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1058A1 -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1058A1
WO2023101058A1 PCT/KR2021/018120 KR2021018120W WO2023101058A1 WO 2023101058 A1 WO2023101058 A1 WO 2023101058A1 KR 2021018120 W KR2021018120 W KR 2021018120W WO 2023101058 A1 WO2023101058 A1 WO 20231010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y
module
main
modules
r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1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훈
이병준
박진철
허시환
설동규
전진우
조영환
장진혁
Original Assignee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to CN202180007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530217A/zh
Publication of WO20231010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10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H05G1/32Supply voltage of the X-ray apparatus or tu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nd more particularly, in using the bar-type static eliminator, manufacturing process lines for LCDs, semiconductors, etc. It relates to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that can prevent all stoppages.
  • Electrostatic eliminato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orona discharge devices and X-ray radiation devices. Recently, corona discharge devices have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sputtering due to high voltage discharge, generation of ozone gas, and inconvenience caused by ion balance adjustment.
  • An X-ray emitting device that is, an X-ray ionizer is mainly used.
  • the X-ray ionizer is a device that generates and emits X-rays to ionize gas molecules to neutralize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an object to be neutralized, and is mainly implemented by irradiating soft X-rays. Since these X-ray ionizers do not generate fine dust and do not require convection of air, they have been spotlighted as a more suitable method and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such as bar-type (rod-type) ionizer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 us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an X-ray tube capable of preventing all manufacturing process lines such as LCD and semiconductor from being stopped due to failure or malfunction of an X-ray tub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modules of a ductwork.
  • a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includes one or more voltage generating modules generating voltage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each of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s One or more main X-ray modules receiving corresponding voltage and emitting X-rays, located in parallel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in X-ray modules, and having the same irradiation area as that of the corresponding main X-ray module and when one or more auxiliary X-ray modules rece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s and emitting X-rays and a specific main X-ray module are operating abnormally, an auxiliary X-r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It includes a conversion unit that switches the operation to .
  • main X-ray module or the auxiliary X-r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a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ng state is normal.
  •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uses the operation confirmation unit for detecting the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s and auxiliary X-ray modules, and the cumulative operation time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s and auxiliary X-ray modules Including a lifespan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the lifespan, detecting the Off state of the X-ray module, or detecting at least one of cases in which the cumulative operating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lifesp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be in abnormal operation.
  •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ose check unit for comparing actual X-ray doses with preset X-ray doses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 and auxiliary X-ray module, If it is smaller than th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 abnormal operation.
  • a pos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n address value indicating the location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wherein the conversion uni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based on the address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switched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 the switch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simultaneously.
  • the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lementary X-ra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when a specific main X-ray module is in abnormal operation (end of life or failure). By switching the operation to the modul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emove static electricity from the electronic device or electronic component without interruption,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on yield and production speed of the electronic device or electronic produc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X-ray module and an auxiliary X-r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detection unit constituting a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ar-type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tatic eliminator.
  • the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1000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includes a body 10, a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a main X-ray module 200, It includes an auxiliary X-ray module 300 and a conversion unit 400.
  • the body 10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along one direction as a whole, and a connector is provided at one end.
  • an opening 11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main X-ray module 200 or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11 to the body ( 10)
  • An accommodation space 12 is formed inside, and the opening 1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main X-ray modules 200 or auxiliary X-ray modules 300.
  •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generates voltage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is provided in the body 10 .
  •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provided in each body 10 is electrically or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outside (controller C) through the connector.
  • the voltage generation module 1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voltage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it to the main X-ray module 200, the voltage generation The module 10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of the main X-ray module 200.
  • the voltage generation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specifications based on its capacity in respons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tatic elimination environment.
  • the main X-ray module 200 form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and receives voltage from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to emit X-rays.
  • At least one main X-ray module 200 is provided, detachable from the body 10, and the main X-ray module 200 is preferably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voltage generating modules 100.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X-ray module and an auxiliary X-r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X-ray module 200 is provided in an X-ray module case 210 and the X-ray module case 210
  • An X-ray tube 220 emitting X-rays with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is included.
  • the main X-ray module 200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in the body 10 through the opening 11, and the main X-ray module 200 is inside the body 10.
  • the main X-ray module 200 may be physically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to receive the voltage provided by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 the main X-ray module 200 can be easily replaced in a kind of cartridge method through the above-described opening 11, and accordingly, the X-ray tube 220 provided in the main X-ray module 200 also It is to be able to be easily replaced in the above-described cartridge method.
  •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form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and is located in parall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in X-ray modules 200, corresponding to the main X-ray module ( 200) and emits X-rays by receiving voltage from the voltage generation module 100.
  •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is provided in an X-ray module case 310 and the X-ray module case 320 to generate X-rays with a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generation module 100. It includes an X-ray tube 320 that emits.
  •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is also detachable from the body 10 in the same cartridge form as the main X-ray module 200 described above, and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 to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ccommodated in the space 12.
  • auxiliary X-ray module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main X-ray module 2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ain X-ray module 200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a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1, the main X-ray module 200 is inserted in a row into the body 10 located at the top, Auxiliary X-ray modules 300 are inserted in a row into the body 10 located in the lower part in parallel with the main X-ray module 200.
  • the switching unit 40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and a state grasp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X-ray module 200 or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is normal ( 410).
  • the conversion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s operating abnormally as a result of detection from the state grasping unit 410, the corresponding main X-ray module 200 It serves to switch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 the switching unit 400 controls voltage application of the main X-ray module 200 or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corresponding to the main X-ray module 200. Conversion is possible.
  • the voltag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voltage generation module 100 is the main By controlling the X-ray module 200 or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it is possible to switch operation in module units.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itching unit 4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s operating abnormally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from the state grasping unit 410, the switching unit 400 blocks the voltage application of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and applies a voltage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switch operation. That is, the voltage application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n abnormal operation is blocked, and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21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so that the X-ray tube individual module convert to units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itching unit 400′ has a body ( 10) It may be configured by being provided on the external controller (C ⁇ ) rather than being provided inside.
  • FIG. 2 or FIG. 4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witching unit 40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tatic eliminator product, and FIG. ⁇ ) is included.
  • the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1000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X-ray modules 200 and auxiliary X-ray modules 300,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setting unit 420 that sets an address value indicating a location.
  • the position setting unit 420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in the switching unit 4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version unit 400 corresponds to a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operating abnormally based on the address value. 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operation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 the bar-type static eliminator 1000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includes a plurality of n main X-ray modules 200, the n It is composed of n auxiliary X-ray modules 300 corresponding to the main X-ray modules 200 (here, n mean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2, and represents 1 to n components).
  • n voltage generating modules 100 are also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 main X-ray modules 200 .
  • the position setting unit 420 sets the address value of the first main X-ray module 200 to '1_1', the address value of the second main X-ray module 200 to '1_2', and the nth main X-ray module
  • the address value of (200) is set to '1_n'
  • the address value of the first auxiliary X-ray module 300 is '2_1'
  • the address value of the second auxiliary X-ray module 300 is '2_2'
  • the Set the address value of n auxiliary X-ray module 300 as '2_n'.
  • the switching unit 400 operates the main X-ray modules 200 by controlling the n voltage generating modules 100 to apply voltage to the n main X-ray modules 200, and then the state grasping unit ( 410) detects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X-ray module 200 among the n number of main X-ray modules 200, the switching unit 400 applies a voltage to the second main X-ray module 200 and apply a voltage to the second auxiliary X-ray module 300 having an address value of '2_2'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value of '1_2' of the second main X-ray module 200. 100 is controlled to switch the opera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detection unit constituting a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ate detection unit 410 of the bar-type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1000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confirmation unit 411 and a lifespan confirmation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412).
  • the operation confirmation unit 411 detects the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 200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 the life check unit 412 checks the life using the cumulative operation time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 200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Preferably, the life check unit 412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life of the main X-ray module 200 is insufficient when the remaining life of the main X-ray module 200 is less than the safe allowable life in an unexhausted state. can do.
  • the safe allowable life may be 5% to 10% of the preset operating life of each main X-ray module 200 .
  • the life confirmation unit 412 If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main X-ray module 200 is 300 hour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lifespan is sufficient, but if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main X-ray module 200 is 200 hour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lifespan is insufficient.
  • the state grasping unit 410 detects the Off state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s 200 or detects at least one of cases in which the cumulative operating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lif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operation is in progress. do.
  • the state grasping unit 410 may further include a dose checking unit 413 .
  • the dose checking unit 413 serves to compare actual X-ray doses with preset X-ray doses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 200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
  • the state grasping unit 410 detects at least one of cases in which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mount of each of the main X-ray modules 200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X-ray irradiation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s abnormal.
  • the state grasping unit 410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abnormal operation situation of the main X-ray module 200, and thereby stop the operation of the main X-ray module 200 in abnormal operation. It can be inspected and continuously irradiated with X-rays using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line.
  • the conversion unit 400 when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state grasping unit 410 is a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s operating abnormally, the voltage of the voltage generating module 100 After applying to both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and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when a predetermined overlap time elapses,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 The voltage generation module 100 may be controlled to cut off voltage application to 200).
  •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When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s in abnormal operation, the voltage application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s block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minute time interval may occur between the starting points, and even in the state where such a minute time interval occurs, the electronic device or electronic component to be removed from static electricity is continuously transpo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long the transfer conveyor. In some sections, an accident in which static electricity is not removed may occu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ne time interval as described above (ie, the time when the application of the high voltage to the main X-ray module 200 is block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static electricity non-removal period due to the minute time interval between the start of application of the voltage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and the continuous forward transfer of the product.
  • the switching unit 400 transfers the means for transferring the entire objec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uxiliary X-ray module voltage It may be configured to restart again after stopping (as long as it takes to apply).
  • the means for transporting the entire object is constituted by a conveyor belt and is configured to restart the conveyor belt after stopp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is is because the application of voltage to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becomes impossible because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is in an off state, and since the overlap time becomes meaningless,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 200) to secure the voltage application time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lement and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static electricity non-removal interval due to the fine time interval and the continuous forward transfer of the product.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r-type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modules of an X-ray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1000 capable of switch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unit 500 outputting a detection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red or wirelessly with external equipment. (60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output unit 500 includes a display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n alarm unit that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by the user, and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410 through the output unit 500 determines the specific main X-ray module 200.
  • the user may be notified of an abnormal situ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operation is in progress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isplay unit,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alarm unit.
  • the bar-type electrostatic eliminator 1000 capable of converting individual X-ray tube modules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for operation conversion from the main X-ray module 200 to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operation from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to the main X-ray module 200, as well as the main X-ray module 200 through the conversion units 400 and 400 ⁇ or the controllers C and C ⁇
  • the auxiliary X-ray module 300 corresponding to may be configured to enable simultaneous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1개 이상의 전압발생모듈, 상기 전압발생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메인 X선 모듈, 상기 메인 X선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병렬로 위치하여 대응하는 상기 메인 X선 모듈의 조사영역과 동일한 조사영역을 지니며 상기 전압발생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보조 X선 모듈 및 특정 메인 X선 모듈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로 작동을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본 발명은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타입 정전기제거장치 사용에 있어서 X선관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 라인이 모두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에서는 전자기기, LCD, 반도체 웨이퍼에 미세한 먼지가 부착되거나 정전기에 의하여 소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기제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전기제거장치는 크게 코로나 방전식 장치와 엑스선 방사식 장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코로나 방전식 장치가 갖는 고전압 방전에 의한 스퍼터링 현상, 오존가스 발생, 이온 밸런스 조정에 따른 불편 등의 단점을 극복한 엑스선 방사식 장치, 즉 엑스선 이오나이저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엑스선 이오나이저는 엑스선을 생성하고 이를 방사하여 기체 분자를 이온화함으로써 제전 대상 물체 표면의 정전기를 중화하는 장치로, 주로 연엑스선(soft x-ray)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엑스선 이오나이저는 미세먼지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기를 대류시킬 필요도 없기 때문에 더욱 적합한 방식으로 각광받으며 바타입(막대형) 이오나이저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엑스선 이오나이저가 전자기기,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 라인에 정전기 제거용으로 이용되는 상태에서는 X선관의 교체 및 수리가 필요할 경우, 전자기기,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 라인을 모두 정지시킨 후에나 X선관 모듈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함으로써, X선관의 교체 및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전자기기,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상기 X선관의 교체 및 수리에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346호에 ‘X선을 이용한 정전기 제거장치’라는 발명을 제안한 바가 있으며, 상기의 특허에서는 위의 문제점인 X선관의 고장이나 오작동에 의해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 라인이 모두 정지되는 문제점이 개선된 바가 있으나, 기존의 바타입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이오나이저 제품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버랩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메인 X선 모듈과 서브 X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미세한 시간적 간격으로 발생할 수 있는 X선이 조사되지 않는 미세한 간격을 제거하고자 하였으나, 메인 X선 모듈 전원이 갑자기 Off 되는 경우, 전원 인가가 불가능하여 오버랩 시간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타입 정전기제거장치 사용에 있어서 X선관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 라인이 모두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1개 이상의 전압발생모듈, 상기 전압발생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메인 X선 모듈, 상기 메인 X선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병렬로 위치하여 대응하는 상기 메인 X선 모듈의 조사영역과 동일한 조사영역을 지니며 상기 전압발생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보조 X선 모듈 및 특정 메인 X선 모듈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로 작동을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X선 모듈 또는 상기 보조 X선 모듈의 작동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태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파악부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 및 보조 X선 모듈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 및 보조 X선 모듈의 누적 작동 시간을 이용하여 수명을 확인하는 수명확인부를 포함하여, X선 모듈의 Off 상태를 감지하거나, 누적 작동 시간이 기설정된 수명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면 비정상 작동 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파악부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 및 보조 X선 모듈의 조사량이 기설정된 X선 조사량 대비 실제 X선 조사량을 비교하는 조사량확인부를 포함하여, 실제 X선 조사량이 기설정된 X선 조사량보다 작은 경우, 비정상 작동 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X선 모듈과 상기 보조 X선 모듈 각각의 위치를 지칭하는 주소값을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부는, 상기 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로 작동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환부는 특정 메인 X선 모듈과,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는 특정 메인 X선 모듈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시),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로 작동을 전환하도록 하여 전자기기 또는 전자부품의 정전기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 전자기기 또는 전자제품의 생산 수율 및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X선 모듈과 보조 X선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상태파악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0: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10: 몸체
11: 개구
12: 수용공간
100: 전압발생모듈
200: 메인 X선 모듈
300: 보조 X선 모듈
400, 400`: 전환부
410: 상태파악부
411: 작동확인부
412: 수명확인부
413: 조사량확인부
500: 출력부
600: 통신부
C, C`: 컨트롤러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는, 크게, 몸체(10), 전압발생모듈(100), 메인 X선 모듈(200), 보조 X선 모듈(300) 및 전환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일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커넥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10) 하부면에는 메인 X선 모듈(200) 또는 보조 X선 모듈(300)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의 개구(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1)와 연통되어 몸체(10)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되, 상기 개구(11) 및 상기 수용공간(12)은 메인 X선 모듈(200) 또는 보조 X선 모듈(300)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전압발생모듈(1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은 상기 몸체(10) 내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몸체(10) 내 구비되는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외부(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압을 발생시켜 메인 X선 모듈(2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은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수량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은 제전 환경 등 각종 요인에 대응하여 그 용량을 기준으로 다양한 사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메인 X선 모듈(200)은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며 상기 전압발생모듈(10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한다.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몸체(10)에 탈부착되되,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상기 전압발생모듈(100)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X선 모듈과 보조 X선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X선 모듈 케이스(210)와 상기 X선 모듈 케이스(210)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전압으로 X선을 방사하는 X선관(2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상기 개구(11)를 통해 몸체(10) 내 상기 수용공간(12)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이 몸체(10)의 내측에 인입된 경우,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상기 전압발생모듈(100)과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이 제공하는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상술한 상기 개구(11)를 통해 일종의 카트리지 방식으로 간편히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에 구비되는 X선관(220) 또한 상술한 카트리지 방식으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보조 X선 모듈(300)는, 상기 전압발생모듈(100) 대응하여 쌍을 이루며 상기 메인 X선 모듈(20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병렬로 위치하여, 대응하는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조사영역과 동일한 조사영역을 지니며 상기 전압발생모듈(100)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X선을 방사한다.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은 도 3을 참조하면, X선 모듈 케이스(310)와, 상기 X선 모듈 케이스(3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전압으로 X선을 방사하는 X선관(32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X선 모듈(300) 또한, 전술한 상기 메인 X선 모듈(200)과 같은 카트리지 형식으로 몸체(10)와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개구(11)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몸체(10) 내 수용공간(12)에 수용된다.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은 상술한 메인 X선 모듈(20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X선 모듈(200)과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은,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은 상부에 위치한 몸체(10)에 일렬로 삽입되고,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은 상기 메인 X선 모듈(200)과 병렬되게 하부에 위치한 몸체(10)에 일렬로 삽입된다.
다시 정리하자면, 상기 메인 X선 모듈(200)과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이 병렬로 한 쌍을 이루어 한 쌍의 메인 X선 모듈(200) 또는 보조 X선 모듈(300)로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발생모듈(100)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메인 X선 모듈(200)과 하나의 보조 X선 모듈(300) 및 하나의 전압발생모듈(10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전압발생모듈:X선 모듈 = 1:2 구성)을 의미한다.
다음,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X선 모듈(200) 또는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의 작동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태파악부(4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상태파악부(410)로부터의 감지결과,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메인 X선 모듈(200) 또는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의 전압 인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로 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나의 메인 X선 모듈(200)과 하나의 보조 X선 모듈(300) 및 하나의 전압발생모듈(10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의 전압 인가 방향을 메인 X선 모듈(200) 또는 보조 X선 모듈(300)로 제어함으로써 모듈 단위로의 작동 전환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상태파악부(410)로부터의 감지결과,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로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보조 X선 모듈(300)로 작동을 전환한다. 즉, 비정상 작동 중인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한 전압 인가가 차단되고,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210)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X선관 개별 모듈 단위로 전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는 전환부(400`)가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닌, 외부의 컨트롤러(C`) 상에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도 2 또는 도 4는 전환부(400)가 정전기제거장치 제품 내에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을 의미하고, 도 5는 정전기제거장치 제품 외부에 위치하는 컨트롤러(C`)에 전환부(400`)가 포함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한편, 추가적인 예시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는 복수 개의 메인 X선 모듈(200)과 보조 X선 모듈(300) 각각의 위치를 지칭하는 주소값을 설정하는 위치설정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부(420)는 상기 전환부(400) 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환부(400)는 복수 개의 상기 메인 X선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주소값에 기초하여, 비정상 작동중인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로 작동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는 n개의 복수 개의 메인 X선 모듈(200)과, 상기 n개의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n개의 보조 X선 모듈(300)로 구성된다(여기서,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를 의미하고, 1부터 n개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모듈(100)도 상기 n개의 메인 X선 모듈(200)과 대응하도록 n개 마련됨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위치설정부(420)는 제1 메인 X선 모듈(200)의 주소값을 ‘1_1’, 제2 메인 X선 모듈(200)의 주소값을 ‘1_2’ 및 제n 메인 X선 모듈(200)의 주소값을 ‘1_n’과 같이 설정하고, 제1 보조 X선 모듈(300)의 주소값을 ‘2_1’, 제2 보조 X선 모듈(300)의 주소값을 ‘2_2’ 및 제n 보조 X선 모듈(300)의 주소값을 ‘2_n’과 같이 설정한다.
다음, 상기 전환부(400)는 n개의 메인 X선 모듈(200)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n개의 전압발생모듈(100)을 제어하여 메인 X선 모듈(200)들을 작동 후, 상기 상태파악부(410)에서 n개의 메인 X선 모듈(200) 중 제2 메인 X선 모듈(200)의 비정상 작동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제2 메인 X선 모듈(200)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고, 상기 제2 메인 X선 모듈(200)의 주소값인 ‘1_2’에 대응하는 주소값인 ‘2_2’인 제2 보조 X선 모듈(300)로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2 전압발생모듈(100)을 제어하여 작동을 전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상태파악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의 상태파악부(410)는 작동확인부(411) 및 수명확인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확인부(411)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200) 및 보조 X선 모듈(300)의 On/Off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수명확인부(412)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200) 및 보조 X선 모듈(300)의 누적 작동 시간을 이용하여 수명을 확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명확인부(412)는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잔여수명이 미고갈상태인 안전허용수명 미만인 경우, 해당 메인 X선 모듈(200)의 잔여수명이 불충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허용수명은 각 메인 X선 모듈(200)의 기설정된 작동수명의 5% 내지 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X선 모듈(200)의 기설정된 작동수명이 5,000 시간이고, 안전허용수명은 250시간(예를 들어, 작동수명의 5%)인 경우, 상기 수명확인부(412)는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잔여수명이 300시간이면 잔여수명이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잔여수명이 200시간이면 잔여수명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태파악부(410)는 각각의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Off 상태를 감지하거나, 누적 작동 시간이 기설정된 수명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면 비정상 작동 중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상태파악부(410)는 조사량확인부(4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사량확인부(413)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200) 및 보조 X선 모듈(300)의 조사량이 기설정된 X선 조사량 대비 실제 X선 조사량을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파악부(410)는 각각의 상기 메인 X선 모듈(200)의 실제 X선 조사량이 기설정된 X선 조사량보다 작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면 비정상 작동 중으로 판단한다.
이로 인해, 상기 상태파악부(410)는 메인 X선 모듈(200)의 비정상 작동 상황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비정상 작동 중인 메인 X선 모듈(200)에 대해서는 작동을 정지하여 점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제조공정 라인에는 보조 X선 모듈(300)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상태파악부(410)에 대해서 메인 X선 모듈(200)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대의 경우인 보조 X선 모듈(300) 기준으로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상태파악부(410)로부터의 감지결과가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의 전압이 특정 메인 X선 모듈(200) 및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 모두에 인가되도록 한 뒤, 기설정된 오버랩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도록 상기 전압발생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의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로의 전압 인가가 차단되는 시점과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로의 전압 인가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미세한 시간적 간격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미세한 시간적 간격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정전기 제거 대상인 전자기기 또는 전자부품이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므로, 결과적으로 정전기 제거 대상이 일부 구간에서 정전기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오버랩 시간을 두고 순차 제어함으로써, 메인 X선 모듈(200)의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미세한 시간적 간격(즉, 메인 X선 모듈(200)로의 고전압 인가가 차단되는 시점과 보조 X선 모듈(300)로의 전압 인가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미세한 시간적 간격) 및 제품의 연속적인 전방 이송으로 인한 정전기 미제거 구간 발생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환부(400)는 상기 상태파악부(410)에서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의 Off 상태를 감지하는 순간, 피제전체를 이송하는 수단을 기설정된 일정시간(보조 X선 모듈 전압 인가에 걸리는 시간만큼) 정지 후 다시 재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제전체를 이송하는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일정시간 정지 후 재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이 Off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로의 전압 인가가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오버랩 시간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300)로의 전압 인가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미세한 상기 시간적 간격 및 제품의 연속적인 전방 이송으로 인한 정전기 미제거 구간 발생 문제를 더욱 보완하여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는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500)와 외부 장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00)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음향출력부 및 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500)를 통하여 상기 상태파악부(410)에서 특정 메인 X선 모듈(200)의 비정상 작동 중을 판단하는 경우에 대한 이상상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향출력부 및 상기 알람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상황 정보를 상기 통신부(600)를 통하여 상기 제조 공정 라인의 담장자의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1000)는 메인 X선 모듈(200)에서 보조 X선 모듈(300)로의 작동 전환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보조 X선 모듈(300)에서 메인 X선 모듈(200)로 작동 전환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전환부(400, 400`) 또는 컨트롤러(C, C`)를 통해 메인 X선 모듈(200)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X선 모듈(300)을 동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1개 이상의 전압발생모듈;
    상기 전압발생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메인 X선 모듈;
    상기 메인 X선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병렬로 위치하여 대응하는 상기 메인 X선 모듈의 조사영역과 동일한 조사영역을 지니며 상기 전압발생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보조 X선 모듈; 및
    특정 메인 X선 모듈이 비정상 작동 중인 경우,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로 작동을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X선 모듈 또는 상기 보조 X선 모듈의 작동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태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파악부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 및 보조 X선 모듈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 및 보조 X선 모듈의 누적 작동 시간을 이용하여 수명을 확인하는 수명확인부를 포함하여,
    X선 모듈의 Off 상태를 감지하거나, 누적 작동 시간이 기설정된 수명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면 비정상 작동 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파악부는,
    상기 각각의 메인 X선 모듈 및 보조 X선 모듈의 조사량이 기설정된 X선 조사량 대비 실제 X선 조사량을 비교하는 조사량확인부를 포함하여,
    실제 X선 조사량이 기설정된 X선 조사량보다 작은 경우, 비정상 작동 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X선 모듈과 상기 보조 X선 모듈 각각의 위치를 지칭하는 주소값을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부는,
    상기 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로 작동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특정 메인 X선 모듈과, 상기 특정 메인 X선 모듈에 대응하는 보조 X선 모듈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PCT/KR2021/018120 2021-11-30 2021-12-02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WO20231010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7107.7A CN116530217A (zh) 2021-11-30 2021-12-02 X射线管单个模块可转换的条型除静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875 2021-11-30
KR1020210168875A KR20230081115A (ko) 2021-11-30 2021-11-30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058A1 true WO2023101058A1 (ko) 2023-06-08

Family

ID=8661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120 WO2023101058A1 (ko) 2021-11-30 2021-12-02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81115A (ko)
CN (1) CN116530217A (ko)
WO (1) WO202310105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9067A1 (en) * 2009-11-30 2011-06-02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diagnostic apparatus and x-ray diagnostic method
KR20150032102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1882230B1 (ko) * 2017-02-20 2018-07-26 (주)선재하이테크 듀얼 x선관이 구비된 정전기 제거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65346B1 (ko) * 2018-02-08 2020-01-13 (주)선재하이테크 X선을 이용한 정전기 제거장치
KR20200078776A (ko) * 2018-12-21 2020-07-02 (주)선재하이테크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
KR20210151303A (ko) * 2020-06-04 2021-12-14 (주)선재하이테크 스위칭 가능한 이중 바타입 정전기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87B1 (ko) 2005-04-19 2007-09-17 (주)선재하이테크 막대형 이오나이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9067A1 (en) * 2009-11-30 2011-06-02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diagnostic apparatus and x-ray diagnostic method
KR20150032102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1882230B1 (ko) * 2017-02-20 2018-07-26 (주)선재하이테크 듀얼 x선관이 구비된 정전기 제거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65346B1 (ko) * 2018-02-08 2020-01-13 (주)선재하이테크 X선을 이용한 정전기 제거장치
KR20200078776A (ko) * 2018-12-21 2020-07-02 (주)선재하이테크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
KR20210151303A (ko) * 2020-06-04 2021-12-14 (주)선재하이테크 스위칭 가능한 이중 바타입 정전기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30217A (zh) 2023-08-01
KR20230081115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778A1 (ko)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KR860000637B1 (ko) 전원 시스템(system)
WO2010087545A1 (en) Charge equalization apparatus for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using regulated voltage source
WO2019004544A1 (ko) 절연 저항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346B1 (ko) X선을 이용한 정전기 제거장치
WO2010062141A2 (ko)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5099349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소화 장치 및 상기 소화 장치 제어 방법
WO2023101058A1 (ko) X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바 타입의 정전기제거장치
WO2018074809A1 (ko) 셀 밸런싱 시스템 및 제어방법
WO2014171689A1 (ko) X선 발생 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x선 발생부와 고전압 발생부
WO2021085866A1 (ko)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의 냉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33956A1 (ko)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WO2015119400A1 (ko) 기판처리장치
WO2019245120A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WO2017039164A1 (ko) Ups 배터리 충전용량 제어 방법
WO2011139108A2 (ko) 배터리 재생장치
WO2021149949A1 (ko) 종단 저항 설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10151303A (ko) 스위칭 가능한 이중 바타입 정전기제거장치
WO2017014368A1 (ko) 펄스 전원 장치
WO2024010158A1 (ko) 링크 타입의 엑스선관 개별 모듈의 전환이 가능한 정전기제거장치
WO2015068978A1 (ko) 교류 led 구동회로
WO2017217680A1 (ko) 직관적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태 표시 장치
WO2019132237A1 (ko) 직류 차단기
WO2014185585A1 (ko) 조명장치
WO2021194041A1 (ko)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정전기제거장치의 온오프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07107.7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6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