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21B1 -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21B1
KR102348321B1 KR1020210088988A KR20210088988A KR102348321B1 KR 102348321 B1 KR102348321 B1 KR 102348321B1 KR 1020210088988 A KR1020210088988 A KR 1020210088988A KR 20210088988 A KR20210088988 A KR 20210088988A KR 102348321 B1 KR102348321 B1 KR 10234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terminal
vehicle display
outpu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영
Original Assignee
유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영 filed Critical 유석영
Priority to KR102021008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21B1/ko
Priority to PCT/KR2022/000840 priority patent/WO20232824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B60K2370/119
    • B60K2370/15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미러링 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모듈에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서로 미러링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mirroring}
본 개시의 기술 분야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 간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분야와 관련된다.
다수의 각종 디바이스 간의 미러링(mirroring)은 산업 환경, 일상 등 이미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TV, 모니터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의 디바이스들과 미러링 연결하는 방식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미러링하는 경우, 사용자는 운전 중일 때 운전을 잠시 멈추거나, 출발하기 전 사용자 단말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미러링 연결 조작을 먼저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연결 조작을 미러링할 때 마다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러링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일 때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해상도가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제공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할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또한 분할되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에도 분할된 형태로 컨텐츠가 출력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을 세로 모드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러링에 따른 컨텐츠 이용에 불편을 겪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명확히 해결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다수의 사용자들은 여전히 불편을 겪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6031호,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을 차량용 모듈에 인접하도록 하거나 거치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러링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과 미러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의 컨텐츠가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측면에 따른 미러링 방법은, 차량용 모듈에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서로 미러링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모드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분할 지점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지점은, 상기 화면 모드가 상기 세로 모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 간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상에 형성되는 여백 화면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미러링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를 때 미러링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서로 미러링하는 차량용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초 미러링 연결 조작 이후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모듈에 거치하거나 인접시키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간편하게 미러링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미러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분리되어도 컨텐츠가 분할되지 않고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 및 컨텐츠가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함에 따라 형성되는 여백 화면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해당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차량용 모듈(110)에 인접하거나 거치되는 경우, 차량용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서로 미러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모듈(11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최초 미러링 될 때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이후 사용자 단말이 차량용 모듈(110)에 인접하거나 거치될 때 차량용 모듈(11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러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고,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가로를 기준으로 출력되는 가로 모드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세로를 기준으로 출력되는 세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모드는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이 일반적이므로,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화면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예: 듀얼 스크린 지원 단말 등)의 경우 화면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미러링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에 포함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 시스템(미도시) 및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서버는 미러링 연결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해상도 또는 분할된 각각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1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에 사용자 단말(310)이 인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서로 미러링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최초로 미러링되는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에 인접하거나 거치된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미러링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최초로 미러링된 이후부터는,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사용자 단말(310)이 인접하거나 거치되는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최초 미러링 시 획득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미러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차량용 모듈(110)은 차량용 거치대 또는 차량용 충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에 거치될 수도 있고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차량용 모듈(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2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310)의 현재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는 화면 배율이 확대된 확대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확대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체 화면 중 지정된 일부 화면을 확대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전체 화면 중 지정된 일부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20에서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출력되는 방식을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해상도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310)의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비해 화면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해상도 변환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비율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비율이 16:9, 4:3 과 같이 상이할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외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경우 추가 컨텐츠(예: 날씨 정보, 시간 정보, 뉴스 정보 등)을 여백 화면(410)을 통해 출력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출력되는 방식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에 대한 분할 지점(340)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분할 지점(340)은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1/2 지점 상에 영상(370)(이미지)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분할될 경우 영상(37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분할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미러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영상(370)의 하단부 라인에 따라 분할 지점(340)을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을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으로 분할함으로써 영상(370)이 분할되지 않고 온전한 형태로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1/2 지점 상에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위치하는 경우, 아이콘 또는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에 따라 분할 지점(340)이 결정될 수 있어 가독성 향상 등 미러링을 통한 컨텐츠 이용 편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경우,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 간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상에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각 화면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는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미러링에 따라 여백 화면(410)이 형성되는 경우 여백 화면(410)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방식이 제 1 방식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해상도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될 수 있고, 출력되는 방식이 제 2 방식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에 위치한 이미지, 아이콘 또는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에 기초하여 결정된 분할 지점(340)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화면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좌우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및 컨텐츠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와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평소 상태에서의 분할 지점(340)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의 1/2 지점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상에 출력되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와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일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에 제공되는 컨텐츠(이미지,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화면 상의 분할 지점(340)인 1/2 지점에 중첩되는 경우, 분할 지점(340)은 1/2 지점에서 컨텐츠(도면에서는 영상(370))의 하단부 라인과 동일한 지점 또는 하단부 라인의 기설정 범위 내 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할 지점(340)에 컨텐츠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출력되는 경우, 컨텐츠의 형태가 잘리지 않고 온전하게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미러링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310)의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사용자 지정 속도 또는 기설정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동작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미러링된 상태에서 스크롤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 또한 자동으로 스크롤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하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 스크롤 진행 상황(또는 스크롤의 하단부 기준점)은 해당 컨텐츠의 하단부 라인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스킵(Skip)되어 해당 지점부터 스크롤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자동 스크롤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온전한 컨텐츠 형태를 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스크롤 동작 및 컨텐츠는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이 상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 스크롤 진행 상황(또는 스크롤의 하단부 기준점)은 해당 컨텐츠의 상단부 라인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스킵(Skip)되어 해당 지점부터 스크롤이 다시 진행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스크롤 동작은 사용자의 안면 또는 안구 인식 결과에 따라 일시 정지 및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가 아닌 전방을 주시하는 경우 안면 또는 안구 인식 결과에 따라 스크롤 동작이 일시 정지 될 수 있고,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하는 경우 안구 또는 안면 인식 결과에 따라 스크롤 동작이 재생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하는 여부에 따라서 스크롤 동작이 정지 또는 재생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크롤 동작의 속도는 사용자의 안구 인식 또는 안면 인식(이하, 생체 인식이라 함) 결과에 따른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주시 빈도, 차량의 속도,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의 순서로 높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기설정 빈도 이하로 주시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할 수 있어 스크롤 속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하는 빈도가 기설정 빈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속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어 생체 인식 결과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주시 빈도에 1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거나 느린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를 확인 가능한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도록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어 차량의 속도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큰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를 주시해야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고 컨텐츠의 전체를 인지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으나 다른 요소들에 비해 중요도가 다소 낮다는 점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상이하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스크롤 속도를 결정함으로써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일 때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을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함에 따라 형성되는 여백 화면(410)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와 미러링된 사용자 단말(310)의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에 출력되거나, 사용자 단말(310)의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의 세로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 1 화면(350) 및 제 2 화면(360)이 출력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상에 제 1 화면(350)의 세로 크기에 따른 여백 화면(410) 및 제 2 화면(360)의 세로 크기에 따른 여백 화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백 화면(410)은 사용자 단말(31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간의 해상도 차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백 화면(410)에는 사용자 단말(310)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320)로부터 제공되는 날씨 정보, 뉴스 정보, 교통 정보, 운전 상황 정보 및 메시지 내용 등의 추가 컨텐츠 또는 사용자 단말(310)의 현재 상태(예: 전화 수신 여부, 메시지 수신 여부 등)가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미러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320)의 여백 화면(410)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미러링 환경에 대한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러링 디바이스(100)는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미러링 해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러링 해제부는 물리적인 형태(예: 버튼 등)로 구현되거나, 차량용 디스플레이(320)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330) 상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각 장치의 화면 일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미러링 디바이스(100)로 제공하여 미러링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120)(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러링 디바이스
110: 차량용 모듈 120: 프로세서
310: 사용자 단말 320: 차량용 디스플레이
330: 사용자 단말의 화면 340: 분할 지점
350: 제 1 화면 360: 제 2 화면
370: 영상
410: 여백 화면

Claims (7)

  1. 미러링 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거치대에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서로 미러링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분할 지점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지점은, 상기 화면 모드가 상기 세로 모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사용자의 안면 인식 결과 또는 안구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주시 빈도, 차량 속도,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모드는 상기 가로 모드 또는 상기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 간의 세로 길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상에 형성되는 여백 화면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미러링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미러링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미러링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서로 미러링하는 차량용 거치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출력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1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되는 방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분할 지점에 기초하여 분할된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출력되는 제 2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분할 지점은, 상기 화면 모드가 상기 세로 모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1/2 지점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이미지의 하단부 라인, 아이콘의 하단부 라인 및 텍스트의 하단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 결과 또는 안구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스크롤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주시 빈도, 차량 속도, 출력되는 컨텐츠의 크기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동작의 속도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KR1020210088988A 2021-07-07 2021-07-0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4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88A KR102348321B1 (ko) 2021-07-07 2021-07-0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PCT/KR2022/000840 WO2023282422A1 (ko) 2021-07-07 2022-01-1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88A KR102348321B1 (ko) 2021-07-07 2021-07-0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21B1 true KR102348321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988A KR102348321B1 (ko) 2021-07-07 2021-07-07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8321B1 (ko)
WO (1) WO20232824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22A1 (ko) * 2021-07-07 2023-01-12 유석영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36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46031B1 (ko) 2012-12-26 2014-10-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KR20140133081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KR20150063864A (ko) * 2013-12-02 2015-06-10 (주)유브릿지 표시 대상 페이지 분할 전송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3375A (ko) * 2014-10-13 2016-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vn 시스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33699A (ko) *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321B1 (ko) * 2021-07-07 2022-01-06 유석영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31B1 (ko) 2012-12-26 2014-10-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KR2014011336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3081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KR20150063864A (ko) * 2013-12-02 2015-06-10 (주)유브릿지 표시 대상 페이지 분할 전송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3375A (ko) * 2014-10-13 2016-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vn 시스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33699A (ko) *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22A1 (ko) * 2021-07-07 2023-01-12 유석영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422A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3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c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digital picture frame
KR20200043578A (ko)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99383B1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8890769B2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7783714B (zh) 一种页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435974B2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creen mirro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creen mirroring method of mobile device
US200402229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11743331B2 (e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to web storage using wireless LAN
US20100328317A1 (en) Automatic Zoom for a Display
EP238871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navigating web pages
CN103038743A (zh) 用于在移动设备的可缩放图形用户界面之间动态地进行切换的方法和装置
US20100130259A1 (en) Mobile terminal with image projector and method of stabilizing image therein
KR102348321B1 (ko) 미러링 방법 및 디바이스
CN105700928A (zh) 一种控件信息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4220390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034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US11983397B2 (en) Sliding image container switching display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2911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US11327639B2 (en) Split view exiting method, split view exi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933986B2 (en)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6980481B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设备
KR20150012424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000394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display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US8365093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nabling storage of state of temporary display screen magnification view
US20220335568A1 (en) Materia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