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70747A1 -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70747A1
WO2022270747A1 PCT/KR2022/006051 KR2022006051W WO2022270747A1 WO 2022270747 A1 WO2022270747 A1 WO 2022270747A1 KR 2022006051 W KR2022006051 W KR 2022006051W WO 2022270747 A1 WO2022270747 A1 WO 20222707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ground surface
plant
containing layer
roo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0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기원
이강명
Original Assignee
이기원
이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이강명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IL30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IL309009A/en
Priority to CN202280043566.5A priority patent/CN117529226A/zh
Publication of WO20222707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707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Abstract

지형 구조물은 지표면과, 상기 지표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상기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 및 상기 건조층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성 또는/및 상기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 지표면에 뿌리를 갖는 식물이 식재될 경우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상기 함수층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 뿌리 성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
본 발명은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지표면으로부터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에 식물 재배가 가능할 수 있게 형성하는 지형 구조물 및 언급한 지형 구조물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표면 아래에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이 형성되어 있으면 건조층 아래에 형성되는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수층까지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지 못할 수 있고, 그 결과 식물이 고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층이 형성되어 있는 지형에 뿌리를 갖는 식물을 재배할 때에는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지속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건조층이 형성되어 있는 지형에 뿌리를 갖는 식물을 재배할 경우 아주 많은 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고, 특히 많은 양의 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에도 불구하고 식물의 뿌리가 건조층 아래의 함수층방향으로 깊게 성장하지 못하고 지표면 아래의 측면을 따라 얕게 성장함으로써 세찬 바람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식물이 뿌리채 뽑히는 상황까지도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건조층 아래의 함수층까지로 식물의 뿌리가 성장할 수 있는 지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건조층을 갖는 지형 구조물에 뿌리를 갖는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지표면과, 상기 지표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상기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 및 상기 건조층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성 또는/및 상기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 지표면에 뿌리를 갖는 식물이 식재될 경우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상기 함수층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수직하게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 뿌리 성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뿌리 성장부는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에 상기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뿌리 성장부는 상기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 구조막이 상기 관통홀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때, 상기 투수 구조막으로 둘러싼 상기 관통홀 내에 상기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뿌리 성장부는 상기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삽입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식재된 지표면에 상기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 상부에 용수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물 재배 방법은 지표면과, 상기 지표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상기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 및 상기 건조층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성 또는/및 상기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지형 구조물에 뿌리를 갖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지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상기 함수층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 뿌리 성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뿌리 성장부가 형성되는 상부의 상기 지표면에 상기 뿌리를 갖는 식물을 식재하고, 그리고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뿌리 성장부를 통하여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뿌리 성장부를 통하여 상기 함수층까지 상기 용수가 스며들 수 있게 상기 식물이 식재된 지표면에 상기 용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상부에 구비되는 용수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지표면에 상기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되면 상기 용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적은 용수를 공급함에도 불구하고 건조층 아래의 함수층까지 식물의 뿌리를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은 뿌리를 갖는 식물의 재배시 재배 기간의 단축, 용수 사용량의 대폭 절감 등을 통한 경제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은 함수층으로 뿌리를 깊게 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도 지장을 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지표면(15), 건조층(17), 함수층(1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층(17)은 지표면(15)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용수가 스며드는 성질인 투수성 또는/및 용수를 함수하는 성질인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형일 수 있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용수를 거의 함수하고 있지 않은 지형일 수 있다.
함수층(19)은 건조층(17)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언급한 투수성 및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형일 수 있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용수를 어느 정도 함수하고 있는 지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지표면(15) 아래의 일정 깊이까지는 용수를 거의 함수하고 있지 않은 건조층(17)이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건조층(17) 아래에는 용수를 어느 정도로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1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는 지표면(15)에 뿌리(13)를 갖는 식물(11)이 식재될 경우 식물(11)의 뿌리(13)를 지표면(15)으로부터 함수층(19)까지 수직하게 성장시킬 수 있는 뿌리 성장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뿌리 성장부(21)는 지표면(15)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함수층(19)까지 스며들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지표면(15)과 함수층(19) 사이에 용수가 스며들 수 있는 재질을 갖는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21)는 지표면(15)과 함수층(19) 사이의 건조층(17)을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3)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수가 뿌리 성장부(21)를 통하여 함수층(19)까지로 스며들 수 있기 때문에 뿌리 성장부(21)가 형성되는 지표면(15)에 뿌리(13)를 갖는 식물(11)을 식재하고 용수를 공급할 경우 식물(11)의 뿌리(13) 또한 용수가 스며드는 뿌리 성장부(21)를 따라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뿌리 성장부(21)는 지표면(15)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함수층(19)까지 수직하게 스며들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지표면(15)과 함수층(19) 사이에 용수가 스며들 수 있는 재질을 갖는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수직하게 채워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23) 또한 지표면(15)과 함수층(19) 사이의 건조층(17)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더불어 관통홀(23)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수직하게 채워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뿌리 성장부(21)는 언급한 수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뿌리 성장부(21)로 적용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의 예로서는 모래, 자갈, 투수성이 좋은 흙 등과 같은 무기물 재질, 퇴비, 분쇄한 식물의 줄기, 톱밥 등과 같은 유기물 재질을 들 수 있고, 흡습성 물질의 예로서는 섬유, 종이, 흡습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뿌리 성장부(21)로 적용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은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예로서는 약 0.1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실트, 규조토, 세라믹,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창질석, 분쇄된 식물 줄기 등과 같은 천연 또는 인공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뿌리 성장부(21)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홀(23)은 지표면(15)으로부터 함수층(19)까지 관통, 특히 수직하게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원형 관통홀, 사각형 관통홀, 타원형 관통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지표면(15)과 함수층(19) 사이를 관통하여 관통홀(23)을 형성하고, 관통홀(23) 내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을 채워 넣어 뿌리 성장부(21)를 형성함으로써 지표면(15)과 함수층(19) 사이에 건조층(17)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식물(11)의 뿌리(13)를 지표면(15)으로부터 함수층(19)까지 성장, 특히 수직하게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뿌리 성장부(21)에서의 관통홀(23)의 크기는 식재하는 식물(11)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뿌리 성장부(21)로 형성하기 위하여 관통홀(23)에 채워지는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관통홀(23)의 측벽을 통하여 손실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21)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 구조막(27)을 별도로 마련하여 관통홀(23)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언급한 투수 구조막(27)은 주로 투수성 재질을 갖는 섬유 등을 망 구조물을 갖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21)는 투수 구조막(27)을 마련하여 관통홀(23)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한 다음 관통홀(23)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을 채워 넣어 형성함으로써 수직 관통홀(23)에 채워지는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관통홀(23)의 측벽을 통하여 손실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21)는 관통홀(23)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을 직접 채워 넣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 구조물을 관통홀(23)에 삽입시킴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서의 뿌리 성장부(21)는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을 관통홀(23)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관통홀(23)에 삽입시킴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언급한 삽입 구조물의 경우에도 망 구조물을 갖도록 마련하는 투수 구조막(27)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을 채워 넣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투수 구조막(27)을 관통홀(23)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마련한 다음 언급한 투수 구조막(27)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을 채워 넣음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구조물을 수직 관통홀(23)에 삽입시킴에 의해서도 뿌리 성장부(21)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언급한 삽입 구조물을 관통홀(23)에 삽입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뿌리 성장부(21)를 형성할 경우에는 삽입 구조물의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관통홀(23)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 뿌리(13)를 갖는 식물(11)을 식재한 다음 용수를 공급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표면(15)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함에 의해 식물(11)이 식재된 지표면(15)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관개시설 등과 같이 지표면(15)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용수 공급부(25)를 구비하여 식물(11)이 식재된 지표면(15) 상부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뿌리 성장부(21)가 형성되는 지표면(15)에 뿌리(13)를 갖는 식물(11)을 식재한 후, 용수 공급부(25)를 사용하여 식물(11)이 식재된 지표면(15)에 용수를 공급함에 의해 지표면(15)으로부터 뿌리 성장부(21)를 통하여 함수층(19)까지 식물(11)의 뿌리(13)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적은 용수를 공급함에도 불구하고 건조층(17) 아래의 함수층(19)까지 식물(11)의 뿌리(13)를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고, 더욱이 함수층(19)으로 뿌리(13)를 깊게 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찬 바람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식물(11)이 뽑히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도 1, 도 2 또는 도 3에서의 같은 뿌리 성장부(21)를 형성한 다음 뿌리 성장부(21)가 형성되는 상부의 지표면(15)에 뿌리(13)를 갖는 식물(11)을 식재한 후, 지표면(15)으로부터 뿌리 성장부(21)를 통하여 함수층(19)까지 용수가 스며들 수 있게 식물(11)이 식재된 지표면(15)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고, 그 결과 식물(11)의 뿌리(13)가 지표면(15)으로부터 뿌리 성장부(21)를 통하여 함수층(19)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용수는 지표면(15) 상부에 구비되는 용수 공급부(25)를 통하여 식물(11)이 식재된 지표면(15)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물 재배 방법에서는 식물(11)의 뿌리(13)가 함수층(19)까지 성장되면 용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물 재배 방법에서는 함수층(19)까지 뿌리(13)가 성장할 경우 함수층(19)에 함수되어 있는 용수만으로도 식물(11)을 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물(11)의 뿌리(13)가 함수층(19)까지 성장되면 용수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용수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은 식물의 뿌리가 지표면 아래로 수직하게 성장하기 힘든 건조층을 포함하는 건조 지형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지표면; 상기 지표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상기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 및 상기 건조층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성 또는/및 상기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지형 구조물로써,
    상기 지표면에 뿌리를 갖는 식물이 식재될 경우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상기 함수층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 뿌리 성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 성장부는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에 상기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 성장부는 상기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 구조막이 상기 관통홀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때, 상기 투수 구조막으로 둘러싼 상기 관통홀 내에 상기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 구조물.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 성장부는 상기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삽입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식재된 지표면에 상기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 상부에 용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 구조물.
  6. 지표면; 상기 지표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용수가 스며드는 투수성 또는/및 상기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층; 및 상기 건조층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성 또는/및 상기 함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지형 구조물에 뿌리를 갖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상기 지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상기 함수층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상기 지표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에 투수성 물질 또는/및 흡습성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 뿌리 성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뿌리 성장부가 형성되는 상부의 상기 지표면에 상기 뿌리를 갖는 식물을 식재하고,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뿌리 성장부를 통하여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할 수 있게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뿌리 성장부를 통하여 상기 함수층까지 상기 용수가 스며들 수 있게 상기 식물이 식재된 지표면에 상기 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상부에 구비되는 용수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지표면에 상기 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함수층까지 성장되면 상기 용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
PCT/KR2022/006051 2021-06-22 2022-04-27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 WO20222707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309009A IL309009A (en) 2021-06-22 2022-04-27 Terrain structure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using it
CN202280043566.5A CN117529226A (zh) 2021-06-22 2022-04-27 地形结构及用其种植植物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05 2021-06-22
KR20210080705 2021-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747A1 true WO2022270747A1 (ko) 2022-12-29

Family

ID=8454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051 WO2022270747A1 (ko) 2021-06-22 2022-04-27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CN (1) CN117529226A (ko)
IL (1) IL309009A (ko)
WO (1) WO202227074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06U (ko) * 1987-06-05 1989-03-02 윤광여 액체 유출레버를 하단에 설치한 샘푸우 용기
JP2003235365A (ja) * 2002-02-18 2003-08-26 Toshiyuki Aeba 砂地緑化のための生分解苗木ポット並びに砂地緑化方法
JP2007089501A (ja) * 2005-09-29 2007-04-12 Mitsubishi Heavy Ind Ltd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装置、方法および工場と、定植用植物苗セット、植苗方法
JP2008206481A (ja) * 2007-02-27 2008-09-11 Mitsubishi Heavy Ind Ltd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および育成方法、定植用植物苗セット、並びに植苗方法
JP2008212000A (ja) * 2007-02-28 2008-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および育成方法、定植用植物苗セット、並びに植苗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06U (ko) * 1987-06-05 1989-03-02 윤광여 액체 유출레버를 하단에 설치한 샘푸우 용기
JP2003235365A (ja) * 2002-02-18 2003-08-26 Toshiyuki Aeba 砂地緑化のための生分解苗木ポット並びに砂地緑化方法
JP2007089501A (ja) * 2005-09-29 2007-04-12 Mitsubishi Heavy Ind Ltd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装置、方法および工場と、定植用植物苗セット、植苗方法
JP2008206481A (ja) * 2007-02-27 2008-09-11 Mitsubishi Heavy Ind Ltd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および育成方法、定植用植物苗セット、並びに植苗方法
JP2008212000A (ja) * 2007-02-28 2008-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および育成方法、定植用植物苗セット、並びに植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9009A (en) 2024-01-01
CN117529226A (zh)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71821B (no) Dyrkningsblokk, slik som en dyrkningsplugg, et dyrkningspluggsystem og en pluggremse for dette
CN209185138U (zh) 一种树木移植结构
CN105230323A (zh) 一种适用于砒砂岩小流域的抗蚀促生二元立体配置模式
CN107114188A (zh) 一种香樟树的移植方法
CN106879431A (zh) 树木移植方法
WO2022270747A1 (ko) 지형 구조물 및 식물 재배 방법
CN109729904A (zh) 一种在水池中种植景观树木的方法及装置
CN111642311B (zh) 在海滨地区种植许树的方法
CN108738875B (zh) 用于寒温带大风地区的绿色生态修复系统
KR100949714B1 (ko) 경사면 녹화용 혼합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방법
CN210008256U (zh) 一种沙漠固沙植被高效保水装置
WO2022050575A1 (ko)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CN111742834A (zh) 一种硬质水底水生植物快速定植方法
KR100346053B1 (ko) 녹화 마대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지의 녹화 공법
McMahon et al. Root growth, calcite precipitation, and gas and water movement in fractures and macropores: A review with field observations
CN213233311U (zh) 自然荒坡及直立硬质护岸快速生态化改造及修复的装置及生态种植框
CN213938993U (zh) 一种沉水植物的种植装置
CN210857107U (zh) 一种挂靠式绿化板和岩质边坡生态护坡系统
WO2022163952A1 (ko) 복합 인공 토양 구조 시스템
CN109729897B (zh) 树苗水中种植辅具及种植方法
CN107567903A (zh) 苗木的种植方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257994A (zh) 一种防治风蚀荒漠化土壤的方法
CN109137823A (zh) 生态沟渠护坡结构
Watson et al. Influence of backfill soil amendments on establishment of container-grown shru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85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09009

Country of ref document: IL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P6003149/2023

Country of ref document: AE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523451854

Country of ref document: 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