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49302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49302A1
WO2023249302A1 PCT/KR2023/008077 KR2023008077W WO2023249302A1 WO 2023249302 A1 WO2023249302 A1 WO 2023249302A1 KR 2023008077 W KR2023008077 W KR 2023008077W WO 2023249302 A1 WO2023249302 A1 WO 20232493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path
informat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80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2493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493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Definitions

  •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bout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operation method. Specifically, it is about how to set up multi paths.
  • Wireless access systems are being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and data.
  • a wireless access system is a multiple access system that can suppor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users by sharing available system resources (bandwidth, transmission power, etc.).
  • multiple access systems inclu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s,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system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stems,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SC-FDMA) systems.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etc.
  •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communication technology is being proposed compared to the existing radio access technology (RAT).
  • RAT radio access technology
  • a communicatio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reliability and latency-sensitive services/UE (user equipment) as well a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which connects multiple devices and objects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is being proposed. .
  •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in which a relay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or decision) based on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a remot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 terminal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t least one transceiver, at least one processor, and oper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processor, when executed, at least one processor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memory that stores instructions to be performed, and the specific operation is: controlling at least one transceiver so that a terminal receives a first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transceiver to receive a first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serve anoth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controls at least one transceiver to transmit a second message to the other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is for multi-path. Based on this, it can be decided whether to serve other terminals.
  • a first terminal transmits a first message to a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a first messag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message. Determining whether to serve the first terminal and receiving a second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wherein serving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whether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is for multi-path Whether or not it can be decid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receive a first message from another device. Control the device to receive, control th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o serve another device based 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ceived first message, and control the device to transmit a second message to the other device, wherein the devi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serve another device based on whether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is for multi-path.
  •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t least one executable by a processor Instructions,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ntrols the device to receive a first message from another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o serve the other device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message. and control the device to transmit a second message to another device, wherein the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o serve the other device based on whether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is multi-path.
  •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 the first terminal may determine a response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based on the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 the multi-path status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indicat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has available resources for providing a multi-path network connection, and the first terminal indicates the multi-path status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 the multi-path connection support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indicat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supports a multi-path network connection, and the first terminal sets the multi-path connection support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 whether to support multi-path connection can be determined and indicated through the received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 the first terminal when a first terminal receives a third message from a third terminal, transmission of the first message of the second terminal is for multi-path, and transmission of the third message of the third terminal is network If it is about a connection, the first terminal may prioritize serving the third terminal over the second terminal.
  • the DCR message includes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 the first terminal may determine a response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based on the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multi-path use instruction information, additional path use instruction information, direct path maintenance instruction information, direct path quality information, direct path signal strength information,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and reliability improvement related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data rate-related information, terminal version information, and multi-path PDU session setup information.
  • the first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on whether to transmit a response message based on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an operation on whether to reject unicast link formation based on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on whether to reject unicast link formation based on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rejection response message when cast link formation is rejected and an operation for setting a multi-path connection support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 the multi-path connection support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indicat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supports a multi-path network connection, and the first terminal sets the multi-path connection support indicator in the response message.
  • whether to support multi-path connection can be determined and indicated through the received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 a first terminal when a first terminal receives a third message from a third terminal, transmission of the first message of the second terminal is for multi-path, and transmission of the third message of the third terminal is network If it is for a connection,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a rejection message for unicast link 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nd a grant message for unicast link formation to the third terminal.
  •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method for configuring multipa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 method in which a relay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or decision) based on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a remot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re a remote terminal requests unicast link formation including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to a relay terminal.
  •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 method in which a relay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or decision) based on multi-path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a remot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UE to whic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pplied.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unctional separation of a general NG-RAN and 5GC (5th generation core) applied in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how ProSe direct search is performed based on Model A applicable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lay terminal applicable to the present disclosure.
  • LTE may refer to technology after 3GPP TS 36.xxx Release 8.
  • LTE technology after 3GPP TS 36.xxx Release 10 may be referred to as LTE-A
  • LTE technology after 3GPP TS 36.xxx Release 13 may be referred to as LTE-A pro.
  • 3GPP NR may refer to technology after TS 38.xxx Release 15.
  • 3GPP 6G may refer to technologies after TS Release 17 and/or Release 18. “xxx” refers to the standard document detail number.
  • LTE/NR/6G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3GPP system.
  • the three key requirements areas for 5G are (1)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area, (2)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area, and (3) Ultra-Reliable and Includes the area of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 URLLC ultra-Reliable and Includes the area of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applied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ireless device,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 a wireless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wireless access technology (e.g., 5G NR, LT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wireless/5G device.
  • wireless devices include robots (100a), vehicles (100b-1, 100b-2), extended reality (XR) devices (100c), hand-held devices (100d), and home appliances (100d).
  • appliance) (100e), IoT (Internet of Thing) device (100f),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erver (100g).
  • vehicles may include vehicles equipp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utonomous vehicles, vehicles capable of inter-vehicle communication, etc.
  • the vehicles 100b-1 and 100b-2 may inclu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g, a drone).
  • UAV unmanned aerial vehicle
  • the XR device 100c includes augmented reality (AR)/virtual reality (VR)/mixed reality (MR) devices, including a head-mounted device (HMD), a head-up display (HUD) installed in a vehicle, a television,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martphones, computers, wearable devices, home appliances, digital signage, vehicles, robots, etc.
  • the mobile device 100d may include a smartphone, smart pad, wearable device (eg, smart watch, smart glasses), computer (eg, laptop, etc.), etc.
  • Home appliances 100e may include a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etc.
  • IoT device 100f may include sensors, smart meters, etc.
  • the base station 120 and the network 130 may also be implemented as wireless devices, and a specific wireless device 120a may operate as a base station/network node for other wireless devices.
  •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130 through the base station 120.
  • AI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and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be connected to the AI server 100g through the network 130.
  • the network 130 may be configured using a 3G network, 4G (eg, LTE) network, or 5G (eg, NR) network.
  •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base station 120/network 130, but communicate directly (e.g., sidelink communica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base station 120/network 130. You may.
  • vehicles 100b-1 and 100b-2 may communicate directly (eg, vehicle to vehicle (V2V)/vehicle to everything (V2X) communication).
  • the IoT device 100f eg, sensor
  • the IoT device 100f may communicate directly with other IoT devices (eg, sensor) or other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base station (120) and the base station (120)/base station (120).
  •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includes various methods such as uplink/downlink communication (150a), sidelink communication (150b) (or D2D communication), and inter-base station communication (150c) (e.g., relay,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 IAB integrated access backhaul
  •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wireless access technology (e.g. 5G NR).
  •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150b, 150c
  •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an transmit/receive wireless signals to each other.
  • Figure 2 may show an example of a UE to whic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pplied.
  • the UE 200 includes a processor 202, a memory 204, a transceiver 206, one or more antennas 208, a power management module 241, a battery 242, a display 243, It may include a keypad 244,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card 245, a speaker 246, and a microphone 247.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Processor 202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 diagrams disclosed herein. Processor 202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f UE 200 to implement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 diagrams disclosed herein. A layer of air interface protocols may be implemented in processor 202. Processor 202 may include an ASIC, other chipset, logic circuitry, and/or data processing devices. Processor 202 may be an application processor. The processor 20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SP,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a 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 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 the memory 204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processor 202 and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processor 202.
  • Memory 204 may include ROM, RAM, flash memory, memory cards, storage media, and/or other storage devices.
  • modules e.g., procedures, functions, etc.
  • Modules may be stored in memory 204 and executed by processor 202.
  • Memory 204 may be implemented within processor 202 or external to processor 202, in which case it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to processor 202 through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 Transceiver 206 is operatively coupled to processor 202 and can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 Transceiver 206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 Transceiver 206 may include baseband circuitry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the transceiver 206 may control one or more antennas 208 to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241 may manage power of the processor 202 and/or the transceiver 206.
  • the battery 242 may supply power to the power management module 241.
  • the display 243 may output results processed by the processor 202.
  • Keypad 244 may receive input for use by processor 202. Keypad 244 may be displayed on display 243.
  • SIM card 245 is an integrated circuit for securely storing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and associated keys, and can be used to identify and authenticate subscribers in mobile phon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or computers. You can also store contact information on many SIM cards.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 the speaker 246 may output sound-related results processed by the processor 202.
  • Microphone 247 may receive sound-related input for use by processor 202.
  • the UE may operate as a transmitting device in the uplink and as a receiving device in the downlink.
  • the base station may operate as a receiving device in the UL and as a transmitting device in the DL.
  • the bas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Node B (Node B), eNode B (eNB), or gNB, and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form.
  • each U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a control device, a memory device, and additional components.
  • a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communication circuitry and a transceiver.
  • communications circuitry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and/or one or more memory.
  • a transceiver may include one or more transceivers and/or one or more antennas.
  •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memory unit and additional components and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E.
  •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electrical/mechanical operation of each UE based on programs/codes/commands/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to the outside (e.g., other communication devices) via a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wired interface, or to the outside (e.g., other communication devices) via a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wired interface.
  • Information received from can be stored in a memory device.
  • the additional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unit/battery, an input/output (I/O) device (e.g., an audio I/O port, a video I/O port), a drive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 I/O input/output
  • the UE is not limited to this, but includes robots (100a in FIG. 1), vehicles (100b-1 and 100b-2 in FIG. 1), XR devices (100c in FIG. 1), portable devices (100d in FIG. 1), and home appliances.
  • Products (100e in Figure 1), IoT devices (100f in Figure 1),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hologram devices, public safety devices, MTC devices, medical devices, fintech devices (or financial devices), security devices, and climate/environment devices.
  •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I server/device (100g in FIG. 1), a base station (120 in FIG. 1), and a network node.
  • the UE can be used in a mobile or fixed location depending on the usage/service.
  • a control device may be comprised of a set of one or more processors.
  • the control device may be composed of a set of a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graphics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control processor.
  • the memory device may be comprised of RAM, Dynamic RAM (DRAM), ROM, flash memory,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and/or a combination thereof.
  • NF - Reference point representation Interaction between NF services within NFs described by a point-to-point reference point (e.g., N11) between two NFs (e.g., AMF and SMF) indicates.
  • a point-to-point reference point e.g., N11
  • two NFs e.g., AMF and SMF
  • Network functions eg, AMF
  • CP control plane
  • This expression also includes point-to-point reference points if necessary.
  • 5GC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some of which includ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and policy control function. (policy control function, PCF), user plane function (UPF), application function (AF), unified data management (UDM), and non-3GPP interworking function (N3IWF).
  •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 policy control function policy control function
  • PCF user plane function
  • UPF user plane function
  • AF application function
  • UDM unified data management
  • N3IWF non-3GPP interworking function
  • the UE is connected to the data network via UPF through 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including gNB.
  • 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the UE may be provided with data services through an untrusted non-3GPP access, for exampl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N3IWF may be deployed.
  • UPF performs the function of a gateway to transmit and receive user data.
  • the UPF node can perform all or part of the user plane functions of S-GW (serving gateway) and 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of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 UPF operates as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ext generation RAN, NG-RAN) and the core network, and is an element that maintains the data path between gNB and SMF. Additionally, when the UE moves across the area served by the gNB, the UPF serves as a mobility anchor point. UPF can perform the function of handling PDUs. For mobility within NG-RAN (e.g. NG-RAN defined in 3GPP Release-15 and later), UPF can route packets. Additionally, UPF can be used in other 3GPP networks (e.g., RAN defined before 3GPP Release-15), e.g.,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evolved-UTRAN (E-UTRAN), or GERAN. It may also function as an anchor point for mobility with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 UPF may correspond to the termination point of the data interface toward the data network.
  • GSM global
  • PCF is a node that controls the operator's policy.
  • AF is a server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the UE.
  • UDM is a server that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like HSS (home subscriber server) in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 UDM 460 stores and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in a unified data repository (UDR).
  • UDR unified data repository
  • the SMF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llocating the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of the UE. And, SMF can control protocol data unit (PDU) sessions.
  • IP Internet protocol
  • PDU protocol data unit
  • reference numerals for AMF, SMF, PCF, UPF, AF, UDM, N3IWF, gNB, or UE may be omitte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referring to matters described in standard documents published before this document. can do.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disclosure expressed from a node perspective.
  • the UE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DN) through the next generation RAN.
  • the control plane function (CPF) node is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of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nd all of the control plane functions of the serving gateway (S-GW) and PDN gateway (P-GW). Or do some of it.
  • CPF nodes include AMF and SMF.
  • the UPF node functions as a gateway through which user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 N1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UE and AMF.
  • N2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R)AN and AMF.
  • N3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R)AN and UPF.
  • N4 represent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SMF and UPF.
  • N5 represent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PCF and AF.
  • N6 represent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UPF and DN.
  • N7 represent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SMF and PCF.
  • N8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UDM and AMF.
  • N9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UPFs.
  • N10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UDM and SMF.
  • N11 represents a reference point between AMF and SMF.
  • N12 represent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AMF and AUSF.
  • N13 represent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UDM and AUSF.
  • Protocol layers are L1 (layer-1), L2 (layer-2), and L3 (layer-3)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standard model, which is widely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It can be divided into: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UE and a gNB.
  • UE-to-Network Relay ProSe UE-to-Network Relay, Relay, Relay UE, UE-NW Relay, 5G ProSe UE-to-Network Relay, 5G ProSe UE-to-NW Relay, 5G ProSe UE-to -Network Relay U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referred to as relay UE. However, it may not be limited to this.
  • Remote UE, 5G Remote UE, 5G ProSe Remote UE, etc. can be used interchangeably,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y are referred to as remote UE and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relay operation of UE-to-Network considering multi-path support described below may be configu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operations, configurations, and combinations of steps, and may be configured based on a specific It may not be limited to form.
  • the path may be a path through NG-RAN.
  • NG-RAN may correspond only to gNB, may correspond to both gNB and ng-eNB,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 the path described below may be expanded to a path through non-3GPP access and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form.
  • a remote UE may perform wireless measurement on the PC5 interface and perform relay selection or reselection based on this. If there is no unicast PC5 connection between the remote terminal and the relay UE, the remote terminal measures SD (sidelink discovery)-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to check the relay terminal's PC5 link quality and selects the selection criteria (You can check whether the criteria are satisfied.
  • SD sidelink discovery
  •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 the remot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relay reselection trigger condition is met by measuring the SL (sidelink)-RSRP of the serving relay terminal if there is data transmission from the relay terminal. In addition, if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from the relay terminal, the remote terminal may use SL-RSRP or SD-RSRP to check whether the relay reselection trigger condition is met,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remote terminal can search for a candidate relay terminal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based on the above,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ndidate relay terminals, it can select one relay terminal and perform a connection.
  • PLMN ID and cell ID may be used as additional AS criteria in relay (re)selection, but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 the remote terminal may trigger relay terminal selection if the Uu signal strength of the serving cell is below the configured signal strength threshold or if there is an indication from a higher layer of the remote terminal, but may not be limited to this.
  • ProSe direct search as a function supported based on ProSe service, may be a process in which a terminal searches for and recognizes other nearby terminals based on NR, E-UTRA, or WLAN.
  • ProSe direct search can be of two types: open and restricted.
  • the open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a direct search is perform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for the terminal being searched.
  • the restricted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direct search is performed only when there is explicit permission for the terminal to be searched.
  • ProSe direct search may be a service provided solely to use informa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terminal being searched.
  • the terminal can perform additional operations through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ProSe direct search, and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 non-Public Safety terminals equipped with ProSe functionality and authorized for ProSe direct search may perform ProSe direct search based on NR or E-UTRA in the serving PLMN. At this time, for example, if a non-Public Safety terminal loses NR or E-UTRA coverage, it may not be able to support the ProSe direct search function, but it may not be limited to this.
  • ProSe direct search may operate based on Model A or Model B,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a terminal with the ProSe function enabled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roles of an announcing terminal and a monitoring terminal.
  • the announcing terminal may be a terminal that announces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in another nearby terminal that is permitted to search.
  • the monitoring terminal may be a terminal that monitors specific information announced by the announcing terminal.
  • the announcing terminal broadcasts a discovery message during a preset search period, and the monitoring terminal can operate by checking messages of interest among the broadcasted messages and proceeding with the subsequent process.
  • Model A may be a model in which an announcing terminal voluntarily transmits its presence and related information to surrounding terminals through broadcast, and a search is performed when a nearby monitoring terminal is interested in the information. .
  • FIG. 5 is a diagram showing how ProSe direct search is performed based on Model A applied in the present disclosure.
  • terminal 1 UE-1, 510 is an announcing terminal and can transmit an announcement message to at least one terminal (520, 530, 540, and 550).
  • the announcing terminal 510 may transmit an announcement message in a broadcast manner,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at least one terminal (520, 530, 540, 550) receiving the announcement message may be a monitoring terminal.
  • At least one monitoring terminal (520, 530, 540, 550) may monitor the announcement message, confirm a matching service, and then perform a connection.
  • Model B is a limited search type and may be a model in which ProSe direct search is performed by the discoverer UE sending a limited search message to the discoveree UE. More specifically, the search terminal may transmit a request containing specific information to be searched to the searched terminal. At this time, the searched terminal may deliver a response message containing related information to the search terminal based on th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search terminal. That is, in Model B, the search terminal transmits a search request message for specific information to a specific searched terminal, receives a response, and performs ProSe direct search.
  • Public Safety search is a limited search, and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terminal of Model A and search terminal of Model B may require authorization to perform a search in relation to a specific service, and based on this, ProSe direct search may be performed. It can be done.
  • Direc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above.
  • the core network of a new communication system e.g. 5G
  • the core network of a new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ProSe direct discovery, ProSe direct communication, and ProSe UE-to-network relay. You can support one.
  •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the ProSe function can perform authentication.
  • pre-provisioning for ProSe direct search, ProSe direct communication, and ProSe terminal-network relay may be performed on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the ProSe function, through which the above-described services may be provided.
  • multi-path transmission may be supported to improve data rate or reliability in rela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Se service.
  • multi-path transmission may include one direct network communication path and one non-direct network communication path through a relay terminal.
  • a specific terminal cannot smoothly receive services from the network through a direct path, so it may search for a relay terminal and request unicast link formation.
  • another specific terminal may search for a relay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data rate or reliability and request unicast link formation.
  • network connection services cannot be provided to all remote terminals. That is, the relay terminal cannot additionally connect to the remote terminal when resources for the network connection service are no longer available.
  • the relay terminal that has established a connection with the remote terminal may transmit an announcing message, which is a PC5 discovery message,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unicast link.
  • the relay terminal can mark and transmit the message as to whether resources for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exis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relay terminal marks whether resources for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exist and sends a response message. can be transmitted,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an announcing message for relay discovery may be transmitted. That is, the relay terminal that has established a connection with the remote terminal can transmit an announcing message, which is a PC5 discovery message,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unicast link.
  • the announcer info parameter can be set to User info ID
  • the relay service code (RSC) parameter can be set to identify the announced connection service.
  • other parameters related to announcing message transmission may be set and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 the announcing message may have a resource status indicator set as a parameter indicating whether there are resources through which the relay terminal can additionally provide a connection service to a remote terminal. That is, the announcing message transmitted by the relay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relay terminal has resources for additional remote terminal connections.
  • the announcing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able 1 below,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search terminal may transmit a PC5 discovery message as a request message for relay service search to the searched terminal based on the ProSe function. That is, the remote terminal as a search terminal can transmit a request message to the relay terminal as a searched terminal.
  • the searched terminal may transmit the PC5 discovery message to the search terminal as a response message based on the search terminal's request.
  • the searched terminal information parameter may be set to User info ID
  • a relay service code (RSC) parameter may be set to identify the connection service of the searched terminal.
  • RSC relay service code
  • a resource status indicator may be set as a parameter indicating whether there are resources through which the relay terminal can additionally provide a connection service to the remote terminal.
  • the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by the relay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relay terminal has resources for additional remote terminal connections.
  • the PC5 discovery message for the search terminal request may be as shown in Table 2 below
  • the PC5 discovery message for the searched terminal response may be as shown in Table 3 belo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status indicators for indicating the resource status of the relay terminal may be as shown in Tables 4 and 5 below,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relay terminal needs to recognize the purpose (or purpose) for which the other terminal searches for itself.
  • the relay terminal needs to distinguish or recognize for what purpose (or purpose) the other terminal requests provision of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 the relay terminal needs to distinguish or recognize whether another terminal requests a search or network connection service by considering multiple paths.
  • the relay terminal needs to operate based on the resources necessary (or available) to provide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and a method for this is described below.
  • Resources required to provide network connection services to remote terminals may be of various types.
  • the resource may be related to at least one of terminal-network relay capability (capability) and availability (capacity).
  • available resources may be related to PDU sessions, DRB, battery/power remaining amount,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providing network connection services,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network connection services, and may be provided in a specific form. It is not limited to
  • the relay terminal may set up a PDU session to serve a remote terminal or to receive services itself.
  • the relay terminal may already set the maximum PDU session that can be formed (or maintained), it may be determined that resources for providing the network connection service are not available.
  • ProSe-related operations and procedures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TS 23.304, TS 24.554, TS 33.536, and TS 33.503,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searches for a relay terminal for the purpose (or purpose) of using multiple paths.
  •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wishes to use multiple paths.
  •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it searches for a terminal-network relay for a purpose (or purpose) other than multi-path. That is, the information may indicate whether the relay terminal search is for multi-path or not.
  • a remote terminal may perform terminal-network relay search to receive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and in the above-described cas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not be included in the request message or may be set to 0.
  •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status (or quality)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direct path (or network connectivity).
  • status (or quality) related information may be leveled information (e.g. high/medium/low, good/medium/bad, etc).
  • status (or quality)-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indicates whether a network connection is possible or not.
  • status (or quality)-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or not connected to a network.
  •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terminal's Uu interface.
  • the signal strength-related information of the Uu interface may be the signal strength value itself.
  • information related to signal strength of the Uu interface may be leveled information (e.g. high/medium/low, good/medium/bad, etc.).
  •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searches for a terminal-network relay to improve (or improve) data rate/throughput.
  • the action may be a decision on how to set information (indicator) indicating support for network connection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and whether to include it in the response message.
  • a multi-path support indicator may be newly defined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r decision), which may be as shown in Table 9.
  • the multi-path support indicator may be indicated regardless of the terminal-network relay status (or situation) or resource availability.
  • the remote terminal when the remote terminal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the relay terminal, the remote terminal performs terminal-network relay selection (resel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and connects to the relay terminal. can be performed.
  • the remote terminal can decide whether to select the relay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response message or select another relay terminal. That is, the remot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o request layer 2 link formation with the relay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message.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below.
  • the information in Table 10 below may be included based on at least one of explicit, implicit, combinatorial, and implici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may be expressed through relay service code (RSC) information.
  • RSC relay service code
  •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below may be contained in or inferred from RSC.
  • the information in Table 10 below can be indicated through mapping information for RSC set in the terminal.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multiple paths are used.
  •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it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the relay terminal for a purpose (or purpose) other than multi-path. That is, it can be indicated whether it is for multi-path or not.
  • a remote terminal may request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not be included in the DCR message or may be set to 0.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continues to use the direct path. For example, i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CR message,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it will continue to use the direct path even if a non-direct path is cre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DCR message or is set to 0,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it will no longer use the direct path when a non-direct path is created. That i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an only use the non-direct path as one path.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status (or quality)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path (or network connectivity) of the terminal.
  • status (or quality) related information may be leveled information (e.g. high/medium/low, good/medium/bad, etc).
  • status (or quality)-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indicates whether a network connection is possible or not.
  • status (or quality)-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or not connected to a network.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rminal's network coverage.
  • the network coverage-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coverage or out-of-coverage.
  • network coverage-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or can be served by NG-RAN.
  • network coverage-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not or cannot be served by the NG-RAN.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to improve (or improve) data rate/throughput.
  • the DCR message may further include version information (e.g. release) supported by the terminal.
  • version information e.g. release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wishes to form (or use) a PDU session through multiple paths.
  •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the purpose (or purpose) is not to form (or use) a PDU session through multiple paths.
  • the terminal may be instructed to request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 the remote terminal 910 may transmit a DCR message for terminal-network relay in a state that already has a direct path (or is connected to a network or is registered in a network).
  • the remote terminal 910 may transmit a DCR message for terminal-network relay without having a direct path,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 the relay terminal may perform the operation (or decision) shown in Table 11 below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message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 the operation (or decision) in Table 11 below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in Table 10 may be further considered,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 the relay terminal can decide whether to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hat is, the relay terminal can decide whether to respond to the layer-2 link formation request. Alternatively, the relay terminal may decide whether to respond to the remote terminal's request message.
  • the relay terminal may decide whether to respond to the remote terminal's request message.
  • the relay terminal allows direct communication to the remote terminal ( A direct communication accept) message or a 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grant (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ACCEPT) message can be sent to the remote terminal.
  • the security setting procedure may refer to TS 33.536 and TS 33.503,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Thereafte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unicast link formed between the remote terminal and the relay terminal.
  • the response message may be a Direct Auth and Key Establish message or a Direct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 transmitted in the security setup procedure.
  • the response message may be one of the above-described Direct Communication Accept message or the 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Allow message.
  • the operation may include a decision by the relay terminal to reject the layer-2 link formation request, or a Direct Communication Reject message in response to the terminal's layer-2 link formation request, or This may be a decision on whether to transmit a 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jection (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JECT) message.
  • caus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jection message may include an existing cause value (e.g. Lack of resources for 5G ProSe direct link).
  • a new reason value may be defined considering multiple paths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 the reason information may be a PC5 signaling protocol cause, which is an existing reason parameter, or may be newly defined,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 the action may be how to set indicator information indicating support for network connection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and whether to include it in the response message.
  • the indicator may be the multi-path support indicator described above,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relay terminal may consider a case where layer-2 link formation request messages are received from two terminals.
  • terminal #A wants to use multi-path purpose (or purpose)
  • terminal #B UE #B
  • terminal #B may want to use it for purposes other than multi-path purposes.
  • the relay terminal can recognize the use (or purpose) of the remote termi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described above a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message transmitted by the remote terminal.
  • the relay terminal can serve terminal #B preferentially over terminal #A.
  • the relay terminal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erminal #B without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erminal #A.
  • the relay terminal may transmit a rejection message to terminal #A and a response message rather than a rejection message to terminal #B.
  • the relay terminal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with the multi-path support indicator value set to 0 to terminal #A. That is, the relay terminal may explicitly or implicitly indicate through a response message that it does not support network connection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and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form.
  • the terminal requesting layer-2 link formation from the relay terminal for the purpose (or purpose) of receiving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rather than the terminal(s) requesting layer-2 link formation from the relay terminal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s) may serve first.
  • the terminal(s) requesting the relay terminal to form a layer-2 link for the purpose (or purpose)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is requesting the relay terminal to form a layer-2 link for the purpose (or purpose) of multipathing. It may take priority over the terminal(s), and based on this, the operation (or decision) in Table 11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 the relay terminal may consider at least one of policies and parameters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or decision) in Table 11.
  • the policies and parameters may be ProSe-related policies and parameters,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at least one of the policies and parameters may be set (or provisioned) to the terminal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Se-related policy and parameter setting method,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elay terminal and a remote terminal applicable to the present disclosure to establish a ProSe service-oriented layer 2 link (or unicast link).
  • terminal-1 UE-1, 1010
  • terminal-2 UE-2, 1020
  • terminal-3 UE-3, 1030
  • terminal 4 UE-4, 1040
  • each relay terminal can determine a destination layer-2 ID for signal reception.
  • the ProSe application layer of the remote terminal can provide application information for PC5 unicast communication.
  • Terminal-1 (1010) which is a remote terminal, sends a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DCR) message or a 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to request layer-2 link formation to the relay terminal.
  • DCR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DCR message, but i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DCR message transmitted by the remote terminal 1010 may not include target terminal information.
  • terminal(s) interested in the ProSe service announced by the remote terminal 1010 may transmit a response.
  • UE-2 (UE-2, 920) and UE-4 (UE-4)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UE-1 (UE-1, 910) as a remote terminal to establish a layer-2 link. can be performed.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described above.
  • the information in Table 10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based on at least one of explicit, implicit, combined, and implici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may be expressed through relay service code (RSC) information.
  • RSC relay service code
  •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in Table 10 described above may be contained in or inferred by RSC.
  • the information in Table 10 described above may be indicated through mapping information for RSC set in the terminal.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multiple paths are used.
  •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it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the relay terminal for a purpose (or purpose) other than multi-path. That is, it can be indicated whether it is for multi-path or not.
  • a remote terminal may request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not be included in the DCR message or may be set to 0.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for the purpose (or purpose) of using an additional path.
  • the terminal may indicate that it requests the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the relay terminal for the purpose (or purpose) of not using an additional path. . That is, it can be indicated whether it is for an additional path or not.
  • a remote terminal may request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network connection service.
  •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not be included in the request message or may be set to 0.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status (or quality)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path (or network connectivity) of the terminal.
  • status (or quality) related information may be leveled information (e.g. high/medium/low, good/medium/bad, etc).
  • status (or quality)-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indicates whether a network connection is possible or not.
  • status (or quality)-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or not connected to a network.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terminal's Uu interface.
  • the signal strength-related information of the Uu interface may be the signal strength value itself.
  • information related to signal strength of the Uu interface may be leveled information (e.g. high/medium/low, good/medium/bad, etc.).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to improve (or improve) reliability.
  • the DCR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requests formation of a layer-2 link with a relay terminal to improve (or improve) data rate/throughput.
  • the DCR message may further include version information (e.g. release) supported by the terminal.
  • version information e.g. release
  • the action may be how to set indicator information indicating support for network connection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and whether to include it in the response message.
  • the indicator may be the multi-path support indicator described above,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relay terminal can serve terminal #B preferentially over terminal #A.
  • the relay terminal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erminal #B without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erminal #A.
  • the relay terminal may transmit a rejection message to terminal #A and a response message rather than a rejection message to terminal #B.
  • the relay terminal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with the multi-path support indicator value set to 0 to terminal #A. That is, the relay terminal may explicitly or implicitly indicate through a response message that it does not support network connection for multi-path purposes (or purposes), and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form.
  •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for multi-path, and the third terminal's third message transmission may be for a network connection.
  •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a rejection message for unicast link 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nd a grant message for unicast link formation to the third terminal, as described abov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various wireless access systems, but also to all technical fields that apply the various wireless access systems.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mmWave and THz communication systems using ultra-high frequency band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and dr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단말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단말은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단말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중 경로(multi path)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무선 접속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접속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특히, 많은 통신 기기들이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통신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뿐만 아니라 신뢰성 (reliability) 및 지연(latency) 민감한 서비스/UE(user equipment)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기술 구성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을 탐색하는 경우에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단말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단말은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특정 동작은: 단말이 다른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및 다른 단말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단말은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제2 단말은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및 제2 단말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특정 동작은: 단말이 다른 단말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다른 단말은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및 다른 단말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의 서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장치가, 다른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장치를 제어하고,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도록 장치를 제어하고, 및 다른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장치를 제어하되, 장치는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executable)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장치가 다른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장치를 제어하고,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도록 장치를 제어하고, 및 다른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장치를 제어하되, 장치는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사항들은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1 메시지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검색에 대한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이고, 제2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요청 메시지는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 전송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는 다중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추가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직접 경로 유지 지시 정보, 직접 경로 품질 정보, 직접 경로 신호 세기 정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 신뢰성 개선 관련 정보, 데이터 레이트 관련 정보, 단말 버전 정보 및 다중 경로 PDU 세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응답 메시지 내의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및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응답 메시지 내의 상태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지시하고, 제1 단말이 응답 메시지 내의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정보와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지시하고, 제1 단말이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다중 경로용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제1 단말이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1 단말이 제3 단말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단말의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에 대한 것이고, 제3 단말의 제3 메시지 전송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것이면 제1 단말은 제2 단말보다 제3 단말의 서빙을 우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1 메시지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DCR) 메시지이고, 제2 메시지는 DCR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DCR 메시지는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 전송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는 다중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추가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직접 경로 유지 지시 정보, 직접 경로 품질 정보, 직접 경로 신호 세기 정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 신뢰성 개선 관련 정보, 데이터 레이트 관련 정보, 단말 버전 정보 및 다중 경로 PDU 세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거절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 거절시 거절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및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제1 단말이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1 단말이 제3 단말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단말의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에 대한 것이고, 제3 단말의 제3 메시지 전송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것이면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3 단말로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허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을 탐색하는 경우에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서술하는 구성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개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에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NG-RAN과 5GC(5th generation core)의 기능적 분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서 적용되는 5G(5th generation) 시스템의 일반적인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개시에서 적용 가능한 모델 A에 기초하여 ProSe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개시에서 적용 가능한 모델 B에 기초하여 ProSe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다중 경로 지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릴레이 단말과 원격 단말이 단말 기반(UE oriented)의 레이어 2 링크(또는 유니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릴레이 단말과 원격 단말이 ProSe 서비스 기반(ProSe service oriented)의 레이어 2 링크(또는 유니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릴레이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개시를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Node B), gNB(gNode B), ng-eNB, 발전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이동 가입자 단말(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발전된 이동 단말(advanced mobile station, AMS)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의 경우,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의 경우,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5th generation) NR(New Radio)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으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38.211, 3GPP TS 38.212, 3GPP TS 38.213, 3GPP TS 38.321 및 3GPP TS 38.331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른 무선 접속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3GPP 5G NR 시스템 이후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특정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LTE, NR 등)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는 3GPP TS 36.xxx Release 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3GPP TS 36.xxx Release 10 이후의 LTE 기술은 LTE-A로 지칭되고, 3GPP TS 36.xxx Release 13 이후의 LTE 기술은 LTE-A pro로 지칭될 수 있다. 3GPP NR은 TS 38.xxx Release 15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3GPP 6G는 TS Release 17 및/또는 Release 1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xxx"는 표준 문서 세부 번호를 의미한다. LTE/NR/6G는 3GPP 시스템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예로, 36.xxx 및 38.xxx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약어 및 그 밖의 배경기술에 대해서는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하기 표준 문서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LTE/EPS(Evolved Packet System) 관련 용어, 약어 및 그 밖의 배경기술들은 36.xxx 시리즈, 23.xxx 시리즈 및 24.xxx 시리즈를 참고할 수 있으며, NR(new radio)/5GS 관련 용어, 약어 및 그 밖의 배경기술들은 38.xxx 시리즈, 23.xxx 시리즈 및 24.xxx 시리즈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이 정의된 용어를 바탕으로 본 명세서에 대하여 기술한다.
5G의 세 가지 주요 요구 사항 영역은 (1) 개선된 모바일 광대역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영역, (2) 다량의 머신 타입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영역 및 (3) 초-신뢰 및 저 지연 통신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사용 예(Use Case)는 최적화를 위해 다수의 영역들이 요구될 수 있고, 다른 사용 예는 단지 하나의 핵심 성능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에만 포커싱될 수 있다. 5G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들을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 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 LTE)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home appliance)(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기/서버(100g)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b-1, 100b-2)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100c)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100d)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100e)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100f)는 센서, 스마트 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20), 네트워크(130)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12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120)을 통해 네트워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AI 서버(100g)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120)/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120)/네트워크(13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예,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100f)(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120), 기지국(120)/기지국(12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예,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UE(200)는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송수신기(206),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 전원 관리 모듈(241), 배터리(242), 디스플레이(243), 키패드(244),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245), 스피커(246), 마이크(24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UE(2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202)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ASIC, 기타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DSP,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변조 및 복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프로세서(202)를 작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기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이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때,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모듈(예: 절차, 기능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204)에 저장되고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 내에 또는 프로세서(202)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술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로세서(202)와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제어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원 관리 모듈(241)은 프로세서(202) 및/또는 송수신기(206)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배터리(242)는 전원 관리 모듈(24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3)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키패드(244)는 프로세서(202)에서 사용할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244)는 디스플레이(243)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245)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관련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휴대 전화나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스피커(246)는 프로세서(202)에서 처리한 사운드 관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247)는 프로세서(202)에서 사용할 사운드 관련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UE는 상향링크에서 송신 장치로, 하향링크에서 수신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기지국은 UL에서 수신 장치로, DL에서 송신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노드 B(Node B), eNode B(eNB), gNB로 불릴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UE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UE는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UE는 통신 장치, 제어 장치, 메모리 장치 및 추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통신 장치, 메모리 장치, 추가 구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UE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명령/정보를 기반으로 각 UE의 전기/기계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장치를 거쳐 외부(예: 기타 통신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장치를 거쳐 외부(예: 기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메모리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는 UE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구성 요소는 동력 장치/배터리, 입출력(I/O) 장치(예: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구동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E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봇(도 1의 100a), 차량(도 1의 100b-1 및 100b-2), XR 장치(도 1의 100c), 휴대용 장치(도 1의 100d), 가전 제품(도 1의 100e), IoT 장치(도 1의 100f), 디지털 방송 단말,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AI 서버/장치(도 1의 100g), 기지국(도 1의 120), 네트워크 노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UE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이동 또는 고정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UE의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의 전체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신 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UE의 각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장치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및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의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 장치는 RAM, DRAM(Dynamic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5G 시스템 아키텍처
5G 시스템은 4세대 LTE 이동 통신 기술로부터 진보된 기술로서 기존 이동 통신망 구조의 개선(Evolution) 혹은 클린-스테이트(Clean-state) 구조를 통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LTE(Long Term Evolution)의 확장된 기술로서 eLTE(extended LTE), non-3GPP(예를 들어, WLAN) 액세스 등을 지원한다.
5G 시스템은 서비스-기반으로 정의되고, 5G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architecture) 내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들 간의 상호동작(interaction)은 다음과 같이 2가지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참조 포인트 표현(representation): 2개의 NF들(예를 들어, AMF 및 SMF) 간의 점-대-점 참조 포인트(예를 들어, N11)에 의해 기술되는 NF들 내 NF 서비스들 간의 상호 동작을 나타낸다.
- 서비스-기반 표현(representation): 제어 평면(CP: Control Plane) 내 네트워크 기능들(예를 들어, AMF)은 다른 인증된 네트워크 기능들이 자신의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표현은 필요한 경우 점-대-점(point-to-point)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도 포함한다.
5GC(5G Core)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와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와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N3IWF(non-3GPP interworking function)를 포함한다.
UE는 gNB를 포함하는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를 통해 UPF를 거쳐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UE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액세스,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통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3GPP 액세스를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N3IWF가 배치될 수 있다.
N3IWF는 비-3GPP 액세스와 5G 시스템 간의 인터워킹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E가 비-3GPP 액세스(예: IEEE 802.11로 일컬어지는 WiFi)와 연결된 경우, UE는 N3IWF를 통해 5G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N3IWF는 AMF와 제어 시그너링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와 연결된다.
AMF는 5G 시스템에서 액세스 및 이동성을 관리할 수 있다. AMF는 NAS(non-access stratum) 보안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MF는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서 이동성을 핸들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PF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UPF 노드는 4세대 이동통신의 S-GW(serving gateway) 및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사용자 평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UPF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N, NG-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 동작하고, gNB와 SMF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요소이다. 또한, UE가 gNB에 의해서 서빙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UPF는 이동성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 역할을 수행한다. UPF는 PDU를 핸들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G-RAN(예: 3GPP 릴리즈-15 이후에서 정의되는 NG-RAN)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 UPF는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UPF는 다른 3GPP 네트워크(예: 3GPP 릴리즈-15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evolved-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UPF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할 수 있다.
PCF는 사업자의 정책을 제어하는 노드이다. AF는 UE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UDM은 4세대 이동 통신의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같이,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UDM(460)은 가입자 정보를 통합 데이터 저장소(unified data repository: UDR)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SMF는 UE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SMF는 PDU(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AMF, SMF, PCF, UPF, AF, UDM, N3IWF, gNB, 또는 UE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될 수 있으며,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노드 관점에서 표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UE는 차세대 RAN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와 연결된다. 제어 평면 기능(control plane function, CPF) 노드는 4세대 이동 통신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기능 전부 또는 일부, S-GW(serving gateway) 및 P-GW(PDN gateway)의 제어 평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한다. CPF 노드는 AMF와 SMF을 포함한다.
UPF 노드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은 UE를 인증 및 관리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SF)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위한 노드이다.
네트워크 공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는 5G 코어의 서비스와 기능을 안전하게 공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3에 나타난 레퍼런스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N1은 UE와 AMF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2은 (R)AN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은 (R)AN과 UP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4은 SMF와 UP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5은 PCF과 A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6은 UPF와 DN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7은 SMF과 PC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8은 UDM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9은 UP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0은 UDM과 S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1은 AMF과 S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2은 AMF과 AU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3은 UDM과 AU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4은 AM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5은 비-로밍 시나리오(non-roaming scenario)에서, PCF와 AM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로밍 시나리오에서, AMF와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의 PC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6은 SM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22은 AMF와 NS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0은 PCF와 NE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3은 AF와 NE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술한 엔티티 및 인터페이스는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구성될 수 있다. N58은 AMF와 NSSAA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59는 UDM과 NSSAA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80은 AMF와 NSAC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81은 SMF와 NSAC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 접속 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layer-1), L2(layer-2), L3(layer-3)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도 4는 UE과 gNB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AS(access stratum) 계층은 물리(physical, PHY) 계층, 매체 접속 제어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계층에 기초한 동작은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는 UE(User Equipment) 또는 단말의 동작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로 지칭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UE-to-Network Relay, ProSe UE-to-Network Relay, Relay, Relay UE, UE-NW Relay, 5G ProSe UE-to-Network Relay, 5G ProSe UE-to-NW Relay, 5G ProSe UE-to-Network Relay UE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릴레이 단말(relay UE)로 지칭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Remote UE, 5G Remote UE, 5G ProSe Remote UE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격 단말(remote UE)로 지칭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 서술하는 다중 경로 지원을 고려한 단말- 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의 릴레이 동작은 하기 동작, 구성 및 단계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하기에서 경로(path)는 communication path, routing path, connection path, reference point, interface 또는 그 밖의 주체 상호 간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다중 경로 전송(multi-path transmission)은 multi-path, multiple paths, transmission with/over multi-path, communication with/over multi-path, communication with multiple paths 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서는 다중 경로 전송을 기준으로 서술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는 모든 종류의 릴레이(e.g. Layer-2 UE-to-Network Relay, Layer-3 UE-to-Network Relay)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릴레이로 지칭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하기에서 릴레이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로와 비직접 경로(indirect path)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비 직접 경로는 하나의 홉(즉, 하나의 릴레이 단말을 통해 원격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 및 멀티 홉(multi-hop)(즉, 다수의 릴레이 단말을 통해 원격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경로는 NG-RAN을 통하는 경로일 수 있다. 여기서, NG-RAN은 gNB만 해당할 수 있고, gNB 및 ng-eNB 모두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에서 서술하는 경로는 비-3GPP 액세스(non-3GPP access)를 통하는 경로로도 확장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을 통한 비직접 경로 사용 용도 또는 목적은 다중 경로의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경로가 아닌 경우는 기존 비직접 경로를 사용하는 용도 또는 목적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용도 또는 목적을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원격 단말(remote UE)는 PC5 인터페이스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릴레이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단말과 릴레이 단말(relay UE) 상호 간의 유니캐스트 PC5 연결이 없는 경우, 원격 단말은 SD(sidelink discovery)-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여 릴레이 단말의 PC5 링크 품질을 확인하여 선택 기준(criteria)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을 재선택하는 경우, 원격 단말은 릴레이 단말에서 데이터 전송이 존재하면 서빙 릴레이 단말의 SL(sidelink)-RSRP를 측정하여 릴레이 재선택 트리거 조건이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격 단말은 릴레이 단말에서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SL-RSRP 또는 SD-RSRP를 사용하여 릴레이 재선택 트리거 조건이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 단말은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조건을 충족하는 후보 릴레이 단말을 검색할 수 있으며, 후보 릴레이 단말들이 복수 개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릴레이 (재)선택에서 PLMN ID와 셀 ID가 추가 AS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예로, 원격 단말은 서빙 셀의 Uu 신호 세기가 구성된 신호 세기 임계 값 아래이거나 원격 단말 상위 계층의 지시가 존재하면 릴레이 단말 선택을 트리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의 PC5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신호 세기 임계 값 아래인 경우, 릴레이 단말이 PC5-RRC 신호를 통해 셀 (재)선택, 핸드오버 또는 Uu RLF(radio link failure)를 표시한 경우,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로부터 PC5-S 링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원격 단말이 PC5 RLF를 감지한 경우 또는 상위 계층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은 릴레이 단말 재선택을 트리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RRC 휴지/비활성화 L2 원격 단말과 L3 원격 단말의 경우, 셀 (재)선택 절차와 릴레이 (재)선택 절차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합한 셀과 적합한 릴레이 UE 모두 가능한 경우, 원격 단말은 원격 단말 구현에 기초하여 셀 또는 L2 릴레이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L3 원격 단말은 원격 단말 구현에 기초하여 동시에 셀과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 수 있으나,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RRC 휴지/비활성화 L2 원격 단말과 L3 원격 단말과 관련하여 릴레이 단말은 새로운 셀을 선택하면 PC5-RRC 메시지를 통해 해당 정보를 원격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PC5 RRC 메시지를 수신한 원격 단말은 원격 단말 구현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PC5 링크를 해제하거나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L2 해제 절차를 트리거한 경우, 원격 단말은 릴레이 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에 대한 선택 또는 재선택이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은 ProSe(Proximity-based services) 서비스에 지원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ProSe 서비스에 기초하여 지원되는 기능으로써 ProSe 직접 검색은 단말이 NR, E-UTRA 또는 WLAN에 기초하여 근접한 다른 단말을 검색하고 인식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때, ProSe 직접 검색은 오픈(open) 방식과 제한(restricted) 방식으로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오픈 방식은 검색되는 단말에 대한 명시적 허여(explicit permission)없이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방식일 수 있다. 반면, 제한 방식은 검색되는 단말에 대한 명시적 허여가 있는 경우에만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일 예로, ProSe 직접 검색은 검색되는 단말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단독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단말은 ProSe 직접 검색에 기초하여 획득한 정보를 통해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ProSe 기능을 구비한 non-Public Safety 단말들로써 ProSe 직접 검색에 권한을 가진 단말들이 서빙 PLMN에서 NR 또는 E-UTRA에 기초하여 ProSe 직접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non-Public Safety 단말이 NR 또는 E-UTRA 커버리지를 잃어버린 경우에는 ProSe 직접 검색 기능을 지원하지 못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ProSe 직접 검색은 모델 A(Model A) 또는 모델 B(Model B)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모델 A에서 ProSe 기능이 인에이블된 단말은 어나운싱(announcing) 단말 및 모니터링(monitoring)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어나운싱 단말은 검색이 허여된 근접한 다른 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특정 정보를 어나운싱하는 단말일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은 어나운싱 단말이 어나운싱하는 특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어나운싱 단말은 기 설정된 검색 구간동안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모니터링 단말은 브로드캐스팅되는 메시지 중 관심있는 메시지를 확인하여 이후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즉, 모델 A는 어나운싱 단말이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자신의 존재 및 관련 정보를 주변 단말들에게 스스로 전달하고, 주변의 모니터링 단말이 해당 정보에 관심이 있는 경우에 검색이 수행되는 모델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5는 본 개시에서 적용되는 모델 A에 기초하여 ProSe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단말 1(UE-1, 510)은 어나운싱 단말로써 어나운스먼트 메시지(announcement message)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520, 530, 540, 55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어나운싱 단말(510)은 어나운스먼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어나운스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520, 530, 540, 550)은 모니터링 단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단말들(520, 530, 540, 550)은 어나운스먼트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매칭되는 서비스를 확인 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모델 B는 제한된 검색 타입으로 검색 단말(discoverer UE)이 피검색 단말(discoveree UE)에게 제한된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여 ProSe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모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 단말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피검색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검색 단말은 검색 단말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검색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모델 B에서 검색 단말은 특정 피검색 단말로 특정 정보에 대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ProSe 직접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Public Safety 검색은 제한된 검색으로 상술한 모델 A의 모니터링 단말과 모델 B의 검색 단말은 특정 서비스와 관련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허가(authorization)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ProSe 직접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은 본 개시에서 적용되는 모델 B에 기초하여 ProSe 직접 검색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1(UE-1, 610)은 검색 단말(discoverer)로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620, 630, 640, 6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620, 630, 640, 650)은 피검색 단말(discoveree)일 수 있다. 일 예로, 피검색 단말은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ProSe 응답 코드 및 발견 쿼리 필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쿼리 코드 매칭에 기초하여 검색 단말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새로운 통신 시스템(e.g. 5G)의 핵심망에는 ProSe 직접 검색(ProSe direct discovery), ProSe 직접 통신(ProSe direct communication) 및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ProSe UE-to-network relay)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ProSe 기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말들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ProSe 기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말들에는 ProSe 직접 검색, ProSe 직접 통신 및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한 사전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상술한 ProSe 서비스와 관련하여 데이터 레이트 또는 신뢰성(reli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경로(multi path) 전송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경로 전송은 하나의 네트워크 직접 통신 경로와 릴레이 단말을 통한 하나의 비-직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다중 경로 지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10)은 네트워크(720)와 하나의 네트워크 직접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710)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730, 이하, 릴레이 단말)을 통해 네트워크 비-직접 통신 패스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710)은 다중 경로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레이트 또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다중 경로 설정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권한 및 트리거링 방법에 대한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ProSe 서비스에 대한 다중 경로 전송을 사용할지 여부 또는 어떤 원격 단말에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원격 단말, 릴레이 단말 또는 네트워크가 다중 경로 연결 설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방법에 대한 설정, 다중 경로 전송을 위한 규칙 제공 및 업데이트를 위한 설정 또는 멀티 패스를 위한 절차에 대한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특정 단말은 직접 경로(direct path)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원활하게 받을 수 없어 릴레이 단말을 검색하여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요청할 수 있다. 반면, 다른 특정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또는 신뢰성을 고려하여 릴레이 단말을 검색하여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에서 자원이 한정되기 때문에 모든 원격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즉, 릴레이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위한 자원이 더 이상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 추가로 원격 단말과 연결을 수행할 수 없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원격 단말과 연결을 형성한 릴레이 단말은 유니캐스트 링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해 PC5 발견 메시지인 어나운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해당 메시지에 마킹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다른 단말이 전송한 PC5 발견 메시지인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에 응답을 제공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마킹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술한 도 5에서 릴레이 발견을 위한 어나운싱 메시지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원격 단말과 연결을 형성한 릴레이 단말은 유니캐스트 링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해 PC5 발견 메시지인 어나운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어나운서 정보(announcer info) 파라미터는 User info ID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나운스되는 연결 서비스 식별을 위해 릴레이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RSC)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나운싱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그 밖의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 예로, 어나운싱 메시지는 릴레이 단말이 추가로 원격 단말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로 자원 상태 지시자(resource status indicator)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이 전송하는 어나운싱 메시지에는 릴레이 단말이 추가 원격 단말 연결을 위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어나운싱 메시지는 하기 표 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표 1]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1
또한,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검색 단말은 ProSe 기능에 기초하여 피검색 단말로 릴레이 서비스 검색을 위한 요청(solicitation) 메시지로 PC5 발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검색 단말로서 원격 단말은 피검색 단말로서 릴레이 단말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색 단말은 검색 단말의 요청에 기초한 응답 메시지로 PC5 발견 메시지를 검색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응답 메시지에서 피검색 단말 정보 파라미터는 User info ID로 설정될 수 있으며, 피검색 단말의 연결 서비스 식별을 위해 릴레이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RSC)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피검색 단말 연결 서비스와 관련된 그 밖의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 예로, 피검색 단말의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단말이 추가로 원격 단말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로 자원 상태 지시자(resource status indicator)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릴레이 단말이 추가 원격 단말 연결을 위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검색 단말 요청에 대한 PC5 발견 메시지는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고, 피검색 단말 응답에 대한 PC5 발견 메시지는 하기 표 3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 2]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2
[표 3]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3
또한,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의 자원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지시자(status indicator)는 하기 표 4 및 표 5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표 4]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4
[표 5]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5
일 예로,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릴레이 단말은 다른 단말이 어떤 용도(또는 목적)로 자신을 검색하는지 인지할 필요성이 있다. 또는, 릴레이 단말은 다른 단말이 어떤 용도(또는 목적)로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지 구분 또는 인지할 필요성이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다른 단말이 다중 경로를 고려하여 검색 또는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구분 또는 인지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상황에서 릴레이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또는 가용한) 자원에 기초하여 동작할 필요성이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위한 방안에 대해 서술한다.
원격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resource)는 다양한 형태의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자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능력(capability) 및 가용(capac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가용 자원은 PDU 세션, DRB, 배터리/파워(battery/power) 잔량,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의 수 및 그 밖의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와 관련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을 서빙하거나 자신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PDU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이 형성(또는 유지) 가능한 최대 PDU 세션을 이미 설정한 경우,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원은 가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 서술하는 ProSe 관련 동작 및 절차는 TS 23.304, TS 24.554, TS 33.536 및 TS 33.503을 참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격 단말(810)은 검색 단말(discoverer)로 릴레이 단말 검색을 위한 요청 메시지(discovery solicitation message)를 적어도 하나의 피검색 단말(discoveree, 820, 830, 8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810)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하기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기 표 6의 정보는 명시적, 함축적, 조합적 및 암시적인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6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RSC)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하기 표 6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RSC에 내포되거나 RSC에 의해 유추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에 설정된 RSC에 대한 매핑 정보를 통해 하기 표 6의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사용할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을 검색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사용하고자 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다중 경로가 아닌 용도(또는 목적)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해당 정보는 릴레이 단말 검색이 다중 경로를 위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에 해당 정보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추가 경로를 이용할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 검색을 수행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추가적인 경로를 이용하지 않을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을 검색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해당 정보는 릴레이 단말 검색이 추가 경로를 위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에 해당 정보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직접 경로를 계속 이용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면 비직접 경로가 생성되어도 단말은 직접 경로를 계속 이용함을 지시할 수 있다. 반면, 요청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비직접 경로가 생성되면 직접 경로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경우에 단말은 하나의 경로로 비직접 경로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직접 경로(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에 대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레벨화된 정보(e.g. 상/중/하, good/medium/bad, etc)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연결 가능 또는 불가능을 지시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 또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는 신호 세기 값 자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는 레벨화된 정보(e.g. 상/중/하, good/medium/bad, etc)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인-커버리지(in-coverage)인지 또는 아웃-오브-커버리지(out-of-coverage)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NG-RAN에 의해 서빙되거나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NG-RAN에 의해 서빙되지 않거나 될 수 없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신뢰성(reliability) 개선(또는 향상)을 위해 릴레이 단말을 검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데이터 레이트/스루풋(data rate/throughput) 개선(또는 향상)을 위해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지원하는 버전 정보(e.g. releas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통해 PDU 세션을 형성(또는 사용)하고자 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다중 경로를 통해 PDU 세션을 형성(또는 사용)하는 것이 아닌 용도(또는 목적)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시될 수 있다.
[표 6]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6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원격 단말(810)은 이미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는 상태(또는 네트워크 연결이 있거나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해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단말(820, 830, 8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원격 단말(810)은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해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단말(820, 830, 8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단말(820, 830, 840)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단말(820, 830, 840)은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기 표 7의 동작(또는 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단말(820, 830, 840)은 표 6의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태 지시자(status indicator) 값에 대한 설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태 지시자는 상술한 표 4 및 표 5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지시자 설정을 위한 다른 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 상술한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고려하여 동작(또는 결정)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원 가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정보에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반영하여 상태 지시자를 0 또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응답 메시지 전송 여부에 대한 결정일 수 있다. 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단말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응답 메시지 전송 여부와 관련된 기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응답 메시지 전송 여부는 기존 정보와 상술한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여도 상술한 상태 지시자는 가용 자원에 따라 0 또는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가용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어떻게 설정할지 여부 및 해당 정보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일 수 있다.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위해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Resource status indicator for multi-path 또는 Status indicator for multi-path)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표 8과 같을 수 있다. 즉,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비트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용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값이 0이면 단말은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용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해당 값이 0이면 단말은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용 자원을 가질 수 있다.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가용한 자원이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반대로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으면 가용한 자원이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가용한 자원이 없는 경우에만 이를 지시하기 위해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 예로,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에 대한 동작은 해당 지시자 설정을 위한 기존 정보 및 상술한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정보(indicator)를 어떻게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위해 다중 경로 지원 지시지(Multi-path support indicator)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표 9와 같을 수 있다.
즉,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 비트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값이 0이면 단말은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해당 값이 1이면 단말은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할 수 있다. 반대로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으면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다중 경로를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만 이를 지시하기 위해 다중 경로지원 지시자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 예로,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에 대한 동작은 해당 지시자 설정을 위한 기존 정보 및 상술한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상태(또는 상황)이나 자원 가용 여부와 무관하게 지시될 수 있다.
[표 7]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7
[표 8]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8
[표 9]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09
또한,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두 개의 원격 단말로부터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를 수신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UE #1)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단말 #2(UE #2)는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용도(또는 목적)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한 경우일 수 있다. 즉, 단말 #2는 다중 경로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릴레이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이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로 상술한 표 6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원격 단말의 용도(또는 목적)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단말 #1보다 단말 #2를 우선적으로 서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1에게 상태 지시자 값이 0으로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한 자원을 가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릴레이 단말은 단말 #2에게 상태 지시자 값이 1로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1에게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값이 0으로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통해 자원이 가용되지 않음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1에게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 값이 0으로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지 않음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서는 단말 #1 및 단말 #2를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복수의 단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하는 단말들보다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는 용도(또는 목적)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하는 단말(들)이 우선하여 서빙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용도(또는 목적)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하는 단말(들)을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하는 단말(들)보다 우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상술한 표 7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에 기초하여 표 7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반영될 수 있다. 일 예로, 정책 및 파라미터는 ProSe 관련 정책 및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말에 설정(또는 프로비저닝(provisioning))되어 ProSe 관련 정책 및 파라미터 설정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원이 부족한 경우는 가용 자원이 기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어떤 용도(또는 목적)를 더 높은 우선순위로 처리(또는 서빙)할지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처럼 네트워크 연결 제공 용도(또는 목적)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가 네트워크 연결 제공 용도(또는 목적)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하거나 용도(목적) 구분없이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에 대한 상술한 표 7의 동작(또는 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서빙 중인 원격 단말을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표 7의 동작(또는 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전 또는 수행하면서 릴레이 단말은 서빙 중인 원격 단말을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표 7의 동작(또는 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릴레이 단말은 서빙 중인 원격 단말을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결정은 상술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더 이상 서빙하지 않을 원격 단말(들)에게 해제를 통보할 수 있다. 또는,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들)과 레이어-2 링크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로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해 주던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원격 단말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해 주던 원격 단말 및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이 아닌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해 주던 원격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원격 단말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선택(재선택)을 수행하여 릴레이 단말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지 또는 다른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원격 단말은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 2 링크 형성을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릴레이 단말과 원격 단말이 단말 기반(UE oriented)의 레이어 2 링크(또는 유니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UE-1, 910)은 원격 단말이고, 단말-2(UE-2, 920), 단말-3(UE-3, 930) 및 단말 4(UE-4, 940)는 릴레이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들 각각은 신호 수신을 위한 목적지 레이어-2 아이디(destination layer-2 ID)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단말의 ProSe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PC5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원격 단말인 단말-1(910)은 릴레이 단말로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기 위해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DCR)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DCR 메시지를 기준으로 서술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910)이 전송하는 DCR 메시지에 타겟 단말 정보가 포함된 경우, 타겟 단말은 타겟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ID가 일치하면 직접 통신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2(UE-2, 920)가 타겟 단말일 수 있으며, 단말-2(920)는 원격 단말로 단말-1(UE-1, 91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레이어-2 링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DCR 메시지는 하기 표 10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10의 정보는 명시적, 함축적, 조합적 및 암시적인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표 10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RSC)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하기 표 10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RSC에 내포되거나 RSC에 의해 유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단말에 설정된 RSC에 대한 매핑 정보를 통해 하기 표 10의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DCR 메시지는 단말이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DCR 메시지는 다중 경로를 사용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다중 경로가 아닌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다중 경로를 위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가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에 해당 정보가 DCR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추가 경로를 이용할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추가적인 경로를 이용하지 않을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추가 경로를 위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가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에 해당 정보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직접 경로를 계속 이용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면 비직접 경로가 생성되어도 단말은 직접 경로를 계속 이용함을 지시할 수 있다. 반면,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비직접 경로가 생성되면 직접 경로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경우에 단말은 하나의 경로로 비직접 경로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의 직접 경로(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에 대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레벨화된 정보(e.g. 상/중/하, good/medium/bad, etc)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연결 가능 또는 불가능을 지시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 또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는 신호 세기 값 자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는 레벨화된 정보(e.g. 상/중/하, good/medium/bad, etc)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인-커버리지(in-coverage)인지 또는 아웃-오브-커버리지(out-of-coverage)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NG-RAN에 의해 서빙되거나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NG-RAN에 의해 서빙되지 않거나 될 수 없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신뢰성(reliability) 개선(또는 향상)을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데이터 레이트/스루풋(data rate/throughput) 개선(또는 향상)을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지원하는 버전 정보(e.g. releas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통해 PDU 세션을 형성(또는 사용)하고자 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다중 경로를 통해 PDU 세션을 형성(또는 사용)하는 것이 아닌 용도(또는 목적)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시될 수 있다.
[표 10]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10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 원격 단말(910)은 이미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는 상태(또는 네트워크 연결이 있거나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해 DC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원격 단말(910)은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해 DC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술한 메시지에 포함된 표 10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기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표 10의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가 더 고려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에 대해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과 레이어-2 링크를 형성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과 원격 단말은 보안 설정(security establishment)을 수행하고,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로 직접 통신 허여(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허여(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ACCEPT) 메시지를 원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설정 절차는 TS 33.536, TS 33.503을 참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 후, 원격 단말과 릴레이 단말 사이에 형성된 유니캐스트 링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응답 메시지는 보안 설정 절차에서 전송되는 직접 인증 및 키 설립 메시지(Direct Auth and Key Establish message) 또는 직접 보안 모드 명령 메시지(Direct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응답 메시지는 상술한 직접 통신 허여(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허여(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ACCEPT) 메시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릴레이 단말이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을 거절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 또는 단말의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직접 통신 거절(Direct Communication Reject)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거절(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JECT) 메시지를 전송할지에 대한 결정일 수 있다. 일 예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유(cause) 정보는 기존의 이유 값(cause value)(e.g. Lack of resources for 5G ProSe direct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경로를 고려하여 새로운 이유 값이 정의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이유 정보는 기존의 이유 파라미터인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이유(PC5 signaling protocol cause)이거나 새롭게 정의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 (indicator)를 어떻게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킬지 여부일 수 있다. 일 예로, 지시 정보 (indicator)는 상술한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표 11]
Figure PCTKR2023008077-appb-img-000011
구체적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은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 메시지를 두 개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A(UE #A)는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를 이용하고자 하며 단말 #B(UE #B)는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용도(또는 목적)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한 경우일 수 있다. 즉, 단말 #B는 다중 경로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를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이 전송하는 상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로 상술한 표 10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원격 단말의 용도(또는 목적)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단말 #A보다 단말 #B를 우선적으로 서빙하도록 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A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단말 #B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A에게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 #B에게 거절 메시지가 아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A에게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 값이 0으로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지 않음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서는 단말 #A 및 단말 #B를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복수의 단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보다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는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이 우선하여 서빙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을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으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보다 우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상술한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데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정책 및 파라미터는 ProSe 관련 정책 및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말에 설정(또는 프로비저닝(provisioning)되어 ProSe 관련 정책 및 파라미터 설정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가 자원이 부족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원이 부족한 경우는 가용 자원이 기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어떤 용도(또는 목적)를 더 높은 우선순위로 처리(또는 서빙)할지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처럼 네트워크 연결 제공 용도(또는 목적)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가 네트워크 연결 제공 용도(또는 목적)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하거나 용도(목적) 구분없이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릴레이 단말과 원격 단말이 ProSe 서비스 기반(ProSe service oriented)의 레이어 2 링크(또는 유니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단말-1(UE-1, 1010)은 원격 단말이고, 단말-2(UE-2, 1020), 단말-3(UE-3, 1030) 및 단말 4(UE-4, 1040)는 릴레이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들 각각은 신호 수신을 위한 목적지 레이어-2 아이디(destination layer-2 ID)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단말의 ProSe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PC5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원격 단말인 단말-1(1010)은 릴레이 단말로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기 위해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DCR)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DCR 메시지를 기준으로 서술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1010)이 전송하는 DCR 메시지에 타겟 단말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원격 단말(1010)이 어나운싱하는 ProSe 서비스에 관심을 갖는 단말(들)은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단말-2(UE-2, 920) 및 단말-4(UE-4)가 원격 단말로 단말-1(UE-1, 91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레이어-2 링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DCR 메시지는 상술한 표 10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표 10의 정보는 명시적, 함축적, 조합적 및 암시적인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표 10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RSC)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표 10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RSC에 내포되거나 RSC에 의해 유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단말에 설정된 RSC에 대한 매핑 정보를 통해 상술한 표 10의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DCR 메시지는 단말이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DCR 메시지는 다중 경로를 사용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다중 경로가 아닌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다중 경로를 위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가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에 해당 정보가 DCR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추가 경로를 이용할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추가적인 경로를 이용하지 않을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추가 경로를 위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가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에 해당 정보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직접 경로를 계속 이용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면 비직접 경로가 생성되어도 단말은 직접 경로를 계속 이용함을 지시할 수 있다. 반면, DCR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0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비직접 경로가 생성되면 직접 경로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경우에 단말은 하나의 경로로 비직접 경로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의 직접 경로(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에 대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레벨화된 정보(e.g. 상/중/하, good/medium/bad, etc)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연결 가능 또는 불가능을 지시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태(또는 품질)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 또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는 신호 세기 값 자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는 레벨화된 정보(e.g. 상/중/하, good/medium/bad, etc)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인-커버리지(in-coverage)인지 또는 아웃-오브-커버리지(out-of-coverage)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NG-RAN에 의해 서빙되거나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관련 정보는 단말이 NG-RAN에 의해 서빙되지 않거나 될 수 없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신뢰성(reliability) 개선(또는 향상)을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데이터 레이트/스루풋(data rate/throughput) 개선(또는 향상)을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지원하는 버전 정보(e.g. releas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CR 메시지에는 단말이 다중 경로를 통해 PDU 세션을 형성(또는 사용)하고자 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하지만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다중 경로를 통해 PDU 세션을 형성(또는 사용)하는 것이 아닌 용도(또는 목적)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릴레이 단말과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면, 원격 단말(1010)은 이미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는 상태(또는 네트워크 연결이 있거나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해 DC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원격 단말(1010)은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위해 DC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술한 메시지에 포함된 표 10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표 10의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가 더 고려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에 대해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과 레이어-2 링크를 형성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과 원격 단말은 보안 설정(security establishment)을 수행하고, 릴레이 단말이 원격 단말로 직접 통신 허여(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허여(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ACCEPT) 메시지를 원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설정 절차는 TS 33.536, TS 33.503을 참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 후, 원격 단말과 릴레이 단말 사이에 형성된 유니캐스트 링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응답 메시지는 보안 설정 절차에서 전송되는 직접 인증 및 키 설립 메시지(Direct Auth and Key Establish message) 또는 직접 보안 모드 명령 메시지(Direct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응답 메시지는 상술한 직접 통신 허여(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허여(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ACCEPT) 메시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릴레이 단말이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을 거절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 또는 단말의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직접 통신 거절(Direct Communication Reject) 메시지 또는 ProSe 직접 링크 설정 거절(PROSE DIRECT LINK ESTABLISHMENT REJECT) 메시지를 전송할지에 대한 결정일 수 있다. 일 예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유(cause) 정보는 기존의 이유 값(cause value)(e.g. Lack of resources for 5G ProSe direct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경로를 고려하여 새로운 이유 값이 정의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이유 정보는 기존의 이유 파라미터인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이유(PC5 signaling protocol cause)이거나 새롭게 정의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또는 결정)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 (indicator)를 어떻게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킬지 여부일 수 있다. 일 예로, 지시 정보 (indicator)는 상술한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은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 메시지를 두 개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A(UE #A)는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를 이용하고자 하며 단말 #B(UE #B)는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용도(또는 목적)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검색한 경우일 수 있다. 즉, 단말 #B는 다중 경로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를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원격 단말이 전송하는 상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로 상술한 표 10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원격 단말의 용도(또는 목적)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은 단말 #A보다 단말 #B를 우선적으로 서빙하도록 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A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단말 #B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A에게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 #B에게 거절 메시지가 아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상술한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은 단말 #A에게 다중 경로 지원 지시자 값이 0으로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지 않음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서는 단말 #A 및 단말 #B를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복수의 단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보다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는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이 우선하여 서빙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용도(또는 목적)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을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으로 릴레이 단말에게 레이어-2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단말(들)보다 우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상술한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이 표 11의 동작(또는 결정)을 수행하는데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정책 및 파라미터는 ProSe 관련 정책 및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말에 설정(또는 프로비저닝(provisioning)되어 ProSe 관련 정책 및 파라미터 설정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가 자원이 부족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원이 부족한 경우는 가용 자원이 기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어떤 용도(또는 목적)를 더 높은 우선순위로 처리(또는 서빙)할지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처럼 네트워크 연결 제공 용도(또는 목적)가 다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중 경로 용도(또는 목적)가 네트워크 연결 제공 용도(또는 목적)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하거나 용도(목적) 구분없이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에게 전송한 DCR 메시지(또는 레이어 2 링크 형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원격 단말이 릴레이 단말에게 전송한 DCR 메시지(또는 레이어 2 링크 형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부재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원격 단말은 다른 릴레이 단말을 검색하거나 다른 릴레이 단말로 DCR 메시지(또는 레이어 2 링크 형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표 11과 같이 원격 단말은 릴레이 단말로부터 레이어-2 링크 형성 요청 거절 또는 직접 통신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면 원격 단말은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에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릴레이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110) 여기서, 제1 단말은 릴레이 단말이고, 제2 단말은 원격 단말일 수 있다. 그 후, 제1 단말은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120) 그 후,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30) 일 예로, 제1 단말은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제1 메시지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검색에 대한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이고, 제2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 전송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는 다중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추가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직접 경로 유지 지시 정보, 직접 경로 품질 정보, 직접 경로 신호 세기 정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 신뢰성 개선 관련 정보, 데이터 레이트 관련 정보, 단말 버전 정보 및 다중 경로 PDU 세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표 6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응답 메시지 내의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및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표 7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 내의 상태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정보와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은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다중 경로용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은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이 제3 단말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로서 제2 단말의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에 대한 것이고, 제3 단말의 제3 메시지 전송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은 제2 단말보다 제3 단말의 서빙을 우선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일 예로, 제1 메시지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DCR) 메시지이고, 제2 메시지는 DCR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DCR 메시지는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 전송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는 다중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추가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직접 경로 유지 지시 정보, 직접 경로 품질 정보, 직접 경로 신호 세기 정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 신뢰성 개선 관련 정보, 데이터 레이트 관련 정보, 단말 버전 정보 및 다중 경로 PDU 세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표 10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거절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 거절시 거절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및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표 11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는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은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이 제3 단말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로서 제2 단말의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에 대한 것이고, 제3 단말의 제3 메시지 전송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3 단말로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허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개시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또는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안 방법들의 적용 여부 정보 (또는 상기 제안 방법들의 규칙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에서 서술하는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개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또는 3GPP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안한 방법은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mmWave, THz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자율 주행 차량, 드론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검색에 대한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이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단말 동작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 전송 동작을 결정하는, 단말 동작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는 다중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추가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직접 경로 유지 지시 정보, 직접 경로 품질 정보, 직접 경로 신호 세기 정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 신뢰성 개선 관련 정보, 데이터 레이트 관련 정보, 단말 버전 정보 및 다중 경로 PDU 세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응답 메시지 내의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및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상기 상태 지시자는 상기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상기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정보와 상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하는, 단말 동작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는 상기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 제공에 대한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상기 다중 경로용 상태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다중 경로용 가용 자원 구비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하는, 단말 동작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는 상기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하는, 단말 동작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제3 단말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상기 다중 경로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제3 단말의 상기 제3 메시지 전송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보다 상기 제3 단말의 서빙을 우선하는, 단말 동작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DCR) 메시지이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DCR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단말 동작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DCR 메시지는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 전송 동작을 결정하는, 단말 동작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는 다중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추가 경로 사용 지시 정보, 직접 경로 유지 지시 정보, 직접 경로 품질 정보, 직접 경로 신호 세기 정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 신뢰성 개선 관련 정보, 데이터 레이트 관련 정보, 단말 버전 정보 및 다중 경로 PDU 세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상기 다중 경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을 거절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상기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 거절시 거절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동작 및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는 상기 제1 단말이 다중 경로용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 내의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지시자 설정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다중 경로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다중 경로용 연결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지시하는, 단말 동작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제3 단말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상기 다중 경로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제3 단말의 상기 제3 메시지 전송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유니캐스트 링크 형성에 대한 허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 동작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동작은: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다른 단말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서빙 여부가 결정되는, 단말 동작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동작은: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상기 다른 단말은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단말의 서빙 여부가 결정되는, 단말.
  19.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가,
    다른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고, 및
    상기 다른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되,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executab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장치가
    다른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고, 및
    상기 다른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되,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메시지 전송이 다중 경로(multi-path)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PCT/KR2023/008077 2022-06-23 2023-06-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324930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54691P 2022-06-23 2022-06-23
US63/354,691 2022-06-23
US202363456535P 2023-04-03 2023-04-03
US63/456,535 2023-04-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302A1 true WO2023249302A1 (ko) 2023-12-28

Family

ID=8938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8077 WO2023249302A1 (ko) 2022-06-23 2023-06-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4930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439A1 (en) * 2014-12-29 2016-06-30 Umesh Phuyal Network-initiated discovery and path selection procedures for multi-hop underlay networks
US20160295494A1 (en) * 2015-03-31 2016-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relay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16158996A1 (ja) *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KR20170141977A (ko) * 2016-06-16 201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KR20210002420A (ko) * 2009-09-29 2021-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20A (ko) * 2009-09-29 2021-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US20160192439A1 (en) * 2014-12-29 2016-06-30 Umesh Phuyal Network-initiated discovery and path selection procedures for multi-hop underlay networks
US20160295494A1 (en) * 2015-03-31 2016-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relay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16158996A1 (ja) *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KR20170141977A (ko) * 2016-06-16 201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41905A1 (ko) 로밍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인증 실패 시 효율적인 plmn 선택
WO201515250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210912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network sl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20464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정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13948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을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035259A1 (ko) 세션 관리 방법
WO2022014973A1 (ko) 재난 로밍 시 금지 plmn 리스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20180111A1 (ko) 사용자 장치의 능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3075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dge computing service for roaming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24930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1206322A1 (ko) 멀티 usim 단말의 usim 간 이동 동작을 위한 혼잡제어 예외 처리 방안
WO2021162275A1 (ko)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402991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재-매핑에 기초한 ursp 규칙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WO202301411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403476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319153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15892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WO202403476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31067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15458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2308067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8551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400558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WO202403506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커버리지 기반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WO202303362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274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