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39139A1 -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 Google Patents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39139A1
WO2023239139A1 PCT/KR2023/007721 KR2023007721W WO2023239139A1 WO 2023239139 A1 WO2023239139 A1 WO 2023239139A1 KR 2023007721 W KR2023007721 W KR 2023007721W WO 2023239139 A1 WO2023239139 A1 WO 20232391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od
calorie
meal
intak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77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준하
Original Assignee
임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하 filed Critical 임준하
Publication of WO20232391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391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visually measure the total calories consumed and the intake of food for each of the four major nutrients (carbohydrates, meat, vegetables, and oil/sauce) and enable consumption. , relates to a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that enables effective diet training through quantitative control of calorie intake.
  • the obesity rate among Korean adults is on average 38.1% (46.1% for men, 28.8% for women), and 1 in 2 men and 1 in 3 women are known to be obese (obesity definition: BMI of 25 or more, 30 or more is considered obese). obesity).
  • obesity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maining calories consumed are accumulated as fat in the body.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th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orrect diet and exercise therapy and combine them with other diet methods. Explain that it is windy.
  • the most effective way to diet is to reduce the number of calories consumed from food, but calculating the conversion of daily target calories into meal size requires consideration of gender, height, age, amount of exercise, etc., making it so complex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average person to estimate and maintain it. This is the situation.
  • dieting can be don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ood consumed.
  • a diet tablewar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3793 which is equipped with an appetite-suppressing aroma inside the tableware and a calorie display means that allows the user to know the calories after electronically measuring the amount of food through a weight sensor. there is.
  • the conventional diet tableware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receiving chamber inside the tableware and a device such as an electronically operated sensor at the bottom thereof, so the electronic device is easily damaged by moisture when washing the tableware, and complet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Calorie values are overlooked and only calories are measured by weight, making it impossible to know the calorie value of various types of food. In particular, manufacturing is difficult becaus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ensors must be installed, and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increases. there was.
  •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llows for intake by visually measuring the intake and total calories intake, and allows diet training to be performed effectively through quantitative control of intake calorie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diet plates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 a food plate main body formed with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among one or more liquid additive receiving por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liquid additive and a vegetabl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vegetables; and a portion control mean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s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volume of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 a recommended intake display unit display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s to indicate the recommended intake amount per meal for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otal calories intake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carbohydrate storage unit and the meat storage unit to indicate the total calories consumed per meal.
  • the recommended intake display unit may include a food/calorie display unit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calories (k), weight (g), and food type.
  • the recommended intake amount display unit may include a dose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different shape from the shape of a hand.
  • the capacity image display unit includes a carbohydrate intake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on one sid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sisting of a fist-shaped image;
  • a meat intake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on one side of the meat receiving unit and consisting of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palm excluding the fingers;
  • a vegetable intake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on one side of the vegetable receiving unit and consisting of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entire palm, including the fingers; It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on one side of the liquid additive receiving portion, and may include an oil and sauce/broth intake display portion consisting of an image with the "O" part highlighted in the shape of an OK hand.
  • the total intake expected calorie display un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above or below at least on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the meat accommodating part, and the vegetable accommodating part, and corresponds to the total length of each accommodating part.
  • An intake calorie bar formed with a length that is; a maximum calori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maximum calories at one end of the intake calorie bar; and a quantitative selection calorie display unit in which at least one calorie display less than the maximum calorie is displayed on the intake calorie bar for at least one of the carbohydrate container, the meat container, and the vegetable container.
  • the quantity adjustment means includes one or mor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arts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parts; It may include a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whose both end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art, and which adjusts the amount of food that can be contain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art.
  • the portion control means further includes a calorie display unit for each portion displayed on the food plate body above and below the bottom of the portion fitting for each portion, and the portion adjusting section member is configured to fit into the portion for each portion.
  • a calorie display unit for each portion displayed on the food plate body above and below the bottom of the portion fitting for each portion, and the portion adjusting section member is configured to fit into the portion for each portion.
  • the maximum calorie display unit may display calories selected from 300 kcal to 800 kcal.
  • the portion control means is seated and detachable in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portions,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wl, and when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calories in any one of the portion selection calorie display portions are displayed. It can be made up of a meal size control separate container marked with a pointing arrow.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pper limit check means for measuring the capacity of food contained in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s, wherein the upper limit check means allows chopsticks or spoons to be supported across the upper or lower axis of each accommodating part. It may be a stand that is formed with an interval and is formed so that chopsticks or spoons are seat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 the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people to eat food after intuitively measuring the amount and calories of the meal through the tableware or plate itself without the construction of complex mechanical and electronic devic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anyone, even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to eat a balanced meal that satisfies the four major nutrients (carbohydrates, protein, fat, and dietary fiber) within the target total calorie range by simply putting food on the plate. there 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training step-by-step meal size and calorie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for selecting calories and intake for each type of food (noodles, ramen, meat with fat, meat with fat removed) and a soup/sauce box that can measure the calories of the soup, which is common in the Korean diet. , the soup that was previously difficult to measure
  • Calorie intake for soups, stews, noodles, and ramen is measured and added to soup foods.
  •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manufacturability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separate complicated mechanical and electronic devices for calculating meal size and calories.
  •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rear surface) of the portion control section member of the portion control means included in the diet plate for portion size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diet pl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control means included in the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diet plate showing the meal portion control separation container in a separated stat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ion control means included in the diet plate for fixed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diet plate for fixed-portion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rear) of the portion control section member of the portion control means included in the diet plate for fixed-portion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largely consists of a carbohydrate containing part 110, a meat containing part 120, a vegetable containing part 130, and a liquid additive containing part.
  • the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includes the following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 meat accommodating part 120, a vegetable accommodating part 130, and liquid addition.
  • a vegetable container 130 that is conca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bohydrate container 110 to contain vegetables, including vegetables;
  • a recommended intake display unit 200 configured to display the intake amount;
  • the food plate main body 100 may optionally include the liquid additive receiving portions 141 and 142 described above.
  • the quantity control means 4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quantit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in connection with the calories displayed on the total intake expected calorie display unit 300.
  • the food plate body 10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resin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or ceram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the vegetable accommodating part 130, and the liquid additive accommodating parts 141 and 142 formed in the plate main body 100 each have an oval shape when viewed in a planar view. It may be formed as a polygon including circles and squares (including squares with rounded corners),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liquid additive receiving portions 141 and 142 may include an oil receiving portion 141 that contains oil, and a sauce/broth receiving portion 142 that contains sauces or broths such as red pepper paste, soybean paste, or ketchup.
  • each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o have width/length/depth (or volume) conside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total intake expected calorie display unit 300.
  •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as a square with rounded corners about 8.4 cm in height and 9.2 cm in width, and may be formed in a circle with a diameter of about 8.5 cm and a depth of about 2.7 cm. .
  • the above-mentioned values and the values mentioned below may be chang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size of the hand (in particular, the average size of the hands of women who are sensitive to dieting) as a standard for fixed-quantity meals. .
  • the carbohydrate receiv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stages of grooves (or groove portions).
  • a bread receiving portion 111 formed as a concave groove (e.g., about 1 mm)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100 into which bread, etc. can be placed, and an inside of the bread receiving portion 111
  • the carbohydrate receiving portion 11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 the meat receiv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as a square with rounded corners, with a width of approximately 9.8 cm, a length of approximately 7.5 cm, and a depth of approximately 2.7 cm.
  • the vegetable container 130 may be formed as a rectangle with rounded corners, approximately 16.9 cm in width, approximately 8.8 cm in length, and approximately 3.1 cm in depth.
  • the oil receiv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about 4.5 cm and a depth of about 0.6 cm, and the sauce/broth receiving portion 142 has a diameter of about 4.5 cm and a depth of about 0.9 cm. It can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Reference numeral 101 is a handle portion form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plate main body 10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plate main body 100, and 102 is a separation line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different types of vegetables can be classified and contained. am.
  • the food plate main body having each of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arts has a width of about 33 cm and a height of about 33 cm.
  • the recommended intake amount display unit 200 is located on the plate body on one side of each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the vegetable accommodating part 130, and the liquid additive accommodating part 141, 142. (100)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recommended intake amount and calories per meal for the food accommodated in each container.
  • the recommended intake amount display unit 2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acity image display unit 210 and the capacity image display unit 210 by displaying different shapes (shapes) of the hand to indicate the type of food and calories (k) ( and/or a food/calorie display unit 220 that displays weight (g).
  • the capacity image display unit 210 is shaped like a han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simply check the capacity by visually measuring it according to the size of his or her hand.
  • the capacity image display unit 210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100 on one sid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includes a carbohydrate intake display unit 211 consisting of a fist-shaped image,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 120)
  • a meat intake display unit 212 that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100 on one side and consists of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palm excluding the fingers,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100 on one side of the vegetable receiving portion 130.
  •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0 on one side of the vegetable intake display portion 213 and the oil receiving portion 141 which consists of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entire palm, including the fingers, and in a shape in which the hand shape is OK.
  • It consists of a liquid additive intake display unit 214 consisting of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O" part (the part formed in a circle by the thumb and index finger).
  • the food/calorie display unit 220 may display the type of food in a language or text, such as Korean or English, with calories and/or weight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language or text.
  • Table 1 below is a table showing examples of the calories of food contained in each receiving portion (compartment) of the die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arbohydrate receptor brown rice
  • Meat compartment defatted beef
  • Vegetable receiving part 30g kimchi, 30g seasoned vegetables, 30g raw vegetables
  • Oil container 6g of olive oil
  • the total intake expected calorie display unit 3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100 on one sid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 It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length and displays the calories consumed.
  • the total intake expected calorie display unit 30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100 above or below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 120) a calorie intake bar 310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length, and a maximum calorie display unit 320 on which the maximum calories are displayed at one end of the calorie intake bar 310; and a quantitative selection calorie display unit (330, 340) that displays one or more calories less than the maximum calories for each of carbohydrates and meat in the intake calorie bar.
  • the maximum calorie display unit 320 may be displayed as 500 kcal at one end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intake calorie bar 310, and this maximum calorie display is displayed as a calorie selected from 300 kcal to 800 kcal depending on the diet plate. It can be.
  • the quantity selection calorie display units 330 and 340 are also related to the quantity control means 400, which will be explained below, and can be displayed as smaller calories based on the maximum calorie display unit.
  • the quantitative selection calorie display units 330 and 340 are shown as an example of displaying a quantitative point 330 of 300 kcal and a quantitative point 340 of 400 kcal, which are less than the maximum calorie display of 500 kcal, for carbohydrates and meat, respectively.
  • the maximum calorie display is changed to 600 kcal or 700 kcal, the display of the quantitative selection calorie display section i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at standard.
  • the 300 kcal display 330 and 400 kcal display 340 which are examples of the quantitative selection calorie display units 330 and 340,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carbohydrate storage unit 110 and the meat storage unit 120, respectively. there is.
  • the 300 kcal display 330 and 400 kcal display 340) are closely linked to the quantitative control means 4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quantitative control means 400 is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 the quantitative control means 400 is shown in FIGS. 1 and 1 as an example.
  • At least on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is provided. As shown in 2, at least on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 Lori (k) and/or weight (g) are displayed to control the amount of food placed in the container.
  •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and food plat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ortion 410
  • th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ortion 4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slides.
  •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that is joined by a dent, and is recessed into the side wall as shown in the drawing.
  • It can be formed as a recessed round groove or a square groove.
  • the leftmost quantity-specific fitting part 410 is the leftmost quantity-specific fitting part 410
  • the Um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300 kcal mark 330, and is located on the far right.
  • the fitting coupling portion for each quantity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400 kcal mark 340.
  • the quantitative adjustment partition member 4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quantitative fitting coupling portions 410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ortion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ortion 120 in accordance with the 300 kcal mark 330 or the 400 kcal mark 340. When this happens, it is set to a fixed amount of 300 kcal or a fixed amount of 400 kcal. This is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 the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art 410 so that both ends are fitted into the quantity-specific fitting coupling part 410, and may be formed in a block shape or plate shape. You can.
  • the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food name 421, calories 422, and weight 423 for the amount to be adjusted (for example, (for rice, 20g (30k) ), 15g of fat-removed meat, etc.).
  • the quantitative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displays the names and calories (and/or weight) of different types of food on one side (top side) and the other side (back side), and an arrow 424 indicating the mounting direction appropriate for the corresponding food is displayed. It can be.
  • the arrow 424 also serves to indicate the quantity selection calorie display unit 330, 340 or the quantity-specific calorie display unit 430.
  • the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may be composed of a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for carbohydrates such as rice and noodles (ramen), and a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for proteins with fat removed and fat not removed.
  • the calorie display unit 430 for each quantity displays the calories in the fitting unit 410 for each quantit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when the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is mounted on the fitting unit 410 for each quantity. It comes true.
  •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diet pl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control means included in the diet plate for fixed-portion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diet plate included in the diet plate for fixed-portion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is is a front view of a diet plate showing the meal portion control separation contain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in a separated state.
  • the quantitative control means 40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quantitative control means 400, as shown in Figures 3 and 4, it is seated and detachable in at least one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20 and has a bowl shape (or It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hold contents, such as a container or plate.
  • the quantitative adjustment means 400 of another embodiment has an arrow indicating the calorie of any one of the quantitative selection calorie display portions 330 and 340 formed on one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and each container portion 441 ( Figure (see 4) may include a set of meal portion control separation containers 440 of different sizes.
  • the meal portion control separation container 440 may be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 the container portion 441 of the meal portion control separation container 440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to be applied.
  • the portion control means 400 of this 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adjusting the portion size (calories) by inserting the portion control partition member into the fitting coupling portion 410 for each por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djusts the meal amount to suit the portion to be adjusted.
  • the separation container 440 is selected and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for use. At this time, the meal portion control separation container 440 is marked with an arrow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quantity (calorie), and can be clearly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by indicating the calorie display for selecting the quantity.
  • the quantity control means 4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may also be applied to the vegetable storage unit 130 and the liquid additive storage unit 141 and 142.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limit check means 500 for measuring or checking the capacity (specifically, the height) of food contained in the carbohydrate 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meat receiving portion 120. there is.
  • the upper limit check means 500 is formed as a chopstick rest where chopsticks (or spoons) are placed across the lower (or upper) portions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ortion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ortion 120.
  • the chopstick rest is formed in three place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st at both ends has a closed groove on one side, the stand at the center has a groove crossing the center, and when the chopsticks are seated on the chopstick stand, the plate main body It is formed to be located at a height of 4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100).
  • the upper limit check means 500 formed in this way horizontally crosses the top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protein accommodating part 120 when the chopsticks are placed, and food is removed from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protein accommodating part 120. Make sure not to exceed the specified amount.
  • the upper limit check means 500 checks whether the food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exceeds the specified amount by ris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chopsticks are seated so that chopsticks or spoons cannot be contained, and checks to ensure that the specified amount is contained. Provides limited functionality.
  • This upper limit check means 500 may also be formed on the vegetable container 130 si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unction of checking and controlling the estimated calories per meal.
  • the arrow of the quantity control section member 42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410 for each quantity of the carbohydrat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meat accommodating part 130, and the calorie numbers (300 kcal, 400 kcal) displayed on the total intake expected calorie display unit 300 are displayed. ), the total estimated calorie intake is set.
  • the state without the quantity control partition member 420 is set to the maximum calorie, that is, 500 kcal.
  • a 400 kcal plate is the most effective diet, but if you have resistance to hunger, you can adapt to a 500 kcal plate first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diet.
  • the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nutrient balance that satisfies the recommended intake of carbohydrates, protein, and fat in the range of 900 to 1,500 kcal for women and 1,200 to 1,800 kcal for men (however, the average requirement in the case of 900 kcal). It allows you to continue to follow an effective diet that effectively reduces calories while still providing nutrients.
  • Table 2 below shows food intake using a die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is table shows the city's intake and energy ratio standards.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foo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using a quantitative adjustment means.
  •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ccuracy of calorie measurement by measuring calories for each food by dividing it into five food elements (rice, meat, vegetables, oil, and sauce/broth), and makes it impossible to calculate calories from the actual amount eaten due to soup.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ctual calories consumed (ingredients + 9g soup) excluding the soup left over from soup-type food.
  • the five foods are labeled with separate areas for each food.
  • Food intake is indicated in the shape of a human hand and specific calories and weight are indicated.
  • the diet plate for fixed-quantity meal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od can be consumed after intuitively measuring the amount and calories of the meal through the tableware or the plate itself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complex mechan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d the meal amount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evice for calculating calories, so it has excellent manufacturability, reduces production costs, and provides effective training in step-by-step meal size and calorie control.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섭취량과 총 섭취 칼로리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정량적인 섭취 칼로리의 조절을 통해 다이어트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소스, 국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첨가류를 담 는 하나 이상의 액상첨가류 수용부 및 채소류를 담는 채소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 나, 탄수화물류를 담는 탄수화물류 수용부, 및 육류를 담는 육류 수용부가 형성되 는 식판 본체; 및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수용부에 수용 되는 음식물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정량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9.06.2023]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본 발명은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총섭취칼로리와 4대 영양소별(탄수화물류, 육류, 채소류, 오일/소스류) 음식의 섭취량을 육안으로 측정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정량적인 섭취 칼로리의 조절을 통해 다이어트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율은 평균 38.1%(남자 46.1%, 여자 28.8%)로 남자는 2명 중 1명, 여자는 3명 중에 1명이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비만 정의 : BMI 25 이상, 30이상은 고도비만).
201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근거한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의 다이어트 성공률은 15.4%이며, 이중 6kg 이상 체중감량에 성공한 경우는 4.6%(77명 /1687)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식생활의 형태가 점차 서구화되어 감에 따라 비만인 사람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젊은 여성들의 경우 외양에 대한 관 심의 일환으로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기 위한 다이어트용 상품에 대한 소비욕구가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욕구를 부응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다이어트용 약물, 다이어트용 비디오, 지방흡입술, 다이어트용 의류 등 다양한 분야의 상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들은 고가의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효과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며, 그 부작용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를 발생 하기도 한다.
비만과 관련한 전문가들에 의하면 비만이란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은 부분이 체내에 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으로, 이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및 이들을 다른 다이어트 방법과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하다고 설명한다.
다이어트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음식으로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이는 것인데, 하루 목표 칼로리를 식사량으로 전환하는 것을 계산하는 것은 성별, 키, 나이, 운동량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일반인에게는 이를 가늠하여 지키거나 유지하는데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섭취 음식량을 조절하여 다이어트를 행할 수 있는
다양한 식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 예로, 식기 내부에 식욕을 억제하는 방향제와 전자적 방식으로 음식의 양을 중량 감지센서를 통해 잰 후 칼로리를 알 수 있는 칼로리 표시수단이 구비된 실용신안등록 제20-0243793호의 다이어트 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다이어트 식기는 식기 내측의 수용실과 그 하부에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센서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식기의 세척시 물기로 인해 전자적 장치가 손상되기 쉬우며, 음식의 종류에 따라 전혀 다른 칼로리 수치가 나오는 것을 간과하고 오직 중량에 따른 칼로리만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음식의 종류에 따른 칼로리 수치를 알 수 없으며, 특히 센서 등 전자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우며,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앱 또는 3D 인식 카메라를 통해서 식사량과 칼로리를 체크하는 기술도 나와 있는데, 이 경우는 음식을 담고 난 후에 그 식사량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담은 식사량이 목표를 초과한 경우에 얼마만큼을 덜어내거나 남겨야 하는지, 먹고 남기는 경우에는 얼마만큼의 칼로리를 최종으로 먹었는 지를 알 수는 있지만 식사량을 담기 전에 자신에게 적합한 칼로리와 음식량을 정해서 담을 수 있도록 사전에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이렇게 먹지 않고 버려진 음식은 추가적인 환경오염의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섭취량과 총 섭취 칼로리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정량적인 섭취 칼로리의 조절을 통해 다이어트 트레이닝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탄수화물류를 담는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를 담는 육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및 오일과 소스 및 국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첨가류를 담는 하나 이상의 액상첨가류 수용부와 채소류를 담는 채소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식판 본체; 및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정량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각각의 일측에 표시되어 해당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에 대하여 한끼 권장섭취량을 나타내는 권장섭취량 표시부; 및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 수용부의 상부 측 또는 하부 측에 표시되어 한끼섭취하는 총 칼로리를 나타내는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장섭취량 표시부는 칼로리(k)와 중량(g) 및 음식 종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음식/칼로리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장섭취량 표시부는 손 모양에서 형상을 다르게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용량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량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주먹 형태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탄수화물 섭취량 표시부; 상기 육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손가락을 제외한 손바닥을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육류 섭취량 표시부; 상기 채소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손가락을 포함한 손바닥 전체를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채소류 섭취량 표시부; 상기 액상첨가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손 모양을 OK로 만든 형태에서 "O"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오일류 및 소스/국물류 섭취량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 수용부 및 채소류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측이나 하측의 식판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각 수용부의 전장(全長)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섭취 칼로리 바; 상기 섭취 칼로리 바의 일단부에 최대 칼로리가 표시되는 최대 칼로리 표시부; 및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 수용부 및 채소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최대 칼로리보다 적은 칼로리 표시가 상기 섭취 칼로리 바에 하나 이상 표시되는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량 조절 수단은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 및 양단부가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정량별끼움 결합부의 끼움위치에 따라 담을 수 있는 음식물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조절 구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량 조절 수단은,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의 상단 위 및 하단 아래의 식판 본체에 표시되는 정량별 칼로리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는, 상기 정량별 끼움결합부에 끼움될 시, 음식이름, 해당 음식의 칼로리, 해당 음식의 중량, 및 상기 정량 선택 칼로리 표시부의 칼로리를 가르키는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대 칼로리 표시부는 300kcal ~ 800kcal 중에서 선택되는 칼로리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량 조절 수단은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 및 분리가능하고, 그릇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안착될 시,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칼로리를 가르키는 화살표가 표시된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용부에 담기는 음식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한선 체크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한선 체크 수단은, 상기 각 수용부의 상측 또는 하축에서 젓가락이나 숟가락이 가로질러 받침되게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식판 본체의 상면에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이 일정 높이로 안착되게 형성되는 받침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복잡한 기계 및 전자적 장치의 구성없이 식기 또는 식판 자체를 통해 식사량과 칼로리를 직관적으로 측정한 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누구나 전문지식이 없어도 식판에 음식을 담기만 하면 목표한 총칼로리 범위내에서 4대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를 충족하는 균형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단계적인 식사량과 칼로리 조절을 효과적으로 트레이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음식종류별로 칼로리 및 섭취량을 선택하는 기능 (국수, 라면, 지방포함고기, 지방제거 고기)과 국물의 칼로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국물/소스칸이 있어, 한국인의 식단에 많이 있으나, 기존에 측정이 어려웠던 국물이
있는 국, 찌개, 국수류, 라면의 섭취량에 대한 칼로리를 측정하여 국물류 음식에
도 정확한 식이요법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식사량과 칼로리 계산을 위한 별도의 복잡한 기계 및 전자적 장치가 필요없어 제작성이 뛰어나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포함되는 정량 조절 수단의 정량조절 구획 부재의 배면(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포함되는 정량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식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포함되는 정량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서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식판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 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포함되는 정량 조절 수단의 정량조절 구획 부재의 배면(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와 채소류 수용부(130) 및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가 형성되는 식판 본체(100); 권장섭취량 측정 표시부(200);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 및 정량 조절 수단(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 (120)와 채소류 수용부(130) 및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가 형성되는 식판 본체(100); 상기 식판 본체(10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밥을 포함하는 탄수화물류를 담는 탄수화물류 수용부(110); 상기 식판 본체(100)의 타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기를 포함하는 육류를 담는 육류 수용부(120);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야채를 포함하는 채소류를 담는 채소류 수용부(130); 상기 채소류 수용부(13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일이나 소스 또는 국물을 포함하는 액상첨가류를 담는 하나 이상의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와 채소류 수용부(130) 및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에 대하여 한끼 권장섭취량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권장섭취량 표시부(200);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 일측의 식판 본체(100)의 상면에 표시되어 한끼에 섭취하는 총 칼로리를 나타내는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 및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정량 조절 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식판 본체(100)는 상기한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량 조절 수단(400)은 상기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에 표시된 칼로리와 연계하여 음식종류에 따른 용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판 본체(1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거나 인체에 무해한 수지류, 또는 도자기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판 본체(100)에 형성되는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와 채소류 수용부(130) 및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는 각각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및 사각형(모서리부가 라운드진 사각형 포함)을 포함한 다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는 오일을 담는 오일류 수용부(141), 및 고추장이나 된장 또는 케첩 등의 소스나 국물을 담는 소스/국물류 수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수용부의 사이즈는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의 최대치를 고려한 가로/세로/깊이(또는 부피)를 갖고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는 세로가 8.4cm 내외 가로가 9.2cm 내외의 모서리 라운드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경 8.5cm 내외, 깊이 2.7cm 내외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수치 및 하기에서 언급하는 수치는 변경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정량 식사를 위한 기준으로서 손의 평균 사이즈(특히, 다이어트에 민감한 여성의 손의 평균 사이즈)를 고려하여 설정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는 1단 이상의 홈(또는 요홈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식판 본체(10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한(예를 들면, 약 1mm)의 홈부로 형성되어 식빵 등이 놓일 수 있는 빵류 수용부(111), 및 상기 빵류 수용부(111)의 내측에 상기한 탄수화물류 수용부(110)가 형성 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육류 수용부(120)는 가로가 9.8cm 내외, 세로가 7.5cm 내외, 깊이가 2.7cm 내외의 모서리 라운드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소류 수용부(130)는 가로 16.9cm 내외, 세로가 8.8cm 내외, 깊이가 3.1cm 내외의 모서리 라운드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류 수용부(141)는 직경이 4.5cm 내외, 깊이가 0.6cm 내외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스/국물류 수용부(142)는 직경이 4.5cm 내외, 깊이가 0.9cm 내외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1은 사용자가 식판 본체(100)를 잡을 수 있도록 식판 본 체(100)의 대향하는 양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이며, 102는 다른 종류의 채소류를 구분하여 담을 수 있게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분리라인이다.
상기한 각 수용부를 갖는 식판 본체는 가로가 33cm 내외, 세로가
26.4cm 내외의 모서리 라운드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권장섭취량 표시부(200)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와 채소류 수용부(130) 및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 각각의 일측의 식판 본체(100) 상면에 형성되어 각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에 대하여 한끼 권장섭취량과 칼로리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권장섭취량 표시부(200)는 손의 형상(모양)을 다르게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용량 이미지 표시부(210), 및 상기 용량 이미지 표시부(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 종류 및 칼로리(k)(및/또는 중량(g))을 표시하는 음식/칼로리 표시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 이미지 표시부(210)는 손 모양으로 이루어져 이용자가 자신의 손 크기에 맞춰 눈으로 측정하여 직관적이고 간단히 체크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량 이미지 표시부(210)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 일측의 식판 본체(100) 상면에 표시되되, 주먹 형태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탄수화물 섭취량 표시부(211)와, 상기 육류 수용부(120) 일측의 식판 본체(100)상면에 표시되되, 손가락을 제외한 손바닥을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육류 섭취량 표시부(212)와, 상기 채소류 수용부(130) 일측의 식판 본체(100) 상면에 표시되되, 손가락을 포함한 손바닥 전체를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채소류 섭취량 표시부(213)와, 상기 오일류 수용부(141) 일측의 식판 본체(100) 상면에 표시되되, 손 모양을 OK로 만든 형태에서 "O"부분(엄지와 검지에 의해 원으로 형성된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액상첨가류 섭취량 표시부(2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음식/칼로리 표시부(220)는 음식 종류에 대한 국문 또는 영어 등 언어나 문자로 표시되고, 그 언어나 문자의 일측에 칼로리 및/또는 중량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밥 230k(140g), 국수 170k, 라면(만두) 200k, 지방 미포함의 육류(살코기)의 경우 130k(75g)(지방 포함의 육류의 경우 190k), 채소 40k, 오일 55k, 소스/국물 15k로 표시되어 한끼의 총 칼로리가 500kcal인 것을 기준으로 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정량 조절 수단(400)을 통해 300kcal, 400kal 등으로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 섭취량 336g(400kcal : 320 ~ 479kcal, 식약처 인정 식품허용오차는 칼로리의 경우 기준치의 120% 미만인 경우 적합으로 판정)의 식판인 경우, 손주먹량의 밥은 120g(200kcal) 전후이고, 손가락을 제외한 손바닥량의 고기는 58g(90~120kcal) 전후이고, 손가락을 포함한 손바닥 전체의 채소는 90g(36kcal) 전후이고(생야채30g/무침30g/김치30g(30kcal)), 엄지 검지 오케이 동그라미의 오일은 6g(55kcal) 된장소스는 9g(16kcal) 전후로 확인되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 식판의 각 수용부(칸)에 담기는 음식의 칼로리 예시를 나타내는 표이다.
식판칼로리 그룹 탄수화물류 수용부 육류 수용부 채소류
수용부
오일류
수용부
소스/국물류 수용부 합계 하루 3식
환산
300kcal 134 70 40 55 20 319 957
400kcal 200 100 40 55 20 415 1245
500kcal 230 130 40 55 20 475 1425
* 각수용부의 칼로리 측정 기준음식
탄수화물류 수용부 : 현미밥
육류 수용부: 지방제거 소고기
채소류 수용부: 김치 30g, 무침30g, 생야채 30g
오일류 수용부 : 올리브오일 6g,
소스/국물류 수용부: 된장 9g
다음으로,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 일측의 식판 본체(100)의 상면에 탄수화물류 수용부 (110)와 육류 수용부(120) 전장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섭취하는 칼로리가 표시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의 상측이나 하측(도면에서는 상측)의 식판 본체(100) 상면에 그 수용부(110, 120) 전장(全長)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 는 섭취 칼로리 바(310)와, 상기 섭취 칼로리 바(310)의 일단부에 최대 칼로리가 표시되는 최대 칼로리 표시부(320); 및 상기 섭취 칼로리 바에서 탄수화물류와 육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최대 칼로리보다 적은 칼로리가 하나 이상 표시되는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칼로리 표시부(320)는 상기 섭취 칼로리 바(310)의 일단부(도면에서 좌측 단부)에서 500kcal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 최대 칼로리 표시는 다이어트 식판에 따라 300kcal ~ 800kcal 중에서 선택되는 칼로리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330, 34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량 조절 수단(400)과도 관련되며 최대 칼로리 표시부를 기준으로 해서 그 보다 작은 칼로리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330, 340)는 탄수화물류와 육류 각각에 대하여 그 최대 칼로리 표시 500kcal보다 작은 300kcal의 정량 지점(330)과 400kcal의 정량 지점(340)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는데, 최대 칼로리 표시가 600kcal나 700kcal로 변경되는 경우, 그 기준에 따라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의 표시도 변경된다.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330, 340)의 예시인 300kcal 표시 (330) 및 400kcal 표시(340)는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의 상부측 또는 하부 측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도면에 예시
된 300kcal 표시(330)와 400kcal 표시(34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량 조절 수단(400)과 긴밀하게 연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량 조절 수단(400)은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
(110)와 육류 수용부(120)에 구비되고, 상기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에 표시된 칼로리와 연계하여 음식종류에 따른 용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량 조절 수단(400)은 일 실시 예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 중 적어
도 하나의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와, 양단부가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음식의 칼
로리(k) 및/또는 중량(g)이 표시되어 수용부에 담기는 음식물의 양을 조절하는 정
량조절 구획 부재(420), 및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의 상단 및 하단의 식판
본체(100)에 표시되는 정량별 칼로리 표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는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가 슬라이
딩 결합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으로 움푹
들어간 라운드진 홈이나 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서 최 좌측의 정량별 끼
움 결합부는 상기 300kcal 표시(33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최 우측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는 상기 400kcal 표시(34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300kcal 표시(330) 또는 400kcal 표시(340)에 맞춰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 각각에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를 장착하게 되면, 300kcal의 정량 또는 400kcal의 정량으로 세팅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는 양단부가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 끼움 결합되게 그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블록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에는 조절되는 용량에 대한 음식 이름(421), 칼로리(422), 및 중량(423)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예를 들면,(밥의 경우 20g(30k), 지방제거고기 15g 등).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는 일면(상면)과 타면(배면)에 다른 종류의 음식 이름 및 칼로리(및/또는 중량)이 표시되고, 해당 음식에 맞는 장착 방향을 대한 화살표(424)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살표(424)는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330, 340) 또는 정량별 칼로리 표시부(430)를 가르키는 역할도 제공 한다.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는 밥과 면(라면)과 같은 탄수화물용 정량조절 구획 부재, 및 지방제거와 지방 미제거의 단백질용 정량조절 구획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별 칼로리 표시부(430)는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가 소정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 장착될 때 해당 음식 종류에 따른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서의 칼로리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밥의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140k에서 30k씩 증가하는 170k, 200k가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의 상단 측에 표시되고, 라면의 경우 밥 120g과 동일한 정량별 끼움 결합부(두번째 칸)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의 하단 측에 표시된다.
그리고 지방 미포함의 살코기의 경우 70k, 100k가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의 상단 측에 표시되며, 지방 포함의 살코기의 경우 110k, 150k가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의 하단 측에 표시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포함되는 정량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식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포함되는 정량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서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식판의 정면도이다.
상기 정량 조절 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수화물류 수용부(110) 및 육류 수용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 및 분리 가능하고 그릇 형태(또는 용기나 접시 등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다른 실시 예의 정량 조절 수단(400)은 가장자리의 상면에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330, 340) 중 어느 하나의 칼로리를 가르키는 화살표가 일측에 형성되고, 각각 용기부(441)(도 4 참조)의 사이즈가 다른 식사량 조절 분리 용기(440) 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440)는 수용부에 끼움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440)의 용기부(441)는 적용될 수용부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의 정량 조절 수단(400)은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정량조절 구획 부재가 어느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 끼워져 정량(칼로리)을 맞추는 원리와 동일하게, 조절할 정량에 맞는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440)를 선택하여 수용부에 안착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해당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440)는 맞추고자 하는 정량(칼로리)에 맞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정량선택 칼로리표시부를 지시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의 정량 조절 수단(400)은 채소류 수용부(130) 및 액상첨가류 수용부(141, 142)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에 담기는 음식물의 용량(구체적으로는 높이)을 가늠 또는 체크하기 위한 상한선 체크 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한선 체크 수단(500)은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20)의 하단부(또는 상단부)를 가로질러 젓가락(또는 숟가락)이 놓이도록 형성 되는 젓가락 받침대로 형성된다.
상기 젓가락 받침대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군데에 형성되고, 양단부의 받침대는 일측이 막힘 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의 받침대는 중앙부를 가로 지르는 홈이 형성되며, 젓가락이 젓가락 받침대에 안착될 때 식판 본체(100)의 상면에서 4mm의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한선 체크 수단(500)은 젓가락을 놓으면 탄수화물 수용부(110)와 단백질 수용부(120)의 상단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고, 탄수화물 수용부(110)와 단백질 수용부(120)에서 음식물의 정량이 넘어서서 담기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한선 체크 수단(500)은 수용부에 담기는 음식이 정량을 넘어서면 젓가락이 안착된 높이까지 올라가서 젓가락이나 숟가락을 담을 수 없도록 해서 정량을 넘어섰는지를 체크해서 정량이 담기도록 체크 및 제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한선 체크 수단(500)은 채소류 수용부(130)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끼 예상 칼로리 현황 확인 및 컨트롤 기능을 갖는다.
탄수화물류 수용부(110)와 육류 수용부(130)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410)에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의 화살표를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300)에 표시된 칼로리 숫자(300kcal, 400kcal)에 맞추면 총 섭취 예상 칼로리가 세팅된다. 여기에서, 정량조절 구획 부재(420)가 없는 상태는 최대 칼로리, 즉 500kcal로 셋팅된다.
다이어트는 여자 900~1500kcal, 남자 1200~1800kcal를 섭취시 매주 체중 500g이 감량이 되면서 권장영양소 섭취를 충족하는 효과적인 범위이다(칼로리 감소량 일 500~700kcal).
400kcal 식판이 가장 효과적인 다이어트가 가능하나, 배고픔에 대한 저항이 있을 경우 500kcal 칼로리로 우선 적응을 한 후에 점진적으로 다이어트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은 여자 900~1500kcal, 남자 1200kcal~1800kcal의 범위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권장섭취량(단, 900kcal의 경우 평균필요량)을 충족시키는 영양소 밸런스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칼로리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도 영양소는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섭취량(단, 900kcal의 경우 평균필요량)을 충족시키는 영양소 밸런스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칼로리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도 영양소는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
1500kcal - 정량조절 구획 부재 모두 제거시, 500kcal * 3식
1200kcal - 정량조절 구획 부재를 탄수화물류 수용부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 200kcal(제일 오른쪽)에 장착하고, 육류 수용부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 90kcal(제일 오른쪽) 장착시 400kcal * 3식
900kcal - 정량조절 구획 부재를 탄수화물류 수용부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 140kcal(제일 왼쪽)에 장착하고, 육류 수용부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 70kcal(제일 왼쪽) 장착시 300kcal * 3식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 식판을 이용한 음식물 섭취
시의 섭취량과 에너지 비율기준을 나타내는 표이다.
하루섭취 칼로리
(kcal)
영양소 섭취기준(일일 권장섭취량)
에너지
적정비율
비고
탄수화물
130g 이상
단백질
50~55g 이상
식이섬유
20g 이상
지방비
15~30%
900 105.17 50.77 24.12 31.9% 평균필요량 충족
1200 149.93 67.20 31.50 26.9% 권장섭취량 충족영양소 허용오차 80~120% 이내 인 경우 적합으로 판정
1500 172.31 85.80 35.19 25.6%
또한, 본 발명은 정량 조절 수단을 이용한 음식 종류에 따른 담는 양 조절 기능을 갖는다.
탄수화물류일 경우 정량조절 구획 부재(탄수화물용 정량조절 구획 부재)의 앞면 화살표와 상단의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의 칼로리에 맞춰 장착 을 하면 탄수화물의 칼로리에 맞는 양에 고정된다(탄수화물류 수용부의 왼쪽 첫 번 째 칸 장착시 밥 140kcal 80g).
그리고 라면일 경우 정량조절 구획 부재의 뒷면 화살표와 하단의 칼로리 표시부에 맞춰 장착을 하면 면칸의 칼로리에 맞는 양에 고정이 된다(탄수화물류 수용부의 오른쪽 두번째 칸 장착시 라면 200k, 밥 120g 과 동일한 칼로리). 여기에서, 국수와 파스타는 정량조절 구획 부재를 모두 제거 후 섭취하는 경우에도 170k이다.
육류의 경우, 지방제거고기(살코기)일 경우 정량조절 구획 부재(단백질용 정량조절 구획 부재)의 앞면과 상단의 칼로리에 맞춰 장착하고, 지방이 포함된 일반 고기일 경우 정량조절 구획 부재의 뒷면과 하단의 칼로리에 맞춰 장착하여 세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섯가지 음식의 요소(밥, 고기, 채소, 기름, 소스/국물)로 나누어 음식별로 칼로리를 측정하여 칼로리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국물로 인해 실제 먹은 양의 칼로리 계산이 불가능했던, 국물류 음식의 먹고 남긴 국물을 제외한 실제 섭취한 칼로리 계산(건더기 + 9g 국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섯가지 음식에는 음식별로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
음식의 섭취량을 사람의 손모양으로 표시하고 구체적인 칼로리와 중량을 표기하여,
자신의 손모양을 가지고 자신에게 맞는 식사량과 그 칼로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습
관화 훈련 기회를 제공하여 식판이 없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식사량을 자신
의 손모양에 맞게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에 의하면, 복잡한 기계 및 전자적 장치의 구성없이 식기 또는 식판 자체를 통해 식사량과 칼로리를 직관적으로 측정한 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고, 식사량과 칼로리 계산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어 제작성이 뛰어나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단계적인 식사량과 칼로리 조절을 효과적으로 트레이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탄수화물류를 담는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를 담는 육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및 오일과 소스 및 국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첨가류를 담는 하나 이상의 액상첨가류 수용부와 채소류를 담는 채소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 나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식판 본체; 및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정량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각각의 일측에 표시되어 해당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에 대하여 한끼 권장섭취량을 나타내는 권장섭취량 표시부; 및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 수용부의 상부 측 또는 하부 측에 표시되어 한끼 섭취하는 총 칼로리를 나타내는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섭취량 표시부는,
    칼로리(k)와 중량(g) 및 음식 종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음식/칼로리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섭취량 표시부는,
    손 모양에서 형상을 다르게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용량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주먹 형태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탄수화물 섭취량 표시부;
    상기 육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손가락을 제외한 손바닥을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육류 섭취량 표시부;
    상기 채소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손가락을 포함한
    손바닥 전체를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채소류 섭취량 표시부;
    상기 액상첨가류 수용부의 일측의 식판 본체 상면에 표시되되, 손 모양을 OK 로 만든 형태에서 "O"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오일류 및 소스/국물류 섭취량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총 섭취 예상 칼로리 표시부는,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 수용부 및 채소류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측이나 하측의 식판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각 수용부의 전장(全長)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섭취 칼로리 바;
    상기 섭취 칼로리 바의 일단부에 최대 칼로리가 표시되는 최대 칼로리 표시부; 및 상기 탄수화물류 수용부와 육류 수용부 및 채소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최대 칼로리보다 적은 칼로리 표시가 상기 섭취 칼로리 바에 하나 이상 표시되는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조절 수단은,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정량별
    끼움 결합부; 및
    양단부가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의 끼움 위치에 따라 담을 수 있는 음식물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조절 구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조절 수단은, 상기 정량별 끼움 결합부의 상단 위 및 하단 아래의 식판 본체에 표시되는 정량별 칼로리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량조절 구획 부재는, 상기 정량별 끼움결합부에 끼움될 시, 음식이름, 해당 음식의 칼로리, 해당 음식의 중량, 및 상기 정량 선택 칼로리 표시부의 칼로리를 가르키는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칼로리 표시부는 300kcal ~ 800kcal 중에서 선택되는 칼로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조절 수단은,
    상기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 및 분리가능하고, 그릇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안착될 시, 상기 정량선택 칼로리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칼로리를 가르키는 화살표가 표시된 식사량조절 분리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용부에 담기는 음식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한선 체크 수단을 더 포함하며,상기 상한선 체크 수단은, 상기 각 수용부의 상측 또는 하축에서 젓가락이나 숟가락이 가로질러 받침되게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식판 본체의 상면에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이 일정 높이로 안착되게 형성되는 받침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PCT/KR2023/007721 2022-06-08 2023-06-06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WO20232391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258A KR20230168680A (ko) 2022-06-08 2022-06-08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KR10-2022-0069258 2022-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139A1 true WO2023239139A1 (ko) 2023-12-14

Family

ID=8911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7721 WO2023239139A1 (ko) 2022-06-08 2023-06-06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680A (ko)
WO (1) WO20232391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598A (ja) * 1994-12-30 1996-07-16 Yoshiyuki Hosaka 食事療法用食器並びに食事療法用表示部材及び食事療法のための食品の表示方法
JP2013000249A (ja) * 2011-06-14 2013-01-07 Shimane Univ 栄養バランス食提供用食器セット
JP3183927U (ja) * 2013-03-26 2013-06-06 株式会社福井クラフト トレー
KR102086114B1 (ko) * 2018-08-28 2020-03-06 주식회사 창 헬스케어 영양 측정 장치 및 방법
CN213488188U (zh) * 2020-11-05 2021-06-22 上海市第一妇婴保健院 一种适用于妊娠期糖尿病产妇进食定量的可调式餐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793Y1 (ko) 2001-03-16 2001-10-26 (주)다이어트피아 다이어트 식기
KR200280153Y1 (ko) 2002-03-14 2002-07-02 최규용 다이어트 식기
KR200307088Y1 (ko) 2002-10-23 2003-04-18 이형관 다이어트용 식기
KR20050094608A (ko) 2004-03-23 2005-09-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다이어트용 식판저울
KR20150000600U (ko) 2013-07-24 2015-02-09 박호범 소아비만 어린이를 위한 무의식 다이어트 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598A (ja) * 1994-12-30 1996-07-16 Yoshiyuki Hosaka 食事療法用食器並びに食事療法用表示部材及び食事療法のための食品の表示方法
JP2013000249A (ja) * 2011-06-14 2013-01-07 Shimane Univ 栄養バランス食提供用食器セット
JP3183927U (ja) * 2013-03-26 2013-06-06 株式会社福井クラフト トレー
KR102086114B1 (ko) * 2018-08-28 2020-03-06 주식회사 창 헬스케어 영양 측정 장치 및 방법
CN213488188U (zh) * 2020-11-05 2021-06-22 上海市第一妇婴保健院 一种适用于妊娠期糖尿病产妇进食定量的可调式餐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680A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3034Y2 (ja) 食餌療法用盛り付け皿
MacDonald Diet and compliance in phenylketonuria
Bell et al. Energy density of foods affects energy intake across multiple levels of fat content in lean and obese women
Rolls et al. Energy density but not fat content of foods affected energy intake in lean and obese women
Bellisle et al. Non food-related environmental stimuli induce increased meal intake in healthy women: comparison of television viewing versus listening to a recorded story in laboratory settings
Scheibehenne et al. Dining in the dark. The importance of visual cues for food consumption and satiety
US20100038149A1 (en) Device and System for Calculating and displaying the Calories in a Meal by a Built In Weigh-Scale and Computer Program in a Kitchen Plate or a Spoon
CA2436270A1 (en) Interactive furniture for dieters
WO2023239139A1 (ko) 정량식사 트레이닝용 다이어트 식판
Schwenk et al. Oral supplements as adjunctive treatment to nutritionalcounseling in malnourished HIV infected patien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B2416669A (en) Food template for placing on a plate
Gray et al. Dissociation of the effects of preload volume and energy content on subjective appetite and food intake
Wenlock The diets of British schoolchildren
Hu et al.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among senior medical students in Taiwan.
CN203349917U (zh) 可显示营养搭配的餐盘
Obarzanek et al. Eating in the laboratory: is it representative?
Martinelli et al. Effects of puddings containing whey protein and polydextrose on subjective feelings of appetite and short-term energy intake in healthy adults
Güler et al. Methodology of national Turkey nutrition and health survey (TNHS) 2010
JP2000157398A (ja) 食 器
JPH08182598A (ja) 食事療法用食器並びに食事療法用表示部材及び食事療法のための食品の表示方法
Dunne Malnutrition: supplements and food fortification in the older population
Fletcher Managing adult malnutrition in the community
JPH0269726U (ko)
Gallegos Assessing and evaluating nutritional status, diets and physical activity
Lei et al. Influence of Familiarity on Energy Intake and Plasma Gut Hormone Concentration in Lean and Overweight Young Male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20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