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2317A1 -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2317A1
WO2023022317A1 PCT/KR2022/004125 KR2022004125W WO2023022317A1 WO 2023022317 A1 WO2023022317 A1 WO 2023022317A1 KR 2022004125 W KR2022004125 W KR 2022004125W WO 2023022317 A1 WO2023022317 A1 WO 20230223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one
panoramic
coordinates
panoramic im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41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호동
이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Priority to US18/028,52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31681A1/en
Publication of WO20230223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23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conveniently and collectively working from taking pictures using a drone to panoramic web service, and enabling real-time confirmation of the work progress. It is about.
  • a drone is an air vehicle that flies by remote control without a person on board or autonomously flies along a designated path. It has been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but recently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and security It is also used for personal use.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287 discloses a method for diagnosing aviation safety using a drone, using a first camera sensor and a second camera sensor coupled to a gimbal mounted on a drone, and using the first camera to acquire a plurality of risk factor detection images so that an overlapping area occurs when the drone moves the location of the inspection target along a set path, and acquires a plurality of second images to generate an overlapping area using a second camera.
  • the risk factor detection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a dat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drone;
  • the risk factor detection image and the second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re acquired wirelessly or wired, and the overlapping regions of the plurality of risk factor detection images are matched to form one risk factor panoramic image, and multiple risk factor detection images are combined.
  • the gimbal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for arranging the first camera sensor and the second camera sens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drive mo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ilting the housing up and down, the housing A support mounted on the rear side and extending upward, a second driving motor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o rotate the housing left and right, and a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second driving motor to prevent shaking during flight of the drone. It is an aviation safety diagnosis method using a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2927) has a 360° camera attached, a positioning module for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and a posture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posture of the position are mounted, and still images and moving pictures are acquired.
  • drones a video contents database storing still images and moving pictures acquired through drones; GIS database that stores GIS information; PGM Manager that matches panorama and GIS information; WAS, including WAS (160: Web Application Server), which provides the matched results from PGM Manager to users on a web-based basis, WAS includes still image content and video content acquired through drones, and the drone's acquired content during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content.
  • WAS 160: Web Application Server
  • Synchronization between location and attitude data, and synchronization of panoramic still images and video taken by drones with GIS data provides a panoramic still image and video servic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terminal.
  • a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and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installed while locating the drive shaft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and a spiral rod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ar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shaft whe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is driven.
  • a drone body in which a second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which surrounds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and at the same time opens a lower part;
  • a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form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drone body;
  • Supports installed for each connection part in a form in whic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 a propulsion unit installed at the opposite end of one end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of the support and generating thrust;
  • Landing unit provided under the support;
  • a spiral tube screwed to the spiral rod of the drone body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i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of the drone body in a state of being prevented from rotating,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and the camera with the lower part open
  • a camera installation tabl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360 ⁇ camera is installed in the camera installation space;
  • a plurality of cylinders respectively installed in four corner regions of
  • the four sides of the fine dust blocking box is formed with a through-type opening for the passage of air, respectively;
  • a fine dust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fine dust blocking box;
  • a blower installed in th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fine dust filter for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fine dust blocking box;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drone body to receive regional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 a wind dir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drone body to detect the current wind direction;
  • the external fine dust threshol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preset, and the fine dust around the current location i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positioning module of the drone and the fine dust information by region inpu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the concentration exceeds the threshold value of external fine dust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er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mong the blower devices based on the current wind direc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wind direction senso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rone has 360 ⁇ Further including a drone remote control terminal that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ylinder and body cov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one remote control termi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ased on the drone shooting image It is a panoramic auto-labeling system of
  • 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96654) is a plurality of dron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subject, fly to the center of the subject, and acquire an original image by photographing the subject; A wireless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one to receive and store the original image taken by the drone in real time;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matching them into one stereoscopic image, a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controls the drone to fly along a certain path at a loca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bject, and controls the original image and a storage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storing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rones, respectively, and the imag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re-processor for pre-processing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 labeling unit for setting a labe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according to a shooting time point; an image analyzer for identifying viewpoints of labeled images based on a subject appearing in the image and
  • the current panoramic service is separately implemented as individual services such as photo taking, panoramic image production, and panoramic web service, so there is a problem of time and cost burden.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work in one batch from taking pictures using a drone to panoramic web service, and to check the work progress in real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venient shooting with a general camera by using a drone app (Dfos APP) when taking pictures using a drone, and in the case of converting flat space data into panoramic space coordinates, the flat space data is converted into panoramic servi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that enables the use of existing or necessary flat space data by enabling expression and confirmation through
  •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active transactions through mutual conne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photographers using drones) and service users (panoramic service consumers) who provide services through the advancement of business models and activation of panoramic servic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that can generate value and ultimately generate revenue.
  • a system for providing a panoramic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rone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d remotely receiving a signal to control flight and driving of the camera; A provider terminal having a drone control app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 and collecting and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 a management server that collects, stores, and edits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vider terminal to provide a panoramic image; and a user terminal receiving panoramic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 the management server has an information storage DB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ed and edited panoramic image information.
  • the management server conver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drones controlled through the drone control app of the provider terminal into spatial coordinates.
  • the system for providing a panoramic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efficient shoot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using a general camera instead of a 360-degree camera.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ime, cost, and manpower factors by integrating separated individual services and automating parts requiring manpow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production of a panoramic service without inconvenience to the photographer and producer through the automated process of taking pictures and procedures through a drone, and enabling the service consumer to quickly obtain the panoramic picture desired by the consumer. .
  • active transactions occur through connection between a service provider (photographer using a drone) that provides a service through business modeling and activation of a panorama service, and a service user (panorama service consumer) who needs this service. This has the effect of creating value and generating revenu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list of services provided by the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ervice process diagram performed by the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ordinate system based on a panoramic image used in a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panoramic coordinate mapping used in the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 is 2D panoramic spatial coordinates used in the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anoramic view screen provided to the user in the panoramic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ystem for providing a panoramic image includes a drone 10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d remotely receiving a signal to control flight and driving of the camera; a provider terminal 20 having a drone control app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 and collecting and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 A management server 30 that collects, stores, and edits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vider terminal to provide a panoramic image; and a user terminal 40 receiving panoramic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 the drone 10 is a drone typically used for taking pictures, has a camera,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one itself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control means,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and the camera is preferably a commonly used general camera.
  •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drone is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one is the supplier terminal 20 .
  • the provider terminal 20 can use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mmonly used smart phone, and can remotely control a camera by installing a drone control app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 the drone control app installed in the supplier terminal has a camera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amera as well as a driving control function for driving the drone. It can be classified as a function, which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by clicking a button to perform general or panoramic shooting, and the shooting method can be automatically included in the drone control app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 the drone control app may include drone mission management, flight mission setting and aircraft setting (RC, camera, gimbal setting, etc.), 3D high flight API service function, and safety setting preparation function considering user safety.
  • drone mission management flight mission setting and aircraft setting (RC, camera, gimbal setting, etc.)
  • RC flight mission setting and aircraft setting
  • 3D high flight API service function 3D high flight API service function
  • safety setting preparation function considering user safety.
  •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drone control app can include data for GIS background map service and web geographic information for drone control.
  • the management server 30 is a server that provides a drone control app for controlling the drone and taking a panoramic image to a provider terminal, collects, edits, and provides the panoramic image received from the provider terminal, and is equipped with a panoramic image production tool
  • the collected panoramic images can be edited to produce a panoramic imag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reated image can be modified.
  • the management server 30 conver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shooting altitude) measured during panorama shooting into 2D and 3D spatial coordinates and then converts them into panorama coordinates (pitch, yaw) corresponding to the panoramic coordinate system. there is.
  • Coordinate conversion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displayed based on a panoramic image as shown in FIG. 4 or displayed in a 2D spatial coordinate system as shown in FIG. 5 .
  • the 2D method and the 3D method can be used for the panoramic space coordinate conversion method.
  • the 2D method uses the pitch, which i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coordinates to be converted from the ground elevation value of the shooting location and the ground coordinates of the shooting location.
  • yaw which is the angle of the coordinates to be converted from the shooting position
  • h is the relative altitude at the panoramic image capture location
  • d is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coordinates at the panoramic image capture location to the transformed coordinates.
  • the 3D method uses the ground altitude value of the shooting position,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coordinates (2D) to be converted from the ground coordinates (2D) of the shooting position, the pitch calculated from the altitude value of the coordinates to be converted, and the shooting It consists of yaw, which is the angle of the coordinates to be converted from the position,
  • h is the relative altitude at the panoramic image capture location
  • d is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coordinates of the panoramic image capture location to the transformed coordinates
  • z is the reference height of the panoramic image capture location.
  • the panoramic image converted by the panoramic space coordinate conver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8 .
  • the management server 30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DB 30i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ed and edited panoramic image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storage DB 30i stores information such as panoramic image information collected and edited as described above, supplier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d separately, a drone information DB 30d that stores only drone information is further provided. can do.,
  • the management server 30 includes a service module 30m to provide panoramic imag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using a messaging service, and a streaming server 30s to provide photo information taken by a drone to a control system. It can transmit, receive video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0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and confirm this information through an app or web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An example thereof is as shown in FIG. 9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활용한 사진 촬영부터 파노라마 웹 서비스 까지 한번에 일괄적으로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한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할 때, 드론 앱(Dfos APP)을 활용하여 일반 카메라로 편리하게 촬영이 가능하게 하고, 평면 공간 자료를 파노라마 공간 좌표로 변환의 경우는 평면 공간 자료를 파노라마 서비스를 통하여 표출 및 확인이 가능하여 기존에 보유하거나 필요한 평면공간자료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및 파노라마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공급자(드론을 통해 사진 촬영자)와, 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사용자(파라노마 서비스 수요자)의 서로 연결을 통하여 활발한 거래가 발생함으로써 가치를 생성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한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본 발명은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드론을 활용한 사진 촬영부터 파노라마 웹 서비스 까지 한번에 일괄적으로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한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 조정에 의해 비행하거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비행체로, 주로 군사적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운송 분야, 보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개인적인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고,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을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드론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는 파노라마(panorama)영상이 있고, 이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8287호)은 드론을 활용한 항공 안전진단 방법에 있어서, 드론에 장착되는 짐볼에 결합되는 제1 카메라 센서와 제2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며,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드론이 점검 대상의 위치를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도록 복수의 위험인자 검출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도록 복수의 제2 영상을 획득하여 드론에 마련된 데이터 저장부에 위험인자 검출 영상과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드론의 착륙 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위험인자 검출 영상과 제2 영상을 획득하고, 복수의 위험인자 검출 영상의 중첩된 영역을 정합처리하여 하나의 위험인자 파노라마 영상을 형성하고, 복수의 제2 영상의 중첩된 영역을 제거하여 3차원 실영상으로 처리하는 단계; 위험인자를 검출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3차원 실영상에 투영시켜 3차원 실영상에 어느 위치에 위험인자가 존재하는 맵핑하는 단계; 및 점검 대상의 맵핑된 파노라마 영상의 결함여부를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판단하여 점검 대상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위험인자 검출 영상은, 열화상 영상, 적외선 영상 및 근 적외선 영상 중 하나이며, 짐볼은, 제1 카메라 센서와 제2 카메라 센서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시키는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하우징을 상하로 틸팅시키는 제1 구동모터, 하우징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상측면에 장착되어 하우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 및 제2 구동모터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드론의 비행중에 흔들림을 방지하는 댐퍼를 구비한 드론을 활용한 항공 안전진단 방법이고,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2927호)는 360˚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위 모듈 및 위치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 모듈이 탑재되고,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획득하는 드론; 드론을 통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GIS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 파노라마와 GIS 정보를 서로 매칭 시켜주는 PGM Manager; PGM Manager에서 매칭된 결과를 웹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WAS(160: Web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하여 WAS는 드론을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를 획득하는 과정 시의 드론의 취득한 위치, 자세 데이터 간을 동기화하고, 드론으로 촬영한 파노라마 정지영상 및 동영상과 GIS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부가 정보가 표시된 파노라마 정지영상 및 동영상 서비스를 수행하며, 드론은 하부를 개방한 제1 설치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제1 설치공간의 상면에 구동축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 및 정역회전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정역회전모터의 구동 시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나선봉을 포함하며, 제 1 설치공간을 감싸는 동시에 하부를 개방한 형태의 제2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드론 본체; 드론 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드론 본체의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되는 형태로 연결부별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연결부와 결합된 일단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며,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 지지대의 아래에 구비되는 착륙부; 드론 본체의 나선봉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관이 상면에 설치되고, 드론 본체의 제1 설치공간에 회전 방지되는 상태로 수용되어 정역회전모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며, 하부를 개방한 카메라 설치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카메라 설치공간에 360˚ 카메라가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대; 드론 본체의 제2 설치공간의 상면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실린더; 네 측면의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를 가지며, 네 측면이 드론 본체의 제2 설치공간의 해당 영역에 각각 삽입되어 네 측면간의 연결 영역에 실린더들 중 해당 실린더의 로드 선단이 결합되며, 네 측면은 각각 공기의 통과를 위한 관통형 개방부가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 박스; 미세먼지 차단 박스의 네 측면별로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세먼지 필터; 미세먼지 차단 박스의 네 측면별로 미세먼지 필터보다 안쪽에서 개방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 드론 본체의 하부에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론 본체의 제1 설치공간을 개폐하는 한 쌍의 본체 커버; 드론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지역별 미세먼지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드론 본체에 설치되어 현재 풍향을 감지하는 풍향감지센서; 송풍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외부 미세먼지의 임계값이 사전 설정되며, 드론의 측위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현재의 위치정보 및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지역별 미세먼지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의 주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풍향감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풍향 정보를 기준으로 송풍장치 중 해당 위치의 송풍장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드론의 무선통신모듈에 360˚ 카메라의 작동 제어를 한 신호를 전송하는 드론 원격제어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드론 원격제어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린더 및 본체 커버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이며,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654호)은 피사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피사체의 중심으로 비행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원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의 드론; 드론의 운행을 제어하여 드론이 촬영한 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저장하는 무선조정장치; 및 복수의 원 영상을 입력받아 하나의 입체영상으로 정합하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고, 무선조정장치는, 드론을 피사체를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정경로를 따라 비행하도록 제어하고, 원 영상을 저장하되, 복수의 드론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복수의 원 영상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소로 이루어지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영상처리장치는, 복수의 원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기; 전처리된 복수의 영상 각각에 촬영시점에 따라 라벨을 설정하는 라벨링부; 영상내 등장하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하여 라벨링된 영상들의 시점을 식별하고, 0° 부터 360°까지 각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류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각 시점별 영상을 정합하여 하나의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정합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3D 영상 처리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드론으로 입수한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기존에 이루어지던 드론 파노라마 사진 촬영의 경우 360도 촬영이 가능한 특수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영 하거나, 일반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특정 프로그램의 사용이 필요하거나 촬영 후 시간과 인력의 투입이 필요하여 신속한 제작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현재 파노라마 서비스는 사진 촬영, 파노라마 이미지 제작, 파노라마 웹 서비스 등 개별의 서비스로 따로 구현이 되어 있어 시간적, 비용적 부담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부터, 파노라마 웹 서비스 까지 한번에 일괄적으로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한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할 때, 드론 앱(Dfos APP)을 활용하여 일반 카메라로 편리하게 촬영이 가능하게 하고, 평면 공간 자료를 파노라마 공간 좌표로 변환의 경우는 평면 공간 자료를 파노라마 서비스를 통하여 표출 및 확인이 가능하여 기존에 보유하거나 필요한 평면공간자료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한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및 파노라마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공급자(드론을 통해 사진 촬영자)와, 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사용자(파라노마 서비스 수요자)의 서로 연결을 통하여 활발한 거래가 발생함으로써 가치를 생성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한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은 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원격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비행 및 카메라의 구동이 제어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제어앱을 구비하고,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공급자단말기; 상기 공급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수집 및 저장하고 편집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수집 및 편집된 파노라마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D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공급자단말기의 드론제어앱을 통해 제어되는 드론의 위치 정보를 공간좌표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은 사진 촬영의 경우 360도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를 사용한 촬영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되어 있는 개별 서비스를 통합하고, 인력이 필요한 부분을 자동화함으로 인하여 시간적, 비용적, 인력적 요소의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사진 촬영 및 절차의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사진촬영 및 생산자가 불편함 없는 파노라마 서비스의 생산이 가능하고, 서비스 수요자도 수요자가 원하는 파노라마 사진을 신속하게 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즈니스 모델화 및 파노라마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공급자(드론을 통해 사진 촬영자)와, 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사용자(파라노마 서비스 수요자)의 서로 연결을 통하여 활발한 거래가 발생함으로써 가치를 생성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목록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사용되는 파노라마 이미지 기준의 좌표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사용되는 파노라마 좌표 매핑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사용되는 2D 파노라마 공간 좌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사용되는 3D 파노라마 공간 좌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서 파노라마 좌표로 표출한 공간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파노라마 뷰화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부터, 파노라마 웹 서비스 까지 한번에 일괄적으로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은 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원격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비행 및 카메라의 구동이 제어되는 드론(10);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제어앱을 구비하고,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공급자단말기(20); 상기 공급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수집 및 저장하고 편집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서버(30);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론(10)은 통상적으로 사진의 촬영에 사용되는 드론으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드론 자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케메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신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카메라가 바람직하다.
상기 드론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양방향 무선통신 모듈이다.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자단말기(20)이다.
상기 공급자단말기(20)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드론제어앱을 설치함에 의해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자단말기에 설치된 드론제어앱은 드론을 운전하는 운전제어 기능은 물론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제어 기능은 카메라가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거나 일반 촬영을 할 수 있는 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는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되어 일반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이 진행될 수 있고, 촬영 방법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드론제어앱에 포함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론제어앱은 드론의 미션관리, 비행미션 세팅 및 기체 세팅(RC, 카메라, 짐벌 세팅 등), 3차원 고도비행 API 서비스 기능, 사용자 안전을 고려한 안전설정 대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드론제어앱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는 GIS 배경지도 서비스를 위한 자료, 드론의 관제를 위한 Web 지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드론의 제어와 파노라마 영상 촬영을 위한 드론제어앱을 공급자단말기에 제공하고, 공급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파노라마 영상을 수집 및 편집하여 제공하는 서버로, 파노라마 이미지 제작툴을 구비하여 수집된 파노라마 영상을 편집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고, 제작된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는 파노라마 촬영 시 측정된 드론의 위치 정보(경위도 좌표, 촬영 고도)를 기준으로 2D 및 3D 공간 좌표로 변환 후 파노라마 좌표계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좌표(pitch, yaw)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에서 이루어지는 좌표 변환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이미지를 기준으로 표시도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D공간 좌표계로 표시될 수 있다.
공간 자료를 파노라마 공간좌표로 변환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파노라마 공간 좌표 변환방식은 2D 방식과 3D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2D 방식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위치의 지면 고도 값과 촬영 위치의 지면 좌표에서 변환할 좌표 간 거리 값인 pitch 와, 촬영 위치에서 변환할 좌표의 각도인 yaw로 이루어지되,
Figure PCTKR2022004125-appb-img-000001
이다.
여기서, h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에서의 상대고도이고, d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 지면 좌표에서 변환 좌표까지의 거리이다.
3D 방식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위치의 지면 고도 값, 촬영 위치의 지면 좌표(2D)에서 변환할 좌표(2D) 간 거리 값, 변환할 좌표의 고도 값으로부터 산출된 pitch 와, 촬영 위치에서 변환할 좌표의 각도인 yaw로 이루어지되,
Figure PCTKR2022004125-appb-img-000002
이다.
여기서, h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에서의 상대고도이고, d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 지면 좌표에서 변환 좌표까지의 거리이며, z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 지면 기준 높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파노라마 공간 좌표 변환방식에 의해 변환된 파노라마 영상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집 및 편집된 파노라마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DB(30i)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보저장DB(30i)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집 및 편집된 파노라마 영상의 정보, 공급자정보, 사용자 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와 별도로 드론정보만을 저장한 드론정보DB(30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는 서비스모듈(30m)을 구비하여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고, 스트리밍서버(30s)를 구비하여 드론에서 촬영된 사진 정보를 관제시스템 송출하고, 드론에서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40)에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는 이러한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앱이나 웹을 통해 수신받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일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

Claims (1)

  1. 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원격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비행 및 카메라의 구동이 제어되는 드론(10);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제어앱을 구비하고,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공급자단말기(20); 수집 및 편집된 파노라마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DB(30i)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수집 및 저장하고 편집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하며, 공급자단말기의 드론제어앱을 통해 제어되는 드론의 위치 정보를 공간좌표로 변환하는 관리서버(30);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4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30)는 공급자단말기의 드론제어앱을 통해 제어되는 드론의 위치 정보를 2D 파노라마 공간 좌표와 3D파노라마 공간 좌표로 변환하는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간좌표는 2D 파노라마 공간 좌표와 3D파노라마 공간 좌표로 이루어지고,
    2D 파노라마 공간 좌표는, 촬영 위치의 지면 고도 값과 촬영 위치의 지면 좌표에서 변환할 좌표 간 거리 값인 pitch 와, 촬영 위치에서 변환할 좌표의 각도인 yaw로 이루어지되,
    Figure PCTKR2022004125-appb-img-000003
    이고,
    여기서, h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에서의 상대고도이고, d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 지면 좌표에서 변환 좌표까지의 거리,
    3D파노라마 공간 좌표는,
    촬영 위치의 지면 고도 값, 촬영 위치의 지면 좌표(2D)에서 변환할 좌표(2D) 간 거리 값, 변환할 좌표의 고도 값으로부터 산출된 pitch 와, 촬영 위치에서 변환할 좌표의 각도인 yaw로 이루어지되,
    Figure PCTKR2022004125-appb-img-000004
    이고,
    여기서, h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에서의 상대고도이고, d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 지면 좌표에서 변환 좌표까지의 거리이며, z는 파노라마영상 촬영 위치 지면 기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PCT/KR2022/004125 2021-08-18 2022-03-24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WO20230223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8,524 US20240031681A1 (en) 2021-08-18 2022-03-24 System for providing panoramic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77A KR102347972B1 (ko) 2021-08-18 2021-08-18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KR10-2021-0108977 2021-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317A1 true WO2023022317A1 (ko) 2023-02-23

Family

ID=7935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4125 WO2023022317A1 (ko) 2021-08-18 2022-03-24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31681A1 (ko)
KR (1) KR102347972B1 (ko)
WO (1) WO2023022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972B1 (ko) * 2021-08-18 2022-01-07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287B1 (ko) 2016-07-06 2017-04-05 양권석 드론을 활용한 항공 진단 안전 서비스 방법
KR20170067373A (ko) * 2015-12-08 2017-06-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488A (ko)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762927B1 (ko) 2016-12-30 2017-07-2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
KR101896654B1 (ko) 2017-11-08 2018-09-07 변정태 드론을 이용한 3d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01143B1 (ko) * 2017-11-06 2019-07-17 울산과학기술원 드론형 3d 프린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2755B1 (ko) * 2019-10-23 2020-06-15 주식회사 네스앤텍 화면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짐벌 제어 방법
KR20210069773A (ko) * 2019-12-03 2021-06-14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드론을 사용한 실시간 영상 서비스 시스템
KR102347972B1 (ko) * 2021-08-18 2022-01-07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373A (ko) * 2015-12-08 2017-06-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488A (ko)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718287B1 (ko) 2016-07-06 2017-04-05 양권석 드론을 활용한 항공 진단 안전 서비스 방법
KR101762927B1 (ko) 2016-12-30 2017-07-2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
KR102001143B1 (ko) * 2017-11-06 2019-07-17 울산과학기술원 드론형 3d 프린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96654B1 (ko) 2017-11-08 2018-09-07 변정태 드론을 이용한 3d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2755B1 (ko) * 2019-10-23 2020-06-15 주식회사 네스앤텍 화면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짐벌 제어 방법
KR20210069773A (ko) * 2019-12-03 2021-06-14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드론을 사용한 실시간 영상 서비스 시스템
KR102347972B1 (ko) * 2021-08-18 2022-01-07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1681A1 (en) 2024-01-25
KR102347972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2444B (zh) 一种图像处理方法、无人机及系统
CN104168455B (zh) 一种空基大场景摄像系统及方法
CN205263655U (zh) 一种用于自动生成全景照片的系统、无人飞行器及地面站
US7184072B1 (en) Airborne inventory and inspection system and apparatus
WO2015005573A1 (ko) 회전익 구조체를 이용한 공중관측 지형자료 구축 방법
KR101762927B1 (ko)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
CN110142785A (zh) 一种基于目标检测的巡检机器人视觉伺服方法
CN105045279A (zh) 一种利用无人飞行器航拍自动生成全景照片的系统及方法
EP2685707A1 (en) System for spherical video shooting
JP2012084146A (ja) 拡張現実(ar)を提供するユーザ装置及び方法
WO2020218066A1 (ja) 検査システム
CN11053736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程序、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系统
CN112113542A (zh) 一种无人机航摄建设用地土地专项数据验收的方法
WO2020103023A1 (zh) 一种测绘系统、测绘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3022317A1 (ko)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CN103763470A (zh) 一种便携式场景拍照装置
WO2019230604A1 (ja) 検査システム
CN107819998A (zh) 一种基于车载一体化的全景摄录系统及方法
CN108647252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地图中选定特征更新方法及系统
CN108195359B (zh) 空间数据的采集方法及系统
CN114200958A (zh) 一种光伏发电设备自动巡检系统和方法
CN204046707U (zh) 一种便携式场景拍照装置
WO2016068354A1 (ko) 무인비행기, 타겟 자동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402949B1 (ko) 정밀도가 향상된 영상 정보의 획득 방법
US20220028054A1 (en) Photo-realistic infrastructure insp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028524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58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58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58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