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0522A1 -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 Google Patents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0522A1
WO2023090522A1 PCT/KR2021/018699 KR2021018699W WO2023090522A1 WO 2023090522 A1 WO2023090522 A1 WO 2023090522A1 KR 2021018699 W KR2021018699 W KR 2021018699W WO 2023090522 A1 WO2023090522 A1 WO 20230905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infant
sensing
support area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6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무빈
Original Assignee
강무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무빈 filed Critical 강무빈
Publication of WO20230905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05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safety accidents.
  •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refers to the sudden death of an infant or toddler whose cause of death cannot be found even after an autopsy or a postmortem examination such as a review of circumstances and medical history at the time of death.
  •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infant death in developed countries.
  • Sudden infant death occurs most frequently in infants between 2 and 4 months of age and usually occurs while the child is sleeping.
  • the antireflux cushion blocks the respiratory tract or the cushion is so soft that body hea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regulating body temperature. This failure is the main cause.
  • Infants have a narrow, cylindrical esophagus and a short stomach, making it easy for ingested food to flow back through the esophagus.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onitors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real time by controlling the air mat using an air mat capable of controlling expansion or contraction and a sens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area where the infant is supported, but also the condition of the infant or young child. provides an air-based cush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pe with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 the air-type cushion for infants is formed inside a body part capable of supporting the body of an infant and a child, and contracts or expands through individual control.
  • an initial setting value is set using the sensing value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fter setting the initial setting value, a comparison between the sensing value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initial setting value is performed in the support area.
  • An air controller for controlling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air mat through the driving unit by determining a state of change for may be included.
  • the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between the air mat and a support area of the body.
  • the air ma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cells inside the body par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area, and the sensing un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ells and corresponds to each of the air cells.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that output sensing values for a portion of the support area to be.
  •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ir mat by using an air mat capable of controlling expansion or contraction and a sens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state of an area in which the infant is supported, thereby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infant. Not only can it be monitored in real time, but it can also deal with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use of cushions for infants and toddlers.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between an air mat of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ir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iving unit operating with an air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to which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process of a cushion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between an air mat and a sensing unit of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ir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ive unit operating with an air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n exemplary view to which a cush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infant cushion 100 has a body portion 110 having a support area capable of supporting infants and toddlers, and an interio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for exampl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area.
  • An air mat 1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cells 121 that are installed and contracted or expanded according to air, and the air mat 120 in a corresponding lower area of the air mat 120, that is, inside the body portion 110. ) install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air cell 121 to detect a change in state of a part corresponding to each air cell 121, an air controller 140 to control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lurality of air cells 121, and the like.
  • An air mat 1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cells 121 that are installed and contracted or expanded according to air, and the air mat 120 in a corresponding lower area of the air mat 120, that is, inside the body portion 110.
  • an air controller 140 to control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lurality of air cells 121, and the like.
  • 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a backrest portion to have an inclined angle from the horizontal or may have a cushion shape.
  • the body portion 110 supports infants and may include a support area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 An air mat 1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ractible or expandable air cells 1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that is, the insid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area.
  • the cushion 100 for infants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30 for detecting a pressed state of a portion where the air mat 120 is formed, that is, a support area.
  • sensors 131 are installed in each part corresponding to each air cell 121 to sense information about the pressed state of each air cell 121.
  • a sensing unit 130 composed of may be included. That is, each of the sensor units 131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each air cell 121 is installed to sense information on a pressed stat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air controller 140 .
  • each sensor 131 of the sensing unit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area and the air mat 120, and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air mat 120 corresponding to each air cell 121 to be installed in the support area After sensing the degree of pressure of each air cell 121 for each installation area, it may be provided to the air controller 140 .
  • An initial value setting unit 141 may be provided to set an initial setting value using the sensing values of each sensor 131 as detected.
  • the air controller 140 monitors the sensing value of each sensor 131 based on the initial setting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ensor 131 outputting a sensing value with a change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upport area. It may be provided with a monitoring unit 142 for monitoring the change portion for.
  • the air controller 140 controls the air cell 121 to expand or contrac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or 131 outputting a sensing value with a change within a preset threshold range.
  • a control unit 143 may be provided.
  • the air controller 140 may manage a matching table composed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13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air cell 121 . That is, the air condition control unit 143 of the air controller 140 conver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ell 121 match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131 outputting a sensing value having a change within a preset threshold range into a matching table. After extracting from,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control the air cell 121 that needs to be controlled.
  • the air condition controller 143 may control the selected air cell 121 by interlocking with the driving unit 150 composed of the discharge valve 151, the air injection module 152, and the inlet valve 153. .
  • the drive unit 150 is connected to each air cell 121 and is connected to a discharge valve 151 capable of discharging air inside the air cell 121, and is connected to each air cell 121 and is connected to an air injection module ( An inlet valve 153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cell 152 to the air cell 121 may be included.
  • Each of the discharge valve 151 and the inlet valve 153 are electronic valves, and may be controlled on/off by the air state control unit 143 . That is, the air condition control unit 143 controls the air injection module 152 and turns on the inlet valve 153 connected to the selected air cell 121 whe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xpansion of the selected air cell 121 (open state).
  • the air cell 121 may be inflated by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injection module 152 to the selected air cell 121. In this case, the discharge valve 151 connected to the selected air cell 121 may maintain an off state (closed state).
  • the air condition control unit 143 controls the air injection module 152 and turns on (opens) the discharge valve 151 connected to the selected air cell 121 whe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ontraction of the selected air cell 121.
  • the air cell 121 may be contracted by discharging air inside the selected air cell 121 .
  • the air condition control unit 143 senses the state of the infa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upport area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131, and then the air cell 121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ir cells 121
  • the air mat 120 composed of at least one sensor 131 and one air cell 121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support area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contro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support area through control.
  • the air controller 140 checks the change state of the support area of the body part 110 based on the sensing values provided from each sensor 131 of the sensing unit 130, and then, based on this, the air mat 120 It is possible to perform expansion or contraction control for. That is, the air condition control unit 143 of the air controller 140 injects air into the air mat 120 through the control of the inlet valve 153 and the air injection module 152 connected to the air mat 120 to inflate it.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support area of the body part 110 may be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sensing value provided from each sensor 131 of the sensing unit 130 and the initial setting value.
  • the air state controller 143 of the air controller 140 closes the inlet valve 153. By controlling, air injection can be stopped.
  • the air condition control unit 143 of the air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ischarge valve 151 to open, so that the air mat 120 can be contracted.
  • the infant cushion 100 has a shap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n angle between 14 degrees and 17 degrees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It can be applied to the body part 110 having the support area 111.
  • an air mat 1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cells 121 is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1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area 111, and each air cell 121 has a discharge valve required for contraction and expansion control ( 151) and an inlet valve 153 are provided, and an air injection module 152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valve 153.
  •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infant cush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troller 140 may perform a step S300 of recognizing the infant as it is supported by the body 110 .
  • the recognizing step (S30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infant is supported as a sensing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input from each sensor 131 of the sensing unit 130 formed inside the body unit 110.
  • the air controller 140 sets an initial setting value using the sensing values provided from each sensor 131 (S302).
  • the air controller 140 monitors the support area by comparing the sensing values input from each sensor 131 with the initial setting values (S304).
  • the air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control of the air cell 121 is necessary by checking whether there exists a sensing value that has changed from an initial setting value to a preset threshold range among the sensing values input from each sensor 131 (S306).
  • the air controller 140 selects the air cell 121 matched with the sensor 131 outputting a sensing value that has changed within a preset threshold range (S308), and selects the air cell 121 In order to inflate, air is injected into the selected air cell 121 by controlling the air injection module 152 and the inflow valve 153 to inflate it (S310).
  • the air controller 14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30 and the driving unit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sensing unit 130 and the driving unit 140 wirelessly. . That is, the air controller 140 wirelessly receives sensing values from each sensor 131 of the sensing unit 130, and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driving unit 140 wirelessly as a state change of the support area is detected.
  • the air mat 1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in a shape that partially protrudes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110 .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that is, the upper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area may have an embossed shape.
  •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o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dium (or memory) or the like that may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s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Alternatively, the instruction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emory) may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load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gener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performing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execut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ir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한 영유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형성되고 개별적인 제어를 통해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에어 매트와, 상기 에어 매트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영유아를 지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지지영역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값을 제공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유아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것이 인식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받은 센싱값에 이용하여 초기 셋팅값을 설정하며, 상기 초기 셋팅값을 설정한 후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과 상기 초기 셋팅값간의 비교를 통해 지지영역에 대한 변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해 에어 매트를 수축 또는 팽창 제어하는 에어 제어기를 포함하는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본 발명은 다양한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영유아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은 부검이나 사망 당시의 상황 및 병력 검토 등 사후 검사에서도 사망원인을 찾을 수 없는 영아나 유아의 갑작스런 죽음을 말하며, 세계적으로 1000명의 출생아 당 1~3명 정도가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사망하고 선진국에서는 영아가 사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이러한 영아 돌연사는 생후 2~4개월 영아들에게 가장 빈발하며 아이가 자는 동안에 주로 발생하는데, 잠자는 중 자세가 바뀌면서 역류방지쿠션이 호흡기를 막거나 쿠션이 너무 푹신해서 체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체온 조절이 안되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영아들은 식도가 좁고 원통형이며 위의 길이가 짧아 섭취한 음식물이 다시 식도를 통해 역류하기가 쉬워, 식후에 머리 받침부가 높은 역류 방지 쿠션에 눕혀서 재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역류 방지 쿠션들은 영아가 수면중에 돌아 눕지 못하도록 아기의 몸을 밴드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많이 이용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몸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영아에게 답답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아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284281호(2021.07.27.등록.)
본 발명은 팽창 또는 수축 제어가 가능한 에어 매트와 영유아가 지지되는 영역에 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이용하여 에어 매트를 제어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상태에 따른 안전 사고를 대처할 수 있는 에어 기반의 영유아용 쿠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은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형성되고 개별적인 제어를 통해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에어 매트와, 상기 에어 매트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영유아를 지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지지영역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값을 제공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유아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것이 인식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받은 센싱값에 이용하여 초기 셋팅값을 설정하며, 상기 초기 셋팅값을 설정한 후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과 상기 초기 셋팅값간의 비교를 통해 지지영역에 대한 변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해 에어 매트를 수축 또는 팽창 제어하는 에어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에어 매트와 상기 몸체부의 지지영역 사이의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매트는 상기 지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복수개의 에어셀로 구성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에어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셀 각각에 대응되는 지지영역의 부분에 대한 센싱값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팽창 또는 수축 제어가 가능한 에어 매트와 영유아가 지지되는 영역에 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이용하여 에어 매트를 제어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유아용 쿠션 사용에 따른 안전 사고를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의 에어 매트와 감지부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제어기와 동작하는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용 쿠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에어 기반의 영유아용 쿠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의 에어 매트와 감지부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제어기와 동작하는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용 쿠션(100)은 영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영역을 갖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의 내부, 예컨대 지지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에어(air)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복수의 에어셀(121)로 구성된 에어 매트(120), 에어 매트(120)의 대응되는 하부 영역, 즉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에어 매트(12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각 에어셀(121)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130), 복수의 에어셀(121)에 대한 수축 또는 팽창 제어를 위한 에어 제어기(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수평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를 갖도록 등받이부를 구비하거나 쿠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부(110)는 영유아를 지지하고, 수용 공간을 갖는 지지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내부, 즉 지지영역에 대응되는 내부에는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복수의 에어셀(121)로 구성된 에어 매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100)은 에어 매트(120)가 형성된 부분, 즉 지지영역에 대한 눌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120)의 하부 영역에는 각 에어셀(121)에 대응되는 각 부분에 설치되어 각 에어셀(121)의 눌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131)들로 구성된 감지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센서부(131) 각각은 각각의 에어셀(121)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눌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한 후 이를 에어 제어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부(130)의 각 센서(131)는 지지영역과 에어 매트(120) 사이에 설치되고, 에어 매트(120)의 각 에어셀(121)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지지영역에 대한 각 에어셀(121)의 설치 영역별 눌림 정도를 센싱한 후 이를 에어 제어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에어 제어기(140)는 영유아가 몸체부(110)에 지지되는 것이 감지됨에 따라 예컨대, 감지부(130)의 각 센서(131)에 대한 센싱값(눌림 정도)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변화되는 것이 감지됨에 따라 각 센서(131)의 센싱값들을 이용하여 초기 셋팅값을 설정하는 초기값 설정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제어기(140)는 초기 셋팅값을 기초하여 각 센서(131)의 센싱값을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서 변화가 있는 센싱값을 출력하는 센서(13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지지영역에 대한 변화 부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변화 부분이 감지됨에 따라, 에어 제어기(140)는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서 변화가 있는 센싱값을 출력하는 센서(131)의 위치에 대응되는 에어셀(121)에 대한 팽창 또는 수축 제어하기 위한 에어 상태 제어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제어기(140)는 각 센서(131)의 식별 정보와 각 에어셀(121)의 식별 정보로 구성된 매칭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에어 제어기(140)의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서 변화가 있는 센싱값을 출력하는 센서(131)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에어셀(121)의 식별 정보를 매칭 테이블에서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제어가 필요한 에어셀(121)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배출 밸브(151), 에어 주입 모듈(152) 및 유입 밸브(153) 등으로 구성된 구동부(150)와 연동되어 선택된 에어셀(12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50)는 각 에어셀(121)과 연결되어 에어셀(12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밸브(151), 각 에어셀(121)에 연결되어 에어 주입 모듈(152)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셀(121)에 공급하기 위한 유입 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배출 밸브(151)와 유입 밸브(153)는 전자식 밸브로서, 에어 상태 제어부(143)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즉,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선택된 에어셀(121)에 대한 팽창 제어가 필요할 경우 에어 주입 모듈(152)의 제어와 더불어 선택된 에어셀(121)에 연결된 유입 밸브(153)를 온 상태(열림 상태)로 제어하여 에어 주입 모듈(152)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선택된 에어셀(121)에 공급하여 에어셀(121)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에어셀(121)에 연결된 배출 밸브(151)는 오프 상태(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선택된 에어셀(121)에 대한 수축 제어가 필요할 경우 에어 주입 모듈(152)의 제어와 더불어 선택된 에어셀(121)에 연결된 배출 밸브(151)를 온(열림) 제어하여 선택된 에어셀(121)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셀(121)를 수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에어 상태 제어부(143)가 복수의 센서(131)를 이용하여 지지영역의 변화에 따라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한 후 복수의 에어셀(121) 중 선택된 에어셀(121)의 제어를 통해 지지영역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지지영역에 대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31) 및 하나의 에어셀(121)로 구성된 에어 매트(12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지지영역의 변화에 대응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에어 제어기(140)는 감지부(130)의 각 센서(131)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을 토대로 몸체부(110)의 지지영역에 대한 변화 상태를 체크한 후 이를 토대로 에어 매트(120)에 대한 팽창 또는 수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에어 제어기(140)의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에어 매트(120)에 연결된 유입 밸브(153) 및 에어 주입 모듈(152)의 제어를 통해 에어 매트(120)에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킴과 더불어 감지부(130)의 각 센서(131)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과 초기 셋팅값간의 비교를 통해 몸체부(110)의 지지영역에 대한 상태를 최초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최초 상태로 복원, 즉 초기 셋팅값과 임계범위 내에서 일치한 센싱값이 각 센서(131)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에어 제어기(140)의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유입 밸브(153)를 닫힘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에어 주입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수축 제어가 필요한 경우 에어 제어기(140)의 에어 상태 제어부(143)는 배출 밸브(151)를 열림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에어 매트(120)를 수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쿠션(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밑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예컨대 14도 ∼ 17도 사이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지지영역(111)을 갖는 몸체부(1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영역(111)에 대응되는 몸체부(110) 내부에 복수의 에어셀(121)로 구성된 에어 매트(120)를 형성되고, 각 에어셀(121)에는 수축 및 팽창 제어에 필요한 배출 밸브(151) 및 유입 밸브(153) 등이 구비되고, 유입 밸브(153)에는 에어 주입 모듈(152)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어 기반의 영유아용 쿠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용 쿠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제어기(140)는 영유아가 몸체부(110)에 지지됨에 따라 이를 인식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인식하는 단계(S30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감지부(130)의 각 센서(131)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센싱값이 입력됨에 따라 영유아가 지지됨을 인식할 수 있다.
영유아의 지지상태가 인식됨에 따라, 에어 제어기(140)는 각 센서(131)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을 이용하여 초기 셋팅값을 설정한다(S302).
이후, 에어 제어기(140)는 각 센서(131)로부터 입력되는 센싱값과 설정된 초기 셋팅값간의 비교를 통해 지지영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304).
에어 제어기(140)는 각 센서(131)로부터 입력된 센싱값 중 초기 셋팅값에서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변화된 센싱값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에어셀(121)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306).
S306의 판단 결과, 제어가 필요한 경우, 에어 제어기(140)는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변화된 센싱값을 출력하는 센서(131)에 매칭된 에어셀(121)을 선택하고(S308), 선택한 에어셀(121)을 팽창시키기 위해 에어 주입 모듈(152) 및 유입 밸브(153)을 제어하여 선택한 에어셀(121)에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다(S31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제어기(140)는 감지부(130) 및 구동부(14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감지부(130) 및 구동부(140)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에어 제어기(140)는 감지부(130)의 각 센서(131)로부터 센싱값을 무선으로 수신하며, 지지영역에 대한 상태 변화가 감지됨에 따라 구동부(140)의 각 구성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120)는 몸체부(110)의 상측 방향으로 일부 돌출된 형상으로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상면, 즉 지지영역에 대응되는 상면 부분이 엠보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00 : 영유아용 쿠션
110 : 몸체부
120 : 에어 매트
130 : 감지부
140 : 에어 제어기

Claims (3)

  1.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형성되고 개별적인 제어를 통해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에어 매트와,
    상기 에어 매트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영유아를 지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지지영역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값을 제공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유아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것이 인식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받은 센싱값에 이용하여 초기 셋팅값을 설정하며, 상기 초기 셋팅값을 설정한 후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과 상기 초기 셋팅값간의 비교를 통해 지지영역에 대한 변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해 에어 매트를 수축 또는 팽창 제어하는 에어 제어기를 포함하는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에어 매트와 상기 몸체부의 지지영역 사이의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 기반의 영유아용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매트는,
    상기 지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복수개의 에어셀로 구성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에어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셀 각각에 대응되는 지지영역의 부분에 대한 센싱값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되는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PCT/KR2021/018699 2021-11-19 2021-12-10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WO20230905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36 2021-11-19
KR1020210160336A KR20230073687A (ko) 2021-11-19 2021-11-19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522A1 true WO2023090522A1 (ko) 2023-05-25

Family

ID=8639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699 WO2023090522A1 (ko) 2021-11-19 2021-12-10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3687A (ko)
WO (1) WO20230905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2182A1 (en) * 2009-03-30 2010-09-30 Bor-Nian Chuang Portable Cushion Device
KR20160018167A (ko) * 2014-08-08 2016-02-17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매트 및 유아용 매트 제어 시스템
KR101760616B1 (ko) * 2016-07-27 2017-07-21 박세훈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JP2018075291A (ja) * 2016-11-11 2018-05-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乳幼児支持装置
CN108937338A (zh) * 2018-06-28 2018-12-07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婴儿睡姿调整睡垫及调整婴儿睡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281B1 (ko) 2021-02-08 2021-08-02 성유진 역류방지 수유쿠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2182A1 (en) * 2009-03-30 2010-09-30 Bor-Nian Chuang Portable Cushion Device
KR20160018167A (ko) * 2014-08-08 2016-02-17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매트 및 유아용 매트 제어 시스템
KR101760616B1 (ko) * 2016-07-27 2017-07-21 박세훈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JP2018075291A (ja) * 2016-11-11 2018-05-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乳幼児支持装置
CN108937338A (zh) * 2018-06-28 2018-12-07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婴儿睡姿调整睡垫及调整婴儿睡姿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87A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315B2 (en) Bed device
EP09081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tient positioned upon a cushion
AU2006268288B2 (en) Control unit for patient support
AU720302B2 (en) Air bed control
US20220096299A1 (en) Bed apparatus and patient detection method
JP5090333B2 (ja) 温度調整ブランケットを自動的に膨張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KR102117746B1 (ko)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CA2346207A1 (en) Force optimization surface apparatus and method
WO2023090522A1 (ko) 에어 방식의 영유아용 쿠션
KR101678784B1 (ko) 영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영유아용 수면 조끼 및 그 구동 방법
CN112137814A (zh) 充气床垫控制系统
CN110313970B (zh) 一种胃酸反流阻隔系统
CN102988141A (zh) 一种用于防褥疮气垫床带遥控的自动充放气装置及控制方法
CN211634169U (zh) 一种神经内科卧床病人吞咽训练装置
TWI695704B (zh) 睡眠品質評估以及調控系統
CN116966035A (zh) 一种翻身辅助设备及其装置、翻身辅助系统和应用方法
JP4655515B2 (ja) 就寝システム
CN115245324A (zh) 一种用于新生儿核磁共振检查的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49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