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40233A1 -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40233A1
WO2022240233A1 PCT/KR2022/006886 KR2022006886W WO2022240233A1 WO 2022240233 A1 WO2022240233 A1 WO 2022240233A1 KR 2022006886 W KR2022006886 W KR 2022006886W WO 2022240233 A1 WO2022240233 A1 WO 20222402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rrent
hollow tube
plasma
providing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8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석배
서호준
김자영
Original Assignee
서석배
서호준
김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배, 서호준, 김자영 filed Critical 서석배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87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54607B1/ko
Publication of WO20222402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402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stimulation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 Plasma refers to a state in which gas is heated to a very high temperature and separated into electrons and positively charged ions.
  •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 An apparatus for providing stimulation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housing inserted into the skin, a hollow tube formed inside the hous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hollow tube.
  • a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econd current to the skin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so that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re sequentially provided and at least one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and through which the plasma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is discharged.
  • control unit may sequentially provide the plasma and the second current to the skin by switching between a first mode for providing a first current and a second mode for providing a second current.
  •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for activating the first mode
  •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for activating the second mode
  •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of a first intensity through the first electrode so that the first current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and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 unit may apply power of a second intensity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so that the second current is provided through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excluding the first current provi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a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excluding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to provide the first current
  •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controls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to provide the first curr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skin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2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current.
  • the controller may chang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through the pattern conversion unit.
  • the housing may be formed in a needle type or a cannula type.
  • a needle tip providing RF current and plasma-based stimula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needle fixing part and a plurality of needles inserted into the skin, each of the plurality of needles , a hollow tube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nee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an inlet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and into which at least one gas is injected,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the hollow tube
  • a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providing a first current to the inside
  • a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edle and providing a second current to the skin,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 each of the plurality of cannulas is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annul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 a hollow tube formed along the hollow tube, an inlet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through which at least one gas is injected, and a first current agent formed at an end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to provide a first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 a second current providing part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nnula and providing a second current to the skin, and controlling the first current providing part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part to obtai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part. It includes a controller for sequentially supplying 2 currents and at least one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and through which the plasma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is discharged.
  • current is provided inside the devi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eedle or cannula type device inserted into the skin is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so that the current provided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is reduced to the inside of the skin where the device is inserted. It may not be provided in the area. As a result, pain felt by a patient during skin care or treatment can be reduced.
  • the effect of regenerating skin tissue by the RF current and the effect of regenerating the skin tissue by the plasma can be obtained together.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lasm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using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attern of a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stimulus providing device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equential provision of RF current and plasm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lasm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using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attern of a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110, a hollow tube 120, an inlet 130, an outlet 140, and a current providing unit 150. ) and a controller 160.
  • the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
  • the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be a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skin and uses plasma to stimulate the dermal layer of the skin so that the skin can automatically regenerate damage caused by the stimulation. .
  • the housing 110 of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be formed thin and sharp as shown in FIG. 2 so as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skin.
  • the housing 110 of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be formed in a needle type or a cannula type.
  • the hollow tube 12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may be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 That is, the housing 110 itself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 the hollow tube 120 may be included as a separate tube inside the housing 110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 the inlet 13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120, and at least one gas may be injected.
  • the type of the injected gas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 the injected gas may be carbon dioxide (CO2).
  • Gas injected through the inlet 130 may move through the hollow tube 120 .
  •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120 to provide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120 .
  • the current may be an alternating current.
  •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radio frequency (RF) current, but the current provided by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ll types of current capable of generating plasma by reacting with gas moving inside the hollow tube 120 .
  • RF radio frequency
  •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so that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gas moving through the hollow tube 120 so that plasma is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120 .
  • the discharge hole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and the plasma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120 can be discharged.
  • plasma when gas and curren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inn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plasma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ontact reaction between the gas and the current. At this time, the intensity and size of the plasma may be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gas.
  • the plasma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emitted into the skin through at least one outlet 1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
  • Plasma emitted into the skin can stimulate the dermal layer so that skin can be automatically regenerated inside the skin.
  • the control unit 16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cluded inside the housing 110 , but is included in an individual device outside the housing 110 to control components included inside the housing 110 .
  • the controller 160 may be included in a hand pie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 the housing 110 formed in a needle type or cannula type may be connected to a hand piece (not shown) through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 the hand piece (not shown) is a part that the doctor grips, and the doctor moves the hand piece (not shown) on the patient's skin and uses a needle type or cannula type through the controller 160 included in the hand piece (not shown).
  • the housing 110 formed of is inserted into the skin and can be controlled to generate plasma.
  •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gas to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12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skin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to provide curr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skin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 the controller 160 injects gas through the injection port 130 to open the hollow tube 120 Gas may be moved through and a current may be applied so that the current is provided through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so that the gas and the current meet and react at the end of the hollow tube 120 to generate plasma.
  • a driving unit (not shown) is included inside the hand piece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160 may allow the housing 110 to be inserted into the skin through the driving unit (not shown).
  • the housing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throug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not shown), and the housing 110 may be lowered by a blow of the driving unit (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skin. have.
  •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of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 Conventional skin care devices using electric curren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patients may feel pain because electric current is directly applied to the skin.
  • the present disclosure prevents current from flowing outside the housing 110 (skin contact area) by insul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current is provided only through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inside the housing 110.
  • the insulating coating may refer to a processing treatment such as applying or attaching an insulating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 a partial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of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also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and some regions of the inner surface (all regions except for the end portion)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This may be so that the current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110 by the control unit 160 is provided intensively only at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110 (ie,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120) in a non-insulated state.
  •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is formed only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provides current only at the distal end, and the provided current can react with the gas moving through the hollow tube 120 at the distal end. have.
  • One discharge port 140 may be provided.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110 in the insertion direction,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FIG. 5 , one discharge port 140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may be provided.
  • the size of the hole may be formed relatively large.
  • each hole can be formed relatively small because several of them must be formed with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ole in the case where only one outlet 140 is provided.
  • stimulation can be provided over a relatively large area when plasma is emitted into the skin, and when a plurality of outlets 140 are provided, plasma is emitted into the skin.
  • a plurality of outlets 140 are provided, plasma is emitted into the skin.
  • the magnetic pole contro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Hall conversion unit (not shown) so that the control unit 160 changes the number of discharge ports 140 through the Hall conversion unit (not shown). have.
  • control unit 160 may change the number of outlets 140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kin into which the stimulation control device 100 is inserted and the patient's skin condition.
  • one outlet 1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to provide stimulation to a large area inside the skin, or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outlets 1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 the discharge port 140 may be provided to provide stimulation through various pathways in a small area inside the skin.
  • control unit 160 may change the number of outlets 140 through a hall conversion unit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skin and plasma is generated.
  • the controller 160 can provide detailed stimulation through plasma to the inside of the skin by changing the discharge port 140 from a single state to a plurality of states through a hall conversion unit (not shown).
  • the magnetic pole contro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attern changer (not shown) so that the control unit 160 changes the pattern of the plurality of outlets 140 through the pattern changer (not shown).
  • the pattern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each having a different pattern.
  • the first plate may include a band-shaped first pattern.
  • the second plate may include a cross-shaped second pattern.
  • the shape of the patter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various.
  • the controller 160 converts the basic plate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outlets 140 are open) to the first plate through the pattern conversion unit (not shown), it is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140. Only the discharge port 140 is open, and plasma is discharged only from the corresponding discharge port 140 . That is, plasma may be emitted into the skin in a band shape.
  • the controller 160 converts the basic plate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outlets 140 are open) to the second plate through the pattern conversion unit (not shown), the plurality of outlets 140 are included in the second pattern. Only the discharge port 140 is open, and plasma is discharged only from the corresponding discharge port 140 . That is, plasma may be emitted into the skin in a cross shape.
  • control unit 160 converts the first plate to the second plate through a pattern conversion unit (not shown), only the discharge ports 140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among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40 are opened, and the second plate Only the outlet 140 included in the pattern is converted to an open state, and plasma is emitted only from the outlet 140 . That is, the plasma may be discharged into the skin in a band shape and then changed into a cross shape and then discharged.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med in a needle type or a cannula type.
  • a needle tip providing plasma-based stimul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needle type. That is,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needle type may be included as a needle unit in a needle tip.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needle type may be included as a needle unit in a needle tip.
  • a needle tip providing plasma-based stimulation will be described.
  • the needle tip may include a needle fixing unit and a plurality of needles inserted into the skin.
  • the needle fixing part may be fix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needles.
  • Each of the plurality of needle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12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at the inner center, an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120, the inlet 130 into which at least one gas is injected, and the hollow tube 120.
  •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Formed at the distal end,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provides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120, and controls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so that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gas moving through the hollow tube 120.
  • a discharge port 140 may be included.
  •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hollow tube 120, the inlet 130, the outlet 140, the current supply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6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so they will be omitted. .
  • a cannula tip providing plasma-based stimul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cannula type. That is,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cannula type may be included as a cannula unit in the cannula tip.
  • a cannula tip providing plasma-based stimulation will be described.
  • the cannula tip may include a cannula anchor and a plurality of cannulas inserted into the skin.
  • the cannula fixing part may be fix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cannulas.
  • Each of the plurality of cannulas has a hollow tube 12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at the center of the inside, an inlet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120, and at least one gas injected, and a hollow tube 120.
  •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for providing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120 controls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so that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gas moving through the hollow tube 120
  • a controller 160 for generating plasma at the distal end of the tube 120 and at least one outlet 1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and through which the plasma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120 is emitted can include
  •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hollow tube 120, the inlet 130, the outlet 140, the current supply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6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so they will be omitted. .
  •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stimulus providing device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equential provision of RF current and plasm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F current and plasma-based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skin and sequentially outputs plasma and RF current to provide different types of stimulation to the dermal layer of the skin. It may be a device that allows the skin to automatically regenerate damage caused by irritation.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hollow tube 120, an inlet 130, an outlet 140, a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a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 154) and a controller 160.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7 .
  •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to provide a first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120 .
  • plasma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ontact reaction between the gas and the first current. The plasma generated in this way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100 and can stimulate the inside of the skin.
  • the first current may be an alternating current.
  • the first current provided by the current providing unit 1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types of current capable of generating plasma by reacting with gas moving inside the hollow tube 120 .
  •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provides a second current to the skin, thereby directly stimulating the inside of the skin.
  •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excluding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This is to ensure that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100 by the controller 160 is provided intensively only at the distal end of the non-insulated hollow tube 120 (ie,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can Due to this, the first current may react with the gas moving through the hollow tube 120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120 to output plasma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100 .
  • the second current may be RF curr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excluding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part 154 may be formed in an insulated state. This may be to reduce the pain of the patient by minimizing the area that directly provides current to the skin by leaving the remaining parts in an insulated state except for the part that outputs the current.
  •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so that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re sequentially supplied.
  • the controller 160 may sequentially provide the plasma and the second current to the skin by switching between a first mode for providing a first current and a second mode for providing a second current. .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not shown) and a second electrode (not show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for activating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for activating the second mode. can be connected to
  •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hanged.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o that they are separated by a distance within a range in which they do not influence each other.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moving unit (not shown) for mov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irst electrode through the electrode moving unit. The movement of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trolled,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be adjusted.
  •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performed not only by the electrode moving unit but also by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control unit 160 may apply power only to the first electrode so that the first current is provided only through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 controller 160 may apply power only to the second electrode so that the second current is provided only through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 the control unit 160 applies power of a first intensity through the first electrode so that the first current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
  • the control unit 160 may apply power of a second intensity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to provide the second current through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may vary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to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e. Specifically, since the first current is for outputting plasma provided to the skin for treatment, and the second current is provided directly to the skin for treatment, the intensity of power applied when each mode is activated accordingly. may be different.
  • the control unit 16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cluded inside the housing 110 , but is included in an individual device outside the housing 110 to control components included inside the housing 110 .
  • the controller 160 may be included in a hand pie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 the housing 110 formed in a needle type or cannula type may be connected to a hand piece (not shown) through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 the hand piece (not shown) is a part that the doctor grips, and the doctor moves the hand piece (not shown) on the patient's skin and uses a needle type or cannula type through the controller 160 included in the hand piece (not shown).
  • the housing 110 formed of is inserted into the skin and can be controlled to sequentially output the first current and plasma.
  •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gas to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12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skin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to provide curr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skin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 That is, when 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skin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eg, a depth sufficient to reach the dermal layer),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and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 154)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current.
  •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eg, a depth sufficient to reach the dermal layer
  •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med in a needle type or a cannula type.
  • a needle tip providing stimulation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needle type. That is,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needle type may be included as a needle unit in a needle tip.
  • a needle tip providing stimulation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will be described.
  • the needle tip may include a needle fixing unit and a plurality of needles inserted into the skin.
  • the needle fixing part may be fix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needles.
  • Each of the plurality of needle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at the inner center of the needle, an inlet through which at least one gas is injected, and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
  • a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first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a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edle and providing a second current to the skin,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so that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re sequentially provided and at least one chamb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and discharging plasma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 FIGS. 7 and 7 Details of the hollow tube 120, the inlet 130, the outlet 140,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and the control unit 160 are shown in FIGS. 7 and 7 above. Sinc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t will be omitted.
  • a cannula tip providing stimulation based on RF current and plasma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cannula type. That is, th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med in a cannula type may be included as a cannula unit in the cannula tip.
  • a cannula tip providing RF current and plasma-based stimulation will be described.
  • the cannula tip may include a cannula anchor and a plurality of cannulas inserted into the skin.
  • the cannula fixing part may be fix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cannulas.
  • Each of the plurality of cannulas includes a hollow tube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annul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an inlet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through which at least one gas is injected, and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 a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first curren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 a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nnula and providing a second current to the skin
  •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to sequentially supply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nd at least one chamb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and discharging the plasma gener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tube.
  • FIGS. 7 and 7 Details of the hollow tube 120, the inlet 130, the discharge port 140, the first current providing unit 152, the second current providing unit 154 and the control unit 160 are shown in FIGS. 7 and 7 above. Sinc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t will be omitted.
  •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rd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피부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하우징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본 개시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란 기체가 초고온 상태로 가열되어 전자와 양전하를 가진 이온으로 분리된 상태를 말한다.
최근 들어 플라즈마가 피부 재생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를 이용한 피부 관리 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피부 관리 장치는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전류를 피부 내부에 삽입된 장치 외부에까지 전달하기 때문에 피부 관리는 받는 환자로 하여금 통증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는, 피부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하우징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전류 제공을 위한 제1 모드 및 제2 전류 제공을 위한 제2 모드 간의 전환을 통해 상기 피부에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전류 제공부는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는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2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모드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을 통해 제1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류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드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제2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2 전류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중공관 내부면 중에서 상기 제1 전류 제공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면 중에서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전류 제공부가 상기 제1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2 전류 제공부가 상기 제2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방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패턴변환부를 통해 복수개의 방출구의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하우징은,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들팁은 니들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은, 상기 니들의 내부 중앙에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니들의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캐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뉼라 각각은, 상기 캐뉼라의 내부 중앙에 상기 캐뉼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캐뉼라의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장치 내부에서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고, 피부 내부에 삽입되는 니들 또는 캐뉼라 타입의 장치의 외부면이 절연 상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내부에서 제공되는 전류가, 장치가 삽입된 피부 내부 영역에 제공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피부 관리 또는 치료 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또한, RF 전류와 플라즈마를 순차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RF 전류에 의해 피부조직이 재생되는 효과와 플라즈마에 의해 피부조직이 재생되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상태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구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전류 및 플라즈마의 순차적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상태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구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100)(이하, 자극 제공 장치)는 하우징(110), 중공관(120), 주입구(130), 방출구(140), 전류 제공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자극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100)는 환자의 피부 내부에 삽입되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피부의 진피층에 자극을 주어, 피부가 자극에 의한 손상을 자동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자극 제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피부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고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극 제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니들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은 상기 중공관(120)의 외부면일 수 있다. 즉, 하우징(110) 자체가 중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110) 내부에 중공관(120)이 별개의 관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주입구(130)는 중공관(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가스는 인체에 무해하다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주입되는 가스는 이산화탄소(CO2)일 수 있다.
주입구(130)를 통해 주입된 가스는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전류 제공부(150)는 중공관(12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중공관(120) 내부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류는 교류 전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제공부(150)는 RF(Radio Preqeuncy) 전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전류 제공부(150)가 제공하는 전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전류는 중공관(120)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스와 반응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류 제공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관(120)의 말단부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방출구(140)는 중공관(12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120)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공관(120) 내부의 말단부에서 가스와 전류가 접촉하면, 가스와 전류 간의 접촉 반응에 따라 플라즈마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스의 종류에 따라 플라즈마의 세기 및 크기 등이 상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플라즈마는 중공관(120)의 타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140)를 통해 피부 내부로 방출될 수 있다. 피부 내부로 방출된 플라즈마는 진피층에 자극을 주어 피부 내부에서 자동으로 피부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부(160)는 하우징(110)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하우징(110) 외부의 개별 장치에 포함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하우징(110)과 연결된 핸드 피스(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통해 핸드 피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핸드 피스(미도시)는 의사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의사는 핸드 피스(미도시)를 환자의 피부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핸드 피스(미도시)에 포함된 제어부(160)를 통해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이 피부 내부로 삽입되어 플라즈마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피부 내부에 하우징(110)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주입구(120)를 통해 가스가 주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피부 내부에 하우징(110)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전류 제공부(150)가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하우징(110)이 피부 내부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예를 들어, 진피층에 도달할 만큼의 깊이) 삽입되면, 주입구(130)를 통해 가스를 주입하여 중공관(120)을 통해 가스가 이동하도록 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전류 제공부(150)를 통해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여, 중공관(120) 말단부에서 가스와 전류가 만나 반응하여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핸드 피스(미도시) 내부에 구동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제어부(160)는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10)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미도시)의 상하 운동을 통하여 하우징(110)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구동부(미도시)의 타격에 의해 하우징(110)이 하강하도록 하여 피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자극 제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외부면은 절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전류를 이용한 피부 관리 장치는 피부에 전류를 직접 제공했기 때문에 환자가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절연 코팅함으로써 하우징(110) 외부(피부 접촉 영역)에는 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하고, 하우징(110) 내부의 전류 제공부(150)를 통해서만 전류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코팅은 외부면에 절연 물질을 바르거나, 붙이는 등과 같은 가공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극 제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내부면의 일부 영역도 절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외부면 전체가 절연 상태로 형성되고, 내부면의 일부 영역(말단부를 제외한 모든 영역)이 절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60)에 의해 장치(110) 내부로 인가되는 전류가 비절연 상태인 하우징(110)의 말단부(즉, 중공관(120)의 말단부)에서만 집중적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류 제공부(150)는 중공관(120)의 내부면의 말단부에만 형성되어, 말단부에서만 전류를 제공하고, 제공된 전류는 말단부에서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와 반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하우징(110)의 삽입 방향의 말단부는, 즉, 하우징(110)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중공관(120)의 하단에는 생성된 플라즈마가 피부 내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110)의 삽입 방향의 말단부를 가로로 절단하여 위에서 내려다봤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구(140)는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방출구(140)가 구비되는 경우, 홀의 크기는 비교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출구(140)가 구비되는 경우, 방출구(14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의 홀의 크기와 상응하는 영역 내에서 여러 개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출구(14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가 피부 내부로 방출될 때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방출구(14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가 피부 내부로 방출될 때 비교적 좁은 면적으로 여러 경로를 통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극 제어 장치(100)는 홀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160)가 홀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방출구(140)의 개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극 제어 장치(100)가 삽입되는 피부의 부위 및 환자의 피부 상태 등에 따라 제어부(160)는 방출구(14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중공관(120)의 하단에 하나의 방출구(140)가 구비되도록 하여 피부 내부에 넓은 면적으로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 중공관(120)의 하단에 복수개의 방출구(140)가 구비되도록 하여 피부 내부에 좁은 면적으로 여러 경로를 통한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하우징(110)이 피부에 삽입되어 플라즈마가 생성된 상태에서 홀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방출구(14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중공관(120)의 하단에 하나의 방출구(14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을 피부 내부로 삽입하고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피부 내부에 넓은 자극을 주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홀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방출구(140)가 하나인 상태에서 복수개인 상태로 변경하여 피부 내부에 플라즈마를 통한 세밀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자극 제어 장치(100)는 패턴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160)가 패턴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복수개의 방출구(140)의 패턴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패턴변환부(미도시)는 각각 상이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는 띠 모양의 제1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는 십자 모양의 제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의 모양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다.
제어부(160)가 패턴변환부(미도시)를 통해 기본 플레이트(복수의 방출구(140)가 전부 열린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로 변환하면, 복수의 방출구(140) 중에서 제1 패턴에 포함되는 방출구(140)만 열린 상태가 되어, 해당 방출구(140)에서만 플라즈마가 방출되게 된다. 즉, 띠 모양으로 플라즈마가 피부 내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어부(160)가 패턴변환부(미도시)를 통해 기본 플레이트(복수의 방출구(140)가 전부 열린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로 변환하면, 복수의 방출구(140) 중에서 제2 패턴에 포함되는 방출구(140)만 열린 상태가 되어, 해당 방출구(140)에서만 플라즈마가 방출되게 된다. 즉, 십자 모양으로 플라즈마가 피부 내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어부(160)가 패턴변환부(미도시)를 통해 제1 플레이트에서 제2 플레이트로 변환하면, 복수의 방출구(140) 중에서 제1 패턴에 포함되는 방출구(140)만 열린 상태에서 제2 패턴에 포함되는 방출구(140)만 열린 상태로 변환되어, 해당 방출구(140)에서만 플라즈마가 방출되게 된다. 즉, 띠 모양으로 플라즈마가 피부 내부로 방출되다가 십자 모양으로 변경되어 방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자극 제공 장치(100)는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니들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틀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니들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가 니들팁에 니들 유닛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틀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니들팁은 니들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고정부는 복수의 니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니들 각각은 내부 중앙에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120), 중공관(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130), 중공관(12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120) 내부에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부(150), 상기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류 제공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관(120)의 말단부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부(160) 및 상기 중공관(12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120)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관(120), 주입구(130), 방출구(140), 전류 제공부(150) 및 제어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캐뉼라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가 캐뉼라팁에 캐뉼라 유닛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캐뉼라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캐뉼라팁은 캐뉼라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 고정부는 복수의 캐뉼라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캐뉼라 각각은 내부 중앙에 캐뉼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120), 중공관(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130), 중공관(12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중공관(120) 내부에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부(150),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류 제공부(150)를 제어하여, 중공관(120)의 말단부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부(160) 및 중공관(120)의 타단에 형성되며, 중공관(120)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관(120), 주입구(130), 방출구(140), 전류 제공부(150) 및 제어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RF 전류와 플라즈마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전류 및 플라즈마의 순차적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100)(이하, 자극 제공 장치)는 환자의 피부 내부에 삽입되어 플라즈마 및 RF 전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피부의 진피층에 다른 종류의 자극을 주어, 피부가 자극에 의한 손상을 자동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자극 제공 장치(100)는 하우징(110), 중공관(120), 주입구(130), 방출구(140), 제1 전류 제공부(152), 제2 전류 제공부(154)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자극 제공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 중공관(120), 주입구(130) 및 방출구(140)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류 제공부(152)는 상기 중공관(120)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120)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인가된 제1 전류가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와 접촉하면, 가스와 제1 전류 간의 접촉 반응에 따라 플라즈마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플라즈마는 상기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되어 피부 내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때, 제1 전류는 교류 전류일 수 있다. 전류 제공부(150)가 제공하는 제1 전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중공관(120)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스와 반응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류 제공부(154)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부 내부에 직접 자극을 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 제공 장치(100)는 상기 중공관(120) 내부면 중에서 상기 제1 전류 제공부(152)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60)에 의해 장치(100) 내부로 인가되는 제1 전류가 비절연 상태인 중공관(120)의 말단부(즉, 제1 전류 제공부(152))에서만 집중적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류는 중공관(120)의 말단부에서 중공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와 반응하여 장치(100) 외부로 플라즈마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류는 RF 전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10) 외부면 중에서 상기 제2 전류 제공부(154)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류를 출력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절연 상태로 하여 피부에 전류를 직접 제공하는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 위함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제1 전류 제공부(152)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154)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제1 전류 제공을 위한 제1 모드 및 제2 전류 제공을 위한 제2 모드 간의 전환을 통해 상기 피부에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을 위해 자극 제공 장치(100)는 제1 전극(미도시) 및 제2 전극(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 전류 제공부(152)는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류 제공부(154)는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2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60)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거리가 이격되도록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극 제공 장치(10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이동을 위한 전극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60)는 전극이동부를 통해 제1 전극의 이동 및 제2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위치 이동은 비단 상기 전극이동부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모드 시에 제어부(160)는 제1 전극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류 제공부(152)를 통해서만 제1 전류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모드 시에 제어부(160)는 제2 전극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류 제공부(154)를 통해서만 제2 전류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시에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 전극을 통해 제1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류 제공부(152)를 통해 상기 제1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드 시에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제2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류 제공부(154)를 통해 상기 제2 전류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모드에 따라 자극 제공 장치(100)에 제공되는 전원의 세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류는 치료를 위해 피부에 제공되는 플라즈마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전류는 치료를 위해 피부에 직접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각각의 모드가 활성화됐을 때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부(160)는 하우징(110)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하우징(110) 외부의 개별 장치에 포함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하우징(110)과 연결된 핸드 피스(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통해 핸드 피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핸드 피스(미도시)는 의사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의사는 핸드 피스(미도시)를 환자의 피부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핸드 피스(미도시)에 포함된 제어부(160)를 통해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이 피부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전류 및 플라즈마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피부 내부에 하우징(110)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주입구(120)를 통해 가스가 주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피부 내부에 하우징(110)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 전류 제공부(152) 및 제2 전류 제공부(154)가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하우징(110)이 피부 내부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예를 들어, 진피층에 도달할 만큼의 깊이) 삽입되면, 제1 전류 제공부(152) 및 제2 전류 제공부(154)가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자극 제공 장치(100)는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니들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틀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니들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가 니들팁에 니들 유닛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틀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니들팁은 니들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고정부는 복수의 니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니들 각각은 상기 니들의 내부 중앙에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니들의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공관(120), 주입구(130), 방출구(140), 제1 전류 제공부(152), 제2 전류 제공부(154) 및 제어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캐뉼라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자극 제공 장치(100)가 캐뉼라팁에 캐뉼라 유닛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캐뉼라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캐뉼라팁은 캐뉼라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 고정부는 복수의 캐뉼라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캐뉼라 각각은 상기 캐뉼라의 내부 중앙에 상기 캐뉼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캐뉼라의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공관(120), 주입구(130), 방출구(140), 제1 전류 제공부(152), 제2 전류 제공부(154) 및 제어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피부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하우징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전류 제공을 위한 제1 모드 및 제2 전류 제공을 위한 제2 모드 간의 전환을 통해 상기 피부에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제공부는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는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2 전극에 연결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을 통해 제1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류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드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제2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2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내부면 중에서 상기 제1 전류 제공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면 중에서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 상태로 형성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전류 제공부가 상기 제1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2 전류 제공부가 상기 제2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패턴변환부를 통해 복수개의 방출구의 패턴을 변경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니들 타입 또는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9. 니들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은,
    상기 니들의 내부 중앙에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니들의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들팁.
  10. 캐뉼라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캐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뉼라 각각은,
    상기 캐뉼라의 내부 중앙에 상기 캐뉼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 내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 제공부;
    상기 캐뉼라의 외부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제2 전류를 제공하는 제2 전류 제공부;
    상기 제1 전류 제공부 및 상기 제2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하는,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캐뉼라팁.
  11. 피부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부;
    상기 중공관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관의 말단부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은, 절연 상태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기 설정된 깊이 이상 삽입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전류 제공부가 상기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홀변환부를 통해 상기 방출구의 개수를 변경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패턴변환부를 통해 복수개의 방출구의 패턴을 변경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은 상기 중공관의 외부면인,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니들 타입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캐뉼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19. 니들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은,
    내부 중앙에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부;
    상기 중공관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관의 말단부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니들팁.
  20. 캐뉼라 고정부; 및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캐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뉼라 각각은,
    내부 중앙에 상기 캐뉼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중공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부;
    상기 중공관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류 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관의 말단부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공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 말단부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을 제공하는 캐뉼라팁.
PCT/KR2022/006886 2021-05-13 2022-05-13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WO20222402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69 2021-05-13
KR20210061769 2021-05-13
KR10-2022-0058701 2022-05-13
KR1020220058701A KR102554607B1 (ko) 2021-05-13 2022-05-13 무선 주파수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0233A1 true WO2022240233A1 (ko) 2022-11-17

Family

ID=8402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886 WO2022240233A1 (ko) 2021-05-13 2022-05-13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4023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23B1 (ko) * 2011-07-26 2013-08-26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211153A (ja) * 2012-03-30 2013-10-10 Nagoya Univ プラズマ発生装置
KR20150146253A (ko) * 2014-06-23 2015-12-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적 안전성 및 방열 기능을 구비한 플라즈마 제트 장치
KR20180123005A (ko) * 2016-03-04 2018-11-14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다중 처리 모드들을 가진 전기외과적 기구
KR20200136118A (ko) * 2019-05-27 2020-12-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 프리 소독용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시스템
KR102380650B1 (ko) * 2021-05-13 2022-04-01 서석배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23B1 (ko) * 2011-07-26 2013-08-26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211153A (ja) * 2012-03-30 2013-10-10 Nagoya Univ プラズマ発生装置
KR20150146253A (ko) * 2014-06-23 2015-12-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적 안전성 및 방열 기능을 구비한 플라즈마 제트 장치
KR20180123005A (ko) * 2016-03-04 2018-11-14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다중 처리 모드들을 가진 전기외과적 기구
KR20200136118A (ko) * 2019-05-27 2020-12-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 프리 소독용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시스템
KR102380650B1 (ko) * 2021-05-13 2022-04-01 서석배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26018A1 (ko) 피부 관리 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WO2016133242A1 (ko)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WO2017023134A1 (ko) 피부 미용기기
WO2021172696A1 (ko) 레이저 조사 장치
WO2012173405A2 (ko) 라-효과 또는 라플러스-효과에 의한 피부 개선 장치 및 방법
WO2021230582A1 (ko) 왕복운동하는 니들을 갖는 약물 주입 장치
WO2022239925A1 (ko) 고주파 치료용 핸드피스
WO2012153927A2 (ko) 고주파 열치료용 비대칭 바이폴라 전극침
WO2020050493A1 (ko)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WO2022240233A1 (ko) Rf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WO2012074296A2 (ko)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장치
KR20210034293A (ko) 플라즈마 마스크
WO2012169846A4 (ko) 주파수 패턴을 이용한 전기 자극기
WO2019225897A1 (ko) 피부 미용 치료용 rf 전극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피부 미용 치료용 핸드피스
WO2021096022A1 (ko) 플라그 제거 촉진용 칫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2886B1 (ko)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WO2016204332A1 (ko) 수랭식 플라즈마 토치
WO2018030561A1 (ko)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WO2018026027A1 (ko) 플라즈마 자극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침술 치료기
WO2020009351A1 (ko) 약물 주입용 팁, 핸드 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WO2022103048A1 (ko) 미세전류를 발생하는 기능성 모발용 약액 공급장치
WO2022025592A1 (ko)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KR102554607B1 (ko) 무선 주파수 전류 및 플라즈마 기반의 자극 제공 장치
WO2022045778A1 (ko) 플라즈마 피부 관리기
WO2021085980A1 (ko)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한 장치 및 그를 사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07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