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6656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6656A1
WO2023136656A1 PCT/KR2023/000661 KR2023000661W WO2023136656A1 WO 2023136656 A1 WO2023136656 A1 WO 2023136656A1 KR 2023000661 W KR2023000661 W KR 2023000661W WO 2023136656 A1 WO2023136656 A1 WO 20231366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ation
disposed
tray
cook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6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기
소일섭
이원진
차현병
조연아
김대웅
육지민
이상윤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616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1008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616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10087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366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66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 Various types of cooking appliances for heating food at home or in restaurants are being used.
  • various cooking appliances such as a microwave oven, an electric range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a grill heater are being us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3-0062038 discloses a heating device for continuously keeping food warm
  •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944012 discloses a state in which food is placed in a container.
  • a thermostat for heating and keeping warm at a constant temperature has been disclosed.
  •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5693 disclose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cooked food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 U.S. Patent Publication No. 20060185527A1 proposes a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keeping food warm in two partitioned compartments with a wall fixture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above prior art 4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space of the two compartments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mell of food can be transmitted, and only the function of simply keeping food warm is provided.
  • adapters for power supply are us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ncluding cooking appliances.
  • One end of the adapter may be connected to an outlet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product.
  • An adapter may be coupled to an electronic product to supply DC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 use, the adapter may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product.
  • the two electrodes can be connected to the plus terminal and the minus terminal of the electronic product, respectively.
  • the electrodes of the adapter are exposed, and when the exposed electrodes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or immersed in a fluid, electricity is generated and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 the adapter does not have a grounding function, current leaks through the electrodes, and it is easy to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9610 (Prior Art 1) includes a leakage-preventing conductor in order to prevent electric leakage caused by flooding between both terminals of an outlet.
  •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83617 (Prior Document 2) discloses a technology for detecting whether standby power exceeds a reference value using a hall senso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food even after removing food from a cooking applian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cooking chambers inside one cooking appliance, but to clearly divide the cooking chambers so that odors of food are not transmitt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independently set heating temperatures of a plurality of cooking chamber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humidity of food as well as the function of keeping food war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lock the internal circuit of the supply module (power adapter)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supply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without a separate main control unit and power suppl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supply module is coupled to the receiving module (power supply unit) of the cooking appliance by magnetic force, and power is supplied only in the coupled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tion equipped with a first power supply, and a first tray can be seated in the first station.
  • the first tray may have a built-in first heater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 a second station forming a cooking chamber betwee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a second heater unit of the second tra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of the second station may be operated. Therefore,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nd maintain the taste and aroma of the food even after the food is taken out of the cooking appliance.
  •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 first tray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 second station may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 a cooking housing having a cooking chamber insid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may be provided in the cooking housing.
  •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door may be rotated betwee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 the cooking housing may include a fixed housing fixed betwee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cooking compartment while being rotated betwee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 the first station may include a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that sucks in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 the first station may include a lower plate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forming a first storage spac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 the first st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irst power supply device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tray.
  • the second sta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that sucks in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discharges it back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 a bearing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door, and the bearing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station or the second station.
  • the first power supply may include a transmission module, and the first tray may include a reception modul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 the second power supply may include a transmission module
  • the second tray may include a reception modul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 the first tray may includ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ation and a seating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 a heat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 a receiving module receiving power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of the first station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and a first heater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receiving module and heating food may be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 a battery for receiving and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station may be provided in the heating space, and the first heater unit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 a heating plate for transferring heat from the first heater unit to the food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 an insulating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plate and the heater unit.
  • a tray light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along an edge of the heating space.
  • the second station may include a storage plate having a lower surfac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cov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late.
  • the cover plate may form a second storage space between the storage plat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tray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 a second air condition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power supply device.
  • a station light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storage plate toward the cooking chamber.
  • hand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station.
  • the handle may include a handle lighting unit, and the handle lighting unit may radiate light toward the second station.
  • a mount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handle, and a wire harness connecting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 the second station may include a door lever for opening the door, and the door lever may rot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tation.
  • the second station may include a circulation control le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exhaust duct, and the circulation control lever may be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ly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provided with an output terminal, and a receiving module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 the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a drive magnet unit, and the supply module may include a Hall sensor facing the drive magnet unit. At this time, when the supply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come into contact, the Hall sensor may detect magnetism of the driving magnet part and apply a signal to the switch part of the supply module.
  • the switch unit may connect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lus input terminal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Therefore, since power is not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upply module before the supply modu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module, stability can be improved.
  •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relay.
  • a Common (COM) terminal of the relay may be connected to the plus input terminal, and a Normal Close (NC) terminal of the relay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 COM Common
  • NC Normal Close
  • the output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 the input terminal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can do.
  • a normally closed (NC) terminal of the relay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lay.
  • the first output terminal may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output terminal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pply module.
  • the supply module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second output terminal disposed in the center.
  • surfaces of the supply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facing each other may each have a curved shape.
  • a magnetic chain coupling block may be embedded in the supply module at a position facing the drive magnet unit.
  •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heater unit built in the tray can heat food. Therefore, the tray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food even after the food is taken ou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taste and aroma of the food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meal process.
  • the tray serves as a kind of container, the user does not need to prepare a separate container to contain the food taken out of the cooking appliance, resulting in high usability.
  •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oking space (cooking chamber) betwee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and a second cooking space above the second station.
  • the first cooking space may be configured as an airtight space surrounded by a cooking housing. Since each cooking space i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mell of food from being transferr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oking spaces.
  •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tation and the second station, respectively, and a heater unit may be incorporated in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respectively.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can be set differently, the user can independently set the temperature of various foods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circulate or discharg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 the humidity of food can be maintained,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e humidity of food can be lowe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ok food in various modes with a single cooking appliance,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battery of the tray when the tray is seated in the station, the battery of the tray may be charged wired or wirelessly. Therefore,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o fill the tray,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high.
  • a heating wire or a heater may be omitted. Therefore,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miniaturized,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cooking appliance in the kitchen or dining table is narrow, thereby increasing the usable area.
  • the station, the tray, the cooking housing, and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ircular or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curved appearance as a whole. Therefor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niform aesthetic feeling as a whole.
  • lighting may be disposed on each station, tray, and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lighting may emit light not only inside the cooking chamber but also around the cooking applian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driving magnet unit of the receiving module may turn on the hall sensor of the supply module.
  • the hall sensor may apply a signal to the switch unit of the supply module, and the switch unit may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module by electrically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supply module and a plus input terminal of an external power supply. Therefore, power is not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upply module before the supply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module, and even if terminals of the supply module are connected, no electric shock or short circuit occurs, so stability can be improved.
  • the supply module or the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ntroller (microcomputer), etc., and a power cut-off means for turning on/off the power supply only with a hall sensor, a driving magnet part, and a switch part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even if the power cut-off unit is built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device is not complicated, and the power supply device can be miniaturized.
  • the supply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driving magnet part, rather than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y a press-fitting method between terminals. Therefore, there is also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operation for coupling the supply module to the receiving module.
  • the supply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have curved stru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supply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can be naturally aligned with each other. Therefore, connection stability of the power supply can also be impr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opened state of the door in one embodiment of Figure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lly opened state of the door in one embodiment of Figure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FIG. 1 are disassembled from a first station and a second station, respectively;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1;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1;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s of the first station and the first tray in FIG. 6;
  •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 9;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bearing is mounted on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coupled to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included in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austs air.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air conditioner included in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15;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austs air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 16;
  •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tra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tra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19;
  •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a first tra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tra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tra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2 disposed above a second station;
  •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24;
  •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a second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cond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econd station and a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bearing is coupled to a second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econd station;
  •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a second sta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wer adapt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ower adapt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adapt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ower supply unit of a first station;
  • 35 and 3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power adapt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first station.
  • FIG. 3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a first mode inside a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the second mode inside the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a third mode inside the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FIG. 4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and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 41;
  • FIG. 4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sta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FIG. 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FIG. 4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44;
  • FIG. 4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is in an air circulation mode;
  • FIG. 4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is in an air circulation mode;
  • FIG. 4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is in an air discharge mode;
  • FIG. 4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is in an air discharge mode;
  • FIG.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circulation frame of an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a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FIG. 5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circulation frame of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50;
  • FIG. 5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circulation frame of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FIG. 53 and 54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states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first s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is in an air circulation mode and an air discharge mode;
  • FIG. 5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an air circulation mode inside the cooking chambe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FIG. 5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air is circulated in the air discharge mode in the cooking chambe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0;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heat food (food to be cooked) for cooking o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foo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capable of heating food, and the tray can receive power from the station.
  • the structure of the station and the tray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constituting the cooking appliance may have a disk shape.
  • the cooking housing 500 connecting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refore,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cooking appliance made by the first station 100, the second station 300, and the cooking housing 500 may be a cylindrical shape with a curved surface.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two cooking space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 the cooking chamber S may serve as a first cooking space
  •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ay 200B may serve as a second cooking space.
  •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an empty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tation 100, the second station 300, and the cooking housing 500.
  • the cooking chamber S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door 550 to be described below is opened.
  • the door 550 can be seen in a half-open state
  • FIG. 3 the door 550 can be seen in a fully opened state.
  • the first tray 200A can be taken out of the cooking chamber S.
  • both the first tray 200A and the second tray 200B disposed in the second station 300 are separat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 the first tray 200A and the second tray 200B containing food may be separat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 both the first tray 200A and the second tray 200B have a heater unit 280 and a separate battery 270, the first tray 200A or the second tray ( 200B) may maintain the temperature of food while the user eats.
  • the cooking chamber S which is the first cooking space
  •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tray 200B which is the second cooking space
  • the cooking chamber S may also be changed into an open space.
  • the cooking chamber S does not stop at simply heating food, but may be used to maintain the humidity of food by circulating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or to lower the humidity of food while continuously discharging air. Also, in the cooking chamber S, the lower part of the food may be directly heated by the first tray 200A, and the food may be heated through convective heat circulating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ay irradiate light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S an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a station lighting unit 39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tation 300, and a tray lighting unit 29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ray 200A and the second tray 200B.
  • a handle lighting unit 620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600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
  • FIG. 7 and 8 show structures of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first tray 200A.
  • the first tray 200A can be seated on the first station 100 .
  • the first station 100 may form a lower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nd may be a place where the first tray 200A is seated.
  • the first station 10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tray 200A.
  •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tation 10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tray 200A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 the structure of the first station 100 is shown.
  • the first station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disk structure.
  • the first tray 200A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lower side may b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refore, the first station 100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station 100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irst station 100 may have other shapes including a polygonal shape.
  • a plurality of seating legs 112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irst station 100 .
  • the seating leg 112 enables the first station 100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 the seating leg 112, together with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 part where the cooking appliance is seated on the ground.
  • the first station 1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11, the first station 100 is shown in an exploded state. As can be seen, the first station 100 may include a lower plate 110 and an upper plate 120 .
  • the lower plate 11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recessed downward.
  • the upper plate 1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0 to form a first storage space 111 (see FIG. 5) therebetween.
  • An air outlet 115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110 .
  • the air discharge unit 115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storage space 111 to the outside.
  • the air outlet 115 may have a slit structure formed lo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
  • a plurality of air outlets 115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110 .
  • the air outlet 115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to smoothly discharge air. And, the air discharge part 115 may be formed closer to the lower end than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10 .
  •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late 110 .
  • a power adapter 700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may be coupled to the power unit 190 .
  • external AC current can be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by the power adapter 700 and then supplied to the first station 100 . Therefore, the power unit 190 can be regarded as a receiving module, the power adapter 700 can be regarded as a supply module, and the power unit 190 and the power adapter 700 can constitute a power supply device.
  • Reference numeral 190a denotes an inlet into which the power adapter 700 is inserted. The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power adapter 70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 a bearing mounting portion 1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20 .
  •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outside of the seating base 13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20 .
  •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122 may have a structure recessed downward of the upper plate 120 .
  •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ring-shaped first bearing 140 may be disposed thereon.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aring 140 is disposed on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122.
  • an air suction unit 125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120 .
  • the air intake part 125 may be opened toward the cooking chamber (S).
  •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12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15 or may be supplied to the cooking chamber S through the air intake unit 125 again.
  • a plurality of air intake units 125 may be disposed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the air intake unit 125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continuous hole.
  • the air intake portion 125 may be formed on plate inclined portions 123 and 124 formed in an inclined shape on the upper plate 120 .
  • the plate inclined parts 123 and 124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art 123 and a second inclined part 124 .
  •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4 and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ighting mounting portion 314 .
  •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4 may be formed in an upwardly inclined direction from the seating base 130 .
  •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4 may create a concave shape at the center of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ating base 130 may be disposed therein. Accordingly, the first tray 200A may be aligned with the seating base 130 .
  • the seating base 130 is preferably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wireless charging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150 and the receiving module 250 to be described below.
  • the seating base 130 may have a substantially disc structure.
  • the seating base 13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object assembled to the upper plate 120, but otherwise may be integral with the upper plate 120.
  • the first bearing 140 may be formed into a ring shape.
  • the first bearing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550 and allows the door 550 to slide smoothly.
  • the first bearing 140 includes a ball to reduce friction when the door 550 is opened and closed while sliding.
  • the first bearing 140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bearing 140 may continuously include a first friction part 141 , a second friction part 143 , and a third friction part 14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earing 140 .
  • the first friction part 141 and the second friction part 143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m.
  • the second friction part 143 and the third friction part 145 also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m. This step may be a part engaged with a step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
  • the step of the first bearing 140 may also serve as a stopper to prevent the door 550 from being separated agai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earing 140 .
  • the first friction part 141 and the second friction part 143 can be seen as parts where the door 550 is fitted into the first station 100 when assembling the cooking appliance.
  • the first friction part 141 and the second friction part 143 may be formed in an area opened when the door 550 rotates, and the third friction part 145 is the door 550 that has been rotated. It can be seen that it is provid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ixed housing 510 of the cooking housing 500 .
  •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earing 140 .
  •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may slid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bearing 140 .
  • a magnet part 5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
  • the magnet part 57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
  • the magnet part 570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door 550 and can be fixed to a mating magnet or metal at a specific position.
  • the counter magnet or metal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tation 100 or the first bearing 140 .
  • the main controller 160 and the first power supply 1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1 .
  • the main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first power supply 150 and the first air conditioner 170 to be described below.
  • the main control unit 160 may also control the second power supply 350 and the second air conditioner 370 to be described below.
  • the second station 3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econd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power supply 350 and the second air conditioner 370. You may.
  • the first power supply 15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tray 200A.
  • the first power supply 150 may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module 250 of the first tray 200A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 the terminal part (not shown) of the first power supply 150 and the opposite terminal part (not shown) of the first tray 200A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heater unit 280 of the first tray 200A by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may form one power supply unit WC1 together with the receiving module 250 .
  • the first power supply 150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module, and the first transmission module can wirelessly supply power to the reception module 250 of the first tray 200A. That is, a wireless charg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magnetic resonance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250 each including a coil.
  • the first transmission module may be composed of a source coil and a transmission resonance coil (Tx resonant coil), and the reception module 250 is a reception resonance coil (Rx resonant coil) and a load coil (load coil). ) can be configured.
  • the first station 100 may include a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may control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For example, when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operates,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f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ooking chamber S is in a dry state. Accordingly, the moisture of the food is lowered, and the food can provide a crispy texture.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does not operate, the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is not exhausted, so humidity can be maintained.
  • the first motor (not shown) constituting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acts in reverse, so that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is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120, between the air intake part 125 of the upper plate 120 and the air discharge part 115 of the lower plate 110. can be connected. More precisely,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sucks in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125 and discharges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art 115. can do. To this end,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may include a structure for intake and a structure for discharging air.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storage space 111 . That is,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enter of the first storage space 111 . Since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circulat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oking housing (500) and moves downward of the cooking housing (500),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operates at the first station (100). If placed outside, the amount of intake air can be increased.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includes a first intake duct 171, a first control fan 180, and a first exhaust duct 185.
  • the first intake duct 171 may be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art 125
  • the first exhaust duct 185 may be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art 115 .
  • the first control fan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duct 171 and the first exhaust duct 185 .
  • the first intake duct 171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station 100 inside the first storage space 111 . 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 17 , the first intake duct 171 may extend in an arc shape concentrically with the upper plate 120 . In this cas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intake duct 171 from various directions. For reference, in FIG. 17 , the heating plate 23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20 is omitted, and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is exposed.
  • a suction space 172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intake duct 171 .
  • the intake space 172 is a kind of empty space and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take duct 171 .
  • an intake port 173 opened toward the air intake unit 125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ake space 172 .
  • the intake port 173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an edge of the first intake duct 171 .
  • a fan connector 175 may be formed below the suction space 172 .
  • the fan connector 175 is a portion opened toward the first control fan 180 . Air in the intake space 172 may be delivered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through the fan connector 175 .
  • the fan connector 175 may have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
  • a first control fan 180 may be disposed below the fan connector 175 .
  • the first control fan 180 may suck in and discharge air while rotating by a first motor (not shown). More precisely, the first control fan 180 may suck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through the first intake duct 171 and discharge the sucked air to the first exhaust duct 185. .
  • the first control fan 18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180A, 180B).
  • the pair of first control fans 180A and 180B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intake duct 171 . Since the pair of first control fans 180A and 180B have the same structure and play the same role, hereinafter, a single reference numeral 180 will be given to the first control fans 180A and 180B and described. .
  • a first exhaust duct 18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
  • the first exhaust duct 185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and may play a role of discharging air sucked by the first control fan 180 to the outside.
  • the first exhaust duct 185 may also be configured as a pair like the first control fan 180 .
  • one of the pair of first exhaust ducts 185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 a fan communication hole 181 for connection with the fan connection hole 175 is opened in the first control fan 180 .
  • the first exhaust duct 185 may be open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0 . More precisely, an exhaust port 186 opening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exhaust duct 185 .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exhaust duct 18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air discharge part 115 of the lower plate 110 .
  • the first exhaust duct 185 may gradually widen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0 . Through this, the first exhaust duct 185 can more smoothly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to the outside. Unlike the above embodiment, only one first exhaust duct 18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
  • FIG. 16 shows the flow of air.
  •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passes through the first intake duct 171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art 125 of the upper plate 120. It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space 172.
  • the air in the intake space 172 is delivered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through the fan connector 175, and the first control fan 180 supplies air to the first exhaust duct 185. discharge with Finally,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87 of the first exhaust duct 185 .
  • the flow of air is also shown in FIG. 18.
  • the lower plate 110 is omitted and only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is shown.
  • the intake ports 173 of the first intake duct 171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take duct 171. Therefore, air intake through the intake port 173 can be smoothly performed.
  • Reference numeral 186 denotes an exhaust passage opening from the first exhaust duct 185 toward the first control fan 180 .
  • the first tray 200A will be examined.
  • the first tray 200A may be placed on top of the first station 100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tation 100 .
  •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station 100, and food in the first cooking compartment S can be heated.
  • the user can use the first tray 200A as a kind of container.
  • the heater unit 280 and the battery 270 are provided in the first tray 200A, even if the first tray 200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ation 100, the heater unit ( 280)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food while operating.
  • the first tray 200A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tray 200B disposed in the second station 300 . Therefore, hereinafter, the first tray 200A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tray 200B will be omitted.
  • the first tray 200A may have a substantially disc shape. Since the first tray 200A is used for placing food thereon (see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surface is flat or concav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y 200A is seated o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upper surface serves as a place to put food.
  • the first tray 200A has a built-in heater unit 280 to heat food.
  • the heater unit 280 can also be driven by the battery 270, the food can be h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first tray 200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ation 100.
  • the first tray 200A may include a support plate 210, a seating plate 220, a receiving module 250, a tray control unit 260, a battery 270, and a heater unit 280.
  • the support plate 210 and the seating plate 220 may be coupled so that a heating space 211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 the receiving module 250 , the tray control unit 260 , the battery 270 , and the heater unit 280 may be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211 .
  • the support plate 210 may have a shape of a bowl recessed downward. Also, a seating plate 22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late 210 may be disposed above the support plate 210 .
  • a heating plate 23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220 to transfer heat from the heater unit 280 to the food.
  • the heating plate 2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heater unit 280 to food.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plate 2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 the receiving module 250 may be inductively coupled to the first transmitting module of the first station 100 .
  • the receiving module 250 may include a receiving resonant coil and a load coil. Also, the receiving modul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270 to charge the battery 270 .
  • a magnetic field having a specific oscillation frequency may be formed. This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resonant coil to form an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source coil and the transmission resonant coil.
  • the transmission resonant coil may form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with the reception resonant coil of the reception module 250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to transmit power.
  • the receiving resonant coil may again form an inductive coupling with the load coil to induce a current in the load coil and transfer the current to a load.
  • the tray control unit 260 may control the receiving module 250 and the heater unit 280 .
  • the tray controller 260 may charge the battery 270 by controlling the receiving module 250 .
  • the tray control unit 260 can turn on/off the heater unit 280 .
  • the tray controller 26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60 of the first station 100 and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160 .
  • the heater unit 28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270 .
  • the heater unit 280 may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270 .
  • the heater unit 280 may be a flat plate type heater.
  • the heater part 280 may be composed of a carbon heater.
  • the heater unit 28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ting plate 230 and generate far-infrared hea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tray control unit 260 .
  • the tray control unit 260 does not supply power to the heater unit 280 from the battery 270, but to the power supply unit 190. Power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eater unit 280 . Meanwhile, the battery 27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heater unit 280 may be heated only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Even if the battery 270 is omitted, since the heater unit 280 gradually cools down after being heated, food can be kept warm during that time.
  • a tray lighting unit 29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tray 200A.
  • the tray lighting unit 29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tray 200A.
  • the tray lighting unit 290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LEDs may be mounted inside the tray lighting unit 290 . At this time, it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late 210 .
  • the tray lighting unit 290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upport plate 210 .
  • the tray lighting unit 290 can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by radiating ligh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ray 200A.
  • a tray control unit 26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eating space 211 .
  • a pair of batteries 27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y control unit 260 .
  • the receiving module 250 may be disposed below the tray control unit 260, and the heater unit 280 may be disposed at an opposite upper side.
  • an insulating plate 28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er unit 280 and the tray control unit 260 .
  • the heat insulating plate 285 may prevent heat from the heater unit 28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y control unit 260 , the battery 270 , the receiving module 250 , and the like.
  • the insulating plate 285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sulating properties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heater unit 280 .
  • the insulating plate 285 may be omitted from the first tray 200A.
  • the second station 300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station 100 .
  • the second station 30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cooking chamber S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do.
  • the first station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station 300 .
  • a second tray 200B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tation 300. Unlike the cooking chamber S,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y 200B may be an exposed space.
  • the second station 300 When the first station 100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S, the second station 300 constitutes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S.
  • the second station 300 (i) can supply power to the second tray 200B, (ii) can circulate air in the cooking compartment (S), and (iii) can supply power to the cooking compartment (S).
  • Light can be irradiated, and (iv)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housing 500 can be supported with the second bearing 340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second station 300 includes a storage plate 310, a cover plate 330, and a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can do.
  • the storage plate 310 may have a substantially disk structure.
  • the storage plate 310 may form a skeleton of the second station 300 .
  • a second storage space 311 may be formed above the storage plate 310 .
  •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storage plate 310 is recessed downward.
  • a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
  • a second power supply 350 for wireless charging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
  • the second power supply 350 may supply power to the second tray 200B.
  • the second power supply 350 may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module 250 of the second tray 200B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 the terminal part (not shown) of the second power supply 350 and the opposite terminal part (not shown) of the second tray 200B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heater unit 280 of the second tray 200B by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350 may form one power supply unit WC2 together with the receiving module 250 .
  • the second power supply 350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module, and the first transmission module can wirelessly supply power to the reception module 250 of the second tray 200B. That is, a wireless charg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magnetic resonanc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250 each including a coil. Since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ower supply 35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power supply 15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 light mounting part 314 may be provided on the storage plate 310 .
  • the light mounting portion 31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storage plate 310 is recessed downward.
  • the light mounting part 314 has a concentric structure with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and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
  •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may be partitioned from the light mounting portion 314 to prevent heat from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ight mounting portion 314 .
  • the air duct 3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and become a part of a path for circulating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 a separate pipe structure connecting the air duct 313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may be added.
  • An extension plate 320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plate 310 .
  • the expansion plate 320 may have a disk structure with an approximately empty center.
  • the expansion plate 32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to increase the overall diameter of the second station 300 while surrounding the outer end of the storage plate 310 .
  • the expansion plate 320 may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ation 300 to increase the area on which the second tray 200B is seated.
  • the extension plate 320 may be omitted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rage plate 310 .
  • a cover plate 330 may be disposed above the storage plate 310 .
  • the cover plate 330 may cover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and the lighting mounting part 314 .
  • the cover plate 330 may be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wireless charging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250 of the second tray 200B.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tray 200B is seated on the cover plate 330 .
  • a second bearing 34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second bearing 3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so that the door 550 can rotate smoothly.
  • the second bearing 340 may have a ring shape.
  • the second bearing 3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plate 310 and the expansion plate 320 .
  •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earing 340 .
  •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may slid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bearing 340 .
  • a magnet part 59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
  • the magnet part 590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
  • the magnet part 590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door 550 and can be fixed to a mating magnet or metal at a specific position.
  • the counter magnet or metal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tation 300 or the second bearing 340 .
  • a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is disposed in the second station 300 to circulate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may suck in the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and then discharge the air back into the cooking chamber (S).
  •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of the cooking chamber S, and since the air heated by the first tray 200A rises upwards in the cooking chamber S,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can effectively circulate the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includes a second intake duct 380, a second control fan M2, and a second exhaust duct 371.
  • the second intake duct 380 may be connected to the cooking compartment S, and the second exhaust duct 371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cooking compartment S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intake duct 380.
  • the second control fan M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take duct 380 and the second exhaust duct 371 .
  • the second control fan (M2) is coupled to the second intake duct (380).
  • the second intake duct 38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
  •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may be opened toward the cooking chamber S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oking chamber S through the air duct 313 .
  • the second control fan M2 When the second control fan M2 is operated, the second intake duct 380 can suck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 a duct body 381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intake duct 380, and an intake space 382 may be formed inside the duct body 381.
  • Reference numeral 383 denotes a duct outlet of the second intake duct 380.
  • the duct body 385 of the second intake duct 380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drawing, and the duct outlet 383 can be opened at the end of the duct body 385. .
  • the second exhaust duct 371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outlet 383 .
  • the second exhaust duct 371 serves to discharge the air delivered to the second control fan M2 through the second intake duct 380 .
  • the outlet 375 of the second exhaust duct 371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cooking chamber (S).
  • the inlet 373 of the second exhaust duct 371 is connected to the outlet 387 of the second intake duct 380, and the outlet 375 of the second exhaust duct 371 Is open toward the cooking chamber (S).
  • the outlet 375 of the second exhaust duct 371 may be opened to the cooking chamber S through an exhaust hole 315 (see FIG. 31 )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311 .
  • the second control fan M2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fan M2 may serve as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second transmission module in the process of sucking in and discharging air.
  • a door lever 387 for opening the door 55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door lever 387 is connected to the door 550 and can rotate along the guide slit 327 formed in the extension plate 320 .
  • the door 55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door lever 387 .
  • the user may directly grip the door 550 to rotate the door 550.
  • 28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lever 387 is rotat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handle 600 .
  • the second station 300 may also include a circulation control lever 388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exhaust duct 371 .
  • the circulation control lever 388 may be connected to a blade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exhaust duct 371 .
  • the circulation control lever 388 may rotate along the control slit 328 formed in the extension plate 320 .
  • the circulation control lever 388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tation 300, the opening area of the outlet 375 of the second exhaust duct 371 can be adjusted while the blade rotates. Accordingly,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by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is changed, and the amount of air circulated in the cooking chamber (S) can be adjusted.
  • the circulation control lever 388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60 and used to directly control the speed of the second control fan M2.
  • a station lighting unit 390 may be provided on the storage plate 310 to face the cooking chamber S.
  •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is disposed on the lighting mounting unit 314 and can irradiate light downward, that is, to the cooking chamber S.
  •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may have a ring-shaped skeleton.
  • a plurality of LEDs 395 are provided inside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to illuminate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cooking chamber S can be illuminated by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
  •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
  •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LEDs arranged along the lighting mounting unit 314 .
  • FIG. 31 shows the second station 300 viewed from below.
  • the station lighting unit 390 may be expos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tation 300 .
  • an exhaust hole 31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tation 300, and the outlet 375 of the second exhaust duct 371 is directed downward through the exhaust hole 315, that is, the cooking chamber S ) direction can be exposed.
  • the cooking housing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cooking housing 500 can be regarded as constituting a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S. That is, a cooking housing 500 having a cooking chamber S formed therei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cooking housing 500 includes a fixed housing 510 fixed betwee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fixed housing 510 may maintain a fixed state betwee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fixed housing 510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 the cooking housing 500 may include a door 550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fixed housing 510 .
  • the swing door 550 can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cooking chamber S while being rotated between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door 550 may also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and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earing 140 and the second bearing 340, respectively.
  • the lower part 560 of the door 550 and the upper part 580 of the door 55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through the first bearing 140 and the second bearing 340,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nected to (300).
  •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560 of the door 550 is connected to the first bearing 140 is shown in FIG. 14,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580 of the door 5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earing 340. is shown in Figure 29.
  • the cooking housing 500 may not have a cylindrical shape.
  • the cooking housing 5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 the door 550 does not rotate in a direction overlapping or unfolding on the fixed housing 510, but may be rotated based on a separate hinge or may be a sliding door that moves along a straight path.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andle 600 .
  • the handle 600 is used to hold the cooking appliance,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respectively.
  • the handle 600 can also serve to connect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and also serve to illuminate the second tray 200B through the handle lighting unit 620. can
  • the upper end 610 of the handle 60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station 300 .
  •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600 is formed in an arch shape, so that the cooking appliance can give a uniform aesthetic feeling as a whole.
  • an empty mounting space 615 may be formed inside the handle 600 .
  • a wire harness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615 .
  • a handle lighting unit 6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end 610 of the handle 600 .
  • the knob lighting unit 620 may emit light toward the second station 300 .
  • a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625 inside the handle lighting unit 620 may be disposed along the upper end 610 of the handle 600 .
  • the power adapter 700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0) of the first station 100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15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350.
  • a power cable (PC) is connected to the power adapter 700, and a plug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PC).
  • the power adapter 700 is a supply module, and the power unit 190 may be regarded as a receiving module.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adapter 700 may supply DC power to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90 .
  • the adapter body 710 of the power adapter 700 may have an output terminal.
  • the output terminal is for supplying power and may include a first output terminal 720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730 .
  • the first output terminal 720 may have a circular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disposed in the center.
  • the first output terminal 720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may be a minus terminal and a plus terminal, respectively.
  • a switch unit 740 and a Hall sensor 7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power adapter 700 .
  • the switch unit 740 is a component that can short-circuit power like a relay. At this time, the switch unit 7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and the plus input terminal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respectively. and.
  • the hall sensor 750 may not apply a signal to the switch unit 740 when magnetic force lines are no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0, which is a receiving module.
  • the hall sensor 750 can be switch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by the magnetic force line by the driving magnet part 195 of the power supply part 190 . Then, the hall sensor that is turned on applies a signal to the switch unit 740, and accordingly, the switch unit 740 can be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 a normally closed (NC) terminal of the switch unit 7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witch unit 74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
  • the Hall sensor 750 when lines of magnetic force are transmitted to the Hall sensor 750 from the driving magnet part 195 of the power supply part 190 provided in the first station 100, the Hall sensor 750 is affected by the Hall effect. A signal can be sent to the switch unit 740 by At this time, the switch unit 740 is changed to a closed state, and the plus input terminal of the external power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connected to the NC (Normal Clos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lux input terminal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 the switch unit 740 -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 the second input terminal 193.
  • the power adapter 700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0. External power is not a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of the power adapter 700 before it is turned on. Therefore, even if the first output terminal 720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me in contact with liquid or body, short circuit or electric shock can be prevented. That is, even if the power adapter 700 is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no current is applied, safety can be improved.
  • the power adapter 700 may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disposed in the center.
  • the power supply body 191 forming the skeleton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have a structure with a depressed center.
  • a protruding portion of the power adapter 700 may be disposed in a recessed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power body 191 . That is, surfaces of the power adapter 70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facing each other are each curv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power adapter 70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be accurately aligned with each other.
  • the first input terminal 192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190 faces the first output terminal 720
  • the second input terminal 193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190 faces the second output terminal 720. It may face terminal 730 .
  •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agnet unit 195, and the driving magnet unit 195 may face the hall sensor 750 of the power adapter 700.
  • the first input terminal 192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193 have a pin structure.
  • the lines of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agnet part 195 are at a distance that does not affect the Hall sensor 750 of the power adapter 700 . Therefore, before the switch unit 740 is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by the hall sensor 750, the positiv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cable (PC) is a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of the power adapter 700, plus terminal) is not transmitted. Accordingly, even if a conducto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720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electricity may not be conducted therebetween, and electric shock may not occur even if the body contacts the body.
  • PC power cable
  • the switch unit 740 When the switch unit 740 receives a signal applied to the hall sensor 750 and is in a closed state, the common terminal of the switch unit 740 is connected to the NC (Normally Closed)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 the positive voltage of the power cable (PC)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through a normally closed (NC) terminal.
  • the second output terminal 730 may contact and electrically connec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193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
  • the power adapter 700 can supply a positive voltage to the power supply unit 190 .
  • a coupling block which is a magnetic chain, may be embedded in the power adapter 700 at a position facing the driving magnet unit 195.
  • the coupling block generates magnetic force between the drive magnet unit 195 and, accordingly, the power adapter 700 can maintain a coupled state with the power unit 190 with its own force.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power adapter 700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0 by such magnetic force. can be kept stable.
  • FIG. 37 to 39 show the air circulation mode of the cooking chamber 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of the first station 100 is not operated, and only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of the second station 300 can be operated.
  • the second intake duct 380 can suck in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Arrow 1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sucks in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 the second exhaust duct 371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fan M2 discharges the sucked air into the cooking chamber S. The discharged air may be sucked in again by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while being circul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oking housing 500 .
  • Arrow 2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discharges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 air circulation in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performed.
  • the lower part of the food may be directly heated by the first tray 200A, or the food may be heated through convective heat circulating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the humidity of food can be maintained.
  •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of the second station 300 is not operated, and only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of the first station 100 can be operated.
  • the first intake duct 171 may suck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Arrow 1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sucks in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 the first exhaust duct 185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discharges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n this process, the humidity of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lowered, and the humidity of the food may also be lowered.
  • Arrow 2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discharges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to the outside.
  • FIG. 39 shows a process in which air circulation and discharg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humidity of the food is lowered and heating by convection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circulate the air while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to the outside.
  •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of the first station 100 is also operated, and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of the second station 300 may also be operated.
  • the first intake duct 171 may suck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the first exhaust duct 185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fan 180 discharges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humidity of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lowered, and the humidity of the food may also be lowered.
  • Arrow 2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170 discharges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to the outside.
  • the second intake duct (380) can suck in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Arrow 3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sucks in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 the second exhaust duct 371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fan M2 discharges the sucked air into the cooking chamber S. The discharged air may be sucked in again by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while being circul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oking housing 500 .
  • Arrow 1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370 discharges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 FIGS. 40 to 56 other embodiments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40 to 56 .
  • struc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structure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an air conditioner 170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tation 100 .
  • the air conditioner 1700 is disposed in the first station 100, but a separate air conditioner 1700 is not disposed in the second station 300.
  • the air conditioner 1700 may circulat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or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ese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guide 173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700.
  • the first station 100 and the second station 300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However, the second station 30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first station 100 can form a cooking chamber S together with the cooking housing 500, and the second tray 200B can also be omitted. In this case, the first station 100 can be regarded as the base station 100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cooking appliance.
  • an air conditioner 170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tation 100 .
  • the air conditioning device 1700 may suck in air from the cooking chamber (S)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r supply the air to the cooking chamber (S) again to circulate the air in the cooking chamber (S).
  • the air conditioner 1700 may include fixing guides 1710 and 1720 fixed to the first station 100 and having a connection passage 1723 connected to the cooking chamber S. Also, a moving guide 1730 may be coupled to the fixed guides 1710 and 1720.
  • the moving guide 1730 includes a circulation opening 1735a opening the connecting passage 1723 (see FIG. 51) to the cooking chamber S and a discharge opening 1735b opening the connecting passage 1723 to the outside. can be formed When the moving guide 1730 moves relative to the fixed guides 1710 and 1720,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or the discharge opening 1735b may be selectively opened.
  • the fixing guides 1710 and 1720 are composed of a first fixing guide 1710 and a second fixing guide 1720, and a control fan is between the first fixing guide 1710 and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 M1 may be placed.
  • the control fan M1 may suck air from the first fixed guide 1710 and discharge it to the second fixed guide 1720 .
  • the first fixing guide 1710 and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continuous arc shape. Also, the first fixing guide 1710 and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may be disposed around the center of the first station 100 . That is, the air conditioner 17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storage space 111 formed inside the first station 100 .
  • An air suction unit 125 connected to the cooking chamber S may be formed in the first station 100 .
  • a suction space 1712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unit 125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xing guide 1710 .
  • a fan connector 1715 may be opened toward the control fan M1 in the suction space 1712.
  • the control fan M1 may be disposed under the fan connector 1715.
  • a connection passage 1723 connected to the suction space 1712 through the control fan M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space 1712 of the first fixed guide 1710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nection passage 1723 of the second fixed guide 1720 via the control fan M1.
  • Arrow 1 indicates the direction of air flowing along the suction space 1712
  • arrow 2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ontrol fan M1
  • arrow 3 indicates the air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It moves along the passage 1723
  • the arrow 4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of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 a circulation connector 1725a and a discharge connector 1725b which open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1723 .
  •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of the moving guide 1730.
  •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1735b of the moving guide 1730.
  •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openings 1735a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openings 1735b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lar arc direction of the moving guide 1730.
  •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and the discharge opening 1735b may each have a single elongated hole shape.
  • the moving guide 173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ed guide 1720.
  • the moving guide 1730 includes a first body 1731 having a circulation opening 1735a formed therein, and a second body 1732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731 and having a discharge opening 1735b formed therein can include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body 1731 and the second body 1732 of the moving guide 1730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is opened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is opened, respectively. there is.
  • Reference numeral 1737 denotes a control unit, and a user may directly grip the control unit 1737 or hold a separate lev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37 to rotate the moving guide 1730.
  • the moving guide 1730 and the second fixed guide 1720 may each form part of two circular shapes concentric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moving guide 1730 can rotate along the second fixed guide 1720. More precisely, the moving guide 17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lit 1726 (see FIG. 50) adjacent to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and can rotate along the mounting slit 1726. Alternatively, the moving guide 1730 may linearly move along the second fixed guide 1720.
  •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when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is disposed alternately with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the discharge opening 1735b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S. 46 and 47. Conversely, when the discharge opening 1735b and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are staggered,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S. 48 and 49.
  • the guide body 1721 constituting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may include a guide fence 1722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body 1731 comes into contact.
  • the guide fence 1722 may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and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are opened.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passage 1723 is formed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1721 .
  • FIG. 55 a state in which air is circulat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is shown.
  •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of the moving guide 1730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of the second fixed guide 1720, the discharge opening 1735b of the moving guide 1730
  • the fixing guide 1720 is in a closed state by crossing with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17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17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 and can be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arrow 3).
  • the continuously circulated air can maintain the humidity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 FIG. 56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S to the outside is shown.
  • the circulation opening 1735a of the moving guide 1730 is disposed alternately with the circulation connector 1725a of the second fixed guide 1720 and closed, and the discharge opening 1735b of the moving guide 1730 is closed.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of the second fixing guide 1720 and is in an open state.
  •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17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17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connector 1725b and the discharge opening 1735b. It can be discharged outward. (arrow 3 direction) In this way, the humidity inside the cooking chamber (S) can be low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제1전원공급장치(150)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100)이 포함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제1히터부(28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의 사이에 조리실(S)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션(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되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전원공급장치(3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제2트레이(200B)의 제2히터부(280)가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상기 제1트레이(200A) 및 제2트레이(200B)가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식사과정에서 음식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오븐,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그릴 히터 등의 다양한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장치들과 함께, 최근에는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기 위한 조리기기들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10-2013-0062038(선행기술1)에는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보온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1944012(선행기술2)에는 음식물을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일정한 온도로 가열 및 보온하기 위한 보온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15693(선행기술3)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들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탁에서 식사를 하면서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계속 조리하거나, 음식물을 보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음식물을 조리기기에서 꺼내는 순간부터 음식물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식사시간 동안 음식물의 맛과 향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위의 선행기술들은 한가지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보온하기 위한 것이며, 여러 음식을 동시에 조리 또는 보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공개특허 US20060185527A1(선행기술4)는 벽고정물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 두 개의 격실에 각각 음식물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위 선행기술4는 두 격실의 공간이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음식물의 냄새가 전달될 수 있고, 단순히 음식물을 보온하는 기능만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위의 선행기술들은 하부에 배치된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음식물의 아래쪽만 원활하게 가열 및 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기기들은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거나 보온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한편, 조리기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자제품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어댑터가 사용된다. 상기 어댑터는 일단부가 콘센트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자제품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는 전자제품에 결합되어 전자제품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어댑터는 전자제품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어댑터에는 두 개의 전극이 존재하고, 두 전극은 각각 전자제품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어댑터의 전극들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노출된 전극들 사이가 신체에 닿거나 유체에 담기면 통전이 이루어져 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어댑터에 접지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전극들을 통해 전류가 누설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누설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149610(선행기술1)에는 콘센트의 양단자간 침수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누전방지도전체가 포함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83617(선행문헌2)에는 홀센서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이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문헌들은 누전방지도전체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거나, 마이컴과 같은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위 선행문헌들은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어, 소형화가 어려운 면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조리기기 내부에 복수의 조리실을 마련하되, 각 조리실 사이를 명확하게 구획하여 조리실 사이로 음식물의 냄새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조리실의 가열온도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보온기능 뿐 아니라, 음식물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전원어댑터)이 조리기기로부터 분리되면 공급모듈의 내부의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메인제어부 및 전원공급 없이, 공급모듈이 조리기기로부터 분리되면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모듈이 자력에 의해 조리기기의 수신모듈(전원부)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제1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이 포함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제1트레이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제1히터부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에 제2트레이가 안착되면, 상기 제2스테이션의 제2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제2트레이의 제2히터부가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상기 제1트레이 및 제2트레이가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음식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는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스테이션은 상기 조리실의 천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조리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리하우징에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하우징은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 고정된 고정하우징과,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조리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1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1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다시 배출하는 제2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1스테이션 또는 상기 제2스테이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에는 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트레이에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에는 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2트레이에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는 상기 제1스테이션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가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공간에는 상기 제1스테이션의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공간에는 상기 제1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중심에는 상기 제1히터부의 열을 상기 조리물에 전달하는 가열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히터부의 사이에는 단열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간에는 상기 가열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트레이조명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테이션은 저면이 상기 조리실의 상면을 형성하는 수납플레이트와, 상기 수납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수납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2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수납공간에는 상기 제2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납공간에는 제2공기조절장치 배치될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플레이트에는 상기 조리실을 향해 스테이션조명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 및 상기 제2스테이션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는 상기 제2스테이션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손잡이조명부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조명부는 상기 제2스테이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실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와이어하네스는 상기 실장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레버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제2배기덕트를 여닫는 순환조절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조절레버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구비되는 공급모듈과, 상기 출력단자와 접촉되는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수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모듈에는 구동자석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모듈에는 상기 구동자석부와 마주보는 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이 접촉되면, 상기 홀센서가 상기 구동자석부의 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공급모듈의 스위치부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모듈이 수신모듈에 밀착되기 전에는 공급모듈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의 COM(Common) 단자는 상기 플러스입력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릴레이의 NC(Normal Close) 단자는 상기 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는 제1출력단자 및 제2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 및 상기 제2출력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1입력단자 및 제2입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NC(Normal Close)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출력단자는 상기 릴레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력단자는 상기 공급모듈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제2출력단자의 주변을 두르는 링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모듈은 중심에 배치된 상기 제2출력단자를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은 각각 곡면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모듈에는 상기 구동자석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자성체인 결합블록이 내장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기의 스테이션으로부터 트레이를 분리하더라도, 트레이에 내장된 히터부가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트레이가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식사과정에서 음식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트레이는 일종의 용기 역할을 하므로, 사용자는 조리기기에서 꺼낸 음식물을 담기 위해 따로 용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편의성이 높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는 제1스테이션과 제2스테이션 사이의 제1조리공간(조리실)과, 제2스테이션 상부의 제2조리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공간은 조리하우징으로 둘러싸여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각 조리공간 사이가 서로 구획되므로, 복수의 조리공간 사이로 음식물의 냄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각각 제1스테이션과 제2스테이션에 장착될 수 있고,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에는 히터부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여러 음식물의 온도를 기호에 맞춰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공기를 배출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리기기로 여러가지 모드의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기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트레이가 스테이션에 안착되면 트레이의 배터리가 유선 또는 무선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레이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리기기의 사용편의성이 높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의 가열을 위해 평판구조인 히터부를 사용하므로, 열선이나 히터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가 소형화될 수 있고, 주방이나 식탁에서 조리기기가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 가용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션, 트레이, 조리하우징 및 손잡이는 원형이나 원통형상을 가져, 전체적으로 곡면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테이션, 트레이 및 손잡이에는 각각 조명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은 조리실 내부 뿐 아니라, 조리기기의 주변을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급모듈(전원어댑터)에 수신모듈(전원부)이 결합되면, 수신모듈의 구동자석부가 공급모듈의 홀센서를 온(on)시킬 수 있다. 홀센서는 공급모듈의 스위치부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스위치부는 공급모듈의 출력단자와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수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모듈이 수신모듈에 밀착되기 전에는 공급모듈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고, 공급모듈의 단자들 사이가 연결되더라도 감전이나 쇼트가 발생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급모듈이나 수신모듈에는 제어부(마이콤) 등이 내장되지 않고, 홀센서, 구동자석부 및 스위치부만으로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수단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차단수단이 내장되더라도 전원공급장치의 전체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전원공급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공급모듈과 수신모듈은 단자간 압입방식으로 서로 결합되지 않고, 구동자석부의 자력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모듈을 수신모듈에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때, 공급모듈과 수신모듈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구조를 가지므로, 공급모듈과 수신모듈이 서로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의 연결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일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각각 제1스테이션 및 제2스테이션에서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제1스테이션 및 제1트레이의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제1베어링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포함된 제1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제1공기조절장치가 공기를 배기시키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포함된 제1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도 1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제1공기조절장치가 공기를 배기시키는 모습을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구조를 도 19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트레이가 제2스테이션 위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구조를 도 2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와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에 제2베어링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공기조절장치가 제2스테이션에 구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가 제1스테이션의 전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5와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가 제1스테이션의 전원부에 결합되기 전/후의 모습을 각각 보인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제1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제2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제3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2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 4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3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4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5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도 4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6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순환모드인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7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순환모드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8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배출모드인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9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배출모드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0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제1순환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1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제1순환프레임의 구조를 도 50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2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제2순환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3 및 도 54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순환모드 및 공기배출모드인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55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공기순환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6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공기배출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를 하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트레이가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테이션과 상기 트레이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은 원판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하우징(500)은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 및 상기 조리하우징(500)이 만드는 조리기기의 전체 외관형상은 대부분 곡면형태를 띄는 원통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서로 구획된 두 개의 조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조리공간 중 조리실(S)은 제1조리공간이 되고, 제2트레이(200B)의 상부는 제2조리공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실(S)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 및 상기 조리하우징(500)에 의해 감싸지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550)가 열리면서 상기 조리실(S)이 외부로 드러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어(550)가 절반 정도 열린 상태라면, 도 3은 상기 도어(55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도어(550)가 완전히 개방되면, 제1트레이(200A)를 조리실(S)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를 보면,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된 제2트레이(200B)가 모두 조리기기에서 이탈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음식물이 담기는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조리기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트레이(200B)는 모두 히터부(280)를 가지고 있고 별도의 배터리(270)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나 제2트레이(200B)는 사용자가 식사를 하는 동안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5를 보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제1조리공간인 상기 조리실(S)은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조리공간인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상부는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550)가 열리면 상기 조리실(S)도 개방된 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S)은 단순히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하거나, 공기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음식물의 습도를 낮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S)에서는 제1트레이(200A)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가 직접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조리실(S)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도 있다.
도 6을 보면,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조명부가 상기 조리실(S) 내부와, 조리기기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스테이션조명부(39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제2트레이(200B)에 각각 트레이조명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손잡이(600)에도 손잡이조명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와 도 8에는 제1스테이션(100)과 제1트레이(2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위에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하부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되는 장소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와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위쪽에는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고, 아래쪽은 조리기기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제1스테이션(100)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다각형상을 비롯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안착레그(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레그(112)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안착레그(1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600)의 하단과 함께 조리기기가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하부플레이트(110)와 상부플레이트(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는 아래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1수납공간(111)(도 5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공기배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을 외부와 연결하는 일종의 통로로 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릿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전원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0)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어댑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상기 전원부(190)에 결합되면, 외부의 교류전류가 상기 전원어댑터(700)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에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190)는 수신모듈이라할 수 있고,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공급모듈로 볼 수 있고, 상기 전원부(190)와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0a는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삽입되는 입구를 나타낸다. 상기 전원부(190)와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는 베어링장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안착베이스(13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상부플레이트(120)의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는 링형태의 제1베어링(1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베어링장착부(122)에 제1베어링(140)이 배치된 모습이 되시되어 있다.
다시 도 9를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는 공기흡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다시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조리실(S)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공기흡입부(125)들이 대략 원형의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연속된 하나의 구멍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경사부(123,12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23,124)는 제1경사부(123)와 제2경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123)는 상기 제2경사부(124)와 연결되고,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향해 하향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24)는 상기 안착베이스(130)로부터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24)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중심부에 오목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고, 그 안쪽에 상기 안착베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안착베이스(130)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전원공급장치(150)와 수신모듈(250) 사이의 무선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 조립되는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일체일 수도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은 대략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은 상기 도어(55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55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볼이 포함되어 상기 도어(550)가 슬라이딩되면서 여닫힐 때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베어링(140)은 원주방향을 따라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상기 제1베어링(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마찰부(141), 제2마찰부(143) 및 제3마찰부(145)가 연속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가 서로 두께가 달라 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찰부(143)와 상기 제3마찰부(145)도 서로 두께가 달라 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도어(550)의 하단부(560)에 형성된 단차(미도시)와 맞물리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140)의 단차는 상기 도어(550)가 상기 제1베어링(140)에 끼워진 후에 다시 분리되지 못하도록 스토퍼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는 조리기기의 조립시에 상기 도어(550)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는 상기 도어(550)가 회전할 때 열리는 구역에 형성될 수 있고, 제3마찰부(145)는 회전된 도어(550)가 조리하우징(500)의 고정하우징(510)과 겹치는 구역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는 상기 제1베어링(14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에는 자석부(5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70)는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70)는 상기 도어(5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상대자석 또는 금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상대자석 또는 금속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 또는 상기 제1베어링(14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수납공간(111)에는 메인제어부(160)와 제1전원공급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60)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기조절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6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전원공급장치(350)와 제2공기조절장치(370)도 함께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별도의 제2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수신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의 단자부(미도시)와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상대단자부(미도시)가 서로 맞물려 제1트레이(200A)의 히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함께 하나의 전원공급부(WC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에는 제1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송신모듈은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수신모듈(25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제1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250)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무선충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송신모듈은 소스코일(Source coil)과 송신 공진코일(Tx resonant coil)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신모듈(250)은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작동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물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한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S)은 건조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습기도 낮아져, 조리물이 바삭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조리실(S)의 공기가 배기되지 않으므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를 구성하는 제1모터(미도시)가 반대로 작용하여,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공기흡입부(12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공기배출부(11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구조와 배출을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중심에서 벗어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제1스테이션(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면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제1흡기덕트(171)와, 제1조절팬(180), 그리고 제1배기덕트(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공기배출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은 상기 제1흡기덕트(171)와 상기 제1배기덕트(1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내부에서 제1스테이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동심을 이루면서 원호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여러방향에서 상기 제1흡기덕트(171)로 흡입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7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가열플레이트(230)가 생략되고,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드러난 상태이다.
도 16와 도 18을 보면,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내부에는 흡입공간(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간(172)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상기 제1흡기덕트(17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한쪽에는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향해 개방되는 흡기구(1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173)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아래쪽에는 팬연결구(1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는 상기 제1조절팬(180)을 향해 개구된 부분이다. 상기 팬연결구(175)를 통해서 상기 흡입공간(172)의 공기가 상기 제1조절팬(1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는 상기 제1조절팬(180)에 대응하는 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의 아래쪽에는 제1조절팬(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팬(180)은 제1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조절팬(180)은 상기 제1흡기덕트(171)를 통해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185)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조절팬(180)은 한 쌍(180A,18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조절팬(180A,180B)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조절팬(180A,180B)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조절팬(180A,180B)에는 하나의 부호(180)를 부여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조절팬(180)에는 제1배기덕트(18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배기덕트(185)도 상기 제1조절팬(18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1배기덕트(185)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제1조절팬(180)에는 상기 팬연결구(175)와의 연결을 위한 팬연통구(181)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배기구(18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조리기기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6에는 공기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조절팬(180)이 작동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를 통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공간(172)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공기는 상기 팬연결구(175)를 통해 상기 제1조절팬(18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조절팬(180)은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185)로 토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배기덕트(185)의 배기구(187)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에도 공기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8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가 생략되고,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흡기구(173)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길이방향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173)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186은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서 상기 제1조절팬(180) 방향으로 개구된 배기전달구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리실(S)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되면, 사용자가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일종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히터부(280)와 배터리(270)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해도 소정의 시간 동안 히터부(280)가 작동하면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되는 제2트레이(200B)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트레이(200A)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트레이(200A)는 대략 원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그 위에 조리물을 올려두는 용도(도 4참조)로 사용되므로, 상면이 평면이거나 오목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저면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고, 상면은 음식물을 올려두는 곳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는 히터부(280)를 내장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부(280)는 배터리(270)를 통해서도 구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되어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21을 보면,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지지플레이트(210), 안착플레이트(220), 수신모듈(250), 트레이제어부(260), 배터리(270) 및 히터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220)는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가열공간(2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간(211)에는 상기 수신모듈(250),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상기 배터리(270) 및 상기 히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는 하부로 함몰된 그릇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0) 보다 직경이 큰 안착플레이트(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의 중심에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을 상기 조리물에 전달하는 가열플레이트(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플레이트(230)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을 음식물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열플레이트(23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송신모듈과의 사이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250)은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배터리(27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송신모듈의 소스코일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자기장이 송신 공진코일에 인가되어 소스코일과 송신 공진코일 간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형성된다. 그리고 송신 공진코일은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갖는 상기 수신모듈(250)의 수신 공진코일과 자기공명결합을 형성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공진코일은 다시 로드 코일과 유도 결합을 형성하여 로드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고, 부하(load)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상기 히터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수신모듈(250)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히터부(28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메인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배터리(2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배터리(2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히터부(280)는 평판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카본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가열플레이트(230)에 밀착되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원부(190)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배터리(270)가 상기 히터부(28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원부(190)의 전원이 직접 히터부(280)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2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전원을 통해서만 상기 히터부(280)가 가열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생략되더라도, 상기 히터부(280)는 가열된 후에 서서히 식기 때문에, 그 동안에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트레이조명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대략 링 형상이고, 상기 트레이조명부(290)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가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10)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를 감싸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아래쪽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가열공간(211) 내부의 중심에는 트레이제어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양쪽에는 한 쌍의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아래쪽에 상기 수신모듈(250)이 배치되고, 반대편인 위쪽에는 히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을 보면, 상기 히터부(280)와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사이에는 단열플레이트(28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배터리(270), 수신모듈(250)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히터부(28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상기 제1트레이(200A)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3에는 제2스테이션(300)과 제2트레이(20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상기 조리실(S)이 마련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위에는 제2트레이(200B)가 배치되는데, 상기 조리실(S)과 달리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위쪽은 노출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조리실(S)의 바닥면을 구성한다고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조리실(S)의 천장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i) 상기 제2트레이(200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ii)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iii) 상기 조리실(S)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iv) 제2베어링(3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조리하우징(500)이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수납플레이트(310), 커버플레이트(330) 및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플레이트(310)는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을 보면,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제2수납공간(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납공간(311)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제2전원공급장치(3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상기 제2트레이(200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안착되면,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의 단자부(미도시)와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상대단자부(미도시)가 서로 맞물려 제2트레이(200B)의 히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함께 하나의 전원공급부(WC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에는 제2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송신모듈은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제2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250)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무선충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의 구조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이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는 조명장착부(3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314)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장착부(314)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동심구조이고, 상기 제2수납공간(3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은 상기 조명장착부(314)와 구획되어, 제2수납공간(311)의 열기가 상기 조명장착부(314)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314)의 바깥쪽에는 상기 조명장착부(314)와 구별되는 빈 공간인 에어덕트(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13)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로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에어덕트(313)와 상기 제2수납공간(311)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파이프구조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바깥쪽에는 확장플레이트(3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대략 중심이 비어 있는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외측단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전체 직경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직경을 크게 하여,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생략되거나,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는 상기 제2송신모듈과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 사이의 무선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의 위에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베어링(3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55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은 도 26에서 보듯이, 대략 링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베어링(340)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와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2베어링(340)에는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상기 제2베어링(34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에는 자석부(5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90)는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90)는 상기 도어(5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상대자석 또는 금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상대자석 또는 금속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 또는 상기 제2베어링(34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다시 조리실(S)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천장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S)의 위쪽으로 올라오므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조리실(S)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제2흡기덕트(380)와, 제2조절팬(M2), 그리고 제2배기덕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380)는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배기덕트(371)도 상기 제2흡기덕트(380)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팬(M2)은 상기 제2흡기덕트(380)와 상기 제2배기덕트(3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조절팬(M2)은 상기 제2흡기덕트(380)에 결합되어 있다.
도 27을 보면, 상기 제2흡기덕트(380)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은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되거나, 상기 에어덕트(313)를 통해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팬(M2)이 작동되면, 상기 제2흡기덕트(38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380)에는 덕트바디(381)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바디(381)의 내부에는 흡기공간(382)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383은 상기 제2흡기덕트(380)의 덕트출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을 보면, 상기 제2흡기덕트(380)에 덕트몸체(385)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몸체(385)의 말단에는 상기 덕트출구(383)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출구(383)에는 상기 제2배기덕트(37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상기 제2흡기덕트(380)를 통해 상기 제2조절팬(M2)으로 전달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는 상기 조리실(S)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7을 보면,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입구(373)는 상기 제2흡기덕트(380)의 출구(387)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기홀(315, 도 31참조)을 통해 조리실(S)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절팬(M2)은 상기 제2송신모듈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조절팬(M2)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송신모듈을 냉각하는 냉각팬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4와 도 25를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상기 도어(550)를 개방하는 도어레버(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는 상기 도어(550)에 연결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327)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도어(550)는 상기 도어레버(387)에 연동하여 여닫힐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를 이용해서 상기 도어(550)를 어느 정도 회전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550)를 직접 파지해서 도어(55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28에는 상기 도어레버(387)가 상기 손잡이(600)에 인접한 위치까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상기 제2배기덕트(371)를 여닫는 순환조절레버(38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조절레버(388)는 상기 제2배기덕트(371)를 여닫는 블레이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조절레버(388)는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조절슬릿(328)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순환조절레버(388)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출구(375)의 개구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지고, 상기 조리실(S)에서 순환되는 공기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순환조절레버(388)는 상기 메인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조절팬(M2)의 속도를 직접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하도록 스테이션조명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상기 조명장착부(314)에 배치되고, 아래쪽, 즉 상기 조리실(S)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26과 도 27에서 보듯이,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대략 링형태의 골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395)가 구비되어, 아래쪽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S)은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에 의해 밝아질 수 있다.
도 30에는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둘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개별 LED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1에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저면에는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가 원형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중심부에는 배기홀(315)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홀(315)을 통해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가 아래쪽, 즉 상기 조리실(S)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리하우징(500)을 살펴보면,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상기 조리실(S)의 측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는 내부에 조리실(S)이 형성된 조리하우징(500)이 배치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하우징(500)에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고정된 고정하우징(510)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대략 반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500)에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도어(55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익 도어(55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조리실(S)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550)도 상기 고정하우징(510)과 마찬가지로 대략 반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각각 제1베어링(140) 및 제2베어링(3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각각 제1베어링(140) 및 제2베어링(340)을 통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가 상기 제1베어링(140)에 연결된 모습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가 상기 제2베어링(340)에 연결된 모습은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원통형상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50)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는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에는 손잡이(6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조리기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테이션(100) 및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을 연결하는 역할도 할 수 있고, 손잡이조명부(620)를 통해, 상기 제2트레이(200B)를 밝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의 상부는 아치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줄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손잡이(6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실장공간(6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공간(615)에는 와이어하네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 내부에는 손잡이조명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조명부(62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손잡이조명부(620)의 내부에 복수의 LED광원(625)들이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6에는 전원어댑터(700)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전원부(190, 도 10참조)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 및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에는 파워케이블(PC)이 연결되고, 상기 파워케이블(PC)의 타단에는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공급모듈이고, 상기 전원부(190)는 수신모듈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를 통해 조리기기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어댑터바디(710)에는 출력단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1출력단자(720)와 제2출력단자(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단자(720)는 중심에 배치된 제2출력단자(730)를 감싸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단자(720)와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각각 마이너스단자와 플러스단자일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내부에는 스위치부(740)와 홀센서(7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740)는 릴레이와 같이 전원을 단락시킬 수 있는 부품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740)에는 상기 제2출력단자(730)와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750)는 수신모듈인 상기 전원부(190)로부터 자기력선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홀센서(750)는 상기 전원부(190)의 구동자석부(195)에 의한 자기력선에 의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온 상태가 된 홀센서는 상기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740)는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740)는 평소에 오픈 상태이므로 상기 스위치부(740)의 Common 단자에 연결된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과, 스위치부(740)의 NC(Normal Close)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서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740)의 NC(Normal Close)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73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위치부(7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구비된 상기 전원부(190)의 구동자석부(195)에서 자기력선이 홀센서(750)에 전달되면, 상기 홀센서(750)는 홀 효과(Hall effect)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740)는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고, Common 단자에 연결된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과 NC(Normal Close)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전원의 플럭스입력단-스위치부(740)-제2출력단자(730)-제2입력단자(193)를 통해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상기 제1출력단자(720) 및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상기 전원부(19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제2출력단자(73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출력단자(720) 및 상기 제2출력단자(7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액체나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쇼트나 감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35를 보면,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중심에 배치된 상기 제2출력단자(730)를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원부(190)의 골격을 형성하는 전원몸체(191)는 중심이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원몸체(191)의 중심에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돌출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어댑터(700)과 상기 전원부(19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은 각각 곡면형상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전원어댑터(700)와 상기 전원부(190)가 서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90)에 구비된 제1입력단자(192)는 상기 제1출력단자(720)와 마주보고, 상기 전원부(190)에 구비된 제2입력단자(193)는 상기 제2출력단자(730)와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90)에는 구동자석부(195)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자석부(195)는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홀센서(750)를 마주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입력단자(192) 및 상기 제2입력단자(193)는 핀구조이다.
도 35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구동자석부(195)에서 생성된 자기력선이 전원어댑터(700)의 홀센서(750)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거리에 있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750)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740)가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기 전이고, 상기 파워케이블(PC)로부터 인가된 플러스전압은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제2출력단자(730, 플러스단자)에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출력단자(720)와 상기 제2출력단자(730) 사이에 도전체가 구비되더라도 이들 사이가 통전되지 않고,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원어댑터(700)를 상기 전원부(190)에 가깝게 이동시키면, 도 36과 같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자석부(195)의 자기력선이 전원어댑터(700)의 홀센서(75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750)는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홀센서(750)에 인가된 신호를 받아 상기 스위치부(740)가 클로즈 상태가 되면, 상기 스위치부(740)의 Common 단자는 NC (Normally closed) 단자와 연결되고, Common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파워케이블(PC)의 플러스전압은 NC (Normally closed) 단자를 통해 상기 제2출력단자(730)에 전달될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상기 전원부(190)의 제2입력단자(193)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에 플러스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원어댑터(700)에는 상기 구동자석부(195)와 마주보는 위치에 자성체인 결합블록이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구동자석부(195)와의 사이에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와 결합된 상태를 자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원부(19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9에는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리실(S)의 공기순환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7에서 보듯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공기조절장치(370)만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제2조절팬(M2)이 동작되면, 제2흡기덕트(380)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화살표①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팬(M2)에 연결된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흡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S)로 토출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다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화살표②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조리실(S) 내부의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실(S)에서는 제1트레이(200A)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가 직접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조리실(S)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음식물의 습도를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8에서 보듯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공기조절장치(170)만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제1조절팬(180)이 동작되면, 제1흡기덕트(171)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화살표①은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된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흡입된 공기를 조리기기의 외부로 토출한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S)의 습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음식물의 습도도 함께 낮아질 수 있다. 화살표②은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9에는 공기순환 및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음식물의 습도를 낮추되, 대류에 의한 가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도, 공기를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공기조절장치(170)도 동작되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공기조절장치(370)도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제1조절팬(180)이 동작되면, 제1흡기덕트(171)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된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흡입된 공기를 조리기기의 외부로 토출한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S)의 습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음식물의 습도도 함께 낮아질 수 있다. 화살표②은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제2조절팬(M2)이 동작되면, 제2흡기덕트(380)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화살표③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팬(M2)에 연결된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흡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S)로 토출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다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화살표①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40 내지 도 5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0에을 보면, 제1스테이션(100)에는 공기조절장치(17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공기조절장치(1700)가 배치되지만, 제2스테이션(300)에는 별도의 공기조절장치(1700)가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동작은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에 포함된 무빙가이드(1730)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서로 높이를 달리 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상기 조리하우징(500)과 함께 조리실(S)을 형성할 수 있고, 제2트레이(200B)도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으로 볼 수 있다.
도 41과 도 42를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공기조절장치(1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상기 조리실(S)로 공급하여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고정되고,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되는 연결통로(1723)를 갖는 고정가이드(1710,1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1710,1720)에는 무빙가이드(17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에는 상기 연결통로(1723, 도 51참조)를 상기 조리실(S)로 개방시키는 순환개구부(1735a)와 상기 상기 연결통로(1723)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배출개구부(173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가 상기 고정가이드(1710,1720)에 대해 상대이동하면, 상기 순환개구부(1735a) 또는 상기 배출개구부(1735b)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가이드(1710,1720)는 제1고정가이드(1710)과 제2고정가이드(17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과 제2고정가이드(1720) 사이에는 조절팬(M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팬(M1)은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과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는 서로 결합되어 연속된 원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과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중심을 둘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 내부에 형성된 제1수납공간(111)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되는 공기흡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에는 상기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되는 흡입공간(17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2에서 보듯이, 상기 흡입공간(1712)에는 상기 조절팬(M1)을 향해 팬연결구(1715)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15)의 하부에는 상기 조절팬(M1)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에는 상기 조절팬(M1)을 통해 상기 흡입공간(1712)에 연결되는 연결통로(17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5를 보면,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의 흡입공간(1712)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조절팬(M1)을 거쳐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연결통로(1723)로 전달될 수 있다. 화살표①은 흡입공간(171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②는 공기가 상기 조절팬(M1)으로 흡입되는 방향이며, 화살표③은 공기가 제2고정가이드(1720)의 연결통로(1723)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이고, 화살표④는 공기가 제2고정가이드(1720)의 배출연결구(172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결통로(1723)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구되는 순환연결구(1725a)와 배출연결구(1725b)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연결구(1725a)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연결구(1725b)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와 복수개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원호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순환개구부(1735a)와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각각 하나의 긴 장공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제2고정가이드(1720)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2를 보면,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순환개구부(1735a)가 형성된 제1바디(1731)와, 상기 제1바디(1731)와 연결되고 배출개구부(1735b)가 형성된 제2바디(1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제1바디(1731)와 상기 제2바디(1732)는 상기 순환연결구(1725a)가 개구된 방향과 상기 배출연결구(1725b)가 개구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도면부호 1737은 조작부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737)를 직접 파지하거나, 또는 조작부(1737)에 연결된 별도의 레버(미도시)를 파지하고 상기 무빙가이드(17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무빙가이드(1730)과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는 서로 동심인 두 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상기 순환연결구(1725a)와 인접한 장착슬릿(1726, 도 50참조)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슬릿(1726)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를 따라 직선이동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순환연결구(1725a)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되어 있다. 반대로, 상기 배출개구부(1735b)가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순환연결구(1725a)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를 구성하는 가이드바디(1721)에는 상기 제1바디(1731)의 일단부가 접하는 가이드펜스(17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722)는 상기 순환연결구(1725a) 및 순환개구부(1735a)가 개구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1723)는 상기 가이드바디(1721)의 내부를 따라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도 55를 보면, 상기 조리실(S)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순환연결구(1725a)와 연결되면서,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엇갈려 닫힌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로 흡입된 공기(화살표①방향)는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 내부를 지나고(화살표②방향), 다시 순환개구부(1735a)로 토출될 수 있다.(화살표③방향) 이렇게 연속적으로 순환되는 공기는 조리실(S)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6을 보면, 상기 조리실(S) 내부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순환연결구(1725a)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닫히고,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연결되어 열린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로 흡입된 공기(화살표①방향)는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 내부를 지나고(화살표②방향), 상기 배출연결구(1725b) 및 상기 배출개구부(1735b)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화살표③방향)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
    상기 제1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1히터부를 내장한 제1트레이;
    상기 제1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조리실을 형성하고, 제2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2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2히터부를 내장한 제2트레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트레이는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스테이션은 상기 조리실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조리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조리하우징에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서 회전되는 조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하우징은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 고정된 고정하우징;과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조리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1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다시 배출하는 제2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은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1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에는 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트레이에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에는 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2트레이에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이 포함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는
    상기 제1스테이션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의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간에는 상기 제1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중심에는 상기 제1히터부의 열을 상기 조리물에 전달하는 가열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조리기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히터부의 사이에는 단열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가열공간에는 상기 가열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트레이조명부가 배치되는 조리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은
    저면이 상기 조리실의 상면을 형성하는 수납플레이트;
    상기 수납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2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2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공간에는 제2공기조절장치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플레이트에는 상기 조리실을 향해 스테이션조명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 및 상기 제2스테이션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는 상기 제2스테이션 보다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손잡이조명부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조명부는 상기 제2스테이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며, 상기 손잡이의 상부는 아치형상이고, 복수의 손잡이조명부가 상기 손잡이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실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와이어하네스는 상기 실장공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레버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조리기기.
  1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를 여닫는 순환조절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조절레버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조리기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1스테이션에 배치되고,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수신모듈;
    상기 제1스테이션에 결합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접촉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된 공급모듈;
    상기 수신모듈에 배치되는 구동자석부;
    상기 공급모듈에 상기 구동자석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홀센서;와
    상기 공급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홀센서와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가 상기 구동자석부의 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기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의 COM(Common) 단자는 상기 플러스입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의 NC(Normal Close) 단자는 상기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제1출력단자 및 제2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 및 상기 제2출력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1입력단자 및 제2입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의 NC(Normal Close)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단자는 상기 릴레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단자는 상기 공급모듈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제2출력단자의 주변을 두르는 링형상이며,
    상기 공급모듈은 중심에 배치된 상기 제2출력단자를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는 전원공급장치.
PCT/KR2023/000661 2022-01-14 2023-01-13 조리기기 WO202313665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63A KR20230110084A (ko) 2022-01-14 2022-01-14 조리기기
KR10-2022-0006163 2022-01-14
KR10-2022-0006166 2022-01-14
KR1020220006166A KR20230110087A (ko) 2022-01-14 2022-01-14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56A1 true WO2023136656A1 (ko) 2023-07-20

Family

ID=8727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661 WO2023136656A1 (ko) 2022-01-14 2023-01-1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3665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39B1 (ko) * 2009-07-20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53343A1 (en) * 2013-01-14 2018-06-07 Hamilton Beach Brands, Inc. Sandwich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with the Same
KR101930349B1 (ko) * 2017-03-29 2018-12-19 차재명 휴대용 하이브리드 레인지
KR20200044535A (ko) * 2018-10-19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6932191B2 (ja) * 2017-06-21 2021-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39B1 (ko) * 2009-07-20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53343A1 (en) * 2013-01-14 2018-06-07 Hamilton Beach Brands, Inc. Sandwich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with the Same
KR101930349B1 (ko) * 2017-03-29 2018-12-19 차재명 휴대용 하이브리드 레인지
JP6932191B2 (ja) * 2017-06-21 2021-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200044535A (ko) * 2018-10-19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1622A1 (ko) 서빙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WO2017007186A1 (ko) 오븐
WO2017116099A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WO2020145717A1 (ko) 조리기기
WO2016182237A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WO2017007188A1 (ko) 오븐
WO2020017751A1 (ko) 오븐
WO2019083310A1 (ko)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WO2021167161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WO2021201477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WO2019035570A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WO2023136656A1 (ko) 조리기기
WO2021145736A1 (en) Cooking appliance
WO2023136462A1 (ko) 조리기기
WO2023136463A1 (ko) 조리기기
WO2021145733A1 (en) Cooking appliance
WO2021029608A1 (ko) 블렌더
WO2021029606A1 (ko) 블렌더
WO2023277317A1 (ko) 조리 기기
WO2024019329A1 (ko) 조리기기
WO2021230665A1 (ko) 조리기기
WO2023277318A1 (ko) 조리 기기
WO2021201587A1 (ko) 조리기기
WO2020180131A1 (ko) 레시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235750A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404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