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4954A1 -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 Google Patents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4954A1
WO2023074954A1 PCT/KR2021/015366 KR2021015366W WO2023074954A1 WO 2023074954 A1 WO2023074954 A1 WO 2023074954A1 KR 2021015366 W KR2021015366 W KR 2021015366W WO 2023074954 A1 WO2023074954 A1 WO 20230749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ring
ornament
decoration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3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명
Priority to PCT/KR2021/0153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4954A1/ko
Publication of WO20230749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49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Definitions

  • the first spring fastener 22 and the second spring fastener 32 have spring locking necks 24 and 34 formed below the spring locking heads 23 and 33, respectively, so that the spring locking necks 24 and 34 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may be coupled as winding.
  • Figure 1 shows one embodiment of an elastic spring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astic spring 11 has a spiral wound shape in order to have elasticity but to have a long length even in a narrow space as much as possible. It is called part (13).
  • the figure shown is in the form of a spiral that becomes approximately circular, but it is possible to become a spiral that becomes approximately triangular, a spiral that becomes a square, or other polygonal shapes as needed.
  • Ei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 can be coupled to the egg house (ornament body, 31) to which the decoration 14 is attached, and the other side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body 21 .
  • the support 21 refers to a part containing a jewel except for a jewel part in a normal accessory.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 has a straight line shape bent at an angle with the spiral for coupling.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물본체(31)에는 빛을 받아 빛과의 작용에 의하여 반짝이는 장식물(14)이 결합되며 장식물본체(31)의 하단에는 나선형으로 감긴 탄성스프링(11)의 한쪽 끝단이 결합하는 제2스프링체결구(32)가 형성이되며 장식물본체(31)는 지지체(21) 안쪽에 담기는데 지지체(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체결구(22)에 탄성스프링(11)의 타단이 결합하여 탄성스프링(11)만에 의해 장식물본체(31)가 지지되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탄성스프링(11)은 작은 외력에 의해도 쉽게 진동하여 장식물(14)이 빛에 의해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한다.

Description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서도 빛에 의한 반사를 일으키도록 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난집(장식물본체)은 보석을 수용하여 반지, 귀걸이, 목걸이 같은 지지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종래의 보석의 난집은 목걸이, 보석등의 본체에 해당하는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정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굴절, 반사, 간섭, 산란등에 의하여 장식물이 반짝여 보이게 되는데 난집에 보석과 같은 장식물이 고정되는 경우 난집 또는 지지체에 움직임이 없으면 보석에서 일정부분의 면에 대해서만 이러한 작용이 생기게 되어 특정방향 이와의 방향에서는 보석면을 통해 나오는 빛을 인식하기 어려우며 반짝여 보이지도 않게 된다. 즉, 빛이 별로 반짝이지 않게 되어 크고 좋은 보석이라고 하여도 보석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반짝이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체와 난집 사이에 체인, 밴드, 고리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보석에 유동성을 주어 좀 더 반짝이도록 하는 구성이 제시되었으나 일정강도 이상의 외력을 주지 않으면 잘 움직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7623호 ‘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를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안한바 있는데 이것은 난집에 유동성을 부여한 난집 조립체에 관한 것응 제안하였으며 이것은 관통부가 구비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관통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탄성스프링과 탄성스프링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난집및 난집에 장착되는 보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지체와 난집을 탄성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외부자극이 가해질 경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난집이 진동하도록 하였다. 특히 금속성의 작은 단면의 탄성스프링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계속적으로 떨림이 생기게 함으로써 빛에 의한 굴절,반사, 산란등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난집 조립체에 비하여 빛에 의한 반사 등의 효과가 커진 것은 맞으나 스프링의 외측 양쪽 부분이 관통부의 직선형 홈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난집의 진동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뿐 아니라 탄성스프링이 흔들리는 정도가 크지 않았다. 특히 외부자극이 인가된 후 약 1내지2초 동안만 난집이 진동하고 진동이 바로 소멸하기 때문에 보석이 가진 미려한 아름다움을 계속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70186호 빛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장신구‘를 제시하였는데 스프링의 가장 바깥쪽 끝단의 한점에서만 지지체에 고정을 시키고 가장 안쪽 끝단에는 난집을 고정시키는 형태를 제시하여 미세한 떨림의 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탄성스프링이 고정된 위치에 따라서 세웠을 때 떨림이 잘 일어나게 되면 눕혔을 때는 떨림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세운 상태에서 약간만 눕혀도 떨림의 정도가 확 줄게 되며 눕혔을 때 떨림이 잘일어나는 상태로 세팅하면 세웠을 때는 떨림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느 방향으로 세우거나 눕혀도 진동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난집(장식물본체)-지지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장식물본체(31)에는 빛을 받아 빛과의 작용에 의하여 반짝이는 장식물(14)이 결합되며 장식물본체(31)의 하단에는 나선형으로 감긴 탄성스프링(11)의 한쪽 끝단이 결합하는 제2스프링체결구(32)가 형성이되며 장식물본체(31)는 지지체(21) 안쪽에 담기는데 지지체(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체결구(22)에 탄성스프링(11)의 타단이 결합하여 탄성스프링(11)만에 의해 장식물본체(31)가 지지되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탄성스프링(11)은 작은 외력에 의해도 쉽게 진동하여 장식물(14)이 빛에 의해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한다.
제1스프링체결구(22)와 제2스프링체결구 (32)는 각각 스프링걸기헤드(23, 33)의 아래쪽으로 스프링걸기목(24, 34)이 형성되어있어 스프링걸기목(24,34)에 탄성스프링의 일단이 감기듯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스프링체결구(32)는 스프링걸기목(34)과 스프링걸기헤드(33)가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탄성스프링(11)을 걸 수 있도록 하며 다수개의 제1스프링체결구(22)가 지지체(21)에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되어 여러방향에서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장식물본체(31)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장식물본체(31)와 제2스프링체결구(32) 사이에는 장식물관통홈(41)이 형성되고 길다란 형태의 관통봉(42)이 장식물관통홈(41)을 관통하여 지지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봉고정구(43)에 양측이 결합되는데 장식물관통홈(41)은 관통봉(42)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스프링체결구(22)는 지지체(21)내에서 각각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여러개의 탄성스프링(11)이 가능한한 평행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걸기헤드(23,33)에는 스프링걸기헤드(23,33)를 관통하는 스프링걸기홈(25.35)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끝단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스프링체결구(32)는 장신구본체(31)와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러개의 스프링걸기목이 형성되는 경우 제2스프링체결구(32)를 비스듬하게 형성하는 것이 결합에 있어서는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종래에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수십초에 불과하던 진동시간이 몇배로 늘어날 뿐 아니라 어느 방향으로 세우더라도 진동이 일어나며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외력을 새롭게 가한것이 되어 계속적으로 진동이 일어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탄성스프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2의 실시예를 아래쪽에서 본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제1스프링체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제2스프링체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제2스프링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이나 이미 공지된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스프링(1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탄성스프링(11)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되 가능한 한 좁은 공간내에서도 긴 길이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감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탄성스프링의 바깥쪽끝단은 제1결합부(12) 안쪽끝단은 제2결합부(13)라고 한다. 도시된 도면은 대략원형이 되는 나선형의 형태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대략 삼각형이 되는 나선형이나 사각형이 되는 나선형 혹은 그외 다각형 형태의 나선형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12)와 제2결합부(13)중 어느 한쪽은 장식물(14)이 부착된 난집(장식물본체, 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한쪽은 지지체(21) 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체(21)는 통상의 장신구에서 보석 부분을 제외하고 보석을 담고 있는 부분을 말한다. 제1결합부(12)나 제2결합부(13)는 결합을 위해서 나선과는 각도롤 꺽인 직선형태를 하고 있다.
도2,3은 탄성스프링(11)을 이용하여 장식물(14)을 고정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지지체(21)는 장식물(14)을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귀걸이, 목걸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히 어떤 제품인지를 명시하지는 않는다. 다만 도시된 형태의 지지체(21)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귀걸이, 목걸이, 반지등 현재 사용 가능한 여러가지 형태의 물품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장식물(14)은 다이아몬드, 큐빅 등과 같은 광변환물체 인 것이 유리하나 그 외에 다른 보석류도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지체(21)에는 탄성스프링(11)의 끝단이 결합하기 위한 제1스프링체결구(22)가 형성이 된다. 제1스프링체결구(22)는 지지체(21)의 모양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이 될 수 있는데 도2에서는 중앙이 뚫린 고리형의 지지체(21) 측면벽에 형성이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측면이 아닌 바닥면쪽에 형성될 수 있다. .
제1스프링체결구(22)는 탄성스프링(11)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스프링걸기헤드(23)는 스프링걸기목(24)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고 있어 스프링걸기목(24)에 감기면 스프링걸기헤드(23)의 폭이 더 커서 빠지기 힘들게 되며 스프링걸기헤드(23)를 관통하여 스프링걸기홈(25)이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스프링(11)의 끝단에 대항되는 제1결합부(12)나 제2결합부(13)가 스프링걸기홈(25)을 관통하여 지난뒤 스프링걸기목(24)을 감아서 결합이 된다. 도3에서 탄성스프링(11)의 한쪽 끝단은 제2스프링체결구(32)에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결합이 된다.
장식물(14)은 탄성스프링(11)을 매개로 지지체(21)와 결합되어 외부에서 자극이 인가되면 불규칙적으로 유동하게 되며 진동시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장식물(14)로 광변환 물체가 부착될 수 있다. 장식물(14)은 자극에 의해 계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동체라고도 한다.
도5에서 장식물본체(31)위에 장식물(14)이 올려진 형태를 도시하면 장식물본체(31)와 장식물(14)이 비슷한 모양인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것은 일실시예일 뿐으로 상식물(14)은 장식물본체(31)위에 더 작은 크기로 놓일 수도 있다.
장식물(14)은 장식물(14)을 지지하는 장식물본체(31)에 결합이 되어 수납되며 장식물본체(31)의 하단에는 제2스프링체결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식물본체(31)는 장식물을 지지체(21)에 결합하기 위하여 장식물을 직접 수납하는 구조이며 지지체(21)는 흔히 보는 목걸이, 반지 등의 외형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스프링체결구(32)에는 탄성스프링(11)의 다른 끝단에 해당하는 제1결합부(12)나 제2결합부(13)가 결합하는데 도면에서는 탄성스프링(11)의 가장 내측에 있는 끝단에 해당하는 제2결합구(13)가 결합을 한다. 제2스프링체결구(32) 또한 스프링걸기헤드(33)를 관통하여 스프링걸기홈(35)이 형성되며 스프링걸기헤드(33)의 아래쪽으로 스프링걸기목(34)이 형성되어 스프링걸기목(34)을 탄성스프링(11)의 끝단이 감아 결합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 끝단은 스프링걸기홈(33)을 관통하여 지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36)는 탄성스프링(11)이 감기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여 혹시 제2결합구(13)가 스프링걸기홈(33)에서 이탈되어도 돌출부(36)에 걸려 탄성스프링(11)이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36)는 제1스프링체결구(21)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장식물(14)이 지지체(21)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장식물본체(31)의 하단으로 제2스프링체결구(32)의 위쪽에는 고리형태의 장식물관통홈(41)이 형성되도록 하고 장식물관통홈(41)을 길다란 형태의 관통봉(42)이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장식물관통홈(41)의 아래쪽으로 제2스프링체결구(32)가 형성이 된다.
관통봉(42)의 양쪽 끝단은 지지체(21)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고정구(43)에 끼워져 결합이 되며 장식물관통홀(41)이 관통봉을 지나기 때문에 장식물(14)이 지지체(21)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탄성스프링(11)만으로 장식물(14)이 지지체에 결합하는 경우 작은 충격에도 장식물(14)이 분리되어 이탈할 가능성이 있기 떄문이다. 또한, 가능한한 관통봉(41)은 장식물관통홀(41)에 닿지 않도록 하는데 장식물관통홈(41)이 관통봉(41)에 닿는 경우 동체로서의 움직임이 제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탄성스프링(11)이 한개만 사용되는 경우 장식물(14)을 지지하기 어렵고 앞서 지적한것처럼 약간만 기울이거나 세워진 각도를 바꾸게 되면 동체의 진동이 잘 일어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2스프링체결구(32)에 스프링걸기헤드(33)와 스프링걸기목(34)이 번갈아 형성되도록 하고 스프링걸기목(34)에 탄성스프링(11)이 한개씩 결합하여 다수개의 탄성스프링(11)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장 끝단의 스프링걸기헤드(33)에는 탄성스프링의 끝단이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걸기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프링체결구(22)는 지지체의 내측이나 바닥면에 탄성스프링(11)의 갯수에 맞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스프링(11)이 2개인 경우 서로 180도 정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도록 하여 양쪽에서 장식물(14)을 받치도록 하고 3개인 경우 120도 정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도록 하여 세방향에서 장식물(14)을 받치도록 하고 4개인 경우 90도 정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도록 하여 네방향에서 장식물(14)을 받치도록 한다. 탄성스프링(11)을 한개만 사용하는 경우 탄성스프링(11)만으로 장식물(14)이 떠 있도록 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1스프링체결구(22)에 탄성스프링(11)을 매달아 사용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1스프링체결구(22)와 제2스프링체결구(32)가 지면에 대해서 일렬로 배열되도록 사용하여야 하였으나 두개 이상의 탄성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지면에 제1스프링체결구(22)와 제2스프링체결구(32)가 있는 평면이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놓이게 되어도 장식물(14)이 다른 구성부분에 닿지 않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받쳐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한개의 탄성스프링만 사용하는 경우 목걸이와 같은 제품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는 목걸이 뿐만 아니라 반지나 브로치, 단추, 헤어핀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장신구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스프링체결구(22)에서 스프링걸기목(34)이 형성되는 방향이 수직방향이라면 제2스프링체결구(32)는 거의 같은 평면상에서 형성되는데 이것은 제2스프링체결구(32)의 방향을 제1스프링체결구(22)쪽으로 조금씩 기울어지게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지지체를 길쭉한 형태로 하면 체결되는 다수개의 탄성스프링이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되지만 제1스프링체결구(22)가 지지체에서 결합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지지체를 길쭉한 형태로 만들지 않고 장식물(14)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스프링이 금속성으로 매우 작은 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탄성스프링을 이용한다고 하여도 여러개의 목과 헤드가 연결된 제2스프링체결구(22)의 길이는 크게 길어지지 않으며 탄성스프링이 조금 기울어져 결합한다고 하여도 목과 헤드도 두꺼워 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길이는 그리 길지 않게 된다.
(부호의 설명)
11: 탄성스프링 12: 제1결합부
13: 제2결합부 14: 장식물
21: 지지체 22: 제1스프링체결구
23: 스프링걸기헤드 24: 스프링걸기목
25: 스프링걸기홈
31:장식물본체 32: 제2스프링체결구
33: 스프링걸기헤드 34: 스프링걸기목
35: 스프링걸기홈 36: 돌출부
41: 장식물관통홈 42: 관통봉
43: 관통봉고정구

Claims (7)

  1.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로서,
    장식물본체(31)에는 빛을 받아 빛과의 작용에 의하여 반짝이는 장식물(14)이 결합되며
    장식물본체(31)의 하단에는 나선형으로 감긴 탄성스프링(11)의 한쪽 끝단이 결합하는 제2스프링체결구(32)가 형성이되며 장식물본체(31)는 지지체(21) 안쪽에 담기는데
    지지체(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체결구(22)에 탄성스프링(11)의 타단이 결합하여 탄성스프링(11)만에 의해 장식물본체(31)가 지지되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탄성스프링(11)은 작은 외력에 의해도 쉽게 진동하여 장식물(14)이 빛에 의해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1스프링체결구(22)와 제2스프링체결구 (32)는 각각 스프링걸기헤드(23, 33)의 아래쪽으로 스프링걸기목(24, 34)이 형성되어있어 스프링걸기목(24,34)에 탄성스프링의 일단이 감기듯이 결합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제2스프링체결구(32)는 스프링걸기목(34)과 스프링걸기헤드(33)가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탄성스프링(11)을 걸 수 있도록 하며 다수개의 제1스프링체결구(22)가 지지체(21)에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되어 여러방향에서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장식물본체(31)를 지지하도록 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장식물본체(31)와 제2스프링체결구(32) 사이에는 장식물관통홈(41)이 형성되고 길다란 형태의 관통봉(42)이 장식물관통홈(41)을 관통하여 지지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봉고정구(43)에 양측이 결합되는데 장식물관통홈(41)은 관통봉(42)에 닿지 않도록 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제1스프링체결구(22)는 지지체(21)내에서 각각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여러개의 탄성스프링(11)이 가능한한 평행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걸기헤드(23,33)에는 스프링걸기헤드(23,33)를 관통하는 스프링걸기홈(25.35)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끝단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제2스프링체결구(32)는 장신구본체(31)와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PCT/KR2021/015366 2021-10-28 2021-10-28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WO202307495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366 WO2023074954A1 (ko) 2021-10-28 2021-10-28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366 WO2023074954A1 (ko) 2021-10-28 2021-10-28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54A1 true WO2023074954A1 (ko) 2023-05-04

Family

ID=8615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366 WO2023074954A1 (ko) 2021-10-28 2021-10-28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7495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119U (ja) * 1996-07-02 1997-01-21 株式会社イング 宝石を回転可能に取り付けてなる装身具
US6742359B1 (en) * 2002-07-17 2004-06-01 Korabet Takessian Jewelry piece with a changeable decorative article setting
KR102075869B1 (ko) * 2019-07-23 2020-03-02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WO2020122600A1 (ko) * 2018-12-11 2020-06-18 김창현 진동 장신구
KR102160161B1 (ko) * 2020-05-08 2020-09-25 주식회사 뉴앤락 난집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119U (ja) * 1996-07-02 1997-01-21 株式会社イング 宝石を回転可能に取り付けてなる装身具
US6742359B1 (en) * 2002-07-17 2004-06-01 Korabet Takessian Jewelry piece with a changeable decorative article setting
WO2020122600A1 (ko) * 2018-12-11 2020-06-18 김창현 진동 장신구
KR102075869B1 (ko) * 2019-07-23 2020-03-02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KR102160161B1 (ko) * 2020-05-08 2020-09-25 주식회사 뉴앤락 난집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58928B2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20080104994A1 (en) Grooved gem mount
US6094939A (en) Jewelry item
KR100745296B1 (ko) 보석 장신구용 장식품 및 그 장식품을 포함하는 보석 장신구
KR20150031158A (ko) 장신구
US20130239613A1 (en) Jewelry article with a brilliance enhancing diamond setting
KR101599917B1 (ko) 보석 난집 조립체
EA007216B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украшение
US11109653B2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WO2023074954A1 (ko)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KR20230069754A (ko)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US20090013722A1 (en) Earring
JP2009005938A (ja) 宝石用台座およびこの台座を使用した装身具用ペンダントの製造方法
WO2020122600A1 (ko) 진동 장신구
US20040194503A1 (en) Pearl necklace clasp
US8001804B2 (en) Device to hang multiple elements in multiple planes
US8099979B2 (en) Dynamic item of jewelry
JP3774815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CN216363967U (zh) 首饰装饰结构及首饰
WO2017082442A1 (ko) 장신구
CN214047818U (zh) 一种佩戴稳固的耳饰
JP3237685U (ja) 装身具
KR200456924Y1 (ko) 귀고리
CN210841800U (zh) 一种首饰
KR200391064Y1 (ko) 흔들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2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