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91337A1 -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91337A1
WO2023191337A1 PCT/KR2023/003265 KR2023003265W WO2023191337A1 WO 2023191337 A1 WO2023191337 A1 WO 2023191337A1 KR 2023003265 W KR2023003265 W KR 2023003265W WO 2023191337 A1 WO2023191337 A1 WO 20231913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phoretic particles
optical laminate
common electrode
electrochro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32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병인
이명원
금동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913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913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laminate simultaneously comprising an electrophoretic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s have the ability to maintain images without any additional energy due to their high bistability that maintains the original image without applying an external electric field, and have excellent flexibility, portability, and durability. It is a type of flat panel display using electrophoresis (a phenomenon in which charged colloidal particles move toward the anode or cathode in an electric field)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lightness and lightness.
  •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has characteristics closest to the texture of paper and exhibits a light reflection efficiency similar to or higher than that of newspaper, which has a light reflection efficiency of about 40%, and an excellent contrast ratio. Additionally,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is a reflective display that drives electrophoretic suspension by coating electrodes on a thin, bendable base film such as paper or plastic, and is used to produce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 panel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It is a device expected to be in the spotlight as the next generation electronic paper.
  • This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does not have a separate color filter, but reproduces only two colors by controlling the electric field at both electrodes to drive the two electrophoretic particles, or uses an electric field by additionally applying pulses to drive the three electrophoretic particles. By controlling this, three colors are reproduced and a predetermined color is displayed on the image.
  •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an only express two types of colors by electrophoresis driving method, or three colors must be realized by separately applying additional pulses, so color expression is limited or the driving method is complicated. there was.
  • Publication Patent No. 10-2014-0192625 discloses a variable panel containing electrochromic particles, but it is difficult to realize various colors other than the light transmission/light blocking effect, and it does not include an electrophoresis layer, so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color of the pixe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color implementation is low due to this complexity.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laminate that has an electrophoretic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at the same time and can efficiently produce three or more colors simply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without additionally applying a separate pulse. Do it a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phoresis layer in an electrophoresis unit; and an electrochromic layer in the electrochromic portion, wherein the electrophoretic layer includes: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first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 plurality of electrophoresis cell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mmon electrod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a dielectric fluid filling 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electrophoresis cells and at least two types of electrophoret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dielectric fluid, wherein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the second substrate; a third substrat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ubstrate;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n electrolyte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on electrode, the second common electrode, and the unit electrode is made of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graphene,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on electrode, the second common electrode, and the unit electrode may be light transparent.
  •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substrate may be light transparent.
  •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includ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and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include TiO 2 particles.
  •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include carbon particles.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undergo a phase change into a colored mode and a transparent mode through an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include positively charged electrophoretic particles and negatively charged electrophoretic particles
  •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ommon electrode is defined as Vp
  • the voltage applied to the unit electrode is defined as Vt.
  •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ommon electrode is defined as Vp
  •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mmon electrode is defined as Vc
  • the voltage applied to the unit electrode is defined as Vt
  • the Vt value As this changes, three or more colors may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when Vp ⁇ Vc,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colored under the condition of Vc ⁇ Vt, and under the condition of Vp ⁇ Vt,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under the condition that Vp>Vt. It can be.
  •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have a negative charge, and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have a positive charge.
  •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xida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 reduc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and when Vc > Vp, the oxida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is the third substrate.
  • the reduction coloring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when Vp > Vc,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colored under the condition of Vc > Vt, and when Vp > Vt,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under the condition that Vp ⁇ Vt. You can.
  •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have a positive charge, and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may have a negative charge.
  •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xida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 reduction-coloration electrochromic material, and when Vc ⁇ Vp, the reduction-coloration electrochromic material is the third substrate. Located on the surface, the oxida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selected from viologen, phenothiazine, polyaniline, Ti, Cu, Nb, Mo, Ta, W, V, Cr, Mn, Fe, Co, Ni, Rh and Ir. It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in the group.
  •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ophoresis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at the same time, and can efficiently implement three or more colors simply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without additionally applying a separate puls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parts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and electrodes in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optical laminate for explaining a specific example of a driving method by voltage of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laminate, which has an electrophoresis unit and an electrochromic unit at the same time, and which efficiently implements three or more colors by simpl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without additionally applying a separate pulse.
  • the purpose is to implement three or more colors by simpl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without additionally applying a separate puls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phoresis layer in an electrophoresis unit; and an electrochromic layer in the electrochromic portion, wherein the electrophoretic layer includes: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first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 plurality of electrophoresis cell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mmon electrod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a dielectric fluid filling 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electrophoresis cells and at least two types of electrophoret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dielectric fluid, wherein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the second substrate; a third substrat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ubstrate;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n electrolyte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 the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lectronic paper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nit electrode is expressed as a total of 25 unit electrod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25 or more unit electrodes.
  •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tical lamina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s 10, 11, and 12 and the electrodes 20, 21, and 22 of the optical lamina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tical laminate 1 to illustrate a specific example of a driving method by voltage of the optical lamin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tical laminate 1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 a second substrate 11, and a third substrate 12 facing each other, A first common electrode 20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 a second common electrode 2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ubstrate 12, and a unit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1 ( 22), an electrophoresis cell 3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and the second substrate 11, an electric cell dispos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22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It may include a discoloration cell 40.
  • the first substrate 10,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third substrate 12 each independently serve as a base for support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optical laminate 1.
  •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1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third substrate 1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third substrate 12 are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optical laminate 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ubstrate 11 is located o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third substrate 12. ),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ubstrate, substrate, support member, support substrate, backplan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substrate 10,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third substrate 12 are independently glass; Cyclic olefin polymer (CO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ac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I),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polyethersulfone (PES), cellulose triacetate (TAC), polycarbonate (PC),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and other polymer materials; and/or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and metal oxid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COP Cyclic olefin polymer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AR polyacrylate
  • PEI polyetherimid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PPS poly
  • the first substrate 10,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third substrate 12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depending on the light control purpose of the optical laminate 1 or the purpose of its application.
  • the optical lamina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10,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third substrate 12 is made of an insulating and light-transmitting material. You can lose.
  • the first substrate 10,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third substrate 12 may all be transparent substrates made of glass.
  •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is a conductive structu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 and serves as a collecting electrode to collect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in a shallow area.
  •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is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carbon nano tube, graphene, or PEDOT:PSS.
  • It can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poly(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chromium (Cr), molybdenum (Mo), silver (Ag), aluminum (Al), copper (Cu), magnesium- Metals such as silver alloy (MgAg), magnesium-calcium alloy (MgCa), aluminum-silver alloy (AlAg), or ytterbium-silver alloy (YbAg), nano Ag, or a plurality of other metal materials other than the aforementioned metal materials. It may be formed a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is a conductive structu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ubstrate 12, and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of the electrochromic material (not shown) progresses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and thus the electrochromic material (not shown) progresses.
  • This electrolyte changes the ion state and serves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the electrochromic cell 40 so that a specific color is realized.
  •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is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carbon nano tube, graphene, or PEDOT:PSS.
  • It can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poly(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chromium (Cr), molybdenum (Mo), silver (Ag), aluminum (Al), copper (Cu), magnesium- Metals such as silver alloy (MgAg), magnesium-calcium alloy (MgCa), aluminum-silver alloy (AlAg), or ytterbium-silver alloy (YbAg), nano Ag, or a plurality of other metal materials other than the aforementioned metal materials. It may be formed a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unit electrode 22 is a conductive structur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1 and may be formed singly or in plural units. Specifically, the unit electrode 2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ubpixel with a constant length and width, and the number of subpixels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FIG. 2.
  • the unit electrode 22 is a common electrode and may be a TFT (Thin Film Transistor) electrode.
  • the unit electrode 22 is a collecting electrode facing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and plays the role of collecting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in a shallow area, while also serving as a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In opposition, it may serve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the electrochromic cell 40.
  • the unit electrode can be form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either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 as long as it can maintain a function suitable for the purpose (capable of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 the unit electrode 2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unit electrode 22 is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carbon nano tube (Carbon Nano Tube), graphene, PEDOT:PSS (Poly It can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chromium (Cr), molybdenum (Mo), silver (Ag), aluminum (Al), copper (Cu), and magnesium-silver alloy.
  • ITO indium tin oxide
  • IZO indium zinc oxide
  • IZO carbon nano tube
  • PEDOT:PSS Poly It can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chromium (Cr), molybdenum (Mo), silver (Ag), aluminum (Al), copper (Cu), and magnesium-
  • MgAg magnesium-calcium alloy
  • AlAg aluminum-silver alloy
  • YbAg ytterbium-silver alloy
  • nano-Ag or a plurality of other metal materials other than the aforementioned metal materials. It can 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and the unit electrode 22 may be light transparent.
  •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and the unit electrode 22 may have a voltage applied to them, may be in a ground state, or may be in a floating state.
  • the floating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is not connected by wiring, etc., and thus the electrode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 the electrophoresis layer 2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 a second substrate 11 facing the first substrate 10, and a first substrate 11 on the first substrate 10.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electrophoresis cells 30 disposed between the formed first common electrode 20,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and the second substrate 11,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phoresis cell 30 is dielectric. It may contain black and/or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dispersed in the fluid (not shown) and the dielectric fluid.
  • the electrophoresis cell 3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unit electrode 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bpixel.
  • a partition wall made of a sturdy material may be formed to distinguish each electrophoresis cell 30, but each electrophoresis cell 30 is black and/or white.
  • a plurality of capsules (not shown) containing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re densely packed into polygonal capsules by external forces such as compression and pressure to form the electrophoresis cell 30. It is more desirable for this to be formed.
  • the electrophoresis cell 30 When the electrophoresis cell 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apsules densely packed, the capsules are made of a material with relatively low hardness, so the capsule can change shape freely and is less affected by external forces, and the formed accordingly
  • the electrophoresis cell 30 has the advantage of being firmly placed between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and the unit electrode 21 in the form of a dense capsule.
  • the capsule forming the electrophoresis cell 30 can be manufactured by atomizing a liquid or solid core material and coating it with a membrane.
  • the method of covering the core material with a membrane is particularly no limits.
  • Examples of chemical techniques for specific coating methods include interfacial polymerization, in situ polymerization (surface modification), and submerged curing coating.
  • phase separation aqueous solution or organic solvent
  • submerged drying melting and dispersion cooling
  • inclusion exchange aqueous solution or organic solvent
  • phase separation methods include phase separation (aqueous solution or organic solvent), submerged drying, melting and dispersion cooling, inclusion exchange, and phase separation methods.
  • Examples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specific coating methods include low-temperature encapsulation, air suspension coating, inorganic metal wall and organic wall encapsulation, vacuum deposition coating, spray drying, and impact in high-speed airflow. .
  • the electrophoresis cell 3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structu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s.
  • the partition walls may be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to separate neighboring electrophoresis cells 30,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ion used in conventional partition wall compositions. It may be formed of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taining a transparent material, a black material, a gray material, etc. in one or more embodiments.
  • the dielectric fluid (not shown) included inside the electrophoresis cell 30 is inten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re dispersed, and protects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dispersed inside from external shock. It can be protected.
  • the dielectric fluid may be a liquid solvent or a gaseous solvent,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electric fluid is a liquid solvent in view of the relatively low driving voltage and the ability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even when turned off.
  • the liquid solvent may include a binder and may include halogenated solvents, saturated hydrocarbons, silicone oils, low molecular weight halogen-containing polymers, Epoxides, vinyl ethers, vinyl esters, aromatic hydrocarbons, toluene, naphthalene, paraffinic liquids and polychlorotrifluoroethyle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rs (poly 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s).
  •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contained within the electrophoresis cell 30 are charged particles that have a light-shielding or transparency function and perform a light control function through movement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electrodes.
  •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ay be conventional or later developed electrophoretic particles, and may be composed of a core material, a polymer, and a charged material. Depending on the charge of the charged material,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ay have a positive charge or Negative charge is determined.
  • the particles may be black, colored, white, or transparent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ay includ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nd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
  •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ay include carbon particles with a light blocking function
  •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ay include TiO 2 particles.
  •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re black and/or whi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 the content of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in the electrophoretic cell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0.01 to 1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ielectric fluid containing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in terms of light control function. Preferably it is weight percent. If the content of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is less than 0.01%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the light blocking function smoothly, and if it exceeds 15% by weight, light transmittance may be reduced.
  • the electrochromic layer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ubstrate 11, a third substrate 12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11. ), a unit electrode 22 formed on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ubstrate 12, and a plurality of electrochromic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22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It is composed of a cell 40, and the interior of the electrochromic cell 40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not shown) and an electrolyte layer (not shown) that fills the interior of the electrochromic cell 40.
  • the electrochromic cell 4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unit electrode 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bpixel. That is, referring to FIGS. 1 and 2, each electrochromic cell 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lectrochromic cell 40 by a photoresist process to distinguish each electrochromic cell 40,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chromic cell 40 May include electrochromic materials, electrolytes, anodes, and cathodes.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generates an electric field through the anode and cathode contained within the electrochromic cell 40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and the unit electrode 22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cell 40.
  • a voltage to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and the unit electrode 22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cell 40.
  • electrons move, which causes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occur, which changes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material, creating color.
  • the ionic state of the electrochromic material changes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so that a specific color can be expressed in the pixel, and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voltage changes.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reduced/oxidized due to a reverse reaction, it may become transparent and be displayed in the pixel.
  • the electrochromic cell 40 can be converted into a colored mode or a transparent mode depending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oltage.
  • most electrochromic materials can maintain their color even after the electric field disappears after discoloration, making them easy to apply to low-power devices along with electrophoresis.
  • Electrochromic materials can be divided into inorganic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organic electrochromic materials.
  • Representative inorganic electrochromic materials are reductive electrochromic materials such as Ti, Cu, Nb, Mo, Ta, and W, and oxidative color electrochromic materials are V, Cr, Mn, Fe, Co, No, Ni, Rh, Ir, etc. It may contain metal atoms, specifically WO 3 , NiOxHy, Nb 2 O 5 , TiO 2 , MoO 3 , and Ir(OH)x It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from the group selected from, and more preferably, it is advantageous to stack the reduction coloring material and the oxidation coloring material with an electrolyte layer in between.
  • organic electrochromic substances such as viologen, phenothiazine, and polyaniline can be used here as coloring-decolorizing substances.
  • the color change process for WO 3 one of the electrochromic materials,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Reaction Formula 1] below.
  • M represents lithium, proton, calcium, etc., and lithium is most commonly used.
  • Lithium ions react with WO 3 and have an electrochromic effect that turns blue as shown above. In this way, the solid electrolyte can be used to supply lithium ions.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capable of realizing various colors depending on its type and the type of substituted functional group.
  • the electrolyte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cell 40 may be a liquid electrolyte 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 a solid polymer electrolyte is a material that can transfer ions in a solid state.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s it does not have problems such as liquid leakage when manufacturing device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manufactured into any desired shape as it can be made into a thin film.
  • Examples of liquid electrolytes include 1M LiOH aqueous solution, 1M LiClO 4 aqueous solution, and 1M KOH aqueous solution, and inorganic hydrates include Ta 2 O 5 ⁇ 3.92H 2 O, Sb 2 O 5 ⁇ 4H 2 O, etc. , Poly-AMPS, Poly(VAP), Modified PEO/LiCF 3 SO 3 , etc. can be used as solid polymer electrolytes.
  • the optical laminate 1 has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as Vp,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as Vc,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unit electrode 22 as Vc.
  • Vp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 Vc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 Vc the voltage applied to the unit electrode 22
  • the applied voltage is Vt
  • three or more colors can be realized simultaneously as the Vt value varies, so three or more colors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just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without applying additional pulse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is Vp
  •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is Vc
  • the voltage applied to the unit electrode 22 is defined as Vt
  • Vp and Vt are Vp>Vt or Vp ⁇ Vt
  •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generate electricity between the first common electrode 20 and the unit electrode 22. It is formed in an electric field in the electrochromic cell 30, and Vt and Vc are Vc ⁇ Vt or Vc>Vt, and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form an electrochromic cell 40 between the unit electrode 22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21.
  • An electric field is formed in
  •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with a positive charge move toward the electrode with a low voltage
  •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with a negative charge move toward the electrode with a high voltage
  • White and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re arranged separately at the top and bottom, and are converted to black or white depending on the voltage driving of Vp and Vt.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contained inside the electrochromic cell 40 undergoes an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resulting in electrochromic coloration due to voltage driving of Vt and Vc.
  • the material switches the pixel to colored mode or transparent mode.
  • the electrophoresis cell 30 controls the electric field so that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can move toward the unit electrode 22, so that the electrophoresis cell ( 30) must be converted to white.
  • the electrochromic lay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oxidation-coloring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 reduction-coloration electrochromic material.
  • the voltages Vp, Vt, and Vc of the electrodes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are as shown in the example in [Table 1] below.
  • Vp ⁇ Vc voltage is applied so that Vc ⁇ Vt and Vp ⁇ Vt are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ic field is directed downward in the electrophoresis cell 30 and the electric field is directed upward in the electrochromic cell 40. do.
  • a reduction reaction proceeds and a negative charge is generated, and an oxidation reaction progresse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resulting in a positive charge.
  • reduc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s such as Ti, Cu, Nb, Mo, Ta, and W are lamin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3), and V, Cr, Mn, Fe, and Co are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3).
  • Ni, Rh, Ir, etc. are layered with oxidizing and 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the electrochromic part is converted to coloring mode by an electric field.
  • the oxida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substrate 12, and the reduction-colored electrochromic material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 Located at,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can proceed.
  • the negatively charged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ove upward, and the positively charged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ove downward to express white color,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do.
  • the reflected light can display colors other than black and white due to the coloring effec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 the voltages Vp, Vt, and Vc of the electrodes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are shown in the example in [Table 2] below.
  • a voltage is applied so that Vc>Vt and Vp>Vt, so that the electric field in the electrophoresis cell 30 is controlled to be upward, and in the electrochromic cell 40, the electric field is controlled to be downward.
  • an oxidation reaction progresses in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chromic cell 40 and has a positive charge
  • a reduction reaction progresses i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chromic cell 40 and it has a negative charge.
  • oxidizing electrochromic materials such as V, Cr, Mn, Fe, Co, Ni, Rh, Ir, etc. are lamin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3, and Ti, Cu, Reduction-coloring electrochromic materials such as Nb, Mo, Ta, and W are layered, and the electrochromic part is converted to coloring mode.
  • the positively charged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ove upward and the negatively charged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ove downward to express white color,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reflected. do.
  • the reflected light can display colors other than black and white due to the coloring effec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 1 by voltage is only an example to explain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xample, and the black and/or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re Each may have a positive or negative charge, and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and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35 may have opposite charges. Additionally, electrochromic materials may undergo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mpound.
  •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ophoresis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at the same time, and can efficiently implement three or more colors simply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without additionally applying a separate pul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 상기 전기영동 층은, 제1 기재; 상기 제1 기재에 대향하는 제2 기재; 상기 제1 기재 상에 형성된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영동 셀; 및 상기 복수의 전기영동 셀 내부를 채우는 유전성 유체 및 상기 유전성 유체 내에 분산된 적어도 2종 이상의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 층은, 상기 제2 기재; 상기 제2 기재에 대향하는 제3 기재; 상기 제2 기재 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 전극; 상기 제3 기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에 전기변색물질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본 발명은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 층을 동시에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전기장 인가 없이도 원래의 화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높은 쌍안정성(bistability)으로 인하여, 아무런 추가적인 에너지 없이 화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유연성(flexibility)과 휴대성(portability)이 뛰어나며, 내구성 및 경량성 등의 특성을 지닌 전기영동(Electrophoresis; 전기장 내에서 전하를 지닌 콜로이드 입자가 양극 또는 음극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
이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이 질감에 가장 가까운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광반사 효율이 40% 정도인 신문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치의 광반사 효율, 그리고 우수한 명암비를 나타낸다.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베이스 필름에 전극을 입혀 전기영동 부유입자(Electrophoretic Suspension)를 구동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뒤이을 차세대 전자종이(Electronic Paper)로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컬러필터를 구비하지 않으면서, 두가지 전기영동 입자의 구동을 양 전극에 전기장을 제어하여 두가지 색상만을 재현하거나, 세가지 전기영동 입자의 구동을 펄스를 추가로 적용한 전기장을 제어하여 세가지 색상을 재현하여 소정 색상을 화상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영동 구동방식에 의해서는 2종류의 색상만 표현이 가능하거나, 별도로 펄스를 추가로 적용하여 세가지 색상을 구현해야 하므로, 색상 표현이 제한적이거나 구동 방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4-0192625호에서는 전기변색 입자를 포함하는 가변 패널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광 투과/광 차단 효과 이외에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어려우며, 전기영동 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화소의 색상 구현이 복잡하여 색상 구현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 층을 동시에 구비하여, 별도의 펄스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아도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3종 이상의 색상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영동부에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부에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 상기 전기영동 층은, 제1 기재; 상기 제1 기재에 대향하는 제2 기재; 상기 제1 기재 상에 형성된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영동 셀; 및 상기 복수의 전기영동 셀 내부를 채우는 유전성 유체 및 상기 유전성 유체 내에 분산된 적어도 2종 이상의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 층은, 상기 제2 기재; 상기 제2 기재에 대향하는 제3 기재; 상기 제2 기재 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 전극; 상기 제3 기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에 전기변색물질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단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그래핀 (Grephene), 및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단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 투과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상기 제1 기재,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제3 기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 투과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영동입자는 흑색 전기영동입자 및 백색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는 TiO2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는 카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산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하여 착색 모드와 투명 모드로 상변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영동입자는 양전하 전기영동입자 및 음전하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p, 상기 단위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t로 정의될 때, 상기 Vp 및 Vt의 전압차이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양전하 전기영동입자 및 음전하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전기장에 따라 나누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p, 상기 제2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c, 상기 단위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t로 정의될 때, 상기 Vt 값이 가변됨에 따라 3가지 이상의 색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Vp<Vc 일 때, Vc<Vt 인 조건에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이 착색되고, Vp<Vt 인 조건에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Vp>Vt 인 조건에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는 음전하를 가지며,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는 양전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상기 전기변색층은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 및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Vc > Vp일 때, 상기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3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Vp > Vc 일 때, Vc > Vt 인 조건에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이 착색되고, Vp > Vt 인 조건에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Vp < Vt 인 조건에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는 양전하를 가지며,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는 음전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변색층은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 및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Vc < Vp일 때, 상기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3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viologen, phenothiazine, polyaniline, Ti, Cu, Nb, Mo, Ta, W, V, Cr, Mn, Fe, Co, Ni, Rh 및 Ir 으로부터 선택되는 군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 층을 동시에 구비하여, 별도의 펄스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아도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3종 이상의 색상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서, 기재 및 전극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전압에 의한 구동방식의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광학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각 부호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1: 광학 적층체
2: 전기영동 층
3: 전기변색 층
10: 제1 기재
11: 제2 기재
12: 제3 기재
20: 제1 공통전극
21: 제2 공통전극
22: 단위 전극
30: 전기영동 셀
35: 전기영동입자
40: 전기변색 셀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전기영동부 및 전기변색부를 동시에 구비하여, 별도의 펄스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아도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3종 이상의 색상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기영동부에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부에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 상기 전기영동 층은, 제1 기재; 상기 제1 기재에 대향하는 제2 기재; 상기 제1 기재 상에 형성된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영동 셀; 및 상기 복수의 전기영동 셀 내부를 채우는 유전성 유체 및 상기 유전성 유체 내에 분산된 적어도 2종 이상의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 층은, 상기 제2 기재; 상기 제2 기재에 대향하는 제3 기재; 상기 제2 기재 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 전극; 상기 제3 기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에 전기변색물질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도 2에서, 단위 전극은 총 25개의 단위 전극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5개 이상의 단위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광학 적층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1)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1)에서, 기재(10, 11, 12) 및 전극(20, 21, 22)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1)의 전압에 의한 구동방식의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광학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1)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기재(10),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 상기 제1 기재(10) 상에 형성된 제1 공통전극(20), 상기 제3 기재(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공통전극(21) 및 상기 제2 기재(11) 상에 형성된 단위 전극(22), 상기 제1 공통전극(20) 및 상기 제2 기재(11)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영동 셀(30), 상기 단위 전극(22) 및 상기 제2 공통전극(21)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 셀(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제1 기재(10),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는, 각각 독립적으로 광학 적층체(1)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지(ba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재(10) 및 제2 기재(11)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재(10) 및 제3 기재(12)는 각각 광학 적층체(1)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제2 기재(11)는 제1 기재(10) 및 제3 기재(12)의 사이에 위치하고, 기재, 기판, 지지 부재, 지지 기판, 백플레인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기재(10),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는 독립적으로 유리; 환형올레핀중합체(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I),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폴리에테르술폰(PES),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폴리카보네이트(PC), 환형올레핀공중합체(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고분자 물질; 및/또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금속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재(10),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는 광학 적층체(1)의 광 제어 목적이나 그 적용 목적에 따라 상이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1)에서, 제1 기재(10),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절연성인 동시에 광 투과성인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재(10), 제2 기재(11) 및 제3 기재(12)은 모두 유리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전극
제1 공통전극(20)은 제1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구조물이고, 수집전극(Collecting Electrode)으로써, 전기영동입자(35)를 얕은 영역에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공통전극(2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내지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공통전극(20)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PEDOT:PSS (Poly(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크롬(Cr), 몰리브덴(Mo),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마그네슘-은 합금(MgAg), 마그네슘-칼슘 합금(MgCa), 알루미늄-은 합금(AlAg), 또는 이터븀-은 합금(YbAg), 나노 Ag 등의 금속, 또는 전술한 금속물질 이외의 복수의 다른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공통전극(21)은 제3 기재(1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도전성 구조물로써,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기변색물질(미도시)의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전기변색물질이 전해질에 의해 이온 상태가 변화되어 특정한 색상이 구현되도록 전기변색 셀(40)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공통전극(21)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내지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공통전극(21) 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PEDOT:PSS (Poly(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크롬(Cr), 몰리브덴(Mo),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마그네슘-은 합금(MgAg), 마그네슘-칼슘 합금(MgCa), 알루미늄-은 합금(AlAg), 또는 이터븀-은 합금(YbAg), 나노 Ag 등의 금속, 또는 전술한 금속물질 이외의 복수의 다른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 전극(22)은 제2 기재(11) 상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성 구조물로,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전극(22)은 일정한 길이, 폭을 가진 서브픽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픽셀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위 전극(22)은 공통 전극으로써, TFT(Thin Film Transistor) 전극일 수 있다.
단위 전극(22)은 제1 공통전극(20)과 대향하여 수집전극(Collecting Electrode)으로써, 전기영동 입자(35)를 얕은 영역에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2 공통전극(21)과 대향하여 전기변색 셀(40)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위전극은 목적에 맞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전위차를 형성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제2 기재(11)의 상부면 혹은 하부면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단위 전극(22)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내지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위 전극(22) 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PEDOT:PSS (Poly(3,4-e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크롬(Cr), 몰리브덴(Mo),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마그네슘-은 합금(MgAg), 마그네슘-칼슘 합금(MgCa), 알루미늄-은 합금(AlAg), 또는 이터븀-은 합금(YbAg), 나노 Ag 등의 금속, 또는 전술한 금속물질 이외의 복수의 다른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공통전극(20), 제2 공통전극(21) 및 단위 전극(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투과성일 수 있다.
제1 공통전극(20), 제2 공통전극(21) 및 단위 전극(22)은 전압이 인가되거나, 그라운드(Ground) 상태일 수 있고, 플로팅(Floating) 상태일 수 있다. 플로팅 상태란, 전극이 배선 등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전극이 다른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전기영동 층(2)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층(2)은, 제1 기재(10), 제1 기재(10)에 대향하는 제2 기재(11), 제1 기재 상에 형성된 제1 공통전극(20), 제1 공통전극(20) 및 제2 기재(1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영동 셀(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영동 셀(30)의 내부에는 유전성 유체(미도시) 및 유전성 유체 내에 분산된 흑색 및/또는 백색의 전기영동입자(35)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전기영동 셀(30)은 단위 전극(22)이 서브픽셀의 형태로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전기영동 셀(30)을 구분하기 위하여 견고한 재질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으나, 각각의 전기영동 셀(30)이 흑색 및/또는 백색의 전기영동입자(35)가 함유된 복수개의 캡슐(미도시)이 압축, 압력 등의 외부의 힘에 의하여 다각형의 캡슐들이 밀집되어 전기영동 셀(3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전기영동 셀(30)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기영동 셀(30)이 복수개의 캡슐이 밀집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캡슐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캡슐의 형태 변환이 자유로우며 외부의 힘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고, 이에 따라 형성된 전기영동 셀(30)은 밀집된 캡슐의 형태로 제1 공통전극(20) 및 단위 전극(21)의 사이에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셀(30)을 이루는 캡슐은 액체 또는 고체의 코어물질을 미립화하고, 이를 막으로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물질을 막으로 피복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구체적인 피복 방법의 화학적 기법의 예로는 계면중합법, in situ 중합법(표면개질법) 및 액중경화 피복법 등의 방법으로 캡슐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피복 방법의 물리화학적 기법의 예로는 상분리법(수용액 또는 유기용매), 액중건조법, 융해분산냉각법, 내포물교환법 및 분상법 등의 방법으로 캡슐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피복 방법의 기계적 기법의 예로는 저온캡슐화법, 기중현탁피복법, 무기질 금속질벽 유기질벽 캡슐화법, 진공증착 피복법, 스프레이 드라잉법 및 고속기류중 충격법 등의 방법으로 캡슐이 제조될 수 있다.
전기영동 셀(30)은 복수의 단위셀들로 구분되게 형성된 격벽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영동 셀(30)이 격벽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격벽은 이웃한 전기영동 셀(30)을 구분하기 위하여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 격벽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명 물질, 흑색 물질, 그레이(gray) 물질 등을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전기영동 셀(30)의 내부에 포함되는 유전성 유체(미도시)는, 전기영동 입자(35)가 분산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분산된 전기영동 입자(35)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유전성 유체는 액체 용매 또는 기체 용매일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 전압과 오프(off) 시에도 전기영동 입자(35)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액체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용매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고, 할로겐 솔벤트(halogenated solvents), 포화 탄화수소(saturated hydrocarbons), 실리콘 오일(silicone oils), 저 분자량 할로겐을 포함하는 폴리머(low molecular weight halogen-containing polymers), 에폭사이드(epoxides), 비닐 에테르(vinyl ethers), 비닐 에스테르(vinyl ester), 방향족 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 톨루엔(toluene), 나프탈렌(naphthalene), 액상 파라핀(paraffinic liquids) 및 폴리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머(poly 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전기영동 셀(30)의 내부에 포함되는 전기영동입자(35)는 차광 기능 또는 투명화 기능을 가지고, 전극 간에 발생되는 전위차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광 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대전입자를 의미한다. 전기영동입자(35)는, 종래 또는 이후 개발되는 전기영동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코어 물질, 폴리머 및 대전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대전 물질의 전하에 따라 전기영동입자(35)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 여부가 결정된다.
일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흑색, 유채색, 백색 또는 고굴절률을 갖는 투명 입자일 수 있다.
전기영동입자(35)는 흑색 전기영동입자(35) 및 백색 전기영동입자(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35)는 예를 들어 차광 기능을 가진 카본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35)는 TiO2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기영동입자(35)가 흑색 및/또는 백색인 것으로 가정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기영동 셀(30) 내에서의 전기영동입자(35)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광 제어 기능의 측면에서 전기영동입자(35)를 포함하는 유전성 유체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영동입자(35)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광 차단 기능이 원활히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전기변색 층(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 층(3)은, 제2 기재(11), 제2 기재에 대향하는 제3 기재(12), 제2 기재(11) 상에 형성된 단위 전극(22), 제3 기재(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공통전극(21), 단위 전극(22) 및 제2 공통전극(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 셀(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변색 셀(40)의 내부에는 전기변색물질층(미도시) 및 전기변색 셀(40)의 내부를 채우는 전해질층(미도시)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전기변색 셀(40)은 단위 전극(22)이 서브픽셀의 형태로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전기변색 셀(40)을 구분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 공정에 의해 전기변색 셀(4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변색 셀(40)의 내부에는 전기변색물질, 전해질, 양극(anode) 및 음극(cathode)이 포함될 수 있다.
전기변색물질은 전기변색 셀(40)과 접촉하는 제2 공통전극(21) 및 단위 전극(22)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기변색 셀(40)의 내부에 포함되는 양극 및 음극을 통해 전기장이 형성되면, 전자가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되어 전기변색물질의 색깔이 변하는 원리로 색상이 구현된다. 제2 공통전극(21) 및 단위 전극(22)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기변색물질이 산화/환원 반응으로 이온상태가 변화되어 특정한 색상이 화소에 표현될 수 있으며, 인가된 전압의 방향이 반대로 변하면 전기변색물질이 역반응으로 인해 환원/산화되면 투명한 상태가 되어 화소에 표현될 수도 있다. 즉, 전기변색 셀(40)은 전압의 구동 방향에 따라 착색 모드 또는 투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기변색물질은 변색이 된 후에는 전기장이 사라지더라도 색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전기영동 방식과 함께 저전력 장치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전기변색물질은 무기 전기변색물질과 유기 전기변색물질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무기 전기변색물질은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로써 Ti, Cu, Nb, Mo, Ta, W,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로써 V, Cr, Mn, Fe, Co, No, Ni, Rh, Ir 등의 전이금속 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WO3, NiOxHy, Nb2O5, TiO2, MoO3, 및 Ir(OH)x 에서 선택되는 군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환원착색 물질과 산화착색 물질을 전해질층을 사이로 두고 적층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여기서 착색-탈색이 되는 물질은 무기물 외에도 유기 전기변색물질 viologen, phenothiazine, polyanili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전기변색물질의 하나인 WO3에 대하여 상기의 변색과정을 표시하면 아래의 [반응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반응식 1]
WO3(bleached, 투명)+xe_ +xM+ [0035] MxWO3(dark blur colored, 진한청색)
상기 [반응식 1]에서 M은 리튬이나 프로톤, 칼슘 등을 나타내며, 대표적으로는 리튬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리튬 이온은 WO3와 반응하여 위와 같이 청색으로 변하는 전기변색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처럼 리튬이온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물질은 그 종류 및 치환된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변색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변색 셀(40)에 포함되는 전해질로는 액체 전해질이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 이용될 수 있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고체 상태에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소자의 제작 시 액체의 누수와 같은 문제점이 없어 환경친화적이며, 박막화가 가능하여 원하는 모든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액체 전해질의 예로는 예로는 1M LiOH 수용액, 1M의 LiClO4수용액, 1M의 KOH수용액이 대표적이며, 무기계 수화물로는 Ta2O5ㆍ3.92H2O, Sb2O5ㆍ4H2O 등이 있으며, 고체 고분자 전해질로는 Poly-AMPS, Poly(VAP), Modified PEO/LiCF3SO3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의 구동방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1)는, 제1 공통전극(20)에 인가되는 전압을 Vp, 제2 공통전극(21)에 인가되는 전압을 Vc, 단위 전극(22)에 인가되는 전압을 Vt라 할 때, 상기 Vt 값이 가변됨에 따라 3가지 이상의 색을 동시에 구현하여, 별도의 펄스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아도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3종 이상의 색상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광학 적층체(1)의 전압 인가에 따른 구동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적층체(1)에서, 제1 공통전극(20)에 인가되는 전압이 Vp, 제2 공통전극(21)에 인가되는 전압이 Vc, 단위 전극(22)에 인가되는 전압이 Vt으로 정의되었을 때, Vp 및 Vt는 Vp>Vt 또는 Vp<Vt로 서로 상이한 전압이 인가되어 제1 공통전극(20) 및 단위 전극(22) 사이의 전기영동 셀(30)에 전기장에 형성되고, Vt 및 Vc는 Vc<Vt 또는 Vc>Vt로 서로 상이한 전압이 인가되어 단위 전극(22) 및 제2 공통전극(21) 사이의 전기변색 셀(40)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전기영동 셀(30)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양의 전하를 띄는 전기영동입자(35)는 전압이 낮은 전극쪽으로 이동하고, 음의 전하를 띄는 전기영동입자(35)는 전압이 높은 전극쪽으로 이동하여 백색 및 흑색의 전기영동입자(35)가 위/아래로 각각 나누어 배치되어, Vp 및 Vt의 전압구동에 따라 흑색 또는 백색으로 전환된다.
또한, 전기변색 셀(40)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이동에 따라 전기 변색 셀(40)의 내부에 포함된 전기변색물질이 산화(또는 환원)반응하여, Vt 및 Vc의 전압구동에 전기변색물질에 의하여 화소가 착색모드 또는 투명모드로 전환된다.
광학 적층체(1)의 화소가 착색모드로 전환될 때에는, 전기영동 셀(30)에서는 백색의 전기영동입자(35)가 단위 전극(2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기장을 제어하여, 전기영동 셀(30)을 백색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층(3)은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 및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1)의 전압구동의 구체적인 일 예로써, 도 3a를 참조하면, 각각의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전극의 전압 Vp, Vt 및 Vc를 아래 [표 1]의 예시에서와 같이, 착색 모드에서는 Vp<Vc 일 때, Vc<Vt, Vp<Vt 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영동 셀(30)에서는 전기장이 아래 방향으로, 전기변색 셀(40)에서는 전기장이 위 방향이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기장에 의하여 전기변색 셀(40)에서는 전자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환원반응이 진행되어 음전하를 가지고, 제1 기재(10)의 표면에는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양전하를 가진다. 이 경우 전기변색층(3)의 하부에 Ti, Cu, Nb Mo, Ta, W 등의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이 적층되고, 전기변색층(3)의 상부에 V, Cr, Mn, Fe, Co, Ni, Rh, Ir 등의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이 적층되어 전기변색부가 전기장에 의해 착색 모드로 전환된다.
아래 표 1에 따른 일 예에서와 같이, Vc>Vp일 때, 상기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제3 기재(12)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제2 기재(11)의 표면에 위치하여,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기영동 셀(30)에서는 음전하의 백색 전기영동입자(35)가 위로 이동하고, 양전하의 흑색 전기영동입자(35)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백색을 표현하게 되고 따라서 외광의 반사량이 많아지게 한다. 반사되는 빛들은 전기변색층의 착색효과에 의해 흑색, 백색 이외에도 착색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Vc>Vt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전기변색 셀(40)에서는 전기장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자가 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에는 환원반응, 하부에는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상기의 구성처럼 전기변색 셀(40)의 상부에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을 적층하거나, 하부에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을 적층한 구조에서는 전기변색층이 투명 모드로 전환된다. 투명 모드인 화소에서는, Vp<Vt인 경우에는 전기장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고, 음전하의 백색 전기영동입자(35)가 전기영동 셀(30)의 상부(제2 기재의 표면)로 이동하게 되어 백색이 구현되고, Vp>Vt인 경우에는 전기장이 위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전하의 흑색 전기영동입자(35)가 전기영동 셀(30)의 상부(제2 기재의 표면)로 이동하게 되어 흑색이 구현된다.
전압/색상 Color White Black
Vc 1
Vt 2 0 -2
Vp -1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1)의 전압구동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 예로써, 도 3b를 참조하면, 각각의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전극의 전압 Vp, Vt 및 Vc를 아래 [표 2]의 예시에서와 같이, 착색 모드에서는 Vc>Vt, Vp>Vt 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영동 셀(30)에서는 전기장이 위 방향으로, 전기변색 셀(40)에서는 전기장이 아래 방향이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기장에 의하여 전기변색 셀(40)에서는 전자가 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기변색 셀(40)의 하부에는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양전하를 가지고, 상부에는 환원반응이 진행되어 음전하를 가진다. 이 경우 전기변색층(3)의 하부에 V, Cr, Mn, Fe, Co, Ni, Rh, Ir 등의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이 적층되고, 전기변색층(3)의 상부에 Ti, Cu, Nb, Mo, Ta, W 등의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이 적층되어 전기변색부가 착색 모드로 전환된다.
아래 표 2에 따른 일 예에서와 같이, Vc<Vp일 때, 상기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제3 기재(12)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제2 기재(11)의 표면에 위치하여,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기영동 셀(30)에서는 양전하의 백색 전기영동입자(35)가 위로 이동하고, 음전하의 흑색 전기영동입자(35)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백색을 표현하게 되고 따라서 외광의 반사량이 많아지게 한다. 반사되는 빛들은 전기변색층의 착색효과에 의해 흑색, 백색 이외에도 착색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Vc<Vt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전기변색 셀(40)에서는 전기장이 위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자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에는 환원반응, 상부에는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상기의 구성처 전기변색 셀(40)의 하부에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을 적층하거나, 상부에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을 적층한 구조에서는 전기변색층이 투명 모드로 전환된다. 투명 모드인 화소에서는, Vp>Vt인 경우에는 전기장이 위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전하의 백색 전기영동입자(35)가 전기영동 셀(3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백색이 구현되고, Vp<Vt인 경우에는 전기장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고, 음전하의 흑색 전기영동입자(35)가 전기영동 셀(3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흑색이 구현된다.
전압/색상 Color White Black
Vc -2
Vt -4 0 4
Vp 2
광학 적층체(1)의 전압에 의한 구동방식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흑색 및/또는 백색 전기영동입자(35)는 각각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가질 수 있으며, 흑색 전기영동입자(35)와 백색 전기영동입자(35)서로 반대되는 전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물질은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산화 또는 환원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 층을 동시에 구비하여, 별도의 펄스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아도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3종 이상의 색상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7)

  1. 전기영동 층; 및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
    상기 전기영동 층은,
    제1 기재;
    상기 제1 기재에 대향하는 제2 기재;
    상기 제1 기재 상에 형성된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영동 셀; 및
    상기 복수의 전기영동 셀 내부를 채우는 유전성 유체 및 상기 유전성 유체 내에 분산된 적어도 2종 이상의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 층은,
    상기 제2 기재;
    상기 제2 기재에 대향하는 제3 기재;
    상기 제2 기재 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 전극;
    상기 제3 기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에 전기변색물질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단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그래핀 (Grephene), 및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단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 투과성인, 광학 적층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제3 기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 투과성인, 광학 적층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입자는 흑색 전기영동입자 및 백색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는 TiO2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는 카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산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하여 착색 모드와 투명 모드로 상변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입자는 양전하 전기영동입자 및 음전하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p, 상기 단위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t로 정의될 때, 상기 Vp 및 Vt의 전압차이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양전하 전기영동입자 및 음전하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전기장에 따라 나누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p, 상기 제2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c, 상기 단위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Vt로 정의될 때,
    상기 Vt 값이 가변됨에 따라 3가지 이상의 색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Vp<Vc 일 때, Vc<Vt 인 조건에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이 착색되고,
    Vp<Vt 인 조건에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Vp>Vt 인 조건에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는 음전하를 가지며,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는 양전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 및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Vc > Vp일 때,
    상기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3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Vp > Vc 일 때, Vc > Vt 인 조건에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이 착색되고,
    Vp > Vt 인 조건에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Vp < Vt 인 조건에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1 기재의 표면에,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백색 전기영동입자는 양전하를 가지며, 상기 흑색 전기영동입자는 음전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 및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Vc < Vp일 때,
    상기 환원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3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산화착색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2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viologen, phenothiazine, polyaniline, Ti, Cu, Nb, Mo, Ta, W, V, Cr, Mn, Fe, Co, Ni, Rh 및 Ir 으로부터 선택되는 군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PCT/KR2023/003265 2022-03-30 2023-03-09 광학 적층체 WO202319133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967A KR20230140996A (ko) 2022-03-30 2022-03-30 광학 적층체
KR10-2022-0039967 202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337A1 true WO2023191337A1 (ko) 2023-10-05

Family

ID=8820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3265 WO2023191337A1 (ko) 2022-03-30 2023-03-09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0996A (ko)
WO (1) WO202319133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105A (ko) * 2008-08-12 2010-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기변색 필터가 구비된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7601A (ko) * 2009-09-09 2011-03-16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5467713A (zh) * 2016-02-03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泳显示装置、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20160082873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변색 입자,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가변 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
JP2017058553A (ja) * 2015-09-17 2017-03-23 凸版印刷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105A (ko) * 2008-08-12 2010-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기변색 필터가 구비된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7601A (ko) * 2009-09-09 2011-03-16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82873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변색 입자,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가변 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
JP2017058553A (ja) * 2015-09-17 2017-03-23 凸版印刷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CN105467713A (zh) * 2016-02-03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泳显示装置、显示设备及显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996A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27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224862C (zh) 电化学像素器件
EP1070276B1 (en) Full color reflective display with multichromatic sub-pixels
KR101437164B1 (ko) 전기영동 표시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GB2438436A (en) Electronic ink panel having three types of electrophoretic particles each responsive to a different voltage level
KR100865629B1 (ko) 표시 특성이 향상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687266B2 (en) Display device driven by electric field
EP2088461A2 (en) Liquid optical element
US869871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354914A (zh) 电润湿用疏水性电介质膜
WO2010030075A2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WO2015080385A1 (ko) 투과율 가변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147398A2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WO2011027923A1 (ko) 전기변색 필터가 구비된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1043048A (zh) 包含电激发光装置的图像显示系统及其制造方法
CN1990820A (zh) 电变色膜
WO2017217710A1 (ko) 전기변색소자
WO2023191337A1 (ko) 광학 적층체
WO2012026161A1 (ja)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100662194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62927A (ja)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WO2012064057A1 (en) Cell driven by electric fiel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4175596A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전자종이 단말기
JP2010072482A (ja)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4416197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811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