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8415A1 -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 Google Patents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8415A1
WO2023068415A1 PCT/KR2021/015065 KR2021015065W WO2023068415A1 WO 2023068415 A1 WO2023068415 A1 WO 2023068415A1 KR 2021015065 W KR2021015065 W KR 2021015065W WO 2023068415 A1 WO2023068415 A1 WO 20230684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filter
bottle cap
portable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0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정철
박성은
이재훈
윤수진
이재근
박민찬
김상인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Publication of WO20230684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84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a filter member capable of completely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is built-in, and is also detachable from a portable water bottle for repeated use.
  • This relates to a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 Prior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215729
  • a coupling part coupled to a portable water bottle to close the water inlet and having a water outlet formed in one area;
  • a water filter for a portable water bottle including a water purifying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purifying water contained in the portable water bottle and guiding it to the water outlet.
  • Prior Document 1 by combining a water filter having a water purification device with a portable water bott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contained in the portable water bottle can be purified and drunk, so that the water can be drunk more safely, but the water filter including the coupling part and the water purification part is completely Replacement costs are high because they must be replaced, and there is still a limit to removing substances that cause hardness or odors that are dissolved in water.
  •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rior Document 2 includes a fixing part 10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water bottle B, and a cap part 20 positioned above the fixing part 10. , a filter accommodating member 30 located below the fixing part 10, and a filter member 4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water bottle B.
  • the cap part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art 11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water bottle includes a cap body 21, an extension part 22 for easily tilting the cap body 21, and an extension part ( 22) and a connection portion 23 connecting the cap body 21.
  • the discharge part 1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flat part of the fixing part 10, and the ridge wall 12 for fixing the cap part 20 is located outside the discharge part 11, and air is supplied to the water bottle (B).
  • An air inlet 13 for inducing the intake of the air inlet 13 and a moving piece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13 are provided.
  • the moving piece 14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inlet 13 is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water bottle. That is, when drinking water from a water bottle, pressurize the water bottle with your hand while holding the discharge part 11 in your mouth. Since the volume of the water bottle decreases as much as the volume of water you drink, it is difficult to pressurize the water bottle additionally and if there is little water left, It does not discharge wel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rinking can be done conveniently through the air inlet 13 and the moving piece 14 even when there is little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bottle.
  • the moving piece 1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mposed of a conical head, a cylindrical body, and a flat-plate tai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13 is perform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ater bottle and the weight of the moving piece 14.
  • a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sometimes it does not work properly because it is affected by the shape change of the moving piece 14.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at a low replacement cost while completely blocking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contained in wat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capabl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drinking by quickly introducing air into the water bottle even if the volume of the water bottle itself is reduced after drinking.
  •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xing part 100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water bottle; a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0; a filter member 300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water bottle B; and an air inlet member 4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and guiding air into the water bottle B.
  • the fixing part 100 has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sealed while the inside is empty, and a water discharge part 110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outside the top surface, and on the inside, the water discharge part 110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lder 13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unit 1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 the filter receiving member 200 includes an upper support portion 210 for fixing one end of the filter 300, a lower support portion 220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filter 300, and a side support part 230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part 210 and the lower support part 220, wherein the upper support part 210 has a side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sealed while the inside is empty, and the holder is outside the upper surface.
  • a first connecting member 211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a first through hole 212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hrough hole 212
  • a third connecting member 21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the lower support part 220 has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sealed while the inside is empty, a second through hole 22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 the support part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231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bottle can pass through.
  • the air inlet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410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221 of the lower support 220 and the upper body 41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wer body 420, a ball 430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body 420, and a spring 440 supporting the ball 430 while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body 420.
  • the upper body 410 is made up of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is hollow inside, and a cylindrical first extension part 411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221 outside the upp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s provided.
  •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4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ical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decreasing as it goes upward.
  • the lower body 4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0 and has a cylindrical first body 421 with an empty inside, and the first body 42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c-shaped second body 422 connected to one end a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422 (a) formed in the center.
  •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422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ody 410.
  • a plurality of ribs 421 (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21 are provided in a radial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421, and the ball 4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end of the rib 421 (a).
  • one or more incision grooves 422 (b) ar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2.
  • the spring 440 has a coil shape and is positioned to cross the incision groove 422 (b).
  •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contained in water, thereby protecting the health of the drinker.
  •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having a built-in filt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ttle by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bottl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drinking.
  • the portable water bottle lid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il spring is positioned to cross the incision of the second body, it has the advantage that external air can flow into the water bottle even with a slight difference in pressure inside the water bottle. there i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d having a built-in filter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on a portable water bottle.
  • FIG. 2 is a side view of a water bottle c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in which the cap par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in the water bottle c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in a portable water bottle cap having a built-in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bottle cap having a built-in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ut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shown in FIG. 5;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cap shown in FIG. 5;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ir inlet member is coupled to a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shown in FIG. 5 .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air inlet member shown in FIG. 9 .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air inlet member shown in FIG. 9 .
  • FIG.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constituting the air inlet member.
  •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in a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a built-in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ut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shown in FIG. 5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cap shown in FIG. 5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ilter is buil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d of the water bottle, and therefore, since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during drink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bacteria including substances that cause hardness contain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bottle can be removed.
  •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functions includes a fixing part 100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water bottle, and a filter accommodating member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0) 200), a filter member 300 stor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water bottle B,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into the water bottle 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inlet member 400 for inducing air.
  • the fixing part 100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water bott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fixing part 100 ha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that are sealed while the inside is empty, an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there is a water discharge part 110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water can be directed toward the mouth when drinking or pressing the water bottle with a hand. It is available.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which is to prevent slipping from the hand when attaching or removing the lid from the water bottle.
  • a holder 13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unit 1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upling with a first connection member 211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cap unit 140 is additionally provid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 a female thread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ide surface so that it can be fasten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opening in a male and female screw fastening method.
  •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0, will be described.
  •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includes an upper support portion 210 for fixing one end of the filter 300, a lower support portion 220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filter 300,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21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de support 230 connecting.
  • the upper support part 210 will be described.
  • the side and upper surface are sealed so that one end of the filter member 300 can be fixed, while the inside is empty so that one end of the filter member 300 can be accommodated.
  • a cylindrical first connecting member 2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13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an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first through hole ( 212) is formed.
  • a third connection member 21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enter of the filter member 300 whi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2 is provided, which is a filter member ( 300), that is,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300, while supporting the filter member 300 more firmly.
  •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30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member 213, the first through hole 212,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then moves to the discharge unit 110. It will be.
  •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holder 13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male and female screw fastening method or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 the lower support part 220 has a hollow insid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lter member 300 can be accommodated while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re sealed.
  • a second through hole 221 coupled to an air inlet member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 the side support 23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to accommodate the filter member 300, and has a plurality of slits 231 so that water in the water bottle can flow into the filter member 300.
  • One end of the side support 230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10 and the other end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220 .
  • the filter member 300 for being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member 200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water bottle B includes a first sealing part 310, a second sealing part 320 and a filter 330. It is composed of.
  • the first sealing part 31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by fixing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33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311 provided in the center so that the aforementioned third connection member 213 can be inserted therein. structure will be achieved.
  • the second sealing part 32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ealing part 310, fixes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33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art 220, which is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 the filter 330 preferably has a pleated shape in which predetermined portions are fol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ause the filter surface area per unit volume can be increased and the filter shape can be easily maintained.
  •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and passed through the filter may pass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member 213, the first through hole 212,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sequentially, and then move to the discharge unit 110. It is obvious that the filtered water movement passage is provided inside.
  •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inlet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art of the portable water bottle cap shown in FIG. 5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upport part and the air inlet member shown in FIG. 9, and FIG. 11 is shown in FIG.
  • FIG.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a lower body constituting the air inlet member.
  • the air introduction membe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
  • the air inlet member 4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member 200, specifically, in the second through hole 221 of the lower support 220 and guiding air into the water bottle B, is an upper body 410, It is composed of a lower body 420, a ball 430, a spring 440 and a packing member 450.
  • the upper body 410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221 of the lower support 220 described abov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221 outside the upper surface.
  • the first extension part 411 of a cylindrical shape extends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able to do so.
  •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1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thickness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220 (ie,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second through hole 221, and then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as it goes upward, so that it is easy to fasten to the second through hole 221 through a forced press-in method, and to prevent easy separation after fastening.
  • a part or all of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411 that is, the columnar part,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sealing part 320, that is, the filtered water passage.
  • the lower body 420 which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0, is composed of a first body 421 and a second body 422.
  • the first body 4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0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ribs 421 (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 Is provided in a radial shape, which is to secure the space portion (S), which is the movement path of air.
  • the second body 42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421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disc shape.
  • a third through hole 422(a) is formed to gu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water bottle.
  • a plurality of incisions 422 (b) cut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trapezoidal shape are formed near the edge of the third through hole 422 (a), which ensures air inflow into the water bottle. To do so, it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422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ody 410, which is to prevent a step from occurring on the outer surface after the lower body 420 is accommodated and fixed inside the upper body 410. am.
  • the circular ball 430 is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420, more specifically along the end of the rib 421 (a) of the first body 421.
  • One side of the coil-shaped spring 440 supporting the ball 430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located below the ball 430,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2, more preferably the aforementioned incision groove 422 ( b)) are located across them.
  • Reference numeral 450 is a packing member, which may be a circular O-ring for completely blocking water and air, but may be omitted if a sufficient airtight effect can be expected only with the ball 430.
  • the passage inside the first extension part 411 is formed by the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water bottl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40. Since it is blocked by the 430,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side support 230, the filter 330, the third connection member 213,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the discharge unit 110 of the filter receiving member 20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passing through.
  • the volume of the water bottle itself is reduced by that much, so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bottle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outside. , Since the air moves into the water bottle via the filtered water movement passage inside the filter 33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1, the space portion S, and the third through hole 422 (a), the water bottle is in its original state. It will come back to volume.
  • the coils come into close contact, and since the circular ball 4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il, it may be difficult for the air to move to the third through hole 422(a). .
  • first connection member 212 first through hole
  • first sealing part 311 discharge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병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00); 일측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된 필터 수용부재(200);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에 수납되어 물병(B)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300); 및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 타측에 연결되어, 물병(B) 안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공기 유입 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본 출원은 2021년 10월 21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2021-0140999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필터 부재가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휴대용 물병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취수원인 하천, 호수 및 댐 등 각종 수계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고, 안전한 먹는 물 생산과 공급을 위해 대부분의 정수처리공정에서는 오존, 활성탄, 분리막 등 고도정수처리공정이 도입 운전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수돗물에 대한 불신감으로 인해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고가의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수로 사용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의 경우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세균이나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러한 생수도 암반수나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하수는 한번 오염이 되면 오염물질의 제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염된 지하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도 없어 생수도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삶의 질 향상과 건강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각종 운동, 등산, 다양한 레포츠활동 및 충분한 수분 섭취를 목적으로 생수를 사서 마시거나 휴대용 물병에 수돗물을 받아 마시기도 한다.
하지만 멸균된 물이라 하더라도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부유하던 세균들에 의해 물이 오염되어 식중독을 초래하거나, 취수원이나 정수과정 시 첨가하는 약품에서 기인하는 냄새로 인해 수돗물을 마시기 꺼려하는 소비자가 많다.
특히, 해외여행 시에는 나라별 수질특성이나 정수처리공정 차이로 인해 물을 마시기가 곤란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큰 질병에 걸려 고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선행문헌 1(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5729호)에는 물유입구를 폐쇄하도록 휴대물병에 결합되고, 일영역에 물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물병에 수용된 물을 정화시켜 상기 물유출구로 안내하는 정수부를 포함하는 휴대물병용 정수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휴대물병에 정수기구를 갖는 정수필터를 결합시킴으로써, 휴대물병에 수용된 물을 정수하여 마실 수 있어 보다 안심하고 마실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결합부와 정수부를 포함한 정수필터를 통째로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많이 들고, 게다가 물속에 용존 상태로 존재하는 경도유발물질이나 냄새 등을 제거하는 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관한 선행문헌 2(한국등록특허공보 제2156520호)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선행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병(B) 개구부 외측면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 상부에 위치하는 캡부(20), 상기 고정부(10) 아래에 위치하는 필터 수용부재(30), 및 물병(B)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출부(11)를 개폐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이 물병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부(20)는 캡부 몸체(21), 캡부 몸체(21)를 쉽게 젖히기 위한 연장부(22) 그리고 연장부(22)와 캡부 몸체(21)를 이어주는 연결부(23)를 포함하고 있다.
또 고정부(10)의 제1 평면부에는 중앙에 토출부(11)가 위치하며, 토출부(11) 외곽에는 캡부(20)를 고정하기 위한 융기벽(12), 물병(B)으로 공기의 인입을 유도하는 공기 유입부(13), 및 공기 유입부(13)를 개폐하는 이동편(14)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공기 유입부(13)를 개폐하는 이동편(14)은 물병 안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물병의 물을 음용할 시에는 토출부(11)를 입에 물고 손으로 물병을 가압하는데, 음용한 물의 부피만큼 물병의 체적도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물병의 추가 가압이 어렵고 물이 적게 남아 있으면 잘 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공기 유입부(13)와 이동편(14)을 통해 물병에 물이 적게 남아 있어도 음용이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동편(14)은 원추형 머리부,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 및 평판 구조의 꼬리부로 이루어진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유입부(13)의 개폐가 물병의 내부 압력과 이동편(14)의 자중, 이동편(14)의 형상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선행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5729호
(선행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1565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균을 완벽하게 차단하면서도 교체비용이 저렴한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용 후 물병 자체의 체적이 줄어들더라도 물병 안으로 신속하게 공기를 유입시켜 음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은, 물병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00); 일측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된 필터 수용부재(200);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에 수납되어 물병(B)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300); 및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 타측에 연결되어, 물병(B) 안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공기 유입 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면과 측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으로는 소정 길이 돌출한 물의 토출부(110)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토출부(110)와 연통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홀더(1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는, 필터(300)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상부 지지부(210), 필터(30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지지부(220), 및 상기 상부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부(220)를 연결하는 측면 지지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210)는, 측면과 상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에는 상기 홀더(130)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 연결부재(211), 상면 중앙에는 제1 관통홀(212), 및 상기 제1 관통홀(212)과 연통된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 연결부재(213)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220)는, 측면과 하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면에는 제2 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230)는, 물병의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릿(23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공기 유입 부재(400)는, 상기 하부 지지부(220)의 제2 관통홀(221)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410), 상기 상부 몸체(410)와 체결되는 하부 몸체(420), 상기 하부 몸체(420) 내부에 수납되는 볼(430), 및 상기 하부 몸체(420) 내부에 수납된 채 상기 볼(430)을 지지하는 스프링(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상부 몸체(410)는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에는 상기 제2 관통홀(221)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연장부(4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제1 연장부(411) 외면 일부는 위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하부 몸체(420)는, 상기 상부 몸체(410) 내측면에 밀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421), 및 상기 제1 몸체(421)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중앙에는 제3 관통홀(422(a))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제2 몸체(4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제2 몸체(422)의 외경은 상기 상부 몸체(410)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제1 몸체(421) 내측면에는 제1 몸체(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리브(421(a))가 방사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볼(430)은 상기 리브(421(a))의 단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제2 몸체(422) 내측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422(b))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상기 스프링(440)은 코일형상이고, 상기 절개홈(422(b))을 가로 지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의하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균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음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의하면, 물병 내부의 압력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물병 안으로 유입되므로 음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은 제2 몸체의 절개홈을 가로 지르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물병 내부 압력의 미세한 차이로도 외부 공기가 물병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부재가 내장된 뚜껑이 휴대용 물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물병 뚜껑의 일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병 뚜껑에서 캡부가 고정부와 연결된 채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고정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물병 뚜껑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물병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하부 지지부에 공기 유입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하부 지지부와 공기 유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하부 지지부와 공기 유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공기 유입 부재를 구성하는 하부 몸체의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고정부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물병 뚜껑의 절단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물병 뚜껑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물병의 뚜껑 내부 공간부에 필터가 내장되어 있고, 따라서 음용 시 물이 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물병 안에 채워진 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도 유발 물질을 비롯하여 각종 이물질과 세균을 제거될 수 있다.
도 4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 뚜껑은 물병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00), 일측이 고정부(100)와 연결된 필터 수용부재(200), 필터 수용부재(200)에 수납되어 물병(B)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300), 및 필터 수용부재(200) 타측에 연결되어, 물병(B) 안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공기 유입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물병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기로 한다.
고정부(100)는, 상면과 측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으로는 음용시 입으로 물거나 물병을 손으로 누를 시 입안을 향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 돌출한 물의 토출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측면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돌기(1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물병에 뚜껑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시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면 내측에는 토출부(110)와 연통되며 후술할 제1 연결부재(211)와 결합하기 위한 소정 길이를 갖는 홀더(130)가 마련되어 있고,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캡부(1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출원발명인 선행문헌 2에서와 같이, 측면 내측에는 물병 개구부의 외측면과 암수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이 고정부(100)와 연결된 필터 수용부재(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수용부재(200)는 필터(300)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상부 지지부(210), 필터(30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지지부(220), 및 이들 상부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측면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부 지지부(210)에 관해 설명하면, 필터부재(300)의 일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측면과 상면이 밀폐되는 한편 필터부재(300)의 일측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면 외측에는 홀더(130) 내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밀착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 연결부재(211)가 마련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제1 관통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연결부재(211)와 제1 관통홀(212)과 연통된 상태에서 필터부재(300)의 중앙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된 제3 연결부재(21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필터부재(300)의 내측, 즉 필터부재(300)를 통과한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필터부재(300)를 한층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필터부재(300)를 통과한 물은 제3 연결부재(213), 제1 관통홀(212) 및 제1 연결부재(211)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토출부(11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홀더(130)와 제1 연결부재(211)와의 결합방식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암수나사 체결방식일 수 있고 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하부 지지부(220)는, 측면과 하면이 밀폐되는 한편 필터부재(300)의 타측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다. 그리고 하면에는 후술할 공기 유입 부재(400)와 체결되는 제2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지지부(230)는 필터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이며, 물병의 물이 필터부재(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릿(23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지지부(230)는 일측 단부는 상부 지지부(210)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하부 지지부(220)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필터 수용부재(200)에 수납되어 물병(B)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300)는 제1 실링부(310), 제2 실링부(320) 및 필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링부(310)는 필터(330)의 상측부를 고정하는 한편 전술한 제3 연결부재(2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토출구(311)가 마련됨으로써 제1 연결부재(211)와 연통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2 실링부(320)는 제1 실링부(3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필터(330)의 하측부를 고정하며 필터 수용부재(200)인 하부 지지부(220)에 결합된다.
여기서, 필터(3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부위들이 접혀져 주름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단위 부피당 필터표면적을 높일 수 있고 게다가 필터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필터 외측에서 유입되어 필터를 통과한 물은 제3 연결부재(213), 제1 관통홀(212) 및 제1 연결부재(2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후, 토출부(1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여과수 이동통로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는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물병 뚜껑에서 하부 지지부에 공기 유입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하부 지지부와 공기 유입 부재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하부 지지부와 공기 유입 부재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공기 유입 부재를 구성하는 하부 몸체의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공기 유입 부재(4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수용부재(200) 타측, 구체적으로는 하부 지지부(220)의 제2 관통홀(221)에 장착되어 물병(B) 안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공기 유입 부재(400)는 상부 몸체(410), 하부 몸체(420), 볼(430), 스프링(440) 및 패킹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하부 지지부(220)의 제2 관통홀(221)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410)는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이며, 상면 외측에는 제2 관통홀(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제1 연장부(411)가 소정 길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연장부(411) 일부는 하부 지지부(220)의 두께(즉, 도면에서 단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한편 제2 관통홀(221)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이고, 이후에는 위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인 것이 좋은데, 이는 강제 압입 방식을 통해 제2 관통홀(221)에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고, 체결된 이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제1 연장부(411)의 단부 즉, 원주형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실링부(320)의 중앙부, 즉 여과수 이동통로에 삽입된다.
상부 몸체(410)의 내측면에 밀착함으로써 서로 체결되는 하부 몸체(420)는 제1 몸체(421)와 제2 몸체(422)로 구성된다.
먼저 제1 몸체(421)는 상부 몸체(410) 내측면에 밀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면에는 제1 몸체(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리브(421(a))가 방사상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공기의 이동 경로인 공간부(S)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부 몸체(420) 내부 공간에 볼(430)이 수납되면, 리브(421(a))의 단부를 따라 볼(430)이 상하로 이동하며 이때 볼(430)은 상부 몸체(410) 내측면과 리브(421(a))의 폭만큼 이격되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S)가 확보되는 것이다.
제2 몸체(422)는 제1 몸체(421)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대략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몸체(422) 중앙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물병 안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3 관통홀(422(a))이 뚫려 있다.
또 제3 관통홀(422(a)) 가장 자리 인근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소정 깊이 절삭된 절개홈(422(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병 안으로의 공기 유입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2 몸체(422)의 외경은 상기 상부 몸체(410) 외경과 동일한 것이 좋은데, 이는 상부 몸체(410) 내부에 하부 몸체(420)가 수납 고정된 후 외측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원형의 볼(430)은 하부 몸체(420)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몸체(421)의 리브(421(a)) 단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소정의 탄성력으로 볼(430)을 지지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440)은 일측은 볼(430) 아래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2 몸체(422) 상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절개홈(422(b))들을 가로 지르도록 위치한다.
도면부호 450은 패킹부재로서, 물과 공기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원형의 O-링일 수 있으나, 볼(430) 만으로 충분한 기밀효과를 기대대할 수 있다면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물병 뚜껑이 물병에 장착될 경우, 물병을 손으로 눌러 물을 마실 때에는 물병에 가해지는 외압과 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연장부(411) 내측의 통로는 볼(430)에 의해 차단되므로, 물은 필터 수용부재(200)의 측면 지지부(230), 필터(330), 제3 연결부재(213), 제1 연결부재(211) 및 토출부(110)를 경유하면서 외부로 토출된다.
물을 마신 후에는 그만큼 물병 자체의 부피가 줄어들어 물병 내부의 압력은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외부 공기는 토출부(110), 제1 연결부재(211), 제3 연결부재(213), 필터(330) 내측의 여과수 이동통로, 제1 연장부(411), 공간부(S) 및 제3 관통홀(422(a))을 경유하여 물병 안으로 공기가 이동하게 되므로, 물병은 원래의 부피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낮아진 물병 내부의 압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440)이 수축되고 이로 인해 제1 연장부(411) 내측 통로를 막고 있던 볼(430)이 개방을 허용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물병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코일들은 완전히 밀착하게 되고 또 코일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볼(430)이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가 제3 관통홀(422(a))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코일 스프링(440)이 안착되는 제2 몸체(422)의 제3 관통홀(422(a)) 가장 자리 인근에 절개홈(422(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들이 완전히 밀착한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절개홈(422(b))을 통해 제3 관통홀(422(a))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부호의 설명)
100 : 고정부
110 : 토출부
120 : 돌기
130 : 홀더
140 : 캡부
200 : 필터 수용부재
210 : 상부 지지부
211 : 제1 연결부재 212 : 제1 관통홀
213 : 제3 연결부재
220 : 하부 지지부
221 : 제2 관통홀
230 : 측면 지지부 231 : 슬릿
300 : 필터부재
310 : 제1 실링부 311 : 토출구
320 : 제2 실링부
330 : 필터
400 : 공기 유입 부재
410 : 상부 몸체
411 : 제1 연장부
420 : 하부 몸체
421 : 제1 몸체
421(a) : 리브
422 : 제2 몸체
422(a) : 제3 관통홀 422(b) : 절개홈
430 : 볼
440 : 스프링
450 : 패킹부재
S : 공간부

Claims (11)

  1. 물병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00);
    일측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된 필터 수용부재(200);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에 수납되어 물병(B)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300); 및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 타측에 연결되어, 물병(B) 안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공기 유입 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면과 측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으로는 소정 길이 돌출한 물의 토출부(110)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토출부(110)와 연통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홀더(1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부재(200)는, 필터(300)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상부 지지부(210), 필터(30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지지부(220), 및 상기 상부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부(220)를 연결하는 측면 지지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210)는, 측면과 상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에는 상기 홀더(130)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 연결부재(211), 상면 중앙에는 제1 관통홀(212), 및 상기 제1 관통홀(212)과 연통된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 연결부재(213)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220)는, 측면과 하면이 밀폐되는 한편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면에는 제2 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230)는, 물병의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릿(23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부재(400)는, 상기 하부 지지부(220)의 제2 관통홀(221)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410), 상기 상부 몸체(410)와 체결되는 하부 몸체(420), 상기 하부 몸체(420) 내부에 수납되는 볼(430), 및 상기 하부 몸체(420) 내부에 수납된 채 상기 볼(430)을 지지하는 스프링(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410)는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 외측에는 상기 제2 관통홀(221)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연장부(4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411) 외면 일부는 위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420)는, 상기 상부 몸체(410) 내측면에 밀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421), 및 상기 제1 몸체(421)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중앙에는 제3 관통홀(422(a))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제2 몸체(4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422)의 외경은 상기 상부 몸체(410)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421) 내측면에는 제1 몸체(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리브(421(a))가 방사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볼(430)은 상기 리브(421(a))의 단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422) 내측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422(b))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40)은 코일형상이고, 상기 절개홈(422(b))을 가로 지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뚜껑.
PCT/KR2021/015065 2021-10-21 2021-10-26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WO20230684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99A KR20230057044A (ko) 2021-10-21 2021-10-21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KR10-2021-0140999 2021-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415A1 true WO2023068415A1 (ko) 2023-04-27

Family

ID=8605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065 WO2023068415A1 (ko) 2021-10-21 2021-10-26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7044A (ko)
WO (1) WO202306841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8216A1 (en) * 2008-03-18 2011-11-17 Rubbermaid Inc. Drinking Container and Filter Assembly
KR20180072375A (ko) * 2016-12-21 2018-06-29 박상규 젖병
WO2020154417A1 (en) * 2019-01-24 2020-07-30 C.H. & I. Technologies, Inc. Improved refillable squeeze bottle for viscous fluids
KR102156520B1 (ko) * 2020-04-28 2020-09-16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
US20210063286A1 (en) * 2019-08-27 2021-03-04 Checkfluid Inc. Fluid sampling vessel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729B1 (ko) 1996-09-05 1999-08-16 목수호 자동차 엔진의 매연배출 정도를 테스트하는 매연테스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8216A1 (en) * 2008-03-18 2011-11-17 Rubbermaid Inc. Drinking Container and Filter Assembly
KR20180072375A (ko) * 2016-12-21 2018-06-29 박상규 젖병
WO2020154417A1 (en) * 2019-01-24 2020-07-30 C.H. & I. Technologies, Inc. Improved refillable squeeze bottle for viscous fluids
US20210063286A1 (en) * 2019-08-27 2021-03-04 Checkfluid Inc. Fluid sampling vessel and system
KR102156520B1 (ko) * 2020-04-28 2020-09-16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044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0418A2 (ko)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WO2015163631A1 (ko)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US5637214A (en) Filte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970007645B1 (ko) 이중구조 필터용기
WO2015167248A1 (en) Water filter assembly
WO2007029243A2 (en) Personal filtration device
EP3422921B1 (en) An endoscope system and a water bottle cap assembly for such an endoscope system
WO2015163632A1 (ko)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WO2023068415A1 (ko) 필터 부재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ES2322425T3 (es) Dispositivo para la eliminacion de germenes, particulas en suspension y solidas del agua.
WO2024034721A1 (ko)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ITTO990600A1 (it) Purificatore.
WO2014175500A1 (ko) 유체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볼타입 개폐 여과밸브
WO2015199398A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WO2021172658A1 (ko) 무전원방식의 정수기
KR101433533B1 (ko) 휴대용 정수기
US11008224B2 (en) Drinking water filtration and/or purification apparatus
WO2010126198A1 (ko) 유로의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KR101770652B1 (ko) 물 여과장치
WO2021045437A1 (en) Water purifier and filter for the same
WO2021221231A1 (ko) 음료용기 주입구 결합형 정수필터
US5858225A (en) Dental filter with sanitary handling
WO2014200285A1 (ko)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WO2021080174A1 (ko) 정수기용 필터
WO2024076001A1 (ko) 캡슐형 비데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15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