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82422A1 -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82422A1
WO2023282422A1 PCT/KR2022/000840 KR2022000840W WO2023282422A1 WO 2023282422 A1 WO2023282422 A1 WO 2023282422A1 KR 2022000840 W KR2022000840 W KR 2022000840W WO 2023282422 A1 WO2023282422 A1 WO 20232824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terminal
vehicle display
mod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8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석영
Original Assignee
유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영 filed Critical 유석영
Publication of WO20232824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824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Definitions

  •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a mirroring method and devi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for a vehicle.
  • the user in the case of mirror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display, the user must first stop driving while driving or perform a mirroring connection oper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display before starting, and repeat this connection operation each time mirroring is performed. There are inconveniences to be had.
  •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resolution of the vehicle display, so that the content output from the vehicle display is provided without any difficulty.
  •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is in portrait mo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In this case, since the contents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re also divided, the contents are also displayed in a divided form on the vehicle display.
  • An object to be sol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irroring method and device, which allows a user terminal and a vehicle display to be mirrored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 user terminal adjacent to or mounting the vehicle module, and also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content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in a relatively intact form on a vehicle display mirrored with the user terminal in a portrait mode.
  • the mirroring method when the user terminal is adjacent to the vehicle module, the step of mirror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display to each other; determining a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a method in which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output to the vehicl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mode; and outputt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vehicle display based on the determined output method.
  • the screen mode may include either a landscape mode or a portrait mode.
  •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mode of the user terminal screen on the vehicle display when the screen mode is a landscape mo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converted so that the display mode corresponds to the resolu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termining the outputted first method; and when the screen mode is a portrait mode, determining the output method as a second method in which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divided based on a dividing point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re outpu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display.
  • the step of doing; may include.
  • the dividing point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bottom line of an image, a bottom line of an icon, and a bottom line of text located adjacent to a 1/2 point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ose screen mode is the portrait mod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leasing the mirroring upon receiving a mirroring connection release signal.
  • the mirroring device includes a vehicle module for mirroring a user terminal and a vehicle display when the user terminal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termining a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a method for outputt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vehicl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mode, and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ed output method.
  • a processor outputting to a display may be included.
  •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display can be easily mirrored and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simply mounting or adjoin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vehicle module. there is.
  • the content may be output in an intact form without being divided.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irr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each step of operating a mirr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creen and contents of a user terminal are output on a display for a vehicle when a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is a portrai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ank screen formed by outputting a screen of a user terminal in a portrait mode from a displa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irr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include a vehicle module 110 and a processor 120.
  • the vehicle module 110 may mirror and connect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display to each other.
  •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of the vehicle module 110, and then the user terminal is adjacent to or mounted on the vehicle module 110.
  •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display may be mirrored and connected according to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ncluded in the vehicle module 110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a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 method of outputt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a vehicle display based on the screen mode, and determines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etermined output method. can be output to the vehicle display.
  •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landscape mode in which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output on a horizontal basis or a portrait mode in which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output on a vertical basis. Since it is common to select only one of these screen modes, the present disclosure assumes and describes a case where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is either a landscape mode or a portrait m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case of a user terminal using one or more screens (eg, a dual screen supporting terminal, etc.), the screen mode may include both a landscape mode and a portrait mode.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 a memory not shown
  • FIG. 1 may be omitted.
  • the mirroring device 100 can be used by a user or a worker, and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pane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nd the like.
  • a touch screen pane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nd the lik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Tablet PC tablet PC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that operates through a computer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include a mirroring system (not shown) and a server (not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ystem an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upport an application capable of adjusting a resolution of a screen of a user terminal output to a vehicle display according to a mirroring connection or a size of each divided screen, and a service using the same.
  •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mirr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dependently outputs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vehicle display, but as described above,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server.
  • the mirroring device 100 and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ir functions, and the server may be omitted,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each step in which the mirroring device 100 operat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step S210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operate to mirror the user terminal 310 and the vehicle display 320 when the user terminal 310 is adjacent to the vehicle module 110 .
  • the mirroring device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310 adjacent to or mounted on the vehicle module 110. may be obtained, and the user terminal 310 and the vehicle display 320 may be mirrored based on a user selection input for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mirroring device 100 uses the identific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10.
  • the information may be compar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during initial mirroring, and mirroring connec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 the vehicle module 110 may include a vehicle cradle or a vehicle charger.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module 110 and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module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screen mode of the mirrored user terminal.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310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 screen mode of the mirrored user terminal 310 is either a landscape mode or a portrait mode.
  •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enlarged mode in which the screen magnification is enlarged. Since this enlargement mode enlarges and outputs a designated part of the entire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screens other than the designated part of the entire screen may be omitted.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determine a method in which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is output to the vehicle display 320 based on the screen mode.
  • the mirroring device 100 converts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output method corresponds to the resolution of the vehicle display 320. It can be determined in the first way to be output.
  • resolution conversion may be required to correspond to the resolution of the vehicle display 320.
  • a blank screen 410 may be formed.
  • the mirroring device 100 outputs additional content (eg, weather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etc.) through the blank screen 410 to efficiently utilize the vehicle display 320. there is.
  • the mirroring device 100 converts the output method to the first screen 350 divided based on the dividing point 340 of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method in which the second screen 360 is outpu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display 320 .
  • the division point 340 for the user terminal 310 is the bottom line of the image, the bottom line of the icon, and text located adjacent to the 1/2 point of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whose screen mode is portrait mode.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end lines of .
  • the video 370 Since the in-vehicle display 320 is divided and output, the dividing point 340 is determined along the bottom line of the image 370 through the mirroring device 100, and based on this,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as the first screen. 350 and the second screen 360, the image 370 may be output to the vehicle display 320 in its entirety without being divided.
  • the dividing point 34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ottom line of the icon or text, thereby improving readability, etc. Convenience of using content through mirroring can increase significantly.
  • the vehicle display when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is output to the vehicle display 320 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the vehicle display corresponds to the vertical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creen 350 and the second screen 360.
  • a blank screen 410 may be formed on 320 .
  • the blank screen 410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vertical length of each screen is can be formed In this way, when the blank screen 410 is formed according to mirroring, the vehicle display 320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y providing additional content to the blank screen 410 .
  • step S240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output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to the vehicle display 320 based on the determined output method.
  • the output method is the first method
  •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is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resolution of the vehicle display 320 so that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vehicle display 320. It can be output, and if the output method is the second method, based on the dividing point 340 determined based on the bottom line of the image, icon or text located on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 330) is divided into a first screen 350 and a second screen 360, and each divided screen can be output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display 320, respectively.
  •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creen 330 and contents of a user terminal are output on a vehicle display 320 when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is a portrai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dividing point 340 in the usual state may be a 1/2 point of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 the size of the first screen 350 and the second screen 360 output on the vehicle display 320 may be the same.
  • the screen mode of the user terminal mirrored with the vehicle display 320 is a portrait mod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ent (image, icon or text) provided on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split point 340 is the same point as the bottom line of the content (image 370 in the drawing) at the 1/2 point or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bottom line. point can be determined.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operate to scroll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at a user-specified speed or a preset speed. Whether or not to operate the scroll oper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user selection input.
  • a scroll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user terminal 310 and the vehicle display 320 are mirrored, the first screen 350 and the second screen 360 output from the vehicle display 320 may also be automatically scrolled. there is.
  • the scroll progress (or The lower reference point) may be skipped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n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scrolling may proceed again from that point.
  • the scrolling operation may be paused and 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face or eye recognition result. For example, when the user gazes forward instead of the vehicle display 320, the scroll operation may be paused according to the face or eye recognition result, and when the user gazes at the vehicle display 320, according to the eye or face recognition result. A scrolling action can be reproduced. As such, the scroll operation is stopped or reproduced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looking at the vehicle display 320 ,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ontent output from the vehicle display 320 .
  • the speed of the scroll operation is higher in the order of the frequency of looking at the vehicle display 320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user's eye recognition or facial recogn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iometric recogniti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ize of the output content.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ssigned weight.
  • the content output from the vehicle display 320 may not be properly checked, so it may be desirable to lower the scroll speed. If the frequency of looking at the vehicle display 3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scrolling speed becaus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user can focus on the content, and thus, the frequency of looking at the vehicle display 320 according to the biometrics result is 1 A high weight may be assigned to the ranking.
  • a second high weight may be assigned to the speed of .
  • the amount of time required to look at the vehicle display 320 may increase, and it may take some time to recognize the entire content.
  • a high weight in the third place may be assigned to the size of the content to be used.
  • the mirroring device 100 can greatl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of using the content output from the vehicle display 320 while driving or stopping by determining the scrolling speed based on the weights differently assigned as described above.
  •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ank screen 410 formed by outputting a screen 330 of a user terminal in portrait mode from a vehicle display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first screen 350 and the second screen 360 of the user terminal 310 mirrored with the vehicle display 320 are output to the vehicle display 320, or the first screen 350 of the user terminal 310
  • the vertical sizes of the first screen 350 are displayed on the vehicle display 320 on which the first screen 350 and the second screen 360 are output.
  • the blank screen 410 according to the blank screen 410 and the blank screen 410 according to the vertical size of the second screen 360 may be formed. Also, the blank screen 410 may be formed according to a resolution differe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310 and the vehicle display 320 .
  • the blank screen 410 includes additional content such as weather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message contents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310 or the vehicle display 320 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terminal 310 ( Example: whether or not a phone call is received, whether a message is received, etc.) may be output.
  • the blank screen 410 of the vehicle display 320 can be efficiently utilized through the mirroring device 100 , convenience for the mirroring environment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irroring release unit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a mirroring connection release signal.
  • the mirroring release unit is implemented in a physical form (eg, a button) 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each device to receive a touch input on the vehicle display 320 or the screen 330 of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user input.
  • the mirroring connection may be released by providing a mirroring connection release signal to the mirroring device 100 .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mplemented as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readable by a machine (eg, a display device or a computer). It can be.
  • the processor 120 eg, processor 120
  • the device may call at least one of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oked at least one instruction.
  •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non-tempora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the case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in the storage medium. It does not discriminate when it is temporarily stored.
  •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on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online, directly between smartphones.
  •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online, directly between smartphones.
  • at least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s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미러링 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모듈에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서로 미러링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본 개시의 기술 분야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 간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분야와 관련된다.
다수의 각종 디바이스 간의 미러링(mirroring)은 산업 환경, 일상 등 이미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TV, 모니터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의 디바이스들과 미러링 연결하는 방식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미러링하는 경우, 사용자는 운전 중일 때 운전을 잠시 멈추거나, 출발하기 전 사용자 단말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미러링 연결 조작을 먼저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연결 조작을 미러링할 때 마다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러링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일 때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해상도가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제공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할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또한 분할되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에도 분할된 형태로 컨텐츠가 출력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을 세로 모드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러링에 따른 컨텐츠 이용에 불편을 겪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명확히 해결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다수의 사용자들은 여전히 불편을 겪고 있다.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을 차량용 모듈에 인접하도록 하거나 거치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러링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과 미러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의 컨텐츠가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측면에 따른 미러링 방법은, 차량용 모듈에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서로 미러링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모드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분할 지점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지점은, 상기 화면 모드가 상기 세로 모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 간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상에 형성되는 여백 화면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미러링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를 때 미러링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서로 미러링하는 차량용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초 미러링 연결 조작 이후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모듈에 거치하거나 인접시키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간편하게 미러링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미러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분리되어도 컨텐츠가 분할되지 않고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 및 컨텐츠가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함에 따라 형성되는 여백 화면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해당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차량용 모듈(110)에 인접하거나 거치되는 경우, 차량용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서로 미러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모듈(11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최초 미러링 될 때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이후 사용자 단말이 차량용 모듈(110)에 인접하거나 거치될 때 차량용 모듈(11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러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고,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가로를 기준으로 출력되는 가로 모드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세로를 기준으로 출력되는 세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모드는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이 일반적이므로,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화면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예: 듀얼 스크린 지원 단말 등)의 경우 화면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미러링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에 포함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 시스템(미도시) 및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서버는 미러링 연결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해상도 또는 분할된 각각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1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에 사용자 단말(310)이 인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서로 미러링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최초로 미러링되는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에 인접하거나 거치된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미러링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최초로 미러링된 이후부터는,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사용자 단말(310)이 인접하거나 거치되는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최초 미러링 시 획득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미러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차량용 모듈(110)은 차량용 거치대 또는 차량용 충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에 거치될 수도 있고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2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310)의 현재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는 화면 배율이 확대된 확대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확대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체 화면 중 지정된 일부 화면을 확대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전체 화면 중 지정된 일부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20에서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출력되는 방식을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해상도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310)의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비해 화면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해상도 변환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비율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비율이 16:9, 4:3 과 같이 상이할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외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경우 추가 컨텐츠(예: 날씨 정보, 시간 정보, 뉴스 정보 등)을 여백 화면(410)을 통해 출력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출력되는 방식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에 대한 분할 지점(340)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분할 지점(340)은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1/2 지점 상에 영상(370)(이미지)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분할될 경우 영상(37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분할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미러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영상(370)의 하단부 라인에 따라 분할 지점(340)을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을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으로 분할함으로써 영상(370)이 분할되지 않고 온전한 형태로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1/2 지점 상에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위치하는 경우, 아이콘 또는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에 따라 분할 지점(340)이 결정될 수 있어 가독성 향상 등 미러링을 통한 컨텐츠 이용 편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경우,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 간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상에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각 화면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는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미러링에 따라 여백 화면(410)이 형성되는 경우 여백 화면(410)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방식이 제 1 방식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해상도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될 수 있고, 출력되는 방식이 제 2 방식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에 위치한 이미지, 아이콘 또는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에 기초하여 결정된 분할 지점(340)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화면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좌우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및 컨텐츠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와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평소 상태에서의 분할 지점(340)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1/2 지점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상에 출력되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와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에 제공되는 컨텐츠(이미지,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화면 상의 분할 지점(340)인 1/2 지점에 중첩되는 경우, 분할 지점(340)은 1/2 지점에서 컨텐츠(도면에서는 영상(370))의 하단부 라인과 동일한 지점 또는 하단부 라인의 기설정 범위 내 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할 지점(340)에 컨텐츠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출력되는 경우, 컨텐츠의 형태가 잘리지 않고 온전하게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미러링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310)의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사용자 지정 속도 또는 기설정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동작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미러링된 상태에서 스크롤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 또한 자동으로 스크롤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하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 스크롤 진행 상황(또는 스크롤의 하단부 기준점)은 해당 컨텐츠의 하단부 라인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스킵(Skip)되어 해당 지점부터 스크롤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자동 스크롤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온전한 컨텐츠 형태를 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스크롤 동작 및 컨텐츠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상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 스크롤 진행 상황(또는 스크롤의 하단부 기준점)은 해당 컨텐츠의 상단부 라인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스킵(Skip)되어 해당 지점부터 스크롤이 다시 진행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스크롤 동작은 사용자의 안면 또는 안구 인식 결과에 따라 일시 정지 및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아닌 전방을 주시하는 경우 안면 또는 안구 인식 결과에 따라 스크롤 동작이 일시 정지 될 수 있고,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하는 경우 안구 또는 안면 인식 결과에 따라 스크롤 동작이 재생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하는 여부에 따라서 스크롤 동작이 정지 또는 재생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크롤 동작의 속도는 사용자의 안구 인식 또는 안면 인식(이하, 생체 인식이라 함) 결과에 따른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주시 빈도, 차량의 속도,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의 순서로 높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기설정 빈도 이하로 주시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할 수 있어 스크롤 속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하는 빈도가 기설정 빈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속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어 생체 인식 결과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주시 빈도에 1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거나 느린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를 확인 가능한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도록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어 차량의 속도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큰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해야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고 컨텐츠의 전체를 인지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으나 다른 요소들에 비해 중요도가 다소 낮다는 점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상이하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스크롤 속도를 결정함으로써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일 때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을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함에 따라 형성되는 여백 화면(410)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와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310)의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거나, 사용자 단말(310)의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의 세로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출력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상에 제 1 화면(350)의 세로 크기에 따른 여백 화면(410) 및 제 2 화면(360)의 세로 크기에 따른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백 화면(410)은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간의 해상도 차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백 화면(410)에는 사용자 단말(310)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제공되는 날씨 정보, 뉴스 정보, 교통 정보, 운전 상황 정보 및 메시지 내용 등의 추가 컨텐츠 또는 사용자 단말(310)의 현재 상태(예: 전화 수신 여부, 메시지 수신 여부 등)가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미러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여백 화면(410)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미러링 환경에 대한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미러링 해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러링 해제부는 물리적인 형태(예: 버튼 등)로 구현되거나,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각 장치의 화면 일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미러링 디바이스(100)로 제공하여 미러링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120)(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미러링 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모듈에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서로 미러링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모드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분할 지점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지점은, 상기 화면 모드가 상기 세로 모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 간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상에 형성되는 여백 화면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미러링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미러링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서로 미러링하는 차량용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미러링 디바이스.
PCT/KR2022/000840 2021-07-07 2022-01-1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32824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88A KR102348321B1 (ko) 2021-07-07 2021-07-0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1-0088988 2021-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422A1 true WO2023282422A1 (ko) 2023-01-12

Family

ID=7934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840 WO2023282422A1 (ko) 2021-07-07 2022-01-1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8321B1 (ko)
WO (1) WO2023282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321B1 (ko) * 2021-07-07 2022-01-06 유석영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36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3081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KR20150063864A (ko) * 2013-12-02 2015-06-10 (주)유브릿지 표시 대상 페이지 분할 전송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3375A (ko) * 2014-10-13 2016-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vn 시스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33699A (ko) *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8321B1 (ko) * 2021-07-07 2022-01-06 유석영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31B1 (ko) 2012-12-26 2014-10-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36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3081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KR20150063864A (ko) * 2013-12-02 2015-06-10 (주)유브릿지 표시 대상 페이지 분할 전송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3375A (ko) * 2014-10-13 2016-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vn 시스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33699A (ko) *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8321B1 (ko) * 2021-07-07 2022-01-06 유석영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21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77537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by using the same
WO2014142600A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9143071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O2015046809A1 (en) Method for displaying previews in a widget
WO2015005732A1 (en) Method of sharing electronic document and devices for the same
WO2011074797A2 (en) Mobile device having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3070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entire area using partial area touch in a portable equipment
WO2014119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t of web page
WO2020085704A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WO2013105716A1 (ko) 이미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미지 제공 방법
WO2014035094A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4175520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WO2019225861A1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based on account group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WO2021230524A1 (ko) 플리커 현상을 경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40306919A1 (en) Tablet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WO2023282422A1 (ko)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035396A (ko) 컴퓨터 시스템
WO2019203494A1 (ko)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41297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98308A1 (ko) 개방형 앱스토어 기반의 통일화된 앱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21071222A1 (ko)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38909A1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001896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display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WO20150649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WO2017030285A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377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