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484B1 -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484B1
KR102209484B1 KR1020200012965A KR20200012965A KR102209484B1 KR 102209484 B1 KR102209484 B1 KR 102209484B1 KR 1020200012965 A KR1020200012965 A KR 1020200012965A KR 20200012965 A KR20200012965 A KR 20200012965A KR 102209484 B1 KR102209484 B1 KR 102209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
wireless earbud
voice
vib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혁 원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0001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1L41/053
    • H01L41/113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4Beam type
    • H10N30/306Cantile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환경 속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음향 환경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 각각과 통신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제 1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제 1 통신 연결 과정과, 제 1 통신 연결의 수행 후에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전자 통신 장치 각각의 음성 진동 센서에 대한 센서 보유 정보와, 통화 선호 대상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COMMUNICATION METHOD USING WIRELESS EARBUD DEVICE INCLUDING VOICE VIBRATION SENSOR}
본 발명은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 환경 속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음향 환경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전자 통신 장치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전자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이나 통신 방법에서, 자연 환경 잡음, 소음 심한 장소, 바람, 폭풍 환경 등의 소음 환경 속에서 깨끗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소음 환경 속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음향 환경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 각각과 통신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제 1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제 1 통신 연결 과정과, 제 1 통신 연결의 수행 후에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전자 통신 장치 각각의 음성 진동 센서에 대한 센서 보유 정보와, 통화 선호 대상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방법은 제 2 통신 연결의 수행 단계 이전에 각 전자 통신 장치가 저장하는 센서 보유 정보를 다른 전자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센서 보유 정보는 전자 통신 장치에 통신 연결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음성 진동 센서의 구비 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통신 연결 수행 단계에서, 센서 보유 정보가 음성 진동 센서의 구비인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통신 연결의 수행 단계에서, 통화 선호 대상 여부의 판단은 동일한 진동이나 외력을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데이터 공유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 진동 센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와, 압전 소자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와, 압전 소자의 자유단에 부착되는 무게추, 및 압전 소자의 출력을 전달하는 통전부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에 의해 고정되는 압전 소자의 고정부는 전체 부피의 40%이하이고, 압전 소자는 두께가 0.3mm 이상이고, 무게추는 무게가 5mg 이상이고, 무게추는 밀도 5 이상의 금속류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음 환경(예를 들면, 비밀 통화, 군 작전용, 소방 및 구조 활동용, 산업 기밀 통화 등) 속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음향 환경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통화 선화 대상들 간에서만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하우징을 제외한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를 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는 사용자의 귓바퀴 내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일측면(1a)에 방음구(3)를 구비하는 헤드 하우징(1)과 헤드 하우징(1)의 하방으로 연장된 스틱 하우징(2)을 구비한다.
헤드 하우징(1)의 일측면(1a)은 착용 시 사용자의 이갑개, 연골 등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되며, 헤드 하우징(1)의 타측면(1b)은 착용 시 사용자의 외부를 향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헤드 하우징(1) 내부의 수용 공간에는 방음구(3)를 향하여 음 방출을 수행하는 음향 출력부(13)와, 헤드 하우징(1)의 일측면(1a)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음성 진동 센서(17)가 장착된다. 음향 출력부(13) 및 방음구(3)의 영역과 음성 진동 센서(17)의 영역 사이에 차단벽(1c)이 형성된다.
공기 전도 방식 마이크를 통한 음성인식은 주변 음성 및 잡음으로 인해 음성 전달 명료도가 감소할 수 있으나, 음성 진동 센서(17)는 사용자의 음성 발성 시 접촉부위에 밀착된 매질(연골 등)을 통과하여 헤드 하우징(1)의 일측면(1a)에 전달된 음성 진동(예를 들면, 음성 진동의 속도, 주파수 파장 등)을 감지하므로, 주변 음성 및 잡음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
스틱 하우징(2) 내부에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 등의 전원부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무선 제어 시스템은 전자 통신 장치(2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 방출하는 기능과,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진동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통신 장치(20)로 전송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로 음 방출되어야 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거나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며, 네트워크(40)를 통하여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a, 20b)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통신 장치(20)를 포함하는 제 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지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로 음 방출되어야 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거나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며, 네트워크(40)를 통하여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 20b)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통신 장치(20a)를 포함하는 제 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 20a)들과 네트워크(40)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통신 장치(20b)를 포함하는 제 3 사용자 단말 장치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네트워크(4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제 1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무선 이어버드(10)는 헤드 하우징(1)의 타측면(1b) 또는 스틱 하우징(2)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공기 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획득하여 음향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하는 음향 입력부(11)와, 헤드 하우징(1)의 일측면(1a)을 향하도록 헤드 하우징(1)에 장착되며 데이터 프로세서(19)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 방출하는 음향 출력부(13)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와, 헤드 하우징(1)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진동을 획득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로 음성 신호를 인가하는 음성 진동 센서(17), 및 헤드 하우징(1)에 장착되며 상술된 구성요소(음향 입력부(11), 음향 출력부(13), 통신부(15) 및 음성 진동 센서(17) 등)을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음향 출력부(13)를 통하여 음 방출하고, 음성 진동 센서(1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전자 통신 장치(20)로 인가하는 데이터 프로세서(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미도시), 입력부(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등), 음향 입력부(11), 음향 출력부(13) 및 통신부(15)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먼저, 음성 진동 센서(17)는 헤드 하우징(1)의 일측면(1a)에 장착되어 무선 이어버드(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음성 발성 시 헤드 하우징(1)이 밀착된 매질(연골 등)(접촉 부위)을 통과하는 음성 진동을 감지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음성 신호는 음성 진동의 속도, 주파수 파장 등을 포함하여, 음성 진동 센서(17)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한다. 음성 진동 센서(17)의 구성은 하기의 도 4 내지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성 진동 센서(17)가 구비된 것과 관련된 센서 보유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부(15)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의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 통신 연결 기능에 의한 통신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성 진동 센서(1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전자 통신 장치(20)로 전송하는 기능과, 전자 통신 장치(20)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3)를 통하여 음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프로세서(19)는 기저장된 센서 보유 정보를 전자 통신 장치(20)로 전송한다.
먼저, 음성 신호에 대한 처리 과정이 설명된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성 진동 센서(17)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성 진동 센서(17)로부터의 음성 신호뿐만 아니라, 음향 입력부(11)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한다. 이 음향 신호는 외부 음향과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향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을 구별하거나, 음성 신호만을 증폭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향 입력부(11)로부터의 음향 신호와 음성 진동 센서(17)로부터의 음성 신호 각각을 각각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역별 전력을 각각 산정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전력과,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전력을 비교하여,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는 전력이 없으나,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만 전력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한다. 이때 확인된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전력은 외부 음향의 전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기에, 이러한 비교 과정에 의해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외부 음향만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과,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을 구별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확인된 외부 음향의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감쇄 처리하고, 다시 역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처리된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19)는 확인된 외부 음향의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감쇄 처리하고, 그 이외의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증폭 처리하고, 다시 역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처리된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제 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 통신 장치(20)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에 추가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와도 무선 통신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는 마스터 장치로 기능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는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와 전자 통신 장치(2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를 통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 통신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통신 연결/차단 선택, 진동 모드 선택, 인식 모드 선택, 이미지 촬영 선택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는 입력부(21)와,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통신 연결 상태, 연결 가능한 전자 통신 장치의 식별 번호, 식별 코드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23)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5)와,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는 카메라(27)와, 진동 모듈을 구비하여 데이터 프로세서(39)로부터의 진동 신호에 대응하여 진동 동작을 수행하는 진동 동작부(29)와, 외력(예를 들면, 충격, 회전 등)이나 외부 진동에 의한 전자 통신 장치(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는 동작 감지부(31)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의 통신과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a, 20b)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21), 표시부(23), 통신부(25), 카메라(27), 진동 동작부(29)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상세한 생략된다.
동작 감지부(31)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하여, 전자 통신 장치(20)가 받는 외력이나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부(25)를 제어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의 통신 기능과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a), (20b)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의 통신 기능의 수행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상세한 생략된다. 다만, 데이터 프로세서(39)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센서 보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의 음선 진동 센서(17)의 구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a), (20b)와의 통신 기능을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다.
다음으로, 제 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a)와 통신 연결된 전자 통신 장치(2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 통신 장치(20a)는 상술된 전자 통신 장치(20)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3 사용자 단말 장치는 어떠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도 통신 연결이 되어 있지 않거나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 통신 연결된 전자 통신 장치(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 통신 장치(20b)는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전자 통신 장치(2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통신 장치(20)가 소음 환경에서도 통화 선호 대상인 전자 통신 장치와 음성 진동 센서(17)를 이용한 명료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프로세서(39)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의 통신 연결 이후에, 음성 진동 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 전자 통신 장치의 검색과, 통화 선호 대상의 선별 또는 식별 과정(또는 통화 선호 대상 여부의 판단 과정)을 동시에 또는 함께 또는 교번하여 수행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각각은 통신부를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인 제 1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다른 전자 통신 장치들 각각의 센서 보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전자 통신 장치는 다른 전자 통신 장치들 각각의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의 연결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표시부(23)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통신 장치(20, 20a) 간은 예를 들면, 제1 통신 연결과 같은 근거리가 아닌, 최종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와이파이나, 통신사망과 같이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제 2 통신 연결)이 수행된다. 즉, 통화 선호 대상들인 전자 통신 장치(20) 및 (20a)들은 서로의 식별 번호(예를 들면, 전화 번호 등)를 교환한 이후에, 수신된 식별 번호를 통한 제 2 통신 연결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먼저, 제 1 실시예로서, 식별 가능한 진동 패턴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식별 가능한 진동 패턴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 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동작부(29)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진동 패턴은 사용자들에 의해 선호되는 대상들을 판단하기 위한 진동 패턴이며, 전자 통신 장치의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 패턴과는 구별된다. 즉, 진동 패턴은 통화 선호 대상의 선별 과정(판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에 해당된다.
또한, 전자 통신 장치(20)의 동작 감지부(31)가 다른 전자 통신 장치(20a, 20b)의 진동 동작부(29)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고, 데이터 프로세서(39)는 감지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 1 통신 연결된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를 적층한 이후에, 전자 통신 장치(20)의 입력부(21)를 통하여 통신 연결 선택 입력을 입력하면, 데이터 프로세서(39)는 기저장된 진동 패턴을 판독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동작부(29)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부(25)를 제어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전자 통신 장치(20a 또는 20b)를 기 연결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검색한다. 이때, 전자 통신 장치(20)는 음성 진동 센서(17)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에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진동 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진동은 전자 통신 장치(20a)에 전달되며, 전자 통신 장치(20a)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동작 감지부(31)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감지 신호와 저장된 진동 패턴(또는 진동 신호)을 비교하며, 만약 감지 신호와 진동 패턴가 동일하면 통신부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수행한다. 반면에 진동은 전자 통신 장치(20b)에도 전달되나, 전자 통신 장치(20b)는 센서 보유 정보에 따라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가 통신 연결된 상태가 아니기에,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장치(20b)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하지 않거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장치(20a, 20b)를 검색하여 센서 보유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 통신 장치(20a)의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통신 연결되어 있으면서, 통신 시도를 수행한 전자 통신 장치(20a)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반면에,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장치(20b)의 통신 시도에 대해서는, 전자 통신 장치(20b)의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통신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신 시도를 수행한 전자 통신 장치(20b)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로서, 외력(예를 들면, 충격이나 회전)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센서 보유 정보에서 음성 진동 센서(17)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가 연결된 경우에 동작 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감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통신부(25)를 제어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하거나 검색을 수행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2 실시예의 외력은 사용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해당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서로 제 1 통신 연결된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를 서로 충돌시켜 충격을 가하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간의 제 2 통신 연결을 의도한다. 각 전자 통신 장치(20, 20a)의 데이터 프로세서 각각은 센서 보유 정보에서 음성 진동 센서(17)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 (10a) 각각이 연결된 경우이고, 통신부를 제어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하거나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각 전자 통신 장치(20, 20a)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동작 감지부(31)로부터의 감지 신호 각각을 저장한 이후에, 서로 교환 전송하고, 전송 받은 감지 신호와 저장된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만약 동일하면, 사용자가 전자 통신 장치(20, 20a)를 제 2 통신 연결하고자 하는 것(즉, 전자 통신 장치(20, 20a)는 통화 선호 대상임)이므로, 데이터 프로세서 각각은 통신부를 제어하여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또는 감지 신호의 교환 이외에도, 전자 통신 장치(20a)가 저장된 감지 신호를 전자 통신 장치(20)로 전송하고, 전자 통신 장치(20)의 데이터 프로세서가 저장된 감지 신호와 전송된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만약 동일하면, 통신부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20a)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장치(20a, 20b)를 검색하여 센서 보유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 통신 장치(20a)의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통신 연결되어 있으면서, 통신 시도를 수행한 전자 통신 장치(20a)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전자 통신 장치(20b)의 경우, 전자 통신 장치(20, 20a)와 동일한 충격 또는 회전이 수행되더라도, 센서 보유 정보에서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어, 전자 통신 장치(20, 20a)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하지 않거나, 시도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장치(20b)의 통신 시도에 대해서는, 전자 통신 장치(20b)의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통신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신 시도를 수행한 전자 통신 장치(20b)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에 구비된 통신부는 NFC 기능을 구비한다.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간은 NFC 기능에 따른 제 1 통신 연결이 수행된 이후에, 전자 통신 장치(20, 20a)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입력부(21)로부터의 통신 연결 선택 입력의 획득 시에, 센서 보유 정보로부터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가 연결된 경우에 해당되어, 통신부를 제어하여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전자 통신 장치(20b)의 경우, 센서 보유 정보로부터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어, 전자 통신 장치(20, 20a)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하지 않거나, 전자 통신 장치(20, 20a)가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NFC 기능이 동작 중인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를 NFC 기능에 따른 제 1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근접시켜 제1 통신 연결이 수행된 이후에, 어느 하나의 전자 통신 장치(20)의 입력부(21)를 통하여 통신 연결 선택을 입력시키면,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 연결 선택의 입력과,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통신부(25)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20a)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전자 통신 장치(20a)는 전자 통신 장치(20)로부터의 제 2 통신 연결 시도에 대응하되, 센서 보유 정보에 따라 전자 통신 장치(20)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다만, 전자 통신 장치(20b)는 센서 보유 정보에 따라 전자 통신 장치(20)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제 3 실시예에서, 통신 선호 대상의 선택은 사용자가 전자 통신 장치들을 NFC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것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에서, 사용자들의 얼굴 이미지들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각각은 통신 선호 대상의 사용자들 각각의 얼굴 이미지와,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의 식별 번호(예를 들면, 전화 번호 등)를 저장한다. 제 4 실시에에서, 통신 선호 대상의 선택은 얼굴 이미지와 식별 번호를 기저장하고 있는 것에 해당된다.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각각은 통신부를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 모드를 수행하여 제 1 통신 연결된 상태이다. 전자 통신 장치(20)의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각각의 센서 보유 정보를 기저장하거나 요청하여 수신하여,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 통신 연결된 전자 통신 장치(20, 20a)를 확인한다. 또한, 전자 통신 장치(20)의 사용자가 카메라(27)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20a, 20b) 각각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며,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촬영된 얼굴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얼굴 이미지를 검색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있으면서, 촬영된 얼굴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얼굴 이미지에 관련된 전자 통신 장치(20a)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다만,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음성 진동 센서가 구비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전자 통신 장치(20b)의 식별 번호를 이용한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5 실시예로서, 전자 통신 장치들 각각의 식별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 등)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전자 통신 장치(20)의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식별 번호 등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저장한다.
전자 통신 장치(20, 20a, 20b) 각각은 통신부를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 모드를 수행하여 제 1 통신 연결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입력부(21)를 통하여 통신 연결 선택을 입력하면, 데이터 프로세서(39)는 기저장된 식별 코드를 표시부(23)에 표시한다.
전자 통신 장치(20a)의 사용자 및 전자 통신 장치(20b)의 사용자 각각은 구비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전자 통신 장치(20)의 표시부(23)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촬영한다. 전자 통신 장치(20a)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촬영된 식별 코드와 저장된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센서 보유 정보로부터 전자 통신 장치(20a)가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통신 연결된 상태이므로, 전자 통신 장치(20a)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촬영된 식별 코드에 포함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반면에, 전자 통신 장치(20b)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촬영된 식별 코드와 저장된 센서 보유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전자 통신 장치(20)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센서 보유 정보로부터 전자 통신 장치(20b)가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통신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자 통신 장치(20b)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전자 통신 장치(20)와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술된 제 3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통화 선호 대상 여부의 판단은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식별 코드, 식별 번호 등) 공유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술된 센서 보유 정보의 확인 및 통화 선호 대상의 판단 또는 식별 과정에 의해서, 본 발명은 소음 환경 속에서도 원하는 통화 대상들 간에만 명료한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이하, 음성 진동 센서)는 하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며, 하우징 내에 진동을 센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부 하우징(110)은 하면과 측벽을 구비하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며, 상부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개방된 상면을 폐쇄한다. 하부 하우징(110) 내에 두께나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스트립 형태의 압전 소자(220)가 설치된다. 이때 압전 소자(220)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캔틸레버 구조로 고정된다. 압전 소자(220)는 PZT Ceramic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110) 내에는 압전 소자(220)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210)가 마련된다. 지지 구조(210)에 의해 고정되는 압전 소자(220)의 고정부는 전체 부피의 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소자(220)의 고정부의 부피가 커질 경우, 자유단의 진동 폭이 작아져 음성 진동의 감지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한편, 압전 소자(220)의 자유단에는 무게추(230)가 부착된다. 무게추(230)는 압전 소자(220)의 진동을 증폭시켜, 음성 진동 센서의 음성 진동의 감지 범위를 넓혀준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무게추(230)는 무게가 5m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보다 무게가 작을 경우 무게추(230)의 진동 증폭 효과가 떨어지므로, 압전 소자(220)의 감지 효율 증가와 노이즈 최소화를 위해 5m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게추(230)는 부피를 줄이며 무게를 올릴 수 있는 밀도 5 이상의 금속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무게추(230)의 형상은 압전 소자(220)의 진동을 제한하지 않으며 압전 소자(220)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무게추(230)는 원기둥 형태나, 압전 소자(220)의 자유단을 감싸는 캡 형태,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무게추(230)는 압전 소자(220)에 부착될 때, 본드나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된다.
한편 압전 소자(220)의 고정단 측에 압전 소자(220)의 출력을 전달할 수 있는 통전부(300)가 연결된다. 통전부(300)의 일단(302)은 하우징(110, 120) 내에서 압전 소자(220)와 연결되며, 통전부(300)의 타단(304)은 하우징(110, 120)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와의 접점을 형성한다.
음성 진동 센서는 하우징(110, 120)을 통해 전달되는 화자의 음성으로 인해 생기는 진동을 압전 소자(220)의 압전 특성을 이용해 감지한다. 압전 소자(220)는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되어, 하우징(110, 120)의 진동이 자유단에서 증폭되기 때문에 음성 진동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음성 발화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때문에 외부 소음은 센서에서 감지할 수 없어, 음성 진동 센서를 마이크로 이용할 경우 외부 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 역시, 하우징, 압전 소자(220), 무게추(230), 통전부(300)를 구비한다. 그러나, 압전 소자(220)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별도로 하부 하우징(110a)에 부착되지 않는다. 대신, 하부 하우징(110a)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압전 소자(2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112a)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하우징을 제외한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는, 압전 소자(222a, 224a)를 2 개 구비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다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압전 소자(222a, 224a)가 2개 구비되었으나 3개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압전 소자(222a, 224a)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경우 음성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범위가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압전 소자(222a, 224a)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여, 음성 진동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압전 소자(222a, 224a)의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각 압전 소자(222a, 224a)의 자유단의 진폭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압전 특성도 달라지기 때문에 각 압전 소자(222a, 224a)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조합함으로써 음성 센싱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압전 소자(222a, 224a)의 두께를 서로 달리할 때, 지지 구조(300a)에서 각 압전 소자(222a, 224a)를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압전 소자(222a, 224a)의 상면이 동일 높이가 되도록, 즉 같은 평면 상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소자(222a, 224a)의 상면을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함으로써, 통전부(300)를 부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와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는 압전 소자(2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댐핑 구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무게추(230)와 근접한 위치의 하부 하우징(110) 상에 댐핑 본드(400)가 도포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하우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 상에 포론(402, 404)이 부착된다. 포론(402, 404)은 하우징(110, 120) 내의 빈 공간에 적절히 배치되며, 추락 등에 의해 압전 소자(220)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는 압전 소자(2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압전 소자(220)에 보강판(500)을 부착한 것이 특징이다. 보강판(500)은 댐핑 역할을 해주지는 않으나 압전 소자(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는, 제6 실시예와 같이 음성 진동 센서는 압전 소자(2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압전 소자(220)에 보강판(500)이 부착된다. 여기에 더해서, 압전 소자(220)의 자유단과 하우징 사이에 탄성 부재(600)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600)는 자유단의 진동을 댐핑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압전 소자(220)의 자유단 하부에 부착된 무게추(230)와 하부 하우징(110) 사이에 탄성 부재(600)가 설치된다. 그러나 무게추(230)와 탄성 부재(60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음성 진동 센서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음성 진동 센서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10, 120), 지지 구조(210), 압전 소자(220), 무게추(230) 및 통전부(300)를 구비한다. 이때, 통전부(300) 상에 압전 소자(220)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31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a: 무선 이어버드 장치 20, 20a, 20b: 전자 통신 장치
40: 네트워크

Claims (5)

  1.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 각각과 통신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 방법은: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제 1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제 1 통신 연결 과정과;
    제 1 통신 연결의 수행 후에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전자 통신 장치 각각의 음성 진동 센서에 대한 센서 보유 정보와, 통화 선호 대상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제 2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방법은 제 2 통신 연결의 수행 단계 이전에 각 전자 통신 장치가 저장하는 센서 보유 정보를 다른 전자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센서 보유 정보는 전자 통신 장치에 통신 연결된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음성 진동 센서의 구비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통신 연결 수행 단계에서, 센서 보유 정보가 음성 진동 센서의 구비인 전자 통신 장치들 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통신 연결의 수행 단계에서, 통화 선호 대상 여부의 판단은 동일한 진동이나 외력을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데이터 공유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 진동 센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소자와, 압전 소자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와, 압전 소자의 자유단에 부착되는 무게추, 및 압전 소자의 출력을 전달하는 통전부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에 의해 고정되는 압전 소자의 고정부는 전체 부피의 40%이하이고,
    압전 소자는 두께가 0.3mm 이상이고,
    무게추는 무게가 5mg 이상이고,
    무게추는 밀도 5 이상의 금속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0200012965A 2020-02-04 2020-02-04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20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65A KR102209484B1 (ko) 2020-02-04 2020-02-04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65A KR102209484B1 (ko) 2020-02-04 2020-02-04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484B1 true KR102209484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965A KR102209484B1 (ko) 2020-02-04 2020-02-04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68A1 (ko) * 2022-02-21 2023-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239A (ko) * 2004-05-10 2005-04-15 남승현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자동통화/자동종료 이어폰
JP2013038455A (ja) * 2011-08-03 2013-02-21 Nittetsu Elex Co Ltd 騒音抑制イヤホンマイ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239A (ko) * 2004-05-10 2005-04-15 남승현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자동통화/자동종료 이어폰
JP2013038455A (ja) * 2011-08-03 2013-02-21 Nittetsu Elex Co Ltd 騒音抑制イヤホンマイ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68A1 (ko) * 2022-02-21 2023-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소음에 기반한 마이크 및 센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5135B2 (en) Detection of liveness
US9674625B2 (en) Passive proximity detection
US8699948B2 (en) Connection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8763978B (zh) 信息提示方法、装置、终端、耳机及可读存储介质
JP4293377B2 (ja) 音声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1012900A1 (zh) 控制振动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973465B2 (ja) オーディオ処理デバイス
WO2013164999A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7896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US11290800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water repellent structure using speaker module and method for sensing moisture penetration thereof
CN109089192B (zh) 一种输出语音的方法及终端设备
CN109885162B (zh) 振动方法及移动终端
CN112261202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110535204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KR102209484B1 (ko) 음성 진동 센서를 구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CN103187080A (zh) 电子装置及播放方法
WO2015165176A1 (zh) 终端及其测距的方法
US20210168492A1 (en) Translation System using Sound Vibration Microphone
JP672792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2013254395A (ja) 処理装置、処理システム、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iaconita et al. Inferring smartphone positions based on collecting the environment's response to vibration motor actuation
JP6476938B2 (ja) 音声解析装置、音声解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27225A1 (en) Bell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22070975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214667B1 (ko) 무선 제어를 위한 무선 이어버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