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977A -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977A
KR20170141977A KR1020160075100A KR20160075100A KR20170141977A KR 20170141977 A KR20170141977 A KR 20170141977A KR 1020160075100 A KR1020160075100 A KR 1020160075100A KR 20160075100 A KR20160075100 A KR 20160075100A KR 20170141977 A KR20170141977 A KR 2017014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rminal
relay terminal
remot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728B1 (ko
Inventor
류현석
정민영
이원진
김준석
장민
황원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728B1/ko
Priority to US15/625,859 priority patent/US10687198B2/en
Publication of KR2017014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단말의 통신 방법은,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일 릴레이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RELAY COMMUNICATION METHOD OF A USER EQUIPMENT AND THE USER EQUIPMENT}
본 개시는 통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릴레이(relay) 단말을 결정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지진,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된 공공 안전(public safety: PS) 환경에서는 일부 기지국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특정 단말의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기능 수행이 가능한 다른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 내의 단말을 이용한 릴레이(relay)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릴레이 기법은 D2D 통신에 기반하고 있다. 통신이 불가능한 단말은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릴레이 단말로 D2D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한 릴레이 단말은 수신된 메시지를 셀룰러 통신 방식에 따라 다시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단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리모트(remote) 단말의 숫자가 증가하면, 특정 릴레이 단말에만 연결이 집중되어 릴레이 과부하로 인한 릴레이 서비스의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릴레이(relay) 단말과 리모트(remote) 단말 간에 통신 링크의 안정적인 운용 및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개시는 릴레이 단말에 다수의 리모트 단말이 집중되어 발생될 수 있는 병목 현상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릴레이 단말과 리모트 단말 간의 통신 링크 설립 시간을 단축시키고, 시스템 내에 고립되는 리모트 단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밖에,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리모트 단말의 통신 방법은,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일 릴레이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은, 리모트 단말로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 상기 탐색 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리모트 단말은,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한 결과로써,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로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통신부, 및 상기 탐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상기 리모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릴레이(relay) 단말과 리모트(remote) 단말 간에 통신 링크의 안정적인 운용 및 릴레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일 릴레이 단말에 다수의 리모트 단말이 집중되어 발생될 수 있는 통신 품질 저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단말이 탐색 메시지를 필요한 경우에만 브로트캐스팅하여 시스템 내의 불필요한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 단말의 배터리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단말과 리모트 단말 간의 링크 설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내에 특정 리모트 단말의 고립이 방지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구간에서 릴레이(relay)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로드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로드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은,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를 측정하는 실시예들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remote)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BS, NodeB(NB), eNodeB(eNB),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User Equipment)(또는, 통신 단말)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노드,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디바이스(device), 또는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릴레이 단말(Relay UE)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을 위하여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될 수 있다.
리모트 단말(Remote UE)은 릴레이 단말이 제공하는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될 수 있다.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리모트 단말은 릴레이 단말과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수행하고, 릴레이 단말은 기지국과 셀룰러(cellular)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 후보 단말은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후보 단말들이 될 수 있다. 통신 단말이 릴레이 후보 단말들 중에서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단말을 선택하면, 선택된 단말은 릴레이 단말로서 동작하고, 통신 단말은 리모트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단말과 상기 릴레이 단말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 등과 같이 칭해질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이라도 릴레이 서비스의 이용이 필요하거나 또는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전 절차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은 리모트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단말 및 리모트 단말 간의 통신 링크를 PC-5 링크, SL(Sidelink) 링크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링크를 Uu 링크 또는 WL(Wide Area Network link) 링크라고 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릴레이 단말 관점에서의 통신 링크를 WL 링크라 칭하고, 기지국 관점에서의 통신 링크를 Uu 링크라 칭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의 (a) 및 (b)에서 릴레이 단말은 PC-5 링크의 가용 자원이 부족한 경우, 과부하의 방지를 위하여 리모트 단말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단말로부터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다이렉트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릴레이 단말은 PC-5 링크의 가용 자원이 부족함에 따라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는 다이렉트 통신 거절(direct communication reject)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a)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은 기지국(121), 기지국(121)의 통신 커버리지(150) 밖에 위치하는 리모트 단말(101) 및 통신 커버리지(150) 내에 위치하여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릴레이 단말들(111~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에서, 기지국(121)의 커버리지(150) 밖에 위치한 리모트 단말(101)은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111~113)로 먼저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111~113) 모두 PC-5 링크의 가용 자원이 부족함에 따라 리모트 단말(101)을 위한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에,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111~113) 모두에게 릴레이 서비스 요청이 거절된 리모트 단말(101)은 제4 릴레이 단말(114)로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단말(101)이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받기까지 릴레이 서비스 요청 및 응답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주변에 가용 자원이 부족한 릴레이 단말들이 증가할수록 리모트 단말(101)이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받기까지의 시간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의 (b)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은 제1 내지 제5 리모트 단말들(151~155) 및 릴레이 단말(1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제1 리모트 단말(151)의 주변에는 가용 자원이 부족한 릴레이 단말들만 존재할 수 있다.
가용 자원이 부족한 릴레이 단말의 일 예로, 릴레이 단말(161)은 이미 제1 내지 제5 리모트 단말들(151~155)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중인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모트 단말(151)이 릴레이 단말(161)로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릴레이 단말(161)은 가용 자원이 부족하여 릴레이 서비스의 요청을 거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모트 단말(151)은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받지 못하는 고립(isolation) 상태에 빠질 수 있다.
또한, 도 1의 (a) 및 도 1의 (b)에서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을 탐색하기 위하여 물리 사이드링크 탐색 채널(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DCH)을 통하여 주기적으로(예로, 10ms 마다) 탐색 메시지를 브로트캐스트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것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전반적인 오버 헤드를 가중시키고 릴레이 단말의 배터리의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릴레이 단말이 리모트 단말을 탐색하는 탐색 구간 및 리모트 단말과 링크를 설립하는 링크 설립 구간 각각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의 릴레이 단말(211)은, 도 1에서 전술한 상황과 같이 추가적인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단말(211)은 현재 자신이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중인 리모트 단말(201)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단말(201)과 릴레이 단말(211) 간에는 PC-5 링크가 설립된 상태일 수 있다(251).
구체적으로, 릴레이 단말 후보들이 탐색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리모트 단말(201)에게 알리면, 리모트 단말(201)은 릴레이 단말 후보들 중에서 자신이 접속할 릴레이 단말(211)을 선택하고, 릴레이 단말(211)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단말(211)은 PC-5 링크 정보, 릴레이 단말(211) 및 리모트 단말(201) 간 다이렉트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링크 레이어 식별자인 Prose(proximity-based service) UE ID(identifier)를 SidelinkUE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 단말(211)은 릴레이 서비스를 허여하는 인증(Authentication)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2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모트 단말(201) 및 릴레이 단말(211) 간에 PC-5 링크가 설립되어 서로 간의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리모트 단말(201)과 릴레이 단말(211) 간에 PC-5 링크가 설립되거나 또는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 중에, 릴레이 단말(211)은 탐색 메시지의 전송을 중지하여(252), 추가적인 리모트 단말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단말(201)은 릴레이 단말(211)이 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접속 확인(keepalive)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211)로 전송할 수 있다(253).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 확인 응답(keepalive ACK) 메시지가 릴레이 단말(211)로부터 수신되면(255), 리모트 단말(201)은 PC-5 링크의 수신 신호 세기인 RSS(Received Signal Strength)를 측정할 수 있다(257).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리모트 단말(201)은 참조 신호의 측정을 릴레이 단말(211)에게 요청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예로,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서 수신된 신호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단말(201)은 접속 확인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211)로 전송 시에 접속 확인 메시지의 특정 플래그(flag)를 변경하여 참조 신호의 측정을 요청할 수 있다(259). 구체적으로, 리모트 단말(201)은 다이렉트 통신 접속 확인(direct communication keepalive) 메시지의 1bit의 스페어(spare) 영역에 탐색 메시지의 요청을 위한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다이렉트 통신 접속 확인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2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릴레이 단말(211)은 접속 확인 응답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201)로 전송할 수 있다(261).
그리고, 릴레이 단말(211)은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탐색(discovery)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263). 이에 따라, 리모트 단말(201)은 탐색 메시지로부터 참조 신호(예: DMRS)를 측정할 수 있다(265).
이와 같이, 릴레이 단말(211)은 주기적으로 탐색 메시지를 전송하되, 리모트 단말(201)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간헐적으로 탐색 메시지를 제공하여 시스템 내의 불필요한 오버헤드가 감소하게 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리모트 단말(301)이 릴레이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제1 릴레이 단말(311)로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단말(301)은 리모트 단말(301)로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351).
한편, 제1 릴레이 단말(311)은 가용 자원이 부족하여 더 이상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릴레이 단말(311)은 리모트 단말(301)로부터 수신된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321)으로 전송할 수 있다(353).
기지국(321)은 수신된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리모트 단말의 수용이 가용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355). 예로, 기지국(321)은 릴레이 후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8 내지 도 10을 통하여 자세히 기술될 예정이다.
가용 릴레이 단말이 선택되면, 기지국(321)은 선택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 릴레이 단말(311)로 전송할 수 있다(355).
제1 릴레이 단말(311)은 수신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301)로 전송할 수 있다(357).
수신된 가용 릴레이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이 제4 릴레이 단말(314)인 경우, 리모트 단말(301)은 제4 릴레이 단말(314)로 릴레이 서비스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363).
이 경우, 리모트 단말(301)은 제2 릴레이 단말(312) 및 제3 릴레이 단말(313)로의 릴레이 서비스 연결 요청을 생략하고(359, 361), 곧바로 제4 릴레이 단말(314)로 릴레이 서비스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363).
이와 같이, 릴레이 단말(예: 제1 릴레이 단말(311))이 리모트 단말(예: 리모트 단말(301))의 링크 설립을 보조하는 경우, 리모트 단말의 링크 설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전술한 도 3의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의 제1 릴레이 단말(411)은, 도 1의 (a)에서 전술한 상황과 같이 추가적인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릴레이 단말(411)은,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한 리모트 단말(401)을 위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고, 결정된 릴레이 단말에 대한 정보를 리모트 단말(4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411~413)은 리모트 단말(401)이 수신할 수 있도록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451~453).
리모트 단말(401)은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411~413) 중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할 릴레이 대상 단말로서 제1 릴레이 단말(411)을 선택할 수 있다(455). 예를 들어, 리모트 단말(401)은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411~413)이 제공하는 신호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제1 릴레이 단말(411)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모트 단말(401)은 동작 451~453에서,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선택한 제1 릴레이 단말(411)로 전송할 수 있다(457).
이 경우,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에는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식별 정보로서, 제2 릴레이 단말(412)의 식별 정보 및 제3 릴레이 단말(413)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트 단말(401)은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의 스페어 영역에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식별 정보 및 후보 릴레이 단말 별 24bit의 Prose Relay UE ID를 할당하고, 상기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제1 릴레이 단말(41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릴레이 단말(411)은 가용 자원이 부족하여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릴레이 단말(411)은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리모트 단말(401)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릴레이 단말(411)은 리모트 단말(401)로부터 수신된 릴레이 후보 목록 및 ProSe UE ID를 포함하는 RemoteUEInfo 메시지를 기지국(421)으로 전송할 수 있다(459). 이 경우,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에는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식별 정보로서, 제2 릴레이 단말(412)의 식별 정보 및 제3 릴레이 단말(413)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421)은 수신된 릴레이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461). 예로, 기지국(421)은 릴레이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461).
여기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자세히 후술될 예정이다.
가용 릴레이 단말로서 제3 릴레이 단말(413)이 선택되면, 기지국(421)은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emoteUEInfo 응답 메시지를 제1 릴레이 단말(411)로 전송할 수 있다(463).
제1 릴레이 단말(411)은 수신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리모트 단말(4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릴레이 단말(411)은 자신이 릴레이 서비스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에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리모트 단말(401)로 전송할 수 있다(465).
구체적으로, 제1 릴레이 단말(411)은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의 스페어 영역에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가용 릴레이 단말의 24bit의 Prose Relay UE ID를 할당하고, 상기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40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릴레이 단말(411)로부터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리모트 단말(401)은 가용 릴레이 단말인 제3 릴레이 단말(413)로 다시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467).
릴레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3 릴레이 단말(413)은 기지국(421)으로 SidelinkUE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469). 또한, 제3 릴레이 단말(413)은 릴레이 서비스를 허여하는 인증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401)로 전송할 수 있다(471).
이에 따라, 제3 릴레이 단말(413)이 리모트 단말(401)을 위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리모트 단말(401)과 제3 릴레이 단말(413) 간에 PC-5 링크가 설립될 수 있다(473).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부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의 제1 릴레이 단말(511)은, 도 1의 (a)에서 전술한 상황과 같이 추가적인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상황일 수 있다.
도 5에서, 제1 릴레이 단말(511)은 제2 및 제3 릴레이 단말들(512, 513) 및 리모트 단말(501)이 수신할 수 있도록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551). 또한, 제2 릴레이 단말(512)은 제1 및 제3 릴레이 단말들(511, 513) 및 리모트 단말(501)이 수신할 수 있도록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552). 또한, 제3 릴레이 단말(511)은 제1 및 제2 릴레이 단말들(511, 512) 및 리모트 단말(501)이 수신할 수 있도록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553).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511~513)이 브로트캐스트하는 탐색 메시지에는 자신의 가용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511~513)이 자신의 가용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자세히 후술될 예정이다.
한편, 탐색 메시지를 수신한 리모트 단말(501)은 제1 내지 제3 릴레이 단말들(511~513) 중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할 릴레이 대상 단말로서 제1 릴레이 단말(511)을 선택할 수 있다(555).
다음으로, 리모트 단말(501)은 선택한 제1 릴레이 단말(511)로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557).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에는 릴레이 후보 단말들의 식별 정보로서, 제2 릴레이 단말(512)의 식별 정보 및 제3 릴레이 단말(513)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릴레이 단말(511)은 가용 자원이 부족하여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릴레이 단말(511)은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리모트 단말(501)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제1 릴레이 단말(511)은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용도들은 동작 552 및 동작 553에서 수신된 탐색 메시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제1 릴레이 단말(511)은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로서 제3 릴레이 단말(513)을 선택할 수 있다(559).
다음으로, 제1 릴레이 단말(511)이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리모트 단말(501)로 전송하면, 리모트 단말(501) 및 제3 릴레이 단말(513) 간에 릴레이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도 5의 동작 561 내지 동작 569는, 도 4의 동작 465 내지 동작 473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로드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제1 리모트 단말(601)은 주변에 가용 자원이 부족한 릴레이 단말들만 존재하여 고립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리모트 단말(601)은 일 릴레이 단말(611)로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651).
이 경우, 릴레이 단말(611)은 릴레이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이 비어(empty)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내지 제5 리모트 단말들(602~605)이 전송한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에 기초하여 링크 연결 해제 대상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통신 연결 해제 대상 단말로서 제5 리모트 단말(605)이 선택되면, 릴레이 단말(611)은 제5 리모트 단말(605)로 통신 연결의 해제(release)를 요청할 수 있다(653).
그리고, 릴레이 단말(611)은 고립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제1 리모트 단말(601)을 위하여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을 수락(accept)할 수 있다(655).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설립 구간에서 릴레이 단말의 로드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전술한 도 6의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b)에서 전술한 상황과 같이 리모트 단말의 주변에 가용 자원이 부족한 릴레이 단말들만 존재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단말(711)은 제1 리모트 단말(701)로부터 수신된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에 어떠한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리모트 단말(701)을 조건 없이 수용하여 제1 리모트 단말(701)이 고립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단말(711)과, 제2 리모트 단말(702) 및 제3 리모트 단말(703) 간에 PC-5 링크가 이미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751, 752).
이 경우, 제1 리모트 단말(701)은 릴레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하여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711)로 전송할 수 있다(754).
다이렉트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단말(711)은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에 어떠한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도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1 리모트 단말(701)이 고립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레이 단말(711)은 PC-5 링크가 기 형성된 제2 및 제3 리모트 단말들(702, 703)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릴레이 후보 목록들에 기초하여 링크 연결 해제 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756).
예로, 릴레이 단말(711)은 다른 릴레이 후보 단말의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을 전송한 리모트 단말을 링크 연결 해제 대상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 연결 해제 대상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릴레이 단말(711)은 연결 해제 대상 단말들 각각의 부하(예로, 잔여 버퍼 상태) 및 배터리 상태를 고려하여 링크 연결을 해제할 최종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링크 연결 해제 대상 단말로서 제2 리모트 단말(702)이 선택되면, 릴레이 단말(711)은 제2 리모트 단말(702)로 통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58).
제2 리모트 단말(702)은 이에 대한 해제 응답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711)로 전송할 수 있다(760).
이와 같이, 릴레이 단말(711)과 제2 리모트 단말(702)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릴레이 단말(711)은 고립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제1 리모트 단말(701)로 릴레이 서비스를 허여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62).
이에 따라, 릴레이 단말(711) 및 제1 리모트 단말(701) 간에 다이렉트 통신 연결이 수립되어, 릴레이 단말(711)의 PC-5 링크 로드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은,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를 측정하는 실시예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리모트 단말로부터 릴레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단말들은 자신의 링크의 가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가용도를 기지국 또는 다른 릴레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릴레이 단말은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리모트 단말로부터 릴레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단말들은 아래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링크의 가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 단말들은 측정된 가용도에 기초하여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지 또는 수락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에서, 릴레이 단말은 WL 링크에서의 가용 데이터 양과 SL 링크에서의 데이터 평균 전송 수율에 기초하여 자신의 가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제1 릴레이 단말(811)과 제1 리모트 단말(801)이 유일하게 연결된 경우, WL 링크에서의 가용 데이터 양은 150M이고, SL 링크에서의 데이터의 평균 전송 수율은 50M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릴레이 단말(812)에 제2 내지 제6 리모트 단말들(802~806)이 연결된 경우, WL 링크에서의 가용 데이터 양은 200M이고, SL 링크에서의 데이터의 평균 전송 수율은 250M로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WL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가용 데이터 양과 SL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평균 전송 수율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1 릴레이 단말(811) 및 제2 릴레이 단말(812) 각각의 가용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1>및 <수학식 2>는 릴레이 단말이 자신의 가용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식의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3
은 UL(uplink) 통해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4
은 DL(downlink) 통해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을 나타낸다.
또한,
Figure pat00005
는 리모트 단말 i로부터 릴레이 단말로의 SL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평균 전송 수율을 나타낸다.
또한,
Figure pat00006
는 릴레이 단말로부터 리모트 단말 i로의 SL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평균 전송 수율을 나타낸다.
이 경우, WL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가용 데이터 양과 SL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평균 전송 수율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의 가용도
Figure pat00007
및 하향 링크의 가용도
Figure pat00008
가 계산될 수 있다.
식에 따르면, 릴레이 단말은 가용도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의 값이 작을수록 자신의 링크의 가용 용량이 부족하고(또는, 병목 현상이 심하고), 가용도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의 값이 클수록 자신의 링크의 가용 용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로, 릴레이 단말이 새로운 리모트 단말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수용하는 경우, 가용도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의 값이 0이 된다면,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의 연결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릴레이 단말은 측정된 상향 링크의 가용도
Figure pat00015
및 하향 링크의 가용도
Figure pat00016
각각을 기지국(821)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서, 릴레이 단말은 현재 버퍼의 가용 용량에 기초하여 자신의 가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는 현재 버퍼의 가용 용량 또는 지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릴레이 단말(911)이 기 연결된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추가적인 패킷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까지의 전송 지연 시간이 임계값(예: 70ms) 미만인 경우, 제1 릴레이 단말(911)은 현재 버퍼의 가용 용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용 용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릴레이 단말(911)은 신규 리모트 단말(901)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릴레이 단말(911)은 측정된 가용 용량 또는 지연 시간을 기지국(9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릴레이 단말(912)에 있어서, 기 연결된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추가적인 패킷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까지의 전송 지연 시간이 임계값(예: 70ms)을 초과하는 경우, 제2 릴레이 단말(912)은 현재 버퍼의 가용 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용 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릴레이 단말(912)은 신규 리모트 단말(902)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릴레이 단말(912)은 측정된 가용 용량 또는 지연 시간을 기지국(921)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연 시간의 기준의 되는 임계값(예: 70ms)는 TS 23.203 표준에서 Public Safety의 Mission Critica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패킷 전송의 전송 지연 시간으로 정의하는 임계값을 따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서, 릴레이 단말은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자신의 가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의 WL 링크의 통신 품질 또는 리모트 단말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은 기 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WL 링크의 통신 품질에 따른 수용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를 예측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테이블은 기지국(1021)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또는 릴레이 단말의 제조자 또는 릴레이 단말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시스템의 제공자에 의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테이블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예로, 제1 릴레이 단말(1011)에서 측정된 WL 링크의 통신 품질인 RSRP 값이 -100dB인 경우, 제1 릴레이 단말(1011)은 기 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10개의 리모트 단말들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수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릴레이 단말(1011)은 수용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를 기지국(10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릴레이 단말(1012)에서 측정된 WL 링크의 통신 품질인 RSRP 값이 -80dB인 경우, 제2 릴레이 단말(1012)은 기 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20 개의 리모트 단말들로부터 릴레이 서비스 요청이 수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릴레이 단말(1012)은 수용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를 기지국(10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릴레이 단말의 가용되는 릴레이 단말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의 자신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은 측정된 자신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예로, 잔량 퍼센트 또는 릴레이 단말의 동작 가능 시간)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릴레이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릴레이 단말은 신규 릴레이 단말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또는, 릴레이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릴레이 단말은 신규 릴레이 단말의 릴레이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값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어 획득되거나 또는 기 설정되어 저장된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이 릴레이 단말 후보들의 가용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도 있다. 가용 릴레이 단말이 결정되면, 기지국은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릴레이 단말 후보로부터 자신의 릴레이 서비스 가능 여부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릴레이 단말 후보들의 가용도를 측정하고, 릴레이 단말 후보가 가용 릴레이 단말인지 또는 불가용 릴레이 단말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의 단말을 상태(가용 또는 불가용)를 알리는 정보로서 1bit가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은 Uu 링크 정보 및 PC-5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 기지국은 릴레이 단말이 이용하는 Uu 링크의 가용 데이터 양 및 PC-5 링크에서의 데이터 평균 전송 수율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릴레이 후보 단말들 각각이 데이터 전송 기회에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과 실제로 릴레이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 양의 차이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후보 단말들 각각이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은 Uu 링크의 통신 품질 및 릴레이 단말이 할당 받는 자원의 양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릴레이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 양은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 대비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 양의 비율 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로, 상기 비율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는,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 대비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여 해당 릴레이 단말의 가용도는 높을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예로, 기지국과 일 릴레이 단말 간의 링크의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일 릴레이 단말이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이 100MB 로 측정되었으나, 실제로 릴레이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 양이 50MB 라면, 상기 일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의 추가 수용이 가능한 릴레이 단말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말(1100)은 통신부(1110), 제어부(1120) 및 저장부(1130)을 포함한다.
단말(1100)의 구성 요소는 전술한 통신 단말, 리모트 단말 및 릴레이 단말의 구성 요소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통신부(1110)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10)은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수신, 주파수 변환, 복조, 복호,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제거,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채널 추정, 등화(equaliz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10)은 추가적으로 제어부(1120)에서 처리된 신호를 다른 노드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10)에 포함된 송수신부는,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110)가 리모트 단말에 구비된 경우, 리모트 단말의 통신부(1110)는 릴레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탐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통신부(1110)가 릴레이 단말에 구비된 경우, 릴레이 단말의 통신부(1110)는 리모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어부(112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0)은 통신부(111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은 저장부(11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120)가 리모트 단말에 구비된 경우, 통신부(1110)를 통하여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20)는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20)는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신부(1110)를 통하여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결과로서,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통신부(1110)를 통하여 수신되면, 제어부(1120)는 가용 릴레이 단말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용 릴레이 단말은,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말일 수 있다.
이 때,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이 WL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릴레이 단말이 SL 링크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수율,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 전송 지연 시간,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일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20)가 릴레이 단말에 구비된 경우, 통신부(1110)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탐색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되면, 제어부(1120)는 탐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리모트 단말로부터 리모트 단말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이 수신되면, 제어부(1120)는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20)는 결정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리모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20)가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20)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용 릴레이 단말은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기지국에서 선택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0)가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120)는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이 WL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릴레이 단말이 SL 링크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수율,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 전송 지연 시간,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0)는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0)는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120)는 복수의 리모트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들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해제할 리모트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120)가 리모트 단말에 구비된 경우, 제어부(1120)는 릴레이 단말과 연결된 다이렉트 통신 링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릴레이 단말로 참조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110)를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에서 참조 신호가 생성 또는 획득되면, 제어부(1120)는 통신부(1110)를 통하여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탐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참조 신호는, 리모트 단말로 수신된 신호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DMRS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120)가 릴레이 단말에 구비된 경우, 제어부(1120)는 리모트 단말과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에 탐색 메시지의 전송이 중지되도록 통신부(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렉트 통신 중인 리모트 단말로부터 참조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릴레이 단말은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참조 신호를 생성 또는 획득하고, 참조 신호가 포함된 탐색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130)은 단말(11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130)은 제어부(11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저장부(11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3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30)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30)는 제어부(1120)가 측정한 단말(1100)의 가용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1에서, 단말(1100)이 통신부(1110), 제어부(1120), 저장부(1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1100)은 상술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2에서, 리모트 단말은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1201).
리모트 단말은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1203).
다음으로, 리모트 단말은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1205).
이에 대한 응답으로, 리모트 단말은 일 릴레이 단말로부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1207), 이 경우,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일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리모트 단말은 가용 릴레이 단말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1209).
이 경우, 가용 릴레이 단말은,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말일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로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1301).
탐색 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로부터 리모트 단말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1303).
릴레이 단말은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1305).
일 예로, 릴레이 단말은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지국으로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가용 릴레이 단말은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기지국에서 선택된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릴레이 단말은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릴레이 단말은 결정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리모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1307).
한편, 릴레이 단말은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릴레이 단말은 복수의 리모트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들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해제할 리모트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4에서, 리모트 단말은 릴레이 단말과 연결된 다이렉트 통신 링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1401).
리모트 단말은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403).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1403-Y), 리모트 단말은 릴레이 단말로 참조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405). 이 때, 참조 신호는, 리모트 단말로 수신된 신호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DMRS 신호일 수 있다.
릴레이 단말에서 참조 신호가 생성 또는 획득되면, 리모트 단말은 릴레이 단말로부터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탐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1407).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의 흐름도이다.
도 15에서,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과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에 탐색 메시지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1501).
릴레이 단말은 다이렉트 통신 중인 리모트 단말로부터 참조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503).
참조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1503-y), 릴레이 단말은 참조 신호를 생성 또는 획득할 수 있다(1505).
다음으로, 릴레이 단말은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탐색 메시지를 상기 리모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1507).
상기 도 1 내지 도 15에서 예시하는 코드 구성도, 도로 시스템의 구성도, 송수신 방법의 예시도, 신호 흐름 예시도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도 1 내지 도 15에 기재된 모든 정보, 필드, 구성부, 또는 동작의 단계가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필수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여도 본 개시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 기능(Function), 기지국, 단말 또는 차량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엔터티, 기능(Function), 기지국, 단말 또는 차량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엔터티, 기능(Function), 기지국, 단말 또는 차량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리모트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일 릴레이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리모트 단말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단말의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이 WL(wide area network link)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릴레이 단말이 SL(sidelink) 링크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수율,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 전송 지연 시간,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단말의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일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단말의 통신 방법.
  5.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단말로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
    상기 탐색 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은,
    기지국으로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전송하는 동작;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선택된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이 WL(wide area network link)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릴레이 단말이 SL(sidelink) 링크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수율,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 전송 지연 시간,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복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 상기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리모트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들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해제할 리모트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의 통신 방법.
  11. 리모트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탐색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로 전송한 결과로써,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리모트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이 WL(wide area network link)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릴레이 단말이 SL(sidelink) 링크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수율,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 전송 지연 시간,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복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일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다이렉트 통신 거절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단말.
  15. 릴레이 단말에 있어서,
    리모트 단말로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통신부; 및
    상기 탐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릴레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상기 리모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으로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을 전송한 결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가용 릴레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선택된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탐색 메시지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릴레이 단말 각각의 가용도에 기초하여 가용 릴레이 단말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도는,
    릴레이 단말이 WL(wide area network link)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릴레이 단말이 SL(sidelink) 링크를 통하여 리모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수율, 릴레이 단말의 버퍼 가용 용량, 전송 지연 시간,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 가능한 리모트 단말의 개수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 후보 복록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 중 일 릴레이 단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후보 단말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 상기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단말에 연결된 다른 리모트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리모트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릴레이 단말 후보 목록들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해제할 리모트 단말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
KR1020160075100A 2016-06-16 2016-06-16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KR10248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00A KR102489728B1 (ko) 2016-06-16 2016-06-16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US15/625,859 US10687198B2 (en) 2016-06-16 2017-06-16 Relay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UE and communication U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00A KR102489728B1 (ko) 2016-06-16 2016-06-16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77A true KR20170141977A (ko) 2017-12-27
KR102489728B1 KR102489728B1 (ko) 2023-01-18

Family

ID=6066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100A KR102489728B1 (ko) 2016-06-16 2016-06-16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87198B2 (ko)
KR (1) KR102489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02A1 (ko) * 2022-06-23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9027B2 (ja) * 2016-08-08 2021-01-0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8147567A1 (ko) * 2017-02-10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해 액세스 제어가 적용되는 상황에서 리모트 단말이 중계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리모트 단말
CN111417078B (zh) * 2019-01-07 2022-04-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中继终端的选择方法和终端
EP3716725A1 (en) 2019-03-27 2020-09-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 concept for determining user equipment for relaying signals to and from another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0259856A1 (en) * 2019-06-28 2020-12-30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800599B2 (en) 2020-04-03 2023-10-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iscovering and selecting relay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system
CN114125820B (zh) * 2020-06-29 2024-05-2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用户设备报告侧链路用户设备能力信息的方法和设备
CN113938981B (zh) * 2020-06-29 2023-11-1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中继报告侧链路用户设备能力信息的方法和设备
WO2023061360A1 (en) * 2021-10-12 2023-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resource sel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4900A (ko) * 2011-05-26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후보 협력 장치 리스트의 유효성 확인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6110B2 (ja) * 2004-02-19 2006-10-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ルーティング方法
JP5919695B2 (ja) * 2011-02-25 2016-05-18 株式会社リコー セッション制御システム、伝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977775B1 (ko) * 2012-06-07 2019-08-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US9608710B2 (en) 2013-08-08 2017-03-2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1284337B2 (en) * 2015-03-27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proximity services relay
WO2016164808A1 (en) * 2015-04-08 2016-10-13 InterDigitial Patent Holdings, Inc. Realizing mobile relays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JP6673350B2 (ja) * 2015-06-24 2020-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レー選択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4900A (ko) * 2011-05-26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후보 협력 장치 리스트의 유효성 확인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2572 (2015.05.16.)* *
3GPP R2-152467 (2015.05.29.)* *
3GPP R2-152581 (2015.05.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02A1 (ko) * 2022-06-23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728B1 (ko) 2023-01-18
US10687198B2 (en) 2020-06-16
US20170366958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728B1 (ko)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KR102493536B1 (ko) 통신 단말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단말
US10212691B2 (en) Optimized mechanism for p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10588078B2 (en) Trigger conditions for measurement reports for relay selection
EP3018944B1 (en) Method of handling cell reselection
US2018004188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02965B1 (en) Radio base station device, radio relay station device, and radio terminal device
EP2936922B1 (en) Wireless devices,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handling relay assist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160120243A (ko)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TW202234935A (zh) 用於側行鏈路的通道佔用時間(cot)共享
KR20210008357A (ko)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51637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uplink user cooperative communication
US20230239774A1 (en) Network slic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TW201801563A (zh) 執行裝置至裝置通訊的通訊裝置及其操作方法
US20140140286A1 (en)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by terminal
CN109923895B (zh) 网络节点及在网络节点中建立邻居节点关系的方法
US11411689B2 (en) Dynamic user grouping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networks
WO2021163997A1 (en) Techniques for activating a secondary cell
JP2017529794A (ja) 装置間(d2d)通信のための協調分散スケジューリング
KR20170062985A (ko) 사용자 협력 통신을 통한 wlan 통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단말간 연결생성 기법
WO2023133839A1 (zh) 通信方法和设备
CN114760673A (zh) 系统信息请求方法与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163265B1 (ko) 단말 간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WO2022049084A1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radio access provided by cells of a radio acc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