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08898A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08898A1
WO2023008898A1 PCT/KR2022/011012 KR2022011012W WO2023008898A1 WO 2023008898 A1 WO2023008898 A1 WO 2023008898A1 KR 2022011012 W KR2022011012 W KR 2022011012W WO 2023008898 A1 WO2023008898 A1 WO 20230088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ter
water
disposed
cleaning module
stora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10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재원
이영재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21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17095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47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597056A/zh
Priority to AU2022320385A priority patent/AU2022320385A1/en
Publication of WO20230088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088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vacuum cleaner having a detachable cleaning module.
  •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garbage or dus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fills a dust bin in the product,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 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er.
  •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integrally providing a dust bin and a cleaner body, have been widely used.
  • the main body of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a 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intake.
  • the Han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is light in weight, but has a short length, so the cleaning area may be limited while sitting. Thus,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 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standing up,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clean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 type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and can clean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 Dry cleaning is a method of cleaning by sweeping or sucking dust, and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corresponds to this.
  • Wet cleaning is a method of cleaning by wiping off dirt with a damp cloth.
  • the cleaning method has also diversified.
  • the floor is mainly made of wood, and since wet cleaning is impossible, only dry cleaning is performed.
  • the floor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plate or marbl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wet cleaning.
  • a dry cleaner is used for dry cleaning
  • a wet cleaner is used for wet cleaning.
  • one main body, a dry cleaning module and a wet cleaning module are provided, the dry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for dry cleaning, and the wet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for wet cleaning. method was studied.
  •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includes a heater device including a heating casing generating steam by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tank.
  • the water tank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instead of the nozzle assembly.
  • a heater device for generating steam is also installed in the main body instead of the nozzle assembly.
  • the water container and the heater device we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rather than the nozzle assembly.
  • the prior art 1 has a problem that the water tank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high,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er and the mop is long, heat loss occurs while steam flows to the mop, and sensitive electronic equipment is damaged due to the lost heat.
  • prior art 2 there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steam cleaner.
  • the steam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ile the structure of the steam generator is simplified, and the clean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rotating the mop to which steam is supplie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 the water tank and heater of the prior art 2 are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rather than the cleaning module as in the prior art 1, and thus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 prior art 1.
  • prior art 3 there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steam wet mop vacuum cleaner.
  • the brush around the bucket rotates to guide the dust to the central suction port, thereby enabling the steam wet mop to be cleaned while keeping the steam wet mop clean.
  • there was a problem of damaging sensitive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motor a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diffused upward.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literature.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d a heater for generating steam from water are essentially disposed in the wet cleaning module. It is to provide a cleaner having.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er that maintain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ing module at the center by matching the water level at the place where the air hole is formed and the water level at the place where the air hole is not formed when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is discharged. is to provide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odule,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causing burns to the user, or a motor or sensor disposed near the heater. To provide a cleaner that prevents damage to sensitive electronic equipment.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in which water droplets do not fall to the heater when de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 a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commands and a main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re disposed, and a cleaning modul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steam to clean a cleaning area.
  •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cleaning module hous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space therein, a heater disposed inside the cleaning module housing and generating steam from water, and a water tank disposed above the hea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heater. , It is formed by sink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is inserted so that the arrangement includes a heater arrangement.
  • the heater arranging unit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rear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 rear end disposed above the front end,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having a rear end disposed above the front end, A third inclined surfac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included.
  • the slop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 the slope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 the water tank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forms an inner space for storing water, and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forming an inner space for storing water, and extending backward along the left side of the water tank from the left end of the front storage part. It may include a left storage part, a right storage part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extending rearward along the right side of the water tank from the right end of the front storage part.
  • the water tank may include a drain formed at a front end to discharge water and an air hole formed at a rear end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by negative pressure.
  • the air hole may b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rain hole based on the imaginary line dividing the water tank into left and right sides when viewed from above.
  • the water tank may include water inlets formed on both sides and through which water may be supplied.
  • the cleaning module housing may include a lower housing in which a heater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ter and having a water contain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 a heat insulating coating surface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facing the heater.
  • a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commands and a main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re disposed, and a cleaning modul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steam to clean a cleaning area.
  •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cleaning module hous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space therein, a heater disposed inside the cleaning module housing and generating steam from water, and a water tank disposed above the hea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heater.
  • the water container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urrounds at least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heater in four directions and stores water.
  • the heater may be disposed inclined from the ground, and the water container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disposed parallel to an upper surface of the heater.
  • the storage unit includes a front storage unit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ter tank an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 left storage unit extending rearward along the left side of the water bottle from the left end of the front storage unit, and a left storage unit exten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torage unit along the right side of the water tank. It may include a right storage part extending rearward.
  •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can be designed to be as low as possible, so that narrow gaps can be cleaned.
  • the water tank includes a front storage part, a left storage part, and a right storage part, and the storage part surrounds the three-way side of the heater, so that the heat emitted to the side is absorbed by the storage part and does not overheat the surrounding electronic equipment.
  • the water tank has an air channel connecting the left storage part and the right storage part. Even if the air hole is formed on only one side,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part without the air hole and the storage part with the air hole are matched, so cleaning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dule is always located in the center.
  • the heater arranging unit forms a forward-downward inclined surface, the dew formed on the heater arranging unit does not fall to the heater but flows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to the front end of the water container or upper housing, thereby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heat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fter removing the water bottle and the upper housing in FIG. 3;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in FIG. 3;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of the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 FIG. 12 is a plan view of a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bottom view of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in FIG. 12;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D in FIG. 12;
  •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ir channel
  •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housing
  • a vacuum cleaner refers to a cleaning devic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 the vacuum cleaner may mean a handheld vacuum cleaner or a stick vacuum cleaner.
  • the cleaner may include a main body (not shown).
  • the main body is a component that includes a suction motor (not shown) therein to provide suction force to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main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main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100 through an extension tube 200 .
  • the main body may generate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motor and provide suction force to the cleaning module 100 through the extension tube 200 .
  • External du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main body forms an outer shape and accommodates major components therein.
  • the main body may include a dust bin, a dust separator, a suction motor, a filter, a handle, a control unit, and a main battery.
  • a dust bin (not shown) is a component that stores dust.
  • the dust bin communicates with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may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 the dust separator (not shown) communicates with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dust separator may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from air.
  • the dust separator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dust separ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dust bin. Accordingly,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on unit is collected in the dust bin,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 the dust separator may be a cyclone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 the suction motor (not shown)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 the suction motor is housed in the main body.
  • the suction motor generates suction force by rotation.
  • a filter (not shown) is a component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flowing air.
  • the filter may include a pre-filter or a HEPA filter.
  • the pre-filter is a filter disposed at the top of the filters and is formed in a mesh shape to primarily filter physically large dust.
  • a pre-filter is a component that physically filters dust larger than the spacing of the mesh and improves the lifespan of other filters.
  • HEPA filter stands fo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and is a component that filters fine dust. In general, HEPA filters filter fine dust by electrostatic force. A HEPA filter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pre-filter.
  •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 the body handle (not shown) can be gripped by the user.
  • the body handle may be formed to resemble a cylindrical shape.
  • the body handle 116 may be formed in a bent cylindrical shape.
  • the manipulation unit (not shown)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 command from a user.
  • the control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and when a user presses a corresponding button, a corresponding command is executed.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and a stop button.
  • a main battery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 the main battery is a component that stores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cleaner including the suction motor.
  • the main batter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 the main battery may suppl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cleaning module 100 may receive power from a sub-battery.
  • the extension tube 200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air sucked from the cleaning module 100 to the main body (not shown).
  • the extension pipe 200 has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oth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Extension pipe 200 is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 a rolling axis (x)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rolling axis (x) is an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cleaning module 100 may perform a rolling motion around the rolling axis (x).
  • the cleaner includes the cleaning module 100.
  • the cleaning module 100 is a component that cleans the cleaning area by sucking in external air or generating steam.
  • the cleaning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 the cleaning module 1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n extension tube 200 .
  • the cleaning module 100 includes at least one mop 161 .
  • the mop 161 contains moisture and is a component that scrubs and cleans the floor.
  • mop 161 may be dispos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ing module 160 .
  • the mop 161 has a rotating shaft disposed vertically on the floor,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to scrub and clean the floor.
  • two or more mop 161 may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facilitate the user's operation.
  • the right mop 161 may rotate clockwise (CW)
  • the left mop 161 may rotate counterclockwise (CCW). Accordingly, the pair of mop 161 may push the cleaning module 100 forward due to frictional force, and the user may more easily move the cleaner 100 forwar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leaning module 100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cleaning module 100 of FIG. 1 viewed from above.
  •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eaning module 100 of FIG. 1 viewed from the right side.
  • 5 is a bottom view of the cleaning module 100 of FIG. 1 viewed from the bottom.
  • the cleaning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Referring to FIG. 1 , the cleaning module 100 is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200 and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sub-battery 300 is installed in the extension pipe 200 . Specifically, the sub-battery 30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tube 200 . The sub-battery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10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disposed in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sub battery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Accordingly, the sub battery 300 can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attery.
  • the sub battery 3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battery. Accordingly, when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sub-battery 300 is insufficient, power of sufficient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cleaning module 100 by connecting the sub-battery 300 and the main battery in series.
  • the sub battery 30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ain battery. Accordingly, the tim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100 may be improved.
  • the sub-battery 30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sub-battery 30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assembly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sub-battery 300 are coupled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cleaner can be easily steered.
  • the sub-battery 300 may be disposed above the extension pipe 200 . Specifically, the sub-battery 300 may be disposed above an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tube 200 from the center of the extension tube 200 .
  •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leaning module 100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therein.
  •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is connected to the body. Referring to FIG. 1 ,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and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connected indirectly. Unlike this, although not show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 the meaning of the aforementioned 'connection'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 air passages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air containing dust may flow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urrent may flow from the main battery disposed in the main body to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a water container 120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An air inlet 111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so that external air can flow into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a light emitting module 150 is disposed on a lower front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to emit light to the front floor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An air outlet 1121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so that air inside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a mop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the mop can be used for wet cleaning by scrubbing the floor surface.
  • a suction port 18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the suction port 181 can dry clean by sucking in dust present on the floor.
  • a shielding member 17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 the shielding member 170 shields the front space where the inlet 181 is disposed and the rear space where the mop 161 is disposed, and blocks the diffusion of steam emitted from the mop 161 to the inlet 181.
  •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housing 111 and an upper housing 112 .
  • the lower housing 111 forms part of the bottom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a heater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An air inlet 111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lower housing 111 .
  • the light emitting module 150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111, and a hole through which light passe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hole through which the light passes is formed below the air inlet 111 .
  • a mop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is formed with a groove recessed upward so that the mop is disposed.
  • a suction port 18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the suction port 18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op 161.
  •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driving the cleaning module 1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a lower partition wall 11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the lower partition wall 1112 is disposed around the heater 130 to block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from dissipating to the outside.
  • the lower partition wall 1112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An upper end of the lower partition wall 1112 faces a lower end of the upper partition wall 1122 to isolate an inner space in which the heater 130 is disposed from an outer space in which other components are disposed.
  • a shield member insertion groove 111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 ) 111 .
  • the shielding member 17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shielding member insertion groove 1113 .
  • the upper housing 112 forms part of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upper housing 112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11,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130 at the top of the heater 130, and the water container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 An air outlet 112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using 112 .
  • the upper housing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130 .
  •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reaches the upper housing 112 through convection.
  • An upper partition wall 1122 is formed in the upper housing 112 .
  • the upper partition wall 1122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2 and extends downward toward the heater 130 . Since the upper partition wall 1122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heater 130,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is prevented from convecting to the side.
  • a release button 1123 is disposed on the upper housing 112 .
  • the release button 1123 is hooked on a coupling hook 125 formed on the water bottle 120 to fix the water bottle 120 .
  • the release button 1123 descends, the engaging hook 125 is released, and the water container 120 is detached.
  • the release button 1123 may be disposed on the extension tube arranging unit 127 of the water container 120 .
  • the upper housing 112 has a heat insulating coating surface 1124 form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heater 130 .
  • the heat insulating coating surface 1124 blocks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upper housing 112 .
  • the heat insulating coating surface 1124 is disposed in a region partitioned by the upper partition wall 1122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housing 112 . Accordingly, the heat insulating coating surface 1124 blocks heat emitted upward from the heater 13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upper housing 112 .
  • the upper housing 112 includes a water bottle mounting portion 1125.
  • the water bottle seating portion 1125 is a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2 .
  • the water bottle 120 is seated on the water bottle seating portion 1125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housing 112 .
  • the water bottle seating portion 1125 may be divided into storage portion insertion grooves 1125a to 1125c, an air channel insertion portion 1125d, and a guide protrusion 1125e.
  • the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s 1125a to 1125c are grooves into which the storage unit 123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water container 120 .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s 1125a to 1125c may be formed in a U-shape with open rear surfaces.
  • the front storage part insertion groove 1125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bottle seating part 1125 and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 the front storage unit 123a is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front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 1125a.
  • the left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 1125b extends rear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front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 1125a.
  • the left storage part 123b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left storage part insertion groove 1125b.
  • the right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 1125c extends rear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front storage unit insertion groove 1125a.
  • the right storage part 123c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right storage part insertion groove 1125c.
  •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drain hole 122 of the water container 120 vertically.
  • the air channel insertion groove 1125d is a groove into which the air channel 128 formed in the water container 120 is inserted. When the water bottle 120 is mounted, the air channel insertion groove 1125d overlaps the air channel 128 formed in the water bottle 120 vertically. The air channel insertion groove 1125d extends into the left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25b and the right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25c.
  • the guide protrusion 1125e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water bottle 120 to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water bottle 120 is inserted into the water bottle mounting portion 1125.
  • a groove for inserting the guide protrusion 1125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1125e.
  • the guide protrusion 1125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ight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25c.
  • the guide protrusion 1125e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eft storage part insertion groove 1125b.
  • the guide protrusion 1125e is preferably formed alternatively in either the right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25c or the left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25b. This is to secu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23 above a certain level.
  • a heater arranging unit 1126 is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112 .
  • the heater arranging unit 1126 of the upper housing 11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of the water container 120 . That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26a of the heater arranging part 1126 of the upper housing 112 corresponds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of the heater arranging part 126 of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 upper housing 112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6b of the heater arranging part 1126 corresponds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of the heater arranging part 126 of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6 of the heater arranging part 1126 of the upper housing 112
  • the third inclined surface 1126c corresponds to the third inclined surface 126c of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of the water container 120 . Accordingly,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heater arrangement part 1126 of the upper housing 112 do not fall on the heater 130 and flow down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26a to the third inclined surface 1126c.
  • the heater 13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steam from water.
  • the heater 130 is disposed inside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0 . Specifically, the heater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the water inlet 131 is a hole formed at the inlet end of the heater 130 . Water flows into the heater 130 through the water inlet 131 .
  • the water inlet 131 is connected to the heater hose 143.
  • the steam outlet 132 is a hole formed at the outlet end of the heater 130 . Steam is discharged from the heater 130 through the steam outlet 132 . The steam outlet 132 is connected to the mop.
  • the water inlet 131 is disposed above the steam outlet 132 . Accordingly, the water is heated while fl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gravity, and is phase-changed into steam.
  • the heater 130 is disposed obliquely. Specifically, the heater 130 is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rear end of the heater 130 is dispos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heater 130 . That is, the heater 130 has a backward-upward inclination. Accordingly, the water is heated while flowing from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heater 130 to the front lower portion, and is phase-changed into steam.
  • the water tank 12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water to the heater 130 .
  • the water container 120 stores water, and the stored water flows into the heater 130 and is phase-converted into steam.
  • a water container 120 is disposed in the housing. Specifically, the water bottle 120 is mounted on the water bottle mounting portion 1125 formed on the upper housing 112 .
  • the water container 120 is disposed above the heater 130 . Specifically, the water tank 12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ter 13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130 .
  • the water container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heater 130 with the upper housing 112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water container 120 includes a water supply port 121 .
  • the water supply port 121 is a hol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water container 120 .
  • Water supply port 12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120).
  • the water supply port 12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tank 120 .
  • the water tank 120 includes a drain 122 .
  • the drain hole 122 is a hole through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120 is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122 flows to the heater 130 .
  • the drain hole 12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
  • the drain hole 122 may be dispos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storage part 123b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the water container 120 includes a storage unit 123 .
  • the storage unit 123 is an internal sp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and is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stored. When viewing the water container 120 from the top, the storage unit 123 may be formed in a U-shape with an open rear.
  • the storage unit 123 may be divided into a front storage unit 123a, a left storage unit 123b, and a right storage unit 123c.
  • the water container 120 includes an air hole 124 .
  • the air hole 124 is a hol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container 120 .
  •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tank 120 decreases,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120 through the air hole 124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d pressure.
  • the air hole 124 is formed at the top of the water container 120 . Specifically, the air hole 12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eft storage part 123b. Alternatively, the air hole 124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the coupling hook 125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water container 120 to the upper housing 112 .
  • the coupling hook 125 is caught and fixed by the release button 1123.
  • Coupling hook 125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bottle (120). Specifically, the coupling hook 125 is formed on the extension tube arranging unit 127 .
  •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is a component forming a spac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130 is inserted and disposed.
  •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is a surface disposed vertically overlapping with the heater 130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water container 120 .
  • the heater disposing part 126 is formed by recess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of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100 can be lowered.
  •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rectangle. Specifically,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but each corner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without being bent.
  • the storage unit 123 may be formed in a U-shape, and the heater disposing unit 126 may be surrounded by the storage unit 123 .
  • heat emitted upward from the heater 130 can be blocked by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and heat emitted laterally from the heater 130 can be blocked by the storage unit 123. .
  • the area projected from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to the ground is larger than the area projected from the heater 130 to the ground.
  •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Specifically,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126a, a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126c.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extends rear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 rear end is disposed above the front end. That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has a backward-upward slope.
  •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may have a flat surface on which the drain hole 122 is disposed, and 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lat surface.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and the rear end is disposed above the front end. That i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has a backward-upward slope.
  • the third inclined surface 126c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 the third inclined surface 126c may be formed as a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but unlike that shown in FIG. 9 , the third inclined surface 126c may have a backward-upward slope.
  • Inclination is defined as the angle the slope has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slop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 the inclination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126c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third inclined surface 126c flow down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and do not fall to the heater 130, impairing the performance of the heater 130 It has the effect of not doing it.
  • the heater 130 is disposed inclined from the ground, and the water container 12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er 130 .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heater 130 .
  • the water container 120 includes a storage unit 123 forming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 the storage unit 123 may be divided into a front storage unit 123a, a left storage unit 123b, and a right storage unit 123c.
  • the front storage part 123a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container 120 and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 the front storage unit 123a blocks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forwar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left storage part 123b extends rearward along the left 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0 from the left end of the front storage part 123a.
  • the left storage unit 123b blocks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to the left room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left room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right storage part 123c extends from the right end of the front storage part 123a to the rear along the right 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0.
  • the right storage unit 123c blocks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to the right sid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right side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front storage unit 123a, the left storage unit 123b, and the right storage unit 123c are formed in a U-shape with an open rear when viewed from above. Since the cleaning module 100 is premised on cleaning while moving forward, the need to cool the rear of the heater 130 is re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U-shape covering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storage unit 123a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ft storage unit 123b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ght storage unit 123c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is is to reduce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an imbalance of water level may occur between the left storage part 123b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and an air channel 128 may be form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 the front end of at least one of the left storage part 123b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is disposed lower than the rear end.
  • the front end of the right storage part 123c of the water bottle 120 is lower than the rear end, and although not shown, the left storage part 123b of the water bottle 120 also has the front end lower than the rear end. .
  • air pockets are formed at the rear ends of the left storage part 123b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the storage unit 123 surrounds at least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heater 130 in four directions. Specifically, the front storage unit 123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er 130, the left storage unit 123b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eater 130, and the right storage unit 123c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heater 130. By being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123 surrounds three sides of the heater 130. By having this arrangement, the storage unit 123 blocks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to the side from dissipating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drain hole 122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ont storage part 123a and the left storage part 123b or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ont storage part 123a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Referring to FIG. 10 , a drain hole 122 is form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storage part 123a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Alternatively, unlike that shown in FIG. 10 , the drain hole 122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storage part 123a and the left storage part 123b.
  • the drain port 122 is connected to the tank hose 142.
  • the inlet end of the tank hose 142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 122, and the outlet end of the tank hose 14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141.
  •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flows into the tank hose 142 by gravity and is pumped to the heater 130 through the heater hose 143 by the water supply pump 141.
  • the air hole 124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due to negative pressure when water is discharged. That is,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bucket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ressure inside the bucket 120 decreases, and air flows into the bucket 120 through the air hole 124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d pressure. form air pockets.
  • the air hole 124 is alternatively formed in either the left storage part 123b or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the air hole 124 forms an air pocket in either the left storage part 123b or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An air pocket is formed by the air channel 128 in the storage part 123 in which the air hole 124 is not formed among the left storage part 123b or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the air hole 124 should be formed in both the left storage part 123b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 the drain hole 12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tank 120, and the air hole 12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tank 120. That i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is discharged to the front end of the water tank 120 while flowing forward, and the air is introduced to the rear end of the water tank 120 and diffused forward.
  •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an air hole 124 and an air channel 128 are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Referring to FIG. 9 , the upper end of the air channel 128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air hole 124 .
  • the air hole 124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ain hole 122 based on an imaginary line dividing the water container 120 into left and right sides.
  • an imaginary line dividing the water container 120 into left and right sides is a C-C sectional line, and coincides with the rolling axis (x)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drain hole 12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lling shaft, and the air hole 124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olling shaft.
  • the air hole 124 may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in hole 122 based on an imaginary line dividing the water tank 120 into left and right sides when viewed from above.
  • the water supply port 121 is a hol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water container 120 passes.
  • the water supply port 12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tank 120.
  • water After closing the left water inlet 121 and opening the right water inlet 121,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right water inlet 121.
  •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left water inlet 121.
  • both water inlets 121 are opened, an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inlet 121 on one side.
  • water is supplied to one water inlet 121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ther water inlet 121 at the same time, so that water can be quickly supplied.
  • a cap is installed on the water inlet 121, and after removing the cap,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inlet 121.
  • the cap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 the extension tube arranging unit 127 forms a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tube is inserted. Since the extension tube disposing part 127 is formed in the water container 12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ength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cleaning module 100 can be shortened.
  • the extension tube arranging unit 127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
  • the extension tube arranging unit 127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storage unit 123b,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storage unit 123c, and behind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 the air channel 128 is a component that adjusts the water levels of the left reservoir 123b and the right reservoir 123c.
  • the air channel 128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storage unit 123a and connects the left storage unit 123b and the right storage unit 123c.
  • the air channel 128 is disposed on top of the storage unit 123.
  • the upper surface of the bucket 120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and at this time, the air channel 12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cket 120 .
  • the air channel 128 is disposed between the drain hole 122 and the air hole 124.
  • the water supply pump 141 is a component that circulates water inside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water supply pump 141 pressurizes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120 and supplies it to the heater 130.
  • the inlet end of the feed water pump 141 i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tank hose 142, and the outlet end of the feed water pump 141 is connected to the heater hose 143.
  • the tank hose 142 connects the water tank 120 and the water supply pump 141.
  • the tank hose 142 guid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to the water supply pump 141.
  • the heater hose 143 connects the water pump 141 and the heater 130.
  • the heater hose 143 guides the water pressurized by the water supply pump 141 to the heater 130 .
  • the light emitting module 150 is a component that illuminates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100 to identify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light emitting module 150 radiates light to the floor in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light emitting module 150 may be disposed behind the air inlet 1112 . By having this arrange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150 can be cooled b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112 .
  •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15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side along the front surface.
  • the light emitting module 15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ember 151 and a diffusion plate 152 .
  • the light emitting member 15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 the light emitting member 151 radiates light forward or downward.
  • the diffusion plate 15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51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51 .
  • the mop assembly 160 is a component that cleans the floor surface with water or steam.
  • the mop assembly 160 receives steam from the heater 130 and wet-cleans the floor surface by friction and steam.
  • Mop assembly 160 may be composed of a mop 161 and a mop motor 162.
  • the mop 161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the lower housing 111 is formed with a groove recessed upward so that the mop 161 can be dispos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op 16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111.
  • Mop 16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t the center of the mop 161, a rotation shaft extending vertically is formed. The mop 161 may clean the floor surface by friction while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 the mop 161 may be disposed as a left and right pair around the rolling axis (x).
  • the mop motor 162 is a component that rotates the mop 161.
  • the mop motor 162 is disposed above the mop 161 and is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p 161.
  • the mop motor 16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Mop motor 162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mop 161.
  • the mop motor 162 may be disposed as a left and right pair around the rolling axis (x).
  • the mop motor 16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eater 130.
  • the upper partition wall 1122 or the lower partition wall 1112 is disposed between the mop motor 162 and the heater 130 to block heat from the heater 13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mop motor 162 .
  • the shielding member 170 shields the front space where the suction port 181 is disposed and the rear space where the mop 161 is disposed, and blocks the diffusion of steam emitted from the mop 161 to the suction port 181.
  • the dust passage 18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flows inside the cleaning module 100 .
  • An inlet end of the dust passage 180 is connected to the inlet 181 , and an outlet end of the dust passage 180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00 .
  • the inlet 181 is a hole through which dust and air present in the cleaning area are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module 180 .
  • the inlet 18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1 .
  • the inlet 181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mop 161 and the right mop 161.
  • the PCB 190 is a board on whic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module 100 is disposed, current may flow, and a communication line may be disposed.
  • the PCB 190 and components installed on the PCB 190 are vulnerable to heat, and may be cooled by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1 and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121 .
  • the water container 120 is disposed above the heater 13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130 .
  •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has a characteristic of rising, and the water container 120 is disposed above the heater 130 to block heat from dissipating to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Furthermore, since the water contain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130,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130 is convected to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n the heat is transferred by conduction. There are advantages to not wearing it.
  • the water container 120 is formed by sinking upward from a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heater arranging unit 126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130 is inserted and disposed. Since the water container 120 is disposed in the cleaning module 100, there is a concern that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100 may increase.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130 is inserted into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and dispo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narrow gap can be easily cleaned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 the water tank 120 includes a front storage unit 123a, a left storage unit 123b, and a right storage unit 123c, and the storage unit 123 is disposed to surround three side surfaces of the heater 130. Accordingly,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heat dissipated laterally is absorbed by the storage unit 123 and does not overheat nearby electronic equipment.
  • the water tank 120 has an air channel 128 connecting the left storage part 123b and the right storage part 123c. Referring to FIG. 18B, even if the air hole 124 is formed only in the left storage part 123b, the air in the air pocket formed in the left storage part 123b moves to the right storage part 123c through the air channel 128. By forming an air pocket in the right storage part 123c, the water level H1 of the left storage part and the water level H2 of the right storage part coincid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ing module 100 is always located in the center. .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of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form a forward-downward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dew condensed on the heater arranging unit 126 does not fall to the heater 130 but flows down to the front end of the water container 120 along the inclined surface. Similarly, dew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6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6b of the upper housing 112 also flows down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housing 112 along the inclined surface. Therefo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heater 130 by preventing the heater 130 from being unnecessarily cooled as dew falls onto the heater 130 .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는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청소모듈은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청소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히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 물통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도는 히터배치부를 포함하여, 히터에서 발산된 열이 물통에 의해 차단되어 사용자가 청소모듈과 접촉하더라도 화상을 입지 않고, 물통의 특수한 구조로 인해 청소모듈의 높이를 보다 낮출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모듈이 착탈될 수 있는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바닥을 청소하는 방식는 크게 건식 청소와 습식 청소로 나뉜다. 건식 청소는 먼지를 쓸어내거나 빨아들여 청소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이에 해당한다. 습식 청소는 물걸레로 먼지를 닦아내 청소하는 방식이다. 이외에 습식 청소 중에는 고온의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여 살균 및 청소를 하는 방식도 있다.
최근 건축에 다양한 자재들이 사용됨에 따라, 청소 방식도 다양화되었다. 종래에는 바닥이 주로 나무 재질로 구성되며, 이는 습식 청소가 불가능하여 건식 청소만 수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바닥이 강판이나 대리석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며, 이는 습식 청소도 가능하다.
종래에는 건식 청소를 위하여 건식 전용 청소기를 사용하였고, 습식 청소를 위하여 습식 전용 청소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두가지 종류의 청소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본체, 건식 청소모듈 및 습식 청소모듈을 구비하여, 건식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건식 청소모듈을 장착하고, 습식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습식 청소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이 연구되었다.
상기 습식 청소모듈은 물을 저장하는 물통,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물 또는 스팀을 전달받아 바닥을 닦아내는 걸레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각 부품들은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물통이나 히터가 본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건식 청소모듈이 본체에 장착될 때 불필요한 부품으로 청소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청소의 용이성이나 모듈 교체의 용이성이나 공간 활용 면에서 물통이나 히터는 본체가 아닌 습식 청소모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 1로 히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 있다. 종래기술 1에 따른 청소기는, 물공급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케이싱을 포함하는 히터장치를 포함한다.
종래기술 1에 따르면, 물통은 노즐조립체가 아닌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장치도 노즐조립체가 아닌 본체에 설치된다. 종래기술 1은 노즐조립체의 크기를 보다 작게 설계함과 동시에 물통의 충분한 저장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통 및 히터장치를 노즐조립체가 아닌 본체에 설치하였다.
종래기술 1은 물통이 본체에 설치되는 바, 무게중심이 높아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와 걸레 사이의 거리가 멀어, 스팀이 걸레로 유동하는 동안 열손실이 발생하고, 손실된 열로 인하여 민감한 전자장비들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종래기술 2로 스팀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 있다. 종래기술 2는 스팀발생부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스팀발생효율은 높일 수 있고, 또 스팀이 공급되는 걸레를 좌우 양측에서 회전되게 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종래기술 2의 물통과 히터도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청소모듈이 아닌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바, 종래기술 1이 갖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 3으로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에 관한 발명이 있다. 종래기술 3은 물통 둘레의 브러시가 회전하여 먼지를 중앙의 흡입구로 안내함으로써, 스팀물걸레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며 스팀물걸레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 3의 경우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상부로 확산됨에 따라 모터 등 민감한 전자장비들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모듈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하여 물통의 높이도 낮아짐에 따라 물통의 저장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선행문헌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습식 청소모듈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 및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가 필수적으로 배치되는데, 청소모듈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설계한 상태로 최대한의 물저장량을 확보할 수 있는 물통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통 내부의 물이 배출된 때 에어홀이 형성된 곳의 수위와 에어홀이 형성되지 않은 곳의 수위를 일치시켜 청소모듈의 무게중심을 중앙으로 유지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히터에서 발산된 열이 청소모듈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청소모듈의 상부면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사용자에 화상을 입히거나, 히터 근처에 배치된 모터나 센서 등 민감한 전자장비들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통의 내측면에 이슬이 맺힌 경우, 물방울이 히터로 낙하하지 않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배터리가 배치되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고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한다. 청소모듈은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청소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히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 물통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도는 히터배치부를 포함한다.
히터배치부는, 물통의 하부면의 일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 제1경사면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 제2경사면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경사면의 경사도는 제1경사면의 경사도보다 작고, 제3경사면의 경사도는 제2경사면의 경사도보다 작을 수 있다.
물통은, 전단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저장부,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저장부의 좌측단에서 물통의 좌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저장부,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저장부의 우측단에서 물통의 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은, 전단에 형성되고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 후단에 형성되고 부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에서 볼 때 물통을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에어홀은 배수구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은 양 측면에 형성되고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급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은, 상부면에 히터가 설치되는 하부하우징, 하부하우징에 결합되고 히터의 상부에서 히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면에 물통이 설치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하우징은 히터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단열코팅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배터리가 배치되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고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한다.
청소모듈은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청소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히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포함한다. 이때, 물통은 히터의 네방향 측면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측면을 감싸고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히터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통은 히터의 상부면에 평행으로 배치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물통의 전면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저장부, 전방저장부의 좌측단에서 물통의 좌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저장부, 전방저장부의 우측단에서 물통의 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물통은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히터배치부를 포함하는 바, 청소모듈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설계할 수 있어 좁은 틈새를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물통은 전방저장부와 좌측저장부와 우측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히터의 3방향 측면을 감싸는 바, 측방으로 발산된 열이 상기 저장부에 흡수되어 주변의 전자장비들을 과열시키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물통은 좌측저장부와 우측저장부를 연결하는 에어채널을 구비하는 바, 에어홀이 일 측에만 형성되더라도, 에어홀이 형성되지 않은 저장부와 에어홀이 형성된 저장부의 수위가 일치되므로, 청소모듈의 무게중심이 항상 중앙에 위치하는 장점도 있다.
넷째, 히터에서 발산된 열은 상승하는 특징이 있는데, 물통은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 물통은 저장된 물에 의해서 과열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청소모듈과 접촉하더라도 화상을 입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히터배치부는 전방 하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 히터배치부에 맺힌 이슬은 히터로 낙하하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물통 또는 상부하우징의 전단으로 흘러내리므로, 히터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분해도,
도 7은 도 3에서 물통 및 상부하우징을 제거하고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
도 8은 도 3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9는 도 3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우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분해도,
도 16은 도 12에서 C부분의 단면도,
도 17은 도 12에서 D부분의 단면도,
도 18은 에어채널의 유무에 따른 물통 내부의 수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
도 19는 상부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청소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소기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는 본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내부에 흡입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청소모듈(10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체는 연장관(20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연장관(200)을 통해 청소모듈(10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흡입모터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00)을 통해 청소모듈(1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에는 청소모듈(100)과 연장관(20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주요 구성요소들을 수납한다. 본체에는 먼지통, 먼지분리부, 흡입모터, 필터, 핸들, 조작부 및 메인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먼지통(미도시)은 먼지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먼지통은 먼지 분리부와 연통되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분리부(미도시)는 연장관(200)과 연통된다. 먼지 분리부는 연장관(200)을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먼지분리부는 먼지통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에 집진되고, 공기는 먼지분리부 외부로 배출된다.
먼지 분리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흡입모터(미도시)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흡입모터는 본체 내에 수용된다. 흡입모터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필터(미도시)는 유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는 프리필터 또는 헤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필터들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되는 필터로,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리적으로 큰 먼지들을 일차로 여과한다. 프리필터는 메시의 간격보다 큰 먼지들을 물리적으로 여과하며, 다른 필터들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헤파필터는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HEPA)의 약자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헤파필터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여과한다. 헤파필터는 프리필터의 하류에 배치된다.
본체 핸들(미도시)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본체 핸들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 핸들(116)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조작부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작동버튼 및 정지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에는 메인베터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배터리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며, 흡입모터를 포함한 청소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메인배터리는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배터리는 청소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소모듈(100)은 서브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연장관(200)은 청소모듈(100)에서 흡입한 공기를 본체(미도시)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연장관(200)은 일 단이 청소모듈(100)과 연통되고, 타 단이 본체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연장관(200)의 후단은 본체에 연결되고, 연장관(200)의 전단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연결된다.
연장관(20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링축(x)이 형성된다. 롤링축(x)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이며, 청소모듈(100)은 롤링축(x)을 중심으로 롤링운동을 할 수 있다.
청소기는 청소모듈(100)을 포함한다. 청소모듈(10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모듈(100)은 본체에 연결된다. 청소모듈(100)은 본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장관(200)을 통하여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모듈(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레(161)를 포함한다. 걸레(161)는 수분을 포함하며, 바닥을 문질러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걸레(161)는 청소모듈(160)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레(161)는 바닥에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닥을 문질러 청소한다.
이때, 2 이상의 걸레(161)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우측 걸레(161)는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고, 좌측 걸레(161)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걸레(161)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청소모듈(100)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청소기(100)를 전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모듈(1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모듈(100)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청소모듈(100)을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청소모듈(100)을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청소모듈(100)은 본체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모듈(100)은 연장관(200)에 연결되며, 연장관(200)을 통하여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배터리(300)는 연장관(2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서브배터리(300)는 연장관(20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배터리(300는 청소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청소모듈(100)에 배치된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서브배터리(300)는 메인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배터리(300)는 메인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서브배터리(300)는 메인배터리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배터리(3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부족한 경우, 서브배터리(300)와 메인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청소모듈(100)에 충분한 전압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서브배터리(300)는 메인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이 향상될 수 있다.
서브배터리(300)는 연장관(20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서브배터리(300)는 연장관(2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모듈(100)과 서브배터리(300)가 결합된 청소기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배치되어, 청소기의 조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배터리(300)는 연장관(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배터리(300)는 연장관(200)의 중심에서 연장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청소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연장관(200)의 전단과 연결되고, 연장관(200)의 후단은 본체에 연결되어,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달리, 미도시하였으나,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의 의미는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공기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청소모듈 하우징(110)을 통하여 본체로 유동할 수 있다. 또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에 배치된 메인배터리로부터 청소모듈 하우징(110)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물통(120)이 장착된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청소모듈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면 하부에는 발광모듈(150)이 배치되어, 청소모듈(100)의 전방 바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공기배출구(1121)가 형성되어, 청소모듈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걸레가 배치된다. 걸레는 바닥면을 문질러 습식청소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흡입구(181)가 배치된다. 흡입구(181)는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를 빨아들여 건식청소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차폐부재(170)가 배치된다. 차폐부재(170)는 흡입구(181)가 배치된 전방공간과 걸레(161)가 배치된 후방공간을 차폐하여, 걸레(161)에서 방출된 스팀이 흡입구(181)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하부하우징(111) 및 상부하우징(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1)은 청소모듈(100)의 바닥면 및 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 히터(130)가 설치된다.
하부하우징(111)의 전면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11)에는 발광모듈(150)이 설치되며, 전면에 광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광이 통과하는 홀은 공기유입구(111)의 하부에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11)의 바닥면에는 걸레가 배치된다. 하부하우징(111)의 바닥면의 일 측은 걸레가 배치되도록 상부로 함몰된 홈이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11)의 바닥면에는 흡입구(181)가 배치된다. 흡입구(181)는 걸레(161)의 전방에 배치된다.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는 청소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는 하부격벽(1112)이 형성된다. 하부격벽(1112)은 히터(130)의 둘레에 배치되어, 히터(130)에서 방출된 열이 외측으로 발산하는 것을 차단한다.
하부격벽(1112)은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하부격벽(1112)의 상단은 상부격벽(1122)의 하단과 마주하여, 히터(130)가 배치된 내부공간을 다른 부품들이 배치된 외부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킨다.
하부하우징()111의 하부면에는 차폐부재 삽입홈(1113)이 형성된다. 차폐부재 삽입홈(1113)에는 차폐부재(17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12)은 청소모듈(100)의 상부면 및 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부하우징(112)은 하부하우징(111)에 결합되고, 히터(130)의 상부에서 히터(13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면에 물통(120)이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12)의 측면에는 공기배출구(1121)가 형성된다.
상부하우징(112)은 히터(13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히터(130)에서 방출된 열은 대류하여 상부하우징(112)에 도달한다.
상부하우징(112)에는 상부격벽(1122)이 형성된다. 상부격벽(1122)은 상부하우징(112)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히터(130)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부격벽(1122)은 히터(13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므로, 히터(130)에서 방출된 열이 측방으로 대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부하우징(112)에는 해제버튼(1123)이 배치된다. 해제버튼(1123)은 물통(120)에 형성된 결합후크(125)에 걸려 물통(120)을 고정한다. 해제버튼(1123)이 작동하는 경우, 해제버튼(1123)은 하강하고, 결합후크(125)의 걸림이 해제되어 물통(120)이 탈착된다.
해제버튼(1123)은 물통(120)의 연장관 배치부(127)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12)은 히터(130)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단열코팅면(1124)이 형성된다. 단열코팅면(1124)은 히터(130)에서 방출된 열이 상부하우징(11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열코팅면(1124)은 상부하우징(112)의 내측면 중 상부격벽(1122)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열코팅면(1124)은 히터(130)에서 상방으로 방출된 열이 상부하우징(11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부하우징(112)은 물통안착부(1125)를 포함한다. 물통안착부(1125)는 상부하우징(112)의 상부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홈이다. 물통(120)은 물통안착부(1125)에 안착되고, 상부하우징(112)에 설치된다.
물통안착부(1125)는 저장부 삽입홈(1125a~1125c), 에어채널 삽입부(1125d) 및 안내돌기(1125e)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 삽입홈(1125a~1125c)는 물통(120) 중 저장부(123)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이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저장부 삽입홈(1125a~1125c)는 후면이 개방된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저장부 삽입홈(1125a)는 물통안착부(1125)의 전단에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된다. 전방저장부(123a)는 전방저장부 삽입홈(1125a)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좌측저장부 삽입홈(1125b)는 전방저장부 삽입홈(1125a)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좌측저장부(123b)는 좌측저장부 삽입홈(1125b)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우측저장부 삽입홈(1125c)는 전방저장부 삽입홈(1125a)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우측저장부(123c)는 우측저장부 삽입홈(1125c)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전방저장부 삽입홈(1125a)와 우측저장부 삽입홈(1125c)의 연결부에는, 물통(120)의 배수구(122)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에어채널 삽입홈(1125d)은 물통(120)에 형성된 에어채널(128)이 삽입되는 홈이다. 에어채널 삽입홈(1125d)은 물통(120)이 장착된 때, 물통(120)에 형성된 에어채널(128)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에어채널 삽입홈(1125d)은 좌측저장부 삽입홈(1125b)과 우측저장부 삽입홈(1125c)으로 연장된다.
안내돌기(1125e)는 물통(120)이 물통안착부(1125)에 삽입될 때 물통(120)을 올바른 위치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물통(120)은 안내돌기(1125e)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돌기(1125e)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안내돌기(1125e)는 우측저장부 삽입홈(1125c)의 후단에 형성된다. 또는, 미도시하였으나 안내돌기(1125e)는 좌측저장부 삽입홈(1125b)의 후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안내돌기(1125e)는 우측저장부 삽입홈(1125c) 또는 좌측저장부 삽입홈(1125b)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23)의 저장용량을 일정 이상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부하우징(112)에는 히터배치부(1126)가 배치된다. 상부하우징(112)의 히터배치부(1126)는 물통(120)의 히터배치부(126)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부하우징(112)의 히터배치부(1126)의 제1경사면(1126a)은 물통(120)의 히터배치부(126)의 제1경사면(126a)에 대응되고, 상부하우징(112)의 히터배치부(1126)의 제2경사면(1126b)은 물통(120)의 히터배치부(126)의 제2경사면(126b)에 대응되고, 상부하우징(112)의 히터배치부(1126)의 제3경사면(1126c)은 물통(120)의 히터배치부(126)의 제3경사면(126c)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부하우징(112)의 히터배치부(1126)에 형성된 물방울은 히터(130)에 낙하하지 않고, 제1경사면(1126a) 내지 제3경사면(1126c)을 따라 흘러내린다.
히터(130)는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히터(130)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히터(130)는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물유입구(131)는 히터(130)의 입구단에 형성된 구멍이다. 물유입구(131)를 통하여, 물이 히터(130)에 유입된다. 물유입구(131)는 히터호스(143)와 연결된다.
스팀배출구(132)는 히터(130)의 출구단에 형성된 구멍이다. 스팀배출구(132)를 통하여, 스팀이 히터(130)로부터 배출된다. 스팀배출구(132)는 걸레와 연결된다.
물유입구(131)는 스팀배출구(132)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물은 중력에 의해서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면서 가열되고, 스팀으로 상변화한다.
히터(13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히터(130)는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히터(130)의 후단은 히터(130)의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히터(130)는 후방-상향의 경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물은 히터(130)의 후방 상부에서 전방 하부로 유동하면서 가열되고, 스팀으로 상변화한다.
물통(120)은 히터(130)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물통(120)은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은 히터(130)에 유입되어 스팀으로 상변환된다.
물통(120)은 하우징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물통(120)은 상부하우징(112)에 형성된 물통안착부(1125)에 장착된다.
물통(120)은 히터(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물통(120)은 히터(130)의 상부에서 히터(13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통(120)은 상부하우징(112)을 사이에 두고 히터(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120)은 급수구(121)를 포함한다. 급수구(121)는 물통(1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구멍이다. 급수구(121)는 물통(120)의 측면에 형성된다. 급수구(121)는 물통(12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통(120)은 배수구(122)를 포함한다. 배수구(122)는 물통(12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구멍이다. 배수구(122)에서 배출된 물은 히터(130)로 유동한다. 배수구(122)는 물통(12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배수구(122)는 전방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의 연결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120)은 저장부(123)를 포함한다. 저장부(123)는 물통(120)의 내부공간으로서,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다. 물통(120)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저장부(123)는 후방이 개구된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23)는 전방저장부(123a), 좌측저장부(123b) 및 우측저장부(123c)로 구분될 수 있다.
물통(120)은 에어홀(124)을 포함한다. 에어홀(124)은 물통(1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물통(12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물통(120) 내부에 압력이 하강하고, 하강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기가 에어홀(124)을 통해 물통(120) 내부로 유입된다.
에어홀(124)은 물통(120)의 상단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에어홀(124)은 좌측저장부(123b)의 후단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에어홀(124)은 우측저장부(123c)의 후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후크(125)는 물통(120)을 상부하우징(11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결합후크(125)는 해제버튼(1123)에 걸려 고정된다.
결합후크(125)는 물통(120)의 후단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후크(125)는 연장관배치부(127)에 형성된다.
히터배치부(126)는 히터(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히터배치부(126)는 물통(120)의 하부면 중 히터(130)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배치부(126)는 물통(120)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히터배치부(126)의 함몰된 홈으로 히터(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청소모듈(100)의 높이를 보다 낮출 수 있다.
히터배치부(126)는 사각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배치부(126)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가 절곡되지 않고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23)는 U-형상으로 형성되고, 히터배치부(126)는 저장부(1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히터(130)에서 상방으로 방출된 열은 히터배치부(126)에 의해 차단되고, 히터(130)에서 측방으로 방출된 열은 저장부(123)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히터배치부(126)에서 지면으로 투영된 면적은 히터(130)에서 지면으로 투영된 면적보다 크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히터배치부(126)에 맺힌 물방울은 히터(130)로 낙하하지 않고, 히터(130)의 외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130)에 물방울이 떨어짐에 따라 히터(130)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히터배치부(126)는 복수개의 경사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배치부(126)는 제1경사면(126a), 제2경사면(126b) 및 제3경사면(126c)을 포함한다.
제1경사면(126a)은 물통(120)의 하부면의 일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제1경사면(126a)은 후방-상향의 경사를 가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물통(120)의 하부면은 배수구(122)가 배치된 평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에 제1경사면(126a)은 상기 평면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경사면(126b)은 제1경사면(126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제2경사면(126b)은 후방-상향의 경사를 가진다.
제3경사면(126c)은 제2경사면(126b)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경사면(126c)은 지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9에 도시한 것과 달리 제3경사면(126c)은 후방-상향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경사도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면이 갖는 각도로 정의한다. 제2경사면(126b)의 경사도는 제1경사면(126a)의 경사도보다 작다. 제3경사면(126c)의 경사도는 제2경사면(126b)의 경사도보다 작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제3경사면(126c)에 맺힌 물방울은 제2경사면(126b) 및 제1경사면(126a)을 따라 흘러내리고, 히터(130)로 낙하하지 않아 히터(130)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히터(130)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통(120)은 히터(130)의 상부면에 평행으로 배치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2경사면(126b)은 히터(130)와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히터(130)의 상부면에서 상부면의 수직방향으로 방출된 열은 제2경사면(126b)에 균일하게 도달하여 제2경사면(126b)을 균등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통(120)의 일 측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물통(120)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123)를 포함한다. 저장부(123)는 전방저장부(123a), 좌측저장부(123b) 및 우측저장부(123c)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방저장부(123a)는 물통(120)의 전단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된다.
전방저장부(123a)는 히터(130)에서 전방으로 방출된 열이 청소모듈(10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좌측저장부(123b)는 전방저장부(123a)의 좌측단에서 물통(120)의 좌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다.
좌측저장부(123b)는 히터(130)에서 좌측방으로 방출된 열이 청소모듈(100)의 좌측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우측저장부(123c)는 전방저장부(123a)의 우측단에서 물통(120)의 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다.
우측저장부(123c)는 히터(130)에서 우측방으로 방출된 열이 청소모듈(100)의 우측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방저장부(123a)와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후방이 개구된 U-형상으로 형성된다. 청소모듈(100)은 전방으로 이동하며 청소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히터(130)의 후방은 냉각할 필요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방과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하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에서 바라볼 때 전방저장부(123a)의 단면적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저장부(123b)의 단면적 또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우측저장부(123c)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청소모듈(100)의 전후방 길이를 작게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좌측저장부(123b) 및 우측저장부(123c) 사이에 수위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채널(12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저장부(123b) 또는 우측저장부(12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단이 후단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물통(120)의 우측저장부(123c)는 전단이 후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미도시하였으나 물통(120)의 좌측저장부(123b)도 전단이 후단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에어포켓은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의 후단에 형성된다.
저장부(123)는 히터(130)의 네방향 측면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측면을 감싼다. 구체적으로, 전방저장부(123a)는 히터(130)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저장부(123b)는 히터(1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저장부(123c)는 히터(130)의 우측에 배치됨으로써, 저장부(123)는 히터(130)의 3개 측면을 감싼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저장부(123)는 히터(130)에서 측방으로 방출되는 열이 청소모듈(100)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배수구(122)는 전방저장부(123a)와 좌측저장부(123b)의 연결부 또는 전방저장부(123a)와 우측저장부(123c)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수구(122)는 전방저장부(123a)와 우측저장부(123c)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것과 달리 배수구(122)는 전방저장부(123a)와 좌측저장부(123b)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구(122)는 탱크호스(142)와 연결된다. 탱크호스(142)의 입구단은 배수구(122)에 연결되고, 탱크호스(142)의 출구단은 급수펌프(141)에 연결된다. 물통(120)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하여 탱크호스(142)로 유동되고, 급수펌프(141)에 의하여 히터호스(143)를 통해 히터(130)로 압송된다.
에어홀(124)은 물이 배출된 때, 부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물통(12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물통(120) 내부에 압력이 하강하고, 하강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기가 에어홀(124)을 통해 물통(120) 내부로 유입되면서 에어포켓을 형성한다.
에어홀(124)은 좌측저장부(123b) 또는 우측저장부(123c)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형성된다. 에어홀(124)은 좌측저장부(123b) 또는 우측저장부(123c) 중 어느 하나에 에어포켓을 형성한다. 좌측저장부(123b) 또는 우측저장부(123c) 중 에어홀(124)이 형성되지 않은 저장부(123)에는 에어채널(128)에 의해서 에어포켓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에어홀(124)은 좌측저장부(123b)에 형성되므로, 좌측저장부(123b)에 에어포켓이 1차로 형성되고,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공기 중 일부가 에어채널(128)을 통해 우측저장부(123c)로 유동하는 바, 우측저장부(123c)에 에어포켓이 2차로 형성되므로,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의 수위가 일치된다.
물통에 에어채널(128)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에어홀(124)은 좌측저장부(123b) 및 우측저장부(123c)에 모두 형성되어야 한다.
배수구(122)는 물통(120)의 전단에 형성되고, 에어홀(124)은 물통(120)의 후단에 형성된다. 즉, 물통(120)에 저장된 물은 전방으로 유동하면서 물통(120)의 전단으로 배출되고, 공기는 물통(120)의 후단으로 유입되면서 전방으로 확산된다.
배수구(122)의 상부면 일부는 지면에 평행하고, 상부면을 따라 에어홀(124)과 에어채널(128)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채널(128)의 상단은 에어홀(124)의 상단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좌측저장부(123b)에 에어포켓이 형성된 경우, 곧바로 에어채널(128)에 의하여 우측저장부(123c)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고, 신속하게 우측저장부(123c)에도 에어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에서 볼 때 물통(120)을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에어홀(124)은 배수구(122)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물통(120)을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선은 C-C 단면선이며, 청소모듈(100)의 롤링축(x)과 일치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배수구(122)는 롤링축의 우측에 배치되고, 에어홀(124)은 롤링축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에어홀(124)과 배수구(122)는 저장부(123)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배치되고, 물통(12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빠짐없이 전부 배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것과 달리, 상부에서 볼 때 물통(120)을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에어홀(124)은 배수구(122)와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급수구(121)는 물통(120)에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급수구(121)는 물통(120)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좌측 급수구(121)를 폐쇄하고 우측 급수구(121)를 개방한 후, 우측 급수구(12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우측 급수구(121)를 폐쇄하고 좌측 급수구(121)를 개방한 후, 좌측 급수구(12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물통(120)의 전단을 상부에 위치하고 물통(120)의 후단을 하부에 위치한 후, 양측 급수구(121)를 모두 개방하고, 일측 급수구(12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는 일측 급수구(121)로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타측 급수구(121)로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신속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구(121)에는 캡이 설치되며, 캡을 제거한 후 급수구(12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캡은 고무 등 신축성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장관배치부(127)는 연장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물통(120)에 연장관배치부(127)가 형성됨으로써, 청소모듈(10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가 보다 짧아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연장관배치부(127)는 물통(120)의 후면의 일 측에서 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연장관배치부(127)는 좌측저장부(123b)의 우측과 우측저장부(123c)의 좌측과 히터배치부(126)의 후방에 배치된다.
에어채널(128)은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의 수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에어채널(128)은 전방저장부(123a)의 후방에 배치되고,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좌측저장부(123b)에 에어홀(124)이 형성된 경우, 좌측저장부(123b)에 에어포켓이 형성된다. 이때,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18a를 참조할 때 좌측저장부(123b)에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좌측저장부(123b)의 수위는 H1'으로 낮아지게 되나, 우측저장부(123c)에는 에어포켓이 형성되지 못해 H2'로 유지되며, 청소모듈의 무게중심이 우측저장부(123c)쪽으로 치우처져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때에 따라 우측저장부(123c)에 진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8b를 참조할 때 좌측저장부(123b)의 에어포켓의 공기가 에어채널(128)을 통해 우측저장부(123c)로 이동하고, 우측저장부(123c)에 에어포켓을 형성한다. 따라서, 좌측저장부의 수위(H1)와 우측저장부의 수위(H2)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에어채널(128)은 저장부(123)의 상단에 배치된다. 물통(120)의 상부면은 지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에어채널(128)은 물통(12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측방에서 볼 때, 에어채널(128)은 배수구(122)와 에어홀(124)의 사이에 배치된다.
급수펌프(141)는 청소모듈(100) 내부의 물을 유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급수펌프(141)는 물통(120) 내부의 물을 가압하여 히터(130)로 압송한다. 급수펌프(141)의 입구단은 탱크호스(142)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급수펌프(141)의 출구단은 히터호스(143)에 연결된다.
탱크호스(142)는 물통(120)과 급수펌프(141)를 연결한다. 탱크호스(142)는 물통(120)에 저장된 물을 급수펌프(141)로 안내한다.
히터호스(143)는 급수펌프(141)와 히터(130)를 연결한다. 히터호스(143)는 급수펌프(141)에 의해 가압된 물을 히터(130)로 안내한다.
발광모듈(150)은 청소모듈(100)의 전방을 밝혀, 청소모듈(100)의 전방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확인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발광모듈(150)은 청소모듈(100)의 전방 바닥으로 광을 조사한다.
발광모듈(150)은 공기유입구(11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발광모듈(150)은 공기유입구(1112)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발광모듈(150)은 전면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150)은 발광부재(151) 및 확산판(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51)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51)는 광을 전방 또는 하부로 조사한다.
확산판(152)은 발광부재(151)의 전방에 배치되어, 발광부재(151)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킨다.
걸레 어셈블리(160)는 물 또는 스팀에 의해 바닥면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레 어셈블리(160)는 히터(13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고, 마찰 및 스팀에 의하여 바닥면을 습식 청소한다.
걸레 어셈블리(160)는 걸레(161) 및 걸레모터(162)로 구성될 수 있다.
걸레(161)는 하부하우징(111)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부하우징에(111)는 걸레(161)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며, 걸레(161)는 상기 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하부하우징(111)에 설치된다.
걸레(161)는 상부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레(161)의 중심에는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이 형성된다. 걸레(16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마찰에 의해 청소할 수 있다.
걸레(161)는 롤링축(x)을 중심으로 좌우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레모터(162)는 걸레(161)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걸레모터(162)는 걸레(161)의 상부에 배치되고, 걸레(161)의 회전축상에 배치된다.
걸레모터(162)는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걸레모터(162)는 걸레(161)의 개수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걸레모터(162)는 롤링축(x)을 중심으로 좌우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레모터(162)는 히터(130)의 측방에 배치된다. 상부격벽(1122) 또는 하부격벽(1112)은 걸레모터(162)와 히터(130)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130)의 열이 걸레모터(16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차폐부재(170)는 흡입구(181)가 배치된 전방공간과 걸레(161)가 배치된 후방공간을 차폐하여, 걸레(161)에서 방출된 스팀이 흡입구(181)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먼지유로(180)는 청소모듈(100) 내부에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다. 먼지유로(180)의 입구단은 흡입구(181)에 연결되고, 먼지유로(180)의 출구단은 연장관(200)에 연결된다.
흡입구(181)는 청소영역에 존재하는 먼지 및 공기가 청소모듈(180) 내부로 유입되는 구멍이다.
흡입구(181)는 하부하우징(111)의 하부면의 전단에 형성된다. 흡입구(181)는 좌측 걸레(161)와 우측 걸레(161) 사이에 배치된다.
PCB(190)는 청소모듈(100)을 제어하기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전류가 유동할 수 있고, 통신선이 배치될 수 있는 기판이다.
PCB(190) 및 PCB(190)에 설치된 부품들은 열에 취약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공기유입구(1111)로 유입되어 공기배출구(1121)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통(120)은 히터(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히터(13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히터(130)에서 발산된 열은 상승하는 특징이 있는데, 물통(120)은 히터(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 열이 청소모듈(100)의 상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나아가, 물통(120)은 히터(130)와 이격되어, 히터(130)에서 방출된 열이 물통(120)으로 대류된 후 전도에 의하여 열전달되는 바, 사용자가 청소모듈(100)과 접촉하더라도 화상을 입지 않는 장점이 있다.
물통(120)은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히터(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히터배치부(126)를 포함한다. 물통(120)이 청소모듈(100)에 배치되는 바 청소모듈(100)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히터(130)의 적어도 일부가 히터배치부(126)에 삽입되어 배치됨으로써, 청소모듈(100)의 높이를 보다 낮추어 좁은 틈새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통(120)은 전방저장부(123a)와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123)는 히터(130)의 3방향 측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측방으로 발산된 열이 상기 저장부(123)에 흡수되어 주변의 전자장비들을 과열시키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물통(120)은 좌측저장부(123b)와 우측저장부(123c)를 연결하는 에어채널(128)을 구비한다. 도 18b를 참조하면, 에어홀(124)이 좌측저장부(123b)에만 형성되더라도, 좌측저장부(123b)에 형성된 에어포켓의 공기가 에어채널(128)을 통하여 우측저장부(123c)로 이동하여 우측저장부(123c)에 에어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좌측저장부의 수위(H1)와 우측저장부의 수위(H2)가 일치되므로, 청소모듈(100)의 무게중심이 항상 중앙에 위치하는 장점도 있다.
히터배치부(126)의 제1경사면(126a)과 제2경사면(126b)은 전방-하향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히터배치부(126)에 맺힌 이슬은 히터(130)로 낙하하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물통(120)의 전단으로 흘러내린다. 마찬가지로, 상부하우징(112)의 제1경사면(126a)과 제2경사면(126b)에 맺힌 이슬도 경사면을 따라 상부하우징(112)의 전단으로 흘러내린다. 따라서, 이슬이 히터(130)로 낙하함에 따라 히터(130)가 불필요하게 냉각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히터(130)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배터리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물통;
    상기 물통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히터배치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배치부는,
    상기 물통의 하부면의 일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
    상기 제2경사면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경사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는 상기 제1경사면의 경사도보다 작고,
    상기 제3경사면의 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보다 작은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저장부;
    상기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저장부의 좌측단에서 상기 물통의 좌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저장부;
    상기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저장부의 우측단에서 상기 물통의 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저장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저장부와 상기 좌측저장부와 상기 우측저장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후방이 개구된 U-형상으로 형성되는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전방저장부와 상기 좌측저장부의 연결부 또는 상기 전방저장부와 상기 우측저장부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후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연결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좌측저장부의 우측과 상기 우측저장부의 좌측과 상기 히터배치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의 후면의 일 측에서 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장관배치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저장부 또는 우측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단이 후단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청소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전방저장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저장부와 우측저장부를 연결하는 에어채널;을 포함하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전단에 형성되고,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
    후단에 형성되고, 부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물통을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선(x축)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홀은 상기 배수구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양 측면에 형성되고,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급수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은,
    상부면에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의 상부에서 상기 히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물통이 설치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히터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단열코팅면;이 형성되는 청소기.
  15.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배터리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히터의 네방향 측면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히터의 상부면에 평행으로 배치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물통의 전면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저장부;
    상기 전방저장부의 좌측단에서 상기 물통의 좌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저장부;
    상기 전방저장부의 우측단에서 상기 물통의 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저장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PCT/KR2022/011012 2021-07-27 2022-07-27 청소기 WO20230088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47283.8A CN117597056A (zh) 2021-07-27 2022-07-27 吸尘器
AU2022320385A AU2022320385A1 (en) 2021-07-27 2022-07-27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03572P 2021-07-27 2021-07-27
US63/203,572 2021-07-27
KR10-2021-0172186 2021-12-03
KR1020210172186A KR20230017095A (ko) 2021-07-27 2021-12-03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898A1 true WO2023008898A1 (ko) 2023-02-02

Family

ID=8508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1012 WO2023008898A1 (ko) 2021-07-27 2022-07-27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AU (1) AU2022320385A1 (ko)
WO (1) WO20230088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873A (ja) * 1996-03-11 1997-09-16 Tec Corp スチーム式掃除機
KR200392095Y1 (ko) * 2005-02-22 2005-08-11 고정순 스팀 청소기
KR100679531B1 (ko) * 2005-08-03 2007-02-06 한경희 스팀 청소기의 히터 체결 구조
KR100797467B1 (ko) * 2005-12-13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1011335B1 (ko) * 2009-01-15 2011-01-28 김한기 스팀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873A (ja) * 1996-03-11 1997-09-16 Tec Corp スチーム式掃除機
KR200392095Y1 (ko) * 2005-02-22 2005-08-11 고정순 스팀 청소기
KR100679531B1 (ko) * 2005-08-03 2007-02-06 한경희 스팀 청소기의 히터 체결 구조
KR100797467B1 (ko) * 2005-12-13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1011335B1 (ko) * 2009-01-15 2011-01-28 김한기 스팀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0692A (zh) 2023-06-01
AU2022320385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1500A1 (ko) 청소기
WO2020027452A1 (ko)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WO2017171501A1 (ko) 청소기
WO2017171496A1 (ko) 청소기
WO2017074145A2 (ko) 공기청정장치
WO2017074136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7074135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8074852A1 (ko) 로봇 청소기
AU2020323826B2 (en) Robot cleaner
WO2017074137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7034198A1 (en) Robot cleaner
WO2018038369A1 (ko) 청소기
WO2017034199A1 (en) Robot cleaner
WO2021029704A1 (en)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9146923A1 (ko) 청소기
WO2022182201A1 (ko) 청소기
WO2022114500A1 (ko) 로봇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38365A1 (ko) 청소기
WO2023008898A1 (ko) 청소기
WO2023008896A1 (ko) 청소기
WO2017074126A1 (ko) 가습청정장치
WO2021215592A1 (en) Robot cleaner
WO2023171976A1 (ko) 청소기
WO2022124528A1 (ko) 청소기
WO2023210975A1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498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320385

Country of ref document: AU

Ref document number: AU2022320385

Country of ref document: AU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32038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20727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498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498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