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8268A1 -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8268A1
WO2023158268A1 PCT/KR2023/002348 KR2023002348W WO2023158268A1 WO 2023158268 A1 WO2023158268 A1 WO 2023158268A1 KR 2023002348 W KR2023002348 W KR 2023002348W WO 2023158268 A1 WO2023158268 A1 WO 20231582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oise level
microphone
electronic device
leve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23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선미
김상은
문한길
방경호
백순호
양재모
차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601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25700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582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82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0Pitch determination of speech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Definitions

  •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refers to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allows electronic devices to connect to each other and exchange data or information.
  •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a Bluetooth legacy (or classic) network technology or a Bluetooth low energy (BLE) network, and may include various connection types such as piconet and scatternet. It can have a topology.
  • Electronic devices can share data with each other with low power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onnected using such Bluetooth technology, and audio data for contents executed in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process the audio data and output the audio data to the user.
  •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Recently, wireless earphones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een widely used.
  • wireless earphones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widely used.
  •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selectively using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microphones according to whether the external noise level is low or high, and a microphone and sensor control method based on the external noise level.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icrophone and sensor control operation based on external nois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dentifying a noise level using a sound signal acquired by at least one of microphones and a sound signal acquired by a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input module 150 may receive a command or data to be used by a component (eg, the processor 120)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a user).
  • the input module 1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a keyboard, a key (eg, a button), or a digital pen (eg, a stylus pe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various requirements defined for the electronic device 101,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a network system (eg, the second network 19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be used to realize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for realizing 1eMBB,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mMTC, or U-plane latency (for realizing URLLC).
  •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 U-plane latency for realizing URLLC
  • the processor 320 transmits the first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eamforming method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351 to the third microphone 353 and the sensor based on the third clock number.
  • Audio data obtained by processing the second sound signal acquired through all axes (eg, 3 axes or 6 axes) of 360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80 .
  •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of FIG. 1 , the electronic device 202a of FIG. 2 , or the electronic device 202b of FIG. 2
  • a sensor eg, the sensor 360 of FIG. 3
  • microphones eg, 350 in FIG. 3
  • processor eg, processor 320 in FIG.
  • the method controls a processing clock of the processor to a first clock frequency range when the identified noise level is the first noise level, and when the identified noise level is the second noise level. Controlling the processing clock of the processor to a second clock frequency range, and controlling the processing clock of the processor to a third clock frequency range when the identified noise level is the third noise level,
  • the first clock frequency range may be less than the second clock frequency range
  • the second clock frequency range may be less than the third clock frequency range.
  • the difference in color (or brightness) on the graph 1020 may indicate a difference in the size (eg, dB) of the sound signal.
  • the brighter the brightness the greater the sound signal, which may mean a period including voice.
  • the processor 320 may include a first non-speech section (eg, noise section) other than the section (eg, speech section) 1012 including a voice in the sound signal acquired by at least one of the microphones 3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 마이크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전자 장치들이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레거시(legacy)(또는 클래식(classic)) 네트워크 기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코넷(piconet), 스캐터넷(scatternet)과 같은 다양한 연결 형태의 토폴로지(topology)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들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상호 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무선 통신 기기들을 연결하고,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 무선 통신 기기로 전송하여 외부 무선 통신 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최근에는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이어폰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이어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마이크들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TWS(true wireless stereo) 기반의 무선 이어폰과 같은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이어폰에 포함된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예: 음성 외의 주변 노이즈)을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이어폰은 외부 소음을 제거한 양질의 음성을 획득하기 위해 복수의 마이크들을 이용한 빔포밍 신호처리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이어폰에서 마이크 개수가 많이 사용될수록 음성 신호 처리량이 많고 전력 소모가 클 수 있으며, 마이크들 외에 외부 소음 제거를 위한 다른 모듈이나 구성 요소(예: 센서)가 추가되는 경우에도 추가된 모듈 또는 구성 요소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증가할 수 있어서 전자 장치 내에서 배터리의 전력 사용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소음 레벨이 낮은지 또는 높은지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소음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복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 제거를 위한 센서의 동작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소음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 마이크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같은 전자 장치는 외부 소음 레벨이 낮은지 또는 높은지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이어폰과 같은 전자 장치는 외부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복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 제거를 위한 센서의 동작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VPU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3축들 각각에 대응하여 센싱된 신호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VPU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3축들 각각에 대응하여 센싱된 신호들로부터 획득되는 음성 신호와 연관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 및 제2 소음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 및 배터리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과 제3 소음 레벨 및 배터리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에 따른 알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1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202)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2)(예: 도 1의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이하 '외부 전자 장치' 라고도 함)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2)는 페어(pair)로 구성되는 이어폰들, 헤드 셋, 또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2)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제1 전자 장치(202a) 및 사용자의 좌측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제2 전자 장치(202b)의 한 쌍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202a) 및 제2 전자 장치(202b)는 각각 무선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왼쪽용 이어폰 및 오른쪽용 이어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2)는, TWS(true wireless stereo) 기반의 무선 이어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 및 제2 전자 장치(202b) 각각은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신 링크(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2a) 및 제2 전자 장치(202b) 각각은 통신 링크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사운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 및 제2 전자 장치(202b) 각각은 외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운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사운드(예컨대, 오디오, 음악, 주변 소리, 알림음, 또는 전화음)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2a) 및 제2 전자 장치(202b)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사운드(예컨대, 사용자의 음성 또는 주변 소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 및 제2 전자 장치(202b) 각각은 외부 전자 장치(101)를 통한 통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에 대하여 외부 소음(음성 사운드 외의 노이즈 및/또는 반향(reverberation)) 제거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외부 소음이 제거된 음성 사운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202a))는 제1방향의 이어폰(예컨대, 왼쪽 귀에 착용되는 이어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2a)는 제2 전자 장치(202b)(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2b)) 즉, 제2 방향의 이어폰(예컨대, 오른쪽 귀에 착용되는 이어폰)과 쌍(pair)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전자 장치(202a)의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전자 장치(202a)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제2 전자 장치(202b)에도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또는 제2 전자 장치(202b))는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입력 모듈(340), 마이크들(350), 센서(360), 스피커(370), 통신 모듈(380), 전력 관리 모듈(390), 및/또는 배터리(39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 입력 모듈(340), 마이크들(350), 센서(360), 스피커(370), 통신 모듈(380), 및/또는 전력 관리 모듈(390)과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전자 장치(202a)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40)은 제1 전자 장치(202a)의 운용(또는 동작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40)은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드가 제공되는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택타일 레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및/또는 광학식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4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3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은 통화 상태 진입, 통화 상태 종료, 볼륨 조절 및/또는 음소거의 기능과 연관된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들(350)은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제3 마이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제3 마이크(353)는 온(예: 활성화 또는 동작) 상태에서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마이크(351) 또는 inner mic)는 제1 전자 장치(202a)가 귀에 삽입되었을 때 귀의 안쪽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마이크들(예: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은 제1 전자 장치(202a)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상태에서, 귀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이크(351) 또는 inner mic)는 다른 마이크들(예: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보다 귀 바깥쪽 보다 귀 안쪽에서의 사운드 신호 획득이 용이할 수 있으며, 귀 외부 소음보다는 귀 내부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제3 마이크(353) 각각은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의해 각각 온(예: 활성화 또는 동작) 또는 오프(예: 비활성화 또는 미동작)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전자 장치(202a)가 3개의 마이크들(350)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들의 개수는 복수 개로서 2개이거나 3개 초과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360)는 주변 환경의 변화량(예: 진동, 움직임 및/또는 사운드)을 계측 또는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360)는 VPU(voice pick up)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PU 센서(360)는 복수 축 가속도 센서(예: 3축 가속도 센서, 6축 가속도 센서 또는 이외 다른 복수 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축 별로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예: 진동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 또는 사운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음성이 발화될 때 사용자의 성대의 진동이 복수 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음성 신호와 관련된 복수의 사운드 중 적어도 일부의 신호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축 가속도 센서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복수의 축들 중 적어도 일부 축이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동작(예: 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370)는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380)은 외부 전자 장치(101)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2b)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380)은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신을 통해 통화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IrDA,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390)은 제1 전자 장치(202a) 내에서 배터리(398)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90)은 프로세서(320)로부터 처리해야 하는 부하(load)에 맞추어 제공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프로세서(320)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정하거나 프로세서(320) 외에 각 부품(예: 메모리, 통신 모듈, 입력 모듈, 및/또는 센서)들에 제공되는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390)은 배터리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90)은 외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398)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 진입에 기반하여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1 사운드 신호'라고도 함)와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2 사운드 신호'라고도 함)를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각각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로서 통화중인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 신호와 주변 소음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사운드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음성이 발화될 때 사용자의 성대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사운드 신호와 제2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SNR(signal to noise ratio) 값을 식별(계산, 결정, 판단, 또는 확인)하고 식별된 SNR 값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결정, 판단,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두 개 이상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 레벨은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및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로 식별되거나,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로 식별되거나,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 제4 소음 레벨(예: 고 소음 환경)로 식별되거나, 이외 더 많은 소음 레벨들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SNR 값이 지정된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로 식별하고, SNR 값이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제1 임계값보다 작은 제2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로 식별하고, SNR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이고, 제2 임계값보다 작은 제3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로 식별하고, SNR 값이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4 소음 레벨(예: 고소음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 있고,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지정된 제1 외부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제1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 초과이고, 제1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보다 큰 지정된 제2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제2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 초과이고, 제2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보다 큰 지정된 제3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제3 노이즈 신호 레벨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4 소음 레벨(예: 고소음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마이크들(350)(예: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통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제어하고, 센서(360)의 복수의 축들 중 통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을 제어할 수 있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에서 제1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가 온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를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에서 제2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를 이용하되 복수의 축들 중 일부의 축만 온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가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 보다 높은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에서 제3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를 이용하되 복수의 축들 모두가 온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가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 보다 높은 제3 클럭 수(또는 제3 클럭 범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마이크들(350), 센서(360),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가 제어된 상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이 식별된 경우 제1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 식별된 경우 제2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축들 중 적어도 일부의 축(예: 제1축, 제2축 및 제3 축 중 하나 또는 두 개)을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3 소음 레벨이 식별된 경우 제3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모든 축들(예: 3축 또는 6축)을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30)는 제1 전자 장치(202a)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20), 입력 모듈(340), 마이크들(350), 센서(360), 스피커(370), 통신 모듈(380), 및/또는 전력 관리 모듈(39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30)는 제1 전자 장치(202a)(또는 프로세서(32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는 표시 장치(예: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1 전자 장치(202a)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통화 상태의 제어 또는 소음 레벨과 연관된 마이크들 또는 센서의 축들 제어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또는 외부 전자 장치(101)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은 충전 중 또는 충전 완료에 해당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02a)가 외부 전자 장치(101) 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경우,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202a)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제1 전자 장치(202a)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02a)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 요소에서 특정 구성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제1 전자 장치(202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전자 장치(202a)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제2 전자 장치(202b)에도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02b)의 설명은 제1 전자 장치(202a)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구현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도 2의 전자 장치(202a),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2b))는 센서(예: 도 3의 센서(360), 마이크들(예: 도 3의 350) 및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예: 도 3의 통신 모듈(3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상태에서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들은 제1 마이크, 제2 마이크, 및 제3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소음 레벨들은 제1 소음 레벨 및 제2 소음 레벨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 상기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 축을 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3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 미만이고,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3 클럭 주파수 범위 미만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제1 음성 구간과 제1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제2 음성 구간과 제2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상기 제2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VPU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3축들 각각에 대응하여 센싱된 신호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VPU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3축들 각각에 대응하여 센싱된 신호들로부터 획득되는 음성 신호와 연관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주파수(Hz)를 나타낼 수 있고, 세로축은 신호 레벨(또는 크기)(dB)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VPU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는 3축(예: x축, y축, z축)이 모두 이용되는 경우 x축 기반으로 센싱된 신호(410)(예: 점선)(이하 x축 신호), y축 기반으로 센싱된 신호(420)(예: 실선)(이하 y축 신호), z축 기반으로 센싱된 신호(430)(예: 일점 쇄선)(이하 z축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VPU 센서(360)의 각 축 기반으로 센싱된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음성이 발화될 때 사용자의 성대에 의한 진동(움직임)이 감지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VPU 센서(360)의 각 축의 신호들은 동일한 값을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주파수 구간들(예: 저역대, 중역대, 고역대) 별로 각 축의 신호들 중 도미넌트한 신호(예: 레벨이 큰 신호)가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대역(42)에서 각 축의 신호들 중 레벨이 가장 큰 x축 신호를 식별할 수 있고, 제2 대역(42)에서 각 축의 신호들 중 레벨이 가장 큰 y축 신호를 식별할 수 있고, 제3 대역(43)에서 각 축의 신호들 중 레벨이 가장 큰 x축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대역의 범위는 각 축의 신호들의 변화에 기반하여 얼마든지 다른 범위로 지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범위가 지정되지 않고 전체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가 선택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프로세서(320)는 대역들 각각에서 각 축의 신호들 중 레벨이 가장 큰 축 신호를 식별하고 대역들 각각에서 각 축의 신호들 중 레벨이 가장 큰 축 신호를 기반으로 음성 신호와 관련된 신호(440)(예: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도 2 또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202a), 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2b))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510 동작 내지 550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1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 (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 진입에 기반하여 마이크들(350)(예: 도 3의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52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의 축들(예: 3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2 사운드 신호)를 할 수 있다.
53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획득된 사운드 신호들(예: 제1 사운드 신호 및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각각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로서 통화중인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 신호와 주변 소음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사운드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음성이 발화될 때 사용자의 성대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사운드 신호와 제2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SNR(signal to noise ratio) 값을 식별(계산, 결정, 판단, 또는 확인)하고 식별된 SNR 값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결정, 판단,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두 개 이상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 레벨은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및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로 식별되거나,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로 식별되거나,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 제4 소음 레벨(예: 고 소음 환경)로 식별되거나, 이외 더 많은 소음 레벨들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SNR 값이 지정된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로 식별하고, SNR 값이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제1 입계값보다 작은 제2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로 식별하고, SNR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이고, 제3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로 식별하고, SNR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제3 임계값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 제4 소음 레벨(예: 고소음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 있고,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도 있다.
54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마이크들(350)(예: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통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55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센서(360)의 복수의 축들 중 통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을 제어할 수 있고, 처리 클럭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에서 제1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온(예: 활성화 또는 동작) 제어하고, 센서(360)가 온되지 않도록(예: 오프 되도록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또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를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에서 제2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를 이용하되 복수 축들 중 일부 축(예: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 중 하나 또는 두 개)을 온 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가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 보다 높은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에서 제3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를 이용하되 복수축 모두가 온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가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 보다 높은 제3 클럭 수(또는 제3 클럭 범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도 5의 동작들(510 동작 내지 550 동작)을 수행한 후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마이크들(350) 각각의 온 또는 오프, 센서(360)의 복수의 축들 각각의 온 또는 오프, 및/또는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 수가 제어된 상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제1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통해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예: 도 3의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에서 제2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예: 1축)을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3 소음 레벨에서 제3 클럭 수 기반으로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모든 축들(예: 3축 또는 6축)을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도 2의 전자 장치(202a),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2b))에서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상태에서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들은 제1 마이크, 제2 마이크, 및 제3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소음 레벨들은 제1 소음 레벨 및 제2 소음 레벨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 상기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2축 및 제3축을 오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3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 미만이고,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3 클럭 주파수 범위 미만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제1 음성 구간과 제1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제2 음성 구간과 제2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상기 제2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 및 제2 소음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도 2 또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202a), 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2b))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610 동작 내지 660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61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 진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화 상태에 대응된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이 시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다른 상태의 기능(예: 음악 재생 상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기능)을 수행하거나 아이들(idle) 상태에서 대기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62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에서 마이크들(350)(예: 도 3의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도 있다.
63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상기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결정, 판단, 또는 확인)하거나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현재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및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중 어느 소음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64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에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또는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온(예: 활성화 또는 동작) 제어하고, 센서(360)를 오프(예: 비활성화 또는 미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65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의 3축 중 일부 축(예: 하나 또는 두 개의 축)을 온 제어하고, 다른 일부 축(예: 온 제어되지 않은 나머지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센서(360)의 3축 중 제1 축을 온 제어하고 제2 축 및 제3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센서(360)의 3축 중 제1 축 및 제2 축을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3 축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360)의 축들이 3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지정된 일부의 축만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럭은 제2 클럭보다 낮은 클럭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66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제1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에서 제2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축들 중 일부 축(예: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 중 하나 또는 두 개)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도 2 또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202a), 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2b))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710 동작 내지 770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71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 진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화 상태에 대응된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이 시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다른 상태의 기능(예: 음악 재생 상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기능)을 수행하거나 아이들 상태에서 대기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72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에서 마이크들(350)(예: 도 3의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상기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결정, 판단, 또는 확인)하거나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현재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및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 중 어느 소음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74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온(예: 활성화 또는 동작) 제어하고, 센서(360)를 오프(예: 비활성화 또는 미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75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모두 온 제어하고, 센서(360)의 3축 중 일부 축을 온 제어하고, 다른 일부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센서(360)의 3축 중 일부 축(예: 하나 또는 두 개의 축)을 온 제어하고 다른 일부 축(예: 온 제어되지 않은 나머지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센서(360)의 3축 중 제1 축을 온 제어하고 제2 축 및 제3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센서(360)의 3축 중 제1 축 및 제2 축을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3 축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360)의 축들이 3개를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일부의 축만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럭은 제2 클럭보다 낮은 클럭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76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모두 온 제어하고, 센서(360)의 3축들을 모두 온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3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3 클럭 수(또는 제3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클럭은 제2 클럭보다 높은 클럭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77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제1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에서 제2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축들 중 일부 축(예: 1축, 제2축 및 제3축 중 하나 또는 두 개)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3 소음 레벨에서 제3 클럭 주파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3축들 각각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 및 배터리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81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 진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화 상태에 대응된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이 시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다른 상태의 기능(예: 음악 재생 상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기능)을 수행하거나 아이들 상태에서 대기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82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에서 마이크들(350)(예: 도 3의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도 있다.
83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상기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결정, 판단, 또는 확인)하거나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현재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및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중 어느 소음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배터리(398)(예: 도 3의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low) 배터리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배터리 레벨이 지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로우 배터리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닌 경우 850 동작으로 진행하고,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인 경우 860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연속 통화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정된 시간이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연속 통화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면서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860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도 아닌 경우 870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86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온(예: 활성화 또는 동작) 제어하고, 센서(360)를 오프(예: 비활성화 또는 미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87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의 3축 중 일부 축을 온 제어하고, 다른 일부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센서(360)의 3축 중 제1 축을 온 제어하고 제2 축 및 제3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센서(360)의 3축 중 제1 축 및 제2 축을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3 축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360)의 축들이 3개를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일부의 축만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럭은 제2 클럭보다 낮은 클럭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88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제1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제1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니고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제2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축들 중 일부 축(예: 제1 축, 제2 축, 제3 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과 제3 소음 레벨 및 배터리 레벨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91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 진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화 상태에 대응된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이 시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 다른 상태의 기능(예: 음악 재생 상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기능)을 수행하거나 아이들 상태에서 대기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92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통한 통화 상태에서 마이크들(350)(예: 도 3의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1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예: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또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이 아닌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을 식별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고 제1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제2 사운드 신호의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도 있다.
93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상기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식별(결정, 판단, 또는 확인)하거나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이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식별된 SNR 값(또는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기반으로 현재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 및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 중 어느 소음 레벨에 속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94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1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를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수(또는 제1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95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의 3축 중 일부 축(예: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 중 하나 또는 두 개)을 온 제어하고 다른 일부 축(예: 온 제어되지 않은 나머지 축)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수(또는 제2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럭은 제2 클럭보다 낮은 클럭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96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인 것에 기반하여 배터리(398)(예: 도 3의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배터리 레벨이 지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로우 배터리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인 경우 950 동작으로 진행하고,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닌 경우 970으로 진행할 수 있다.
97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이고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닌 것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온 제어하고, 센서(360)의 3축들을 온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제3 소음 레벨에서 프로세서(320)의 처리 클럭을 제3 클럭 수(또는 제3 클럭 범위)가 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클럭은 제2 클럭보다 높은 클럭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980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제1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 중 일부의 마이크(예: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2) 및 제3 마이크(353)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제3 소음 레벨이지만 로우 배터리 상태인 경우 제2 클럭 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들을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축들 중 일부 축(예: 1축, 제2축 및 제3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3 소음 레벨이고 로우 배터리 상태가 아닌 경우 제3 클럭 주파수 기반으로 제1 마이크(351) 내지 제3 마이크(353)를 통해 빔포밍 방식으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360)의 3축들 각각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와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예: 도 3의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와 센서(360)(예: 도 3의 센서(360))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래프(1010)에서 x축은 시간(t)을 나타내고 y축은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f)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그래프(1010) 상의 색상(또는 밝기)의 차이는 소음 크기(또는 레벨)(예: dB)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래프(1010) 상의 색상이 붉을수록 또는 밝기가 밝을수록 사운드 신호가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래프(1010)에서는 밝기가 밝을수록 사운드 신호가 큰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그래프(1020)에서 x축은 시간(t)을 나타내고 y축은 센서(360)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f)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그래프(1020)상의 색상(또는 밝기)의 차이는 사운드 신호의 크기(예: dB)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그래프(1020)에서는 밝기가 밝을수록 사운드 신호의 크기가 큰 구간으로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마이크들(35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1012)이 아닌 제1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1014)을 식별하고, 센서(360)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이 포함된 구간(예: speech 구간)(1022)이 아닌 제2 비음성 구간(예: noise only 구간)(1024)을 식별하고, 제1 비음성 구간(1014)의 신호 크기와 제2 비음성 구간(1024)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고 제1 비음성 구간(1014)의 신호 크기와 제2 비음성 구간(1024)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외부 노이즈 신호의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제1 비음성 구간(1014)의 신호 크기와 제2 비음성 구간(1024)의 신호 크기의 차가 지정된 제4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1 소음 레벨(예: 조용한 환경)로 식별하고, 제1 비음성 구간(1014)의 신호 크기와 제2 비음성 구간(1024)의 신호 크기의 차가 제4 임계값 초과이고 제5 임계값(제4 임계값 보다 큼) 이하인 경우 제2 소음 레벨(예: 일반 환경)로 식별하고, 제1 비음성 구간(1014)의 신호 크기와 제2 비음성 구간(1024)의 신호 크기의 차가 제5 임계값 초과이고 제6 임계값(제5 임계값 보다 큼) 이하인 경우 제3 소음 레벨(예: 소음 환경)로 식별하고, 제1 비음성 구간(1014)의 신호 크기와 제2 비음성 구간(1024)의 신호 크기의 차가 제6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4 소음 레벨(예: 고소음 환경)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에 따른 알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배터리(398)(예: 도 3의 배터리(398))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예: 배터리 레벨이 약 25% 이하)인 경우 통신 모듈(380)(예: 도 3의 통신 모듈(38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에 로우 배터리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도 2의 전자 장치(202a),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2b))로부터의 로우 배터리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60)(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전자 장치(202, 202a 또는 202b)가 로우 배터리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11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우 배터리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1110)는 현재 배터리 상태(예: 약 25%), 배터리 사용 시간의 연장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배터리 세이브 모드 사용 여부 확인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 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 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센서;
    마이크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상태에서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들은 제1 마이크, 제2 마이크, 및 제3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음 레벨들은 제1 소음 레벨 및 제2 소음 레벨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 상기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3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 미만이고,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3 클럭 주파수 범위 미만인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하나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제1 음성 구간과 제1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획득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제2 음성 구간과 제2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상기 제2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에서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상태에서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들은 제1 마이크, 제2 마이크, 및 제3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음 레벨들은 제1 소음 레벨 및 제2 소음 레벨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 상기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처리 클럭을 제3 클럭 주파수 범위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 이하이고, 상기 제2 클럭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3 클럭 주파수 범위 이하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하나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상태에서 연속 통화 상태가 아닌 경우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2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1 소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 중 일부의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오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2 소음 레벨이거나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일부 축을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다른 일부 축을 오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이 상기 제3 소음 레벨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지정된 배터리 레벨 초과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3 마이크를 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제1 축, 제2축, 및 제3축을 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서 제1 음성 구간과 제1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획득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서 제2 음성 구간과 제2 비음성 구간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와 상기 제2 비음성 구간의 신호 크기의 차에 기반하여 상기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들 중 적어도 일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의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음 레벨들 중 소음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마이크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의 복수의 축들 각각을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PCT/KR2023/002348 2022-02-21 2023-02-17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315826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248 2022-02-21
KR20220022248 2022-02-21
KR1020220056010A KR20230125700A (ko) 2022-02-21 2022-05-06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022-0056010 2022-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268A1 true WO2023158268A1 (ko) 2023-08-24

Family

ID=8757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2348 WO2023158268A1 (ko) 2022-02-21 2023-02-17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582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1487A1 (en) * 2010-06-21 2011-12-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djustable noise cancellation
KR101348505B1 (ko) * 2012-07-17 2014-01-07 신두식 이어셋
US20140288927A1 (en) * 2013-03-22 2014-09-25 Unify Gmbh & Co. Kg Procedure and Mechanism for Controlling and Using Voice Communication
KR102080891B1 (ko) * 2018-10-01 2020-04-23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재난안전통신용 단말기 통화시의 외부 잡음 억제 방법
KR102209484B1 (ko) * 2020-02-04 2021-01-29 주식회사 이엠텍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1487A1 (en) * 2010-06-21 2011-12-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djustable noise cancellation
KR101348505B1 (ko) * 2012-07-17 2014-01-07 신두식 이어셋
US20140288927A1 (en) * 2013-03-22 2014-09-25 Unify Gmbh & Co. Kg Procedure and Mechanism for Controlling and Using Voice Communication
KR102080891B1 (ko) * 2018-10-01 2020-04-23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재난안전통신용 단말기 통화시의 외부 잡음 억제 방법
KR102209484B1 (ko) * 2020-02-04 2021-01-29 주식회사 이엠텍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55068A1 (ko) 음성에 포함된 커맨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154546A1 (ko) 자동 음량 제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장치
WO2022177299A1 (ko) 통화 기능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019442A1 (ko)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65806A1 (ko) 리세스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58268A1 (ko)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2005248A1 (ko) 주변 오디오 신호의 감지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4063456A1 (ko)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WO2023287023A1 (ko)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053931A1 (ko) 마이크를 전환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3090663A1 (ko) 콘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728A1 (ko) 터치 인식을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WO2022154394A1 (ko) 내부 노이즈를 줄이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4029839A1 (ko)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121215A1 (ko) 외부 전자 장치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33602A1 (ko) 소리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131874A1 (ko)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49720A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28623A1 (ko) 웨어러블 장치
WO2022103108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WO2024076061A1 (ko) 에코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폴더블 형태의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085642A1 (ko)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3080401A1 (ko)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사운드 레코딩 방법 및 장치
WO2023163341A1 (ko) 터치 입력의 인식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3146193A1 (ko) 복수의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566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