg, 0.170 mmol)에 이어 PTSA (46.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한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ex 중 80 % EA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0 (25.4 mg, 0.0607 mmol, 38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419.37 [M + H+]
1H NMR (400 MHz, DMSO) δ 10.64 (s, 1H), 8.67 (s, 1H), 7.81 (dd, J = 15.8, 2.9 Hz, 2H), 7.25 (d, J = 7.7 Hz, 1H), 7.21-6.99 (m, 2H), 6.00 (s, 1H), 4.03 (d, J = 7.5 Hz, 1H), 3.63 (d, J = 11.9 Hz, 2H), 2.91 (s, 3H), 2.89-2.73 (m, 2H), 2.34 (s, 3H), 2.06-1.94 (m, 2H), 1.74-1.55 (m, 2H).
화합물 91. 2-((5-클로로-2-((3-(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8
DCM 0.25 mL 중 20-228 (1.0 g, 1.3 mol)의 용액에 HCl/디옥산 4 N (0.0105 mL, 0.042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DCM으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중소듐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하고 DCM (15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유기층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흰색 고체의 화합물 91 (6.0 mg, 0.012 mmol, 75 %)을 얻었다.
LCMS: 494.6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0 (s, 1H), 11.23 (s, 1H), 9.33 (s, 1H), 8.62 (s, 1H), 8.18 (s, 1H), 8.15 (s, 1H), 7.64 - 7.52 (m, 2H), 7.44 (d, J = 8.9 Hz, 1H), 7.31 (s, 1H), 7.11 (t, J = 7.4 Hz, 1H), 6.36 (s, 1H), 2.93 (t, J = 5.6 Hz, 2H), 2.55 (s, 2H), 1.80 (s, 3H), 1.77 (s, 3H).
화합물 92. 5-(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퓨란-2-카르발데히드
[반응식 9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09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 용액에 (5-포르밀푸란-2-일)보론산 (25.3 mg, 0.181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10 ℃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2 (9.0 mg, 0.018 mmol, 1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07.2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3.59 (s, 1H), 11.27 (s, 1H), 9.57 (s, 1H), 9.50 (s, 1H), 8.61 (s, 1H), 8.51 (s, 1H), 8.23 (s, 1H), 7.66-7.55 (m, 3H), 7.50 (dd, J = 14.5, 8.0 Hz, 1H), 7.07 (d, J = 3.7 Hz, 2H), 6.99-6.90 (m, 1H), 1.81 (s, 3H), 1.77 (s, 3H).
화합물 93. (2-((5-클로로-2-((3-(1-이소프로필-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0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의 용액에 4-(4,5-디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 (42.7 mg, 0.181 mmol)를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30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3 (16.0 mg, 0.0307 mmol, 30 %)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21.96 [M + H]+
1H NMR (500 MHz, DMSO-d6) δ 12.83 (s, 1H), 11.19 (s, 1H), 9.32 (s, 1H), 8.58 (d, J = 16.6 Hz, 1H), 8.21 (s, 1H), 8.19 (s, 1H), 8.15 (s, 1H), 7.89 (s, 1H), 7.84-7.67 (m, 1H), 7.61-7.41 (m, 4H), 6.99 (s, 2H), 4.58-4.47 (m, 1H), 1.78 (s, 3H), 1.76 (s, 3H), 1.42 (d, J = 6.7 Hz, 6H).
화합물 94. (2-((5-클로로-2-((3-(1-메틸-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1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의 용액에 4-(4,5-디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 (42.7 mg, 0.181 mmol)를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3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4 (24.0 mg, 0.0486 mmol, 4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93.6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3 (s, 1H), 11.21 (s, 1H), 9.33 (s, 1H), 8.57 (s, 1H), 8.19 (s, 1H), 8.15 (s, 1H), 8.11 (s, 1H), 7.86 (s, 1H), 7.84-7.65 (m, 1H), 7.59-7.42 (m, 3H), 7.13-6.92 (m, 1H), 3.85 (s, 3H), 1.80 (s, 3H), 1.77 (s, 3H).
화합물 95. (2-((5-클로로-2-((3-(1-프로필-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2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의 용액에 1-프로필-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 (42.7 mg, 0.181 mmol)를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3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5 (27.0 mg, 0.0518 mmol, 51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21.6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3 (s, 1H), 11.19 (s, 1H), 9.31 (s, 1H), 8.65-8.49 (m, 1H), 8.19 (d, J = 3.0 Hz, 2H), 8.16-8.11 (m, 1H), 7.89 (s, 1H), 7.79 (td, J = 7.9, 3.6 Hz, 1H), 7.70 (ddd, J = 13.6, 8.4, 1.3 Hz, 1H), 7.56-7.48 (m, 2H), 7.46 (d, J = 8.8 Hz, 1H), 6.98 (s, 1H), 4.08 (t, J = 6.9 Hz, 2H), 1.82-1.77 (m, 5H), 1.76 (s, 3H), 0.82 (t, J = 7.4 Hz, 3H).
화합물 96. (2-((5-클로로-2-((3-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3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의 용액에 페닐보론산 (18.5 mg, 0.151 mmol)를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3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6 (14.0 mg, 0.0286 mmol, 2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489.6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1.40 (s, 1H), 9.62 (s, 1H), 8.53 (s, 1H), 8.28-8.18 (m, 2H), 7.92 (dd, J = 7.3, 1.6 Hz, 2H), 7.62 (dd, J = 8.9, 1.9 Hz, 1H), 7.58-7.50 (m, 2H), 7.46 (t, J = 7.6 Hz, 2H), 7.40-7.34 (m, 1H), 7.03 (s, 2H), 1.79 (d, J = 13.5 Hz, 6H).
화합물 97. (2-((5-클로로-2-((3-(3-니트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4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14 (50.0 mg, 0.101 mmol)의 용액에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14.1 mg, 0.020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1 mg, 0.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3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7 (16.0 mg, 0.0299 mmol, 29 %)을 밝은 녹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34.6. [M + H]+,
1H NMR (500 MHz, DMSO-d6) δ 13.44 (s, 1H), 11.26 (s, 1H), 9.57 (s, 1H), 8.58 (d, J = 39.6 Hz, 3H), 8.34 (d, J = 7.8 Hz, 1H), 8.23 (s, 1H), 8.20-8.12 (m, 1H), 7.71 (t, J = 8.0 Hz, 1H), 7.64 (d, J = 9.1 Hz, 1H), 7.59 (d, J = 8.9 Hz, 1H), 7.53-7.41 (m, 1H), 7.24-6.73 (m, 2H), 1.81 (s, 3H), 1.78 (s, 3H).
화합물 98. (2-((5-클로로-2-((3-(2-플루오로피리딘-3-일)-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9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5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289 (30.0 mg, 0.0610 mmol)의 용액에 (2-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 (13.0 mg, 0.0915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8.5 mg, 0.012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20.1 mg, 0.18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0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화합물 98 (5.0 mg, 0.0098 mmol, 16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09.2 [M + H]+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0.90 (s, 1H), 8.79 (dd, J = 12.6, 2.5 Hz, 2H), 8.73-8.47 (m, 2H), 8.45-8.38 (m, 1H), 8.31 (dd, J = 8.4, 4.3 Hz, 1H), 8.27-8.22 (m, 1H), 8.20 (s, 1H), 7.38-7.32 (m, 1H), 7.15 (ddd, J = 14.0, 7.7, 1.6 Hz, 1H), 6.98 (t, J = 7.9 Hz, 1H), 6.72 (t, J = 7.3 Hz, 1H), 1.93 (s, 3H), 1.90 (s, 3H).
화합물 99. 1-(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3,6-디히드로피리딘-1(2H)-일)에탄-1-온
[반응식 9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6
DCM 1mL 중의 20-353 (20.0 mg, 0.0405 mmol)의 현탁 용액에 0 ℃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6.21 mg, 0.0608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혼합물에 TEA (12.8 mg, 0.121 mmol)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소비를 나타낸다. 마찰을 물 5 mL로 퀜칭하고 DCM (20 mL×2)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유기층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흰색 고체 형태의 화합물 99 (7.00 mg, 0.013 mmol, 32 %)을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3:2 비의 rotamer로 존재함을 보여 주었다.
LCMS: 536.6 [M + H]+, 558.6 [M+ Na]+.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1.18-11.02 (m, 1H), 8.69-8.55 (m, 1H), 8.30 (s, 0.6H), 8.19 (s, 0.4H), 8.16-8.10 (m, 1H), 7.46 (s, 1H), 7.46-7.28 (m, 1.6H), 7.28-7.13 (m, 2.4H), 7.10-6.97 (m, 1H), 6.42-6.35 (m, 0.4H), 6.28-6.21 (m, 0.6H), 4.14-4.05 (m, 0.80H), 3.99 (s, 1.20H), 3.82 (t, J = 5.6 Hz, 0.8H), 3.67 (t, J = 5.6 Hz, 1.2H), 2.89-2.80 (m, 1.2H), 2.81-2.73 (m, 0.8H), 2.20 (s, 2.0H), 2.13 (s, 1H), 1.93 (s, 2H), 1.90 (s, 3H), 1.86 (s, 1H).
화합물 100. (2-((2-((3-(3-아미노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옥사이드
[반응식 10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7
MeOH 5 mL 중의 20-004 (30.0 mg, 0.0561 mmol)의 현탁 용액에 실온에서 Pd/C (3.0 mg, 10 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 대기 (50psi)하에 12시간 동안 parr 반응기에서 흔들었다. TLC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었고, 촉매는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되고 MeOH로 세척되었으며, 용매는 진공 하에서 완전히 증발되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0 (9.0 mg, 0.0178 mmol, 31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04.1 [M + H]+.
1H NMR (500 MHz, DMSO-d6) δ 11.11-11.04 (m, 1H), 9.18-9.09 (m, 1H), 8.65-8.58 (m, 1H), 8.46-8.39 (m, 1H), 8.17-8.05 (m, 2H), 7.78 (d, J = 8.9 Hz, 1H), 7.66 (dd, J = 9.0, 1.8 Hz, 1H), 7.35 (dd, J = 14.2, 7.6 Hz, 1H), 7.16 (d, J = 7.6 Hz, 1H), 7.08 (t, J = 7.7 Hz, 1H), 6.98-6.89 (m, 2H), 6.72 (s, 1H), 6.65 (dd, J = 8.2, 2.6 Hz, 1H), 5.97 (d, J = 5.9 Hz, 2H), 1.76-1.68 (m, 6H).
화합물 101. (2-((5-클로로-2-((3-(5-(히드록시메틸)퓨란-2-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0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8
1) 5-(5-((5-chloro-4-((2-(dimethylphosphoryl)phenyl)amino)pyrimidin-2-yl)amino)-1H-indazol-3-yl)furan-2-carbaldehyde.
디옥산:물 (5 mL) 중의 20-343 (200 mg, 0.406 mmol) 용액에 (5-포밀푸란-2-일)보론산 (102 mg, 0.488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57.0 mg, 0.0812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129 mg, 1.2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EA를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20-351 (30.0 mg, 0.059 mmol, 14.5 %)을 주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59 (s, 1H), 11.27 (s, 1H), 9.57 (s, 1H), 9.50 (s, 1H), 8.61 (s, 1H), 8.51 (s, 1H), 8.23 (s, 1H), 7.66-7.55 (m, 3H), 7.50 (dd, J = 14.5, 8.0 Hz, 1H), 7.07 (d, J = 3.7 Hz, 2H), 6.99-6.90 (m, 1H), 1.81 (s, 3H), 1.77 (s, 3H).
2) (2-((5-chloro-2-((3-(5-(hydroxymethyl)furan-2-yl)-1H-indazol-5-yl)amino)pyrimidin-4-yl)amino)phenyl)dimethylphosphine oxide.
0 ℃의 MeOH (1 mL) 중 20-351 (15.0 mg, 0.0295 mmol)의 현탁액에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1.67 mg, 0.0355 mmol)를 첨가하고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했다. TLC는 새로운 스팟의 형성을 나타내었고, 반응을 물로 퀜칭하고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 (15 mL×2)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조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1 (3.50 mg, 0.00687 mmol, 23 %)을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LCMS: 509 [M + H]+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11.07 (s, 1H), 8.67 (dd, J = 8.5, 4.4 Hz, 1H), 8.29 (d, J = 1.9 Hz, 1H), 8.14 (s, 1H), 7.54 (dd, J = 8.9, 2.0 Hz, 1H), 7.46 (d, J = 8.9 Hz, 1H), 7.27-7.21 (m, 2H), 7.20-7.13 (m, 1H), 7.01-6.96 (m, 1H), 6.79 (d, J = 3.3 Hz, 1H), 6.40 (d, J = 3.3 Hz, 1H), 4.64 (s, 2H), 2.09-2.04 (m, 1H), 1.88 (s, 3H), 1.85 (s, 3H).
화합물 102. tert-부틸4-(5-((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반응식 10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19
1) tert-butyl 4-(5-((5-chloro-4-((2-(dimethylphosphoryl)phenyl)amino)pyrimidin-2-yl)amino)-1H-indazol-3-yl)-3,6-dihydropyridine-1(2H)-carboxylate.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343 (150 mg, 0.305 mmol) 용액에 tert-부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3,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 (170 mg, 0.549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42.8 mg, 0.06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97.0 mg, 0.91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20-346 (176 mg, 0.296 mmol, 72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94.1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9 (s, 1H), 11.21 (s, 1H), 9.35 (s, 1H), 8.59 (s, 1H), 8.27-8.14 (m, 2H), 7.62-7.49 (m, 2H), 7.46 (d, J = 8.9 Hz, 1H), 7.25 (s, 1H), 7.08 (t, J = 7.5 Hz, 1H), 6.29 (s, 1H), 3.91 (s, 2H), 3.61-3.48 (m, 2H), 2.71-2.60 (m, 2H), 1.81 (s, 3H), 1.78 (s, 3H), 1.43 (s, 9H).
2) tert-butyl 4-(5-((4-((2-(dimethylphosphoryl)phenyl)amino)pyrimidin-2-yl)amino)-1H-indazol-3-yl)piperidine-1-carboxylate.
DMF 0.5 mL 및 EtOH (4.5 mL) 중의 20-346 (50.0 mg, 0.0843 mmol)의 현탁 용액에 실온에서 Pt/O 2 (7.5 mg, 15 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 대기 (50 psi)하에 parr 반응기에서 36시간 동안 흔들었다. TLC는 새로운 스팟의 형성을 나타내었고, 혼합물을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서 완전히 증발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2 (7.0 mg, 0.0124 mmol, 14 %)을 자주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2.53 (s, 1H), 10.95 (s, 1H), 9.18 (s, 1H), 8.52 (s, 1H), 8.13-8.02 (m, 2H), 7.66-7.53 (m, 2H), 7.43-7.32 (m, 2H), 7.09 (t, J = 7.4 Hz, 1H), 6.09 (d, J = 5.7 Hz, 1H), 4.10-3.97 (m, 2H), 3.19-3.09 (m, 1H), 2.89 (s, 2H), 1.93 (d, J = 13.3 Hz, 2H), 1.81 (s, 3H), 1.78 (s, 3H), 1.75-1.64 (m, 2H), 1.42 (s, 9H).
화합물 103. 디메틸(2-((2-((3-(피페리딘-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반응식 10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0
1) tert-butyl 4-(5-((5-chloro-4-((2-(dimethylphosphoryl)phenyl)amino)pyrimidin-2-yl)amino)-1H-indazol-3-yl)-3,6-dihydropyridine-1(2H)-carboxylate.
디옥산수 (2 mL)에 녹인 20-343 (150 mg, 0.305 mmol) 용액에 tert-부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3,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 (170 mg, 0.549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42.8 mg, 0.06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97.0 mg, 0.91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하에서 10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고체는 여과되었고 용매는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5 % MeOH:DCM을 사용하여 MPLC하에 정제하여 20-346 (176 mg, 0.296 mmol, 72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94.1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9 (s, 1H), 11.21 (s, 1H), 9.35 (s, 1H), 8.59 (s, 1H), 8.27-8.14 (m, 2H), 7.62-7.49 (m, 2H), 7.46 (d, J = 8.9 Hz, 1H), 7.25 (s, 1H), 7.08 (t, J = 7.5 Hz, 1H), 6.29 (s, 1H), 3.91 (s, 2H), 3.61-3.48 (m, 2H), 2.71-2.60 (m, 2H), 1.81 (s, 3H), 1.78 (s, 3H), 1.43 (s, 9H).
2) tert-butyl 4-(5-((4-((2-(dimethylphosphoryl)phenyl)amino)pyrimidin-2-yl)amino)-1H-indazol-3-yl)piperidine-1-carboxylate.
DMF 0.5 mL 및 EtOH (4.5 mL) 중의 20-346 (50.0 mg, 0.0843 mmol)의 현탁 용액에 실온에서 Pt/O 2 (7.5 mg, 15 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 대기 (50 psi)하에 parr 반응기에서 36시간 동안 흔들었다. TLC는 새로운 스팟의 형성을 나타내었고, 혼합물을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서 완전히 증발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5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20-362 (7.0 mg, 0.0124 mmol, 14 %)을 자주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2.53 (s, 1H), 10.95 (s, 1H), 9.18 (s, 1H), 8.52 (s, 1H), 8.13-8.02 (m, 2H), 7.66-7.53 (m, 2H), 7.43-7.32 (m, 2H), 7.09 (t, J = 7.4 Hz, 1H), 6.09 (d, J = 5.7 Hz, 1H), 4.10-3.97 (m, 2H), 3.19-3.09 (m, 1H), 2.89 (s, 2H), 1.93 (d, J = 13.3 Hz, 2H), 1.81 (s, 3H), 1.78 (s, 3H), 1.75-1.64 (m, 2H), 1.42 (s, 9H).
3) dimethyl(2-((2-((3-(piperidin-4-yl)-1H-indazol-5-yl)amino)pyrimidin-4-yl)amino)phenyl)phosphine oxide hydrochloride.
DCM 1 mL 중 20-362 (5.0 mg, 0.0084 mmol)의 현탁액에 HCl (0.005 mL, 0.020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완전히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흡습성 자주색 고체로서 화합물 103 (2.6 mg, 0.0050 mmol, 59 %)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01 (s, 1H), 12.06 (s, 1H), 10.86 (s, 1H), 9.42-8.87 (m, 3H), 7.96 (d, J = 45.0 Hz, 3H), 7.72 (s, 1H), 7.56 (d, J = 8.8 Hz, 1H), 7.49-7.12 (m, 3H), 6.37 (d, J = 7.2 Hz, 1H), 3.42-3.23 (m, 3H), 3.03 (s, 2H), 2.08 (s, 3H), 1.80 (d, J = 13.6 Hz, 6H).
화합물 104. (2-((5-클로로-2-((3-(피리딘-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0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1
디옥산 (5 mL) 중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4-피리딜보론산 (20.7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 (32.4 mg, 0.30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4 (6.10 mg, 0.012 mmol 12.3 %)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8.52-8.42 (m, 4H), 8.14 (s, 1H), 7.95-7.90 (m, 5H), 7.56 (d, J = 1.3 Hz, 2H), 7.52-7.43 (m, 1H), 7.11-7.04 (m, 1H), 6.99-6.90 (m, 1H), 1.92 (s, 3H), 1.88 (s, 3H).
화합물 105. 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벤조니트릴
[반응식 10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2
디옥산/물 9:1/H 2O (5 mL) 중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4-시아노필보론산 (17.9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32.4 mg, 0.30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5 (26.2 mg, 0.051 mmol, 50.0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14.5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38 (s, 1H), 11.23 (s, 1H), 9.48 (s, 1H), 8.62-8.49 (m, 1H), 8.36 (s, 1H), 8.25-8.18 (m, 3H), 7.83-7.74 (m, 1H), 7.73-7.44 (m, 4H), 7.12-6.85 (m, 2H), 1.82 (d, J = 3.5 Hz, 3H), 1.77 (d, J = 3.5 Hz, 3H).
화합물 106. 1-(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페닐)에탄-1-온
[반응식 10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3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 용액에 (4-아세틸페닐)보론산 (24.4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32.4 mg, 0.30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6 (28.4 mg, 0.053 mmol, 52.4 %)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31.2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33 (d, J = 21.4 Hz, 1H), 11.22 (d, J = 5.8 Hz, 1H), 9.49 (s, 1H), 8.72-8.39 (m, 2H), 8.23 (s, 1H), 8.01 (q, 2H), 7.93-7.82 (m, 1H), 7.71-7.36 (m, 4H), 7.18 -7.08 (m, 1H), 6.91 (s, 1H), 2.61 (s, 1H), 1.82 (d, J = 3.4 Hz, 3H), 1.77 (s, 2H).
화합물 107. (2-((5-클로로-2-((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0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4
디옥산/물 9:1 (5 mL) 중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보론산 (21.3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7 (3.6 mg, 0.0067 mmol 6.5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14.4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29 (s, 1H), 11.24 (d, J = 17.3 Hz, 1H), 9.52-9.47 (m, 1H), 8.22 (d, J = 8.1 Hz, 1H), 8.04-7.93 (m, 1H), 7.90-7.84 (m, 1H), 7.66 (d, J = 9.1 Hz, 2H), 7.60 (d, J = 7.8 Hz, 0H), 7.58-7.39 (m, 3H), 7.15 (t, J = 7.6 Hz, 1H), 6.99-6.88 (m, 1H), 1.82 (s, 3H), 1.77 (s, 3H).
화합물 108. (2-((5-클로로-2-((3-(4-히드록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0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5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 용액에 (4-히드록시페닐)보론산 (16.8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8 (18.2 mg, 0.036 mmol, 35.7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05.31[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2.92 (s, 1H), 11.17 (s, 1H), 9.56 (s, 1H), 9.36 (s, 1H), 8.57 (s, 1H), 8.19 (s, 2H), 7.77-7.66 (m, 2H), 7.65-7.58 (m, 1H), 7.57-7.44 (m, 3H), 7.08-6.97 (m, 1H), 6.84 (d, J = 8.5 Hz, 2H), 1.81 (s, 3H), 1.76 (s, 3H).
화합물 109. (2-((5-클로로-2-((3-(3-플루오로-4-메톡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0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6
디옥산/물 9:1 (5 mL) 중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보론산 (20.7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09 (17.8 mg, 0.033 mmol, 32.8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37.17[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11 (s, 1H), 11.23 (s, 1H), 9.43 (s, 1H), 8.59 (s, 1H), 8.20 (s, 1H), 8.20 (s, 1H), 7.70-7.61 (m, 3H), 7.58-7.47 (m, 2H), 7.28-7.15 (m, 2H), 7.06-6.93 (m, 1H), 3.88 (s, 3H), 1.81 (s, 3H), 1.77 (s, 3H).
화합물 110. (2-((5-클로로-2-((3-(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7
디옥산/물 9:1 (5 mL)에 녹인 20-343 (50.0 mg, 0.102 mmol) 용액에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보론산 (25.1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0 (30.9 mg, 0.054 mmol, 53.4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73.15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26 (s, 1H), 11.24 (s, 1H), 9.45 (s, 1H), 8.64-8.53 (m, 1H), 8.34 (s, 1H), 8.21 (s, 1H), 8.01 (d, J = 8.6 Hz, 2H), 7.64 (d, J = 9.1 Hz, 1H), 7.58-7.46 (m, 2H), 7.42 (d, 2H), 7.17-6.87 (m, 2H), 1.81 (s, 3H), 1.76 (s, 3H).
화합물 111. (2-((5-클로로-2-((3-(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 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8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산 (72.1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1 (29.2 mg, 0.049 mmol, 48.9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91.08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42 (s, 1H), 11.33 (s, 1H), 9.56 (s, 1H), 8.58 (s, 1H), 8.49 (s, 1H), 8.28 (d, J = 2.1 Hz, 1H), 8.21 (s, 1H), 8.12 (d, J = 8.4 Hz, 1H), 7.73-7.61 (m, 2H), 7.60-7.45 (m, 2H), 7.12-6.93 (m, 1H), 6.91-6.79 (m, 1H), 1.83 (s, 3H), 1.79 (s, 3H).
화합물 112. (2-((5-클로로-2-((3-(3-클로로-4-메틸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29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3-클로로-4-메틸페닐)보론산 (20.8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2 (42.2 mg, 0.079 mmol, 77.7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37.24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21 (s, 1H), 11.27 (s, 1H), 9.48 (s, 1H), 8.67-8.53 (m, 1H), 8.20 (s, 1H), 7.90-7.85 (m, 1H), 7.75 (dd, J = 7.9, 1.7 Hz, 1H), 7.68-7.60 (m, 2H), 7.60-7.51 (m, 3H), 7.39 (d, J = 8.0 Hz, 1H), 7.21-7.05 (m, 1H), 7.00-6.89 (m, 1H), 2.37 (s, 3H), 1.82 (s, 3H), 1.77 (s, 3H).
화합물 113. (2-((5-클로로-2-((3-(3-클로로-5-메톡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0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3-클로로-5-메톡시벤젠보론산 (22.7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 ℃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3 (22.4 mg, 0.040 mmol, 40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53.24[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29 (s, 1H), 11.25 (d, J = 7.7 Hz, 1H), 9.49 (s, 1H), 8.62 (s, 1H), 8.35-8.21 (m, 1H), 8.19 (s, 1H), 7.78-7.70 (m, 1H), 7.60-7.47 (m, 3H), 7.42-7.37 (m, 1H), 7.24-7.11 (m, 1H), 7.04-6.97 (m, 2H), 3.84 (s, 3H), 1.83-1.79 (m, 3H), 1.79-1.75 (m, 3H).
화합물 114. (2-((5-클로로-2-((3-(4-(메틸설포닐)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1
디옥산/물 9:1 (5 mL)에 녹인 20-343 (50.0 mg, 0.102 mmol) 용액에 (4-(메틸 설포닐)페닐)보론산 (24.4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 ℃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4 (27.9 mg, 0.049 mmol, 49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67.21[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43 (s, 1H), 11.22 (s, 1H), 9.54 (s, 1H), 8.56-8.48 (m, 2H), 8.15-8.06 (m, 2H), 7.95-7.86 (m, 2H), 7.67-7.53 (m, 3H), 7.55-7.40 (m, 2H), 6.88-6.83 (m, 1H), 3.25 (s, 3H), 1.84 (s, 3H), 1.79 (s, 3H).
화합물 115. (2-((5-클로로-2-((3-(3-플루오로-5-이소프로폭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2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 용액에 (3-플루오로-5-이소프로폭시페닐)보론산 (24.2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5 (38.1 mg, 0.067 mmol, 0.67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65.26 [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3.25 (s, 1H), 11.25 (s, 1H), 9.47 (s, 1H), 8.71 -8.53 (m, 1H), 8.24 (s, 1H), 8.18 (s, 1H), 7.78-7.67 (m, 1H), 7.61-7.48 (m, 2H), 7.27 (s, 1H), 7.20 (d, J = 9.6 Hz, 2H), 7.07-6.95 (m, 1H), 6.84-6.76 (m, 1H), 4.77-4.65 (m, 1H), 1.81 (s, 3H), 1.76 (s, 3H), 1.31 (d, J = 6.0 Hz, 6H).
화합물 116. 3-(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벤조니트릴
[반응식 11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3
디옥산/물 9:1 (5 mL) 중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3-시아노페닐)보론산 (17.9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6 (34.2 mg, 0.067 mmol, 66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541.09[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3.39 (s, 1H), 11.33 (s, 1H), 9.55 (s, 1H), 8.55 (s, 1H), 8.36 (d, J = 1.8 Hz, 1H), 8.23 (d, J = 10.0 Hz, 3H), 7.82-7.76 (m, 1H), 7.71-7.62 (m, 2H), 7.58 (d, J = 8.9 Hz, 1H), 7.52 (dd, J = 14.0, 7.6 Hz, 1H), 7.15-6.99 (m, 1H), 6.94 (s, 1H), 1.80 (d, J = 13.5 Hz, 6H).
화합물 117. tert-부틸 4-(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반응식 11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4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 용액에 4-(4-Boc-피페라지노)페닐보론산 (37.4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7 (37.4 mg, 0.056 mmol, 55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673.33[M + H]+
1H NMR (300 MHz, DMSO-d6) δ 12.93 (s, 1H), 11.25 (s, 1H), 9.39 (s, 1H), 8.72-8.53 (m, 1H), 8.28-8.15 (m, 2H), 7.78 (d, J = 8.5 Hz, 2H), 7.68-7.59 (m, 1H), 7.58-7.51 (m, 1H), 7.51-7.46 (m, 1H), 7.18-6.96 (m, 4H), 3.54-3.44 (m, 4H), 3.22-3.12 (m, 4H), 1.81 (s, 3H), 1.76 (s, 3H), 1.44 (s, 9H).
화합물 118. (2-((5-클로로-2-((3-(3-히드록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5
디옥산/물 9:1 (5 mL) 중의 20-343 (50.0 mg, 0.102 mmol)의 용액에 (3-히드록시페닐)보론산 (16.8 mg, 0.122 mmol)을 첨가한 다음 비스 트리페닐포스포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4.3 mg, 0.0204 mmol), 소듐 카보네이트 (65.8 mg, 0.2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TLC는 새로운 스팟이 생성되었고 용매가 진공하에 증발되었음을 나타냈다. 잔류물을 용매 혼합물로서 10 % MeOH:MC를 사용하여 MPLC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118 (18.7 mg, 0.037 mmol, 37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505.2 [M + H]+
1H NMR (400 MHz, DMSO-d6) δ 13.07 (s, 1H), 11.21 (s, 1H), 9.48 (s, 1H), 8.23-8.17 (m, 2H), 8.09 (d, J = 1.2 Hz, 1H), 7.73-7.61 (m, 2H), 7.55-7.47 (m, 2H), 7.39-7.31 (m, 2H), 7.25 (t, J = 7.8 Hz, 1H), 7.22-7.16 (m, 1H), 7.06-6.97 (m, 1H), 6.75 (d, J = 8.5 Hz, 1H), 1.79 (s, 3H), 1.76 (s, 3H).
화합물 119. (2-((5-클로로-2-((3-(4-(피페라진-1-일)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반응식 11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6
DCM 5 mL 중의 화합물 117 (80.0 mg, 0.134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디옥산 (0.083 mL, 0.335 mmol) 중 4N HCl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냈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완전히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 15 mL에 용해시키고 DCM (15 mL×2)으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중소듐 카보네이트 분말로 염기성화하고 수성층을 DCM (20 mL×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켜 화합물 119 (56.0 mg, 0.112 mmol, 84 %)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92 (s, 1H), 11.23 (s, 1H), 9.39 (s, 1H), 8.61 (s, 1H), 8.28-8.17 (m, 2H), 7.75 (d, J = 8.6 Hz, 2H), 7.61 (d, J = 9.0 Hz, 1H), 7.56-7.46 (m, 2H), 7.21-7.07 (m, 1H), 7.05-6.94 (m, 3H), 3.16-3.02 (m, 4H), 2.91-2.79 (m, 4H), 1.80 (s, 3H), 1.77 (s, 3H).
<실시예 2. 본 발명 화합물의 효소저해 활성 및 항암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119를 이용하여 MLK3 / LRRK2 효소저해 활성 및 HepG2 / HS746T 암세포에서 항암활성을 확인하고 이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MLK3 및 LRRK2 효소 저해활성은 eurofins에서 평가하였다. 간략하게, 인간 재조합 MLK3 단백질을 반응액(8 mM MOPS (pH 7.0), 0.2 mM EDTA, 0.33 mg/mL myelin basic protein, 5 mM DTT)에서 화합물과 혼합한 후, 10 mM Magnesium acetate과 gamma-33P-ATP 혼합물을 넣어 12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0.5 % phosphoric acid의 첨가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전체 혼합액의 10 uL을 P30 filtermat에 spotting하고 0.425 % phosphoric acid로 4분간 4회 동안 washing하고 methanol로 1회 washing한 후, scintillation counting을 활용하여 MLK3의 활성값을 측정하여 대조군 대비 %값으로 평가하였다. LRRK2의 활성의 경우, 인간 재조합 LRRK2 단백질을 반응액(50 mM HEPES (pH 8.0), 0.2 mM EDTA, 0.01 % Brij-35, 1 % (w/v) BSA, 5 mM DTT, 250 uM 기질 펩타이드 RLGRDKYKTLRQIRQ)에서 화합물과 혼합한 후, 10 mM Magnesium acetate과 gamma-33P-ATP 혼합물을 넣어 4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0.5 % phosphoric acid의 첨가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전체 혼합액의 10 uL을 P30 filtermat에 spotting하고 0.425 % phosphoric acid로 4분간 4회 동안 washing하고 methanol로 1회 washing한 후, scintillation counting을 활용하여 LRRK2의 활성값을 측정하여 대조군 대비 %값으로 평가하였다.
항암활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HepG2 및 HS746T 암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매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하였고, 96웰플레이트에 웰당 4,000개의 세포를 100 uL의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깔고, 24시간 뒤에 화합물을 처리하고, 72시간 뒤에 CCK-8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을 대조군 대비 % 값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39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 피리미딘 화합물은 0.001~1 μM 농도에서의 MLK3 및 LRRK2 동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HepG2 / HS746T 암세포 실험에서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MLK3 및 LRRK2 억제활성과 관련된 질환인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0 (5-클로로-N-(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2-(1H-피라졸-4-일)피리미딘-4-아민) 2 g, 유당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0 (5-클로로-N-(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2-(1H-피라졸-4-일)피리미딘-4-아민) 100 ㎎,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 유당수화물 60 ㎎,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0 ㎎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47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100 ㎎,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 유당수화물 60 ㎎,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0 ㎎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환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47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90 ㎎, 찹쌀전분 5㎎ 및 정제수 5 ㎎ 및 흡습성을 저해하는 첨가제로서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옥수수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MCC)를 소량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00 ㎎의 환제를 만들었다.
<제제예 5.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47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1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0
    상기 화학식 1에서,
    R 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비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수소,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1
    또는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X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 1-C 6 알킬 또는 C 1-C 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2는 수소, C 1-C 4 알킬 또는 아세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비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비시클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알데히드, CF 3, SH, 트리플루오로케톤, C 1-C 6 알킬, C 1-C 6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수소, 할로겐, NH 2, 히드록시, CF 3, NO 2, 메탄설포네이트, Boc(tert-부톡시카보닐), 메틸케톤, 알데히드, C 1-C 6 히드록시알킬, C 1-C 6 알킬옥시, 피페라진 또는 C 1-C 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된다.
  2.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3
    [화학식 3]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4
    [화학식 4]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5
    [화학식 5]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6
    [화학식 6]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7
    [화학식 7]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8
    [화학식 8]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49
    [화학식 9]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50
    상기 화학식에서,
    R 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은 수소,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51
    또는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5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X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 1-C 6 알킬 또는 C 1-C 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2는 수소, C 1-C 4 알킬 또는 아세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4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알데히드, CF 3, SH, 트리플루오로케톤, C 1-C 6 알킬, C 1-C 6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된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수소, 할로겐, NH 2, 히드록시, CF 3, NO 2, 메탄설포네이트, Boc(tert-부톡시카보닐), 메틸케톤, 알데히드, C 1-C 6 히드록시알킬, C 1-C 6 알킬옥시, 피페라진 또는 C 1-C 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5는 수소, 할로겐, C 1-C 4 알킬, C 1-C 4 알콕시, 히드록시, 티오 C 1-C 4 알킬, 아미노로 치환된다.
  3.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0]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53
    상기 화학식 10에서,
    R 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 4-C 12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아릴은 수소,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54
    또는
    Figure PCTKR2020018478-appb-img-00015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X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 1-C 6 알킬 또는 C 1-C 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2는 수소, C 1-C 4 알킬 또는 아세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6는 수소, C 1-C 6 알킬, 할로 C 1-C 6 알킬케톤, 트리플루오케톤, 아세틸, Boc(tert-부톡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 7은 수소, C 1-C 6 알킬, 할로겐, 히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m은 0, 1 또는 2의 정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클로로-N 2-(3,5-디메톡시페닐)-N 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화합물 1);
    5-클로로-N 2-(3,5-디클로로페닐)-N 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화합물 2);
    5-클로로-N 2-(3,5-디메틸페닐)-N 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 피리미딘-2,4-디아민(화합물 3);
    N 2-(4-브로모-3,5-디플루오로페닐)-5-클로로-N 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화합물 4);
    N 2-(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클로로-N 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화합물 5);
    5-클로로-N 2-(3,5-디플루오로페닐)-N 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화합물 6);
    (2-((5-클로로-2-((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
    (2-((5-클로로-2-(퀴놀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8);
    (2-((2-(5-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
    (2-((5-클로로-2-((2-메틸피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0);
    (2-((2-(벤조[d]티아졸-6-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
    (2-((5-클로로-2-((4-플루오로벤질)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2);
    (2-((5-클로로-2-(시클로펜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3);
    (2-((2-(벤질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4);
    (2-((5-클로로-2-(피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5);
    (2-((5-클로로-2-(시클로헥실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6);
    (2-((5-클로로-2-((2-메틸벤조[d]티아졸-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7);
    (2-((5-클로로-2-(퀴놀린-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8);
    (2-((5-클로로-2-(퀴놀린-3-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9);
    (2-((5-클로로-2-(퀴놀린-8-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0);
    (2-((5-클로로-2-(이소퀴놀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1);
    (2-((5-클로로-2-((2,3-디히드로-1H-인덴-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2);
    (2-((5-클로로-2-((2-머캅토벤조[d]티아졸-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3);
    (2-((5-클로로-2-이소프로폭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4);
    (2-((5-클로로-2-((6-에톡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5);
    (2-((5-클로로-2-((4-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6);
    (2-((5-클로로-2-((4-메틸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7);
    (2-((5-클로로-2-((6-니트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8);
    (2-((5-클로로-2-((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29);
    (((5-클로로피리미딘-2,4-디일)비스(아자네디일))비스(2,1-페닐렌))비스(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0);
    (2-((5-클로로-2-((6-(메틸설포닐)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1);
    (2-((5-클로로-2-((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2);
    (2-((2-(벤조[d]티아졸-2-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3);
    (2-((5-클로로-2-((6-플루오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4);
    (2-((5-클로로-2-((6-메틸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5);
    (2-((5-클로로-2-((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6);
    5-플루오로-N 2, N 2-디메틸-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37);
    5-플루오로-N 2-(8-플루오로퀴놀린-4-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38);
    (2-((5-클로로-2-((3,4-디메틸이속사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39);
    (2-((5-클로로-2-((3,4-디메틸이속사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0);
    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2H)-온 (화합물 41);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1-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42);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에틸)아미노)-1,1-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43);
    (2-((5-클로로-2-((1,1-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44);
    (2-((5-클로로-2-((2-(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45);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46);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47);
    1-(6-((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48);
    (2-((5-클로로-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49);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4,4-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50);
    (2-((5-클로로-2-((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51);
    (2-((5-클로로-2-((4,4-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52);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이소프로필-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53);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54);
    (2-((5-클로로-2-((1-이소프로필-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55);
    2,2,2-트리플루오로-1-(7-((5-플루오로-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화합물 56);
    5-플루오로-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N 2-(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57);
    2,2,2-트리플루오로-1-(7-((5-플루오로-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이소프로필-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화합물 58);
    2,2,2-트리플루오로-1-(7-((5-플루오로-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화합물 59);
    5-플루오로-N 2-(1-이소프로필-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60);
    5-플루오로-N 2-(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61);
    1-(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62);
    (2-((5-클로로-2-((6-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7-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3);
    (2-((2-((1H-인다졸-6-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4);
    (2-((2-((1H-인돌-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5);
    (2-((2-((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6);
    (2-((2-((3-브로모-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7);
    (2-((2-((1H-인돌-4-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8);
    (2-((5-클로로-2-((2-메틸-1H-인돌-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69);
    7-((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틸-1H-인돌-3-카보니트릴 (화합물 70);
    (2-((2-((1H-인돌-7-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1);
    1-(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이소인돌린-2-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온 (화합물 72);
    (2-((5-클로로-2-(이소인돌린-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3);
    (2-((5-클로로-2-(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4);
    (2-((5-클로로-2-((2-(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d]이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5);
    (2-((5-클로로-2-((2-머캅토-1H-벤조[d]이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6);
    (2-((5-클로로-2-(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7);
    (2-((5-클로로-2-((1-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8);
    (2-((2-((1H-피롤로[2,3-b]피리딘-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79);
    (2-((5-클로로-2-((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4,3-c]피리딘-6-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80);
    (2-((2-((3-브로모-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81);
    (2-((2-((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82);
    (2-((5-클로로-2-((3-(2-플루오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83);
    (2-((2-((3-(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84);
    tert-부틸 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3,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85);
    5-플루오로-N 2-(1H-인다졸-5-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86);
    5-플루오로-N 2-(1H-인다졸-6-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87);
    N 2-(3-브로모-1H-인다졸-5-일)-5-플루오로-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88);
    5-플루오로-N 2-(1H-인돌-5-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89);
    5-플루오로-N 2-(2-메틸-1H-인돌-5-일)-N 4-(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피리미딘-2,4-디아민 (화합물 90);
    2-((5-클로로-2-((3-(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1);
    5-(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퓨란-2-카르발데히드 (화합물 92);
    (2-((5-클로로-2-((3-(1-이소프로필-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3);
    (2-((5-클로로-2-((3-(1-메틸-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4);
    (2-((5-클로로-2-((3-(1-프로필-1H-피라졸-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5);
    (2-((5-클로로-2-((3-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6);
    (2-((5-클로로-2-((3-(3-니트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7);
    (2-((5-클로로-2-((3-(2-플루오로피리딘-3-일)-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98);
    1-(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3,6-디히드로피리딘-1(2H)-일)에탄-1-온 (화합물 99);
    (2-((2-((3-(3-아미노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5-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100);
    (2-((5-클로로-2-((3-(5-(히드록시메틸)퓨란-2-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01);
    tert-부틸4-(5-((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02);
    디메틸(2-((2-((3-(피페리딘-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03);
    (2-((5-클로로-2-((3-(피리딘-4-일)-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04);
    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벤조니트릴 (화합물 105);
    1-(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페닐)에탄-1-온 (화합물 106);
    (2-((5-클로로-2-((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07);
    (2-((5-클로로-2-((3-(4-히드록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08);
    (2-((5-클로로-2-((3-(3-플루오로-4-메톡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09);
    (2-((5-클로로-2-((3-(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0);
    (2-((5-클로로-2-((3-(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 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1);
    (2-((5-클로로-2-((3-(3-클로로-4-메틸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2);
    (2-((5-클로로-2-((3-(3-클로로-5-메톡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3);
    (2-((5-클로로-2-((3-(4-(메틸설포닐)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4);
    (2-((5-클로로-2-((3-(3-플루오로-5-이소프로폭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5);
    3-(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벤조니트릴 (화합물 116);
    tert-부틸 4-(4-(5-((5-클로로-4-((2-(디메틸포스포릴)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1H-인다졸-3-일)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17);
    (2-((5-클로로-2-((3-(3-히드록시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8); 및
    (2-((5-클로로-2-((3-(4-(피페라진-1-일)페닐)-1H-인다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디메틸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119);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혈액암, 결장암, 비소세포성폐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소장암, 직장암, 자궁내막암, 질암, 고환암, 식도암, 담도암, 임파선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부신암,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흉선종, 중피종, 신장암, 뇌암, 중추신경계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 신종 인플루엔자A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포진 바이러스(Herpesvirus, HSV), 로타바이러스(rotavirus) 및 간염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파킨슨병, 비알코올성지방간염 및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20/018478 2019-12-16 2020-12-16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1258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22011834A BR112022011834A2 (pt) 2019-12-16 2020-12-16 Derivado de pirimidina e uso do mesmo
US17/785,782 US20240270698A2 (en) 2019-12-16 2020-12-16 Novel 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CA3161667A CA3161667A1 (en) 2019-12-16 2020-12-16 Novel 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AU2020406824A AU2020406824A1 (en) 2019-12-16 2020-12-16 Novel 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CN202411012417.XA CN118976029A (zh) 2019-12-16 2020-12-16 用于预防或治疗帕金森病或非酒精性脂肪性肝炎的药学组合物
JP2022536712A JP7659560B2 (ja) 2019-12-16 2020-12-16 新規な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用途
CN202080087166.5A CN114829344B (zh) 2019-12-16 2020-12-16 新型嘧啶衍生物及包含其的药学组合物
EP20901025.5A EP4079726A4 (en) 2019-12-16 2020-12-16 Novel pyrimidin derivative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63 2019-12-16
KR20190168363 2019-12-16
KR10-2020-0176636 2020-12-16
KR1020200176636A KR102572704B1 (ko) 2019-12-16 2020-12-16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803A1 true WO2021125803A1 (ko) 2021-06-24

Family

ID=7647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478 WO2021125803A1 (ko) 2019-12-16 2020-12-16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270698A2 (ko)
AU (1) AU2020406824A1 (ko)
WO (1) WO202112580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1321A (zh) * 2021-09-18 2021-12-24 安润医药科技(苏州)有限公司 富亮氨酸重复激酶2的小分子抑制剂及其应用
WO2022199589A1 (zh) * 2021-03-23 2022-09-29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嘧啶衍生物
WO2023281417A1 (en) * 2021-07-06 2023-01-12 Glenmark Specialty S.A. Pyrimidine compounds for use as map4k1 inhibitors
WO2023078411A1 (zh) * 2021-11-05 2023-05-11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氮杂螺环化合物
WO2023093859A1 (zh) * 2021-11-26 2023-06-01 南京正大天晴制药有限公司 Axl激酶抑制剂的盐、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093861A1 (zh) * 2021-11-26 2023-06-01 南京正大天晴制药有限公司 Axl激酶抑制剂的单对甲苯磺酸盐及其晶型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987A (ko) * 2003-03-14 2005-11-22 노파르티스 아게 종양성 질환, 염증성 및 면역계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2,4-디(페닐아미노)피리미딘
KR100832602B1 (ko) 2000-05-09 2008-05-27 세파론, 인코포레이티드 신규 다중고리 화합물 및 그의 용도
US20140066406A1 (en) * 2008-05-21 2014-03-06 Ariad Pharmaceuticals, Inc. Phosphorus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US20170112833A1 (en) * 2014-04-18 2017-04-27 Xuanzhu Pharma Co., Ltd. Tyrosine Kinase Inhibitor And Uses Thereof
KR20180014882A (ko) * 2008-05-21 2018-02-09 어리어드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포스포러스 유도체
WO2018102366A1 (en) * 2016-11-30 2018-06-07 Ariad Pharmaceuticals, Inc. Anilinopyrimidines as ha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 (hpk1) inhibitors
KR101876514B1 (ko) 2016-11-08 2018-07-10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피리미딘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및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02B1 (ko) 2000-05-09 2008-05-27 세파론, 인코포레이티드 신규 다중고리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20050109987A (ko) * 2003-03-14 2005-11-22 노파르티스 아게 종양성 질환, 염증성 및 면역계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2,4-디(페닐아미노)피리미딘
US20140066406A1 (en) * 2008-05-21 2014-03-06 Ariad Pharmaceuticals, Inc. Phosphorus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KR20180014882A (ko) * 2008-05-21 2018-02-09 어리어드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포스포러스 유도체
US20170112833A1 (en) * 2014-04-18 2017-04-27 Xuanzhu Pharma Co., Ltd. Tyrosine Kinase Inhibitor And Uses Thereof
KR101876514B1 (ko) 2016-11-08 2018-07-10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피리미딘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및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102366A1 (en) * 2016-11-30 2018-06-07 Ariad Pharmaceuticals, Inc. Anilinopyrimidines as ha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 (hpk1) inhibitors

Non-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DEE, D. N., CAN J PHYSIOL PHARMACOL., vol. 91, no. 4, 2013, pages 268 - 274
CHAN, A. C. ET AL., ANNU REV IMMUNOL., vol. 12, 1994, pages 555 - 592
GOODFELLOW, V. S. ET AL., J MED CHEM., vol. 56, no. 20, 2013, pages 8032 - 8048
HAIDASZ, E. A. ET AL., ORG LETT., vol. 19, no. 7, 2017, pages 1854 - 1857
HANKS, S. K. ET AL., FASEB J., vol. 9, no. 8, 1995, pages 576 - 596
HARTLOVA, A. ET AL., EMBO J., vol. 37, no. 12, 2018, pages e98694
HERBST, S. ET AL., ACS INFECT DIS., vol. 5, no. 6, 2019, pages 809 - 815
IBRAHIM, S. H. ET AL., LIVER INT., vol. 34, no. 3, 2014, pages 1131 - 1132
IWASHITA, S ET AL., CELL SIGNAL., vol. 4, no. 2, 1992, pages 123 - 132
KLINE, E. M. ET AL., EXP NEUROL., vol. 318, 2019, pages 157 - 164
LIU, Z ET AL., BIOCHIM BIOPHYS ACTA PROTEINS PROTEOM., vol. 1865, no. 3, 2017, pages 274 - 280
NEWTON, A. C., J BIOL CHEM., vol. 270, no. 48, 1995, pages 28495 - 28498
PARKINSON STUDY GROUP PRECEPT INVESTIGATORS, NEUROLOGY, vol. 69, no. 15, 2007, pages 1480 - 1490
PINES, J., TRENDS BIOCHEM SCI., vol. 18, no. 6, 1993, pages 197
RATTANASINCHAI, C. ET AL., CANCERS (BASEL)., vol. 8, no. 5, 2016, pages 51
SAMINATHAN, P. ET AL., J NEUROIMMUNE PHARMACOL., vol. 14, no. 1, 2019, pages 44 - 51
See also references of EP4079726A4
TOMITA, K. ET AL., JCI INSIGHT., vol. 2, no. 15, 2017, pages 94488
XU, H. ET AL., J VIROL., vol. 93, no. 18, 2019, pages e00758 - 19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9589A1 (zh) * 2021-03-23 2022-09-29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嘧啶衍生物
WO2023281417A1 (en) * 2021-07-06 2023-01-12 Glenmark Specialty S.A. Pyrimidine compounds for use as map4k1 inhibitors
AU2022305807B2 (en) * 2021-07-06 2024-09-05 Glenmark Specialty S.A. Pyrimidine compounds for use as map4k1 inhibitors
CN113831321A (zh) * 2021-09-18 2021-12-24 安润医药科技(苏州)有限公司 富亮氨酸重复激酶2的小分子抑制剂及其应用
CN113831321B (zh) * 2021-09-18 2023-01-31 安润医药科技(苏州)有限公司 富亮氨酸重复激酶2的小分子抑制剂及其应用
WO2023078411A1 (zh) * 2021-11-05 2023-05-11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氮杂螺环化合物
WO2023093859A1 (zh) * 2021-11-26 2023-06-01 南京正大天晴制药有限公司 Axl激酶抑制剂的盐、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093861A1 (zh) * 2021-11-26 2023-06-01 南京正大天晴制药有限公司 Axl激酶抑制剂的单对甲苯磺酸盐及其晶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406824A1 (en) 2022-08-11
US20240270698A2 (en) 2024-08-15
US20230348399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25803A1 (ko)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8230934A1 (ko) N2,n4-디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45521A1 (ko) 피리도[3,4-d]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71499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피리도[3,4-d]피리미딘-8-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6200101A2 (ko)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18139903A1 (ko) 피리미딘 화합물 및 그의 의약 용도
WO2020036386A1 (ko) 이소인돌린-1온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25407A1 (ko) 옥소-피리딘 융합고리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0149723A1 (ko)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235902A1 (ko) 헤테로고리 융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9231271A1 (en)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use thereof
WO2021145520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7-아미노-3,4-디히드로피리미도피리미딘-2-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49715A1 (ko)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및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이의 용도
WO2018088749A1 (ko) 신규한 피리미딘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및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004258A1 (ko) 신규한 헤테로시클릭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4109530A1 (ko) 2-(페닐에티닐)티에노[3,4-b]피라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166945A2 (en) Novel triazolopyrimidinone or triazolopyridino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WO2018021826A1 (ko) 신규한 피리미딘-2,4-디아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25802A1 (ko) 신규한 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6006974A2 (en) Novel triazolopyrimidinone or triazolopyridino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WO2022270881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화합물
WO2016137260A1 (en) Imidazopyrimidine and imidazotriazine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2114812A1 (ko) 다이아실글리세롤 키나아제 저해제로서 헤테로사이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0032986A2 (ko) 신규 5-(4-아미노페닐)-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f 키나제의 과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45061A1 (ko) 벤즈아미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10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PC Withdrawal of priority claims after completion of the technical preparations for international pub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2020-0176636

Country of ref document: KR

Date of ref document: 20220414

Free format text: WITHDRAWN AFTER TECHNICAL PREPARATION FINISHED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61667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671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2011834

Country of ref document: BR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10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18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406824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1216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2011834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