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49641A1 - 공기질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질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49641A1
WO2023149641A1 PCT/KR2022/019781 KR2022019781W WO2023149641A1 WO 2023149641 A1 WO2023149641 A1 WO 2023149641A1 KR 2022019781 W KR2022019781 W KR 2022019781W WO 2023149641 A1 WO2023149641 A1 WO 20231496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air quality
light
measuring devi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7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중희
이근범
정창우
이부연
이창헌
조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496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496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CO,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01N2021/8578Gase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01N2201/0221Portable; cableless; compact; hand-he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부와 내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한 결합 보스를 포함하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및 상기 내측부에 위치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외측부에 출광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하고 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질 측정 장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기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외는 물론 실내에도 미세먼지, 유해가스, 또는 오염물질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이 공기 중에 부유하면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신체에 치명적인 호흡기 질환 또는 전염성 질환을 야기하는 공기 오염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물질에는 지름 10μm 이하인 미세먼지, 지름 2.5μm 이하인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일산화탄소, 포름알데이드,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오존, 이산화탄소 등이 있다.
공기 중의 유해 물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실외뿐만 아니라 집, 사무실 또는 다중시설과 같은 실내의 공기질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공기질 측정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실내에 사용되는 공기질 측정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휴대성이 좋게 소형화되어 나올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품 가까이까지 와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공기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광색(light color)을 이용하여 공기 오염 정도를 안내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분해 시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광가이드부의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공기 오염 정도에 대응한 광색의 빛이 출광되는 면과 가까운 부분에 결합 보스가 위치하여 저하되는 휘도의 균일성을 보완할 수 있는 광가이드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부와 내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한 결합 보스를 포함하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및 상기 내측부에 위치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외측부에 출광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하고 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광가이드부는, 빛이 입광되는 입광면을 가지는 내측부; 빛이 출광되는 출광면을 가지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결합 보스; 및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하고 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기질 측정 장치는 광가이드부가 상부 케이스와 결합하는 스크류의 헤드부와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는 스크류의 헤드부가 하측에 위치하는 결합 구조로 인해, 제품 분해 시 하부 구성부터 순차적으로 분해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의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기질 측정 장치는 스크류 결합을 위해 형성된 결합 보스의 외측에 원주 리브를 마련하여 결합 보스에 집중된 빛을 분산시켜 그 결과 출광면의 휘도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에서, 일부분에 요철 형상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휘도의 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1의 공기질 측정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광가이드부를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예를 들어, 집, 사무실, 또는 공공시설과 같은 실내 환경에서 측정한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유기활성물질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90)에 표시할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예를 들어, 공기질의 단계에 따른 여러가지 색을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공기질에 대한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예를 들어, 광원부(예: 도 3의 광원부(40))의 광색을 달리함으로써,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광가이드부(30)의 출광면(321)에 발광되는 광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의 단계를 매우 좋음-좋음-보통-나쁨-매우 나쁨의 5단계로 구분할 경우, 제어부(예: 도 4의 제어부(100))는 광원부(예: 도 3의 광원부(40))를 이용하여 광가이드부(30)의 출광면(321)에 각 단계에 따라 청색(좋음)-녹색(보통)-노란색(나쁨)-빨간색(매우 나쁨)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의 수와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색깔은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예를 들어,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하부면이 경사진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질 측정 장치(1)가 평평한 곳에 놓이면, 상부면에 배치된 표시부(90)가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표시부(90)에 표시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 측정 장치(1)의 하부면에 위치한 하부 커버(24)는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거치부에 의해 벽걸이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경사진 평면을 가지는 하부면이 벽에 대면하도록 벽걸이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예를 들어, 측정된 실내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주변 다른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즉, 공기질 측정 장치(1)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제품과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다른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질 측정 장치(1)는 가정 내에 배치된 공기 청정기와 상호 작용하여, 실내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또는 유해가스 농도와 같은 유해물질이 정해진 농도를 초과한 경우 공기 청정기가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상부 케이스(10), 하부 케이스(20), 광가이드부(30), 광원부(40), 표시부(90), 또는 배터리(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10)는 윈도우(11) 또는 상부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에는,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는, 상부 케이스(10)의 상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예를 들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윈도우(11)를 통하여 표시부(9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11)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12)은, 내부에 상부 수용 공간(121)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수용 공간(121)에는, 예를 들어, 표시부(90) 또는 제1 기판(81)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은, 표시부(90) 또는 제1 기판(81)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81)에는 제어부(도 4의 제어부(1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 기판(81)은,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2)과 광가이드부(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판(81)은 상부 프레임(12)과 광가이드부(30)가 스크류 결합하는 곳에 대응되는 부분에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12)은 상부 외주면(122) 또는 상부 결합 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외주면(122)은,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외관 중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상부 외주면(122)은,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다. 상부 결합 보스(123)는,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2)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 보스(123)는, 광가이드부(30)의 결합 홀(34)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결합 보스(123)는,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와 스크류 결합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결합 보스(123)는 결합 홀(34)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는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원형일 수 있다. 광가이드부(30)의 단면적은 상부 케이스(10)에서 광가이드부(30)와 접하는 부분의 단면적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외측부(32)가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는 출광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는 사용자가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광가이드부(30)의 출광면(321)에서 공기질 단계에 따른 여러가지 색을 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는 결합 보스(33) 또는 결합 홀(34)을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결합 보스(33)와 결합 홀(34)을 이용하여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보스(33)는 상부 케이스(10) 또는 하부 케이스(20)와 결합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보스(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와 결합하기 위해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보스(33)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보스(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보스(33)는,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 보스(33)는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제1 스크류(38)가 하부로부터 상부측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하부 케이스(2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스크류(38)의 헤드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광가이드부(30)와 하부 케이스(2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홀(34)은 상부 케이스(10)와 결합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홀(34)은, 예를 들어, 결합 보스(33)보다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 홀(34)은 결합 보스(33)보다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결합 홀(34)이 결합 보스(33)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결합 홀(34)은, 예를 들어, 결합 보스(33)와 광가이드부(30)의 반경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결합 홀(34)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홀(34)의 개수는 결합 보스(33)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제2 스크류(39)가 하부로부터 상부측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상부 케이스(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스크류(39)의 헤드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광가이드부(30)와 상부 케이스(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광가이드부(30)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20)에 결합될 때, 스크류(제1 스크류(38) 및 제2 스크류(39))를 하부에서 상부로 체결시킬 수 있어, 제품 분해 시 각 구성들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광가이드부(30)가 상부 케이스(10)와 결합하기 위해 스크류가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되어, 분해 시 상부 케이스(10)의 윈도우(11)를 우선적으로 분리한 후 상부 프레임(12)과 광가이드부(30)를 분리해야 했다. 윈도우(11)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윈도우(11) 또는 상부 케이스(10)(예: 상부 프레임(12)의 상부 외주면(122))의 외관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부 케이스(10)와 광가이드부(30)를 분해할 때 우선적으로 윈도우(11)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분해 시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는 보스 가이드(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 가이드(35)는, 예를 들어, 결합 홀(34)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보스 가이드(35)는, 예를 들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 가이드(35)는 광가이드부(30)와 상부 프레임(12)이 결합되기 위해, 상부 결합 보스(123)가 결합 홀(34)과 맞춰지도록 상부 결합 보스(123)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20)는 측면 커버(21), 하부 커버(24), 제1 하부 프레임(22), 제2 하부 프레임(23) 또는 후방 플레이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는, 예를 들어, 경사진 하부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70), 공기질 감지부(50), 제2 기판(82), 또는 제3 기판(83)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2 기판(82)에는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82)의 상면에는 광가이드부(30)의 내측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40)가 실장될 수도 있다. 제3 기판(83)은, 예를 들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기판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기판(81), 제2 기판(82), 및 제3 기판(83)은 전부 또는 일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측면 커버(21)와 하부 커버(24)는,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24)에는, 예를 들어, 전원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부를 이용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1)를 온/오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커버(21) 또는 하부 커버(24)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측면 통풍 홀(211) 또는 하부 통풍 홀(24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과 제2 하부 프레임(23)은, 예를 들어, 측면 커버(21)와 하부 커버(24)에 감싸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은 제2 하부 프레임(2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은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에서 제1 결합 홀(221)이 광가이드부(30)의 결합 보스(3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의 결합 보스(33)와 제1 하부 프레임(22)의 제1 결합 홀(221)이 제1 스크류(3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시 제1 하부 프레임(22)과 광가이드부(30) 사이에는 제2 기판(82)이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하부 프레임(22)의 하단과 제2 하부 프레임(23)의 상단은 스크류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의 후방에는 후방 플레이트(2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5)는, 예를 들어, 측면 커버(21)의 측면 통풍 홀(211)에 인접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5)는, 예를 들어, 일부가 TVOC 센서(53)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과 제2 하부 프레임(23)은, 예를 들어, 내부에 배터리(70) 또는 각종 센서들(51, 52, 53, 54)과 같은 구성들을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70)는, 예를 들어, 제2 하부 프레임(2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40)는 광가이드부(30)의 내측부(31)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부(40)는 내측부(31)의 입광면(311)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부(4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내측부(31)의 입광면(311)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부(40)는, 예를 들어, LED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90)는 상부 케이스(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90)는 상부 케이스(10)의 윈도우(11)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투명 재질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부(90)를 보호할 수 있다. 표시부(90)는 각종 센서들(51, 52, 53, 54)에 의해 측정된 값들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 측정 장치(1)는 팬 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60)는,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 장치(1)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60)는,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 어셈블리(60)는 하부 커버(24)의 하부 통풍 홀(241)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60)는 팬 구동부(61) 또는 팬 프레임(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구동부(61)는, 예를 들어, 팬 프레임(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팬 프레임(62)은 제2 하부 프레임(23)과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하부 프레임(22) 또는 제2 하부 프레임(2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블록도는 제어부(100)와 상호 작용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1) 내의 전자 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3의 공기질 측정 장치(1)에도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3의 상부 케이스(10) 또는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질 측정 장치(1)는 공기질 감지부(50), 표시부(90), 제어부(100), 메모리(110) 또는 무선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 감지부(50)는 미세먼지 센서(51), 이산화탄소 센서(52), TVOC 센서(53), 또는 온습도 센서(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질을 판단하기 위한 여러가지 종류의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 감지부(50)는 자외선을 측정하기 위한 자외선 센서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감지부(50)는,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부 케이스(20)의 통풍 홀(도 3의 측면 통풍 홀(211) 또는 하부 통풍 홀(24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기초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1)는 공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1)는, 예를 들어, 광(레이저)의 산란을 통해 PM10(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미세먼지), PM2.5(2.5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미세먼지), PM1.0(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미세먼지) 등의 다양한 크기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광학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1)는, 예를 들어, 광학 방식을 채용하여, 공기 중에 광원을 조사하여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 굴절 또는 반사되는 빛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미세먼지 센서(51)는 공기 중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먼지 입자에 의해 반사되는 레이저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미세먼지 센서(51)의 측정 방식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센서(51)는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1)는, 예를 들어, 제1 하부 프레임(22)에 의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1)는, 예를 들어, 배터리(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1)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 센서(52)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52)는, 예를 들어, 비분상 적외선 흡수법(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방식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센서(52)는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52)는, 예를 들어, 제1 하부 프레임(22)에 의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52)는, 예를 들어, 미세먼지 센서(5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52)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습도 센서(54)는 공기질 측정 장치(1)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온습도 센서(54)로부터 전달받은 온도와 습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치 장소의 미세먼지 농도와 TVOC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온습도 센서(54)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로서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습도 센서(54)는 하부 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온습도 센서(54)는, 예를 들어, 하부 커버(24)의 하부 통풍 홀(241)에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온습도 센서(54)는 하부 통풍 홀(24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54)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VOC 센서(53)는 공기 중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TVOC 센서(53)는, 예를 들어, 유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TVOC 센서(53)는, 구체적으로, 하부 케이스(20) 내로 유입된 공기 내 유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TVOC에는 유독성 휘발 물질과 무독성 휘발 물질이 있다. 여기서, 유독성 휘발 물질은 일산화탄소, 아세트알데히드,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아세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벤젠, 톨루엔 또는 포름알데이드 등이 있다. TVOC 센서(53)가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공기 중에 상기와 같은 유독성 휘발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VOC 센서(53)는 하부 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VOC 센서(53)는, 예를 들어, 측면 커버(21)의 측면 통풍 홀(211)에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TVOC 센서(53)는, 예를 들어, TVOC 센서 캡(5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VOC 센서 캡(531)은 TVOC 센서(53)의 움직임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TVOC 센서(53)를 보호할 수 있다. TVOC 센서(53)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 Unit, MCU)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10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공기질 감지부(50)로부터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러한 정보를 무선 통신부(1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기기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표시부(90) 또는 광가이드부(30)의 출광면(321)에 출광되는 빛의 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제1 기판(예: 도 3의 제1 기판(81))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공기질 측정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 장치(1)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공기질 측정 장치(1)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제어부(100)에 의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1)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90)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표시부(90)는, 예를 들어, 제어부(100)가 공기질 감지부(5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20)는 공기질 측정 장치(1)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공기질 측정 장치(1)와 다른 기기 사이, 또는 공기질 측정 장치(1)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20)는 공기질 측정 장치(1)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들 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 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Fi Direct, Wireless USB(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공기질 측정 장치(1)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공기질 측정 장치(1)와 다른 기기 사이, 또는 공기질 측정 장치(1)와 다른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근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은,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 모듈일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가 GPS 모듈을 활용할 경우,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장치(1)가 Wi-Fi 모듈을 활용할 경우, Wi-Fi 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와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의 구성 중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 '내측' 또는 '외측'은 광가이드부(30)의 중심부로부터의 반경 방향 거리를 기준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이 제2 구성보다 내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구성과 중심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2 구성과 중심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광가이드부(30)는 결합 보스(33), 결합 홀(34), 보스 가이드(35), 리브(36) 또는 홈(37)을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가운데가 중공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는 내측부(31)와 외측부(32)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31)는, 예를 들어, 중공된 부분을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내측부(31)와 외측부(32)는, 예를 들어, 원주 형상일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광원부(40)로부터 조사된 빛을 외측부(32)으로 출광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는, 예를 들어, 빛이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광가이드부(30)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부(31)는 입광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31)는, 예를 들어, 하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31)의 단면을 이루는 입광면(311)은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부(31)에 인접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광원부(40)는 입광면(311)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광가이드부(30)의 내부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빛은 입광면(311)에 입사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부(32)는 출광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31)으로부터 입광된 빛은 광가이드부(30)의 내부를 이동하여 외측부(32)의 출광면(321)으로 출광될 수 있다. 외측부(32)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상부 케이스(예: 도 1의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예: 도 1의 하부 케이스(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부(32)에서 출광된 빛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6)는 광가이드부(3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36)의 전체적인 형상은, 예를 들어, 원주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리브(36)는,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리브(36)는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와 가까운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6)는,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와 결합 보스(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부(3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기준으로, 결합 보스(33), 리브(36), 및 외측부(32) 순서로 위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결합 보스(33)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리브(36)와 결합 보스(33)가 접할 경우 접하는 부분에서 리브(36)와 결합 보스(33)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6)는 결합 보스(33)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6)는 복수의 결합 보스(33)를 지나는 원주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빛이 광가이드부(30)의 내부를 관통할 때, 매질이 많은 쪽으로 빛이 집중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30)의 경우,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 보스(33)에 많은 빛이 집중될 수 있다. 그 결과, 결합 보스(33)와 가까운 부분의 출광면(321)에서 출광되는 빛이 결합 보스(33)와 멀리 떨어진 부분의 출광면(321)에서 출광되는 빛보다 더 밝게 출광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와 같이 외측부(32)와 가까운 곳에 결합 보스(33)가 위치하는 경우 휘도의 불균일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리브(36)를 형성함으로써 빛이 결합 보스(33)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적으로 리브(36)에 빛이 분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결합 보스(33)가 외측부(32)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더라도 리브(36)에 의해 휘도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37)은 광가이드부(30)의 외측부(32)과 결합 보스(33)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홈(37)은,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원주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홈(3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서 원주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복수개의 홈(37)이 결합 보스(33)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홈(37)은, 예를 들어, 리브(36)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홈(37)은,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30)의 일부가 리브(36)가 돌출된 면의 반대측 면으로 돌출되어 굴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가이드부(30)를 관통하는 빛은 주로 광가이드부(30)의 내부를 매질로 하여 이동할 수 있다. 빛은 광가이드부(30)의 내부에서, 경계면(예: 광가이드부(30)의 상면 또는 하면)을 반사하면서 입광면(311)에서 출광면(32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빛이 경계면(예: 광가이드부(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딪힐 때 입사각이 일정 각도보다 클 경우에는 빛이 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빛의 일부가 광가이드부(30)의 내부에서 홈(37)으로 투과될 수 있다. 즉, 광가이드부(30)의 내부를 지나는 빛의 일부는 홈(37)을 지난 후 다시 외측의 광가이드부(30)의 내부로 투과되어 출광면(32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빛이 홈(37)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굴절되면서,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에서, 일부분에 요철 형상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는 도 5 내지 도 7의 광가이드부(30)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의 입광면(311)의 표면에는 부식면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입광면(311)의 표면에는 제1 요철(810)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810)은 삼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빛을 분산시키기 위해 불규칙한 형상의 돌출부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1 요철(810)은 반원 또는 반구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의 출광면(321)의 표면에는 부식면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출광면(321)의 표면에는 제2 요철(820)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철(820)은 삼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빛을 분산시키기 위해 불규칙한 형상의 돌출부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2 요철(820)은 반원 또는 반구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37)의 내측면(371)의 표면에는 부식면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홈(37)의 내측면(371)의 표면에는 제3 요철(830)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홈(37)의 내측면(371)은 입광면(311)으로부터 전달된 빛이 투과되는 면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요철(830)은 삼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빛을 분산시키기 위해 불규칙한 형상의 돌출부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3 요철(830)은 반원 또는 반구 형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빛이 광원부(예: 도 3의 광원부(40))로부터 광가이드부(30)의 출광면(321)까지 이동되는 동안, 빛이 광가이드부(30)의 내부로부터 광가이드부(30)의 외부로 투과되거나, 광가이드부(30)의 외부로부터 광가이드부(30)의 내부로 투과되는 부분의 표면에 부식면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입광면(311), 출광면(321) 또는 홈(37)의 내측면(371)을 투과하면서, 부식 적용된 면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굴절되어 분산될 수 있다. 이는 빛이 광가이드부(30)의 특정 부분(예: 결합 보스(33))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특정 부분(예: 결합 보스(33))에 집중된 빛을 분산시켜 출광면(321)의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의 휘도의 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를 상하로 결합하기 위해 결합 보스가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종래의 광가이드부에서의 휘도의 균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30)의 휘도의 균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30)는, 종래의 광가이드부와 비교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 보스의 구성을 결합 홀(34)로 대체하고, 리브(36) 및 홈(37)과 같은 구성을 추가하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30)는, 결합 홀(34)의 외측에 결합 보스(33)가 배치되므로, 종래의 광가이드부에 형성된 결합 보스보다 외측부(3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가이드부의 휘도 균일도는 ±25 mm 기준으로 약 36.9%이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30)의 휘도 균일도는 ±25 mm 기준으로 약 70%이다. 실험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30)는 종래의 광가이드부와 비교하여 약 두배의 휘도 균일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공기질 측정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공기질 측정 장치(1)의 분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부 케이스(10), 광가이드부(30) 및 하부 케이스(20)를 도시하였고 그 외의 내부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10), 광가이드부(30) 또는 하부 케이스(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10), 광가이드부(30) 또는 하부 케이스(20)와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 측정 장치(1)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부 케이스(20)의 제1 하부 프레임(22)이 광가이드부(3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2)의 제1 결합 홀(221)과 광가이드부(30)의 결합 보스(33)에 체결된 제1 스크류(38)를 분리시킴으로써 제1 하부 프레임(22)과 광가이드부(30)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크류(38)의 헤드부는 하측을 향하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광가이드부를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광가이드부(30)가 상부 케이스(10)로부터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에서 추가로 제1 하부 프레임(22)이 생략되었다. 도 11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10) 또는 광가이드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10) 또는 광가이드부(30)와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30)는 결합 보스(33)가 상부 케이스(10)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의 상부 결합 보스(123)와 광가이드부(30)의 결합 홀(34)에 체결된 제2 스크류(39)를 분리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12)과 광가이드부(30)를 분리할 수 있다. 제2 스크류(39)의 헤드부가 상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부 케이스(10)의 윈도우(11)를 우선적으로 분해한 후 상부 프레임(12)과 광가이드부(30)를 분해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11)를 상부 프레임(12)으로부터 분해하는 동안 윈도우(11) 또는 상부 프레임(12)에 외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경우, 제2 스크류(39)의 헤드부가 하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부 케이스(10)의 윈도우(11)를 우선적으로 분해할 필요 없이 바로 광가이드부(30)를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0)의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20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의 구성과 일부 동일할 수 있다. 도 12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200)는 내측부(1210), 외측부(1220), 결합 보스(1230), 결합 홀(1240), 리브(1250), 또는 홈(12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200)의 내측부(1210), 외측부(1220), 결합 보스(1230), 결합 홀(1240) 또는 홈(1260)은 도 5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의 내측부(31), 외측부(32), 결합 보스(33), 결합 홀(34) 또는 홈(37)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1200)에는 복수개의 리브(1250)가 마련될 수 있다. 리브(1250)는, 예를 들어, 복수의 결합 보스(1230)의 간격마다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리브(1250)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호(arc)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4개의 리브(1250)는 대략적으로 원주의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1250)는 직선의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의 결합 보스(1230) 사이마다 배치된 직선의 리브(1250)는 대략적으로 다각형의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1250)는 결합 보스(1230)의 외측에서, 결합 보스(33)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브(1250)는 광원부(예: 도 3의 광원부(40))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결합 보스(1230)에 집중되어 휘도를 불균일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 결합 보스(1230)와 중첩되는 곳 이외의 지역에만 마련되어, 빛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이미 빛이 집중되는 결합 보스(1230)의 주위에는 리브(1250)를 생략하여, 결합 보스(1230)측에 빛이 집중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1200)에서 홈(1260)이 생략되더라도 리브(1250)에 의해 휘도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30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의 구성과 일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300)는 내측부(1310), 외측부(1320), 결합 보스(1330), 결합 홀(1340), 리브(1350), 또는 홈(13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300)의 내측부(1310), 외측부(1320), 결합 보스(1330), 결합 홀(1340), 리브(1350) 또는 홈(1360)은 도 5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의 내측부(31), 외측부(32), 결합 보스(33), 결합 홀(34) 또는 홈(37)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1300)는 관통 홀(1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 홀(1370)은, 예를 들어, 결합 보스(13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370)은, 예를 들어, 결합 보스(13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 결합 보스(13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370)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부(예: 도 3의 광원부(40))가 조사하는 빛은 내측부(131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370)로 향하는 빛의 일부는 관통 홀(1370)을 관통하여 이동하거나, 관통 홀(1370)을 우회하여 이동할 수 있다. 관통 홀(1370)을 관통하는 일부 빛은 관통 홀(1370)의 형상에 의해 빛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 홀(1370)은 결합 보스(1330)에 빛이 집중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부(1300)에서 리브(1350) 또는 홈(1360)이 생략되더라도 관통 홀(1370)에 의해 휘도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홀(1370)의 내측면은 부식 적용될 수도 있다. 즉, 관통 홀(1370)의 내측면을 불규칙한 면으로 만들기 위해 요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40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의 구성과 일부 동일할 수 있다. 도 14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공기질 측정 장치(1)의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400)는 내측부(1410), 외측부(1420), 결합 보스(1430), 결합 홀(1440), 리브(1450), 또는 홈(14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400)의 내측부(1410), 외측부(1420), 결합 보스(1430), 결합 홀(1440), 리브(1450) 또는 홈(1460)은 도 5에 도시된 광가이드부(30)의 내측부(31), 외측부(32), 결합 보스(33), 결합 홀(34) 또는 홈(37)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1450)는 홈(14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1400)는 도 5의 광가이드부(30)와 비교해보면, 리브(1450)와 홈(1460)의 배치 관계에 차이가 있다. 입광면(1411)으로부터 이동하는 빛은 홈(1460)을 지나는 동안 분산되어, 결합 보스(1430)에 집중된 빛을 1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홈(1460)을 지난 후에는 리브(1450)에 의해 빛이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2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공기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부와 내측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보스가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하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및
    상기 내측부에 위치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외측부에 출광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 주변에서 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결합 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일부가 상기 결합 보스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과 접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결합 보스 사이에 마련된 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내측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리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된, 공기질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또는 상기 외측부는,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결합 보스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관통 홀을 더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결합 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해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결합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스 및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류는, 스크류 헤드가 하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공기질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스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리브는,
    복수개가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의 간격마다 각각 배치되는, 공기질 측정 장치.
  12. 원형의 광가이드부에 있어서,
    빛이 입광되는 입광면을 가지는 내측부;
    빛이 출광되는 출광면을 가지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 주변에 위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결합 보스; 및
    상기 외측부 주변에서 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결합 보스 사이에 위치하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 또는 상기 내측부는,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와 상기 결합 보스 사이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은,
    내측부가 요철 형상을 가지는, 원형의 광가이드부.
PCT/KR2022/019781 2022-02-03 2022-12-07 공기질 측정 장치 WO20231496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109A KR20230117855A (ko) 2022-02-03 2022-02-03 공기질 측정 장치
KR10-2022-0014109 2022-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41A1 true WO2023149641A1 (ko) 2023-08-10

Family

ID=8755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781 WO2023149641A1 (ko) 2022-02-03 2022-12-07 공기질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7855A (ko)
WO (1) WO202314964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18Y1 (ko) * 2014-04-15 2015-08-05 주식회사 이제갬 공기 측정 장치
KR20160062501A (ko) * 2014-11-25 2016-06-02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20170034466A (ko) * 2015-09-20 2017-03-29 정용국 스마트 연필꽂이 형 탁상조명
KR102043612B1 (ko) * 2019-03-08 2019-11-12 주식회사 비쥬드림 스마트 환경 센서 장치
KR20220007355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18Y1 (ko) * 2014-04-15 2015-08-05 주식회사 이제갬 공기 측정 장치
KR20160062501A (ko) * 2014-11-25 2016-06-02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20170034466A (ko) * 2015-09-20 2017-03-29 정용국 스마트 연필꽂이 형 탁상조명
KR102043612B1 (ko) * 2019-03-08 2019-11-12 주식회사 비쥬드림 스마트 환경 센서 장치
KR20220007355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855A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561B1 (ko)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WO2019009552A1 (ko) 출입 통제 장치
JP6171512B2 (ja) 照明装置及び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CN111356918A (zh) 空气质量杆模块和包括这种模块的灯柱
WO2016204552A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WO2010117210A2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
US20130136454A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US20120086340A1 (en) Air-cooling illumination apparatus
WO2023149641A1 (ko) 공기질 측정 장치
US10837612B2 (en) Luminaires
WO2013162125A1 (ko) 일체형 광센서 패키지
CN204554445U (zh) 多侦测功能的模块化改良照明装置
KR20200069960A (ko) 공기질 감지기
WO2017034064A1 (ko) 전자디바이스
US10760779B2 (en) Lighting fixture with auxiliary bay
KR20200072841A (ko) Ict기반 기술과 유해가스 측정 기술을 융합한 다중이용시설 전용 대기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장치
CN112614311B (zh) 一体化空气质量监测及报警系统
WO2023182653A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보호용 함체
WO2014173245A1 (zh) 智能型消防方向指引装置
US11242966B2 (en) Built-in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ght source unit
WO2011074726A1 (ko) 광원 핸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특성 측정 장치
KR102070228B1 (ko) 멀티 센싱 공기질 측정 장치
WO2014077485A1 (ko) 투명하우징을 이용한 광센서 패키지
WO2024101569A1 (ko)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실내위치정보 확인 방법 및 장치
WO201908843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51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