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777A1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777A1
WO2023182777A1 PCT/KR2023/003732 KR2023003732W WO2023182777A1 WO 2023182777 A1 WO2023182777 A1 WO 2023182777A1 KR 2023003732 W KR2023003732 W KR 2023003732W WO 2023182777 A1 WO2023182777 A1 WO 20231827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touch
display
electronic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37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곽상헌
홍성원
고봉준
박재형
유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929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37199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827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7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Definitions

  •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isplay, a first touch sensor disposed in an active area where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non-active area adjacent to an edg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a second touch sensor disposed in an active area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the first touch sensor, and the second touch sensor, wherein the processor includes the first touch sensor and the second touch sensor.
  • the touch area where the object is touched or approached can be confirm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first axis of the touch area and the second axis, which is an axis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axis, can be confirmed, and the length
  •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ifference.
  • 9B and 9C are schematic diagrams of how an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a touc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clude deep neural network (D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belief deep network (DB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It may be one of deep Q-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clude software structures.
  • the haptic module 179 can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mechanical stimulation (e.g., vibration or movement) or electrical stimulation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actile or kinesthetic senses.
  • the haptic module 1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a part of, for example,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 the antenna module 197 may transmit or receive signals or power to or from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antenna module 197 may include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made of a conductor or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eg, PCB).
  • the antenna module 197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can be selected Signals or power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selected antenna.
  • other components eg,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part of the antenna module 197.
  • RFIC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 the metal sheet layer 250 is made of SUS (steel use stainless) (e.g., STS (stainless steel)), Cu, Al, or metal CLAD (e.g., laminated members in which SUS and Al are alternately arranged). It can contain at least one. In some embodiments, the metal sheet layer 250 may include other alloy materials. In some embodiments, the metal sheet layer 250 may be used to help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lectronic device, shield ambient noise, and dissipate heat emitted from surrounding heat dissipating components.
  • SUS steel use stainless
  • STS stainless steel
  • metal CLAD e.g., laminated members in which SUS and Al are alternately arranged.
  • the metal sheet layer 250 may include other alloy materials. In some embodiments, the metal sheet layer 250 may be used to help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lectronic device, shield ambient noise, and dissipate heat emitted from surrounding heat dissipating components.
  • the capacitance may change due to an object close to the housing 330, so the 2-A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area 301A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n object is close to or touched in the first area 301A through the sensor 321.
  • the touch sensor may include a first touch sensor 310 and a second touch sensor 320.
  • a touch sensor may refer to a sensor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depending on the proximity or touch of an object.
  • the touch sensor may be a capacitive touch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proximity or touch of an object.
  • the second touch sensor 320 is located at the top (e.g., +Y direction in FIG. 3) and/or bottom (e.g., -Y direction in FIG. 3)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with respect to FIG. 3. can be placed in Various wiring for driving the display 200 may be disposed in the non-active area 300A on both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e.g., the +X direction and -X direction in FIG. 3). In order to avoid such wiring, the second touch sensor 320 is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where no wiring for driving the display 200 is arranged or where the wiring density for driving the display 200 is relatively low. /Or it may be placed in the non-active area 300A at the bottom.
  • the first touch sensor 310 disposed in the active area 300B may malfunction due to a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200.
  • the capacitance of the first touch sensor 310 may change depending on the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200.
  • the capacitance of the first touch sensor 310 may chang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source and gate voltages of a thin film transistor (TFT). Since this change in capacitance is not a change due to proximity or touch of an object, it may act as noise in driving the first touch sensor 310.
  • TFT thin film transistor
  • the sensitivity (or resolution) of the first touch sensor 310 may decrease, which may further intensify malfunction problems caused by the display 200 driving signal.
  • the second touch sensor 320 disposed in the non-active area 300A is not affected by the display 200 driving signal or is relatively affected compared to the first touch sensor 310 disposed in the active area 300B. They can be placed in positions that receive less. Accordingly, the capacitance of the second touch sensor 320 may not change due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display 200, or the degree of change in capacitance may b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first touch sensor 310.
  •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200 using the second touch sensor 320 has been described, but the second touch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ouch sensor 320 and the first touch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touch signal have been described. 1 It may also be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200 using a touch signal. In this case, instead of using the entire first touch sensor 310, a signal received through a part of the first touch sensor 310 adjacent to the second touch sensor 320 can be used.
  •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shape of a nearby or touched object based on the first touch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touch sensor 310 and the second touch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ouch sensor 320. can be distinguished.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200 based on the shape of a proximity or touched object.
  • the electronic device 300 can reduce the above problem by correcting the reference sensing value based on the second touch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ouch sensor 320.
  • the reference sensing value of the first touch sensor 310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second touch signal.
  • the second touch sensor 320 may be driven in a low-power mode or a normal mode. Therefore, unlike the first touch sensor 310, the second touch sensor 320 may not require a change in the reference sensing value according to the mode change.
  • the second reference sensing value 1400 which is the reference sensing value of the first touch sensor 310 newly set according to the low-power mode change, may be a reference sensing value compensated based on the second touch signal 1300.
  •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300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 display (e.g., the display 200 of FIG. 2) and an active area (active area) where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 a first touch sensor e.g., the first touch sensor 310 in FIG. 3 disposed in the active area 300B of FIG. 3, and a non-active area adjacent to the edge of the electronic device. area) (e.g., the non-active area 300A of FIG. 3) and the display, the first touch sensor, and the second touch It may include a processor (e.g., processor 120 of FIG. 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processor may receive a touch signal from the second touch sensor, and based on the touch signal, the You can control the display.
  • a processor e.g., processor 120 of FIG. 1
  • the processor may receive a touch signal from the second touch sensor, and based on the touch signal, the You can control the display.
  • the processor may compensate for the first touch signal using the second touch signal.
  • the non-active area may include a partial area of a housing (eg, housing 330 in FIG. 4) arranged to surround the display.
  • the non-active area is a blocking material (e.g., the blocking material 210-1 in FIG. 4) with low light transmittance in the window layer included in the display (e.g., the window layer 210 in FIG. 4). This may include the placed area.
  • a blocking material e.g., the blocking material 210-1 in FIG. 4
  • low light transmittance in the window layer included in the display e.g., the window layer 210 in FIG. 4
  • An area e.g., the touch area 900 in FIGS. 9B and 9C
  • the length of the first axis of the touch area e.g., the first axis 910 in FIGS. 9B and 9C
  •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e.g., the second axis 920 in FIGS. 9B and 9C, which is an axis in a different direction, can be confirmed, and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length difference.
  •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and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on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smart phones) or online.
  •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multiple entities, and some of the multiple entities may be separately placed in other components.
  •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 multipl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본 개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논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물체의 접근 또는 터치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사용자 신체의 접근 또는 터치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터치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기능의 실행, 컨텐츠의 선택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를 통해 특정 상태를 인식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황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전자 장치의 접근 여부를 터치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거나,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체의 접근 또는 터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는 초기 데이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물체의 접근 또는 터치에 따라 초기 데이터가 변화하면, 그 지점에서 물체의 접근 또는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초기 데이터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터치 센서의 기준 값을 변경해야할 수 있다. 동작 모드 변경이 수행되는 동안,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입력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잘못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에 포함되거나,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따라 오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신호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화하여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따른 오작동 문제를 줄이기 위한 터치 센서의 배치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모드 변경 과정에서 터치 상태 변화에 따른 오인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터치 또는 근접이 발생한 터치 영역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영역의 제1 축의 길이와 및 상기 제1 축과 다른 방향의 축인 제2 축의 길이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길이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되는 물체의 형상을 구분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동 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터치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물체의 근접 및 터치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절개한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연결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온(on) 상태에서 터치 센서에서 인식하는 센싱 값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오프(off) 상태에서 터치 센서에서 인식하는 센싱 값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로 전송되는 센싱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특정 물체의형상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b 및 도 9c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를 이용한 기준 센싱 값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의 디스플레이는, 도 1에 설명된 디스플레이 모듈(16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00)는 UB(unbreakable) type OLED 디스플레이(예: curved display) 패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200)는 OCTA(on cell touch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방식의 flat type 디스플레이 패널(2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0)는, 윈도우층(210), 윈도우층(210)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편광층(220)(POL(polarizer))(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230), 폴리머층(240) 및 금속 시트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30)은 폴리머층(240)과 금속 시트층(250) 사이 또는 금속 시트층(250)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 패널(2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210)은 글래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210)은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윈도우층(210)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층(2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윈도우층(210)은 글래스층과 폴리머를 포함하도록 복수의 층들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210), 편광층(220), 디스플레이 패널(230), 폴리머층(240) 및 금속 시트층(250)는 점착제(P1, P2, P3, P4)(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P1, P2, P3, P4)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30)은 복수의 픽셀들 및 배선 구조(예: 전극 패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층(220)은 디스플레이 패널(230)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30)과 편광층(22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30)은 터치 패널(미도시 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층(240)은 디스플레이 패널(230) 아래에 배치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230)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어두운 배경을 제공하고, 완충 작용을 위한 완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의 방수를 위하여, 폴리머층(240)은 제거되거나, 금속 시트층(25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시트층(250)은 SUS(steel use stainless)(예: STS(stainless steel)), Cu, Al 또는 금속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층(250)은 기타 다른 합금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층(250)은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0)는 금속 시트층(250) 아래에 배치되고, 전자 펜(예: 스타일러스)의 입력을 수용받는 검출 부재로써, 디지타이저 패널(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타이저 패널(260)는, 전자 펜으로부터 인가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유전체 기판상에 배치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0)는 폴리머층(240)과 금속 시트층(250) 사이, 또는 금속 시트층(250)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 디스플레이(200)의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센서,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또는 도전/비도전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OCTA(on cell touch AMOLE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30)에 터치 센서를 직접 증착시키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2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가 배치된 별도의 레이어를 디스플레이(200)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2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층(210) 또는 편광층(220) 위에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레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30)로부터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유연 인쇄 회로 기판(2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 인쇄 회로 기판(231)은 디스플레이 패널(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연 인쇄 회로 기판(231)은 DDI(display driver IC) 또는 TDDI(touch display dir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연 인쇄 회로 기판(231)에 DDI(232)가 배치되는 COF(chip on film)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30)의 일부에 DDI(232)가 배치되는 COP(chip on panel 또는 chip on plastic)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 인쇄 회로 기판(231)에는 디스플레이(200)의 구동과 관련된 다양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용 플래시 메모리, ESD 방지용 다이오드, 압력 센서 및/또는 decap과 같은 수동 소자가 유연 인쇄 회로 기판(23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절개한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0)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0)에 포함된 복수의 레이어들은 예를 들어, 윈도우층(210), 접착제(P1), 편광층(220)(POL(polarizer))(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230), 폴리머층(240) 및 금속 시트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2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를 전면(예: 도 4의 +Z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전자 장치(300)의 전면 영역을 액티브 영역(300B)(active area)과 논 액티브 영역(300A)(non-active are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300B)은 디스플레이(200)에 의해 시각적인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300B)에는 디스플레이(200)에 포함된 발광 소자 중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발광 소자(예: OLED)가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300B)에 포함된 발광 소자는 디스플레이(200)에 포함된 TFT(thin film transistor)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아 발광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300B)에는 제1 터치 센서(3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액티브 영역(300B)을 제외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액티브 영역(300B)의 주변에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전자 장치(300)의 엣지(edge)를 따라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시각적인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전자 장치(300)의 베젤(bezel)로 호칭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세부적으로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 발광하지 않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 액티브 영역(300A)에는 제2 터치 센서(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센서(320)는, 제2-A 터치 센서(321), 제2-B 터치 센서(322) 및 제2-C 터치 센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은, 디스플레이(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330)의 일부 영역인 제1 영역(301A)과, 디스플레이(200)의 윈도우층(210)에서 빛에 대한 투과율이 낮은 차단 물질(210-1)이 배치된 영역인 제2 영역(30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01A)에는 제2-A 터치 센서(32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302A)에는 제2-B 터치 센서(3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301A)에 배치되는 제2-A 터치 센서(321)는 하우징(3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A 터치 센서(321)가 하우징(330) 내부에 배치되더라도 하우징(330)에 근접하는 물체에 의해 정전 용량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1 영역(301A)에 배치된 제2-A 터치 센서(321)를 통해 제1 영역(301A)에서의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 발광하지 않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은, 논 액티브 영역(300A)에서 액티브 영역(300B)과 가장 인접한 영역인 제3 영역(303A)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0)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2 영역(302A)과 제3 영역(303A)은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영역(303A)에는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영역(303A)에는 제2-C 터치 센서(323)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논 액티브 영역(300A)은 제1 영역(301A), 제2 영역(302A) 및 제3 영역(303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된다는 것은, 그 구성 요소가 제1 영역(301A), 제2 영역(302A) 및 제3 영역(303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는 제1 터치 센서(310)와 제2 터치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센서(310)는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제2 터치 센서(320)는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 센서(320)는 논 액티브 영역(300A)인 제1 영역(301A), 제2 영역(302A) 및 제3 영역(303A)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터치 센서(321, 322, 32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센서(310)와 제2 터치 센서(3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류의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어떤 실시에에서는, 제1 터치 센서(310)와 제2 터치 센서(320)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는 다른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터치 센서(320)는 도 3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300)의 상단(예: 도 3의 +Y 방향) 및/또는 하단(예: 도 3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양측(예: 도 3의 +X 방향 및 -X 방향)의 논 액티브 영역(300A)에는 디스플레이(200) 구동을 위한 다양한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2 터치 센서(320)는 디스플레이(200) 구동을 위한 배선이 배치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200) 구동을 위한 배선의 배치 밀도가 낮은 전자 장치(30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서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된 제1 터치 센서(310)는 디스플레이(200) 구동을 위한 신호에 의해 오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 구동을 위한 신호에 의해 제1 터치 센서(310)의 정전 용량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의 소스, 게이트 전압 인가에 따라 제1 터치 센서(310)의 정전 용량이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 변화는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변화가 아니므로 제1 터치 센서(310)의 구동에 노이즈(noise)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제1 터치 센서(310)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 센서(310)의 민감도(또는 해상도)가 줄어들어 디스플레이(200) 구동 신호에 따른 오동작 문제가 더 심화될 수 있다.
반면,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된 제2 터치 센서(320)는 디스플레이(200) 구동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된 제1 터치 센서(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 센서(320)는 디스플레이(200) 구동 신호에 의해 정전 용량이 변화되지 않거나, 제1 터치 센서(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전 용량의 변화 정도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200) 구동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제2 터치 센서(320)를 이용하므로, 디스플레이(200) 구동에 따른 터치 인식 오류와 같은 오작동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사용된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연결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를 제어하는 터치 회로(예: TDDI(touch display driv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센서(310)와 터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510)은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에예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터치 센서(320)와 터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520)은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동 배선(예: source line, gate line)과 연결 배선(500)이 중첩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00)의 구동 신호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배선(520)을 디스플레이(200)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구동 배선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보호 채널(guarding channel)을 추가하여 노이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연결 배선(510)이 액티브 영역(300B)에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터치 센서(320)는 전자 장치(300)의 상단에 배치되되, 전자 장치(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에 배치된 제2-1 터치 센서(320-1)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에 배치된 제2-2 터치 센서(3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센서의 개수 및/또는 배치 "눰袖* 제한되지 않는다. 제2-1 터치 센서(320-1) 및 제2-2 터치 센서(320-2)는, 적어도 일부가 액티브 영역(300B)를 지나가는 제2 연결 배선(520)에 의해 터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터치 센서(320-1)는 제1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액티브 영역(300B)을 지나가는 제2-1 연결 배선(521)에 의해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2 터치 센서(320-2)는 제2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액티브 영역(300B)을 지나가는 제2-2 연결 배선(522)에 의해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1 터치 센서(320-1)와 제2-2 터치 센서(320-2)는 하나의 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터치 센서(320-1)와 제2-2 터치 센서(320-2)는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된 제2 연결 배선(520)을 통해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터치 센서(320-1)와 제2-2 터치 센서(320-2)는 제1 방향(예: 도 5a의 -X 방향) 또는 제2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의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된 제2 연결 배선(520)을 통해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1 터치 센서(320-1)와 제2-2 터치 센서(320-2)는 두 개의 채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터치 센서(320-1)는 제1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에 위치한 논 액티브 영역(300A)을 지나가는 제2-1 연결 배선(521)에 의해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2 터치 센서(320-2)는 제2 방향(예: 도 5a의 +X 방향)에 위치한 논 액티브 영역(300A)을 지나가는 제2-2 연결 배선(522)에 의해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센서(320)와 터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520)은, 논 액티브 영역(300A) 및 액티브 영역(300B)을 모두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제2 터치 센서(320)가 전자 장치(300)의 상단(예: 도 5a 내지 도 5c의 +Y 방향)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터치 센서(320)는 전자 장치(300)의 하단(예: 도 5a 내지 도 5c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센서(320)는 전자 장치(30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온(on) 상태에서 터치 센서에서 인식하는 센싱 값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오프(off) 상태에서 터치 센서에서 인식하는 센싱 값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터치 센서에서 인식되는 정전 용량을 표현한 도면이다. 음영의 진함 정도는, 그 부분에서 인식되는 정전 용량의 상대적인 세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이 진한 부분은 음영이 옅은 부분에 비하여 그 부분에서 인식되는 정전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된 터치 센서인 제1 터치 센서(310)는 디스플레이(200)의 구동 신호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화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0)의 온(on)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예: 기준 정전 용량)과, 디스플레이(200)의 오프(off)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센서(310)의 위치마다 기준 센싱 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센싱 값이란,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없는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에 인식되는 정전 용량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 센싱 값을 기억하고, 이 기준 센싱 값을 기준으로 정전 용량의 변화가 존재할 때 그 부분에서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수행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의 A 지점을 확인하면, 동일한 지점이지만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기준 센싱 값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기준 센싱 값이 변하므로 디스플레이(20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거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 기준 센싱 값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터치 센서(310)와 다르게, 제2 터치 센서(320)는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기준 센싱 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터치 센서(320)는 디스플레이(200) 구동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기준 센싱 값의 차이가 제1 터치 센서(310)에 비해 크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의 B 지점을 확인하면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기준 센싱 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로 전송되는 센싱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싱 파형(700)을 터치 센서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의 구동에 따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200)의 화면 전환 간에 센싱 파형(700)을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설계된 주사율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인 경우, 디스플레이(200)는 화면이 1초에 60번 전환될 수 있다. 화면 전환 사이에 디스플레이(200)의 구동이 중단되는 부분에 센싱 파형(700)을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200)의 구동에 따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파형(700)은 디스플레이(200) 구동 신호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200) 구동이 끝나는 부분(701)과 디스플레이(200) 구동이 시작되는 부분(702)을 고려하여 대기하는 파형(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대기 파형(710) 사이에는 실제로 터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파형(720)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파형(700)은 제1 터치 센서(310)의 동작을 위한 파형과 제2 터치 센서(320)의 동작을 위한 별도의 파형(7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에에서, 터치 센서에 전송되는 센싱 파형(700)에는 제2 터치 센서(320)를 위한 별도의 파형(721)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센서(320)를 위한 별도의 파형(721)은, 제1 터치 센서(310)를 위한 파형과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310)를 위한 파형 이후 제2 터치 센서를 위한 파형(721)이 전송될 수 있고, 제1 터치 센서(310)를 위한 파형 사이에 제2 터치 센서를 위한 파형(721)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의 1프레임(frame)(750)은 약 16.67ms의 시간일 수 있고, 1프레임(750)은 디스플레이(200)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신호(740)와 터치 센서를 구동하는 터치 신호(7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신호(700)는 센싱 파형(700)으로 구성될 수 있고, 터치 신호(700)에 포함된 각 대기 파형(710)가 전송되는 시간은 약 100us일 수 있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터치 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센서(320)를 수신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200)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거나, 시각적 UI(user interface)를 변경할 수 있다(예: 상단 퀵패널의 표시 및 미표시). 이 밖에도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는, 디스플레이(200)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디스플레이(200)의 오프 상태는, 디스플레이(200)에 시각적인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00)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 유무와는 무관하게 디스플레이(200)의 시각적 표시 유무 상태만을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0)가 오프 상태인 경우라도 전자 장치(300)는 전원이 켜진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 또는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통화를 위하여 전자 장치(300)를 귀 부분에 인접하게 파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상단에 배치된 제2 터치 센서(320)로부터 제2 터치 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전자 장치(300)의 리시버가 배치된 상단이 귀 부분에 인접하거나 귀 부분에 닿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전력 소모 절감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신호가 제1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2를 참조하면, 제2 터치 신호가 제1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801을 참조하면, 제2 터치 신호가 제1 특정 강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00)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동작 801을 반복할 수 있다. 제1 특정 강도는, 사용자의 신체와 제2 터치 센서(320)가 일정 수준 이상 근접하거나 터치된 경우에 제2 터치 센서(320)에서 인식되는 신호 강도(또는 정전 용량 변화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신호가 제2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4를 참조하면, 제2 터치 신호가 제2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803을 참조하면, 제2 터치 신호가 제2 특정 신호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803을 반복할 수 있다. 제2 특정 강도는, 사용자의 신체와 제2 터치 센서(320)가 일정 수준 이상 멀어진 경우에 제2 터치 센서(320)에서 인식되는 신호 강도(또는 정전 용량 변화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서, 제2 터치 센서(320)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터치 센서의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일반적인 터치 센서의 동작(이하 '일반 모드'라 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를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일반 모드에 비해 정전 용량 변화의 정도를 덜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센싱 값 대비 정전 용량이 변하는 정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저전력 모드에서는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터치 센서(3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수신한 제2 터치 신호와 제1 터치 신호를 통해 수신한 제1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터치 센서(310) 전부를 사용하지 않고, 제2 터치 센서(320)와 인접한 제1 터치 센서(310)의 일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제2 터치 센서(320)와 인접한 제1 터치 센서(310)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고, 제2 터치 센서(320)와 이격된 제1 터치 센서(310)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특정 물체의형상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b 및 도 9c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모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센서(310)를 통해 수신한 제1 터치 신호와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수신한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의 형상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신호와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영역(900)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영역(900)은, 기준 센싱 값 이상의 터치 신호가 인식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터치 영역(900)의 제1 축(910)과 제2 축(920)의 길이 차이가 특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특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서로 다른 물체가 근접 또는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영역(900)의 제1 축(910)과 제2 축(920)의 길이 차이가 특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를 손가락인 것으로 판단하고,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영역(900)의 제1 축(910)과 제2 축(920)의 길이 차이가 특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를 사용자의 귀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축(910)과 제2 축(920)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910)은, 터치 영역(910)에서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축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축(920)은 제1 축(910)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갖는 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의 형상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신호와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영역(900)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902에서, 프로세서는 터치 영역(900)의 제1 축(910)과 제2 축(920)의 차이가 특정 수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터치 영역(900)의 제1 축(910)과 제2 축(920)의 차이가 특정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예: 도 9b),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를 손가락으로 판단하고, 동작 903으로 분기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손가락이 근접 또는 터치된 상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응시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200)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터치 영역(900)의 제1 축(910)과 제2 축(920)의 차이가 특정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예: 도 9c),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를 귀로 판단하고, 동작 904로 분기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귀가 근접 또는 터치된 상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응시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센서(310)와 제2 터치 센서(320)를 이용하여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의 형상을 확인하고, 그에 기반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된 제2 터치 센서(320)와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된 제1 터치 센서(310)를 이용하여 근접 또는 터치된 물체의 형상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를 이용한 기준 센싱 값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수신한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제1 터치 센서(310)로부터 수신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compensa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신호의 보상 동작은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보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센싱 값은, 정전 용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 정전 용량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 센싱 값은 베이스 라인(baseline)으로써, 정전 용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 값일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310)를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제1 터치 센서(310)의 구동 전위가 변경되므로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기준 센싱 값이 변경되는 동안,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이루어지면 물체의 근접이나 터치를 제대로 센싱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에서 인식되는 현재 센싱 값을 기준 센싱 값으로 설정하여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기준 센싱 값과 현재 센싱 값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오인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유지된 것으로 보고 현재 센싱 값에 추가적인 값을 보상하여 기준 센싱 값을 설정하는 경우, 기준 센싱 값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의 존재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수신한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기준 센싱 값을 보정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센서(320)는 저전력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 센서(320)는 제1 터치 센서(310)와 다르게 모드 변경에 따른 기준 센싱 값 변경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준 센싱 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는 현재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에 따른 신호이므로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은 현재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터치 센서(31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기준 센싱 값을 변경하더라도,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 유무가 오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센서(320)와 제1 터치 센서(310)의 상대 거리, 제2 터치 센서(3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터치 신호의 강도를 고려하여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되는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전환하더라도 제2 터치 센서(320)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터치 센서(31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되더라도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 해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프로세서는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센서(310) 및/또는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프로세서는, 동작 1002에서, 디스플레이(20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제1 터치 센서(31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 1001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1001을 반복하는 것은,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를 지속적 또는 일정 주기로 감지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센서(31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004를 참조하면, 제1 터치 센서(31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가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00)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005를 참조하면, 제1 터치 센서(31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서가 제2 터치 센서(320)를 통해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보상할 수 있다. 동작 1006에서, 프로세서는 제1 터치 센서(310)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가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 1007으로 분기하여 디스플레이(200)를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동작 1006을 반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 동작들과 함께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의 변화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b의 1010은, 물체(예: 사용자)(1600)와 전자 장치(300)의 근접 또는 터치가 없는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의 제1 기준 센싱 값(1200)과 제2 터치 센서(320)의 제2 터치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기준 센싱 값(1200)은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가 없을 때, 제1 터치 센서(310)의 정전 용량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도 10b의 1020은, 물체(1600)가 전자 장치(200)에 근접 또는 터치된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의 제1 터치 신호(1210)과 제2 터치 센서(320)의 제2 터치 신호(1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하는 경우, 10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준 센싱 값(1200)과 상이한 제1 터치 신호(1210)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터치 센서(310)를 저전력 모드로 변경하면 구동 전위가 변경되므로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10b의 1030은, 제1 터치 센서(310)을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며 기준 센싱 값을 다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30을 참조하면, 저전력 모드 변경에 따라 새롭게 설정된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인 제2 기준 센싱 값(1400)은 제2 터치 신호(1300)에 기반하여 보상된 기준 센싱 값일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에 따라 제2 터치 센서(320)에서 획득한 제2 터치 신호(1300)도 변화할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1300)의 센싱 값이 높은 지점은,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해 정전 용량이 변화한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 센싱 값은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터치 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되어야 할 수 있다. 그런데, 저전력 모드 변경에 따라 제1 터치 센서(310)의 기준 센싱 값을 변경함에 있어서,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에 따라 인식된 제1 터치 신호(1210)를 기준으로 기준 센싱 값을 설정하면 물체(1600)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정전 용량 변화가 새롭게 설정되는 기준 센싱 값에 함께 반영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1300)를 고려하지 않은 제3 기준 센싱 값(1500)과 제2 터치 신호(1300)를 통해 보상된 제2 기준 센싱 값(1400)을 비교하면, 제2 터치 신호(1300)에서 센싱 값이 높은 지점에서 제2 기준 센싱 값(1400)이 제3 기준 센싱 값(1500)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1300)에서 센싱 값이 높은 지점은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정전 용량 변화이므로 그 만큼을 보상하여 제2 기준 센싱 값(1400)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설정된 기준 센싱 값(예: 제2 기준 센싱 값(1400))에 의한 오인식 문제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 신호(1300)를 이용하여 기준 센싱 값을 보상하지 않는 경우, 제1 터치 센서(310)는 물체(1600)가 근접 또는 터치된 상태에 기반하여 기준 센싱 값을 제3 기준 센싱 값(15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터치 신호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어, 물체(1600)가 근접 또는 터치된 상태를 오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제2 터치 신호(1300)에 기반하여 보상된 제2 기준 센싱 값(1400)을 기준으로 물체의 근접 또는 터치가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이 해소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0)),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예: 도 3의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예: 도 3의 제1 터치 센서(310)),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예: 도 3의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예: 도 3의 제2 터치 센서(3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제1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제2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터치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보상(compensate)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인접한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일부로부터 수신한 인접 터치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터치된 물체의 형상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인접한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일부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윈도우층(예: 도 4의 윈도우층(210))에서 빛에 대한 투과율이 낮은 차단 물질(예: 도 4의 차단 물질(210-1))이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예: 도 4의 하우징(33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논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 배선(예: 도 3의 연결 배선(510))을 통해 상기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2-1 터치 센서(예: 도 5c의 제2-1 터치 센서(320-1))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2 터치 센서(예: 도 5c의 제2-2 터치 센서(32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1 터치 센서를 상기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1 연결 배선(예: 도 5c의 제2-1 연결 배선(521))과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2 터치 센서를 상기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2 연결 배선(예: 도 5c의 제2-2 연결 배선(5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0)),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 (예: 도 3의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예: 도 3의 제1 터치 센서(310)),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예: 도 3의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예: 도 3의 제2 터치 센서(3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한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을 위한 기준 값에 해당하는 기준 센싱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제2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물체의 근접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체의 근접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할 수 있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체의 근접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윈도우층(예: 도 4의 윈도우층(210))에서 빛에 대한 투과율이 낮은 차단 물질(예: 도 4의 차단 물질(210-1))이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예: 도 4의 하우징(33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0)),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 (예: 도 3의 액티브 영역(300B))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예: 도 3의 제1 터치 센서(310)),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예: 도 3의 논 액티브 영역(300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예: 도 3의 제2 터치 센서(3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터치 또는 근접이 발생한 터치 영역(예: 도 9b 및 도 9c의 터치 영역(900))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영역의 제1 축(예: 도 9b 및 도 9c의 제1 축(910))의 길이와 및 상기 제1 축과 다른 방향의 축인 제2 축(예: 도 9b 및 도 9c의 제2 축(920))의 길이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길이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길이 차이가 특정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길이 차이가 특정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는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엣지(edge)에 인접한 논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제1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제2 특정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상태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터치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compensate)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인접한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일부로부터 수신한 인접 터치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터치된 물체의 형상을 구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인접한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일부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윈도우 층에서 빛에 대한 투과율이 낮은 차단 물질이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논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 배선을 통해 상기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2-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2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1 터치 센서를 상기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1 연결 배선과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2 터치 센서를 상기 터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2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로부터 제2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물체의 근접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체의 근접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터치 신호를 보상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체의 근접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PCT/KR2023/003732 2022-03-21 2023-03-21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827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5016 2022-03-21
KR10-2022-0035016 2022-03-21
KR1020220049291A KR20230137199A (ko) 2022-03-21 2022-04-21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49291 2022-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777A1 true WO2023182777A1 (ko) 2023-09-28

Family

ID=8810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3732 WO2023182777A1 (ko) 2022-03-21 2023-03-21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8277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666A (ko)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40099004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11866B1 (ko) * 2009-06-25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스에 장착된 터치 센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6554A (ko) * 2015-08-03 2017-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KR20190013339A (ko) * 2017-08-01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866B1 (ko) * 2009-06-25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스에 장착된 터치 센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8666A (ko)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40099004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16554A (ko) * 2015-08-03 2017-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KR20190013339A (ko) * 2017-08-01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39376A1 (ko)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25464A1 (ko)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0965A1 (ko) 전자 장치
WO2022045767A1 (ko) 광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730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182777A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412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001A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플래시 제어 방법
WO2022203194A1 (ko)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기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15947A1 (ko) Esd 현상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75395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손상을 감지하는 방법
WO2022119320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19361A1 (ko) 디지타이저 분리 구조를 갖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및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터치 구동 방법
WO2023096415A1 (ko)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근접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0800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098129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65814A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31264A1 (ko) 압전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101704A1 (ko)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2220511A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54317A1 (ko) 카메라 모듈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9153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케이스 장치
WO2022108174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69250A1 (ko) 열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20574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752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